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4059A - 음료 제조 기계 및 액체 분배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 기계 및 액체 분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4059A
KR20240024059A KR1020237041192A KR20237041192A KR20240024059A KR 20240024059 A KR20240024059 A KR 20240024059A KR 1020237041192 A KR1020237041192 A KR 1020237041192A KR 20237041192 A KR20237041192 A KR 20237041192A KR 20240024059 A KR20240024059 A KR 20240024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unit
dispensing
beverage preparation
preparation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상드르 퓌글리스
알렉상드르 페랑뜨
앙또냉 베누아-리종
판 데어 메르쉬 니콜라스 강쇼프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40024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4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제조 기계(1)에 관한 것으로서, 음료 제조 기계(1)는, 음료 제조 기계(1)를 통해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유닛(2), 전달 유닛(2)에 의해 전달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유닛(3), 및 분배 유닛(3)에 의해 분배된 액체를 수집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액체 경로(P)를 형성하도록 분배 유닛(3)에 유체 연결가능한 수집 유닛(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법은 (a) 음료 제조 기계(1),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의 음료 제조 기계(1)의 전달 유닛(2)을 통해 액체를 전달하는 단계, (b) 전달 유닛(2)에 의해 전달된 액체를 음료 제조 기계(1)의 분배 유닛(3)을 통해 분배하는 단계, 및 (c) 분배 유닛(3)에 의해 분배된 액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집하기 위한 액체 경로(P)를 형성하기 위해 음료 제조 기계(1)의 수집 유닛(8)과 분배 유닛(3)을 선택적으로 유체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 제조 기계 및 액체 분배 방법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캡슐, 패드, 포드, 사셰, 용기 등으로 운반되는 (예를 들어, 주입가능한, 분말, 겔, 반죽, 또는 액체 형태의) 식용 제품과 액체(예를 들어, 물)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물, 향미첨가 물(flavored water), 영양풍부화된 물(enriched water), 커피, 차, 수프 등과 같은 (식용) 액체 또는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음료 제조 기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언급된 식용가능한 액체 또는 음료(제품)와 같은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료 제조 기계는 대체적으로 이전에 알려져 있다. 이들 기계에 의해, 액체가 기계를 통해 전달되어 분배 출구에서 분배된다. 액체는 분배되기 전에 템퍼링(예컨대,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다. 액체는 식용 제품과 상호작용하여 특정 음료 제품 또는 커피, 차 또는 수프와 같은 식용가능한 다른 액체를 제조할 수 있다. 액체는 또한, 분배되기 전에 영양풍부화되거나 향미가 첨가되도록 식용 제품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액체는 식용가능한 제품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제조 유닛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식용가능한 제품은 캡슐 또는 다른 유형의 수용체(recipient) 내에서 운반될 수 있으며, 이는 액체가 식용가능한 제품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캡슐에 진입하게 하도록 제조 유닛 내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액체 또는 음료는 통상적으로 분배 출구 아래에 배치된 음용 용기 내로 분배된다. 따라서, 음용 용기는 통상적으로 분배 출구 아래에 위치된 수용 베이스 상으로 배치된다. 수용 베이스는, 음용 용기가 베이스 상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 분배 출구를 빠져나가는 임의의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드립 트레이(drip tray)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빠져나가는 액체는 음료 제조 공정 시 분배된 액체, 음료 제조 후의 잔류물, 세정 사이클 동안의 세정 액체 등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깨끗하고 안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음료 제조 기계 및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음료 제조 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음료 제조 기계는, 음료 제조 기계를 통해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유닛, - 예컨대 음료 제조 기계로부터 - 전달 유닛에 의해 전달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유닛, 및 분배 유닛에 의해 분배된 액체(예컨대, 그의 적어도 일부)를 수집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예컨대, 폐쇄 또는 우회) 액체 경로를 형성하도록 분배 유닛에 유체 연결가능한 수집 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음료 제조 기계가 분배 유닛에 유체 연결될 수 있는 수집 유닛을 포함함에 따라, 액체 경로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분배 유닛에 의해 분배되거나 배출되는 임의의 액체가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또는 음료 분배 후에 어떠한 외부의 흘러내림(dripping)도 회피될 수 있어서, 사용자 또는 후속 사용자의 음용 용기가 예컨대, 이전에 분배된 액체의 잔류물로 오염되지 않게 될 것이다. 가열된 액체가 분배되는 경우에, 잔류물이 수집 유닛에 의해 수집되면 화상(scalding)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가열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기계 내부에서의 액체 가열로 인하여 생성되고 그리고 분배 유닛을 빠져나갈 수 있는 스팀은 또한 액체 경로를 통해 수집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화상으로 인한 사용자에 대한 위험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 단계의 경우, 액체 경로는 세정 액체가 사용자와 접촉하게 되거나 심지어 분배 유닛 아래에, 예컨대 베이스 상에 배치된 음용 용기 내로 분배되는 것을 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세정"은 바람직하게는 헹굼, 퍼징, 세정, 제석(descaling), 살균, 및 모든 다른 유형의 세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 액체"는 가열된/고온 액체, 물, 제석제, 살균제, 소독제 등과 같은 기계의 청정도를 개선하기 위한 임의의 유형의 액체일 수 있다. 요약하면, 음료 제조 기계의 사용은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계와 비교하여, (더) 깨끗하고 (더) 안전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교차 오염의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다.
분배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음료 제조 기계로부터의 액체를 바람직하게는 음용 용기 내에 분배하기 위한 출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한정되고, 예컨대 구체적으로 지향되고/되거나 제어되고, 따라서 깨끗한 분배가 획득될 수 있다.
수집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액체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분배 유닛, 바람직하게는 출구 포트에 유체 연결가능한 입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원하는 시간에 분배 유닛에 의해 분배된 액체를 수용하고 수집하기 위한 잘 한정된 부품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경로는 액체의 매우 깨끗하고 안전한 수집 및 따라서 기계의 대응하는 사용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수집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입구 포트에서, 바람직하게는, 액체 경로를 형성하도록 분배 유닛에 유체 연결될 때, 분배 유닛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출구 포트를 수용하기 위한 컵 형상의 수용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컵 형상의 수용 섹션이 분배 유닛 또는 출구 포트의 확실한 봉쇄, 및 따라서 유체 연결될 때 바람직하게는 안전하게 폐쇄된 액체 경로를 허용하기 때문에, 분배 유닛에 의해 분배된 임의의 액체의 깨끗하고 안전한 수집이 달성될 수 있다.
수집 유닛,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입구 포트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수집 유닛을 분배 유닛과 유체 연결하는 연결 위치와, 분배 유닛이 음료 제조 기계 밖으로 액체를 분배할 수 있게 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분배 유닛,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출구 포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한정된 위치들은 분배 유닛에 대한 수집 유닛의 전용 위치설정을 허용하여, 후퇴 위치에서의 원하는 액체 분배, 및 연결 위치에서의 깨끗하고 안전할 뿐만 아니라 재현가능한 액체 수집을 허용한다. 따라서, 액체 경로를 형성하고 분배 유닛을 제거하는 것은, 취급 오차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직관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수집 유닛,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입구 포트, 및/또는 분배 유닛,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출구 포트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및/또는 선형 이동에 의해,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한정된 궤적을 따라, 이동가능할 수 있다. 한정된 이동 가능성은 한정된 이동 및 따라서 한편으로 액체 경로의 반복적으로 정확하고 안전한 생성을 허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유로운 분배를 위한 분배 유닛의 제거를 허용한다.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간단하지만 신뢰할 수 있는 배열을 허용하는 평행사변형 가이드 메커니즘에 의해 달성된다.
음료 제조 기계는 바람직하게는, 분배 유닛, 바람직하게는 입구 포트, 및 수집 유닛,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입구 포트가 유체 연결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또는 형성하는 것으로부터 멀리, 바람직하게는 연결 위치 또는 후퇴 위치를 향해 서로에 대해 편의되게 하기 위한 편의 수단, 예컨대 편의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유닛들 사이의 한정된 상대 위치에 도달하는 것이 지원될 수 있다. 편의 수단이 유체 연결 또는 연결 위치를 향하여 편의되는 경우, 유동 경로는 쉽게 달성되고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편의 수단이 유체 연결로부터 벗어나거나 후퇴 위치를 향해 편의되는 경우, 일반적인 작동 조건에서 이들 유닛을 유지하는 데 최소의 에너지가 필요하거나 전혀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다.
편의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및/또는 수집 유닛 및/또는 분배 유닛의 적어도 일부의 재료 및/또는 설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수집 유닛 및 분배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사전로딩(preloading)하기 위한 것이다. 스프링은 표준화되어 있고 따라서 쉽게 획득가능한 요소이다. 편의 수단이 각각의 유닛의 적어도 일부의 재료 또는 설계에 통합되는 경우, 기계의 전체 레이아웃이 용이해질 수 있고 부품들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재료로서, 편의 수단은 입구 및/또는 출구 포트의 림(rim)과 같은, 고무로 제조된 일체형 부품일 수 있다. 설계 특징부로서, 수집 유닛의 지지 아암은 한정된 가요성을 허용하기 위해 한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입구 및/또는 출구 포트의 림은 필요한 편의 기능을 허용하기 위해 한정된 가요성을 갖도록 구조화되거나 세그먼트화될 수 있다.
밀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유체 연결될 때 액체 경로를 밀봉식으로 폐쇄하기 위해, 분배 유닛, 바람직하게는 출구 포트와, 수집 유닛, 바람직하게는 입구 포트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경로는 확실한 누출 방지 및 따라서 안전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는 예컨대 입구 및/또는 출구 포트의 원주방향 고무 림 섹션의 형태로 편의 수단과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수집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입구 포트로부터 하류의 일부분에서, 바람직하게는 액체를 수집하기 위한 리셉터클에 유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가 저장될 수 있고 수집된 액체의 제거 또는 폐기가 원하는 시점으로 연기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의 실행 가능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잔류물 또는 다른 액체가 안전하게 저장될 수 있다. 이는 수집된 액체가 세정 액체인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충만하게 될 때 리셉터클을 비우기 위한 필요성을 나타내기 위해, 피드백 수단(예컨대, 램프, 디스플레이, 확성기 등)이, 예컨대 시각적 피드백(예컨대, 표시자 램프, 디스플레이 등) 또는 음향 피드백(예컨대, 비프, 음성 명령어 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리셉터클은 바람직하게는 드립 트레이일 수 있고, 이는 분배 유닛 아래에 위치되는 것이 훨씬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리셉터클은 그러한 기계의 종종 존재하는 특징부에 통합될 수 있어, 따라서 기계의 치수 및 설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전체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집 유닛 및/또는 존재하는 경우, 리셉터클은 바람직하게는 폐쇄 순환 루프를 형성하도록 전달 유닛에 유체 연결되거나 연결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경우, 수집된 액체는 재사용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필요한 세정 액체의 경제적 사용을 허용하는 세정 사이클에 유용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는 바람직하게는 분배 유닛을 통한 액체의 분배를 선택적으로 제한하거나 중지하기 위한, 핀치 밸브와 같은 유동 제한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는, 예를 들어, 분배 유닛 내에 운반되는 식용가능한 제품과 액체의 한정된 상호작용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세정 액체는 기계의 충분한 정화(purgation)를 허용하기 위해 한정된 세정 기간 동안에 기계 내에 유지될 수 있다.
유동 제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분배 유닛을 통해 유동하는 액체를 제한하거나 중지시키기 위한 유동 제한 위치와, 분배 유닛을 통해 액체의 자유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유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분배 유닛을 통한 액체의 유동은 쉽고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유동 제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전달 라인 섹션을 통한 액체 유동 경로의 단면이 바람직하게는 유동 제한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감소되거나 제거되도록 (예컨대, 전달 유닛 및/또는 분배 유닛의) 가요성 전달 라인 섹션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한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한 기능이 쉽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아웃은 또한 유지보수가 쉽다(low-maintenance).
유동 제한 요소의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분배 유닛에 대한 수집 유닛의 상대 이동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계(link)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속적인 조합된 이동을 따라, 유동 제한 요소가 제한 위치에 있는 한편 수집 유닛이 후퇴 위치에 있으며, 이어서 유동 제한 요소가 유동 위치에 있는 동안 수집 유닛이 후퇴 위치에 있으며, 이어서 유동 제한 요소가 유동 위치에 있는 동안 수집 유닛은 연결 위치에 있도록, 그리고 역방향으로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조합된 이동은 기계의 전체 레이아웃을 단순화하고 각자의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남용이 그에 따라 회피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는 바람직하게는 수집 유닛 및/또는 분배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또한 유동 제한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각각의 부품을 직접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각각의 부품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는 기어 트레인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또한, 예컨대, 직접 이동되는 다른 이동가능 부품들 중 하나를 통해 각각의 부품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간접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직접 이동 및 간접 이동되는 부품들은 연계된 이동에서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하도록 접촉 상태(예컨대, 이동가능하게 연계됨)에 있거나 접촉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는 바람직하게는 분배 유닛, 바람직하게는 출구 포트, 및/또는 수집 유닛, 바람직하게는 입구 포트를 조사하기 위한; 즉 이들 부품들을 UV 광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UV 램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경로를 분배 및/또는 형성하기 위한 그렇게 노출된 부품들의 원하는 살균이 달성될 수 있다. 이는 또한 감소된 교차 오염을 초래한다.
UV 램프는 바람직하게는, 분배 유닛에 유체 연결될 때 그것이 분배 유닛, 바람직하게는 출구 포트를 향해 지향되도록 수집 유닛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액체 경로를 생성할 때 또는 그 이전에 입구 포트를 살균하도록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UV 램프는 바람직하게는, 그것이 수집 유닛에 유체 연결될 때 수집 유닛, 바람직하게는 입구 포트를 향해 지향되도록 분배 유닛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액체 경로를 생성할 때 또는 그 이전에 출구 포트를 살균하도록 할 수 있다. UV 램프(들)는 또한 살균 목적을 위해 각각의 부품의 UV 조사를 허용하는 한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 바람직하게는 전달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전달 유닛 내에 바람직하게는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액체 또는 음료를 제조 및/또는 분배하기 위해 액체가 가열될 수 있다. 또한, 물과 같은 액체는 세정(예를 들어, 헹굼) 목적에 사용되도록 가열될 수 있다. 이어서, 그렇게 가열된 물은 기계 및 액체 경로를 통해 전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재순환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 바람직하게는 전달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음료 제조 기계(즉, 존재하는 경우, 액체 경로를 포함함)를 통해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는 쉽게 전달될 수 있고 (재)순환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는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하게는 펌프를 제어함으로써, 액체를 전달하도록,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분배 유닛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집 유닛을 이동시킴으로써 수집 유닛을 분배 유닛에 선택적으로 유체 연결하도록,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유동 제한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액체 유동을 제한하거나 중지시키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어 유닛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즉, 가열을 위한) 히터를 제어하고/하거나 (즉, 냉각을 위한) 냉각 유닛을 제어함으로써 액체를 가열 및/또는 냉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법은,
Figure pct00001
음료 제조 기계,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위에 한정된 바와 같은 음료 제조 기계의 전달 유닛을 통해 액체를 전달하는 단계,
전달 유닛에 의해 전달된 액체를 음료 제조 기계의 분배 유닛을 통해 분배하는 단계, 및
분배 유닛에 의해 분배된 액체(예컨대, 그의 적어도 일부)를 수집하기 위한 액체 경로를 형성하도록 음료 제조 기계의 수집 유닛을 분배 유닛과 선택적으로 유체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음료 제조 기계에 대해 본 명세서에서 위에 이미 제시된 이유 때문에, 음료 제조 기계의 깨끗하고 안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위에 제시된 바와 같은 설명 및 이점을 참조한다.
액체를 전달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분배 유닛으로부터 상류에 또는 그 내부에 있는 음료 제조 챔버 내에서 액체에 기초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 챔버는 예를 들어, 혼합 챔버 또는 브루잉 챔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와 혼합하기 위한 첨가제를 전달하기 위해 음료 첨가제 섹션이 (예를 들어, 전달 유닛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식용가능한 제품의 브루잉 및/또는 인퓨전(infusion) 및/또는 용해를 위한 액체와 함께 주입되도록 음료 제조 챔버 내에 삽입되는 캡슐 내에서 식용가능한 제품이 운반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는, 예컨대 식용가능한 제품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추가로 향상되고/되거나 영양풍부화되어, 분배될 대응하는 음료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액체를 분배하는 단계는 제조된 음료를 분배 유닛을 통해 분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료를 제조하는 시작 시, 음료의 분배는 제한되거나 중지될 수 있고, 음료 제조의 시작 후 한정된 지속기간 후에, 제조된 음료의 분배가 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예를 들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식용가능한 제품과 충분히 상호작용하도록, 또는 기계를 충분히 세정하도록, 또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동작 중단 상태에서 또는 2개의 연속적인 분배 커맨드들 사이에서 임의의 흘러내림 또는 분배를 단순히 회피하도록 기계 내부에 액체를 보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액체 경로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또는 제조된 음료를 분배하는 단계가 시작되기 전에 형성될 수 있고, 이어서 액체 또는 제조된 음료의 분배가 시작되고, 한정된 지속기간 후에, 분배 유닛은 액체 또는 제조된 음료를 자유롭게 분배하기 위해 수집 유닛으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원치 않는 초기 액체량이 수집될 수 있다. 이유는, 액체의 초기 양이 아직 충분히 제조된 음료를 포함하지 않거나 기계 내부로부터 일부 신선하지 않은 잔류물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가열된 액체의 경우, 일부 스팀이 기계 내부에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이에 따라, 예를 들어, 화상으로 인한 사용자에 대한 임의의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수집될 수 있다.
액체 경로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또는 제조된 음료의 분배가 종료된 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잔류물의 분배 또는 흘러내림이 회피될 수 있다. 또한, 분배 유닛(예컨대, 출구 포트)은 임의의 교차 오염을 회피하기 위해 동작 중단 상태에서 안전하게 저장될 수 있다. 또한, UV 램프가 존재하는 경우,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의 살균이 쉽게 달성될 수 있다.
유체 연결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분배 유닛의 출구 포트와 수집 유닛의 입구 포트를 바람직하게 유체 연결하기 위해 분배 유닛과 수집 유닛 사이의 상대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유닛들은 언급된 후퇴 위치와 연결 위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경우, 유체 경로가 쉽게 형성될 수 있고 분배 유닛이 제거될 수 있다.
액체(그의 적어도 일부)를 수집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 내의 각각의 액체 또는 제조된 음료의 수집 단계 및/또는 액체를 전달 유닛으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집된 액체는 쉽게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 목적을 위해, 액체는 기계의 경제적 정화를 위해 재순환될 수 있는 세정 액체일 수 있다.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액체의 전달 전 또는 그 동안 가열 또는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고온 또는 저온 음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열된 액체는 세정(예컨대, 헹굼) 목적에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기계의 경제적 세정을 위해 본 명세서에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재순환될 수 있다.
분배 유닛, 바람직하게는 출구 포트, 및/또는 수집 유닛, 바람직하게는 입구 포트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또는 제조된 음료의 분배 및/또는 수집 전에, 그 동안 및/또는 그 후에 바람직하게는 세정 또는 살균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의 수명은 연장될 수 있으며, 분배된 제품은, 특히 소비를 위해 의도되는 경우, 안전성이 증가될 수 있다. 세정 또는 살균은, 기계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액체 경로 - 즉, 이를 포함함 - 를 통해 대응하는 (세정) 액체를 전달 또는 순환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의 종료 시, 대응하는 액체는 수집 유닛을 통해, 예컨대 리셉터클 내에 수집될 수 있다. 살균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UV 램프에 의해 분배 유닛 및/또는 수집 유닛에 UV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유체 연결이 형성된 상태 그리고 따라서 유동 경로가 생성될 때이다.
이제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부들, 세부 사항들 및 이점들이 첨부된 도면들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 기계의 부품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 기계의 부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음료 제조 기계의 부품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음료 제조 기계의 부품의 측단면도를 도시하며, 이때 수집 유닛이 후퇴 위치에 있고 유동 제한 요소가 제한 위치에 있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음료 제조 기계의 부품의 측단면도를 도시하며, 이때 수집 유닛이 후퇴 위치에 있고 유동 제한 요소가 유동 위치에 있다.
도 6은 도 4에 따른 음료 제조 기계의 부품의 측단면도를 도시하며, 이때 수집 유닛이 연결 위치에 있고 유동 제한 요소가 유동 위치에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 기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면들은 음료 제조 기계(1)뿐만 아니라 그의 특정 세부 사항들 및 부품들의 상이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들은 브루잉 유형 또는 인퓨전 유형 음료 제조 기계(1)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의 실시예는 분배기 유형 음료 제조 기계(1)를 도시한다. 음료 제조 기계(1)는 음료 제조 기계(1)로부터의 음료를 (요구에 따라) 요청하는 소비자에 의해 사용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즉, 음료 제조 기계(1)는 소비자에 의해 음용할 준비가 된 음료, 즉 즉석(ready-to-drink) 음료를 배출 또는 분배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1)는 특정 설계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제조 기계(1)는 기업의 편(B2B)에 따라 및/또는 고객의 편(B2C)에 따라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음료 제조 기계(1)는 B2B(호텔, 레스토랑, 카페, 즉 "HoReCa", 피트니스 센터, 사무실 등)에서 그리고/또는 B2C(예컨대, 집에서)에서의 자동판매기(공항, 쇼핑몰, 공공 지역 등)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1)는 자동판매기, 물 분배기, 및/또는 가전제품 디바이스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1)는 벽(벽-장착형), 바닥, 및/또는 테이블 상단에 장착 또는 위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고/있거나, 음료 제조 기계(1)는 독립형 설계를 가질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1)는 음료 제조 기계(1)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전력 공급을 위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1)는 음료 제조 기계(1)를 통해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유닛(2)을 포함한다. 전달 유닛(2)은 도 7의 분배기 유형 음료 제조 기계(1)에 대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달 유닛(2)은 전달 유닛(2) 및 따라서 음료 제조 기계(1)를 통해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전달 라인(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 유닛(2)은 또한 대응하는 펌프 작용에 의해 음료 제조 기계(1)를 통해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펌프(21)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21)는 또한 그것이 음료 제조 기계(1)를 통한 액체의 전달을 허용하는 한, 음료 제조 기계(1)의 다른 부품의 일부일 수 있다.
전달 유닛(2)은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22)를,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전달 유닛(2) 내에,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히터(22)는 또한 그것이 음료 제조 기계(1)를 통해 전달되거나 전달될 액체의 가열을 허용하는 한, 음료 제조 기계(1)의 다른 부품의 일부일 수 있다.
전달 유닛(2)은 액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유닛(23)(여기서 냉각기(230) 및 냉각 매질을 냉각기(230)를 통해 순환시키기 위한 압축기(231)를 가짐)을,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전달 유닛(2) 내에,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따른 냉각 유닛(23) 또는 그의 냉각기(230)는 버퍼 탱크(24)에 제공된다. 버퍼 탱크(24)는 바람직하게는 분배될 준비가 된 한정된 양의 액체(예컨대, 물)를 저장 및 템퍼링(예컨대, 냉각)하기 위한 전달 유닛(2)의 부품이다. 물론, 냉각 유닛(23)은 또한, 그것이 음료 제조 기계(1)를 통해 전달되거나 전달될 액체의 냉각을 허용하는 한, 제조 기계(1)의 다른 부품의 일부일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1)는 전달 유닛(2)에 의해 또는 그를 통해 전달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유닛(3)을 추가로 포함한다. 분배 유닛(3)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고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분배 유닛(3)은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출구 포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는 예를 들어 중력에 의해 또는 전달 유닛(2), 바람직하게는 펌프(21)의 전달 작용에 의해 분배 유닛(3)으로부터 분배 또는 배출될 수 있다. 음용 용기(V)가 분배 유닛(3)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1)는 분배된 액체를 수용하도록 음용 용기(V)를 운반하기 위해 분배 유닛(3) 아래에 위치된 수용 베이스(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 베이스(4)는 음용 용기(V)의 크기에 관계없이 분배 유닛(3)에 대해 음용 용기(V)를 최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높이로 조정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1)는, 바람직하게는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배 유닛(3) 아래에 위치되는 드립 트레이(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드립 트레이(50)는 수용 베이스(4)로부터 독립적인 반면, 드립 트레이(50)는 또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수용 베이스(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료 제조 기계(1)는 분배 유닛(3)을 통한 액체의 분배를 선택적으로 제한하거나 중지시키기 위한 유동 제한 요소(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동 제한 요소(6)는 핀치 밸브로서 설계된다. 도 4와 도 5의 비교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동 제한 요소(6)는 분배 유닛(3)을 통해 유동하는 액체를 제한하거나 중지시키기 위해 유동 제한 위치(도 5 참조)와, 분배 유닛(3)을 통한 액체의 자유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유동 위치(도 4 참조) 사이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동 제한 요소(6)는 가요성 전달 라인 섹션(31)에 대해 상대 이동가능한 제한 헤드(60)를 포함하여, 전달 라인 섹션(31)을 통한 액체 유동 경로(32)의 단면이,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동 제한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감소되거나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1)는 유동 제한 요소(6)를 바람직하게는 유동 위치와 유동 제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7), 예컨대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7)는 유동 제한 요소(6)를 직접 이동시키기 위해 유동 제한 요소(6)에 직접 기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7)의 회전 이동은, 여기서, 예를 들어, 여기서 유동 제한 요소(6)와 일체로 형성된 기어 랙(72)과 맞물리는 액추에이터의 피니언 기어(71)를 갖는 기어 트레인(70)을 통해, 유동 제한 요소(6)의 선형 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1)는 수집 유닛(8)을 추가로 포함한다. 수집 유닛(8)은 분배 유닛(3)에 의해 분배된 액체를 수집하기 위해 액체 경로(P)(도 1, 도 6 및 도 7 참조)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도록 분배 유닛(3)에 유체 연결가능하다.
수집 유닛(8)은 액체 경로(P)를 형성하기 위해 분배 유닛(3), 바람직하게는 그의 출구 포트(30)에 유체 연결가능한 입구 포트(8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 유닛(8)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입구 포트(80)에서, 액체 경로(P)를 형성하기 위해 분배 유닛(3)에 유체 연결될 때, 분배 유닛(3)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출구 포트(30)를 수용하기 위한 컵 형상의 수용 섹션(8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액체 경로(P)를 형성하기 위해 분배 유닛(3)의 출구 포트(30) 위에 놓인 상태에 있는 컵 형상의 수용 섹션(81)을 도시하는 도 1 및 도 6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컵 형상은 또한 도 3으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수집 유닛(8),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그의 입구 포트(80)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경로(P)를 형성하기 위해 수집 유닛(8)을 분배 유닛(3)과 유체 연결하는 연결 위치(도 1, 도 6 및 도 7 참조(파선))와, 분배 유닛(3)이 음료 제조 기계(1) 밖으로,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용 용기(V) 내에 액체를 분배 또는 배출할 수 있게 하는 후퇴 위치(도 2 내지 도 5 및 도 7 참조(점선)) 사이에서 분배 유닛(3),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그의 출구 포트(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분배 유닛(3)과 수집 유닛(8) 사이의 상대 이동은 수집 유닛(8)이 이동가능한 한편 분배 유닛(3)이 고정식으로 배열됨으로써 달성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대 이동은 또한 수집 유닛(8)이 고정식으로 배열되는 한편 분배 유닛(3)이 이동가능하거나 둘 모두가 이동가능한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수집 유닛(8) 및 바람직하게는 그의 입구 포트(80) 및/또는 분배 유닛(3)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그의 출구 포트(30)는, 바람직하게는 한정된 궤적을 따라, 회전 및/또는 선형 이동에 의해 이동가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 수집 유닛(8)의 이동은 한정된 궤적을 따라 조합된 회전 및 선형 이동을 초래하는 평행사변형 가이드 메커니즘(82)을 통해 달성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수집 유닛(8) 또는 적어도 그의 입구 포트(80)는 고정된 회전축(X)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이동에 의해 이동가능한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수집 유닛(8)이 거절 위치(도 7의 점선 참조)와 연결 위치(도 7의 파선 참조) 사이에서 이동되게 - 즉, 피봇되게 - 한다.
특히 도 4 내지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동 제한 요소(6)의 이동은 분배 유닛(3)에 대한 수집 유닛(8)의 상대 이동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계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유동 제한 요소(6)는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동 방향(M)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가능하다. 이동 방향(M)을 따라 제한 헤드(60)의 반대편에 있는 면 상에서, 유동 제한 요소(6)는 트리거 섹션(83)을 향하는 접촉 표면(61)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유닛(3) 또는 그의 전달 라인 섹션(31)으로부터 선형으로 멀리 이동될 때, 접촉 표면(61)은 도 5와 도 4로부터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리거링 섹션(83)에 접근한다. 유동 제한 요소(6)가 이동 방향(M)을 따라 트리거링 섹션(83)을 향해 추가로 이동될 때, 접촉 표면(61)은 트리거링 섹션(83)에 맞닿게 되고,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로 이동될 때, 유동 제한 요소(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액체 경로(P)를 형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후퇴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로 이동되도록 트리거링 섹션(83)을 통해 수집 유닛(8)을 작동시킨다. 따라서, 유동 제한 요소(6) 및 수집 유닛(8)의 이동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연계될 수 있다.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유동 제한 요소(6)가 먼저 제한 위치에 있는 동안 수집 유닛(8)이 거절된 위치에 있고(도 4 참조), 이어서 유동 제한 요소(6)가 유동 위치에 있는 동안 수집 유닛(8)이 후퇴 위치에 있고(도 5 참조), 이어서 유동 제한 요소(6)가 유동 위치에 있는 동안 수집 유닛(8)이 연결 위치(도 6 참조)에 있도록, 그리고 역방향으로도 가능하도록 연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집 유닛(8) 및/또는 분배 유닛(3)은 이에 따라 (예컨대, 액추에이터(7)를 통해) 직접 이동되는 다른 이동가능한 부품들 중 하나를 통해, 즉 여기서 예시적으로 유동 제한 요소(6)를 통해 간접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1)는 분배 유닛(3), 바람직하게는 그의 출구 포트(30), 및 수집 유닛(8), 바람직하게는 그의 입구 포트(80)를 서로에 대해 편의되게 하기 위한 편의 수단(9)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요소들(3, 8)은 유체 연결을 형성하는 것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후퇴 위치를 향해 편의된다. 따라서, 일단 유동 제한 요소(6)가 분배 유닛(3) 또는 그의 전달 라인 섹션(31)을 향해 이동 방향(M)으로 (후방으로) 이동되면, 수집 유닛(8)은 후퇴 위치로 안내된다. 그러나, 분배 유닛(3) 및 수집 유닛(8)은 또한, 원하는 경우, 유체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향해 그리고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연결 위치를 향해 서로에 대해 편의될 수 있다.
도 1은 또한, 원하는 경우, 수집 유닛(8)이 도시되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유동 제한 요소(6)와는 별개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다른 한편, 유동 제한 요소(6) 및 수집 유닛(8)은 또한 이들의 이동들이 항상 서로 연계되도록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만일 있다면, 부품들 중에서 액추에이터(7)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동되는 부품은 원하는 대로 선택될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은 임의의 특정 레이아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원하는 경우, 설명된 이동들 중 임의의 것이 수동으로 활성화되거나 트리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급된 편의 수단(9)은 스프링,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인장 스프링(9)을 포함할 수 있다. 편의 수단(9)은 또한 수집 유닛(8) 및/또는 분배 유닛(3)의 적어도 일부의 재료 및/또는 설계일 수 있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요소(10)는 유체 연결될 때 액체 경로(P)를 밀봉식으로 폐쇄하기 위해, 분배 유닛(3), 바람직하게는 그의 출구 포트(30)와, 수집 유닛(8), 바람직하게는 그의 입구 포트(8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7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 유닛(8)은 바람직하게는 입구 포트(80)로부터 하류에 있는 부분에서 액체를 수집하기 위해 리셉터클(5)에 유체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5)은 임의의 잔류물의 수집 및 폐기가 용이하도록 드립 트레이(50)와 동일하거나 그와 일체형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집 유닛(8) 또는 리셉터클(5)은 폐쇄 순환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예컨대, 제어 밸브(51)에 의해) 전달 유닛(2)에 유체 연결되거나 연결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수집된 액체는 재순환되어 액체의 어떠한 불필요한 폐기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재순환은, 대응하는 세정 액체가 전체 음료 제조 기계를 통해, 즉 전달 유닛(2), 분배 유닛(3),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경제적 세정 단계를 허용하기 위해 액체 경로(P)를 경유하여 수집 유닛(8)을 통해 순환되게 하도록 세정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음료 제조 기계(1)는 분배 유닛(3), 바람직하게는 출구 포트(30), 및/또는 수집 유닛(8), 바람직하게는 입구 포트(80)를 조사하기 위한 UV LED 램프와 같은 UV 램프(11, 1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유닛(3)에 유체 연결될 때, UV 램프(11)는 그것이 분배 유닛(3), 바람직하게는 출구 포트(30)를 향해 지향되도록 수집 유닛(8)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 유닛(8)에 유체 연결될 때, UV 램프(12)는 또한 그것이 수집 유닛(8), 바람직하게는 입구 포트(80)를 향해 지향되도록 분배 유닛(3)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UV 램프(11, 12)를 위한 다른 위치 또는 다른 조사 방향이 가능하다.
음료 제조 기계(1)는 음료 제조 기계(1)의 임의의 원하는 특징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은 음료 제조 기계(1)를 통해 액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펌프(21)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제어 유닛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액추에이터(7)를 제어하여 수집 유닛(8)을 분배 유닛(3)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연결 유닛(8)을 분배 유닛(3)에 선택적으로 유체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유동 제한 요소(6)를 이동시킴으로써,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액추에이터(7)를 제어함으로써, 액체 유동을 제한하거나 중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또한, 히터(22) 또는 냉각 유닛(23) 등의 제어를 포함하는 완전한 음료 제조 (또는 세정) 단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과 관련하여, 음료 제조 기계(1)는 복수의 추가적인 선택적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요 액체(예를 들어, 물) 공급부(13)는 음료 제조 기계(1)를 위한 물과 같은 특정 양의 액체를 저장 및 공급하기 위해 전달 유닛(2)의 일부이거나 그에 유체 연결될 수 있다. 공급부(13)로부터의 액체의 전달을 위해, 펌프들(21) 중 하나는 공급부(13)로부터 적어도 전달 유닛(2)의 일부를 통해, 여기서 버퍼 탱크(24) 내로 액체를 전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필터(14)는 전달 유닛(2)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전달되는 액체를 여과하기 위해 전달 유닛(2)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1)를 통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전달 유닛(2)을 통해 전달되는 액체를 살균하기 위해 UV 램프(15)가 전달 유닛(2)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 액체를 버퍼 탱크(24)로부터 분배 유닛(3)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른 펌프(21)가 제공될 수 있다. 분기(branch-off) 통로(16)는 전달 유닛(2)의 전달 라인(20)을 따라 제공되어 여기서 액체를 버퍼 탱크(24)로 재순환시켜, 예를 들어, 순환되는 액체를 UV 램프(15)에 의해 UV 광에 노출시킴으로써 살균 목적을 위해 내부 폐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료 제조 기계(1)는 분배 유닛(3), 바람직하게는 출구 포트(30)를 통해 첨가제를 전달 및 분배하기 위한 음료 첨가제 섹션(17)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첨가제 섹션(17)은, 예를 들어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버퍼 탱크(24)의 하류 위치에서 액체에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음료 첨가제 섹션(17)은 분배 유닛(3)의 상류 또는 하류 위치에서, 또는 분배 유닛(3)에서 액체에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음료 첨가제 섹션(17)은, 필요한 양의 액체를 음료 첨가 섹션(17)을 통해 전달하기 위한 그 자신의 펌프(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첨가제 섹션(17)은 그렇게 전달된 첨가제/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7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첨가제 섹션(17)을 따라 전달된 첨가제/액체 내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 펌프(172)가 제공될 수 있다. 음료 첨가제 섹션(17)은 공기 펌프(172)에 연결된 공기 주입 라인(175)을 통해, 또는 분배 라인(176)을 통해 분배 유닛(3)을 향해 직접 액체를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밸브들(173, 174)(예컨대, 양방향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주입 라인(175) 및 분배 라인(176)은 첨가제를 액체에 (예를 들어, 혼합에 의해) 첨가하기 위해 분배 유닛(3) 내의 또는 그 내부로 이어지는 배출 라인(177) 내에 병합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1)는 음료 제조 기계(1) 및 바람직하게는 전달 유닛(2)을 통해 순환하는 액체 내로 이산화탄소(CO2)를 넣기 위한 인라인 탄화 디바이스(1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 식용가능한 제품(C)이 여기서 분배 유닛(3)의 음료 제조 챔버(33) 내로 기능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캡슐(100) 내에서 운반되는 브루잉 유형 음료 제조 기계(1)의 인퓨전이 도시되어 있다. 전달 유닛(2)의 액체 주입기 요소(25)는 바람직하게는, 캡슐(100)이 음료 제조 챔버(33) 내에 기능적으로 삽입될 때 식용가능한 제품(C)과의 상호작용(브루잉 또는 인퓨전)에 의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전달 유닛(2)에 의해 전달된 액체를 캡슐(100) 내로 주입하기 위해 캡슐(100)을 관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전달 유닛(2)의 추가적인 공기 주입기(26)는 바람직하게는, 음료 제조 단계를 지원하기 위해 음료 제조 챔버(33) 내에 기능적으로 삽입될 때 캡슐(100) 내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캡슐(100)을 관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분배 유닛(3)은, 바람직하게는 액체(예를 들어, 물)와 식용가능한 제품(C)의 상호작용에 의한 음료 제조 후에, 액체(예컨대, 음료 제품)가 캡슐(100)로부터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음료 제조 챔버(33) 내에 기능적으로 삽입될 때 여기서 더 낮은 레벨로 캡슐(100)을 관통하기 위한 배출 요소(3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요소(34)는 바람직하게는 출구 포트(30)와, 더 바람직하게는 언급된 가요성 전달 라인 섹션(31)을 통해 유체 연결된다.
2개의 상이한 유형의 음료 제조 기계(1)가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소비자를 위한 액체를 전달하고 분배하는 임의의 유형의 음료 제조 기계(1)가 본 발명에 의해 커버된다.
하기에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이 설명된다.
제1 단계에서, 액체는 음료 제조 기계(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기계(1))의 전달 유닛(바람직하게는, 전달 유닛(2))을 통해 전달된다.
제2 단계에서, 전달 유닛(2)에 의해 전달된 액체는 음료 제조 기계(1)의 분배 유닛(바람직하게는, 분배 유닛(3))을 거쳐 또는 그를 통해 분배된다.
제3 단계에서, 음료 제조 기계(1)의 수집 유닛(바람직하게는 수집 유닛(8))은 분배 유닛(3)과 선택적으로 유체 연결되어, 분배 유닛(3)에 의해 분배된 액체를 수집하기 위한 액체 경로(바람직하게는 액체 경로(P))를 형성한다.
액체를 전달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분배 유닛(3)으로부터 상류에 또는 그 내부에 있는 음료 제조 챔버(바람직하게는 음료 제조 챔버(33)) 내에서 액체에 기초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액체를 분배하는 단계는 제조된 음료를 분배 유닛(3)을 경유하거나 그를 통해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의 분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되거나 중지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식용가능한 제품(C)과 충분한 인퓨전 또는 그의 용해를 허용하여, 예컨대 음료를 제조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음료 제조의 시작 후 한정된 지속기간 후에, 제조된 음료의 분배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작될 수 있다. 이는, 그에 따라 유동 제한 요소(6)를 도 5의 제한된 위치와 도 4의 유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액체 또는 제조된 음료를 분배하는 단계가 시작되기 전에 액체 경로(P)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분배 유닛(3) 또는 그의 출구 포트(30)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또한, 가열된 액체가 분배되는 경우, 음료 제조 동안 또는 액체/음료의 전달의 시작 시에 스팀이 분배 유닛(2)을 빠져나갈 수 있다. 이어서, 이러한 스팀은 연결 유닛(8)을 통해 수집될 수 있고, 따라서 예컨대, 화상에 대한 사용자의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여전히 액체 경로(P)가 형성되어 있는 동안, 액체 또는 제조된 음료의 분배가 이미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경우, 임의의 잠재적인 스팀 또는 초기 양의 액체/음료가 수집될 수 있다. 한정된 지속기간 후에, 분배 유닛(3)은 이어서 수집 유닛(8)으로부터 제거되어, 액체 또는 제조된 음료를, 예컨대 음용 용기(V) 내로 자유롭게 분배할 수 있다.
액체 경로(P)는 또한 액체 또는 제조된 음료의 분배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료된 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배 유닛(3)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임의의 잔류물이 확실하게 수집될 수 있다.
유체 연결하는 단계는 분배 유닛(3)과 수집 유닛(8) 사이의 상대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분배 유닛(3)의 출구 포트(바람직하게는 출구 포트(30))와 수집 유닛(8)의 입구 포트(바람직하게는 입구 포트(80))를 유체 연결하게 한다.
액체(그의 적어도 일부)를 수집하는 단계는 드립 트레이(50)와 같은 리셉터클(5) 내의 각자의 액체 또는 제조된 음료의 수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액체(그의 적어도 일부)를 수집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세정 단계의 경우에 액체를 전달 유닛(2)으로 재순환시켜,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음료 제조 기계(1)를 통해 대응하는 액체를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는 액체의 전달 전에 또는 전달 동안 가열 또는 냉각되어, 그에 따라 고온 또는 냉각된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가열된 액체는 또한, 예컨대 수집 유닛(8)을 통한 폐쇄 순환 루프의 경우에, 세정(예컨대, 헹굼)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
분배 유닛(3), 바람직하게는 출구 포트(30), 및/또는 수집 유닛(8), 바람직하게는 입구 포트(80)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또는 제조된 음료의 분배 및/또는 수집 전에, 그 동안 및/또는 그 후에 세정 또는 살균될 수 있다. 세정 또는 살균은, 예를 들어, 가열된 물과 같은 대응하는 액체를 대응하는 액체 경로(P)를 따라 전달함으로써 전술된 바와 같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살균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UV 램프(11, 12)에 의해 UV 광을 분배 유닛(3), 바람직하게는 출구 포트(30), 및/또는 수집 유닛(8), 바람직하게는 입구 포트(80)에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커버되는 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5)

  1. 음료 제조 기계(1)로서,
    상기 음료 제조 기계(1)를 통해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유닛(2),
    상기 전달 유닛(2)에 의해 전달된 상기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유닛(3), 및
    상기 분배 유닛(3)에 의해 분배된 상기 액체를 수집하기 위해 액체 경로(P)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도록 상기 분배 유닛(3)에 유체 연결가능한 수집 유닛(8)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유닛(3)은 상기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출구 포트(30)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수집 유닛(8)은 상기 액체 경로(P)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분배 유닛(3),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구 포트(30)에 유체 연결가능한 입구 포트(80)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유닛(8)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구 포트(80)에서, 상기 액체 경로(P)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분배 유닛(3)에 유체 연결될 때, 상기 분배 유닛(3)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출구 포트(30)를 수용하기 위한 컵 형상의 수용 섹션(81)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유닛(8)은 상기 액체 경로(P)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수집 유닛(8)을 상기 분배 유닛(3)과 유체 연결하는 연결 위치와, 상기 분배 유닛(3)이 상기 음료 제조 기계(1) 밖으로 상기 액체를 분배할 수 있게 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상기 분배 유닛(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음료 제조 기계(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유닛(3) 및 상기 수집 유닛(8)이 상기 유체 연결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또는 형성하는 것으로부터 멀리,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위치 또는 상기 후퇴 위치를 향해 서로에 대해 편의되게 하기 위한 편의 수단(9)을 추가로 포함하고, 및/또는
    유체 연결될 때 상기 액체 경로(P)를 밀봉식으로 폐쇄하기 위해 상기 분배 유닛(3)과 상기 수집 유닛(8) 사이에 밀봉 요소(10)가 제공되는, 음료 제조 기계(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유닛(8)은 상기 액체를 수집하기 위해 리셉터클(5)에 유체 연결되고, 상기 리셉터클(5)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 유닛(3) 아래에 바람직하게 위치되는 드립 트레이(50)이고, 및/또는
    상기 수집 유닛(8) 및/또는 존재하는 경우, 상기 리셉터클(5)은 폐쇄 순환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달 유닛(2)에 유체 연결되거나 연결가능한, 음료 제조 기계(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유닛(3)을 통해 상기 액체의 분배를 선택적으로 제한하거나 중지시키기 위한 유동 제한 요소(6)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유동 제한 요소(6)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 유닛(3)을 통해 유동하는 액체를 제한하거나 중지시키기 위한 유동 제한 위치와 상기 분배 유닛(3)을 통한 액체의 자유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유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및/또는
    상기 유동 제한 요소(6)의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 유닛(3)에 대한 상기 수집 유닛(8)의 상대 이동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계(link)되는, 음료 제조 기계(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유닛(3),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구 포트(30), 및/또는 상기 수집 유닛(8),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구 포트(80)에 조사하기 위한 UV 램프(11, 12)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제조 기계(1),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달 유닛(2)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달 유닛(2) 내의 상기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22)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1).
  10.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음료 제조 기계(1), 바람직하게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음료 제조 기계(1)의 전달 유닛(2)을 통해 액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전달 유닛(2)에 의해 전달된 상기 액체를 상기 음료 제조 기계(1)의 분배 유닛(3)을 통해 분배하는 단계, 및
    상기 분배 유닛(3)에 의해 분배된 상기 액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집하기 위한 액체 경로(P)를 형성하도록 상기 음료 제조 기계(1)의 수집 유닛(8)을 상기 분배 유닛(3)과 선택적으로 유체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를 전달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 유닛(3)으로부터 상류에 또는 그 내부에 있는 음료 제조 챔버(33) 내에서 상기 액체에 기초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를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제조된 음료를 상기 분배 유닛(3)을 통해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경로(P)는 상기 액체 또는 제조된 음료를 분배하는 단계가 시작되기 전에 형성되고, 이어서 액체 또는 제조된 음료의 분배가 시작되고, 한정된 지속기간 후에, 상기 분배 유닛(3)은 상기 액체 또는 제조된 음료를 자유롭게 분배하기 위해 상기 수집 유닛(8)으로부터 제거되고, 및/또는
    상기 액체 경로(P)는 액체 또는 제조된 음료의 분배가 종료된 후에 형성되는,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연결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 유닛(3)의 출구 포트(30)와 상기 수집 유닛(8)의 입구 포트(80)를 유체 연결하기 위해 상기 분배 유닛(3)과 상기 수집 유닛(8) 사이의 상대 이동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를 수집하는 단계는 리셉터클(5) 내의 상기 액체 또는 제조된 음료의 수집 단계 및/또는 상기 액체를 상기 전달 유닛(2)으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상기 액체의 전달 전에 또는 액체의 전달 동안 가열 또는 냉각되고, 및/또는
    상기 분배 유닛(3),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구 포트(30), 및/또는 상기 수집 유닛(8),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구 포트(80)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또는 제조된 음료의 분배 및/또는 수집 전에, 그 동안 및/또는 그 후에, 세정되거나 살균되며, 상기 살균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 유닛(3) 및/또는 상기 수집 유닛(8)에 UV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41192A 2021-06-23 2022-06-15 음료 제조 기계 및 액체 분배 방법 KR202400240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81236.7 2021-06-23
EP21181236 2021-06-23
PCT/EP2022/066304 WO2022268601A1 (en) 2021-06-23 2022-06-15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dispensing a liqu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4059A true KR20240024059A (ko) 2024-02-23

Family

ID=7658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1192A KR20240024059A (ko) 2021-06-23 2022-06-15 음료 제조 기계 및 액체 분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58809A1 (ko)
KR (1) KR20240024059A (ko)
CN (1) CN117412691A (ko)
CA (1) CA3216666A1 (ko)
WO (1) WO2022268601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9603B2 (en) * 2002-12-24 2005-05-10 Nestec S.A. Clean-in-place automated food or beverage dispenser
ATE499866T1 (de) * 2004-11-11 2011-03-15 Nestec Sa Selbstreinigender mischkopf für milchgetränke und maschinen mit einem solchen mischkopf
CN106714631B (zh) * 2014-09-29 2020-06-02 雀巢产品有限公司 具有柔性液滴止挡件的饮料制备机器
EP3818915A1 (en) * 2019-11-11 2021-05-12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beverage preparation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with such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16666A1 (en) 2022-12-29
EP4358809A1 (en) 2024-05-01
CN117412691A (zh) 2024-01-16
WO2022268601A1 (en)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9060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аздачи напитков с узлом безопасной очистки
CN107072424B (zh) 用于制备冲泡饮料的设备和方法
JP5889211B2 (ja) 衛生的な洗浄サイクルを有する飲料分注装置
US8468934B2 (en) Dispensing device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food and/or nutritional composition
RU255048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акции напитка из картриджа
JP4528133B2 (ja) 定置洗浄型の自動化された食料または飲料ディスペンサ
JP4693430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US20150040771A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drop management
US20100112180A1 (en) Washing, sterilizing, dispensing and closing device for baby bottle and its components
CN102905586B (zh) 可存储的热水或蒸汽输送装置
AU2017231584A1 (en)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milk
KR20240024059A (ko) 음료 제조 기계 및 액체 분배 방법
CN107920681B (zh) 用由机器供应至包装件的液体制备饮料的设备和方法
JP6877690B2 (ja) 水剤分注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