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614B1 - Process for preparation of actived pharmaceutical compounds - Google Patents

Process for preparation of actived pharmaceutical compounds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614B1
KR830002614B1 KR1019800001538A KR800001538A KR830002614B1 KR 830002614 B1 KR830002614 B1 KR 830002614B1 KR 1019800001538 A KR1019800001538 A KR 1019800001538A KR 800001538 A KR800001538 A KR 800001538A KR 830002614 B1 KR830002614 B1 KR 830002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ug
soluble
dissolved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30002506A (en
Inventor
모도야마 시메즈
사또시 사또오
세이이찌 우메다
희로쯔네 야스미
에미고 수도
유고 다까사까
다꾸이찌 스지노
Original Assignee
후로인도 산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후꾸시마 기요도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로인도 산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후꾸시마 기요도요 filed Critical 후로인도 산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1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6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506A/en
Publication of KR830002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6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활성화된 의약조성물의 제법Preparation of activa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제1도는 실시예 1의 용출시험결과를 나타내고,1 shows the dissolution test results of Example 1,

제2도는 실시예 2의 용출시험결과를 나타내며,2 shows the dissolution test results of Example 2,

제3도는 실시예 4의 성인남자에 의한 시험결과를 나타내고,Figure 3 shows the test results by the adult male of Example 4,

제4도는 실시예 8의 쥐에 대한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고,Figure 4 shows the test results for the rat of Example 8,

제5도는 실시예 10의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며,5 shows the test results of Example 10,

제6도는 실시예 11의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고,6 shows the test results of Example 11,

제7도는 실시예 14의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고,Figure 7 shows the test results of Example 14,

제8도는 실시예 15의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며,8 shows the test results of Example 15,

제9도는 실시예 16의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9 shows the test results of Example 16.

본 발명은 위장내에서 쉽게 흡수되어 높은 약효를 나타내는 의약조성물의 제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는 미합중국 특허분류 424에 속한다. 본 발명의 선행기술로는 일본특공소 35-5798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reparation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ich is easily absorbed in the stomach and shows high efficacy. The technical field of this invention belongs to US patent classification 424. The prior art of this invention is Japanese Unexamined-Japanese-Patent 35-5798.

상기 문헌에는 클로람페니콜 팔미테이트에 카보왁스(Carbo Wax)를 첨가하여 이들을 뜨거운 친수성 유기용매에 용해한 다음 급냉하여 클로람페니콜 팔미테이트의 미세한 무정형 생성물을 얻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 수득되는 조성물은 융점이 낮은 카보왁스를 함유하기 때문에 물에 대한 재분산성이 나쁘다. 다른 선행기술로는 일본특개소 54-2316이 있다. 상기 문헌에는 니페디핀에 글리세린, 식물유등에서 선택한 제1 성분과 폴리비닐 피롤리돈, 메틸셀롤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롤로즈등에서 선택한 제2 성분을 가한 배합물을 유기용매에 용해하고 이어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대량의 유기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공정상 위험한 결점이 있다. 상기 공개된 방법은 두가지 모두가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점이 물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방법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밖에 본 발명에 유사한 선행기술로는 일본특공소 46-42390이 있다. 여기에서는 물에 잘 녹지 않는 클로람페니콜팔미테이트와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것을 수용성 고분자물질 예를들면 메틸셀롤로즈 수용액 중에서 콜로이드밀로 분쇄하여 클로람페니콜 팔미테이트의 현탁액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사용되는 클로람페니콜 팔미테이트와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은 서로 밀접하게 결합한 것으로 클로람페니콜 팔미테이트 자체는 아니다. 또 이 기술은 현탁액의 제법인 까닭에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신규성이 부정될 수는 없다. 또 다른 본 발명에 유사한 선행기술로는 일본특공소 45-33676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물에 녹기 어려운 클로람페니콜의 유기산 에스테르를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이를 온수에 분산하고 폴리비닐알콜등의 존재하여 냉각하여 정석(晶析)하는 클로람페니콜의 유기산 에스테르의 미립자 현탁액의 제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의 경우에도 클로람페니콜 유기산 에스테르는 계면활성제와 현탁시킨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클로람페니콜 유기산 에스테르는 계면활성제와 밀접하게 결합하여 클로람페니콜 유기산 에스테르가 아닌 다른 물질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상기 유사기술의 현탁액에서는 계면활성제의 마이셀이 형성되는 것이 확실하므로 마이셀이 형성되지 않는 본 발명의 방법과는 현저히 다르다. 상기 유사기술도 현탁액의 제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선행기술로 본 발명의 신규성이 부정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에 잘 녹지 않는 약제를 물에 대한 재분산성이 좋고 약효와 바이오어베일러빌리티(Bioavailability)가 높은 약제조성물로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발명의 개요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존재하에 물에 잘 녹지 않는 약제를 물에 실질적으로 직경이 10μ 이하인 미립상으로 분산한 다음 물을 증발시켜 수용성 고분자물질로 피복된 미립상의 약제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This document describes a method of adding Carbo Wax to chloramphenicol palmitate, dissolving them in a hot hydrophilic organic solvent and then quenching to obtain a fine amorphous product of chloramphenicol palmitate. However, the composition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has poor redispersibility for water because it contains carbowax with a low melting point. Another prior art is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4-2316. Said document discloses a composition in which nifedipine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and a combination in which a first component selected from glycerin, vegetable oil, etc., and a second component selected from polyvinyl pyrrolidone, m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cellulose, and the like are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A method of preparing is provided. However, this method uses a large amount of organic solvents and thus has a dangerous process defect. The above disclosed method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water in that both use organic solvents. In addition, as a prior art similar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46-42390. Here, a method of preparing a suspension of chloramphenicol palmitate by mixing chloramphenicol palmitate, which is insoluble in water, with a surfactant, is pulverized with a colloid mill in a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such as methylcellulose solution. However, the mixture of chloramphenicol palmitate and surfactant used in this method is closely bound to each other and is not chloramphenicol palmitate itself. Also, since this technique is a preparation of suspension, the novelt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denied. Another prior art similar to the present invention is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45-33676, where an organic acid ester of chloramphenicol, which is difficult to be dissolved in water, is mixed with a surfactant and dispersed in hot water, and cooled in the presence of polyvinyl alcohol or the like. V) producing a fine particle suspension of an organic acid ester of chloramphenicol. In the case of the above technique, a chloramphenicol organic acid ester is used which is suspended with a surfactant. In this case, the chloramphenicol organic acid est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tant and may be regarded as a material other than the chloramphenicol organic acid ester. In addition, since the micelle of the surfactant is surely formed in the suspension of the similar technology, it is remarkably different from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micelle is not formed. This analogous technique also suggests the preparation of a suspension. Therefore, the novelt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denied by these prior ar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method for preparing a drug composition that is insoluble in water, and has a good redispersibility for water and high drug efficacy and bioavailability. Summary of the Invention A method of preparing a particula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ated with a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by dispersing a drug that is insoluble in water in the presence of a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into a fine particle having a diameter of 10 μm or less in water and then evaporating water. to b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고분자물질이 열겔화성일 때는 물에 잘 녹지 않는 약제를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수용액에 미립상으로 분산한 다음 상기 분산용액을 가열하여 수용성 고분자물질을 겔화하여 이 겔중에 포함된 미립상 약제와 함께 물층에서 분리하여 이를 건조시키므로서 용매를 증발시키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When the water-soluble polym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rmogelable, a drug that is insoluble in water is dispersed in a particulate state in an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and then the dispersion solution is heated to gel the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to be contained in the gel. The cost of evaporating the solvent can be greatly reduced by separating it from the water layer with the reagent and drying it.

본 발명에 있어서 물에 잘 녹지 않는 약제를 물에 미립상으로 분산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있다. 제1방법은 약제가 알칼리 수용액에 용해되는 경우에 그 약제를 알칼리 수용액에 용해한 뒤 이를 산으로 중화하여 석출시키는 방법이다. 제2방법은 산성 수용액에 용해되는 경우에 그 약제를 산성 수용액에 용해한 뒤 알칼리로 중화하여 석출시키는 방법이다. 제3방법은 약제가 비친수성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경우에 그 약제를 비친수성 유기용매에 용해하고 이 용액을 물로 유화시키는 방법이다. 제4방법은 물에 잘 녹지 않는 약제를 수중에서 미분쇄하여 분산시키는 방법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dispersing a drug that is poorly soluble in water in the form of fine particles. In the first method, when a drug is dissolved in an aqueous alkali solution, the drug is dissolved in an aqueous alkali solution and then neutralized with an acid to precipitate. When the second method is dissolved in an acidic aqueous solution, the drug is dissolved in an acidic aqueous solution and then neutralized with alkali to precipitate. In the third method, when a drug is dissolved in a non-hydrophilic organic solvent, the drug is dissolved in a non-hydrophilic organic solvent and the solution is emulsified with water. The fourth method is a method of pulverizing and dispersing a drug that is insoluble in water in water.

본 발명에 있어서“활성화 약제”라 함은 미립화하고 재분산성을 높게 하여 흡수성이 좋게 한 약제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ctivating agent" refers to a drug that has been improved in water absorption by atomizing and having high redispersibility.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화관내에서 재분산성이 좋은 활성화 약제조성물을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물에 잘 녹지 않는 난용성 약제는 그 약효의 우열이 단지 원약 자체만으로 약리효과가 평가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공정에서 부여되는 물리적 성질 특히 입자와 크기에 크게 지배를 받는 사실이 인정되어 입자가 미세한 약제의 제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특히 클로람페니콜의 유기산염의 미분화가 연구되어 이에 관한 특허출원이 많이 공개되었다. 예를들면 일본특공소 35-5798, 동 45-33676, 동 46-15286, 동 46-17153, 동 46-21671, 동 46-42390 등이 그것이다. 본 발명은 물에 난용인 약제를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존재하에 물에 미립상으로 분산시킨 후, 물을 증발시켜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 피복된 미립상의 약제를 제조하는 방법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new method for preparing an active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good redispersibility in the digestive tract as described above. Poorly soluble drugs that do not dissolve well in water, the superiority of the drug is not evaluated only by the pharmacological effect alone. It was recognized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conferred in the formulation process, in particular, the particle size and the size, were actively studi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drug with fine particles. In particular, the micronization of the organic acid salt of chloramphenicol has been studied and many patent applications have been published. For example, Japan Special Public Office 35-5798, East 45-33676, East 46-15286, East 46-17153, East 46-21671, East 46-42390.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eparing a particulate drug coated with a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by dispersing a poorly soluble drug in water in the presence of a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and then evaporating water.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성 고분자물질로서는 열 겔화성 수용성 고분자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고체약제를 물에 분산시킨 후 이 분산계를 가열시키면 그 고분자물질은 분산한 미립상의 약제를 내포하여 겔화한다. 이 겔을 물에서 분리하여 건조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증발에 필요한 열량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물에 난용인 고체 약제를 물 미립상으로 분산시키는데 제1 내지 4의 방법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As the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gelling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can be used. In this case, when the solid drug is dispersed in water and the dispersion system is heated, the high molecular material gels by containing the dispersed fine drug. This gel can be separated from water and dried. In this case, since the amount of heat required for evaporation can be reduced, it is very prefer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irst to fourth methods for dispersing poorly soluble solid medicaments in water into water particulates.

종래 클로람 페니콜의 지방산 에스테르와 같은 저융점 약제는 가열용융하여 액상으로 만들고 기계적 교반 또는 전단에 의한 물리적 방법으로 유화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 방법은 용융약제의 점도가 높고 전단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미립화의 정도가 불충분하다. 즉 이 방법에서는 입자크기가 10μ정도 내지 그 이상의 경우가 많다. 또 유화시에 계면활성제를 쓰는 방법도 보통 행하여지고 있다.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는 의약품으로 그 사용이 특히 인정되어 있고 유화력과 가용력(可溶力)이 강한 폴리솔베이트 80 및 피마자기름의 수소첨가물에 에틸렌 옥사이드를 부가중합시킨 HCO-60을 들 수 있다. 이들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약제와의 상호작용이 거의 없고 맛, 냄새도 없기 때문에 흔히 사용된다. 그러나 유화할 때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최근 용혈작용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또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에 따라서는 명확히 미립화하여 시험관내 시험 즉, 용출시험에서는 용출속도가 빠르거나 생체시험에서 사람에게 투여할 경우, 바이오어베일러빌리티가 항상 높은 것이 아니고 흡수가 늦고 혈중농도 곡선 아래 면적이 적을 때도 있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Conventionally, low melting agents such as fatty acid esters of chloram phenicol have been proposed to be melted by heating to make them liquid and emulsified by physical methods by mechanical stirring or shearing. However, this method is insufficient in the degree of atomization because the molten chemical is high in viscosity and hardly subjected to shear force. That is, in this method, the particle size is often about 10 μm or more. Moreover, the method of using surfactant at the time of emulsification is also performed normally. Surfactants used include polysorbate 80, which is particularly recognized for its use as a medicament, and has a high emulsifying and soluble ability, and HCO-60, in which ethylene oxide is added and polymerized with hydrogenated castor oil. . These nonionic surfactants are commonly used because they have little interaction with the drug and have no taste or smell.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 surfactant when emulsifying, a problem of hemolytic action has recently been caused. Furthermore, depending on the amount of surfactant added, it is clearly atomized and in vitro, i.e., in the dissolution test, when the dissolution rate is high or when administered to humans in the biological test, the bioavailability is not always high, the absorption is slow, and the area under the blood concentration curve It is reported that this is sometimes small.

이들 원인은 계면활성제의 마이셀에 약제의 미립자가 결착되어 흡수가 억제되고 지질에 대한 분배율이 적게 되는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클로람페니콜의 지방산 에스테르나 바르비탈류, 설파닐아미드, 스테로이드류의 크로티손 아세테이트, 메틸프레드니솔론, 리보플라빈, 유비데카라논 등에는 다형이 있는데 결정형이나 안정성, 결정의 전이동을 원인으로 흡수율이 변화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바이오어베일러빌리티가 높은 활성화 약제를 제조하는데는 이러한 문제를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약제에도 다형을 갖는 것이 적지 않다. 일반으로 약제의 입자경을 적게 하면은 그 표면적은 증가하여 그 흡수도 빨라진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물에 난용성인 약제일 경우에는 단순히 약제의 1차 입자를 미세하게 하여도 이를 세립, 과립, 정제등으로 제제화하면 1차 입자가 응집되어 투여하면 소환관내에서 재분산되지 않고 큰 입자처럼 거동하는 일이 많다. 따라서 그 결과로 쉽게 생체에 흡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These causes are considered to be because microparticles of a chemical | medical agent bind to the micelle of surfactant, and absorption is suppressed and the distribution ratio to a lipid is low. In addition, there are polymorphs in fatty acid esters of chloramphenicol, barbital, sulfanamide, and steroids such as crotisone acetate, methylprednisolone, riboflavin, and ubidecaranone. Occu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ully consider this problem in preparing an active agent with high bioavailability. The pharmaceutical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ve many polymorphs. In general, it is known that the smaller the particle size of the drug is, the more the surface area thereof is increased and the absorption thereof is faster. However, if the drug is poorly soluble in water, even if the primary particles of the drug are finely formulated into fine granules, granules, tablets, etc., the primary particles aggregate and behave like large particles without being redispersed in the summon tube. a lot of works. Therefore, as a result, it may not be easily absorbed by a living body.

본 발명자들은 위 내용배출시간과 약제의 입자경과의 관계에 착안하여 사람에게 황산비륨의 미립자를 물에 분산시킨 슬러리와 황산바륨의 여러가지 크기의 입상물을 경구투여하여 위와 장내에 있어서의 그 이동을 X선으로 투시관찰한 결과 미립상으로 물에 분산시킨 황산바륨 슬러리를 투여하면 위장에 들어있는 음식물의 유무에 관계없이 장으로 이행하지만 성형된 세립이나 과립, 정제의 황산바륨은 위장내의 정체시간이 길고 장으로 쉽게 이행하지 않음을 알았다. 약제의 흡수는 일부 위에서도 일어나지만 거의 대부분은 흡수면적이 가장 클 소장 상부 내지 소장내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경구투여 후에 어떻게 빨리 위장을 거쳐 소장으로 약제를 이행시키느냐가 매우 중요하게 된다. 따라서 경구제제에서는 위에 들어있는 음식물의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가장 표면적이 큰 흡수부인 소장으로 이행시키는 시간이 바이오어베일어 빌리티를 높이는 최초의 인자로 부각한다.In 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stric emptying time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drug, the present inventors orally administer a slurry obtained by dispersing fine particles of arsenic sulfate in water and granules of various sizes of barium sulfate to orally move the stomach and the intestine. As a result of X-ray observation, when the barium sulfate slurry dispersed in water in the form of fine particles is transferred to the intestines regardless of the food in the stomach, the molded fine granules, granules and tablets of barium sulfate have a long retention time in the stomach. It was found to be long and not easily transitioned to the intestines. Absorption of the drug occurs in part of the stomach, but most of the absorption occurs in the upper or small intestine with the largest absorption area, so it is very important how quickly the drug is transferred to the small intestine after oral administration. Therefore, in oral preparations, the time to move to the small intestine, which is the largest surface absorbent,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od in the stomach is highlighted as the first factor to increase the bioavailability.

상술한 바와 같이 흡수부위에 도달한 약제는 점막 투과에 있어서 그 약제 각각의 약리적,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다르나 수동수송되는 것이 많다. 또 능동수송되는 것도 적지 않다. 여하튼 물에 난용성인 약제에 요망되는 것은 흡수부에서 미립상으로 분산하여 그 각각의 입자성질이 분배율에 있어서 유성(油性)이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형약제의 미립화에 관한 연구가 많이 보고되어 있으나 수십미크론 정도의 비교를 한 보고가 많다.As described above, drugs that reach the absorption site vary depending on the pharmac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ach drug in mucosal permeation, but are often transported manually. In addition, active transport is not small. In any case, what is desired for a drug that is poorly soluble in water should be dispersed particulate in the absorbing part so that each of the particulates should be oily in the distribution ratio. As described above, many studies on atomization of solid pharmaceuticals have been reported, but many reports have been compared in the order of several tens of microns.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위에 들어있는 음식물의 유무에 관계없이 위장내를 빨리 통과하여 소장내에 이르기 위하여는 10μ 이하가 좋고 바람직하기는 0.5μ 이하가 좋다. 물에 난용성인 약제에 있어서 대부분은 소장점막의 지방성 경로를 통하여 흡수된다고 생각되어 0.5μ 이하의 초미립자 소위 콜로이드입자로 분산시키는 것이 가장 좋다. 본 발명의 방법 특히 비친수성 유기용매에, 물에 잘 녹지 않는 약제를 용해하여 이를 수용성 고분자 유기용매중의 농도를 검토하므로서 소화관내에서의 분산입자를 0.5μ 내외(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것)로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According to the experiments of the present inventors, 10 μm or less is preferable and preferably 0.5 μm or less in order to quickly pass in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reach the small intestine with or without food in the stomach. Most of the poorly water-soluble drugs are thought to be absorbed through the aliphatic pathway of the small intestine mucosa, so it is best to disperse them into so-called colloidal particles of 0.5 micron or less.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in a non-hydrophilic organic solvent, dissolves a drug that is insoluble in water and examines the concentration in the water-soluble high molecular organic solvent, and the dispersed particles in the digestive tract are about 0.5 mu (measured by electron microscope).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be done.

이러한 초미립자상의 약제로 구성된 약제조성물의 약제는 점막의 작은 구멍의 구경을 생각하여도 물의 상(相)을 거치지 않고 직접 소장점막의 지방성 경로를 통하여 흡수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The drug composition of the drug composition composed of the ultra-fine particles of the drug can be seen that can be absorbed directly through the fatty path of the small intestinal mucosa without passing through the phase of water even in consideration of the diameter of the small pores of the mucosa.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약제조성물의 약제는 수중에서 재분산하여 경구투여 후에는 빨리 소장내에 이르러 쉽게 흡수되어 혈액중으로 들어가 혈중농도를 높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고분자물질이 예를들면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셀룰로즈, 카복시메틸셀룰로즈염등의 셀룰로즈 유도체 및 α화 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전분, 카복시메틸전분, 플루란, 아라비아고무, 트라가칸드고무, 젤라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이 수용성 고분자물질중 열겔화성을 갖는 것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아밀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풀루란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나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서 카복왁스 등 융점이 낮은(100℃ 이하) 것을 사용하면 고형약제로 한 경우에 재분산성이 나쁘므로 좋지않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dispersed in water, and after oral administration, quickly reaches the small intestine and is easily absorbed into the blood to increase blood concentration. Examples of the water-soluble high-molecular substan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ellulose derivatives such as hydroxypropyl cellulose, methyl cellulose, hydroxy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ethyl cellulose, and carboxymethyl cellulose salts and α-starch, Hydroxypropyl starch, carboxymethyl starch, pullulan, gum arabic, tragacand rubber, gelatin, polyvinyl alcohol, polyvinylpyrrolidone and the like. Among these water-soluble high molecular substances, thermogelability includes hydroxypropyl cellulose, m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and hydroxypropyl 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amylose and hydroxypropyl pullulan.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n the other hand, when a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such as carboxy wax having a low melting point (100 ° C. or lower) is used, it is not good because the redispersibility is poor in the case of using a solid medicine.

다음 본 발명의 약제를 알칼리 수용액에 용해한 후에 산으로 중화하여 약제를 분산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사용하는 수용성 고분자물질을 겔화시키지 않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온에서 고체인 수난용성으로서 알칼리 수용액에 용해하는 약제 예를들면 페니토인을 아라비아고무를 용해한 알칼리 수용액에 용해한 후 산을 가하여 교반하면서 중화하고 상기 약제를 미립상으로 석출시켜, 이를 분무건조하여 물에 재분산성이 좋고 활성화 약제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물에 가용성인 약제로 예를들면 페니토인을 사용한 경우에 수득되는 약제조성물의 성분은 페니토인 및 아라비아고무인데 전자의 미립자가 후자로 피복된 형상이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a case where the dru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solved in an aqueous alkali solution and then neutralized with an acid to disperse the drug. First, the case where the water-soluble high molecular substance used is not gelatinized is demonstrated. A drug that dissolves in an aqueous alkali solution as a poorly water-soluble solid at room temperature, for example, phenytoin is dissolved in an aqueous alkali solution in which gum arabic is dissolved, neutralized by addition of an acid and stirred, and the drug is precipitated in a particulate form. The acid is good and the activ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n be obtained. The components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btained when, for example, phenytoin is used as a drug soluble in water are phenytoin and gum arabic, in which the former fine particles are coated with the latter.

상기한 분무건조 대신에 유동층 분무건조기로 유당, 전분, 미결정 셀룰로즈, 경질 무수규산등의 부형제에 분무시켜 직접 세립 또는 과립을 만들 수도 있다. 물에 잘 녹지 않는 고체약제가 산성수용액에 용해하는 경우는 약제를 산성수용액에 용해하고 알칼리를 사용하는 중화하는 것 이외는 상술한 방법과 같이 실시하면 된다.Instead of the spray drying described above, fine granules or granules may be prepared by spraying an excipient such as lactose, starch, microcrystalline cellulose, and hard silicic acid with a fluidized bed spray dryer. When a solid drug which is hard to dissolve in water is dissolved in the acidic aqueous solution,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except that the drug is dissolved in the acidic aqueous solution and neutralized using alkali.

알칼리 수용액에 가용인 고형약제를 예시하면 이오판산, 이오탈람산, 인도메타신, 날리딕신산, 트리클로로메티아지드, 바르비탈,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 페니토인, 페닐부타존, 페노바르비탈, 프로세미드, 하이드로콜산, 프로필티오우라실, 메틸티오우라실, 메토트렉세이트, 폴산, 요다미드, 리보플라빈 등이 있다.Examples of solid pharmaceuticals soluble in aqueous alkali solution include ipananoic acid, iotalamic acid, indomethacin, nalidic acid, trichloromethiazide, barbital, hydrochlorothiazide, phenytoin, phenylbutazone, phenobarbital, prosemide, Hydrocholic acid, propylthiouracil, methylthiouracil, methotrexate, folic acid, iodide, riboflavin and the like.

또 산수용액 가용용제로서는 아미노안식향산에틸, 에티온아미드, 아지말린, 설파메톡사졸, 설파모노메톡신, 설파이속사졸, 테트라사이클린, 1-트립토판, 말레인산 퍼페나진, 노르에피네프린, 메틸도파, 레바도파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화하여 약제를 석출시키고 물에 미립상으로 분산시키는 방법에서 사용하는 수용성 고분자물질로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롤로즈와 같은 열겔화성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Acid soluble solvents include ethyl amino benzoate, ethionamide, azimalin, sulfamomethazole, sulfamomethoxine, sulfisoxazole, tetracycline, 1-tryptophan, maleic acid perfenazine, norepinephrine, methyldopa, and levadopa. Etc. In the case of using a thermogelable compound such as hydroxypropyl cellulose as a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used in the method of neutralizing as described above to precipitate the drug and dispersing it in the particulate form in water, the method is carried out as follows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o.

상온에서 고체이고 물에 난용성이며 알칼리 수용액에 가용인 약제를 알칼리 수용액에 용해하여 이 용액에 열 겔화성의 수용성 고분자물질, 예를들면 열 겔화 온도가 60℃인 하이드록시프로필셀롤로즈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다음에 산을 가하고 교반하면서 중화하면 상기한 약제는 미세한 형상으로 석출한다. 계속하여 가열하여 용액의 온도를 80℃ 이상으로 하면 하이드록시프로필셀롤로즈가 겔화하여 석출하고 이때 상기한 미립상의 약제는 이 겔에 내포된다. 이 석출물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80℃ 이상의 온수로 세정하여 상술한 중화로 생성된 염을 제거하여 건조한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약제는 극히 미세한 것이지만 겔화환 수용성 고분자물질에 내포되므로 여과매체를 메꾸지 않고 쉽게 여과된다.A drug which is solid at room temperature, poorly soluble in water and soluble in an aqueous alkali solution is dissolved in an aqueous alkali solution, and then heat-gelling water-soluble high molecular substance, for example, hydroxypropyl cellulose having a thermal gelation temperature of 60 ° C. Stir and dissolve. Next, when the acid is added and neutralized with stirring, the above-mentioned agent precipitates in a fine shape. Subsequently, if the solution is heated to 80 ° C. or higher, hydroxypropyl cellulose gels and precipitates. At this time, the particulate drug is contained in the gel. This precipitate is separated by filtration, washed with warm water of 80 ° C. or higher to remove the salt produced by the above-mentioned neutralization, and dried. The drug thus obtained is extremely fine, but is contained in the gel ring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and thus is easily filtered without filling the filter medium.

산의 수용액에 용해하는 약제의 경우에도 열 겔화성 수용성 고분자물질을 사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단 중황에는 알칼리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용액에서 약제를 석출시키는 경우, 처음에는 미세한 입자가 형성되는 입자가 점점 커져 결정으로 성장하고 미립자가 없어진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미세 약제입자는 수용성 고분자물질로 쌓여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입자의 성장이 일어나지 않고 매우 안정한 미립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도 본 발명의 큰 특징이다.The drug which dissolves in the aqueous solution of an acid can also be implemented by the same method using a heat-gelling water 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alkali is used for medium sulfur). In general, in the case of precipitation of a drug in a solution, at first, particles in which fine particles are formed gradually become larger, grow into crystals, and fine particles disappear. However, since the fine drug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 a state of being stacked with a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the growth of such particles does not occur and can maintain a very stable fine phase. This is also a big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 비친수성 유기용매에 물에 잘 녹지 않는 고체약제를 용해하고 이 용액을 수용성 고분자물질의 존재하에 유화하여 이 유화액의 용매를 증발시켜 활성 약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자 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유화액의 용매인 물과 유기용매를 증발시키는데는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도 좋다. 그러나 될 수 있는대로 신속히 증발시키는 방법, 예를들면 분무건조법, 유동증분무법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증발로 수득되는 약제의 미분발은 생성직후에 수용성 고분자물질로 쌓여진다. 그 결과 미분말은 덩어리 또는 성장하여 엉성하게 큰 결정이 되는 일이 없고 또 일단 수중에 투입되면 수용성 고분자물질이 물에 녹아서 약재는 쉽게 물에 재분산한다. 또 이 방법에서“수용성 고분자물질의 존재하에 유기용제를 물에 분산시킨다”라는 의미는 수용성 고분자물질이 수중 또는 유기용제중의 어느 것에 존재하여도 좋도 또 유화조작과정에서 첨가되어도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Next, a method of preparing an active pharmaceutical composition by dissolving a solid pharmaceutical agent insoluble in water in a non-hydrophilic organic solvent, emulsifying the solution in the presence of a water-soluble polymer, and evaporating the solvent of the emulsion, will be described. In this method, any method may be used to evaporate the water and the organic solvent which are solvents of the emulsion. However, it is desirable to follow the method of evaporating as quickly as possible, for example spray drying, flow spraying. Fine powders of the drug obtained by evaporation of solvent are piled up into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immediately after production. As a result, the fine powder does not clump or grow to be a coarse crystal, and once introduced into water, the water-soluble polymer is dissolved in water, and the medicine is easily redispersed in water. In this method, "dispersing an organic solvent in water in the presence of a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means that the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may be present in either water or in an organic solvent or may be added during an emulsification operation. .

다음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물질로서 열 겔화성 물질을 사용하여 겔화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열 겔화성 수용성 고분자물질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에 따라 유화액을 만든다. 다음에 이 유화액을 가열한다. 가열온도는 보통 80℃이상으로 하면 확실히 겔화되므로 바람직하다. 겔화된 수용성 고분자물질은 콜로이드상의 유기용액과 함께 침강 또는 부상하여 물과 분리된다. 이것을 여과등의 방법으로 나누어 건조하여 활성화 약제 조성물을 수득한다.Next, a method of using the gelling phenomenon using a thermal gelling material as the water-soluble polymer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will be described. The emulsion is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using a heat gelable water 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Next, this emulsion is heated. The 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80 ° C. or higher since it gelled reliably. The gelled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is sedimented or floated together with the colloidal organic solution and separated from water. This is divided by a method such as filtration and dried to obtain an activa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분리한 겔을 건조하는 방법은 겔화온도를 유지하면서 진공건조할 수 있다. 또 상온으로 냉각하여 분무시켜 건조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나 물과 비친수성 유기용액의 유화가 유지되면서 건조된다. 이 겔화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약제의 미립자는 석출직후에 수용성 고분자물질로 쌓여진다. 그 결과 생성된 미립자는 그 뒤에 덩어리 또는 성장하는 일이 없다. 겔화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겔과 액을 쉽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한 열량을 절약할 수 있어서 매우 유리하다. 이들 방법에 사용되는 비친수성 유기용제로서는 물가 혼합한 경우 물과는 서로 다른 층을 형성하는 것이면 바람직하며 그 가운데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탄, 4염화탄소, 벤젠, 벤진, n-헥산, 톨루엔, 키실렌, 에틸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메틸에틸케톤, 아세트산에틸 등의 저융점 유기용매가 건조시 쉽게 제거되어 유리하다.The method of drying the separated gel can be vacuum dried while maintaining the gelation temperature. It may also be cooled to room temperature, sprayed and dried. In either case, the emulsification of the water and the non-hydrophilic organic solution is maintained while drying. Also in the method including this gelation process, the fine particles of the drug are accumulated in the water-soluble polymer immediately after precipitation. The resulting fine particles do not lump or grow afterwards. In the method including the gelling process, since the gel and the liquid can be easily separated, the amount of heat for evaporating the solvent can be saved, which is very advantageous. The non-hydrophilic organic solvent used in these methods is preferably formed when the water is mixed to form a different layer from water, among which chloroform, methylene chloride, trichloroethylene, trichloroethane, carbon tetrachloride, benzene, benzine, and n Low melting point organic solvents such as hexane, toluene, xylene, ethyl ether, isopropyl ether, methyl ethyl ketone, ethyl acetate and the like are easily removed upon drying.

또 용해성을 높을 목적으로 또는 유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친수성 저융점 유기용매(예를들면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아세톤등)를 친수성 유기용매에 첨가하여도 바람직하다. 비친수성 유기용제로서 건조후에도 잔존하는 글리세라이드, 유동파라핀, 스쿠아란, 스쿠아렌, 프리스탄 및 저 HLB의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서당 지방산 에스테르 등 무해하고 경구투여할 수 있는 유상물질로 쓸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정형의 약물은 결정상태의 것보다도 녹기 쉽고 흡수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A hydrophilic low melting organic solvent (for example, ethanol, isopropyl alcohol, acetone, etc.) may be added to the hydrophilic organic solven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olubility or promoting emulsification. As a non-hydrophilic organic solvent, it can be used as a harmless and orally administrable oily substance such as glyceride, liquid paraffin, squalane, squaraine, pristane and low HLB sorbitan fatty acid ester and sucrose fatty acid ester which remain after drying. In general, amorphous drugs are known to be more soluble and more easily absorbed than crystalline ones.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물에 난용성 약제로서 다형의 것을 상술한 유상물질을 비친수성 유기용매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상술한 저융점 비친수성 유기용매에 첨가하므로서 무정형의 비정질 약제를 쉽게 얻을 수 있는 것도 비친수성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방법의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다형이 아닌 약제의 경우에도 이런 방법으로 그 분배율을 바꾸어 바이오어베일러빌리티를 높일 수 있다. 비친수성 유기용매에 물에 잘 녹지 않는 약제를 용해하고 수용성 고분자물질의 존재하여 물에 유화하여 분산시키는 방법에서 수용성 고분자물질의 물에 대한 비율은 5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투여의 제형, 1회 복용량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전분, 유당, 만니트, 셀룰로즈분말, 2산화규소 등의 부형제를 물에 가하여도 좋다.In particular, an amorphous amorphous drug can be easily obtained by using the above-mentioned oily substance as a non-hydrophilic organic solvent as a poorly soluble drug in wat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or by adding it to the low-melting non-hydrophilic organic solvent described abov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using an aqueous organic solvent. In the case of non-polymorphic drugs, bioavailability can be increased by changing the distribution rate in this way. In the method of dissolving a drug that is insoluble in water in a non-hydrophilic organic solvent and emulsifying and dispersing it in water in the presence of a water-soluble polymer, the ratio of the water-soluble polymer to water is preferably 5% by weight or more. In consideration of the dosage form, the dosage, and the like, an excipient such as starch, lactose, mannite, cellulose powder, and silicon dioxide may be added to water, if necessary.

비친수성 유기용매의 양은 물에 난용성인 약제가 용해하거나 균일하게 콜로이드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양 이상이면 된다. 저융점 유기용매로 물을 증발하는 공정에서 제거되는 경우는 수배 내지 수십배로 희석하는 편이 제품에서 고형약제의 입자경이 작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보통 약제와 동중량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약제의 5 내지 20배(중량)에 용해하므로서 1μ이하의 입경인 미립자로 만들 수 있다.The amount of the non-hydrophilic organic solvent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amount that the poorly soluble drug can dissolve or uniformly disperse in colloidal form. When the water is removed in the process of evaporating water with a low melting organic solvent, dilution to several times to several tens of times is preferable because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solid pharmaceutical agent in the product is small. Usually, it can be made into fin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1 μm or less by dissolving at the same weight or more, preferably 5 to 20 times (weight) of the drug.

상술한 방법은 실질적으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인데, 소화관내에서의 분산을 촉진시킬 목적으로 소량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때 용혈작용이 없는 디옥틸나트륨설포석시네이트이나 서당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method is a method that substantially does not use a surfactant, and a small amount of the surfactant may be added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dispersion in the digestive tract. At this time, dioctyl sodium sulfosuccinate or sucrose fatty acid ester without hemolytic action is used.

상기한 비친수성 유기용매에 용해하는 고형 약제로는 아즈말린, 이소프로필안 티피린, 에틸황산퀴닌, 에텐자미드, 에리스로마이신, 에리스로마이신지방산에스테르, 키타사마이신, 클로로프로파미드, 클로로메자논, 코티손아세테이트, 디아제팜, 디지록신,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스피로노락톤, 날리딕스산, 아모바르비탈, 인도메타신, 조사마이신, 니페디핀, 유비데카레논, 클로람페니콜팔미테이트 등이 있다.Solid agents dissolved in the above non-hydrophilic organic solvents include azmalin, isopropyl anthylphyrin, ethyl sulphine quinine, ethenamide, erythromycin, erythromycin fatty acid esters, chitasamycin, chloropropamide, and chloromezzanone. , Cortisone acetate, diazepam, digroxine, cyclophosphamide, spironolactone, nalidixic acid, amobarbital, indomethacin, probemycin, nifedipine, ubidecarenone, chloramphenicol palmitate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물에 난용성인 약제를 물에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약제를 수용성 고분자물질의 수용액 중에서 미분쇄한 후 이 분산게의 물을 증발시켜 활성화 약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eparing an activa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by pulverizing the drug in an aqueous solution of a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in order to disperse the drug which is poorly soluble in water in an aqueous solution of water is then evaporated.

이 방법에서는 수용성 고분자물질의 수용액을 사용하지만 이 수용액에는 수용성 고자분자물질이 석출하지 않는 한 친수성 유기용매를 첨가하여도 좋다. 보통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아세톤등이 사용된다. 이들을 첨가하므로서 건조를 신속히하고 약제에 따라서는 분쇄시 미립화를 조장하는 효과가 있다. 수용성 고분자물질이 유기용매에 용해하고 또 물에 난용성인 고체약제가 상기 유기용매에 난용성이며 수용성 고분자물질의 유기용매 중에서 약제를 미분쇄한 후에 용매를 증발시켜 활성화 약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액중에서 분쇄에 사용하는 분쇄기는 각종 볼밀, 진동분쇄기, 애트라이터 및 스위스국 키네마티카사제의 폴리트론 등의 습식 분쇄기를 사용하여 액중에서 분쇄하여 충분히 미세한 분체를 수득할 수 있다. 이들 습식 분쇄기는 건식 분쇄기에 비하여 미세화 작용기능이 강하다. 약제를 습식 분쇄기에 넣기 전 미리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예비 미립화 공정을 거친 원료를 사용하면 분쇄가 원활히 되므로 유리 하다. 습식분쇄기에 의한 분쇄로 입경 0.5 내지 5μ또는 그 이하의 미립자의 고형약제가 수득된다. 물에 분산된 고형약제를 건조하는 데는 분무하여 건조하는 것이 바람지기하고 분무건조기로 건조하던지 또는 유동성 조립기로 유당, 전분, 미셀룰로즈, 경질 무수규산 등의 부형제에 부가하여 건조하여도 좋다. 열겔화성 수용성 고분자물질을 용해한 수용성 고분자물질을 용해한 수용액중에서 고형약제를 분쇄하는 경우에는 약제를 수용액 중에 분산시킨 후 그 분산계를 가열하여 열겔화성 수용성 고분자물질을 겔화할 수 있다. 가열은 겔화가 일어날 정도이면 충분하고 일반적으로 80 내지 9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겔화하여 액에 분산된 고형약제는 겔에 내포된 액에서 분리한다. 이 겔을 건조함에 있어서 미리 액을 충분히 분리하여 건조에 필요한 열량을 절약할 수 있다. 겔을 액에서 분리시키는데는 여과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과에는 겔이 여과보조제의 작용을 하여 약제의 미립자에 의한 여과제의 봉쇄를 방지하여 여과를 용이하게 한다. 여과등의 분리공정 중 겔의 온도를 겔화온도 이상으로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만일 겔의 온도를 겔화온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약제의 1차 입자의 생장이나 응집을 방지하기 때문에 분무하여 순간적으로 건조하는 것이 좋다. 수용성 고분자물질의 용액중에서 고형약제를 분쇄하여 액중에서 분산하는 상기 방법은 본질적으로 게면활셍제를 포함하는 액으로 세정하여 물에 잘 녹는 제품을 만들 수 있어서 유리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셀을 잘 형성하지 않는 디옥틸나트륨 설포석시네이트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단 계면할성제를 다량 사용하면 물에 난용성인 약제의 물에 대한 분산성을 좋게는 할 수 있어도 약제의 바이오베일러빌리티를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In this method, an aqueous solution of a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is used, but a hydrophilic organic solvent may be added to the aqueous solution unless a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is precipitated. Usually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acetone, etc. are used. By adding these, there is an effect of rapidly drying and depending on the drug, promoting the atomization during grinding. The solid pharmaceutical agent dissolving in the organic solvent and poorly soluble in water may be prepared by pulverizing the drug in the organic solvent of the organic solve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after evaporating the solvent to prepare the activa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 pulverizer used for pulverization in liquid can be pulverized in a liquid using a wet mill such as various ball mills, vibration pulverizers, attritors and polytrons manufactured by Kinematik Co., Ltd. of Switzerland, to obtain sufficiently fine powder. These wet mills have a stronger refining function than dry mills. It is preferable to pulverize the powder in advance before putting the drug in the wet grinder, and it is advantageous to use the raw material that has undergone such a preliminary atomization process because the grinding is smooth. Grinding by a wet grinding machine yields a solid pharmaceutical agent of fin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0.5 to 5 mu or less. The drying of the solid pharmaceuticals dispersed in water may be performed by spraying and drying by spray drying, or by adding to an excipient such as lactose, starch, microcellulose, hard silicic anhydride, etc. with a fluidized granulator. When the solid drug is pulverized in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the thermogelable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is dissolved, the thermogelable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may be gelated by dispersing the drug in an aqueous solution and then heating the dispersion system. The heating is sufficient to cause gelation and is generally preferred to be heated to 80 to 90 ° C. The solid drug gelled and dispersed in the liquid is separated from the liquid contained in the gel. In drying this gel, the liquid can be sufficiently separated in advance to save the amount of heat required for drying. Filtration or the like can be used to separate the gel from the liquid. In the filtration, the gel acts as a filter aid to prevent the blockage of the filter agent by the fine particles of the drug to facilitate filtration. It is preferable to keep the temperature of the gel above the gelation temperature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such as filtration. If the temperature of the gel cannot be maintained above the gelation temperature, it is preferable to spray and instantaneously dry, because it prevents the growth or aggregation of the primary particles of the drug. The above method of pulverizing the solid drug in a solution of a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and dispersing it in a liquid is advantageous because it can be washed with a liquid containing a crab active agent to make a product that is soluble in water.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use a surfactant such as dioctylsodium sulfosuccinate that does not form micelles well as described above. However, if a large amount of the surfactant is used, even if the dispersibility of the poorly water-soluble drug in water can be improved, the biovailability of the drug may be deteriorated.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활성화제 조성물은 분말상태에서는 물론 세립, 과립, 정제등이 제형에 있어서도 높은 바이오어베일러빌리티를 발휘한다.The activator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high bioavailability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granules, tablets, and the like.

[실시예 1]Example 1

수산화나틀뮤 50g을 물 1.51에 용해시킨다. 이 액에 일본 약국방 페니토인 200g 및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롤로즈(일본조달제 L-형) 20g을 용해시킨다. 이 페니토인, 수산화나트륨 및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즈의 수용액을 가열 교반하면서, 구연산 100g을 물 0.51에 용해시킨 액을 서서히 가하여 중화시켜 페니토인을 석출시킨다. 이 백탁액을 약 90℃로 가열하여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즈를 겔화하여 이 침전물을 여과시켜 80℃ 이상의 열탕 3l로 침전물을 세척한다.50 g of sodium hydroxide mu was dissolved in 1.51 of water. In this solution, 200 g of Japanese pharmacy room phenytoin and 20 g of hydroxy propyl cellulose (Japanese-made L-type) are dissolved. While the aqueous solution of phenytoin, sodium hydroxide and hydroxy propyl cellulose is heated and stirred, a solution of 100 g of citric acid dissolved in 0.51 of water is gradually added to neutralize to precipitate phenytoin. The white liquor is heated to about 90 ° C. to gel hydroxy propyl cellulose, and the precipitate is filtered to wash the precipitate with 3 l of hot water of 80 ° C. or higher.

세척후, 이 침전물을 110℃로 이미 가열된 열풍 건조기로 옮겨 건조시킨다. 그후 분쇄기로 분말화한다. 수득된 분말 페니토인 재빨리 물에 분산시켜 백색의 현탁액으로 만든다.After washing, the precipitate is transferred to a hot air dryer already heated to 110 ° C. and dried. It is then powdered with a grinder. The powdered phenytoin obtained is quickly dispersed in water to give a white suspension.

본 실시예 1에 의해 수득된 분말 페니토인 및 시판 페니토인 A, 시판 페니토인 B를 시료로 하여, 일본 약국방의 봉해시험법 제1액에 폴리솔베이트 80을 0.05중량% 첨가한 것으로 패들법(Paddle)(100rpm, 페니토인 50mg/l)용출시험을 행한 결과를 제1도에 표시하였다. I-I선은 실시예 1의 시료, Ⅱ-Ⅱ선은 시판품 A, Ⅲ-Ⅲ선은 시판품 B를 나타낸다.Using powdered phenytoin, commercially available phenytoin A, and commercially available phenytoin B obtained in Example 1 as samples, 0.05 wt% of polysorbate 80 was added to the sealing solution method 1 of the Japanese pharmacy room. The results of the elution test at 100 rpm and phenytoin 50 mg / l) are shown in FIG. Line I-I shows the sample of Example 1, line II-II shows the commercial item A, and line III-III shows the commercial item B. FIG.

일본약국방 페니토인의 시판품 A, 일본약국방 페니토인의 시판품 B 및 상술한 실시예 1에 의해 수득한 본 발명의 페니토인으로서 4mg/kg 체중으로 경구투여하고 투여후 8시간에 걸쳐 매시간 혈중 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 제1표에 나타내었다.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A of Nihon Pharmacy Phenytoin,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B of Nitrogen Pharmacy Phenytoin and the phenytoin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ed by Example 1 above were orally administered at 4 mg / kg body weight, and the blood concentration was measured every hour over 8 hours after administration. Is shown in the first table below.

상술한 봉해시험에는, 시판품 A는 봉해속도가 느리고 봉해율도 낮은 것을 볼 수 있다. 또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페니토인은 혈중에 거의 들어가기 어렵다.In the above sealing test, it is seen that the commercial item A has a low sealing speed and a low sealing rate. In addition, as shown in Table 1, phenytoin hardly enters the blood.

시판품 B는 제1표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당히 혈중 농도가 상승되므로 장기간 지체된다. 그들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방법으로 수득된 활성화된 페니토인은 투여후 1시간 이내에 혈중농도가 상승되며, 그것을

Figure kpo00001
=212μg/ml로 표시한다. 투여 3 내지 4시간 후에는 약 5 내지 6μg/ml의 최고치에 달하고, 시판품 A, B에 비교하여 현저하게 높은 생물학적 이용도를 나타내며, Aμc도 의의적으로 높다.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B, as shown in Table 1, has a prolonged delay due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blood concentration. In comparison, activated phenytoin obtain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levated blood concentration within 1 hour after administration,
Figure kpo00001
= 212 μg / ml. After 3 to 4 hours of administration, a peak of about 5 to 6 μg / ml is reached, showing a significantly higher bioavailability compared to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A and B, and A μc is also significantly higher.

[제1표][Table 1]

시판품 페니토인과 활성화 페니토인의 혈중농도 μg/mlBlood concentration of commercially available phenytoin and activated phenytoin μg / ml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2

[실시예 2]Example 2

설피속사졸 50g을 0.1N 염산 51에 용해하고, 이것에 메틸셀룰로즈(신월 화학제 SM-25)10g을 용해시키고, 교반하며 0.5N 수산화나트륨 1.0l를 서서히 적하하며, 설피속사졸을 석출시킨다. 이 현탁액을 80℃이상으로 가열하여 메틸 셀롤로즈를 겔화 침전시킨다. 이 침전물을 여과하여 비등수 3l로 잘 세척한 후 일본 약국방 경질 무수 규산 20g에 가하여 반죽상태로 만들어서 40메쉬 체를 사용하여 압출한 후 건조시켜 제품으로 한다. 이 건조 과립을 물에 투입하면, 재빨리 붕해되어 물에 다시 분산된다.50 g of sulfisoxazole is dissolved in 51 N of 0.1 N hydrochloric acid, and 10 g of methyl cellulose (SM-25 from Shinwol Chemical Co., Ltd.) is dissolved in this solution, 1.0 l of 0.5 N sodium hydroxide is slowly added dropwise to precipitate sulfisoxazole. This suspension is heated to 80 ° C. or higher to gelatinize methyl cellulose. The precipitate is filtered, washed well with 3 l of boiling water, and added to 20 g of hard silicic anhydride in Japanese pharmacy. The mixture is made into a dough, extruded using a 40 mesh sieve, and dried to obtain a product. When this dry granule is put into water, it disintegrates quickly and disperses again in water.

본 실시예 2의 의해 수득된 건조과립을 시판 설피속사졸과 비교하여, 일본약국방의 붕쇄 시험법의 제1액을 사용하여, 패들법(Paddle)(100rpm, 설피속사졸 200mg/l)으로 용출시험을 행한 결과를 제2도에 표시하였다.The dry granules obtained in Example 2 were compar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sulfisoxazoles, and eluted with a paddle method (100 rpm, sulfisoxazole 200 mg / l) using the first solution of the disintegration test method of the Japanese Drug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the test are shown in FIG.

Ⅳ-Ⅳ선은 실시예 2의 본 발명품, Ⅴ-Ⅴ선은 시판품의 경우이다.Line IV-IV is the invention of Example 2, and line V-V is a case of a commercial item.

[실시예 3]Example 3

나리디신산 10g을 1N 수산화나트륨액 100ml에 용해시키고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즈(신월 화학제 60SH50)1g을 가하여 용해시킨다. 이 액에 1N 염산 100ml를 가하여 중화하여, 나리디신산을 석출시켜서 물에 분산시킨 후, 80℃로 가열하여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 셀룰로즈를 겔화 침전시킨다. 이 침전물을 여과하여 90℃이상의 열탕으로 잘 세척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열풍 건조기로 건조하여 유봉으로 분말화하여 제품으로 한다.10 g of naridic acid is dissolved in 100 ml of 1N sodium hydroxide solution, and 1 g 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60 SH50 manufactured by Shinwol Chemical) is added to dissolve it. 100 ml of 1N hydrochloric acid is added to the solution to neutralize the precipitate, and naridic acid is precipitated and dispersed in water, followed by heating to 80 deg. C to precipitate hydroxy propylmethyl cellulose. The precipitate is filtered and washed well with hot water of 90 ° C. or higher, dried in a hot air drier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powdered with pestle to obtain a product.

이 분말은 물 및 일본약국방 붕해시험법의 제1액, 제2액에 상당히 빠른 속도로 분산 현탁된다.This powder is dispersed and suspended in water and the first and second liquids of the Japanese Pharmacopoeia Disintegration Test at a fairly high rate.

[실시예 4]Example 4

에리스로마이신 스테아레이트 60g과 Migriol 812(서독 다이나마이트 노벨사 제품)15g을 클로로포름 200ml에 용해한 용액을 아라비아고무 35g을 용해한 물 100ml 중에 가하고, Poltron(스위스 기네마티카사 제품 PT-45형태)를 사용하여 유화하고, 이 유화액을 분무건조기(프레운드 공업주식회사제품 F8형)를 사용하여 용매를 증발시킨다. 수득된 분말은 물에 매우 잘 재분산되어 재분산시 입자의 크기를 주사식(Scanning)전자현미경(히다찌 제품 MSM-101형)으로 측정한 경우 0.1 내지 3.0μ이다(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입자의 크기 측정은 상기의 주사식 전자현미경을 사용한다).A solution of 60 g of erythromycin stearate and 15 g of Migriol 812 (manufactured by West Germany Dynamite Nobel) in 200 ml of chloroform was added to 100 ml of water in which 35 g of gum arabic was dissolved and emulsified using Poltron (form PT-45 from Guinea Matica, Switzerland). The solvent is evaporated from the emulsion using a spray dryer (F8 type manufactured by Freund Industrial Co., Ltd.). The powder obtained was redispersed very well in water so that the particle size at the time of redispersion was measured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ype MSM-101 manufactured by Hitachi) (particles in the Examples below) Size measurement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described above).

본 실시예에서 수득한 에리스로만이신 스테아레이트의 분말과 에리스로마이신 스테아레이트를 함유하는 시판약 A를 성인 남자 6인에게 에리스로마이신 스테아레이트로서 4mg/kg을 경구투여하고 에리스로마이신의 혈중 농도가 경시변화되는 것을 측정한다. 투여는 일주일 간격의 크로스 오버(Cross-Over)로서 행한다. 결과를 제3도에 표시한다. Ⅵ-Ⅵ선은 실시예 4의 시료, Ⅷ-Ⅷ선은 시판품 A를 나타낸다.Commercial drug A containing erythromycin stearate powder and erythromycin stearate obtained in this Example was orally administered 4 mg / kg as erythromycin stearate to six adult males, and the blood concentration of erythromycin was changed over time. Measure what happens. Administration is done as a cross-over of one week apart.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The VI-VI line shows the sample of Example 4, and the X-X line shows commercial item A. FIG.

[실시예 5]Example 5

아즈마린 5g과 대두유 2g을 클로로포름 20ml에 용해시킨 용액을 트리카칸다 고무 5g을 용해한 물 20ml중에 가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유화시킨 후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클로로포름 및 물을 증발시켜 분말을 수득한다. 이 분말은 물에 매우 잘 재분산하여 재분산시 입자의 크기는 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결과 0.5 내지 2.5μ이다.A solution obtained by dissolving 5 g of azmarin and 2 g of soybean oil in 20 ml of chloroform was added to 20 ml of water containing 5 g of trikacanda rubber, followed by emulsification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followed by emulsification of chloroform and water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To obtain. The powder is redispersed very well in water so that the particle size during redispersion is 0.5-2.5μ as measured by electron microscope.

[실시예 6]Example 6

인도메탄신 10g을 염화메틸렌 50ml에 용애한 용액에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즈(일본 조달주식회사제품)5g을 용해한 5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포리트론

Figure kpo00003
을 사용하여 유화하고 수득된 유화액을 실시예 4와 동일하게 분무건조기로 용매를 증발시켜 분말을 수득한다. 이 분말은 물에 재분산이 매우 잘 되므로 재분산시 입자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0.1 내지 1.5μ이다.50% ethanol aqueous solution of 5 g of hydroxypropyl cellulose (produced by Japan Procurement Corporation) was added to a solution in which 10 g of indomethane was dissolved in 50 ml of methylene chloride.
Figure kpo00003
Emulsified using and the obtained emulsion liqui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by evaporation of the solvent in a spray dryer to obtain a powder. This powder has a very good redispersion in water, so the particle size of the redispersion is 0.1-1.5 μm.

[실시예 7]Example 7

키타사마이신 20g을 사염하탄소 250ml에 용해한 용액을 아라비아고무 10g, α-전분 10g을 용해시킨 물 300ml에 가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분말을 수득한다. 이 분말은 물에 대한 재분산성이 매우 양호하므로 재분산시 입자의 크기는 0.8 내지 3.5μ이다.A solution obtained by dissolving 20 g of chitasamycin in 250 ml of carbon tetrachloride was added to 300 ml of water in which 10 g of gum arabic and 10 g of α-starch were dissolved, thereby treating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to obtain a powder. This powder has a very good redispersibility in water, so the particle size during the redispersion is 0.8 to 3.5 mu.

[실시예 8]Example 8

니페디핀 2g, 스콰란 0.3g을 클로로포름 10ml에 용해하여 이 용액에 아라비아고무 0.5g 및 젤라틴 0.5g을 물 130ml에 용해한 액을 가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유화시켜 수득된 유화액을 분무건조기로 처리하여 클로로포름 및 물을 증발시켜 분말을 수득한다. 이 분말은 물에 재분산성이 매우 우수하고, 재분산시 입자의 크기를 츠기정한 결과 0.1 내지 3.0μ이다.2 g of nifedipine and 0.3 g of squaran were dissolved in 10 ml of chloroform, and a solution of 0.5 g of gum arabic and 0.5 g of gelatin in 130 ml of water was added to the solution. The emulsion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was treated with a spray dryer, followed by treatment with chloroform. And water is evaporated to obtain a powder. This powder is very excellent in redispersibility in water and has a particle size of 0.1 to 3.0 mu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size of particles during redispersion.

본 실시예에서 수득된 분말 과 니페디핀 시판약의 액상 캅셀을 각각 니페디핀으로 3μg/kg 랫트 4마리에 1주간 간격의 크로스 오버(Cross Over)로 경구 티여하여 니페디핀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제4도에 표시하였다. Ⅷ-Ⅷ선은 실시예 8의 시료, Ⅸ-Ⅸ선은 시판 니페디핀을 나타낸다.The liquid capsules of the powder and nifedipine commercial drug obtained in this Example were orally titrated to 4 μg / kg rats with nifedipine in crossover at 1 week intervals to measure blood concentration of nifedipine.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X-ray represents the sample of Example 8, and X-ray represent the commercial nifedipine.

[실시예 9]Example 9

플루페나민산 10g을 클로로포름 100ml에 용해하고, 이 용액을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즈(신월화학제품 TC-5)10g을 물 100ml에 가한 액에 혼합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유화된 것을 분무건조기로 물 및 클로로포름을 증발시켜 분말을 수득한다. 이 분말은 물에 대하여 재분산성이 양호하므로 물에 재분산될시입자의 크기는 0.4 내지 1.8μ이다.10 g of flufenamic acid was dissolved in 100 ml of chloroform, and this solution was mixed with a solution of 10 g 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TC-5 from Shinwol Chemical TC-5) in 100 ml of water, and then emulsifi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with a spray dryer. Water and chloroform are evaporated to give a powder. Since the powder has good redispersibility with respect to water, the particle size is 0.4 to 1.8 mu when redispersed in water.

[실시예 10]Example 10

클로람 페니콜 팔미테이트 20g 및 미그리올 812 10g을 클로로포름 100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에탄올 30ml 및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즈 15g을 가하고, 따로 물 250ml를 가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유화시키고 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한다. 이 분말은 물에 대하여 재분산성이 좋으며, 재분산된 때의 입자크기는 0.1 내지 1.2μ이다.20 g of chloram phenicol palmitate and 10 g of migriol 812 are dissolved in 100 ml of chloroform, 30 ml of ethanol and 15 g of hydroxypropyl cellulose are added thereto, and 250 ml of water is separately added to emulsify and dry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To obtain. This powder has good redispersibility with respect to water and has a particle size of 0.1 to 1.2 mu when redispersed.

실시예 10의 분말(클로람페니콜 팔미테이트)와 시판 클로람 페니콜 팔미테이트를 생쥐 4마리에 사용하여 클로람 페니콜로서 250(역가)mg/kg을 1회로 경구투여를 행하고 그후 클로람 페니콜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제5도에 나타내었다. X-X선은 실시예 10의 시료, XI-XI선은 시판의 클로람 페니콜 팔미테이트.Using the powder of Example 10 (chloramphenicol palmitate) and commercially available chloram phenicol palmitate in 4 mice, oral administration of 250 mg / kg as chloramphenicol was performed once, followed by Blood concentration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X-X ray is a sample of Example 10, XI-XI ray is commercially available chloram phenicol palmitat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클로람 페니콜 팔미테이트를 소수성 유기용제에 용해시키지 않고, 그대신 이것을 용융시켜 수용액에 유화시키고, 그 유화액을 분무건조기로 수분을 증발시켜 수득한 분말의 물에 대한 재분산성 및 물에 재분산된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여 비교예로 한다. 클로람 페니콜 팔미테이트 20g에 하이드록시 메틸셀룰로즈(미국 헬크레스사 제품)5g 및 물 280ml를 가하여, 95℃에서 가온하여 클로람 페니콜 팔미테이트를 용융시키면 액상으로 되고 상기의 폴리토론을 사용하여 20,000rpm으로 10분간 유하시킨다. 수득된 유화액을 프레운드 제약주식회사제F8분무건조기로서 처리하여 물을 증발시킨다. 수득된 분말을 물에 분산하는 경우 재분산성이 과히 좋지 않으므로 맹렬히 교반시켜 분산시킨다. 분산된 입자의 크기는 15μ이상이다.Instead of dissolving chloramphenicol palmitate in a hydrophobic organic solvent, it is instead melted and emulsified in an aqueous solution, and the emulsion is redispersed in water and redispersed in water by evaporating water with a spray dryer. The particle size is measured and used as a comparative example. To 20 g of chloram phenicol palmitate, 5 g of hydroxy methylcellulose (manufactured by Hellcress, USA) and 280 ml of water are added, and when heated at 95 ° C to melt the chloram phenicol palmitate, it becomes a liquid phase. 10 min at 20,000 rpm. The obtained emulsion was treated with Found spray dryer of Found Pharmaceutical Co., Ltd. to evaporate water. When the obtained powder is dispersed in water, redispersibility is not so good that it is vigorously stirred to disperse. The size of the dispersed particles is more than 15μ.

[실시예 11]Example 11

1-이소프로필-7-메틸-4-페닐-2(1H)-퀴나졸리논(1MPQ)100g 및 상기의 미그리올 812 3g을 클로로포름 250ml에 용해하고, 이 용액에 에탄올 50ml, 메틸 셀룰로즈(신월화학제 SH-25)40g 및 물 400ml을 가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유화하고, 분무건조기로서 처리하여 클로로포름, 에탄올 및 물을 증발시켜 분말을 수득한다. 이 분말은 물에 대한 재분산성이 우수하며, 분산입자의 크기는 1μ이하이다.100 g of 1-isopropyl-7-methyl-4-phenyl-2 (1H) -quinazolinone (1 MPQ) and 3 g of the above-mentioned migriol 812 were dissolved in 250 ml of chloroform, and 50 ml of ethanol and methyl cellulose (new moon) in this solution. 40 g of chemical agent SH-25) and 400 ml of water were added to emulsify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and treated with a spray dryer to evaporate chloroform, ethanol and water to obtain a powder. This powder has excellent redispersibility for water and the size of the dispersed particles is 1 μm or less.

실시예 11의 1MPQ를 주성분으로한 분말 및 대조로서 구입한 1MPQ를 성인남자(평균체중 61kg)를 7인씩 2개조로 하여 경구투여한다. 투여량은 1MPQ로서 200mg이다. 이것을 일주간격의 크로스오버(Cross Over)로 경구투여를 행하여, 1MPQ의 혈중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제6도와 같다. XII-XII선은 실시예 11의 시표, XIII-XIII선은 대조품.A powder containing 1MPQ as a main ingredient of Example 11 and 1MPQ purchased as a control are administered orally in two sets of seven adult males (average weight 61 kg). Dosage is 200 mg as 1 MPQ. This was orally administered at a crossover interval of one week, and the blood concentration of 1 MPQ was measured. The result is shown in FIG. XII-XII line is the target of Example 11, XIII-XIII line is a control product.

[실시예 12]Example 12

우비데카레논 4g을 클로로포름 50ml과 에탄올 50ml의 혼합용매에 용해하여, 이 용액에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일본조달제 L형)2g을 가하고, 따로 물 100ml를 가하여 Sonifier(미국 브랜손사제) 초음파 균질화기 200을 사용하여 15분간 유화시키고, 이 유화액을 유동층 분무 과립기(F10-Coater Mini)를 사용하여 유당 80g에 분무하여 과립으로 한다. 과립 제조시 클로로포름, 에탄올 및 물을 증발시킨다. 이와같이 제조한 과립 약제는 물에 대한 재분산성이 양호하고 재분산 입자크기는 0.1 내지 0.5μ이다.4 g of ubide carenone was dissolved in a mixed solvent of 50 ml of chloroform and 50 ml of ethanol. To this solution, 2 g of hydroxypropyl cellulose (L-formed by Japan Procurement) was added, and 100 ml of water was added separately, followed by Sonifier (US Branson Corporation) ultrasonic homogenizer. Emulsification was carried out using 200 for 15 minutes, and the emulsion was sprayed into 80 g of lactose using a fluidized bed spray granulator (F10-Coater Mini) to obtain granules. Chloroform, ethanol and water are evaporated in the preparation of the granules. The granulated medicament thus prepared has good redispersibility in water and has a particle size of 0.1 to 0.5 mu.

[실시예 13]Example 13

인도메탄신 10g을 염화메틸렌 50g에 용해하여 이 액에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즈(일본 조달주식회사제품 L-형)5g이 들어있는 물 100ml을 가하고 상기의 포리토론을 이용하여 유화시키고, 유화액을 가온하여 염화메틸렌을 제거하고 이어서 80℃로 가온하여 겔로 만든다. 10분후 겔화된 부분을 액층에서 분리하여 이것을 미리 105℃로 가열한 오븐에서 건조시킨다. 건조된 약제는 물에 대하여 재분산성이 양호하므로, 재분산된 입자를 전자현미경으로 검사한 결과 그 입자크기는 0.1 내지 0.5μ이다.Dissolve 10 g of indomethane in 50 g of methylene chloride, and add 100 ml of water containing 5 g of hydroxypropyl cellulose (L-type from Japan Procurement Co., Ltd.), emulsify it using the above poritorone, and warm the emulsion to The methylene is removed and then warmed to 80 ° C. to gel. After 10 minutes, the gelled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liquid layer and dried in an oven previously heated to 105 ° C. Since the dried drug has good redispersibility with respect to water, the particle size of the dried drug is examined by electron microscopy, and the particle size is 0.1 to 0.5 mu.

[실시예 14]Example 14

페니토인 72g,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즈(일본 조달사제품 GPC-L)8g, 물 100ml를 진동 밀(횡산제작 소제품, 스텐레스제 폿트 직경 13cm×길이 10cm)의 폿트에서 사입하고, 상기 밀을 60분간 진동시켜 페니토인을 습식분쇄한 후, 수득된 분산액을 비이커로 이송하고, 80 내지 90℃로 가열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롤로즈를 겔화 석출시키고 해당온도를 유지한 그대로 여과하여 석출물을 액에서 분리하고, 밀 105℃로 가온시켜 놓은 열풍 건조기내에 넣어 건조한다. 건조품을 atomizer(Fuji Powdelco., LTD)로 분쇄한다. 이 분말 약제는 물에 분산이 매우 잘되므로, 재분산시 입자크기는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0.5 내지 5μ이다.72 g of phenytoin, 8 g of hydroxypropyl cellulose (GPC-L manufactured by Japan Procurement Company), and 100 ml of water were purchased from a pot of a vibrating mill (a horizontal production small product, stainless steel pot diameter 13 cm x length 10 cm), and the mill was vibrated for 60 minutes. After pulverizing phenytoin, the resulting dispersion was transferred to a beaker, heated to 80 to 90 ° C. to precipitate hydroxypropyl cellulose gelled and filtered as it was maintained at that temperature to separate the precipitate from the liquid, and mill Place in a hot air dryer warmed to 105 ° C and dry. The dried product is pulverized with an atomizer (Fuji Powdelco., LTD). Since the powdered medicine is very well dispersed in water, the particle size at the time of redispersion is 0.5 to 5 mu as observed by an electron microscope.

실시예 14에서 수득한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 피복된 페니토인의 분말과 시판 페니토인 결정 분말을 성인 남자 6인에게 페니토인으로서 4mg/kg(체중) 경구투여한다. 투여는 1주간 간격의 크로스-오버로 행한다. 결과를 제7동 표시하였다. 제7도는 횡축이 투여후 경과시간(Hrs), 종축은 페니토인의 혈중농도(mcg/ml)이다. XIV-XIV선은 실시예 14의 시료, XV-XV선은 시판품 페니토인,The powder of phenytoin and commercially available phenytoin crystal powder coated with the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obtained in Example 14 are orally administered to 6 adult males as phenytoin as 4 mg / kg (body weight). Administration is by cross-over at 1 week intervals. The seventh result is shown. 7 is the time elapsed after administration (Hrs) and the vertical axis is blood concentration of phenytoin (mcg / ml). XIV-XIV line is a sample of Example 14, XV-XV line is a commercially available phenytoin,

[실시예 15]Example 15

펜아세틴 32g,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 셀룰로즈 8g, 물 200ml를 300ml의 통상의 비커에 넣고, 이것에 2 내지 5mm(직경)의 경질 유리 알맹이를 가힌다. 이 용기안에 비커 저면에서 3cm 높이에 직경 5cm, 두께 3mm의 스텐레스 원판을 넣고 원판 중심의 상부 수직으로 축(3mm

Figure kpo00004
)를 부착하고, 이 원판을 모터를 사용하여 400rpm으로 90분간 회전시켜 펜아세틴을 습식분쇄하여 미립화시킨다. 수득한 분산액을 30멧쉬체를 사용하여 유리 알맹이를 분별하고, 분산액에 에어로졸(일본 에어로졸사제)40g을 가하고, 교반하여, 물을 흡착시켜서, 건조 과립상 물질을 수득한다. 이 과립상 물질을 80 내지 90℃의 열풍 건조기에서 60분간 건조후 30멧쉬체를 손으로 놀러서 과립의 크기를 조절한다.32 g of phenacetin, 8 g of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and 200 ml of water are placed in a 300 ml ordinary beaker, which is covered with hard glass kernels of 2 to 5 mm (diameter). In this container, place a stainless disc with a diameter of 5 cm and a thickness of 3 mm from the bottom of the beaker at 3 cm.
Figure kpo00004
), And the disc is rotated at 400 rpm for 90 minutes using a motor to atomize penacetin by wet grinding. Glass granules were fractionated using a 30 mesh sieve, 40 g of aerosol (manufactured by Japan Aerosol Co., Ltd.) was added to the dispersion, stirred, and water was adsorbed to obtain a dry granular material. The granular material was dried in a hot air dryer at 80 to 90 ° C. for 60 minutes, and then the size of the granules was adjusted by playing with 30 mesh bodies by hand.

본 실시예에서 수득한 수용성 고분자물질에 의해 피복된 미립화 펜아세틴 분말의 과립 1g(펜아세틴으로서 500mg)을 미국약국방 용출시험기(후지화학 산업제 바스켓형태)로 용출속도를 측정한다. 대조로 시판 펜아세틴 결정 500mg에 대하여 동일하게 용출속도를 측정하고, 양자의 결과를 제8도에 표시한다. 제8도의 횡축은 용출의 경과시간(분)이고 종축은 용출을(%)이다. XVI-XVI선은 실시예 15의 시료, XVII-XVII선은 시판 펜아세틴.The dissolution rate of 1 g of granulated penacetin powder (500 mg as penacetin) coated with the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obtained in this Example was measured by a US pharmaceutical defense dissolution tester (in the form of a basket manufactured by Fuji Chemical Industries). By contrast, the dissolution rate was measured for 500 mg of commercial penacetin crystals in the same manner, and both results are shown in FIG. The abscissa in Fig. 8 is the elapsed time (minutes) of the elution and the vertical axis is the elution (%). XVI-XVI line is a sample of Example 15, XVII-XVII line is a commercial penacetin.

[실시예 16]Example 16

클로람 페니콜 팔미테이트 160g,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즈(일본 조달사 제품)40g, 디옥틸 나트륨 설포석시네이트 0.16g, 에탄올 1,000ml를 비커에 넣고, 폴리트론(스위스제 키네마티카사제)을 사용하여 30분간 습식 분쇄한 후, 수득된 현탁액을 분무건조기(프레운드산업사제 FS-20형)를 사용하여 분무건조한다. 수득된 건조분말의 물에 대한 재분산성은 매우 양호하다.160 g of chloram phenolic palmitate, 40 g of hydroxypropyl cellulose (manufactured by Japan Procurement), 0.16 g of dioctyl sodium sulfosuccinate, and 1,000 ml of ethanol were put in a beaker, and polytron (made by Kinematik Co., Switzerland) was used. After wet grinding for 30 minutes, the obtained suspension is spray dried using a spray dryer (type FS-20, manufactured by Freund Industries). The redispersibility of the obtained dry powder with respect to water is very good.

실시예 16에 의하여 수득한 수용성 고분자물질에 의하여 피복된 클로람페니콜 팔미테이트의 분말과 시판의 클로람 페니콜 팔미테이트 결정을, 각각 클로람페니콜로서 500mg(역가)을 성인남자 6인에게 경구투여한다. 투여는 일주간 간격의 크로스오버로 행한다. 결과를 제9도에 표시한다. 제9도는 횡축이 투여후의 경과 시간(Hrs)이고 종축은 클로람페니콜의 혈중농도(mcg/ml)이다. XVIII-XVIII선은 실시예 16의 시료, XIX-XIX선은 시판의 클로람페니콜 팔미테이트이다.Powder of chloramphenicol palmitate and commercially available chloramphenicol palmitate crystals coated with the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obtained in Example 16 were each administered orally to 500 adult male titers as chloramphenicol. Administration is by crossover of one week intervals.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9 is the elapsed time after administration (Hrs) and the vertical axis is the blood concentration of chloramphenicol (mcg / ml). XVIII-XVIII line is a sample of Example 16, and XIX-XIX line is a commercial chloramphenicol palmitate.

[실시예 17]Example 17

글리세오프르빈 50g, 폴리에틸렌글라이콜 6,000 5g, 메틸셀룰로즈 5g, 물 100ml를 실시예 1에 따라 지니동밀로 8시간 습식 분쇄한다. 분쇄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가열하여 메틸 셀룰로즈를 겔화시키고 온도를 유지한대로 여과하여 겔을 액과 분리시키고, 미리 105℃로 가온한 열풍 건조기에 넣어 건조한다. 건조품을,atomizer(후지 파이달제)로 분쇄한다. 이 분말은 물이나, 인공위액 및 인공장액에도 재분산이 매우 양호하다. 분산액의 글리세오프르빈의 입자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경우 거의 직경이 0.5μ이하이다.50 g of glyceroprene, 6,000 5 g of polyethylene glycol, 5 g of methyl cellulose, and 100 ml of water were wet pulverized with Geni wheat flour for 8 hours according to Example 1. After grinding, the mixture was he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gel methyl cellulose and filtered as the temperature was maintained to separate the gel from the liquid. The gel was dried in a hot air dryer previously heated at 105 ° C. The dried product is ground with an atomizer. This powder is very good in redispersion in water, artificial gastric juice and artificial intestinal fluid. When the particle | grains of the glycer offbine of a dispersion are observed with the electron microscope, the diameter is almost 0.5 micrometer or less.

[실시예 18]Example 18

아세트산 하이드로코티손 30g, 에틴렌 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플루로닌 F68)10g, 물 100ml, 에탄올 50ml 실시예 16에 따라서 폴리트론으로 30분간 습식 분쇄한 후, 수득된 현탁액을 분무건조기를 사용하여 분무건조한다. 수득된 분말은 37℃의 물, 인공위액, 인공장액에 매우 신속히 재분산된다.30 g of hydrocortisone acetate, 10 g of ethylene oxide-propylene oxide copolymer (pluronine F68), 100 ml of water, 50 ml of ethanol After wet grinding for 30 minutes with polytron according to Example 16, the resulting suspension was sprayed using a spray dryer. To dry. The powder obtained is redispersed very quickly in water, artificial gastric juice and artificial intestinal fluid at 37 ° C.

Claims (1)

물에 난용성인 약제를 수용성 고분자물질의 존재하에서 직경이 10μ 이하의 미립자형태로 물에 분산시켜 수득된 분산계로부터 분산매를 분리제거함을 특징으로 하여 건조되고 활성화된 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dried and activa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haracterized by separating and removing a dispersion medium from a dispersion system obtained by dispersing a poorly soluble drug in water in the form of fine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10 μm or less in the presence of a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KR1019800001538A 1980-04-14 1980-04-14 Process for preparation of actived pharmaceutical compounds KR8300026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538A KR830002614B1 (en) 1980-04-14 1980-04-14 Process for preparation of actived pharmaceutical compoun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538A KR830002614B1 (en) 1980-04-14 1980-04-14 Process for preparation of actived pharmaceutical compou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506A KR830002506A (en) 1983-05-30
KR830002614B1 true KR830002614B1 (en) 1983-05-30

Family

ID=1921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538A KR830002614B1 (en) 1980-04-14 1980-04-14 Process for preparation of actived pharmaceutical compoun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6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631B1 (en) * 1993-09-29 2005-12-08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컴파니 Stabiliz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Stabilizing Solv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631B1 (en) * 1993-09-29 2005-12-08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컴파니 Stabiliz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Stabilizing Solv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506A (en) 198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0602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ctiva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8349366B2 (en) Immediate release pharmaceutical granule compositions and a continuous process for making them
Yang et al. Investigation of a nanosuspension stabilized by Soluplus® to improve bioavailability
TWI234465B (en) Stable complexes of poorly soluble compounds
DE60020732T2 (en) METHOD FOR PRODUCING NANOMETER PARTICLES BY FLUID BED SPRAY DRYING
US20120231093A1 (en) Method for preparing nano-scale or amorphous particle using solid fat as a solvent
JPH11130698A (en) Alginic acid polyvalent metal spherical particle aggregate, release-controlled preparation comprising slightly soluble medicine carried on the spherical particle aggregate and their production
JP2005527536A (en) Preparation process and use of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by constructive refinement.
AU2005290583A1 (en) Fine particles-containing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00191684A (en) Production of dispersable sterol and stanol composition
JPH0717496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2651346C (en) Method for preparing nano-scale particle of active material
EP1658052B1 (en) Particle size reduction of bioactive compounds
KR100877628B1 (en) Granulates containing liposoluble substances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Vadlamudi et al. Disparate practical way of doing solubility enhancement study to improve the bioavailability of poorly soluble drugs
KR830002614B1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actived pharmaceutical compounds
JPS6024768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activating drug
JPS587609B2 (en) Powder drug coating method
KR100557680B1 (en) Pellet preparations and methods for improved solubility of itraconazole
Thakur et al. ΒETA-CYCLODEXTRIN COMPLEX, SOLID DISPERSION AND SELF 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SEDDS): AN APPROACH TO ENHANCE THE SOLUBILITY OF POORLY SOLUBLE DRUG
Desai et al. STUDIES ON PARTIAL AMORPHIZATION OF CARBAMAZEPINE USING MEDIA MILLING IN SYNERGISM WITH SPRAY DRYING
KR101391494B1 (en) Nanosuspension for maximizing its therapeutic effect for gastritis
Williams III et al. Preparation of drug particles using evaporation precipitation into aqueous solutions
JP2006306740A (en) Solid-formed medicin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