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570A - 대체불가토큰(nft)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 - Google Patents

대체불가토큰(nft)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570A
KR20240037570A KR1020220116242A KR20220116242A KR20240037570A KR 20240037570 A KR20240037570 A KR 20240037570A KR 1020220116242 A KR1020220116242 A KR 1020220116242A KR 20220116242 A KR20220116242 A KR 20220116242A KR 20240037570 A KR20240037570 A KR 20240037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information
issuance
nft
bus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의순
Original Assignee
최의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의순 filed Critical 최의순
Priority to KR1020220116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570A/ko
Publication of KR20240037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57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Abstract

실시예는 대체불가토큰(NFT)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명함 관리를 할 경우, 전술한 방식으로부터 디지털 명함 발행자와 디지털 명함소유자가 분리되어 디지털 명함소유자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며 명함의 신뢰성을 높인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스마트컨트랙트 기반의 디지털명함 유통 플랫폼으로 명함의 진위여부를 제공하여 디지털명함 소유자의 신분을 위조불가능하게 인증함으로써, 안전한 비대면 명함 교환을 지원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복제가 불가능하고 고유성을 보장하는 NFT기반의 디지털명함을 통해 신원인증을 제공함으로써, 대면 및 비대면상황에서 신뢰할 수 있는 명함 발행 및 유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체불가토큰(NFT)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Platform for applying to publishing, exchanging, identification of digital card by decentralized and code base employing Non-fungible toke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디지털명함 발행과 교환 및 인증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경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대체불가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이용하여 위조를 불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실시간 명함소유자의 신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명함은 자신과 또는, 자신의 직업과 회사를 알리고 상대방에 신뢰를 줄 수 있는 1차적인 수단이다. 4차산업혁명시대가 도래하고 디지털사회로 전환이 된 현 시점에도 여전히 종이명함이 대부분 발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종이명함에는 몇 가지 단점이 있다.
먼저, 첫째로 위조가 비교적 쉽다는 점이다. 즉, 신뢰성과 무결성을 담보하기가 비교적 쉽지 않다는 것이다. 특히, 예를 들어 디지털공간에서 특정 회사/특정부서의 명함을 만드는 것은 너무나 쉬운 일이기도 하다. 즉, 명함제작사이트의 템플리트만 이용하면 쉽게 컴퓨터파일형태의 명함이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가짜명함을 이용하여 특정회사 소속 또는 타인의 신상을 사칭하여도 처벌할 마땅한 형사처벌 규정이 없는 것도 현실적인 문제점이기도 하다.
둘째, 명함 교환과정 이후 쉽게 잃어버리고 버려진다.
셋째, 몇몇 명함관리앱은 사진을 찍거나 광학문자인식방식(OCR)으로 문자를 인식하여 명함 내의 정보를 저장하고 유통할 수 있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명함의 소유자는 자신의 개인정보를 통제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편이다. 즉, 개인정보의 자가결정권까지 명함을 전달함과 동시에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든 명함수령자에게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넷째로, 종이형태 명함은 실물을 항상 휴대를 하여 전달하게 됨에 따라 일반적으로 대용량 휴대에 제약이 있고, 누구에게 전달을 하였는지 확인이 불편하다. 마지막으로 검색과 관리가 쉽지 않기도 하다.
한편, 이러한 종이명함 관리는 보통 명함집 등을 통해 보관하게 되는데 디지털 검색이 어렵고 분실이 쉽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일부 명함 앱에서 디지털화하여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있기는 하나 명함인식과정의 오류 등으로 완벽한 관리 및 검색기능을 제공한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래서, 개시된 내용에서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복제가 불가능하고 고유성을 보장하는 NFT기반의 디지털명함을 통해 신원인증을 제공함으로써, 대면 및 비대면상황에서 신뢰할 수 있는 명함 발행 및 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부연하면, 추가적으로 이러한 배경이 되는 사항은 아래와 같다.
먼저, 블록체인이란 신뢰할 수 없는 네트워크 상에서 디지털데이터를 신뢰할 수 있게 만들어 주기 위한 기술로서, 기본적으로 거래가 생성된 블록을 네트워크 참가자 전원에게 뿌려서 네트워크 모든 참가자가 상호검증을 할 수 있도록 한 일종의 데이터베이스이다. 그래서, 이러한 방식으로 한번 블록체인에 기록한 데이터는 위조가 거의 불가능하다.(51% 공격시 가능하나 네트워크의 참가자기 충분히 많다면 거의 불가능하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이 되는 암호화기반 디지털명함은 이러한 블록체인상에 거래(발행 및 유통)가 기록된다.
그리고 다른 사항으로서, 대체불가토큰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자산의 소유주를 증명하는 것인데, 그림ㅇ영상 등의 디지털 파일이나 자산에 복제 및 위조가 불가능한 암호를 증명서로 붙임으로써 그 고유한 원본성 및 소유권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된다. 즉, 일종의 디지털화된 진품증명서의 역할을 한다. NFT는 그 자체로 고유하고 더 이상 분할할 수 없는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따라서 이를 통해, 디지털명함에 있어서 원본보장을 보증하며 신원 증명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블록체인 지갑도 있는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분산된 사용자간 직접 통신을 통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중개자가 필요없도록 한다. 명함을 전송할 때 예를 들어 A가 B에게 A의 명함을 전송한다고 가정하면, A가 보유한 디지털 명함지갑(Wallet)에서 B가 보유한 디지털 명함지갑으로 전송을 위해서는 A의 명함지갑 주소에서 B의 명함지갑 주소로 A의 명함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A의 명함지갑에서는 A 의 명함이 하나 차감되고 B의 명함지갑에 A로부터 받은 명함이 들어가게 된다. 이는 개인간 송금과정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민팅은 디지털 자산을 NFT 토큰으로 만드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NFT 토큰은 생성자(Creator)가 민팅을 하고 거래소를 통해 수집가(collector)에게 판매하는 구조이다.
이에 더하여, 블록체인 내 온체인 거래(Transaction)는 개시된 내용에서는 발행자 ?? 소유자 ?? 보유자의 개념으로 접근한다. 구체적으로는, 발행자는 회사이며 따라서 1차적으로 비용을 들여 민팅을 통해 NFT명함을 발행한다. 그리고, 회사가 임직원의 명함을 만드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래서, 이렇게 발행된 NFT명함을 임직원의 개인 블록체인 지갑에게 전송한다.
이를 통해, 임직원 개인명함은 임직원 개인 블록체인 지갑에 있게 된다. 이후 임직원은 자신의 명함을 타인의 지갑주소로 전달을 하게 되면 타인은 해당 임직원의 명함을 전달받게 된다.
한편, 스마트컨트랙트는 계약내용을 사전에 프로그램화하여 특정조건을 충족하면 계약이 체결되는 방식의 디지털계약이다. 스마트컨트랙트는 조건에 맞는 정확한 작동을 수행하며 블록체인내에서 계약이 체결되므로 앞서 언급한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 다수의 참가자기 해당 내용을 감시(witness)하므로 계약의 정당한 이행을 보장받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명함의 전달과정을 스마트컨트랙트 기반에서 수행되는 일종의 계약형태로 구현한다. 자세한 사항은 일실시예에 관한 사항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또한, 탈중앙화 App(DApp)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이러한 디앱에서 상호작용하는 데이터는 블록체인에 기록되고 호출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배경의 선행기술은 아래의 문헌 정도이다.
(특허문헌 0001) KR 1020060009141 A
참고적으로, 이러한 문헌 1은 명함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관하고자 하는 대상자의 고유한 인증키를 종이명함과 구두, 통신매체 등을 통해 제공받는다. 그리고, 이렇게 제공받은 인증키를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된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입력하고, 입력된 인증키를 명함 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그래서 이에 따라, 이렇게 전송된 인증키의 정상여부를 조회하여, 조회 결과, 이상이 없을 경우 명함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인증키에 매핑되는 개인 명함 정보를 검색하며, 검색된 개인 명함 정보를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한다.
개시된 내용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복제불가능하고 고유성을 보장하는 NFT기반의 디지털명함을 통해 신원인증을 제공함으로써, 대면 및 비대면상황에서 신뢰할 수 있는 명함 발행 및 유통이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있다. 즉, 대체불가토큰(NFT)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경우, 이에 추가하여 실시간으로 명함소유자의 신원변동을 반영하며 위조 불가능한 상태로 신원인증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대체불가토큰(NFT)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은,
명함 관리를 할 경우, 전술한 방식으로부터 디지털 명함 발행자와 디지털 명함소유자가 분리되어 디지털 명함소유자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며 명함의 신뢰성을 높인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스마트컨트랙트 기반의 디지털명함 유통 플랫폼으로 명함의 진위여부를 제공하여 디지털명함 소유자의 신분을 위조불가능하게 인증함으로써, 안전한 비대면 명함 교환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1. 위조불가능한 명함 : 먼저, 기업이 자사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기업이 직접 NFT명함을 민팅함으로써, 근원적으로 잘못된 임직원 정보가 민팅될 수 없으며 민팅 후에는 수정 및 변경이 불가능하여 위조로부터 원천적으로 보호된다.
2. 탈중앙화 ID(DID) : 기업이 보증하고 임직원이 검증한 신원을 블록체인상에 보관하여 각종 디지털 신원인증의 수단으로 사용가능하다.
3. 디지털 사원증 : 기본적으로 기업에서 민팅한 NFT명함은 그 자체로 위조할 수 없고 탈취할 수 없는 속성을 갖기 때문에 사원증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4., 메타버스와 SNS 상에 자신의 신원증명 수단 : 익명화 기반 SNS와 메타버스 상에서 개인정보를 숨기고 필요한 정보만을 노출할 수 있다(예를 들면, 아바타 상에서 모기업을 다니고 있음을 증명).
5. 메시지 전달 기능 : 자신의 명함을 보유한 사용자(명함 수령자)에게 회사의 홍보와 자신의 메시지 등을 전달한다.
6. 이메일 푸터(footer) 내 삽입을 통해 메일 보낸이의 신원 확인에 대한 기능을 제공한다.
7.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 회사 증명 신원인증을 통해 SNS, 명함기반 커뮤니티와 헤드헌팅, 결혼정보 등의 비즈니스 모델로 확대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대체불가토큰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대체불가토큰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에 적용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대체불가토큰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에 적용한 명함 발행 요청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대체불가토큰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에 적용한 명함지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대체불가토큰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대체불가토큰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플랫폼은 NFT명함 발행과정으로서, 먼저 일반적인 NFT가 생성자 또는 크리에이터가 자비로 ERC-721과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가상화폐를 일정부분 지불한다. 그리고 나서, 민팅과정을 거쳐 수집가에게 오픈시와 같은 판매사이트를 통해 판매하는 과정과는 다른 과정을 거치고 이는 발명의 차별점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또한, 업체 즉, 기업의 NFT 발행기(100)는 기업정보생성기(110)를 통해 기업고유 암호키로 암호화된 기능을 사용하여 임직원의 재직정보와 로고(2D, 3D) 등을 인증한다. 아울러, 기업임직원정보등록기(120)을 통해 해당 임직원의 자신의 개인정보(phone번호, 기타 증명자료)를 등록한다. 그래서, 직원명함정보생성기(140)를 통해 기업의 임직원 재직인증정보와 임직원 개인정보를 취합하여 명함정보를 최종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직원명함정보는 NFT명함 발행기(150)을 통해 블록체인상에 민팅을 한다. 따라서, 이에 따라 민팅의 결과로 생성된 블록체인기반 NFT명함(160)이 발행되고 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기록된다. 추가적으로, 이 특허는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사항으로 특정 블록체인 메인넷에 종속되지 않는다. 한편, 현재 기업이 임직원의 NFT 명함을 소유하고 있는 상태이기에, 기업은 임직원에게 NFT로 발행된 명함을 직원의 암호화 가상화폐 명함집에 전송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이 과정은 200 명함교환을 위한 트랜잭션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한다. 또한, 명함 교환은 암호화폐 송금과 유사하게 블록체인상 지갑(wallet)에 있는 지갑주소에서 다른(명함수령인) 지갑주소로 전송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에 따라 이 과정에서 전송자의 명함지갑의 NFT명함이 하나 감소하고 전송받은 자의 지갑에 전송받은 NFT명함이 하나 증가하게 된다. 이 과정은 250, 260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되며, NFT의 특성상 고유한 하나의 특정명함이 지갑에 기록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대체불가토큰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에 적용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크게, 명함 발행 요청자 단말과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 인사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 및 NFT명함 발행 관리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각각의 장치는 자가망 등을 통해 연결함).
상기 명함 발행 요청자 단말은 다수의 상이한 업체 내의 사용자별로 예를 들어, 임직원과 사원별로 각기 구비된 것으로, 발행요청모듈과 지갑모듈을 포함한다. 그래서, 명함 발행 요청자 단말은 사용자의 명함 발행 요청정보를 받을 경우,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해당 정보를 전달하여, 명함발행을 요청한다.
상기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신원인증확인모듈과 디지털명함생성모듈, 암호화모듈을 포함한 것으로, 명함 발행 요청자 단말에 의해 각기 명함 발행을 요청받을 경우, 원격지 상에서 명함 발행정보를 각 업체별로의 사용자마다 일괄 처리하여 관리한다.
상기 인사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명함 발행정보를 처리할 경우, 명함 발행 요청자에 대하여 신원 인증을 처리 관리한다.
상기 NFT명함 발행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신원 인증을 받은 명함 발행 요청자의 명함 발행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각각의 명함 발행 요청자별로 각기 대체불가토큰명함 발행을 처리 관리하는 것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대체불가토큰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에 적용한 명함 발행 요청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명함 발행 요청자 단말은 크게, 명함지갑모듈과 명함교환모듈, 명함조회모듈 및 앱(App) API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명함지갑모듈은 NFT명함을 주고 받기 위해 블록체인 내 탈중앙화 앱이 필요하며 이는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 형식으로 구현한 모바일 기반 개인지갑을 통해 만든다. 그리고, 다른 방식으로서는 디지털 명함집 형식으로서, 예를 들어, 임직원이 보유한 NFT명함을 수집한 기능을 통해 만들고, 마찬가지로 분산 애플리케이션 형식으로 만들어서 검색 기능을 지원하기도 한다.
상기 명함교환모듈은 명함의 전달과 교환에 있어서, 분산 애플리케이션 기반 개인 명함지갑에서 명함을 전달할 상대편 지갑주소를 통해 전달하며, 전달과정은 스마트컨트랙트로 구현한다. 이에 더하여, 명함정보의 자기통제권을 구현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해 구현하며 다음의 예시속성이 있다. 1) 명함의 회수 : 명함수여자와 수령자간 합의에 의하여 회수된다. 회수는 명함수령자의 지갑에서 다시 명함소유자의 지갑으로 전달을 통해 수행된다. 2) 명함 내용의 제 3 자 전달 및 게시 : 명함소유자가 자신의 개인정보를 명함수령자가 타인에게 전달 또는 명함수령자 콜렉션에 게시하는 것을 통제하는 기능이다.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해 수행한다.
상기 명함조회모듈은 각각의 개인별로 개인 NFT명함을 보관하는 블록체인 내의 지갑 형식으로 만들며, 명함의 변경 사항이 있을 경우, 명함의 변경히스토리도 저장함으로써, 검색 기능을 지원한다. 이러한 점은 디지털 명함집과 연계하여 제공한다.
상기 앱 API 모듈은 만들어진 명함을 명함발행 요청자 단말의 지갑에 전달할 경우, 업체의 지갑에서 명함발행 요청자(임직원 포함)의 지갑으로 등록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전달한다. 그리고 또한, NFT명함을 주고 받기 위해 블록체인 내 탈중앙화 앱으로서, 분산 애플리케이션 형식으로 만든 모바일 기반 개인지갑 내의 소유증명을 통해 개인 분산아이디(DID)를 만들어서, 블록체인 내의 신원인증 기능으로 사용자 신원인증을 수행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대체불가토큰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에 적용한 명함지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명함지갑은 크게 개인키와 공개키, 명함지갑주소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개인키는 명함교환 트랜잭션 생성시 본인인증(전자서명)을 제공하고, 공개키는 명함을 받은 사람이 명함을 전달한 사람의 신원을 확인할 때(전자서명확인) 사용하며, 명합지갑주소는 명함을 전달하고 수령할 때 사용하는 디지털 주소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대체불가토큰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플랫폼은 먼저 명함발행 요청자 단말에서 각각의 업체별 사용자마다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명함발행 요청정보를 받을 경우,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요청자의 명함정보와 NFT명함의 발행 요청갯수를 받아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명함발행 요청자 단말로부터 요청자의 명함정보와 NFT명함의 발행 요청갯수를 수신할 경우, 인사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발행요청자의 신원인증을 위해 신원인증요청정보를 만들어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인사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신원인증요청정보를 전송받을 경우, 발행요청자의 신원을 인사DB를 통해 대조하여 신원인증 정보를 취득하고 해당 정보를 상기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한다.
그리고 나면, 상기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인사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신원인증 정보를 전송받을 경우, 명함발행자요청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명함발행정보를 NFT명함 발행 관리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NFT명함 발행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일실시예에 따라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1) 먼저, 상기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명함발행정보를 전송받을 경우, 수신한 명함발행요청자의 명함발행정보를 기초로 디지털명함을 요청한 개수만큼 만든다.
2) 그래서, 해당 디지털명함정보를 해시알고리즘에 임시값(nonce)를 추가하여 해시값을 만든 후 개인키로 암호 처리하여 NFT명함을 발행 전송한다.
3) 다음, 이렇게 수신한 명함정보와 암호정보를 사용하여 고유ID를 갖는 NFT명함을 지값이 있는 블록체인 상에서 만든다.
4) 그래서, 이러한 NFT명함과 발행개수를 명함발행자요청자 단말의 암호화 지갑으로 전송하고 전송이력을 블록체인에 저장한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명함 관리를 할 경우, 전술한 방식으로부터 디지털 명함 발행자와 디지털 명함소유자가 분리되어 디지털 명함소유자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며 명함의 신뢰성을 높인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스마트컨트랙트 기반의 디지털명함 유통 플랫폼으로 명함의 진위여부를 제공하여 디지털명함 소유자의 신분을 위조불가능하게 인증함으로써, 안전한 비대면 명함 교환을 지원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복제가 불가능하고 고유성을 보장하는 NFT기반의 디지털명함을 통해 신원인증을 제공함으로써, 대면 및 비대면상황에서 신뢰할 수 있는 명함 발행 및 유통을 제공한다.
그리고 또한, 이에 추가하여 실시간으로 명함소유자의 신원변동을 반영하며 위조 불가능한 상태로 신원인증을 제공한다.
한편, 추가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명함을 만들 경우, 아래의 방식으로부터 회사정보와 임직원정보를 활용하여 민팅으로 만듦으로써, 효과적으로 더 나은 방식을 제공하기도 한다.
즉, 상기한 디지털 명함을 만들 경우, 다수의 상이한 업체별로 각기 회사정보와 임직원정보를 활용하여 블록체인 내에서 대체불가토큰 명함을 민팅하여 만들고, 상기 민팅할 경우, 발행수량을 명기한다.
여기에서, 상기 대체불가토큰 명함 구성은 아래와 같다.
1) 회사로고 : 2D/3D이미지
2) 회사캐치프라이즈
3) 명함 외형 : 일반적으로 종이명함은 사각이나 NFT 명함은 형태나 모양에 제약은 없다.
4) 회사명
5) 임직원 성명 / 직위
6) 임직원 소속 부서
7) 개인설명자료(학위와 자격, 특정경력 포함)
8) 개인 및 기업 정보(모바일폰/회사전화 번호와 팩스 번호, 메일/웹 주소, 일반 주소 포함)
9) 배너이미지(명함의 대표이미지와 개인 SNS 프로파일에 연동 포함)
10) 기타(메시지 포함)
11) 명함이미지
12) NFT 명함 속성
13) 기타 사항(링크 포함)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구성은 이렇게 명함을 지갑에 전달할 경우, 아래 방식으로부터 명함을 특정 지갑 형식과 연계하여 전달하고, 지갑을 효과적으로 만들어서 전달함으로써, 명함의 송수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NFT명함 발행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5) 먼저, 명함을 명함발행 요청자 단말의 지갑에 전달할 경우, 업체의 지갑에서 명함발행 요청자(임직원 포함)의 지갑으로 등록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전달한다.
한편, 추가적으로 이러한 명함을 명함 발행 요청자 단말의 지갑에 전달할 경우, 해당 명함에 대하여 등록 이메일 푸터(footer)의 디지털명함 링크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송신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6) 그리고, NFT명함을 주고 받기 위해 블록체인 내 탈중앙화 앱으로서, 분산 애플리케이션 형식으로 만든 모바일 기반 개인지갑 내의 소유증명을 통해 개인 분산아이디(Decentralized Identifier : DID)를 만들어서, 블록체인 내의 신원인증 기능으로 사용자 신원인증을 한다.
7) 다음으로, 상기 개인지갑은 각각의 개인별로 개인 NFT명함을 보관하는 블록체인 내의 지갑으로 만들며, 명함의 변경 사항이 있을 경우, 명함의 변경히스토리도 저장한다.
8) 아울러, 각각의 개인(임직원 포함)이 보유한 NFT명함을 수집하여 디지털 명함집을 만들고, 분산 애플리케이션 형식으로 만들어서 검색기능을 지원한다.
한편, 추가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전술한 바에 따라 이렇게 일실시예에 의해 명함을 만들 경우, 아래의 방식으로부터 보다 더 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 나은 방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a) 예를 들어 먼저, 이렇게 명함을 만들 경우에, 해당 정보에서 만들 설정 객체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객체를 설정 포맷으로 다수의 상이한 업체와 직무, 직위별로 각기 대응하는 객체 특유의 기본 정보 등을 기반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상기 기본 정보 등은 각각의 업체와 직무, 직위별로 또는 그의 유형별로 수행한다.
b) 그래서, 해당 객체를 만들 경우, 인식한 객체의 업체의 직무, 직위 정보 등을 추출한다.
c) 따라서, 이를 통해 해당 객체의 정보 등을 등록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제공하기도 한다.
d) 여기에서, 상기 기본 정보 등의 기반은 아래와 같다.
1) 즉,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다수의 상이한 업체외 직무, 직위별로 또는 그의 유형별로 각기 대응하는 기본정보 등을 정의한다.
2) 그리고 또한, 이러한 기본정보를 추가하기 위해서, 각각의 정보별로 업체명과 업종, 상호, 직무명, 직책 등을 포함한 내용별로 분리 등록하여, 학습용 정보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포맷은 아래와 같다.
1) 즉, 상기 객체를 만들 경우에 해당 객체가 포함된 관리자 설정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에서 전술한 정보 등을 포함하여 인식한다.
2) 추가적으로, 상기 객체를 만들 경우, 해당 정보에서 상이한 객체 유형별로 각기 대응하는 전술한 정보 기반으로 상이한 업체와 직무, 직위별로 또는 그의 유형별로 분류 학습하는 방식을 정한다. 한편, 기존과 같이, 객체 인식동작은 기본적으로 기존과 동일하며, 그에 대한 설명을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3) 다음, 다수의 상이한 업체외 직무, 직위별로 각기 전술한 정보에 대한 특징을 나타내는 데이터셋을 추출한다.
4) 그리고, 추출된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상이한 방식별로 각기 정보의 속성을 각기 결정한다.
5) 그래서 상기 결정한 정보를 정규 처리한다.
6) 상기 정규 처리한 정보를 기초로 해서 각각의 방식별로 전술한 정보의 속성을 각기 설정한다.
이를 통해, 다수의 상이한 업체와 직무, 직위별로 각기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를 각기 설정한다.
7) 따라서, 이에 따라 상기 설정한 정보를 학습 및 훈련 데이터로 만들어서 사용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포맷은 아래와 같기도 하다.
먼저, 예를 들어, 일반 직원과 임원 등 직위별로 각기 또는 업체의 상황별로 예를 들어, 고객을 많이 대하는 업체 또는 개인적인 일을 많이 하는 업체 등별로 속성상태가 약간씩 다르므로, 이러한 상황별로 맞게 상이한 방식을 만들기도 한다. 그리고 각각의 업체 또는 직무 등마다 이 방식을 만들 수도 있고, 기준을 잡아 몇 개의 묶음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은 정보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결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방식을 만들기 위해 정보를 전송받을 경우, 정보에서 오류로 인하여 다수 정보를 미수집할 경우와 이상치를 감지할 경우가 있을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제거하여야 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기본 정보셋을 만든 후, 추가적으로 필요한 해당 정보에 대해서 속성을 추가한다.
또한, 간혹 정보의 끊김 현상으로 일부 정보를 미수집하였을 경우 해당 정보를 제거한다.
그래서, 다음으로 방식별로 유효한 속성을 결정하고 정규치를 만든 후 독립 및 종속 변수를 결정한다.
한편, 추가적으로 이러한 방법은 이렇게 명함을 만들 경우, 여러 업체별로 각기 만드는 목적 등에 따라서 객체를 상이하게 정함으로써, 객체 인식과 관리 등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도 한다.
이를 위해, 이러한 구성은 다수의 상이한 업체 또는 직무와 직위별로 각기 명함을 만드는 목적과 업체의 유형, 명함을 만드는 대상을 상이하게 대응하여 설정한 등록정보로부터 각각의 업체에 맞는 객체를 그 만드는 목적과 업체의 유형, 그의 만드는 대상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객체 인식 등을 쉽게 한다.
예를 들어, 명함을 만드는 목적은 일반 사항과 홍보, 집중 홍보 등이고, 업체 유형은 일반 유형과 소규모 또는 개인적인 사무를 처리하는 업체, 개인업체 등이기도 하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경우, 전술한 대상에 대해서는 이러한 목적과 업체의 유형에 맞추어서 객체를 상이하게 정하여 객체 인식 등을 원활하게 하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이에 더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이렇게 명함을 만들 경우, 전술한 각각의 장치 즉,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인사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 등에서 등록정보와 감시정보를 동일하게 가지도록 하여, 신속하게 처리한다.
a) 이를 위해, 먼저 각각의 관리 정보처리장치 등에 대한 장치등록정보를 포함한 다수의 상이한 등록정보와 감시 정보를 저장한 테이블을 동일하게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에 대한 정합관계를 각기 추가적으로 미리 설정 등록한다.
b) 그리고 나서, 상기 각각의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가 해당 정보를 변경할 경우, 상기 정합관계에 따라서 테이블 내의 정보를 변경할 경우에 맞추어 동일하게 변경함으로써, 장치 간에 정보를 일치 유지한다.
c) 추가적으로, 이러한 장치 간에 정보를 일치 유지할 경우에, 설정 I/O포트 포맷으로부터 다수의 상이한 장치 또는 그의 유형 등별로 각기 I/O포트 구성을 매트릭스 처리하여 다원적으로 만든다.
그래서, 이러한 정보를 일치 유지할 경우마다, 상기 I/O포트 구성으로부터 상이한 장치별로 각기 변경 동작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정보 입출력을 다원적으로 수행한다.
다른 한편, 이러한 구성은 이렇게 명함을 만들 경우, 아래의 방식으로부터 정보를 암호 방식으로 안전하게 명함발행 요청자 단말에서 받거나 인사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 즉, 관리자에게 제공하기도 함으로써, 정보를 관리자 측 등에서 원활하게 받도록 한다.
즉, 이러한 방식은 먼저 정보를 수집 또는 제공할 경우, 예컨대 정보를 수집 또는 전달할 명함발행 요청자 단말의 장치 또는, 관리자 측의 개수별로 각기 해당 비밀 키와 배타적 논리합의 특징을 이용해서 n개의 분산 정보를 만든다.
예를 들어, 명함발행 요청자 단말은 각각의 상이한 업체나 그 유형별로 또는, 명함을 만드는 목적 등에 따라서 구분한다. 그리고, 관리 장치는 관리 정보처리장치(원격지 상)와 관리자 단말기, 작업 현장의 관리 정보처리장치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래서, 이러한 정보를 이용해서 n개의 부분 비밀 키를 만들어, n개의 개수 각각에 암호화된 분산 정보와 부분 비밀 키를 저장함으로써, 암호화한다. 이러한 경우, 분산 정보는 각 장치의 개수별로 구분하기도 한다.
이러한 배경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단말기가 고성능/고용량화 되어 감에 따라, 단말기의 내부의 중요 데이터들에 대한 보호 및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 데이터들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해서 종래에는 단말기의 중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하여 백업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중요 데이터가 하나의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되는 경우, 저장 장치가 해킹되는 경우 중요 데이터가 손쉽게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중요 데이터를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함에 있어서, 보다 안전한 방법을 요구하기도 한다.
한편으로 특히, 그리고 또한, 이러한 경우에 임의의 초기값과 비밀키를 입력하는 방법을 스크램블을 활용하여 차단하기도 함으로써, 조금 더 효과적으로 분산 저장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렇게 암호화할 경우, 아래의 암호화 구성으로부터 정보를 암호화하여 해당 장치로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암호화 구성은 아래와 같다.
a) 즉, 특정한 정보를 입력받을 경우,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암호 방식을 바탕으로 해서 평문의 모양이나 길이에 따라 각기 상이한 비밀키를 하나 선택한다.
그리고 또한, 비밀키 크기에 따라 다수의 상이한 라운드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하여 반복실행함으로써 암호문을 획득한다.
또한, 각 라운드별 함수는 라운드 키 덧셈과 치환 계층, 확산 계층을 포함하는 ARIA(Academy Research Institute Agency) 암호화 포맷을 적용한다.
b) 그래서, 이를 통해 상기 라운드 키 덧셈 연산을 수행하기 전에, 평문과 비밀키로부터 n-1개의 스크램블러와(n개는 각각의 개수임) 배타적 논리합을 먼저 수행함으로써 변조한다.
c) 그리고 나서, 이러한 변조 정보를 n개의 부분 비밀 키로 설정하고, n개의 각 대상으로 서로 다른 하나의 부분 비밀 키를 제공한다.
d) 그래서 이렇게 변조를 수행한 경우, 상기 비밀키 크기에 따른 한 가지 라운드의 라운드 키 덧셈 연산을 포함한 라운드별 함수로서 반복실행함으로써 암호문을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암호문(형식)을 획득할 경우마다, 상기 스크램블러가 라운드 키 덧셈 연산에서 시스템적으로 소멸하고 연산결과를 상용의 AES와 동일한 형식으로 얻어진다.
한편, 이러한 점에 더하여 상기 분산 저장 방법은 이렇게 암호화할 경우, 다른 예로서 종래 기술을 활용하여 아래의 구성으로부터 분산 저장을 하므로, 다른 면으로 효과적인 분산 저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성은 먼저 스크램블을 n-1개 즉, 대상의 개수에서 하나를 뺀만큼 비밀 키를 구성하고, 이러한 비밀 키를 이용해서 n개의 분산 정보를 만든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수항을 비밀 정보로 하는 t-1차 랜덤 다항식(f(x))을 선택하고, t-1차 랜덤 다항식(f(x))의 x에 1부터 n까지의 값을 대입하여 n개의 분산 정보를 만들 수 있다. 이때, t는 비밀 정보를 복구하는데 필요한 분산 정보의 개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특정한 비밀 키를 구성한다.
다음, n-1개의 랜덤키를 즉, n-1개의 스크램블을 만들고, 비밀 키와 n-1개의 랜덤 키를 모두 비트단위 배타적 논리합(Bitwise XOR)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정보를 n개의 부분 비밀 키로 설정하고, n개의 대상들 각각으로 서로 다른 하나의 부분 비밀 키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n개의 분산 정보 각각을 비밀 키로 암호화하여 n개의 암호화된 분산 정보를 만든다.
그리고, n개의 암호화된 분산 정보를 각각의 대응하는 n개의 대상들로 송신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참고적으로, 이러한 방식은 위의 방식에 동일하게 사용하기도 한다.
그래서, 이렇게 암호화된 분산 정보를 송신하기에 앞서, n개의 대상들이 정당한 사용자인지 인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참고적으로 이러한 방법은 이렇게 암호화할 경우, 여기에서 분산하여 저장한 정보를 복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비밀 정보의 복구 요청을 받을 경우, n개의 대상들 중에서 적어도 t개의 관리자 측 개수 등로부터 암호화된 분산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경우, 암호화된 분산 정보를 수신하기에 앞서, t개의 대상과의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비밀 키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내부에 비밀 키를 저장한 경우에는, 이 비밀 키를 이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별도로 비밀 키를 구성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내부에서 비밀 키를 구성할 수 없으면, n개의 대상들을 통해서 비밀 키를 획득할 수 있다.
n개의 대상들을 통해서 비밀 키를 획득하는 것은, n개 대상들 각각과 인증하여 n개의 대상으로부터 부분 비밀 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n개의 부분 비밀 키를 모두 비트단위 배타적 논리합(Bitwise XOR)하여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부가적으로 전술한 두 방식에 같이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t개의 암호화된 분산 정보를 비밀 키로 복호화하여 t개의 분산 정보를 만든다.
그리고 또한, t개의 분산 정보를 이용해서 비밀 정보를 복구한다.
비밀 정보를 복구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t개의 분산 정보를 이용해서 t-1차 랜덤 다항식(f(x))을 복구하고, t-1차 랜덤 다항식(f(x))의 상수항을 확인하고, 상수항을 비밀 정보로 복구할 수 있다.
100 : NFT 발행기
200 : 트랜잭션 어플리케이션

Claims (4)

  1. 다수의 상이한 업체 내의 사용자별로 각기 구비된 명함 발행 요청자 단말;
    상기 명함 발행 요청자 단말에 의해 각기 명함 발행을 요청받을 경우, 원격지 상에서 명함 발행정보를 업체별로의 사용자마다 일괄 처리하여 관리하는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
    상기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명함 발행정보를 처리할 경우, 명함 발행 요청자에 대하여 신원 인증을 처리 관리하는 인사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 및
    상기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신원 인증을 받은 명함 발행 요청자의 명함 발행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각각의 명함 발행 요청자별로 각기 대체불가토큰(NFT)명함 발행을 처리 관리하는 NFT명함 발행 관리 정보처리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명함발행 요청자 단말은,
    각각의 업체별 사용자마다 각기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명함발행 요청정보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요청자의 명함정보와 NFT명함의 발행 요청갯수를 입력받아 전달하고,

    상기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명함발행 요청자 단말로부터 요청자의 명함정보와 NFT명함의 발행 요청갯수를 수신할 경우, 인사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발행요청자의 신원인증을 위해 신원인증요청정보를 만들어 전송하며,

    상기 인사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신원인증요청정보를 전송받을 경우, 발행요청자의 신원을 인사DB를 통해 대조하여 신원인증 정보를 취득하고 해당 정보를 상기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인사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신원인증 정보를 전송받을 경우, 명함발행자요청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명함발행정보를 NFT명함 발행 관리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NFT명함 발행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1) 상기 명함정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명함발행정보를 전송받을 경우, 수신한 명함발행요청자의 명함발행정보를 기초로 디지털명함을 요청한 개수만큼 만들어서,
    2) 해당 디지털명함정보를 해시알고리즘에 임시값(nonce)를 추가하여 해시값을 만든 후 개인키로 암호 처리하여 NFT명함을 발행 전송하고,
    3) 수신한 명함정보와 암호정보를 사용하여 고유ID를 갖는 NFT명함을 지값이 있는 블록체인 상에서 만들어서,
    4) NFT명함과 발행개수를 명함발행자요청자 단말의 암호화 지갑으로 전송하고 전송이력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불가토큰(NFT)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FT명함 발행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디지털 명함을 만들 경우, 다수의 상이한 업체별로 각기 회사정보와 임직원정보를 활용하여 블록체인 내에서 대체불가토큰(NFT) 명함을 민팅하여 만들고, 상기 민팅할 경우, 발행수량을 명기하고,
    여기에서, 상기 대체불가토큰 명함 구성은,
    1) 회사로고
    2) 회사캐치프라이즈
    3) 명함 외형
    4) 회사명
    5) 임직원 성명 / 직위
    6) 임직원 소속 부서
    7) 개인설명자료(학위와 자격, 특정경력 포함)
    8) 개인 및 기업 정보(모바일폰/회사전화 번호와 팩스 번호, 메일/웹 주소, 일반 주소 포함)
    9) 배너이미지(명함의 대표이미지와 개인 SNS 프로파일에 연동 포함)
    10) 기타(메시지 포함)
    11) 명함이미지
    12) NFT 명함 속성
    13) 기타 사항(링크 포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불가토큰(NFT)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NFT명함 발행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5) 명함을 명함발행 요청자 단말의 지갑에 전달할 경우, 각 업체의 지갑에서 명함발행 요청자(임직원 포함)의 지갑으로 등록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전달하고,
    6) NFT명함을 주고 받기 위해 블록체인 내 탈중앙화 앱으로서,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 형식으로 만든 모바일 기반 개인지갑 내의 소유증명을 통해 개인 분산아이디(DID)를 만들어서, 블록체인 내의 신원인증 기능으로 사용자 신원인증을 하며,
    7) 상기 개인지갑은 각각의 개인별로 개인 NFT명함을 보관하는 블록체인 내의 지갑으로 만들며, 명함의 변경 사항이 있을 경우, 명함의 변경히스토리도 저장하고,
    8) 각각의 개인(임직원 포함)이 보유한 NFT명함을 수집하여 디지털 명함집을 만들고, 분산 애플리케이션 형식으로 만들어서 검색기능을 지원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불가토큰(NFT)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NFT명함 발행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명함을 명함 발행 요청자 단말의 지갑에 전달할 경우, 해당 명함에 대하여 등록 이메일 푸터(footer)의 디지털명함 링크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송신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불가토큰(NFT)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






KR1020220116242A 2022-09-15 2022-09-15 대체불가토큰(nft)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 KR20240037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242A KR20240037570A (ko) 2022-09-15 2022-09-15 대체불가토큰(nft)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242A KR20240037570A (ko) 2022-09-15 2022-09-15 대체불가토큰(nft)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570A true KR20240037570A (ko) 2024-03-22

Family

ID=90481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242A KR20240037570A (ko) 2022-09-15 2022-09-15 대체불가토큰(nft)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5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772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vering data using dynamic passwords
US11250394B1 (en) Method and system for blockchain-based gemstone ownership, identity, custody, supply-chain transfer, trading, and secure payments
JP5016749B2 (ja) 認証された文書の電子的送信、格納および検索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756817B2 (ja) 非集中型のタイトル記録および認証のためのシステムならびに方法
US20190034923A1 (en) Secure and confidential custodial transac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using zero-knowledge protocol
KR20210024992A (ko) 블록체인 내에서 코드와 이미지를 사용하는 시스템과 방법
US201601628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using crypto-currency transactions as access tokens
US201600987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 verification of goods
CN109417549A (zh) 使用集中式或分布式分类账来提供信息证明的方法和设备
CN103679436A (zh) 一种基于生物信息识别的电子合同保全系统和方法
JPH11512841A (ja) 文書認証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096903B (zh) 基于区块链的资产验证方法及区块链网络系统
AU2011313826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ducting transactions
EP36953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ynchronous traceable data shar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Hsu et al. Design of an e-diploma system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and facial recognition
TW525072B (en) Digital graphic signature system
WO2019063512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DIGITAL IDENTITY, DIGITAL IDENTITY, METHOD FOR CREATING AN ELECTRONIC TRANSACTION DOCUMENT AND ELECTRONIC TRANSACTION DOCUMENT
Shorman et al. Authentication and verification of social networking account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KR20200126313A (ko) 조회 이력 통지에 의하여 인증 기능이 강화된 문서 인증 방법 및 문서 인증 시스템
KR20240037570A (ko) 대체불가토큰(nft)을 활용한 암호기반 탈중앙화 디지털 명함 발행, 교환 및 인증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
CN115310978A (zh) 一种数字资产的交易方法及装置
JP2002298088A (ja) スマートカード発行システム及び方法
CN109120397B (zh) 一种基于标识密码的单证鉴别方法及系统
JP7367270B1 (ja) 鑑定証明システム、及び鑑定証明方法
KR102320103B1 (ko) 작품에 기재되는 서명을 대체하여 진품을 인증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