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4567A -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healthcare in a vehicle sharing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healthcare in a vehicle sha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4567A
KR20240034567A KR1020220113751A KR20220113751A KR20240034567A KR 20240034567 A KR20240034567 A KR 20240034567A KR 1020220113751 A KR1020220113751 A KR 1020220113751A KR 20220113751 A KR20220113751 A KR 20220113751A KR 20240034567 A KR20240034567 A KR 20240034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ehicle
information
smart device
sh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37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진용
문성훈
최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지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지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지랩
Priority to KR1020220113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4567A/en
Publication of KR20240034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4567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공유 차량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의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유 시스템에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공유 차량에 구비된 차량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해당 공유 차량을 사용 가능 환경으로 설정하는 제1 단계와,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사용자의 질병력을 포함하는 기본 건강정보와 공유 차량 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에서 이를 등록하는 제2 단계, 사용자 스마트기기가 공유 차량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차량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공유 차량의 차량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제3 단계,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사용자 신체 접촉에 의해 감지된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제4 단계,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차량 상태정보와 생체 신호에 대응되는 건강상태정보를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5 단계,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에서 차량 상태정보를 근거로 공유 차량 상태를 분석함과 더불어, 건강상태정보를 분석하고, 건강상태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건강진단정보를 해당 사용자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제6 단계 및,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건강진단정보를 출력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echnology that allows users to provide customized healthcare services through a shared vehicle used by multiple users.
The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 method in the car sha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setting the shared car to a usable environment by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device provided in the shared car from the user's smart device, and the user's smart device to the user. The second step is to transmit basic health information including disease history, shared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and register them in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In the vehicle device while the user's smart device is located in the shared car, A third step of collecting vehicle status information of the shared vehicle from the user's smart device, a fourth step of collecting biometric signals detected by user body contact on the user's smart device, and health status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and biometric signals on the user's smart device. In the fifth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analyzes the shared vehicle status based on vehicle status information, analyzes health status information, and provides health diagno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ealth status analysis results.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ixth step of transmitting to the user's smart device, and a seventh step of outputting the health diagnosi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on the user's smart device.

Description

차량 공유 시스템에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healthcare in a vehicle sharing system}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healthcare in a vehicle sharing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공유 차량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의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echnology that allows users to provide customized healthcare services through a shared vehicle used by multiple users.

공유경제에 관한 관심 속에서 차량공유 시장은 가파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Amid interest in the sharing economy, the car sharing market is maintaining rapid growth.

이에 따라 최근 자동차의 사용은 소유의 개념에서 공유의 개념으로 바뀌는 추세이며, 자동차의 구입이 아닌 리스/렌트/차량 구독 및 카셰어링(쏘카, 그린카)을 이용하여 필요한 기간에만 빌려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이용 방식이 바뀌고 있다. Accordingly, the use of cars has recently changed from the concept of ownership to the concept of sharing, and instead of purchasing a car, it is rented and used only for the period of time needed by using lease/rental/vehicle subscription and car sharing (Socar, Green Car). The way users use it is changing.

또한, 자동차 업계의 추세는 "자율 주행" 및 "SDV (Software Defined Vehicle)" 개발을 위해서 자체적으로 SW/HW 개발 및 생태계를 구성하고 독자적인 환경에서 해당 자동차 구매자에게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In addition, the trend in the automobile industry is to develop its own SW/HW and develop an eco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driving” and “SDV (Software Defined Vehicle)” and operate services to car buyers in an independent environment.

현재,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인 테슬라는 차량의 속도, 주행 기록, 배터리 사용 및 관리 정보, 실시간 위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데이터, 차량 개인설정 환경(연락처, 브라우징 이력)정보 등을 수집하여 개인 맞춤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Currently, Tesla, a global automobile manufacturer, supports personalized services by collecting vehicle speed, driving records, battery usage and management information, real-time location, infotainment system data, and vehicle personalization environment (contact information, browsing history) information. .

그러나, 자동차를 구매하지 않고 차량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서로 다른 여러개의 자동차를 자주 변경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자동차 구매자에게만 제공되는 이러한 맞춤형 서비스들을 제공하기에 어려움이 있다.However, in an environment where cars are shared rather than purchased, users often change and use several different cars, making it difficult to provide these customized services that are only available to car buyers.

한편, 최근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이 의료분야로 확장·융합 되면서 의료분야의 패러다임이 "치료·병원 중심"에서 "예방·소비자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스마트 헬스케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Meanwhile, as recent development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have expanded and merged with the medical field, the paradigm of the medical field has changed from “treatment/hospital-centered” to “prevention/consumer-centered,” increasing social interest and the importance of smart healthcare. It is emerging.

차량 분야에서 헬스케어는 2000년대 초반까지는 충돌 완화와 예방, 안정성 확대에 초점이 맞춰다면, 현재는 시트나 스티어링 휠의 열선, 마사지 기능, 알러지 모니터링 등 생명에 치명적이지 않은 헬스케어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다.In the vehicle field, healthcare focused on mitigating and preventing collisions and increasing safety until the early 2000s, but currently, healthcare technologies that are not life-threatening, such as heated seats and steering wheels, massage functions, and allergy monitoring, are being introduced. .

이에, 사용자가 차량을 변경하여 사용하는 차량 공유환경에서도 사용자의 기본 건강정보 및 신체활동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과 생명을 생각하고 관리하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Accordingly, even in a car sharing environment where users change vehicles, there is a need for technology that can provide healthcare services that consider and manage the user's health and life according to the user's basic health information and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1. 한국등록특허 제10-2303422호 (자율성 극대화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자율성 제공 서버)1. Korean Patent No. 10-2303422 (Self-driving vehicle control system for maximizing autonomy and server providing autonomy therefor) 2. 한국등록특허 제10-2061980호 (자동차 운행중 운전자 안전 및 사고방지 시스템)2. Korean Patent No. 10-2061980 (Driver safety and accident prevention system while driving a car)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공유 차량을 이용하는 환경에서도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사용자 맞춤형의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차량 공유 시스템에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and is a vehicle sharing system that allows users to provide customized healthcare services by tracking the user's health status in real time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users use shared vehicles. The technical purpose is to provide a customized healthcare service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공유 차량에 구비된 차량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해당 공유 차량을 사용 가능 환경으로 설정하는 제1 단계와,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사용자의 질병력을 포함하는 기본 건강정보와 공유 차량 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에서 이를 등록하는 제2 단계, 사용자 스마트기기가 공유 차량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차량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공유 차량의 차량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제3 단계,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사용자 신체 접촉에 의해 감지된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제4 단계,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차량 상태정보와 생체 신호에 대응되는 건강상태정보를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5 단계,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에서 차량 상태정보를 근거로 공유 차량 상태를 분석함과 더불어, 건강상태정보를 분석하고, 건강상태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건강진단정보를 해당 사용자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제6 단계 및,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건강진단정보를 출력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 시스템에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step is to set the shared vehicle as a usable environment by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device provided in the shared vehicle from the user's smart device, and the user's disease history in the user's smart device. 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basic health information, shared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third step is to collect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of the shared vehicle, the fourth step is to collect the biometric signals detected by the user's body contact on the user's smart device, and the user's smart device collects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and health statu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iosignals. In the fifth step of transmitting to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analyzes the shared vehicle status based on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analyzes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and provides health diagno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ealth status analysis results. A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 method in a car sharing system, comprising a sixth step of transmitting to the user's smart device, and a seventh step of outputting the health diagnosi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on the user's smart device. This is provided.

또한, 상기 사용자 스마트기기는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밴드형 스마트기기를 별도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 밴드형 스마트기기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 시스템에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In addition, the user smart device is configured to be separately equipped with a band-type smart device for detecting biometric signals, and collects the user's biometric signals by communicating with the band-type smart device. Personalized health in the car sharing system A care service method is provided.

또한, 상기 사용자 스마트기기는 이전 건강상태정보와 현재 건강상태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임계치 이상이거나, 현재 건강상태정보가 기 등록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긴급상태로 판단하여 기 등록된 제1 외부단말로 건강상태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상태알림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 시스템에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In addition, the user's smart device compares the previous health status information with the current health status information, and if the difference is more than a threshold or the current health status information is more than a pre-registered standard, it determines it to be an emergency and sends it to the pre-registered first external terminal. A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 method is provided in a vehicle sharing system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health status information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는 공유 차량 이용 종료시, 해당 공유 차량 이용시의 사용자 건강상태상태 변동폭에 기반하여 해당 공유 차량 차종에 대응되는 차량 만족도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단계에서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는 차량 공유 서비스 예약시 사용자 스마트기기로 해당 사용자 주변 일정 반경내에 위치하는 공유 차량 중 차량 만족도가 가장 높은 차종의 공유 차량을 추천 차량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 시스템에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In addition,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alculating and storing a vehicle satisfaction level corresponding to the shared car model based on the variation in the user's health status when using the shared car when the use of the shared car is terminated, In the first step,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provides recommended car information to the user's smart device when making a car sharing service reservation, the car type with the highest car satisfaction among shared cars located within a certain radius around the user as recommended car information. A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 method is provided in the shared system.

본 발명의 의하면, 사용자가 공유 차량을 이용하는 환경에서도 사용자의 질병력을 포함하는 기본 건강정보와 공유 차량 이용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건강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심장마비, 급작스러운 장애 등의 예측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a user uses a shared vehicle, a prediction function such as a driver's heart attack or sudden disability is included based on basic health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disease history and health information collected in real time when using a shared vehicle. Smart healthcare services can be easily provided.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헬스 케어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사용자 스마트기기(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제어부(260)의 기능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유 시스템에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ar sharing system providing a healthcare service func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user smart device 200 shown in Figure 1, separated functionally.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unit 260 shown in Figure 2 separately.
Figur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 method in a car sha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indicated by identical symbols wherever possible. Meanwhile,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patent claims prior to thi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used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alternatives may be used to replace th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variations may exist.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that is not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서 공유 차량은 사용자들이 자신이 필요한 일정 기간 또는 시간에만 빌려 사용하는 모든 차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쉐어링카, 리스 차량, 렌트 차량을 포함한다. 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a shared vehicle refers to any vehicle that users rent and use only for a certain period or time when they need it, and includes shared cars, leased vehicles, and rental vehicles.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헬스 케어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ar sharing system that provides a healthcare service func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헬스 케어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 공유 시스템은, 공유 차량(1)에 구비되는 차량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스마트 기기(200) 및,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a car sharing system that provides a healthcare service func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vehicle device 100 provided in a shared vehicle 1, a user smart device 200, and a car sharing service server. Includes 300.

차량 디바이스(100)는 공유 차량(1)내에 설치되어 차량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차량 상태정보를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로 제공한다. The vehicle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e shared vehicle 1, collects vehicle status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collected vehicle status information to the user smart device 200.

이러한 차량 디바이스(100)에서 수집하는 차량 상태정보는 공유 차량(1)의 속도, 충격량, RP, 연료량 등의 운행 상태정보를 포함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센서들이 구비되어 구성된다..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vehicle device 100 includes driving status information such as speed, impact amount, RP, and fuel amount of the shared vehicle 1, and for this purpose, various sensors are provided and configured.

또한, 차량 디바이스(100)는 해당 차량 식별을 위한 예컨대, 차량번호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로 차량 이용시 기 등록된 자신의 차량식별정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device 100 stores in advance, for example, vehicle license plate 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 of the vehicle, and provides the user's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s already registered when using the vehicle to the user's smart device 200.

또한, 차량 디바이스(100)에는 차량 이용이 허용된 사용자의 스마트기기(200)와 연동하기 위한 공유인증정보, 예컨대, 키 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로부터 기 등록된 키 정보가 입력되는 때에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차량을 운행가능한 상태로 설정한다.In addition, sha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key information, for linking with the smart device 200 of a user permitted to use the vehicle is pre-registered in the vehicle device 100, and the pre-registered key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user's smart device 200. When possible, unlock the vehicle and set the vehicle to a drivable state.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는 사용자 건강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건강상태정보를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로 제공하며,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건강진단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는 공유 차량으로부터 수집된 차량상태정보를 함께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The user smart device 200 collects user health status information, provides the collected user health status information to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and outputs health diagnosi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At this time, the user smart device 200 transmits vehicle status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hared vehicle to the vehicle sharing service server 300.

또한,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는 하나의 장치 예컨대, 생체수집 기능을 갖는 스마트 폰으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 건강상태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생체정보 수집용 제1 스마트 기기와, 이 제1 스마트 기기와 연동됨과 더불어 차량 디바이스(100) 및 차량 공유서서비스 서버(300)와 통신하기 위한 제2 스마트 기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마트 기기는 밴드형 스마트 워치로 이루어지고, 제2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 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smart device 200 consists of a sing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with a biometric collection function, or a first smart device for collecting biometric information to collect user health status information, and is linked with the first smart device.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as a second smart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device 100 and the vehicle sharing service server 300. For example, the first smart device may be a band-type smart watch, and the second smart device may be a smart phone.

그리고,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는 건강상태정보를 분석하여 긴급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긴급상태로 판단되면 해당 건강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상태알림정보를 기 등록된 제1 외부단말(2)로 전송한다. 이때, 제1 외부단말(2)은 유관 기관의 단말로서, 경찰서, 병원, 119 등이 될 수 있다. Then, the user smart device 200 analyzes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it is an emergency state,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an emergency state, the user smart device 200 sends emergency state no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health state information to the first external terminal 2 that is already registered. send. At this time, the first external terminal 2 is a terminal of a related organization and may be a police station, hospital, 119, etc.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기본 건강 데이터와, 실시간 수집한 사용자 생체 신호를 근거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 추적 분석하고, 그 건강 분석 결과에 따른 건강진단정보를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로 제공한다.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tracks and analyzes the user's health status in real time based on the user's basic health data provided through the user smart device 200 and the user's biometric signals collected in real time, and determines the user's health according to the health analysis results. Diagnosis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s smart device (200).

또한,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의 건강 분석 결과, 사용자 건강에 이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면, 기 등록된 제2 외부 단말(2')로 이상안내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제2 외부단말(2')은 보호자 단말이거나 또는 병원이나 119 등의 유관 기관 단말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predicts that an abnormality in the user's health will occur as a result of the user's health analysis, it provides abnormality information to the pre-registered second external terminal 2'. At this time,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2' may be a guardian terminal or a terminal of a related organization such as a hospital or 119.

또한, 제2 외부단말(2')은 해당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서버로서,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건강관리서버로 하여금 해당 사용자에 대한 연속적인 건강상태관리가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공유 차량 이용시 수집된 자신의 건강상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건강관리서버는 해당 사용자가 미리 등록하여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2' is a server that continuously manages the user's health status, and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transmits the user's health status information to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and allows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to It can be provided to enable continuous health status management for the user. At this time, the user can register and set up a health management server in advance to provide the user's health status information collected when using a shared vehicle.

도2는 도1에 도시된 사용자 스마트 기기(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user smart device 200 shown in Figure 1, separated functionally.

도2를 참조하면,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는 정보 입력부(210)와 정보 출력부(220), 생체신호 감지부(230), 통신부(240), 데이터 메모리(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user smart device 200 includes an information input unit 210, an information output unit 220, a biosignal detection unit 230, a communication unit 240, a data memory 250, and a control unit 260. Includes.

정보 입력부(210)는 사용자가 헬스케어 관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기본 건강 정보를 수집한다. 기본 건강 정보는 이름, 나이, 성별의 사용자 개인 정보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뇌졸증(통풍),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폐결핵, 갑상선질환, 만성위염이나 위궤양, 장 폴립, 지방간, 담성증이나 담낭염 등을 포함하는 질병력 정보를 포함한다.The information input unit 210 is a means for the user to input healthcare-related information and collects basic health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Basic health information includes user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name, age, and gender, as well as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hyperlipidemia, stroke (gout), angina or myocardial infarction, pulmonary tuberculosis, thyroid disease, chronic gastritis or stomach ulcers, intestinal polyps, fatty liver, biliary disease or cholecystitis. Includes disease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etc.

정보 출력부(220)는 헬스케어 관련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20 is a means for outputting healthcare-related information and may include a display and a speaker.

생체신호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들로 구성된다. 생체신호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심박수, 혈압, 체온, 스트레스, 산소포화도, 혈중알콜농도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수집한다.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30 is composed of various sensors that detect the user's biosignals while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30 collects bio-signals including the user's heart rate,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stress, oxygen saturation, and blood alcohol concentration.

이러한 생체신호 감지부(230)는 사용자 스마트기기(200)와는 별도의 장치, 예컨대 스마트 밴드로 구성되어 자신이 수집한 생체신호를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생체신호 감지부(230)는 사용자 스마트기기(2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통신모듈을 통해 상호 연동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is bio-signal detection unit 230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device from the user smart device 200, for example, a smart band, and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bio-signals it collects to the user smart device 200. At this time,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30 is configur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smart device 200, and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in a state set to interoperat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통신부(240)는 차량 디바이스(100)와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 및 제1 외부단말(2)과 통신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240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device 100,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and the first external terminal 2.

데이터 메모리(250)는 사용자 스마트기기(200)의 차량공유 서비스 및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종 정보 및 제어부(26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 메모리(250)에 저장되는 정보는 차량공유 어플리케이션과 긴급상태 판단을 위한 기준 정보, 제1 외부단말정보, 공유 차량 키정보, 차량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차량상태정보와 생체신호 감지부(230)로부터 수집한 사용자 생체정보를 포함한다.The data memory 250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providing car sharing services and health care services of the user smart device 200 and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260.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memory 250 includes the vehicle sharing application and referenc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emergency status, first external terminal information, shared vehicle key information, vehicl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device 100, and a biometric signal detection unit ( 230) and includes user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ed.

제어부(260)는 차량공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공유 차량 이용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차량 디바이스(100)를 통해 수신된 차량상태정보와 생체신호 감지부(230)를 통해 수집한 생체신호 즉, 건강상태정보를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함과 더불어, 건강상태정보를 근거로 긴급상태 여부를 판단하여 긴급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기 등록된 제1 외부단말(2)로 긴급상태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60)는 차량상태정보를 고려하여 차량 이상에 대한 긴급상태 여부를 추가로 판단하거나, 건강상태정보와 차량상태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긴급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60 is a device that provides healthcare services when using a shared vehicl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car sharing application, and uses vehicl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vehicle device 100 and biometric signals collected through the biometric signal detection unit 230. In other words, in addition to transmitting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to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the emergency status is determined based on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and if the emergency status is determined, the emergency status is sent to the already registered first external terminal 2. Send status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60 may additionally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condition exists for a vehicle abnormality by considering vehicle status information, or may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condition exists by considering health status information and vehicle status information together.

이러한 제어부(26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공유 관리모듈(261)과 정보 수집모듈(262), 긴급상태 판단모듈(263) 및 헬스케어 관리모듈(264)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unit 260 includes a car sharing management module 261, a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262, an emergency status determination module 263, and a healthcare management module 264.

차량공유 관리모듈(261)은 차량 디바이스(100)로 키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공유 차량(1)의 잠금해제 처리를 수행하고, 해당 차량 디바이스(100)로부터 공유 차량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등의 공유 차량 사용 환경 및 차량 디바이스(100)와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 환경을 설정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The car sharing management module 261 transmits key information to the vehicle device 100 to perform unlocking processing for the shared vehicle 1, and receives and stores shared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device 100. Operations such as setting the shared vehicle use environment and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the vehicle device 100 are performed.

정보 수집모듈(262)은 차량 디바이스(100)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생체신호 감지부(230)로부터 건강상태정보를 수집한다.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262 collects vehicl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device 100 and health status information from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30.

긴급상태 판단모듈(232)은 차량상태정보 및 건강상태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 정보 또는 이전의 상태정보와 비교하여 임계치 이상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긴급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긴급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상태정보의 종류는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혈압, 심박수, 혈중알콜농도, 산소포화도 등의 건강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state determination module 232 compares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and health state information with preset standard information or previous state information and, if a difference greater than a threshold occurs, determines the state to be an emergency state. At this time, the type of statu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emergency status may be set in advanc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health status information such as blood pressure, heart rat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oxygen saturation.

헬스케어 관리모듈(264)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기본 건강정보와 정보 수집모듈(262)을 통해 수집된 차량상태정보 및 건강상태정보를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고,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해당 사용자의 건강진단정보를 정보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한다.The healthcare management module 264 transmits the basic health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and health status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262 to the vehicle sharing service server 300. The user's health diagnosis information received from 300 is output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20.

또한, 헬스케어 관리모듈(264)은 긴급상태시 현재 차량상태정보 또는 건강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와, 현재 위치정보, 공유 차량 정보 및 사용자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상태알림정보를 생성하여 관련된 제1 외부단말(2), 예컨대 병원, 경찰서, 119 등으로 전송한다. 즉, 혈중알콜농도가 기준 알콜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경찰서에 긴급상태알림정보를 전송하고,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를 초과하거나 이전 심박수와 임계치 이상 차이가 발생된 경우 병원이나 119로 긴급상태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ergency state, the healthcare management module 264 generates emergency state no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state information of current vehicle state information or health stat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shared vehicle information, and user personal information. I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external terminal (2), such as a hospital, police station, 119, etc. In other words, if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exceeds the standard alcohol concentration,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is sent to the police station, and if the heart rate exceeds the standard heart rate 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heart rate and the threshold exceeds the threshold,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is sent to the hospital or 119. Can be transmitted.

또한, 헬스케어 관리모듈(264)은 긴급상태알림정보를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여,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를 통해 기 등록된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healthcare management module 264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and to a pre-registered guardian terminal through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유 시스템에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을 도4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카쉐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공유 시스템을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 method in the car sha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4. Hereinafter, a vehicle sharing system that provides a car sharing servi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하여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로 접속하여 공유 차량 이용을 위한 차량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설치하고, 차량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사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공유 차량 선택 및 사용 시간 또는 날짜 정보를 등록하는 등의 일련의 공유 차량 예약처리를 수행한다(ST100). 이때, 차량공유 어플리케이션은 공유 차량 예약처리시 사용자 인증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처리시 사용자 스마트기기정보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First, the user connects to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using his/her smart device 200, receives and installs a car sharing application for using a shared car, and places the car near the user while running the car sharing application. A series of shared vehicle reservation processes are performed, such as selecting a shared vehicle and registering usage time or date information (ST100). At this time, the car sharing application can perform user authentication processing when processing shared vehicle reservations, and can obtain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user smart device information when processing user authentication.

또한, 공유 차량 예약처리가 완료되면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는 해당 공유 차량(1)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로 해당 공유 차량(1)의 키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는 공유 차량정보와 사용자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In addition, when the shared vehicle reserva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provides the key information of the shared vehicle 1 to the user's smart device 200 so that the shared vehicle 1 can be used. At this time,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matches and stores shared vehicle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이어,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는 사용자 기본 건강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건강정보 입력창을 표시출력하고,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기본 건강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ST200). 이때, 기본 건강정보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뇌졸증(통풍),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폐결핵, 갑상선질환, 만성위염이나 위궤양, 장 폴립, 지방간, 담성증이나 담낭염 등을 포함하는 질병력 정보를 포함한다.Next, the user smart device 200 displays and outputs a health information input window for entering the user's basic health information, and in response, receives the basic health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and transmits it to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 ST200). At this time, basic health information includes disease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hyperlipidemia, stroke (gout), angina pectoris or myocardial infarction, pulmonary tuberculosis, thyroid disease, chronic gastritis or gastric ulcer, intestinal polyps, fatty liver, biliary disease or cholecystitis, etc. .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이용할 공유 차량(1)이 정차된 장소로 이동한 후, 상기 ST100 단계에서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은 공유 차량 키정보를 활성화하여 공유 차량(1)에 구비된 차량 디바이스(100)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공유 차량(1)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해당 공유 차량(1)을 사용 가능한 환경으로 설정한다(ST300). 즉, 해당 공유 차량(1)은 사용자의 운전에 따라 주행이 가능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In the above state, after the user moves to the place where the shared vehicle 1 to be used is stopped, the shared vehicle key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is activated in step ST100 to use the shared vehicle 1. By transmitting to the vehicle device 100 provided in, the shared vehicle 1 is unlocked and the shared vehicle 1 is set to a usable environment (ST300). In other words, the shared vehicle 1 is in a state where it can be driven according to the user's driving.

이와 같이 공유 차량(1)이 주행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차량 디바이스(100)는 현재 차량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로 전송한다(ST400). 이때, 차량 상태정보는 속도, 충격량, RP, 연료량 등의 운행 상태정보를 포함한다.In this way, with the shared vehicle 1 set to be driveable, the vehicle device 100 transmits the current vehicle status information to the user smart device 200 in real time (ST400). At this time, vehicle status information includes driving status information such as speed, impact amount, RP, and fuel amount.

한편,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는 생체신호 감지부(230)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일정 주기로 수집한다(ST500). 이때, 사용자 생체신호는 심박수, 혈압, 체온, 스트레스, 산소포화도, 혈중알콜농도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user smart device 200 collects the user's biosignals at regular intervals while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30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ST500). At this time, the user's biosignals include heart rate,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stress, oxygen saturation, and blood alcohol concentration.

그리고, 사용자 스마트기기(300)는 상기 ST400 단계에서 수집한 차량상태정보와 상기 ST500 단계에서 수집한 건강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ST600). 이때, 상태정보는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에서 사용자 및 공유 차량을 구별하기 위한 공유 차량번호정보 또는 사용자 스마트기기 번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n, the user smart device 300 transmits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vehicle status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ST400 and health status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ST500 to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ST600). At this time,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shared vehicle license plate number information or user smart device number information to distinguish the user and the shared vehicle in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로부터 수집한 상태정보를 해당 공유 차량정보 또는 사용자정보에 대응되게 저장함과 더불어, 사용자 건강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 및 향후 발생할 건강이상상태를 예측하는 등의 건강상태를 진단한다(ST700). 이때,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ST200 단계에서 등록된 해당 사용자의 기본 건강정보, 즉, 질병력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한다.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stores the status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user's smart device 200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red vehicle information or user information, and analyzes the user's health status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user's current health status and future health status. Diagnose health conditions, such as predicting abnormal conditions (ST700). At this time,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analyzes the user's health status by considering the basic health information of the user registered in step ST200, that is, the disease history.

그리고,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ST700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자 건강진단정보를 해당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로 제공하며(ST800),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는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건강진단정보를 출력하여 공유 차량을 운전자는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n,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provides the user health diagnosis information determined in step ST700 to the corresponding user smart device 200 (ST800), and the user smart device 200 receives it from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By printing one user's health diagnosis information, the shared vehicle driver can make the user aware of his or her health status.

또한, 상기 ST700 단계에서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는 일정 기간내에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이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기 등록된 제2 외부단말(2')로 건강이상예측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외부단말(2')는 보호자 단말 또는 건강과 관련된 기관 예컨대 병원의 단말 등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700 step, if it is predicted that an abnormality in the user's health will occur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may provide health abnormality prediction information to the pre-registered second external terminal 2'. there is. At this time,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2' may be a guardian terminal or a terminal of a health-related institution, such as a hospital.

또한,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ST600 단계에서 수집된 차량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이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면, 해당 차량이상정보를 기등록된 제2 외부단말, 예컨대 카센터로 전송할 수 있다. Additionally, if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analyzes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ST600 and predicts that a vehicle abnormality will occur, it may transmit the vehicle abnormality information to a pre-registered second external terminal, for example, a car center.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스마트기기(200)에서 건강상태정보를 1차 분석하여 긴급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긴급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건강상태정보와 위치정보 및 사용자 또는 공유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상태정보를 기 등록된 관련 제1 외부단말(2)로 보다 신속하게 전송하여 건상이상으로 인한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smart device 200 first analyzes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it is an emergency state,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an emergency state, the emergency state information includes health status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user or shared vehicle inform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more quickly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related first external terminal (2) to prevent accidents due to health problems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에서 사용자정보에 대응되게 공유 차량정보 및, 해당 공유 차량 이용시의 건강상태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공유 차량 이용시의 사용자 건강상태정보의 변동폭에 기반하여 공유 차량 차종에 대응되는 차량 만족도를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 차량 공유 서비스 예약시 c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스마트기기(200)를 통해 사용자 주변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공유 차량 중 해당 사용자가 과거 이용한 공유 차량에 대해 차량 만족도가 가장 높은 차종의 공유 차량을 추천 차량으로 제공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stores shared vehicle information and health status information when using the shared vehicle corresponding to user information, and shares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user's health status information when using the shared vehicle. The vehicle satisfaction level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model can be calculated and stored. Then, when making a car sharing service reservation, the c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selects the car with the highest level of vehicle satisfaction among shared cars located within a certain radius around the user through the user smart device 200. Shared vehicles can be provided as recommended vehicles.

예컨대,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300)는 공유 차량 이용시의 최대 심박수와 최소 심박수간의 차이값을 근거로 차이값이 작을수록 차량 만족도를 높은 수치로 산출하고, 주변 공유 차량 중 해당 사용자에 대해 차량 만족도가 가장 높은 그랜저를 추천 차량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300 calculates car satisfaction as a higher value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heart rate and minimum heart rate when using a shared car, and the smaller the difference, the higher the car satisfaction level for the user among nearby shared cars. The highest Grandeur can be provided as recommended vehicle information.

100 : 차량 디바이스, 200 : 사용자 스마트기기,
300 :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
210 : 정보 입력부, 220 : 정보 출력부,
230 : 생체신호 감지부, 240 : 통신부,
250 : 데이터 메모리, 260 : 제어부,
261 : 차량공유 관리모듈, 262 : 정보 수집모듈,
263 : 긴급상태 판단모듈, 264 : 헬스케어 관리모듈.
100: vehicle device, 200: user smart device,
300: car sharing service server,
210: information input unit, 220: information output unit,
230: biological signal detection unit, 240: communication unit,
250: data memory, 260: control unit,
261: vehicle sharing management module, 262: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263: Emergency status judgment module, 264: Healthcare management module.

Claims (4)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공유 차량에 구비된 차량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해당 공유 차량을 사용 가능 환경으로 설정하는 제1 단계와,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사용자의 질병력을 포함하는 기본 건강정보와 공유 차량 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에서 이를 등록하는 제2 단계와,
사용자 스마트기기가 공유 차량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차량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공유 차량의 차량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제3 단계,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사용자 신체 접촉에 의해 감지된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제4 단계,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차량 상태정보와 생체 신호에 대응되는 건강상태정보를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5 단계,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에서 차량 상태정보를 근거로 공유 차량 상태를 분석함과 더불어, 건강상태정보를 분석하고, 건강상태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건강진단정보를 해당 사용자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제6 단계 및,
사용자 스마트기기에서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건강진단정보를 출력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 시스템에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
A first step of setting the shared vehicle to a usable environment by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device provided in the shared vehicle from the user's smart device;
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basic health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disease history, shared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s smart device to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and registering them in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A third step of collecting vehicle status information of the shared vehicle from the vehicle device while the user's smart device is located in the shared vehicle,
A fourth step of collecting biometric signals detected by user body contact on the user's smart device,
A fifth step of transmitting health statu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vehicle status information and biosignals from the user's smart device to the vehicle sharing service server,
A sixth step in which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analyzes the shared vehicle status based on vehicle status information, analyzes health status information, and transmits health diagno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ealth status analysis result to the user's smart device;
A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 method in a car sharing system, comprising a seventh step of outputting health diagnosi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on the user's smar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스마트기기는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밴드형 스마트기기를 별도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 밴드형 스마트기기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 시스템에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ser's smart device is configured to be separately equipped with a band-type smart device for detecting biometric signals, and collects the user's biometric signals by communicating with this band-type smart device. A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 is provided in the car sharing system.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스마트기기는 이전 건강상태정보와 현재 건강상태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임계치 이상이거나, 현재 건강상태정보가 기 등록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긴급상태로 판단하여 기 등록된 제1 외부단말로 건강상태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상태알림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 시스템에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ser's smart device compares the previous health status information with the current health status information, and if the difference is more than a threshold or the current health status information is more than a pre-registered standard, it is judged to be in an emergency state and the health status is reported to the pre-registered first external terminal. A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 method in a vehicle sharing system,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emergency status no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는 공유 차량 이용 종료시, 해당 공유 차량 이용시의 사용자 건강상태상태 변동폭에 기반하여 해당 공유 차량 차종에 대응되는 차량 만족도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단계에서 차량 공유 서비스 서버는 차량 공유 서비스 예약시 사용자 스마트기기로 해당 사용자 주변 일정 반경내에 위치하는 공유 차량 중 차량 만족도가 가장 높은 차종의 공유 차량을 추천 차량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 시스템에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alculating and storing a vehicle satisfaction level corresponding to the shared car model based on the variation in the user's health status when using the shared car when the use of the shared car is terminated,
In the first step, the car sharing service server provides recommended vehicle information to the user's smart device when reserving a car sharing service, the shared vehicle of the type with the highest vehicle satisfaction among shared vehicles located within a certain radius around the user as recommended vehicle information. A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 method in a car sharing system.
KR1020220113751A 2022-09-07 2022-09-07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healthcare in a vehicle sharing system KR202400345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751A KR20240034567A (en) 2022-09-07 2022-09-07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healthcare in a vehicle sha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751A KR20240034567A (en) 2022-09-07 2022-09-07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healthcare in a vehicle shar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567A true KR20240034567A (en) 2024-03-14

Family

ID=9024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3751A KR20240034567A (en) 2022-09-07 2022-09-07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healthcare in a vehicle sha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4567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980B1 (en) 2018-09-03 2020-01-02 소치재 Apparatus for sensing if a driver drives a car safely
KR102303422B1 (en) 2019-07-04 2021-09-2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Autonomous vehicle control system for maximizing autonomy, and Autonomy providing server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980B1 (en) 2018-09-03 2020-01-02 소치재 Apparatus for sensing if a driver drives a car safely
KR102303422B1 (en) 2019-07-04 2021-09-2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Autonomous vehicle control system for maximizing autonomy, and Autonomy providing server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65674B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vehicle when an occupant experiences a potential disorder
EP2544914B1 (en) A system for vehicle security, personalization and cardiac activity monitoring of a driver
KR102303023B1 (en) Taxi nomitoring system using smart band, gateway module and integrated control device connected with taxi service using smart band
US20080297336A1 (en) Controlling vehicular electronics devices using physiological signals
JP2005034520A (en)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ystem
EP3264382B1 (en) Safety driving system
CN107085937B (en) Coping method of coping system based on passenger emergency situation of unmanned taxi
CN114746311B (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ication and biological monitoring in a vehicle
JP2006302206A (en) Health care system and healthy information center
KR20180120901A (en) Health care apparatus with a passenger physical condition measurement in a vehicle and method there of
JP2000301963A (en) Accident deterrent system and method
WO2016033587A1 (en) Driver readiness and integrated performance assessment
JP2012120597A (en) On-board device
JP2018073374A (en) Vehicle control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recognizing driver
JP583724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health management using physical information acquired from a handle equipped with a sensor
KR101922337B1 (en) Safe driving method for aged person
KR102073561B1 (en) Health care method with a passenger physical condition measurement in a vehicle
US20210099849A1 (en) Emergency system for a vehicle
KR20240034567A (en)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healthcare in a vehicle sharing system
CN113496193A (en) Recommendation guidance system, recommendation guidance method, and storage medium
Ridella et al. The potential for adaptive safety through in-vehicle biomedical and biometric monitoring
JP2016085730A (en) Vehicle data recording device and vehicle accident notification device
US115106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lertness of an occupant of a vehicle
RU2696978C1 (en) Improved operation of touch screen
KR20180108033A (en)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