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205A -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experience providing system - Google Patents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experience provid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205A
KR20240044205A KR1020220123697A KR20220123697A KR20240044205A KR 20240044205 A KR20240044205 A KR 20240044205A KR 1020220123697 A KR1020220123697 A KR 1020220123697A KR 20220123697 A KR20220123697 A KR 20220123697A KR 20240044205 A KR20240044205 A KR 20240044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unit
user
content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6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성곤
이지은
Original Assignee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23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205A/en
Publication of KR2024004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205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은, 가상 현실 기반으로 아티스트 공연의 실감 체험을 제공하는 공연 실감 유닛; 및 상기 공연 실감 유닛에 제공되는 공연 콘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하며, 상기 공연 실감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공연 실감 유닛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공연 상품을 제공하거나 사용자 맞춤형 공연 상품을 추천하며, 사용자 선택 공연 상품 및 사용자 맞춤형 추천 공연 상품은 아티스트의 실제 공연 콘텐츠 또는 아티스트의 실제 공연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창작 공연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A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immersiv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rformance immersive unit that provides a realistic experience of an artist's performance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an operation server that stores and executes performance content provided to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mmersive performance unit, wherein the operation server provides a performanc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immersive performance unit. User-customized performance products are recommended, and the user-selected performance products and user-customized recommended performance products may include the artist's actual performance content or creative performance content based on the artist's actual performance content.

Description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EXPERIENCE PROVIDING SYSTEM}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EXPERIENCE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공연 현장에 가지 않더라도 가정 등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다양한 공연을 가상 현실 내에서 체험해 볼 수 있는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immersion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a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immersion system that allows users to experience various performances of their favorite artists in virtual reality at home, etc., even without going to the performance site. It's about the delivery system.

기존의 뮤지컬, 가요 콘서트 등 공연장에서 진행되는 공연은 관람자가 해당 공연 현장에 직접 방문하여 객석에서 관람하게 되나, 직접 현장을 방문하는 것은 장소, 시간 등의 여건이 만족하지 않아 참여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For performances held at performance halls, such as existing musicals and music concerts, the audience visits the performance site in person and watches it from the audience, but visiting the site in person has the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participate because conditions such as location and time are not satisfactory. .

이에, TV 생중계 또는 인터넷 방송 등을 통해 시청하는 시청자들이 상당수 있으나, 이러한 TV 시청 방식은 실제 현장에 참여한다는 느낌을 받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Accordingly, there are a significant number of viewers who watch through live TV broadcasts or Internet broadcasts, but this method of watching TV is insufficient to give the feeling of actually participating in the event.

최근, 전자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따라 TV, 모니터 등을 통한 평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시청자가 직접 두부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한 형태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또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Head Mounted Device; HMD)가 제안되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display technology, head-mounted displays or head-mounted devices (head-mounted displays), a type of wearable device that viewers wear directly on the head, are being introduced in addition to providing two-dimensional information through TVs, monitors, etc. Head Mounted Device (HMD) was proposed.

안경처럼 머리에 쓰고 대형 영상을 즐길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이하 "HMD"라 함) 기기가 보급화됨에 따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이하 "VR"이라 함) 영상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HMD 기기는 마치 실제 주변 환경과 상호 작용을 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는 VR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head mounted display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MD”) devices, which are video display devices that can be worn on the head like glasses and enjoy large images, become widespread, virtual real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VR”) images are available. Interest in it is also increasing. HMD devices can provide users with VR images that make them feel as if they are interacting with the real surrounding environment.

가상현실은 가상 세계 또는 현실 세계의 객체나 배경 등을 컴퓨터를 사용해서 인공적으로 구현해 놓은 인공 세계 또는 그러한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런 가상현실 기술은 가상의 세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컴퓨터에 의해 만들어진 가상의 공간이나 환경에서 사용자가 몰입하게 된다.Virtual reality refers to an artificial world or such technology that artificially implements objects or backgrounds of the virtual world or the real world using a computer. This virtual reality technology provides a virtual world to the user and creates a virtual world created by a computer. Users become immersed in the space or environment.

이러한 가상현실 영상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시점이 변화하여 다양한 시점의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게임, 교육, 의료, 영상, 방송, 광고,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Using these virtual reality images, the viewpoint changes depending on the user's movement, allowing images from various viewpoints to be provided. Attempts to utilize these characteristics and apply them to various fields such as games, education, medical care, video, broadcasting, advertising, and manufacturing are actively underway.

그런데, 최근에는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서 사람들이 쉽게 공연장에 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아티스트들도 공연할 수 없는 상황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가상 현실 콘텐츠를 통해서 아티스트의 공연을 보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However, recently, due to the COVID-19 incident, not only are people unable to easily go to concert halls, but artists are also unable to perform. Accordingly, people are attempting to watch artists' performances through virtual reality content.

그러나, 현재 소개되고 있는 대부분의 가상 현실 기술들은 실제 공연을 단순히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보여 주는 한계가 있다.However, most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currently being introduced have the limitation of simply showing actual performances as virtual reality images.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The present applicant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한국등록특허 제10-2042159호 (등록일자 2019.11.01.)Korean Patent No. 10-2042159 (registration date 2019.11.01.)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0550호 (공개일자 2009.01.08.)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00550 (publication date 2009.01.08.)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36160호 (공개일자 2016.11.2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36160 (publication date 2016.11.29.)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31220호 (공개일자 2019.03.25.)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31220 (publication date 2019.03.25.) 한국등록특허 제10-0921452호 (등록일자 2009.10.06.)Korean Patent No. 10-0921452 (registration date 2009.10.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가상현실 기술을 도입하여 실제 공연 뿐만 아니라 활동하고 있지 않은 아티스트 또는 고인이 된 아티스트의 공연도 실감하는 체험을 해 볼 수 있는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introduc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it is a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that allows you to experience not only actual performances but also performances by inactive or deceased artists. Provides a realistic experience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아티스트 또는 공연 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유사한 사용 이력 또는 선호도를 가지는 다른 많은 사용자들이 어떠한 공연을 가상 체험했는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선호할 가능성이 큰 공연도 추천하는 것이 가능한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irtual reality-based system that can recommend not only the artist or performance directly selected by the user, but also the performance that the user is likely to prefer by analyzing which performances have been virtually experienced by many other users with similar usage history or preferences as the user. Provides a system that provides realistic performance experience.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은, 가상 현실 기반으로 아티스트 공연의 실감 체험을 제공하는 공연 실감 유닛; 및 상기 공연 실감 유닛에 제공되는 공연 콘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하며, 상기 공연 실감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공연 실감 유닛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공연 상품을 제공하거나 사용자 맞춤형 공연 상품을 추천하며, 사용자 선택 공연 상품 및 사용자 맞춤형 추천 공연 상품은 아티스트의 실제 공연 콘텐츠 또는 아티스트의 실제 공연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창작 공연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A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immers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cludes a performance immersion unit that provides a realistic experience of an artist's performance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an operation server that stores and executes performance content provided to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mmersive performance unit, wherein the operation server provides a performanc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immersive performance unit. User-customized performance products are recommended, and the user-selected performance products and user-customized recommended performance products may include the artist's actual performance content or creative performance content based on the artist's actual performance content.

상기 운영 서버는, 사용자가 실감 체험을 희망하는 공연의 장르 또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장르선택부; 사용자가 실감 체험을 희망하는 아티스트를 선택하는 아티스트선택부; 사용자가 실감 체험을 희망하는 공연의 형태를 선택하는 공연포맷선택부; 및 상기 장르선택부, 상기 아티스트선택부 및 상기 공연포맷선택부의 선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공연 콘텐츠를 생성하는 상품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품생성부는 상기 장르선택부, 상기 아티스트선택부 및 상기 공연포맷선택부에서 영상 콘텐츠, 3D 콘텐츠 및 음향 콘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실감 체험을 희망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The operation server includes a genre selection unit that selects a genre or category of a performance for which the user wishes to experience a realistic experience; An artist selection unit where the user selects an artist for whom he or she wishes to experience an immersive experience; A performance format selection unit that selects the type of performance for which the user wishes to experience a realistic experience; And a product creation unit that generates performance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using the selection results of the genre selection unit, the artist selection unit, and the performance format selection unit, wherein the product creation unit includes the genre selection unit and the artist selection. By extracting video content, 3D content, and sound content from the performance format selection unit and the performance format selection unit, a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that the user wishes to experience can be created.

상기 아티스트선택부는, 활동 중인 아티스트, 활동을 중단하거나 해체된 아티스트 또는 고인이 된 아티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The artist selection unit may select at least one of an active artist, an inactive or disbanded artist, or a deceased artist.

상기 운영 서버는, 사용자가 상기 공연 실감 유닛을 사용한 이력 데이터 및 사용자 개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는 이력관리부; 사용자를 제외한 타 사용자의 상기 공연 실감 유닛에 대한 사용 데이터 및 개인 고유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빅데이터부; 및 상기 이력관리부 및 상기 빅데이터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추천하는 상품추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품추천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상품생성부에서 생성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반영된 사용자의 선호 데이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성향을 가지는 타 사용자의 사용 데이터 및 개인 고유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매칭되는 맞춤형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추천하되 상기 상품생성부에서 생성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는 추천하지 않을 수 있다.The operation server includes a history management unit that stores and analyzes user personal data and history data of the user's use of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a big data unit that stores and manages usage data and personal unique data for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of users other than the user; And a product recommendation unit that recommends a user-customized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using data from the history management unit and the big data unit, wherein the product recommendation unit includes a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product generated in the product creation uni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By analyzing the usage data and personal unique data of other users with the same or similar tendencies as the user's preference data reflected in the performance content, we recommend customized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that match the user, but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product created in the product creation unit Compared to performance content,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that are identical or similar may not be recommended.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상품생성부에서 생성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 상기 상품추천부에서 추천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리뷰 또는 피드백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피드백부; 및 상기 피드백부, 상기 이력관리부 또는 상기 빅데이터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기획하고 판매를 유도하는 상품기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server includes a feedback unit that stores and manages user reviews or feedback data on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generated by the product creation unit and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recommended by the product recommendation unit; and a product planning unit that uses data stored in the feedback unit, the history management unit, or the big data unit to plan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expected to be highly preferred by users and induce sales.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개발하고 판매하는 상품 판매자에게 마련되는 판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판매 서버는, 상기 상품기획부에서 제시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매칭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개발하여 상기 운영 서버에 제공하는 상품판매부; 상기 피드백부에서 받은 리뷰 또는 피드백 데이터를 상기 상품판매부의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반영하는 피드백적용부; 및 상기 피드백적용부에 의해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반영된 리뷰 또는 피드백 데이터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구매 포인트를 제공하거나 해당 사용자가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구매하는 경우 리워드를 포함한 보상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프로모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It includes a sales server provided to a product seller who develops and sells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and the sales server develops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matching the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presented by the product planning department and operates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Product sales department provided to the server; a feedback application unit that reflects reviews or feedback data received from the feedback unit to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of the product sales department; And providing purchase points to users who provide reviews or feedback data reflected in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by the feedback application department, or providing compensation services including rewards to users when the user purchases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It may include a promotion department.

상기 판매 서버는, 상기 상품판매부에 의해 상기 공연 실감 유닛에 제공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관련된 아티스트 또는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관리하는 저작권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ales server may include a copyright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copyrights for artists or works related to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provided to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by the product sales unit.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직접 공연장에 가지 않아도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공연을 가상 현실에서 체험해 볼 수 있어서 실제로 공연장에 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Through the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s can experience the performance of their favorite artist in virtual reality without having to go to the performance hall in person, allowing them to feel as if they are actually at the performance hall.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은 현재 활동하고 있는 아티스트 뿐만 아니라 해체되어 활동하지 않고 있거나 고인이 된 아티스트의 공연도 가상 현실에서 체험해 볼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users to experience performances not only by currently active artists but also by disbanded, inactive, or deceased artists in virtual reality.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을 통해서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아티스트 또는 공연에 대한 상품을 기획하고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entertainment industry because it is possible to plan and sell products for artists or performances highly preferred by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 중 공연 실감 유닛의 구성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 중 운영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 중 공연 실감 유닛, 운영 서버 및 판매 서버의 구성 중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realistic performance experience based on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of a performance immersion unit in the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immers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FIG. 1.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server in the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FIG. 1.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important components of a performance immersion unit, an operation server, and a sales server in the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immers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FIG. 1.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ut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are within the scope of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 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implemented below are provided in each system function configuration 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techn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or system functions commonly provid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whenever possible, and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must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f a person has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e or she will be able to eas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conventionally used components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not shown and omitted below, as well as the omitted configurations as described above. The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s and compon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ransmission", "communication", "transmission", "reception" and other similar terms of signals or information refer to the direct transmission of signals or inform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component. In addition, it also includes those transmitted through other components. In particular, “transmitting” or “transmitting” a signal or information as a component indicates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signal or information and does not mean the direct destination. This is the same for “receiving” signals or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 중 공연 실감 유닛의 구성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 중 운영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 중 공연 실감 유닛, 운영 서버 및 판매 서버의 구성 중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immers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of a performance immersion unit in the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immers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FIG. 1. ,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server in the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immersiv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FIG. 1, and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operating server, and sales server among the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immersiv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FIG. 1. This is a drawing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structure.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영상 내지 기술을 이용한 시스템으로서, 가상 현실 영상의 제공 내지 구현 등은 공지의 가상 현실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s a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VR) images or technology, and the provision or implementation of virtual reality images is known in the art. Virtual reality technology can be us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10, 이하 '실감 제공 시스템'이라 함)은, 가상 현실 기반으로 아티스트 공연의 실감 체험을 제공하는 공연 실감 유닛(100); 및 공연 실감 유닛(100)에 제공되는 공연 콘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하며, 공연 실감 유닛(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영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immersion providing system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alism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formance immersion unit that provides a realistic experience of an artist's performance based on virtual reality. (100); and an operation server 200 that stores and executes performance content provided to the realistic performance unit 1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alistic performance unit 100.

여기서, 운영 서버(200)는 공연 실감 유닛(100)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공연 상품을 제공하거나 사용자 맞춤형 공연 상품을 추천하며, 사용자 선택 공연 상품 및 사용자 맞춤형 추천 공연 상품은 아티스트의 실제 공연 콘텐츠 또는 아티스트의 실제 공연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창작 공연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peration server 200 provides performance products selected by the user or recommends user-customized performance products through the performance immersion unit 100, and the user-selected performance products and user-customized recommended performance products are the actual performance content of the artist or the artist. It may include creative performance content based on actual performance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가 가상 현실 내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 또는 공연을 선택해서 실제 공연을 보는 듯한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은 실제 공연을 기반으로 하되 사용자가 좋아하는 아티스트, 장르 또는 공연 형태 등에 대한 사전 사용자 선호도를 조사하고 이와 유사한 성향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의 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의 공연 체험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reality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xperience as if a user is watching a real performance by selecting his or her favorite artist or performance in virtual reality. In addition, the realistic experienc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ctual performances, but investigates the user's prior user preferences for the user's favorite artist, genre, or performance type, and determines the preferences of other users with similar tendencies. By analyzing data, virtual reality performance experience content can be provided to user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은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기획, 개발 및 판매하는 상품 판매자에게 마련되는 판매 서버(300,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alistic experience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ales server 300 (see FIG. 4) provided to a product seller who plans, develops, and sells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운영 서버(200) 및 판매 서버(300)는 컴퓨터 또는 단말기의 형태로 마련되며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server 200 and sales server 300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mputer or terminal and may include a moni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의 공연 실감 유닛(100), 운영 서버(200) 및 판매 서버(300)는 각각 무선 네트워크(무선정보통신망)를 통해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the sales server 300 of the immersive experienc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ach be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wireles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

여기서, 공연 실감 유닛(100)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여러 대의 공연 실감 유닛(100)이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 서버(200) 및 판매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로 마련된 공연 실감 유닛(100)을 통해서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운영 서버(200) 및 판매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공연 상품 또는 동일한 공연 콘텐츠를 동시에 실감 체험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a plurality of performance immersive units 100 may be provided. That is, multiple performance immersive unit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the sales server 300 through a network. Through the plurality of performance immersive units 100, multiple users can not only access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the sales server 300 at the same time, but can also realistically experience the same performance product or the same performance content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공연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체험을 제공하거나 실제 공연을 기초로 창작된 가상의 공연의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The realistic sensation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can provide users with an experience of at least a portion of an actual performance or an experience of a virtual performance created based on an actual performance. there is.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공연 실감 유닛(100)은 사용자가 자신의 머리에 착용하는 HMD 기기(110), 사용자가 손에 쥐고 작동시키는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 및 사용자 단말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 the performance immersion unit 100 includes an HMD device 110 that the user wears on his or her head, a hand motion controller 120 that the user holds in his hand and operates, and a user terminal 130. can do.

HMD 기기(110)는 안경처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기기로서, 기기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에 가상 현실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HMD 기기(120)는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기기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헤어 밴드와 유사한 형태의 장치(미도시)에 장착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HMD device 110 is a device worn on the user's head like glasses, and a virtual reality image can b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provided inside the device. The HMD device 120 may be implemented not only as a device of the type shown in FIG. 2 but also as a smartphone mounted on a device (not shown) similar to a hair band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head.

사용자는 머리에 HMD 기기(110)를 착용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를 손으로 잡을 수도 있다. HMD 기기(110)와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는 하나의 세트로 마련될 수 있다.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는 사용자가 양손에 각각 하나씩 잡을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ser may hold the hand motion controller 120 shown in FIG. 2 with his hand while wearing the HMD device 110 on his head. The HMD device 110 and the hand motion controller 120 may be provided as one set. The hand motion controllers 120 are preferably provided in pairs so that the user can hold one in each hand.

HMD 기기(110)를 통해 보여지는 가상 현실 영상에 사용자가 손에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를 잡고 있는 모습이 보여 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를 이용해서 HMD 기기(110) 또는 모니터(140)에 디스플레이 되는 공연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각종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Since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through the HMD device 110 shows the user holding the hand motion controller 120 in his hand, the user uses the hand motion controller 120 to control the HMD device 110 or the monitor ( 140), you can select the performance content displayed or select various menus.

도 2를 참조하면,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 잡을 수 있는 파지부(미도시), 손가락으로 작동하는 조이스틱 형태의 이동기능레버(미도시), 손가락으로 눌러서 작동하는 시점조정버튼(미도시), 손가락으로 당겨서 작동하는 트리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hand motion controller 120 includes a gripper (not shown) that the user can grasp with his or her hand, a joystick-type movement function lever (not shown) operated by the finger, and a point of view adjustment operated by pressing with the finger. It may include a button (not shown) and a trigger (not shown) that is operated by pulling with a finger.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한 HMD 기기(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3D 가상 현실 영상에 나타나는 각종 메뉴 또는 콘텐츠를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hand motion controller 120 can be used to select various menus or content that appear in a 3D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110 worn on the user's head.

또한, 공연 실감 유닛(100)은 공연 콘텐츠에 관한 가상 현실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모니터(140), 사용자가 공연 콘텐츠에 포함된 음향 또는 자신의 음성을 듣고 사용자의 음성을 가상 현실 영상에 추가하는 헤드셋(15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includes a monitor 140 on which a virtual reality image related to the performance content is displayed, a headset ( 150) may be included.

사용자는 헤드셋(150)을 통해서 아티스트 또는 공연시 송출되는 음향을 들으면서 가상 현실에 더 몰입될 수 있고 공연에 심취하거나 즐거운 상태에서 사용자가 뱉는 말이나 소리 등도 헤드셋(150)을 통해 가상 현실 영상에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공연 콘텐츠를 보면서 하는 말이나 고함 등은 헤드셋(150)을 통해서 운영 서버(200)로 전달되고 운영 서버(200)는 후술하는 사운드 안내부(297)에 의해서 헤드셋(150)으로 입력된 사용자의 음향을 문자로 변환하여 HMD 기기(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내뱉은 말이나 고함을 가상 현실 영상에서 문자 등으로 표시되는 것을 보면서 실제 공연과는 또 다른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The user can become more immersed in virtual reality by listening to the sound transmitted by the artist or during the performance through the headset 150, and the words or sounds made by the user while immersed in the performance or in a happy state are also expressed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through the headset 150. It can be. For example, the user's words or shouts while watching the performance content ar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00 through the headset 150, and the operation server 200 operates the headset 150 by the sound guide 29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ser's sound input can be converted into text and displayed on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110. Therefore, the user can experience a different pleasure from the actual performance by seeing his or her words or shouts displayed as text in the virtual reality video.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연 실감 유닛(100)은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스탠딩하는 액팅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액팅 모듈(160)에 단순히 서 있을 뿐만 아니라 공연장의 스탠딩 좌석에 있는 것처럼 뛰거나 공연을 즐기는 행동을 할 수도 있다. Additionally, as shown in FIG. 4,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may include an acting module 160 in which the user sits or stands. The user can not only simply stand in the acting module 160, but also run or enjoy the performance as if he were in a standing seat at a performance hall.

공연 실감 유닛(100)은 액팅 모듈(160)에 있는 사용자의 움직임 즉 액팅을 감지하는 액팅 감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액팅 감지부(170)는 액팅 모듈(160)에 앉거나 서 있는 사용자가 공연에 반응하여 몸을 움직이는지, 어느 정도로 과격하게 움직이는지 등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는 통신부(101)를 통해 운영 서버(200)의 이력관리부(240)로 전달될 수 있다.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may include an acting detection unit 170 that detects the user's movement, that is, acting, in the acting module 160. The acting detection unit 170 detects whether the user sitting or standing in the acting module 160 moves his or her body in response to the performance and to what extent the user moves violently, and the detection result is sent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1.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40 of (200).

운영 서버(200)는 액팅 감지부(170)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가상 현실 영상으로 플레이 되는 공연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또는 만족도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즐겁게 몸을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플레이 되는 공연 콘텐츠를 좋아하거나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력관리부(240)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저장하거나 빅데이터부(250)에 전송하여, 사용자의 개별 취향을 판단하거나 사용자에게 맞춤형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추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The operation server 200 may use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ction detection unit 170 to determine the user's preference or satisfaction with performance content played as a virtual reality video.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moving his or her body happily,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likes or is satisfied with the performance content being played.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40 can store the analysis results or transmit them to the big data unit 250 and use them to determine the user's individual tastes or to recommend customized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to the user.

또한, 공연 실감 유닛(100)은 부가기능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기능부(180)는 가상 현실 영상에서 플레이 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날씨 효과, 무대 특수 효과 등을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가 한여름 밤에 물놀이와 함께 펼쳐지는 경우, 부가기능부(180)는 HMD 기기(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어둡게 하여 밤과 같은 상황이 되게 하거나, 물방울을 분사하여 사용자가 최대한 실제 공연에 있는 듯한 느낌을 가지게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may include an additional function unit 180. The additional function unit 180 can add weather effects, stage special effects, etc. to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played in a virtual reality video. For example, when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is unfolded along with water play on a midsummer night, the additional function unit 180 darkens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110 to create a night-like situation. Alternatively, you can spray water droplets to make users feel as if they are at a real performance as much as possible.

부가기능부(180)는 운영 서버(200)의 이력관리부(240) 또는 빅데이터부(250)와 연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공연 상품이나 공연 콘텐츠 또는 운영 서버(200)가 추천하는 공연 상품이나 공연 콘텐츠에 따른 각종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additional function unit 180 is connected to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40 or the big data unit 250 of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performs a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or a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recommended by the operation server 200.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can be provided accordingly.

부가기능부(180)는 운영 서버(200)의 제어부(210)에 의해서 그 작동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가 부가기능부(180)의 작동을 직접 선택해서 자신이 원하는 공연 상황을 만들 수도 있고, 사용자가 부가기능부(180)의 작동을 선택하지 않아도 운영 서버(200)에 의해서 사용자 맞춤형으로 부가기능부(180)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The operating state of the additional function unit 18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10 of the operation server 200. The user can directly select the operation of the additional function unit 180 to create a performance situation desired by the user, and even if the user does not select the operation of the additional function unit 180, the operation server 200 provides additional functions customized to the user. Unit 180 may also be operated.

액팅 감지부(170) 및 부가기능부(180)는 사용자의 머리 위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ction detection unit 170 and the additional function unit 180 are preferably positioned above the user's head.

공연 실감 유닛(100)은 통신부(101)를 통해서 운영 서버(200) 또는 판매 서버(300)와 통신하거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1)를 통해서 운영 서버(200) 또는 판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130)와 통신하거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30)는 데스크톱 형태의 단말기, 노트북 형태의 단말기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형태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may communicate or exchange data with the operation server 200 or the sales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1. In addi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1, the operation server 200 or the sales server 300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30 or exchange data. The user terminal 130 may include a smartphone-type terminal as well as a desktop-type terminal and a laptop-type terminal.

공연 실감 유닛(100)의 모니터(140)는 사용자가 착용한 HMD 기기(110)와 마찬가지로, 액팅 모듈(160)에서 움직이는 사용자가 반영된 가상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모니터(140)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는 모니터(140)를 터치하여 다양한 실감 체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The monitor 140 of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can display a virtual reality image reflecting the user moving in the acting module 160, similar to the HMD device 110 worn by the user. The monitor 14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and the user can select various realistic experience menus by touching the monitor 140.

공연 실감 유닛(100)의 사용자 단말기(130)는 통신부(101, 도 4 참조)를 이용하거나 직접 공연 실감 유닛(100)의 작동 이력 데이터를 운영 서버(200)로 무선 전송하고, 운영 서버(200)로부터 가상 현실 영상 또는 공연 콘텐츠를 전달 받아 HMD 기기(110) 또는 모니터(140)에 전송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30 of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wirelessly transmits the operation history data of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to the operation server 200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101 (see FIG. 4) or directly. ) can receive virtual reality video or performance content and transmit it to the HMD device 110 or monitor 140.

상기한 바와 같이, 공연 실감 유닛(100)의 모니터(140)에는 사용자가 착용한 HMD 기기(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공연 실감 체험에 대한 가상 현실 영상과 액팅 모듈(160)에서 움직이고 있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nitor 140 of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displays a virtual reality image of the immersive performance experience displayed through the HMD device 110 worn by the user and the user moving in the acting module 160. It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에 있어서 공연 실감 유닛(100)은 가상 현실 체험을 위한 하드웨어적인 구성요소이며, 공연 실감 유닛(100)의 HMD 기기(110) 또는 모니터(14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 공연 실감 유닛(100)의 작동과 관련된 데이터는 운영 서버(200) 및 판매 서버(300)에서 제공될 수 있다.In the reality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mance experience unit 100 is a hardware component for virtual reality experience, and the HMD device 110 or monitor 140 of the performance experience unit 100 )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in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may be provided from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the sales server 300.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의 운영 서버(200)는, 제어부(210), 장르선택부(221), 아티스트선택부(223), 공연포맷선택부(235), 상품생성부(230), 이력관리부(240), 빅데이터부(250), 상품추천부(260), 피드백부(270), 상품기획부(280), 통신부(291), 그래픽 랜더링 엔진(293), 핸드 모션 엔진(295), 사운드안내부(297), 부가서비스부(298), 표시부(299)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server 200 of the realistic experience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210, a genre selection unit 221, an artist selection unit 223, and a performance format selection. Department (235), product creation department (230), history management department (240), big data department (250), product recommendation department (260), feedback department (270), product planning department (280), communication department (291), graphics It may include a rendering engine 293, a hand motion engine 295, a sound guide unit 297, an additional service unit 298, and a display unit 299.

여기서, 제어부(210)는 운영 서버(200)의 각종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고 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0)는 운영 서버(200)의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통제하고 조율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제어부(210)는 공연 실감 유닛(100)의 작동도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21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various components of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enable collaboration. That is, the control unit 210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and coordinates th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operation server 200.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210 may als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의 운영 서버(200)는 통신부(291)를 구비함으로써 공연 실감 유닛(100)의 사용자 단말기(13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HMD 기기(110)와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operating server 200 of the realistic performanc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291, so that it can exchange data with the user terminal 130 of the performance realistic unit 100 and HMD device ( 110) and the operation of the hand motion controller 120 can be controlled.

운영 서버(200)의 통신부(291)는 공연 실감 유닛(100)의 사용자 단말기(130), HMD 기기(110) 및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와 무선 통신으로 실감 체험 관련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운영 서버(200)는 통신부(291)를 통해 가상 현실 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그래픽 이미지를 HMD 기기(110) 또는 모니터(140)에 전달할 수 있고,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의 움직임이 통신부(291)를 통해 운영 서버(200)에 전달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HMD 기기(110)와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가 직접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91 of the operation server 200 can exchange data related to realistic experience with the user terminal 130, HMD device 110, and hand motion controller 120 of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operation server 200 can transmit graphic images necessary for implementing a virtual reality image to the HMD device 110 or the monitor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91, and the movement of the hand motion controller 120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91. It can be delivered to the operation server 200 through . In some cases, the HMD device 110 and the hand motion controller 120 may exchange data directl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운영 서버(200)의 통신부(291)는 판매 서버(300)의 통신부(360)와도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291 of the operation server 200 can also exchange data with the communication unit 360 of the sales server 300.

통신부(291,360)는 공지의 각종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s 291 and 360 can send and receive data using various known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운영 서버(200)의 그래픽 랜더링 엔진(293)은 HMD 기기(110) 또는 모니터(14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하는 엔진이다. 이력관리부(240)에 의해서 공연 콘텐츠의 수정 또는 업데이트 요청이 있으면, 제어부(210)는 그래픽 랜더링 엔진(293)에 명령하여 HMD 기기(110) 또는 모니터(14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수정하거나 업데이트 할 수 있다.The graphic rendering engine 293 of the operation server 200 is an engine that generates a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110 or the monitor 140. If there is a request for modification or update of performance content by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40, the control unit 210 commands the graphic rendering engine 293 to modify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110 or monitor 140 or It can be updated.

또한, 장르선택부(221), 아티스트선택부(223), 공연포맷선택부(235) 또는 부가서비스부(298)의 선택 결과에 따라 제어부(210)는 선택된 값에 관한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하거나 선택 결과에 맞는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하도록 그래픽 랜더링 엔진(293)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result of the genre selection unit 221, artist selection unit 223, performance format selection unit 235, or additional service unit 298, the control unit 210 generates a virtual reality image related to the selected value or A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graphic rendering engine 293 to generate a virtual reality image that matches the selection result.

핸드 모션 엔진(295)은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를 잡고 있는 모양 또는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를 움직여서 수신호를 하는 상태를 HMD 기기(110) 또는 모니터(14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표현할 수 있다.The hand motion engine 295 uses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hand motion controller 120 to display the state of the user holding the hand motion controller 120 with his hand or making a hand signal by moving the hand motion controller 120 on the HMD device ( 110) or can be expressed in a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140.

운영 서버(200)는 HMD 기기(110) 또는 모니터(14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 내에서 사용자가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하거나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로 선택해야 하는 항목 또는 장비를 지시하는 화살표를 표시하는 표시부(299)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표시부(299)는 사용자가 실감 체험 중에 실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 표시 등을 HMD 기기(110) 또는 모니터(14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표현할 수 있다. The operation server 200 displays arrows indicating items or equipment that the user must check or select with the hand motion controller 120 within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110 or monitor 140. 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299. That is, the display unit 299 can display guidance signs to prevent the user from making mistakes during the realistic experience, etc., on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110 or the monitor 140.

제어부(210)는 피드백부(270)의 피드백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부(299)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상관없이 제어부(210)가 자동으로 표시부(299)의 기능을 온/오프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10 can selectively turn on/off the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299 using feedback data from the feedback unit 270. That is, the control unit 210 can automatically turn on/off the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299 regardless of the user's selection.

운영 서버(200)는, 사용자에게 공연 실감 유닛(100)의 이용 절차, 이용 방법 또는 공연 콘텐츠 내용 등을 설명하는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사운드안내부(29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안내부(297)는 공연 실감 체험과 관련된 메시지를 송출할 뿐만 아니라, 공연 실감 체험 과정에서 실제 발생하는 주변 소음(소리) 등을 송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운드안내부(297)는 공연 실감 유닛(100)의 부가기능부(180)와 연계하여 작동할 수 있다. The operation server 200 may include a sound guide unit 297 that outputs a guidance voice explaining the use procedure, method of use, or performance content contents to the user. The sound information unit 297 not only transmits messages related to the realistic performance experience, but can also transmit ambient noise (sound) that is actually generated during the realistic performance experience. To this end, the sound guide unit 297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additional function unit 180 of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의 운영 서버(200)는, 사용자가 실감 체험을 희망하는 공연의 장르 또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장르선택부(221); 사용자가 실감 체험을 희망하는 아티스트를 선택하는 아티스트선택부(223); 사용자가 실감 체험을 희망하는 공연의 형태를 선택하는 공연포맷선택부(225); 및 장르선택부(221), 아티스트선택부(223) 및 공연포맷선택부(225)의 선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공연 콘텐츠를 생성하는 상품생성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ng server 200 of the realistic experience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enre selection unit 221 that selects a genre or category of a performance for which the user wishes to experience a realistic experience; An artist selection unit 223 where the user selects an artist for whom he or she wishes to experience an immersive experience; A performance format selection unit 225 that selects the type of performance for which the user wishes to experience a realistic experience; and a product creation unit 230 that generates performance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using the selection results of the genre selection unit 221, the artist selection unit 223, and the performance format selection unit 225.

여기서, 상품생성부(230)는 장르선택부(221), 아티스트선택부(223) 및 공연포맷선택부(225)에서 영상 콘텐츠, 3D 콘텐츠 및 음향 콘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실감 체험을 희망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product creation unit 230 extracts video content, 3D content, and sound content from the genre selection unit 221, artist selection unit 223, and performance format selection unit 225 to select a performance for which the user wishes to experience a realistic experience. You can creat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장르선택부(221)를 통해서 사용자는 가상 체험을 희망하는 공연의 장르 내지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서트, 연극, 뮤지컬, 공개방송, 디너쇼 등 공연의 장르 내지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Through the genre selection unit 221, the user can select the genre or category of the performance for which he or she wishes to experience virtually. For example, you can select a genre or category of performance, such as a concert, play, musical, public broadcast, or dinner show.

장르선택부(221)는 HMD 기기(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3D 문자열 이미지로 선택 메뉴를 표현하거나 그래픽 이미지로 선택 메뉴를 표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 또는 모니터(140)의 터치를 통해서 장르선택부(221)에서 표시되는 공연의 장르 또는 카테고리 중 원하는 것을 선택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The genre selection unit 221 can express a selection menu as a 3D character string image or a graphic image in a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110.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genre or category of the performance displayed in the genre selection unit 221 by touching the hand motion controller 120 or the monitor 140 and proceed to the next step.

또한, 사용자는 아티스트선택부(223)를 통해서 선택한 공연 장르에서 어떤 아티스트의 공연을 실감하기를 원하는지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장르선택부(221)를 통해서 콘서트를 선택한 경우, 누구의 콘서트를 가상 체험하고 싶은지 선택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ser can select which artist's performance he or she wishes to experience in the selected performance genre through the artist selection unit 223. For example, when a user selects a concert through the genre selection unit 221, he or she can select whose concert he or she wants to virtually experience.

이때, 사용자는 아티스트선택부(223)를 통해서, 현재 활동 중인 아티스트 뿐만 아니라 현재 활동을 중단하거나 해체된 아티스트 또는 고인이 된 아티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rough the artist selection unit 223, the user can select at least one of not only the currently active artist, but also an artist who is currently inactive, disbanded, or a deceased arti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은 현재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아티스트, 인기가 있는 공연에 대한 가상 체험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실황 공연을 볼 수 없는 아티스트의 공연에 대한 가상 체험도 제공한다.The realistic experienc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ot only a virtual experience of currently active artists and popular performances, but also a virtual experience of performances by artists whose live performances cannot be seen in reality. do.

아티스트선택부(223)는 HMD 기기(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3D 문자열 이미지로 체험의 내용에 대한 선택 메뉴를 표현하거나 그래픽 이미지로 선택 메뉴를 표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 또는 모니터(140)의 터치를 이용해서 아티스트선택부(223)에서 표시되는 아티스트 중 원하는 아티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The artist selection unit 223 may express a selection menu for the contents of the experience as a 3D string image on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110 or may express the selection menu as a graphic image.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artist from among the artists displayed in the artist selection unit 223 using the hand motion controller 120 or the touch of the monitor 140.

또한, 사용자는 헤드셋(150)을 통해 말로 공연 장르를 선택하거나 아티스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헤드셋(150)을 통해 입으로 장르 또는 아티스트를 말하는 경우, 장르선택부(221) 또는 아티스트선택부(22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터가 있으면 선택하지만, 일치하는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운영 서버(200)는 이력관리부(240) 또는 빅데이터부(25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말로 선택한 장르 또는 아티스트와 유사한 장르 또는 아티스트를 추천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user may select a performance genre or artist verbally through the headset 150. When the user speaks a genre or artist through the headset 150, the data is compared with the data stored in the genre selection unit 221 or the artist selection unit 223 and selected if matching data is found. If there is none, the operation server 200 may use data from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40 or the big data unit 250 to recommend a genre or artist similar to the genre or artist verbally selected by the user.

사용자는 공연포맷선택부(225)를 통해서, 가상 체험하고자 하는 공연의 형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르선택부(221)에서 콘서트가 선택되고 아티스트선택부(223)에서 선택된 콘서트의 주인공인 아티스트가 선택된 경우, 공연포맷선택부(225)를 통해서 대극장 콘서트, 소극장 콘서트, 팬미팅, 방송 공연 등과 같은 공연 형식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 무대 효과, 조명 또는 장식이 화려한 대극장 콘서트를 선호할 수도 있고, 아티스트와의 물리적 거리가 가까워 친밀감을 느낄 수 있는 소극장 콘서트를 선호할 수도 있다. The user can select the format of the performance he or she wants to virtually experience through the performance format selection unit 225. For example, when a concert is selected in the genre selection unit 221 and the artist who is the main character of the selected concert is selected in the artist selection unit 223, a large theater concert, a small theater concert, a fan meeting, You can choose a performance format such as a broadcast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user, they may prefer a large theater concert with fancy stage effects, lighting, or decorations, or they may prefer a small theater concert where the physical distance from the artist is close and a sense of intimacy can be felt.

공연포맷선택부(225)를 통해서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공연의 형식 또는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Through the performance format selection unit 225, the user can select the form or format of the performance he or she prefers.

공연포맷선택부(225)는 HMD 기기(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3D 문자열 이미지로 체험의 내용에 대한 선택 메뉴를 표현하거나 그래픽 이미지로 선택 메뉴를 표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드 모션 컨트롤러(120) 또는 모니터(140)의 터치를 이용해서 공연포맷선택부(225)에서 표시되는 공연 포맷 중 원하는 포맷을 선택할 수 있다.The performance format selection unit 225 may express a selection menu for the contents of the experience as a 3D string image on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110 or may express the selection menu as a graphic image.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format among the performance formats displayed in the performance format selection unit 225 using the hand motion controller 120 or the touch of the monitor 140.

상품생성부(230)는 장르선택부(221), 아티스트선택부(223) 및 공연포맷선택부(225)의 선택 결과를 이용하거나 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품생성부(230)는 사용자가 가상 체험을 원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제시할 수 있다.The product creation unit 230 may generate a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desired by the user by using or combining the selection results of the genre selection unit 221, the artist selection unit 223, and the performance format selection unit 225. That is, the product creation unit 230 can present a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for which the user wants to experience a virtual experience.

여기서, 상품생성부(230)는 실제 공연 데이터를 서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제시할 수도 있고, 실제 공연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원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만들어 내거나 창작하여 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티스트선택부(223)에서 활동하지 않거나 해체된 아티스트 또는 고인이 된 아티스트가 선택된 경우, 상품생성부(230)는 선택된 아티스트가 활동할 때의 공연 데이터 또는 생전 공연 데이터를 서치하고, 이를 기초로 현재의 트렌드에 맞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만들어 낼 수 있다.Here, the product creation unit 230 may search actual performance data and present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desired by the user, or may create or create and present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desired by the user based on actual performance data. It may be possible. For example, when an inactive, disbanded artist, or deceased artist is selected in the artist selection unit 223, the product creation unit 230 searches performance data when the selected artist was active or performance data while he was alive, and searches for performance data when the selected artist was active or when he was alive. Based on this, you can create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that matches current trends.

상품생성부(230)는 영상 콘텐츠, 3D 콘텐츠 및 음향 콘텐츠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감 체험을 희망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가상 현실에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콘텐츠는 공연의 내용 또는 아티스트와 직접 관련된 콘텐츠를 의미하고, 3D 콘텐츠는 공연 무대 또는 무대 효과와 관련된 콘텐츠를 의미하며, 음향 콘텐츠는 공연 또는 아티스트와 관련된 연주 또는 노래 등에 관한 콘텐츠를 의미한다. 상품생성부(230)는 사용자가 스스로 선택한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생성하되 무대, 공연자, 음향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생성 및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실제 공연을 눈앞에서 보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The product creation unit 230 can use video content, 3D content, and sound content to create a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that the user wishes to experience realistically in virtual reality. Here, video content refers to content directly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performance or the artist, 3D content refers to content related to the performance stage or stage effects, and sound content refers to content related to performances or songs related to the performance or artist. . The product creation unit 230 analyzes various data selected by the user and generates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desired by the user. By creating and providing a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that harmoniously combines the stage, performers, and sound, the user can perform the actual performance. You can feel as if you are seeing it right in front of your eyes.

한편, 운영 서버(200)는, 사용자가 공연 실감 유닛(100)을 사용한 이력 데이터 및 사용자 개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는 이력관리부(240); 사용자를 제외한 타 사용자의 공연 실감 유닛(100)에 대한 사용 데이터 및 개인 고유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빅데이터부(250); 및 이력관리부(240) 및 빅데이터부(25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추천하는 상품추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on server 200 includes a history management unit 240 that stores and analyzes user personal data and history data of the user's use of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A big data unit 250 that stores and manages usage data and personal unique data for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of other users excluding the user; and a product recommendation unit 260 that recommends user-customized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using data from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40 and the big data unit 250.

여기서, 상품추천부(26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품생성부(230)에서 생성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반영된 사용자의 선호 데이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성향을 가지는 타 사용자의 사용 데이터 및 개인 고유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매칭되는 맞춤형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추천하되 상품생성부(230)에서 생성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는 추천하지 않거나 추천에서 제외할 수 있다.Here, the product recommendation unit 260 provides usage data and personal unique data of other users with the same or similar tendencies as the user's preference data reflected in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generated by the product creation unit 23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alyzes and recommends customized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that matches the user, but does not recommend or excludes from recommendation the same or similar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compared to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generated in the product creation unit 230. there is.

운영 서버(200)의 상품생성부(230)는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실감 체험을 원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제시하는 반면에, 상품추천부(260)는 사용자의 의사와 관계 없이 운영 사용자가 좋아할 것 같은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The product creation unit 230 of the operation server 200 reflects the user's intention and presents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that the user wants to experience realistically, while the product recommendation unit 260 operates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The difference is that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that the user is likely to like are selected and presented to the user.

상품추천부(260)는 해당 사용자가 과거에 공연 실감 유닛(100)을 사용한 이력 데이터 즉, 이력관리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과거 사용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해당 사용자의 과거 사용 이력 데이터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 아티스트, 공연포맷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용 이력 데이터를 분석하면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맞춤형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찾아낼 수 있다.The product recommendation unit 260 recommends a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to the user using the user's past use history of the performance experience unit 100, that is, the past use history data stored in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40. You can. Since the user's past usage history data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preferred genre, artist, and performance format, analyzing this usage history data can help find customized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that the user may like.

상품추천부(260)는 사용 이력 데이터 뿐만 아니라 해당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해당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가입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이때 사용자의 인적사항, 좋아하는 공연 장르, 아티스트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감 제공 시스템(10)의 가입 절차에서 입력된 사용자 개인 데이터는 이력관리부(240)에 저장되는데, 상품추천부(260)는 이력관리부(240)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맞춤형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The product recommendation unit 260 may recommend a customized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to the user using not only the usage history data but also the user's personal data. In order for the user to use the realistic experience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ust go through a registration process, and at this time, the user can input information about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favorite performance genre, artist, etc. In this way, the user's personal data entered during the subscription process of the realistic providing system 10 is stored in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40, and the product recommendation unit 260 analyzes the user's personal data stored in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40 to provide customized performance. You can recommend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또한, 상품추천부(260)는 해당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이용할 뿐만 아니라 해당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사용자(타 사용자)가 공연 실감 유닛(100)을 사용한 데이터 및 타 사용자의 개인 고유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맞춤형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 recommendation unit 260 not only uses data or information directly related to the user, but also uses data using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by users other than the user (other users) and personal unique data of other users. You can use it to recommend customized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to the user.

빅데이터부(250)에는 공연 실감 유닛(100)을 이용한 많은 사용자들의 사용 데이터 및 개인 고유 데이터가 저장되고 빅데이터화 되어 관리될 수 있다. 사용 데이터는 사용자별로 어떤 장르, 아티스트, 공연포맷을 선택했는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개인 고유 데이터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거주지, 취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big data unit 250, usage data and personal unique data of many users who use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can be stored, converted into big data, and managed. Usage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what genre, artist, and performance format each user has selected, and personal unique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gender, age, residence, and hobbies.

상품추천부(260)는 빅데이터부(250)에 저장되어 있는 타 개인 고유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와 유사한 성향의 개인 고유 데이터를 가지는 타 사용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타 사용자들이 공연 실감 유닛(100)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할 맞춤형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제시할 수 있다.The product recommendation unit 260 analyzes other personal data stored in the big data unit 250 to extract other users with personal data similar to the user's personal data, and the extracted other users perform the performance. By analyzing usage data about the realistic unit 100, customized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can be presented.

또한, 빅데이터부(250)는 해당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들이 공연 실감 유닛(100)을 사용한 이력, 공연 상품이나 공연 콘텐츠에 대한 리뷰, 댓글 또는 평가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다. 빅데이터부(250)는 이력관리부(240)와 연계하여 해당 사용자의 개별 고유 데이터를 빅데이터 분석에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g data unit 250 may store and analyze data on the history of the user and other users using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reviews, comments, or evaluations of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etc. The big data unit 250 can use the user's individual unique data for big data analysis in connection with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40.

다만, 상품추천부(260)에서 제시된 맞춤형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가 상품생성부(230)에서 생성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상품추천부(260)에서 추천하려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가 상품생성부(230)를 통해 해당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와 동일하거나 비슷하기 때문이다.However, if the customized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presented in the product recommendation unit 260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generated in the product creation unit 230, it is not recommended to the user. This is because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to be recommended by the product recommendation unit 260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directly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product creation unit 230.

한편, 이력관리부(240)에 저장된 데이터는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빅데이터부(250)에 전달되어 빅데이터로 관리될 수 있다.Meanwhile, the data stored in the history management unit 240 may be transferred to the big data unit 250 and managed as big data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또한, 운영 서버(200)는, 상품생성부(230)에서 생성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 상품추천부(260)에서 추천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리뷰 또는 피드백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피드백부(270); 및 피드백부(270), 이력관리부(240) 또는 빅데이터부(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기획하고 판매를 유도하는 상품기획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erver 200 stores and manages user reviews or feedback data on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generated by the product creation unit 230 and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recommended by the product recommendation unit 260. a feedback unit 270; and a product planning department (280) that uses data stored in the feedback department (270), history management department (240), or big data department (250) to plan and promote sales of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that are expected to be highly preferred by users. May include ;.

피드백부(270)는 공연 실감 유닛(100)을 이용하여 가상 체험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를 공연 상품 판매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피드백부(270)는 피드백 데이터를 실감 제공 시스템(10)의 운영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The feedback unit 270 may transmit the user's feedback data about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that is virtually experienced using the performance immersion unit 100 to the performance product seller. The feedback unit 270 may transmit feedback data to the operator of the realistic experience providing system 10.

사용자는 피드백부(270)를 통해서, 공연 실감 유닛(100)을 이용하고 느낀 불편한 점, 개선할 점 등을 포함하는 피드백 데이터를 공연 상품 판매자 또는 실감 제공 시스템의 운영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공연 상품 판매자는 피드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개발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공연 콘텐츠를 포함하도록 이미 판매 중인 공연 상품의 상품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Through the feedback unit 270, the user can deliver feedback data including inconveniences felt while using the realistic performance unit 100, points for improvement, etc. to the performance product seller or the operator of the realistic performance providing system. Performance product sellers may use feedback data to develop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highly preferred by users, or may improve the marketability of performance products already being sold to include performance content preferred by users.

운영 서버(200)의 피드백부(270)는 공연 실감 유닛(100)에 의해 가상 체험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를 공연 상품 판매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의 공연 실감 유닛(100)은 이미 판매 중인 공연 상품 또는 판매 예정인 공연 상품에 대해서 가상 체험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공연 상품 등에 대한 가상 체험을 한 후에 자신이 선택한 상품에 대해서 느낀 장점 또는 단점을 포함하는 피드백 데이터를 피드백부(270)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HMD 기기(110)에 마련되어 있는 마이크 또는 헤드셋(150)을 통해 말로 피드백 데이터를 피드백부(270)에 입력하거나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단말기(130)를 통해서 피드백 데이터를 피드백부(270)에 입력할 수 있다.The feedback unit 270 of the operation server 200 may transmit the user's feedback data about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that is virtually experienced by the performance immersion unit 100 to the performance product seller.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of the immersive experience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irtual experience for a performance product that is already on sale or is scheduled to be sold. After a user has a virtual experience of a performance product, etc., the user can input feedback data including the advantages or disadvantages felt about the product he or she has selected into the feedback unit 270. The user inputs verbal feedback data into the feedback unit 270 through the microphone or headset 150 provided in the HMD device 110, or inputs feedback data into the feedback unit 270 through a personal terminal 130 such as the user's smartphone. ) can be entered.

피드백부(270)에 입력된 사용자별 피드백 데이터는 통신부(291)에 의해서 판매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Feedback data for each user input to the feedback unit 270 may be transmitted to the sales server 300 by the communication unit 29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의 운영 서버(200)는 상품기획부(28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품기획부(280)는 피드백부(270), 이력관리부(240) 또는 빅데이터부(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기획하고 판매하도록 상품 판매자를 유도할 수 있다.The operation server 200 of the realistic experience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duct planning department 280, which may include a feedback department 270, a history management department 240, or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big data unit 250, product sellers can be encouraged to plan and sell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that are expected to be highly preferred by users.

즉, 상품기획부(280)는 공연 실감 유닛(100)을 사용한 사용자들의 반응 또는 피드백을 분석하여,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로 기획하여 판매하면 많은 사람들이 구매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품 또는 콘텐츠를 도출하고 이를 상품화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연 실감 유닛(100)을 통해 가상 체험한 공연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 가상 공연에 대한 관객수 등을 조사하여 이를 기반으로 해당 아티스트가 소속된 기획사 또는 공연 기획사로 하여금 해당 공연을 상품화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oduct planning department 280 analyzes the reactions or feedback of users who use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derives products or content that are expected to be purchased by many people when planned and sold as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and commercializes them. It can be induced to do so. For example, the user's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experienced virtually through the performance immersion unit 100, the number of audiences for the virtual performance, etc. are investigated, and based on this, the artist's agency or performance agency is asked to commercialize the performance. It can be induced.

상품기획부(280)는 공연 실감 유닛(100)을 통해서 가상 체험이 가능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의 반응이 좋은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선별하고, 선별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와 유사한 공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아티스트의 소속 기획사가 공연 상품을 기획하도록 유도하거나 공연 기획사가 공연 상품을 기획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product planning department 280 selects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that have a good response from users among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that can be virtually experienced through the performance immersion unit 100, and determines whether a performance similar to the selected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is possible. The agency of the artist judged to be an artist may be encouraged to plan performance products, or the performance agency may be encouraged to plan performance products.

기획사, 공연 상품 판매자는 상품기획부(280)를 통해 제시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는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 기획 및 판매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Entertainment companies and performance product sellers can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product planning and sales because they can expect that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presented through the product planning department 280 will have high user preference.

운영 서버(200)는 부가서비스부(298)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서비스부(298)는 공연 등의 가상 체험 외의 가상 현실 체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가서비스부(298)는 메타버스 기반으로 아티스트의 굿즈(Goods) 상품을 사용자가 구매할 수 있게 하거나, 사용자가 아티스트의 일일 매니저를 가상 체험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가서비스부(298)는 사용자가 좋아하는 아티스트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사용자가 해당 아티스트의 공연 상품을 지속적으로 구매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operation server 200 may include an additional service unit 298. The additional service unit 298 can provide users with virtual reality experiences other than virtual experiences such as performances. For example, the additional service unit 298 may provide a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purchase artist's goods based on the metaverse or allows users to virtually experience the artist's daily manager. In this way, the additional service unit 298 can increase user satisfaction by providing services related to the user's favorite artist and encourage the user to continuously purchase performance products of the artist.

운영 서버(200)는 과금부(296)를 포함할 수 있는데, 과금부(296)는 사용자가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가상 체험할 때 발생하는 요금을 책정하고 과금한다. 또한, 과금부(296)는 부가서비스부(298)를 통해 메타버스 상에서 사용자가 아티스트의 굿즈를 구매할 때 비용을 과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의 운영 서버(200)는 과금부(296)를 구비함으로써 공연 또는 아티스트의 저작권과 관련된 비용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The operation server 200 may include a billing unit 296, which sets and charges fees incurred when a user virtually experiences a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Additionally, the billing department 296 may charge a fee when a user purchases an artist's goods on the metaverse through the additional service department 298. In this way, the operating server 200 of the realistic experience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costs related to performances or artists' copyrights to some extent by providing a billing unit 296.

한편,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은 공연 실감 유닛(100) 및 운영 서버(200) 외에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개발하고 판매하는 상품 판매자에게 마련되는 판매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 and 4, the realistic experience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rformance product or a product that develops and sells performance content in addition to the performance experience unit 100 and the operation server 200. It may include a sales server 300 provided to the seller.

판매 서버(300)는 공연 실감 유닛(100)에 의해서 가상 체험되는 공연 상품을 기획 또는 개발하고 판매하는 측에 마련되는 서버이다.The sales server 300 is a server provided on the side that plans, develops, and sells performance products that are virtually experienced by the performance immersion unit 100.

판매 서버(300)는, 상품판매부(310), 피드백적용부(320), 프로모션부(330), 업데이트부(340), 데이터저장부(350), 통신부(360), 과금부(370), 저작권관리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ales server 300 includes a product sales unit 310, a feedback application unit 320, a promotion unit 330, an update unit 340, a data storage unit 350, a communication unit 360, a billing unit 370, It may include a copyright management department 380.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판매 서버(300)는, 상품기획부(280)에서 제시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매칭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개발하여 운영 서버(200)에 제공하는 상품판매부(310); 피드백부(270)에서 받은 리뷰 또는 피드백 데이터를 상품판매부(310)의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반영하는 피드백적용부(320); 및 피드백적용부(320)에 의해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반영된 리뷰 또는 피드백 데이터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구매 포인트를 제공하거나 해당 사용자가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구매하는 경우 리워드를 포함한 보상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프로모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ales server 300 includes a product sales department 310 that develops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matching the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presented in the product planning department 280 and provides them to the operation server 200; a feedback application unit 320 that reflects the review or feedback data received from the feedback unit 270 to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of the product sales unit 310; and the feedback application unit 320 provides purchase points to the user who provides reviews or feedback data reflected in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or provides compensation services including rewards to the user when the user purchases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It may include a promotion unit 330 that provid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의 공연 실감 유닛(100)은 사용자가 희망하거나 선택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의 가상 체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과 무관하게 공연 상품 개발자가 제공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의 가상 체험도 제공할 수 있다. 공연 상품 개발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의 공연 실감 유닛(100)을 통해 자신이 개발한 공연 상품을 홍보하거나 선전할 수 있다.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of the immersive experience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ovides a virtual experience of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desired or selected by the user, but also provides the performance product developer regardless of the user's selection. Virtual experiences of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provided by may also be provided. A performance product developer may promote or publicize a performance product he or she has developed through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of the immersive experience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판매 서버(300)의 상품판매부(310)는, 공연 실감 유닛(100)의 공연 가상 체험을 포함하는 자사 공연 상품의 특징, 장점, 일정, 비용 등의 정보를 운영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운영 서버(200)는 상품판매부(310)에서 전달받은 공연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공연 실감 유닛(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duct sales unit 310 of the sales server 300 may transmit information such as characteristics, advantages, schedules, and costs of its performance products, including the virtual performance experience of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to the operation server 200. . The operation server 2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using performance produc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duct sales department 310.

피드백적용부(320)는 운영 서버(200)의 피드백부(270)에서 받은 피드백 데이터를 자사 공연 상품의 개선에 반영할 수 있다.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를 받은 판매 서버(300)는 해당 피드백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사 공연 상품에 문제점이 있을 경우에는 수정하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항 등을 자사 공연 상품에 추가함으로써 자사 공연 상품의 상품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드백적용부(320)에 의해 피드백 데이터를 적용하여 자사 공연 상품의 상품성을 개선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공연 실감 유닛(100)을 통해 자사 공연 상품을 많이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feedback application unit 320 may reflect the feedback data received from the feedback unit 270 of the operation server 200 in improving its performance products. The sales server 300, which has received the user's feedback data, analyzes the feedback data, corrects any problems with its performance product, and adds user requests to its performance product to improve the marketability of its performance product. You can. In this way, the feedback data can be applied by the feedback application unit 320 to improve the marketability of the company's performance products, thereby encouraging users to select more of the company's performance products through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판매 서버(300)의 프로모션부(330)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의 경쟁 우위 포인트를 운영 서버(200)로 전송하고, 공연 실감 유닛(100)에 의해 자사 공연 상품을 사용자가 많이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프로모션부(330)는 자사 공연 상품이 공연 실감 유닛(100)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홍보하는 구성요소이다. 프로모션부(330)은 상품판매부(310) 또는 피드백적용부(320)와 연계하여 자사 공연 상품이 공연 실감 유닛(100)에서 많이 선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promotion unit 330 of the sales server 300 transmits the competitive advantage points of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to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induces users to select many of its performance products by the performance immersion unit 100. You can. The promotion unit 330 is a component that promotes the company's performance products so that they can be selected by users in the performance experience unit 100. The promotion unit 330 may induce the company's performance products to be frequently selected by the performance experience unit 100 in connection with the product sales unit 310 or the feedback application unit 320.

또한, 프로모션부(330)는 공연 실감 유닛(100)에 의해 가상 체험되는 자사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제공하고 피드백 데이터가 상품 개선에 적용된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보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사 공연 상품을 공연 실감 유닛(100)에서 가상 체험한 사용자가 자사 공연 상품의 상품성 개선에 반영될 수 있는 피드백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 피드백 데이터가 피드백적용부(320)에 의해 상품 개선에 적용된 경우에, 프로모션부(330)는 해당 사용자에게 구매 포인트를 제공하거나 자사 공연 상품을 구매할 경우 리워드를 포함한 보상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motion unit 330 provides feedback data on its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that is virtually experienced by the performance immersion unit 100, and when the feedback data is applied to product improvement, a compens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 For example, a user who has virtually experienced the company's performance product in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provides feedback data that can be reflected in improving the marketability of the company's performance product, and this feedback data is used to improve the product by the feedback application unit 320. In this case, the promotion department 330 may provide purchase points to the user or provide compensation services including rewards when purchasing the company's performance products.

도 4를 참조하면, 판매 서버(300)는, 자사 공연 상품에 대한 정보 또는 보상 서비스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 이를 상품판매부(310), 피드백적용부(320) 또는 프로모션부(330)에 전달하는 업데이트부(340); 판매 서버(300)에 전달되는 각종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350); 운영 서버(200) 또는 공연 실감 유닛(100)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ales server 300 transmits it to the product sales department 310, the feedback application department 320, or the promotion department 330 when information about its performance products or compensation service information is updated. update unit 340; a data storage unit 350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or data transmitted to the sales server 300;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60 that exchanges data with the operation server 200 or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업데이트부(340)는 피드백적용부(320)에 의해 피드백 데이터가 자사 공연 상품에 적용되어 공연 상품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를 저장하고 상품판매부(310)에 전달할 수 있다.If the feedback data is applied to the company's performance product by the feedback application unit 320 and the information of the performance product is changed, the update unit 340 may store the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product sales unit 310.

한편, 판매 서버(300)는 상품판매부(310)에 의해서 제공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가 공연 실감 유닛(100)을 통해 가상 체험되는 경우, 가상 체험한 공연 상품 등에 대한 비용을 받는 과금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 서버(300)의 과금부(370)는 운영 서버(200)의 과금부(296)로부터 비용을 과금할 수 있다. 즉, 운영 서버(200)의 과금부(296)는 사용자로부터 비용을 과금하는 반면에, 판매 서버(300)의 과금부(370)는 운영 서버(200)로부터 공연 상품 대금 성격의 비용을 과금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provided by the product sales department 310 is virtually experienced through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the sales server 300 is a billing department 370 that receives the fee for the virtually experienced performance product, etc. may include. The billing unit 370 of the sales server 300 may charge costs from the billing unit 296 of the operation server 200. That is, while the billing unit 296 of the operation server 200 charges fees from users, the billing unit 370 of the sales server 300 charges costs in the nature of performance product fees from the operation server 200. You can.

또한, 판매 서버(300)는, 상품판매부(310)에 의해 공연 실감 유닛(100)에 제공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관련된 아티스트 또는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관리하는 저작권관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ales server 300 may include a copyright management unit 370 that manages copyrights for artists or works related to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provided to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by the product sales unit 310.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은 저작물을 가상 체험하게 하기 때문에, 저작물에 관한 저작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저작물을 무단으로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저작권 침해에 해당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제공 시스템(10)은 판매 서버(300)가 저작권관리부(380)를 구비함으로써 저작권 침해 문제를 대비할 수 있다. Since the realistic experienc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rtual experience of a copyrighted work, copyright issues regarding the copyrighted work may arise. In other words, unauthorized commercial use of a copyrighted work may constitute copyright infringement, and the realistic experience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ringes copyright by providing the sales server 300 with a copyright management unit 380. You can prepare for problems.

운영 서버(200)의 과금부(296), 판매 서버(300)의 과금부(370)에서 과금하는 비용에는 저작권 비용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작권관리부(380)는 과금부(296,370)에서 과금되는 비용 중 일부를 저작권료로 산정하여 해당 저작권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Costs charged by the billing department 296 of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the billing department 370 of the sales server 300 may include copyright fees. The copyright management department 380 may calculate a portion of the costs charged by the charging department 296,370 as copyright fees and pay it to the copyright holder.

또한, 저작권관리부(380)는 저작물을 무단으로 가상 체험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 또는 공연 실감 유닛(100)의 운영자에게 저작권 침해의 가능성을 경고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case of unauthorized virtual experience of a copyrighted work, the copyright management unit 380 may warn the user or the operator of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100 of the possibility of copyright infringement.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내지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system or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purpose or special-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A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that run on the operating system. Additionally, a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a single processing device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a processing device includes multiple processing elements and/or multiple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multiple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Additionally,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such as parallel processors, are possible.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which may configure a processing unit to operate as desired, or may be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used on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thus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is does not mea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from this descrip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all modification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
100: 공연 실감 유닛 110: HMD 기기
120: 핸드 모션 컨트롤러 130: 사용자 단말기
140: 모니터 150: 헤드셋
160: 액팅 모듈 170: 액팅 감지부
180: 부가기능부 200: 운영 서버
210: 제어부 221: 장르선택부
223: 아티스트선택부 225: 공연포맷선택부
230: 상품생성부 240: 이력관리부
250: 빅데이터부 260: 상품추천부
270: 피드백부 280: 상품기획부
300: 판매 서버 310: 상품판매부
320: 피드백적용부 330: 프로모션부
370: 과금부 380: 저작권관리부
10: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immersive system
100: Performance immersion unit 110: HMD device
120: hand motion controller 130: user terminal
140: Monitor 150: Headset
160: Acting module 170: Acting detection unit
180: Additional function unit 200: Operation server
210: Control unit 221: Genre selection unit
223: Artist selection section 225: Performance format selection section
230: Product creation department 240: History management department
250: Big data department 260: Product recommendation department
270: Feedback Department 280: Product Planning Department
300: Sales server 310: Product sales department
320: Feedback application department 330: Promotion department
370: Billing Department 380: Copyright Management Department

Claims (7)

가상 현실 기반으로 아티스트 공연의 실감 체험을 제공하는 공연 실감 유닛; 및
상기 공연 실감 유닛에 제공되는 공연 콘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하며, 상기 공연 실감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공연 실감 유닛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공연 상품을 제공하거나 사용자 맞춤형 공연 상품을 추천하며,
사용자 선택 공연 상품 및 사용자 맞춤형 추천 공연 상품은 아티스트의 실제 공연 콘텐츠 또는 아티스트의 실제 공연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창작 공연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
A performance immersion unit that provides a realistic experience of an artist's performance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An operating server that stores and executes performance content provided to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The operation server provides performance products selected by the user or recommends user-customized performance products through the performance immersion unit,
A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experience providing system, wherein the user-selected performance product and the user-customized recommended performance product include the artist's actual performance content or creative performance content based on the artist's actual performance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사용자가 실감 체험을 희망하는 공연의 장르 또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장르선택부;
사용자가 실감 체험을 희망하는 아티스트를 선택하는 아티스트선택부;
사용자가 실감 체험을 희망하는 공연의 형태를 선택하는 공연포맷선택부; 및
상기 장르선택부, 상기 아티스트선택부 및 상기 공연포맷선택부의 선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공연 콘텐츠를 생성하는 상품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품생성부는 상기 장르선택부, 상기 아티스트선택부 및 상기 공연포맷선택부에서 영상 콘텐츠, 3D 콘텐츠 및 음향 콘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실감 체험을 희망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operating server is,
A genr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genre or category of a performance for which the user wishes to experience a realistic experience;
An artist selection unit where the user selects an artist for whom he or she wishes to experience an immersive experience;
A performance format selection unit that selects the type of performance for which the user wishes to experience a realistic experience; and
It includes a product creation unit that generates performance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using the selection results of the genre selection unit, the artist selection unit, and the performance format selection unit,
The product creation unit extracts video content, 3D content, and sound content from the genre selection unit, the artist selection unit, and the performance format selection unit to generate a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that the user wishes to experience realistically. A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immersive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티스트선택부는,
활동 중인 아티스트, 활동을 중단하거나 해체된 아티스트 또는 고인이 된 아티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artist selection section,
A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immersiv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by selecting at least one of an active artist, an inactive or disbanded artist, or a deceased artis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사용자가 상기 공연 실감 유닛을 사용한 이력 데이터 및 사용자 개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는 이력관리부;
사용자를 제외한 타 사용자의 상기 공연 실감 유닛에 대한 사용 데이터 및 개인 고유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빅데이터부; 및
상기 이력관리부 및 상기 빅데이터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추천하는 상품추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품추천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상품생성부에서 생성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반영된 사용자의 선호 데이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성향을 가지는 타 사용자의 사용 데이터 및 개인 고유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매칭되는 맞춤형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추천하되 상기 상품생성부에서 생성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는 추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operating server is,
a history management unit that stores and analyzes user personal data and history data of the user's use of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a big data unit that stores and manages usage data and personal unique data for the performance immersive unit of users other than the user; and
It includes a product recommendation unit that recommends user-customized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using data from the history management unit and the big data unit,
The product recommendation unit analyzes the usage data and personal unique data of other users with the same or similar tendencies as the user's preference data reflected in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generated in the product creation unit by the user's selection and matches the user. A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experience providing system that recommends customized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but does not recommend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that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e performance product or performance content generated by the product creation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상품생성부에서 생성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 상기 상품추천부에서 추천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리뷰 또는 피드백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피드백부; 및
상기 피드백부, 상기 이력관리부 또는 상기 빅데이터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기획하고 판매를 유도하는 상품기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operating server is,
a feedback unit that stores and manages user reviews or feedback data on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generated in the product creation unit and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recommended in the product recommendation unit; and
A product planning unit that uses data stored in the feedback unit, the history management unit, or the big data unit to plan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that are expected to be highly preferred by users and induce sales; a virtual reality comprising a. A system that provides realistic performance experienc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개발하고 판매하는 상품 판매자에게 마련되는 판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판매 서버는,
상기 상품기획부에서 제시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매칭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개발하여 상기 운영 서버에 제공하는 상품판매부;
상기 피드백부에서 받은 리뷰 또는 피드백 데이터를 상기 상품판매부의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반영하는 피드백적용부; 및
상기 피드백적용부에 의해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반영된 리뷰 또는 피드백 데이터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구매 포인트를 제공하거나 해당 사용자가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를 구매하는 경우 리워드를 포함한 보상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프로모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Includes a sales server provided to product sellers who develop and sell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The sales server is,
a product sales department that develops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matching the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presented by the product planning department and provides them to the operation server;
a feedback application unit that reflects reviews or feedback data received from the feedback unit to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of the product sales department; and
A promotion that provides purchase points to users who provide reviews or feedback data reflected in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by the feedback application department, or provides compensation services, including rewards, to users when the user purchases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A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서버는,
상기 상품판매부에 의해 상기 공연 실감 유닛에 제공되는 공연 상품 또는 공연 콘텐츠에 관련된 아티스트 또는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관리하는 저작권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기반 공연 실감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6,
The sales server is,
A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experien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copyright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copyrights for artists or works related to performance products or performance content provided to the performance experience unit by the product sales department.
KR1020220123697A 2022-09-28 2022-09-28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experience providing system KR202400442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697A KR20240044205A (en) 2022-09-28 2022-09-28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experience provid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697A KR20240044205A (en) 2022-09-28 2022-09-28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experience provid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205A true KR20240044205A (en) 2024-04-04

Family

ID=90637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697A KR20240044205A (en) 2022-09-28 2022-09-28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experience provid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205A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550A (en) 2007-02-22 2009-01-08 성필문 Methode of a cyber public performance on stage with 3d display
KR100921452B1 (en) 2007-08-21 2009-10-13 임동권 A method and a system for selecting seats and purchasing in advance on web browser over internet and a storage medium therefor
KR20160136160A (en) 2015-05-19 2016-11-29 주식회사 드로잉쇼 Virtual Reality Performance System and Performance Method
KR20190031220A (en) 2016-08-22 2019-03-25 정우성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
KR102042159B1 (en) 2018-12-17 2019-11-07 김덕수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performance sale and audience based on virtual realit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550A (en) 2007-02-22 2009-01-08 성필문 Methode of a cyber public performance on stage with 3d display
KR100921452B1 (en) 2007-08-21 2009-10-13 임동권 A method and a system for selecting seats and purchasing in advance on web browser over internet and a storage medium therefor
KR20160136160A (en) 2015-05-19 2016-11-29 주식회사 드로잉쇼 Virtual Reality Performance System and Performance Method
KR20190031220A (en) 2016-08-22 2019-03-25 정우성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
KR102042159B1 (en) 2018-12-17 2019-11-07 김덕수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performance sale and audience based on virtual rea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6918B2 (en) Systems/methods for identifying products within audio-visual content and enabling seamless purchasing of such identified products by viewers/users of the audio-visual content
US10632372B2 (en) Game content interface in a spectating system
US10390064B2 (en) Participant rewards in a spectating system
US10376795B2 (en) Game effects from spectating community inputs
US20170264928A1 (en) Inserting advertisements into shared video feed environment
US20170001111A1 (en) Joining games from a spectating system
US20170001122A1 (en) Integrating games systems with a spectating system
US20170003740A1 (en) Spectator interactions with games in a specatating system
US20170006074A1 (en) Spectating data service for a spectating system
KR20180022866A (en) Integra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game systems
US20090299960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utomatically modifying a virtual environment based on user profile information
US107138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001004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world-space coordinates of ad objects and camera information for adverstising within a vitrtual environment
US116048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corporating marketing in user authentication
US20210342886A1 (en) Virtual Advertising Database with Command Input Data
US116310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selectively modifying characters and conditionally presenting customized characters via electronic channels
JP7258472B2 (en)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7029379B2 (en) Programs,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s
US20180165713A1 (en) Virtual Advertising Database with Command Input Data
KR20240044205A (en)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experience providing system
JP7278442B2 (en)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40044206A (en) Virtual reality-based adaptation performance content experience system
JP7068977B2 (en) Methods and programs in online commerce support systems
JP7373149B2 (en) Computer programs, methods and server devices
JP7296530B2 (en) Computer program, method and server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