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311A - Seal member and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Seal member and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311A
KR20240047311A KR1020230129003A KR20230129003A KR20240047311A KR 20240047311 A KR20240047311 A KR 20240047311A KR 1020230129003 A KR1020230129003 A KR 1020230129003A KR 20230129003 A KR20230129003 A KR 20230129003A KR 20240047311 A KR20240047311 A KR 20240047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ridges
connector
ridg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90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요시히코 신도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240047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3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16J15/02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 F16J15/025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and with at least one flexible 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커넥터를 결합하는 동작에서 요구되는 힘의 감소를 보다 바람직하게 가능하게 하는 밀봉 부재가 제공된다. 돌출된 영역을 포함하는 밀봉 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돌출된 영역은, 제 1 주요 면 상의 복수의 제 1 리지들, 상기 제 1 주요 면에 반대되는 제 2 주요 면 상의 복수의 제 2 리지들 및 서로 인접한 상기 제 2 리지들 사이에 형성되고,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주요 면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앙 트로프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제 1 리지들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제 1 리지는, 단면에서 볼 때, 상기 복수의 제 2 리지들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배치된다.A sealing member is provided that more advantageously enables a reduction in the force required in the operation of engaging the connector. A sealing member is provided comprising a protruding area, the protruding area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ridges on a first major face, a plurality of second ridges on a second major face opposite the first major face, and It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ridg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includes a central trough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main fac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nd the first ridge located at least the outermost of the first ridges has: When viewed, it is arranged to be offset relative to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Description

밀봉 부재 및 커넥터 조립체{SEAL MEMBER AND CONNECTOR ASSEMBLY}SEAL MEMBER AND CONNECTOR ASSEMBLY}

본 개시내용은 밀봉 부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내용은 커넥터 내에 포함된 밀봉 부재에 관한 것이다.This disclosure relates to sealing members. In particular,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sealing members included within connectors.

서로 결합되는 두 개의 커넥터에 있어서, 액체 등이 커넥터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커넥터 사이에 밀봉 부재가 사용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In two connectors that are joined together, it is known that a sealing member is used between the connectors to prevent liquid or the like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connectors.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밀봉 부재는, 일반적으로 프레임 형상을 갖는다. 원주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3개의 스트리크(streak)가 밀봉 부재의 외측 및 내측 주변 면에 각각에 배치된다. 내측 및 외측 주변 면에 배치된 스트리크 세트는 각각 두 커넥터의 하우징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밀봉 부재의 스트리크는 커넥터의 하우징 사이에 가압되어 하우징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동시에 탄성 변형되어 하우징 사이의 밀봉이 달성된다.For example, the sealing membe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generally has a frame shape. Three streaks arranged in a row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disposed on each of the outer and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sealing member. A set of streaks disposed on the inner and outer peripheral surfaces are respectively configured to abut the housings of the two connectors. In this configuration, the streaks of the sealing member are pressed between the housings of the connector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s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to achieve sealing between the housings.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9-306585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9-306585

본 발명자는 종래의 구조를 갖는 밀봉 부재에 극복해야 할 문제점이 있음을 인식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대책을 강구할 필요성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음을 발견하였다.The present inventor has recognized that there are problems that must be overcome in the sealing member having a conventional structure, and has newly discovered the need to devise countermeasures for the problems.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or discovered that there were the following problem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밀봉 부재에서는, 특히, 3개의 스트리크의 중심에 위치한 스트리크가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하우징으로부터의 하중에 의해 압축 변형되어 파괴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 사이의 폭 치수는, 커넥터 사이의 치수 공차(dimensional tolerance)에 따라 밀봉 부재에 가해지는 압축 하중을 증가시키기 위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밀봉 부재의 중심의 스트리크를 더 강하게 가압하여 스트리크를 크게 변형시킴으로써 밀봉 부재의 반발력을 과도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반발력의 증가는 커넥터를 결합하는 동작에서 큰 삽입 힘(introduction force)을 요구하게 되고, 밀봉 부재 또는 커넥터가 파손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In the sealing memb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 particular, the streak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hree streaks may be compressed and deformed and destroyed by the load from the two housings facing each other. However, the width dimension between the housings may be reduced to increase the compressive load applied to the sealing member depending on the dimensional tolerance between the connectors. In this case, the repulsive force of the sealing member can be excessively increased by pressing the streak at the center of the sealing member more strongly to greatly deform the streak. This increase in repulsive force requires a large introduction force in the operation of coupling the connector, and may cause the sealing member or connector to be damaged.

본 개시내용은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즉, 본 개시내용의 주요 목적은, 커넥터를 결합하는 동작에서 요구되는 힘을 보다 바람직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밀봉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se problems. That is,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sealing member that can more preferably reduce the force required in the operation of coupling the connector.

본 발명자는 종래 기술의 연장선상에서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새로운 방향으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상술한 주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밀봉 부재의 발명이 달성되었다.The present inventor attemp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not solving the problem as an extension of the prior art, but by solving the problem in a new direction. As a result, the invention of a sealing member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main purpose was achieved.

본 개시내용은 돌출된 영역을 포함하는 밀봉 부재를 제공하고, 돌출된 영역은, 제 1 주요 면 상의 복수의 제 1 리지들, 제 1 주요 면에 반대되는 제 2 주요 면 상의 복수의 제 2 리지들 및 서로 인접한 제 2 리지들 사이에 형성되고, 단면에서 볼 때, 제 2 주요 면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앙 트로프를 포함하고, 적어도 제 1 리지들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제 1 리지는, 단면에서 볼 때, 복수의 제 2 리지들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배치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sealing member comprising a protruding region, the protruding reg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ridges on a first major face, a plurality of second ridges on a second major face opposite the first major face; and a central trough formed between the second ridges adjacent to each other,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e first ridge located at least the outermost of the first ridges, as viewed in cross section. When, it is arranged to be offset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에 따르면, 커넥터를 결합하는 동작에서 요구되는 힘은 보다 바람직하게 감소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aling member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orce required in the operation of engaging the connector can be more advantageously reduced.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제 1 커넥터 및 제 1 커넥터와 매칭되는 제 2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등각투영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I-I을 따라 취한 밀봉 부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을 따라 취한 밀봉 부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 사이에 위치한 밀봉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b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 사이에 위치한 밀봉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의 대안적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의 대안적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의 대안적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connector including a sealing member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a second connector matching the first connector.
Figure 2 is an isometr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aling member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sealing member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1.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sealing member taken along I-I in FIG. 1.
Figure 5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aling member located between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5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ealing member located between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lternative example of a sealing member of the present disclosure.
7A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lternative example of a sealing member of the present disclosure.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lternative example of a sealing member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봉 부재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들은 본 개시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이고 예시적인 방식으로 설명된 것에 불과하고, 요소들의 외형 및 치수 비율은 실물의 외형 및 치수 비율과 상이할 수 있다.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various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merely described in a schematic and exemplary manner for explaining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external appearance and dimensional ratio of the elements may be different from the actual external appearance and dimensional ratio.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특정 방향 및 위치를 의미하는 용어가 추가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범위는 용어의 의미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 부분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지칭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meaning specific directions and positions are additionally used as needed. However, these terms are us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 meaning of the terms. Additionally, part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in multipl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parts.

또한,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측면에 대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전체 설명의 일부로 간주되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읽히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개시내용의 측면과 관련된 설명에서, 방향 또는 방향성에 대한 참조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상부", "하부", "수평", "수직", "위", "아래", "상단" 및 "하단"과, 그 파생 용어인 "수평으로", "상향", "하향"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설명 또는 도시된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대적인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작동될 필요는 없다. 또한, "부착된", "부가된" 또는 "조립된"과 같은 용어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개재물에 의해 구조물이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거나 부착되는 관계, 또는 양쪽 구조물 모두가 이동 가능하거나 고정되는 부착, 또는 그 관계를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특징 또는 이점의 예는 바람직한 측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러한 측면들은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당업자가 본 개시내용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측면들도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공정 및 전기적 또는 기계적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생각할 수 있는 특징들의 무제한적인 조합의 예를 설명하는 바람직한 측면들(단일 또는 다른 특징들과 결합된 측면들)에 절대 한정되지 않는다.Additionally, the description of illustrative aspects of the disclosure is intended to be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rawings of which are considered part of the overall description. In the description relating to aspects of the disclosure disclosed herein, reference to direction or directionality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op”, “bottom”, “horizontal”, “vertical”, “top”, “bottom”, “top” and “bottom”, and their derivative terms “horizontally”, “up”, “down”, etc. The same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referring to the directions described or shown. These relative terms a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require the device to be configured or operated in a particular orient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Additionally, terms such as “attached,” “appended,” or “assembled,” or similar terms, refer to a relationship in which structures are directly or indirectly fixed or attached to each other by intervening elements, or both structures, unless otherwise specified. Both refer to attachments or relationships that are movable or fixed. Additionally, examples of features or advantag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aspects. These aspec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disclosu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aspects may be used and that process and electrical or mechanical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ly, the present disclosure is in no way limited to the preferred aspects (aspect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features), which illustrate examples of unlimited combinations of conceivable feature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으로 수직"이라는 용어는, 완전히 "수직"을 의미할 필요는 없으며, 그로부터 약간 벗어나는 측면(예를 들어, 완전히 "수직"으로부터의 편차는 90°±20°, 예를 들어, 90°±10°의 범위 내에 있다)을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term "generally vertical" as used herein does not necessarily mean completely "vertical," but rather may mean a slight deviation from it (e.g., 90° ± 20° from completely "vertical"). For example, within the range of 90°±10°).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으로 평행"이라는 용어는, 완전히 "평행"을 의미할 필요는 없으며, 그로부터 약간 벗어나는 측면(예를 들어, 완전히 "평행"으로부터의 편차는 ±20°, 예를 들어, 최대 ±10° 범위 내에 있다)을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term “generally parallel,” as used herein, does not necessarily mean perfectly “parallel,” but rather a slight deviation from it (e.g., a deviation from perfectly “parallel” of ±20°, e.g. For example, within a range of up to ±10°).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면에서 본" 용어는 밀봉 부재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즉, 밀봉 부재의 측면 방향)을 따라 취한 단면을 의미한다.Additionally, the term "viewed in cross section" as used herein means a cross section taken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i.e.,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기본 구성][Basic configuration of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sealing member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내용의 특징은 두 개의 부재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밀봉 부재의 구조이다. 먼저,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가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커넥터 조립체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이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주어진다.A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he structure of a sealing member applicable to sealing a gap between two members. First,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sealing member of the present disclosure, a general description of an exemplary connector assembly to which the sealing member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applied is given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커넥터 조립체(1)는 주요 구성요소로서, 제 1 커넥터(200), 제 1 커넥터와 매칭되는 제 2 커넥터(300) 및 제 1 커넥터(200)와 제 2 커넥터(300)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 부재(100)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조립체"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복합 물품, 매칭 물품 등에 대응한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sealing member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nector assembly 1 has main components, including a first connector 200, a second connector 300 matching the first connector, and a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Includes (100). In the present disclosure, “assembly” corresponds to a composite article contain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 matching article, etc.

제 1 커넥터(200)는, 외부 하우징(220) 및 외부 하우징(220)에 수용되는 내부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220) 및 내부 하우징(210)은 각각 제 2 커넥터(30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개방된다. 제 2 커넥터(300)의 접점(contact)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접점(미도시)은 내부 하우징(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210)은, 내부 하우징(210)과 외부 하우징(220) 사이에 내부 하우징(210)을 둘러싸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200) 및 제 2 커넥터(300)는, 제 2 커넥터(300)의 하우징(310)을 이러한 공간에 삽입(introducing)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200 includes an external housing 220 and an internal housing 210 accommodated in the external housing 220. The outer housing 220 and the inner housing 210 are each ope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r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300. A contact (not shown)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of the second connector 300 may be supported by the internal housing 210 . The inner housing 210 may include a space surrounding the inner housing 210 between the inner housing 210 and the outer housing 220 .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the housing 310 of the second connector 300 into this space.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100)는, 제 1 커넥터(200) 및 제 2 커넥터(3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커넥터(200) 및 제 2 커넥터(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100)는 제 1 커넥터(200)의 내부 하우징(210)과 제 2 커넥터(300)의 하우징(310) 사이에 결합된 상태로 배치되어 커넥터들 내의 접점들을 방수 처리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are coupled to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seal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disposed in a coupled state between the inner housing 210 of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housing 310 of the second connector 300 to form contact points within the connectors. They can be waterproofed.

밀봉 부재(100)는 제 1 커넥터(200)의 내부 하우징(210)의 외주면(outer periphery)을 둘러싸도록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하우징(210)의 외측 주위에 홈이 형성될 수 있고, 밀봉 부재(100)는 홈에 끼워질 수 있다. 밀봉 부재(100)는, 제 2 커넥터(300)가 제 1 커넥터(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커넥터(300)의 하우징(310)에 맞닿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밀봉 부재(100)는 제 1 커넥터(200)의 내부 하우징(210)의 외부면과 제 2 커넥터(300)의 하우징(310)의 내부면 모두에 밀접하게 접촉하여, 제 1 커넥터(200)와 제 2 커넥터(300) 사이의 밀봉을 달성한다.The sealing member 100 may be attach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housing 210 of the first connector 200. For example, a groove may be formed around the outside of the inner housing 210, and the sealing member 100 may be fitted into the groove. The sealing member 100 abuts the housing 310 of the second connector 300 when the second connector 3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200 . In this state, the sealing member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210 of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310 of the second connector 300, A seal is achieved between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등각투영도이다. 밀봉 부재(100)는, 밀봉 부재(100)가 제 1 커넥터(200)의 내부 하우징(210)의 외주면과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는 링 또는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밀봉 부재(100)는 긴 길이의 형상, 일반적으로 C-형상 또는 일반적으로 U-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밀봉 부재(100)는 탄성 재료(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결합 상태에서, 제 1 커넥터(200)와 제 2 커넥터(300)에 의해 밀봉 부재(100)가 가압되어 밀봉 부재(100)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밀봉 부재(100)는 제 1 커넥터(200)와 제 2 커넥터(300) 사이에 유체-밀폐 방식(fluid-tight manner)으로 밀봉을 달성할 수 있다.Figure 2 is an isometr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aling member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aling member 100 may have a ring or frame shape that allows the sealing member 10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210 of the first connector 200. Alternatively, the sealing member 100 may have another shape, such as an elongated shape, generally C-shaped or generally U-shaped. The sealing member 100 may be integrally molded using an elastic material (eg, silicone rubber), for example, by injection molding. In the coupled state, the sealing member 100 is pressed by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and the sealing member 100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sealing member 10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200. Sealing can be achieved between the second connectors 300 in a fluid-tight manner.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의 특징][Features of the sealing member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내용의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커넥터에 적용 가능한 밀봉 부재(100)의 구조이다. 이하,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100)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200)와 제 2 커넥터(300) 사이에 적용되는 측면을 전제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he structure of the sealing member 100 applicable to the connector as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seal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suming the aspect appli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as described abov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 I-I을 따라 취한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100)는, 서로 매칭되는 제 1 커넥터(200)와 제 2 커넥터(300)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밀봉 부재(100)는 각각 서로 반대되는 두 개의 주요 면(principal face)에 복수의 리지(ridge)를 포함하는 돌출된 영역(110, raised region)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돌출된 영역"은, 넓은 의미로는 밀봉 부재(100) 내의 리지를 포함하는 영역을 의미하며, 좁은 의미로는 영역 밀봉 부재(100) 내의 서로 반대되는 두 개의 주요 면에 복수의 리지를 포함하는 영역을 각각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돌출된 영역"은 제 1 커넥터를 향해 돌출된 리지와 제 2 커넥터를 향해 돌출된 리지를 포함하는 영역으로서, "리지 포함 영역"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seal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taken along the line I-I shown in FIG. 2. As shown in FIGS. 1 to 3, the seal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ttach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that are matched to each other. The sealing member 100 includes a raised region 110 each including a plurality of ridges on two opposing principal faces. As used herein, “protruding region” refers, in a broad sense, to an area comprising a ridge within the sealing member 100, and in a narrow sense refers to an area comprising two opposing ridges within the area sealing member 100. Each refers to an area containing multiple ridges on the main surface. Specifically, the “protruding area” is an area including a ridge protruding toward the first connector and a ridge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connector, and may be referred to as a “ridge-containing area” or the like.

돌출된 영역(110)은 제 1 커넥터(200)를 마주하는 제 1 주요 면(10)과, 제 1 커넥터(200)와 매칭되는 제 2 커넥터(300)를 마주하는 제 2 주요 면(20)을 포함한다. 제 2 커넥터(300)가 제 1 커넥터(200)에 삽입되기 전에, 밀봉 부재(100)는 제 1 커넥터(200)에 부착되어 제 1 주요 면(10)이 제 1 커넥터(200)를 마주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주요 면"은, 제 1 커넥터(200)와 제 2 커넥터(300)가 서로 결합되기 전에 밀봉 부재(100)가 부착되는 제 1 커넥터(200)를 마주하는 돌출된 영역(110)의 면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제 2 주요 면"은, 제 2 커넥터(300)가 제 1 커넥터(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커넥터(300)를 마주하는 돌출된 영역(110)의 면을 의미하며, 제 1 주요 면(10)의 반대편에 위치한 면에 해당한다. 제 1/제 2 주요 면(10, 20)은, 밀봉 부재(100)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즉, 밀봉 부재(100)의 두께 방향(Y))에 위치한 면이며, 각 면은 제 1 커넥터(100) 또는 제 2 커넥터(200)에 맞닿거나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므로 "제 1/제 2 인접면", "제 1/제 2 접촉 면" 또는 "제 1/제 2 압착면"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The protruding area 110 has a first main surface 10 facing the first connector 200 and a second main surface 20 facing the second connector 300 that matches the first connector 200. Includes. Before the second connector 3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200, the sealing member 100 is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or 200 such that the first major surface 10 faces the first connector 200. can do. That is, the “first main surface” as used herein refers to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connector 200 to which the sealing member 100 is attached before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is refers to the surface of the protruding area 110. As used herein, the “second main surface” refers to the surface of the protruding area 110 facing the second connector 300 when the second connector 3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200. This means that it corresponds to the side located opposite to the first main side 10. The first/second main surfaces 10 and 20 are surfaces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sealing member 100 (i.e., the thickness direction (Y) of the sealing member 100), and each surface has a first Since it includes a part that abuts or contacts the connector 100 or the second connector 200, it is referred to as a “first/second adjacent surface”, “first/second contact surface”, or “first/second pressing surface”. may also be referred to.

밀봉 부재(100)가 커넥터의 하우징의 전체 주변에 배치되는 경우, 밀봉 부재(100)는 링 또는 프레임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에 비추어, 제 1 주요 면(10)은 밀봉 부재(100)의 내부 주변 면의 주요 면에 대응하고, 따라서 밀봉 부재(100)의 내부 주변 주요 면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제 2 주요 면(20)은 밀봉 부재의 외부 주변 면의 주요 면 대응하고, 따라서 밀봉 부재의 외부 주변 주요 면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When the sealing member 100 is disposed around the entire perimeter of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the sealing member 100 preferably has a ring or frame shape. In view of this shape, the first major surface 10 corresponds to the major surfac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100 and may therefore be regarded as the inner peripheral major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100 . The second major face 20 corresponds to the major face of the outer peripheral face of the sealing member and may therefore be regarded as the outer peripheral major face of the sealing member.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부재(100)는 돌출된 영역(110)의 제 1 주요 면(10) 및 제 2 주요 면(20) 모두에 위치한 복수의 리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100)는, 돌출된 영역(110)에서 제 1 커넥터(200)를 마주하는 제 1 주요 면(10)에 존재하는 복수의 제 1 리지(11)와 제 2 커넥터(300)를 마주하는 제 2 주요 면(20)에 존재하는 복수의 제 2 리지(21)를 포함한다. 즉, 복수의 제 1 리지(11) 및 복수의 제 2 리지(21)는 돌출된 영역(110)에 위치한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sealing member 100 includes a plurality of ridges located on both the first major surface 10 and the second major surface 20 of the protruding region 110 . Specifically, the seal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ridges 11 present on the first main surface 10 facing the first connector 200 in the protruding area 110 and a first 2 I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ridges 21 present on the second main surface 20 facing the connector 300. That is,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1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21 are located in the protruding area 110 .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는 둘 이상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 1 주요 면(10)에 3개의 리지(11, 12)가 포함되고, 제 2 주면(20)에 2개의 제 2 리지(21)가 포함되는 예시적인 측면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As used herein, “plurality” means two or more.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main surface 10 includes three ridges 11 and 12, and the second main surface 20 includes two second ridges 21. It is explained as follows.

돌출된 영역(110)의 제 1 주요 면(10) 및 제 2 주요 면(20)에서, 복수의 제 1 리지(11) 및 복수의 제 2 리지(21)는 각각 제 1 커넥터(200) 및 제 2 커넥터(300)를 향해 돌출되어, 밀봉 부재(100)의 길이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도 2 참조). 구체적으로, 제 1 주요 면(10) 상에 위치한 제 1 리지(11)는, 제 1 커넥터(200)를 향해 돌출되어 밀봉 부재(100)의 길이 방향(Z)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2 주요 면(20) 상에 위치한 제 2 리지(21)는, 제 1 리지(11)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 2 커넥터(200)를 향해 돌출되어 밀봉 부재(100)의 길이 방향(Z)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On the first main face 10 and the second main face 20 of the protruding area 110, a plurality of first ridges 11 and a plurality of second ridges 21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respectively. It may protrude toward the second connector 300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Z) of the sealing member 100 (see FIG. 2). Specifically, the first ridge 11 located on the first main surface 10 may protrude toward the first connector 200 and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Z) of the sealing member 100. The second ridge 21 located on the second main surface 20 protrudes toward the second connector 200 in a similar manner to the first ridge 11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Z of the sealing member 100. It may be extended accordingly.

밀봉 부재(10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또는 일반적으로 프레임 형상을 갖는 경우, 밀봉 부재의 "길이 방향"은 또한 밀봉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리지(11)는 밀봉 부재(100)의 내주면(inner periphery)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 2 리지(21)는 밀봉 부재(10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지(11) 및 제 2 리지(21)는, 각각 제 1 커넥터(200) 및 제 2 커넥터(300)와 밀접하게 접촉하여 커넥터들 사이의 밀봉에 기여하고, 따라서 제 1 립(first lips) 및 제 2 립(second lips)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If the sealing member 100 has a ring or generally frame shape as shown in Figure 2,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can also be considere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Accordingly, the first ridge 11 may extend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100, and the second ridge 21 may exten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100. As shown in Figure 1, the first ridge 11 and the second ridge 21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respectively, and contribute to sealing between the connectors. , Therefore, it may also be referred to as first lips and second lips.

복수의 제 1 리지(11)는, 제 1 주요 면(10) 상에서 밀봉 부재(100)의 길이 방향(Z)에 직교하는 밀봉 부재(100)의 측면 방향(X)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 2 리지(21)는, 제 2 주요 면(20) 상에서 밀봉 부재(100)의 측면 방향(X)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밀봉 부재(100)의 측면 방향(X)은 밀봉 부재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이며, 돌출된 영역(110)의 폭 방향으로 간주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11 may be arranged in a row on the first main surface 10 in the lateral direction (X) of the sealing member 100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Z) of the sealing member 100. . Likewise,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21 may be arranged in a row on the second main surface 20 in the lateral direction (X) of the sealing member 100 . Here, the lateral direction

제 1 리지(11) 및 제 2 리지(21) 각각은 밀봉 부재(100)의 길이 방향(Z) 내에서 비슷한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밀봉 부재(100)의 단면 형상은 일반적으로 밀봉 부재(100)의 길이 방향(Z) 내에서 비슷한 형상일 수 있다.Each of the first ridge 11 and the second ridge 21 may protrude at a similar he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Z of the sealing member 100. That i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aling member 100 may generally have a similar shape with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Z) of the sealing member 1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볼 때, 제 2 주요 면(20)의 중앙에 중앙 트로프(25, central trough)이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중앙"은, 폭 방향(X) 내에서 돌출된 영역(110)의 길이의 중앙을 의미한다. 즉, "제 2 주요 면의 중심"은 제 2 주요 면(20)의 폭 치수의 중심을 의미한다. 여기서 중앙은 반드시 정확한 중앙일 필요는 없다. 중앙은 밀봉 부재의 크기에 따라 편차가 있을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정확한 중앙으로부터 약 2mm의 편차가 허용될 수 있다. 중앙 트로프(25)는 제 2 주요 면(20) 상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 2 리지(2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주요 면(20)의 중앙을 가로질러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 2 리지(21)는, 제 2 주요 면(20)의 중앙에 중앙 트로프(25)를 형성하기 위해 돌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 central trough 25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main surface 20. As used herein, “center” means the center of the length of the protruding area 110 in the width direction (X). That is, “center of the second major face” means the center of the width dimension of the second major face 20. Here, the center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exact center. The center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ealing member, but for example a deviation of about 2 mm from the exact center may be permitted. A central trough 25 may be formed between two second ridges 21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second major surface 20 . That is, the two second ridges 21 adjacent to each other across the center of the second major face 20 may protrude to form a central trough 25 at the center of the second major face 20 .

복수의 제 1 리지들(11)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적어도 제 1 리지(11)는, 단면에서 볼 때, 제 2 리지(21)에 대해 오프셋(offset)되도록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외측"은, 예를 들어, 돌출된 영역(110)의 폭 방향(X)에서 아래에 설명되는 중앙 리지(12, central ridge)의 위치에 기초한 위치 관계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돌출된 영역(110)의 단부 측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외측"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부재(100)의 전체가 돌출된 영역(110)을 포함하는 경우와 같이 밀봉 부재(100)의 가장자리 면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즉,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제 1 리지"는, 단면으로 볼 때, 제 1 주요 면(10)의 가장 끝단에 위치한 리지에 해당한다.At least the first ridge 11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11 is arranged to be offset with respect to the second ridge 21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s used herein, “outer” refers to a positional relationship based on,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central ridge 12 described below in the width direction (X) of the protruding region 110. and specifically refers to the end side of the protruding area 110. This “outside” may be considered an edge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100, for example, if the entirety of the sealing member 100 includes a protruding area 110 as shown in FIG. 3. . That is, the “outermost first ridge” corresponds to the ridge located at the very end of the first main surface 10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제 1 주요 면(10)의 양쪽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리지(11)는, 단면에서 볼 때, 제 2 리지(21)보다 더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 2 리지(21)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제 2 리지(21)는, 단면에서 볼 때, 복수의 제 1 리지(11)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제 1 리지(11)보다 돌출된 영역(110)의 더 내측을 향해 편향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리지(11)와 제 2 리지(21)는 밀봉 부재의 두께 방향(Y) 내에서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바깥쪽에서 제 1 리지(11)의 정점을 통과하고 두께 방향(Y)에 평행한 가상선 C는, 제 2 리지(21)의 정점을 통과하고 두께 방향(Y)에 평행한 가상선 B에 대해 바깥쪽으로 오프셋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밀봉 부재의 두께 방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부재(100)의 단면에 평행하고, 밀봉 부재(100)의 폭 방향(X)에 직교하는 방향(즉, 도 3에서 수직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의미한다.The first ridges 11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s of the first main surface 10 may be located further outside the second ridges 21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at is, the second ridge 21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21 protrudes more than the first ridge 11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11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It may be placed in a position biased further inward of area 110. That is, the first ridge 11 and the second ridge 21 are not located on the same line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of the sealing memb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n imaginary line C passing through the vertex of the first ridge 11 from the outer side and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Y passes through the vertex of the second ridge 21 and It is offset outward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line B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Y). As used here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refers to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ross section of the sealing member 100 and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X) of the sealing member 100, as shown in FIG. 3 (i.e.,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3).

도 5a는 밀봉 부재에 압축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조를 포함하는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에서, 제 2 커넥터(300)가 제 1 커넥터(200)에 삽입될 때, 제 2 리지(21)는 제 2 커넥터(300)에 의해 가압된다. 밀봉 부재(100)의 두께 방향(Y)으로 부과되는 하중은, 커넥터들 사이에 배치된 밀봉 부재(100)에 가해진다. 이러한 경우, 제 2 주요 면(20)은 중앙 트로프(25)를 포함하며, 또한, 제 1 리지(11)는 제 2 리지(21)에 대해 바깥쪽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되며, 이에 따라 제 2 리지(21)는 제 2 주요 면(20)의 중앙 트로프(25)를 향해 구부러지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5A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aling member of the present disclosure with a compressive load applied to the sealing member. Additionally, as shown, in the sealing member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second connector 3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200, the second ridge 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 300) is pressurized. A load appli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of the sealing member 100 is applied to the sealing member 100 disposed between the connectors. In this case, the second major face 20 comprises a central trough 25 and the first ridge 11 is arranged to be offset outward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ridge 21 , so that the second ridge 25 21) can be elastically deformed to bend towards the central trough 25 of the second major surface 20.

구체적으로, 제 2 리지(21) 바로 아래의 부분(즉, 두께 방향(Y)에 평행한 가상선 B상의 위치)은 제 1 커넥터(100)에 맞닿지 않고 폭 방향(X)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제 1 리지(11)에 맞닿는데, 이는 제 1 리지(11)와 제 2 리지(21)가 두께 방향(Y)에 대하여 동일한 축에 위치하지 않고 제 1 리지(11)가 상대적으로 바깥쪽으로 편향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Specifically, the portion immediately below the second ridge 21 (i.e., a position on the virtual line B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Y)) is a position offset in the width direction (X) without contacting the first connector 100. It contacts the first ridge 11, which means that the first ridge 11 and the second ridge 21 are not located on the same axis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Y) and the first ridge 11 moves relatively outward. This is because it is arranged to be biased.

따라서, 제 2 리지(21)에 압축 하중이 부과되면, 제 2 리지(21)는 두께 방향(Y)과 동일한 방향으로 압축 및 변형되고, 단면에서 볼 때 외측에 위치한 제 1 리지(11)는 외측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제 2 리지(21)는, 제 1 리지(11)를 구부림으로써 중앙 트로프(25)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Therefore, whe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second ridge 21, the second ridge 21 is compressed and de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hickness direction (Y), and the first ridge 11 located on the outside in cross-sectional view is It can be bent to tilt outward. Additionally, the second ridge 21 can be de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ral trough 25 by bending the first ridge 11 .

이러한 탄성 변형 상태에서, 적어도 제 1 리지(11) 및 제 2 리지(21)는 각각 제 1 커넥터(200) 및 제 2 커넥터(300)에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커넥터들 사이의 방수성이 확보될 수 있다. 제 2 리지(21)는 중앙 트로프(25)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변형되어, 압축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폭 방향(X)으로 돌출된 영역(110)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폭 방향(X) 내의 탄성 변형은, 단면에서 볼 때, 제 2 리지(21)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며, 따라서 돌출된 영역(110)에서 밀봉 부재(100)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두께 방향(Y)에서 밀봉 부재(100)의 탄성 변형의 정도는 더욱 감소될 수 있다.In this elastic deformation state, at least the first ridge 11 and the second ridge 21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respectively, and thus waterproofing between the connectors is ensured. You can. The second ridge 21 is de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ral trough 25 to facilitate elastic deformation of the region 110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X) whe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This elastic deforma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re is. Accordingly, the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sealing member 100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can be further reduced.

즉,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100)에 따르면, 돌출된 영역(110)에서 폭 방향(X)으로 밀봉 부재(100)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두께 방향(Y)으로의 탄성 변형 정도가 감소되어, 밀봉 부재(100)의 두께 방향(Y)으로 작용하는 반발력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밀봉 부재(100)로부터 제 1 커넥터(200) 및/또는 제 2 커넥터(300)에 작용하는 과도한 반발력(즉, 밀봉 부재(100)의 두께 방향(Y)에 작용하는 힘)이 억제되어, 제 2 커넥터(300)의 삽입에 필요한 힘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100)에 따라 커넥터를 삽입하기 위한 힘은, 더욱 바람직하게 감소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seal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elastic deformation of the sealing member 100 is possible in the width direction (X) in the protruding area 110, and thus elasticity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is possible. As the degree of deformation is reduced, the repulsive force ac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of the sealing member 100 can be further reduced. As a result, excessive repulsive force (i.e., force ac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of the sealing member 100) acting from the sealing member 100 to the first connector 200 and/or the second connector 300 is suppressed. Thus, the force required to insert the second connector 300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force for insert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al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more preferably reduced.

또한,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100)에 따르면, 돌출된 영역(110)의 제 2 주요 면(20)의 중앙은 중앙 트로프(25)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밀봉 부재(100)의 두께 방향(Y)으로 작용하는 과도한 반발력은 보다 바람직하게 억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주요 면(20)의 중앙 트로프(25)는, 제 2 주요 면(20)에 위치한 복수의 제 2 리지(21)가 중앙을 향해 구부러지도록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도울 수 있다. 제 2 주요 면(20)의 중앙에 리지를 포함하는 종래의 구조에서는, 두께 방향(Y)으로 하중이 가해질 때 중앙 리지가 구부러지지 않고 두께 방향(Y)으로 압축되도록 탄성 변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두께 방향(Y)으로 작용하는 반발력이 더욱 증가하여, 커넥터를 삽입할 때 더 많은 힘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100)는, 제 2 주요 면(20)의 중앙에 중앙 트로프(25)가 포함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중앙 트로프(25)의 양측에 위치한 제 2 리지(21)의 선단부가 중앙 트로프(25)를 향해 구부러져 서로 접근할 수 있다. 즉,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100)는, 돌출된 영역(110)에 압축 하중이 가해질 때 두께 방향(Y) 뿐만 아니라 폭 방향(X)으로도 탄성 변형될 수 있으므로, 밀봉 부재(100)의 두께 방향(Y)에 작용하는 과도한 반발력은 보다 바람직하게 억제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seal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enter of the second major surface 20 of the protruding area 110 includes a central trough 25, and thus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100 Excessive repulsive force acting as (Y) can be more preferably suppressed. More specifically, the central trough 25 of the second major face 20 may advantageously assist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21 located on the second major face 20 to elastically deform to bend toward the center. there is.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including a ridge at the center of the second main surface 20, when a load is appli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the central ridge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it is com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without bending. Accordingly, the repulsive force ac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further increases, so more force may be required when inserting the connector. However, since the seal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structure including the central trough 25 in the center of the second main surface 20, the second ridges 21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trough 25 ) can be bent toward the central trough 25 and approach each other. That is, the seal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elastically deformed not only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but also in the width direction (X) whe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protruding area 110, so the sealing member 100 Excessive repulsive force ac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can be more preferably suppressed.

중앙 트로프(25)의 단면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리지(21)의 이러한 구부러짐이 달성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면 형상은, 중앙 트로프(25)의 폭 치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중앙 트로프(25)의 하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일반적으로 V-형상일 수 있다. 중앙 트로프(25)를 가로질러 서로 인접한 제 2 리지(21)에서, 이러한 단면 형상은, 제 2 리지(21)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즉, 제 2 커넥터(30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2 리지(21)의 팁 부분(tip portion)이 바람직하게 분리될 수 있게 한다. 팁 부분이 불충분하게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중을 가했을 때 제 2 리지(21)가 중심을 향해 충분히 휘어지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폭 방향(X)의 탄성 변형이 제한될 수 있다. 중앙 트로프(25)는 단면에서 볼 때 일반적으로 V-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제 2 주요 면(20)으로부터 하중을 가하면(즉, 제 2 커넥터의 삽입) 제 2 리지(21)가 바람직하게 중앙 트로프(25)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구부러질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X)에서 제 2 리지(21)를 탄성 변형할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entral trough 2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is bending of the second ridge 21 is achiev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shape may be generally V-shaped, tapering towards the bottom of the central trough 25 such that the width dimension of the central trough 25 gradually decreases. In the second ridges 21 adjacent to each other across the central trough 25, this cross-sectional shape is obtained when no load is applied to the second ridge 21 (i.e., when the second connector 300 is not inserted). ) so that the tip portion of the second ridge 21 can be preferably separated. If the tip portion is insufficiently separated, it becomes impossible for the second ridge 21 to sufficiently bend toward the center when a load is applied, and elastic deformation in the width direction (X) may be limited. The central trough 25 has a generally V-shap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such that upon application of a load from the second major face 20 (i.e. inse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the second ridge 21 is preferably centered. It can be bent to incline toward the trough 25, and more preferably, the second ridge 21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X).

또한, 중앙 트로프(25)는, 단면에서 볼 때, 충분히 큰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따라서 제 2 리지(21)는 압축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 바람직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중앙 트로프(25)는, 제 2 리지(21) 각각에 형성된 홈이 아니라, 서로 독립적인 두 개의 제 2 리지(21) 사이에 형성된 충분한 깊이를 갖는 트로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entral trough 25 is formed to have a sufficiently large depth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so that the second ridge 21 can be preferably bent under a compressive load. That is, the central trough 25 is preferably not a groove formed in each of the second ridges 21, but a trough with sufficient depth formed between two independent second ridges 21.

구체적으로, 중앙 트로프(25)의 깊이(D)는, 단면에서 볼 때, 중앙 트로프(25)에 인접한 제 2 리지(21)의 높이(H1)와 같거나 그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중앙 트로프의 깊이"는, 단면에서 볼 때, 중앙 트로프(25)에 인접한 제 2 리지(21)의 각 정점(21c)과 중앙 트로프(25)의 하단(25a) 사이의 치수를 의미한다(도 4 참조). 또한, "제 2 리지의 높이"는, 제 2 리지(21)의 외측 리지 시작점(21d)과 제 2 리지(21)의 정점(21c) 사이의 치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중앙 트로프(25)의 깊이(D)는, 밀봉 부재(100)의 두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중앙 트로프(25)에 인접한 각 제 2 리지(21)의 높이(H1)의 50% 내지 120%, 60% 내지 115%, 또는 70% 내지 110%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pth D of the central trough 25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H1 of the second ridge 21 adjacent to the central trough 25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s used herein, “depth of the central trough” refers to the depth of each apex 21c of the second ridge 21 adjacent the central trough 25 and the bottom 25a of the central trough 25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 refers to the dimensions between (see Figure 4). Additionally, “height of the second ridge” refers to the dimension between the outer ridge starting point 21d of the second ridge 21 and the apex 21c of the second ridge 21. For example, the depth D of the central trough 25 varies depending on the thickness, size, etc. of the sealing member 100, but depends on the height H1 of each second ridge 21 adjacent to the central trough 25. It can be 50% to 120%, 60% to 115%, or 70% to 110%.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트로프(25)를 포함하는 제 2 주요 면(20)에서는, 복수의 제 2 리지(21) 각각은 중앙을 향해 구부러져 있고, 이에 따라, 중앙 트로프(25)를 가로질러 서로 인접한 2개의 제 2 리지(21)가 중앙 트로프(25)를 향해 구부러져 서로 접근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A , on the second major surface 20 including the central trough 25,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21 is bent toward the center, thereby forming the central trough 25. The two second ridges 21 adjacent to each other across are bent towards the central trough 25 and approach each oth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구조에 따라, 폭 방향(X)의 돌출된 영역의 어느 한 면(즉, 커넥터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부터 밀봉 부재(100)로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도, 다른 면의 제 2 리지(21)에 의해 방수 성능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is structure, even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sealing member 100 from one side of the protruding area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desirable that waterproof performance can be secured by the 2 ridges 21.

이는, 예를 들어, 한 면으로부터 해당 면에 위치한 제 2 리지(21)를 가로질러 물 등이 일부 유입되는 경우, 다른 면에 위치한 제 2 리지(21)에 수압을 가하면 해당 제 2 리지(21)를 제 2 커넥터(300)에 대해 가압하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해당 제 2 리지(21)가 제 2 커넥터(300)에 보다 밀착하여 접촉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means, for example, when some water flows from one side across the second ridge 21 located on that side, when water pressure is applied to the second ridge 21 located on the other side, the second ridge 21 )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pressing the second connector 300, and thus the second ridge 21 can come into closer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or 300.

또한, 제 2 리지(21)는 구부러지는 동안 제 2 커넥터(300)에 밀접하게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리지(21)의 정점뿐만 아니라 제 2 리지(21)의 측면 영역도 제 2 커넥터(200)에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100)에는, 각각의 제 2 리지(21)와 제 2 커넥터(300) 사이의 더 넓은 인접 영역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 1 리지(11)는 제 2 리지(21)와 함께 폭 방향(X)으로 구부러지며, 이에 따라 각각의 제 1 리지(11)와 제 1 커넥터(200) 사이의 인접 영역도 더욱 확대될 수 있다. 그 결과, 밀봉 부재(100)와 제 1/제 2 커넥터(200, 300)가 보다 넓은 영역에서 서로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으므로, 밀봉 부재(100)의 밀봉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에 따라 커넥터의 삽입 힘 감소와 바람직한 밀봉 특성이 모두 달성되는 보다 바람직한 밀봉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ridge 21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or 300 while being bent, and thus not only the apex of the second ridge 21 but also the side area of the second ridge 21 contacts the second connector 300. It can reach (200). Accordingly, in the seal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a larger adjacent area can be secured between each second ridge 21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In addition, the first ridge 11 is bent in the width direction (X) together with the second ridge 21, thereby further enlarging the adjacent area between each first ridge 11 and the first connector 200. It can be. As a result, the sealing member 100 and the first/second connectors 200 and 30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ver a wider area, so the sealing characteristics of the sealing member 100 can be further improved. According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disclosure, a more desirable seal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which both reduced insertion force of the connector and desirable sealing properties are achieved.

도 5b는, 제 1 커넥터(200)와 제 2 커넥터(300) 사이의 간격(W)이 도 5a의 간격보다 작은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즉, 도 5b는 도 5a보다 큰 압축 하중이 부과되는 측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200)와 제 2 커넥터(300) 사이의 간격(W)은, 제 1 커넥터(200)와 제 2 커넥터(300) 사이의 치수 공차에 따라 더 작아질 수 있다. 종래의 밀봉 부재(100)에서, 이러한 간격(W)의 감소는 커넥터를 결합하는 동작에서 밀봉 부재(100)에 큰 압축 하중을 가할 수 있고, 밀봉 부재(100)로부터 제 1 커넥터(200) 및/또는 제 2 커넥터(300)로 작용하는 반발력의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반발력은 결합 동작에 필요한 힘을 증가시켜 제 1 커넥터(200) 및 제 2 커넥터(300)에 과도한 하중을 가하여 변형 및/또는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어 왔다.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where the gap W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is smaller than the gap in FIG. 5A. That is,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ide on which a compressive load greater than that of FIG. 5A is applied. As shown in FIG. 5B, the gap W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is smaller depending on the dimensional toler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You can lose. In the conventional sealing member 100, this reduction in the gap W can apply a large compressive load to the sealing member 100 in the operation of coupling the connectors, and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aling member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sealing member 100. /O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pulsive force acting on the second connector 300. Concerns have been raised that this repulsive force may increase the force required for the coupling operation, thereby applying excessive load to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resulting in deformation and/or damage.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100)에서, 제1/제2 커넥터 사이의 간격(W)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고, 더 큰 하중을 가하면 제 2 리지(21)가 중앙을 향해 더 기울어지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는 압축 하중이 증가하면 폭 방향(X)으로 밀봉 부재(100)의 탄성 변형이 더욱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사이의 치수 공차 등으로 인해 두께 방향(Y)으로부터 밀봉 부재(100)로 더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100)는 폭 방향(X)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두께 방향(Y)에서의 밀봉 부재(100)의 탄성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100)의 구조에 따라 두께 방향(Y)으로 작용하는 반발력의 과도한 증가는 바람직하게 억제될 수 있다.In the seal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gap W between the first/second connectors is small, as shown in Figure 5b, and applying a larger load causes the second ridge 21 to tilt more toward the center. It can be bent to hold. This can be understood to mean that as the compressive load increases,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sealing member 100 in the width direction (X) further increases.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a larger load is applied to the sealing member 100 from the thickness direction (Y) due to dimensional tolerances between connectors, etc., the seal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pplied in the width direction (X).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member 100 be elastically deformed, and thus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sealing member 100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can be suppress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eal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excessive increase in the repulsive force ac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can be preferably suppressed.

일 실시예에서, 중앙 트로프(25)를 가로질러 서로 인접한 제 2 리지(21)는, 제 2 리지(21)에 압축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 서로 접하도록 중앙을 향해 구부러질 수 있다(도 5b 참조).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한 제 2 리지(21)는, 제 2 리지(21)가 압축 하중에 의해 서로 접근하도록 중앙을 향해 구부러진 상태에서, 제 2 리지(21)가 외부로부터 밀봉 부재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중앙 트로프(25)를 막도록 더욱 구부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리지(21)가 서로 맞닿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한 제 2 리지(21)는, 밀봉 부재(100)의 두께 방향(Y)으로 하중이 더 가해지는 경우 및/또는 돌출된 영역의 폭 방향(X)의 단부 측(즉, 커넥터의 내측 및/또는 외측)으로부터 밀봉 부재(100)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더 구부러질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제 2 리지(21)는 서로 맞닿아 있으며, 이러한 두 개의 제 2 리지(21)는 서로 지지하면서 제 2 커넥터(300)에 밀접하게 접촉하게 되므로, 밀봉 부재(100)에 의해 제공되는 밀봉 특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ridges 21 adjacent to each other across the central trough 25 may be bent toward the center to contact each other under a compressive load applied to the second ridges 21 (see FIG. 5B ). For example, the second ridges 21 adjacent to each other are bent toward the center so that the second ridges 21 approach each other by a compressive load, and the second ridges 21 are subjected to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sealing member. It can be formed to be further bent to block the central trough 25, and thus the second ridges 21 can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For example, when more load is applied to the second ridges 21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of the sealing member 100 and/or at the end side in the width direction (X) of the protruding area (i.e.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sealing member 100 from the inside and/or outside of the connector, it may be further bent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econd ridges 21 adjacent to each oth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ince these two second ridges 21 support each other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or 300, the seal provided by the sealing member 100 The characteristics can be further improved.

제 1 커넥터(100)를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제 1 리지(11)는, 각각 상이한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한 복수의 제 1 리지(11)에서, 단면에서 볼 때, 돌출된 영역(110)의 중앙으로부터 더 먼 쪽에 위치한 제 1 리지(11)는, 중앙에 더 가까운 쪽에 위치한 제 1 리지(11)보다 더 큰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리지(11)의 높이와 상이한 높이로 돌출되는 중앙 리지(12)는, 복수의 제 1 리지(11) 중 서로 인접한 임의의 두 개의 제 1 리지(11) 사이에 더 포함된다. 중앙 리지(12)는 제 1 주요 면(10)의 중앙에 위치한다. 중앙 리지(12)는, 바람직하게는 중앙 리지(12)의 높이(H2)가 복수의 제 1 리지(11)의 높이보다 작도록 돌출된다(도 4 참조). 즉, 제 1 주요 면(10)에서, 중앙 리지(12)는, 단면에서 볼 때, 중앙에 위치한 중앙 리지(12)의 높이(H2)가 가장 낮고, 중앙 리지(12)로부터 바깥쪽으로 위치한 복수의 제 1 리지(11)의 높이(H3)가 높이(H2)보다 더 크도록 돌출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11 protruding toward the first connector 100 may each protrude at different heights. For example, in a plurality of first ridges 11 adjacent to each other,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e first ridge 11 located farther from the center of the protruding area 110 is the first ridge 11 located closer to the center. It may protrude to a greater height than the ridge 11. In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 central ridge 12, which protrudes at a height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ridges 11, is positioned between any two adjacent first ridges 11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11. More included. The central ridge 12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major face 10. The central ridge 12 preferably protrudes so that the height H2 of the central ridge 12 i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11 (see FIG. 4). That is, on the first main surface 10, the central ridge 12 has the lowest height H2 of the central ridge 12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nd has a plurality of ridges located outward from the central ridge 12. The height H3 of the first ridge 11 may protrude to be greater than the height H2.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 리지(12)는 단면으로 볼 때 제 1 주요 면(10)의 중앙에 위치한 중앙 리지(12)의 높이(H2)가 가장 낮도록 설계되어, 밀봉 부재에 압축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즉, 제 2 커넥터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앙 리지(12)는 제 1 커넥터(200)에 맞닿을 필요가 없다. 밀봉 부재(100)에 압축 하중을 가하면(즉, 제 2 커넥터(300)를 삽입하면), 밀봉 부재(100)가 탄성 변형되어 중앙 리지(12)가 제 1 커넥터(200)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즉, 제 2 커넥터(300)의 삽입에 의해 제 2 주요 면(20)에 가까운 영역으로부터 압축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밀봉 부재(100)가 도면 내에서 하부 쪽으로 탄성 변형되어, 돌출된 영역의 폭 방향(X)의 중앙은 제 1 커넥터(200)를 향해 눌러진다. 제 2 주요 면(20)의 중앙 트로프(25)도 이러한 변형과 함께 제 1 커넥터(200)를 향해 눌러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그 결과, 중앙 트로프(25)를 가로질러 양쪽에 위치한 복수의 제 2 리지(21)는 중앙 트로프(25)를 향해 당겨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제 2 리지(21)를 중앙을 향해 구부리는 것이 용이해진다. 즉, 상술한 구조는, 밀봉 부재(100)가 압축 하중을 받을 때, 밀봉 부재(100)가 폭 방향(X)으로 더 바람직하게 탄성 변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중앙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한 제 1 리지(11)의 돌출된 부분의 높이가 낮은 상술한 구조는, 밀봉 부재(100)로부터의 과도한 반발력을 억제할 수 있고, 커넥터를 결합하는 동작에서 요구되는 힘이 보다 바람직하게 감소될 수 있는 밀봉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ridge 12 is designed so that the height H2 of the central ridge 12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main surface 10 is the lowest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so that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sealing member. In the non-supported state (i.e., the second connector is not inserted), the central ridge 12 does not need to contact the first connector 200. Whe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sealing member 100 (i.e., when the second connector 300 is inserted), the sealing member 10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central ridge 12 moves toward the first connector 200. . That is, as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from the area close to the second main surface 20 by inse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300, the sealing member 100 is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bottom in the drawing, so that the sealing member 100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ruding area. The center of (X) is pressed toward the first connector 200. The central trough 25 of the second major surface 20 may also be deformed to be pressed toward the first connector 200 along with this deformation. As a result,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21 located on both sides across the central trough 25 are elastically deformed to be pulled toward the central trough 25, making it easy to bend the second ridges 21 toward the center. It becomes. That i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enables the sealing member 100 to be more preferably elastically de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X) when the sealing member 100 receives a compressive load.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first ridge 11 located close to the center is low, can suppress excessive repulsive force from the sealing member 100, and can suppress the excessive repulsive force required in the operation of coupling the connecto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aling member whose force can be more advantageously reduc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주요 면(10)의 중앙에 위치한 중앙 리지(12)와 제 2 주요 면(20)의 중앙 트로프(25)는, 밀봉 부재(100)의 두께 방향(Y)에 대하여 서로 반대되는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1 주요 면(10)의 중앙 리지(12)와 제 2 주요 면(20)의 중앙 트로프(25)는, 두께 방향(Y)에 대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리지의 정점(12c)과 중앙 트로프의 하단(25a)은, 두께 방향(Y)을 따라 동일한 가상의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리지의 정점(12c)과 중앙 트로프의 하단(25a)은, 단면에서 볼 때, 돌출된 영역(110)의 중앙을 통과하고 두께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선(A) 상에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entral ridge 12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major surface 10 and the central trough 25 of the second major surface 20 are loc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of the sealing member 100. ) can be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That is, the central ridge 12 of the first main surface 10 and the central trough 25 of the second main surface 20 may be located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Y. For example, the vertex 12c of the central ridge and the lower end 25a of the central trough may be located on the same virtual line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Y. More preferably, the apex 12c of the central ridge and the lower end 25a of the central trough have a center line (A) tha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protruding region 110 and extends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Y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 can be located o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 리지(12)와 중앙 트로프(25)가 배치된 경우, 돌출된 영역(110)의 중앙 부분은, 두께 방향(Y)으로 압축 하중이 가해질 때 제 1 커넥터(200)를 향해 보다 바람직하게 쉽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돌출된 영역(110)의 양 단부는 이러한 탄성 변형과 함께 제 2 커넥터(300)를 향해 상대적으로 변형된다. 그 결과, 제 2 리지(21)는 바람직하게는 중앙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중앙 리지(12) 및 중앙 트로프(25)는, 단면에서 볼 때, 돌출된 영역(110)의 중심선(A) 상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돌출된 영역(110)의 양 단부는 중심선(A)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제 2 커넥터(200, 300)와 밀봉 부재(100)는 돌출된 영역(110)의 양 단부에서 보다 바람직하게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고, 압축 및 변형된 밀봉 부재(100)의 반발력이 국소 영역으로 편향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부재(100)의 반발력은 바람직하게 분산되고, 반발력이 밀봉 부재(100)에 맞닿는 제 1 커넥터(200) 및/또는 제 2 커넥터(300)에 과도하게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억제될 수 있다. 즉, 커넥터를 결합하는 동작에 필요한 힘은,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100)에 따라 보다 바람직하게 감소될 수 있다.When the central ridge 12 and the central trough 25 are disposed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portion of the protruding area 110 moves toward the first connector 200 whe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More preferably, it can be easily elastically deformed. Both ends of the protruding area 110 are relatively deformed toward the second connector 300 along with this elastic deformation. As a result, the second ridge 21 can preferably be inclined towards the center. In addition, the central ridge 12 and the central trough 25 are located on the center line A of the protruding area 110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nd thus both ends of the protruding area 110 are located along the center line ( I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Accordingly, the first/second connectors 200, 300 and the sealing member 100 are preferab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protruding area 110, and the repulsive force of the compressed and deformed sealing member 100 Deflection to this local area can be preferably suppressed. Accordingly, the repulsive force of the sealing member 100 is preferably distributed, and excessive action of the repulsive force on the first connector 200 and/or the second connector 300 abutting the sealing member 100 can be preferably suppressed. there is. That is, the forc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coupling the connector can be more preferably reduced according to the seal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중앙 리지(12) 및 복수의 제 1 리지(11)는, 중앙 리지(12) 및 복수의 제 1 리지(11)에 반대되는 제 2 주요 면(20) 상에 위치한 복수의 제 2 리지(21)에 대하여 돌출된 영역(110)의 폭 방향(X)에서 오프셋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 1 리지(11) 및 중앙 리지(12)의 정점은, 단면에서 볼 때, 복수의 제 2 리지(21)의 정점에 대하여 폭 방향(X)으로 편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리지(11) 및 중앙 리지(12)를 포함하는 제 1 주요 면의 리지 및 제 2 리지(21)는, 밀봉 부재(100)의 두께 방향(Y)에 대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 1 리지(11) 및 중앙 리지(12)를 포함하는 제 1 주요 면의 리지 및 제 2 리지(21)는, 단면에서 볼 때, 번갈아 가며 제 1 주요 면(10) 및 제 2 주요 면(2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central ridge 12 and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11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ridges 21 located on the second major surface 20 opposite the central ridge 12 and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11. ) may be arranged to be offset in the width direction (X) of the protruding area 110. More specifically, the vertices of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11 and the central ridge 12 may be arranged to be deflected in the width direction (X) with respect to the vertic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21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ere is. That is, the ridges of the first main surface including the first ridge 11 and the central ridge 12 and the second ridge 21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Y of the sealing member 100. There is no need. For example, the ridges and second ridges 21 of the first major face, including the first ridge 11 and the central ridge 12, are alternately the first major face 10 and the second ridge 21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2 may be placed respectively on the main surface 20.

제 1 리지(11) 및 중앙 리지(12)를 포함하는 제 1 주요 면의 리지 및 제 2 리지(21)는,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배치되며, 이에 따라 두께 방향(Y)의 탄성 변형을 위한 편향을 위한 가장자리는, 단면에서 볼 때, 각각의 리지의 두께 방향에 반대되는 위치에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제 1 리지(11)와 중앙 리지(12)를 포함하는 제 1 주요 면의 리지 및 제 2 리지(21)는, 단면에서 볼 때, 밀봉 부재(100)의 두께 방향(Y)에 대하여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압축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커넥터(200)와 밀봉 부재(100) 사이에는 제 2 리지(21)의 반대쪽에 간극(15)이 존재하게 된다. 압축 하중이 가해지면 커넥터에 맞닿는 리지가 가압되고 밀봉 부재(100)가 변형되어, 제 1 커넥터(200)와 밀봉 부재(100) 사이의 간극(15)은 작아질 수 있다.The ridges of the first major surface including the first ridge 11 and the central ridge 12 and the second ridge 21 are arranged to be offset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elastic deform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The edge for deflection exists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each ridg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Specifically, the ridges of the first main surface including the first ridge 11 and the central ridge 12 and the second ridge 21 are align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of the sealing member 100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Since they are not located on the same line, a gap 15 exists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aling member 10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ridge 21 when no compressive load is applied. Whe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the ridge abutting the connector is pressed and the sealing member 100 is deformed, so that the gap 15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aling member 100 may become smaller.

종래의 구조와 같이 서로 반대되는 두 개의 주요 면의 리지들이 두께 방향에 대하여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구조에서는, 압축 하중을 가하면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리지들이 탄성 변형되어 리지들이 두께 방향(Y)으로 압축되고, 따라서 두께 방향(Y)에 작용하는 반발력이 과도하게 증가될 우려가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100)에서는, 제 1 주요 면(10)의 리지(11, 12) 및 제 2 리지(21)가 서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되어, 압축 하중을 가하면 밀봉 부재(100)가 구부러지도록 밀봉 부재(100)가 변형될 수 있고, 따라서 리지의 두께 방향(Y)에서의 압축 변형이 감소된다. 그 결과, 밀봉 부재(100)의 압축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밀봉 부재(100)로부터 커넥터로의 과도한 반발력은, 바람직하게 억제될 수 있다.In a structure where the ridges of two opposing main surfaces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s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whe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the ridges located on the same line are elastically deformed and com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Therefore, there is a risk that the repulsive force ac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may be excessively increased. In contrast, in the seal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idges 11, 12 and the second ridge 21 of the first major surface 10 are arrang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so that whe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the sealing member ( The sealing member 100 can be deformed so that 100) is bent, and thus the compressive strain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of the ridge is reduced. As a result, excessive repulsive force from the sealing member 100 to the connector generated by compressive deformation of the sealing member 100 can be preferably suppressed.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제 2 리지(21)는 압축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 중심을 향해 구부러질 수 있고, 제 2 리지(21)의 팁 부분은 서로 맞닿아 서로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주요 면(20)에는 짝수 개의 제 2 리지(21)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2 주요 면(20)에는 2개, 4개 또는 6개의 제 2 리지(21)가 형성될 수 있다. 리지의 강도에 높은 값을 부여하면, 각각의 리지의 단면적이 더 커지도록 더 적은 수(예를 들어, 2개 또는 4개)의 제 2 리지(21)가 제 2 주요 면(20)에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특정 바람직한 측면에서, 2개의 제 2 리지(21)는 제 2 주요 면(20)의 중앙에 중앙 트로프(25)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대안적으로, 제 2 주요 면(20)은 4개의 제 2 리지(21)를 포함할 수 있다(도 6 참조).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ridges 21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bent toward the center whe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and the tip portions of the second ridges 21 may contact each other to support each other.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rrange an even number of second ridges 21 on the second main surface 20. For example, two, four or six second ridges 21 may be formed on the second major surface 20 . If a high value is given to the strength of the ridges, a smaller number (e.g. two or four) of the second ridges 21 is desirable on the second major face 20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each ridge is larger. are placed accordingly. In certain preferred aspects, the two second ridges 21 may be arranged to form a central trough 25 in the center of the second major face 20 (see Figure 3). Alternatively, the second major surface 20 may comprise four second ridges 21 (see Figure 6).

제 1 리지(11)는, 단면에서 볼 때, 적어도 중앙 리지(12)와 제 2 리지(21)보다 더 바깥인 양쪽에 위치한 제 1 리지(11)를 보다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주요 면(10)은 적어도 3개의 제 1 리지(1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바람직한 측면에서, 짝수 개의 제 2 리지(21)와는 대조적으로, 홀수 개의 리지(11, 12)가 제 1 주요 면(10)에서 서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된다. 즉, 제 1 주요 면(10)은, 짝수 개의 제 1 리지(11)와 하나의 중앙 리지(12)를 포함하여, 홀수 개의 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100)는, 짝수 개의 제 1 리지(11)와 짝수 개의 제 2 리지(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부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 1 리지(11), 2개의 제 1 리지(11) 사이에 위치한 하나의 중앙 리지(12) 및 2개의 제 2 리지(21)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볼 때, 밀봉 부재(100)는 4개의 제 1 리지(11), 1개의 중앙 리지(12) 및 4개의 제 2 리지(21)를 포함하여, 제 1 리지(11), 중앙 리지(12) 및 제 2 리지(21)가 서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ridge 11 more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a central ridge 12 and a first ridge 11 located on both sides more outer than the second ridge 21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ccordingly, the first major surface 10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three first ridges 11 . In certain preferred aspects, in contrast to the even number of second ridges 21 , the odd number of ridges 11 , 12 are arrang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on the first major face 10 . That is, the first major surface 10 may include an odd number of ridges, including an even number of first ridges 11 and one central ridge 12. In other words, the seal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n even number of first ridges 11 and an even number of second ridges 21. For example, the sealing member 100, as shown in FIG. 3, includes two first ridges 11, one central ridge 12 located between the two first ridges 11, and two first ridges 11. It may include 2 ridges (21).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ure 6,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e sealing member 100 includes four first ridges 11, one central ridge 12 and four second ridges 21. Thus, the first ridge 11, the central ridge 12, and the second ridge 21 may be arrang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제 1 리지(11) 및 제 2 리지(21)의 단면 형상은, 리지의 정점으로 갈수록 폭 치수가 점차 감소하는 산 형상(mountain shape)을 가질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제 2 리지(21)는, 단면에서 볼 때, 제 2 주요 면의 중앙에 가까운 경사면(21b)의 경사각과, 중앙에 가까운 경사면(21b)에 반대되는 외측 경사진 면(21a)의 경사각이 서로 상이한 외부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즉, 각각의 제 2 리지(21)의 단면 형상은 대칭이 아니며, 각각의 제 2 리지(21)에서 중앙에 가까운 부분과 바깥쪽 부분이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이는, 각 제 2 리지(21)의 단면 형상이 각 제 2 리지(21)의 정점을 통과하고 밀봉 부재의 두께 방향(Y)와 평행한 가상의 선(B)에 대해 선-비대칭(line-asymmetrical)이라는 것을 의미한다(도 3 참조).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 2 리지(21)에서, 중앙에 더 가까운 경사면(21b)의 경사각은, 외측 경사면(21a)의 경사각보다 클 수 있다. 즉, 각각의 제 2 리지(21)의 단면 형상에서, 외측 경사의 각도는 중앙에 가까운 경사의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제 2 리지(21)에서, 단면에서 볼 때, 바깥쪽 부분은 중앙에 더 가까운 부분보다 더 완만하게 경사져 있을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ridge 11 and the second ridge 21 may have a mountain shape whose width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apex of the ridge. In particular, each second ridge 21 has,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n inclination angle of an inclined surface 21b close to the center of the second main face and an outer inclined surface 21a opposite to the inclined surface 21b close to the center. The inclination angles may have different external contours. That i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each second ridge 21 is not symmetrical, and a portion near the center and an outer portion of each second ridge 21 may be inclined at different angles. This means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each second ridge 21 is line-asymmetric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line B that passes through the vertex of each second ridge 21 and is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Y of the sealing member. asymmetrical) (see Figure 3). Specifically, in each second ridge 21,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21b closer to the center may be larg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outer inclined surface 21a. That is, 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each second ridge 21, the angle of the outer inclination may be smaller than the angle of inclination closer to the center. In other words, in each second ridge 21,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e outer portion may be more gently sloping than the portion closer to the center.

이러한 형상에 따라, 각각의 제 2 리지(21)는 제 2 커넥터(300)가 삽입되는 쪽에 완만한 경사를 포함하므로, 제 2 커넥터(300)를 삽입하는 동작에서 제 2 커넥터(300)와 밀봉 부재(100) 사이의 간섭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커넥터(300)는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커넥터를 체결하는 동작에서 요구되는 힘은 보다 바람직하게 감소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hape, each second ridge 21 includes a gentle slope on the side into which the second connector 300 is inserted, so that it seals with the second connector 300 during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second connector 300. Interference between members 100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second connector 300 can be inserted more easily, and the force required in the operation of fastening the connector can be more preferably reduced.

대조적으로, 각각의 제 1 리지(11)는, 단면에서 볼 때, 바깥쪽 부분보다 중앙에 더 가까운 부분에서 더 완만하게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즉, 각각의 제 1 리지(11)는, 단면에서 볼 때, 비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제 1 리지(11)의 단면 형상이 각각의 제 1 리지(11)의 정점을 통과하고 밀봉 부재의 두께 방향(Y)과 평행한 가상의 선(C)에 대해 선-비대칭이라는 것을 의미한다(도 3 참조). 즉, 각각의 제 1 리지(11)에서 중앙에 더 가까운 경사면(11b)의 경사각은, 외측 경사면(11a)의 경사각보다 작을 수 있다. 대조적으로, 중앙 리지(12)의 단면 형상은, 중앙 리지(12)의 정점을 통과하고 밀봉 부재의 두께 방향(Y)에 평행한 가상의 선(도 3의 중심선 A에 해당)에 대해 선-대칭이다.In contrast, each first ridge 11 may be more gently sloped in a section closer to the center than in the outer portion. That is, each first ridge 11 may have an asymmetric shap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is means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each first ridge 11 is line-asymmetric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line C passing through the vertex of each first ridge 11 and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Y of the sealing member. means (see Figure 3). That 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11b closer to the center of each first ridge 11 may be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outer inclined surface 11a. In contras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entral ridge 12 is line- It is symmetrical.

일반적으로, 제 2 커넥터(300)는 밀봉 부재(100)가 부착된 제 1 커넥터(200) 내부로 삽입된다. 즉, 제 2 커넥터(300)는, 제 1 리지(11)를 포함하는 제 1 주요 면(10)에 가까운 부분이 제 1 커넥터(200)에 맞닿은 상태에서, 제 2 주요 면(20)에 가까운 부분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 각각의 제 1 리지(11)는 각각의 제 1 리지(11)의 외측이 보다 가파르게 경사진 형상을 가지므로, 각각의 제 1 리지(11)가 중앙을 향해 구부러지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제 2 커넥터(300)의 삽입 또는 제거 방향(즉, 커넥터의 폭 방향(X))을 따라 밀봉 부재에 힘이 가해지면, 제 1 커넥터(200)와 제 1 커넥터(200)에 맞닿는 제 1 리지(11) 사이의 간섭이 증가하여, 이러한 삽입 또는 제거 방향으로의 밀봉 부재(100)의 이동은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 1 리지(11)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므로, 제 2 커넥터(300)의 삽입 또는 제거 동작에 의한 밀봉 부재(100)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즉, 밀봉 부재(100)는 제 1 리지(11)에 의해 제 1 커넥터(200) 상에 바람직하게 유지되고, 이에 따라 제 2 커넥터(300)의 삽입 또는 제거가 용이해질 수 있다.Generally, the second connector 3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200 to which the sealing member 100 is attached. That is, the second connector 300 is close to the second main surface 20, with the part close to the first main surface 10 including the first ridge 11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or 200. inserted as part. In this case, each first ridge 11 has a shape in which the outer side of each first ridge 11 is inclined more steeply, so that each first ridge 11 is suppressed from bending toward the center. Therefore,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sealing member along the insertion or remov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300 (i.e., the width direction (X) of the connector),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first connector abutting the first connector 200 1 As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ridges 11 increases, movement of the sealing member 100 in this insertion or removal direction can be suppressed. Accordingly, since each first ridge 11 has the cross-sectional shape as described above, unintentional movement of the sealing member 100 due to the insertion or removal operation of the second connector 300 can be suppressed. That is, the sealing member 100 is preferably maintained on the first connector 200 by the first ridge 11, and thus insertion or removal of the second connector 300 can be facilitated.

일 실시예에서, 돌출된 영역(110)은, 단면에서 볼 때, 선-대칭인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돌출된 영역(110)의 단면 형상은, 밀봉 부재(100)의 중앙을 통과하고 두께 방향(Y)으로 연장되는 중심선(A)에 대하여 선-대칭일 수 있다(도 3 참조). 돌출된 영역(110) 내의 제 1 리지(11) 및 제 2 리지(21)의 위치 및 형태는, 단면에서 볼 때, 중심선(A)에 대해 대칭일 수 있다. 돌출된 영역(110)의 단면 형상이 선-대칭인 경우, 압축 하중을 가할 때 돌출된 영역(110) 내의 밀봉 부재(100)의 수평으로 균일한 탄성 변형이 더욱 용이해지고, 탄성 변형으로 인해 작용하는 반발력의 국부적인 집중이 바람직하게 억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선-대칭"은 반드시 "완전 선 대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략 선-대칭인 형태 및/또는 위치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otruding region 110 includes a portion that is line-symmetric when viewed in cross-section. 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ding area 110 may be line-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A tha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ealing member 100 and extends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see FIG. 3). . The positions and shapes of the first ridge 11 and the second ridge 21 within the protruding area 110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A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I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ding area 110 is line-symmetric, horizontally uniform elastic deformation of the sealing member 100 within the protruding area 110 becomes easier when applying a compressive load, and the elastic deformation acts as a result of the elastic deformation. The local concentration of the repulsive force can be preferably suppressed. As used herein, “line-symmetry”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perfect line symmetry” but includes shapes and/or locations that are approximately line-symmetric.

일 실시예에서, 돌출된 영역(110)을 포함하는 밀봉 부재(100)는, 단면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선-대칭일 수 있다. 즉, 밀봉 부재(100)의 단면 형상은,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선(A)에 대하여 선-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aling member 100 including the protruding region 110 may be generally line-symmetric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at i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aling member 100 may have a line-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A, as shown in FIG. 3 or 4.

다른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100)는 돌출된 영역(110)에 인접한 연장 영역(120, extension region)을 더 포함한다(도 7a 및 도 7b 참조). 연장 영역(120)은, 단면에서 볼 때, 돌출된 영역(110)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 영역(120)은, 돌출된 영역(110)으로부터 연장되는 리지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이며, 따라서 "돌출되지 않은 영역", "리지 없는 영역"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연장 영역(120)이 포함됨으로써, 밀봉 부재(100)와 제 1 커넥터(200) 및/또는 제 2 커넥터(300)가 서로 접촉할 수 있는 영역이 확대되므로, 밀봉 특성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고, 커넥터의 삽입 또는 제거에 의한 밀봉 부재(100)의 이탈을 보다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개시내용의 밀봉 부재는, 돌출된 영역(110)뿐만 아니라 연장 영역(120)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밀봉 특성의 향상, 밀봉 부재의 이탈 방지, 커넥터의 결합 동작에 요구되는 힘의 감소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aling member 100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region 120 adjacent to the protruding region 110 (see FIGS. 7A and 7B). The extended area 120 may extend from at least one end of the protruding area 110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is extended area 120 is an area that does not include a ridge extending from the protruding area 110, and therefore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non-protruding area”, “ridge-free area”, etc. By including the extended area 120, the area where the sealing member 100 and the first connector 200 and/or the second connector 300 can contact each other is expanded, thereby improving the sealing characteristics. , it is possible to more preferably prevent separation of the sealing member 100 due to insertion or removal of the connector. That is, the sealing member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structure that further includes not only the protruding area 110 but also the extended area 120, thereby improving sealing characteristics,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sealing member, and satisfying the requirements required for the mating operation of the connector. This may be desirable from the viewpoint of reduction of force, etc.

연장 영역(120)은, 제 1 커넥터(200)와 제 2 커넥터(300) 사이의 간극의 형상을 따라 커넥터의 내부에 더 가까운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extension area 120 may extend to an area closer to the inside of the connector along the shape of the gap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이러한 형상에서, 돌출된 영역(110)을 포함하는 밀봉 부재(100)는 전체적으로 선-비대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영역(120)의 적어도 일부는 돌출된 영역(110)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 영역(120)의 적어도 일부는 돌출된 영역(110)의 폭 방향(X)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영역(120)은, 단면에서 볼 때,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 사이의 간극의 형상을 따라 일반적으로 L-형상 부분을 포함한다(도 7b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연장 영역(120)은, 연장 영역(120)이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하우징의 선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L-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밀봉 부재(100)는, 바람직하게는 연장 영역(120)에서 제 1 커넥터 및/또는 제 2 커넥터에 면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부재(100)는, 더욱 바람직한 밀봉 특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돌출된 영역(110) 및 연장 영역(120) 모두에서 제 1 커넥터(200) 및/또는 제 2 커넥터(300)와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sealing member 100 including the protruding area 110 may be linearly asymmetric as a whole.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nded area 120 may exten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the protruding area 110 . Specifically,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nded area 120 may exten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width direction (X) of the protruding area 110. In one embodiment, the extended region 120 includes a generally L-shaped portion that, when viewed in cross-section, follows the shape of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see Figure 7B). More specifically, the extension area 120 may have a generally L-shape such that the extension area 120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tip of the housing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sealing member 100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or and/or the second connector, preferably in the extended area 120. Accordingly, the sealing member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or 200 and/or the second connector 300 in both the protruding area 110 and the extended area 120 to achieve more desirable sealing properties. Includes parts that can be easily touched.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술한 구성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수정이 가능하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Based on the knowledg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combinations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claims.

본 개시내용의 인(phosphor) 회수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바람직한 측면을 포함한다:The phosphor recovery devices and method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 the following preferred aspects:

<1> 돌출된 영역을 포함하는 밀봉 부재에 있어서,<1> In the sealing member including a protruding area,

상기 돌출된 영역은,The protruding area is,

제 1 주요 면 상의 복수의 제 1 리지들;a plurality of first ridges on the first major side;

상기 제 1 주요 면에 반대되는 제 2 주요 면 상의 복수의 제 2 리지들; 및a plurality of second ridges on a second major side opposite the first major side; and

서로 인접한 상기 제 2 리지들 사이에 형성되고,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주요 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트로프를 포함하고,a central trough formed between adjacent second ridges and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major fac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적어도 상기 제 1 리지들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제 1 리지는, 단면에서 볼 때, 상기 복수의 제 2 리지들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배치된다.At least the first ridge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first ridges is arranged to be offset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2> <1>에 따른 밀봉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 1 리지들 중 임의의 둘 사이에 위치하고,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주요 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리지를 더 포함하고,<2>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1> further includes a central ridge located between any two of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and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main surfac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상기 중앙 리지는 상기 복수의 제 1 리지들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된다.The central ridge protrudes to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3> <2>에 따른 밀봉 부재에 있어서,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중앙 리지와 상기 중앙 트로프는, 상기 밀봉 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3> In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2>,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e central ridge and the central trough are arranged on the same line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봉 부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리지들이 상기 밀봉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압축 하중을 받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 2 리지들은 상기 중앙 트로프를 향해 구부러질 수 있다.<4> In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wherein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receive a compressive loa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are located at the center Can bend towards the trough.

<5> <4>에 따른 밀봉 부재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진 제 2 리지들에서, 상기 중앙 트로프를 가로질러 서로 인접한 상기 제 2 리지들은 서로 맞닿을 수 있다.<5>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4>, wherein in the bent second ridges, the second ridges adjacent to each other across the central trough may abut each other.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봉 부재는, 상기 제 1 주요 면에 짝수 개의 상기 제 1 리지들 및 하나의 중앙 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주요 면에 짝수 개의 상기 제 2 리지들을 포함한다.<6>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including an even number of the first ridges and one central ridge on the first main surface, and an even number of the first ridges on the second main surface. Includes secondary ridges.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봉 부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리지들 및 상기 복수의 제 2 리지들은, 단면에서 볼 때, 상기 밀봉 부재의 폭 방향에서 서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된다.<7>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are offse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It is arranged as much as possible.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봉 부재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의 제 1 리지들에서, 상기 돌출된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더 먼 쪽에 위치한 제 1 리지는, 상기 중앙에 더 가까운 쪽에 위치한 상기 제 1 리지보다 더 큰 높이로 돌출된다.<8>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wherein, in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ridge located farther from the center of the protruding area is located at the center. It protrudes to a greater height than the first ridge located on the closer side.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봉 부재에 있어서, 상기 중앙 트로프는,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중앙 트로프의 폭 치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상기 중앙 트로프의 하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9>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8>, wherein the central trough becomes thinner toward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trough such that the width dimension of the central trough gradually decreases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

<10>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봉 부재는, 상기 돌출된 영역은, 단면에서 볼 때, 선-대칭인 부분을 포함한다.<10> In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9>, the protruding area includes a portion that is line-symmetric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11>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봉 부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리지들 및 상기 복수의 제 2 리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단면에서 볼 때, 선-비대칭 부분을 포함한다.<11>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0>,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has a line-asymmetric portion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Includes.

<12>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봉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지들 각각에서 중앙으로부터 더 먼 쪽의 경사각은, 상기 중앙에 더 가까운 쪽의 경사각보다 작다.<12>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1>, wherein the inclination angle of each of the second ridges farther from the center i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ide closer to the center.

<13>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밀봉 부재는, 상기 돌출된 영역에 인접한 연장 영역을 더 포함한다.<13>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2> further includes an extended area adjacent to the protruding area.

<14> <13>에 따른 밀봉 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장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돌출된 영역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된다.<14>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13>,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nded area extends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the protruding area.

<15>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봉 부재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밀봉 부재의 단면 형상은, 전체적으로 선-비대칭이다.<15> In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4>,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aling member including the protruding region is linearly asymmetric as a whole.

<16> 제 1 커넥터, 상기 제 1 커넥터에 매칭되는 제 2 커넥터, 및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16> In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first connector, a second connector matched to the first connector, and a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상기 밀봉 부재는 돌출된 영역을 포함하고;The sealing member includes a protruding area;

상기 돌출된 영역은,The protruding area is,

상기 제 1 커넥터를 마주하는 제 1 주요 면 상의 복수의 제 1 리지들;a plurality of first ridges on a first major side facing the first connector;

상기 제 2 커넥터를 마주하고 상기 제 1 주요 면에 반대되는 제 2 주요 면 상의 복수의 제 2 리지들; 및a plurality of second ridges on a second major side opposite the first major side facing the second connector; and

서로 인접한 상기 제 2 리지들 사이에 형성되고,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주요 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트로프;a central trough formed between adjacent second ridges and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major fac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를 포함하고, Including,

적어도 상기 복수의 제 1 리지들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제 1 리지는, 단면에서 볼 때, 상기 복수의 제 2 리지들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배치된다.At least the first ridge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is arranged to be offset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산업상 이용가능성: 커넥터에 대한 적용은 실시예에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커넥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밀봉 부재와 함께 신뢰할 수 있는 방수 구조가 필요한 다른 부재, 예를 들어, 하우징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pplication to the connector is illustrated in the exampl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connectors, but can similarly be applied to other members, such as housings, that require a reliable waterproof structure together with the sealing member.

1 : 커넥터 조립체
100 : 밀봉 부재
110 : 돌출된 영역
120 : 연장 영역
10 : 제 1 주요 면
11 : 제 1 리지
12 : 중앙 리지
15 : 간극
20 : 제 2 주요 면
21 : 제 2 리지
21c : 제 2 리지의 정점
25 : 중앙 트로프
25a : 중앙 트로프의 하단
2 : 제 1 커넥터
210 : 내부 하우징
220 : 외부 하우징
300 : 제 2 커넥터
310 : 제 2 커넥터의 하우징
400 : 슬라이더
500 : 리테이너
1: Connector assembly
100: sealing member
110: protruding area
120: extension area
10: 1st main side
11: 1st ridge
12: Central Ridge
15: gap
20: 2nd main face
21: 2nd ridge
21c: Apex of the second ridge
25: Central trough
25a: Bottom of central trough
2: first connector
210: inner housing
220: external housing
300: second connector
310: Housing of second connector
400: Slider
500: retainer

Claims (16)

돌출된 영역을 포함하는 밀봉 부재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영역은,
제 1 주요 면 상의 복수의 제 1 리지들;
상기 제 1 주요 면에 반대되는 제 2 주요 면 상의 복수의 제 2 리지들; 및
서로 인접한 상기 제 2 리지들 사이에 형성되고,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주요 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트로프;
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제 1 리지들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제 1 리지는, 단면에서 볼 때, 상기 복수의 제 2 리지들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배치되는, 밀봉 부재.
In the sealing member including a protruding area,
The protruding area is,
a plurality of first ridges on the first major side;
a plurality of second ridges on a second major side opposite the first major side; and
a central trough formed between adjacent second ridges and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major fac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Including,
A sealing member, wherein at least a first ridge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first ridges is arranged to be offset relative to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 1 리지들 중 임의의 둘 사이에 위치하고,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주요 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리지는 상기 복수의 제 1 리지들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되는, 밀봉 부재.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central ridge located between any two of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and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major surfac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e sealing member wherein the central ridge protrudes to a lower height than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제 2 항에 있어서,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중앙 리지와 상기 중앙 트로프는, 상기 밀봉 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밀봉 부재.
According to claim 2,
A sealing member, wherein,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e central ridge and the central trough are disposed on the same line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리지들이 상기 밀봉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압축 하중을 받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 2 리지들은 상기 중앙 트로프를 향해 구부러질 수 있는, 밀봉 부재.
According to claim 1,
A sealing member wherein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can be bent toward the central trough when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are subjected to a compressive loa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진 제 2 리지들에서, 상기 중앙 트로프를 가로질러 서로 인접한 상기 제 2 리지들은 서로 맞닿을 수 있는, 밀봉 부재.
According to claim 4,
In the curved second ridges, the second ridges adjacent to each other across the central trough can abut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요 면에 짝수 개의 상기 제 1 리지들 및 하나의 중앙 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주요 면에 짝수 개의 상기 제 2 리지들을 포함하는, 밀봉 부재.
According to claim 1,
A sealing member comprising an even number of the first ridges and one central ridge on the first major face and an even number of the second ridges on the second major 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리지들 및 상기 복수의 제 2 리지들은, 단면에서 볼 때, 상기 밀봉 부재의 폭 방향에서 서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되는, 밀봉 부재.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are arrang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의 제 1 리지들에서, 상기 돌출된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더 먼 쪽에 위치한 제 1 리지는, 상기 중앙에 더 가까운 쪽에 위치한 상기 제 1 리지보다 더 큰 높이로 돌출되는, 밀봉 부재.
According to claim 1,
In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adjacent to each other, a first ridge located on a side farther from the center of the protruding area protrudes to a greater height than the first ridge located on a side closer to the cen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트로프는,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중앙 트로프의 폭 치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상기 중앙 트로프의 하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밀봉 부재.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ral trough tapers toward the bottom of the central trough such that the width dimension of the central trough gradually decreases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영역은, 단면에서 볼 때, 선-대칭인 부분을 포함하는, 밀봉 부재.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ing member, wherein the protruding area includes a portion that is line-symmetric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리지들 및 상기 복수의 제 2 리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단면에서 볼 때, 선-비대칭인 부분을 포함하는, 밀봉 부재.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includes a linearly asymmetric portion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지들 각각에서 중앙으로부터 더 먼 쪽의 경사각은, 상기 중앙에 더 가까운 쪽의 경사각보다 작은, 밀봉 부재.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ing member wherein the inclination angle of each of the second ridges farther from the center i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ide closer to the cen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영역에 인접한 연장 영역을 더 포함하는, 밀봉 부재.
According to claim 1,
A sealing member further comprising an extended area adjacent to the protruding area.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돌출된 영역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밀봉 부재.
According to claim 13,
A sealing member,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nded area extends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the protruding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밀봉 부재의 단면 형상은, 전체적으로 선-비대칭인, 밀봉 부재.
According to claim 1,
A sealing member where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aling member including the protruding area is generally linearly asymmetric.
제 1 커넥터, 상기 제 1 커넥터에 매칭되는 제 2 커넥터, 및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돌출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된 영역은,
상기 제 1 커넥터를 마주하는 제 1 주요 면 상의 복수의 제 1 리지들;
상기 제 2 커넥터를 마주하고 상기 제 1 주요 면에 반대되는 제 2 주요 면 상의 복수의 제 2 리지들; 및
서로 인접한 상기 제 2 리지들 사이에 형성되고,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주요 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트로프;
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복수의 제 1 리지들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제 1 리지는, 단면에서 볼 때, 상기 복수의 제 2 리지들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배치되는, 커넥터 조립체.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first connector, a second connector matched to the first connector, and a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The sealing member includes a protruding area;
The protruding area is,
a plurality of first ridges on a first major side facing the first connector;
a plurality of second ridges on a second major side opposite the first major side facing the second connector; and
a central trough formed between adjacent second ridges and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major fac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Including,
A connector assembly, wherein at least an outermost first ridge of the plurality of first ridges is arranged to be offset relative to the plurality of second ridges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KR1020230129003A 2022-10-04 2023-09-26 Seal member and connector assembly KR2024004731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160369A JP2024053883A (en) 2022-10-04 2022-10-04 Seal member and connector assembly
JPJP-P-2022-160369 2022-10-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311A true KR20240047311A (en) 2024-04-12

Family

ID=8824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9003A KR20240047311A (en) 2022-10-04 2023-09-26 Seal member and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13471A1 (en)
EP (1) EP4350179A1 (en)
JP (1) JP2024053883A (en)
KR (1) KR20240047311A (en)
CN (1) CN11785593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6585A (en) 1996-05-17 1997-11-28 Amp Japan Ltd Seal member for water-proof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8385B2 (en) * 2000-05-11 2003-12-15 住友電装株式会社 Waterproof connector
JP4200930B2 (en) * 2004-04-02 2008-12-24 住友電装株式会社 Sealing member for waterproof connector
JP2015081627A (en) * 2013-10-22 2015-04-27 Nok株式会社 Gasket
EP3629426A1 (en) * 2018-09-27 2020-04-01 Tyco Electronics Japan G.K. Seal member and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6585A (en) 1996-05-17 1997-11-28 Amp Japan Ltd Seal member for water-proof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855930A (en) 2024-04-09
US20240113471A1 (en) 2024-04-04
JP2024053883A (en) 2024-04-16
EP4350179A1 (en) 202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8666B2 (en) Movable connector
US6116938A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US6045383A (en) Sealing member for waterproof connector
US10833443B2 (en) Connector
EP2701238B1 (en) Electric connector
KR20110128121A (en) Connector
JPS62243269A (en) Connector assembly
EP2522054B1 (en) Seal, system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such a seal, methods of assembly and of manufacture
US20160254610A1 (en) Female Terminal Fitting
JP5704031B2 (en) connector
KR20180025187A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JPH10223303A (en) Rubber plug for waterproof connector
JP5729350B2 (en) Waterproof connector
US20140087580A1 (en) Connector
US20180191099A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connector
US10573985B2 (en) Assembly including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and counterpart connector component
JPS62243266A (en) Connector assembly
US20190013594A1 (en) Terminal fitting
KR20240047311A (en) Seal member and connector assembly
JP3304039B2 (en) Seal member for waterproof connector
JP2016212969A (en) connector
JP2022037547A (en) Terminal fitting and chain terminal
JP2019061770A (en) Electric connector and terminal
CN117651820A (en) Sealing gasket
US9742100B2 (en)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