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408A -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408A
KR20240035408A KR1020237045135A KR20237045135A KR20240035408A KR 20240035408 A KR20240035408 A KR 20240035408A KR 1020237045135 A KR1020237045135 A KR 1020237045135A KR 20237045135 A KR20237045135 A KR 20237045135A KR 20240035408 A KR20240035408 A KR 20240035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container
elements
storage portion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5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프레트 요아킴
페터 지그리슈트
슈테판 케저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40035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2Means to read code provided on ingredient pod or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2Centrifuges for producing filtered coff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58Coding means for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음료 및/또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기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구체 재료를 포함하도록 배열된 용기로서, 용기는 저장 부분, 폐쇄 부재, 저장 부분과 폐쇄 부재를 연결하는 플랜지, 및 상기 기계에 의해 수행되는 제조 프로세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조 정보를 저장하는 기계 판독가능 코드를 포함하고, 코드는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코드의 요소들은 저장 부분 상의 제1 위치로부터 플랜지 상의 제2 위치로 연장되어, 코드는 플랜지 또는 저장 부분으로부터 판독가능하고, 요소들은 캡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판독되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
본 개시내용은 대체적으로 미리분배된 캡슐(pre-portioned capsule)로부터 음료 또는 식품을 제조하는 전기 작동식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료의 제조를 위한 시스템은 음료 제조 기계 및 캡슐을 포함한다. 캡슐은 음료 형성 전구체 재료, 예컨대 분쇄된 커피 또는 차의 단일 서빙(single-serving)을 포함한다. 음료 제조 기계는 전형적으로 상기 전구체 재료에 대한 가압 가열된 물의 노출에 의해 캡슐에 대해 음료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캡슐의 프로세싱은 음료로서 캡슐로부터의 전구체 재료의 적어도 부분적인 추출을 야기한다.
음료 제조 기계의 이러한 구성은, 1) 종래의 음료 제조 기계와 비교하여 (예컨대, 수동 작동식 스토브 탑 에스프레소 메이커(stove-top espresso maker)와 비교하여) 향상된 사용자 편의성 및 2) 향상된 음료 제조 프로세스로 인하여 증가된 인기를 갖는데, 여기서 캡슐 상의 코드에 의해 인코딩된 제조 정보가 기계에 의해 판독되고; 제조 정보는 기계에 의해 사용되어 캡슐에 특정적인 방식으로 제조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게 한다. 특히, 인코딩된 제조 정보는 음료 제조 프로세스에서 선택된 작동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작동 파라미터들은 유체 온도; 유체 압력; 제조 기간, 및 유체 체적을 포함한다.
다양한 코드들이 개발되어 있는데, 이들의 예는, 캡슐의 플랜지의 하부 면이 그에 배열된 코드를 포함하는 EP 2594171 A1호에 제공되어 있다. 그러한 코드의 단점은 그것이 제한된 수의 위치로부터 판독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는 기계 설계에 제약을 부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들의 개발에 이미 투자된 상당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추가 개선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내용은 음료 또는 식품 또는 그의 전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구체 재료를 포함하기 위한 용기를 제공하며, 용기는 상기 기계에 의해 수행되는 제조 프로세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조 정보를 저장하는 기계 판독가능 코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기계는 음료 및/또는 식품 또는 그의 전구체를 제조하기 위해 제조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실시예에서, 용기는 전구체 재료의 저장을 위한 저장 부분; 저장 부분을 폐쇄하기 위한 폐쇄 부재(예컨대, 멤브레인); 및 저장 부분과 폐쇄 부재를 연결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적합한 폐쇄 부재의 예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교시 및 용기 및/또는 폐쇄 부재에 관한 예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적합한 구성 및/또는 작동의 상세사항은 예를 들어 EP2569230호에 개시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코드는 복수의 요소를 포함하고, 요소들은 제조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부분을 인코딩하고, 데이터 부분을 위치파악하기 위한 파인더 시퀀스(finder sequence)를 인코딩한다.
실시예에서, 요소들(예컨대, 코드를 형성하는 요소들의 일부 또는 전부)은 저장 부분 상의 제1 위치로부터 플랜지 상의 제2 위치로 연장되어, 코드는 플랜지 또는 저장 부분으로부터 판독가능하고(예컨대, 상기 위치에 인코딩된 코드의 모든 정보가 완전히 판독가능하고), 요소들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판독되도록 배열된다.
플랜지 및 저장 부분 둘 모두에 배열되도록, 그리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간극 없이 연속적인 것을 포함하여) 연장되도록 하는 한편, 회전 대칭축을 중심으로 판독가능한 코드를 형성하는 요소들을 구현함으로써, 코드는 다양한 위치들로부터 편리하게 판독될 수 있으며, 예컨대, 더 오래된 기계는 플랜지의 하부 면으로부터 코드를 판독할 수 있고, 더 새로운 기계는 저장 부분의 면으로부터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코드는 다양한 기계들과 호환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용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이고, 코드는 회전축에 중심을 갖는 가상 원형 라인을 따라 중심에 배열된다. 회전축에 대해 코드를 중심설정함으로써, 코드는 편리하게 판독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위치는 저장 부분의 공동의 베이스 영역에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베이스 영역"은 저장 부분의 공동의 최대 깊이의 영역을 지칭할 수 있으며, 여기서 깊이 방향은 플랜지로부터 연장된다. 베이스 영역은, 특히 반구형 용기의 경우, 최대 깊이의 70% 또는 80% 또는 90% 초과의 깊이를 갖는 임의의 영역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베이스 영역은 회전 대칭축에 있을 수 있는 축방향으로 향하는 (실질적으로 향하는 것을 포함함) 중심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위치는 용기의 회전축에 있다(회전축에 바로 있거나 그로부터 작은 간극을 갖고 근위에 있는 것을 포함함). 회전축에 제1 위치를 배열함으로써, 코드의 요소들은 회전축에서 공통 지점까지 연장되고 그에 수렴하며, 코드는 또한 회전축의 근위에서 판독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위치는 플랜지의 근위에 또는 외부 림에 있다. 플랜지의 림까지 또는 그 위로 연장되도록 코드를 배열함으로써, 코드는 플랜지의 밑면 또는 플랜지의 림 상에서 판독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코드 요소들은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중심 라인을 갖고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연장된다. 코드가 회전축으로부터 외향으로 그것이 반경방향으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코드가 다양한 위치들에서 판독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중심 라인"은 요소의 원주방향 범위의 중간 거리를 통해 코드 요소를 따라 연장되는 라인을 지칭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코드 요소들은 반경방향 거리에 따라 증가하는 원주방향 폭을 갖고 연장된다. 회전축으로부터 더 멀어질수록 원주방향 폭(예컨대 마이너 치수, 여기서 메이저 치수는 반경 방향으로 정렬됨)이 증가하도록 코드 요소들을 배열함으로써, 코드가 판독되는 곳에 무관하게 동일한 정보가 정확하게 인코딩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코드 요소들은 반경방향 거리에 따라 비례하여 원주방향 폭이 증가하여, 그들의 상대 원주방향 비율이 반경방향 거리에 따라 변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대 원주방향 비율은, 원주방향 폭 및 상기 폭이 측정되는 총 원주의 비를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코드 요소들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요소들이 연속적으로, 예컨대 용기의 특징부에 의해 분리 또는 양분되지 않고서 연장되도록 배열함으로써, 코드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판독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요소들(예컨대, 코드를 형성하는 요소들의 일부 또는 전부)은 저장 부분 상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연장되는데, 제1 위치는 저장 부분의 베이스 영역에 있고(회전 대칭축에 정렬될 수 있는 저장 부분의 중심에 바로 있거나 그에 근접해 있는 것을 포함하여, 중심에 있는 것을 포함함), 제2 위치는 플랜지에 있고(플랜지와 저장 부분 사이의 접합부에 바로 있거나 그의 근위에 있는 것을 포함함), 요소들은 용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판독되도록 배열된다. 실시예에서, 플랜지에서 저장 부분 상의 제2 위치는 반경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된 저장 부분을 포함하며, 예컨대, 저장 부분은, 측방향 및 종방향에 의해 한정되고 반경 방향으로 있을 수 있는 플랜지의 평면에 대해 90도(실질적으로 90도를 포함함)로 플랜지 부분과 교차한다.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저장 부분의 상당한 부분에 걸쳐 배열되도록 그리고 상기 위치들 사이에서 연장되도록(간극 없이 연속적인 것을 포함함) 하는 한편, 회전 대칭축을 중심으로 판독가능한 코드를 형성하는 요소들을 구현함으로써, 코드는 다양한 위치들로부터 편리하게 판독될 수 있으며, 예컨대, 더 오래된 기계는 저장 부분의 하부 위치로부터 코드를 판독할 수 있고, 더 새로운 기계는 저장 부분의 상부 위치로부터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코드는 다양한 기계들과 호환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코드는 회전 대칭축에 대해 또는 (저장 부분의 베이스에서) 90도로 또는 (플랜지와의 교차점에서) 그에 대해 90도로 정렬된 채로 판독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요소들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라인 상에 배열된다. 상기 요소들을 가상 라인에 의해 교차되도록 배열함으로써, 이들은 코드 판독기가 상기 라인에 대해 회전됨에 따라 판독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음료 및/또는 식품 또는 그의 전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구체 재료를 포함하기 위한 용기에 부착하기 위한 기재(substrate)를 제공하며, 기재는 선행 실시예들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의 코드의 임의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기재"는 코드를 용기에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코드를 위한 임의의 적합한 캐리어를 지칭할 수 있으며, 그의 예들은 스티커; 접착제 스트립을 수용하기 위한 판지 부재; 및 다른 적합한 장치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선행 실시예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의 용기, 및 음료 및/또는 식품 또는 그의 전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 기계는 용기의 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코드 판독 시스템; 용기의 전구체 재료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프로세싱 유닛; 및 코드로부터 판독된 제조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 회로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은 용기 프로세싱 유닛 및 유체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고; 전기 회로부는 코드로부터 판독된 제조 정보에 기초하여 용기 프로세싱 유닛 및 유체 프로세싱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배열된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은 산개(loose) 재료 프로세싱 유닛으로서 배열되고; 전기 회로부는 코드로부터 판독된 제조 정보에 기초하여 용기로부터 분배되거나 용기 내에 배열된 산개 전구체 재료를 프로세싱하기 위해 산개 재료 프로세싱 유닛을 제어하도록 배열된다.
실시예에서, 코드 판독 시스템은 용기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코드를 판독하도록 배열되고, 프로세싱 유닛은 용기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전구체 재료를 프로세싱하도록 배열된다. 코드 판독 및 전구체 재료 프로세싱은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음료 및/또는 식품 또는 그의 전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를 위한 임의의 선행 실시예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의 용기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음료 및/또는 식품 또는 그의 전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정보에 기초하여 기계가 제어되는 제조 프로세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조 정보를 판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방법은 임의의 선행 실시예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의 용기의 코드로부터 제조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용기 상의 제1 위치 및/또는 제2 위치로부터 코드를, 예컨대 상기 위치들 중 하나에 대해 적합하게 경사진 코드 판독기를 사용하여,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음료 또는 식품 또는 그의 전구체의 제조 방법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전구체 재료에 대한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제조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본 방법은 임의의 선행 실시예,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의 특징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선행 실시예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전기 회로부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선행 실시예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코드로 제조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본 방법은 용기의 저장 부분 상의 제1 위치로부터 용기의 플랜지 상의 제2 위치로 연장되도록 코드의 요소들을 배열하여, 코드가 플랜지 또는 저장 부분으로부터 판독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요소들은 용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판독되도록 배열된다.
본 개시내용은 코드로 제조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본 방법은 용기의 저장 부분 상의 제1 위치로부터 용기의 저장 부분 상의 제2 위치로 연장되도록 코드의 요소들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위치는 저장 부분의 베이스 영역의 중심에 있고, 저장 부분 상의 제2 위치는 플랜지의 근위에 있고, 요소들은 용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판독되도록 배열된다.
상기의 발명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발명 요지의 양태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몇몇 실시예들을 요약할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특징들은 단지 예에 불과하며,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발명 요지의 범주 또는 사상을 어떤 식으로든 좁히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더욱이, 상기 및/또는 선행 실시예들은 추가 실시예들을 제공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발명 요지의 다른 특징들, 양태들, 및 이점들은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도면의 간단한 설명,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양태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들은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음료 또는 식품 또는 그의 전구체의 제조를 위한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기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계의 유체 컨디셔닝(conditioning)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a, 도 4b 및 도 5는 도 2의 기계의 용기 프로세싱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산개 재료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는, 도 2의 기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기계의 제어 전기 회로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1의 시스템의 용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제조 프로세스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용기의 코드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용기의 예시적인 용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용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시스템의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전에, 시스템은 하기의 설명에 제시된 구성 또는 프로세스 단계들의 상세사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이점은, 시스템이 다른 실시예를 실시할 수 있고 다양한 방식들로 실시 또는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하기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기계"는 전기 작동식 디바이스를 지칭하며, 이는 전구체 재료로부터 음료 및/또는 식품을 제조할 수 있거나, 사전-전구체(pre-precursor) 재료로부터, 후속적으로 음료 및/또는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전구체 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기계는 하기의 프로세스들: 희석; 가열; 냉각; 혼합; 휘젓기(whisking); 용해; 침지; 수침(steeping); 추출; 컨디셔닝; 인퓨전(infusion); 그라인딩; 및 다른 유사한 프로세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상기 제조를 구현할 수 있다. 기계는 작업대 상에서의 사용을 위해 치수설정될 수 있는데, 즉, 이는 길이, 폭 및 높이가 70 cm 미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제조하다"는 음료 및/또는 식품의 적어도 일부의 제조를 지칭할 수 있다(예컨대, 음료는 우유 및/또는 물을 포함하는, 소비 전의 가외 유체를 최종 사용자가 수동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제조된 채로 또는 그 전체가 제조된 채로 상기 기계에 의해 제조됨).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용기"는, 예를 들어 단일 서빙의 미리분배된 양으로서, 전구체 재료를 포함하는 임의의 구성을 지칭할 수 있다. 용기는 그것이 단지 단일 서빙의 전구체 재료만을 포함할 수 있도록 최대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용기는 일회용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는 제조 프로세스 후에 물리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전구체 재료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천공부; 용기로부터 음료/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천공부; 전구체 재료를 추출하기 위한 사용자에 의한 개방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는 기계의 용기 프로세싱 유닛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것은 정렬시키기 위해 그리고 그를 통해 용기를 지향시키거나 상기 유닛 상에 배열시키기 위한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는, 음료/식품을 전달하기 위해 특정 압력을 받을 때 파열되도록 배열된 파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는 용기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 부재, 예컨대 멤브레인을 가질 수 있다. 용기는 절두원추형; 원통형; 디스크형; 반구형; 패킷; 다른 유사한 형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들을 가질 수 있다. 용기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재료는 그것이 식품-안전성(food-safe)이도록; 그것이 제조 프로세스의 압력 및/또는 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선택된다. 용기는 캡슐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캡슐은 20 내지 100 ml의 내부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캡슐은 커피 캡슐, 예컨대 Nespresso® 캡슐(Classic, Professional, Vertuo, Dolce Gusto 또는 다른 캡슐을 포함함)을 포함한다. 용기는 리셉터클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서 리셉터클은 150 내지 350 ml의 내부 체적을 가질 수 있다. 리셉터클은 전형적으로 그로부터 최종 사용자 소비를 위해 사용되고, 스푼을 포함하여 구현하는 것을 통한 소비를 위한 포트(pot), 및 그로부터 음용하기 위한 컵을 포함한다. 용기는 패킷으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서 패킷은 플라스틱 또는 포일을 포함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다. 패킷은 150 내지 350 ml 또는 200 내지 300 ml 또는 50 내지 150 ml의 내부 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외부 디바이스" 또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 또는 "주변 디바이스"는 기계의 외부에 있는 전자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이들은 기계와 동일한 위치에 배열되거나 또는 기계로부터 원격으로 배열되고, 이들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기계와 통신한다. 외부 디바이스는 기계 및/또는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PDA; 비디오 게임 제어기; 태블릿; 랩톱; 또는 다른 유사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서버 시스템"은 기계의 외부에 있는 전자 컴포넌트들을 지칭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이들은 기계로부터 원격 위치에 배열되고, 이들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기계와 통신한다. 서버 시스템은 기계 및/또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은 네트워크 기반 컴퓨터(예컨대, 원격 서버); 클라우드-기반 컴퓨터; 임의의 다른 서버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시스템" 또는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은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 용기; 서버 시스템; 및 주변 디바이스 중 임의의 둘 이상의 조합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음료"는 냉각 또는 가열되어 있을 수 있는 음용 물질로 프로세싱될 수 있는 임의의 물질을 지칭할 수 있다. 음료는 고체; 액체; 겔; 페이스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음료는 차; 커피; 핫쵸코; 우유; 농축 과일 음료(cordial); 비타민 조성물; 허브차/인퓨전; 인퓨전된/향미 물, 및 다른 물질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식품"은 냉각 또는 가열되어 있을 수 있는, 섭취를 위한 영양분으로 프로세싱될 수 있는 임의의 물질을 지칭할 수 있다. 식품은 고체; 액체; 겔; 페이스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식품은 요거트; 무스; 파르페; 수프; 아이스크림; 셔벗; 커스터드; 스무디;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의 정의와 식품의 정의 사이에는 중첩되는 범위가 존재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며, 예컨대 음료는 식품일 수 있고, 따라서 음료 또는 식품을 제조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기계가 둘 모두의 제조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전구체 재료"는 음료 또는 식품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하도록 프로세싱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전구체 재료는 분말; 결정; 액체; 겔; 고체, 및 기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형성 전구체 재료의 예는 분쇄된 커피; 분유; 찻잎; 코코아 분말; 비타민 조성물; 예를 들어, 허브차/우려낸 차를 형성하기 위한 허브; 향료, 및 다른 유사한 재료를 포함한다. 식품 형성 전구체 재료의 예는 무수 수프 분말로서 건조된 채소 또는 스톡; 분유; 커스터드를 포함하는 밀가루 기반 분말; 분말형 요거트 또는 아이스크림, 및 다른 유사한 재료를 포함한다. 전구체 재료는 또한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전구체 재료로 프로세싱될 수 있는 임의의 사전-전구체 재료, 즉, 후속적으로 음료 및/또는 식품으로 프로세싱될 수 있는 임의의 전구체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일례에서, 사전-전구체 재료는 전구체 재료로 분쇄 및/또는 가열(예컨대, 로스팅)될 수 있는 커피 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유체 컨디셔닝 시스템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와 관련하여) 용어 "유체"는 물; 우유; 기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컨디셔닝"은 유체와 관련하여 그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지칭할 수 있는 것으로, 가열 또는 냉각; 교반(휘핑(whipping)을 통해 기포를 유발하기 위한 거품내기(frothing) 및 난류를 유발하기 위한 혼합을 포함함); 단일 서빙 용기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단일 서빙 양으로의 분배; 예컨대 브루잉 압력으로의, 가압; 탄산화; 플라이팅(fliting)/정제; 및 다른 컨디셔닝 프로세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프로세싱 유닛"은 전구체 재료를 음료 또는 식품으로 프로세싱할 수 있는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는 사전-전구체 재료를 전구체 재료로 프로세싱할 수 있는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은 용기 프로세싱 유닛 또는 산개 재료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구현예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용기 프로세싱 유닛"은 전구체 재료로부터 연관된 음료 또는 식품을 얻기 위해 용기를 프로세싱할 수 있는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용기 프로세싱 유닛은 희석; 가열; 냉각; 혼합; 휘젓기; 용해; 침지; 수침; 추출; 컨디셔닝; 가압화; 인퓨전; 및 다른 프로세싱 단계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전구체 재료를 프로세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프로세싱 유닛은 프로세싱 단계에 따라 다양한 유닛들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가압 및/또는 열, 예를 들어 가열 또는 냉각, 브루잉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는) 추출 유닛; (최종 사용자 소비를 위해 리셉터클 내에서 음료 또는 식품을 혼합하는) 혼합 유닛; (저장소로부터 전구체 재료의 일부를 추출하고, 용해에 의해 프로세싱하고 그것을 리셉터클 내로 분배하는) 분배 및 용해 유닛, 및 다른 유사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산개 재료 프로세싱 유닛"은 사전-전구체 재료의 산개 재료를 전구체 재료로 프로세싱할 수 있는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산개 재료 프로세싱 유닛은 가열; 냉각; 분쇄; 혼합; 침지; 컨디셔닝; 다른 프로세싱 단계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사전-전구체 재료를 프로세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산개 재료는 용기 내의 산개 재료 프로세싱 유닛에 공급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산개 재료가 추출되고 프로세싱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제조 프로세스"는 전구체 재료로부터 음료 또는 식품을 제조하거나 또는 전구체 재료로부터 사전-전구체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지칭할 수 있다. 제조 프로세스는 전기 회로부가 상기 전구체 또는 사전-전구체 재료를 프로세싱하기 위해 용기 프로세싱 유닛을 제어하도록 실행하는 프로세스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전기 회로부" 또는 "회로부" 또는 "제어 전기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지칭할 수 있으며, 그의 예들은 주문형 반도체(ASIC); (트랜지스터, 저항기, 커패시터, 인덕터 등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전자/전기 구성부품;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메모리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되는) 비일시적 메모리; 조합 논리 회로; 상술한 것들의 상호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회로부는 전체적으로 기계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기계; 외부 디바이스; 서버 시스템 중 하나 이상의 사이에 분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싱 리소스"는 프로세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유닛을 지칭할 수 있으며, 그의 예는 ASIC, 마이크로컨트롤러, FPGA,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상태 기계 또는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 예컨대 비일시적 메모리 및/또는 프로그래밍가능 로직에 저장될 수 있는 기계 판독가능 명령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회로부, 예컨대 온-보드 기계에 대해 논의되거나 시스템의 일부로서 분포된 것들에 대응하는 다양한 장치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기계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개시된 방법이, 예컨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기계 또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방법이라는 용어와, 또는 서로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매체들" 또는 "데이터 저장소"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임의의 종래의 비일시적 메모리,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CD; 하드 드라이브;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메모리 카드; DVD 중 하나 이상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회로부에 대해 논의된 것에 대응하는 다양한 장치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통신 리소스"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자 정보 전달을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지칭할 수 있다. 통신 리소스/인터페이스는 유선 통신("유선 통신 리소스/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통신("무선 통신 리소스/인터페이스")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리소스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프로토콜 구현예, 예컨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 기술된 802.11 표준 및 Kirkland Wash의 Bluetooth Special Interest Group로부터의 Bluetooth™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리소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또는 다른 프로토콜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는 외부 디바이스 및/또는 서버 시스템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네트워크"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는 복수의 장치들/디바이스들 사이의 전자 정보 전달을 위한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임의의 유형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전화 네트워크(예컨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IP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 개인 네트워크; 인터넷; 인트라넷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코드"는 제조 정보를 인코딩하는 저장 매체를 지칭할 수 있다. 코드는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코드, 예컨대 바코드일 수 있다. 코드는 요소 또는 마커로 지칭될 수 있는 복수의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제조 정보"는 제조 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지칭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의 구현에 따라, 상기 정보는 변할 수 있다. 유체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연관된 용기 프로세싱 유닛일 수 있는 파라미터는 유체 압력; 유체 온도; 질량/체적 유량; 유체 체적; 유체에 대한 여과/정제 파라미터; 유체에 대한 탄산화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산개 재료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는 용기 프로세싱 유닛과 연관될 수 있는 파라미터는 세기를 포함하는 그라인딩 파라미터; 가열 온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일반적인 파라미터는 용기 기하학적 파라미터, 예컨대 형상 또는 체적; 전구체의 유형; 제조 프로세스가 일련의 단계들로 분할되고, 그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전술된 매개변수들 중 하나 이상을 하나의 세트를 포함하는 경우를 위한, 단계 식별자; 단계 지속기간(예컨대, 일정 단계의 파라미터 또는 대체적으로 전술한 파라미터들 중 임의의 것을 적용하기 위한 지속기간)을 포함하는, 지속기간; 예를 들어, 용기 재순서화 또는 서버 시스템으로부터의 정보의 룩업을 목적으로 용기 소비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용기 식별자; 유효 기간; 및 용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기계의 메모리에 저장된 레시피를 룩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레시피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대체적인 시스템 설명]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2)은 기계(4), 용기(6), 서버 시스템(8) 및 주변 디바이스(10)를 포함한다. 서버 시스템(8)은 컴퓨터 네트워크(12)를 통해 기계(4)와 통신한다. 주변 디바이스(10)는 컴퓨터 네트워크(12)를 통해 기계(4)와 통신한다.
예시되지 않은 변형 실시예에서, 주변 디바이스 및/또는 서버 시스템은 생략된다.
컴퓨터 네트워크(12)가 기계(4)와 서버 시스템(8)과 주변 디바이스(10) 사이에서 동일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각각의 디바이스 사이의 상호통신을 위한 상이한 컴퓨터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다른 구성들이 가능하고, 서버 시스템은 직접적으로보다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해 기계와 통신한다. 특정 예에서, 주변 디바이스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예를 들어 Bluetooth™ 프로토콜을 통하여 기계와 통신하고; 서버 시스템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예컨대 IEEE 802.11 표준으로, 그리고 또한 인터넷을 통해 기계와 통신한다.
[기계]
도 2를 참조하면, 기계(4)는 전구체 재료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프로세싱 유닛(14); 전기 회로부(16); 및 코드 판독 시스템(18)을 포함한다.
전기 회로부(16)는 코드 판독 시스템(18)을 제어하여 용기(6)로부터 코드(도 2에 도시되지 않음)를 판독하고 그로부터 제조 정보를 결정한다. 전기 회로부(16)는 제조 정보를 사용하여 프로세싱 유닛(14)을 제어하여, 전구체 재료가 음료 또는 식품 또는 그의 전구체로 프로세싱되는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프로세싱 유닛의 제1 예]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싱 유닛(14)의 제1 예에서, 상기 유닛은 용기 프로세싱 유닛(20) 및 유체 컨디셔닝 시스템(22)을 포함한다.
용기 프로세싱 유닛(20)은 그 내의 전구체 재료(예시되지 않음)로부터 음료 또는 식품을 얻기 위해 용기(6)를 프로세싱하도록 배열된다. 유체 컨디셔닝 시스템(22)은 용기 프로세싱 유닛(20)에 공급된 유체를 컨디셔닝한다. 전기 회로부(16)는 용기(6)로부터 판독된 제조 정보를 사용하여 용기 프로세싱 유닛(20) 및 유체 컨디셔닝 시스템(22)을 제어하여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유체 컨디셔닝 시스템]
도 3을 참조하면, 유체 컨디셔닝 시스템(22)은 저장소(24); 펌프(26); 열교환기(28); 및 컨디셔닝된 유체를 위한 출구(30)를 포함한다. 저장소(24)는 전형적으로 다수의 제조 프로세스에 충분한 유체를 포함한다. 펌프(26)는 유체를 저장소(24)로부터, 열 교환기(26)를 통해 (용기 프로세싱 유닛(20)에 연결된) 출구(30)로 옮긴다. 펌프(26)는 유체를 구동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고, 이는 왕복 펌프; 회전 펌프; 다른 적합한 장치를 포함한다. 열 교환기(28)는 유체를 가열하도록 구현되고, 인라인, 열 블록 유형 히터; 저장소 내에서 직접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요소; 다른 적합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되지 않은 변형 실시예에서, 펌프가 생략되어, 예를 들어, 유체가 중력에 의해 용기 프로세싱 유닛에 공급되거나, 또는 주 급수부(mains water supply)에 의해 가압되고; 저장소가 생략되어, 예를 들어, 물이 주 급수부에 의해 공급되고; 열 교환기가 유체를 냉각하도록 배열되어, 예를 들어, 그것이 냉장 유형 사이클 히트 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열 교환기가 생략되어, 예를 들어, 주 급수부가 원하는 온도에 물을 공급하고; 유체 컨디셔닝 시스템이 여과/정제 시스템, 예를 들어 UV 조명 시스템을 포함하고, 유체에 적용되는 그의 정도가 제어가능하고; 유체가 탄산화되는 정도를 탄산화 시스템이 제어한다.
[용기 프로세싱 유닛]
용기 프로세싱 유닛(20)은 하기 예 1 내지 예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용기 프로세싱 유닛(20)의 제1 예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캡슐(6)로서 배열된 용기의 프로세싱을 위한 것이다(캡슐의 적합한 예가 도 7에 제공되어 있고, 이는 논의될 것이다). 용기 프로세싱 유닛(20)은 캡슐(6)로부터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유닛(32)으로서 구성된다. 추출 유닛(32)은 캡슐 보유 부분(34) 및 폐쇄 부분(36)을 포함한다. 추출 유닛(32)은 캡슐 수용 위치(도 4a)로 이동가능하고, 여기서 캡슐 보유 부분(34) 및 폐쇄 부분(36)이 캡슐(6)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추출 유닛(32)은 캡슐 추출 위치(도 4b)로 이동가능하고, 여기서 캡슐 보유 부분(34) 및 폐쇄 부분(36)이 캡슐(6) 주위에 밀봉부를 형성하고, 음료가 캡슐(6)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추출 유닛(32)은 액추에이터 구동될 수 있거나 상기 위치들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유체 컨디셔닝 시스템(22)의 출구(30)는 전형적으로 고압 하에서, 컨디셔닝된 유체를 캡슐 추출 위치의 캡슐(6) 내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 헤드(38)로서 배열된다. 음료 출구(40)는 추출된 음료를 획득하고 추출 유닛(32)으로부터 이를 전달하도록 배열된다.
추출 유닛(32)은 (예컨대, 10 내지 20 바(bar)로) 가압되고, (예컨대, 50 내지 98도로) 가열된 유체를 캡슐(6) 내의 전구체 재료에 적용함으로써 음료를 제조하도록 배열된다. 압력은, 캡슐(6)의 파열 부분(도 4a 및 도 4b에 예시되지 않음)의 압력이 초과되고 이것이 상기 부분의 파열을 야기하고 음료가 음료 출구(40)에 분배되게 할 때까지 미리결정된 시간에 걸쳐 증가된다.
예시되지 않은 변형 실시예에서, 주입 헤드 및 음료 출구가 폐쇄 부분 및 캡슐 보유 부분 상에 각각 배열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대안적으로 배열될 수 있는데, 주입 헤드 및 음료 출구가 캡슐 보유 부분 및 폐쇄 부분 상에 각각 배열되거나; 또는 둘 모두가 동일한 부분 상에 배열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추출 유닛은, 예컨대, Nespresso® Professional 캡슐을 포함하는, 플랜지를 중심으로 대칭인 캡슐에 대해, 캡슐 보유 부분으로서 배열된 두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추출 유닛의 예는 EP 1472156 A1호 및 EP 1784344 A1호에 제공되며, 이들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고 유압식으로 밀봉형 추출 유닛을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용기 프로세싱 유닛(20)의 제2 예에서, 추출 유닛(32)은 제1 예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지만, 추출 유닛(32)은 더 낮은 유체 압력에서 그리고 원심분리에 의해 작동한다. 특히, 추출 유닛(32)은 회전 메커니즘(33)을 포함하며, 이는 캡슐(6)을 보유하기 위한 캡슐 보유 부분(34) 및 캡슐 홀더(35)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시스템(37)을 포함한다.
유체 컨디셔닝 시스템(22)의 출구(30)는 논의되는 바와 같이 캡슐(6)의 폐쇄 부재를 통해 컨디셔닝된 유체를 캡슐(6)의 중심 내에 주입하기 위한 주입 헤드(38)로서 폐쇄 부분(36)에 배열된다. 회전 메커니즘(33)은 캡슐을 회전시켜 캡슐(6) 내의 전구체 재료를 통해 반경 방향 외향으로 그리고 폐쇄 부재 내의 주변 배열된 천공 지점들(예시되지 않음)을 통해 외부로의 컨디셔닝된 유체의 전달을 달성한다. 적합한 캡슐의 예는 Nespresso® Vertuo 캡슐이다. 적합한 예가 EP 2594171 A1호에 제공되어 있는데, 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제3 예(예시되지 않음)에서, 캡슐 프로세싱 유닛은 고압 및 고온 유체 하에서 용해되도록 선택되는 음료 전구체의 용해에 의해 작동한다. 장치는 제1 및 제2 예의 추출 유닛과 유사하지만, 압력은 더 낮고 그에 따라서 밀봉형 추출 유닛이 필요하지 않다. 특히, 유체는 캡슐의 뚜껑 내로 주입될 수 있고, 파열 부분은 캡슐의 격납 부분의 베이스 내에 위치된다. 적합한 캡슐의 예는 Nespresso® Dolce Gusto 캡슐이다. 적합한 추출 유닛의 예는 EP 1472156 A1호 및 EP 1784344 A1호에 개시되며, 이들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제5 예(예시되지 않음)에서, 용기 프로세싱 유닛은, 최종 사용자 소비를 위한 것인, 리셉터클인 용기 내에 저장된 음료 또는 식품 전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혼합 유닛으로서 배열된다. 혼합 유닛은 혼합하기 위한 교반기(예컨대, 유성 혼합기; 나선형 믹서; 수직 컷 혼합기(vertical cut mixer)) 및 리셉터클 내의 음료 또는 식품 전구체를 가열/냉각하기 위한 열 교환기를 포함한다. 유체 공급 시스템이 또한 리셉터클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한 장치의 일례가 WO 2014067987 A1호에 제공되어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
(예시되지 않은) 제6 예에서, 용기 프로세싱 유닛은 분배 및 용해 유닛으로서 배열된다. 분배 및 용해 유닛은 (패킷 또는 박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중분배된 용기를 포함할 수 있는) 기계의 저장 부분으로부터 음료 또는 식품 전구체의 단일 서빙 포션(portion)을 추출하도록 배열된다. 분배 및 용해 유닛은 추출된 단일 서빙 포션을 유체 컨디셔닝 시스템으로부터 컨디셔닝된 유체와 혼합하고, 음료 또는 식품을 리셉터클 내로 분배하도록 배열된다.
[프로세싱 유닛의 제2 예]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싱 유닛(14)의 제2 예에서, 상기 유닛은 산개 재료 프로세싱 유닛(42)을 포함한다.
산개 재료 프로세싱 유닛(42)은 용기(6)로부터 산개 사전-전구체 재료를 수용하고 전구체 재료를 얻기 위해 사전-전구체 재료를 프로세싱하도록 배열된다. 전기 회로부(16)는 용기(6)로부터 판독된 제조 정보를 사용하여 산개 재료 프로세싱 유닛(42)을 제어하여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사용자는 코드를 판독하기 위해 용기(6)를 수동으로 기계(4)의 코드 판독 시스템(18)에 제공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용기(6)를 개방하고 그 내에 배열된 사전-전구체 재료(예시되지 않음)를 산개 재료 프로세싱 유닛(42) 내에 분배한다. 산개 재료 프로세싱 유닛(42)은 산개 사전-전구체 재료를 전구체 재료로 프로세싱한다.
특정 예에서, 사전-전구체 재료는 커피 콩이고, 산개 재료 프로세싱 유닛(42)은 커피 콩을 로스팅 및/또는 분쇄하여 전구체 재료를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예시되지 않은 변형 실시예에서, 산개 재료 프로세싱 유닛은 대안적으로, 후속 프로세싱을 위해 캡슐을 개방하고 그로부터 전구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시스템(예컨대, 이것은 용기를 절단 개방하기 위한 절단 공구 및 예비 전구체 재료를 추출하기 위한 스콥(scop)과 같은 추출기를 포함할 수 있음)을 갖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전-전구체 재료는 용기 내에서 프로세싱될 수 있고 전술된 예에 의해 용기로부터 분배되거나 또는 용기 내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코드 판독 시스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코드 판독 시스템(18)은 용기(6)의 폐쇄 부재 상에 배열된 코드(44)를 판독하도록 배열된다. 코드 판독 시스템(18)은 용기 프로세싱 유닛(20)의 제1 예의 추출 유닛(32)과 통합된다. 코드(44)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추출 위치에서 추출 유닛(32)에 의해 판독된다.
코드 판독 시스템(18)은 코드(44)의 디지털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한 이미지 캡처 유닛(46)을 포함한다. 적합한 이미지 캡처 유닛(46)의 예들은 Sonix SN9S102; 스냅 센서 S2 이미저(imager); 오버샘플링형(oversampled) 이진 이미지 센서; 다른 유사한 시스템을 포함한다.
전기 회로부(16)는 디지털 이미지에서 코드를 식별하고 제조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 회로부(예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미지 프로세싱 회로부의 예는 코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Texas Instruments TMS320C5517 프로세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코드 판독 시스템(18)은 용기(6)의 플랜지의 밑면으로부터 코드(44)를 판독하도록 배열된다. 코드(44)는 코드 판독 시스템(18)의 코드 판독기(46)에 대한 코드(44)의 회전에 기초하여 판독된다. 코드(44)는, 회전 메커니즘(33)이 용기(6)를 회전시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추출 위치에서 추출 유닛(32)에 의해 판독된다.
코드 판독 시스템(18)은 코드(44)의 코드 신호를 캡처하기 위한 코드 판독기(46)를 포함한다. 적합한 이미지 코드 판독기(46)의 예는 코드의 어두운 요소와 밝은 요소 사이를 구별할 수 있는 포토 다이오드 또는 다른 전기 구성부품을 포함한다. 예시되지 않은 변형 실시예에서, 코드 판독기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이미지 캡처 유닛으로서, 또는 다른 적합한 판독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되지 않은 변형 실시예에서, 코드 판독 시스템은 용기 프로세싱 유닛과는 별개로, 즉 하기를 포함한다: 이는 사용자가 내부에 용기를 배치하고 용기를 용기 프로세싱 유닛에 전달하는 채널 내에 배열되고; 이는 분배 및 용해 유닛의 음료 출구로부터 음료를 수용하도록 위치되는 리셉터클 상의 코드를 판독하도록 배열된다. 예시되지 않은 추가의 변형 실시예에서, 코드 판독 시스템은 대안적으로 구현되는데, 예컨대 사용자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에 수동으로 제시하는 용기의 코드를 판독하도록 코드 판독 시스템이 기계 상에 배열된다. 예시되지 않은 추가의 변형 실시예에서, 코드 판독 시스템은 용기의 상이한 위치에 있는, 예컨대 저장 부분 상의 코드를 판독하도록 배열된다.
[제어 전기 회로부]
도 7을 참조하면, 전기 회로부(16)는 프로세싱 유닛(14)을 제어하여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해 제어 전기 회로부(48)로서 구현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예시를 위해, 프로세싱 유닛(14)은 용기 프로세싱 유닛(20) 및 유체 공급 유닛(22)을 포함하는 제1 예로서 예시되어 있다.
전기 회로부(16, 48)는 기계(4)가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하게 될 것을 확인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유닛(50); 입력 유닛(46)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프로세싱 유닛(14)에 제어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서(52); 및 제조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피드백 시스템(54) - 프로세싱 유닛(54)은 제조 프로세스 동안 프로세싱 유닛(54)으로부터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 - 을 (예컨대, 하드웨어와 조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한다.
입력 유닛(5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구현되며, 이는 버튼들, 예컨대 조이스틱 버튼 또는 누르기 버튼; 조이스틱; LED; 그래픽 또는 캐릭터 LDC; 터치 감지 및/또는 스크린 가장자리 버튼을 갖는 그래픽 스크린; 다른 유사한 디바이스; 용기가 사용자에 의해 기계에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시스템(54)은 하기 또는 다른 피드백 제어 기반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다:
용기(6)로 가는 유체의 정확한 양을 계량하고 따라서 펌프(26)로 가는 전력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유체 공급 시스템(22)의 출구(30)(도 3에 도시됨)로 가는 유체의 유량/체적을 결정하기 위한 유량 센서;
용기(6)로 가는 유체의 온도가 정확하다는 것을 보장하고 그에 따라서 열 교환기(28)로 가는 전력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유체 공급 유닛(22)의 출구(30)로 가는 유체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저장소(24) 내의 유체의 레벨이 제조 프로세스에 충분한 것으로서 결정하기 위한 레벨 센서;
추출 유닛(32)의 위치(예컨대, 캡슐 추출 위치 또는 캡슐 수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센서.
전기 회로부(16, 44)는 프로세싱 유닛(14)의 다른 예들에 적합하게 적응되는데; 예를 들어, 용기 프로세싱 시스템의 제2 예에 대해, 피드백 시스템은 캡슐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산개 재료 프로세싱 유닛에 대해, 피드백 시스템은 그라인딩 속도 및/또는 가열 온도의 제어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용기]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싱 유닛(14)의 제1 예 또는 제2 예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용기(6)의 예는 캡슐로서 배열된 용기(6)를 포함한다. 캡슐은 폐쇄 부재(56); 저장 부분(58); 및 플랜지 부분(60)을 포함한다.
저장 부분(58)은 전구체 재료의 저장을 위한 공동(예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폐쇄 부재(56)는 저장 부분(58)을 폐쇄하고 가요성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플랜지 부분(60)은 저장 부분(58)과 일체로 배열되고, 폐쇄 부재(56)를 저장 부분(58)에 연결하기 위해 평평한 표면을 제공하여 전구체 재료를 밀폐 밀봉한다. 캡슐(6)은 2 내지 5 cm의 직경 및 2 내지 4 cm의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예시되지 않은 변형 실시예에서, 용기는 반구형; 만곡형; 직사각형 단면; 절두원추형; 및 다른 유사한 형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폐쇄 부재는 멤브레인보다는 강성 부재로서 배열될 수 있다. 용기는 플랜지에 연결된 2개의 유사하거나 동일한 저장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폐쇄 부재는 생략될 수 있다. 플랜지는 저장 부분에, 그에 따라서 별개의 구성요소들로서, 연결될 수 있다. 폐쇄 부재는 저장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플랜지는 생략될 수 있다.
형상, 치수 및/또는 재료의 관점에서 용기 및/또는 폐쇄 부재의 적합한 예는 Nespresso™(Original Line, Professional Line, Vertuo Line) 및 Nestle Dolce Gusto™ 및 Nestle Special-T™에 의해 사용되는 분배된 향미 성분을 위한 카트리지, 캡슐 및 포드(pod)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따라서, 재료는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플라스틱 및/또는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이고/이거나 재활용 가능하다. 적합한 용도, 예를 들어 추출, 프로세스 및 시스템은 Nespresso™, Nestle Dolce Gusto™ 또는 Nestle Special-T™로부터 또한 알려져 있다.
용기 및/또는 폐쇄 부재의 구조, 제조 및/또는 (음료) 추출 세부사항은 예를 들어 EP 2155021호, EP 2316310호, EP 2152608호, EP 2378932호, EP 2470053호, EP 2509473호, EP 2667757호 및 EP 2528485호에 개시되어 있다.
[코드의 배열]
도 8을 참조하면, 코드(44)는 그것이 코드 판독 시스템(18)에 의해 판독될 수 있도록 임의의 적합한 위치에서 용기(6)의 외부 표면 상에 배열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코드(44)(도 8에 예시되지 않음)는 하기의 위치들: 폐쇄 부재(56); 폐쇄 부재(56)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플랜지 부분(60)의 하부 표면; 저장 부분(58) 중 하나 이상에 배열될 수 있다.
[제조 프로세스]
도 9를 참조하면, 전구체 재료로부터 음료/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실행이 예시된다:
블록(70): 사용자가 용기(6)를 기계(4)에 공급한다.
블록(72): 전기 회로부(16)(예컨대, 그의 입력 유닛(50))는 전구체로부터 음료/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어를 수신하고, 전기 회로부(16)(예컨대, 프로세서(52))는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블록(74): 전기 회로부(16)는 프로세싱 유닛(14)을 제어하여 용기를 프로세싱한다(예컨대, 용기 프로세싱 유닛(20)의 제1 또는 제2 예에서, 추출 유닛(32)은 캡슐 수용 위치(도 4a)로부터 캡슐 추출 위치(도 4b, 도 5)로 이동된다).
블록(76): 전기 회로부(16)는 코드 판독 시스템(18)을 제어하여 용기(6) 상의 코드(44)를 판독하고 코드의 디지털 이미지 또는 코드와 관련된 코드 신호를 제공한다.
블록(78): 전기 회로부(16)의 코드 프로세싱 회로부는 디지털 이미지 또는 코드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제조 정보를 추출한다.
블록(80): 전기 회로부(16)는 제조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유닛(14)을 제어함으로써 제조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프로세싱 유닛의 제1 예에서, 이는 제조 정보에 특정된 온도, 압력 및 시간 지속기간으로 유체를 용기 프로세싱 유닛(20)에 공급하기 위해 유체 컨디셔닝 시스템(22)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기 회로부(16)는 후속적으로, 용기 프로세싱 유닛(20)이 캡슐 추출 위치로부터 용기(6)를 배출하기 위한 캡슐 배출 위치를 통해 그리고 다시 캡슐 수용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예시되지 않은 변형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들은 상이한 순서로, 예컨대, 블록(72) 전에 블록(70)이, 또는 블록(74) 전에 블록(76)이 실행될 수 있고; 일부 블록은 생략될 수 있고, 예컨대 기계가 캡슐의 매거진을 저장하는 경우 블록(70)이 생략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 블록(70) 내지 블록(76)에서 사용자는 용기의 코드를 코드 판독 시스템에 제시하고, 그것이 판독된 후에 상기 용기를 개방하고 사전-전구체 재료를 프로세싱 유닛 내로 분배한다. 또한, 용기 프로세싱 유닛은 추출 위치와 캡슐 수용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블록(76) 및 블록(78)은 코드 판독 및 프로세싱 프로세스로 지칭될 수 있다. 블록(80)은 제조 프로세스로 지칭될 수 있다. 전기 회로부(16)는, 예컨대 프로그램 코드로서, 제조 프로세스(또는 그의 복수 개)를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2)는 메모리(예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명령어를 구현한다.
제조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전기 회로부(16)는 기계의 통신 인터페이스(예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서버 시스템(8)으로부터 컴퓨터 네트워크(12)를 통해 그리고/또는 주변 디바이스(10)를 통해 추가 제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코드의 일반적인 설명]
도 10을 참조하면, 코드(44)는 복수의 요소(80)로 형성된다. 요소들(80)은 주변부(82) 상에 배열된다. 요소(80)는 어두운 색상(예컨대, 하기의 색상들: 흑색, 어두운 청색, 자주색, 어두운 녹색 중 하나를 포함함)이고 주변부(82)는 비교적 밝은 색상(예컨대, 하기의 색상들: 백색, 밝은 청색, 황색, 밝은 녹색 중 하나를 포함함)이어서, 이미지 캡처 유닛(46)에 대한 충분한 콘트라스트가 존재하여 그들 사이를 구별하게 한다. 예시되지 않은 변형 실시예에서, 요소는 밝은 색상이고, 주변부는 어두운 색상이다.
요소(80)는, 예컨대, 잉크 프린터에 의한 인쇄에 의해 형성된다, 인쇄의 예로서, 잉크는 종래의 프린터 잉크일 수 있고, 기재는 용기에 연결된, 폐쇄 부재, 플랜지 또는 저장 부분, 또는 별개의 기재 중 하나를 포함하는 용기 외부 표면일 수 있다. 예시되지 않은 변형 실시예에서, 요소는 대안적으로, 예컨대, 엠보싱, 인각(engraving) 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요소(80)는 논의될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요소에 대한 용어 "형상"은 정확한 형상, 또는 정밀도에서 인쇄 또는 다른 제조 변동에서 일어날 수 있는, 실제 형상의 근사치를 지칭할 수 있다.
요소(80)는 (도 5에 또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가 회전축(100)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순차적으로 판독되도록 배열된다. 코드(44)의 요소(80)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라인(L) 상에 배열된다.
[코드 인코딩]
요소(80)는 제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부분을 인코딩하고, 데이터 부분을 위치파악하기 위한 파인더 시퀀스(finder sequence)를 인코딩한다. 요소(80)는 요소의 부재 또는 존재가 논리 1 또는 0을 인코딩하는 비트 코드로서 인코딩된다.
파인더 시퀀스(예시되지 않음)는 코드를 프로세싱할 때 식별가능한 논리 1 및/또는 0의 미리정의된 예약된 시퀀스를 포함한다. 데이터 시퀀스는, 예컨대, 파인더 시퀀스 직후에 또는 그 이내에 분산된, 파인더 시퀀스에 대해 알려진 위치에 배열된다. 따라서, 위치파악된 파인더 시퀀스에 의해, 데이터 시퀀스는 이어서 위치파악되고 판독되고 디코딩될 수 있다. 데이터 시퀀스는 기계(2)의 (예컨대, 전자 메모리를 통한) 전기 회로부(16) 상에 저장된 규칙에 기초하여 디코딩될 수 있다. 그러한 코드의 구체적인 예는 EP 2594171 A1호에 제공되어 있다.
[코드 배열]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이는 도 8 및 도 10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특징부들을 구현하는 더 상세한 예이다. 코드(44)의 각각의 요소(80)는 제1 위치(82)로부터 제2 위치(84)로 연장되고, 이는 저장 부분(58) 및 플랜지(60)의 상당한 부분에 걸쳐있다. 제1 위치(82)는 저장 부분(58) 상에 배열된다. 제2 위치(84)는 플랜지(60)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드(44)는 저장 부분(58) 및 플랜지(60) 상의 둘 모두의 다양한 위치들로부터 판독될 수 있다.
요소(80)는 용기(6)의 회전축(100)으로 수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드(44)는, 용기가 축(100)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위치(82)와 제2 위치(84) 사이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판독될 수 있다. 제1 위치(82)는 회전축(100)에 있다. 제2 위치는 플랜지(60)의 외부 림(62)과 하부 표면(64)의 접합부에 있다(플랜지(60)의 상부 표면(66)은 멤브레인(56)이 위에 연장되는 표면으로서 정의된다). 따라서, 요소(80)는 전체 저장 부분(58)을 가로질러 저장 부분(58)에 인접하는 플랜지(60)의 내부 에지(68)로 그리고 플랜지(60)의 전체 하부 표면(64)에 걸쳐 연장된다.
요소들(80)은 중심 라인(86)이 반경 방향(R)으로 정렬된 요소들의 원주방향 연장 섹션을 통하도록 배열된다. 요소들(80)은 반경 거리에 따라 증가하는 원주방향 거리를 갖도록 연장되어, 이들이 반경방향 거리에 독립적으로 전체 원주의 동일한 원주방향 부분을 점유하게 한다. 요소들(80)은, 예컨대 별개의 분리된 부분들에서가 아닌, 제1 위치(82)와 제2 위치(84)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드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동등하게 판독될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서, 코드의 요소들은 대안적으로, 예컨대, 중심 라인들이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는 것으로 배열될 수 있는데, 예컨대, 그들은 전방으로 배열될 수 있고/있거나, 예컨대, 소용돌이로서 반경방향 라인 뒤에 배열될 수 있고; 플랜지의 외부 림은 코드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제1 위치는, 예컨대, 저장 부분의 베이스 영역에서, 회전축보다는 그의 근위에 배열될 수 있고; 요소들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일련의 별개의 위치로서 연장될 수 있다.
저장 부분의 "베이스 영역"은 저장 부분(58)의 공동의 베이스(즉, 최저 지점)를 포함하는 영역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최대 깊이의 70% 또는 80% 또는 90% 초과인 깊이(D)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최대 깊이는 공동의 최저 지점에 있고 깊이 방향은 플랜지로부터 연장된다.
예시되지 않은 변형 실시예에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둘 모두 (예컨대, 플랜지 상이 아닌) 저장 부분 상에 배열되어, 코드가 저장 부분 상의 다양한 위치들에서 판독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제1 위치는 회전축에 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베이스 영역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위치는 저장 부분에 인접하는 플랜지의 내부 에지에 또는 그의 근위에 배열될 수 있다.
코드(44)로 제조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법은, 코드(44)의 요소들(80)을 제1 위치(82)로부터 제2 위치(84)로 연장되도록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제1 위치는 저장 부분 상에 배열되고, 제2 부분은 저장 부분(58) 또는 플랜지(60) 상에 배열된다. 코드(44)를 판독하는 방법은 제1 위치(82)와 제2 위치(84)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코드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따라서 코드(44)는 다양한 기계들(4)과 호환가능하고, 코드 판독 시스템(18)은 다양한 배향들을 가질 수 있다.
개시된 방법들(또는 대응하는 장치들, 프로그램들, 데이터 캐리어들 등) 중 임의의 것은 특정 구현예에 따라 호스트 또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즉, 개시된 방법들/장치들은 통신(들)의 형태이고, 그와 같이, 어느 하나의 "관점"으로부터, 즉 각각의 다른 방식에 대응하는 것에서 수행될 수 있음). 또한, 용어 "수신" 및 "송신"은 "입력" 및 "출력"을 포함하고, 라디오파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 콘텍스트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실시예들을 실현하기 위한 칩 또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칩, 디바이스 또는 컴포넌트로의 출력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칩, 디바이스 또는 컴포넌트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로서 가질 수 있고, 그러한 출력 또는 입력은 동명사 형태들, 즉 "송신하는 것" 및 "수신하는 것"뿐만 아니라, RF 콘텍스트 내에서 그러한 "송신하는 것" 및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송신" 및 "수신"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스타일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되는 임의의 형태, 및 형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는 접속사 "또는" 및 접속사 "및"을 사용하여, 이러한 형태들이 A, B, C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조인트 및 몇몇 순열, 즉 A 단독, B 단독, C 단독, 임의의 순서의 A 및 B, 임의의 순서의 B 및 C, 임의의 순서의 B 및 C, 및 임의 순서의 A, B, C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들에 사용되는 3개 이상 또는 미만의 특징부가 있을 수 있다.
청구 범위에서, 괄호 안의 임의의 참조 부호는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청구항에 열거된 것 이외의 다른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하나" 또는 "일"은 하나 이상으로 정의된다. 또한, 청구범위에서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과 같은 도입 문구의 사용은, 동일한 청구항이 도입 문구 "하나 이상" 또는 "적어도 하나" 및 그러한 부정 관사("a" 또는 "an")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부정 관사("a" 또는 "an")에 의한 다른 청구항 요소의 도입이 그렇게 도입된 청구항 요소를 포함하는 임의의 특정 청구항을 단지 하나의 그러한 요소만을 포함하는 발명으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정관사의 사용에도 마찬가지이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들은 기술된 그러한 요소들 사이를 임의적으로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들은 반드시 그러한 요소들의 임시 또는 다른 우선순위화를 나타내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소정 조치들이 서로 상이한 청구항들에 인용되었다는 단순한 사실만으로 이러한 조치들의 조합이 유익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호환성이 없는 것으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실시예, 예 또는 청구범위의 물리적 또는 다른 방법이 그러한 조합을 방해하지 않는 한, 전술한 실시예 및 예의 특징부들, 및 하기의 청구범위의 특징부들은 임의의 적합한 배열, 특히 그렇게 하는 데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경우 배열들로 함께 통합될 수 있다. 이는 단지 임의의 특정된 이점만으로 제한되지 않고, 그 대신 "사후(ex post facto)" 이점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특징부들의 조합이 설명된 형태, 특히 예(들), 실시예(들)의 형태(예컨대 넘버링), 또는 청구항(들)의 의존성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더욱이, 이는 또한, 어구 "하나의 실시예에서", "실시예에 따라" 등에 적용되며, 이는 단지 단어선택의 양식론적 형태이며, 이어지는 특징부들을 동일하거나 유사한 단어선택의 모든 다른 경우에 대해 개별 실시예로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는 말하자면, "일", "하나" 또는 "일부" 실시예(들)에 대한 언급은, 개시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그리고/또는 모든 실시예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에 대한 언급일 수 있다. 또한, 유사하게, "상기" 실시예에 대한 언급은 바로 이전의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기계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개시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방법이라는 용어와 동의어로 사용되거나, 또는 서로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의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제공하지만, 총망라하는 것으로 또는 본 발명의 범주를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수정 및 변형이 상기 교시에 비추어 가능하거나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구현예의 실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도면 부호의 목록
2 시스템
4 기계
14 프로세싱 유닛
20 용기 프로세싱 유닛 (제1/제2 예)
32 추출 유닛
34 캡슐 보유 부분
36 폐쇄 부분
38 주입 헤드
40 음료 출구
33 회전 메커니즘
37 구동 시스템
22 유체 컨디셔닝 시스템
24 저장소
26 펌프
28 열교환기
30 출구
42 산개 재료 프로세싱 유닛
16 전기 회로부
48 제어 전기 회로부
50 입력 유닛
52 프로세서
54 피드백 시스템
18 코드 판독 시스템
46 이미지 캡처 유닛
6 용기(캡슐)
56 폐쇄 부재(멤브레인)
64 하부 표면
66 상부 표면
58 저장 부분
60 플랜지 부분
62
64 하부 표면
66 상부 표면
68 내부 에지
44 코드
80 요소
82 제1 위치
84 제2 위치
86 중심 라인
L 가상 라인
82 주변부
100
R 반경 방향
8 서버 시스템
10 주변 디바이스
12 컴퓨터 네트워크

Claims (15)

  1. 음료 및/또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기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구체 재료를 포함하도록 배열된 용기로서,
    저장 부분,
    폐쇄 부재,
    상기 저장 부분과 폐쇄 부재를 연결하는 플랜지, 및
    상기 기계에 의해 수행되는 제조 프로세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조 정보를 저장하는 기계 판독가능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코드의 요소들은 상기 저장 부분 상의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플랜지 상의 제2 위치로 연장되어, 상기 코드는 상기 플랜지 또는 상기 저장 부분으로부터 판독가능하고, 상기 요소들은 상기 용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판독되도록 배열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이고, 상기 코드는 상기 회전축에 중심을 갖는 가상 원형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저장 부분의 공동의 베이스 영역에 있는,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용기의 회전축에 있는,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플랜지의 근위에 또는 외부 림에 있는,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요소들은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선형 중심 라인을 갖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연장되는,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요소들은 반경방향 거리에 따라 증가하는 원주방향 폭을 갖고 연장되어, 그들의 상대 원주방향 비율이 반경방향 거리에 따라 변하지 않게 하는, 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요소들은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용기.
  9. 음료 및/또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기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구체 재료를 포함하도록 배열된 용기로서,
    저장 부분,
    폐쇄 부재,
    상기 저장 부분과 폐쇄 부재를 연결하는 플랜지, 및
    상기 기계에 의해 수행되는 제조 프로세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조 정보를 저장하는 기계 판독가능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코드의 요소들은 상기 저장 부분 상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저장 부분의 베이스 영역의 중심에 있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저장 부분과 상기 플랜지의 접합부에 있고, 상기 요소들은 상기 용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판독되도록 배열되는, 용기.
  10. 음료 및/또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기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구체 재료를 포함하기 위한 용기에 부착하기 위한 기재로서, 상기 기재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코드를 포함하는, 기재.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용기, 및 음료 및/또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기계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계는,
    상기 용기의 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코드 판독 시스템;
    상기 용기의 전구체 재료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프로세싱 유닛; 및
    상기 코드로부터 판독된 제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싱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 회로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판독 시스템은 상기 용기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코드를 판독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용기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전구체 재료를 프로세싱하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13. 음료 및/또는 식품 또는 그의 전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를 위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용기의 용도로서, 상기 기계는,
    상기 용기의 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코드 판독 시스템;
    상기 용기의 전구체 재료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프로세싱 유닛; 및
    상기 코드로부터 판독된 제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싱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 회로부를 포함하는, 용도.
  14. 코드로 제조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법으로서,
    용기의 저장 부분 상의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용기의 플랜지 상의 제2 위치로 연장되도록 상기 코드의 요소들을 배열하여, 상기 코드가 상기 플랜지 또는 상기 저장 부분으로부터 판독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들은 상기 용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판독되도록 배열되는, 방법.
  15. 코드로 제조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법으로서,
    용기의 저장 부분 상의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용기의 저장 부분 상의 제2 위치로 연장되도록 상기 코드의 요소들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저장 부분의 베이스 영역의 중심에 있고, 상기 저장 부분 상의 상기 제2 위치는 플랜지의 근위에 있고, 상기 요소들은 상기 용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판독되도록 배열되는, 방법.
KR1020237045135A 2021-07-16 2022-07-11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 KR202400354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86146.3 2021-07-16
EP21186146 2021-07-16
PCT/EP2022/069316 WO2023285378A1 (en) 2021-07-16 2022-07-11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408A true KR20240035408A (ko) 2024-03-15

Family

ID=76958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5135A KR20240035408A (ko) 2021-07-16 2022-07-11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69998A1 (ko)
KR (1) KR20240035408A (ko)
AU (1) AU2022312117A1 (ko)
CA (1) CA3220610A1 (ko)
IL (1) IL309153A (ko)
WO (1) WO20232853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1503B2 (en) 2021-07-30 2024-05-14 K-Fee System Gmbh Portion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with the aid of a beverage production machine, and use of a portion capsul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74503T3 (es) 2002-01-16 2007-05-16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apsula cerrada con medios de abertura.
WO2005044067A1 (fr) * 2003-11-05 2005-05-19 Ruchonnet Jean-Francois Appareil permettant d'etablir la tracabilite d'un contenu dans un receptacle et l'origine dudit receptacle
NZ553063A (en) 2004-08-23 2010-11-26 Nestec Sa Capsule for preparing and delivering a drink by injecting a pressurized fluid into the capsule
BRPI0812449B1 (pt) 2007-06-05 2018-09-25 Nestec Sa cápsula para a preparação de alimento líquido por meio de centrifugação
RU2479242C2 (ru) 2007-06-05 2013-04-20 Нестек С.А. Система для капсул,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содержащейся в контейнере пищевой жидкости с помощью центрифугирования
RU2527176C2 (ru) 2008-12-09 2014-08-27 Нестек С.А. Капсул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методом центрифугирова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ITTO20081006A1 (it) * 2008-12-30 2010-06-30 Lavazza Luigi Sp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con l'impiego di cialde o capsule
JP5722895B2 (ja) 2009-08-28 2015-05-27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遠心法による飲料調製用カプセルシステム
IN2012DN05021A (ko) 2009-12-08 2015-10-02 Nestec Sa
RU2570778C2 (ru) 2010-01-29 2015-12-10 Нестек С.А. Капсула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путем центрифугирования в устройстве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напитков
WO2011141535A1 (en) 2010-05-12 2011-11-17 Nestec S.A. Support, capsule,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CN103347425A (zh) 2011-01-28 2013-10-09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饮料生产系统和具有力环的胶囊
MX336455B (es) * 2011-11-15 2016-01-20 Nestec Sa Soporte y capsula para preparar una bebida por centrifugacion, sistema y metodo para preparar una bebida por centrifugacion.
PL2594171T3 (pl) 2011-11-16 2014-09-30 Nestec Sa Nośnik i kapsułka do wytwarzania napoju przez odwirowywanie, system i sposób do wytwarzania napoju przez odwirowywanie
CA3112639C (en) * 2012-02-14 2022-08-16 Solo Gelato Ltd.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cooled edible products
MY171109A (en) 2012-10-30 2019-09-26 Nestle Sa Machine, container,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ice cream or chilled desserts on demand
CN105636488A (zh) * 2013-10-18 2016-06-01 K-Fee系统股份有限公司 用于制备饮料的系统和方法
EP3634183A1 (en) * 2017-06-07 2020-04-15 SharkNinja Operating LLC Beverage cartridge authent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309153A (en) 2024-02-01
AU2022312117A1 (en) 2023-12-14
CA3220610A1 (en) 2023-01-19
EP4369998A1 (en) 2024-05-22
WO2023285378A1 (en)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3978B2 (ja) 飲料若しくは食品を調製するためのシステムのコード及び容器
JP7004659B2 (ja) 飲料又は食品を調製するためのシステムのレシピコード及び容器
KR101756830B1 (ko) 음료 기계로부터의 디스펜싱에 관련된 장치 및 방법
KR20240035408A (ko)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
KR20240035410A (ko)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
EP3420497B1 (en) Code and container of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stuff
KR20240035409A (ko) 용기 및 용기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
KR20240035761A (ko) 용기,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 상기 용기의 용도, 및 용기 형성 방법
CN110869934A (zh) 具有编码食品或饮料制备操作序列的代码的容器
JP2020536302A (ja) 容器、調製マシン及び調製情報を符号化するための2値コードを使用するシステム
AU2022422279A1 (en)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WO2023118100A1 (en)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AU2022420717A1 (en)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WO2023187183A1 (en) Container for use with a machine for preparing a beverage and/or foodstuff, system, use, and methods of encoding and reading preparation information
WO2024094786A1 (en)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WO2024052328A1 (en)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WO2024100097A1 (en)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WO2024068888A1 (en)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AU2022350906A1 (en)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WO2024068890A1 (en)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WO2024100077A1 (en)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