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389B1 - 모자이크 화면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모자이크 화면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389B1
KR890002389B1 KR1019860001957A KR860001957A KR890002389B1 KR 890002389 B1 KR890002389 B1 KR 890002389B1 KR 1019860001957 A KR1019860001957 A KR 1019860001957A KR 860001957 A KR860001957 A KR 860001957A KR 890002389 B1 KR890002389 B1 KR 890002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signal
output
square wav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587A (ko
Inventor
권경안
전일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60001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389B1/ko
Publication of KR870009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6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 H04N5/18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by means of "clamp" circuit operated by switching circuit
    • H04N5/185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by means of "clamp" circuit operated by switching circuit for the black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38Image mosaicing, e.g. composing plane images from plane sub-im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32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image mosai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자이크 화면 발생회로
제1(a)도는 일반적인 출력화면 상태도.
제1(b)도는 모자이크된 본 발명의 출력화면 상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블럭다이어 그램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5 : 구형파 발진 및 펄스폭 변조부 25 : 인버터부
20 : 인버터 및 논 인버터부 AD1: 앤드게이트
30 : 클램프회로 35 : 스위칭 믹서부
A1,A2: 비교기 VB : 수직블랭크 신호
HB : 수평블랭크 신호 Q1,Q2,Q3,Q4: 트랜지스터
D3,D4,D5: 다이오드 ZD1,ZD2: 제너다이오드
VR1,VR2: 가변저항 R1,R2,R3: 저항
C1,C2: 콘덴서
본 발명은 비데오 카메라에 있어서 특수효과를 발생시킬수 있게한 모자이크 화면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비데오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더빙하거나 편집하고자 할때에는 여러가지의 기술이 요구되며 화면 효과상 바둑판 모양의 모자이크를 발생하고자 할때에는 여러가지의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가정이나 영업장소에서는 편집된 모자이크 화상을 얻기가 곤란한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비데오 카메라 회로에 단순하게 구성될 수 있는 모자이크 화면 발생회로를 제공하여 일반적인 가정이나 영업장소에서 커다란 편집효과를 기할수 있게한 것으로 수평 및 수직블랭크 신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구형파 펄스로서 수평 사이즈의 가변 범위를 조절한 후 수직 사이즈 폭의 콘트롤 신호에 따라 위상반전 및 비반전되게 함으로써 영상신호에 대한 스위칭 신호를 얻음과 동시에 혹 레벨이 보상되게 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a)도는 일반적인 출력 화면의 상태도로서 모자이크 화면 발생회로에 의하여 제1(b)도와 같이 편집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블럭다이어 그램도로써, 수평 수직블랭크 신호(HB)(VB)에 의하여 구형파가 발생되기 구성한후 가변저항(VR1)(VR2)으로 구형파 발진 및 펄스폭 변조부(10)(15)에서 발생되는 펄스폭 변조를 행하여 수평 및 수직 사이즈를 결정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이 구형파 발진 및 펄스폭 변조부(10)(15)의 출력이 인버터 및 논 인버터부(20)에 인가되게 구성시켜 수직블랭크 신호(VB)에 의하여 발생되는 콘트롤 신호로써 인버터 및 논 인버터되는 상태의 출력을 제어하여 바수평, 수직블랭크 신호(
Figure kpo00002
)(
Figure kpo00003
)와 같이 앤드게이트(AD1)를 통하여 영상신호(Nisc)가 인가되는 스위칭 믹서부(35)를 제어하게 구성시킨후 일측으로 인버터(25)를 통하여 클램프 회로(30)로 스위칭 기간에 생기는 흑 레벨을 보상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로써 수평블랭크 신호(HB)와 수직블랭크 신호(VB)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형파 발진 및 펄스폭 변조부(10)(15)는 초기 안정된 동작을 위한 트랜지스터(Q1)(Q4)의 클렉터측에 충방전용콘덴서(C1)(C2)를 통하여 비교기(A1)(A2)와 연결되게 구성시켜 가변저항(VR1)(VR2)으로 펄스폭의 주기가 선택되게 구성시킨후 제너다이오드(ZD1)(ZD2)를 계재시켜 안정된 구형파 출력이 발생되게 구성시키며 각각후단 트랜지스터(Q3)(Qb)로 출력되게 구성시키고 바수평, 수직블랭크 신호로서 (
Figure kpo00004
)(
Figure kpo00005
) 트랜지스터(Q2)(Q5)를 제어하게 구성시킨다.
그리고 인버터 및 논 인버터부(20)는 트랜지스터(Q7~Q10)로 구성시켜 드라이브용 트랜지스터(Q13)로 출력되게 구성시키며 바 수평, 수직블랭크 신호(
Figure kpo00006
)(
Figure kpo00007
)를 트랜지스터(Q11)(Q12)로써 발생되게 구성시켜 저항(R21-R23), 다이오드(D3-D5)로 구성된 앤드게이트(AD1)로 출력되게 구성시킨후 일측으로 영상신호(Nisc)가 인가되는 스위칭 믹서부(35)에 스위칭 트랜지스터(Q14)를 통하여 출력 트랜지스터(Q16)로 출력되게 구성시키며 수평동기 신호 인가시에는 트랜지스터(Q17)를 통하여 출력되게 구성시킨다.
타측으로 출력되는 앤드게이트(AD1)의 출력은 트랜지스터(Q15)로 구성된 인버터(25)를 통하여 저항(R27-R30) 및 다이오드(D6)로 구성된 클램프 회로(30)에서 일정한 흑 레벨이 공급되게 구성시킨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수평블랭크 신호(HB)가 저항(R1)을 통하여 구형파 발진 및 펄스폭 변조부(10)의 트랜지스터(Q1)에 인가되면 수평블랭크 신호(HB) 기간동안에 비교기(A1)의 일측단자(-)를 접지시키게 되는 것으로 바수평블랭크 신호(
Figure kpo00008
)가 인가되자 마자 비교기(A1)의 출력은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로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에 구형파의 펄스폭(T)은 T=2Vic1ln(1+
Figure kpo00009
)로써 VT는 가변저항(VR1)에 의하여 설정되는 저항치로서 VT값을 변경함으로써 펄스폭 변조가 이루어지며 제너다이오드(ZD1)는 구형파의 출력파형을 클램핑하여 샤프(Sharp)한 특성을 얻게 한다.
이 구형파 출력은 트랜지스터(Q2)가 차단 상태를 유지하는 바수평블랭크 신호(
Figure kpo00010
)동안만 트랜지스터(Q3)가 드라이브 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수직쪽도 마찬가지로 수직블랭크 신호(VB)가 트랜지스터(Q4)에 입력되어 초기 상태를 설정해주고 비교기(A2)에 의하여 발생되는 구형파는 가변저항(VR2)에 의하여 주기가 결정되고 이 출력은 트랜지스터(Q6)로 드라이브되어 콘트롤 신호로서 사용되며 제1도와 같이 수평쪽의 출력 구형파를 인버터시킬 것인가를 결정해준다.
즉, 트랜지스터(Q6)의 출력이 고전위상태신호(H레벨)이면 수평쪽의 출력 구형파(Q3의 출력)는 위상반전없이 드라이브되어 다이오드(D3)(D4)(D5)로 구성된 앤드게이트(AD1)에 연결되는 것으로 트랜지스터(Q3)의 출력이 트랜지스터(Q9)(Q10)의 베이스측에 인가될때에 트랜지스터(Q7)가 도통하여 트랜지스터(Q9)의 콜렉터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므로 트랜지스터(Q9)가 도통하여(트랜지스터 Q8의 차단에 의하여 트랜지스터 Q10차단상태) 저항(R17)으로 분배되어 트랜지스터(Q13)의 베이스측으로 인가되나 트랜지스터(Q6)의 출력이 저전위 상태이면 트랜지스터(Q8)를 도통시켜 트랜지스터(Q10)를 도통시키므로 콜렉터측에서 위상을 반전시킨후 앤드게이트(AD1)와 연결된다.
이와같이 수직 구형파가 고전위 상태신호(H레벨)이면 영상신호(Nisc신호)의 스위칭용 수평구형파 출력을 위상반전시키지 않고 저전위 상태신호(L레벨)때에는 스위칭용 구형파 출력을 위상 반전시켜 구형파의 출력을 180°반전시키는 효과를 얻으며 수평 구형파 출력의 반전 및 비반전 상태를 결정하게 되는 인버터및 논 인버터부(20)의 트랜지스터(Q7-Q10)로서 결정된다.
따라서 일정주기의 수평 사이즈로 화상의 온/오프가 반복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주사되는 동안 설정된 수직 사이즈에 의하여 구형파 펄스의 상태가 바뀌어(LOW/HIGH의 변화)버리면 수평 방향의 화상의 온/오프가 차례로 그 이전 주사 라인과 반대로 행하게 되면서 화상의 그림이 바둑판 모양으로 재현되는 것이다.
인버터 및 논 인버터부(20)의 수평 구형파 신호를 트랜지스터(Q13)에 의하여 드라이브되면서 수평블랭크신호(HB)의 위상반전된 바수평블랭크 신호(
Figure kpo00011
)와 수직블랭크 신호(VB)의 위상반전된 바수직블랭크 신호()가 다이오드(D1-D5)로 구성된 앤드게이트(AD1)에 입력되는 것으로 트랜지스터(Q11)(Q12)로서 반전된 신호를 얻어 인가되게 함으로써 신호의 지연에 의한 트러블을 방지하게 되며 이 앤드게이트(AD1)의 출력이 스위칭 소자(Q14)에 입력됨으로써 영상신호(Nisc)를 스위칭시키어 트랜지스터(Q16)로 바둑판 모양의 스위칭 영상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그러나 스위칭에 의하여 사라져버린 각 주기 기간동안의 전위 레벨이 "0"이므로써 흑 레벨과 일치하지 않을뿐더러 수직동기 신호와 혼동되어 신호의 재생시 동기에 혼란을 유발시킬수도 있기때문에 스위칭 신호에의하여 영상신호가 사라지는 기간에는 흑 레벨에 해당하는 신호 레벨을 맞출 필요가 있는 것으로 앤드게이트(AD1)의 출력이 트랜지스터(Q15)에 인가되어 반전되고 다이오드(D6)와 저항(R27-R30)으로 구성 클램프회로(30)에서 앤드게이트(AD1)의 출력이 저전위 상태신호일때 반전시켜 고전위 상태로 만든후 클램프 회로(30)에서 일정레벨의 흑 레벨을 트랜지스터(Q14)의 출력이 믹서되게 하여 트랜지스터(Q16)로 출력되는 것으로 스위칭 기간에 생기는 흑 레벨을 보상하여 안정된 화상을 재현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블랭크 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구형파 펄스로써 영상신호를 절환시키는 스위치 신호로써 발생되게 할때에 수직블랭크 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구형파 펄스의 상태신호(H레벨/L레빌)로써 수평블랭크에 따라 발생되는 구형파 인버터 및 논 인버터되게 하여 영상신호를 스위칭하여 모자이크화상을 발생하는 동시에 영상신호의 흑 레벨을 보상하여 안정된 화상이 출현되게 함으로써 일반적인 가정이나 영업장소에서 즉시 모자이크 화면을 편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수평 및 수직블랭크 신호(HB)(VB)가 트랜지스터(Q1)(Q4)를 통하여 가변조항(VR1)(VR2) 콘덴서(C1)(C2) 제너다이오드(ZD1)(ZD2)와 연결된 비교기(A1)(A2)에서 제어용 트랜지스터(Q2)(Q3)(Q5)(Q6)로 출력되게 구형파 발진 및 펄스폭 변조부(10)(15)를 구성하고 트랜지스터(Q7-Q10)로 구성된 인버터 및 논 인버터부(20)를 통하여 다이오드(D3-D5)로 구성된 앤드게이트(AD1)에서 일측으로 트랜지스터(Q14)(Q16)(Q17)로 구성된 스위칭 믹서부(35)를 제어하게 구성시킨후 타측으로 앤드게이트(AD1)의 출력이 인버터(25)를 통하여 클램프 회로(30)에 흑 레벨이 보정되게 구성한 모자이트 화면 발생회로.
KR1019860001957A 1986-03-15 1986-03-15 모자이크 화면 발생회로 KR890002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1957A KR890002389B1 (ko) 1986-03-15 1986-03-15 모자이크 화면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1957A KR890002389B1 (ko) 1986-03-15 1986-03-15 모자이크 화면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587A KR870009587A (ko) 1987-10-27
KR890002389B1 true KR890002389B1 (ko) 1989-07-02

Family

ID=19248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957A KR890002389B1 (ko) 1986-03-15 1986-03-15 모자이크 화면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3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587A (ko) 1987-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389B1 (ko) 모자이크 화면 발생회로
US4395733A (en) Television special effects circuit for wiping video signals
JPS6384381A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
US4551749A (en) Circuit to vary the phase of the color burst signal
JP3345200B2 (ja) 位相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る色信号処理回路
US4258390A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US3582963A (en) Frequency controllable synchronizing generator for television systems
US4849830A (en) Picture stabilizing circuit for generating a forced synchronizing signal
US4038687A (en) Video blanking circuit
JPS63296471A (ja) 同期信号発生回路
US3748377A (en) Circuit arrangement for producing an unambiguous marker in a television image
US5105272A (en) Synchronizing signal extracting apparatus
US3437745A (en) Black level setting circuit for color subcarrier modulator
JPS62234189A (ja) 映像位相回路
SU111390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изуализации сигнала звукового сопровождени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изображени
KR890002387B1 (ko) 비데오 카메라용 자동 조리개의 콘트롤 회로
KR930001328Y1 (ko) Vcr의 색신호 뮤트에 의한 화질개선회로
JP2557696B2 (ja) 鋸歯状波発生器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KR900006303Y1 (ko) 모니터화상의 좌.우 수평이동장치
JPS6037594Y2 (ja) 走査線位置検出同期回路
KR950007405A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주사속도 변조회로
JPS6214776Y2 (ko)
JPS58181374A (ja) 黒レベル補正回路
JPH077691A (ja) 映像信号振幅切換回路
JPH0983837A (ja) 直流再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