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293A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player according to motion control mode in contents streaming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player according to motion control mode in contents stream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293A
KR20240038293A KR1020220116898A KR20220116898A KR20240038293A KR 20240038293 A KR20240038293 A KR 20240038293A KR 1020220116898 A KR1020220116898 A KR 1020220116898A KR 20220116898 A KR20220116898 A KR 20220116898A KR 20240038293 A KR20240038293 A KR 20240038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unction
video player
signal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8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빙
Priority to KR102022011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8293A/en
Priority to PCT/KR2023/013168 priority patent/WO2024058475A1/en
Publication of KR20240038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2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에서 모션 제어 모드에 따라 영상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영상 플레이어를 모션 제어 모드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장치의 기울기 감지 신호 또는 충격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은 음량 제어 기능, 밝기 제어 기능, 재생/정지 기능 또는 빨리감기/되감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video player according to a motion control mode in a content streaming system.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video player according to a motion control mode in a device including a processor and memory includes tilt detection of the device. Detecting at least one of a signal or an impact detection signal, determining a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in response to the detected signal, and controlling the video player in response to the determined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lume control function, a brightness control function, a play/pause function, or a fast forward/rewind function.

Description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에서 영상 플레이어를 모션 제어 모드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PLAYER ACCORDING TO MOTION CONTROL MODE IN CONTENTS STREAMING SYSTEM}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video player according to a motion control mode in a content stream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PLAYER ACCORDING TO MOTION CONTROL MODE IN CONTENTS STREAMING SYSTEM}

본 개시는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에서 영상 플레이어를 모션 제어 모드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disclosure relates to a content streaming system, and to a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video player in a content streaming system according to a motion control mode.

다양한 기술의 발전 및 소비의 트랜드 변화에 따라, 컨텐츠 공급 및 소비 방식에 큰 변화가 발생하였다. 디지털 기술, 컴퓨터 기술, 인터넷/통신 기술 등의 발전은 컨텐츠의 종류 및 생산 주체에 대한 경계를 허물어지게 하였으며, 이는 컨텐츠에 대한 생산 및 소비 패턴의 큰 변화를 야기하였다. 일반인들도 컨텐츠를 창작 및 배포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플랫폼들이 생겨났다. 또한, 다양한 컨텐츠로의 접근 용이성이 확보되었고, 소비 방식에 다양한 옵션들이 제공되기 시작하였다.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chnologies and changes in consumption trends, significant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way content is supplied and consumed. Advances in digital technology, computer technology, and Internet/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blurred the boundaries between types of content and who produces them, causing major changes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for content. Platforms have emerged that allow ordinary people to create and distribute content. In addition, ease of access to various contents was secured, and various options for consumption methods began to be provided.

이러한 컨텐츠 산업의 많은 변화들의 가운데, OTT(over the top) 서비스가 존재한다. OTT 서비스는 인터넷 및 모바일 통신 기반의 미디어 플랫폼으로서, 기존의 방송 서비스를 넘어서 별도의 셋탑 박스와 같은 장비 없이도 다양한 컨텐츠들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한다. OTT 서비스의 개념은 최초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을 VOD(video on demand)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시작하였으나, 현재 OTT 서비스 제공자의 자체 제작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모바일 플랫폼까지도 그 영역을 확대하는 등 여전히 확장 중에 있는 서비스이다.Among these many changes in the content industry, OTT (over the top) services exist. OTT service is a media platform based on the Internet and mobile communications that goes beyond existing broadcasting services and provides consumers with a variety of content without the need for equipment such as a separate set-top box. The concept of OTT service first began with providing movies, television programs, etc. in VOD (video on demand), but it is still expanding its scope to include mobile platforms as well as providing OTT service providers' self-produced content. This service is in the process of expansion.

본 개시는 영상 플레이어를 모션 제어 모드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video player according to a motion control mode.

본 개시는 영상 플레이어를 보다 쉽게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for easier operation of a video player.

본 개시는 모션 제어 모드를 이용하여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is intended to control the functions of a video player using a motion control mode.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is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제어 모드에 따라 영상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장치의 기울기 감지 신호 또는 충격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은 음량 제어 기능, 밝기 제어 기능, 재생/정지 기능 또는 빨리감기/되감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controlling a video player according to a motion control mode includes detecting at least one of a tilt detection signal or an impact detection signal of a device, A step of determining a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and controlling the video player in response to the determined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wherein the functions of the video player include a volume control function, a brightness control function, a play/pause function, or a fast forward fun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rewind functions.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동작 모드를 상기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a user's mode change request and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video player to the motion control mode in response to the user's mode change reques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장치 흔들기 동작 또는 시간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s request to switch modes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user's touch input, device shaking motion, or time setting.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영상 조작 항목 중 되감기 항목 또는 빨리 감기 항목에 대한 일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s touch input may be a touch inpu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on a rewind item or a fast forward item among video manipulation items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of the video player.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울기 감지 신호는, 상기 장치의 우측 회전 신호, 좌측 회전 신호, 우측 기울기 신호, 좌측 기울기 신호, 하측 회전 신호 또는 상측 회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ilt detection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ight rotation signal, a left rotation signal, a right tilt signal, a left tilt signal, a lower rotation signal, or an upper rotation signal of the devic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울기 감지 신호 또는 상기 충격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한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tilt detection signal or the impact detection signal may be set by the user.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f a user and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동작 모드를 상기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video player to the motion control mode in response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운동 상태 또는 사용자의 이동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the user's location, the user's exercise state, or the user's means of transportation.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또는 무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location may be determined by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ignal or an identifier of an access point of a wireless network.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 또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 수단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장치 내부의 자이로스코프, 가속도 센서 또는 GPS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exercise state or the user's means of transportation may be detected by at least one of a gyroscope,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PS sensor inside the devic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 제어의 재조정 상황 발생을 인식하는 단계 장치가 실제 수행한 제어 및 사용자가 의도한 제어를 확인하는 단계 및 모션 신호 및 기능 제어 간 맵핑(mapping) 관계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cognizing the occurrence of a situation of readjustment of function control, confirming the control actually performed by the device and the control intended by the user, and updating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on signal and the function control. May include steps.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제어 모드에 따라 영상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의 기울기 감지 신호 또는 충격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은 음량 제어 기능, 밝기 제어 기능, 재생/정지 기능 또는 빨리감기/되감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vice for controlling a video player according to a motion control mode includes a memory that sto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device and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memory, wherein the processor includes: Detecting at least one signal of a tilt detection signal or an impact detection signal, determining a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in response to the detected signal, and controlling the video player in response to the determined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The functions of the video p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lume control function, a brightness control function, a play/pause function, or a fast forward/rewind function.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The features briefly summarized above with respect to the present disclosure are merely exemplary aspects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below,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 따르면, 두 손 사용이 불편한 경우, 보다 편리하게 영상 플레이어를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ifficult to use two hands, the video player can be operated more conveniently.

본 개시에 따르면, 모션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functions of a video player can be conveniently controlled using motion.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서비스의 개념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제어 모드를 이용한 조작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동작에 대응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에 대응한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장치 흔들기 동작에 대응한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 설정에 대응한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기울임에 대응한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WIFI(Wireless Fidelity) AP(Access Point)에 대응한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한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상태에 대응한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이동수단에 대응한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손 버튼 모드로의 전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선택 메시지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신호에 대응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 맵핑(mapping)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제어 재조정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1 shows a content strea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shows the structure of a cli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3 illustrates the concept of a content stream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show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method using a motion contro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5 illustrates the functions of a video player corresponding to a mo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7 illustrates an example of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corresponding to a user's t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8 illustrates an example of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corresponding to a user's device shaking mo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9 illustrates an example of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corresponding to time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0 illustrates an example of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corresponding to tilt of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1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2 illustrates an example of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using G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3 illustrates an example of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corresponding to a user's WIFI (Wireless Fidelity) Access Point (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4 shows a flowchart of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5 illustrates an example of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corresponding to a user's exercis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6 illustrates an example of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corresponding to the user's means of transpor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7 shows an example of switching to one-hand butt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8 shows a mode switch selection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9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pping functions of a video player corresponding to a mo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0 shows a flowchart of a function control re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m.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elow are only examples of possible implementations. Other functional blocks may be used in other implemen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Additionally, although one or mor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shown as individual blocks, one or more of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 combination of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execute the same function.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expression including certain components is an “open” expression and simply refers to the presence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x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Furthermore,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something to do.

또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되지 아니하는 한, 객체에 대한 단수의 표현은 복수의 표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제2", "제3" 등의 표현들은 해당 객체를, 순서 또는 중요도에 무관하게 수식할 수 있으며, 하나의 객체를 동종의 다른 객체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다.Additionally, unless the context clearly expresses otherwise, singular expressions for objects can be understood as plural expressions. In the present disclosure, expressions such as “A or B” or “at least one of A and/or B” may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can modify the object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and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object from other objects of the same type.

또한, 본 개시에서, "~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하도록 설계된" 중 어느 하나의 표현과 기술적으로 동등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상호 대체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disclosure, “configured to” means “suitable for”, “having the ability to”, “changed to”, “to”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can be understood as having a technically equivalent meaning to any of the expressions “made,” “capable of,” or “designed to,” and can be replaced with each other.

본 개시는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에서 모션 제어 모드에 따라 영상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두 손 사용이 불편한 경우, 영상 플레이어의 동작 모드를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한 손으로도 플레이어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본 개시는 모션 제어를 위한 장치 조작 및 모션 제어 모드로의 모드 전환에 관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여기서, "영상 플레이어"는 영상을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은 컨텐츠 스트리밍,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등 컨텐츠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속하는 엔티티(entity)들을 예시한다. 이하 본 개시에서, 컨텐츠에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들은 '컨텐츠 서비스'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video player according to a motion control mode in a content streaming system. Specifically, in cases where it is inconvenient to use both hands, the video player's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a motion control mode so that one hand can be used. This explains techniques that allow you to manipulate the player. In particular, the present disclosure presents various embodiments regarding device operation for motion control and mode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Here, “video player” may refer to a module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playing video. 1 shows a content strea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 illustrates a system for providing services related to content, such as content streaming and provision of content-related information, and entities belonging to the system. Hereinafter, in this disclosure, various services related to content may be referred to as 'content service' or other terms having equivalent technical meaning.

도 1을 참고하면,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은 클라이언트(client) 장치(110) 및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장치(110)는 3개의 클라이언트 장치들(110-1 내지 110-3)의 집합으로 예시되었으나,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은 2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20)는 1개로 예시되었으나,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은 다양한 기능들을 분담하며 상호 작용하는 복수의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ntent streaming system may include a client device 110 and a server 120. Here, the client device 110 is illustrated as a set of three client devices 110-1 to 110-3, but the content streaming system may include two or more or four or more client devices. In addition, although the server 120 is illustrated as one, the content streaming system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rvers that share various functions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클라이언트 장치(110)는 컨텐츠를 수신 및 표시한다. 클라이언트 장치(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20)에 접속한 후, 서버(120)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장치(110)는 서버(120)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설계된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하드웨어이며,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120)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110)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110)는 이동 가능한 휴대용 장치, 이동 가능하지만 사용 중에는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인 장치, 특정 위치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Client device 110 receives and displays content. The client device 110 may connect to the server 120 through a network and receive streaming content from the server 120. That is, the client device 110 is hardware on which client software or applications designed to use content services provided by the server 120 are installed, and can interact with the server 120 through the installed software or applications. The client device 110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devices. For example, the client device 110 may be one of a portable device that is movable, a device that is generally movable but fixed during use, or a device that is fixedly installed in a specific location.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 장치(110)는 스마트폰(110-1), 데스크탑 컴퓨터(110-2), 태블릿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personal data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HMD(head-mounted-device)), 의복형,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110)는 가전 제품으로서, 예를 들어, 텔레비전(110-3),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lient device 110 includes a smartphone 110-1, a desktop computer 110-2, a tablet PC, a laptop PC, a netbook computer, a workstation, a server, a personal data assistant (PDA), and a portable multimedia (PMP).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player, a camera, or a wearable device. Here, the wearable device may be accessory type (e.g., watch, ring, bracelet, anklet, necklace, glasses, contact lens, head-mounted-device (HMD)), clothing type, body attached (e.g., skin pad or tattoo), It may be implemented in at least one form of a bioimplantable circuit. In addition, the client device 110 is a home applianc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television 110-3, a DVD (digital video disk) player, an audio device, a refrigerator, an air conditioner, a vacuum cleaner, an oven, a microwave oven, a washing machine, and an air purifier. It can be implemented in one form.

서버(120)는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서버(120)는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110)에게 컨텐츠 스트리밍 및 다양한 컨텐츠에 관련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20)는 컨텐츠를 스트리밍 가능하도록 데이터화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11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20)는 컨텐츠의 인코딩, 데이터에 대한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 전송 스케줄링, 스트리밍 송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컨텐츠 이용의 편의를 위하여, 서버(120)는 컨텐츠 가이드 제공, 사용자의 계정 관리, 사용자의 선호도 분석, 선호도에 기반한 컨텐츠 추천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기능들 중 복수의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서버(120)는 복수의 서버들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rver 120 performs various functions to provide content services. In other words, the server 120 can provide content streaming and various content-related services to the client device 110 using various functions. Specifically, the server 120 converts content into streaming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client device 110 through a network. To this end, the server 120 may perform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functions: encoding of content, segmentation of data, transmission scheduling, and streaming transmission. Additionally, for convenience in using content, the server 120 may further perform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functions: providing a content guide, managing a user's account, analyzing user preferences, and recommending content based on preferences. Among the various function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functions may be provided, and for this purpose, the server 120 may be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servers.

클라이언트 장치(110) 및 서버(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며, 교환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클라이언트 장치(110)에게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는 단일 네트워크 또는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들의 조합일 수 있다. 네트워크는 구간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들은 무선 네트워크 및 유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들은 6G(6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MAX(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셀룰러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들은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UWB(ultra wideband)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근거리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들은 인터넷, 이더넷(ethernet) 등의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ient device 110 and the server 120 exchange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and content services may be provided to the client device 110 based on the exchanged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network may be a single network or a combination of various types of networks. A network can be understood as a form in which different types of networks are connected depending on the section. For example, the network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less network and a wired network. Specifically, the networks include 6th generation (6G), 5th generation (5G), Long Term Evolution (LTE), LTE Advance (LTE-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DMA (WCDMA), and universal mobile (UMTS). It may include a cellular network based on at least one of (communications system), Wireless Broadband (WiMAX), or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dditionally, the networks may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based on at least one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Bluetooth,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ultra wideband (UWB). Additionally, networks may include wired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Ethernet, etc.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클라이언트 장치(예: 도 1의 클라이언트 장치(110))의 블록 구조를 예시한다.Figure 2 shows the structure of a cli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llustrates the block structure of a client device (eg, client device 110 of Figure 1).

도 2를 참고하면, 클라이언트 장치는 디스플레이(202), 입력부(204), 통신부(206), 센싱부(208), 오디오 입출력부(210), 카메라 모듈(212), 메모리(214), 전원부(216), 외부 연결 단자(218) 및 프로세서(220)를 포함한다. 단, 장치의 종류에 따라, 도 2에 예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client device includes a display 202, an input unit 204, a communication unit 206, a sensing unit 208, an audio input/output unit 210, a camera module 212, a memory 214, and a power unit ( 216),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218, and a processor 220. However, depending on the type of device,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2 may be omitted.

디스플레이(202)는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영상, 그래픽 등의 정보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202)는 패널 및 패널을 제어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LED(Flexible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202 outputs information such as visually recognizable images and graphics. To this end, the display 202 may include a panel and a circuit that controls the panel. For example, panel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 (LCD),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LP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and flexible LED (FLED). ) may include at least one of

입력부(204)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204)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감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04)는 물리 버튼, 키패드, 터치 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204)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04)가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입력부(204) 및 디스플레이(202)는 하나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input unit 204 receives input generated by the user. The input unit 204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 detection means. For example, the input unit 204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hysical button, a keypad, and a touch pad. Alternatively, the input unit 204 may include a touch panel. When the input unit 204 includes a touch panel, the input unit 204 and the display 202 may be implemented as one module.

통신부(206)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다른 장치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206)는 물리적으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예: 인코더/디코더, 변조기/복조기, RF(radio frequency) 프론트 엔드 등), 통신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토콜 스택(예: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부(206)는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 규격을 지원하기 위해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06 provides an interface for a client device to form a network with other devices and transmit or receive data through the network.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206 includes a circuit for physically processing signals (e.g., encoder/decoder, modulator/demodulator, RF (radio frequency) front end, etc.), and a protocol stack (e.g., a protocol stack that processes data according to communication standards). modem), etc.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mmunication unit 206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dules to support a plurality of different communication standards.

센싱부(208)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상태 또는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센싱부(208)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작동 상태, 자세에 관련된 물리적 값 또는 값의 변화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208)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주변 환경에 대한 물리적 값 또는 값의 변화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부(208)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208)는 자이로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color) 센서, 생체 센서, 기압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후각(e-nose) 센서, 제스처 센서, EMG(electromyography) 센서, EEG(electroencephalogram) 센서, ECG(electrocardiogram) 센서,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지문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208 collects sensing data including data about the status of the client device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208 may measure a physical value or change in value related to the operating state or posture of the client device and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representing the measured result. Additionally, the sensing unit 208 may measure physical values or changes in valu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client device and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representing the measured result. To this end, the sensing unit 208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and a circuit for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sensor. 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208 includes a gyro sensor, magnetic sensor, acceleration sensor, grip sensor, proximity sensor, color sensor, biometric sensor, barometric pressure sensor, temperature sensor, humidity sensor, illuminance sensor, or UV (ultra violet sensor). ) sensor, an olfactory (e-nose) sensor, a gesture sensor, an electromyography (EMG) sensor, an electroencephalogram (EEG) sensor, an electrocardiogram (ECG) sensor, an infrared (IR) sensor, an iris sensor, and a fingerprint sensor. there is.

오디오 입출력부(210)는 오디오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된 전기 신호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고, 외부의 소리를 감지한다. 즉, 오디오 입출력부(210)는 소리 및 전기 신호를 상호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입출력부(210)는 스피커, 마이크,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dio input/output unit 210 outputs sound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ased on audio data and detects external sound. That is, the audio input/output unit 210 can convert sound and electrical signals into each other. To this end, the audio input/output unit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aker, a microphone, and a circuit for controlling them.

카메라 모듈(212)은 영상(image) 및 비디오(video)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 모듈(212)은 렌즈, 렌즈 구동 회로, 이미지 센서, 플래쉬(flash), 이미지 처리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2)은 렌즈를 통해 빛을 수집하고,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빛의 컬러 값, 휘도 값을 표현하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212 collects data to create images and videos. To this end, the camera module 21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ens, a lens driving circuit, an image sensor, a flash, and an image processing circuit. The camera module 212 may collect light through a lens and generate data expressing the color value and luminance value of the light using an image sensor.

메모리(214)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운영체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명령어,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한다. 메모리(214)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14)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memory 214 stores operating systems, programs, applications, commands, setting information, etc. required for the client device to operate. Memory 214 may store data temporarily or non-transitorily. The memory 214 may be comprised of volatile memory, non-volatile memory, or a combination of volatile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전원부(216)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전원부(216)는 전원을 각 구성요소에서 요구하는 크기의 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convertor)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16)는 외부 전원에 의존하거나 또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를 포함하는 경우, 전원부(216)는 충전을 위한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을 위한 회로는 유선 충전 또는 무선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16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components of the client device. To this end, the power supply unit 216 may include a converter circuit that converts power into power of a size required by each component. The power supply unit 216 may rely on an external power source or may include a battery. When including a battery, the power unit 216 may further include a circuit for charging. The circuit for charging may support wired charging or wireless charging.

외부 연결 단자(218)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다른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물리적 연결 수단이다. 예를 들어, 외부 연결 단자(218)는 USB(universal serial bus)단자, 오디오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단자, 적외선 단자, 광 단자, 전원 단자 등 다양한 규격의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218 is a physical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the client device with another device. For example,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218 includes a universal serial bus (USB) terminal, an audio terminal,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terminal, a recommended standard-232 (RS-232) terminal, an infrared terminal, an optical terminal, and a power termina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erminals of various standards, such as:

프로세서(220)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20)는 다른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또한,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06)를 통해 서버에게 컨텐츠 데이터를 요청하고,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함으로써 컨텐츠를 복원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디스플레이(202) 및 오디오 입출력부(210)를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입력부(204), 통신부(206), 센싱부(208), 오디오 입출력부(210), 카메라 모듈(212), 전원부(216), 외부 연결 단자(218)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입력 또는 감지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재생에 관련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2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220)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이하 후술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하도록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필요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Processor 2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lient device. The processor 220 can control the operations of other components and perform various functions using the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processor 220 may request content data from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6 and receive the content data. Additionally, the processor 220 may restore content by decoding the received content data. Additionally, the processor 220 may output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er through the display 202 and the audio input/output unit 210. In addition, the processor 22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input unit 204, communication unit 206, sensing unit 208, audio input/output unit 210, camera module 212, power unit 216, and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218. The state related to the playback of content can be controlled based on information input or detected. To this end, the processor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processor, at least one microprocessor, and at least one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particular, the processor 220 may control other components and perform necessary operations so that the client device operat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조에서,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20)에 모두 연결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 2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버스(bus)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20)의 제어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들 간 직접적인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tructure of the client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he components are all illustrated as being connected to the processor 220. Although not shown in FIG. 2,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connected through a bus. In this case,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20, direct data exchange may occur between some components.

도 3은 본 개시에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서비스의 개념을 도시한다. 도 3은 컨텐츠 스트리밍에 관련된 일부 기능들을 도식화한 것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는 도 3에 예시된 기능들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을 더 가질 수 있다.Figure 3 illustrates the concept of a content stream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of some functions related to content streaming, and content streaming ser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further have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functions illustrated in FIG. 3 .

도 3을 참고하면, 클라이언트(310) 및 서버(320) 간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데이터가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310)에서 서버(320)로의 제어 데이터 송신, 서버(320)에서 클라이언트(310)로의 제어 데이터 송신, 서버(320)에서 클라이언트(310)로의 컨텐츠 데이터 송신이 수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control data and content data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client 310 and the server 320. Specifically, control data transmission from the client 310 to the server 320, control data transmission from the server 320 to the client 310, and content data transmission from the server 320 to the client 310 may be performed.

서버(320)는 사용자 정보(322a), 컨텐츠 정보(322b), 컨텐츠 DB(database)(322c)를 저장한다. 사용자 정보(322a)는 사용자들의 계정 정보, 사용자들의 서비스 이용 이력에 대한 정보, 사용자들의 선호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322b)는 서비스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목록, 컨텐츠의 가이드 정보, 컨텐츠의 메타 정보, 컨텐츠의 소비 이력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DB(322c)는 데이터화된 상태로 저장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 서버(320)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The server 320 stores user information 322a, content information 322b, and content database (DB) 322c. The user information 322a may include users' account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users' service use history, and information about users' preferences. The content information 322b may include a list of serviceable content, content guide information, content meta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content consumption history. The content DB 322c may include content stored in a data format. In addition, the server 320 may further store other information necessary to provide services.

클라이언트(310)에서 서버(320)로의 제어 데이터는 사용자 로그인(log-in)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컨텐츠 제어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310)는 사용자 입력 처리 동작(301)을 통해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생성 및 송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310)로부터의 제어 데이터는 제어/관리 동작(303)을 통해 처리되고, 컨텐츠의 제공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어/관리 동작(303)에 의해 클라이언트(301)로부터의 제어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어 제이터 및/또는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어/관리 동작(303)에 의해 사용자의 소비 이력 및 행위를 분석함으로써 선호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선호도에 따라 추천할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다.Control data from the client 310 to the server 320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user log-i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ontent selec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ontent control. To this end, the client 310 may generate and transmit control data from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processing operation 301. Control data from the client 310 is processed through control/management operations 303 and used to provide content. For example, control/management operations 303 may select control data and/or content based on control data from client 301. Additionally, preferences can b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user's consumption history and behavior through the control/management operation 303, and content to be recommended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eferences.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절차를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클라이언트(310)는 사용자 입력 처리 동작(301)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로그인 정보(예: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어 데이터를 송신한다. 서버(320)는 클라이언트(310)로부터의 제어 데이터에 포함되는 로그인 정보를 사용자 정보(322a)에서 검색함으로써 유효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허용되는 컨텐츠 및 서비스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로그인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거나, 또는 로그인 없이 제공 가능한 제한적인 서비스가 지원되는 경우, 로그인 정보의 송신 및 처리는 생략될 수 있다.The procedure by which content is provided to the user is as follows with reference to FIG. 3. First, the client 310 generates control data including login information (eg, ID and password) input by the user through a user input processing operation 301 and transmits the control data. The server 320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 valid user by searching the user information 322a for the logi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rol data from the client 310, and determine the scope of content and services allowed according to the user's permissions. there is. However, if login is not required or limited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without login are supported, transmission and processing of login information may be omitted.

이어, 서버(310)는 제어/관리 동작(303)을 통해 컨텐츠 정보(322b)로부터 컨텐츠 가이드 정보를 추출하고, 컨텐츠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클라이언트(310)에게 송신한다. 클라이언트(310)는 제어 데이터에 포함되는 컨텐츠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확인한다. 사용자의 선택은 사용자 입력 처리 동작(301)을 통해 제어 데이터로서 서버(310)로 송신된다. 사용자의 선택에 대한 정보는 제어/관리 동작(303)에 의해 처리되고, 스트리밍될 컨텐츠의 선택에 사용된다. 서버(320)는 컨텐츠 DB(322)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를 인코딩 동작(307)을 통해 컨텐츠에 대한 압축 및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한 후,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한다. 컨텐츠 데이터는 인코딩 동작(307)을 통해 미리 압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인코딩 동작(307)은 원본 컨텐츠 영상을 압축하는 동작뿐 아니라, 압축을 통해 생성된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후, 다시 압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압축은 컨텐츠 영상의 해상도, 비트레이트 및 초당 프레임 수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미리 압축되어 저장되는 경우, 압축 동작은 생략되고, 서버(320)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는 디코딩 동작(309)을 통해 복원되고, 재생 동작(311)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압축을 위해, 다양한 비디오 코덱들 및 다양한 오디오 코덱들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비디오 코덱들은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H.264 AVC(Advanced Video Coding), H.265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266 VVC(Versatile video coding), VP8(Video Processor 8), VP9(Video Processor 9), AV1(AOMedia Video 1), DivX, Xvid, VC-1, Theora, Daal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server 310 extracts content guide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information 322b through a control/management operation 303 and transmits control data including the content guide information to the client 310. The client 310 outputs content gui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rol data and confirms the user's selection. The user's selec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10 as control data through the user input processing operation 301. Information about the user's selection is processed by the control/management operation 303 and used to select content to be streamed. The server 320 searches for the selected content in the content DB 322, compresses and segments the searched content through an encoding operation 307, and then transmits the content data. Content data may be compressed in advance through an encoding operation 307 and stored. Here, the encoding operation 307 may include not only compressing the original content image, but also decoding the content data generated through compression and then compressing it again. At this time, compress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resolution, bit rate, and number of frames per second of the content image. When stored in a pre-compressed manner, the compression operation is omitted, and the server 320 can perform segmentation on the content data. Content data may be restored through a decoding operation 309 and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playback operation 311. At this time, for compression, at least one of various video codecs and various audio codecs may be used. For example, various video codecs include 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MPEG-2), H.264 Advanced Video Coding (AVC), H.265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and H.266 Versatile video coding (VVC). , VP8 (Video Processor 8), VP9 (Video Processor 9), AV1 (AOMedia Video 1), DivX, Xvid, VC-1, Theora, and Daala.

오디오 코덱들은 MP3(MPEG 1 Audio Layer 3), AC3(Dolby Digital AC-3), E-AC3(Enhanced AC-3), AAC(Advanced Audio Coding, MPEG 2 Audio), FLAC(Free Lossless Audio Codec), HE-AAC(High Efficiency Advanced Audio Coding), OGG Vorbis 및 OPUS 등을 포함할 수 있다.Audio codecs include MP3 (MPEG 1 Audio Layer 3), AC3 (Dolby Digital AC-3), E-AC3 (Enhanced AC-3), AAC (Advanced Audio Coding, MPEG 2 Audio), FLAC (Free Lossless Audio Codec), This may include High Efficiency Advanced Audio Coding (HE-AAC), OGG Vorbis, and OPUS.

영상의 다양한 해상도, 비트레이트 및 초당 프레임 수에 따라 컨텐츠 영상이 압축되어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가 미리 생성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310)는 쓰루풋(또는 대역폭)을 측정하고, 측정된 쓰루풋(또는 대역폭)을 기초로 비트레이트를 결정할 수 있다.A content video may be compressed according to various resolutions, bit rates, and frames per second of the video, and a plurality of content data may be generated in advance. The client 310 may measure throughput (or bandwidth) and determine a bit rate based on the measured throughput (or bandwidth).

클라이언트(310)는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서버(3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정보는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비트레이트, 해상도 및 초당 프레임 수 및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ient 31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content data from the server 320. The received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e bit rate, resolution,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nd location of the plurality of content data.

클라이언트(310)는 비트레이트를 기초로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데이터를 결정하고, 클라이언트(310)의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데이터 중 재생할 수 있는 해상도 및 초당 프레임 수에 대응하는 재생 컨텐츠 데이터 및 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캐이퍼빌리티 정보는 클라이언트의 최대 지원 해상도 및 최대 지원 프레임 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lient 310 determines at least one content data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data based on the bit rate, and the playable resolution and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mong the at least one content data based on the capability information of the client 310. Playback content data and its location corresponding to can be determined. At this time, the capability informa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the maximum supported resolution and maximum number of supported frames of the client.

클라이언트(310)는 재생 컨텐츠 데이터의 위치를 기초로 서버(320)로 컨텐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서버(320)는 수신한 컨텐츠 요청을 기초로, 컨텐츠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클라이언트(31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lient 310 may transmit a content request to the server 320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playback content data. The server 320 may transmit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request to the client 310 based on the received content request.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클라이언트(310)는 영상의 해상도 및 초당 프레임 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재생 컨텐츠 데이터 및 그 위치를 결정하고, 서버(320)로 컨텐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lient 310 receives user input regarding at least one of the resolution of the image and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determines playback content data and its location according to the user input, and requests content to the server 320. can be transmitted.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제어 모드를 이용한 조작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영상 플레이어를 실행하는 장치(예: 도 1의 클라이언트 장치(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Figure 4 show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method using a motion contro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 illustrates a method of operating a device executing a video player (eg, the client device 110 of FIG. 1).

도 4를 참고하면, S401 단계에서, 장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모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신호는 장치의 물리적 자세 변화 또는 물리적 힘의 가해짐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로서,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생성된다. 예를 들어, 모션 신호는 3축(예. X, Y, Z 축)의 가속도, 방위각(예. Yaw, Pitch, Roll) 등에 관련되며, 구체적으로, 장치의 기울기 감지 신호 또는 충격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기울기 감지 신호는 장치의 우측 회전 신호, 좌측 회전 신호, 우측 기울기 신호, 좌측 기울기 신호, 하측 회전 신호 또는 상측 회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감지 신호의 구체적인 내용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개시에서, 모션 신호의 감지는 센서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의해 모션을 인식하는 동작으로서, '모션의 감지'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step S401, the device can detect a signal. Specifically, the device can detect motion signals. Here, the motion signal is a signal generated by a change in the physical posture of the device or the application of a physical force, and is generated by at least one sensor included in the device. For example, the motion signal is related to acceleration and azimuth (e.g. Yaw, Pitch, Roll) in three axes (e.g. It can contain one. Additionally, the tilt detection signal of the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ight rotation signal, a left rotation signal, a right tilt signal, a left tilt signal, a lower rotation signal, and an upper rotation signal of the device. Details of the tilt detection signal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In the present disclosure, detection of a motion signal is an operation of recognizing motion by a signal generated by a sensor, and can be understoo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detection of motion.'

S402 단계에서, 장치는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S401 단계에서 감지한 신호에 대응하여 영상 플레이어의 어떤 기능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감지 신호 별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의 맵핑(mapping) 관계에 기초하여, 장치는 영상 플레이어의 어떤 기능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은 음량 제어 기능(음량 up/down), 밝기 제어 기능(밝기 up/down), 재생/정지 기능 또는 빨리감기/되감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는 감지한 신호가 표현하는 회전(예. 특정 기울기의 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에 기반하여 조절될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402, the device may determine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Specifically, the device can determine which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and how to adjust it in response to the signal detected in step S401. That is, based on the mapping relationship of the functions of the video player for each detection signal predefined by the user, the device can determine which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and how to control it. Here,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lume control function (volume up/down), a brightness control function (brightness up/down), a play/stop function, or a fast forward/rewind function, and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this. It is not limi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vice may determine the function to be adjusted based on the rotation represented by the sensed signal (e.g., rotation about a certain axis of tilt).

S403 단계에서, 장치는 영상 플레이어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S402 단계에서 결정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402 단계에서, 음량을 높일 것인지 또는 낮출 것인지 결정한 경우, 장치는 해당 결정에 대응하여 음량을 제어(예. 음량 up 또는 down)할 수 있다.In step S403, the device can control the video player. Specifically, the device can control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determined in step S402. For example, in step S402, when it is decided whethe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olume, the device may control the volume (e.g., volume up or down) in response to the decision.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는 감지한 신호가 표현하는 회전, 기울기의 방향 또는 기울임의 정도에 기반하여 조절의 내용(예: 조절 대상 항목, 조절되는 정도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울기의 정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 앞으로 이동하는 시간의 단위(예. 10초)가 기울기의 정도가 소정의 값보다 작은 경우에 앞으로 이동하는 시간의 단위(예. 5초)보다 더 클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vice may determine the content of adjustment (e.g., item to be adjusted, degree of adjustment, etc.) based on the direction of rotation, tilt, or degree of tilt expressed by the detected signal. For example, when the degree of inclination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unit of time for moving forward (e.g., 10 seconds) is the unit of time for moving forward when the degree of inclina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e.g., 5 seconds). It can be bigger than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제어하는 절차에서, 장치는 장치의 다양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의 움직임은 장치의 기울기를 포함한다. 기울기 감지 신호는 자이로스코프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이로스코프는 회전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이로스코프에 의해 생성된 기울기 감지 신호는 우측 회전 신호, 좌측 회전 신호, 우측 기울기 신호, 좌측 기울기 신호, 하측 회전 신호 또는 상측 회전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우측 회전 신호는 장치의 중앙 세로선을 축으로 오른쪽으로 회전할 경우 생성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좌측 회전 신호는 장치의 중앙 세로선(예. X축 또는 Y축)을 축으로 왼쪽으로 회전할 경우 생성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우측 기울기 신호는 장치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장치의 정중앙을 가로지르는 축(예. Z축)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생성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좌측 기울기 신호는 장치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장치의 정중앙을 가로지르는 축(예. Z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생성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하측 회전 신호는 장치의 중앙 가로선(예. Y축 또는 X축)을 축으로 아래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생성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상측 회전 신호는 장치의 중앙 가로선을 축으로 윗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생성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In the procedure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video play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evice may detect various movements of the device. Here, movement of the device includes tilt of the device. The tilt detection signal may be generated by a gyroscope. Here, the gyroscope is a sensor that can detect rotational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ilt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gyroscope may include a right rotation signal, a left rotation signal, a right tilt signal, a left tilt signal, a lower rotation signal, or an upper rotation signal. Here, the right rotation signal may refer to a signal generated when the device rotates to the right around the central vertical line. Additionally, the left rotation signal may refer to a signal generated when the device rotates to the left around the central vertical line (e.g., X-axis or Y-axis). The right tilt signal may refer to a signal generated when the device rotates clockwise based on an axis (e.g., Z-axis) that crosses the exact center of the device from the front to the back. The left tilt signal may refer to a signal generated when the device rotates counterclockwise based on an axis (e.g., Z-axis) that crosses the exact center of the device from the front to the back. The downward rotation signal may refer to a signal generated when the device rotates downward about the central horizontal line (e.g. Y-axis or X-axis). The upper rotation signal may refer to a signal generated when the device rotates upward about the central horizontal lin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충격 감지 신호는 가속도 센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는 장치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장치 내부의 가속도 센서가 단위 시간당 속도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충격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장치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충격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결정 및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미리 맵핑(mapping)한 감지 신호 별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기초로 하여, 장치는 영상 플레이어의 어떤 기능을 조절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The impact detection signal of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generated by an acceleration sensor. Here, the acceleration sensor serves to measure dynamic forces such as acceleration, vibration, and shock of the device.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device, an acceleration sensor inside the device may generate an impact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a change in speed per unit time. Afterwards, the device can determine and control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in response to the impact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That is, based on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for each detection signal pre-mapped by the user, the device can determine which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to control and control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accordingly.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동작에 대응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도시한다.Figure 5 illustrates the functions of a video player corresponding to a mo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기울기 감지 신호 또는 충격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 회전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는 장치가 영상 플레이어의 음량을 높이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우측 회전 신호가 감지된 경우, 사용자는 장치가 영상 플레이어의 밝기를 높이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우측 회전 신호(501)를 감지한 경우, 장치는 영상 플레이어의 음량을 높이고, 좌측 회전 신호(502)를 감지한 경우에는 음량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우측 기울기 신호(503)를 감지한 경우, 장치는 영상을 빨리감기(예. 5초 앞으로 이동) 할 수 있으며, 좌측 기울기 신호(504)를 감지한 경우, 장치는 영상을 되감기(예. 5초 뒤로 이동)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측 회전 신호(505)를 감지한 경우, 장치는 영상의 밝기를 밝게(예. 명도 2% 증가) 할 수 있으며, 하측 회전 신호(506)를 감지한 경우, 장치는 영상의 밝기를 어둡게(예. 명도 2% 감소) 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이 재생되는 중 일정한 크기 이상의 충격(507)이 감지된 경우, 장치는 영상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영상이 정지된 상태에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충격(507)이 감지된 경우, 장치는 영상을 다시 재생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기울기 감지 신호 또는 충격 감지 신호에 대응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다양하게 맵핑(mapping)할 수 있다. 이하, 도 19에서 자세한 맵핑 방법이 설명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 user can arbitrarily set a function of a video playe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tilt detection signal or an impact detection signal. For example, when a right turn signal is detected, the user can set the device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video player. As another example, when a right turn signal is detected, the user can set the device to increase the brightness of the video player,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Referring to FIG. 5 , when detecting a right turn signal 501, the device can increase the volume of the video player, and when detecting a left turn signal 502, the device can lower the volume. Additionally, when detecting the right tilt signal 503, the device can fast-forward the video (e.g., move forward 5 seconds), and when detecting the left tilt signal 504, the device can rewind the video (e.g., move forward 5 seconds). You can move back 5 seconds). And, when detecting the upper rotation signal 505, the device can brighten the brightness of the image (e.g., increase brightness by 2%), and when detecting the lower rotation signal 506, the device can darken the brightness of the image. (Example: Decrease brightness by 2%). In addition, if an impact 507 of a certain size or larger is detected while the video is being played, the device can stop the video. If an impact 507 of a certain size or more is detected while the video is stopped, the device can play the video. It can be played aga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user can variously map the functions of the video player corresponding to the tilt detection signal or the impact detection signal. Hereinafter, the detailed mapping method is described in FIG. 19.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영상 플레이어를 실행하는 장치(예: 도 1의 클라이언트 장치(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Figure 6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llustrates a method of operating a device executing a video player (eg, the client device 110 of FIG. 1).

도 6을 참고하면, S601 단계에서, 장치는 모드 전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모드 전환 요청은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드 전환 요청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장치 흔들기 동작, 시간 설정 또는 장치의 기울임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모드 전환 요청 중 하나인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사용자가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일정 시간 이상 누르는 동작(예: 롱 프레스 동작)일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장치 흔들기 동작 및 장치의 기울임 동작은 자이로스코프 또는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해당 모드 전환 요청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시간 설정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임의로 지정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step S601, the device may receive a mode switch request. At this time, the mode switch request may be generated by the user's action. Here, the mode switch request may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r's touch input, device shaking motion, time setting, or device tilting motion. The user's touch input, which is one of the mode change requests, may be an action in which the user presses the user interface of the device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eg, a long press action),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Additionally, device shaking motion and device tilting motion may be detected by a gyroscope or tilt sensor and a corresponding mode switch request signal may be generated. And, time setting may mean a time arbitrarily designate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S602 단계에서, 장치는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S601에 따른 모드 전환 요청이 수신되면, 이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모드는 모션 제어 모드 또는 한 손 버튼 모드일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는 장치의 기울기 감지 신호 또는 충격 감지 신호에 따라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또한, 한 손 버튼 모드는 한 손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위치가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인 한 손 버튼 모드는 이하 도 17을 이용하여 후술한다.In step S602, the device may switch operation modes. Specifically, when a mode switch request according to S601 is received, the device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accordingly. Here, the operation mode may be a motion control mode or a one-hand button mode. The motion control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the functions of the video play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vice's tilt detection signal or impact detection signal. Additionally, the one-hand button mode refers to a mode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with a changed location so that buttons can be pressed using one hand. A more specific one-hand button mode will be described later using FIG. 17.

S603 단계에서, 동작 모드가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된 장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모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신호는 장치의 물리적 자세 변화 또는 물리적 힘의 가해짐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로서, 장치에 포함된 센서에 의해 생성된다. 예를 들어, 모션 신호는 가속도, 방위각 등에 관련되며, 구체적으로 장치의 기울기 감지 신호 또는 충격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기울기 감지 신호는 장치의 우측 회전 신호, 좌측 회전 신호, 우측 기울기 신호, 좌측 기울기 신호, 하측 회전 신호 또는 상측 회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모션 신호의 감지는 센서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의해 모션을 인식하는 동작으로서, '모션의 감지'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In step S603, the device whose operation mode has been switched to the motion control mode can detect a signal. Specifically, the device can detect motion signals. Here, the motion signal is a signal generated by a change in the physical posture of the device or the application of physical force, and is generated by a sensor included in the device. For example, the motion signal is related to acceleration, azimuth, etc., and may specificall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lt detection signal or an impact detection signal of the device. Additionally, the tilt detection signal of the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ight rotation signal, a left rotation signal, a right tilt signal, a left tilt signal, a lower rotation signal, and an upper rotation signal of the device. In the present disclosure, detection of a motion signal is an operation of recognizing motion by a signal generated by a sensor, and can be understoo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detection of motion.'

S604 단계에서, 장치는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S603 단계에서 감지한 신호에 대응하여 영상 플레이어의 어떤 기능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감지 신호 별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의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장치는 영상 플레이어의 어떤 기능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은 음량 제어 기능, 밝기 제어 기능, 재생/정지 기능 또는 빨리감기/되감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는 감지한 신호가 표현하는 회전(예. 특정 기울기의 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에 기반하여 조절될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604, the device may determine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Specifically, the device can determine which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and how to adjust it in response to the signal detected in step S603. That is, based on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s of the video player for each detection signal predefined by the user, the device can determine which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and how to control it. Here,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lume control function, a brightness control function, a play/pause function, or a fast forward/rewind function,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vice may determine the function to be adjusted based on the rotation represented by the sensed signal (e.g., rotation about a certain axis of tilt).

S605 단계에서, 장치는 영상 플레이어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S604 단계에서 결정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어떻게 제어할 것인지 결정한 후 해당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604 단계에서, 음량을 높일 것인지 또는 낮출 것인지 결정한 경우, 장치는 해당 결정에 대응하여 음량을 제어(예. 음량 up 또는 down)할 수 있다. In step S605, the device can control the video player. Specifically, the device can control the function after determining how to control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determined in step S604. For example, in step S604, when it is decided whethe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olume, the device may control the volume (e.g., volume up or down) in response to the decision.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는 감지한 신호가 표현하는 회전, 기울기의 방향 또는 기울임의 정도에 기반하여 조절의 내용(예: 조절 대상 항목, 조절되는 정도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울기의 정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 앞으로 이동하는 시간의 단위(예. 10초)가 기울기의 정도가 소정의 값보다 작은 경우에 앞으로 이동하는 시간의 단위(예. 5초)보다 더 클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vice may determine the content of adjustment (e.g., item to be adjusted, degree of adjustment, etc.) based on the direction of rotation, tilt, or degree of tilt expressed by the detected signal. For example, when the degree of inclination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unit of time for moving forward (e.g., 10 seconds) is the unit of time for moving forward when the degree of inclina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e.g., 5 seconds). It can be bigger than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에 대응한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실시예를 도시한다.Figure 7 illustrates an example of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corresponding to a user's t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을 수신함으로써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장치는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 중 하나인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사용자가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일정 시간(예를 들어, 2초) 이상 누르는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상 플레이어 조작 인터페이스(703)에 포함된 버튼들(예. 되감기 버튼, 재생 버튼 또는 빨리감기 버튼) 중 하나를 일정 시간 이상 누르는 경우, 장치는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701)될 수 있다. 또한, 장치가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영상 플레이어 조작 인터페이스(703)에 포함된 버튼들(예. 되감기 버튼, 재생 버튼 또는 빨리감기 버튼) 중 하나를 일정시간 이상 누르는 경우, 장치는 다시 이전 모드(예. 디폴트 제어 모드)로 복귀(702)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모드 전환 요청을 한 경우,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모드 전환 의사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장치가 모드 전환 요청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의 의사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표시할지 여부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vice can switch the operating mode by receiving a user's mode switching request. Referring to FIG. 7, the device can switch to the motion control mode by the user's touch input, which is one of the user's mode switch requests. Here, the user's touch input may be an input in which the user presses the interface of the devi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2 seconds) or more.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one of the buttons included in the video player operation interface 703 (e.g., a rewind button, a play button, or a fast forward button)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device switches to the motion control mode (701) It can be. In addition, when one of the buttons included in the video player operation interface 703 (e.g., rewind button, play button, or fast forward button) is pressed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the device is switched to motion control mode, the device returns to the previous position. The mode (e.g., default control mode) may be returned (7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user requests a mode switch, a message asking for the intention to switch the mod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device. At this time, when the device receives a mode change request, the user can set whether to display a message asking for the user's intention.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장치 흔들기 동작에 대응한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실시예를 도시한다.Figure 8 illustrates an example of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corresponding to a user's device shaking mo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을 수신함으로써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장치는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 중 하나인 장치 흔들기 동작에 의해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장치 흔들기 동작은 자이로스코프 또는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장치(803)를 흔드는 경우, 장치의 동작 모드는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801)될 수 있다. 또한, 동작 모드가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다시 사용자가 장치를 흔드는 경우, 장치의 동작 모드는 다시 이전 모드(예. 디폴트 제어 모드)로 복귀(802)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동작 모드가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되기 위한 장치 흔들기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장치 흔들기 횟수를 설정함으로써, 일상 생활속에서 자연스럽게 흔들리는 경우에 대한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모드 전환 요청을 한 경우,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모드 전환 의사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의사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표시할지 여부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vice can switch the operating mode by receiving a user's mode switching request. The device can be switched to the motion control mode by shaking the device, which is one of the user's mode switch requests. Here, the user's device shaking motion may be detected by a gyroscope or tilt sensor. Referring to FIG. 8, when the user shakes the device 803, the operation mode of the device may be switched to the motion control mode (801). Additionally, if the user shakes the device again while the operation mode has been switched to the motion control mode, the operation mode of the device may return to the previous mode (eg, default control mode) (802). 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can set the number of times to shake the device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motion control mode. By setting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shakes the device, errors caused by natural shaking in daily life can be reduc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user requests a mode switch, a message asking for the intention to switch the mod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device. At this time, the user can set whether to display a message asking for the intention to switch to the motion control mode.

도 9는 시간 설정에 대응한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실시예를 도시한다.Figure 9 shows an embodiment of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corresponding to time settings.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을 수신함으로써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장치는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 중 하나인 시간 설정에 의해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간에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출퇴근 시간에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시간이 되면 장치가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되도록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되면 장치는 자동으로 동작 모드를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901)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지나면 장치는 자동으로 이전 모드(예. 디폴트 제어 모드)로 복귀(902)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된 경우,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모드 전환 의사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의사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표시할지 여부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지나면 장치는 디스플레이에 디폴트 제어 모드로의 복귀 여부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vice can switch the operating mode by receiving a user's mode switching request. The device can be switched to the motion control mode by setting the time, which is one of the user's mode switch requests. Specifically, the motion control mode may be switched at a time preset by the user. 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to switch to the motion control mode during rush hour, the user can set a time so that the device switches to the motion control mode at that time. Accordingly, when the time set by the user arrives, the device can automatically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motion control mode (901). Additionally, when the time set by the user elapses, the device may automatically return to the previous mode (eg, default control mode) (9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time set by the user arrives, a message asking for the intention to switch mode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device. At this time, the user can set whether to display a message asking for the intention to switch to the motion control mode. Additionally, after a time set by the user has elapsed, the device may display a message on the display asking whether to return to the default control mode.

도 10은 장치의 기울임에 대응한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실시예를 도시한다.Figure 10 shows an embodiment of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corresponding to tilting of the devic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을 수신함으로써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장치는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 중 하나인 장치의 기울임에 의해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장치를 특정 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우, 장치 내부의 자이로스코프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가 장치의 회전을 감지한 경우, 자이로스코프에 의해 장치의 기울기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가 기울기 신호를 수신한 후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1001)할 수 있다. 이때, 장치의 기울임 방향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우측 기울기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장치를 특정 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우, 장치는 다시 이전 모드(예. 디폴트 제어 모드)로 복귀(1002)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디폴트 제어 모드로 복귀하기 위한 장치의 기울임 방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기울임 방향은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기울임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vice can switch the operating mode by receiving a user's mode switching request. The device can switch its operation mode to the motion control mode by tilting the device, which is one of the user's mode switch requests. Referring to Figure 10, when a user tilts the device in a specific direction, the gyroscope inside the device can detect this. When the gyroscope detects rotation of the device, a tilt signal of the device may be generated by the gyroscope. Accordingly, after the device receives the tilt signal, it can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motion control mode (1001). At this time,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device can be arbitrarily set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user rotates in the right tilt rotation direction, the operation mode can be set to be switched to the motion control mode,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Additionally, if the user tilts the device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switched to the motion control mode, the device may return to the previous mode (eg, default control mode) (1002). Even in this case, the user can arbitrarily set the tilt direction of the device to return to the default control mode. For example, the tilt direction may be opposite to the tilt direction for switching to the motion control mode.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영상 플레이어를 실행하는 장치(예: 도 1의 클라이언트 장치(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Figure 11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1 illustrates a method of operating a device executing a video player (eg, the client device 110 of FIG. 1).

도 11을 참고하면, S1101 단계에서, 장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운동 상태 또는 사용자의 이동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하나인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또는 무선 네트워크의 AP(Access Point)의 식별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의 심박수 신호, GPS 신호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이동수단에 관한 정보는 GPS 신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n step S1101, the device may receive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Here,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the user's location, the user's exercise status, or the user's means of transportatio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location, which is one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by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ignal or an identifier of an Access Point (AP) of a wireless network. Additionally, information about the user's exercise state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s heart rate signal, GPS signal, etc. Additionally, information about the user's means of transportation can be determined by GPS signals.

S1102 단계에서, 장치는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S1101에 따른 사용자의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전환되는 동작 모드는 모션 제어 모드 또는 한 손 버튼 모드일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는 장치의 기울기 감지 신호 또는 충격 감지 신호에 따라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한 손 버튼 모드는 한 손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위치가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인 한 손 버튼 모드는 이하 도 17을 이용하여 후술한다.In step S1102, the device may switch operation modes. Specifically, when the device receives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S1101, it can switch the operation mode accordingly. Here, the operation mode to be switched may be a motion control mode or a one-hand button mode. Motion control mode means that the functions of the video play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vice's tilt detection signal or impact detection signal. Additionally, the one-hand button mode refers to a mode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with a changed location so that buttons can be pressed using one hand. A more specific one-hand button mode will be described later using FIG. 17.

S1103 단계에서,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 모드가 전환된 장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모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신호는 장치의 물리적 자세 변화 또는 물리적 힘의 가해짐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로서, 장치에 포함된 센서에 의해 생성된다. 예를 들어, 모션 신호는 가속도, 방위각 등에 관련되며, 구체적으로, 장치의 기울기 감지 신호 또는 충격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기울기 감지 신호는 장치의 우측 회전 신호, 좌측 회전 신호, 우측 기울기 신호, 좌측 기울기 신호, 하측 회전 신호 또는 상측 회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모션 신호의 감지는 센서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의해 모션을 인식하는 동작으로서, '모션의 감지'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In step S1103, the device whose operation mode has been switched to the motion control mode can detect a signal. Specifically, the device can detect motion signals. Here, the motion signal is a signal generated by a change in the physical posture of the device or the application of physical force, and is generated by a sensor included in the device. For example, the motion signal is related to acceleration, azimuth, etc., and may specificall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lt detection signal or an impact detection signal of the device. Additionally, the tilt detection signal of the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ight rotation signal, a left rotation signal, a right tilt signal, a left tilt signal, a lower rotation signal, and an upper rotation signal of the device. In the present disclosure, detection of a motion signal is an operation of recognizing motion by a signal generated by a sensor, and can be understoo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detection of motion.'

S1104 단계에서, 장치는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S1103 단계에서 감지한 신호에 대응하여 영상 플레이어의 어떤 기능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감지 신호 별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의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장치는 영상 플레이어의 어떤 기능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은 음량 제어 기능, 밝기 제어 기능, 재생/정지 기능 또는 빨리감기/되감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는 감지한 신호가 표현하는 회전(예. 특정 기울기의 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에 기반하여 조절될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1104, the device may determine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Specifically, the device can determine which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and how to adjust it in response to the signal detected in step S1103. That is, based on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s of the video player for each detection signal predefined by the user, the device can determine which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and how to control it. Here,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lume control function, a brightness control function, a play/pause function, or a fast forward/rewind function,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vice may determine the function to be adjusted based on the rotation represented by the sensed signal (e.g., rotation about a certain axis of tilt).

S1105 단계에서, 장치는 영상 플레이어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S1104 단계에서 결정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어떻게 제어할 것인지 결정한 후 해당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1104 단계에서, 음량을 높일 것인지 또는 낮출 것인지 결정한 경우, 장치는 해당 결정에 대응하여 음량을 제어(예. 음량 up 또는 down)할 수 있다.In step S1105, the device can control the video player. Specifically, the device can control the function after determining how to control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determined in step S1104. For example, in step S1104, when it is decided whethe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olume, the device may control the volume (e.g., volume up or down) in response to the decision.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신호를 이용한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실시예를 도시한다.Figure 12 shows an example of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using a GPS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 위치 범위에 있는 경우, 장치(1202)는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1203)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위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장치(1202)는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이전 모드(예. 디폴트 제어 모드)로 복귀(1204)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 위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장치(1202)는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1203)할 수도 있다. 이때, 특정 위치 범위는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202)이 특정 위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장치(1202)의 디스플레이에 모드 전환 의사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띄울 수 있다. 이때,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의사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표시할지 여부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는 GPS 신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고하면, 장치(1202)는 GPS 위성(1201)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장치(1202)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user is within a specific location range, the device 1202 may automatically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motion control mode (1203). Additionally, if the user leaves a specific location range, the device 1202 may automatically return the operating mode to a previous mode (e.g., default control mode) (120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user leaves a specific location range, the device 1202 may automatically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motion control mode (1203). At this time, the specific location range can be arbitrarily designated by the u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device 1202 is within a specific location range, a message asking for the intention to switch mode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device 1202. At this time, the user can set whether to display a message asking for the intention to switch to the motion control mode. The user's location may be determined by GPS signals.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2, the device 1202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by the GPS satellite 1201,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1202, and operates in a motion control mode using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You can decide whether to switch or not.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WIFI AP에 대응한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실시예를 도시한다.Figure 13 illustrates an example of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corresponding to a user's WIFI 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 WIFI AP(1301)에 연결된 경우, 장치(1202)는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1303)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WIFI AP(1301)에 연결되었다 해제된 경우, 장치(1202)는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이전 모드(예. 디폴트 제어 모드)로 복귀(1304)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 WIFI AP(1301)에 연결되었다 해제된 경우, 장치(1202)는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1303)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202)가 특정 WIFI AP(1301)에 연결된 경우, 장치(1202)는 디스플레이에 모드 전환 의사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의사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표시할지 여부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user is connected to a specific WIFI AP 1301, the device 1202 may automatically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motion control mode (1303). Additionally, when the user is connected to and then disconnected from a specific WIFI AP (1301), the device (1202) may automatically return the operation mode to the previous mode (e.g., default control mode) (130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user is connected to and then disconnected from a specific WIFI AP 1301, the device 1202 may automatically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motion control mode (130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device 1202 is connected to a specific WIFI AP 1301, the device 1202 may display a message asking for intention to switch modes on the display. At this time, the user can set whether to display a message asking for the intention to switch to the motion control mode.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한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영상 플레이어를 실행하는 장치(예: 도 1의 클라이언트 장치(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Figure 14 shows a flowchart of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4 illustrates a method of operating a device executing a video player (eg, the client device 110 of FIG. 1).

도 14를 참고하면, S1401단계에서, 장치(예: 도 1의 클라이언트 장치(110))는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GPS 위성에서 송신된 신호를 장치에서 수신하여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장치가 특정 WIFI AP에 연결된 경우, 장치는 해당 WIFI AP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in step S1401, a device (eg, client device 110 of FIG. 1) ma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For example, the device may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by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As another example, when a device is connected to a specific WIFI AP, the device can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S1402 단계에서,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가 설정된 위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위치가 설정된 위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S1403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장치는 동작 모드를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되는 위치의 범위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In step S1402, the device can check whether the user's location is within a set location range. If the user's location is within the set location range, step S1403 can be performed. That is, the device can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motion control mode. At this time, the range of the position converted to motion control mode can be arbitrarily set by the user.

S1404 단계에서, 동작 모드가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된 장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모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신호는 장치의 물리적 자세 변화 또는 물리적 힘의 가해짐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로서, 장치에 포함된 센서에 의해 생성된다. 예를 들어, 모션 신호는 가속도, 방위각 등에 관련되며, 구체적으로, 장치의 기울기 감지 신호 또는 충격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기울기 감지 신호는 장치의 우측 회전 신호, 좌측 회전 신호, 우측 기울기 신호, 좌측 기울기 신호, 하측 회전 신호 또는 상측 회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모션 신호의 감지는 센서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의해 모션을 인식하는 동작으로서, '모션의 감지'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In step S1404, the device whose operation mode has been switched to the motion control mode can detect a signal. Specifically, the device can detect motion signals. Here, the motion signal is a signal generated by a change in the physical posture of the device or the application of physical force, and is generated by a sensor included in the device. For example, the motion signal is related to acceleration, azimuth, etc., and may specificall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lt detection signal or an impact detection signal of the device. Additionally, the tilt detection signal of the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ight rotation signal, a left rotation signal, a right tilt signal, a left tilt signal, a lower rotation signal, and an upper rotation signal of the device. In the present disclosure, detection of a motion signal is an operation of recognizing motion by a signal generated by a sensor, and can be understoo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detection of motion.'

S1405 단계에서, 장치는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S1404 단계에서 감지한 신호에 대응하여 영상 플레이어의 어떤 기능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감지 신호 별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의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장치는 영상 플레이어의 어떤 기능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은 음량 제어 기능, 밝기 제어 기능, 재생/정지 기능 또는 빨리감기/되감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는 감지한 신호가 표현하는 회전 (예. 특정 기울기의 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에 기반하여 조절될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1405, the device may determine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Specifically, the device can determine which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and how to adjust it in response to the signal detected in step S1404. That is, based on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s of the video player for each detection signal predefined by the user, the device can determine which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and how to control it. Here,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lume control function, a brightness control function, a play/pause function, or a fast forward/rewind function,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vice may determine the function to be adjusted based on the rotation represented by the sensed signal (e.g., rotation about a certain axis of tilt).

S1406 단계에서, 장치는 영상 플레이어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S1405 단계에서 결정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어떻게 제어할 것인지 결정한 후 해당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In step S1406, the device can control the video player. Specifically, the device can control the function after determining how to control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determined in step S1405.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상태에 대응한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실시예를 도시한다.Figure 15 illustrates an example of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corresponding to a user's exercis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따라, 장치(1202)는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1501)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1202)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걷는 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걷는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장치(1202)는 동작 모드를 모션 제어 모드로 자동 전환(1501)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멈춘 상태 또는 앉아 있는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장치(1202)는 동작 모드를 디폴트 모드로 복귀(1502)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202)는 가속도 센서에 기초한 만보기 기능(걸음 측정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또한, 사용자가 걷는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장치(1202)는 동작 모드를 모션 제어 모드로 자동 전환(1501)할 수 있으며, 멈춘 상태 또는 앉아 있는 상태로 판단된 경우, 장치(1202)는 동작 모드를 디폴트 제어 모드로 복귀(1502)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GPS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걷는 중임을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the user's exercise state, the device 1202 may automatically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motion control mode (1501). Specifically, the device 1202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walking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walking, the device 1202 may automatically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motion control mode (1501). Addition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 stopped or sitting state, the device 1202 may return the operating mode to the default mode (15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vice 1202 may determine the user's exercise state through a pedometer function (step measurement function) based on an acceleration sensor. In this cas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walking, the device 1202 may automatically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motion control mode (1501),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 stopped or sitting state, the device 1202 may operate. The mode can be returned to the default control mode (15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may be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user is walking using a GPS signal,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걷는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장치(1202)는 디스플레이에 모드 전환 의사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모드 전환 의사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표시할지 여부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walking, the device 1202 may display a message asking the user's intention to switch modes on the display. At this time, the user can set whether to display a message asking for the intention to switch modes.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이동 수단에 대응한 모션 제어 모드로의 전환 실시예를 도시한다.Figure 16 illustrates an example of switching to a motion control mode corresponding to the user's means of transpor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현재 이동수단에 따라, 장치(1202)는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1601)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1202)는 가속도 센서 또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수단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장치(1202)는 시간에 따른 GPS 신호의 변화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 수단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장치(1202)는 교통수단 내에 설치된 비콘(Beacon)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이동 수단을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the user's current means of transportation, the device 1202 may automatically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motion control mode (1601). Specifically, the device 1202 may determine the user's means of transportation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or GPS signal. Additionally, the device 1202 may determine the user's means of transportation based on changes in GPS signals over time. Additionally, the device 1202 can determine the user's means of transportation by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beacon installed withi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하철 또는 버스 등의 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장치(1202)는 동작 모드를 모션 제어 모드로 자동 전환(1601)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정지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장치(1202)는 동작 모드를 다시 디폴트 제어 모드로 자동 복귀(1602)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장치(1202)는 디스플레이에 모드 전환 의사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정지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장치(1202)는 디스플레이에 디폴트 제어 모드로의 복귀 의사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모드 전환 의사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지 여부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us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a subway or bus, the device 1202 may automatically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motion control mode (1601). Addition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 stationary state, the device 1202 may automatically return the operation mode back to the default control mode (16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us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the device 1202 may display a message asking the user's intention to switch modes on the display. Addition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 stationary state, the device 1202 may display a message asking for intent to return to the default control mode on the display. At this time, the user can set whether to display a message asking for intention to switch modes.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손 버튼 모드로의 전환 실시예를 도시한다.Figure 17 shows an example of switching to one-hand butt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의 영상 플레이어를 위한 동작 모드에는 디폴트 제어 모드, 모션 제어 모드 및/또는 한 손 버튼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디폴트 제어 모드는 영상 플레이어의 디폴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드로서, 디폴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한 손 버튼 모드는 한 손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위치가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영상 플레이어의 영상 조작 인터페이스(1703) 중 되감기 버튼 또는 빨리감기 버튼을 일정 시간 이상 누를 경우 동작 모드가 한 손 버튼 모드로 전환(1701)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되감기 버튼을 일정 시간 이상 누를 경우, 장치 디스플레이의 좌측 하단에 영상 조작 인터페이스(1704)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빨리 감기 버튼을 일정 시간 이상 누를 경우, 장치 디스플레이의 우측 하단에 영상 조작 인터페이스(1705)가 위치할 수 있다. 영상 조작 인터페이스(1704)는 좌 하단에 위치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왼손을 이용하여 터치할 수 있도록 좌측 모서리에 인접하는 곳(예. 좌측 중앙 또는 좌측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영상 조작 인터페이스(1704)는 우측 모서리에 인접하는 곳(예. 우측 중앙 또는 우측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operation modes for the video player of the device may include a default control mode, a motion control mode, and/or a one-hand button mode. Here, the default control mode is a mode that provides the default interface of the video player, and may refer to a mode that controls the functions of the video player through the default interface. One-hand button mode may refer to a mode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with a changed location so that buttons can be pressed using one hand. Referring to FIG. 17, when the user presses the rewind button or the fast forward button in the video manipulation interface 1703 of the video player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operation mode may be switched to one-hand button mode (1701).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rewind button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image manipulation interface 1704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left of the device display. Additionally, when the user presses the fast forward button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image manipulation interface 1705 may be located at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device display. The image manipulation interface 1704 is not limited to being located at the bottom left,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located adjacent to the left corner (e.g., center left or top left) so that the user can touch it using the left hand. ) can be located. Likewise, the image manipulation interface 1704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right corner (e.g., in the center right or top right).

또한, 장치가 한 손 버튼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영상 조작 인터페이스(1704, 1705)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일정 시간 이상 누를 경우, 장치는 다시 이전 모드(예. 디폴트 제어 모드)로 복귀(1702)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at least one button of the video manipulation interface (1704, 1705) is pres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the device is switched to one-hand button mode, the device returns to the previous mode (e.g., default control mode) (1702). It can be.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선택 메시지를 도시한다.Figure 18 shows a mode switch selection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영상 조작 인터페이스의 되감기 버튼 또는 빨리 감기 버튼을 일정 시간 이상 누를 경우, 장치는 디스플레이에 어떤 모드로 전환할지 선택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메시지에서 본인이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본인이 원하는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영상 조작 버튼을 일정 시간 이상 누르면 동작 모드가 한 손 버튼 모드로 전환되고, 장치 흔들기 동작 또는 장치 기울임 등에 의해 동작 모드가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임의로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 동작과 그 동작에 따라 어떤 동작 모드로 전환할지를 설정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user presses the rewind button or the fast forward button of the video manipulation interface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device may display a message on the display for selecting which mode to switch to. In this case,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mode in the message and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desired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s, when the image manipulation button is pres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operation mode is converted to the one-hand button mode, and the operation mode is converted to the motion control mode by shaking the device or tilting the device. It could be. That is, the user can arbitrarily set which operation mode to switch to according to the user's mode change request operation and the operation,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모션 신호에 대응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다양하게 맵핑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신호는 기울기 감지 신호 또는 충격 감지 신호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는 모션 신호 및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 제어 간 맵핑 관계를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모션 신호 및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 제어 간 맵핑 관계를 설정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user can variously map functions of a video player corresponding to a motion signal. Here, the motion signal may be a tilt detection signal or an impact detection signal. To this end, the device may provide a function to set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on signal and the function control of the video player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The procedure for setting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on signal and the video player's function control is as follows.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신호에 대응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 맵핑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영상 플레이어를 실행하는 장치(예: 도 1의 클라이언트 장치(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Figure 19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pping functions of a video player corresponding to a mo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9 illustrates a method of operating a device executing a video player (eg, the client device 110 of FIG. 1).

S1901 단계에서, 장치는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감지 신호 별 영상 플레이어 기능의 맵핑 관계를 정의할 수 있도록, 장치는 맵핑 관계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표시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요청은 장치 디스플레이의 설정 화면 클릭 또는 음성 인식에 의한 사용자의 요청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설정 화면'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In step S1901, the device may display an interface for settings. Specifically, the device may display an interface for setting the mapping relationship so that the user can define the mapping relationship of the video player function for each detection signal. At this time, the display of the interface for settings may be performed upon the user's request. Here, the user's request may include a click on the settings screen of the device display or a user's request through voice recognition,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terface for settings can be understoo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setting screen'.

S1902 단계에서,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션 신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S1901 단계에서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션 제어 모드에서 이용할 모션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션 신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장치의 설정 화면에서 어떤 모션 신호에 대하여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맵핑하기를 원하는지 선택하면,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션 신호가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신호는 장치의 물리적 자세 변화 또는 물리적 힘의 가해짐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로서, 장치에 포함된 센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신호는 가속도, 방위각 등에 관련되며, 구체적으로 장치의 우측 회전 신호, 좌측 회전 신호, 우측 기울기 신호, 좌측 기울기 신호, 하측 회전 신호, 상측 회전 신호 또는 충격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1902, the device can check motion signa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Specifically, the user can select a motion signal to be used in the motion control mode through the interface displayed in step S1901. Accordingly, the device can check information about the motion signal selected by the user.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selects which motion signal he or she wants to map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to on the device's settings screen, the device can check which motion signal the user has selected. Here, the motion signal is a signal generated by a change in the physical posture of the device or the application of physical force, and may be generated by a sensor included in the device. For example, the motion signal is related to acceleration, azimuth, etc., and may specifically include at least one of a right rotation signal, a left rotation signal, a right tilt signal, a left tilt signal, a lower rotation signal, an upper rotation signal, or an impact signal of the device. You can.

S1903 단계에서,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S1902 단계에서 선택한 모션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장치의 설정 화면에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선택하면,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는 S1902 단계에서 확인한 모션 신호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은 음량 제어 기능, 밝기 제어 기능, 재생/정지 기능 또는 빨리감기/되감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1903, the device can check function information of the video player selected by the user. Specifically, the user can select a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to be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motion signal selected in step S1902.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selects a video player function on the device's settings screen, the device can check what the user's selected video player function is. Accordingly, the device can check the function information of the video player selected by the user along with the motion signal information confirmed in step S1902. Here,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lume control function, a brightness control function, a play/pause function, or a fast forward/rewind function.

S1904 단계에서,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 제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S1903 단계에서 선택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장치의 설정 화면에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어떻게 제어할지 선택하면,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 제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는 S1902 단계 및 S1903 단계에서 확인한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 제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1904, the device can check function control information of the video player selected by the user. Specifically, the user can choose how to adjust the functions of the video player selected in step S1903.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how to control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on the device's settings screen, the device can check the function control information of the video player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ly, the device can check the function control information of the video player selected by the user along with the information confirmed in steps S1902 and S1903.

S1905 단계에서, 장치는 확인한 모션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장치는 S1902 단계, S1903 단계 및 S1904 단계에서 확인한 각각의 정보들을 이용하여 어떤 신호에 대응하여 어떤 기능을 어떻게 제어할 것인지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S1902 단계에서 장치의 우측 회전 신호를 선택하고, S1903 단계에서 음량 조절 기능을 선택하고, S1904 단계에서 음량을 높이는 제어를 선택한 경우, 장치는 우측 회전 신호가 감지되었을 때 음량을 높일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조합으로 맵핑될 수 있다.In step S1905, the device can be set to control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based on the confirmed motion signal information. That is, the device can set how to control which function in response to which signal using each information confirmed in steps S1902, S1903, and S1904. For example, if the user selects the right turn signal of the device in step S1902, selects the volume control function in step S1903, and selects the control to increase the volume in step S1904, the device adjusts the volume when the right turn signal is detected. You can set it to increase.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mapped into various combinations by the user.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션 신호 감도 테스트 및 가중치 수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맵핑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이 정확히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정확한 기능 수행을 위하여, 장치는 영상 플레이어 기능의 맵핑 과정에서 모션 신호 감도를 테스트하고, 가중치를 수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S1904 단계 이후, 장치는 모션 신호 감도에 대한 테스트 및 가중치 수정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신호 감도는 모션 신호에 대응한 영상 플레이어 제어의 정확도 및/또는 민감도를 의미할 수 있다. 모션 신호 감도에 대한 테스트 단계는 사용자가 맵핑한 동작 모션 신호에 대응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이 정확하게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우측 회전 신호에 대응하여 음량을 높이도록 설정한 경우, 장치는 사용자가 우측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테스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는 사용자가 우측 회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음량이 높아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테스트 단계에 기반하여 가중치 수정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테스트 단계를 수행한 결과 사용자에 의한 모션 신호에 오차가 발생한 것을 인지한 경우, 장치는 가중치를 수정함으로써 오차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는 기울기축에 따른 기울임(또는 회전) 방향 및/또는 기울임 정도(기울기)에 따라 모션 신호에 부여되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중치는 우측 회전 동작 및 특정 기울기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으나, 특정 기울기보다 작은 기울기에 대응하여 수정될 수 있다. 즉, 가중치가 수정됨으로써 작은 기울임에도 영상 플레이어 제어가 될 수 있다. 또는, 기준 회전 방향(예. 우측 회전 방향)이 사용자가 실제 수행한 모션 동작의 회전 방향(우상측 회전 방향)이 다른 경우, 상측 회전 방향에 대한 가중치를 수정하거나 우측 회전 방향에 대한 가중치를 수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수행한 모션에 대응하여 영상 플레이어 제어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오차는 기준이 되는 모션 동작 신호와 사용자가 실제 수행한 모션 동작의 기울기 차이값 및/또는 기울기 축(또는 기울기 축에 따른 회전 방향)의 차이일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otion signal sensitivity test and a weight modification procedure may be performed. In some cases,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mapped by the user may not be performed accurately. In this case, in order to perform the function more accurately, the device can test the motion signal sensitivity and modify the weight during the mapping process of the video player function. More specifically, after step S1904, the device may perform a test for motion signal sensitivity and a weight modification step. Here, motion signal sensitivity may refer to the accuracy and/or sensitivity of video player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motion signal. The test step for motion signal sensitivity may be a step to check whether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corresponding to the motion signal mapped by the user is accurately performed. For example, if the user sets the volume to increase in response to a right turn signal, the device may provide a test interface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a right turn motion. Accordingly, the device can check whether the volume increases as the user performs a right rotation motion. Additionally, the device may perform a weight modification step based on the test step. More specifically, if it is recognized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user's motion signal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test step, the device can adjust the error by modifying the weight. Here, the weight may be a value given to the motion signal according to the tilt (or rotation) direction and/or degree of tilt (tilt) along the tilt axis. For example, the weight may be set in response to a right-turn motion and a specific tilt, but may be modified in response to a tilt that is less than the specific tilt. In other words, by modifying the weight, the video player can be controlled even with a small tilt. Alternatively, if the reference rotation direction (e.g. right rotation direction) is different from the rotation direction (upper right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ion movement actually performed by the user, modify the weight for the upper rotation direction or modify the weight for the right rotation direction. By doing so, the video player can be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motion actually performed by the user. Here, the error may b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motion signal and the tilt difference value and/or tilt axis (or rotat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tilt axis) between the motion motion actually performed by the user,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션 동작에 대응하는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갱신할 수 있다. 즉, 특정 모션 동작에 대응하여 제어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이 사용자가 원하는 것과 다른 경우, 이를 인식함으로써 장치는 모션 동작에 대응하는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갱신할 수 있다. 모션 동작 및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 제어 간 맵핑 관계를 갱신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unction of a video player corresponding to a motion operation can be updated. That is, if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controlled in response to a specific motion operation is different from what the user wants, the device can update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peration by recognizing this. The procedure for updating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on operation and the function control of the video player may be as follows.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제어 재조정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영상 플레이어를 실행하는 장치(예: 도 1의 클라이언트 장치(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Figure 20 shows a flowchart of a function control re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0 illustrates a method of operating a device executing a video player (eg, the client device 110 of FIG. 1).

도 20을 참고하면, S2001 단계에서, 장치는 기능 제어의 재조정 상황 발생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제어의 재조정 상황은 사용자가 의도한 기능이 아닌 다른 기능이 제어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된 기능을 취소하고 원하는 기능을 다시 제어한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장치가 감지한 모션 신호에 대응하여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제어하였으나, 사용자가 일정 시간(이하, 제1 임계치) 내에 제어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취소하고 일정 시간(이하, 제2 임계치) 내에 다른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직접 제어한 경우, 장치는 기능 제어의 재조정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제어의 재조정 상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AI 모델이 모션 및 기능 제어 간 맵핑 관계 갱신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기능 제어의 재조정 상황 발생 인식 방법은 후술한다.Referring to FIG. 20, in step S2001, the device ma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 readjustment situation of function control. Here, a situation in which function control is readjusted may mean a situation in which a function other than the function intended by the user is controlled and the user cancels the controlled function and re-controls the desired function. In other words,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was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motion signal detected by the device, but the user canceled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controlled within a certain time (hereinafter, the first threshold) and within a certain time (hereinafter, the second threshold). If the function of another video player is directly controlled, the device may recognize that a situation of readjustment of function control has occurred. If this situation of readjustment of functional control occurs repeatedly, the AI model may recognize the need to update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motion and functional control. A more specific method of recognizing the occurrence of a readjustment situation of function control will be described later.

S2002 단계에서, 장치는 수행한 제어 및 의도한 제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실제 장치가 수행한 제어가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의도한 제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의도한 제어는 S2001단계에서 확인한 기능 제어의 재조정 상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실제 장치에 의해 제어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취소하고 일정 시간 내에 다른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직접 제어한 경우, 직접 제어한 기능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한 제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실제 장치에 의해 제어된 기능을 취소한다 함은 실제 장치에 의해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이 제어되기 직전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사용자가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step S2002, the device can confirm the performed and intended controls. Specifically, the device can determine what control the device actually performed. Additionally, the control intended by the user can be confirmed. Here, the control intended by the user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readjustment status of the function control confirmed in step S2001. More specifically, if the user cancels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controlled by the actual device and directly controls the function of another video player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user's intended control can be confirmed by checking the directly controlled function. . Here, canceling the function controlled by the actual device may mean that the user controls the function to return to the state just before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was controlled by the actual device.

S2003 단계에서, 장치는 모션 신호 및 기능 제어 간 맵핑 관계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2002 단계에서 수행한 제어 및 의도한 제어를 확인한 후, 장치는 사용자가 행한 모션 신호에 맵핑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 제어를 의도한 제어로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우측 회전 신호에 대응한 영상 플레이어 기능을 음량 조절로 설정하였으나, 사용자의 장치 조작 습관에 의해 장치가 밝기를 조절한 경우, 장치는 이를 영상 플레이어 기능 제어의 재조정 상황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장치는 실제 수행한 제어인 밝기 조절 기능 및 사용자가 의도한 제어인 음량 조절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장치는 해당 모션 및 기능 제어 간 맵핑 관계를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는 모션 제어 모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In step S2003, the device may update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on signal and the function control. Specifically, after confirming the control performed and the intended control in step S2002, the device may update the function control of the video player mapped to the motion signal performed by the user to the intended control. For example, if the user sets the video player function in response to the right turn signal to volume control, but the device adjusts the brightness due to the user's device operation habits, the device may recognize this as a situation where the video player function control has been readjusted. You can. At this time, the device can check the brightness control function, which is the control actually performed, and the volume control function, which is the control intended by the user. Afterwards, the device can update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rresponding motion and function controls. Accordingly, the present disclosure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motion control mode.

도 20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기능 제어의 재조정 상황 발생에 응하여 모션 신호 및 기능 제어 간 맵핑 관계를 갱신할 수 있다. 그러나, 상황 발생에 따라 즉시 모션 신호 및 기능 제어 간 맵핑 관계를 갱신하는 것이 사용자의 의사에 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장치는 모션 신호 및 기능 제어 간 맵핑 관계를 갱신하기 전에 사용자의 의사를 물어보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장치는 사용자의 의사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의사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맵핑 관계의 갱신을 원하는 경우에 한해 장치는 맵핑 관계를 갱신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0, the device may update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on signal and the function control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a readjustment situation of the function control. However, immediately updating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motion signals and function control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situation may go against the user's will. Theref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vice may perform a procedure to ask the user's intention before updating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on signal and the function control. In other words, the device can confirm the user's intention by displaying a message asking for the user's intention on the screen. Accordingly, the device can update the mapping relationship only when the user wants to update the mapping relationship.

도 20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장치가 기능 제어의 재조정 상황 발생을 인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장치는 모션 신호에 대응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 제어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기능 취소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장치는 일정 시간에 대한 제1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임계치는 장치에 의한 영상 플레이어 기능 제어 후 사용자에 의한 기능 취소가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가 설정한 제1 임계치 이내에 사용자가 기능을 취소한 경우, 장치는 기능 제어의 재조정이 필요한지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기능 제어의 재조정이 필요한지 확인하는 절차는 사용자의 기능 취소가 있은 후 일정 시간 이내에 다른 기능을 직접 제어하였는지 확인하는 절차이다. 이때, 장치는 일정 시간에 대한 제2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임계치는 사용자에 의한 기능 취소가 있은 후 사용자가 직접 기능 제어를 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가 설정한 제2 임계치 이내에 사용자가 기능을 직접 제어한 경우, 장치는 기능 제어의 재조정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제어의 재조정 상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AI 모델이 모션 및 기능 제어 간 맵핑 관계 갱신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는 장치가 수행한 제어 및 사용자가 의도한 제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모션 및 기능 제어 간 맵핑 관계를 갱신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0, a method for the device to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 readjustment situation of function control is as follows. First, the device can check whether the user cancels the function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corresponding to the motion signal. At this time, the device can set a first threshold for a certain time. Here, the first threshold may be the time it takes for the function to be canceled by the user after the video player function is controlled by the device. For example, if the user cancels a function within a first threshold set by the device, the device may perform a procedure to determine whether readjustment of function control is necessary. The procedure to check whether readjustment of function control is necessary is to check whether other functions were directly controlled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user canceled the function. At this time, the device can set a second threshol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Here, the second threshold may be the time it takes for the user to directly control the function after canceling the function by the user. For example, if the user directly controls a function within the second threshold set by the device, the device may recognize that a situation of readjustment of function control has occurred. If this situation of readjustment of functional control occurs repeatedly, the AI model may recognize the need to update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motion and functional control. Accordingly, the device can confirm the control performed by the device and the control intended by the user, and update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motion and function control.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션 동작에 대응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이 맵핑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장치는 학습된 AI 모델을 이용하여 특정 모션 동작에 대응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제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사용자가 기능이 맵핑되어 있지 않은 특정 모션 동작을 수행하고 일정 시간 내에 직접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조절하는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장치는 해당 모션 동작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조절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맵핑하도록 제안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치는 맵핑 관계를 제안하는 정보를 장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f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peration is not mapped, the device may suggest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motion operation using the learned AI model. More specifically, the device can recognize a situation where the user performs a specific motion operation for which no function is mapped and directly adjusts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If this situation occurs repeatedly, the device may suggest mapping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adjust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corresponding motion operation. In this case, the device may display information suggesting a mapping relationship on the device display.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반복적으로 동일한 영상플레이어의 기능을 조절하였다면, 장치는 이를 인지한 후 해당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조절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맵핑하도록 제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 시간에 반복적으로 동일한 영상플레이어의 기능을 조절하였다면, 장치는 이를 인지한 후 해당 시간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조절한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맵핑하도록 제안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f the user repeatedly adjusts the function of the same video player at a specific location, the device may recognize this and then suggest mapping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adjust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location. there 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f the user repeatedly adjusts the function of the same video player at a specific time, the device recognizes this and proposes to map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adjust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at time. You can.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Exemplary method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expressed as a series of operations for clarity of explanation, bu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order in which the steps are performed,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in a different order, if necessary. In order to implemen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other steps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the exemplified steps, some steps may be excluded and the remaining steps may be included, or some steps may be excluded and additional other steps may be included.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o not list all possible combinations but are intended to explain representative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matter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may be appli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Additionally,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hardware implementation, one or more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general purpose It can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general processor), controller, microcontroller, microprocessor, etc.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software or machine-executable instructions (e.g., operating system, application, firmware, program, etc.) that cause operations according to the methods of various embodiments to be executed on a device or computer, and such software or It includes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in which instructions, etc. are stored and can be executed on a device or computer.

Claims (12)

모션 제어 모드에 따라 영상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장치의 기울기 감지 신호 또는 충격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은 음량 제어 기능, 밝기 제어 기능, 재생/정지 기능 또는 빨리감기/되감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In a method of controlling a video player according to a motion control mode,
Detecting at least one of a tilt detection signal or an impact detection signal of the device;
determining a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in response to the detected signal; and
Comprising: controlling the video player in response to the determined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volume control function, a brightness control function, a play/pause function, or a fast forward/rewind fun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동작 모드를 상기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In claim 1,
Detecting a user's request to switch modes; and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video player to the motion control mode in response to the user's mode change reques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장치 흔들기 동작 또는 시간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방법.
In claim 2,
The method wherein the user's request for mode switching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the user's touch input, device shaking motion, or time setting.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영상 조작 항목 중 되감기 항목 또는 빨리 감기 항목에 대한 일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인 것인, 방법.
In claim 3,
The method wherein the user's touch input is a touch inpu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on a rewind item or a fast forward item among video manipulation items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of the video p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감지 신호는, 상기 장치의 우측 회전 신호, 좌측 회전 신호, 우측 기울기 신호, 좌측 기울기 신호, 하측 회전 신호 또는 상측 회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In claim 1,
The tilt detection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right rotation signal, a left rotation signal, a right tilt signal, a left tilt signal, a lower rotation signal, and an upper rotation signal of the devi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감지 신호 또는 상기 충격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한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방법.
In claim 5,
A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tilt detection signal or the impact detection signal is set by a user.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동작 모드를 상기 모션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n claim 1,
Receiving user status information; and
A method comprising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video player to the motion control mode in response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운동 상태 또는 사용자의 이동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In claim 7,
The method wherein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the user's location, the user's exercise state, or the user's means of transporta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또는 무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에 의해 결정되는, 방법.
In claim 8,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user's location is determined by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ignal or an identifier of an access point of a wireless network.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 또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 수단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장치 내부의 자이로스코프, 가속도 센서 또는 GPS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감지되는, 방법.
In claim 8,
The method, wherei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exercise state or the user's means of transportation is detected by at least one of a gyroscope,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PS sensor inside th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기능 제어의 재조정 상황 발생을 인식하는 단계;
장치가 실제 수행한 제어 및 사용자가 의도한 제어를 확인하는 단계; 및
모션 신호 및 기능 제어 간 맵핑(mapping) 관계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n claim 1,
Recognizing that a situation of readjustment of functional control has occurred;
confirming the control actually performed by the device and the control intended by the user; and
A method comprising updating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motion signals and functional controls.
모션 제어 모드에 따라 영상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의 기울기 감지 신호 또는 충격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은 음량 제어 기능, 밝기 제어 기능, 재생/정지 기능 또는 빨리감기/되감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In a device that controls a video player according to a motion control mode,
a memory that sto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device; and
Includes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memory,
The processor,
Detect at least one of a tilt detection signal or an impact detection signal of the device;
determine a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in response to the detected signal;
Control the video player in response to the determined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The function of the video play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volume control function, a brightness control function, a play/pause function, or a fast forward/rewind function.
KR1020220116898A 2022-09-16 2022-09-1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player according to motion control mode in contents streaming system KR2024003829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898A KR20240038293A (en) 2022-09-16 2022-09-1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player according to motion control mode in contents streaming system
PCT/KR2023/013168 WO2024058475A1 (en) 2022-09-16 2023-09-04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video player according to motion control mode in content stream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898A KR20240038293A (en) 2022-09-16 2022-09-1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player according to motion control mode in contents stream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293A true KR20240038293A (en) 2024-03-25

Family

ID=9027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898A KR20240038293A (en) 2022-09-16 2022-09-1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player according to motion control mode in contents streaming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8293A (en)
WO (1) WO2024058475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962B1 (en) * 2011-01-04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pntrpl method thereof
KR20140100051A (en) * 2013-02-05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2148645B1 (en) * 2013-03-15 2020-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01070B1 (en) * 2017-12-19 2020-04-1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A method controlling playback time of a media content and an apparatus thereof
KR102211823B1 (en) * 2019-05-20 2021-02-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video cont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8475A1 (en)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2486B1 (en) Location based device grouping with voice control
KR102279600B1 (en) Method for operating in a portable device, method for operating in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the protable device, and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US20230291971A1 (en) Video mirror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344758B2 (en) Video stream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displaying mirror video, and display device
CA2878368C (en) Energy-efficient transmission of content over a wireless connection
CN111010576B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CN106412687B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cepting audio and video clips
WO20181578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video branch selection and playback
US117115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ipheral context management
EP3074850A1 (en) Multitasking and full screen menu contexts
EP3605278B1 (en) Method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EP3275160B1 (en) Technologies for a seamless data streaming experience
CN115136570A (en) Integration of internet of things devices
CN109844694A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two varying environments using hub
KR20150051776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display apparatus
KR201600407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contents
KR202400382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player according to motion control mode in contents streaming system
CN109804332A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instant preview immersion content
KR102547320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KR102267194B1 (e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00319835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including same
EP4274387A1 (en) Selecting entertainment lighting devices based on dynamicity of video content
US20150254975A1 (en) Smart mobile terminal remote control system
KR20220067871A (en) Streaming accelerator and streaming system includ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