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095B1 - Cassette tape charing case - Google Patents

Cassette tape charing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095B1
KR900008095B1 KR1019870000785A KR870000785A KR900008095B1 KR 900008095 B1 KR900008095 B1 KR 900008095B1 KR 1019870000785 A KR1019870000785 A KR 1019870000785A KR 870000785 A KR870000785 A KR 870000785A KR 900008095 B1 KR900008095 B1 KR 900008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drawer
base
cassette tape
tap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7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70007506A (en
Inventor
대빗 커어비 헌터 머레이
Original Assignee
징 인터내쇼날 리미티드
피터 디미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징 인터내쇼날 리미티드, 피터 디미트리 filed Critical 징 인터내쇼날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70007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5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0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23Containers for magazines or cassettes

Landscapes

  • Stackable Container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A sliding drawer (15) has a base with two side walls and a rear wall joining the side walls. A pair of gudies are provided inwardly of the upper marginal edge of the side walls to fit a removalbe lid with complementary guides to the container. A further pair of guides are provided on the underside of the base to facilitate stacking of containers by engagement of these guides with the guides on the upper marginal edge of the side walls of a like container after removal of the lid. Complementary snap locking lugs are provided on the underside of the base and on the upper marginal edge of the rear wall to releasably lock two engaged containers together. The snap locking lugs can be formed so that disengagement is prevented whilst the drawer of the uppermost container is in the closed position.

Description

적층식 카세트테이프 보관함Stacked Cassette Tape Storage Box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이 적층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acked.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의 베이스의 아랫면을 나타낸 저면도.Figure 2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underside of the base of the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제2도의 보관함 베이스의 윗면을 나타낸 정면도.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top of the storage base of FIG.

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낸 보관함에 끼워져 테이프를 보관하도록 된 서랍의 평면도.FIG. 4 is a plan view of a drawer adapted to store tapes in the box shown in FIG.

제5도는 제4도에 나타낸 서랍의 저면도.5 is a bottom view of the drawer shown in FIG.

제6도는 제4도의 6-6선에 따른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of FIG.

제7도는 제1도에 나타낸 보관함을 덥는 뚜껑의 저면도.7 is a bottom view of the lid covering the storage compartment shown in FIG.

제8도는 뚜껑의 평면도.8 is a plan view of the lid.

제9도는 제3도의 9-9선에 따른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9 of FIG.

제10도는 제3도의 10-10선에 따른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0-10 of FIG.

제11도는 제7도의 11-11선에 따른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1-11 of FIG.

제12도는 제7도의 12-12선에 따른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2-12 of FIG.

제13도는 제3도의 13-13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3-13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카세트테이프 보관함 12 : 베이스11: cassette tape storage box 12: base

13 : 측벽 14 : 뒷벽13: side wall 14: back wall

15 : 서랍 16 : 뚜겅15 drawer 16: cover

17 : 돌기 18 : 채널17: projection 18: channel

19 : 슬라이드 20 : 가이드19: Slide 20: Guide

21 : 슬라이드 22 : 스냅체결돌기21: Slide 22: snap fasteners

23 : 보조돌기 24 : 돌출아암23: auxiliary protrusion 24: protruding arm

25 : 트랙 26 : 체결 및 안내아암25: Track 26: fastening and guide arm

27 : 멈춤노치 28 : 귀환통로27: stop notch 28: return passage

29 : 경사부 30 : 스톱퍼29: inclined portion 30: stopper

31 : 블록 32 : 하우징31: block 32: housing

33 : 하우징 34 : 반구형 부재33 housing 34 hemispherical member

35 : 플랜지 36 : 탄성핀35 flange 36 elastic pin

37 : 앞쪽면 38 : 안내채널37: front side 38: guide channel

39 : 돌기 40 : 홈39: turning 40: groove

41 : 보강웨브41: reinforcing web

본 발명은 오디오(Audio)카세트테이프의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층의 서랍식으로된 카세트테이프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torage of audio cassette tapes, and more particularly, to stackable cassette tape storage boxes.

종래의 적층식 카세트테이프 보관함은 최소한 4부분 이상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가의 장비를 요하게 되고 이 결과 제품의 코스트가 올라가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테이프 보관함은 테이프를 보관하기에 적당하도록 얇은 직사각형의 상자로 되어서 이의 한쪽 모서리를 중심으로 하여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개폐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보관함은 아랫면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요홈에 다른 보관함의 윗면에 돌출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지도록 하므로서 보관함을 용이하게 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stacked cassette tape storage box has a complicated shape consisting of at least four parts, which requires expensive equipment, resulting in higher cost of the product. Such a conventional tape storage box is a thin rectangular box suitable for storing a tape, and is opened and closed using elasticity of a spring around one corner thereof, and this storage box has a groove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Th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torage box are inserted into the storage box so that the storage boxes can be easily stacked.

그런데 이러한 보관함에 있어서는 이웃하는 2개의 보관함의 아래윗면이 서로 접하도록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함을 놓을 장소가 안정되지 않으면 이들을 서로 체결시키기가 어렵게 된다.However, in such a storage box, since the lower and upper surfaces of two adjacent storage boxes ar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difficult to fasten them together if the place where the storage box is not stabilized.

즉, 서로 쌍여져 있는 보관함이 기울어지게 된다던가 떨어지게 되면 쌓여져 있는 보관함들이 서로 쉽게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f the paired storage boxes are tilted or dropped, the stacked storage stacks ar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각각의 보관함은 테이프를 직접 내장하여 보관함에 끼워지는 서랍과 함께 복잡한 상자모형으로 되어 있어서 보관함을 쌓을 때 각각의 보관함에 있는 서랍과 서랍 사이에 한쪽 보관함의 윗쪽벽과 다른쪽 보관함의 아랫쪽벽이 위치하게 되어 2개의 벽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재료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형상이 복잡하게 되고 제품의 값도 비싸게 되었던 것이다.In addition, each bin is a complex box model with drawers that fit directly into the bins with tapes built directly into them so that the top wall of one bin and the bottom wall of the other bin between the drawers and drawers in each bin when stacking the bins. Since the two walls are made to be located, not only the material is required but also the shape is complicated and the product is expensive.

또 이러한 보관함에 있어서는 다른 보관함의 윗쪽면에 돌출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지도록 하기 위해 보관함의 아랫쪽면에 길다란 요홈을 형성시키는 작업공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관함의 성형작업중에 이러한 요홈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성형 모울드와 함께 작용하게 되는 길고 좁으며 비교적 불안정한 형태의 핑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업이 정밀해야 함은 물론 금형자체도 정밀해야 하고 이에 따라 제조코스트가 상승되게 되는 한편 상대적으로 돌기의 성형과 이 돌기와 만나게되는 요홈의 성형이 정밀하게 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In addition, in such a storage box, it is difficult to form a long groove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box so tha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another storage box are difficult, and in order to form such a groove during the molding operation of the storage box, It requires long, narrow and relatively unstable fingers to work together, so the work must be precise as well as the mold itself,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Will not be precise.

종래의 보관함에 있는 서랍은 카세트를 제위치에 정확하게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 없기 때문에 카세트테이프가 덜그덕거리게 되고 위아래로 요동을 하게 되어 테이프 자체에 손상을 입히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도 불쾌감을 주게 되고, 보관함속에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있는 서랍은 이 서랍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래치 또는 홈속에 들어 있는 볼베어링에 의해 닫혀져 있는 위치로 지지되어 있게 되며, 서랍의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채널올 따라 이동되면서 여닫히게 되어 있다.Drawers in conventional storage boxes do not have the means to correctly hold the cassette in place, causing the cassette tape to rattling and swing up and down, which not only damages the tape itself, but also discomforts the user. The drawer, which is supported by a spring in it, is supported in the closed position by a spring latch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drawer or a ball bearing in the groove, and is opened and closed by moving along the guide channel formed under the drawer. It is.

또한 종래의 테이프 보관함에 있어서는 보관함이나 서랍에 스프링을 고정시킬 수단이 없기 때문에 스프링을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또 보관함속에 지지되어 있는 서랍이 부서지게 되면 상기 서랍이 스프링에 의해 보관함에 고정되어 있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스프링의 복원탄성력에 의해 서랍이 바깥으로 팅겨져 나오게 되어 테이프에 손상을 입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tape storage box there is no means to fix the spring in the storage box or drawer, it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to install the spring, and if the drawer supported in the storage box is broken, the drawer is stored by the spring Since it is not fixed, the drawer is tipped out by the spring's restoring elasticity, which damages the tape.

또한, 보관함이 상호결합되게 하고 적층되어 쌓여져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보관함의 윗면과 아랫면의 가운데 형성되어 있어서, 서랍의 전면과 상하로 나뉘어져 있는 단면에 표시라벨과 광고문을 붙이기 위한 유효면적이 극히 제한되게 된다.In addition, means for interlocking the stacks and stacking the stacks ar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stack, so that the effective area for attaching the label and the advertisement on the cross section divided into the front and the top and bottom of the drawer is extremely limited. do.

상기한 바의 종래의 보관함을 개선하여 보관함의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볼베어링과 상호 작동되도록 서랍의 아래에 트랙을 형성시킨 것이 있었는데 이는 스프링을 서랍에 고정시키도록 하여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보관함을 쌓을 수 있게 하는 수단을 변경시켜 최대한의 라벨을 부착시킬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있었다.There was an improvement o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storage box to form a track under the drawer to interact with the ball bearings installed under the storage box, which allows the spring to be fixed to the drawer for easy assembly and By changing the means of stacking, there was a space for maximum labeling.

그러나 이러한 개선된 보관함 역시 볼베어링을 설치하는데 추가비용이 든다든지 경화플라스틱재질을 사용하기 위한 금형이 복잡해지는 등의 불합리점이 남아 있고, 카세트테이프가 서랍속에 들어 있을때 확고하게 지지해주기 위한 수단이 없으며, 볼베어링이나 상기 볼베어링이 안착되는 트랙이 마모되는 경우에 서랍을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서랍이 보관함 바깥으로 튕겨져 나오지 못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However, these improved storage boxes also have irrational points, such as additional costs for installing ball bearings, complicated molds for use of hardened plastic materials, and no means for firmly supporting the cassette tapes in the drawers. When the track on which the ball bearing is seated is worn,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there is no means for preventing the drawer from being thrown out of the storage box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holding the drawer.

한편 종래의 보관함은 1가지의 경우로만이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여러개의 상황에 따른 경우에는 적합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테이프 자체를 각 경우의 목적에 따라 특수한 구조로 하여야만 하였다. 즉, 상호연결되어 쌓도록 된 보관함은 가정등의 정적인 환경에 적합하고 여러개의 칸막이식으로된 구조는 자동차에나 배등에서와 같은 동적환경에 적합한 것이다. 물론 제한되어 있지만 상호의 목적에 접합하도록 된 것이 있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집에서 사용하는 테이프 보관함을 그대로 자동차에나 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적층식으로 된 특징을 충분히 활용하는 한편 휴대저장성을 부가한 새로운 구조가 요구되었던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storage box can not only be used in one case, but was not suitable in the case of a number of situations,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tape itself had to have a spec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case. In other words, the storage boxes that are interconnected and stacked are suitable for static environments such as homes, and the structure of several partitions is suitable for dynamic environments such as cars and boats. Although it is limited, of course, it is intended to be bonded to each other's purpose, but in general, since the tape storage box used at home can not be installed in a car or a boat, it is possible to take full advantage of this stacked feature and add portable storage. A new structure was required.

한편 자동차용 오디오 시스템의 카세트테이프를 자동차의 대쉬보드(계기판)에 설치하도록 된 자동차용 테이프 보관함이 있었으나, 이 역시 여러개의 서랍을 갖춘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고 테이프를 자동차 이외의 다른곳에서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서랍에서 테이프를 꺼내 다른 보관함으로서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 상기 자동차용 테이프 보관함은 열차단기 역할을 하는 한편 대쉬보드에 착탈식으로 고정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등에 의한 마모에 의해 보관함을 분리시키기가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was an automotive tape storage box in which the cassette tape of the car audio system was installed on the dashboard of the car, but this also had a complicated structure with several drawers and the tape was to be used elsewhere in the car. In this case, it is inconvenient to remove the tape from the drawer and move it to another storage box. Also, the automotive tape storage box acts as a thermal breaker and is detachably fixed to the dashboard. Problems such as becoming difficult are caused.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의 제문제점들을 개선한 적층의 서랍식으로 된 카세트테이프 보관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sette tape storage box of a stacking type of stack which improves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테이프 보관함은 1개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윗쪽으로 뻗어 있는 2개의 양쪽 측벽, 상기 측벽과 연결되어 있는 뒷벽, 상기 베이스의 아래에 측벽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1쌍의 제1가이드, 상기 제1가이드와 평행하면서 측벽의 상단 안쪽으로 위치하고 있는 1쌍의 제2가이드, 상기 제2가이드에 결속되는 제3가이드를 갖추고서 보관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한편 보관함에서 분리시키므로서 상기 제2가이드가 다른 보관함의 제1가이드와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뚜껑 및, 2개의 보관함을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수단들을 갖추고 있다.The cassette tape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one base and two sidewalls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ase, a rear wall connected to the sidewall, parallel to the sidewall under the base A pair of extending first guides, a pair of second guides parallel to the first guides positioned inward to the top of the sidewalls, and a third guide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guides to be detachably fixed to the storage box. On the other hand, it is provided with a lid which allows the second guide to bind with the first guide of the other storage box by separating from the storage box, and means for fastening the two storage boxe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한 바에서 2개의 보관함을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베이스의 아래쪽 측면과 뒷쪽의 윗쪽선단에 보조의 스냅체결돌기를 갖추고 있는데, 상기 베이스부에 있는 돌기는 베이스의 일부분을 이루는 탄성의 아암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아암이 굽혀짐에 따라 다른 보관함의 뒷벽에 있는 보조돌기에 결속되거나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ans for fastening the two compartments to one another in such a manner as to be separable from each other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snap fastening protrusion at the lower side of the base and the upper leading end of the rear, wherein the protrusion at the base portion is provided with a portion of the base. It is made of a resilient arm, and as the arm is bent, it is bound or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projection on the rear wall of the other storage box.

한편 상기 아암은 서랍이 닫혀져 있을 때 굽혀지지 않고 돌기와 결속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rm does not bend when the drawer is closed and does not engage with the protrusion.

2개의 보관함이 상호체결되어 있는 것을 분리시키기 위하여서는 윗쪽 보관함의 서랍을 열기만 하면 보관함이 미끄러져 분리되는 것이다.To separate the two lockers from each other, simply open the upper drawer and the locks will slide off.

보관함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측벽과 인접한 베이스의 윗쪽면에 안내채널을 형성시켜서 상기 보관함과 서랍이 서로 미끄러져 결속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orage compartment is to form a guide channel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adjacent to the sidewalls so that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drawer slide together.

서랍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서랍이 닫혀질때 보관함의 베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트랙을 따라 이동하여 멈춤노치속으로 들어가 서랍을 체결시키도록 하는 체결아암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의 트랙은 멈춤노치가까이에 경사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체결아암의 경사부를 가로질러 멈춤노치속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보관함은 서랍은 열림위치로 밀어부치며 하는 탄성수단을 갖추고 있고, 상기 탄성수단은 압축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등으로 되어 있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rawer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arm which moves along a track formed in the base of the storage compartment when the drawer is closed and enters into the stop notch to fasten the drawer, the track of the base having a slope near the stop notch. And into the stop notch across the inclined portion of the fastening arm. On the other hand, the storage box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ans for pushing the drawer to the open position, the elastic means is a compression coil spring or a leaf spring or the like.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로서 서랍이 열렸을 때,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보관함의 바깥으로 튕겨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서 서랍의 뒷면에 여러개의 블록을 형성시켜 이 블록이 서랍을 보관함의 베이스위에서 멈추어지도록 하는 것이다.In another preferred form, when the drawer is opened, a number of blocks are formed on the back of the drawer so that the block stops on the base of the drawer in order to prevent it from being thrown out of the drawer by the spring's elasticity.

상기한 바의 구조로 하므로서 상황에 따라 베이스와 뚜껑을 여러가지로 바꿀 수 있고 또 테이프의 사용장소를 옮기고자 할때에도 본래의 보관함을 바꿀 필요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With the above structure, the base and the li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even when the place of use of the tape can be used without changing the original storage box.

서랍을 보관함속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서랍의 앞면에 갖추어져 있는 걸쇠기구로 할 수 있는바, 이 걸쇠기구는 보관함을 성형할때 미리 보관함과 서랍을 형성시켜 둔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drawer into the storage box may be a clasp mechanism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drawer, which forms the storage box and the drawer in advance when forming the storage box.

상기한 바에서, 보관함은 사출성형하여 만들되, 45。±10。의 각도를 가지는 여러개의 웨지를 형성시켜 이들 웨지가 가이드 채널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웨지는 보관함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간단한 2개의 금형으로 성형이 가능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box is made by injection molding, preferably forming several wedges having an angle of 45 ° ± 10 ° so that these wedges form a guide channel and the wedge is a simple two mold used to make the storage box. Molding is possible.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1세트의 적층된 카세트테이프 보관함(11)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테이프 보관함(11)은 1개의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로부터 윗쪽으로 뻗어 있는 2개의 측벽(13) 및 상기 측벽(13)들과 연결되어 있는 1개의 뒷벽(1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보관함(11)에는 열림위치와 닫힘위치사이로 활주하면서 개폐되는 여러개의 서랍(15)이 갖추어져 있고, 제일 윗쪽 서랍위의 보관함(11)윗면에는 착탈이 가능한 뚜껑(16)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의 뚜껑(16)을 제거하므로서 하나의 보관함(11)위에 다른 또 하나의 보관함의 베이스(12)를 올려놓아 여러개의 보관함을 쌓을 수가 있는 것이다.FIG. 1 shows a set of stacked cassette tape holders 11, wherein the tape holders 11 have one base 12 and two side walls 13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ase 12 and the It consists of one back wall 14 connected to the side walls 13. The storage box 1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awers 15 to be opened and closed while sliding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and a lid 16 that is detachable is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box 11 above the upper drawer. By removing the lid 16, the base 12 of another storage box is placed on one storage box 11, and several storage boxes can be stacked.

상기 베이스(12)부분은 제2도와 제3도에 자세히 나타내어져 있는 바, 제2도는 베이스(12)의 저면을 보이고 있는데, 상기 보관함(11)은 2개의 분할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되어지게 되고 베이스(12)의 바닥면에는 약 45。±10。각도를 갖고 일정간격을 두고 있는 여러개의 돌기(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돌기(17)는 측벽(13)과 평행한 채널(18)을 형성시켜 제1가이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채널(18)과 평행하면서 측벽(13)상단의 약간 안쪽에는 제2가이드를 이루는 1쌍의 슬라이드(19)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돌기(17)와 슬라이드(19)는 사출성형 작업시에 일체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베이스(12)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20) 역시 사출성형작업시에 형성되어지게 되는데 이는 서랍(15)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21)와 결속되어 상기 서랍이 보관함(11)에 슬라이딩 되면서 설치되어지도록 한다.The base 12 portion is shown in detail in FIG. 2 and FIG. 3, and FIG. 2 shows the bottom of the base 12. The storage box 11 is injection molded using two divided molds.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17 having an angle of about 45 ° ± 10 °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protrusions 17 are parallel to the sidewalls 13. ) To form the first guide. A pair of slides 19 ar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side wall 13 and parallel to the channel 18 to form a second guide. The protrusions 17 and the slides 19 are integrally formed during the injection molding operation. It will be formed. The guide 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2 is also formed during the injection molding operation, which is coupled with the slide 21 formed in the drawer 15, and the drawer slides in the storage box 11. To be installed.

상기 베이스(12)가 다른 카세트테이프 보관함의 상단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하여서 베이스(12)의 아랫면에 1세트의 스냅체결돌기(22)가 갖추어져 있는데 상기 체결돌기(22)에 보관함(11)의 뒷벽(14)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돌기(23)가 걸려지게 되므로서 이들 돌기(22,23)가 2개의 보관함을 상호 분리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수단을 이루게 된다.One set of snap fastening protrusions 22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2 so that the base 12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other cassette tape storage box, and the rear wall of the storage box 11 in the fastening protrusion 22. 14) Since the auxiliary protrusions 23 formed on the upper side are caught, these protrusions 22 and 23 form a means for fastening the two storage boxe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체결돌기(22)는 베이스(12)의 일부분을 이루는 탄성아암으로 이루어져서 각각의 보관함에 형성되어 있는 채널(18)과 슬라이드(19)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결속 또는 분리됨에 따라 보조돌기(23)와 결속 또는 분리되도록 굽혀지게 된다. 그러나 이후에 자세히 언급되겠지만 서랍(15)이 닫혀져 있을때에는 상기 스냅체결돌기(22)가 굽혀지지 않게 되어 보조돌기(23)로부터 분리되어지지 않게 한다.The fastening protrusion 22 is formed of an elastic arm constituting a part of the base 12, and the auxiliary protrusions 23 are formed as the channels 18 and the slides 19 formed in each storage box are relatively slid or bound. It is bent to bind or separate with. However,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hen the drawer 15 is closed, the snap fastening protrusion 22 is not bent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protrusion 23.

보관함(11)의 앞쪽에는 서랍(15)의 양쪽선단을 둘러싸는 식의 돌출아암(24)이 갖추어져 있어서, 서랍이 보관함(11)속에 끼워져 있을 때 안전하고 확실하게 결합되어 있도록 한다.The front of the storage box (11)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arm (24) surrounding both ends of the drawer (15), so that the drawer is securely and securely coupled when the drawer is fitted into the storage box (11).

제3도에는 베이스(12)의 안쪽면, 즉 윗면이 나타내어져 있는데, 여기에 이미 설명한 바 있는 슬라이드(19)와 가이드(20) 및 돌출아암(24)이 잘 도시되어져 있다.3 shows the inner surface, ie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2. The slide 19 and guide 20 and the protruding arm 24, as already described herein, are well illustrated.

베이스(12)윗쪽면의 중앙에는 트랙(2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트랙(25)을 따라 서랍(15)에 갖추어져 있는 단단하면서도 탄성이 있는 체결 및 안내아암(26)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트랙(25)은 서랍(15)이 테이프 보관함(11)속에서 닫혀지게 될때, 아암(26)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아암(26)이 멈춤노치(27)속으로 들어가게 하여 서랍(15)이 닫힌 위치에서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보관함(11)과 서랍(15)에는 서랍을 여는쪽으로 탄지하는 탄성수단으로서 스프링(도시안됨)이 부착되어 있는데, 이 스프링이 상기 아암(26)을 멈춤노치(27)내에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A track 2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2, and the rigid and elastic fastening and guide arms 26 provided in the drawer 15 move along the track 25. The track 25 is for guiding the arm 26 when the drawer 15 is closed in the tape holder 11 so that the arm 26 enters the stop notch 27 to draw the drawer 15. To be locked in this closed position. On the other hand, a spring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storage box 11 and the drawer 15 as an elastic means for holding the drawer toward the opening side, which spring serves to support the arm 26 in the stop notch 27. do.

상기 아암(26)을 체결된 상태에서 해제시키기 위하여서는 서랍(15)의 바깥쪽에 약간의 힘을 더가하므로서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아암(26)이 멈춤노치(27)를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트랙(25)에는 일정한 각도가 주어져 있는데 이는 아암(26)이 들어갈때와 동일한 통로를 통하여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고 아암(26)을 귀환통로(28)쪽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멈춤노치(27)가까이에 있는 귀환통로(28)의 입구에는 경사부(29)가 형성되어 있어서 아암(23)이 용이하게 노치(27)를 빠져나가도록 하는 한편 경사부의 반대쪽 선단이 수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아암(26)이 다시 멈춤노치(27)쪽으로 되돌아가지 못하게 한다. 즉 상기 트랙은 서랍(15)에 일단 1번의 힘이 가하여지면 상기 아암(26)이 오직 1가지의 통로로만 안내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서랍(15)의 앞쪽에 가해지던 힘이 해제되면 서랍(15)에 형성되어 있는 블록(31)이 베이스(15)에 형성되어 있는 스톱퍼(30)에 걸릴때까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보관함(11)의 바깥쪽으로 밀려나가게 작용에 의해 상기 서랍(15)이 스프링의 탄력을 받아 더 이상 바깥으로 밀려나가지 않게 한다. 서랍(15)을 바깥쪽으로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은 베이스(12)의 안쪽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32)속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26)이 트랙(25)을 따라 진입될때 노치(27)쪽으로 들어가지 않고 귀환통로(28)쪽으로 들어가게 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귀환통로(28)와 인접되게 진입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서랍(15)을 닫을 때에는 아암(26)이 반드시 트랙(25)의 진입경사부쪽으로만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In order to release the arm 26 in the locked state, the spring is compressed by applying a slight force to the outside of the drawer 15 and the arm 26 exits the stop notch 27 at the same time. The track 25 is given an angle which prevents the arm 26 from exiting through the same passage as when the arm 26 enters and guides the arm 26 toward the return passage 28. An inclination portion 29 is formed at the inlet of the return passage 28 near the stop notch 27 so that the arm 23 easily exits the notch 27 while the opposite end of the inclination portion is vertical. This prevents the arm 26 from returning to the stop notch 27 again. In other words, the track is such that once the force is applied to the drawer 15, the arm 26 is guided through only one passageway. Therefore,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front of the drawer 15 is releas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until the block 31 formed in the drawer 15 is caught by the stopper 30 formed in the base 15 ( By the action of pushing out of 11), the drawer 15 receives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so that it is no longer pushed out. A spring holding the drawer 15 outward is installed in a housing 32 which is formed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base 12, and the notch 27 when the arm 26 enters along the track 25.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entering into the return passage 28 without entering,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adjacent to the return passage 28 so that when the drawer 15 is closed, the arm 26 must be inclined to the track 25. It is only to enter the side.

제4도와 제5도 및 제6도는 서랍(15)을 나타내고 있는바, 제4도는 서랍(15)의 윗쪽면을 보이고 있는데 중앙에 안내아암(26)이 갖추어져 있고 뒷쪽벽의 중앙부에 스프링의 한쪽선단을 겉기 위한 하우징(33)이 형성되어 있어서 서랍이 보관함(11)으로 부터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기구를 이루도록 한다.4 and 5 and 6 show the drawer 15. FIG. 4 shows the upper side of the drawer 15, with a guide arm 26 in the center and one side of the spring in the center of the rear wall. A housing 33 is formed to cover the front end to form a mechanism that prevents the drawer from escaping from the storage box 11.

양옆쪽 선단 가까이에는 베이스(12)의 가이드(20)가 끼워 맞춰지게 되는 슬라이드(21)가 형성되어 있고 안쪽의 한쪽 모서리에는 서랍(15)이 보관함(11)으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스톱퍼(30)와 상호 작용하는 블록(31)이 갖추어져 있으며, 중심선으로 이등분되는 좌우양쪽의 중앙부에는 카세트의 스핀들이 끼워지게 되는 경사가진 반구형의 부재(34)는 뒷쪽의 윗면이 경사져 있어 카세트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다. 서랍(15)의 뒷쪽에는 플랜지(35)와 탄성핀(36)이 갖추어져 있어서 카세트의 윗면을 붙잡아 상하요동을 못하게 하는 한편 상기 탄성핀(36)은 카세트가 보관함속에 혼들리지 못하도록 한다.A slide 21 to which the guide 20 of the base 12 is fitted is formed near both side ends, and a stopper 30 to prevent the drawer 15 from escaping from the storage box 11 at one inner corner thereof. And a block 31 which interacts with the center, and the inclined hemispherical member 34 into which the spindle of the cassette is fitted at the center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bisected by the center line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cassette. . The rear side of the drawer 15 is provided with a flange 35 and an elastic pin 36 to hold the upper surface of the cassette to prevent up and down swings, while the elastic pin 36 prevents the cassette from mixing in the storage box.

제5도는 서랍의 배면을 나타내는 반면 제6도는 서랍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서랍(15)의 앞쪽면(37)에는 표지라벨을 붙이기에 적당하도록 되어 있다.FIG. 5 shows the back side of the drawer while FIG. 6 shows the side cross section of the drawer so that the front face 37 of the drawer 15 is suitable for attaching the label.

제7도와 제8도는 테이프 보관함(11)의 뚜껑(16)을 나타내고 있는 바, 제7도에는 뚜껑(16)의 배면이 나타내어져 있는데 상기 뚜껑(16)의 양측선단을 따라 제3가이드를 이루는 안내채널(38)이 형성되어서 제2가이드를 이루는 보관함(11)의 슬라이드(19)와 결속되는 한편 상기 뚜껑(16)을 보관함에 분리가능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안내채널(38)은 이 채널(38)의 바닥에 대해 약 45。각도로 기울어져 있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돌기(39)에 의해 이루어지는 한쪽벽과 함께 테이프 보관함(11)에 형성되어 있는 채널(18)과 비슷한 단면형상으로 되어 있고, 뚜껑(16)의 뒷쪽에는 여러줄의 홈(40)이 형성되어서 여기에 보관함(11)의 뒷쪽벽에 있는 보조돌기(23)가 걸려지도록 하여 상기 뚜껑(16)이 보관함(11)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다.7 and 8 show the lid 16 of the tape storage box 11, the back of the lid 16 is shown in FIG. 7 to form a third guide along both ends of the lid 16. The guide channel 38 is formed so that the lid 16 can be detachably fixed to the storage box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slide 19 of the storage box 11 constituting the second guide. The guide channel 38 is formed in the tape holder 11 together with one wall formed by the projections 39 which are inclined at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ttom of the channel 38 and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t has a cross-sectional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channel 18, and a plurality of grooves 40 are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lid 16 so that the auxiliary protrusions 23 on the rear wall of the storage box 11 can be caught therein. The lid 16 is detachably fixed to the storage box (11).

또한 뚜껑(16)의 전체면에 걸쳐서 보강웨브(4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뚜껑의 굽힘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며 안내채널(38)과 돌기(39) 및 홈(40)과 함께 사출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되어진다.In addition, a reinforcing web 41 is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lid 16 to increase the bending strength of the lid and together with the guide channel 38 and the protrusion 39 and the groove 40 during injection molding. It is formed integrally.

제8도는 뚜껑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표지라벨을 붙이기에 적당한 평면을 갖추고 있다.8 shows a plan view of the lid and has a plane suitable for attaching a label label.

이상에서 설명한 바의 구조로 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11)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립되어진다.The storage box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assembled in the following manner.

먼저 베이스(12)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20)에 서랍(15)의 슬라이드(21)를 삽입시켜 베이스(12)와 서랍(15)을 결합시킨 다음 베이스의 뒷쪽에 있는 하우징(32)과 서랍의 뒷쪽에 있는 하우징(33)에 스프링(도시안됨)을 삽입탄지시켜 상기 서랍(15)이 테이프 보관함(11)속에서 상기 스프링으로 지지되어지게 한다. 서랍(15)의 아암(26)은 트랙(25)속에 끼워 맞추어져 이를 따라 이동되면서 서랍이 닫혀져 있을 때 아암(26)이 멈춤노치(27)속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하우징(32,33)속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을 압축시키게 된다. 뚜껑(16)은 베이스(12)의 슬라이드(19)를 채널(38)속에 끼우므로서 보관함(11)에 결합되게 되는데 뚜껑(16)의 홈(40)에 보관함(11)의 보조돌기(23)가 걸어 맞추어지므로서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진다.First, the slide 21 of the drawer 15 is inserted into the guide 20 formed in the base 12 to join the base 12 and the drawer 15, and then the housing 32 and the drawer at the rear of the base. A spring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33 on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drawer 15 is supported by the spring in the tape holder 11. The arm 26 of the drawer 15 fits into the track 25 and moves along it so that the arm 26 is positioned in the stop notch 27 when the drawer is closed and installed in the housings 32 and 33. Compressed spring is compressed. The lid 16 is coupled to the storage box 11 by inserting the slide 19 of the base 12 into the channel 38, and the auxiliary protrusion 23 of the storage box 11 in the groove 40 of the lid 16. ) Is fitted and detachably tightened.

하나의 보관함(11)위에 또 다른 하나의 보관함을 쌓기 위하여서는 먼저 뚜껑(16)을 제거시켜야 하는 뚜껑(16)에 충분한 힘을 가하여 홈(40)으로부터 보조돌기(23)가 빠져나오게 한 다음 슬라이드(19)가 안내채널(38)로부터 빠져 나오게 한다. 그 다음 한쪽 보관함의 슬라이드(19)를 다른쪽 보관함의 채널(18)에 슬라이딩 결합시키되, 스냅채결돌기(22)가 보조돌기(23)와 걸어 맞추어져 2개의 보관함이 완전히 체결될때까지 양쪽 보관함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In order to stack another storage box on one storage box 11, first, apply sufficient force to the lid 16 from which the lid 16 should be removed so that the auxiliary projection 23 can be released from the groove 40 and then slide. And 19 exits the guide channel 38. The slide 19 of one storage box is then slid to the channel 18 of the other storage box, with the snap binding protrusion 22 engaged with the auxiliary protrusion 23 so that both storage boxes are fully engaged. Slid in opposite directions.

한편 서로 결합되어 있는 2개의 보관함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체결돌기(22)를 부드럽게 위로 밀어올려 보조돌기(23)와 분리시켜야 한다. 이때 만약 서랍(15)이 닫혀져 있다면 서랍의 베이스 때문에 체결돌기(22)가 위로 올라오지 못하게 되는데 이렇게 하므로서 쌓여져 있던 보관함이 뜻하지 않게 분리되게 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in order to separate the two storage boxes coupled to each other, the fastening protrusion 22 must be gently pushed up to separate the auxiliary protrusion 23. In this case, if the drawer 15 is closed, the fastening protrusion 22 is prevented from rising up because of the base of the drawer, thereby preventing the accident that the stacked storage boxes are accidentally separated.

닫혀져 있는 서랍(15)를 열기 위하여서는 서랍의 앞쪽을 누르면 스프링이 약간 더 압축되어지면서 아암(26)이 멈춤노치(27)로부터 해제되어지게 함과 동시에 경사부(29)의 윗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그 다음 압축되었던 스프링의 탄력이 아암(26)을 트랙(25)의 귀환통로(28)를 따라가도록 서랍을 바깥쪽으로 밀게 되는데 이때 서랍(15)이 보관함(11)의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스톱퍼(30)와 블록(31)이 상호작용하게 되어 있는 한편 스프링이 보관함(11)과 서랍(15)의 양쪽에 모두 부착되어 있다.In order to open the closed drawer 15, pressing the front of the drawer causes the spring 26 to be slightly compressed, releasing the arm 26 from the stop notch 27 and at the same time raising the top of the inclined portion 29. . The elasticity of the compressed spring then pushes the drawer outward so that the arm 26 follows the return passage 28 of the track 25 so that the drawer 15 does not escape out of the storage 11. While the stopper 30 and the block 31 are intended to interact, the spring is attached to both the storage 11 and the drawer 15.

이상에서 설명한 바의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은 손잡이 운반용이나 멜빵, 벨트 또는 자동차나 부착식 모두에 적절하게 적응시킬 수가 있으므로 카세트테이프를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보관함에 보관시킨 채 옮기고자 할때 별도의 보관함을 필요로 하거나 빼내어 다시 옮기는 등의 작업이 필요없이 그냥 그 상태대로 보관함 자체를 들고 옮길수가 있는 편리한 카세트테이프 보관함인 것이다.The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suitably adapted for carrying handles, suspenders, belts, or both cars and adhesives. It is a convenient cassette tape storage box that can be lifted and moved just as it is without the need for a storage box, or removal and re-carrying.

Claims (12)

여닫히는 동작을 위해 장착된 슬라이딩 서랍을 갖춘 적층식 카세트 보관함에 있어서, a) 1개의 베이스(12) ; b) 베이스(12)로부터 위로 뻗어있는 2개의 측벽(13) ; c) 상기 측벽(13)과 결합되어 있는 후벽(14) ; d) 상기 베이스의 하측상에 상기 측벽과 평행하게 뻗어있는 한쌍의 제1가이드 ; e) 상기 측벽의 상단안쪽으로 상기 제1가이드에 평행으로 배치된 한쌍의 제2가이드 ; f) 상기 제2가이드와 결합하고 상기 보관함에 뚜껑(16)을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3가이드를 포함하는 뚜껑(16) ; g) 2개의 결합된 보관함을 서로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뚜껑(16)의 제거후 다른 용기의 제1가이드와 각각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카세트테이프 보관함.In a stacked cassette storage box with a sliding drawer mounted f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comprising: a) one base 12; b) two side walls 13 extending upward from the base 12; c) a rear wall 14 coupled with the side wall 13; d) a pair of first guides extending in parallel with said side wall on a lower side of said base; e) a pair of second guide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first guide inwardly of the sidewalls; f) a lid 16 coupled to the second guide and including a third guide to detachably fix the lid 16 to the storage box; g) means for separably fixing the two combined storage boxes to each other, wherein the second guide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guide of the other container after removal of the lid 16, respectively. Cassette Tape Storage Box.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결합된 보관함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은 상기 베이스(12)의 하측과 상기 후벽(14)의 가장자리상에 보조스냅체결돌기(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테이프 보관함.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ans for separably fixing the two combined storage boxes to each other comprises an auxiliary snap fastener 22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12 and on the edge of the rear wall 14. Cassette tape storage box. 제2항에 있어서, 베이스상의 스냅체결돌기(2)는 베이스의 일부를 형성하는 탄성 아암이며, 상기 아암은 각각의 제1 및 제2가이드의 결합 및 분리됨에 따라 다른 보관함의 후벽상의 보조돌기(23)와 결합 혹은 분리하기 위해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테이프 보관함.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nap fasteners 2 on the base are elastic arms that form part of the base, and the arms are auxiliary protrusions on the rear wall of the other storage box as the respective first and second guides are joined and separated. 23) Cassette tape storage compartm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y can be displaced to engage or disengage. 제3항에 있어서, 탄성아암은 상기 서랍(15)이 닫혀진 위치에 있을때는 변위가 되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보조돌기(23)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테이프 보관함.4. The cassette tape storage box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elastic arm is not displaced when the drawer (15) is in the closed position, and as a result, the separation of the auxiliary protrusion (23) is preven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3)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12)의 상측에 안내채널(38)이 형성되어 있어서 서랍(15)이 보관함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될때 상기 서랍과 맞물려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테이프 보관함.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channel 38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2 adjacent to the side wall 13 so that the drawer 15 is engaged with the drawer when the drawer 15 is slid into the storage box. Cassette tape storage box.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15)은 보관함의 베이스(12)에서 형성된 트랙(25)을 따라 이동하여 닫혀진 위치에서 서랍을 고정하기 위해 멈춤노치(27)(detent notch)로 들어가는 로킹아암(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테이프 보관함.The locking arm (10)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drawer (15) moves along a track (25) formed at the base (12) of the storage box and enters a detent notch (27) to secure the drawer in the closed position. A cassette tape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2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에서의 트랙(25)은 상기 멈춤노치(27)에 인접한 경사부(29)를 포함하며, 상기 트랙은 로킹아암(26)이 멈춤노치(27)를 벗어나게 경사부(29)를 이동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테이프 보관함.The track 25 of the base 1 comprises a slope 29 adjacent the stop notch 27, the track arm of which the locking arm 26 stops the stop notch 27. Cassette tape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move the inclined portion (29). 제6항에 있어서, 서랍(15)은 탄성부재에 의해 개방위치로 탄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테이프 보관함.The cassette tape storage box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rawer (15) is held in an open position by an elastic member. 제8항에 있어서, 블록(30)들이 상기 서랍의 후측상에 설치되고 서랍이 열려진 위치에 도달할때 상기 베이스(12)에 설치된 정지부재(30)와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테이프 보관함.The cassette tape storage box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blocks (30) are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drawer and join with the stop member (30) installed on the base (12) when the drawer reaches an open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채널(18)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진 일련의 돌기(17)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테이프 보관함.2. A cassette tape storage compartment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nnel (18) is formed by a series of projections (17)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7)는 채널(18)의 저면에 대해 45。±10。의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테이프 보관함.11. A cassette tape storage compartment as claimed in claim 10, wherein the projections (17) are inclined at an angle of 45 [deg.] ± 10 [deg.] To the bottom of the channel (18). 제11항에 있어서, 테이프보관함(11)은 사출성형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역시 사출성형으로 형성된 상기 돌기(17)들은 45。±10。의 각도를 갖는 웨지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테이프 보관함.The cassette tape storage box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tape storage box (11) is manufactured by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and the protrusions (17) also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re molded into wedges having an angle of 45 ° ± 10 °. .
KR1019870000785A 1986-01-31 1987-01-31 Cassette tape charing case KR90000809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H439786 1986-01-31
AUPH4397 1986-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506A KR870007506A (en) 1987-08-19
KR900008095B1 true KR900008095B1 (en) 1990-10-31

Family

ID=377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785A KR900008095B1 (en) 1986-01-31 1987-01-31 Cassette tape charing case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JP (1) JPS62182043A (en)
KR (1) KR900008095B1 (en)
CN (1) CN87100722A (en)
DE (1) DE3702628A1 (en)
DK (1) DK47987A (en)
ES (1) ES2003674A6 (en)
FR (1) FR2593783A1 (en)
GB (1) GB2185965A (en)
GR (1) GR870148B (en)
IE (1) IE870218L (en)
IT (1) IT1205862B (en)
LU (1) LU86751A1 (en)
NL (1) NL8700237A (en)
SE (1) SE8700370L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314B1 (en) * 1998-05-08 2002-01-05 오까다 마사하루 Coin processing apparatus
US6717771B1 (en) 1998-05-15 2004-04-06 Kiyoo Morita Magnetic tape cartridge having projec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4787A1 (en) * 1989-02-17 1990-08-23 Fischer Artur Werke Gmbh CONTAINER WITH MAGNETIC TAPE CASSETTE
DE4020163A1 (en) * 1990-06-25 1992-01-02 Fischer Artur Werke Gmbh CONTAINER FOR MAGNETIC TAPE CASSETTES
DE10155361A1 (en) * 2001-11-10 2003-05-22 Hans Roericht Frame and drawer furniture
CN104037651B (en) * 2014-06-10 2017-01-04 国家电网公司 One is applicable to 10kV distribution line shaft tower restoring material case
CN107499644A (en) * 2017-07-06 2017-12-22 安徽禄讯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radio communication passive device storag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55830B (en) * 1977-01-17 1980-03-25 Iisi Products Ag CONTAINER FOR TAPE TAP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314B1 (en) * 1998-05-08 2002-01-05 오까다 마사하루 Coin processing apparatus
US6717771B1 (en) 1998-05-15 2004-04-06 Kiyoo Morita Magnetic tape cartridge having projections
US6744596B2 (en) 1998-05-15 2004-06-01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tape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205862B (en) 1989-03-31
JPS62182043A (en) 1987-08-10
DK47987D0 (en) 1987-01-29
IT8747587A0 (en) 1987-01-30
LU86751A1 (en) 1987-06-02
ES2003674A6 (en) 1988-11-01
DK47987A (en) 1987-08-01
FR2593783A1 (en) 1987-08-07
IE870218L (en) 1987-07-31
CN87100722A (en) 1987-08-12
GB8701851D0 (en) 1987-03-04
SE8700370L (en) 1987-08-01
GR870148B (en) 1987-06-05
NL8700237A (en) 1987-08-17
DE3702628A1 (en) 1987-08-06
GB2185965A (en) 1987-08-05
KR870007506A (en) 1987-08-19
SE8700370D0 (en) 1987-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3403A (en) Cassette storage container
US3899229A (en) Container for tape cassettes
US4838422A (en) Data storage container
US4842348A (en) Container for the storage of magnetic-tape cassettes of other recording media
US4702533A (en)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flat recording media
US5419451A (en) Stacking tray and lid assembly
US4399913A (en) Cassette container with flexible and hinged drawers
JPH0741934B2 (en) Recording medium container
US4223787A (en) Cassette carrying case
AU634112B2 (en) Container for magnetic tape cassettes
US4512468A (en) Cassette storage device
JPS62501142A (en) Container for audio records or video discs
KR900008095B1 (en) Cassette tape charing case
WO1985001033A1 (en) Diskette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a large quantity of diskettes
US5125511A (en) Blow molded box
US4239109A (en) Storage box for substantially parallelepipedic tape and film cases
US4389078A (en) Modular storage unit
US4436355A (en) Modular storage system
US4200404A (en) Loose leaf binders
US4339162A (en) Video cassette storage box
US4306736A (en) Document holder
WO2001015998A1 (en) Child resistant slide box
US4440299A (en) Container for at least one carrier member bearing a reeled tape-like recording medium, especially a magnetic tape cassette, and an assembly of two or more such containers
UA82513C2 (en) Continuous case for digital information carriers able to be joined with other same cases
JPH0113097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