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277A -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learn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Google Patents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learn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277A
KR20240040277A KR1020220119095A KR20220119095A KR20240040277A KR 20240040277 A KR20240040277 A KR 20240040277A KR 1020220119095 A KR1020220119095 A KR 1020220119095A KR 20220119095 A KR20220119095 A KR 20220119095A KR 20240040277 A KR20240040277 A KR 20240040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developmentally disabled
virtual reality
hmd device
edu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0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태
이지은
Original Assignee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19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0277A/en
Publication of KR20240040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277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은 학습 시나리오 및 콘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서버; 및 발달 장애인의 머리에 장착되어 상기 학습 시나리오 및 콘텐츠가 포함된 가상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HMD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HMD 기기에 대한 발달 장애인의 적응도에 따른 학습 시나리오 및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learning for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that stores and executes learning scenarios and content; and an HMD device mounted on the head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to display a virtual reality image containing the learning scenario and content, wherein the server provides learning scenarios and content according to the adaptabilit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to the HMD device. can do.

Description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LEARN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LEARN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발명은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 현실 영상을 포함하는 학습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지원하고 발달 장애인이 교육기관에서 오프라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반 교육을 지원하는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learning b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re specifically, it supports self-learning b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learning scenarios including virtual reality images, and provides offline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about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study of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that supports general education so that they can receive.

안경처럼 머리에 쓰고 대형 영상을 즐길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인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이하 "HMD"라 함) 기기가 보급화됨에 따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이하 "VR"이라 함) 영상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HMD 기기는 마치 실제 주변 환경과 상호 작용을 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는 VR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head mounted display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MD”) devices, which are image display devices that can be worn on the head like glasses and enjoy large images, become popular, virtual real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VR”) images are available. Interest in it is also increasing. HMD devices can provide users with VR images that make them feel as if they are interacting with the real surrounding environment.

VR 영상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시점이 변화하여 다양한 시점의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게임,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중에 있다.Using VR video, the viewpoint changes depending on the user's movement, allowing images from various viewpoints to be provided. Attempts to utilize these characteristics and apply them to various fields such as games and education are actively underway.

하지만, 발달장애인과 같은 인지 능력이 부족한 사용자들은 VR 영상 시청에 따른 적절한 응답을 기대할 수 없으며, VR 영상을 이용하여 발달 장애인의 학습을 지원하는 콘텐츠 또는 시나리오도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However, users with low cognitive abilities, such as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not expect appropriate responses from watching VR video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t enough content or scenarios to support learning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VR videos.

특히, VR 영상을 이용하여 발달 장애인을 교육하거나 학습을 지원하는 경우에 발달 장애인의 개인적 특성, 성향, 지적 수준, 학습 기호도 등을 고려하지 않고 천편일률적인 영상을 제공하기 때문에 발달 장애인의 개별 학습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한계도 있다.In particular, when using VR video to educate or support learning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niform images are provided without consider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tendencies, intellectual level, and learning preferenc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greatly affects the individual learn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 are also limitations in not being able to help.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The present applicant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한국등록특허 제10-2330218호 (등록일자 2021.11.18.)Korean Patent No. 10-2330218 (registration date 2021.11.18.)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23771호 (공개일자 2021.10.1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23771 (publication date 2021.10.14.)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95566호 (공개일자 2019.08.16.)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95566 (publication date 2019.08.16.) 한국등록특허 제10-1981701호 (등록일자 2019.05.17.)Korean Patent No. 10-1981701 (registration date 2019.05.17.) 한국등록특허 제10-2082313호 (등록일자 2020.02.21.)Korean Patent No. 10-2082313 (registration date 2020.02.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발달 장애인의 HMD 기기에 대한 적응도, 지적 수준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학습 시나리오 및 콘텐츠를 탑재한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for self-stud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that is equipped with various learning scenarios and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the adaptability to HMD devices and intellectual level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rovides a system.

본 발명은 발달 장애인의 교과 학습 뿐만 아니라 교육기관에 출석하여 오프라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사회성 교육 지원이 가능한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study of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that can support social skills training so that they can atte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receive offline education as well as subject learning.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은 학습 시나리오 및 콘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서버; 및 발달 장애인의 머리에 장착되어 상기 학습 시나리오 및 콘텐츠가 포함된 가상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HMD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HMD 기기에 대한 발달 장애인의 적응도에 따른 학습 시나리오 및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learning of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tasks includes a server that stores and executes learning scenarios and content; and an HMD device mounted on the head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to display a virtual reality image containing the learning scenario and content, wherein the server provides learning scenarios and content according to the adaptabilit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to the HMD device. can do.

상기 서버는, 발달 장애인의 상기 HMD 기기에 대한 적응도에 따라 상기 HMD 기기에 적응을 돕는 시나리오 및 콘텐츠를 제공하고, 발달 장애인이 상기 HMD 기기를 착용한 상태에 거부감이 없는 경우에 학습 시나리오 및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provides scenarios and content to help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dapt to the HMD device according to his or her adaptability to the HMD device, and i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does not feel uncomfortable wearing the HMD device, learning scenarios and content. can be provided.

상기 서버는, 발달 장애인이 상기 HMD 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발달 장애인의 정신적 또는 육체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콘텐츠를 상기 HMD 기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may provide content that can promote the mental or physical stability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while the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is wearing the HMD device, through the HMD device.

상기 서버는, 발달 장애인의 학습을 위한 메뉴를 선택하는 메뉴선택부; 발달 장애인의 학습 수준 또는 상기 HMD 기기에 대한 적응도에 따른 학습 수준을 선택하는 레벨선택부; 발달 장애인의 학습 형태를 제시하는 과정선택부; 및 발달 장애인의 학습 과목을 제시하는 교과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includes a menu selection unit that selects a menu for learning b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level selection unit that selects a le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learning level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or adaptability to the HMD device; Course selection section that presents learning pattern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 subject selection section that presents learning subject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상기 레벨선택부는, 발달 장애인이 상기 HMD 기기에 대한 적응도가 기준치에 미달하거나 상기 HMD 기기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단계 레벨을 선택하며, 상기 제1 단계 레벨의 경우에는 발달 장애인에 대한 개인 성향 데이터에 기반하여 발달 장애인이 거부감을 가지지 않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The level selection unit selects the first level when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s adaptability to the HMD device is below the standard or when using the HMD device for the first time, and in the case of the first level level, the individual level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is selected. Based on propensity data, we can provide content that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do not feel uncomfortable about.

상기 서버는, 발달 장애인이 상기 레벨선택부의 상기 제1 단계 레벨을 통과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과정선택부 및 상기 교과선택부의 하위 메뉴를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erver may control the selection of sub-menus of the course selection unit and the subject selection unit only when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passes the first level of the level selection unit.

상기 과정선택부는, 발달 장애인이 가정에서 소정의 교육을 이수하게 하는 홈스쿨링 과정 및 발달 장애인이 교육기관에서 오프라인 교육을 받는 경우를 대비하여 교육기관의 구성원에 대한 대인 관계를 교육하는 사회성 교육 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urse selection department provides a homeschooling course that allows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complete prescribed education at home and a social education course that educates people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member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preparation for cases wher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ceive offline educatio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can be provided.

상기 교과선택부는 국어 교육, 영어 교육 및 수학 교육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며, 상기 교과선택부에 의해 국어 교육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서버는, 상기 HMD 기기에 제시되는 영상에 대해서 발달 장애인의 시선이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객체에 대해 문자를 보여주고 발달 장애인이 해당 문자를 발음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HMD 기기를 통해 인식된 발달 장애인의 발음을 교정해 주되 발달 장애인의 학습 능력을 고려하여 해당 객체와 유사하고 발달 장애인에게 익숙한 단어를 예시로 들어서 발음을 교정할 수 있다.The subject selection unit provides any on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nglish education, and mathematics education, and when Korean education is selected by the subject selection unit, the server determines that the gaze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with respect to the image presented on the HMD device is constant. For objects that stay for more than a period of time, letters are shown and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is encouraged to pronounce the corresponding letter. The pronunciation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recognized through the HMD device is corrected, but considering the learning abilit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the object is similar to the object in question and has developmental disabilities. You can correct pronunciation by using words that are familiar to people with disabilities as examples.

상기 교과선택부에 의해 영어 교육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서버는, 발달 장애인의 영어 학습 능력 또는 수준을 고려하여 테솔 기반의 영어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When English education is selected by the subject selection unit, the server may provide TESOL-based English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nglish learning ability or level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상기 서버는, 발달 장애인의 학습 이력 데이터를 관리하는 학습이력 관리부; 발달 장애인의 학습 성과를 평가하는 학습평가부; 발달 장애인의 학습 과정 중의 행동을 평가하는 행동평가부; 및 상기 학습평가부 및 상기 행동평가부의 평가 결과를 발달 장애인의 보호자 또는 담당 보육기관에 전달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includes a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learning history data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earning Evaluation Department, which evaluates the learning outcom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havioral Evaluation Department, which evaluates the behavior of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during the learning process; And it may include a feedback unit that deliver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learning evaluation unit and the behavior assessment unit to the guardian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or the child care institution in charge.

본 발명에 따른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은 발달 장애인의 HMD 기기에 대한 적응도를 먼저 평가한 후에 적응 수준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HMD 기기를 기반으로 한 가상 현실 영상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learning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evaluates the adaptabilit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to the HMD device and then provides cont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adaptation, thereby learning virtual reality images based on the HMD device. The effect can be increased.

본 발명에 따른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은 교과 학습 뿐만 아니라 발달 장애인의 사회성을 육성하기 위한 교육도 제공하기 때문에 발달 장애인이 향후 교육기관에서 오프라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stud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ot only subject learning but also education to foster social skills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roviding the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to receive offline educatio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future. can do.

본 발명에 따른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은 발달 장애인 혼자만의 교육이 아니라 교육과정 및 교육결과에 대해서 오프라인 교육기관 또는 교사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달 장애인이 사회의 구성원이 될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study for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roves learning effectiveness because it allows people with disabilities to receive feedback from offline educational institutions or teachers about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results rather than providing education solely to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In addition, it can contribute to help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come members of socie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핸드 모션 컨트롤러의 다른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서버의 레벨선택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서버의 과정선택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따른 서버의 교과선택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study for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hand motion controller of the system according to FIG. 1.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of the system according to FIG. 1.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evel selection unit of the server according to FIG. 3.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cess selection unit of the server according to FIG. 3.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ubject selection unit of the server according to FIG. 3.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ut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are within the scope of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 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implemented below are provided in each system function configuration 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techn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or system functions commonly provid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whenever possible, and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must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f a person has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e or she will be able to eas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conventionally used components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not shown and omitted below, as well as the omitted configurations as described above. The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s and compon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ransmission", "communication", "transmission", "reception" and other similar terms of signals or information refer to the direct transmission of signals or inform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component. In addition, it also includes those transmitted through other components. In particular, “transmitting” or “transmitting” a signal or information as a component indicates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signal or information and does not mean the direct destination. This is the same for “receiving” signals or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핸드 모션 컨트롤러의 다른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서버의 레벨선택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따른 서버의 과정선택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따른 서버의 교과선택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learning of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hand motion controller of the system according to FIG. 1,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of the system according to FIG. 1,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vel selection unit of the server according to FIG. 3,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urse selection unit of the server according to FIG. 3.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bject selection unit of the server according to Figure 3.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 이하 '가상 현길 기반 교육 시스템'이라 함)은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기술을 이용한 시스템으로서, 가상 현실 영상의 제공 내지 구현 등은 공지의 가상 현실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virtual hyeongil-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learning of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uses virtual reality (VR; Virtual Reality) technology. As a system, known virtual reality technology can be used to provide or implement virtual reality image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은 학습 시나리오 및 콘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서버(100); 및 발달 장애인의 머리에 장착되어 상기 학습 시나리오 및 콘텐츠가 포함된 가상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HMD 기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100 that stores and executes learning scenarios and content; and an HMD device 200 mounted on the head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to display a virtual reality image containing the learning scenario and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은 일반 사용자 즉, 지적 수준 또는 학습 능력이 정상적인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발달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의 사용자는 발달 장애인이다.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for general users, that is, people with normal intellectual level or learning ability, bu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ly, the user of 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발달 장애인은 같은 또래에 비하여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사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은 발달 장애인 중 지적 수준 또는 학습 능력이 같은 또래에 비해서 뒤쳐지는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시스템이다.A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refers to a person who does not develop normally physically or mentally compared to their peers. 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self-learning of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whose intellectual level or learning ability lags behind their pe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은 서버(100), HMD 기기(200) 외에 발달 장애인이 손에 착용하는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 교사용 단말기(400) 그리고 데이터베이스(5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 addition to the server 100 and the HMD device 200, a hand motion controller 300 worn on the hand by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 teacher terminal 400, and a database ( 500).

교사용 단말기(400)에는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관리하는 담당자가 접속하거나 발달 장애인의 보호자가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발달 장애인이 입학을 희망하는 교육기관의 교사가 접속할 수도 있다.The teacher terminal 400 may be accessed by a person in charge of managing the self-study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or a guardian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dditionally, teachers at educational institutions where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wish to enroll can also access it.

교사 또는 보호자는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서버(100)로부터 발달 장애인의 교육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전달 받아 발달 장애인의 교육 성과를 관리하고 평가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에서 활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이 교사용 단말기(400)에 설치될 수도 있다.A teacher or guardian can use the terminal 400 to receiv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ducation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from the server 100 and use it to manage and evaluate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To this end, an application used in 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the teacher terminal 400.

데이터베이스(500)에는 발달 장애인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을 사용한 이력 뿐만 아니라 발달 장애인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다만, 발달 장애인의 개인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는 발달 장애인 또는 보호자가 동의한 경우에 한하여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될 수 있다.The database 500 may store various data related to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s well as the history of the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using 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data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500 only when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r their guardian consents.

HMD 기기(200),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 교사용 단말기(400) 및 데이터베이스(500)는 서버(100)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e HMD device 200, hand motion controller 300, teacher terminal 400, and database 500 can exchange data with the server 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은 발달 장애인이 HMD 기기(200)에 디스플레이되는 3D 가상 현실 영상을 보면서 가상 현실 기반 콘텐츠의 학습을 수행하거나 체험하도록 한다.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to learn or experience virtual reality-based content while watching a 3D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200.

HMD 기기(200)는 발달 장애인의 머리에 착용되는 기기로서, 기기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에 가상 현실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HMD 기기(200)는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기기 뿐만 아니라 발달 장애인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헤어 밴드와 유사한 형태의 장치(미도시)에 장착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HMD device 200 is a device worn on the head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nd a virtual reality image can b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provided inside the device. The HMD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phone mounted on a device (not shown) similar to a hair band that can be worn on the head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s well as the device shown in FIG. 1 .

발달 장애인은 머리에 HMD 기기(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를 손으로 잡게 된다. HMD 기기(200)와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는 하나의 세트로 마련될 수 있다.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는 발달 장애인이 양손에 각각 하나씩 잡을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holds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 shown in FIG. 1 with his hand while wearing the HMD device 200 on his head. The HMD device 200 and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 may be provided as one set.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 is preferably provided in pairs so that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can hold one in each hand.

발달 장애인이 양손에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를 착용함으로써 학습을 받는다는 생각 보다 놀이나 게임을 한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고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에 쉽게 적응할 수 있다.By wearing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 on both hands,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can think of playing or playing a game rather than learning, and can easily adapt to 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HMD 기기(200)를 통해 보여지는 가상 현실 영상에 발달 장애인이 손에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를 잡고 있는 모습이 보여 지기 때문에 발달 장애인은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를 이용해서 학습 시나리오 또는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Since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through the HMD device 200 shows a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holding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 in his hand, the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selects a learning scenario or content using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 Or you can continue learning.

이와 같이,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는 발달 장애인이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도록 보조하는 도구이다.In this way,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 is a tool that assists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길 기반 교육 시스템(10)에 사용되는 핸드 모션 컨트롤러의 다른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 모션 컨트롤러(600)는 발달 장애인이 손으로 움켜 잡을 수 있는 파지부(610), 손가락으로 작동하는 조이스틱 형태의 이동기능레버(620), 손가락으로 눌러서 작동하는 시점조정버튼(630), 손가락으로 당겨서 작동하는 트리거(640)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2 shows another example of a hand motion controller used in the virtual suspension-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 motion controller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2 includes a grip part 610 that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can grasp with his or her hand, a movement function lever 620 in the form of a joystick operated with a finger, and a movement function lever 620 that is operated by pressing with a finger. It may include a viewpoint adjustment button 630 that operates and a trigger 640 that is operated by pulling with a finge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발달 장애인이 머리에 착용한 HMD 기기(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의 객체가 3차원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발달 장애인은 손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1 and 2, since the objects of the hand motion controllers 300 and 600 are displayed in three dimensions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200 worn on the head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is unable to control the hand movements. You can visually check the hand motion controllers (300,600) moving along.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의 서버(100)는 제어부(110), 메뉴선택부(120), 레벨선택부(130), 과정선택부(140) 및 교과선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서버(100)는 학습이력관리부(160), 학습평가부(170), 행동평가부(176), 피드백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erver 100 of 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menu selection unit 120, a level selection unit 130, and a course selection unit. It may include (140) and a subject selection unit (150). Additionally, in some cases, the server 100 may further include a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160, a learning evaluation unit 170, a behavior evaluation unit 176, and a feedback unit 180.

제어부(110), 메뉴선택부(120), 레벨선택부(130), 과정선택부(140) 및 교과선택부(150)는 서버(100)의 필수적인 구성요소인 반면에, 학습이력관리부(160), 학습평가부(170), 행동평가부(176), 피드백부(180)는 서버(100)의 선택적인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다.While the control unit 110, menu selection unit 120, level selection unit 130, course selection unit 140, and subject selection unit 150 ar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server 100, the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160 ), the learning evaluation unit 170, the behavior evaluation unit 176, and the feedback unit 180 can be said to be optional components of the server 100.

제어부(110)는 서버(100)의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통제하고 조율하는 구성요소이다.The control unit 110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and coordinates th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server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의 서버(100)는 통신부(191)를 구비함으로써 발달 장애인은 별도의 단말기 없이 HMD 기기(200)와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만 있으면 가상 현실 기반의 교육을 실행할 수 있다.The server 100 of 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191, so tha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ly need the HMD device 200 and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 and 600 without a separate terminal.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can be implemented.

통신부(191)는 HMD 기기(200) 및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와 무선 통신으로 실습 교육 관련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서버(100)는 통신부(191)를 통해 가상 현실 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그래픽 이미지를 HMD 기기(200)에 전달할 수 있고,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의 움직임이 통신부(191)를 통해 서버(100)에 전달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HMD 기기(200)와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가 직접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91 can exchange data related to hands-on training with the HMD device 200 and the hand motion controllers 300 and 6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rver 100 can transmit graphic images necessary for implementing virtual reality images to the HMD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91, and the movements of the hand motion controllers 300 and 600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91. can be passed on. In some cases, the HMD device 200 and the hand motion controllers 300 and 600 may exchange data directl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통신부(191)는 공지의 각종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91 can send and receive data using various known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그래픽 랜더링 엔진(193)은 HMD 기기(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하는 엔진이다. 학습이력관리부(160)에 의해서 교육 시나리오 및 콘텐츠의 수정 또는 업데이트 요청이 있으면, 제어부(110)는 그래픽 랜더링 엔진(193)에 명령하여 HMD 기기(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수정하거나 업데이트 할 수 있다.The graphic rendering engine 193 is an engine that generates a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200. If there is a request to modify or update the education scenario and content by the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160, the control unit 110 commands the graphic rendering engine 193 to modify or update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200. You can.

핸드 모션 엔진(195)은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발달 장애인이 손으로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를 잡고 있는 모양 또는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를 움직이는 모양 또는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상태를 HMD 기기(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표현할 수 있다.The hand motion engine 195 uses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600 to create the shape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holding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600 or moving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600 or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600. ) can be used to express the state of performing learning in a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200.

서버(100)는 HMD 기기(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 내에서 발달 장애인이 필수적으로 확인하거나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로 선택해야 하는 항목 또는 장비를 지시하는 화살표를 제시하는 표시부(199)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표시부(199)는 학습 내지 교육을 받는 발달 장애인이 실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 표시를 HMD 기기(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표현할 수 있다. 표시부(199)는 발달 장애인의 수준, 교육 횟수, 교육 난이도 등에 따라서 안내 표시를 표현할 수도 있고 표현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server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99 that presents arrows indicating items or equipment that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must check or select with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 or 600 within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200. It can be included. That is, the display unit 199 can display a guidance indicator on a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200 to preven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ceiving learning or education from making mistakes. The display unit 199 may or may not display a guidance display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number of training sessions, and the level of training difficulty.

제어부(110)는 학습평가부(170) 또는 피드백부(18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부(199)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다. 즉, 발달 장애인의 선택에 상관없이 제어부(110)가 자동으로 표시부(199)의 기능을 온/오프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can selectively turn on/off the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199 using data from the learning evaluation unit 170 or the feedback unit 180. That is, the control unit 110 can automatically turn on/off the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199 regardless of the selection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서버(100)는, 발달 장애인에게 교육 절차, 학습 방법 또는 콘텐츠 내용 등을 설명하는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안내부(197)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include a voice guidance unit 197 that outputs a voice guidance explaining educational procedures, learning methods, or content contents to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서버(100)는 HMD 기기(200)에 대한 발달 장애인의 적응도에 따른 학습 시나리오 및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0 configured as above can provide learning scenarios and content according to the adaptabilit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to the HMD device 200.

정상인과 달리 발달 장애인의 경우에는 HMD 기기(200)를 착용하는 것에 거부감을 느낄 수 있고, HMD 기기(200)가 시야를 막고 HMD 기기(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현실 영상으로 인해 불안감을 느낄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발달 장애인의 학습이나 교육은 불가능하게 된다.Unlike normal peopl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y feel reluctant to wear the HMD device 200, and the HMD device 200 may block their field of vision and may feel anxious due to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200. . If this happens, learning or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comes impossi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0)이 발달 장애인에게 도움이 되려면 발달 장애인이 HMD 기기(200)와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를 착용하는 것에 거부감이 없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은 HMD 기기(200)에 대한 발달 장애인의 적응도를 먼저 체크한 이후에 학습 과정을 진행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In order for 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helpful to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not have any aversion to wearing the HMD device 200 and the hand motion controllers 300 and 600. 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irst checking the adaptabilit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to the HMD device 200 and then proceeding with the learning process.

발달 장애인이 HMD 기기(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HMD 기기(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메뉴선택부(120)가 표시될 수 있다. 메뉴선택부(120)는 가상 현실 영상에 3D 문자열 이미지로 표현되거나 그래픽 이미지로 표현될 수 있다. 발달 장애인은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를 이용해서 메뉴선택부(120)에서 표시되는 각종 메뉴를 선택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While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is wearing the HMD device 200, the menu selection unit 120 may be displayed on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200. The menu selection unit 120 may be expressed as a 3D character string image or a graphic image in a virtual reality image.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can use the hand motion controllers 300 and 600 to select various menus displayed in the menu selection unit 120 and proceed to the next step.

메뉴선택부(120)는 기본적으로 레벨선택부(130), 과정선택부(140) 및 교과선택부(150)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nu selection unit 120 may basically include a menu for selecting the level selection unit 130, course selection unit 140, and subject selection unit 150.

발달 장애인의 보호자 또는 담당 교사는 교사용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발달 장애인의 개인 데이터 또는 학습 능력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0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guardian or teacher in charge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may transmit the personal data or learning ability data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to the database 500 using the teacher terminal 400.

발달 장애인의 개인 데이터는 연령, 성별, 발달 장애 정도, 좋아하는 대상(사람, 캐릭터 등), 자가 학습의 목적, 교우관계(친구 유무), 오프라인 교육기관 입학 의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달 장애인의 학습 능력 데이터는 언어 구사 능력, 자가 학습 경력, 선호하는 교과목, 지적 수준 등을 포함할 수 있다.Personal data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y include age, gender, degree of developmental disability, favorite objects (people, characters, etc.), purpose of self-study, peer relationships (whether friends are present), intention to enroll in offline educational institutions, etc. Learning ability data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y include language proficiency, self-study experience, preferred subjects, and intellectual lev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의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500)에 전송 저장된 발달 장애인의 개인 데이터 및 학습 능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발달 장애인에게 맞춤형 학습 시나리오 또는 커리큘럼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0 of 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personal data and learning ability data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transmitt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500 to create a learning scenario or curriculum customized to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can be provided.

한편, 발달 장애인이 HMD 기기(200)를 착용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거나 거부감을 가지는 경우라면, 발달 장애인 스스로 HMD 기기(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나타난 메뉴선택부(120)를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로 선택하는 것이 어렵다. On the other hand, if a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is not accustomed to or has an aversion to wearing the HMD device 200, the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may select the menu selection unit 120 shown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200 using a hand motion controller ( 300,600), it is difficult to choose.

발달 장애인이 HMD 기기(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내에 메뉴선택부(120)를 선택하지 못하거나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의 포인팅 지점의 변동이 심한 경우에, 제어부(110)는 발달 장애인이 HMD 기기(200)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발달 장애인이 HMD 기기(200)에 적응하지 못했다는 판단 결과를 데이터베이스(500)에 전송하고, 레벨선택부(130)의 하위 메뉴가 강제로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레벨선택부(130)의 하위 메뉴 중 제1 단계 레벨(132)을 강제로 선택한다.I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cannot select the menu selection unit 120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wearing the HMD device 200 or the pointing point of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 or 600 changes significantly, the control unit 110 may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adapting to the HMD device 200. The control unit 110 may transmit a determination result that the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has not adapted to the HMD device 200 to the database 500 and force a sub-menu of the level selection unit 130 to be selected. That is, the control unit 110 forcibly selects the first level 132 from the submenu of the level selection unit 130.

제1 단계 레벨(132)이 선택되면, 발달 장애인이 HMD 기기(200)와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콘텐츠가 HMD 기기(2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발달 장애인이 HMD 기기(200)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를 익숙하게 느끼게 하고 어지러움 등을 겪지 않도록 발달 장애인이 흥미를 느끼거나 정서적 안정을 느낄 수 있는 콘텐츠 예를 들면, 엄마의 영상과 엄마의 목소리를 들려 주거나 발달 장애인에 친숙한 캐릭터 또는 게임을 보여줘서 발달 장애인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When the first level 132 is selected, content that helps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become familiar with the HMD device 200 and the hand motion controllers 300 and 600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HMD device 200. To help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eel familiar with the state of wearing the HMD device 200 and to prevent them from experiencing dizziness, content in which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find interest or feel emotional stability, for example, can listen to mother's video and mother's voice. You can promot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showing them characters or games that are familiar to them.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발달 장애인의 개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발달 장애인이 친밀감을 느끼는 대상을 찾아내고 표시부(199)가 해당 대상을 가상 현실 영상에 만들어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of the server 100 analyzes the personal data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stored in the database 500 to find an object with which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feels familiar,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99 to create the object in a virtual reality image. You can.

이와 같이 서버(100)는, 발달 장애인이 HMD 기기(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발달 장애인의 정신적 또는 육체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콘텐츠를 HMD 기기(2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erver 100 can provide content that can promote the mental or physical stabilit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while wearing the HMD device 200 through the HMD device 200.

레벨선택부(130)는, 발달 장애인이 HMD 기기(200)에 대한 적응도가 기준치에 미달하거나 HMD 기기(200)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단계 레벨(132)을 선택하며, 제1 단계 레벨(132)의 경우에는 발달 장애인에 대한 개인 성향 데이터에 기반하여 발달 장애인이 거부감을 가지지 않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The level selection unit 130 selects the first level level 132 when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s adaptability to the HMD device 200 is below the standard or when using the HMD device 200 for the first time. In the case of level 132, content that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do not feel uncomfortable can be provided based on personal tendency data abou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서버(100)는 발달 장애인이 레벨선택부(130)의 제1 단계 레벨에서 제공되는 학습 시나리오 또는 콘텐츠를 충분히 경험하여 HMD 기기(200)에 익숙해진 경우에 한하여 다음 단계의 학습 시나리오 또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0 provides the next level learning scenario or content only when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has sufficiently experienced the learning scenario or content provided at the first level of the level selection unit 130 and has become familiar with the HMD device 200. can do.

발달 장애인이 HMD 기기(200)와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를 착용한 상태에서 HMD 기기(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상 영상에 동요하지 않거나 제시되는 메뉴를 잘 수행하는 경우 또는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를 의도한대로 잘 움직이는 경우에, 제어부(110)는 발달 장애인이 HMD 기기(200) 등에 적응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When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is not disturbed by the virtual phenomenon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200 or performs the presented menu well while wearing the HMD device 200 and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600, or when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600 If it moves well as intended,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has adapted to the HMD device 200, etc.

서버(100)는, 발달 장애인의 HMD 기기(200)에 대한 적응도에 따라 HMD 기기(200)에 적응을 돕는 시나리오 및 콘텐츠(즉, 제1 단계 레벨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발달 장애인이 HMD 기기(200)를 착용한 상태에 거부감이 없는 경우에 학습 시나리오 및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0 provides scenarios and content (i.e., content at the first level) that help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dapt to the HMD device 200 according to the degree of adaptability to the HMD device 200, and allows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to use the HMD device 200. If there is no resistance to wearing the device 200, learning scenarios and content can be provided.

발달 장애인이 자가 학습(self-education)이 가능할 정도로 HMD 기기(200) 및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에 적응한 경우라면, 발달 장애인 스스로 HMD 기기(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포함된 콘텐츠를 이해하고 지시를 따를 수 있다.If a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has adapted to the HMD device 200 and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 or 600 to the extent that self-education is possible, the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can use the content included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200. Able to understand and follow instructions.

상기 서버(100)는, 발달 장애인의 학습을 위한 메뉴를 선택하는 메뉴선택부(120); 발달 장애인의 학습 수준 또는 HMD 기기(200)에 대한 적응도에 따른 학습 수준을 선택하는 레벨선택부(130); 발달 장애인의 학습 형태를 제시하는 과정선택부(140); 및 발달 장애인의 학습 과목을 제시하는 교과선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100 includes a menu selection unit 120 that selects a menu for learning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level selection unit 130 that selects a le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learning level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or adaptability to the HMD device 200; Course selection unit (140) that presents learning pattern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 subject selection unit 150 that presents learning subject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우선, 발달 장애인은 메뉴선택부(120)에서 제시되는 메뉴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학습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벨선택부(130), 과정선택부(140) 또는 교과선택부(150) 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발달 장애인은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를 움직여서 원하는 메뉴를 포인팅함으로써 해당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First, a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can select the learning menu he or she wants from among the menus presented in the menu selection unit 120. For example, one menu from the level selection unit 130, course selection unit 140, or subject selection unit 150 can be selected. At this time,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can execute the menu by moving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 600) and pointing to the desired menu.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선택부(130)는 HMD 기기(200)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표시되며, 발달 장애인이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를 사용하여 선택할 수 있는 제1 단계 레벨(132), 제2 단계 레벨(134), 제3 단계 레벨(136) 및 제4 단계 레벨(138)의 하위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level selection unit 130 is displayed on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200, and provides a first level level ( 132), it may include submenus of the second level 134, the third level 136, and the fourth level 138.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달 장애인이 HMD 기기(200)에 적응하지 못한 경우에는 서버(100) 또는 제어부(110)가 발달 장애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강제적으로 제1 단계 레벨(132)을 선택할 수도 있고, HMD 기기(200)에 어느 정도 적응한 발달 장애인이 스스로 제1 단계 레벨(132)을 선택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f a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is unable to adapt to the HMD device 200, the server 100 or the control unit 110 may forcibly select the first level 132 regardless of the will of the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who has adapted to the HMD device 200 to some extent may select the first level 132 on his or her own.

레벨선택부(130)는 발달 장애인이 HMD 기기(200)에의 적응도 뿐만 아니라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에서 제공되는 교육 시나리오, 콘텐츠 또는 커리큘럼의 수준에 따라 하위 메뉴를 제공하게 된다.The level selection unit 130 provides submenus based on the level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s adaptability to the HMD device 200 as well as the level of the educational scenario, content, or curriculum provided by 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발달 장애인이 레벨선택부(130)에서 제2 단계 레벨(134), 제3 단계 레벨(136) 또는 제4 단계 레벨(138)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한 레벨에 대한 안내 문구가 HMD 기기(200)에 영상으로 제시되거나 서버(100)의 음성안내부(197)를 통해 발달 장애인에게 제시될 수 있다.When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selects one of the second level 134, third level 136, or fourth level 138 in the level selection unit 130, a guide message for the selected level is displayed on the HMD device. It may be presented as a video in 200 or to a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the voice guidance unit 197 of the server 100.

발달 장애인이 제시되는 안내 문구 또는 음성 안내 지시를 잘 따르는 것을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각 레벨에 해당하는 과정 또는 교과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follows the presented guidance text or voice guidance instructions well, the control unit 110 may select a course or subject corresponding to each level.

만약, 발달 장애인이 제시되는 안내 문구 또는 음성 안내 지시를 잘 따르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110)는 제1 단계 레벨(132)을 강제로 실행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is unable to follow the presented guidance text or voice guidance instructions, the control unit 110 may forcibly execute the first level 132.

레벨선택부(130)에 속하는 각 레벨별로 과정선택부(140) 또는 교과선택부(150)의 메뉴가 발달 장애인에게 제시될 수 있다.The menu of the course selection unit 140 or the subject selection unit 150 for each level belonging to the level selection unit 130 may be presented to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다만, 서버(100) 또는 제어부(110)는, 발달 장애인이 레벨선택부(130)의 제1 단계 레벨(132)을 통과한 경우에 한하여 과정선택부(140) 및 교과선택부(150)의 하위 메뉴를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However, the server 100 or the control unit 110 selects the course selection unit 140 and the subject selection unit 150 only when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passes the first level 132 of the level selection unit 130. You can control to select submenu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정선택부(140)는, 홈스쿨링(142), 사회성 교육(144), 학습용 놀이(146), 기기 교육(148)의 과정을 발달 장애인에게 제시할 수 있다. 즉, 발달 장애인이 HMD 기기(200)의 가상 현실 영상에서 제시되는 과정선택부(140)의 4가지 과정을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로 선택하여 자신이 원하는 과정을 학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course selection unit 140 can present the courses of homeschooling (142), social education (144), learning play (146), and device education (148) to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is,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can learn the desired course by selecting the four courses of the course selection unit 140 presented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of the HMD device 200 using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 and 600.

과정선택부(140)는, 발달 장애인이 가정에서 소정의 교육을 이수하게 하는 홈스쿨링(142) 과정 및 발달 장애인이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에서 오프라인 교육을 받는 경우를 대비하여 교육기관의 구성원에 대한 대인 관계를 교육하는 사회성 교육(144) 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urse selection unit 140 provides homeschooling (142) courses that allow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complete prescribed education at home and provide information to member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cas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ceive offline educatio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A social skills education (144) course that teach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an be provided.

과정선택부(140)의 홈스쿨링(142) 과정은 발달 장애인에게 초중고 과정을 이수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한다. 홈스쿨링(142) 과정은 지적 능력이 정상인과 큰 차이가 없는 발달 장애인에게 적합한 과정이다. 다만, 홈스쿨링(142) 과정은 학교를 대신할 수 있을 정도의 모든 교육을 제공하기 보다는 발달 장애인이 학교 등 교육기관에 출석해서 오프라인으로 교육을 받기 위한 준비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The homeschooling (142) course in the course selection department (140) provides education for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to complet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ourses. The homeschooling (142) course is suitabl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se intellectual abilitie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normal people. However, rather than providing a full range of education that can replace school, the homeschooling (142) process can be said to be a preparation proces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ttend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and receive offline education.

과정선택부(140)의 사회성 교육(144) 과정은 발달 장애인이 학교 등에 직접 출석해서 오프라인 교육을 받을 경우에 교과 학습 능력 외에 필요한 교우 관계에 관한 교육 과정이다. 즉, 친구들과 잘 어울릴 수 있고 또래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가상 현실에서 도움을 주는 교육 과정이다. 또한, 친구들 외에 학교의 선생님과의 관계에 대한 교육도 제공할 수 있다.The social education (144) course of the course selection unit (140) is an education course on peer relationships necessary in addition to subject learning skills when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ttends school in person and receives offline education. In other words, it is an educational course that helps students get along well with their friends and adapt well to peer society in virtual reality. Additionally, education can be provided on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t school in addition to friends.

사회성 교육(144) 과정을 선택하게 되면, HMD 기기(200)의 가상 현실 영상을 통해서 발달 장애인은 또래들과 교실에서 생활하는 가상 현실을 체험할 수 있고 서버(100)는 발달 장애인이 또래들과의 트러블에 대처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성 교육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 있다.If the social skills education (144) course is selected,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can experience the virtual reality of living in a classroom with peers through the virtual reality image of the HMD device 200, and the server 100 allows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to interact with peers. We can provide a variety of social education scenarios so that you can gain experience in coping with problems.

과정선택부(140)의 학습용 놀이(146) 과정은 사회성 교육(144) 과정과 연계하여 발달 장애인이 가상 현실 내에서 체육 활동을 하거나 또래들과 간단한 게임을 하는 등의 학습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The learning play (146) course of the course selection unit (140) can be linked to the social education (144) course to provide learning experiences such as engaging in physical education in virtual reality or playing simple games with peers. .

과정선택부(140)의 기기 교육(148)은 HMD 기기(200) 및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의 사용 방법을 발달 장애인에게 교육하는 과정이다. 기기 교육(148) 과정은 레벨선택부(130)의 제1 단계 레벨(132)과 연계한 학습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device training 148 of the course selection unit 140 is a process of train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ow to use the HMD device 200 and the hand motion controller 300 and 600. The device training 148 process may provide a learning scenario linked to the first level 132 of the level selection unit 13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의 교과선택부(150)는 국어 교육(152), 영어 교육(154), 수학 교육(156) 및 예체능 교육(158)을 포함하는 학습 교과목에 선택을 제공한다.As shown in FIG. 6, the subject selection unit 150 of the server 100 selects learning subjects inclu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152), English education (154), mathematics education (156), and arts and physical education (158). provides.

발달 장애인은 착용한 HMD 기기(200)의 가상 현실 영상에 제시되는 교과선택부(150)의 하위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교과목의 학습을 체험할 수 있다.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can experience learning of a subject by selecting a sub-menu of the subject selection unit 150 presented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of the HMD device 200 worn.

교과선택부(150) 중 국어 교육(152)을 선택한 경우, 발달 장애인의 학습 수준 또는 지적 능력에 따라 단어 학습, 문장 학습 등을 선택할 수 있다.If Korean language education (152) is selected in the subject selection section (150), word learning, sentence learning, etc. can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learning level or intellectual abilit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단어 학습을 선택한 경우, 서버(100)는, HMD 기기(200)에 제시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해서 발달 장애인의 시선이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객체에 대해 문자(단어)를 보여주고 발달 장애인이 해당 문자(단어)를 발음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발달 장애인이 문자(단어)를 발음하는 소리를 청취하기 위해서 HMD 기기(200)에는 마이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When word learning is selected, the server 100 displays letters (words) for objects on which the gaze of a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stay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on the virtual reality image presented on the HMD device 200, and the server 100 displays the corresponding letter ( You can be encouraged to pronounce words). A microphone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HMD device 200 to listen to the sound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pronouncing letters (words).

서버(100)는, 국어 교육(152)이 선택된 경우에 HMD 기기(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표현되는 각종 객체(예를 들면, 사물이나 사람 등) 중에서 단어 학습의 대상이 되는 객체를 다른 객체와 구별되도록 표시하고(예를 들면, 해당 객체를 하이라이트 표시하거나 깜박거리도록 표시) 해당 객체를 발달 장애인이 발음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교육은 발달 장애인이 국어 교육(152)에 어느 정도 적응이 된 상태에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Korean language education 152 is selected, the server 100 selects an object that is the target of word learning from among various objects (e.g., objects, people, etc.) expressed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200. Objects can be marked to distinguish them from other objects (for example, by highlighting or blinking the object) and have the object be pronounced by a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However, it is desirable to apply this type of education when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has adap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152) to some extent.

만약, 발달 장애인의 수준이 제2 단계 레벨이라면 가상 현실 영상 중에서 깜박거리는 객체를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고 깜박거리는 객체로 인해 불안감을 느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은 발달 장애인이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국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학습 주도권을 발달 장애인에게 주는 것에 특징이 있다. If a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is at level 2, he or she may not be able to recognize a blinking object in a virtual reality image and may feel anxious due to the blinking object. 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giving learning initiative to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so that they can rece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 psychologically stable stat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은 HMD 기기(200)의 가상 현실 영상에 표현된 단어 학습 대상 객체들 중에서 발달 장애인의 시선이 일정시간(기준시간) 이상 머무르는 객체를 단어 학습의 대상으로 함으로써, 발달 장애인이 알고 있는 객체(물건)에 대한 단어 학습을 할 수 있다.Therefore, 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s gaze to stay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reference time) among the word learning target objects expressed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of the HMD device 200. By using objects as the object of word learn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learn words about objects (things) they know.

예를 들어,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발달 장애인의 시선이 일정시간(기준시간) 이상 머무는 가상 현실 영상 중의 객체를 발견하면, 표시부(199)로 하여금 해당 객체가 깜박거리게 하거나 밝게 빛나게 만들어서 발달 장애인이 해당 객체에 대한 단어 학습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발달 장애인이 해당 객체를 발음한 것이 맞을 경우에는 객체에 해당하는 문자를 영상에 표시하고 음성안내부(197)에서 해당 객체의 발음을 들려 줄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110 of the server 100 discovers an object in a virtual reality image where the gaze of a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stays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standard time), it causes the display unit 199 to make the object blink or shine brightly. By creating it, you can encourage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to learn words for the object. Additionally, if it is correct that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pronounced the object in question, the letter corresponding to the object may be displayed on the image and the pronunciation of the object may be played in the voice guidance unit 197.

만약, 발달 장애인이 해당 객체를 정확하게 발음하지 못한 경우에, 서버(100)는 반복적으로 동일 객체의 발음을 유도하기 보다는 가상 현실 영상을 바꿔서 발달 장애인의 기분을 전환한 후에 다른 객체에 대한 단어 훈련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fails to pronounce the object correctly, the server 100 changes the virtual reality image to change the mood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rather than repeatedly inducing pronunciation of the same object, and then provides word training for a different object. It is advisable to try.

또한, 서버(100)는, HMD 기기(200)의 마이크를 통해 인식된 발달 장애인의 발음을 교정해 주되 발달 장애인의 학습 능력을 고려하여 발음 대상 객체와 유사하고 발달 장애인에게 익숙한 객체에 관한 단어를 예시로 들어서 발음을 교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0 corrects the pronunciation of a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recognized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HMD device 200, and takes into account the learning ability of the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uses words related to objects similar to the object to be pronounced and familiar to the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You can correct your pronunciation by using examples.

또한, 서버(100)는, HMD 기기(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 중 발달 장애인의 시선이 일정시간 이상 머무르는 객체에 대한 단어를 단순히 발음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해당 객체에 해당하는 단어(예를 들면, 객체의 명칭)를 활용하여 문장을 만드는 학습까지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발달 장애인이 흥미를 가지는 대상이나 분야 등을 데이터베이스(500)에서 분석하여 발달 장애인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분야의 문장에 해당 객체의 단어를 활용하는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해당 객체의 단어를 포함하는 문장을 이용한 놀이를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보여 주고 발달 장애인이 체험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0 not only pronounces a word for an object on which the gaze of a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stay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mong the virtual reality images displayed on the HMD device 200, but also provides a word corresponding to the object (e.g. , the name of the object) can be used to learn how to create sentences. At this time, the server 100 may analyze the objects or fields in which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is interested in the database 500 and conduct learning to use the words of the object in sentences of fields in which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may be interested. Additionally, to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play using sentences containing words for the object can be shown as a virtual reality video and allowed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experience it.

한편, 발달 장애인이 교과선택부(150) 중에서 영어 교육(154)을 선택한 경우에, 서버(100)는 국어 교육(152)의 경우와 유사한 학습 시나리오, 콘텐츠 또는 커리큘럼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selects English education 154 from the subject selection unit 150, the server 100 may provide learning scenarios, content, or curriculum similar to th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152.

영어 교육(154)의 경우에는 국어 교육(152) 보다는 높은 학습 능력을 요구한다. 일반적으로 발달 장애인에게 한글도 익숙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한글도 익숙하지 않은 발달 장애인에게 영어를 교육하는 것은 더욱 어려울 수 있다. English education (154) requires higher learning ability than Korean language education (152). In general, man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not familiar with Korean, so teaching English to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not familiar with Korean can be even more difficul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은 발달 장애인에 대한 영어 교육을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국어 교육과는 다른 다양한 학습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현실 영상에 표현되어 있는 객체(사물이나 사람)에 대한 영어 단어 학습 외에 해당 객체를 포함한 영어 노래를 학습에 이용하거나 간단한 놀이를 학습에 이용할 수도 있다.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learning scenarios different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education for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For example, in addition to learning English words for objects (objects or people) expressed in virtual reality images, English songs containing the objects can be used for learning, or simple games can be used for learn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의 서버(100)는 영어 교육(154)이 선택된 경우에, 발달 장애인의 영어 학습 능력 또는 수준을 고려하여 테솔(TESOL) 기반의 영어 교육 시나리오 또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English education 154 is selected, the server 100 of 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s the English learning ability or level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nd uses TESOL-based education. of English education scenarios or content can be provided.

테솔(TESOL; Teaching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은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사람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방법(교수법)을 교육하는 것이다. 서버(100)는 테솔 기반의 커리큘럼에 기반하여 발달 장애인의 영어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TESOL (Teaching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provides education on how to teach English to people whose native language is not English. The server 100 can conduct English learning for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based on a TESOL-based curriculum.

교과선택부(150) 중 수학 교육(156)이 선택되면, 서버(100)는 발달 장애인의 학습 수준 또는 학습 능력을 고려한 수학 교육 시나리오 및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When mathematics education 156 is selected from the subject selection unit 150, the server 100 may provide mathematics education scenarios and content considering the learning level or learning abilit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교과선택부(150) 중 예체능 교육(158)이 선택되면, 서버(100)는 발달 장애인에게 음악 교육, 간단한 체육 교육, 드로잉과 같은 간단한 미술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체육 교육 및 미술 교육은 발달 장애인이 핸드 모션 컨트롤러(300,600)를 이용하여 진행하게 된다. 또한, 예체능 교육(158)은 과정선택부(140)의 학습용 놀이(146)와 연계되어 학습을 제공할 수도 있다.Whe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158 is selected from the subject selection unit 150, the server 100 can provide music education, simple physical education, and simple art education such as drawing to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hysical education and art education are conducted by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using hand motion controllers (300, 600). In addition,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education 158 may provide learning in connection with the learning play 146 of the course selection unit 140.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의 서버(100)는, 발달 장애인의 학습 이력 데이터를 관리하는 학습이력 관리부(160); 발달 장애인의 학습 성과를 평가하는 학습평가부(170); 발달 장애인의 학습 과정 중의 행동을 평가하는 행동평가부(176); 및 학습평가부(170) 및 행동평가부(176)의 평가 결과를 발달 장애인의 보호자 또는 담당 보육기관에 전달하는 피드백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3, the server 100 of 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160 that manages learning history data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earning Evaluation Department (170), which evaluates the learning outcom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havioral Evaluation Department (176), which evaluates the behavior of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during the learning process; and a feedback unit 180 that deliver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learning evaluation unit 170 and the behavior assessment unit 176 to the guardian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or the responsible child care institution.

학습이력관리부(160)는 발달 장애인이 메뉴선택부(120), 레벨선택부(130), 과정선택부(140) 및 교과선택부(150)의 하위 메뉴를 선택하여 학습을 체험한 이력을 저장 및 분석할 수 있다. 발달 장애인의 학습 이력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될 수 있는데, 학습이력관리부(160)는 데이터베이스(500)와 연동하여 발달 장애인의 학습 이력을 분석하고 관리할 수 있다.The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160 stores the history of the learning experience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by selecting the submenus of the menu selection unit 120, level selection unit 130, course selection unit 140, and subject selection unit 150. and analysis. The learning history data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500, and the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160 can analyze and manage the learning histor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in conjunction with the database 500.

학습이력관리부(160)는 발달 장애인의 학습이력을 분석하여 부족하는 부분이나 레벨을 높이거나 낮춰야 하는 부분을 발달 장애인의 보호자 등에게 알려줄 수 있다.The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160 can analyze the learning histor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nd inform the guardian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of areas that are lacking or areas where the level needs to be raised or lowered.

학습이력관리부(160)는 과정선택부(140) 및 교과선택부(150)의 하위 메뉴에서 제시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즉, 과정선택부(140) 및 교과선택부(150)의 하위 메뉴에서 HMD 기기(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의 콘텐츠를 업데이트하거나 변경하여, 발달 장애인의 학습 진도를 발전시킬 수 있다.The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160 can update the virtual reality images presented in the submenus of the course selection unit 140 and the subject selection unit 150. That is, the content of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200 can be updated or changed in the submenu of the course selection unit 140 and the subject selection unit 150 to improve the learning progress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학습평가부(170)는 발달 장애인이 학습 성취도를 평가하는 부분이고, 행동평가부(176)는 발달 장애인의 사회성 교육 결과를 평가하는 부분이다.The learning evaluation unit 170 is a part that evaluates the learning achievements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the behavior evaluation part 176 is a part that evaluates the social education results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학습평가부(170) 및 행동평가부(176)의 평가 결과는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될 뿐만 아니라 피드백부(180)에 전달될 수 있다.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learning evaluation unit 170 and the behavior evaluation unit 176 may be not only stored in the database 500 but also transmitted to the feedback unit 180.

피드백부(180)는 학습이력관리부(160), 학습평가부(170) 및 행동평가부(176)로부터 데이터를 전달 받아 발달 장애인의 보호자 또는 교육기관(학교)의 교사에게 전달할 수 있다.The feedback unit 180 can receive data from the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160, the learning evaluation unit 170, and the behavior evaluation unit 176 and deliver it to the guardian of a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r a teacher at an educational institution (school).

교사는 피드백부(180)에서 받은 발달 장애인의 학습 관련 데이터(학습 이력 및 평가 데이터 포함)를 전달 받아, 해당 발달 장애인이 교육기관에서 오프라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인지 판단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부(180)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교육기관에서 오프라인 교육을 받을 수 있다고 판단하면 그러한 내용을 피드백부(180)에 전송하고, 오프라인 교육을 받을 수 없는 경우라고 판단하면 그 결과만 단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부분으로 인해 오프라인 교육에 부적합하고 어떤 부분을 어떻게 보완하면 오프라인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피드백부(180)에 전송할 수 있다.The teacher receives the learning-related data (including learning history and evaluation data)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received from the feedback unit 180, determines whethe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can receive offline education 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reports the results to the feedback unit ( 180). I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determines that offline education can be received, the contents are transmitted to the feedback unit 18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offline education cannot be received, the results are not simply transmitted, but the offline education is required due to some aspect. A message informing that offline training can be received can be sent to the feedback unit 180 if the inappropriate part needs to be supplemented.

피드백부(180)는 피드백 결과를 분석하여 발달 장애인이 교육기관에서 오프라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데 도움이 되는 학습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데이터베이스(500), 학습이력관리부(160) 및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The feedback unit 180 analyzes the feedback results to derive a learning scenario that is helpful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receive offline educatio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ransmits it to the database 500, the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160, and the control unit 110.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10)은 발달 장애인의 선택 외에 교사나 보호자의 희망 사항, 발달 장애인의 개인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하여 발달 장애인에게 필요한 학습 과정을 추천하고, 최종적으로는 발달 장애인이 학교기관에서 오프라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수준이 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mmends a learning proces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based on the teacher or guardian's wishes, personal data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etc. in addition to the selection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nd finally The goal may be to enabl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receive offline education at school institutions.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내지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system or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purpose or special-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A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that run on the operating system. Additionally, a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a single processing device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a processing device includes multiple processing elements and/or multiple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multiple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Additionally,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such as parallel processors, are possible.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which may configure a processing unit to operate as desired, or may be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used on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is does not mea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from this descrip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all modification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
100: 서버 110: 제어부
120: 메뉴선택부 130: 레벨선택부
140: 과정선택부 150: 교과선택부
160: 학습이력관리부 170: 학습평가부
176: 행동평가부 180: 피드백부
191: 통신부 193: 그래픽 랜더링 엔진
195: 핸드 모션 엔진 197: 음성안내부
199: 표시부 200: HMD 기기
300,600: 핸드 모션 컨트롤러 400: 교사용 단말기
500: 데이터베이스
10: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learning of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100: server 110: control unit
120: Menu selection unit 130: Level selection unit
140: Course selection department 150: Course selection department
160: Learning history management department 170: Learning evaluation department
176: Behavior evaluation department 180: Feedback department
191: Communication Department 193: Graphics rendering engine
195: Hand motion engine 197: Voice guidance unit
199: display unit 200: HMD device
300,600: Hand motion controller 400: Teacher terminal
500: Database

Claims (10)

학습 시나리오 및 콘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서버; 및
발달 장애인의 머리에 장착되어 상기 학습 시나리오 및 콘텐츠가 포함된 가상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HMD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HMD 기기에 대한 발달 장애인의 적응도에 따른 학습 시나리오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
A server that stores and executes learning scenarios and content; and
A HMD device mounted on the head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nd displaying a virtual reality image containing the learning scenario and content;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stud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wherein the server provides learning scenarios and content according to the adaptabilit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to the HMD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발달 장애인의 상기 HMD 기기에 대한 적응도에 따라 상기 HMD 기기에 적응을 돕는 시나리오 및 콘텐츠를 제공하고,
발달 장애인이 상기 HMD 기기를 착용한 상태에 거부감이 없는 경우에 학습 시나리오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rver provides scenarios and content that help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dapt to the HMD device according to his or her adaptability to the HMD device,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stud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learning scenarios and content when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does not feel uncomfortable wearing the HMD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발달 장애인이 상기 HMD 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발달 장애인의 정신적 또는 육체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콘텐츠를 상기 HMD 기기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erver is,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stud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characterized in that content that can promote mental or physical stabilit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while wearing the HMD device is provided through the HMD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발달 장애인의 학습을 위한 메뉴를 선택하는 메뉴선택부;
발달 장애인의 학습 수준 또는 상기 HMD 기기에 대한 적응도에 따른 학습 수준을 선택하는 레벨선택부;
발달 장애인의 학습 형태를 제시하는 과정선택부; 및
발달 장애인의 학습 과목을 제시하는 교과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rver is,
A menu selection unit that selects a menu for learning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level selection unit that selects a le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learning level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or adaptability to the HMD device;
Course selection section that presents learning pattern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stud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comprising a subject selection section that presents learning subjects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선택부는,
발달 장애인이 상기 HMD 기기에 대한 적응도가 기준치에 미달하거나 상기 HMD 기기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단계 레벨을 선택하며,
상기 제1 단계 레벨의 경우에는 발달 장애인에 대한 개인 성향 데이터에 기반하여 발달 장애인이 거부감을 가지지 않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level selection unit,
I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s adaptability to the HMD device is below the standard or if it is the first time to use the HMD device, the first level is selected,
In the case of the first level,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stud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content that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do not object to, based on personal preference data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발달 장애인이 상기 레벨선택부의 상기 제1 단계 레벨을 통과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과정선택부 및 상기 교과선택부의 하위 메뉴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The server is,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stud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sub-menu of the course selection unit and the subject selection unit to be selected only when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passes the first level of the level selection unit.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선택부는,
발달 장애인이 가정에서 소정의 교육을 이수하게 하는 홈스쿨링 과정 및 발달 장애인이 교육기관에서 오프라인 교육을 받는 경우를 대비하여 교육기관의 구성원에 대한 대인 관계를 교육하는 사회성 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6,
The course selection department,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homeschooling course that allows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complete a certain amount of education at home and a social education course that teach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member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preparation for cases wher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ceive offline educatio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learning for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과선택부는 국어 교육, 영어 교육 및 수학 교육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며,
상기 교과선택부에 의해 국어 교육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서버는,
상기 HMD 기기에 제시되는 영상에 대해서 발달 장애인의 시선이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객체에 대해 문자를 보여주고 발달 장애인이 해당 문자를 발음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HMD 기기를 통해 인식된 발달 장애인의 발음을 교정해 주되 발달 장애인의 학습 능력을 고려하여 해당 객체와 유사하고 발달 장애인에게 익숙한 단어를 예시로 들어서 발음을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6,
The subject selection department provides any on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nglish education, and mathematics education,
Whe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selected by the subject selection unit, the server,
For the image presented on the HMD device, letters are shown for objects on which the gaze of the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resid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is encouraged to pronounce the letter, and the pronunciation of the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recognized through the HMD device is corrected.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stud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learning abilit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corrects pronunciation by using words similar to the object and familiar to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s exampl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과선택부에 의해 영어 교육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서버는,
발달 장애인의 영어 학습 능력 또는 수준을 고려하여 테솔 기반의 영어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8,
When English education is selected by the subject selection unit, the server,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stud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characterized by providing TESOL-based English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nglish learning ability or level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발달 장애인의 학습 이력 데이터를 관리하는 학습이력 관리부;
발달 장애인의 학습 성과를 평가하는 학습평가부;
발달 장애인의 학습 과정 중의 행동을 평가하는 행동평가부; 및
상기 학습평가부 및 상기 행동평가부의 평가 결과를 발달 장애인의 보호자 또는 담당 보육기관에 전달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 장애인의 자가 학습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시스템.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9,
The server is,
Learning History Management Department, which manages learning history data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earning Evaluation Department, which evaluates the learning outcom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havioral Evaluation Department, which evaluates the behavior of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during the learning process; and
A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stud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comprising a feedback unit that deliver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learning evaluation unit and the behavior evaluation unit to the guardian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or the child care institution in charge.
KR1020220119095A 2022-09-21 2022-09-21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learn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R2024004027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095A KR20240040277A (en) 2022-09-21 2022-09-21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learn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095A KR20240040277A (en) 2022-09-21 2022-09-21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learn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277A true KR20240040277A (en) 2024-03-28

Family

ID=90482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095A KR20240040277A (en) 2022-09-21 2022-09-21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learn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0277A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701B1 (en) 2018-06-20 2019-05-23 주식회사 에스피지코리아 Educational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s Using Virtual Reality
KR20190095566A (en) 2017-12-11 2019-08-16 주식회사 테크인모션 Vr education system
KR102082313B1 (en) 2018-11-14 2020-02-27 주식회사 아텍 Historical experience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KR20210123771A (en) 2020-04-06 2021-10-14 이수진 Two-way immersion class system to replace school classes
KR102330218B1 (en) 2018-12-26 2021-11-24 (주)소프트젠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disabled pers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566A (en) 2017-12-11 2019-08-16 주식회사 테크인모션 Vr education system
KR101981701B1 (en) 2018-06-20 2019-05-23 주식회사 에스피지코리아 Educational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s Using Virtual Reality
KR102082313B1 (en) 2018-11-14 2020-02-27 주식회사 아텍 Historical experience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KR102330218B1 (en) 2018-12-26 2021-11-24 (주)소프트젠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disabled person
KR20210123771A (en) 2020-04-06 2021-10-14 이수진 Two-way immersion class system to replace school clas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lpaeme et al. Social robots for education: A review
Vanbecelaere et al. The effectiveness of adaptive versus non‐adaptive learning with digital educational games
Johnson-Glenberg et al. Effects of embodied learning and digital platform on the retention of physics content: Centripetal force
Tomé et al. Using serious games for cognitive disabilities
Delamarre et al. The interactive virtual training for teachers (IVT-T) to practice classroom behavior management
Buzzi et al. Personalized technology-enhanced training for people with cognitive impairment
Webster et al. System usability scale (sus): Oculus rift® dk2 and samsung gear vr®
Abbott et al. Learning difference and digital technologies: a literature review of research involving children and young people using assistive technologies 2007-2010
Hallberg et al. Experiences and outcomes of craft skill learning with a 360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and a head-mounted display
Sunday et al. Investigating the effect of imikode virtual reality game in enhancing object oriented programming concept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Nigeria
CN113748449B (en) Evaluation and training system
Dengel Effects of Immersion and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 in Immersive Educational Virtual Environments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Schneider et al. Stand tall and raise your voice! a study on the presentation trainer
Varina et al. Features of implementation of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in the psycho-correctional process of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professional self-determination
Güldenpfennig et al. Enabling learning experiences for visually impaired children by interaction design
KR20240040277A (en)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system for self-learn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zhak et al. Usability and user experience of an individualized and adaptive game-based therapy for children with cerebral visual impairment
Sage et al. Theories informing teaching of success abilities
Bennett et al. Computer technology: Possibilities and pitfalls
Gleason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Directors of special services' perceptions
Domingo et al. Trai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Promoting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ozgeyikli Virtual reality serious games for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sign considerations
Aziz Conceptual Design and Development Model of Assistive Courseware for Young Low Vision Learners (AC4LV)
Gonzales et al. Supporting Students with Vision Impairment
Rezer Analysis of the young people’s ways of perception in the educational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