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549Y1 - 고압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고압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549Y1
KR800000549Y1 KR7504112U KR750004112U KR800000549Y1 KR 800000549 Y1 KR800000549 Y1 KR 800000549Y1 KR 7504112 U KR7504112 U KR 7504112U KR 750004112 U KR750004112 U KR 750004112U KR 800000549 Y1 KR800000549 Y1 KR 800000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high voltage
flyback transformer
horizontal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4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오 오노데라
Original Assignee
모리다 아끼오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다 아끼오,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다 아끼오
Priority to KR7504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5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5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tu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96Circuit elements other than coils, reactors or the like, associated with the tube
    • H01J2229/962Circuit elements other than coils, reactors or the like, associated with the tube associated with the HT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압 발생회로
제1도는 고압발생회로의 1실시예를 나타낸 접속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플라이백트랜스의 1례를 나타낸 구성도.
제3도, 제4도 및 제6도는 각각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한 선도.
제5도는 본 고안 고압발생회로의 1실시예를 나타낸 접속도.
본 고안은 텔레비전수상기 등에 사용되는 고압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고압전압의 레귤레이션을 개선함과 동시에 수평발생회로외 발진주파수의 어긋남에 의한 이상 고압전압을 발생하지 않토록 한 것이다.
종래 텔레비전 수상기의 고압발생회로로서는 플라이백트랜스에 있어서의 공진주파수를 수평주파수 예컨대 15.75KHz 보다 상당히 높은 주파수 예컨대 50KHz 정도로 선정하고, 이 플라이백트랜스로서 수평주기의 펄스폭이 좁은 고압펄스를 발생하고, 이 고압펄스를 다이오우드로 이루어진 정류회로에 의해 첨두값(尖頭値) 정류하는 이른바 펄스정류방식의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펄스정류값에 있어서는 정류회로의 다이오우드의 전류의 유통각이 극히 좁기 때문에 고압부하전류가 증가했을 때의 고압전압이 크게 저하하며, 이 고압전압의 리귤레이션이 극히 나쁜 결점이 있었다.
또 이 고압펄스를 수평구주수근방에 동조하는 공진회로를 사용해서 이 고압펄스를 정현파전압으로 변환하고, 이 정현파전압을 다이오우드로 이루어진 정류회로로서 정류하여 이 고압전압을 얻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이 정현파전압을 정류하는 이른바 정현파 정류방식에 의하면 정류회로의 다이오우드의 전류 유통각의 펄스방식보다 넓어지며, 고압전압의 레귤레이션이 어느정도 개신되지만, 이 정현파 정류방식에 있어서도 고압부하전류가 변동되었을 때는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가 변화하며, 이 고압전압이 변동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고안자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갈은 고압부하변 동시에 있어서도 고압전압이 변동하는 일이없는 고압발생회로를 제안하였다. 이에 대해 다음에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수평주파수 예컨대 15.75KHz를 발진하는 수평발진회로를 나타내며, 이 수평발진회로(1)와 출력측을 구동회로(1a)를 통해서 스위칭소자를 구성하는 npn 형 트랜지스터(2)와 베이스에 접속하고, 이 트랜지스터 (2)의 에미터를 접지하고, 또 이 트랜지스터(2)의 콜렉터를 댐퍼용의 다이오우드(3)를 통해서 접지함과 동시에 이 콜렉터를 공진용의 콘덴서(4)를 통해서 접지하고, 또 이 트렌지스터(2)의 콜렉터를 수평편향코일(5) 및 S자 변형 보정용 콘덴서(6)의 직렬회로를 통해서 접지하고, 또 이 트랜지스터(2)의 콜렉터를 플라이백트랜스(7)의 1차권선(7a)을 통해서 정(正)의 직류전압이 공급되는 전원단자(8)에 접속한다. 이 경우, 플라이백트랜스(7)의 1차측의 공진주파수는 종래와 같이 수평주파수 15.75KHz에 대해 비교적 높은 주파수 예컨대 50KHz 정도로 하고, 영상신호중의 수평브랭킹기간에 해당하는 정도의 펄스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수평편향코일(5)에 통상의 수평주기의 톱니상파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이 공진주파수는 수평편향코일(5) 및 1차권선(7a)의 각각의 인덕턴스와 콘덴서(4)의 용량으로 결정된다. 이 플라이백트랜스(7)의 2차권선(7b)의 일단을 접지하고, 이 2차권선(7b)의 타단을 고압정류회로를 구성하는 다이오우드(9)를 통해서 음극선관의 애노우드에 고압전압을 공급하는 고압전압단자(10)에 접속하고, 이 다이오우드(9) 및 고압전압단자(10)의 접속점을 콘덴서(11)를 통해서 접지한다.
이 콘덴서(11)은 종래와 같이 음극선관의 내벽 및 외벽의 각각에 피착된 도체막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이 플라이백트랜스(7)에 3차권선(7c)을 설치하고, 이 3차권선(7c)의 양단자이에 콘덴서(12)를 삽입해서 공진회로를 구성한다. 이경우, 이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를 수평주파수 fH 예컨대 15.75KHz 근방으로 하고, 이 플라이백트랜스(7)의 2차권전(7b)의 양단 사이에 얻어지는 파형을 대충 정현파(正弦波)가 되도록 한다.
또, 이경우, 플자이백트랜스(7)를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자상코어 (13a),(13b)를 조합한 「□」자상코어의 서로 다른「」자상 코어 (13a),(13b)의 서로 대접하는 변(邊)에 각각 1차권선(7a) 및 2 차권선(7b)을 권장(卷裝)하여, 이 1차권선(7a) 및 2차권전(7b)의 전자(電磁) 결합을 비교적 느슨하게 0.5 <K< 0.9, K는 결합계 수)하고, 또 3차권선(7c)를 2차권선(7b)과 동축으로 감아서 이 3차권선(7b) 및 3차권선(7c)의 전자결합을 비교적 일정하게 (K>0.9) 한다. 제1도에 있어서 트랜지스터(2)에서 플라이백트랜스(7)측을 보았을 때에 계(系)의 공진주파수를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주파수 fH 예컨대 15.75 KHz 보다 약간 높게 예컨대 20KHz가 되도록 플라이백트랜스(7)의 1차권선(7a) 2차권선(7b) 및 3차권선(7c)의 각각의 인덕턴스값, 수평편향코일(5)의 인덕턴스값, 콘덴서(12)의 용량값, 플라이백트랜스(7)의 1차권선(7a), 2차권선(7b) 및 3차권선(7c)의 각각의 전자결합계수 K의 값을 각각 선택한다.
제1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플라이백트랜스(7)의 1차측에는 제4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평주기 H의 펄스신호가 얻어지며 또 A점에서 플파이백트랜스(7)측을 본 공진주판수를 수평주파수 fH 예컨대 15.75KHz 근방의 주파수 예컨대 20KHz로 하고 있으므로, 이 플라이백트랜스(7)의 2차권선(7b)의 양단 사이에는 제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첨두부가 평탄하게 된 정현파형의 신호가 얻어지며, 다이오우드(9)로 구성된 정류회로의 전류유통각이 그만큼 넓어지며, 이 출력단자(10)에 얻어지는 고압전압의 레률레이션이 개선된다. 이 경우, 고압부하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콘덴서(11)에 제4b도의 파형의 첨두값까지의 전하가 충전되므로, 이 첨두값 전압까지 충전되어 있을 때에는 다이오우드(9)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이 다이오우드(9)는 부도통상태에 있으며, 이 때는 콘덴서(11)는 플라이백트랜스(7)에서 전기적으로 절리(切離)된 것으로 되며, 이 콘덴서(11)의 용량값이 플라이백트랜스(7)의 공진주파수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또 고압부하전류가 흘렀을 때에는 콘덴서(11)에 충전된 전하는 음극선게으로 흐르므로, 이 콘덴서(11)의 단자간 전압이 저하하며, 이를 보충하려고 플라이백트랜스(7)의 2차권선(7b)에 얻어지는 전압이 다이오우드(9)를 통해서 콘덴서(11)에 공급되며, 이 다이오우드(9)에 전류가 흘러서, 이 다이오우드(9)를 도통상태포 한다. 이 다이오우드(9)가 토통상태일 때에는 이 콘덴서(11)가 플라이백트랜스(7)의 2차권선(7b)에 삽입되어 이 플라이백트랜스계의 공진주파수가 제3도에 파선으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진주파수 특성의 중심주파수가 수평주파수 fH 예컨대 15.75KHz 쪽으로 이동하며, 이 출력 즉 2 차권선(7b)의 양단에 얻어지는 전압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된다. 따라서 이 고압부하전류를 증가함으로써 일어나는 고압전압의 저하를 감소시킬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도에 에의하면 플라이백트랜스(7)의 1차권선(7a) 측에서 본 플라이백트랜스계의 공진주파수를 수평주파수보다 높게 선정하고 있으므로 고압부하전류가 흘렀을 때 플라이백트랜스계의 공진회로에 콘덴서(11)등이 삽입되며, 이 공진주파수가 저하하여 플라이백트랜스(7)의 2차권선에 얻어지는 전압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되므로, 이때의 고압전압의 저하를 감소할 수가 있으며, 또한 3차권선(7c) 및 콘덴서(12)로 구성한 공진회로에 의해, 플라이백트랜스(7)의 2차권선(7b)에 얻어지는 파형을 제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부가 찌그러진 대충 정현파가 되므로, 고압정류회로를 구성하는 다이오드(9)의 전류유통각이 넓어지며, 고압부하전류가 증가했을 때의 고압전압의 저하를 그만큼 감소시킬 수가 있으며, 따라서 고압전압의 레귤레이션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압발생회로에 있어서는, 예컨대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전원스위치를 투입했을 때, 채널을 절환했을 때 등의 수평발진회로(1)의 발진주파수가 정규의 수평주파수 예컨대 15.75KHz에서 어긋나서 예컨대 20KHz 정도가 되었을 때는 트랜지스터(3)에서 플라이백트랜스(7) 측을 보았을 때의 계의 진공주파수를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예컨대 20KHz로 선정하고 있으므로, 고압전압단자(10)에 얻어지는 고압전압은 이상(異常)하게 상승하며, 이것이 음극선게의 애노우드에 공급되므로 여러 가지의 불편함을 일으킨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1도 에와 같이 고압전압의 레귤레이션을 개선함과 아울러 수평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의 어긋남에 의해 이상고압전압을 발생치 않토록 한 것이다.
다음에 제5도에 의거하며 본 고안 고압발생회로의 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5도에 있어서 제1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트랜지스터(2)의 콜렉터를 수평출력트랜스(14)를 통해서 전원단자(8)에 접속하고, 또 이 트랜지스터(2)의 콜렉터를 콘덴서(15) 및 플라이백트랜스(7)의 1차권선(7a)의 직렬회로를 통해서 접지한다. 그 외는 제1도와 같이구성한다. 이 경우, 콘덴서(15) 및 플라이랙트랜스(7)의 1차권전(7a)이 구성하는 직렬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를 수평주파수보다 낮은 예컨대 9∼10KHz로 하고, 이 트랜지스터(2)에서 플라이백트랜스(7)측을 본 공진주파수 특성을 제6도 곡선(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덴서(15) 및 1차권선(7a)이 구성하는 직렬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특성과 제3로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플라이백트랜스(7)의 1차권선(7a), 2차권선(7b) 및 3차권선(7c) 수평편향코일(5), 콘덴서(4) 및 (12)등, 플라이백트랜스(7)의 1차권선(7a) 및 3차권선(7c)의 전자결합계수 K에 의해 결정되는 공진주파수특성과의 합성인주파수 특성으로 하고, 이 제1의 공진점(共振點)의 공진주파수 fp1를 수평주파수 fH 보다 높은 예컨대 20KHz 정도로 하고, 제2의 공진점의 공진주파수 fP2를 수평주파수 fH 보다 낮은 예컨대 9-1OKHz로 하는 것처럼 한다. 또 이때 제1와 공진주파수 fp1는 수평주파수 fH 이상으로 2배의 수평주파수 2fH이하를 되도록 하고, 또 제2의 공진주파수 fp2는 수평주파수 fH이하여서 1/2배의 수평주파수 1/2fH 이상으로 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고압발생회로의 양호한 구체예는 플라이벡트랜스(7)의 1차권선(7a)의 인덕턴스 값이 5.4mH, 3차권선(fc)의 인덕턴스값이 1,67mH, 이 1차권선(7a)과 3차권선(fc)의 전자결합계수 K가 0.62, 수평출력트랜스(14)의 인덕턴스값이 7.3mH, 수평편향코일(5)의 인덕턴스값이 950μH, 콘덴서(4)의 용량값이 16.OnF, 콘덴서(12)의 용량값이 56.OnF, 콘덴서(15)의 용량값이 41.OnF 이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플라이백트랜스(7)의 2차권선(7b)의 양단사이에는 제1도에 처럼 제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첨두부가 편편해진 대충정현파형의 신호가 얻어지며, 다이오우드(9)로 구성된 정류회로의 전류 유통각이 그만큼 넓어지며, 이 고압전압단자(10)에 얻어지는 고압전압의 레률레이션이 개선된다. 이 경우 제1도에와 같이 고압부하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콘덴서(11)에 제4b도의 파형의 첨두값까지의 전하가 충전되므로, 이 첨두값 전압까지 충전되어있을 때에는 다이오우드(9)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이 다이오우드(9)는 부도통상태에 있으며, 이때는 콘덴서(11)는 플라이랙트랜스(7)에서 전기적으로 절리된 것으로 되며, 이 콘덴서(11)의 용량값이 플라이백트랜스(7)측의 공진주파수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또 고압부하전류가 흘렀을 때에는 콘덴서(11)에 충전된 전하는 음극선관으로 흐르므로, 이 콘덴서(11)의 단자간 전압이 저하하며, 이들 보충하려고 플라이백트랜스(7)의 2차권선(7b)에 얻어지는 전류가 다이오우드(9)를 통해서 콘덴서(11)에 공급되며, 이 다이오우드(9)에 전류가 흘러서, 이 다이오우드(9)를 도통상태로 한다.
이 다이오우드(9)가 도통상태일 때는, 이 콘덴서(11)가 플라이백트랜스(7)의 2차권선(7b)에 접속되며, 이 플라이백트랜스계의 제1 및 제2의 공진주파수 fp1및 fp2는 각각 낮아지도록 이동하며, 즉 제1의 공진 주파수 fp1이 수평주파수 fH 예컨대 15.75KHz 쪽으로 이동하고, 이출력 즉 2차권선(7b)의 양단에 얻어지는 전압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된다. 따라서 이 고압부하전류를 증가함으로써 일어나는 고압전압의 저하를 감소시 킬 수 있다.
또 본고안에 의하면 콘덴서(15) 및 플라이백트랜스(7)의 1차권선(7a)의 직렬공진회로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1의 공진점의 첨두전압값과 수평주파수 fH의 전압값과의 차가 제1도예의 경우에 비해서 작아지므로, 전원스위치를 투입할때, 채널절환시 등 수평발진회로(1)의 발진주파수가 어긋나서 높아졌을 경우에다 고압전압단자(10)에 얻어지는 고압전압이 이상하게 높아지는 일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제1도예와 같이 고압전압의 레귤레이션이 개선됨과 아울러 수평발진회로(1)의 발진주파수의 어긋남에 의해, 이상 고압전압을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정신을 일탈함이 없이, 그 외 여러 가지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플라이백트랜스의 1차권선측 느슨하게 결합함과 동시에 이 플라이백트랜스의 2차권선과 밀접하게 결합하는 3차권선을 설치하고, 이 3차권선의 양단간에 제1의 콘덴서를 삽입한 고압발생회로에 있어서, 상기 1차권선의 일단을 제2의 콘덴서를 통해서 수평주파수펄스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칭소자의 피제어전극에 접속하고, 이 스위칭소자에서 상기 제2의 콘덴서를 포함하여 상기 플라이백트랜스를 보았을 때의 공진주파수가 2개 존재하도록 하고, 그 제1의 공진주파수를 수평주파수보다도 높게 선정함과 동시에 그 제2의 공진주파수를 수평주파수보다 낮게 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발생회로.
KR7504112U 1975-07-25 1975-07-25 고압 발생회로 KR800000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4112U KR800000549Y1 (ko) 1975-07-25 1975-07-25 고압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4112U KR800000549Y1 (ko) 1975-07-25 1975-07-25 고압 발생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549Y1 true KR800000549Y1 (ko) 1980-04-28

Family

ID=1920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4112U KR800000549Y1 (ko) 1975-07-25 1975-07-25 고압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5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28239A (en) High dc voltage generating circuit
JPH03141390A (ja) ビデオ信号表示装置用の直線性補正装置
US4788591A (en) Switched-mode power supply for a television receiver provided with a stand-by system
JPS5813652Y2 (ja) コウアツハツセイカイロ
JPS6044862B2 (ja) 偏向回路
KR920005869B1 (ko) 동-서 핀쿳션 보정 수평편향회로
US5469029A (en) Deflection apparatus for raster scanned CRT displays
US4041355A (en) High voltage generating circuit
JP3571086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用電源
EP0271850B1 (en) Power feeding apparatus
US3843903A (en) High voltage generator
EP0079654B1 (en) Circuit for converting an input d.c. voltage into an output d.c. voltage
US6956749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KR800000549Y1 (ko) 고압 발생회로
KR100239076B1 (ko) Crt 전극 전원용 전압 부우스터
US4719394A (en) Horizontal output circuit
GB2041668A (en) Ferroresonant stabiliser for TV
KR920007156B1 (ko) 수평 출력회로
JP2519732B2 (ja) 水平出力回路
US4572994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picture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a sawtooth line deflection current
GB2278523A (en) Deflection apparatus for raster scanned CRT displays
US4319167A (en) High frequency ferroresonant power supply for a deflection and high voltage circuit
JPH0614691B2 (ja) フィールド走査回路を備えた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4169989A (en)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saw-tooth currents in coils
JP3120850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の電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