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3811A - 보조식 커피제조기 - Google Patents

보조식 커피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3811A
KR860003811A KR1019850003546A KR850003546A KR860003811A KR 860003811 A KR860003811 A KR 860003811A KR 1019850003546 A KR1019850003546 A KR 1019850003546A KR 850003546 A KR850003546 A KR 850003546A KR 860003811 A KR860003811 A KR 860003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manufacturing
water
discharg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츠 멜빈에프.
Original Assignee
멜빈 에프. 로버츠
브룸필드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멜빈 에프. 로버츠, 브룸필드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멜빈 에프. 로버츠
Publication of KR860003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8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hereby the powder ingredients and the water are delivered to a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7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r brewing on a large scale, e.g. for restaurants, or for use with more than one brewing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조식 거피제조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중앙제조 유니트의 한 방출위치에서 커피를 받기위해 놓여진 보조용 기 유니트를 나타 낸커피제조기의 사시도.
제2도는 다른 보조유니트에 인접한 제1도의 중앙제조 유니트와 함께 놓여질 준비가 된 실질적으로 동일한 보조용기 유니트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동의 보조용기 유니트의 측면도.

Claims (60)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가열수단과 연합하며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냉수 흡입밸브에 유체 연통되는 물탱크 수단과, 상기 흡입밸브에서 물이 흡입될때 탱크수단으로부터 치환된 온수를 방출하기위한 사이펀 튜브수단과, 상기 사이펀튜브 수단에 결합하여 흡수된 물을 수용하고 수용한 물을 제조실로 방출하기에 적합한 분사헤드 조립체와, 상기 분사헤드 조립체와 유체 접속되도록 상기 하우지의 외부에 제조실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수단과, 하부에 방출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방출오리피스를 적어도 두개의 방출위치로 조정가능하며, 상기 설치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으로서 커피분말을 유지하기 위한 조정가능한 제조실과, 그리고 제조사이클의 개시를 조정하며, 상기 방출위치중 한곳에 제조실을 위치할때 제조실에 의해 폐쇄가능한 안전스위치 수단을 구비한 중앙제조기와 복수개의 보조용기 유니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보조용기 유니트는 절연되어 커피를 유지하는 저장기와 그 위의 조정가능한 덮개수단을 가지고 그로부터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꼭지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조실의 임의의 방출위치로부터 제조커피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제조기를 교환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고, 적어도 두개의 보조용기 유니트를 제조커피의 연속수용을 위해 중앙제조기내에 동시에 배치할수 있는데, 여기서 배치하여 합쳐진 나비는 중앙제조기 하우징의 나비보다 크지않으며, 고정식이고 이동식이므로 중앙제조기에 배치한 상태에서 커피를 분배할 수도있고 중앙제조기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로도 커피를 분배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 튜브수단은 분사헤드 조립체의 상류하는 우회밸브를 포함하고, 우회밸브는 분사헤드 조립체로부터 격리되어 흡수된 물의 일부를 제조실내로 방출하기 위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조정가능한 제조실은 우회밸브로부터 물을 받아서 분사헤드 조립체로부터 방출되는 물과 별도로 물을 제조실을 통하여 보내는 우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커피제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조정가능한 제조실은 그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하부벽과 일체로 형성된 측벽을 포함하며, 하부벽은 그 사이를 통하는 방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데, 오리피스는 그 구멍이 원심에서 벗어나 있고 하부벽의 중심보다 측벽에 더 근접해 있으며, 제조실은 장입된 커피분말을 유지하기 위한 여과지를 수용하기에 적합한데, 상기 우회수단은 측벽주위에 연장되는 수지분할된 다수의 계단과, 여과지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제조실내로 삽입가능하여 측벽으로부터 격리되어지는 착탈가능한 바스킷 수단과, 제조실의 개방된 상부에 일반적으로 인접하며 측벽에 배치된 적어도 두개의 간격유지기 수단과, 우회밸브로부터 배출된 우회수의 통로를 위한 개구부를 가지며, 우회밸브로부터 방출되는 우회수의 통로로부터 측벽의 내측으로 여과지의 상부 테두리의 부분을 간격유지시키는데 적합한 상기 간격유지기 수단과,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기 수단이 측벽에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상기 간격유지기 수단이 제조실을 상기 방출위치중 한곳에 위치할때 우회밸브에 위치적으로 대응하는 상기 간격유지기 수단을 포함하여 여과지와 측벽사이의 측벽주위와 계단을 지나 하향으로 자유롭게 흘러 궁극적으로 여과지를 통과하여 방출오리피스를 통하여 방출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우회밸브는 우회시킨 물의 비유을 조정하는 계기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6. 제4항에 있어서, 바스킷 수단은 보통 하부벽에 인접하여 측벽을 탄성적으로 결합할수 있는 하부프레임 부재를 갖는 굴절설 배선프레임 바스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조정가능한 제조실은 핸들수단을 포함하고 하부벽으로 형성된 측벽을 가지며, 측벽은 하부벽으로부터 제조실의 개방상부를 한정하는 상부테두리로 상향으로 경사져있고, 상부 테두리는 제조기 설치수단과 협동하는 외부로 향한 설치플랜지를 포함하며, 제조기 설치수단은 분사헤드 조립체의 어느 한쪽에 떨어져 격리되어 있는 한쌍의 마주보는 깔때기 모양의 부재를 포함하여 설치플랜지를 거기에 수용함으로써 핸들수단이 수평으로 회전할때 제조실이 분사헤드 조립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되어있으며, 방출오리피스는 하부벽에 위치하는데 하부벽의 중심보다는 측벽에 보통 근접하여 핸들수단이 방출오리피스를 원호를 거쳐서 적어도 두개의 방출위치에서의 오리피스 위치로 이동시킴에 적합함에 따라 뜨거운 커피를 방출위치중 어느 한곳에서 커피를 받기위해 배치된 보조용기 유니트내에 방출할수 있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제조실의 하부벽은 방사상으로 경사져서 일반적으로 그 중심에 최하단의 배출웅덩이가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하부벽은 하향으로 경사진 깔때기를 포함하고, 방출오리피스는 하부에 위치하여 우회수와 커피분말이 통하는 방향인 분사헤드 조립체로부터 물로써 제조된 커피가 모두 오리피스를 통하여 하향으로 배출되도록한 방향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안전스위치 수단은 제조실을 각각의 방출위치로 조정할때 제조실에 의해 접촉되어 폐쇄되는 각각의 상기 방출위치에서 제조실의 위치에 대응하여 중앙제조기는 각각의 상기 방출위치를 위한 제조사이클 스위치를 포함하며, 제조사이클 스위치는 각각의 상기 방출위치를 위한 안전스위치 수단에 대응하여 직렬로 배선되어 안전스위치 수단은 제조실에 의해 폐쇄되어 제조사이클의 개시를 위한 회로를 완성함에 따라 제조실이 제조사이클을 개시하기 위하여 상기 방출위치중 어느 한곳에 배치되어 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전기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며, 제조실을 제조실을 방출위치로 조정할때 하나의 마이크로 스위치를 용이하게 접촉시키고 폐쇄시키기 위하여 위치한 스위치 작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온수탱크의 가열수단은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가열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가열소자는 4800와트 이상의 고용량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가열소자의 작동은 작동온도자동 조절기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되고, 작동온동 자동조절기는 온수탱크내의 수온을 감지하는 수단과 협동하고 또 전기회로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작동을 하여 이에따라 가열소자는 교대로 작동되고 또 작동되지 않아서 탱크내의 물은 작동 온도자동 조절기의 설정온도에 유지되며, 또한 중앙제조기는 가열소자와 작동온도 자동조절기와 별도로 배선된 안전릴레이 수단을 포함하여 고전압 전류는 가열소자를 통하여 통과하고, 저전압 전류는 작동온도자동 조절기를 통하여 통과하는데, 릴레이 수단은 작동온도 자동조절기에 의해 발생한 저전압 전류회로의 개방 및 폐쇄에 응답하여 가열소자에 고전압 전류를 개방 및 폐쇄시키고, 작동온도 자동조절기는 저전압 전류에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가열소자는 5500 와트에 달하는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온수탱크는 그 용량이 15.14 리터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보조식 커피제조기는 1회 제조사이클에 7.57 리터의 커피를 제조하며, 작동온도자동조절기는 탱크내의 수온을 90.6 내지 97.8℃로 유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가열소자는 제조사이클을 개시한 이후 10분이내에 탱크내의 물을 상기 온도범위로 재가열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19. 제1항에 있어서, 보조용기 유니트는 상부 윗부분을 통하는 개구부를 갖는 외부하우징과, 개구부 하단에 배치되며 하우징내의 개구부를 통하여 보조용기 유니트의 외부와 연통하는 개방 상부를 갖는 내부커피 저장기를 포함하며, 저장기는 그 용량이 하우징보다 적으면서 하우징과 저장기 사이의 빈 공간을 한정하고, 절연재료가 빈공간에 채워지며, 착탈가능한 덮개수단이 저장기의 개방상부를 덮도록 적합하게 되어있고, 배출수단은 저장기의 하부에 보통 배치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면서 저장기로부터 커피의 분배를 제어하기 위한 꼭지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덮개수단은 커피를 제조실로부터 방출하여 저장기로 유입시키는 통로인 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외부하우징, 덮개수단 및 내부저장기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21. 제19항에 있어서, 덮개수단은 적어도 두곳의 위치에서 조정가능하며, 흡입구는 대응방출위치중 어느 한 곳의 제조실로부터 커피를 수용하기 이해 적어도 두곳의 위치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 제조기.
  22. 제21항에 있어서, 덮개수단을 외부하우징상에 배치된 고정수단과 결합하여 덮개가 저장기에 고정되어 커피를 저장기에 유지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23. 제19항에 있어서, 배출수단은 외부하우징의 외측에 연결된 속이 빙 가시계기 수단과 유체접속되고 거기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가시계기 수단이 저장기의 내측에 연동되어 가시계기 수단으로 저장기내의 액체선두를 채워야할 동일한 높이로하여 저장기내의 액체선두를 채워야 할 동일한 높이로하여 저장기내의 커피수준을 눈으로 조사할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24. 제23항에 있어서, 가시계기 수단은 일반적으로 그 하부에 흐름제한 수단을 구비하여 꼭지수단이 개방될때 가시계기 수단내의 커피가 거기서부터 외부로 흐르고 밸브수단으로부터 분배된 커피는 저장기내에 수용되었을때의 온도와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25. 제23항에 있어서, 가시계기 수단은 속이 빈 플라스틱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속이 빈 플라스틱 튜브는 폴리설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27. 제19항에 있어서, 덮개수단은 이중벽으로 속이 빈 구조체이며, 그 공동부에는 절연제가 충전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절연재는 발포된 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29. 제19항에 있어서, 빈 공간내의 절연재는 발포된 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30. 제19항에 있어서, 외부하우징은 보통 장방형의 사방정계 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외부하우징의 나비는 중앙제조기에 대한 하우징 나비의 절반을 넘지않음으로써 보조용기 유니트는 제조실로부터 제조커피를 수용하기 위한 두곳의 방출위치에 옆으로 배치할수 있고 또 보조수용 유니트의 결합된 나비는 중앙제조기 하우징의 나비를 초과하지 않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32. 제19항에 있어서, 보조용기 유니트는 레스토랑에서 지지대로부터 외부하우징을 간격을 유지시키는 지지다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33. 제19항에 있어서, 보조용기 유니트는 꼭지수단 하단에 보조용기 유니트로서 배치되며 꼭지수단으로부터 분배하는 동안 쏟아진 커피를 수용할수 있는 이동성 배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34. 제19항에 있어서, 보조용기 유니트는 떨어진 공급처로 이송하기 위하여 보조용기 유니트를 용이하게 들어올릴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그 상부에 배치된 핸들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35. 제19항에 있어서, 깔때기 수단은 제조실로부터 제조된 커피를 수용하기 위한 덮개입구의 흡입구와 결합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36. 제35항에 있어서, 보조용기 유니트의 높이는 제조실의 방출오리피스 하단에서 2.54cm 이하의 근접한 관계로 깔때기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37. 제1항에 있어서, 중앙제조기는 각각의 방출위치에 대해서 품질제어 타이머회로 수단과 신호등 수단을 전기접속시키는 제조사이클 스위치를 포함하여 제조사이클 스위치가 작동할때 제조사이클이 개시되어 냉수가 물탱크 수단에 유입되고 이 결과 온수가 제조실에 흡수되며, 품질제어 타이머회로 수단은 제조사이클이 개시할때 전기적으로 작동하여 미리 설정한 기간동안 신호등을 조명시켜 신호등이 조명되어 있는 동안 조작자가 제조커피의 경과상태가 예정한 기간 이내라는 것을 결정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중앙제조기의 하우징은 조정패널을 포함하고, 제조사이클 스위치와 신호등 수단은 상기 조정패널에 위치하는데, 제조사이클 스위치와 신호등 수단이 제조실의 각각의 방출위치에 대응하는 각 세트에서 분리되어 배치되어 조작자가 각각의 방출위치에서 채위진 특수한 보조용기 유니트에 대한 제조커피의 제조경과를 조사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39. 제37항에 있어서, 신호등 수단은 예정된 시간동안 계속해서 조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40. 제39항에 있어서, 품질제어 타이머회로 수단은 예정된 시간동안 연속조명된 후의 간격동안 신호등을 조명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조명되는 간격은 상기한 연속조명기간보다 실질적으로 짧은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41. 제37항에 있어서, 중앙제조기는 품질제어 타이머 회로수단과 전기적 결합하는 소거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며 타이머회로 수단이 작동하지 않으므로 상기한 예정기간동한 신호등의 조명이 일순간이라도 불연속하지 않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42. 제1항에 있어서, 흡입밸브 수단은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밸브에 전기 접속되는 조정가능한 타이머 수단을 포함하는데, 타이머 수단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전기적으로 작동시켜 개방하고 제조사이클 이후 예정된 시간동안 물을 물탱크로 보내도록 구성되고 또 시간량을 변화시키기 위한 회전가능한 조정축 수단을 포함하며 물의 흡입량 그리고 그로인해 제조실로 흡수된 대체된 온수량을 변화시킬수 있으며, 중앙제조기의 하우징은 덮힌 구멍을 갖고, 타이머 수단은 중앙제조기의 하우징의 내측에서 덮힌 구멍에 인접하여 배치되는데, 상기 덮개는 착탈가능하여 타이머 수단에 통로를 제공하고, 데우기 타이머 수단은 회전가능한 조정축 수단주위에 설치된 눈금다이알과 상기 눈금다이알에 설치된 지시기 수단을 하는데, 눈금다이알과 지시기수단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조정축 수단을 정확하게 회전시킬수 있도록하여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되는 시간을 정확히 정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43. 제42항에 있어서, 지시기수단은 수동회전에 적합한 회전손잡이와 지시기를 포함하며, 눈금다이알은 덮개와 손잡이를 중앙제조기의 외부로부터 수동으로 조작하여 제거할때 구멍을 통하여 볼수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44. 제42항에 있어서, 눈금다이알은 넷중의 두번째 간격에서 가시적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그 시간의 길이는 흡입수량을 바라는 양의 59.1 밀리리터 이내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정확히 설정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45. 물을 수용하기 위한 탱크와, 물을 가열하는 수단과, 제조사이클이 개시할때 물을 탱크내로 도입시키는 흡입밸브 수단과, 제조사이클 동안 온수를 탱크로부터 분사헤드 조립체로 이송하기 위한 사이펀 수단과, 흡수된 물을 받아서 직전시키는 분사헤드 조립체와, 온수를 수용하기 위해 또 제조용의 커피를 수용하기 위해 분사헤드 조립체 하단에 배치되며, 그 하부에는 제조커피를 방출하기 위한 배출오리피스가 갖추어져 있고 조정가능하기 때문에 적어도 두곳의 분리된 방출위치에서 배출오리피스로부터 방출시키게 되어있는 이동가능한 제조실과, 그리고 분사헤드 조립체로부터 방출되는 온수와 별도로 제조실내로 흡수된 온수를 관리하는 우회수단을 구비한 중앙제조기와 제조실로부터 방출되는 온수와 제조커피를 수용하여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두개의 보조용기 유니트를 포함하는데 보조용기 유니트는 하우징과, 조정가능한 덮개 그리고 절연된 내부저장기로 구성되며, 덮개는 저장기내에 커피를 밀봉하여 저장하기 위해 하우징에 배치되며, 커피를 수용하기 위한 흡입수단과 커피가 흐르는 통로를 갖는데, 보조용기 유니트를 어떠한 방출위치에 배치할때 제조실의 하부 배출오리피스 하단에 흡입수단과 정렬시키기 위해 조정가능하며, 또한 보조용기 유니트는 커피를 제공하기 위해 저장기와 유체접속되어 있는 분배용 꼭지수단을 포함하고 또 중앙제조기와는 독립적으로 자유로이 배치할수 있어서 키피를 수용한 다음 이동시킬수 있으며 또한 중앙제조기내에서나 중앙제조기 내에서나 중앙제조기와는 떨어진 장소에서도 커피를 제공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46. 제45항에 있어서, 제조기를 위한 하우징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수 있는 소형으로서 나비가 40.6cm를 넘지않고, 보조용기 유니트는 그 나비가 중앙제조기 하우징의 그것에 비해 절반하지 않으며, 온수탱크는 15.14 리터에 달하는 물을 수용할수 있고, 보조용기 유니트는 7.57 리터의 제조커피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저장기를 포함하며, 제조실은 두곳의 방출위치로 조정가능하고 또한 방출위치에서 채울수 있도록 배치되는데, 제조기의 전체나비는 40.6cm를 넘지않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47. 중앙제조기와 적어도 두개의 보조용기 유니트를 포함하는데, 중앙제조기는 사이펀 튜브수단에 의해 유체 연통되는 온수탱크와 분사헤드 조립체를 구비하고, 온수는 온도자동 조절기로 제어된 4800와트 이상의 용량을 갖는 가열소자에 의해 가열되는데, 중앙제조기는 그밖에 분사헤드 조립체로부터 온수를 수용하여 제조커피는 두곳의 방출위치중 어느 곳에라도 하향으로 흐를수 있으므로 보조용기 유니트가 상기 어떠한 방출위치에서 채워지며, 보조용기 유니트는 이동가능한 격리된 덮개수단에 의해 덮혀진 절연된 커피저장기를 포함하는데, 덮개수단은 커피를 저장기내에 수용하기 위한 흡입구를 포함하며 또 흡입구를 제조실의 방출위치중 어느곳에 정렬위치로 배치하기에 적합하게 구성되며, 온수를 90.6 내지 97.8℃의 제조온도로 신속하게 재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를 포함하고, 1회제조사이클에 7.57리터의 커피를 반복 제조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기.
  48. 중앙제조기와 중앙제조기로부터 방출된 제조커피를 수용하여 저장하고 분배할수 있는 다수의 교환 가능한 보조용기 유니트의 조합을 포함하는데, 중앙제조기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온수탱크와,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탱크내측의 가열소자와, 통상 물탱크의 하부에서 냉수를 주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냉수흡입 시스템과 결합되는 탱크와, 흡입시스템으로부터 냉수를 도입함으로써 탱크로부터 대체된 온수를 이송하기 위한 사이펀 튜브수단과, 사이펀 튜브수단과 유체 연통하는 분사헤드 조립체와, 그리고 커피분말을 분사헤드 조립체로부터 온수를 도입함으로써 제조하기 위하여 장입하는 것으로서, 분사헤드 조립체 하단에 이동가능하고 조정가능하게 배치되며, 적어도 두개의 수직통로중 어느곳에 커피를 방출하기 위하여 조정가능한 제조실을 포함하며, 보조용기 유니트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측에 절연된 저장기 및 하우징위에 배치가능한 덮개수단을 포함하며, 덮개수단은 저장기를 통하는 흡입구를 가지면서 저장기위의 적어도 두곳의 떨어진 위치에 흡입구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조정가능한데, 보조용기 유니트는 제조실 방출통로 중 어느 한곳으로부터 커피를 수용하기 위하여 제조실 하단에 각각 배치할수 있고, 덮개는 방출위치중 어느 한곳에서 제조실로부터 방출된 수직흐름과 흡입구를 정렬시키기 위하여 조정가능하며, 또한 보조용기 유니트는 저장기로부터 커피컵이나 그밖의 용기에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꼭지수단을 포함하면서 중앙제조기와는 독립적으로 또 자유롭게 배치할수 있어서 커피를 떨어진 위치에서도 분배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49. 제48항에 있어서, 사이펀 튜브수단은 튜브를 따라 배열된 우회밸브를 포함하여 혹수된 온수의 일부가 분사헤드 조립체화는 별도로 제조실로 방출되는데, 제조실은 커피분말을 유지하기 위한 여과지를 수용하고 지탱하도록 형성된 하부벽과 측벽을 가지면서 하부벽과 측벽으로부터 떨어져서 제조실의 내측에 여과지를 격리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우회밸브는 여과지와 측벽사이에 우회수를 방출하도록 정렬되어 우회수가 커피분말을 통하기 보다는 주위에 순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50. 하우징과, 물을 가열하는 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내의 물탱크와, 물을 탱크로 도입시키는 냉수흡입 밸브와, 물을 흡입함으로서 물탱크 수단으로부터 대체된 온수를 방출하기 위한 사이펀 튜브수단과, 사이펀 튜브수단으로부터 물을 흡입하여 방출하기 위해 하우징에 배치된 분사헤드 조립체와, 적어도 두개의 방출위치에서 선택적으로 배치할수 있는 조정가능한 제조실과, 그리고 분사헤드 조립체와 유체연통되며 하단에 제조실을 이동가능하게 배치하는 수단을 갖는 제조유니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조실은 여과지에 커피분말이 유지될수 있도록하고, 측벽, 하부벽 및 하부벽을 통하는 방출 오리피스를 구비하며, 방출위치중 어느 곳에서 제조실로부터 커피를 수용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곳의 위치에서 그 하단에 놓인 용기수단을 충전시킬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기.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제조기는 그밖에 흡수된 온수의 커피분말을 통하게 하기보다는 여과지 주위로 흐르게하여 커피의 과추출을 방지하는 우회시스템을 포함하는데, 우회시스템은 분사헤드 조립체와는 별도로 물을 방출하도록 하기 위하여 분사헤드 조립체 상류에 사이펀튜브 수단을 따라 배치된 우회밸브와 우회수를 커피분말에 떨어져서 향하게 하기위하여 제조실에 제공된 수단을 포함하고 또 측벽 주위로 연장되는 다수의 수직분할된 계단, 보통 제조실의 상부 근처에서 측벽에 배치된 적어도 두개의 간격유지기 수단 및 여과지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제조실내로 삽입가능하여 측벽과 계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공간을 점유하는 바스킷 수단을 구성부품으로 하며, 간격유지기 수단은 우회밸브 하단에 배열되어 우회수가 내측의 여과지와 측벽사이의 하향으로 배출되도록하여 커피분말을 통하지 않고 궁극적으로 제조실로부터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기.
  52. 제50항에 있어서, 조정가능한 제조실은 안전스위치 수단과 협동하면서 설치수단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또 방출오리피스를 방출위치로 조정할수 있어 방출된 제조커피는 선택된 독립의 수직통로를 통하여 흐르며, 안전스위치 수단은 제조실을 방출위치중 어느 한곳에 배치할때 제조실에 의해 폐쇄가능하게되는 하우징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방출위치에서 제조실의 위치에 대응하여 중앙제조기에 배치되어 대응방출 위치로 조정할때 제조실에 의해 위치하여 접촉하고 폐쇄되고, 폐쇄가능하여 전기회로의 완성을 용이하게 할수 있어서 제조방출위치중 어느 한곳에 대한 제조사이클은 각각의 스위치가 제조실에 의해 폐쇄될때만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기.
  53. 제50항에 있어서, 가열수단은 탱크내의 수용을 감지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전기회로를 개방 및 폐쇄시키도록 작동하는 작동온도자동 조절기에 의해 제조되며 작동온도 자동조절기에서 설정된 예정제조온도로 탱크내의 수온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교대로 각각 작동 및 비작동되는 4800 와트이상의 고용량 가열소자와 상기 가열소자 및 작동온도 자동조절기와는 별도로 배선된 안전릴레이 수단을 포함하는데, 고전압 전류는 가열소자를 통해 흐르고 저전압 전류는 작동온도 자동조절기를 통해 흘러 릴레이수단은 작동온도 자동조절기에 기인한 저전압전류 회로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것에 대해 가열소자에 대한 고전압 전류를 개방 및 폐쇄시키며, 작동온도 자동조절기는 저전압 전류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기.
  54.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제조기는 제조실의 어떠한 방출위치로부터 커피를 수용할수 있는 복수개의 자유로이 세울수 있는 보조용기 유니트를 포함하는데, 보조용기 유니트는 일반적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한정되는 외부하우징과, 개방 상부를 통하여 보조용기 유니트의 외측과 연통되기 위하여 상향으로 개방되고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된 커피저장기와, 그리고 저장기를 덮기위한 이동가능하고 조정가능한 덮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에서 저장기와 하우징은 그 사이가 빈 공간으로 한정되고, 덮개수단은 저장기내로 커피를 통과시키기 위한 흡입구를 가지면서 저장기 상부의 적어도 두개의 다른 커피수용 위치로 조정가능하며, 또한 보조용기 유니트는 통상 저장기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하여 수동조작식 꼭지수단에서 종료하는 배출수단과, 배출수단과 유체 연통하며 하우징의 외측으로 수직방향에서 배치되어 저장기내의 커피수준은 보조용기 유니트의 외부에 조다할수 있는 가시계기 수단을 포함하는데, 가시계기 수단은 통상 하부에 위치하는 제한밸브를 포함하여 커피를 분배하기 위하여 꼭지수단이 개방될때 가시계기 수단의 내측의 커피가 거기서부터 흐르고, 꼭지수단으로부터 분배된 커피의 온도는 저장기에 유지될때의 온도와 거의 동일하며, 조정가능한 덮개수단은 제조실의 어떠한 방출위치내로 흡입구를 배치하기에 적합하여 보조용기 유니트를 방출위치중 어느 한곳에 배치할수 있고, 복수개의 보조용기 유니트를 선택한 위치에서 커피를 받기위해 제조유니트에 교환가능하게 사용할수 있으며, 그밖에 보조용기 유니트는 제조유니트에 배치된 동안에도 커피를 분배할수 있고 먼거리에 커피를 제공하기 위하여 옮길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기.
  55.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제조기는 제조사이클스위치, 품질제어 타이머회로수단 및 신호등 수단의 조합체를 포함하는데, 제조사이클 스위치가 작동할때 제조사이클이 개시되어 냉수가 물탱크 수단으로 흡입되고 온수는 제조실로 흡수되며, 품질제어 타이머회로 수단은 제조사이클이 개시할때 전기적으로 작동하여 예정시간동안 신호등 수단을 조명하여 작동자가 신호등이 조명되어 있는것을 관측함으로써 제조커피가 예정시간 동안 넘지않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기.
  56. 제50항에 있어서, 제조유니트는 흡입밸브 수단에 의해 도입된 물의 양을 정확하게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흡입밸브 수단을 솔레노이드 밸브와 전기접속되는 타이머 수단을 포함하며, 타이머수단은 제조사이클 개시후 솔레노이드 밸브를 전기적으로 작동시켜 개방시키고 예정시간동안 물탱크 수단에 물을 보내는 것으로서 조정가능하고, 시간의 길이를 변화시켜 흡입수량과 제조실에서 흡수된 온수의 대체량을 변화시키는 회전가능한 고정축 수단을 포함하며, 타이머 수단으로 통하는 덮힌구멍 근처의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면서, 회전가능한 조정축 수단주위에 배치된 눈금다이알과 회전시키기 위하여 조정축 수단에 배치된 지시기 수단을 포함는데, 눈금다이알은 시간의 단위가 가시적으로 표시되어 있어 눈금 다이알에 표시된 시간설정에 대해 지시기 수단의 회전의 정확성을 용이하게 기할수 있고,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조작할수 있으므로 솔레이노드 밸브가 작동되는 시간의 길이를 정확하게 조정할수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기.
  57. 제50항 있어서, 제조유니트는 온수시스템과 사이펀 튜브수단과는 별도로 온수를 방출하는 꼭지초립체는 더 포함하는데, 꼭지조립체는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거기로부터 깨끗한 온수를 컵이나 그밖의 용기에 용이하게 분배할수 있고 또 꼭지조립체는 유체 접속시키는 연장수단에 연결되어 예정거리만큼 연장되어 꼭지조립체로부터 예정된 거리에서 깨끗한 온수를 컵이나 그밖의 용기에 방출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식 커피제조기.
  58. 제57항에 있어서, 꼭지조립체는 배출튜브를 포함하고, 연장수단은 배출튜브에 결합시키기 위한 크기의 골절성 튜브를 포함하며, 굴절성 배출튜브로부터 하향으로 격리된 강체삽입튜브를 포함하여 굴절성 튜브가 그 사이의 힌지부에서 굽혀질수 있고, 강체 삽입튜브는 굴절성튜브의 거의 전장에 걸쳐 하향으로 연장되는데, 또한 꼭지조립체는 강체 삽입튜브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작류기 수단을 포함하고, 굴절성튜브는 온수가 꼭지조립체를 통하여 방출될때 강체 삽입튜브를 격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기.
  59. 온수탱크, 탱크내의 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탱크에 결합된 수단, 온수탱크에 결합된 온수시스템 및 온수탱크 시스템과 유체연통되며 깨끗한 온수를 방출하기 위한 꼭지조립체를 포함하는 커피제조기에 있어서, 꼭지조립체에 고정된 배출튜브를 포함함으로써 온수가 그곳을 통해 방출되도록 하고, 배출튜브에 배치되며 온수의 방출이 배출튜브 하단의 예정거리에서 행해지는 그 길이를 갖는 굴절성 연장튜브 수단은 배출튜브에 끼우는 크기의 굴절성 튜브와 배출튜브로부터 하향으로 격리되며 굴절성 튜브내의 강체 삽입튜브를 포함하며 굴절성 튜브가 그 사이에서 힌지로 굽혀질수 있도록하며, 또 강체 삽입튜브는 하부의 개단부에 직류기를 포함하면서 굴절성 튜브의 거의 전장에 걸쳐 연장됨으로써 굴절성 튜브는 온수를 방출하는동안 안정하고 수직으로 그 배치가 유지되고, 또 굴절성 튜브는 온수를 방출하는 동안 가열되기 때문에 강체 삽입튜브와 격리되어 조작자가 강체 삽입튜브에 접촉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연장 튜브수단은 접촉될때 힌지로 굽혀지고 접촉이 끝나면 수직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개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기.
  60. 제59항에 있어서, 굴절성 튜브는 실리콘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제조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50003546A 1984-11-28 1985-05-23 보조식 커피제조기 KR8600038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675,531 US4621571A (en) 1984-11-28 1984-11-28 Satellite coffee brewing system
US675531 1984-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811A true KR860003811A (ko) 1986-06-13

Family

ID=24710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546A KR860003811A (ko) 1984-11-28 1985-05-23 보조식 커피제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21571A (ko)
JP (1) JPS61128924A (ko)
KR (1) KR860003811A (ko)
AU (2) AU567223B2 (ko)
CA (1) CA1238497A (ko)
GB (2) GB21676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06781C1 (de) * 1985-02-26 1986-07-17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7340 Geislingen Kaffeemaschine
US4676150A (en) * 1986-03-20 1987-06-30 Bunn-O-Matic Corporation Hinged cover for beverage reservoir
US4676149A (en) * 1986-03-20 1987-06-30 Bunn-O-Matic Corporation Coffee-making and dispensing machine having removable reservoir with quick release seal
US4892031A (en) * 1987-04-23 1990-01-09 Newco Research Corporation Modularized custom beverage brewer
US4829888A (en) * 1987-04-23 1989-05-16 Newco Research Corp. Modularized custom beverage brewer
US4739697A (en) * 1987-05-04 1988-04-26 Bloomfield Industries, Inc. Brew chamber with filter spacer
US4809594A (en) * 1987-08-11 1989-03-07 Bloomfield Industries, Inc. Tea brewer
US4773313A (en) * 1988-01-20 1988-09-27 Bunn-O-Matic Corporation Iced tea brewer with portable server
US4872402A (en) * 1988-07-06 1989-10-10 Black & Decker Corporation Carafe-operated coffee brewing system
US5331885A (en) * 1988-07-27 1994-07-26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Semiautomatic beverage maker and method
US5000082A (en) * 1988-07-27 1991-03-19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Beverage maker and method of making beverage
US4869158A (en) * 1989-02-13 1989-09-26 Bunn-O-Matic Corp. Elevated beverage brewer with side discharge
WO1990014014A1 (en) * 1989-05-16 1990-11-29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Semiautomatic beverage maker and method
US5025714A (en) * 1990-03-21 1991-06-25 Bunn-O-Matic Corporation Tea maker
US5245914A (en) * 1990-09-18 1993-09-21 Vitous Charles J Dual tea brewer
US5211103A (en) * 1991-03-22 1993-05-18 Bunn-O-Matic Corporation Convertible brewer
EP0738491B1 (en) * 1992-01-10 2001-04-04 Bunn-O-Matic Corporation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5476186A (en) * 1992-11-12 1995-12-19 Gemco Ware, Inc. Universal replacement carafe for coffee maker
DE4409030C2 (de) * 1993-07-07 1997-09-11 Wmf Wuerttemberg Metallwar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affeegetränk und dafür geeignete Kaffeemaschine
US5644972A (en) * 1994-08-03 1997-07-08 American Metal Ware Co. System and method for brewing and dispensing a hot beverage
US5584229A (en) * 1995-08-14 1996-12-17 Bunn-O-Matic Corporation Reduced temperature coffee brewer
NL1003068C2 (nl) * 1996-05-08 1997-11-18 Sara Lee De Nv Koffiefiltreerinrichting met bypass.
US6044753A (en) * 1996-09-18 2000-04-04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Brewing system with movable dispenser urn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US8534187B2 (en) * 1997-04-18 2013-09-17 Bunn-O-Matic Corporation Beverage server
US6393966B1 (en) 1997-04-18 2002-05-28 Bunn-O-Matic Corporation Beverage server
US6089409A (en) * 1997-04-18 2000-07-18 Bunn-O-Matic Corporation Beverage server
US5907993A (en) * 1997-09-04 1999-06-01 Van Camp; Ray Satellite brewing system
US5875703A (en) * 1998-08-10 1999-03-02 Rolfes; Patrick J. Coffee brewer and hot water dispenser
US5901634A (en) * 1998-09-04 1999-05-11 Bloomfield Industries Canada Ltd.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6095031A (en) * 1999-01-08 2000-08-01 Bloomfield Industries Canada Limited Computer controlled brewing apparatus
US6062126A (en) * 1999-02-05 2000-05-16 Boyd Coffee Company Beverage qualit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6084365A (en) * 1999-04-29 2000-07-04 Siemens Building Technologies, Inc. Actuator having timer-controlled power switching device
US6176562B1 (en) * 1999-06-22 2001-01-23 Bunn-O-Matic Corporation Retaining assembly for a beverage server assembly
US6808731B1 (en) 1999-08-14 2004-10-26 The Procter & Gamble Co. Coffee extract and process for providing customized varieties and strengths of fresh-brewed coffee on demand
US6726947B1 (en) * 1999-08-14 2004-04-27 The Procter & Gamble Co. Process for providing customized varieties and strengths of fresh-brewed coffee on demand
JP2003506181A (ja) * 1999-08-14 2003-02-1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遅延混合を利用して、オンデマンドでカストマイズされた複数種の入れたてのコーヒー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6759072B1 (en) 1999-08-14 2004-07-06 The Procter + Gamble Co. Methods and systems for utilizing delayed dilution, mixing and filtration for providing customized beverages on demand
AU2003225307A1 (en) * 2002-05-06 2003-11-17 Bunn-O-Matic Corporation Spray head
US7328650B2 (en) * 2002-10-09 2008-02-12 Bunn-O-Matic Corporation Brewer
IL162951A (en) * 2004-07-11 2005-11-20 Soryas Avraham Sabbath urn having associated second vessel and accessories therefor
US20060112832A1 (en) * 2004-11-29 2006-06-01 Conair Corporation Coffee maker with mechanical coffee level indicator
WO2007021691A1 (en) * 2005-08-09 2007-02-22 Back To Basics Products, Llc. Coffee maker with dual use pour and dispensing carafe and method
CA2718655A1 (en) * 2005-08-11 2007-0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verage brewing devices having moveable reservoirs
US8327755B1 (en) * 2008-06-06 2012-12-11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Beverage brewer with power driven tubular hot water dispense valve and method
US20110008063A1 (en) * 2009-07-08 2011-01-13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cartridge
US9084511B2 (en) 2009-10-22 2015-07-21 Bunn-O-Matic Corporation Flexible spray head
US8528466B2 (en) * 2010-02-05 2013-09-10 Bobbi J Sweet Liquid overflow platform and container for small appliances
US8495949B2 (en) 2010-02-12 2013-07-30 Keurig, Incorporated Apparatus for beverage formation with automated water delivery to heating tank
MX2013011528A (es) * 2011-04-05 2013-12-06 Nestec Sa Conjunto de maquinas de preparacion de bebidas que difieren por sus tamaños.
US9510705B2 (en) * 2011-04-13 2016-12-06 Patrick J. Rolfes Pre-packaged beverage brewer press
EP2703739B1 (en) * 2012-08-31 2015-07-2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cooking oven with an oven cavity and a steam cooking arrangement
CN103932593B (zh) * 2014-04-23 2016-07-27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咖啡酿造装置
CN105411390B (zh) * 2015-12-15 2018-01-09 边江 恒温即热饮水机
US10376094B1 (en) 2015-12-15 2019-08-13 Grindmaster Corporation Agitator assembly for a portable beverage dispensing container
NL2018027B1 (en) * 2016-12-20 2018-06-28 Douwe Egberts Bv Drainage connector unit and assembly for the drainage of liquid waste of beverage dispens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1901A (en) * 1916-01-26 1916-11-02 Jackson Boilers Ltd Improved Means for Making Tea, Coffee, Cocoa, or like Hot Liquid Refreshment and Distributing it readily to Work-people or others.
US2485246A (en) * 1944-06-02 1949-10-18 Donald F Swanson Coffee-making apparatus and automatic control means therefor
US2890643A (en) * 1954-07-07 1959-06-16 United Coffee Corp Beverage brewing and dispensing apparatus
BE638951A (ko) * 1962-12-31
US3425338A (en) * 1965-05-13 1969-02-04 Enioch C Vittoe Coffee brewing device
FR1452754A (fr) * 1965-07-30 1966-04-15 Brise-jet filtre et aérateur
US4207809A (en) * 1978-03-20 1980-06-17 Restaurant Technology, Inc. Dual reservoir coffee urn
US4309939A (en) * 1979-09-14 1982-01-12 Bunn-O-Matic Corporation Beverage brew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38497A (en) 1988-06-28
GB8702466D0 (en) 1987-03-11
AU4484985A (en) 1986-06-05
GB2184645A (en) 1987-07-01
GB2167652A (en) 1986-06-04
GB2167652B (en) 1988-06-02
US4621571A (en) 1986-11-11
AU586130B2 (en) 1989-06-29
AU8121987A (en) 1988-03-10
GB2184645B (en) 1988-06-08
GB8514964D0 (en) 1985-07-17
JPS61128924A (ja) 1986-06-17
AU567223B2 (en) 1987-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3811A (ko) 보조식 커피제조기
US6843164B2 (en) Coffee brewer
US4662271A (en) Machine for preparing hot beverages, with a metered withdrawal of liquid
US5245914A (en) Dual tea brewer
US4858523A (en) Automatic infusion-beverage apparatus
US4579048A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4309939A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5014338A (en) Portable air humidifier
US3220334A (en) Coffee making machine
US5094153A (en) Coffee machine with product selectivity
US6164191A (en) Single serving beverage maker
US4651862A (en) Dual temperature beverage dispenser with removable operating module
US5072660A (en) Automatic infusion-beverage apparatus
US5158793A (en) Coffee machine with product selectivity
US4143589A (en) Coffee brewing apparatus and method
US5111529A (en) Portable air humidifier
US3149556A (en) Coffee making machine
US8171843B1 (en) Coffee maker with automatic metered filling means
CN201348350Y (zh) 液体加热容器
NO122550B (ko)
US4603620A (en) VPS with hot water dispenser
US4967648A (en) Automatic infusion-beverage apparatus
JP2000511806A (ja) 食品製造の改良および食品製造に関する改良
US4843954A (en) Tea making machine
EP0228760A1 (en) Apparatus for heating and dispensing hot liq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