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159Y1 - Shoes with instep supports - Google Patents

Shoes with instep suppor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159Y1
KR880003159Y1 KR2019830006427U KR830006427U KR880003159Y1 KR 880003159 Y1 KR880003159 Y1 KR 880003159Y1 KR 2019830006427 U KR2019830006427 U KR 2019830006427U KR 830006427 U KR830006427 U KR 830006427U KR 880003159 Y1 KR880003159 Y1 KR 880003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hoe
insole
foo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64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40006058U (en
Inventor
제이 겜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캥거루즈 유. 에스. 에이 사
제이 겜 로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487,881 external-priority patent/US4550511A/en
Application filed by 캥거루즈 유. 에스. 에이 사, 제이 겜 로버트 filed Critical 캥거루즈 유. 에스. 에이 사
Publication of KR840006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05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159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9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arch-supports of the bracel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43C11/1493Strap fastenings having hook and loop-type fasten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발등지지체를 가진 신발Shoes with instep support

제1도는 본 고안의 발등지지체와 결합된 신발의 평면도.Figure 1 is a plan view of a shoe coupled with the foo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와 유사하나 발등지지체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FIG. 2 is a plan view similar to that of FIG. 1 bu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t support is partially open. FIG.

제3도는 제1도에서 보인 신발의 일부를 절개하여 발등지지체가 경사지게 배열된 것을 보인 측면도.3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step support is arranged inclined by cutting a part of the shoe shown in FIG.

제4도는 신발의 혀모양 보강편에 첩부된 발등지지체의 구조를 보인 신발 중간부를 횡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shoe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step support attached to the tongue reinforcement of the shoe.

제5도는 발등지지체가 한쌍의 밴드부재로 구성된 것을 보인 제4도와 유사한 횡단면도.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4 showing that the instep support is composed of a pair of band members. FIG.

제6도는 밴드가 신발안창의 중간부분을 통하여 고정되고 발의 발등을 조일수 있도록 상향 연장된 것을 조인 제4도와 유사한 횡단면도.FIG. 6 is a cross 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4 with the band secured through the middle portion of the insole and extended upward to tighten the instep of the foot.

제7도는 밴드가 발등을 감싼 다음 그 측면부에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제4도와 유사한 횡단면도.FIG. 7 is a cross 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4 with the band wrapped around the instep and then connected at its side.

제8도는 밴드가 발등을 감싸서 지지하도록 신발의 혀모양 보강편상에서 중첩연결된 것을 보인 신발중간부분의 횡단면도.FIG. 8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shoe, showing that the band is superimposed on the tongue reinforcement piece of the shoe so as to surround and support the instep.

제9도는 본 고안의 밴드가 결합된 안창삽입체의 평면도.9 is a plan view of the insole insert is coupled to the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동 측면도.10 is the same side view.

제11도는 밴드가 안창삽입체의 중간에 취부된 것을 보인 안창삽입체의 평면도.11 is a plan view of the insole insert showing that the band is mounted in the middle of the insole insert.

제12도는 동측면도.12 is an isometric view.

제13도는 밴드가 안창삽입체의 중간에 형성되는 협소부로 부터 연장된 것을 보인 평면도.13 is a plan view showing that the band extends from a narrow portion formed in the middle of the insole insert.

제14도는 뒷축 보강대가 일체로 형성된 본 고안의 밴드를 보이기 위하여 일부를 절개표시한 신발의 측면도.Figure 14 is a side view of the shoe marked with a cut part to show the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axle reinforcem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밴드 2 : 안창1: band 2: insole

4, 5 : 밴드부재 6 : 고정수단4, 5: band member 6: fixing means

7 : 벨크로 9 : 안창삽입체7: Velcro 9: Insole insert

10 : 밴드 11, 12 : 밴드부재10: band 11, 12: band member

13 : 벨크로 14 : 밴드13: Velcro 14: band

15 : 안창삽입체 16, 17 : 밴드부재15: insole insert 16, 17: band member

18 : 고정수단 21: 밴드18: fixing means 21: band

23 : 밴드 24, 25 : 밴드부재23: band 24, 25: band member

28 : 밴드 29 : 밴드부재28: band 29: band member

30 : 뒤축보강대30: rear axle reinforcement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동화등의 신발에 있어서 신발의 구조에 구성되어 발등과뒷축을 감싸고 보강하는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and in particular, in a shoe such as sneakers is configured in the structure of the shoe relates to a support for wrapping and reinforcing the instep and the rear axle.

신발 디자이너들은 신발, 특히 운동선수들이 착용하는 신발을 위한 강화된 지지체를 얻고자 오랫동안 갈망해왔으며, 구조적인 지지체의 촛점은 신발착용자의 발목, 발등과 이들과 연관되는 발의 정형적(整型的)인 부분을 보강하는데 있었다. 특히, 이러한 신발의 설계는 경기의 종별을 감안하여 조깅할때 착용하는 신발에 대한 것이나 농구, 축구, 아이스하키, 스케이팅등과 같은 격렬한 운동시에 착용하는 신발에 대한 것이었다.Shoe designers have long desired to obtain reinforced supports for shoes, especially shoes worn by athletes, and the focus of structural supports is the ankles, insteps of the shoe wearer and the associated foot of the shoe. It was to reinforce a part. In particular, the design of such shoes is for shoes worn during jogging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competition, or for shoes worn during intense sports such as basketball, soccer, ice hockey, and skating.

예를 들어 발을 위하여 강화된 지지체를 얻을수 있도록 설계된 초기의 고안은 지지체가 요구되는 부분으로 생각되는 발의 부분이 발목부분이었으며, 여러가지의 장치가 착용시 바의 이러한 부분을 부가적으로 강화내지는 지지하도록 발목에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신발자체내에 구성되었다. 예를들어 미국특허 제3,028,861호에 있어서는 신발, 특히 운동화를 착용하기전에 발에 직접착용하는 발목지지체가 기술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2,942,359호에는 일체로된 발목 및 발뒤축의 지지수단을 가지며, 운동선수, 특히 농구, 테니스등의 경기에 참여하는 선수의 발목을 부가적으로 보강 및 지지하기 위한 목적의 신발이 기술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1,084,179호에는 운동선수의 발목을 특별하게 감싸는 다른 형태의 발목지지 및 보호체가 기술되어 있다.For example, early designs designed to obtain reinforced supports for the foot were the ankle part of the foot,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required part of the foot, and to support that the various devices additionally reinforce this part of the bar when worn. It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the ankle or in the shoe itself. For example, U. S. Patent No. 3,028, 861 shows an ankle support that is worn directly on the foot before wearing shoes, particularly sneakers. In addition, U.S. Patent No. 2,942,359 has an integrated ankle and heel support means, and shoes for the purpose of additionally reinforcing and supporting ankles of athletes, especially players participating in a game such as basketball and tennis, are described. have. U.S. Patent No. 1,084,179 describes another form of ankle support and protector that specifically wraps an athlete's ankle.

또한 미국특허제1,545,623호에는 발목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하키 부츠내부에 발목지지체가 구성되도록 한 다른 형태의 것이 기술되어 있기도 하다. 유사한 형태의 지지수단이 미국특허 제1,139,530호에 기술되어 있는데, 이 특허문헌에서 보인 스케이팅과 하키부츠는 하키 애호가를 보호할 목적으로 발목과 정강이 부근인 발목상측부에 지지체가 제공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U.S. Patent No. 1,545,623 also describes another form that allows ankle supports to be built into hockey boots to increase ankle strength. A similar form of support is described in US Pat. No. 1,139,530, wherein the skating and hockey boots shown in this patent document provide support for the ankle and the ankle near the ankle to protect hockey lovers. .

또한 운동선수의 발목을 보호하고 보다 강화하기 위한 목적은 물론 발등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보다 관련된 여러가지의 다른 구조적인 지지체가 운동화에 구성되도록 고려된바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3,323, 232호에 있어서는 신발 내부에서 발의 측부둘레를 상측으로 감싸 발등부근에서 결속하는 반탄력성의 발등지지체가 기술되어 있다. 이 특허는 신발의 신발끈 구조와 일체로 결속되는 견고하고 반탄력성의 캔티레버형(Cantilever Type)발등지지체를 제공하도록 창안된 것이나 이 특허문헌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지지체가 봉합방법으로 신발의 내측전면보강부와 측면부에 일체로 상향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발의 발등지지체를 신발의 구조에 부가구성하는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다. 유사한 형태의지지체가 미국특허 제4,064,642호에 기술된 보행용 부츠에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it has been considered that various other structural supports mor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the sneaker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and strengthening the ankle of the athlete, as well as supporting the instep. For example, US Pat. No. 3,323,232 describes a semi-elastic instep support that wraps around the lateral side of the foot in the shoe and binds near the instep. This patent was devised to provide a firm, semi-elastic Cantilever Type foot support that is integrally integrated with the shoelace structure of a shoe, but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is patent document, the support is sutured to the inner side of the shoe. It extends upward integrally with the front reinforcement part and the side part. However, it i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adding the instep support of the shoe to the structure of the shoe. A similar type of support is shown in the walking boots described in US Pat. No. 4,064,642.

이 특허의 지지체는 발등의 지지는 물론 발의 뒷축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1,286,787호는 상기 언급된 미국특허 제3,323,232호와 유사한데, 이에 기술된 운동화는 발등지지체가 운동화와 일체로 결속되는 한쌍의 혀모양 밴드와결합되게 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3,327,410호는 유사한 지지체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 운동화내에 발목지지체가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발목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밑창으로 부터 상향 연장된 다음 발목을 감싸도록 되어 있는 일체로된 가요성이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다.The support of this patent is configured to cover the back of the foot as well as the support of the foot. U. S. Patent No. 1,286, 787 is also similar to U. S. Patent No. 3,323, 232 mentioned above, wherein the sneaker described here is adapted to be coupled with a pair of tongue-like bands in which the instep support is integrally bound with the sneaker. U.S. Patent No. 3,327,410 shows a similar support, in particular an ankle support in sneakers, which consists of an integral flexible support that is extended upward from the sole and then wraps around the ankle to support the ankle. It is.

신발에 고정되는 것이기는 하나 고정의 목적으로 여러가지 다른 형태의 폐쇄수단이 미국특허 제4,114,297호에 기술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결속대가 신발끈의 위로 졸라 매어지도록 신발의 외부에 배설되어 있고 도시된 운동화의 고정을 위하여 벨크로(velcro)로 고정된다.Various other forms of closure means are described in US Pat. No. 4,114,297 for fixing purposes, although fixed to shoes. Here, the binding band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shoe so as to be squeezed onto the shoelace and fastened with velcro for fixing the illustrated sneaker.

그리고 미국특허 제4,282,757호에는 신발의뒷축에 잡아 두도록 하는 조절가능한 가용성 폐쇄조립체가 기술되어 있는데 이러한 운동화에 있어서는 운동선수의 발에대하여 안정화용구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신발을 탄탄히 졸라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미국의장등록 제255,956호에는 스포츠화용의 고정수단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통상의 신발끈을 대신한 것이다.And U. S. Patent No. 4,282, 757 describes an adjustable soluble closed assembly for holding on to the rear axle of the shoe, which is used for the purpose of firmly tightening the sho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stabilizing tool against the athlete's foot. U. S. Patent No. 255,956 shows a fastener for sports shoes, which replaces a conventional shoelace.

본 고안은 미국특허 제4,245,408호 및 제4,366,63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신발의 탄탄히 잡아매도록 하는 신발끈의 방향에 특히 관심을 둔 운동화에 가하여진 수정형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두 특허문헌에는 체결된 신발끈의 상측부가 신발의 뒷축부분을 향하여 하향연장된 다음 그곳의 연결공을 통하여 꿰어지므로서 신발끈을 졸라멜 때에 신발의 뒷축부분을 전방으로 당겨주도록 하여 지지상태를 강화하여 신발의 착용상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되는 바의 운동화가 기술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odified form applied to sneakers with particular interest in the direction of a shoelace to securely hold the shoe as described in US Pat. Nos. 4,245,408 and 4,366,631. In the above two patent documents, the upper part of the shoelace that is fastened is extended downward toward the rear axle of the shoe and then threaded through a connection hole therein so that the shoelace of the shoe can be pulled forward when the shoelace is brushed. Sneakers have been described that reinforcement to effectively maintain the wearing state of the shoe.

따라서 본 고안의 근본 목적은 신발착용자의 발에 신발을 불편함이 없이 보다 탄탄히 착용되도록 발등의 양측부와 발등을 감싸기 위하여 신발의 안창부분 또는 그 안창삽입체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밴드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ries of band means extending upward from the insole portion of the shoe or its insole insert to wrap both sides and the instep of the foot so that the foot of the shoe wearer wears more firmly without inconvenience. To provid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신발, 예를 들어 운동화내의 발을 구조적으로 졸라매기 위한 것으로 발등뼈를 충분히 졸라맬 수 있는 길이를 갖는 지지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means having a length sufficient to sufficiently tighten the backbone of a shoe, for example, to structurally tighten a foot in a sneaker.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발의 발등부분과 양측부분을 효과적으로 감쌀수 있도록 신발내에 구성된 밴드수단을 재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nd means configured in the shoe to effectively wrap the instep and both sides of the foot.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내에서 발의 뒷축부분과 발등부분을 졸라맬 수 있도록 밴드수단과 일체로 구성된 뒷축보강대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r axle reinforcement unit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nd means so that the rear axle and the instep of the foot can be tightened in the sho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내에 삽입된 발의 발등부분 양측으로부터 상향되어 발등상부에서 안락하게 첩부(貼付)되도록 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comfortably affixed on the upper part of the foot comfortably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foot of the foot inserted into the sho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충분하고 효과적인 지지가 이루어 지도록 발의 골결부분을 파지하고 신발착용중 착용자에게 직감적인 지지감각이 느껴질 수 있는 탄성의 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nd of elasticity that grips the fractured part of the foot so that sufficient and effective support can be made and the wearer feels an intuitive sense of support while wearing the sho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의 발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감싸도록 신발의 안창삽입체로 구성되는 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nd composed of an insole insert of a shoe to wrap the wearer's foot in a conventional manner.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신발의 안창과 일체로 구성되고 혐모양의 보강편과 고정을 위하여 상향 연장 된 밴드를 제공하고, 너무 단단히 졸라매어 불편하거나 발을 심하게 압박하지 않고 발을 적당히 감쌀수 있도는 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tegrated with the insole of the shoe and provide an upwardly extended band for fixing with anamorphic reinforcement, and it can be so tightly tightened that it can be wrapped appropriately without discomfort or severely pressing the foot. Is in providing the band.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발가락이 부상을 입지 않도록 신발내에서 발이 앞으로 미끌어지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foot from slipping forward in the shoe so as not to injure the toes.

본 고안은 운동화등의 신발류, 특히 안창의 삽입체로 구성될 수 있는 구조적인 응용을 가하여 이러한 신발내에서 발을 위하여 한층 강화된 발등지지체를 제공하므로서 여러가지의 잇점을 갖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신발은 통상적인 형태로서 예복용 구두, 보행용 신발, 캐쥬얼신발 또는 좋기로는 운동화일수 있다. 그리고 그 구조는 일반적으로 전면보강부, 갑피측면부와 뒷축부분, 그리고 밑창과 그 안창에 일체로 구성되는 모든 부분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have a number of advantages by applying a structural application that can be composed of footwear, such as sneakers, in particular the insert of the insole to provide an enhanced foot support for the foot in such shoes. The sho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ress shoes, walking shoes, casual shoes or preferably sneakers in a conventional form. The structure generally includes the front reinforcement, the upper side and the rear axle, and all part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ole and its insole.

본 고안은 신발끈등을 매기전에 발에 신발을 너무 죄지 않고 안락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한쌍의 밴드부재를 구비하도록 안창으로부터, 좋기로는 그 중앙부근으로 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체 형태의 밴드를 제공하는데 요점이 있다. 밴드부재는 통상의 재료, 예를 들어 천, 캔버스천, 가죽등으로 되어 있어 발을 감싸 발등을 효과적으로 조일수 있는 탄성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like b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insole, preferably near the center thereof, to have a pair of band members that can comfortably adhere the shoes to the feet without tying the shoelaces or the like. There is a point. The band member is made of a conventional material, for example, cloth, canvas cloth, leather, etc., it is preferable to be composed of an elastic material that can effectively tighten the foot to wrap the foot.

밴드부재는 발의 축부둘레를 보다 안락하게 감쌀수 있도록 발의 구조에서 상측과 약간 앞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발목의 전방에서 발의 여러 골격을 충분히 구조적으로 지지하고 감쌀수 있도록 하고 신발의 착용중, 특히 착용자가 아주 시만 경기에 참여할대 착용하는 운동화를 착용중에 착용자가 발등이 직감적으로 지지되어 안락함을 경험할 수 있도록 발등에 중첩되게 발의 앞쪽을 향하여 약간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신발내에서, 특히 약간 적은 크기로 제조되는 경향이 있는 운동화내에서 발의 폭변화를 크게 감안하였다.The band member is inclined slightly upward and slightly forward in the structure of the foot so that the foot circumference can be wrapped more comfortably, and in front of the ankle, it is able to sufficiently support and wrap various skeletons of the foot. While wearing sneakers to participate in the competition, the wearer extends slightly inclined toward the front of the foot so that the foot is intuitively supported and experiences comfor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s large changes in the width of the foot in shoes, especially in sneakers that tend to be produced in slightly smaller sizes.

이들 밴드부재는 신발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신발의 갑피측면부의 내면윤곽에 맞도록되어 있으며, 그 상부측 자유단부에는 벨크로와 같은 고정수단이 구성되어 발의 둘레에 충분히 당겨올린후 밴드단부를 고정되게하거나, 구체화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밴드단부가 벨크로와 같은 유사형태의 고정수단으로 첩부되어 삽입된 발의 발등에 중첩되는 혀모양 보강편의 상부면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후자의 실시형태에서, 밴드단부는 단순히 발의 측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중첩되다기 보다는 이들이 짧은길이도 중첩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본 고안의 지지체 형태로 신발의 혀모양 보강편이 일체로 사용될 수 있도록 안락하게 조여진후 신발의 혀모양 보강편의 대향부분 또는 변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se band members extend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shoe and are fitted to the inner contour of the upper side of the shoe. The upper end of the band member i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such as velcro, and the band end is pulled up sufficiently around the foot. In a specific embodiment, or in a specific embodiment, such a band end is affixed by a fixing means of a similar form such as a velcro to be fixed at the upper surface of the tongue reinforcing piece overlapping the instep of the inserted foot. In this latter embodiment, the band ends are not simply extended upwards from the sides of the feet, but rather overlapping them with shorter lengths, and comfortably so that the tongue reinforcement of the shoe can be used integrally in the form of a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being tightened, it can be connected to the opposite or side of the tongue-shaped reinforcement of the shoe.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밴드 또는 각 밴드부재에는 발목의 뒷편을 감싸기 위하여 이들에 일체로 연결되고 후측으로 연장된 뒷축보강대를 가지므로서 발등부분을 강화지지함은 물론 뒷축부분에서 발목자체를 지지토록하여 발에 신발을 보다 밀착시킬 뿐만 아니라 발이 비틀려 발을 삐게하거나 절곡되게 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발을 보다 강도있게 지지할 수 있는 삼각지지 형태가 제공되도록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band or each band member has a rear axle reinforcement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ear and extends rearward to surround the back of the ankle, thereby supporting the ankle itself in the rear axle as well as supporting the instep. It is to provide a triangular support form that can support the foot more firmly to prevent the foot from twisting or bending, as well as more closely adhere the shoe to the foot.

안창삽입체에 추가된 이들 원리의 응용은 비록 신발의 착용자가 구체화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그 신발에 본 고안의 구조를 가지지 않았다 하더라도 신발의 구조에 삽입할 수 있고 이로부터 요구된 잇점을 얻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좋기로는 밴드가 삽입체의 중간으로 부터 연장되어 발을 둘러싸게 됨에 따라 얻어질 수 있는 잇점이 그 발등에 대하여서도 얻어질수 있으며, 아울러 발등을 바람직하게 감쌀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application of these principles in addition to the insole insert can be inserted into the structure of the shoe and obtain the required benefits therefrom even if the wearer of the shoe does not have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hoe as in the embodiment embodiment. It can be applied. And preferably the benefits that can be obtained as the band extends from the middle of the insert to encircle the foot can also be obtained for the instep, and also preferably wrap the instep.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제1도-제3도는 조깅, 농구 , 축구 등의 운동경기에 착용할 수 있는 운동화 형태의 신발을 보인 것이다. 그밖에 본 고안의 구조는 발의 여러 정형적인 구조를 위한 만족스러운 지지체가 착용자를 위하여 요구되는 캐쥬얼 신발 또는 다른 형태의 신발에도 실시될 수 있다.1 to 3 show shoes in the form of sneakers that can be worn in sports such as jogging, basketball and soccer.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casual shoes or other types of shoes where a satisfactory support for the various orthopedic structures of the foot is required for the wearer.

도시된 신발은 모두 일체로 구성되고 전면 부분을 형성하는 여러부분을 갖는 전면보강부(B)로 구성된 갑피(A)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illustrated shoes are all formed of a conventional part including an upper A consisting of a front reinforcement part B, which is integrally formed and has a plurality of parts forming a front part.

또한 이 신발은 신발의 양측에 한쌍의 갑피측면부(C)를 포함하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뒷굽부분(D)과 연결되어 있다. 이들 모든 부분은 밑창쉥크(Sole shank)(F)를 따라 밑창(E)에 연결고정되어 하나의 완전한 구조체를 일체화되어 있다. 신발끈을 매는 아이스테이(Eyestay)(G)가 신발의 상측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각 갑피측면부의 상측변부에 형성된 이 한쌍의 이이스테이의 중간부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혀모양의 보강편(H)이 형성되어 있다.The shoe also includes a pair of upper side portions C on both sides of the shoe, which are connected to the heel portion D as shown. All of these parts are fastened to the sole E along the sole shank F to integrate one complete structure. Eyestays (G) for tying shoelaces are form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shoe, and in the middle of the pair of istays formed at the upper side of each upper side surface portion, a tongue-shaped reinforcement piece as shown ( H) is formed.

또한 도시된 형태의 신발에 있어서는 일측 갑피측면부에 포켓(I)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shoe of the illustrated form, the pocket (I)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을 위한 지지체시스템이 부호(1)로 표시되어있으며, 이는 신발에 삽입된 발의 발등에 중첩하여 감쌀수 있도록 상측 전방으로 연장되고 신발의 밑창(2)과 일체로 된 밴드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요지는 밑창과 결합되거나 도시된 신발과 같이 밑창 삽입체에 결합되도록 배설된 밴드지지체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밴드의 고정부분이 발의 양측부 하측 중앙부근에 배설되어 발등을 구성하고 있는 발의 여러 정형적인 구조를 중첩 지지할수 있도록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발등을 효과적으로 감싸는 것과 아울러 만족스러운 발등지지체가 제공되므로 발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동화가 잘 밀착될뿐 아니라 발이 이 밴드에 의하여 전반적이고 편안하게 지지되며 감싸지게 될 것이다.As shown, the support system for the shoe is indicated by reference (1), which extends upwardly forward and integrally with the sole (2) of the shoe so that it can be wrapped around the instep of the foot inserted into the shoe. It is compose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nd support that is coupled to the sole or excreted to be coupled to the sole insert, such as the shoe shown, and the fixing portion of the band is excreted near the lower middle of the both sides of the foot to constitute the instep It is inclined forward to support the standard structure overlap. Therefore, as well as effectively instep of the foot is provided with a satisfactory foot support as well as sneakers as shown in the foot will be well adhered, the foot will be supported and wrapped overall and comfortable by this band.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밴드(1)는 부호(3)로 보인 바와 같이 신발밑창(2)의 하측에 연장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밴드(1)는 발등의 상부에서 양단이 중첩되거나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상향 연장된 한쌍의 밴드부재(4)(5)를 갖는다. 또한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들 밴드부재(4)(5)의 각 단부에는 벨크로와 같은 고정수단(6)이 밴드의 단부를 상호 간편히 연결할 수 있거나, 제1도에서 보인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혀모양 보강편(H)의 상면에 착설된 벨크로와 같은 고정수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도에서, 본 고안의 구조와 그 구체화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조는 이들 밴드부재(4)(5)의 상측단을 상측으로 당기어 발등 또는 혀모양 보강편(H)의 상부를 간단히 감쌀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적당하게 당겨올린 다음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편상에 고정토록 결속할 수 있다. 도시된 형태의 신발에 있어서는 보강편이 발등에 중첩될 때에 부드럽게 느껴질 수 있도록 적당한 패딩(Padding)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발의 측부를 탄탄히 감싸고 발등상에 중첩되는 이들 밴드부재(4)(5)의 작용을 통하여 발전체를 일체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러가지 형태의 지지체, 특히 신발에 구성될 수 있는 여러가지 형태의 밴드가 구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밴드(1)는 안창(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밴드부재(4)(5)는 갑피측면부(C)의 내면윤곽을 따라 상향되어 보강편(H)의 상부에 중첩되고 보강편(H)의 상면에 제공된 벨크로와 같은 고정수단에 벨크로(6)와 같은 그 고정수단이 연결될 수 있게되어 있다. 보강편의 벨크로는 부호 7로 표시하였다.As shown in FIG. 3, the band 1 extends below the sole 2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3. Also in this embodiment the band 1 has a pair of upwardly extending band members 4 and 5 which allow both ends to be overlapped or connected at the top of the instep. Also, as shown in FIG. 2, at each end of these band members 4, 5, fastening means 6 such as velcro can easily connect the ends of the band to each other, o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The tongue can be coupled to the fixing means such as Velcro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iece (H). In FIG. 1,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ructure in its embodiment, the upper ends of these band members 4, 5 are pulled upward to simplify the top of the instep or tongue reinforcing piece H. It can be wrapped, pulled up properly, and then fastened to the reinforcing piece as shown. Shoes of the type shown are generally configured to include suitable padding so that the reinforcement piece feels soft when superimposed on the instep, and these band members 4 and 5 that firmly wrap the sides of the foot and overlap on the instep. Through the action of) will be able to support the power unit integrally. Various types of bands can be envisioned that can be constructed in various types of support, especially sho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band 1 extends downwardly of the insole 2, and the band members 4 and 5 are raised along the inner contour of the upper side surface portion C to reinforce the piece. The fastening means, such as the velcro 6, can be connected to the fastening means, such as velcro, which is superimposed on the top of (H) and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iece H. Velcro of the reinforcing piece w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7.

제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밴드(1)는 실질적으로 한쌍의 밴드부재(4)(5)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창(2) 변부하측에 끝나있고 여기에서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밴드부재(4)(5)의 상측변부는 제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신발의 구조에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된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band 1 consists essentially of a pair of band members 4, 5, which is terminated at the side of the insole 2 and fixed here. However, the upper edge of the band members 4 and 5 is fixed in the manner as already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the shoe as shown in FIG.

제6도는 본 고안의 밴드(1)와 신발의 구조에 일체화 된 다른 구성을 보인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밴드(1)는 단일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발안창(2)의 측변부측으로 하향되어 중첩되었으나 그 중앙부분에서 안창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안창에 고정되고 신발의 일부로 구성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밴드의 연결형태는 구체화된 실시형태를 위하여 요구된 연결구조가 안창(2)의 상측으로 연장된 밴드부재(4)(5)의 부분이 발의 양측부분을 보다 자유롭게 감쌀수 있도록 하므로서 본 고안의 지지시스템에 발등을 중첩하여 감싸도록 발의 측부를 효과적으로 협지하는 잇점을 줄 뿐만 아니라, 신발내에 삽입된 발의 측부 하측위치에서 탄탄히 조여지는 밴드의 이들 하측부(8)에 의하여 만족스러운 지지체가 제공되는 것이다. 제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신발의 안창과 연결된 이러한 형태의 밴드는 제4도 및 제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운동화 또는 다른 형태의 신발류에 일체로 구성될 때에 요구되는 신발의 혀모양 보강편(H)의 상측면 상에서 연결되는 형태의 밴드부재(4)(5)와 결합하여 사용됨은 언급된 바와 같다. 구체화된 실시형태를 위하여 한정된 바와 같은 이러한 특수조합은 전체적으로 발의 측부와 발등부분 모두를 감쌀뿐만 아니라 신발 착용자가 착용한 신발로 부터 만족스로운 지지체를 직감적으로 느낄수 있도록 한다. 실제로는 착용자는 신발이 발에 아늑하게 밀착됨을 느낄수 있으며, 신발의 혀모양 보강편(H)과 결합하므로서 밴드부재(4)(5)의 고정이 발등의 동맥을 압박하지 않게 된다.Figure 6 shows another configuration integrated into the structure of the band 1 and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band 1 is composed of a single member, and overlaps downwardly toward the side of the insole 2, but extends from the center portion to the lower side of the insole to be fixed to the insole and connected to be configured as part of the shoe. have. This form of connection of the band allows the portion of the band member (4) (5) to extend the upper side of the insole (2) required for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it can more freely wrap both sides of the foot Not only does this advantageously effectively grip the sides of the foot so as to overlap the instep of the support system, but a satisfactory support is provided by these lower portions 8 of the bands tightened firmly in the lower side of the foot inserted into the shoe. . This type of band, connected to the insole of the shoe as shown in FIG. 6, is the tongue reinforcement required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incorporated into sneakers or other types of footwear as shown in FIGS. 4 and 5.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band member (4) (5) of the type connec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ece (H) is as mentioned. This special combination, as defined for the specific embodiments, not only covers both the sides and instep of the foot as a whole, but also allows the wearer to feel satisfactory support from the shoes worn by the shoe wearer. In practice, the wearer can feel the shoe snugly adhered to the foot, and the fixing of the band members (4) (5) does not squeeze the arteries of the foot by being combined with the tongue-shaped reinforcement piece (H) of the shoe.

제7도는 다른 형태의 밴드를 보인 것이다. 여기에서는 밴드(1)가 안창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나, 그 하측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제13도에서 보인 같이 안창의 중간부분을 따라 연결하고 그 밴드부재(4)는 보강편(H)을 둘러싸도록 상측으로 연장하며, 타측 밴드부재(5)는 보강편(H)을 둘러싸도록 상측으로 연장하며, 타측 밴드부재(5)는 밴드부재(4)의 고정을 위하여 배치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와 같은 고정수단(6)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7 shows another type of band. Here, the band 1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sole, but may also be located at the lower side thereof, as shown in FIG. 13 and connected along the middle portion of the insole, and the band member 4 connects the reinforcing piece H. Extends upward to surround, the other band member 5 extends upward to surround the reinforcing piece H, and the other band member 5 is disposed for fixing the band member 4 and is Velcro as shown. It can be interconnected by a fixing means 6, such as.

제8도는 본 고안 지지체의 또 다른 연결방법을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는 안창(2의 하측으로 삽입되거나 제5도 및 제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방법으로 안창에 고정될 수 있으며, 그 밴드부재(4)(5)가 보강편(H)의 상부에서 중첩되도록 이로부터 상향 연장되고 역시 벨크로(6)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8 shows another connection method of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band 1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of the insole 2 or secured to the insole in a manner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band members 4 and 5 being provided with a reinforcing piece ( It extends from this to overlap at the top of H) and can also be fixed by means of fastening, such as Velcro 6.

본 고안의 밴드를 신발의 구조에 구성하는 설명이 제4도-제8도에 기술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지금까지 설명되었으나 밴드와 안창사이의 이러한 연결형태를 사용자에게 별도록 판매된 후 신발내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의 삽입체에 대하여서도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9도 및 제10도에서, 안창삽입체(9)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발등에 중첩 고정하기 위하여 글 상측변부 부근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벨크로(13)와 같은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상향된 한쌍의 밴드부재(11)(12)가 형성되어 있는 밴드(10)가 이미 고정된 상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밴드부재(11)(12)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신발에 관하여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은 밴드부재(4)(5)와 같이 탄탄히 매었을 때에 신발의 혀모양 보강편을 고정토록 하기 위하여 상호중첩되고 벨크로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양단이 결속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측면도가 제10도에 기술되어 있으며, 안창의 위치에서 이 밴드는 발의 측부가 배치되는 위치의 대략 하측부에 배설되고 발드을 감싸도록 상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ructure of the shoe has been described so far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S. 4 to 8, but this type of connection between the band and the insole is sold separately to the user and then in the shoe. It may also be practiced with inserts of the type that can be inserted. In Figures 9 and 10, for example, the insole insert 9 is shown, which includes fastening means such as velcro 13 as shown near the upper side of the article for superimposition on the instep. The band 10 is formed as shown in the already fixed state a pair of the band member 11, 12 is raised. The band members 11 and 12 hold the tongue-shaped reinforcement pieces of the shoe when the band members 11 and 12 are firmly tied together as the band members 4 and 5 as already mentioned with respect to the shoes shown in FIGS. 4 and 5. In order to overlap each other and to be fastened to both ends by a fixing means such as velcro. A side view of this structure is described in FIG. 10, wherein in the position of the insole this band is disposed approximately at the lower side of the position where the side of the foot is placed and extends obliquely upwards to enclose the foot.

안창삽입체의 구조가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밴드(14)는 안창삽입체(15)의 중간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상향연장된 한쌍의 밴드부재(16)(17)를 포함하고, 밴드부재(16)(17)는 다시 제4도 및 제5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신발의 보강편과 연결되거나 제6도 및 제8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되도록 벨크로와 같은 고정수단(18)을 갖는다. 또한 밴드(14)는 한쌍의 밴드부재로 구성되고 안창삽입체의 중앙부분에 봉재되거나 또는 삽입체에 변부(19)(20)를 따라 한쌍의 슬로트를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밴드(14)를 삽입하므로서 삽입체와 결합되게 하는 반면에 밴드부재가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발의 측부와 발등부분을 감싸도록 삽입체로부터 상향 연장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안창삽입체에 구성시키기 위한 다른 수단이 제13도에 기술되어 있는데, 이 실시형태에서 안창삽입체(21)는 그 중간에 협소부(22)가 좁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밴드(23)가 그 하측 또는 상측에서 봉착되고 밴드부재(24)(25)가 발의 측부를 감싸고 발등을 감싸도록 중첩되거나 제4도 및 제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보강편과 결합하므로서 발의 측부와 발등을 충분히 감싸도록 연장되어 있다. 밴드(23)가 안창삽입체의 협소부(22)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의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하여, 또한 이 위치에서 협소부(22)와 밴드(23)사이의 중첩으로 인한 이중두께에 의하여 발생되는 불편함을 덜어주기 위하여 삽입체의 양변부(26)(27)가 절취 형성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insole insert is shown in FIGS. 11 and 12. In this embodiment, the band 14 comprises a pair of band members 16 and 17 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middle of the insole insert 15 and extending upward, and the band members 16 and 17. ) Again has fastening means 18 such as velcro to be connected to the reinforcement pieces of the shoe as described in FIGS. 4 and 5 or to be interconnected as shown in FIGS. 6 and 8. In addition, the band 14 is composed of a pair of band members and is sewn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ole insert or forms a pair of slots along the edges 19 and 20 in the insert and thereby inserts the band 14. This allows the band member to extend upwardly from the insert so as to surround the side and instep of the foot, as already mentioned. Another means for configuring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sole insert is described in FIG. 13, in which the insole insert 21 has a narrow narrow portion 22 in the middle thereof and thus the band 23. Is enclosed at its lower side or upper side and the band members 24 and 25 overlap the sides of the foot and overlap to cover the instep, or fully enclose the sides and the instep of the foot by engaging with the reinforcing piece as shown in FIGS. 4 and 5 Is extended. In order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portion of the band 23 extending from the narrow portion 22 of the insole insert, it is also caused by the double thickness due to the overlap between the narrow portion 22 and the band 23 in this position. Both side portions 26 and 27 of the insert may be cut out to reduce the inconvenience.

또한, 이 도면으로 부터, 본 고안의 밴드(23)가 발의 측부를 완전히 감싸고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발등의 여러 정형적인 구조에 탄탄히 중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신발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인 길이를 갖게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3도에서 보인 실시형태에서, 이는 안창삽입체로 기술되어 있으나 제1도-제3도에서 이미 도시하고 언급한 바와 같이 신발에 일체로 구성되는 안창으로서도 그 자체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밴드가 여러 위치에서 신발의 안창과 결합될 수 있음은 이미 언급한 바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from this figure that the band 23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a substantial length along the length of the shoe so as to completely wrap the sides of the foot and to be firmly overlapped with the various formal structures of the instep as already mentioned. Could be. Also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this is described as an insole insert but can itself be used as an insole that is integrally configured with the shoe as already shown and mentioned in FIGS. 1 to 3. It has already been mentioned that the band can be combined with the insole of the shoe in several places.

예를 들어, 하나의 밴드가 제13도에서 보인 안창의 중앙부분에 연결될수 있고 밴드의 타측부분이 제4도 및 제8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그 변부로부터 상향 연장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band may be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ole shown in FIG. 13 and the other side of the band may extend upward from its edge as shown in FIGS. 4 and 8.

본 고안의 최종 실시형태가 제14도에서 도시되어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이 신발은 제1도와 같은 통상적인 구조이며, 밴드(28)와 결합된 지지체는 이미 제4도-제8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신발의 내부 양측으로부터 상향되어 그들의 단부가 상호 연결되거나 보강편상에서 연결되는 한쌍의 밴드부재(29)를 포함한다. 밴드(28)의 저면을 제4도-제8도 또는 제9도-제13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안창, 또는 그 삽입체에 고정될 수 있다.A fi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As already mentioned, this shoe is of a conventional construction, as in FIG. 1, and the support associated with the band 28 is raised from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of the shoe in the manner already mentioned in FIGS. Includes a pair of band members 29 interconnected or connected on a reinforcing piece. The bottom of the band 28 may be secured to the insole, or its insert, as mentioned in FIGS. 4-8 or 9-13.

본 고안의 이 실시형태에서 밴드(28)에는 발의 뒷축과 하부 발목부분을 감싸서 삼각형의 형태로 발을 완전히 지탱하도록 하여 뒷축부분, 발의 측부와 발등 부근에서 발을 아늑하게 압박할 수 있도록 신발의 뒷축내면을 따라 후측으로 뒷측보강대(30)가 연장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뒷축보강대(30)는 일측 밴드부재(29)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어 신발의 뒷축 부분을 돌아 반대측 밴드부재(도시하지 않았음)와 일체로 연결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세곳으로부터 압력이 가하여지는 지지체는 그 힘이 하향 후측으로 향하게 되어 발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바, 격렬한 운동경기에 임하는 선수의 발을 심하게 다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적합하다.In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28 wraps the rear axle and the lower ankle of the foot so that the foot is completely supported in the form of a triangle so that the foot can be snugly pressed against the rear axle, the side of the foot and the back of the foot. The rear side reinforcement 30 extends rearward along the inner surface. As shown, the rear axle reinforcement 30 extends rearward from one side band member 29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band member (not shown) around the rear axle portion of the shoe. As already mentioned, the support from three places is supported by the force downwards to support the foot more effectively, which is suitable for protecting the athlete's foot from severe injuries in intense sports.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모든 구조는 신발의 안창 또는 안창삽입체에 연결하여 신발과 일체로 구성할 수 있으며, 안창삽입체에 구성하는 경우 착용전에 신발내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에 지지체를 너무 단단히 결속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조를 탄성재질로 구성하므로써 발에 신발이 보다 밀착되게 하고 지지체가 지나치게 결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지지체는 발에 안락감을 주는 동시에 발에 지지체가 매어져 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만족스러운 발등지지체를 갖는 느낌을 직감토록 하며 발의 구조를 너무 지나치게 결속하므로서 발등의 동맥등을 압박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As already mentioned, all the 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insole or insole insert of the shoe can be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shoe, when configured in the insole insert can be inserted into the shoe before wearing.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upport from being too tightly bound to the foot, by construct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t is possible to make the shoe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foot and to prevent the support from being excessively bound. The elastic support gives comfort to the foot and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at the support is attached to the foot, giving a sense of satisfaction with having a satisfactory foot support, and binding the structure of the foot too much so as not to press the arteries of the foot. do.

본 고안은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이면 지지체의 구조와 그 응용에 있어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변경이나 수정은 그것이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고안의 청구범위를 벗어날 수는 없다. 지금까지 언급된 실시형태는 단순히 그 설명의 목적만을 위한 것이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and modified in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and its application if on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not depart from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mentioned so far have been merely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Claims (29)

전면 보강부, 갑피 측변부 및 뒷측부분이 밑창에 고정되고 혀모양의 가지트가 구비된 형태의 신발에 있어서, 신발내부에 안창과 결합되고 안창으로 부터 상향연장된 밴드로 구성된 발등 지지체를 가진 신발.A shoe having a front reinforcement, upper side and rear portion secured to the sole and provided with a tongue-shaped gait, the shoe having an instep support composed of a band coupled to the insole 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insol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신발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것.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nd has a constant size along the length of the sho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안창의 중간부분에 연결되어 있는것.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nd is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ins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신발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것.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and has a constant size along the length of the sho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밴드에 일체로 연장되고 후향 연장된 뒷축보강대를 포함하는것.10.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nd includes a rear axle reinforcement that extends integrally and backwards in the band. 제1항에 있어서, 밴드가 단일 구조로 되어 있는것.The band of claim 1, wherein the band is of a single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한쌍의 밴드부재로 구성되고, 각 밴드부재는 밑창과 안창중의 하나에 고정되어 각각 상향되어 있는것.2. The ban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nd is composed of a pair of band members, each band member being fixed to one of the sole and the insole and upwardly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밴드의 상향부분이 신발내에서 전방으로 경사져 있는것.2. The upper portion of the band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band is inclined forward in the sho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신발의 내측부를 따라 상향 연장된 한쌍의 밴드부재로 구성되고, 일측밴드부재는 그 단부에 고정수단을 가지며, 타측 밴드부재는 발등상에 연장되고 그 단부에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밴드부재의 고정수단에 고정되어 있는것.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nd is composed of a pair of band members extending upward along the inner portion of the shoe, one side band member has a fixing means at its end, the other band member is extended on the instep and fixed to the end And means secured to the fixing means of the first band memb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벨크로로 구성된것.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astening means consists of velcr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신발의 내측부를 따라 상향 연장된 한쌍의 밴드부재로 구성되고, 이 밴드부재는 동일한 길이로 상향 연장되었으며, 각 단부에 고정수단을 가진것.2. The ban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nd consists of a pair of band members extending upwar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shoe, the band members extending upwards the same length and having fastening means at each en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벨크로로 구성된것.12. The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fastening means consists of velcro.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가 신발의 혀모양 가지트의 하측에서 함께 고정되는것.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and members are secured together at the lower side of the tongue-shaped gait of the sho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가 신발의 혀모양 보강편의 상부에서 중첩되도록 함께 고정되는것.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and member is fixed together to overlap at the top of the tongue-shaped reinforcement piece of the sho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가 신발의 내측을 따라 상향 연장된 한쌍의 밴드부재로 구성되고, 이 밴드부재는 동일한 길이로 상향 연장되었으며, 그 상측 단부에서 고정수단을 가지고, 신발의 혀모양 가지트가 그 상부면에 고정수단을 가지며, 밴드부재의 고정수단이 가지트의 고정수단에 고정되는것.The sho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nd member is composed of a pair of band members extending upwar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shoe, the band members extending upward by the same length, having fixing means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a tongue shape of the shoe. The gart has a fixing means on its upper surface, and the fixing means of the band member is fixed to the fixing means of the gar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벨크로로 구성된것.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said securing means consists of velcro.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가 탄성재질로 구성된것.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band membe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가 탄성재질로 구성된것.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and membe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가 탄성재질로 구성된것.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band membe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가 탄성재질로 구성된것.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nd membe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와 뒷축보강대가 탄성재질로 구성된것.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and and the rear axle reinforcemen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탄성재질로 구성된것.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탄성재질로 구성된것.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제3항에 있어서, 안창의 중앙부분에 한쌍의 슬로트가 형성되고, 밴드가 상기 슬로트를 통하여 삽입되는것.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pair of slots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ole and a band is inserted through the slots. 제24항에 있어서, 밴드가 안창의 중앙부분을 통하여 연장되는 위치에서 신발착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하여 안창이 상기 슬로트 위치에서 절결되어 있는것.25. The insole of claim 24, wherein the insole is cut out in the slot position to minimize the discomfort of the shoe wearer in a position where the band extend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안창 삽입체로부터 상향 연장된 밴드로 되어 있는것.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is in a b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insole insert.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안창삽입체의 중앙부분을 따라 연결되어 있는것.27. The insole of claim 26, wherein the bands are connected along a central portion of the insole inse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한쌍의 밴드부재와 합체되어 있으며 적어도 밴드부재의 하나는 안창양변의 안쪽에서 상향되어 있는것.2. The band of claim 1, wherein the band is integrated with a pair of band members and at least one of the band members is raised from the inside of both insoles.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안창양변 근처로 부터 상향되어 있는것.29. The band of claim 28, wherein the band is upward from near the insole.
KR2019830006427U 1983-04-22 1983-07-21 Shoes with instep supports KR880003159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487,881 US4550511A (en) 1983-01-14 1983-04-22 Instep support for footwear
US487.881 1983-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058U KR840006058U (en) 1984-11-30
KR880003159Y1 true KR880003159Y1 (en) 1988-09-09

Family

ID=2393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6427U KR880003159Y1 (en) 1983-04-22 1983-07-21 Shoes with instep support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880003159Y1 (en)
PH (1) PH24577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058U (en) 1984-11-30
PH24577A (en) 1990-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0511A (en) Instep support for footwear
US7254904B2 (en) Toe shoe
JP2949164B2 (en) Shoes having a reinforcing member in the middle
US4366634A (en) Athletic shoe
US4571856A (en) Double laced athletic shoe
KR950008004B1 (en) Athletic shoe for aerobic and the like
US4413431A (en) Athletic shoe upper construction
US4245408A (en) Athletic shoe
JP3746043B2 (en) Boot liner
US4958447A (en) Athletic shoe with break-away high top
US3095656A (en) Elastic cradle grip for footwear
US5960565A (en) Adjustable aquatic exercise shoe
EP2319340A1 (en) Adjustable ankle support for an article of footwear
EP0752820A4 (en) Multi-application ankle support footwear
KR100720751B1 (en) Ankle Support To Be Attached To Footwear And Footwear Equipped With It
EP0617903B1 (en) Innerboot particularly for skates
JPH0678801A (en) Sport shoes with inner fastening device
EP0623295A1 (en) Innerboot particularly for sports shoes
KR880003159Y1 (en) Shoes with instep supports
KR20040078054A (en) Baby and child-care shoes
KR880003161Y1 (en) Athletic shoes with supporting straps
CN216776254U (en) Device for reinforcing connection of sole and vamp and shoe comprising same
US20230414394A1 (en) Ankle brace
CA1124060A (en) Shoe with supported heel
JP2008188166A (en) Shoe with cross stra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809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