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371B1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ainer handling operations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ainer handling opera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371B1
KR800000371B1 KR7401823A KR740001823A KR800000371B1 KR 800000371 B1 KR800000371 B1 KR 800000371B1 KR 7401823 A KR7401823 A KR 7401823A KR 740001823 A KR740001823 A KR 740001823A KR 800000371 B1 KR800000371 B1 KR 800000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rane
address
cockpit
d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18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이지 가네가와
Original Assignee
야마시다 이사무
미쯔이 조오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시다 이사무, 미쯔이 조오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시다 이사무
Priority to KR7401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3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3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0/00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stacking and de-stacking of articles

Landscapes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A method of loading & unloading containers with a signal of a cipher address command & a cipher container number from the control center is provided. Its system of management includes a position detector for the positioned address of a crane,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sition detector, an interlock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from the controller, a spreader devic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from the interlocking device, and a transmitter for a work completion signal.

Description

콘테이니 취급작업(handling operation)의 관리방법How to Manage Container Handling

제1도는 콘테이너의 전형적인 하치장시설 측면개략도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typical dump facility of a container

제2도는 콘테이너 하치장에 있어서 콘테이너 취급을 위하여 시설한 포오틀 크레인(portal crane : 門形起重機)의 전면도2 is a front view of a port crane equipped for handling containers in a container dump.

제3도는 제2도면에서 표시한 포오틀 크레인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the pottle crane shown in FIG.

제4도는 본 발명에서 밝힌 제어계통의 블록 선도4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system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콘테이너 취급에 적합한 크레인 관리 시스템의 1예를 표시한 블록선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rane management system suitable for container handling.

제6도는 콘테이너 하치장에 있어서의 다수 콘테이너 배치방법에 대한 어드레스(address ; 하치장에 있어서의 종횡으로 구분된 다수블록에 대하여 특정위치를 표시하는 칭호)를 표시한 개략도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ddress (a title indicating a specific position for a plurality of block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disposed in a dump) for a method of arrang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in a container dump.

본 발명은 콘테이너 하치장에 있어서의 콘테이너 취급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handling method in a container dump.

최근에는 수송물자를 콘테이너에 수납하여 수송하는 방법이 발전함에 따라서, 콘테이너 하치장은 콘테이너선박으로 부터의 콘테이너 수납물의 적재와 하적, 그리고 물자의 수량이 급증하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a method of transporting a transport object in a container, container dumps have increased rapidly in loading, unloading, and the quantity of containers contained in a container ship.

이와 같은 상황밑에서 다량의 콘테이너를 효과적으로 그리고 신속히 취급하기 위하여, 콘테이너를 자동적으로 취급하는데 컴퓨터가 사용되어 왔다.Under these circumstances, in order to handle large quantities of containers effectively and quickly, computers have been used to handle containers automatically.

일반적으로, 콘테이너 하치장은 특정 어드레스가 부여된 복수개의 블록(block)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블록은 복수개의 병렬로 복수개의 콘테이너가 배정되어 있다.In general, a container dump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given a specific address, and each block is assigned a plurality of containers in parallel.

포오틀 크레인은 콘테이너의 열(列)에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포오틀 크레인은 콘테이너를 취급하기 위하여 그 열을 가로 질러서 움직일 수 있는 스프레더(spreader)을 갖추고 있다. 더욱이, 각 포오틀 크레인은 스프레더와 같이 이동하는 운전자가 배치되어 있다. 조종실에 있는 운전자는 콘테이너 하치장의 어드레스를 정확히 확인한 후에, 콘테이너를 취급한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극히 넓은 콘테이너 하치장의 경우에는, 작업을 실수하는 기회가 증가하고, 일단 작업이 잘못되면 그것을 시정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The pottle crane is arranged to be movable in accordance with the row of containers. Each pot crane is equipped with a spreader that can move across its rows to handle containers. Furthermore, each port crane is arranged with a driver moving with the spreader. The driver in the cockpit handles the container after confirming the address of the container dump correctly. For this reason, in the case of an extremely wide container dump, the chance of making a mistake is increased, and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correct it once the work is wrong.

이것은 물론 정확하고 신속을 요청하는 현대의 콘테이너 하치장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한 점이다.This is, of course, undesirable for modern container dumps that require accurate and promptnes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판단에 의존하지 않고 명령된 어드레스로써 콘테이너만을 취급할수 있는 콘테이너 취급작업을 지휘하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vel method of directing container handling operations that can only handle containers by commanded address without depending on the driver's judgment.

본발명의 1면을 설명한다면, 콘테이너 하치장에 있어서 콘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下積)작업을 관리하는 방법은, 크레인 조종실의 운전자는 통제실로부터 보내오는 어드레스 명령신호 및 콘테이너 번호신호에 대응하여, 콘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복수개의 예정 어드레스는 콘테이너를 배치할 콘테이너 하치장 각 구역에 배정되어 있으며 예정 콘테이너의 어드레스는 작업명령 신호로서 통제실로부터 조종실로 송신되며, 운전자 어드레스의 현어드레스가 탑지되고, 운전자는 명령된 어드레스와 탐지된 현어드레스가 서로 일치할 때에만 예정컨테이너를 취급할 수 있게 한다.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nag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containers in a container dump is a method in which a driver of a crane cockpit responds to an address command signal and a container number signal sent from a control room. In th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addresses are assigned to each area of the container dump where containers are to be placed, and the addresses of the predetermined containers are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room to the cockpit as work command signals, and the driver's address dress is mounted. In addition, the driver can handle the scheduled container only when the commanded address and the detected current address match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면에 대하여 설명하면, 콘테이너 하치장에 있어서 콘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에 있어서 크레인조종실의 운전자는 통제실로부터 보내오는 암호어드레스 명령신호와 암호콘테이너 번호신호에 대응하여 콘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을 수행함에 있어서, 그 관리 시스템은 크레인의 현어드레스를 탐지하기 위한 위치탐지기, 탐지된 현어드레스가 통제실에 의하여 명령된 어드레스와 일치할 때에만 출력을 내게하기 위하여 위치탐지기의 출력에 연결된 제어기, 제어기로 부터 나오는 출력에 대응한 연동장치, 통제실에 의하여 지휘된 콘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을 위하여 연동수단으로부터 나오는 출력에 대응한 스프레더 장치, 명령된 적재 및 하적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제어기를 통하여 통제실에 작업완료신호를 송신하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ainer dump, the operator of the crane control room in loading and unloading the container performs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container in response to the coded address command signal and the coded container number signal sent from the control room. The control system includes a position detector for detecting the crane's bow dress,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position detector's output for output only when the detected bow dress matches the address commanded by the control room. Interlock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preader corresponding to the output from the interlocking mean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container directed by the control room, Sending the work completion signal to the control room through the controller when the commanded loading and unloading work is completed. It is composed of a device.

상기한 것을 도면에 따라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도의 실시예는 복수개의 콘테이너(19)가 콘테이너 하치장의 2블록의 각개의 6열로 쌓여있고 각 블록마다 1대의 포오틀크레인(18)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의 블록 및 포오틀크레인의 수와 콘테이너의 수는 예시적인 것이며 필요에 따라 이 수는 증감할 수 있고, 다른 종류의 크레인도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above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embodiment of FIG. 1, a plurality of containers 19 are stacked in six rows of two blocks of a container dump, and one pot crane 18 is disposed for each block. It is. The number of blocks and pot cranes and the number of containers here are exemplary and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needed, and other types of cranes can be used.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포오틀크레인(18)은 조종실(20)과 콘테이너의 열을 가로질러 움직일수 있도록 설치된 스프레더(21)가 장착되어 있다. 콘테이너의 열을 따라서 움직일수 있는 트럭(22)이 위치하며 그 열위에서 콘테이너를 스프레더(21)에 의하여 적재한다. 이 트럭(22)들은 콘테이너를 수송하기 위하여 콘테이너 하치장내 뿐만 아니라 밖으로도 출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중앙통제실(11)에는 콘테이너 선박, 선박내의 공간, 계획된 콘테이너 취급작업을 수행할 목적으로 취급될 콘테이너의 수등의 정보에 따라서 준비된 콘테이너 하치장의 각개시설에 필요한 명령신호를 보내는 통제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each pot crane 18 is equipped with a cockpit 20 and a spreader 21 mounted to move across the rows of containers. The truck 22 which can move along the row of containers is located and the container is loaded by the spreader 21 on the row. These trucks 22 are capable of entering and exiting as well as out of the container dump for transporting containers. The central control room 11 is provided with a control system for sending a command signal to each facility of the container dump prepar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ship, the space in the ship, the number of containers to be handled for the purpose of carrying out the planned container handling work, and the like.

제2도 및 제3도는 포오틀크레인(18)이 콘테이너를 수송, 적재, 하적을 하기 위하여 콘테이너의 열에 따라서 움직일 수 있게 되어있는 상세도를 나타내고 있다.2 and 3 show details of the pot crane 18 being able to move along the rows of containers to transport, load and unload the containers.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포오틀크레인은 4개의 측각(側脚)(32)이 설치되어 있고, 각 측각은 2개의 휠(wheel)(31), 한쌍의 대향측각(32)을 상호 연결하는 2개의 거어더(girder)(33) 및 측각(32) 및 동측각(32)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거어더(33)와 평행하고 일정간격을 둔 크로스 빔(cross beam)(35)는 거어더(33)에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그 위에 장치되어 있다. 콘테이너(19)에 계합되도록 장착되어 있는 스프레더(37)는 트롤리(35)에 매달려 있다. 조종실(20)은 트롤리(35)에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ot crane is provided with four side angles 32, each side having two wheels 31 and a pair of opposite side angles 32 interconnecting each other. The girder 33 and the cross beam 35 parallel and spaced with the girder 33 for interconnecting the lateral angle 32 and the ipsilateral angle 32 are girder ( It is mounted on it so that it can move according to 33). A spreader 37 mounted to engage the container 19 is suspended from the trolley 35. The cockpit 20 is fixed to the trolley 35.

전기모우터(39)는 각개의 휠(31)에 연결되어 그 휠을 구동시킨다.The electric motor 39 is connected to each wheel 31 to drive the wheels.

제4도는 적재 및 하적작업을 지휘 감독하는, 신규한 통제시스템의 블록선도이며, 이 통제시스템은 크레인 또는 조종실위에 설치되어 있다. 포오틀 크레인의 조종실(20)에는 종횡위치지시기(43), 작업안내 표지판(44), 운전자 작업지시판(45), 트릭안내표지판(46), 연동표지판(47) 및 이러한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제어판(41)이 장가되어 있다.4 is a block diagram of a new control system that oversees th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which are installed on a crane or cockpit. The cockpit 20 of the pottle crane has a longitudinal position indicator 43, a work guide sign 44, a driver work sign 45, a trick guide sign 46, a linkage sign 47,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such devices. The automatic control panel 41 is impaired.

위치탐지기(42)의 목적은 콘테이너 하치장에 있어서 특정 어드레스에 대응한 크레인의 종횡위치를 탐지하는데 있다. 자동제어판(41)은 크레인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관리하고 화물작업을 진행시킴으로서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각종 적시신호를 보내기 위하여 중앙통제실로 부터 화물정보를 접수하도록 연결되어 있다.The purpose of the position detector 42 is to detect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cran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ddress in the container dump. The automatic control panel 41 is connected to receive the cargo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control room in order to send the various timely signals necessary to perform the work by continuously managing the location of the crane and proceed with the cargo operation.

통상적으로 크레인에 주어진 화물 어드레스 정보는 주어진 어드레스로 부터 다른 어드레스로 콘테이너를 수송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두종류의 어드레스 정보는 동시에 주어진다. 따라서 자동제어판(41)은 또한 그 제어가 어드레스정보중 1개의 정보에 따라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판단에 관한 정보를 중앙통제실에 공급하도록 작용하며 "작업완료통보"는 크레인의 현위치에서 명령된 화물작업을 완료할 때에 이루어진다.Typically, the cargo address information given to the crane includes instructions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from a given address to another address and these two types of address information are given simultaneously. Therefore, the automatic control panel 41 also acts to supply the central control room with information on the judgment that the control is made according to one of the address information, and the "work completion notice" is to perform the cargo operation commanded 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rane. It is done upon completion.

작업안내 표지판(44)은 접근 및 도달 안내는 물론, 요망어드레스에 크레인을 주행시키는데 필요한 종횡주행을 위한 작업안내를 표시하도록 작용한다. 이리하여 운전자 작업표시판(45)은 중앙통제실에 의하여 명령된 화물작업의 내용을 나타내도록 작용한다. 트럭안내 표지판(46)은 크레인의 바로 밑에 전진하고 있는 트럭을 안내하는데 필요한 신호만을 나타내며, 연동표지판(47)은 크레인이 자동제어판(41)에 의하여 밝혀진 특정어드레스에 도달할 때에만 콘테이너의 악지(握持) 및 해방이 되도록 연동되어 있고, 연동부재의 조작을 계속적으로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어드레스를 잘못 판단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The work guide sign 44 serves to display the work guide for the transverse run required to drive the crane to the desired address, as well as the approach and reach guide. Thus, the driver's work display board 45 acts to display the contents of the cargo work ordered by the central control room. The truck guide sign 46 shows only the signals necessary to guide the truck moving forward underneath the crane, and the interlocking sign 47 shows the container's badness only when the crane reaches a specific address identified by the automatic control panel 41. Iii) and releasing, and are configured to continuously indicate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ing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driver from erroneously judging an address.

크레인의 콘테이너 취급작업관리 시스템은 제5도에 기술되어 있다.The container handling work management system of the crane is described in FIG.

중앙통제실(501)은 콘테이너 어드레스 명령신호 및 콘테이너번호, 명령신호등의 화물명령신호를 송신하도록 작용한다.The central control room 501 functions to transmit a container address command signal and a cargo command signal such as a container number and a command signal.

이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통제실(501)과 조종실 사이의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은 유도무선방식에 의하여 수행된다.In this embodimen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between the central control room 501 and the cockpit are performed by an inductive radio method.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면, 유도무선방식은 크레인 위에 장치되어 있는 코일 또는 안테나(502)는 지상에 장치된 유도전도체(520)에 접근하여 평행하게 움직이도록 단축되어 있다.In more detail, the guided wireless method is shortened so that the coil or antenna 502 mounted on the crane moves in parallel to the inductive conductor 520 mounted on the ground.

중앙통제실(501)로 부터 오는 명령신호에 의하여 변조된 고주파전류가 유도전도체를 유통할 때, 고주파 자장은 유도전도체 주위에 형성된다.When the high frequency current modulated by the command signal from the central control room 501 flows through the inductive conductor, a high frequency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inductive conductor.

따라서, 유도전도체(520) 부근에 위치한 코일(502)은 코일의 터미널을 가로질러서 기전력을 유도하기 위하여 고주파자속(高周波磁束)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중앙통제실로 부터 송신되는 명령신호는 크레인의 운전자에게 송신된다.Accordingly, since the coil 502 located near the induction conductor 520 is connected by high frequency magnetic flux to induce electromotive force across the terminal of the coil, the comma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room is the driver of the crane. Is sent to.

이리하여, 코일 또는 안테나(502)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는 수신기(503)에 의하여 증폭되고 복조된다.Thus, the signal received by the coil or antenna 502 is amplified and demodulated by the receiver 503.

이 실시예에 있어서 콘테이너 하치장에 어드레스 신호와 콘테이너 변호신호는 암호화된 신호들이다.In this embodiment, the address signal and the container defense signal in the container dump are encrypted signals.

콘테이너 하치장 어드레스를 판단하는 방법은 후술한다. 콘테이너 하치장 어드레스 신호와 콘테이너번호 신호를 포함한 수신기(503)의 출력은 암호해독기(504)를 통하여 조종실내의 운전자 작업지시판 위에 장치된 콘테이너 어드레스 표지장치(506)와 콘테이너 번호 표지장치(505)에 보내져서 지정 콘테이너 어드레스와 콘테이너 번호는 보기램프(Example lamp)용 적당표지장치에 의하여 지시된다. 크레인위의 조종실 내의 운전자는 크레인을 콘테이너 어드레스 표지장치(506)에 의하여 나타난 특정 어드레스에 이동시키기 위하여 크레인 제어기(514)를 조작한다.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ntainer dump addres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output of the receiver 503, including the container dump address signal and the container number signal, is sent to the container address indicator 506 and the container number indicator 505 mounted on the operator work board in the cockpit via the decoder 504. When sent, the designated container address and container number are indicated by the appropriate labeling device for the example lamp. The driver in the cockpit on the crane manipulates the crane controller 514 to move the crane to the specific address indicated by the container address indicator 506.

수신기(503)에 있어서, 화물명령 신호내의 암호화된 어드레스 신호는 분리되어서 암호화된 현위치신호가 가해지는 제어기(507)에 가하여지기 때문에 암호화된 어드레스신호는 현위치신호와 비교하게 된다.In the receiver 503, the encrypted address signal in the cargo command signal is separated and added to the controller 507 to which the encrypted current position signal is applied so that the encrypted address signal is compared with the current position signal.

조종실 또는 크레인의 현위치를 탐지하기 위하여 콘테이너 하치장 내의 크레인 위치와 거어더(33) 위의 조종실의 횡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detec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ockpit or cran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rane in the container dump and the transverse position of the cockpit above the girder 33.

크레인의 작업위치의 탐지는 상기한 유도전도체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작업위치의 탐지는 크레인위에 장치된 안테나가 유도전도체의 꼬여진 부분을 통과할 때에는 언제나 안테나 내에 유도된 전류의 위상각(位相角)을 변경시키도록 유도전도체 또는 송신선을 꼬아 만들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연이선식 4선 시스템(twisted pair type four line system)이 꼬여진 송신선에 적용되었을 때, 송신선이 꼬이지 않은 종려의 기술보다 송신과 안테나내에 유도된 외부잡음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수 있도록 움직일 수 있고, 또 송신선과 안테나에 의하여 방사된 전장(電場)을 효과적으로 제한할수 있도록 움직 일 수 있다.The detection of the working position of the crane is carried out by using the inductive conductor described above. More specifically, the detection of the working position involves twisting the induction conductor or the transmission line so that the antenna mounted on the crane changes the phase angle of the induced current in the antenna whenever it passes through the twisted portion of the induction conductor. By making it. When a twisted pair type four line system is applied to a twisted transmission line, the transmission line can move more effectively to prevent the effects of external noise induced in the transmission and antenna than the technology of the untwisted palm. It can also be moved to effectively limit the electrical field radiated by the transmission line and antenna.

크레인위치의 효과적인 탐지는 물론 유도무선방식에 의한 명령신호의 효과적인 송신을 확보하기 위하여 크레인이 고무 타이어로써 장치되어 있는 경우라 할지라도 크레인이 똑바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와 같은 궤도통제를 하기 위하여 저주파 전류는 콘테이너 하치장 내에 매설된 유도전도체를 통하고 있으며, 궤도이탈 탐지기는 크레인의 궤도이탈을 탐지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생긴 궤도이탈신호는 적당신호변환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크레인궤도를 통제하는데 사용되는 제어신호로 변환된다.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 detection of the crane position as well as the effective transmission of the command signal by the guided radio method,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rane move straight even if the crane is equipped with rubber tires. For such orbital control, low-frequency current is routed through an inductive conductor embedded in a container dump, and an off-track detector is used to detect an off-track of a crane. The deviation signal generated by this method is converted into a control signal used to control the crane track by a fitness signal converter (not shown).

이리하여 생긴 제어신호는 예정궤도를 따라서 크레인이 움직이도록 크레인 구동모우터의 회전수를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면, 직선유도전도체로 부터 ±100mm 내에 크레인 궤도를 유지할 수 있다. 조종실의 횡위치는 조종실의 주행거리를 회전각으로 전환함으로써 탑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명령된 크레인 어드레스와 크레인의 현위치는 조종실의 횡이동방향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호 비교된다.The control signal thus generated is used to chang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rane drive motor so that the crane moves along a predetermined track. Then, the crane trajectory can be maintained within ± 100mm from the linear conductive conductor. The transverse position of the cockpit can be mounted by converting the mileage of the cockpit to an angle of rotation. The crane address commanded in this way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ran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indicate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ockpit.

크레인이 지정 어드레스에 접근함에 따라서, 어드레스 접근 및 도달이 작업명령 표지장치(506) 위에 나타난다.As the crane approaches the designated address, address access and arrival appear on the work order indicator 506.

콘테이너 하치장 어드레스의 판단은 콘테이너 하치장내의 콘테이너 어드레스와 크레인의 횡종(橫縱) 위치간의 일정한 상호단계를 설정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of the container dump address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setting a constant mutual step between the container address in the container dump and the transverse position of the crane.

제6도는 콘테이너 하치장 내에 있어서 콘테이너 배치의 1 실시예를 표시한다.6 shows one embodiment of container placement in a container dump.

길이 6.06미터, 넓이 2.45미터의 콘테이너의 경우, 콘테이너 하치장 내의 1 블록은 종방향이 0.44미터 횡방향이 0.4미터의 간격을 둔 복수개의 어드레스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있어서, 12.12미터의 긴콘테이너는 2개의 어드레스를 점유한다. 탐지된 위치정보와 어드레스BN간의 상호관계는 아래와 같다.For containers of 6.06 meters in length and 2.45 meters in width, one block in the container dump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ddresses spaced 0.44 met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0.4 meter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is arrangement, a 12.12 meter long container occupies two address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ddress B N is as follows.

6.06미터의 경우, N=어드레스 번호(BN), ×n 콘테이너For 6.06 meters, N = address number (B N ), × n container

12.12 미터의 경우, N=어드레스 번호(BN) ×n+

Figure kpo00001
케이싱(casing)For 12.12 meters, N = address number (B N ) × n +
Figure kpo00001
Casing

상기식에서

Figure kpo00002
In the above formula
Figure kpo00002

N=어드레스 번호(BN)에 대응한 위치번호N = loc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address number (B N )

다시 제5도에 따르면, 종위치 탑지기(508) 및 횡위치탑지기(509)에 의하여 탐지된 현위치신호는 파형쉐이퍼(waveform shaper)(510)와 암호기(encoder)(511)를 통하여 제어기(507)에 공급된다. 수신기(503)로부터 나오는 명령된 신호와 크레인 조종실의 위치신호가 일치함과 동시에, 제어기(507) 보기템프용 작업안내표지장치(512)를 작용시키는데 사용되는 출력을 발생시킨다. 동시에, 제어기로부터 나오는 출력은 또한 연동장치(513)에 가하여지며 따라서 스프레더 조작장치(515)의 조작을 가능케 한다.Referring back to FIG. 5, the current position signal detected by the longitudinal position tower 508 and the transverse position tower 509 is controlled through a waveform shaper 510 and an encoder 511. 507 is supplied. The command signal from the receiver 503 coincides with the position signal of the crane cockpit, and at the same time generates an output used to actuate the work guide marker 512 for the controller 507 bogietemp. At the same time, the output from the controller is also applied to the interlock 513 and thus enables the operation of the spreader manipulator 515.

결과적으로 크레인의 스프레더는 콘테이너를 악지하고 해방시키기 위하여 낮추어진다. 일련의 스프레더 작업이 완료됨과 동시에 제어기(507)와 송신기(516)를 개하여 중앙통제실(501)에 대한 작업완료 신호로서 송신되는 전기신호가 발생된다.As a result, the spreader of the crane is lowered to grip and release the container. At the same time as the series of spreader work is completed, the controller 507 and the transmitter 516 are opened to generate an electric signal transmitted as the work completion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 room 501.

상기한 바와 같이 콘테이너 하치장에 있어서 콘테이너를 취급하기 위한 신규한 크레인의 관리 시스템과 더불어, 크레인 조종실의 운전자는 각 콘테이너에 대한 화물명령 신호를 수신하며, 지휘된 콘테이너 취급작업을 수행하고 명령된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작업완료신호는 새로운 명령신호를 대기하기 위하여 중앙통제실에 자동적으로 보내진다. 지정된 어드레스와 상이한 어드레스의 경우에는 스프레더의 악지 및 해방작업은 자동적으로 방지된다. 그 결과 크레인 운전자의 작업량을 감소하며 작업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new crane management system for handling containers in container dumps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of the crane cockpit receives cargo command signals for each container, performs the commanded container handling and When complete, the work completion signal is automatically sent to the central control room to wait for a new command signal. In the case of an address different from the designated address, the spreading and releasing operation of the spreader is automatically prevented. As a result, the operator can reduce the amount of work and prevent accidents.

이상과 같은 특징들은 콘테이너 하치장의 자동화에 필요 불가결한 것이다.These features are indispensable for the automation of container dumps.

Claims (1)

콘테이너(19) 하치장에서 크레인(18) 조종실(20)의 운전자는 통제실(11,501)로 부터 보내지는 암호화된 어드레스 명령신호와 암호화 된 콘테이너 번호 신호등에 따라 콘테이너의 취급작업을 수행하며, 복수개의 예정된 어드레스가 콘테이너 하치장에서 콘테이너가 위치할 장소에 할당되어지며, 예정된 콘테이너의 어드레스가 하나의 작업명령신호로 통제실(11,501)의 고주파 송신기에 연결된 저주파 전류가 흐르는 유도전도체(520)로부터 콘테이너 하치장에 장치된 역시 저주파 전류가 흐르는 유도전도체(520)와 크레인에 장치된 안테나(502) 등을 통한 소위 요도무선방식(inductive radio system)에 의하여 운전자의 조종실로 송신되므로써 운전자 조종실의 현재 어드레스가 탐지되며 운전자는 다만 명령된 어드레스와 탐지된 현재 어드레스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해서 예정된 콘테이너를 취급할 수 있으며,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완료 신호가 운전자 조종실로 부터 통제실로 송신되며, 크레인이 고무타이어로 장착되어 있다 할지라도 예정된 궤도를 똑바로 따라 움직이도록 크레인이 안내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취급작업 관리방법.In the container 19 dump, the operator of the crane 18 cockpit 20 performs handling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ncrypted address command signal and the encrypted container number signal sent from the control room 11,501, and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addresses. Is assigned to the place where the container will be located in the container dump, and the address of the pre-determined container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dump from the inductive conductor 520 through which low-frequency current flows connected to the high frequency transmitter of the control room 11,501 as one work command signal. The current address of the driver's cockpit is detected by transmitting to the driver's cockpit by the so-called inductive radio system through the inductive conductor 520 through which low frequency current flows and the antenna 502 mounted to the crane. As long as the address matches the detected current address It can handle a scheduled container, and when the work is completed, a work completion signal is sent from the driver's cockpit to the control room, and the crane is guided to move straight along the predetermined track even if the crane is mounted with rubber tires. How to manage container handling work.
KR7401823A 1974-03-15 1974-03-1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ainer handling operations KR8000003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1823A KR800000371B1 (en) 1974-03-15 1974-03-1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ainer handling oper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1823A KR800000371B1 (en) 1974-03-15 1974-03-1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ainer handling oper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371B1 true KR800000371B1 (en) 1980-05-03

Family

ID=1919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1823A KR800000371B1 (en) 1974-03-15 1974-03-1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ainer handling opera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371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1568A (en) Unattended travelling vehicle system
JP4300118B2 (en) Optical device for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of containers on vehicles
CN111377356B (en) Semi-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bridge with path planning algorithm and control method
CA1282641C (en) 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
CN108358081B (en) Working method of intelligent tower crane system capable of realizing automatic hoisting
KR8000003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ainer handling operations
JP6113546B2 (en) Container terminal
JP2020136876A (en) Base station selection device and base station selection method
JP2017122008A (en) Tire-type gantry cra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816706B2 (en) Driving instruction creation device for automatic guided vehicles
JPH06298316A (en) Recognizer of iron manufacturing coil yard storage location
JP3192841B2 (en) Signal transfer device for unmanned transport system
WO1992000233A1 (en) Pallet arrangement controlling system using working vehicle
JPS59212321A (en) Automatic transportation of processed articles such as coils and the like by crane
JP2007238258A (en) Container number reading device, container number reading method and rfid tag information reading device
CN210618310U (en) Automatic guide travelling bogie of high accuracy location
JPS63314613A (en) Drive controller for unmanned vehicle
KR0185100B1 (en) Object sensing device of agv
KR0120023B1 (en) Local tracking system of yard automation
NO144204B (en) DEVICE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CONTAINER TRANSMISSION WITH CRANE TOOLS
JP2799656B2 (en) Coil position detection device
JPH02176907A (en) Controller of carrying car
JPH04177508A (en) Automatic carrying running device
JPH04112886U (en) Container yard bay lock recognition device
CN109626216A (en) A kind of traveling crane positioning system based on graduated sc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