KR910007711B1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converted by line transmission code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converted by line transmission cod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711B1
KR910007711B1 KR1019880009545A KR880009545A KR910007711B1 KR 910007711 B1 KR910007711 B1 KR 910007711B1 KR 1019880009545 A KR1019880009545 A KR 1019880009545A KR 880009545 A KR880009545 A KR 880009545A KR 910007711 B1 KR910007711 B1 KR 910007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kbps
buffer
bi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5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00002590A (en
Inventor
조규섭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880009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711B1/en
Publication of KR900002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5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7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Abstract

The apparatus uses the line transmission code (Park-cho 86) to transmit the European standard first multiple signal to the north west standard first transmission relay system. The method includes steps: (A) converting 2048Kbps serial 8bit binary data transmitted from the European standard first multiple transmission system to 1536Kbps parallel 6bit ternary data and generating the 1544Kbps bi- polarity data by adding the 8Kbps frame data; (B) converting the 1544Kbps bi-polarity 6-bit ternary data into the 8-bit binary data, synchronizing the frame data, and converting to the 2048Kbps serial data. The apparatus includes a transmitter (310) for converting the European standard signal into PC86 code signal and transmitting to the North American Standard relay system, and a receiver (350) for converting the PC86 code signal into the European standard signal and transmitting to the European standard transmission system.

Description

북미와 유럽의 1차 다중전송 정합방법 및 장치First Multiple Transmission Matching Method and Apparatus in North America and Europe

제1도는 통상의 AMI 부호와 PC86 부호의 비교도.1 is a comparison of the conventional AMI code and the PC86 code.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PC86 부호에 대한 1차 다중 프레임의 북미식 전환 형태도.2 is a North American conversion form of the first multiple frames for the PC86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송수신 정합회로의 기능 블럭도.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transmission / reception matching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송신 정합회로의 상세도.4 is a detailed diagram of a transmission matching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의 수신 정합회로의 상세도.5 is a detailed view of the reception matching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PC86 부호화 순서도.6 is a PC86 encoding flow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PC86 복호화 순서도.7 is a PC86 decoding flow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본 발명의 시험스위치 구성도.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test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호화 방식 데이타 출력표.9 is a coded data output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북미와 유럽의 1차 다중전송 정합장치의 기능을 나타낸 도면.10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the first multiplex transmission matching device in North America and Europ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1 : 클럭입력단자 303 : 클럭출력단자301: clock input terminal 303: clock output terminal

302 : 데이타 입력단자 304 : 데이타 출력단자302: data input terminal 304: data output terminal

308, 309 : 정.부전송선로 310 : 송신부308, 309: positive and secondary transmission line 310: transmitting unit

315 : 제 1위상동기루프(PLL) 316 : 제2위상동기루프315: first phase synchronizing loop (PLL) 316: second phase synchronizing loop

320 : 프레임 카운터 325 : 제1버퍼 컨트롤러320: frame counter 325: first buffer controller

326 : 제2버퍼 컨트롤러 321 : 클럭 회복 및 프레임 동기부326: second buffer controller 321: clock recovery and frame synchronization unit

322 : 디스패리티 카운터 323 : 프레임 제네레이터322 disparity counter 323 frame generator

330-333, 451-455, 551-555 : 버퍼330-333, 451-455, 551-555: buffer

335 : PC86 엔코더 336 : PC86 디코더335: PC86 encoder 336: PC86 decoder

340 : 바이폴라 드라이브 341 : 바이폴라 리시버340: Bipolar Drive 341: Bipolar Receiver

350 : 수신부 401-412, 501-504, 806 : 앤드게이트350: receiver 401-412, 501-504, 806: endgate

421-423, 521, 522, 803 : 오아게이트421-423, 521, 522, 803: Oagate

431-439, 531-534, 805 : 인버터431-439, 531-534, 805: Inverter

441-443, 541, 542 : 카운터 461,462 : 엔코더441-443, 541, 542: counter 461,462: encoder

561 : 디코더 470 : 디스패리티 카운터561: Decoder 470: Disparity Counter

481, 482, 581 : 래치회로 801, 802 : 스위치481, 482, 581: latch circuit 801, 802: switch

807 : 멀티바이브레이터 808 : 발광 다이오드807 multivibrator 808 light emitting diode

R1-R4 : 저항R1-R4: Resistance

본 발명은 Park-Cho 86 부호라고 하는 특수한 선로 전송부호(이하 PC86 부호라 칭함)를 사용하여 북미식 1차 중계전송 시스템(전송속도; 1,544Kbps 이하 T1 시스템으로 칭함) 상에 유럽식 1차 다중신호(정보량; 2,048Kbps)를 전송 가능하게 하는 북미와 유럽의 1차 다중전송 정합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special line transmission code called Park-Cho 86 c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C86 code) to a European primary multiplex signal on a North American primary relay transmission system (transmission rate; referred to as a T1 system of 1,544 Kbps or l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st multi-transmission matching method and apparatus in North America and Europe that enable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amount; 2,048 Kbps).

북미식 1차 다중장치 및 중계 시스템은 1962년부터 미국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이 방식을 채택하여 국간 중계 및 가입자 반송장치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북미방식에는, 디지틀 교환기가 사용되고 통신망은 종합정보통신망(ISDN)으로 발전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North American primary multiplexing devices and relay systems have been used in the United States since 1962. Currently, this method is widely used in relay stations and subscriber carriers in Korea. However, in North America, as the digital exchange is used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developed into an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SDN), the following fundamental problems are exposed.

첫째 디지틀 교환기의 내부 버스 구조는 유럽식 1차 다중신호 구조와 유사하며 따라서 유럽의 전송방식을 채택할 경우 전송과 교환의 정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북미의 전송방식을 적용할 경우는 다중화되는 채널들의 재조합을 위하여 부가적인 정합기능이 요구된다.First, the internal bus structure of the digital exchange is similar to that of the European primary multiplexing signal. Therefore, when the European transmission scheme is adopted, the transmission and the exchange can be easily matched. Additional matching is required for this purpose.

둘째 협대역 종합정보 통신망은 64Kbps의 정보량을 갖는 B채널을 기본단위로 하는데 유럽 방식은 이를 만족시키지만 북미방식은 몇가지 이유로 하여 56Kbps의 채널확보만이 가능하다.Secondly, the narrowband Telecommunication Network is based on the B channel with 64Kbps of information. The European method satisfies this, but the North American method can only secure 56Kbps channel for some reasons.

따라서 국내에서도 종합정보 통신망으로의 발전을 위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북미식 전송방식으로 부터 유럽식 전송방식으로 전환코자 하는 논의가 활발히 있으나 통신방식의 일대 전환이 단시일내에 추진되기 어렵고 전환되더라도 기존의 T1 시스템 활용을 위한 적절한 보완대책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n active discussion in Korea to switch from the existing North American transmission method to the European transmission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However, even if the one-to-one conversion of the communication method is difficult to be promo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existing T1 system is used. Appropriate complementary measures are nee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이며, 제10도와 같이 유럽식으로 다중화된 1차군 신호(2.048Kbps)를 기존의 북미식 T1 중계전송 시스템을 개조없이 그대로 활용하여 전송 가능케 하는 정합장치가 주요 내용으로서 그 기본원리는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량 보다 실제의 전송속도를 줄이는 적절한 전송부호를 적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송부호로는 여러가지 종류를 고려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기존 T1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한다는 전제하에서 현재 일부 외국의 대용량 전송 시스템에 사용하는4B3T와 유사한 개념의 PC86 부호를 고안하여 사용한다. 이 PC86 부호의 목적은 8개의 2진 데이타("ψ"과 "1"의 조합)를 6개의3진 데이타("+" "ψ" "-"의 조합)로 변환시키는 부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atched to enable the transmission of the first group signal (2.048 Kbps) multiplexed in Europe as in FIG. 10 using the existing North American T1 relay transmission system without modification. The main principle of the device is to apply an appropriate transmission code that reduces the actual transmission speed rather than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s such a transmission code, various types can be conside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devises and uses a PC86 code of a concept similar to 4B3T currently used in some foreign large-capacity transmission systems under the premise of utilizing the existing T1 system. The purpose of this PC86 code is to provide a code for converting eight binary data (combination of "ψ" and "1") into six ternary data (combination of "+" "ψ" "-").

즉 8개의 2진수로는 모두 256개의 조합이 가능하고 6개의3진수로는 모두 729개의 조합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729개의 조합중 적절한 조합을 취하여 T1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9도와 같이 전송선로상의 직류성분을 최대로 줄일 수 있는 PC86 부호를 창안하였다.That is, 256 combinations of 8 binary numbers are possible, and 729 combinations of 6 ternary numbers are possible. Therefore, a direct current on the transmission line as shown in FIG. 9 can be transmitted to the T1 system by taking an appropriate combination among these 729 combinations. The PC86 code was devised to minimize the components.

PC86 부호 창안에 있어서 직류성분(이하 디스패리티 : Disparity라 칭함)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연속되는 똑같은 극성의 제한(예를 들어 "+,+,+,…" 또는 "-,-,-,…"의 형태를 피하고 '+,-,+,-,…"와 형태를 취하여 똑같은 극성 반복에 의한 직류성분 누적방지)에 중점을 두었다.In order to minimize the direct current compon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sparity") in the PC86 code window, a series of identical polarity limitations (e.g. "+, +, +, ..." or "-,-,-, ...") Avoiding the form and taking the form '+,-, +,-,…' and focusing on the prevention of accumulation of DC components by the same polarity repeti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2진 데이타로 전송할 때 AMI(Alternate Mark Inversion) 전송부호를 채택하는 기존의 T1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형태와 PC86 부호에 의한 전송형태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8개의 2진 데이타를 6개의3진 데이타로 전송하게 되면 전송속도는3/4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2,048Kbps의 데이타 전송시 PC86 부호를 채택하면 전송속도는 1,536Kbps가 되며 기존 T1 시스템의 전송속도(1,544Kbps)와는 8Kbps의 차이가 있게 된다. 본래 T1 시스템에서도 1,536Kbps를 정보전달용으로 사용하고 8Kbps를 수신단에서의 프레임(Frame) 동기를 위해 프레임 비트로 사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정합장치에서도 8Kbps의 잉여분을 T1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프레임 비트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한다.FIG. 1 shows an example of transmission to an existing T1 system adopting Alternate Mark Inversion (AMI) transmission code and transmission by PC86 code when transmitting binary data. When transmitting in binary data, the transmission rate is reduced to 3/4. Therefore, when the PC86 code is adopted for data transmission of 2,048 Kbps, the transmission speed becomes 1,536 Kbps, and there is a difference of 8 Kbps from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existing T1 system (1,544 Kbps). In the original T1 system, 1,536 Kbps is used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8 Kbps is used as frame bits for frame synchronization at the receiving end. Therefore, as shown in FIG. Used for the same purpose as the frame bits used.

이와 같이 2,048Kbps 데이타가 PC86 부호를 적용하면, 1,536Kbps 속도의3진 데이타를 얻을 수 있으며 여기에 프레임 비트 8Kbps를 부가하면, 최종적으로 1,544Kbps 전송속도의3진 데이타가 되며 따라서 기존의 T1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하여 2,048Kbps의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Thus, if 2,048Kbps data is applied to PC86 code, ternary data of 1,536Kbps can be obtained, and if 8Kbps of frame bit is added to this, finally, it becomes ternary data of 1,544Kbps transmission rate. It can be used as it is to transfer data of 2,048 Kbps.

여기서 PC86 부호의 동작원리를 전술한 직류성분 제거라는 관점에서 좀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전송부호가 첫째로 만족시켜야 하는 조건은 선로상의 직류성분 제거라 하겠다. 선로에 직류성분이 존재하게 되면 수신단에서 임계치(Threshold Level)의 설정, 자동이득제어, 중신급전 등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Herein,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C86 c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DC component removal. In general, the first condition that the transmission code must satisfy is the removal of the DC component on the line. When a DC component is present in a line, it is difficult to set a threshold level, automatic gain control, and heavy feeding at the receiving end.

따라서 기존 T1 중계전송 시스템에서는 AMI 전송부호를 채택하며 이는 "1"의 데이타 전송에서 "+"펄스와 "-"펄스를 교대로 전송하여 직류적으로 평형을 이루도록 한다(제1도의 AMI 부호에 의한 복극성 펄스 참조). 그러나, 6비트3진 데이타를 조합하여 부호할 경우 "+,-,+,-,+,-"또는 "+,0,-,+,0,-"등과 같이 6비트 데이타 단위로 직류평형을 이루는 조합은 모두 112개가 되며 이로서는 8비트 2진수 256개의 조합을 모두 표시할 수가 없다.Therefore, the existing T1 relay transmission system adopts the AMI transmission code, which transmits the "+" pulse and the "-" pulse alternately in the data transmission of "1" to achieve direct current balance (by the AMI code of FIG. 1). Bipolar pulses). However, when 6-bit ternary data is combined and coded, DC equilibration is performed in 6-bit data units such as "+,-, +,-, +,-" or "+, 0,-, +, 0,-". There are 112 combinations in total,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display all 256 combinations of 8-bit binary numbers.

따라서 "+,-,+,-,+,0"와 같이 6비트3진 데이타 단위로 직류평형을 이루지 못하는 조합을 사용할 수 밖에 없으며 이 경우 넓은 시간대로 보아 직류평형을 이룰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Therefore, there is no choice but to use a combination that cannot achieve DC balance in 6-bit ternary data units, such as "+,-, +,-, +, 0". In this case, a method for achieving DC balance in a wide time zone must be devised. do.

이를 통해 디스패리티("+"펄스수와 "-"펄스수의 차이) 개념이 도입되며 제9도와 같이 하나의 8비트 2진 데이타에 정모드(Positive Mode)와 부모드(Negative Mode)의 6비트3진 데이타가 할당된다. 여기서 8비트 2진 데이타 "10000000"을 전송할 때를 가정하면 전송하기 이전의 상태가 직류적으로 정방향(Positive) 불평형되었을 경우에는 부모드의 "-, -, 0, 0, +, -" 데이타를 선택하여 전송하고 만약 그 이전의 상태가 직류적으로 부방향(Negative)으로 불평형되었을 경우에는 정모드의 "+, +, +, 00, -, +" 데이타를 선택하여 전송함으로써 넓은 시간대로 보아 직류평형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진행되게 한다. 즉, PC86 부호는 부모드, 정모드 부호를 설정하여 두고 그 이전의 직류평형 상태에 따라 정, 부의 부호를 선정하여 전송함으로써 단기간으로는 직류불평형이 나타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직류평형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6비트3진수 729개의 조합중 가능하면 직류 불평형(디스패리티 수)이 적은 조합을 8비트 2진수에 대응시키며 본 PC86 부호를 착안함에 있어서 다음의 기준을 적용하였다.This introduces the concept of disparity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 and "-" pulses), as shown in FIG. 9 for 6-bit binary data in positive mode and negative mode. Bit ternary data is allocated. Assuming that 8-bit binary data "10000000" is transmitted, the parent data "-,-, 0, 0, +,-" is transmitted when the state before transmission is positively unbalanced. If the previous status is DC unbalanced negatively, select and transmit "+, +, +, 00,-, +" data in the forward mode. Allow it to proceed in the direction of equilibrium. That is, the PC86 code is set to parent and positive mode codes,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codes are selected and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previous DC balance state to control the DC balance in the long term even if the DC imbalance appears in the short term. For this purpose, the combination of 729 6-bit ternary digits with the least possible DC unbalance (disparity number) corresponds to 8-bit binary digits.

-조합의 처음 혹은 끝에 똑같은 극성이 2개 이상 연속되는 경우 제외(최악의 경우 동일한 극성의 펄스가4개 이상 연속됨을 방지)Except where two or more identical polarities are consecutive at the beginning or end of a combination (in the worst case, to prevent four or more consecutive pulses of the same polarity)

-조합내에 똑같은 극성이3개 이상 연속되는 경우 제외Except in the case of 3 or more consecutive identical polarities in a combination

-디스패리티가3 이상인 경우 제외Except when the disparity is 3 or more

제3도는 PC86 부호를 사용하여 2,048Kbps 데이타를 1,544Kbps의 속도로 전송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송신 및 수신장치의 기능 블럭도로서 송신의 경우 송신부(310)내 클럭 입력단(301)에 입력된 2,048Kbps의 클럭은 제1위상동기루프(Phase Locked Loop)(315)에 인가되어 2,048Kbps 클럭에 동기된 1,544Kbps 클럭이 발생되며 동시에 데이타 입력단(302)에 입력된 2,048Kbps 데이타는 상기 2,048Kbps 클럭과 제1버퍼 컨트롤러(325)의 제어하에 8비트의 데이타 단위로 제1버퍼(330)에 저장된다.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ransmitting 2,048 Kbps data at a speed of 1,544 Kbps using a PC86 code. In the case of transmission, 2,048 Kbps input to the clock input terminal 301 in the transmitting unit 310. The clock is applied to the first phase locked loop 315 to generate a 1,544 Kbps clock synchronized with the 2,048 Kbps clock, and at the same time, the 2,048 Kbps data inputted to the data input terminal 302 is set to the 2,048 Kbps clock.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buffer controller 325, the first buffer 330 is stored in a data unit of 8 bits.

이때 상기 제1버퍼 컨트롤러(325)는 2,048Kbps와 1,544Kbps의 위상차이 때문에 나타날 수 있는 PC86 엔코더(335)의 오 동작을 방지하여 주며 이렇게 상기 제1버퍼(330)에 저장된 8비트의 데이타는 PC86 엔코더(335)에 의해 6비트의3진 병렬 데이타로 변환되고 이 병렬 데이타는 제2버퍼(331)에 의해 직렬 데이타로 바뀌어 "+"부호는 선로(308)로 "-"부호는 선로(309)를 통하여 바이폴라 드라이버(340)에 인가되어 각각 "+"펄스와 "-"펄스로 T1 전송 시스템을 통해 전송된다(제6도 참조).At this time, the first buffer controller 325 prevents a malfunction of the PC86 encoder 335 which may appear due to a phase difference between 2,048 Kbps and 1,544 Kbps. Thus, 8-bit data stored in the first buffer 330 is stored in PC86. The encoder 335 converts the 6-bit ternary parallel data and the parallel data is converted into serial data by the second buffer 331 so that the "+" sign is the line 308 and the "-" sign is the line 309. Is applied to the bipolar driver 340 via the T1 transmission system in " + " and "-"

이때 디스패리티 카운터(322)는 이전에 보낸 전송 데이타의 직류 불평형 상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음에 전송할 적절한 정, 부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디스패리티의 카운터(322)는 데이타를 보낼 때마다 계속 새롭게 조정된다.At this time, the disparity counter 322 has an unbalanced DC state of previously transmitted data, thereby selecting an appropriate positive and parent data to be transmitted next. The counter of disparity 322 is continuously adjusted each time data is sent.

또한 프레임 카운터(320)와 프레임 제네레이터(323)는 북미방식 1차 PCM 다중장치에서 사용하는 규정에 따라 적절한 프레임 비트를 생성하여 적절한 시간에 전송데이타에 삽입시켜 준다. 수신부(350)는 상기 송신부(310)의 역동작 순으로 행해지는데 T1 시스템으로 부터 수신된 복극성 펄스는 바이폴라 리시버(341)에 의해 6비트 직렬 "+"극성 데이타(308)와 "-"극성 데이타(309)로 변환되어 각각 제3버퍼(333)에 저장된다. 이때 "+" "-"극성 데이타(308),(309)는 클럭회복 및 프레임 동기부(321)에도 인가되어 1,544Kbps 클럭이 재생되는 동시에 송신부에서 보내온 프레임 비트를 검출하여 수신 프레임 동기가 수행된다.In addition, the frame counter 320 and the frame generator 323 generate the appropriate frame bits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used in the North American primary PCM multiplexer and insert them into the transmission data at an appropriate time. Receiving unit 350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peration order of the transmitting unit 310, the bipolar pulse received from the T1 system is the 6-bit serial "+" polar data 308 and "-" polarity by the bipolar receiver 341 The data 309 is converted into and stored in the third buffer 333,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 "-" polar data 308 and 309 are also applied to the clock recovery and frame synchronizer 321 so that a 1,544 Kbps clock is reproduced and frame frames sent from the transmitter are detected to perform frame synchronization. .

이 프레임 동기부에서 나오는 적절한 타이밍 신호가 제2버퍼 컨트롤러(326)에 인가되며 이의 제어에 의해 송신부에서 보내온 6비트의 데이타 블럭이 블럭별로 정확히 제3버퍼(333)에 저장된다.Appropriate timing signals from the frame synchronizer are applied to the second buffer controller 326, and by control thereof, the 6-bit data blocks sent from the transmitter are stored in the third buffer 333 exactly for each block.

이렇게 저장된 수신 데이타는 제3버퍼(333)에 의해 6비트 병렬 데이타로 변환되며 "+", "-"극성 6비트 병렬 데이타가 PC86 디코더(336)에 인가되어 송신부의 역순으로 최초의 병렬 8비트 2진 데이타가 재생된다(제7도 참조).The received data stored in this way is converted into 6-bit parallel data by the third buffer 333, and "+" and "-" polar 6-bit parallel data are applied to the PC86 decoder 336 so that the first parallel 8-bit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transmitter. Binary data is reproduced (see Fig. 7).

이렇게 재생된 병렬 8비트 2진 데이타는 제4버퍼(332)에서 다시 2,048Kbps 직렬 데이타로 변환되며 출력단자(304)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4버퍼(332)는 제2버퍼 컨트롤러(326)의 제어를 받는다.The parallel 8-bit binary data thus reproduced is converted into 2,048 Kbps serial data in the fourth buffer 332 and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304. At this time, the fourth buffer 332 is controlled by the second buffer controller 326.

제2위상동기루프(316)는 1,544Kbps 클럭에 동기된 2,048Kbps 클럭을발생시키며 여기서 발생되는 위상차이는 제2버퍼 컨트롤러(326)과 제4버퍼(332)에 의해 보상된다.The second phase synchronizer loop 316 generates a 2,048 Kbps clock synchronized with the 1,544 Kbps clock, and the phase difference generated therein is compensated by the second buffer controller 326 and the fourth buffer 332.

제4도는 상기 송신부(310)의 상세도로서 제1버퍼 컨트롤러(325)는 카운터(441-443)와 다수의 게이트들로 구성되며 상기 제1버퍼 컨트롤러(325)는 8비트의 2,048Kbps 데이타를 저장하는 시간이 이를 PC86 부호화하여 송신하는 시간사이에 적당한 차이를 두어 PC86 엔코더(335)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버퍼(451-455)로 구성된 제1및 제2버퍼(330), (331)에 적절한 저장펄스(Load Pulse)를 공급한다.4 is a detailed view of the transmitter 310. The first buffer controller 325 includes a counter 441-443 and a plurality of gates, and the first buffer controller 325 stores 8-bit 2,048 Kbps data. The first and second buffers 330 and 331 configured as buffers 451 to 455 to prevent the PC86 encoder 335 from malfunctioning because the time to be stored makes a proper difference between the times when the PC86 is encoded and transmitted. Supply the appropriate load pulse to load.

이때 상기 버퍼(451-453)로 구성된 제1버퍼(330)에서 버퍼(451)는 부호화할 8비트의 직렬데이타를 병렬데이타로 일단 전환하며 이를 부호화하기 위하여 다시 D형 래치(452),(453)에 저장한다.At this time, in the first buffer 330 composed of the buffers 451-453, the buffer 451 converts the 8-bit serial data to be encoded into parallel data once, and in order to encode the same, the D-type latches 452 and 453 again. ).

엔코더(461),(462)로 구성된 상기 PC86 엔코더(335)는 부호화 결과 데이타를 ROM(Ready Only Memory)기억장치에 저장한 형태이다.The PC86 encoder 335, which consists of encoders 461 and 462, is a form in which encoding result data is stored in a ROM (Ready Only Memory) storage device.

한편 디스패리티 카운터(470)는 이번에 송신할 데이타의 디스패리티가 정(Positive)인지 또는 부(negative)인지를 결정하며 상기 디스패리티 카운터(470)의 출력에 따라 적절한 ROM의 영역이 결정된다.Meanwhile, the disparity counter 470 determines whether the disparity of data to be transmitted at this time is positive or negative, and an appropriate ROM area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disparity counter 470.

이와 같이 상기 디스패리티 카운터(470)의 출력와 D형 래치(453)의 8비트의 2진 데이타가 ROM에 입력되는 어드래스 역활을 하며 이 어드래스에 의해 "+"펄스로 보낼 데이타와 "-"펄스로 보낼 데이타가 출력되어 각각 상기 버퍼(331)에 저장된다.In this way, the output of the disparity counter 470 and the 8-bit binary data of the D-type latch 453 serve as an address input to the ROM, and the data to be sent with a "+" pulse and "-" by this address. Data to be sent in pulses is output and stored in the buffer 331, respectively.

여기서 버퍼(454)는 "+"펄스 송신위치를, 버퍼(455)는 "-"펄스 송신위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저장된 6비트의 "+" 및 "-"펄스용 데이타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직렬데이타로 전환되어 복극성 송신기인 바이폴라 드라이버(340)를 통해 T1 중계전송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또한 프레임 제네레이터(323)의 게이트(407),(408)에 의해 적절한 프레임 비트가 생성되어 최종 출력단에서 송신 데이타에 삽입된다.The buffer 454 provides a "+" pulse transmission position, and the buffer 455 provides a "-" pulse transmission position. The 6-bit " + " and "-" pulse data stored in this way are converted into serial data again as shown in FIG. 6 and transmitted to the T1 relay transmission system through the bipolar driver 340 which is a bipolar transmitter. In addition, the appropriate frame bits are generated by the gates 407 and 408 of the frame generator 323 and inserted into the transmission data at the final output stage.

상기 송신장치 중에서 제1위상동기루프(315)와 프레임카운터(320) 및 바이폴라 드라이버(340)는 일반적인 전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회로들이 그대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되지 않는다.The first phase synchronizer loop 315, the frame counter 320, and the bipolar driver 340 among the transmission apparatuses are not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general circuits used in a general transmission system may be used as they are.

제5도는 상기 수신부(350)의 상세도로서 상기 송신부(310)에서 T1 중계전송 시스템을 통하여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며 이 수신된 신호는 복극성 수신기인 바이폴라 리시버(341)를 통해 송신시의 "+"(308) 및 "-"(309)용 데이타로 환원되며 이 환원된 데이타 신호는 일단 클럭복구 및 프레임 동기부(321)에 공급되어 수신동작에 필요한 클럭재생 및 프레임 동기가 수행된다.5 is a detailed view of the receiver 350. The transmitter 31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T1 relay transmission system, and the received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bipolar receiver 341 which is a bipolar receiver. The reduced data signal is first supplied to the clock recovery and frame synchronizer 321 to perform clock reproduction and frame synchronization necessary for the reception operation.

여기서 프레임 동기비트

Figure kpo00001
는 제2버퍼 컨트롤러(326)에 인가되어 버퍼제어에 필요한 타이밍이 생성된다. 한편 상기 "+"(308) 및 "-"(309)용 전송선로의 데이타는 카운터(541),(542)로 구성된 제2버퍼 컨트롤러(326)에 의해 버퍼(551∼554)로 구성된 제3 버퍼(333)에 6비트의 "+" 및 "-" 데이타별로 저장되며 이 두개의 6비트 데이타, 즉 12비트의 데이타는 PC86 디코더(336)에 있는 ROM(561)의 어드레스로 사용되어 송신한 8비트의 2진 병렬 데이타가 ROM(561)에서 재생되어 출력된다(제7도 참조).Frame sync bit
Figure kpo00001
Is applied to the second buffer controller 326 to generate timing necessary for buffer control. On the other hand, the data of the transmission lines for the "+" 308 and the "-" 309 is a third buffer composed of buffers 551 to 554 by a second buffer controller 326 composed of counters 541 and 542. The buffer 333 stores six bits of " + " and "-" data, and these two six-bit data, i.e., 12-bit data, are used as the address of the ROM 561 in the PC86 decoder 336 and transmitted. 8-bit binary parallel data is reproduced and output from the ROM 561 (see Fig. 7).

이 2진 병렬 데이타는 일단 버퍼(555)로 구성된 제4버퍼(332)에 저장된 후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동기루프(316)에 의해 생성된, 수신된 1,544Kbps 클럭에 동기된, 2,048Kbps 클럭에 의해 본래의 2,048Kbps 직렬 2진 데이타로 환원된다.This binary parallel data is stored in a fourth buffer 332 consisting of a buffer 555 and then synchronized with the received 1,544 Kbps clock, generated by the phase-locked loop 316 as shown in FIG. The original 2,048 Kbps serial binary data is reduced by the 2,048 Kbps clock.

제5도에서 1CLK은 클럭복구 및 프레임 동기부(321)에 입력된 1,544Kbps 데이타로 부터 재생된 1,544Kbps 클럭이며 2CLK은 제2위상동기루프(316)에 의해 생성되는 1,544Kbps에 동기된 2,048Kbps 클럭이다.In FIG. 5, 1CLK is a 1,544 Kbps clock reproduced from the 1,544 Kbps data inputted to the clock recovery and frame synchronizer 321, and 2CLK is 2,048 Kbps synchronized to the 1,544 Kbps generated by the second phase-locked loop 316. It is a clock.

상기 수신장치 중에서도 제2위상동기루프(316)와 클럭복구 및 프레임동기부(321) 및 바이폴라 리시버(341)는 일반적인 전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회로들이 그대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다.Among the receivers, the second phase synchronization loop 316, the clock recovery and the frame synchronization unit 321, and the bipolar receiver 341 are no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general circuits used in a general transmission system may be used as they are. Do not.

상기 송수신기의 데이타 송수신에서 송신 복극성 펄스의 극성이 수신측에 그대로 전달되어야 하며 이는 복극성 송신기와 수신기를 연결하는 2선 전송선로의 연결방향에 따라 완전히 반전될 수 있으나 송수신기 설치시에 한번만 이를 확인하게 되면 송수신기 연결방향을 다시 변경하지 않는 한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In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transceiver, the polarity of the transmit bipolar pulse should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as it is, which may be completely revers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two-wire transmission line connecting the bipolar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but it is checked only once when the transceiver is installed. This allows continuous use unless the transceiver connection direction is changed again.

이와 같은 송수신기 설치시의 극성확인을 위하여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부(310)에 시험스위치(801)를 별도로 두고 극성시험시 상기 스위치(801)를 작동시켜 송신하는 데이타를 모두 "1"상태로 하며 수신부(350)에서 이를 확인하는 방식을 사용한다.In order to check the polarity when the transceiver is installed, a test switch 801 is separately placed on the transmitter 310 as shown in FIG. 8, and the data transmitted by operating the switch 801 during the polarity test is “1”. State and the receiving unit 350 checks this.

즉, 상기 수신부(350)에서 수신된 최종 데이타를 인버터(805)로 반전시켜 이를 앤드게이트(806)로 통과시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807)에 인가하며 이때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807)의 출력이 "1"이 될 경우 이를 발광 다이오드(808)를 사용하여 외부로 표시하여 수신기의 선로 연결방향을 반대로 결선하도록 한다.That is, the final data received by the receiver 350 is inverted by the inverter 805 and passed to the AND gate 806 to be applied to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807, where the output of the multivibrator 807 is " If it is 1 ", it is displayed to the outside using the light emitting diode 808 so as to reverse the lin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receiv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C86 부호를 사용하여 유럽방식의 2,048Kbps 데이타를 국내에서 사용하는 기존의 T1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B채널 정보량으로 64Kbps를 확보할 수 있고 기존 전송시스템의 전송 능력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전송에러검출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2,048Kbps data of the European method to the existing T1 system used in Korea by using the PC86 code, thereby securing 64Kbps with the amount of B channel information and increasing the transmission capability of the existing transmission system. It has the advantage to make transmission error detection possible.

Claims (5)

전송속도가 2048Kbps인 유럽식 1차 다중전송장치와 전송속도가 1544Kbps인 북미식 1차 중계전송 시스템(T1 시스템)간의 다중전송 정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럽식 1차 다중전송장치로 부터 전송되는 2048Kbps의 직렬 8비트 2진 데이타를 PC86 부호를 사용하여 1536Kbps의 병렬 6비트3진 데이타로 변환시킨 후 8Kbps의 프레임 데이타를 삽입하여 1544Kbps의 복극성 데이타를 생성시키는 PC86 부호화 단계와, 상기 북미식 1차 중계전송 시스템으로 부터 수신한 1544Kbps의 복극성 6비트3진 데이타를 8비트 2진 데이타로 재생하고 상기 프레임 데이타를 동시시킨 후 2048Kbps의 직렬 데이타로 변환시키는 PC86 복호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미와 유럽의 1차 다중전송 정합방법.In the multi-transfer matching method between a European primary multi-transmitter having a transmission rate of 2048 Kbps and a North American primary relay transmission system (T1 system) having a transmission rate of 1544 Kbps, a serial 2048 Kbps transmitted from the European primary multi-transmitter PC86 encoding step of converting 8-bit binary data into 1536Kbps parallel 6-bit ternary data using PC86 code, inserting 8Kbps frame data to generate 1544Kbps bipolar data, and the North American primary relay transmission. North America and Europe, comprising: a PC86 decoding step of reproducing 1544 Kbps bipolar 6-bit ternary data received from the system as 8-bit binary data, and simultaneously converting the frame data into 2048 Kbps serial data. First Multiple Transmission Matching Method 제1항의 PC86 부호화 단계에 있어서, 8비트의 0과 1의 2진 데이타를 (-),0,(+)의3진 데이타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미와 유럽의 1차 다중전송 정합방법.In the PC86 encoding step of claim 1, the first multiplex transmission matching method in North America and Europe, which converts 8-bit 0 and 1 binary data into (-), 0, (+) ternary data. . 전송속도가 2048Kbps인 유럽식 1차 다중전송장치와 전송속도가 1544Kbps인 북미식 1차 중계전송 시스템간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정합장치에 있어서, 8비트 2진 데이타의 유럽식 1차 다중전송 신호를 6비트3진 데이타의 PC86 부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북미식 1차 중계전송 시스템에 전송하는 송신부(310)와, 상기 북미식 1차 중계전송 시스템으로 부터 전송된 6비트3진 데이타의 PC86 부호신호를 8비트 2진 데이타의 유럽식 1차 다중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유럽식 1차 다중전송장치에 전송하는 수신부(3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미와 유럽의 1차 다중 정합장치.A matching device that perfor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a European primary multiplexer having a transmission rate of 2048 Kbps and a North American primary relay transmission system having a transmission rate of 1544 Kbps, wherein the European primary multiplexed signal of 8-bit binary data is 6-bit. Transmitting unit 310 converts the ternary data into a PC86 coded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North American primary relay transmission system, and the PC86 code signal of 6-bit ternary data transmitted from the North American primary relay transmission system. A first multiple matching device in North America and Europe, comprising a receiver 350 converting a bit binary data into a European first multiplex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European first multiplex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10)는 상기 유럽식 1차 다중전송장치로 부터 입력된 2048Kbps 클럭에 동기되어 1544Kbps 클럭을 발생시키는 제1위상동기루프(315)와, 상기 유럽식 1차 다중전송장치로 부터 2048Kbps의 전송속도로 입력되는 데이타를 8비트 2진 병렬 데이타 단위로 저장하는 제1버퍼(330)와, 상기 제1버퍼(330)에서 출력되는 상기 8비트 2진 병렬 데이타를 6비트3진 데이타로 변환시키는 PC86 엔코더(335)와, 2048Kbps와 1544Kbps의 위상차로 인하여 발생되는 상기 PC86 엔코더(335)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제1버퍼 컨트롤러(325)와, 상기 PC86 엔코더(335)에서 출력되는 상기 6비트3진 병렬 데이타를 (+) 극성 및 (-) 극성의 직렬 데이타로 변환하여 각각 전송선로(309),(309)를 통하여 전송하는 제2버퍼(331)와, 상기 제1위상동기루프(315)의 출력에 의해 소정의 시간마다 프레임 비트를 생성하여 전송되는 데이타 내에 삽입하는 프레임 카운터(320) 및 프레임 제너레이터(232)와, 상기 제2버퍼(331)의 출력에 의하여 다음에 송신할 데이타의 디스페리티가 정모드인지 부모드인지를 판별하여 상기 PC86 엔코더(335)를 제어하는 디스페리티 카운터(322)와, 상기 제2버퍼(331)의 출력을 상기 북미식 1차 중계전송 시스템에 전송하는 복극성 송신기인 바이폴라 드라이버(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미와 유럽의 1차 다중전송 정합장치.4. The first phase synchronizer loop 315 for generating a 1544 Kbps clock in synchronization with a 2048 Kbps clock inputted from the European primary multiplexer, and the European primary multiplexer. A first buffer 330 for storing data input at a transmission rate of 2048 Kbps from an 8-bit binary parallel data unit, and 6-bit 3 for the 8-bit binary parallel data output from the first buffer 330. PC86 encoder 335 for converting the binary data, the first buffer controller 325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PC86 encoder 335 caused by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2048Kbps and 1544Kbps, and is output from the PC86 encoder 335 A second buffer 331 for converting the 6-bit ternary parallel data into serial data having a positive polarity and a negative polarity, and transmitting the same through the transmission lines 309 and 309, respectively; Frame bits every predetermined time by the output of the loop 315 The output of the frame counter 320 and the frame generator 232 and the second buffer 331 which are generated and inserted into the transmitted data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buffer 331 determine whether the disparity of the next data to be transmitted is in the normal mode or the parent mode. Disparity counter 322 for controlling the PC86 encoder 335 and a bipolar driver 340 which is a bipolar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output of the second buffer 331 to the North American primary relay transmission system. First multiplex transmission matching device in North America and Euro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350)는 상기 북미식 1차 중계전송 시스템으로 부터 입력된 1544Kbps의 복극성 6비트3진 데이타 신호를 (+) 극성 데이타와 (-) 극성 데이타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바이폴라 리시버(341)와, 상기 바이폴라 리시버(341)의 출력을 받아들여 수신된 데이타의 클럭를 복구하고 프레임 비트를 동기시키는 클럭회복 및 프레임 동기부(321)와, 상기 클럭회복 및 프레임 동기부(321)의 출력신호를 (+) 극성 및 (-) 극성 별로 저장하는 제3 버퍼(333)와, 상기 제3 버퍼(333)의 두가지 출력을 8비트 2진 병렬 데이타로 재생하는 PC86 디코더(336)와, 상기 PC86 디코더(336)의 출력을 2048Kbps의 직렬 데이타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제4버퍼(332)와, 상기 클럭복구 및 프레임 동기부(321)에 의해 동기되어 상기 제3 버퍼(333)와 상기 제4버퍼(332)를 제어하는 제2버퍼 컨트롤러(326)와, 상기 클럭회복 및 프레임 동기부(321)에서 발생되는 1544Kbps 클럭에 동기되어 2048Kbps 클럭를 발생시키는 제2위상동기루프(3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미와 유럽의 1차 다중전송 정합장치.4. The receiver of claim 3, wherein the receiver 350 separates the 1544 Kbps bipolar 6-bit ternary data signal inputted from the North American primary relay transmission system into (+) polarity data and (-) polarity data. A bipolar receiver 341, a clock recovery and frame synchronizer 321 which receives an output of the bipolar receiver 341, recovers a clock of received data, and synchronizes frame bits, and the clock recovery and frame synchronizer ( A third buffer 333 for storing the output signal of 321 for each of (+) polarity and (-) polarity; and a PC86 decoder 336 for reproducing two outputs of the third buffer 333 as 8-bit binary parallel data. ), A fourth buffer 332 for converting and storing the output of the PC86 decoder 336 into 2048 Kbps serial data, and the third buffer 333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lock recovery and frame synchronizer 321. And a second buffer controller 326 for controlling the fourth buffer 332. And a second phase synchronizer loop 316 for generating a 2048 Kbps clock in synchronization with the 1544 Kbps clock generated by the clock recovery and frame synchronizer 321. .
KR1019880009545A 1988-07-28 1988-07-28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converted by line transmission code system KR9100077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9545A KR910007711B1 (en) 1988-07-28 1988-07-28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converted by line transmission cod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9545A KR910007711B1 (en) 1988-07-28 1988-07-28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converted by line transmission cod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590A KR900002590A (en) 1990-02-28
KR910007711B1 true KR910007711B1 (en) 1991-09-30

Family

ID=1927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545A KR910007711B1 (en) 1988-07-28 1988-07-28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converted by line transmission cod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7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804B1 (en) * 1997-12-22 2001-03-02 채수찬 One-point Multipoint Connection Method in Two-Wire Home Networks for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Networks
KR20010017252A (en) * 1999-08-09 2001-03-05 이승엽 Transmitting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tting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590A (en) 199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3900E (en) Error monitoring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US3982077A (en) Asynchronous multiplexer and demultiplexer combination
US4397020A (en) Error monitoring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US48130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and real-time digitalized voice information over a communications channel
CA1289249C (en) Parallel transmission system
US4245340A (en) Data link for digital channel bank systems
US4792800A (en) Local communication system among ISDN terminal equipments
US4520480A (en) Digital transmission system
EP0216456A2 (en) Multiplex structure
EP0050414A1 (en) A digital signal subscriber loop and interface circuit
JPS62133839A (en) Interface apparatus
US4053715A (en) Stuffing channel unit for telephone pcm system
US4759009A (en) Remote digital carrier alarm and terminal by-pass system
US4862480A (en) Digital data service system
US4849995A (en) Digital signal transmission system having frame synchronization operation
US3953673A (en) Digital data signalling systems and apparatus therefor
US4387466A (en) Half-duplex digital transmission system
US4454383A (en) Asynchronous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circuitry
US4551830A (en) Apparatus for providing loopback of signals where the signals being looped back have an overhead data format which is incompatible with a high speed intermediate carrier overhead format
KR9100077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converted by line transmission code system
CA1045731A (en) Submultiplex transmission of alarm status signals for a time division multiplex system
AU659380B2 (en) System for encoding data presented with a first coding device and for decoding encoded data with a second coding device, and coding device for use in the system
JPH0473899B2 (en)
GB1382324A (en) Digital voice interpolation system for pcm systems
EP0279503A2 (en) Time division multiplexed signal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