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340Y1 -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340Y1
KR900008340Y1 KR2019870009822U KR870009822U KR900008340Y1 KR 900008340 Y1 KR900008340 Y1 KR 900008340Y1 KR 2019870009822 U KR2019870009822 U KR 2019870009822U KR 870009822 U KR870009822 U KR 870009822U KR 900008340 Y1 KR900008340 Y1 KR 9000083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cylinder
piston
air passage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9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께시 가네자시
도루 간베
Original Assignee
산덴 가부시끼가이샤
우시구보 모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6367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70890U/ja
Priority claimed from JP117072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31323U/ja
Priority claimed from JP130531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45039U/ja
Application filed by 산덴 가부시끼가이샤, 우시구보 모리지 filed Critical 산덴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3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3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09Loose coffee being employed
    • A47J31/3614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혼합장치
제 1 도는 기본원리와 혼합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종래의 혼합장치에 대한 구성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대한 주요부분의 구성단면도.
제 2b 도는 제 2 도에서 (S)부분의 확대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장치의 구성도.
제 4 도는 혼합장치의 주요부분에 대한 구성단면도.
제 5 도는 혼합장치의 주요부분에 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실린더
3 : 휠터부 4 : 피스톤
5 : 캠부 6 : 모터
7 : 관 8 : 물탱크
9 : 전자밸브 10 : 혼합구
11 : 커피호퍼 11a : 나팔관
12 : 커피통 12a : 퇴출홈
13 : 배출관 14 : 컵
15 : 밀봉부 15a : 립부
21 : 실린더 22 : 로드
23 : 그물망 24 : 피스톤
24a : 밀봉부 25 : 로드
26 : 혼합구 27 : 휠터부
28 : 배출구 29 : 배출관
30 : 호퍼 31 : 온수공급관
32 : 온수공급탱크 33 : 전자밸브
34 : 2차온수공급관 35 : 2차전자밸브
40 : 공기통로장치 41 : 공기통로
41a : 상부확대직경부 41b : 하부협소직경부
41c : 요홈부 42 : 공기방출장치
421 : 밸브공정구 421a : 요홈부
421b : 개구부 422 : 코일스프링
423 : 볼밸브 50 : 깔대기
본 고안은 음료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에 영향을 미치게 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분말커피를 담아 한컵정도 양의 뜨거운 커피 혹은 그와같은 음료를 신속히 혼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한 컵을 혼합하는 음료혼합장치는 종래 기술에서 이미 알려져 있다. 예로써 윌리엄하이어(William Heier)의 미국 특허번호 3,349,690에는 혼합장치의 기본 구성이 발표되어 있다. 제 1 도를 참조하여 이러한 장치의 기본구조와 혼합공정이 설명되어 진다.
장치의 프레임(1)은 바닥개구부가 휠터부(3)에 의하여 덮어진 바닥이 개방된 실린더(2)에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피스톤(4)은 실린더(2)내에 위치하게 되고, 실린더(2)와 피스톤(4)이 함께 상대적인 작동은 모터(6)에 의해 구동되는 캠부재(5)의 동작으로 결정된다. 전자밸브(9)를 통하여 물탱크(8)로 연결된 관(7)의 개방된 한쪽끝은 실린더(2)속으로 뜨거운 물을 공급하기위한 실린더(2)의 개방된 상부에 밀착하여 위치하고 있다. 정지위치(A)와 혼합위치(D)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된 혼합부(10)는 실린더(2) 아래에 위치하고 있고, 혼합위치(D)에서 실린더(2)의 하부와 함께 밀봉되어져 있다.
이러한 장치는 또한 커피호퍼(11)를 함께 형성하고 있는데, 이 커피호퍼(11)는 커피통(12)의 퇴출홈(12a)으로부터 부과되는 커피를 받기 위하여 외부에 나판관을 형성하고 있다. 분말커피는 커피통(12)내에 채워져있는데, 커피통(12)은 혼합되어 짜내는 작동이 시작되기에 앞서 호퍼(11)속으로 새로운 분말커피의 정해진 양을 송달하기 위해 적절한 전달장치가 함께 형성되어 있다.
작동에 있어서, 예로써 코인으로 작동되는 스위치에 의하여 시작되는 혼합고정의 출발에서 혼합구(10)는 정지위치(A)로부터 혼합위치(D)를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되어, 실린더의 개방된 바닥부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수평으로 움직이는 동안, 분말커피는 커피호퍼(11)를 통하여 혼합부(10)속으로 공급된다. (이 위치는 제 1 도에서 "C"로써 표시되어진다). 혼합부(10)가 실린더(2)의 아래에 완전하게 일치되어지면, 캠부(5)의 진동으로 인하여 실린더(2)는 혼합부(10)와 밀착되어 맞물리기 위해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이런 형태의 혼합실은 관(7)을 통하여 공급되는 뜨거운 물로 채워지고, 이어서 피스톤(4)이 혼합부(10) 내의 분말커피가 휠터부(3)를 통하여 물을 밀어내기 위해 아래쪽으로 움직임으로써 투여부에 위치한 컵(14)으로 배출관(13)을 통하여 전달된다. 그 후에 혼합부(10)는 그의 정지위치(A)에서 소비된 분말커피를 받아 담을 수 있도록 이동하는데, 혼합부(10)내의 찌꺼기는 정지위치(A)에 도달하기 전에 위치인 분말제거 위치에서 버려진다(이 위치는 제 1 도에서 "B"로 표시되어 있다). 혼합부(10)가 그의 정지위치 되돌아 올때, 한 혼합공정이 완결되는 것이다.
혼합공정에서, 혼합부(10)내에서 음료가 혼합되어 짜내어지는 시간을 혼합된 음료의 장점에 영향을 주는데, 예를 들어 음료재료의 짜내는 효과를 혼합하여 짜내는 시간에 달려 있다. 따라서 짜내는 효과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몇가지 개량된 아이디어가 제안되어져 있는데, 한 혼합공정의 시간이 연장되는 것이나 또는 피스톤의 작동이 혼합공정의 중간부위에서 잠시 멈춰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는 고객을 그들이 코인을 넣은 후 기다려야 하는 것을 원치는 않는다.
첨부에서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15)는 피스톤(4)의 외부를 둘레면과 실린더(2)의 내부면 사이에서 밀착되게 밀봉시키기 위하여 피스톤(4)의 외부둘레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혼합공정중에, 실린더(2)내에 채워진 뜨거운물(H)은 혼합부(10)속으로 분말커피(G)를 통과하여 쉽고 빠르게 지나간다. 그러나 만약 피스톤(4)이 아래쪽으로 빨리 이동하면, 실린더(2)와 피스톤(4)의 내부면사이에 한정된 실린더(2) 내부에서의 압력은 급속하게 증가하고, 또한 어떠한 문제가 발생된다. 실린더(2)의 내부표면과 일반적으로 접촉되는 밀봉부(15)의 립부(15a)는 고압력으로 펼쳐지고, 또한 실린더(2)의 내부면에 대하여 강하여 밀어넣을 수 있다. 립부(15a)의 변형이 제 2(b) 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2)에 대해서 밀봉부(15)의 마찰력이 발생되고, 마침내 밀봉부(15)가 손상되어진다. 또한 큰 하중이 밀봉부(15)를 통하여 피스톤(4)에 가하여지고, 결국 구동모터(6)의 작동에 영향을 준다.
본 공안의 우선 목적은 구조에서 간단하고 혼합작동이 개선된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다른 혼합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의해 저지되어 있는 수직운동하는 실린더와 열린 상부와 열린하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혼합공정 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음료추출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이다.
본 고안에 따른 혼합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의해 저지되어 있는 수직운동하는 실린더와, 열린 상부와 열린하부를 포함한다.
피스톤은 실린더에서 왕복운동하게 놓여 있다. 혼합액체를 실린더와 열린상부로 공급할 수 있게 놓여있는 방출구를 포함하는 혼합액체 공급장치는 혼합액체가 쏟아지는 액체가열 탱크에 연결되어 있다.
혼합부는 혼합위치와 대기위치 사이에 수평왕복 운동하도록 실린더 아래에 놓이고, 혼합위치에 놓였을 때 혼합실(chamber)을 형성하도록 실린더의 열린하부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루물질은 혼합부가 가루물질 공급위치에 놓일 때 가루물질 공급장치를 통해 혼합부 속으로 공급되어 진다.
두번째 액체 공급장치는 혼합부가 가루물질 공급위치에 놓일 때, 계획된 액체의 양을 혼합부로 혼합부로 방출하기 위해 설치된 액체 방출구를 포함한다.
본 고안장치에는 또, 실린더 내부의 공기를 방출하기 위한 공기 방출장치가 있는 피스톤이 있다. 따라서, 혼합작동을 아무런 문제점이 없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과 장치는 첨부된 도면설명에서 잘 나타나게 될 것이다.
제 3 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혼합장치는 특히 혼합작동을 위한 주요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장치(20)는 개방된 상부와 바닥부를 구성하고 한쌍의 로드(22)로 연결된 프레임에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된 실린더(21)를 포함하고 있다. 그물망(mesh screen member)(23)은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린더(21)의 개방된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24)은 로드(25)에 연결된 프레임에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또한 실린더(21)내에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밀봉부(24a)는 실린더(21)의 내부면과 피스톤의 외부둘레면 사이에서 밀봉을 한정시키기 위하여 피스톤(24)의 외부원형둘레에 설치되어 있다. 혼합부(brewing cavity)(26)는 제 1 도를 참조하여 언급한 바와 같이, 혼합상태(D)와 정지상태(A)의 고정에서 작동될 수 있게 실린더(21) 아래에서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휠터부(27)는 혼합부(26)의 개방된 바닥을 통하여 분말물질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말공급위치(C)와 혼합위치(D)공정에서 작용하도록 혼합부(26)아래에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배출구(28)은 실린더(21)와 일치하여 일직선으로 된 축으로 바로 아래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 배출구(28)는 컵이 혼합공정의 개시전에 위치되어진 분배위치를 향해 전달유도를 위해서 연결된 배출관이 함께 형성되어 있다. 만약 배출구(28)가 배열 위치에 형성된 컵(51)의 윗부분으로 직접 열려있다면, 혼합부(26)를 통하여 지나는 압축된 공기가 배출구(28)의 개방된 바닥부를 통하여 퍼지게 된다. 다라서 혼합액체의 낙하는 압축된 공기에 의하여 튀게되고, 컵(51)을 구성하여 위치시키는 내부를 더럽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깔대기(funnel) (50)는 뛰는 것을 모으기위해 배출구(28) 아래에 위치되어지고 또한 컵(51)으로 안내한다.
호퍼(30)의 개방된 한쪽끝은 혼합부(26)속으로 분말커피(G)의 일정한 공급하기 위하여 분말공급위치(C)에 배치된 혼합부(26)에 윗부분에서 가늘게 개방되어 있다. 분말커피의 정해진 양은 분말커피로 재워진 통(도시되어 있지 않음)내의 공급장치의 작동으로 조절된다. 물공급관(31)은 실린더(21)속으로 온수의 필요한 양을 공급하기 위하여 실린더(21) 위에서 가늘게 배치되어 온수공급탱크(32)로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21)속으로 온수공급을 위한 시간과 양을 전자밸브(33)에 의하여 조절되어진다. 두버내 물공급관(34)이 혼합부(26)속으로 온수의 일정한 양을 공급하고 호퍼(30)의 한끝과 함께 나란하게 위치시키기 위하여 혼합부(26)위에서 역시 가늘게 위치되어져 온수공급탱크(32)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혼합부(26)속으로 온수공급시간과 공급양은 두번째 전자밸브(35)에 의하여 조절된다.
근본적인 순환은 정지위치(A)로부터 움직여진 혼합부(26)속으로 호퍼(30)를 통하여 분말커피(G)의 정해진 양이 유입되어 진다. 이때 뜨거운 물의 정해진 양이 또한 두번째 온수공급판(34)을 통하여 혼합부(26)속으로 공급되어 진다. 온수의 양은 공급된 분말커피를 다만 축축하게 하기 위하여 한정되는 것이고 혼합부(26)의 개방된 바닥부로 물이 스며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점에서의 온수는 분말 커피를 연하게 하는 기능에 불과한 것이다.
온수와 분말커피가 혼합부(26)속으로 공급되어진 후, 혼합부(26)는 실린더(21) 아래로 이동한다. 분말공급위치(C)로부터 혼합위치(D)까지의 위치를 지나는 동안 온수의 정해진 양은 온수 공급관(31)을 통하여 실린더(21)속으로 공급된다. 혼합부(26)가 혼합위치(D)에 위치할 경우, 실린더(21)은 아래쪽으로 움직여 혼합부(26)의 개방된 상부와 연결되고, 이때 피스톤(24)이 아래쪽으로 움직인다. 피스톤(24)이 아래쪽으로 움직일때, 밀봉부(24a)는 실린더(21)내에 밀봉실을 한정시키기 위하여 실린더(21)의 내부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피스톤(24)의 아래쪽으로 이동은 그물망(3)을 통하여 혼합부(26)쪽으로 밀어내기 위하여 온수에 압축력을 일으킨다. 밀려진 온수는 혼합부(26)내의 분말커피(G)를 통과하여 지나고, 커피를 짜낸다. 짜여진 커피는 배출구(28)를 통하여 배분부위에 위치된 컵으로 전달된다.
피스톤(24)이 바닥부에 도달했을 경우, 피스톤(24)가 실린더(21) 둘다는 혼합부(26)의 상단을 청결하게 하기 위해 짧은 거리동안 동시에 들어 올려진다. 그후에 혼합부(26)와 휠터부(27)는 분말제거 위치(B)를 지나 정지위치(A)에 배치되기 위해 제 3 도에서와 같은 위치로 동시에 움직인다. 휠터부(27)의 이동은 분말제거위치(B)에서 분말커피에 멈춰지도록 한정되어 있다. 혼합부(26)가 정지위치에 도달하였을 경우, 혼합작동의 한순환이 끝나는 것이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말커피는 짜는 작동에 앞서 뜨거운 물로써 적셔진다. 따라서 혼합하여 짜는 효과가 혼합하여 짜는 시간을 연장하지 않고 개량되어진 것이다.
실린더(21)내의 밀봉실 압력은 피스톤(24)이 아래로 움직임을 인하여 급작스럽게 증가한다. 따라서, 제 4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스톤(24)은 실린더(21)내에 밀봉실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방출시키기 위하여 공기통로장치(40)를 함께 형성하고 있다. 공기통로장치(40)는 피스톤(24)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공기통로(41)를 포함하고, 상부확대직경부(41a)와 하부협조직경부(41b), 그리고 공기방출장치(42)를 포함하고 있다.
공기방출장치(42)는 상부확대직경부(41a)의 상단 개구부에 나사못을 고정시킨 밸브리테이너(421)을 포함하고, 공기통로(41)의 확대직경부(41a)내에 배치된 코일스프링(422)을 포함하며, 협소 직경부(41b)의 개구부에 대하여 폐쇄될 수 있도록 위치한 볼밸브(423)를 포함하고 있다. 밸브리테이너(421)는 확대직경부(41a)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부(41c)속으로 나사못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나사부(421a)를 형성하고 있고, 또한 확대직경부(41a)와 피스톤(24)외부사이의 연결을 위해 개구부(421b)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422)은 협소직경부(41b)의 개구부에 대하여 폐쇄를 위해 볼밸브(423)를 밀어주기 위하여 볼밸브(423)와 밸브리테이너(421)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협소직경부(41b)내에서 압력이 있을 경우, 예를 들면, 실린더의 밀봉실내의 압력이 코일스프링(422)의 반동강도를 초과할 경우, 볼밸브(423)는 협소직경부(41b)의 개방부를 폐쇄시키도록 된 폐쇄위치로부터 개방된다. 따라서 밀봉실내의 압력은 균형을 이룰때까지 감소되고, 코일스프링(422)의 초과강도를 감소시킨다.
본 고안에 있어서, 밀봉실내의 압력은 1.51㎏/㎠를 유지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피스톤(24)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실린더내의 뜨거운 물로 인하여 발생되는 밀봉실내의 압력이 예정된 밸브를 초과할 경우, 밀봉실내의 압력은 공기통로장치(40)의 작동에 의하여 조절된다. 그러므로 밀봉실내에서 초과되는 압력으로 인한 어떠한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실시예에 관련되어 상세히 설명되어 있지만 이것은 단지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고안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내에서 다른 변형과 수정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숙련된 기술을 가진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혼합장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개방된 상부와 바닥부를 형성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실린더가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고, 실린더내에 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피스톤 및 실린더내에서 밀봉실을 형성하기 위하여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서 밀봉을 한정시키기 위한 피스톤의 외부둘레면 주위에 배치된 밀봉부를 포함하고, 혼합액체 공급장치가 실린더의 개방된 상단부에서 혼합액체의 방출을 위하여 방류할 수 있는 개방된 부위를 가지고 또한 액체 가열탱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혼합부는 혼합위치와 정지위치 사이에서 수평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혼합위치에 놓여졌을 경우, 실린더의 개방된 바닥부와 밀착되게 맞물리며, 이 혼합구가 재료 공급위치에 놓여질 경우, 분말재료 공급장치가 혼합부속으로 분말재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달할 수 있는 개방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포함하는 혼합장치에 있어서,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의 초과되는 압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린더의 내부로부터 압축공기를 방출하기 위한 공기 통로장치를 함께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장치.
  2. 공기통로장치는 피스톤을 관통하여 형성된 공기통로를 구성하고 있고, 이러한 공기통로의 개방과 폐쇄를 조절하기 위한 안전 밸브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에 의한 혼합장치.
KR2019870009822U 1984-04-16 1987-06-19 혼합장치 KR90000834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36784U JPS60170890U (ja) 1984-04-16 1984-04-16 飲料抽出装置
JP56367 1984-04-16
JP11707284U JPS6131323U (ja) 1984-07-30 1984-07-30 飲料抽出装置
JP13053184U JPS6145039U (ja) 1984-08-30 1984-08-30 飲料抽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340Y1 true KR900008340Y1 (ko) 1990-09-13

Family

ID=272958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4255U KR900008338Y1 (ko) 1984-04-16 1985-04-16 혼합장치
KR2019870009822U KR900008340Y1 (ko) 1984-04-16 1987-06-19 혼합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4255U KR900008338Y1 (ko) 1984-04-16 1985-04-16 혼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612850A (ko)
KR (2) KR900008338Y1 (ko)
GB (2) GB21620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1035A (en) * 1986-09-30 1988-01-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 Space Administration Infusion extractor
GB8810763D0 (en) * 1988-05-06 1988-06-08 Sankey Vending Ltd Apparatus for beverage brewing
US4984511A (en) * 1988-11-25 1991-01-15 Sanden Corporation Beverage brewing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s
JPH0327497A (ja) * 1989-06-23 1991-02-05 Sanden Corp 自動販売機の飲料抽出装置
DE59007858D1 (de) * 1990-02-20 1995-01-12 Wmf Wuerttemberg Metallwaren Kaffeemaschine.
US8352400B2 (en) 1991-12-23 2013-01-08 Hoffberg Steven M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and human-factored interface therefore
US10361802B1 (en) 1999-02-01 2019-07-23 Blanding Hovenweep, Llc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5312637A (en) * 1993-06-21 1994-05-17 Bunn-O-Matic Corporation One-cup brewer
US5911810A (en) * 1997-06-23 1999-06-15 Sanden Corp. Coffee brewing apparatus and method of brewing coffee by the apparatus
US5913963A (en) * 1998-06-01 1999-06-22 King; Alan M. Single cup brewer having special brew chamber
EP0978245A1 (en) * 1998-08-03 2000-02-09 Sanden Corporation Coffee brewing apparatus
US7904187B2 (en) 1999-02-01 2011-03-08 Hoffberg Steven M Internet appliance system and method
US7093530B2 (en) * 2003-10-09 2006-08-22 Applica Consumer Products, Inc. Coffeemaker pod carrier
US7093533B2 (en) * 2003-10-10 2006-08-22 Applica Consumer Products, Inc. Brewing apparatus hot water discharge head
US7024983B2 (en) * 2003-10-10 2006-04-11 Hp Intellectual Corp. Brewing apparatus hot water control
US6990891B2 (en) 2003-10-10 2006-01-31 Hp Intellectual Corp. Seal in a coffeemaker
US7017472B2 (en) * 2003-10-10 2006-03-28 Hp Intellectual Corp. Brewing apparatus water temperature control
US20050076784A1 (en) * 2003-10-10 2005-04-14 Hp Intellectual Corp. Brewing apparatus pod carrier and frothing attachment
US7983835B2 (en) 2004-11-03 2011-07-19 Lagassey Paul J Modula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US20100018407A1 (en) * 2008-07-25 2010-01-28 Tsung-Hsi Liu Thermostatic brewing mechanism with a structure for adjusting volume or concentration of a beverage obtained thereby
US20100272870A1 (en) * 2009-04-24 2010-10-28 Far East University Preparation method for caffeine control and device thereof
US20140069505A1 (en) * 2012-09-13 2014-03-13 Paul Leon Kageler Fluid deployment system for drilling and completion fluids
US10517420B2 (en) 2015-10-09 2019-12-31 Bunn-O-Matic Corporation Accelerated brew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N111838507B (zh) * 2020-07-27 2023-11-03 东芝家用电器制造(南海)有限公司 泡发装置及制冷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3058A (en) * 1961-10-31 1964-08-04 Jannin Pierre Eugene Automatic coffee-making machine
US3349690A (en) * 1964-10-15 1967-10-31 Melikian Inc Rudd Beverage brewing apparatus
CH641030A5 (de) * 1980-10-03 1984-02-15 Rost K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affee und kaffeemaschine zur ausfuehrung desselben.
IT1194662B (it) * 1980-06-11 1988-09-22 Giuseppe Stefano Pian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caffe' espresso,cappuccino,te',brodo o di altri infusi,azionata automaticamente,mediante un filtro a perdere,contenente una o piu' dosi di prodotti,introdotto a mo' di gettone
IT1142041B (it) * 1981-11-04 1986-10-08 Lucio Grossi Dispositivo per l'alimentazione dell'acqua e il filtraggio dell'infusioni di caffe' in macchine da caffe' particolarmente di tipo automati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12850A (en) 1986-09-23
GB2167653B (en) 1988-01-06
KR900008338Y1 (ko) 1990-09-13
GB8601505D0 (en) 1986-02-26
KR850010662U (ko) 1985-12-30
GB8509576D0 (en) 1985-05-22
GB2162051B (en) 1988-01-06
GB2167653A (en) 1986-06-04
GB2162051A (en) 1986-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340Y1 (ko) 혼합장치
CN104244779B (zh) 咖啡机及其操作方法
US8950318B2 (en) Brewer system with active brewing mechanism and buffer reservoir piston compression of brewing substance
US3583308A (en) Apparatus for heating and dispensing water for coffee makers
US2935011A (en) Beverage-making machine
US4912681A (en) System for creating a homogeneous admixture from liquid and relatively dry flowable material
US3364842A (en) Volumetric metering device for coffee machines
CN103848382A (zh) 用于给容器灌入灌装物的灌装机构
US4715270A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s
CN112137472B (zh) 一种出液量可调节的皂液机
US3890453A (en) Forming shaped potato pieces from potato dough
US48058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grinding bodies to a grinding area
US3662675A (en) Filtering device for preparing drinks
US4565304A (en) Dosing apparatus for viscous liquid foodstuff
US2443022A (en) Dispenser with follower and valved outlet
US4648313A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US4667586A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US3209797A (en) Juice dispensing apparatus
CA3153647A1 (en) Beverage extracting device
US1977292A (en) Milk dispensing device
KR20040022176A (ko) 액체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US3072042A (en) Coffee maker
US4669372A (en) Vending machine beverage brewing apparatus
KR101895050B1 (ko) 라면자판기의 스프공급장치
JP2721838B2 (ja) 液体材料の計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