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387B1 - Air cushion shoe sole - Google Patents

Air cushion shoe s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387B1
KR900001387B1 KR1019850008648A KR850008648A KR900001387B1 KR 900001387 B1 KR900001387 B1 KR 900001387B1 KR 1019850008648 A KR1019850008648 A KR 1019850008648A KR 850008648 A KR850008648 A KR 850008648A KR 900001387 B1 KR900001387 B1 KR 900001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ushion
sole
air
cavity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86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70002787A (en
Inventor
황잉충
Original Assignee
황잉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85112172A external-priority patent/EP0215974B1/en
Application filed by 황잉충 filed Critical 황잉충
Publication of KR870002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7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3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02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2S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2049/2017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outside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02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 B29C2049/4805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by closing the mould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50Footwear, e.g. shoes or parts thereof
    • B29L2031/504S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The air cushioned shoe sole is made by (a) blowing a tubular enclosure of synthetic plastic material; (b) pressing the enclosure between two mould halves; (c) inflating the enclosure whilst between the mould halves to force it into contact with the interior walls of the mould. The air cushioned sole better absorbs impact shock.

Description

공기쿠션 신발창 및 제조방법Air cushion shoe sole and manufacturing method

제1도는 본 발명의 공기쿠션 신발창을 제조하기 위한 모울드 및 압출기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ld and an extruder for manufacturing the air cushion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신발창의 뒷창부분을 나타낸 부분절개를 포함하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including a partial incision showing the rear window portion of the shoe sole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신발창의 뒷창부분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부분절개를 포함하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incision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rear sole portion of a shoe sole made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신발창의 뒷창부분을 나타낸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rear window portion of a shoe sole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의 신발창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앞창과 뒷창으로 결합되고, 2개의 공기밸브를 갖으며, 부분절개를 포함하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the sole and the rear window coupled to, having two air valves, including a partial incision.

제6도는 본 발명의 신발창의 뒷창부분을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절개를 포함하는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rtial incision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rear sole portion of th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 발명에 연관된 공기밸브와 탄성링을 나타내기 위한 제5도의 7-7선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7-7 of FIG. 5 for showing an air valve and an elastic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본 발명에 연관된 공기밸브와 관형 링을 나타내기 위한 제6도의 8-8선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8-8 of FIG. 6 for showing an air valve and a tubular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본 발명의 공기쿠션과 바닥창을 동시에 제조하는 것을 나타낸 제2의 실9 is a second seal showing the simultaneous manufacture of an air cushion and an out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제9도의 모울드로서 제조된 신발창의 단면도.FIG. 10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shoe sole made as a mold of FIG.

제11도는 본 발명의 공기쿠션이 매설된 신발창의 평면도.11 is a plan view of a shoe sole buried air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2도는 제11도의 12-12선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측면도.FIG. 12 is a side view including a partial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12-12 of FIG.

제13도는 본 발명의 공기쿠션과 바닥창과 신발상부를 동시에 제조하는 것을 나타낸 제3의 실시예의 단면도.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showing the simultaneous manufacture of the air cushion and the sole and the shoe u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4도는 제13도의 모울드로서 제조된 신발의 부분절개를 포함하는 사시도.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incision of a shoe made as the mold of FIG.

제15도는 본 발명의 공기쿠션의 밑바닥부분이 신발의 바닥창으로 되는 공기쿠션의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ushion in which the bottom portion of the air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ole of the shoe.

제16도는 본 발명의 공기쿠션의 다른 실시예로서 각각의 공기밸브를 갖는 2개의 공동으로 된 공기쿠션의 사시도.16 is a perspective view of two cavity air cushions having respective air valve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7도는 제16도의 17-17선 단면도.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7-17 of FIG.

제18도는 본 발명의 신발창에 매설되는 튜우브형의 공기쿠션의 부분절개를 포함하는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including a partial incision of a tubular air cushion embedded in th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9도는 제 18도의 튜우브형의 공기쿠션이 매설된 신발창의 평면도.FIG. 19 is a plan view of a shoe sole in which a tubular air cushion of FIG. 18 is embedded.

제20도는 본 발명의 공기밸브의 사시도.2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1도는 본 발명의 공기쿠션 신발창이 형틀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늘을 통하여 압축공기를 주입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Figure 21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jecting compressed air through the needle in the air cushion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mold.

제22도는 본 발명의 이단 공기쿠션의 뒷창부분의 평면도.22 is a plan view of the rear window portion of the two-stage air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3도는 제22도의 A-A선 단면도.2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제24도는 제22도의 B-B선 단면도2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제25도는 본 발명의 이단 공기쿠션 신발창의 단면도로서, 무부하 상태하에서 공기쿠션의 뒷창부분의 단면도.2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wo-stage air cushion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ar window portion of the air cushion under no load.

제26도는 제25도와 동일한 단면도로서 일차적으로 압축을 받을시의 단면도.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5 which is primarily a section in the case of receiving compression.

제27도는 제25도와 동일한 단면도로서 이차적으로 압축을 받을시의 단면도.FIG. 27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25 similar to FIG.

제28도는 본 발명의 펌프작용을 하는 공기쿠션의 뒷창부분의 단면도.2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ar window portion of the pumped air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9도는 제28도와 동일한 단면도로서 부하가 걸린상태의 단면도.FIG. 29 is a 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28, with a load applied thereto.

제30도는 제29도의 평면도로서 뒷창부분에서 앞창부분으로 공기의 배출상태를 나타낸 평면도.30 is a plan view of FIG. 29 showing a discharge state of air from the rear window portion to the front window portion.

제31도는 제29도의 부하상태에서 부하를 제거한 후에 원상태로 복귀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 3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a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after removing the load from the load in FIG. 29; FIG.

제32도는 제30도와 동일한 평면도로서, 공기의 흡입상태를 나타낸 평면도.32 is a plan view identical to FIG. 30, showing a suction state of air.

제33도는 본 발명의 굴곡성을 가진 공기쿠션의 앞창부분을 나타낸 평면도.33 is a plan view showing the front window portion of the air cushion having the flexi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4도는 제33도의 측면도.34 is a side view of FIG.

제35도는 제33도의 A-A선 단면도.3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제36도는 제33도의 B-B선 단면도.3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제37도는 본 발명의 블로우 모울딩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공기쿠션과 두조각의 부재를 접합시켜서 제조된 종래의 공기쿠션과의 비교도.FIG. 37 is a comparison diagram of a conventional air cushion manufactured by joining two pieces of air cushion manufactured by the blow mol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압출기 2, 20 : 공기쿠션1: extruder 2, 20: air cushion

4 : 바닥창 5 : 신발상부4: outsole 5: upper shoe

6 : 튜우브형 공기쿠션 10, 11 : 모울드6: tube type air cushion 10, 11: mold

21 : 요홈 22 : 공기밸브21: groove 22: air valve

23 : 플랜지 101, 111 : 돌기23: flange 101, 111: protrusion

211 : 구멍 221 : "O"링211: hole 221: fan ring

222 : 관형링222: tubular ring

본 발명은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hoe sole.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용하는 조건에 따라서 그 특성을 가져야 하는 것이며, 예컨대, 운동경기를 행할시에 그 운동경기의 특성으로 인하여 잘못하여 넘어지거나, 또는 점프하여 떨어질때에 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다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포츠화는 충격 저항성 및 충격을 완화시키는 탄력성을 가져야 하는 것이다.In general, a shoe should have it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used, for example, to protect the wearer's leg from impact when falling, jumping or falling off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thletic sport, for example. Sports shoes have to have impact resistance and elasticity to alleviate the impact.

또한 스포츠화의 충격 저항성이나. 충격을 완화시키는 탄력성은 신발창의 소재가 가지고 있는 연성도에 달려 있으며, 더욱이 신발의 무게는 신발창의 무게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Also the impact resistance of sports shoes. Impact resilience depends on the ductility of the material of the sole and, moreover, the weight of the shoe is directly affected by the weight of the sole.

따라서, 스포츠화의 경량화 및 탄력성을 주기 위한 시도가 다방면으로 행해져 왔으며, 이에 따라 스포츠화의 제조산업에 있어서 그 동안 발전이 계속되어 더 가볍고 충격흡수가 더 잘되는 스포츠화를 제조하여 왔었다.Accordingly, attempts to give lightweight and elasticity of sports shoes have been made in various ways, and accordingly,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of sports shoes, development has been continued to manufacture sports shoes with lighter weight and better shock absorption.

현재 폴리우레탄과 같은 가볍고, 탄력성을 가진 재료를 신발창의 소재로서 사용하고 있지만, 이 재료는 일정한 밀도와 탄력성을 가진 것이며 또한, 스포츠화를 신는 각 개인의 체중이 상이하기 때문에 신발창에 집중되는 하중이 각 개인마다 근본적으로 틀Currently, lightweight, elastic materials such as polyurethane are used as the sole material, but this material has a certain density and elasticity, and because the weight of each individual wearing sports shoes is different,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sole Fundamentally framed for each individual

즉, 현재의 스포츠화는 이를 신는 각 개인의 발이나, 체중에 알맞게 맞춰서 착용자의 활동의 특수성에 부합되게 조절할 수 도 없고, 개별맞춤도 할 수 없는 것이며, 단지 여러 착용자의 공통되는 사항에만 맞게 제조되는 것이었다.In other words, current sports shoes cannot be adjusted to fi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wearer's activities or fit to the individual's feet or body weight, nor can they be individually tailored, but are manufactured only for the common matters of different wearers. It was to be.

또한, 신발창을 상이한 탄력성을 갖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재료를 복합하여 성형제조하여 발에 미치는 손상을 방지하도록 된 것도 있으나. 이러한 신발창은 상이한 특성을 갖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재료로 신발창을 제조할 당시에는 이러한 재료의 배열위치는 변경시킬 수 있으나, 일단 제조된 후에는 변경시킬 수가 없고, 항시 그 특성은 동일한 것이어서 사용자의 요구에 맞출 수는 없는 것이었다.In addition, the sole is formed by combining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elasticity to prevent damage to the foot. Such soles may chang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se materials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sole with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but cannot be changed once manufactured, and the characteristics are always the same to suit the needs of the user. I could not match.

또 다른 것은 공기쿠션을 가진 신발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는 공기쿠션이 완충기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장점을 가진 것이며 이는 예컨대, 착용자가 뛰다가 돌을 밟았을 경우에 신발창에 국부적으로 상향되는 힘이 걸리게 되며, 이 상향되는 힘은 공기쿠션의 공동을 통하여 이 신발을 신은 착용자의 발바닥의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서 이 공기쿠션에 의하여 상기한 상향되는 힘을 흡수하도록 된 것이었다.Another produces shoes with air cushions, which has the advantage that the air cushion acts as a shock absorber, for example, when the wearer is running and steps on a stone, the force is locally raised on the sole. This upward force was distributed evenly throughout the sole of the wearer wearing the shoe through the cavity of the air cushion to absorb the upward force by the air cushion.

그러나, 상기한 공기쿠션은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제조될 시에 소정압으로 공기로 충입되어지고, 일단 제조된 신발의 공기쿠션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이었다.However, the above air cushion is generally filled with ai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when manufactured at the factory, and has no means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air cushion of the shoe once manufactured.

또한 예컨대, 미합중국 특허 제 2,080,469호에는 공기쿠션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 공기쿠션에 구멍이 뚫리게 되면, 이 공기쿠션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힘이 상실되어 이에 따라 공기쿠션은 납짝하게 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U.S. Patent No. 2,080,469 discloses an air cushion, but when a hole is punched in the air cushion, the force for vertically supporting the air cushion is lost, thereby making the air cushion flat and unusable. will be.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 3,005,272에는 신발창에 공기쿠션에 구멍을 천설하여 이에 타이어용 밸브를 부착시킨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신발창을 팽창시키기 위하여서는 타이어 수리점까지 가야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것 역시 구멍이 뚫리게 되면, 공기쿠션은 납짝하게 되는 것이었다.In addition, U.S. Patent No. 3,005,272 discloses attaching a valve for a tire to a shoe sole by installing a hole in an air cushion. Not only does this have to go to a tire repair shop to inflate the soles, but when the holes are drilled, the air cushions become flat.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 4,219,945호에는 쿠션공동을 발포성 재료에 매설하되 이 쿠션공동에 특수가스로 충입시킨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쿠션공동도 구멍이 뚫어지면, 이 쿠션공동의 수직으로 지지하는 힘이 상실되는 것이다.In addition, U.S. Patent No. 4,219,945 discloses embedding a cushion cavity in a foamable material and filling the cushion cavity with a special gas. However, when the cushion cavity is also drilled, the force supporting the cushion cavity vertically is lost. Will be.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 4,263,728호에는 공기쿠션을 2단으로 형성하여 신발창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것이나. 이 역시 공기쿠션에 구멍이 뚫어지면 납짝하게 되어 공기쿠션의 작용이 상실되는 것이었다.In addition, U.S. Patent No. 4,263,728 is provided with two stages of air cushions to absorb the shock applied to the sole. Again, when the air cushion was punched out, it became flat and lost the function of the air cushion.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공기쿠션에 구멍이 뚫어져도, 또한 구멍이 반복해서 뚫어질지라도 수직으로 공기쿠션을 지지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공기쿠션 신발은 제조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 described above, even if a hole is punched in the air cushion, and even if the hole is repeatedly drilled, the air cushion shoe which can support the air cushion vertically and continue to be used cannot be manufactured.

더욱이,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공기쿠션은 제조공장에서 소정압으로 공기쿠션에 주입하여 봉합하기 때문에 그 이후에는 공기압을 조절할 수는 없는 것이며, 또한 금속재의 타이어용 밸브 또는 다른 형태의 공기밸브를 사용한 것도 있으나, 이러한 금속재의 타이어용 밸브는 신발창의 측면에 설치되어 지는 것이어서 신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될 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쉽게 감지할 수 있는 등의 결점을 가진 것이다.Moreo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since the air cushion is injected into the air cushion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sealed at the manufacturing plant, the air pressure cannot be adjusted thereafter, and a metal tire valve or another type of air valve is also used. However, such a metal tire valve is to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hoe sole not only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shoe, but also has a defect that can be easily detected by the wearer.

또 다른 밸브는 일방형 밸브를 통상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요구조건에 맞게 공기쿠션에 충입된 공기를 조절할 수 없어서 이에 따라 착용자는 자기에게 알맞은 신발을 선택하여 신을 수가 없었다.Another valve typically uses a one-way valve, so it is not possible to adjust the air filled in the air cushion to the wearer's requirements, so that the wearer cannot select and wear a shoe suitable for him.

따라서,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공기쿠션의 공동에 충입된 압력이 소정치 이상이 되면 공기는 공기밸브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누출되어, 이에 의하여 압력증가를 가져오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자동 공기누출수단을 가진 것은 전혀 없었다.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when the pressure charged in the cavity of the air cushion become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air is automatically leaked through the air valve, thereby providing an automatic air leakage means which absorbs the shock that causes the pressure increase. There was nothing at all.

또한, 종래의 공기쿠션의 제조방법은 둘 이상의 공정으로 된다. 즉, 공기쿠션을 두 부분으로 분할 제조하여 이를 봉합시키는 공정으로 되어서 제조비용이 고가로 됨과 동시에 재료의 낭비를 가져오는 것이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the air cushion is two or more processes. In other words, the air cushion is made by dividing the two parts into a process of sealing them, which leads to a high production cost and waste of materials.

본 발명의 공기쿠션을 제조하는 방법은 공기쿠션의 단면이 본질적으로 사각형태로 되고, 블로우 모울딩에 의하여 제조하며, 이 쿠션의 수직지지력은 쿠션공동을 형성하는 탄성재질의 구성과 두께에 의하여 정해지며, 그 두께는 0.5㎜에서 2㎜정도이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ir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air cushion is essentially square and manufactured by blow molding, and the vertical support force of the cushion is determined by the configuration and thickness of the elastic material forming the cushion cavity. The thickness is about 0.5 mm to 2 mm.

상기한 공기쿠션의 수직지지력의 요소는 공기쿠션 성형시에 대칭되는 한쌍의 요홈(내측으로는 돌기부)의 형태로서 형성되는 수직지지부의 개수이며, 쿠션을 형성하는 재질의 수직지지력은 f=1/2ks공식에 기초를 두고 있다.The element of the vertical support force of the air cushion is the number of vertical support parts formed in the form of a pair of grooves (protrusions on the inner side) which are symmetrical when forming the air cushion, and the vertical support force of the material forming the cushion is f = 1 / It is based on the 2ks formula.

여기서 f는 평균 압축력이며, k는 피압축 재질의 탄성위치에너지의 강성계수로서 상수이고, s는 피압출 재질의 압축된 거리이다.Where f is the average compressive force, k is the stiffness coefficient of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of the material to be compressed, and s is the compressed distance of the material to be extruded.

본 발명의 공기쿠션을 블로우 모울딩으로 제조시에는 압축기에서 탄성재료를 약간 큰 튜우브(관체)의 형태로 압출하고, 이 압출되는 튜우브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이 압출된 튜우브가 원형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이 압출된 튜우브의 양측에 한쌍의 모울드를 설치하며, 이 모울드의 내측에는 공기쿠션의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When the air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blow molding, an extruded elastic material is extruded in the form of a slightly larger tub (pipe) in a compressor, and the extruded tub is circular by supplying air into the extruded tub. A pair of mold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xtruded tubule, and the shape of the air cushion is formed inside the mold.

상기한 압출된 튜우브를 가운데 놓고 양측에서 모울드를 닫어서 밀폐시키며 이 튜우브에는 상기한 공기의 공급으로 어느 정도 공기가 충입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 압축공기를 모울드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공기쿠션으로 주입시키면 이 모울드에The extruded tube is placed in the center, and the mold is closed on both sides, and the tube is filled with air to some extent by the supply of the above air, and compressed air is supplied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mold. If you infuse it with a cushion,

또한, 블로우 모울딩을 행할시에 이미 성형된 바닥창을 일측의 모울드에 삽입하고 압출되는 튜우브상의 압출물과 접촉되는 상기한 바닥창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블로우 모울딩을 행하면, 공기쿠션이 성형되는 동시에 공기쿠션이 바닥창에 접착되어 진다.In addition, when the blow molding is performed, the already formed sole is inserted into a mold on one side, and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outsole in contact with the extruded tubular extruded material and blow molding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air cushion is glued to the sole.

동일한 방법으로 신발의 상부를 공기쿠션의 형성시에 동시에 접착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In the same way, the upper part of the shoe can be bonded at the same time to form the air cushion.

또한, 본 발명의 공기쿠션은 모울드 성형시에 측면에 최소한 한 개의 원통형 튜우브를 형성하여 이에 공기가 밸브를 삽착하여 부착시키며, 이 공기밸브는 통상적인 경기용 공에 사용하는 공기주입용 바늘로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동시에 이 공기쿠션의 공동에 충입된 공기가 소정압 이상으로 될시에는 공기가 자동적으로 누출되는 공기자동 누출수단을 구비한 것이며, 상기한 공기의 소정압은 40-100psi이며, 바람직하게는 20-40psi정도이다.In addition, the air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t least one cylindrical tube on the side when the mold is formed, the air is inserted into the valve attached to the air valve, this air valve is a needle for the air injection used in a conventional ball The air can be injected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air filled in the cavity of the air cushion is above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air is automatically provided with a means for leaking, the predetermined pressure of the air is 40-100psi Preferably, it is about 20-40psi.

또한, 본 공기쿠션은 둘 또는 그 이상의 공동으로 분리 구성하고, 이 각각의 공동에 공기밸브를 부착시켜서 각각의 공기쿠션의 공동에 상이한 소정압으로 공기를 주입시킬 수가 있으며, 이것은 단일 공동을 갖는 공기쿠션과는 상이한 것이다.In addition, the air cushion can be separated into two or more cavities, and an air valve can be attached to each of the cavities to inject air at different predetermined pressures into the cavities of the respective air cushions. It is different from the cushion.

또한, 본 발명의 이단 공기쿠션은 미 합중국 특허 제 4,263,728호와 상이하게 블로우 모울딩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 이단 공기쿠션은 가장자리 부위보다 중심부In addition, the two-stage air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blow molding differently from US Patent No. 4,263,728, the two-stage air cushion is the center portion than the edge portion

또한, 상기한 이단 공기쿠션에 평편한 바닥창을 접합시킬시에 이 바닥창에 공기통로를 형성하여 상기한 이단 공기쿠션이 공기 폄프로서 역할을 수행하여 신발창에 공기의 유출입을 시킬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a flat sole is bonded to the two-stage air cushion, an air passage is formed in the outsole so that the two-stage air cushion serves as an air pump to allow air to flow in and out of the shoe sole. .

또한, 본 발명의 공기쿠션은 외관을 좋게하고, 수직지지력을 보강시키기 위하여 발포성 재료에 공기쿠션을 캡슐화시켜 매설시킬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ir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edded by encapsulating the air cushion in the foam material in order to improve the appearance and reinforce the vertical support force.

그리고, 본 발명의 공기쿠션에는 표면으로 수개의 요홈, 즉 내측으로는 수개의 돌기부를 형성하여 이 돌기부의 높이가 공기쿠션의 수직높이와 동일하게 하여 이 돌기부가 수직지지부의 역할을 행하게 된다.In the air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veral grooves, that is, several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the height of the protrusions is the same as the vertical height of the air cushion so that the protrusions serve as vertical support portions.

또한, 본 발명의 공기쿠션의 저면부를 두껍게 형성하여 저면과 접촉되는 신발의 바닥창으로 쓸 수가 있으며, 또한 공기쿠션의 상부표면을 평면으로 형성하여 이 신발을 신은 사람이 체중을 균일하게 공기쿠션으로 분포시켜서 이 공기쿠션의 수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forming a thick bottom portion of the air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the sole of the sho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also by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ushion in a flat plane, the person wearing this shoe to uniformly weight the air cushion By distributing it, the vertical stability of the air cushion can be improv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공기쿠션은 내부에 공동을 가지며, 제 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로우 모울딩에 의하여 성형, 제조된다.The air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vity therein, and is molded and manufactured by blow molding, as shown in FIG.

제1도는 공기쿠션이 성형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양측의 모울드(10)(11)는 분할된 것으로 이 모울드(10)(11)는 좌우(제1도에서)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In FIG. 1, the air cushion is a molding step, and the molds 10 and 11 on both sides are divided, and the molds 10 and 11 are reciprocated to the left and right (in FIG. 1).

이 모울드(10)(11)의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각각 돌기(101)(111)가 돌설되어서 공기쿠션에 표면으로 보아서는 상호 대칭되는 한쌍의 요홈(21), 내측으로 보아서는The projections 101 and 111 are protruded on the mutually opposite inner surfaces of the mold 10 and 11, respectively, and a pair of grooves 21 are symmetrically viewed from the surface of the air cushion.

상기한 공기쿠션을 성형하는 데에 사용되는 탄성재료는 다음의 것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한다.The elastic material used for molding the above air cushion is selected from the following.

즉,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클로리네이티드 폴리에틸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클로로설포네이티드 폴리에틸렌, 또는 네오프렌등이며, 바람직한 것은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이다.That is, polyurethane, polyethylene /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olyester elastomer, cloned polyethylene, polyvinyl chloride,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neoprene and the like, and preferred are polyurethane or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또한, 공기쿠션은 충격 흡수재가 충입되어지고, 이 충격 흡수재는 액체, 가스,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상 용이한 것은 가스로서는 공기를 사용하고, 액체로서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스러운 것이다.In addition, the air cushion is filled with a shock absorber, and the shock absorber can be used as a liquid, a gas, or a combination thereof. It is preferable to use air as a gas and water as a liquid.

상기한 공기쿠션을 캡슐화시켜서 발포성 탄성재료에 매입시킬 시에는 상기한 탄성재료는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네오프렌 또는 폴리에스터등이며,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등이 바람직스러운 것이다.When the air cushion is encapsulated and embedded in the expandable elastic material, the elastic material may be polyurethane, polyethylene /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neoprene or polyester, and the like, or polyurethane or polyethylene /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It is desirable.

본 발명의 공기쿠션의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블로우 모울드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는 분할되는 모울드(10)(11)를 상호 이간시키고, 이 사이로 압출기(1)에서 상기한 탄성재료를 관체로 압출시킴과 동시에 이 압출되는 관체의 내부로 가스, 예컨대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압출하여 이 압출되는 관체형의 탄성재료가 항시 원형의 관계가 되면서 압출된다.One embodimen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ir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The divided molds 10 and 11, which are manufactured in a blow mold mann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extruder 1 extrudes the above-mentioned elastic material into the tubular body, and at the same time a gas, for example, air into the tubular body being extruded Extruding while discharging, the extruded tubular elastic material is always extruded in a circular relationship.

또한, 상기한 모울드(10)(11)에는 공동이 형성되고 있고, 이 공동에는 상호 대향In addition, a cavity is formed in the mold 10 and 11, and the cavity is opposed to each other.

이와같이 형성된 한쌍의 모울드(10)(11)사이로 상기한 압출되는 탄성재료를 위치시킨후에 이 모울드(10)(11)를 상호 합치시키면, 상기한 관형의 탄성재료가 모울드(10)(11)에 의하여 밀폐되면서 이 탄성재료의 내부로 배출되고 있는 공기도 모울드(10)(11)에 의하여 밀폐되어 모울드(10)(11)이 형상으로 성형되지만, 이 때에 탄성재료의 내부에 있는 공기가 불충분하여 완전한 성형이 이루워지지 않게 되어 상기한 모울드(10)(11)의 양 측방에 형성된 원통형 공간부에 의하여 성형된 원통형 튜우브에 중공체인 바늘을 꽂고 이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상기한 모울드(10)(11)의 공동에 삽입된 탄성재료는 상기한 공기의 압력으로 모울드(10)(11)의 공동의 내벽에 밀착이 되어짐에 따라 모울드(10)(11)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며, 다음에 모울드(10)(11)를 이간시켜서 성형된 공기쿠션(2)을 취출하게 된다.When the extruded elastic material is placed between the pair of molds 10 and 11 form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molds 10 and 11 are mutually matched, the tubular elastic material is transferred to the molds 10 and 11. The air discharged into the elastic material while being sealed by the mold is also sealed by the molds 10 and 11 so that the molds 10 and 11 are shaped into shapes, but at this time, the air inside the elastic material is insufficient. When the complete molding is not achieved, the hollow body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tubing formed by the cylindrical spac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ld 10 and 11, and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thereto. The elastic material inserted into the cavity of the 11) is molded into the same shape as the mold 10 and 11 as i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avity of the mold 10 and 11 by the pressure of the air. Molding by separating the molds 10 and 11 Is taken out of the air cushion (2).

또한, 상기한 압출기(1)로부터 압출되는 탄성재료는 가열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에 별도의 열을 가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material extruded from the extruder 1 is heated,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additional heat thereto.

상기와 같이 블로우 모울딩으로 성형된 공기코션(2)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단면이 사각형태로 되고, 내부에 공동을 가지며, 상기한 모울드(10)(11)의 돌기 (101)(111)에 의하여 공기쿠션(2)의 표면에는 상호 대칭되는 한쌍의 요홈(21)이 다수 형성되며, 이 한쌍의 요홈(21)이 수직 지지부로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공기쿠션(2)의 상부면은 평면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air cushion 2 formed by blow molding as described above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has a cavity therein, and the mold 10, 11 of the mold A plurality of grooves 21 are symmetrical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ir cushion 2 by the projections 101 and 111, and the pair of grooves 21 serve as vertical supports, and the air cushion ( The upper surface of 2) is flat.

상기한 요홈(21)에 의한 수직지지부로 인하여 이 공기쿠션(2)을 팽창시키지 않아도 체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Due to the vertical support by the groove 21,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weight without inflating the air cushion (2).

또한, 공기쿠션(2)을 상기한 블로우 모울딩으로 성형하면, 내부의 압력을 약 40psi 정도로 충격 흡수재, 예컨대, 공기, 또는, 물을 주입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압력의 이상으로 주입시키면, 이 공기쿠션(2)은 겉으로 볼록하게 팽창된다.In addition, when the air cushion 2 is molded by the blow molding described above, a shock absorber such as air or water can be injected into the internal pressure of about 40 psi. The cushion 2 is inflated outwardly.

제5도 및 제6도는 공기쿠션(2)의 양 측방에 형성된 원통형 튜우브에 공기밸브(22)가 삽착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5 and 6 show that the air valve 22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tub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ir cushion 2, and FIGS. 7 and 8 show respective cross sections.

상기한 공기밸브(22)의 중심봉을 가지며, 이 중심봉의 일끝단부에 플랜지(23)을 형성하고 이 플랜지(23)에 수개의 절결부를 형성시킨다.The center rod of the air valve 22 is formed, and a flange 2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enter rod, and several cutouts are formed in the flange 23.

이 공기밸브(22)의 중심봉을 상기한 공기쿠션에 형성된 원통형 튜우브에 삽착시키며, 이 튜우브의 중심선과 상기한 공기밸브(22)의 중심봉의 중심선과는 동심축으로 되고, 상기한 튜우브는 공기쿠션(2)의 내부의 공동과 연통이 되는 통로를 가지며, 이 통로를 상기한 플랜지(23)를 삽착시키면, 이 플랜지(23)로 인하여 공기밸브(22)는 튜우브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된다.The center rod of the air valve 22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tube formed in the air cushion, and the center line of the tube and the center line of the center rod of the air valve 22 are concentric with each other. Has a passage in communication with the cavity inside the air cushion 2, and when the passage is inserted into the flange 23, the flange 23 prevents the air valve 22 from coming out of the tub. do.

제 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공기쿠션(2)의 양 측방에 형성된 원통형 튜우브에 다수의 탄성재인 "O" 링(221)을 끼우며, 또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한 튜우브에 탄성재인 관체링(222)을 끼워서 상기한 공기쿠션(2)의 내부의 공동에 충입된 충격 흡수재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elastic ring 221 rings are inserted into cylindrical tub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ir cushion 2, or as shown in FIG. 8. By fitting the pipe ring 222 which is an elastic material to the web, the shock absorber filled in the cavity inside the air cushion 2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상기한 "O" 링(221)또는 관형 링(222)의 크기 및 개수는 공기쿠션(2)의 공동의 압력이 소정치 이상으로 도달될 시에는 이 공기쿠션(2)의 공동에 충입된 충격 흡수재 예컨대, 공기가 이 공기쿠션(2)의 양 측방으로 형성된 튜우브의 내부에 통로를 통하여 누출할 수 있도록 정한다.The size and number of the "O" ring 221 or the tubular ring 222 is the impact that is filled in the cavity of the air cushion 2 when the pressure of the cavity of the air cushion 2 reache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Absorbers, for example, are arranged to allow air to leak through the passages inside the tub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ir cushion 2.

즉, 공기밸브(22)의 플랜지(23)에 형성된 절결부를 통하여 공기쿠션(2)의 공동에 충입된 충격 흡수재가 가압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밸브(22)의 중심봉과 상기한 튜우브의 내벽사이에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하게 되며, 이때에 상기한 "O"링(221)이나, 관형링(222)의 내향으로 압착할려는 탄성력에 대항하면서 상기한 틈새를 근소하게 확장하면서 외부로 누출할 수 있도록 상기한 "O"링(221)이나 관형 링(222)의 크기 및 개수를 정한다.That is, the shock absorbing material filled in the cavity of the air cushion 2 is pressurized through the cutout formed in the flange 23 of the air valve 22. As a result, the center rod of the air valve 22 and the tube are described above. Leaks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while at the same time against the elastic force to squeeze inwardly of the "O" ring or the tubular ring 222 while slightly expanding the gap The size and number of the "O" ring 221 or the tubular ring 222 is determined so as to leak.

이것이 상기한 공기쿠션(2)의 공동에 충입된 충격 흡수재의 압력이 소정치이상으로 될 때에 자동적으로 누출되는 수단이 되는 것이다.This is a means of automatically leaking out when the pressure of the shock absorber filled in the cavity of the air cushion 2 becomes above a predetermined value.

즉, "O"링 또는 관체 링의 내향으로 작용하는 압착력으로 평시에는 공기쿠션의 공동에 충입된 충격 흡수재의 누출을 방지하나, 이 충격 흡수재의 압력이 소정치를 초과하면, 상기한 내향으로 작용하는 압착력보다 크게 되어서 충격 흡수재는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다.That is, the compression force acting inwardly of the "O" ring or tubular ring prevents leakage of the shock absorber filled into the cavity of the air cushion, but when the pressure of the shock absorber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it acts inwardly. It becomes larger than the compressive force, so that the shock absorber leaks to the outside.

또한, 공기밸브(22)의 중심봉에 일반적으로 경기용 공에 공기를 주입시에 사용하는 주사바늘을 꽂고 공기, 물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공기쿠션(2)의 공동에 쉽게 주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쿠션(2)는 소정압으로 간편하게 팽창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inserting a needle generally used for injecting air into a competition ball to the center rod of the air valve 22, air, water or a combination thereof can be easily injected into the cavity of the air cushion (2), accordingly The air cushion 2 can be easily inflat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따라서, 착용자가 충격 흡수재, 예컨대 공기를 상기한 공기쿠션(2)의 공동에 과도하게 충입시킨 경우나, 또는 착용자가 돌등을 밟았을 경우에는 공기쿠션(2)의 공동에 충입된 충격흡수재, 예컨대 공기는 상기한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이 공기쿠션(2)의 공동으로부터 여분의 압력은 전술한 바와같이 외부로 자동적으로 누출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wearer excessively charges the shock absorber such as air into the cavity of the air cushion 2 described above, or when the wearer steps on a stone, the shock absorber filled in the cavity of the air cushion 2, for example The air absorbs the above-mentioned shock and at the same time, excess pressure from the cavity of the air cushion 2 is automatically leaked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또한, 제6도 및 제8도는 신발의 뒷창부분에 부착시켜서 사용하는 공기쿠션(2)을 나타낸 것으로 상부표면이 약간 오목하게 형성된 것이며, 또한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6 and 8 show the air cushion 2 attached to the rear window of the shoe, and the upper surface is slightly concave, and also shown in FIGS. 7 and 8

제9도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분할되는 모울드(10)(11)의 일측의 모울드(10)내에 사전에 성형된 고무 바닥창(4)을 삽입하며, 이 바닥창(4)에는 다수의 구멍이 천설되어 있어서 이 구멍을 통하여 상기한 모울드(10)의 내부에 돌설된 돌기(101)가 관통하여 공기쿠션(2) 에 요흠(21)을 형성시키게 되며, 이와 대향되게 상기한 모울드(11)에도 돌기(111)가 돌설되어서 이 역시 요홈(21)을 형성하게 된다.9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reformed rubber sole 4 is inserted into a mold 10 on one side of a divided mold 10, 11. The sole 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the protrusions 101 protruding inside the mold 10 penetrate to form recesses 21 in the air cushion 2, The projections 111 are also protruded in the mold 11 so as to face the grooves 11.

또한, 상기한 바닥창(4)과 탄성재료로서 성형되는 고무쿠션(2)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전술한 블로우 모울딩방식으로 공기쿠션(2)을 모울드(10)(11)로서 성형하게 되면, 이 바닥창(4)에 공기쿠션(2)이 접착되면서 성형이 되어지며, 이와 같이 성형된 신발창의 단면이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1도 및 제12도는 공기쿠션(2)이 발포성 폴리우레탄에 매설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공기쿠션(2)에 대하여 상기한 재료를 사출 성형에 의하여 제조된 신발창이다.In addition, when the adhesive is applied between the sole 4 and the rubber cushion 2 molded as an elastic material, the air cushion 2 is molded as the mold 10 and 11 by the blow molding method described above. As the air cushion 2 is attached to the sole 4, the molding is performed, and the cross-section of the shoe sole formed as above is illustrated in FIG. 10. 11 and 12 show that the air cushion 2 is embedded in a foamed polyurethane, which is a shoe sole made by injection molding the above-described material for the air cushion 2.

상기한 공기쿠션(2)은 상호 대칭되는 요홈(21)사이에 형성된 박육부에 구멍(211)을 천설하여 이 공기쿠션(2)에 대하여 발포성 폴리우레탄의 재료로 사출성형할 때에 이 요홈(21)내에 들어 있는 공기가 상기한 구멍(211)을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한 발포성재료로 상기한 요홈(21)을 꽉 채우게 된다.The air cushion 2 is provided with a hole 211 formed in a thin portion formed between the grooves 21 which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nd this groove 21 is formed when injection molding the foamed polyurethane material with respect to the air cushion 2. Air i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hole 211 to fill the groove 21 with the foamable material.

따라서, 이 요홈(21)내에 발포성 재료가 채워지기 때문에 상기한 공기쿠션(2)은 ""Therefore, since the foamed material is filled in the groove 21, the air cushion 2 can be removed.

또한,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분할되는 한쌍의 모울드(10)(11)중에서 일측의 모울드(10)내에 전술한 바와같이 바닥창(4)을 삽입시키고, 타측의 모울드(11)에는 신발상부(5)를 위치시키되, 이 신발상부(5)의 내부에 신발모울드(51)를 삽입시키며, 또한 상기한 바닥창(4)과 신발상부(5)의 바닥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에 이들 사이에 탄성재료를 전술한 바와같이 압출하여 상기한 모울드(10)(11)를 합치시켜서 블로우 모울딩 방식으로 공기쿠션(2)을 성형시키면, 이 공기쿠션(2)에 바닥창(4)과 신발 상부(5)가 동시에 접착이 되어서 완전한 신발이 되어진다.13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ole 4 is inserted into a mold 10 on one side of a pair of molds 10 and 11 to be divided. The shoe 11 is placed in the mold 11 on the other side, and the shoe mold 51 is inserted into the shoe upper part 5, and the sole 4 and the shoe upper part 5 are also provided. When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ld, the elastic material is extrud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molds 10 and 11 are combined to form the air cushion 2 in a blow molding manner. The sole 2 and the upper shoe 5 are bonded to the cushion 2 at the same time, resulting in a complete shoe.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신발이 제14도에 도시되어 있고, 특히 제14도에서 공기쿠션(2)은 신발에 있어서 앞부분에 코부분이 형성된 것을 볼 수가 있으며, 이와 같이 신발의 앞부분에 장식적 목적으로 코부분을 형성시키는 데에는 공기쿠션(2)에 대하여 코부분에 해당되는 재료를 사출 성형시켜서 형성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The shoe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 14, and in particular, the air cushion 2 can be seen that the nose part is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shoe, and thus, for decorative purposes in the front part of the shoe. The nose portion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the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nos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air cushion 2.

제 15도는 공기쿠션(2)의 바닥을 두껍게 하여 신발의 바닥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제13도로 나타낸 방법으로 신발상부(5)를 모울드(11)에 놓고 상기한 공기쿠션(2)을 성형하게 되면 성형과 동시에 완전한 신발이 제조된다.FIG. 15 is configured to thicken the bottom of the air cushion 2 so as to be used as a sole of a shoe. The air cushion 2 is placed on the mold 11 by placing the upper shoe 5 on the mold 11 by the method shown in FIG. Molding produces a complete shoe at the same time as it is molded.

또한, 이와같은 공기쿠션을 제1도로 나타낸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여 이의 상면에 신발상부를 접착시켜서 신발을 제조하여도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uch an air cushion may be manufactured by the method shown in FIG. 1, and the shoe upper part may be adher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to manufacture a shoe.

또한, 상기한 공기쿠션은 신발의 바닥창과 공기쿠션의 역할을 겸한 것이어서 이에 따라 이 공기쿠션의 재질은 인장강도와 내마모성이 있는 것을 선택하여야 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air cushion serves as the sole and the air cushion of the shoe, so the material of the air cushion should be selected to have tensile strength and wear resistance.

다음, 제16도 및 제17도로 나타낸 공기쿠션(2)은 이의 내부에 2개의 독립된 공동(201)(202)이 형성된 것이며, 이 각각의 공동(201)(202)에는 각각의 공기밸브(22)를 가진 것이다.Next, the air cushion 2 shown in FIGS. 16 and 17 has two independent cavities 201 and 202 formed therein, each of which has a respective air valve 22. )

따라서, 상기 공기쿠션(20)의 각각의 공동(201)(202)에는 상이한 압력으로 충격흡수재를 충입시킬 수가 있으며, 이때에 압력을 소정치로 조절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같이 공개밸브(22)의 외측으로 삽착되는 "O"링(221)에 의하여 각 공동(201)(202)의 압력을 상이하게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압력이 소정치 이상으로 되면 자동적으로 누출되어 압력을 소정치로 유지할 수 있고, 이 공기쿠션(20)은 착용자가 행하는 스포츠의 특수성에 따라서 각각 공동(201)(202)의 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erefore, each of the cavities 201 and 202 of the air cushion 20 can be filled with a shock absorbing material at a different pressure, and adjusting the pressure to a predetermined value at this time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of each of the cavities 201 and 202 can be selectively adjusted by the check ring 221 inserted to the outside, and when the pressure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pressure is automatically leaked to maintain the pressure at a predetermined value. The air cushion 2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adjust the pressure of the cavities 201 and 202,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specificity of the sport performed by the wearer.

제18도 및 제 19도는 공기쿠션을 단순화 및 기계화 시킨 것으로, 이 공기쿠션(6)은 사각형태의 튜우브형으로 캡슐화시킴과 동시에 이에 독립적으로 공기밸브(22)가 삽착되어 있으며, 이 개체형의 공기쿠션(6)을 발포성 신발창(3)에 매설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18 and 19 simplifies and mechanizes the air cushion. The air cushion 6 is encapsulated in a square tube shape, and at the same time, an air valve 22 is inserted therein. The air cushion 6 is to be embedded in the foam sole (3) to be used.

제 21도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블로우 모울딩 방식을 다시 한번 나타낸 것으로, 한쌍의 모울드(10)(11) 내부에 공기쿠션(2)이 삽입되어 성형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상기한 공기쿠션(2)의 양 측방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튜우브에 중공체인 바늘을 통하여 압축공기를 충입시켜서 공기쿠션이 모울드(10)(11) 의 내부의 형상에 밀착되어 모울드(10)(11)의 형상과 동일한 공기쿠션(2)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21 is a blow molding method us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nce again, the air cushion (2)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mold (10) (11) showing the molding process, the air cushion described above The air cush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hape of the mold 10 and 11 by filling compressed air through a needle, which is a hollow body, to cylindrical tub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ape of the mold 10 and 11. It shows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ame air cushion (2).

또한, 제22도 내지 제24도는 본 발명의 이단 공기쿠션(2)을 나타낸 것으로, 뒷창부분만 도시한 것이다.22 to 24 show the two-stage air cushion 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 only the rear window portion.

상기한 공기쿠션(2)은 상, 하부면의 중심부위가 오목하게 형성된 것이며, 이의 하부면에 제24도와 같이 상부면이 볼록한 바닥창(4)을 접착시켜서 사용할 시에는 이단 공기쿠션이 되고, 제28도와 같이 평평한 바닥창(4)을 접착시켜서 사용할 시에는 펌프작용을 하는 공기쿠션이 되는 것이다.The air cushion (2) is formed o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is concave, and when used by adhering the sole 4, the upper surface is convex as shown in FIG. When it is used to adhere the flat sole 4 as shown in Figure 28 will be the air cushion to act as a pump.

제25도 내지 제27도는 상기한 공기쿠션(2)에 중단높이 정도의 볼록한 뒷굽 바닥창(4)을 접합한 것으로 이단 쿠션작용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25 to 27 are shown by combining the convex heel sole 4 of the height of the interruption to the air cushion (2) in order to show a two-stage cushioning action sequentially.

즉, 제25도는 무부하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제26도는 공기쿠션(2)의 중심이 하향할 정도의 가벼운 부하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제27도는 가벼운 부하상태에서 무거운 부하상태로 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공기쿠션(20)의 전체가 변형된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That is, FIG. 25 shows a no-load state, FIG. 26 shows a light load state in which the center of the air cushion 2 is downward, and FIG. 27 shows a heavy load state in a light load stat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entirety of the cushion 20 is deformed.

제28도 내지 제32도는 제22도로 나타낸 뒷굽부분의 공기쿠션에 평평한 바닥창(4)을 접합시켜서 이 공기쿠션(2)이 펌프 작용을 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제 30도 및 제 32도는 앞창부분에 공기통로를 형성하고 이의 끝단부위에 다수의 통공을 천설하여 뒷창부분의 공기쿠션(2)과 바닥창(4) 사이와 연통시켜서 제 29도와 같이 공기쿠션(2)의 바닥창(4)이 접할시에는 이에 인입된 공기가 상기한 공기통로를 통하여 통공으로 제30도와 같이 배출되고, 다시 제31도와 같이 공기쿠션(2)과 바닥창(4)이 이간되어 떨어질 때에는 제32도와 같이 상기한 통공과 공기통로를 통하여 신발내부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어서 신발내부에 있는 공기를 순환시키기 때문에 착용자의 발을 서늘하게 냉각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28 to 32 show that the air cushion 2 pumps by attaching a flat sole 4 to the air cushion of the heel shown in FIG. 22, and FIGS. 30 and 32 show the front window portion. Air passages are formed on the floors,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laid at the ends thereof so as to communicate between the air cushions 2 and the soles 4 at the rear window portions, so that the soles 4 of the air cushions 2 are as shown in FIG.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ir introduced therethrough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passage through the air as shown in FIG. 30, and again as shown in FIG. 31 when the air cushion 2 and the sole 4 fall apart as described in FIG. Through the air passages and through the air intake of the outside air through the inside of the shoe to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shoe to bring the effect of cooling the wearer's feet cool.

또한, 제33도내지 제36도는 본 발명의 공기쿠션(2)을 앞창부분에 적용할 시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것과 동일한 것이며, 다만 이 공기쿠션은 앞창부분으로 사용하는 것이어서 이 공기쿠션의 가로방향으로 굴곡성을 주기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평행되게 다수의 공동을 형성시킨 것이다.33 to 36 show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air cushion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front window por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which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air cushion is the front window portion. In order to give flexibilit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is air cushion, a plurality of cavities were formed parallel to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한 각각의 공동을 공기밸브(22)와 연통시키기 위하여 구멍이 천설되어 있고 이의 길이방향으로 상하로 오목 들어가는 찬넬형상(제36도 참조)을 형성시켜서 상기한 가로방향의 굴곡성의 복원력을 주게 된다.In order to communicate each of the above cavities with the air valve 22, a hole is formed and a channel shape (see FIG. 36) recessed vertic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s formed to give a restoring force in the above-mentioned horizontal direction. .

다음 제37도는 본 발명의 공기쿠션(2)과 종래의 공기쿠션을 비교한 도면으로 제37도의 좌측에는 본 발명의 공기쿠션(2)이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공기쿠션(2)에는 전술한 상호 대칭되는 요홈(21)에 의하여 수직 지지가 형성된 것이어서 이의 내부에 형성된 공동에 충격 흡수재를 주입시켜서 팽창된 상태로 사용하다가, 이 공기쿠션(2)에 구멍이 뚫어져도 상기한 수직 지지부에 의하여 그 원형상태를 유지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종래의 공기쿠션은 제37도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조각의 핀상 재료를 상호 접합시켜서 제조된 것이어서 여기에 구멍이 뚫어질 경우에는 수직으로 지지하는 구성요소가 전혀 없어서 납짝하게 변형되어 이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되는 것을 비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37 is a view comparing the conventional air cushion 2 and the conventional air cushion. The air cushion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37, and the air cushion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support is formed by the mutually symmetric groove 21 so that a shock absorbing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cavity formed therein and used in the expanded state. Even though a hole is drilled in the air cushion 2, the vertical support is used. The conventional air cushion is manufactured by joining two pieces of pin-like materials to each other,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37, and is vertically supported when a hole is drilled therein. There is no compo- nent to make a flat deformation that makes it unusable.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제한할려는 의도는 아니며, 전술한 실시예로부터 많은 유형과 변형이 가능한 것이지만, 이는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many typ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y are naturally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3)

공기쿠션 신발창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부에 단면이 사각형태로 된 적어도 하나의 공동을 가지며, 다수의 돌기부가 돌설되고 적어도 내측의 상부면이 평면으로 되며, 적어도 일 측방에 하나의 원통형의 공간부를 가지는 동시에 분할되는 한쌍의 모울드 사이에 탄성재료를 위치시켜서 이 분할된 모울드를 합치시켜서 이모울드의 형상으로 공기쿠션을 성형하고, 상기한 원통형의 공간부에 의하여 성형된 원통형의 튜우브에 공기밸브를 삽착시켜서 이를 통하여 상기한 공기쿠션의 내부의 공동에 충격흡수재를 주입시키고, 상기한 공기밸브에는 상기한 공기쿠션의 공동에 충입된 충격 흡수재의 압력이 소정치 이상에서는 자동적으로 누출되는 수단을 형성시켜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의 제조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 cushion sole, having at least one cavity in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rein,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and at least an inner top surface being planar, and at least one cylindrical space on one side An elastic material is placed between a pair of molds having a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divided, and the divided molds are joined to form an air cushion in the shape of an emuls, and an air valve is formed in a cylindrical tube formed by the cylindrical space. Inserting a shock absorber into the cavity inside the air cushion, and forming a means in the air valve to automatically leak the pressure of the shock absorber filled in the cavity of the air cushion above a predetermined value.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 cushion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재료는 관체형상으로 압출됨과 동시에 이의 내부로 가스를 유출시켜서 관체형상을 유지시키면서 상기한 모울드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모울드를 합치시켜서 이에 가스를 충입시켜서 상기한 탄성재료가 모울드의 형상으로 팽창되어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의 제조방법.The elastic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material is extruded into a tubular shape and at the same time, the gas is discharged into the tubular body and placed between the molds while maintaining the tubular shape, and then the molds are combined to fill the gas.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 cushion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panded and molded in the shape of a mo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누출수단은 공기쿠션의 일 측방에 형성된 원통형 튜우브에는 공기쿠션의 내부의 공동과 연통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이에 상기한 공기쿠션의 중심봉을 삽착시켜서 이 중심봉과 상기한 튜우브의 내면사이를 통하여 상기한 공기쿠션의 공동의 압력이 소정치 이상에서는 누출되도록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According to claim 1, The leak means is a cylindrical tube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 cushion is formed in the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cavity of the inside of the air cushion, by inserting the center rod of the air cushion to the center rod and the Air cushion shoe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of the cavity of the air cushion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tubing is manufactured to leak above a predetermined value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원통형 튜우브는 탄성수단을 구비하여 이의 내향되는 탄성력으로 상기한 원통형 튜우브를 이에 삽착된 상기한 공기밸브의 중심봉 축으로 압착하여 상기한 통로를 밀폐시키고, 상기한 탄성수단의 내향되는 탄성력은 압력의 소정치에 의하여 정해져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ylindrical tube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ans to compress the cylindrical tube with the inward elastic force thereof in the center rod shaft of the air valve inserted therein to seal the passage, The inward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ans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 cushion sole, characterized in that is determined by a predetermined value of press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모울드는 분리된 적어도 두 개의 공동을 가짐과 동시에 이에 성형되는 공기쿠션도 2개의 공동을 가지며, 이 2개의 공동은 각각 공기밸브를 구비하여 각각 상이한 소정의 압력치를 갖도록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ld has at least two separate cavities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cushion formed therein also has two cavities, each of which has an air valve so as to have different predetermined pressure values.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 cushion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쿠션의 상호 대칭되는 한쌍의 요홈의 두께, 형상 및 개수는 이 공기쿠션에 구멍이 뚫어져서 이의 공동으로부터 압력이 유출되어도 상기한 공기쿠션은 착용자의 체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선택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의 제조방법.The air cushion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shape, and number of pairs of mutually symmetrical recesses of the air cushion are sufficient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wearer even when a pressure is released from the cavity by punching the air cush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ir cushion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to be sel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재료는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클로리네이티드 폴리에틸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클로로셀포네이티드 폴리에틸렌, 또는 네오프렌등으로 구성된 일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하고, 상기한 충격 흡수재는 가스, 액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lastic materi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urethane, polyethylene /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olyester elastomer, chlorinated polyethylene, polyvinyl chloride, chlorocellonated polyethylene, neoprene, and the like. To use, the shock absorbing material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 cushion so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gas, a liquid or a combination thereof.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모울드에 이미 성형된 바닥창을 삽입하여 상기한 탄성재료와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한 공기쿠션을 성형시에 이의 저면에 상기한 바닥창을 동시에 접착시켜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lready-formed sole is inserted into the mold to apply an adhesive between the elastic material and the above-mentioned sole is simultaneously bonded to the bottom of the air cushion during molding. Air cushion shoe sole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모울드에 신발의 상부를 삽입하여 상기한 탄성재료와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한 공기쿠션을 성형시에 이의 평평한 상부면에 상기한 신발의 상부를 동시에 접착시켜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upper part of the shoe is inserted into the mold, and an adhesive is applied between the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shoe is simultaneously bonded to its flat upper surface when the air cushion is forme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 cushion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탄성재료로 입체적인 형상으로로 모울드 성형된 공기쿠션 신발창에 있어서, 내부에 단면이 사각형태로 된 적어도 하나의 공동을 가지며, 다수의 상호 대칭으로 형성된 요홈이 형성되고 적어도 상부면이 평면으로 되며, 적어도 일측방향에 원통형 튜우브를 형성하여 이에 공기밸브를 삽착시켜서 이를 통하여 상기한 공기쿠션의 공동에 충입된 충격 흡수재의 압력이 소정치 이상에서는 자동적으로 누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An air cushion sole mold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with an elastic material, the air cushion sole having at least one cavity having a quadrangular cross section therein, a plurality of mutually symmetric grooves formed and at least the top surface being flat; Forming a cylindrical tubing in one direction by inserting an air valve thereby the air cushion s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of the shock absorber filled in the cavity of the air cushion through this is configured to leak automatically above a predetermined valu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원통형의 튜우브를 탄성수단을 구비하여 이의 내향되는 탄성력으로 상기한 원통형 튜우브를 이에 삽착된 공기밸브의 중심봉축으로 압착하여 상기한 공기쿠션의 고동과 연통이 되는 통로를 형성한 상기한 튜우브를 밀폐시키고, 상기한 탄성수단의 탄성력은 상기한 공동에 충입된 압력이 소정치 이상에서는 자동적으로 누출되도록 구성된것을 특징으로하는 공기쿠션 신발창.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cylindrical tube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ans and the inward elastic force of the cylindrical tube is pressed against the central rod shaft of the air valve inserted therei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beating of the air cushion An air cushion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 is formed to seal the passag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ans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leak when the pressure charged in the cavity is above a predetermined valu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수단은 다수의 "O"링으로 구성되고, 이의 크기 및 개수는 상기한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하여 정해져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12. The sole of claim 11, wherein the elastic means comprises a plurality of shock rings, the size and number of which are determi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an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수단은 탄성재인 적어도 하나의 관형 링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원통형 튜브의 외측에 동심축상으로 삽착되고, 이의 크기 및 개수는 상기한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하여 정해져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elastic means is composed of at least one tubular ring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inserted concentrically on the outside of the cylindrical tube, the size and number thereof is determi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ans Air cushion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밸브의 중심봉의 끝단부에는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기한 원통형 튜우브에 고정이 됨과 동시에 상기한 플랜지에는 수개의 절결부를 형성하여 이를 통하여 상기한 공동에 충입된 충격 흡수재의 압력이 소정치 이상에서는 상기한 탄성수단의 내향되는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한 충격 흡수재가 자동적으로 누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12. The impact of claim 11, wherein a flang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enter rod of the air valve to be fixed to the cylindrical tube, and at the same time, several flanges are formed in the flange to thereby fill the cavity. An air cushion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automatically leak the shock absorber against the inward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ans when the pressure of the absorber is above a predetermined valu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쿠션의 상, 하면으로부터 상호 대칭으로 다수 요설된 하쌍의 요홈사이에는 박육부가 형성되고, 이 공기쿠션의 공동내부에 충격 흡수재가 충입되어 있지 않아도 착용자의 체중을 상기한 한쌍의 요홈이 지지하도록 하고, 이의 지지력은 상기한 한쌍의 요홈의 형상, 두께, 크기, 진동수 및 상기한 탄성재료의 성분에 의하여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The weight of the weare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 thin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recessed grooves which are symmetrically formed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air cushion, and the shock absorber is not filled in the cavity of the air cushion. The pair of grooves to be supported, the support force of the pair of groove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cushion sole is configured by the composition of the shape, thickness, size, frequency and the elastic materi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재료는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충격 흡수재는 공기이며, 상기한 압력의 소정치가 40-100psi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11. The air cushion sole of claim 10 wherein said elastic material is comprised of polyurethane, said shock absorber is air, and said predetermined value of said pressure is in the range of 40-100 psi.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호 대칭되는 요홈 사이에 형성된 박육부에 구멍을 천설하고, 이를 발포성 탄성재료에 매설하여 상기한 한쌍의 요홈 내부로 각각 상기한 탄성재료가 충입되어서 수직지지력이 증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a hole is formed in the thin portion formed between the mutually symmetric grooves, and embedded in the foam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elastic materials are filled into the pair of grooves, respectively, so that the vertical support force is increased. Air cushion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쿠션은 적어도 두 개의 공동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공동에 공기밸브를 구비하고, 이 각각의 공동은 상기한 소정압과 충격 흡수력을 갖도록 하되, 신발창에서 가장 높은 충격을 받는 부위와 그외 부위로 대응되게 구획시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ir cushion is composed of at least two cavities provided with an air valve in each cavity, each of the cavities to have the predetermined pressure and shock absorbing power, the highest impact in the sole Air cushioning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partitioned to correspond to the receiving area and other area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쿠션의 저면에는 바닥창이 접합되고, 평편한 상부면에는 신발상부가 접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The sole of claim 11, wherein the sole is bonded to the bottom of the air cushion, and the upper shoe is joined to the flat upper surfa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쿠션의 바닥면을 두껍게 형성시키고, 이의 소재를 내마모성으로 선택하여 상기한 공기쿠션의 바닥면이 지면과 접촉되는 바닥창으로 구성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ushion is formed thick, the material of the material is selected as abrasion resistance consists of an outsole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ush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쿠션의 상, 하부면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이의 하부면에 볼록한 바닥창을 접합시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The sole of claim 10, where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air cushion are formed to be concave, and convex soles are bonded to the lower surfaces of the air cush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쿠션의 상, 하부면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이의 하부면에 평평한 바닥창을 접합시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기쿠션 신발창.The sole of claim 10, where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air cushion are formed to be concave, and a flat sole is bonded to the lower surface thereof.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쿠션은 적어도 두개의 평행되는 사각형태의 공동을 형성하여 이를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통하여 연통시킴과 동시에 찬넬형상으로 연결시켜서 굴곡이 자유롭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쿠션 신발창.11. The air cushion sol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air cushion has at least two parallel rectangular cavities, which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t least one hole, and at the same time, are connected in a channel shape to flex freely. .
KR1019850008648A 1985-09-25 1985-11-19 Air cushion shoe sole KR90000138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85112172A EP0215974B1 (en) 1985-08-23 1985-09-25 Air-cushioned shoe sole components and method for their manufacture
EP85112172.3 1985-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87A KR870002787A (en) 1987-04-13
KR900001387B1 true KR900001387B1 (en) 1990-03-09

Family

ID=8193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8648A KR900001387B1 (en) 1985-09-25 1985-11-19 Air cushion shoe sol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900001387B1 (en)
AT (1) ATE58823T1 (en)
DE (1) DE3580849D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87A (en) 1987-04-13
ATE58823T1 (en) 1990-12-15
DE3580849D1 (en) 1991-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0995A (en) Air cushion shoe sole
US6463612B1 (en) Bladd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832630A (en) Bladd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A1337956C (en) Shock absorbing system for footwear application
CN101309609B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having fluid-filled support elements and its manufacture method
US5753061A (en) Multi-celled cushion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CN100450389C (en)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lobed fluid-filled chamber
CA1099506A (en) Footwear
US7244483B2 (en) Bladder with inverted edge seam and method of making the bladder
US5353459A (en) Method for inflating a bladder
CN101896087B (en) Article of footwear with fluid-filled chamber and method for inflating a fluid-filled chamber
CN101505625B (en)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lobed fluid-filled chamber
CN100409783C (en)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lobed fluid-filled chamber
CN101842028B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having fluid-filled support elements
US5979078A (en) Cushioning device for a footwear so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EP0215974B1 (en) Air-cushioned shoe sole components and method for their manufacture
US20070113425A1 (en)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US20010042321A1 (en) Bladder with multi-stage regionalized cushioning
JP2016509886A (en) Fluid-filled chamber for footwear with a central tension feature
CN102729502A (en) Fluid-filled chamber with a reinforced surface
KR900001387B1 (en) Air cushion shoe sole
WO2002102180A1 (en) Airbag for shoe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