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570A -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beamform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beamform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570A
KR20240021570A KR1020220100045A KR20220100045A KR20240021570A KR 20240021570 A KR20240021570 A KR 20240021570A KR 1020220100045 A KR1020220100045 A KR 1020220100045A KR 20220100045 A KR20220100045 A KR 20220100045A KR 20240021570 A KR20240021570 A KR 20240021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ircraft
airspace
report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0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0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1570A/en
Publication of KR2024002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5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이 수행하는 빔포밍 방법은, 상공망을 이용해 통신을 수행하는 비행체로부터 복수의 서로 다른 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신 정보가 포함된 빔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빔 리포트에 기초하여 상기 비행체를 향하여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beamforming method performed by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beam report containing receptio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beams from an aircraft that communicates using an airspace network, and determining beam information to be used toward the aircraft based on the received beam report.

Description

상공망용 기지국과 그 빔포밍 방법{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beamforming method thereof}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beamforming method thereof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beamform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공망을 통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상공망용 기지국과 이 상공망용 기지국의 빔포밍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that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a airspace network and a beamforming method for the base station for this airspace network.

최근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UAM)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우리나라 또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에 대해 종합실증을 수행한 바 있고 그 상용화를 앞둔 시점에 있다.Recently, interest in urban air mobility (UAM) has been increasing, especially in developed countries, and Korea has also conducted a comprehensive demonstration of Korean-style urban air mobility and is on the verge of commercialization.

한국형 도심항공교통의 기술 로드맵에 따르면 UAM 비행체의 운항 고도는 300 미터 내지 600 미터 정도이고, 최대 운항 속도는 320km/h 정도로 기대되며, 정해진 운항 경로를 따라 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According to the Korean urban air traffic technology roadmap, the operating altitude of the UAM aircraft is expected to be approximately 300 to 600 meters, the maximum operating speed is expected to be approximately 320 km/h, and it is expected to be operated along a designated operating route.

UAM 비행체의 운항 경로에는 UAM 비행체에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이동통신 기지국이 설치될 예정이며, 각 기지국은 일정 범위의 통신을 담당함으로써, UAM 비행체들이 기지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상공망의 셀 커버리지 내에서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will be installed on the UAM aircraft's flight route to suppor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s for the UAM aircraft, and each base station is responsible for a certain range of communication, so that the UAM aircraft can achieve cell coverage of the airspace network provided by the base stations. Communication can be carried out within.

그런데, 상공망을 통한 UAM 운용 시스템은 LOS(line of sight) 환경과 지상망과의 공존으로 인해 간섭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특히 상공망의 상향 링크는 인접된 상공망용 기지국과 접속되어 있는 UAM 비행체로부터의 상향 신호 간섭과 지상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로부터의 상향 신호 간섭, 그리고 대기 도관 현상(atmospheric ducting phenomenon)에 의한 인접된 상공망용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 등 다양한 형태의 간섭 영향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간섭 영향은 시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이를 예측하여 최소화하기가 매우 어렵다.However, the UAM operation system through the airspace network is greatly affected by interference due to the coexistence of the LOS (line of sight) environment and the ground network. In particular, the uplink of the airspace network causes upward signal interference from UAM aircraft connected to adjacent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s, upward signal interference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ing the ground network, and adjacent airspace network interference due to the atmospheric ducting phenomenon. Various types of interference effects, such as interference from base stations for airspace networks, may occur, and since these interference effects change over time, it is very difficult to predict and minimize them.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4239호, 공개일자 2011년 02월 10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14239, published on February 10, 2011.

실시예에 따르면, 빔포밍을 통해 상공망의 비행체와의 통신 링크 신호 수신 세기를 높여 통신 링크의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공망 특성에 의한 다양한 간섭 영향을 극복하는 상공망용 기지국 및 그 빔포밍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nd a beamform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overcome various interference effec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rspace network 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communication link by increasing the signal reception strength of the communication link with the aircraft of the airspace network through beamforming. do.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제 1 관점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이 수행하는 빔포밍 방법은, 상공망을 이용해 통신을 수행하는 비행체로부터 복수의 서로 다른 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신 정보가 포함된 빔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빔 리포트에 기초하여 상기 비행체를 향하여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beamforming method performed by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beam report containing recep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beams from an aircraft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the airspace network, the and determining beam information to be used toward the aircraft based on the received beam report.

제 2 관점에 따른 상공망용 기기지국은, 비행체와 상공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비행체로부터 복수의 서로 다른 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신 정보가 포함된 빔 리포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빔 리포트에 기초하여 상기 비행체를 향하여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한다.The device base station for an airborne network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n air vehicle through an airborne network, and a processor unit tha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processor unit is configured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beams from the air vehicle. When receiving a beam report including at least one reception information, beam information to be used toward the aircraft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ceived beam report.

실시예에 따르면, 상공망을 통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지원함에 있어서 빔포밍을 통해 상공망의 비행체와의 통신 링크 신호 수신 세기를 높여 통신 링크의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공망 특성에 의한 다양한 간섭 영향을 극복한다. 나아가, UAM 운용 시스템의 UAM 비행체에 대해 기 설정된 운항 경로에 기초하여 사용 빔 후보를 선택해 빔포밍을 수행함으로써 UAM 운용 시스템의 상공망에 최적화된 빔포밍을 통해 통신 링크의 성능 향상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the airspace network, the performance of the communication link is improved by increasing the signal reception strength of the communication link with the aircraft of the airspace network through beamforming, thereby overcoming various interference effec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rspace network. do. Furthermore, by performing beamforming by selecting beam candidates based on the preset navigation path for the UAM aircraft of the UAM operation system,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performance of the communication link is maximized through beamforming optimized for the airspace network of the UAM operation system.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UAM 운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의 빔포밍 수행 상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이 수행하는 빔포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AM 운용 시스템에서 UAM 비행체의 운항 경로에 따라 빔포밍이 변화되는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UAM operation system including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beamforming performance situation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eamforming method performed by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beamforming changing depending on the navigation path of the UAM aircraft in the UAM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explain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working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나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erm 'unit'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s to software 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PGA or ASIC, and the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wealth'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par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un on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par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Includ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may be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UAM 운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UAM operation system including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UAM 운용 시스템(100)은 복수의 UAM 비행체(111, 112, 113), 기지국(120), 서버(130) 및 UTM(140)(unmanned aircraft system traffic management)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UAM operation system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AM aircraft 111, 112, and 113, a base station 120, a server 130, and UTM 140 (unmanned aircraft system traffic management). there is.

복수의 UAM 비행체(111, 112, 113)는 UTM(140) 내의 PSU(provider of service for UAM)에 기 설정된 운항 경로 정보에 따른 운항 경로를 따라 운용되고, 기지국(120) 및 서버(130)에 의해 무선 통신이 지원되는 환경하에 기지국(120)에 의한 셀 커버리지 내에서 상공망(101)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에는 3개의 UAM 비행체(111, 112, 113)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UAM 비행체의 수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A plurality of UAM aircraft 111, 112, and 113 are operated along a navigation route according to navigation route information preset in the PSU (provider of service for UAM) within the UTM 140, and are operated on the base station 120 and the server 130. The airspace network 101 can be used within the cell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20 in an environment where wireless communication is supported. Figure 1 shows thre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but this is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UAM vehicles can be changed.

기지국(120)은 복수의 UAM 비행체(111, 112, 113) 중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UAM 비행체에 대해 상공망(101)을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기지국(120)은 복수의 UAM 비행체(111, 112, 113)로부터 복수의 서로 다른 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신 정보가 포함된 빔 리포트를 수신하며, 수신된 빔 리포트에 기초하여 복수의 UAM 비행체(111, 112, 113)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해 결정된 빔 정보에 따라 빔포밍을 수행한다. 도 1에는 하나의 기지국(120)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공망(101)은 복수의 기지국(120)이 각각 제공하는 셀 커버리지의 집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기지국(120)은 UAM 비행체(111, 112, 113)의 운항 경로를 따라 진행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이동통신 셀 중 적어도 하나의 셀을 각각 셀 커버리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120)은 도 2를 참조하여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The base station 120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the airspace network 101 to a UAM vehicle located within its cell coverage among a plurality of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And, the base station 120 receives a beam report containing recep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beams from a plurality of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and transmits a plurality of UAM based on the received beam report. Beam information to be used for at least one of the aircraft 111, 112, and 113 is determined, and beamform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beam information. Although FIG. 1 shows one base station 120 as an example, the airspace network 101 may be formed by a set of cell coverage provided by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120,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20 may each provide cell coverage to at least one cell among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cell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ravel along the navigation path of the UAM aircraft 111, 112, and 113. Let's look at this base station 120 again with reference to FIG. 2.

서버(130)는 UTM(140)에 기 설정된 UAM 비행체(111, 112, 113)의 운항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UAM 비행체(111, 112, 113)에 대해 이동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셀들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120)을 통해 UAM 비행체(111, 112, 113)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공망(101)이 3GPP 4G/5G로 구현된 경우에 서버(130)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이거나 코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엔티티일 수 있다. The server 130 is connected to mobile communication cells that provide mobile communication for a plurality of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based on the navigation route information of th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preset in the UTM 140.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through the base station 120. For example, when the commercial network 101 is implemented with 3GPP 4G/5G, the server 130 may be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or another entity constituting the core network.

UTM(140) 내의 PSU는 UAM 비행체(111, 112, 113)의 출발지, 도착지, 운항 시간, 기상 환경 등의 관련 정보들에 기초하여 UAM 비행체(111, 112, 113)의 운항 경로를 결정 및 설정할 수 있고, 이렇게 설정된 UAM 비행체(111, 112, 113)의 운항 경로 정보를 서버(130)에 제공할 수 있다.The PSU in the UTM (140) determines and sets the operation route of the UAM aircraft (111, 112, 113) based on related information such as departure point, destination, operation time, weather environment, etc. of the UAM aircraft (111, 112, 113). and the navigation route information of the UAM aircraft 111, 112, and 113 set in this way can be provided to the server 13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20)의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ase station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120)은 통신부(121) 및 프로세서부(122)를 포함하며, 저장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base station 12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21 and a processor unit 122, and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123.

통신부(121)는 프로세서부(122)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UAM 비행체(111, 112, 113)와 상공망(101)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21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UAM aircraft 111, 112, and 113 through the airspace network 101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unit 122.

프로세서부(122)는 통신부(121)를 제어한다. 이러한 프로세서부(122)는 통신부(121)가 복수의 UAM 비행체(111, 112, 113)로부터 복수의 서로 다른 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신 정보가 포함된 빔 리포트를 수신하면, 수신된 빔 리포트에 기초하여 복수의 UAM 비행체(111, 112, 113)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해 결정된 빔 정보에 따라 빔포밍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21)를 제어한다.The processor unit 122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21.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21 receives a beam report containing recep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beams from the plurality of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the processor unit 122 sends a message to the received beam report. Based on this, beam information to be used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is determined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1 is controlled to perform beamforming according to the determined beam information.

이러한 프로세서부(122)는 통신부(121)가 빔 리포트를 수신하기 전에 복수의 서로 다른 빔을 이용해 빔 스위핑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21)를 제어할 수 있고, 통신부(121)가 수신하는 빔 리포트에는 복수의 서로 다른 빔 중 UAM 비행체(111, 112, 113)가 수신한 빔의 신호 세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리포트에는 복수의 서로 다른 빔 중 수신 세기가 큰 순서로 2개 이상의 빔에 대한 신호 세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부(122)가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할 때에, 2개 이상의 빔에 대한 신호 세기의 차이와 기 설정된 임계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어느 하나의 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The processor unit 122 can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21 to perform beam sweeping u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beams before the communication unit 121 receives the beam report, and the beam report that the communication unit 121 receives includes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beam received by the UAM aircraft 111, 112, and 113 among the plurality of different beams may be included. For example, the beam report may includ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or two or more beams in order of greatest reception strength among a plurality of different beams, and when the processor unit 122 determines beam information to use, the two or more beams Any one beam information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difference in signal strength and a preset threshold.

프로세서부(122)는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하기 전에 UAM 비행체(111, 112, 113)의 기 설정된 운항 경로에 기초하여 셀 커버리지 내 사용 빔 후보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할 때에, 빔 리포트에 포함된 빔 정보에사용 빔 후보와 그 주변 빔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잘못된 빔 방향으로 인해 오히려 통신 링크의 신호 세기가 넓은 빔을 사용하는 것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 설정된 빔을 사용할 빔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부(122)는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할 때에, 빔 리포트에 포함된 빔 정보가 사용 빔 후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빔 리포트에 포함된 빔 정보를 사용할 빔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부(122)는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할 때에, 사용 빔 후보와 그 주변 방향 빔이 빔 리포트에 모두 존재하지만 수신 세기가 큰 순서가 다를 경우 사용 빔 후보와 주변 방향 빔의 수신 세기의 차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사용 빔 후보 또는 주변 방향 빔을 사용할 빔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22)는 빔 리포트에 용 빔 후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빔 리포트의 주기를 조정한 결과를 UAM 비행체(111, 112, 113)에 제공하도록 통신부(121)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unit 122 may select a beam candidate to be used within cell coverage based on the preset navigation path of the UAM vehicle 111, 112, and 113 before determining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and when determining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a beam report If the beam candidate used in the beam information included in and its surrounding beams do not exist, the signal strength of the communication link is likely to be lower than when using a wide beam due to the wrong beam direction, so the preset beam is used as beam information. You can decide. Alternatively, when determining beam information to be used, the processor unit 122 may determine the beam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eam report as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if the beam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eam report does not exist in the beam candidates to be used. Alternatively, when determining beam information to be used, the processor unit 122 determin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ption strengths of the use beam candidate and the surrounding direction beam if both the use beam candidate and the surrounding direction beam are present in the beam report, but the orders of greatest reception strength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and a preset threshold, a use beam candidate or a peripheral beam can be determined as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In addition, the processor unit 122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21 to provide the results of adjusting the cycle of the beam report to th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depending on whether the beam report includes a beam candidate. there is.

저장부(123)는 프로세서부(122)에 의한 각종 처리 결과를 프로세서부(122)의 제어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2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방법에 따른 각각의 단계를 프로세서부(122)가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3 may store various processing results by the processor unit 122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unit 122.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that cause the processor unit 122 to perform each step according to the beam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의 빔포밍 수행 상황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이 수행하는 빔포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AM 운용 시스템에서 UAM 비행체의 운항 경로에 따라 빔포밍이 변화되는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beamforming performance situation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beamforming method performed by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beamforming changing depending on the navigation path of the UAM aircraft in the UAM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UAM 운용 시스템(100)에서 기지국(120)이 UAM 비행체(111, 112, 113)에 대하여 수행하는 빔포밍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we will look at the beamforming process that the base station 120 performs for th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in the UAM operation system 100.

먼저, UTM(140) 내의 PSU는 UAM 비행체(111, 112, 113)의 출발지, 도착지, 운항 시간, 기상 환경 등의 관련 정보들에 기초하여 UAM 비행체(111, 112, 113)의 운항 경로를 결정 및 설정할 수 있고, 이렇게 설정된 UAM 비행체(111, 112, 113)의 운항 경로에 대한 정보는 서버(130)를 통해 상공망(101) 내의 기지국(120)에 전달된다.First, the PSU in the UTM 140 determines the navigation route of th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based on 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departure point, destination, operation time, and weather environment of th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and can be set, and the information on the navigation path of the UAM aircraft 111, 112, and 113 set in this way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20 in the airspace network 101 through the server 130.

그러면, 기지국(120)의 통신부(121)는 UAM 비행체(111, 112, 113)의 운항 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해 프로세서부(122)에 제공하고, 프로세서부(122)는 UAM 비행체(111, 112, 113)의 운항 경로에 따라 자신이 관장하는 셀 커버리지 내의 사용 빔 후보를 선택한다.Then, the communication unit 121 of the base station 12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navigation routes of th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and provides it to the processor unit 122, and the processor unit 122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navigation routes of th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According to the navigation route of 112, 113), a beam candidate to be used within the cell coverage managed by the user is selec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AM 운용 시스템(100)에서 UAM 비행체(111, 112, 113)의 운항 경로(501)에 따라 빔포밍이 변화되는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UAM 비행체(111)의 운항 경로(501)가 셀 #1 커버리지(511)와 셀 #2 커버리지(512)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할 때에, 기지국(120)이 셀 #1 커버리지(511)를 관장할 때에는 프로세서부(122)가 빔 #3(523)에서 빔 #2(522)로 변경하는 것으로 사용 빔 후보를 선택할 수 있고, 기지국(120)이 셀 #2 커버리지(512)를 관장할 때에는 프로세서부(122)가 빔 #1(521)에서 빔 #2(522)로 변경하는 것으로 사용 빔 후보를 선택할 수 있다(S410).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beamforming changing according to the navigation path 501 of the UAM aircraft 111, 112, and 113 in the UAM op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avigation path 501 of the UAM aircraft 111 passes through cell #1 coverage 511 and cell #2 coverage 512 as shown in FIG. 5, the base station 120 uses cell #1 coverage 511. When managing, the processor unit 122 can select a beam candidate to use by changing from beam #3 (523) to beam #2 (522), and the base station 120 can manage cell #2 coverage (512). In this case, the processor unit 122 can select a beam candidate to use by changing from beam #1 (521) to beam #2 (522) (S410).

이후, UAM 비행체(111, 112, 113)가 기 설정된 운항 경로를 따라 비행할 수 있고, UAM 비행체(111, 112, 113)는 기지국(120)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서로 다른 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신 정보가 포함된 빔 리포트를 생성해 기지국(120)으로 송신한다(S430). 여기서, 기지국(120)은 UAM 비행체(111, 112, 113)가 빔 리포트를 생성하기에 앞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신이 관장하는 셀 커버리지(301)에 대한 빔 스위핑(302)을 통해 UAM 비행체(111, 112, 113)가 빔 리포트를 원활히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20)은 자신이 사용할 여러 빔들을 스위핑하여 UAM 비행체(111, 112, 113)가 각각의 빔을 측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120)은 능동 안테나 장치(active antenna unit) 내 2차원으로 배열된 여러 개의 능동형 안테나를 활용하여 빔을 형성하고 해당 빔을 사용하여 특정 위치/방향으로 전송 에너지를 집중시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120)은 빔 넓이와 이득의 균형 조절(trade-off)를 통해 다양한 빔 형상을 구성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의 빔을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의 형태로 스위핑 할 수 있다(S420).Thereafter, th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may fly along a preset navigation route, and th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may respond to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beam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20. A beam report containing recep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20 (S430). Here, before th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generate a beam report, the base station 120 detects the UAM vehicle through beam sweeping 302 for the cell coverage 301 it oversees, as shown in FIG. 3. (111, 112, 113) can support smooth creation of beam reports.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120 may sweep several beams to be used so that th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can measure each beam.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120 can form a beam using multiple active antennas arranged in two dimensions within an active antenna unit and use the beam to concentrate and transmit transmission energy in a specific location/direction. there is.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120 can configure various beam shapes through trade-off of beam width and gain, and sweep beams of various shapes in the form of a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S420 ).

UAM 비행체(111, 112, 113)에 의한 빔 리포트에는 복수의 서로 다른 빔 중 수신 세기가 큰 순서로 2개 이상의 빔에 대한 신호 세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UAM 비행체(111, 112, 113)는 기지국(120)로부터 송신되는 다양한 형상의 빔 중에서 신호 세기가 큰 3개의 빔에 대한 정보를 빔 리포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A beam report by th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may includ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or two or more beams in order of greatest reception strength among a plurality of different beams. For example, th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ree beams with high signal strengths among beams of various shape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120 in the beam report.

기지국(120)의 통신부(121)는 UAM 비행체(111, 112, 113)로부터 수신된 빔 리포트를 프로세서부(122)에 전달하고, 프로세서부(122)는 수신된 빔 리포트에 기초하여 UAM 비행체(111, 112, 113)를 향하여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21 of the base station 120 transmits the beam report received from the UAM vehicle 111, 112, and 113 to the processor unit 122, and the processor unit 122 transmits the UAM vehicle (UAM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beam report. Determine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toward 111, 112, and 113).

여기서, 기지국(120)이 빔 리포트에 기초하여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하는 절차는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procedure for the base station 120 to determine beam information to use based on the beam report may be performed in various forms.

기지국(120)의 프로세서부(122)는 UAM 비행체(111, 112, 113)를 향하여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할 때에, 빔 리포트에 포함된 2개 이상의 빔에 대한 신호 세기의 차이와 기 설정된 임계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어느 하나의 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셀 #2 커버리지(512) 내 빔 #1(521) 영역 내에서 UAM 비행체(111, 112, 113)에서 수신되는 가장 센 2개의 빔 #1과 빔 #2가 빔 리포트에 포함된 경우, 프로세서부(122)는 일반적인 경우 빔 #1(521)을 사용할 빔 정보로서 선택할 수 있지만 두 신호 세기의 크기 차, 즉 빔 #1(521)의 신호 세기에서 빔 #2(522)의 신호 세기를 감산한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 사용할 빔 정보로서 빔 #2(522)를 선택한다. 반면 셀 #1의 커버리지(511)의 경우의 예로는 UAM 비행체(111, 112, 113)에서 수신되는 가장 센 3개의 빔 #1, 빔 #2, 빔 #3이 빔 리포트에 포함된 경우, 프로세서부(122)는 일반적인 경우, 즉 빔 #3(523)과 빔 #2(522)의 신호 세기의 차이 및 빔 #1(521)과 빔 #2(522)의 신호 세기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 사용할 빔 정보로서 빔 #2(522)를 선택한다. 여기서, 빔 선택 및 변경에 이용되는 임계값의 크기는 UAM 비행체(111, 112, 113)의 운항 속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UAM 비행체(111, 112, 113)의 운항 속도가 빠를수록 더 큰 임계값을 이용할 수 있다.When determining beam information to be used toward the UAM aircraft 111, 112, and 113, the processor unit 122 of the base station 120 determines the difference in signal strength for two or more beams included in the beam report and a preset threshold value. Depending on the comparison result, any one beam information can be selected. For example, the two strongest beams #1 and beam #2 received from the UAM vehicles (111, 112, 113) within the beam #1 (521) area within the cell #2 coverage (512) of FIG. 5 are beam reports. In the case included in , the processor unit 122 may select beam #1 (521) as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in a general case, but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gnal strengths, that is, the signal strength of beam #1 (521), beam #2 (522) ) Beam #2 (522) is selected as beam information to be used when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ignal intensity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On the other hand, as an example of the coverage 511 of cell #1, if the three strongest beams #1, beam #2, and beam #3 received from th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are included in the beam report, the processor Unit 122 operates in a general case,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 strengths of beam #3 (523) and beam #2 (522)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 strengths of beam #1 (521) and beam #2 (522) are set to a preset threshold. If th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value, beam #2 (522) is selected as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Here, the size of the threshold used for beam selection and change may vary depending on the operating speed of the UAM vehicle (111, 112, 113). For example, the faster the operation speed of the UAM aircraft 111, 112, and 113, the larger the threshold value can be used.

또한, 기지국(120)의 프로세서부(122)는 UAM 비행체(111, 112, 113)를 향하여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할 때에, 빔 리포트에 포함된 빔 정보에 사용 빔 후보와 그 주변 빔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 설정된 빔을 사용할 빔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셀 #2 커버리지(512) 내의 사용 빔 후보가 빔 #1(521)인 영역에서 빔 리포트에 포함된 빔 정보가 빔 #5(미도시)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부(122)는 빔 #5는 빔 #1 및 그 주변 빔(예컨대, 도 3에 나타낸 빔 #0 및 빔 #2)이 아니고 이처럼 잘못된 빔 방향은 무방향성 전송에 비해 오히려 신호 세기 품질이 떨어질 수 있기에 기 설정된 빔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함으로써 안정적인 통신 링크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unit 122 of the base station 120 determines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toward the UAM aircraft 111, 112, and 113, the beam candidate to be used and the surrounding beams do not exist in the beam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eam report. In this case, a preset beam can be determined as beam information to be used. For example, if the beam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eam report includes beam #5 (not shown), etc. in the area where the beam candidate to use in cell #2 coverage 512 of FIG. 5 is beam #1 (521), The processor unit 122 determines that beam #5 is not beam #1 and its surrounding beams (e.g., beam #0 and beam #2 shown in FIG. 3), and such an incorrect beam direction may result in lower signal intensity quality compared to non-directional transmiss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table communication link by deciding to use a preset beam.

또한, 기지국(120)의 프로세서부(122)는 UAM 비행체(111, 112, 113)를 향하여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할 때에, 빔 리포트에 포함된 빔 정보가 사용 빔 후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빔 리포트에 포함된 빔 정보를 사용할 빔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셀 #2 커버리지(512) 내의 사용 빔 후보가 빔 #1(521)인 영역에서 빔 리포트에 포함된 빔 정보에 빔 #1 없이 빔 #2가 포함된 경우, 프로세서부(122)는 UAM 비행체(111, 112, 113)를 향하여 사용할 빔 정보로서 빔 #2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unit 122 of the base station 120 determines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toward the UAM vehicle 111, 112, and 113, if the beam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eam report does not exist in the beam candidate to be used, it may be added to the beam report. The included beam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as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For example, in an area where the used beam candidate within cell #2 coverage 512 of FIG. 5 is beam #1 (521), if the beam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eam report includes beam #2 without beam #1, the processor unit (122) can determine beam #2 as beam information to be used toward th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또한, 기지국(120)의 프로세서부(122)는 UAM 비행체(111, 112, 113)를 향하여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할 때에, 사용 빔 후보와 그 주변 방향 빔이 빔 리포트에 모두 존재하지만 수신 세기가 큰 순서가 다를 경우 사용 빔 후보와 주변 방향 빔의 수신 세기의 차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사용 빔 후보 또는 주변 방향 빔을 사용할 빔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셀 #2 커버리지(512) 내의 빔 #1(521) 영역에서 빔 #2의 신호 세기가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빔 #1의 신호 세기가 클 때에 빔 #2와 빔 #1의 신호 세기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는 사용 빔 후보인 빔 #1을 그대로 사용할 빔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고, 빔 #2와 빔 #1의 신호 세기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일 경우에는 사용 빔 후보의 주변 빔인 빔 #2을 사용할 빔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S440)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unit 122 of the base station 120 determines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toward the UAM vehicle 111, 112, and 113, both the use beam candidate and the surrounding direction beam are present in the beam report, but the reception strength is large. If the orders are different, the use beam candidate or the peripheral beam can be determined as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in reception intensity between the use beam candidate and the surrounding direction beam and a preset threshold. For example, in the area of beam #1 (521) within cell #2 coverage 512 of FIG. 5, when the signal strength of beam #2 is the highest and the signal strength of beam #1 is next, beam #2 and beam # If the difference in signal strength of 1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beam #1, a candidate for use, can be determined as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and if the difference in signal strength between beam #2 and beam #1 exceeds the preset threshold. Beam #2, which is a peripheral beam of the beam candidate to be used, can be determined as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S440).

또한, 기지국(120)의 프로세서부(122)는 빔 리포트에 사용 빔 후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빔 리포트의 주기를 조정한 결과를 UAM 비행체(111, 112, 113)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21)를 제어할 수 있고, 통신부(121)는 프로세서부(122)의 제어에 따라 빔 리포트의 주기를 조정한 결과를 UAM 비행체(111, 112, 113)에 전송할 수 있다. 빔 리포트 전송 주기를 짧게 할 경우 UAM 비행체(111, 112, 113)의 통신 링크에 대한 정보를 자주 받을 수 있지만 경우 UAM 비행체(111, 112, 113)의 기 설정된 운항 경로에 따라 사전 계획 및 선택된 대로의 빔 변경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통신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프로세서부(122)는 사용 빔 후보가 빔 리포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빔 리포트의 주기를 짧게 조정할 수 있고, 사용 빔 후보가 빔 리포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빔 리포트의 주기를 길게 조정할 수 있다. 이처럼, 빔 리포트 주기를 조정하는 절차는 단계 S440에서 빔 정보를 결정하는 절차와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단계 S440에서 빔 정보를 결정하는 절차보다 먼저 수행하거나 나중에 수행할 수도 있다(S450).In addition, the processor unit 122 of the base station 120 transmits the result of adjusting the period of the beam report according to whether the beam report includes a use beam candidate to th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1 ) can be controlled,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1 can transmit the result of adjusting the cycle of the beam report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unit 122 to the UAM vehicles 111, 112, and 113. If the beam report transmission cycle is shortened,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on link of the UAM vehicle (111, 112, 113) can be received frequently, but in this case, it is pre-planned and selected according to the preset operation route of the UAM vehicle (111, 112, 113). This is because, if the beam change is successful, it may result in unnecessary waste of communication resources. Accordingly, the processor unit 122 may adjust the period of the beam report to be short when the use beam candidate is not included in the beam report, and adjust the period of the beam report to be long when the use beam candidate is included in the beam report. You can. In this way, the procedure for adjusting the beam report period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procedure for determining beam information in step S440, or may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procedure for determining beam information in step S440 (S450).

프로세서부(122)는 결정된 빔 정보에 따라 빔포밍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21)를 제어하고, 통신부(121)는 프로세서부(122)의 제어에 따라 단계 S440에서 결정된 빔을 이용해 UAM 비행체(111, 112, 113)에 대하여 빔포밍을 수행한다.The processor unit 122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21 to perform beamforming according to the determined beam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1 uses the beam determined in step S44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unit 122 to form the UAM vehicle 111, Beamforming is performed for 112, 113).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120)이 수행하는 빔포밍 방법에 포함된 각각의 단계를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도록 컴퓨터 프로그램이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a computer program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instructions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each step included in the beamforming method performed by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2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120)이 수행하는 빔포밍 방법에 포함된 각각의 단계를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each step included in the beamforming method performed by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2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공망을 통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지원함에 있어서 빔포밍을 통해 상공망의 비행체와의 통신 링크 신호 수신 세기를 높여 통신 링크의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공망 특성에 의한 다양한 간섭 영향을 극복한다. 나아가, UAM 운용 시스템의 UAM 비행체에 대해 기 설정된 운항 경로에 기초하여 사용 빔 후보를 선택해 빔포밍을 수행함으로써 UAM 운용 시스템의 상공망에 최적화된 빔포밍을 통해 통신 링크의 성능 향상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so f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the airspace network, the performance of the communication link is improved by increasing the signal reception strength of the communication link with the aircraft of the airspace network through beamforming. Overcomes various interference effects due to network characteristics. Furthermore, by performing beamforming by selecting beam candidates based on the preset navigation path for the UAM aircraft of the UAM operation system,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performance of the communication link is maximized through beamforming optimized for the airspace network of the UAM operation system. there is.

본 발명에 첨부된 각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Combinations of each step in each flowchart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Since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mounted on the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he instructions performed through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It creates the means to carry out these task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o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way, so that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r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can also produce manufactured items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tha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process that is executed by the computer, thereby generating a process that is executed by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nstructions that perform processing equipment may als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containing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dditio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is possible for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step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e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qu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all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UAM 운용 시스템
111, 112, 113: UAM 비행체
120: 기지국
121: 통신부
122: 프로세서부
100: UAM operation system
111, 112, 113: UAM aircraft
120: base station
121: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122: Processor unit

Claims (9)

상공망용 기지국이 수행하는 빔포밍 방법으로서,
상공망을 이용해 통신을 수행하는 비행체로부터 복수의 서로 다른 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신 정보가 포함된 빔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빔 리포트에 기초하여 상기 비행체를 향하여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빔포밍 방법.
As a beamforming method performed by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Receiving a beam report containing receptio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beams from an aircraft that communicates using an airspace network;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beam information to be used toward the aircraft based on the received beam report.
Beamforming method for base stations for airspace network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리포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빔을 이용해 빔 스위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빔 리포트에는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빔 중 상기 비행체가 수신한 빔의 신호 세기 정보가 포함된
상공망용 기지국의 빔포밍 방법.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performing beam sweeping using the plurality of different beams before receiving the beam report,
The beam report includes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beam received by the aircraft among the plurality of different beams.
Beamforming method for base stations for airspace network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리포트에는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빔 중 수신 세기가 큰 순서로 2개 이상의 빔에 대한 신호 세기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할 때에, 상기 2개 이상의 빔에 대한 신호 세기의 차이와 기 설정된 임계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어느 하나의 빔 정보를 선택하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빔포밍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beam report includes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or two or more beams in order of greatest reception strength among the plurality of different beams,
When determining the beam information to use, selecting one beam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difference in signal strength for the two or more beams and a preset threshold.
Beamforming method for base stations for airspace network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비행체의 기 설정된 운항 경로에 기초하여 셀 커버리지 내 사용 빔 후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할 때에, 상기 빔 리포트에 상기 사용 빔 후보 및 그 주변 빔이 존재하지 않은 기 설정된 빔을 상기 사용할 빔 정보로서 결정하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빔포밍 방법.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selecting a beam candidate to be used within cell coverage based on a preset navigation path of the aircraft before determining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When determining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a preset beam for which the use beam candidate and its surrounding beams do not exist in the beam report is determined as the use beam information.
Beamforming method for base stations for airspace network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비행체의 기 설정된 운항 경로에 기초하여 셀 커버리지 내 사용 빔 후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할 때에, 상기 빔 리포트에 포함된 빔 정보가 상기 사용 빔 후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빔 리포트에 포함된 빔 정보를 상기 사용할 빔 정보로서 결정하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빔포밍 방법.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selecting a beam candidate to be used within cell coverage based on a preset navigation path of the aircraft before determining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When determining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if the beam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eam report does not exist in the use beam candidate, the beam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eam report is determined as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Beamforming method for base stations for airspace network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비행체의 기 설정된 운항 경로에 기초하여 셀 커버리지 내 사용 빔 후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할 때에, 상기 사용 빔 후보와 그 주변 방향 빔이 상기 빔 리포트에 모두 존재하지만 수신 세기가 큰 순서가 다를 경우 상기 사용 빔 후보와 상기 주변 방향 빔의 수신 세기의 차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 빔 후보 또는 상기 주변 방향 빔을 상기 사용할 빔 정보로서 결정하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빔포밍 방법.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selecting a beam candidate to be used within cell coverage based on a preset navigation path of the aircraft before determining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When determining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if both the use beam candidate and the surrounding direction beam are present in the beam report, but the order of large reception strengths is differ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iving strengths of the use beam candidate and the surrounding direction beam is determined by the preset Determining the use beam candidate or the peripheral direction beam as the use bea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threshold values
Beamforming method for base stations for airspace network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비행체의 기 설정된 운항 경로에 기초하여 셀 커버리지 내 사용 빔 후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빔 리포트에 상기 사용 빔 후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빔 리포트의 주기를 조정한 결과를 상기 비행체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빔포밍 방법.
According to claim 1,
selecting a beam candidate to be used within cell coverage based on a preset navigation path of the aircraft before determining the beam information to be used;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a result of adjusting the period of the beam report to the aircraft according to whether the beam report includes the use beam candidate.
Beamforming method for base stations for airspace networks.
비행체와 상공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비행체로부터 복수의 서로 다른 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신 정보가 포함된 빔 리포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빔 리포트에 기초하여 상기 비행체를 향하여 사용할 빔 정보를 결정하는
상공망용 기지국.
A communications department that carries out communications through aircraft and airspace networks,
It includes a processor unit tha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he processor unit,
When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 beam report containing receptio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beams from the aircraft, determines beam information to be used toward the aircraft based on the received beam report.
Base station for commercial network.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빔 리포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빔을 이용해 빔 스위핑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빔 리포트에는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빔 중 상기 비행체가 수신한 빔의 신호 세기 정보가 포함된
상공망용 기지국.
According to claim 8,
The processor unit,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beam sweeping using the plurality of different beams before receiving the beam report,
The beam report includes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beam received by the aircraft among the plurality of different beams.
Base station for commercial network.
KR1020220100045A 2022-08-10 2022-08-10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beamforming method thereof KR202400215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045A KR20240021570A (en) 2022-08-10 2022-08-10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beamform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045A KR20240021570A (en) 2022-08-10 2022-08-10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beamform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570A true KR20240021570A (en) 2024-02-19

Family

ID=9005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045A KR20240021570A (en) 2022-08-10 2022-08-10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beamform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157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239A (en) 2008-09-04 2011-02-10 알까뗄 루슨트 System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light broadband mobile commnunication ser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239A (en) 2008-09-04 2011-02-10 알까뗄 루슨트 System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light broadband mobile commnunication ser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28607B (en) Automatically dir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antenna
CN107948991B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optimiz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P3081041B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band and channel selection in 5g
EP3111510B1 (en) Method and system for addressing line of sight blockage in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s
WO2021114828A1 (en) Airway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12672376B (en) Unmanned aerial vehicle deployment method in unmanned aerial vehicle-assisted cellular network
US20230247503A1 (en) Cell re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30040432A1 (en) Signal continuous coverage method, device and apparatus for target area, and antenna system
US2023004644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program
CN111034346B (en) Access poin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 having the same
Yan et al. AI-enabled sub-6-GHz and mm-wave hybrid communications: Considerations for use with future HSR wireless systems
Ghorbel et al. Energy efficient data collection for wireless sensors using drones
KR102368576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channel state prediction using local dynamic map
KR20240021570A (en)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beamforming method thereof
CN112020110B (en) Network access method and device of terminal equipment
CN111787578A (en) Networking system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erminal access method
Bernabè et al. A novel metric for mMIMO base station association for aerial highway systems
Fontanesi et al. Deep reinforcement learning for dynamic band switch in cellular-connected UAV
Hoffmann et al. Beam management driven by radio environment maps in O-RAN architecture
KR202400586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network information
US113753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beamform management in vehicular communications
KR101802076B1 (en) Method of supporting hand-over in ultra wide area wireless backhaul network,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KR20240054509A (en)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beamforming method thereof
KR202400335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andover
KR20240022851A (en)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