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395Y1 - 방현거울의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방현거울의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395Y1
KR900009395Y1 KR2019870023039U KR870023039U KR900009395Y1 KR 900009395 Y1 KR900009395 Y1 KR 900009395Y1 KR 2019870023039 U KR2019870023039 U KR 2019870023039U KR 870023039 U KR870023039 U KR 870023039U KR 900009395 Y1 KR900009395 Y1 KR 900009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output
driv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3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072U (ko
Inventor
유상철
이용근
심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3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9395Y1/ko
Publication of KR8900130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0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3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72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guest-host inter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 B60R1/088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using a cell of electrically changeable optical characteristic, e.g. liquid-crystal or electrochromic 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현거울의 구동회로
제 1 도 는 본 고안을 포함하여 구성된 방현거울 구동회로의 블록도.
제 2 도 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W1,SW2:스위치 R1-R4: 저항
JP1,JP2: 점프 와이어 OP1:연산증폭기
FF : 플립플롭
본 고안은 방현거울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지티브형 액정과 네거티브형 액정의 방현거울을 겸용으로 구동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방현거울은 차량의 백미러에 적용하여 운전자가 외부광에 의해 현혹됨을 방지하는 거울이다.
이러한 방현 거울은 포지티브(Positive)형 네마틱 액정을 사용한 것과, 네거티브(Negative)형 네마틱 액정을 사용한 것으로 대별된다.
종래, 방현거울 구동회로는 상기 두가지의 액정판넬형에 따라 별개로 설계되어 있어서, 이에 적절한 PCB를 별도로 제작해야 함과 아울러 액정 판넬형이 교체됨에 따라 이에 적절한 구동회로를 교체해야 되는 불편한 점이 있다.
이와같이, 방현거울의 액정판넬형에 따라 구동회로가 교체되기 때문에 교체하지 않고서도 상기 두가지 액정판넬형의 방현 거울을 구동할 수 있는 회로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어느 액정판넬형의 방현겅울이라도 간단한 조작으로 구동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량을 감지하여 방현거울의 반사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현거울의 구동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음은 점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용공고 90-9395]
제 1 도는 본 고안을 포함하여 구성된 방현거울 구동회로의 블록도로서, 본 고안은 판넬상태 결정부(30)와 액정판넬형 결정부(40) 및 출력부(50)로 구성되어 있고, 광량검출부(10)와 구동여부 결정부(20) 및 발진부(60)는 방현거울의 구동회로에서 구성되는 통상적인 회로로서 액정판넬(70)을 구동한다.
제 1 도에서, 광량검출부(10)는 액정판넬(70)이 장착된 방현거울의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수광센서(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 광량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검출하는 회로이고, 구동여부 결정부(20)는 상기 광량검출부(10)의 출력과 내부의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방현거울의 액정판넬을 구동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회로이며, 판넬상태 결정부(30)는 액정판넬의 구동을 상기의 광량검출부(10)에서 출력되는 신호로 제어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결정된 신호로 제어하는 회로이다.
그리고, 액정판넬형 결정부(40)는 상기의 판넬상태 결정부(30)에서의 출력을 입력하여 점프 와이어의 접속 및 단락상태에 따라 포지티브형 또는 네거티브형 액정 판넬에 맞는 신호를 다음에 설명하는 출력부(50)로 공급하는 회로이고, 출력부(50)는 발진부(60)의 발진신호로 동기되고 상기의 액정판넬형 결정부(40)의 출력으로 제어되어서 액정판넬(70)의 세그먼트단자와 콤먼단자로 제공되는 AC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상기 AC구동신호에 의해 방현거울의 액정판넬(70)이 동작되는데, 검출된 광량에 대응하는 전압이 기준전압과 비교되어 출력된 신호 또는 수동으로 결정된 신호에 의해서 방현거울의 반사율을 저하 또는 복원시킨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상세 회로도로서, 단자 T1은 제1도의 구동여부결정부(20)에서 출력되는 광량검출에 대응하는 액정판넬 구동신호가 인가되고, 단자 T2에는 수동으로 결정된 액정판넬 구동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두 단자 T1과 T2를 통해 입력된 액정판넬 구동신호는 스위치 SW1에 인가되고, 스위치 SW1과 접속된 스위치 SW2의 스위치 상태에 따라 광량검출의 액정판넬 구동신호 또는 수동의 액정판넬 구동신호가 선택된다.
상기 스위치 SW1과 SW2로 구성된 판넬상태 결정부(30)에서 출력되는 액정판넬 구동신호는 비교용 연산증폭기 OP1의 반저단자에 제공됨과 아울러 점프와이어 JP1를 통해 플립플롭 FF의 제어단자에 제공되고, 상기 연산증폭기 OP1의 비반전단자에는 저항 R1과 R2에 의해 분압된 기준신호가 인가되며, 연산증폭기 OP1의 출력신호는 점프와이어 JP2를 통해 플립플롭 FF의 제어단자에 제공되도록 연결한다.
상기 연산증폭기 OP1및 점프와이어 JP1과 JP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액정판넬형 결정부(40)의 출력으로 제어되는 플립플롭 FF는 발진부(60)의 발진신호로 동기되고, 발진신호는 단지 T3를 통해 입력되며, 플립플롭 FF의 두 출력단 Q,에서는 각각 액정판넬(70)의 세그먼트단자와 콤먼단자에 제공되는 AC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콤먼단자로 제공되는 신호는 플립플롭 FF의 입력단 D로 궤환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판넬상태 결정부(30)에서는 스위치 SW1과 SW2의 스위칭에 따라 광량검출의 액정판넬 구동신호, 또는 수동의 액정판넬 구동신호가 선택되어 출력한다.
상기 액정판넬 구동신호는 연산증폭기 OP1에 입력되어 기준신호와 비교되는데, 액정판넬이 포지티브형일 때 점프와이어 JP를 단선시키기 때문에 상기 비교기용 연산증폭기 OP1의 출력이 점프와이어 JP2를 통해 플립플롭 FF의 제어단자에 제공된다.
이때, 플립플롭 FF의 제어단자에 제공되는 신호가 로우레벨일 때에는 세그먼트단자와 콤먼단자에서 서로 반전된 위상을 갖는 신호가 출력된다.
만일, 포지티브형 액정판넬 구동시 플립플롭 FF의 제어단자에 논리 "0"신호가 입력되면 액정판넬이 온되고, 그러나 논리 "1"신호가 입력되면 액정판넬이 오프된다.
상기 포지티브형 액정판넬은 평상시 판넬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반사율이 낮은 상태 즉, 어두운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액정판넬이 네가티브형일 때에는 점프와이어 JP2를 단선시키기 때문에 판넬상태 결정부(30)에서 출력된 액정판넬 구동신호가 직접 점프와이어 JP1을 통해 플립플롭 FF의 제어단자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어단자에 논리 "0"신호가 입력될 때 액정판넬이 오프되고, 논리 "1"신호가 입력될 때에는 액정 판넬이 온된다.
상기 네거티브형 액정판넬은 평상시 판넬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반사율이 높은상태 즉, 밝은상태를 유지한다.
이와같이 상기의 점프와이어의 단락에 따라 포지티브형 및 네거티브형의 액정판넬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포지티브형 및 네가티브형 액정판넬을 점프와이어의 단락에 따라 모두 구동할 수 있어서 액정판넬형에 따른 구동회로를 간단한 조작으로 교체하지 않고서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광량 검출부(10), 구동부 결정부(20) 및 발진부(60)를 구비하여 액정판넥(70)의 세그먼트단자 및 콤먼단자에 AC구동신호를 제공하는 방현거울의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구동여부 결정부(20)에서 출력된 광량검출의 액정판넬구동 신호와 수동의 액정판넬 구동신호를 스위치 SW1과 SW2에 의해 선택해서 출력하는 판넬상태 결정부(30)와,상기 판넬상태 결정부(30)에서 출력된 액정판넬 구동신호는 저항 R1과 R2에 의해 분압된 기준신호와 연산증폭기 OP1에서 비교되어서 포지티브형의 액정판넬 구동시에는 연산증폭기의 출력이 점프와이어 JP2를 통해 출력되고 또한 네거티브형의 액정판넬 구동시에는 상기의 액정판넬 구동신호가 점프와이어 JP1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 액정판넬형 결정부(40)와, 상기 액정판넬형 결정부(40)의 출력으로 제어되고 발진부(60)의 출력으로 동기되어서 액정판넬(70)의 세그먼트 및 콤먼단자를 구동하는 출력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방현거울의 구동회로.
KR2019870023039U 1987-12-24 1987-12-24 방현거울의 구동회로 KR900009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039U KR900009395Y1 (ko) 1987-12-24 1987-12-24 방현거울의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039U KR900009395Y1 (ko) 1987-12-24 1987-12-24 방현거울의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072U KR890013072U (ko) 1989-08-08
KR900009395Y1 true KR900009395Y1 (ko) 1990-10-10

Family

ID=1927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3039U KR900009395Y1 (ko) 1987-12-24 1987-12-24 방현거울의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93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072U (ko) 198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9827A (en) Detection of manipulation of position apparatus for dazzle-free mirror
US6089721A (en) Digital electrochromic mirror system
US5530240A (en) Display for automatic rearview mirror
US4669826A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direction of light for dazzle-free mirrors
EP0280278A2 (en) Light-reflectivity controller for use with automotive rearview mirror using electrochromic element
JPH0825410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900009395Y1 (ko) 방현거울의 구동회로
US5512812A (en) Vehicle generator control device
US6364495B1 (en) Back mirror comprising automatic glare-proof function
US6868321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the method thereof
JP3620695B2 (ja) 車両用防眩ミラー装置
JP3764966B2 (ja) 太陽電池付電子機器
KR910002233Y1 (ko) 자동차엔진의 버튼식 시동장치
KR950002415B1 (ko) 자동판매기의 전등 점멸회로
JPS62297821A (ja) 自動防眩ミラ−の制御方法
JPH07307198A (ja) ランプ駆動装置
JP3695142B2 (ja) 電子式タイムスイッチ
KR910000018Y1 (ko) 릴레이를 이용한 액정후시경 구동회로의 소비 전력 절약회로
KR920008256Y1 (ko) 역광보정모드 자동선택회로
JPH0419526Y2 (ko)
JPH08301162A (ja) 自転車の前照灯装置
JP2603565B2 (ja) エンジン発電機のエンジン冷却用電動ポンプの給電回路
JPH0531628Y2 (ko)
JPS60219136A (ja) 車両用防眩型反射鏡駆動装置
JPS61156029A (ja) 車両用防眩型反射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