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296A - System for providing non-fungible token issuing service using video stillcut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non-fungible token issuing service using video stillc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296A
KR20240018296A KR1020220096360A KR20220096360A KR20240018296A KR 20240018296 A KR20240018296 A KR 20240018296A KR 1020220096360 A KR1020220096360 A KR 1020220096360A KR 20220096360 A KR20220096360 A KR 20220096360A KR 20240018296 A KR20240018296 A KR 20240018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t
still
video
creation service
still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3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준호
김유식
Original Assignee
차준호
김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준호, 김유식 filed Critical 차준호
Priority to KR1020220096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296A/en
Publication of KR20240018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2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64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classification, e.g. of video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96Management of image or video recognition tas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Abstract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코드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을 선택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에 기하여 발행된 NFT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 및 동영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으로 생성하는 생성부,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에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식별하는 식별부,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에 대하여 NFT를 발행하는 발행부, 사용자 단말에서 NFT에 대응하는 금액을 결제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전자지갑주소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 system for providing an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is provided, and a user terminal and video that selects at least one still cut with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acquires an NFT issued based on at least one still cut. A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t least one frame forming at least one still cut, an identification unit that identifies the at least one still cut by assigning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an NFT for at least one still cut selected in the user terminal. It includes a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includes an issuing unit that issues an NFT, and a delivery unit that delivers the amount to the electronic wallet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pays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NFT.

Description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NON-FUNGIBLE TOKEN ISSUING SERVICE USING VIDEO STILLCUT}NFG crea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video still cuts {SYSTEM FOR PROVIDING NON-FUNGIBLE TOKEN ISSUING SERVICE USING VIDEO STILLCUT}

본 발명은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동영상 내 스틸컷을 지정한 후 지정된 스틸컷에 기해 자동으로 NFT를 발행하여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n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and provides a platform that allows users to designate still cuts in a video and then automatically issue and trade NFTs based on the designated still cuts.

미디어 기술 발전에 따른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 미디어 콘텐츠 이용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미디어 기기의 확산은 이용자 각자의 취향과 선택이 중심이 된 능동적 콘텐츠 이용을 가능하게 했으며, 전문 제작자 및 제작사를 중심으로 제작 및 유통되었던 전통적인 미디어 콘텐츠 산업 구조에서 누구나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할 수 있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구조로 변화시켰다. 미디어 기술과 산업 발전에 따라 전 세계 미디어 콘텐츠 시장과 이용자는 변혁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이 존재한다. 미디어 서비스 이용자들은 다양화된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개인 간 연결을 공유하고자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을 이용하고 있다. The environment for using media content is rapidly changing due to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as media technology develops. The spread of media devices has enabled active use of content centered on each user's tastes and choices, and the traditional media content industry structure, which was produced and distributed mainly by professional producers and production companies, has allowed anyone to create and share content freely and freely. It was changed to an open structure. As media technology and industry develop, the global media content market and users are entering an era of transformation, and at the center of this is the online video platform. Media service users are using new media platforms to satisfy diversified individual needs and share interpersonal connections.

이때, 영상에서 스틸컷(StiilCut) 프레임을 생성하거나 저작물을 NFT로 거래하는 플랫폼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9-0015323호(2009년02월12일 공개) 및 한국등록특허 제10-2388581호(2022년04월21일 공고)에는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서 스틸컷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하여, 연속 영상에서 사용자가 캡처하기를 원하는 이미지에 가장 근접하는 스틸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스틸컷 명령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영상 프레임을 확정하게 하고, 확정된 영상 프레임을 저장하는 구성과, NFT로 저작물을 거래할 때, NFT가 발행된 이미지를 딥러닝을 적용하여 기 저장된 저작물과의 유사도를 판단함으로써 위조 또는 불법복제물이 아닌지 확인하게 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platform for creating stillcut frames from videos or trading copyrighted works as NFTs was researched and developed. In relation to this, the prior art,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9-0015323 (published on February 12, 2009) and Korea Patent Publication No. Registered Patent No. 10-2388581 (announced on April 21, 2022) requires capturing a still image that is closest to the image the user wants to capture in the continuous video, in order to create a still cut frame from a continuously displayed video. , when a still cut command signal is input, the video frame is confirmed and the confirmed video frame is stored, and when trading a copyrighted work with an NFT, deep learning is applied to the image for which the NFT has been issued to match the previously stored copyrighted work. Each configuration is disclosed to confirm whether it is a counterfeit or illegal copy by determining the degree of similarity.

다만, 전자의 경우 캡쳐를 했을 때 스틸컷이 뭉개질 수 있는 우려를 사용자의 수동 컨펌을 통해 확인 및 저장하는 구성일 뿐이고, 후자의 경우에도 기 등록된 저작물과의 비교를 통하여 진정권리자의 저작물인지 등을 파악하는 구성일 뿐, 스틸컷을 이용하는 구성이 아니다. 최근 블로그나 소셜미디어를 통하여 영화, 유튜브, 뮤직비디오 등의 동영상의 스틸컷을 게재하고, 리뷰를 쓰거나 소개를 하는 등의 2차적 저작물을 생성하는 팬아트 콘텐츠가 다수 존재하는데, 캡쳐를 할 때에는 팬들이 원하는 그 순간을 캡쳐하기 때문에, 순간을 잘 캡쳐한 사용자의 노력이 필요하고, 이러한 스틸컷으로 마케팅이 되어 영화나 드라마가 더욱 성행하기도 한다. 이에, 사용자가 동영상 내 스틸컷을 직접 선택하는 경우 NFT로 생성하여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in the former case, the concern that the still cut may be crushed when captured is only confirmed and saved through the user's manual confirmation, and in the latter case, it is checked whether the work is the true copyright holder's work through comparison with the already registered work. It is only a composition that understands the back, and is not a composition that uses still cuts. Recently, there are many fan art contents that create secondary works such as posting still cuts from movies, YouTube, music videos, etc. through blogs or social media, and writing reviews or introductions. When capturing, the fan art content is used. Because people want to capture the moment they want, it takes effort from the user to capture the moment well, and movies and dramas become more popular through marketing using these still cuts. According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platform that allows users to create and trade NFTs by directly selecting still cuts within a video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영화, 드라마, 광고, 콘서트, 뮤직비디오, 스포츠중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내 스틸컷(StillCut)을 직접 선택하여 NFT화 할 수 있도록, 동영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스틸컷에 기하여 NFT를 발행하되,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기 선점된 스틸컷과 동일한 스틸컷인지의 여부를 파악하도록 하며, 동영상의 홍보용으로 사용되도록 한 후, 상영이나 방영이 종료되면 사장되는 수 만 장의 스틸컷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제작사와 아티스트에게는 부가수익을 줄 수 있고, 사용자는 팬심을 충족시키면서 자산화가 가능한 NFT를 보유할 수 있는,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users to directly select still cuts in videos including movies, dramas, advertisements, concerts, music videos, and sports broadcasts and convert them into NFTs, at least one frame forming the video.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mapped and stored, an NFT is issued based on the still cut selected on the user terminal, and a deep learning algorithm determines whether the still cut is the same as the pre-selected still cut, and is used for promotional purposes of the video. By allowing new values to be added to the tens of thousands of still cuts that are lost once the screening or broadcast ends, additional profits can be provided to production companies and artists, and users can hold NFTs that can be converted into assets while satisfying fan sent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for providing an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However, the technical challenge that this embodiment aims to achieve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코드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을 선택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에 기하여 발행된 NFT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 및 동영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으로 생성하는 생성부,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에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식별하는 식별부,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에 대하여 NFT를 발행하는 발행부, 사용자 단말에서 NFT에 대응하는 금액을 결제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전자지갑주소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t least one still cut to which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and acquires an NFT issued based on the at least one still cut. a user terminal and a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t least one frame constituting the video as at least one still cut, an identification unit that identifies the at least one still cut by assigning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at least one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It includes a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includes an issuing unit that issues NFTs for still cuts, and a delivery unit that delivers the amount to the electronic wallet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when paying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NFT at the user terminal.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영화, 드라마, 광고, 콘서트, 뮤직비디오, 스포츠중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내 스틸컷(StillCut)을 직접 선택하는 경우 자동으로 NFT화 할 수 있도록, 동영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스틸컷에 기하여 자동으로 NFT를 발행하되,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기 선점된 스틸컷과 동일한 스틸컷인지의 여부를 파악하도록 하며, 동영상의 홍보용으로 사용되도록 한 후, 상영이나 방영이 종료되면 사장되는 수 만 장의 스틸컷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제작사와 아티스트에게는 부가수익을 줄 수 있고, 사용자는 팬심을 충족시키면서 자산화가 가능한 NFT를 보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a user directly selects a still cut in a video including a movie, drama, advertisement, concert, music video, or sports broadcast, it can be automatically converted into NFT.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mapped and stored to at least one frame that makes up the video, and an NFT is automatically issued based on the still cut selected on the user terminal, but the still cut is the same as the still cut preempted by the deep learning algorithm. By determining whether people are aware of the video, using it for promotional purposes, and adding new value to the tens of thousands of still cuts that are lost once the screening or broadcast ends, additional profits can be generated for production companies and artists, and users can become fans. You can hold NFTs that can be capitalized while satisfying your Si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operation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to mean at or close to that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us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ecis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assist in preventing unscrupulous infringers from taking unfair advantage of stated disclosures. The term “step of” or “step of”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Additionally,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pieces of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using one piece of hardware. Meanwhile, '~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 par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 par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may be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Additionally, components and 'parts' may be implemented to regenerate one or more CPUs with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may instead be performed o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identifying data of the terminal. It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the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using video still cuts may includ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transaction terminal 400. You can. However, since the NFT automatic gene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using the video still cut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nterpretation of FIG. 1.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transaction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Additionally, at least one transaction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that allow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telephone network,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 network, etc.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nd Wi-Fi. ,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network, NFC ( It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Near-Field Communication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nd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and even if the term at least one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singular or plural. This should be self-explanatory. In addition, whether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singular or plural form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동영상 내 스틸컷을 선택하고, 선택된 스틸컷에 기해 NFT를 발행받고, NFT를 구매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NFT를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기 설정된 거래소를 통하여 거래 단말(400)로 판매하는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selects a still cut in the video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the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and receives an NFT based on the selected still cut, It may be the terminal of a user purchasing an NFT.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sells NFTs to the transaction terminal 400 through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or a preset exchange.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etc. At this tim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It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and tablet PCs.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동영상 내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선택하여 스틸컷을 생성하고, 스틸컷에 기하여 NFT의 발행을 요청하는 경우, NFT를 발행하고 금액을 결제받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NFT의 트랜잭션을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거래 단말(400) 및 사용자 단말(100) 간의 NFT 거래를 중개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 선점된 스틸컷과 사용자가 NFT를 발행하고자 하는 스틸컷의 동일 또는 유사를 딥러닝을 통하여 비교한 후 NFT의 발행여부를 결정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n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using video still cuts. And,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assigns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at least one frame in the video. In addition,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elects at least one frame from the user terminal 100 to generate a still cut, and when requesting the issuance of an NFT based on the still cut, the server issues the NFT and receives payment. It can be. In addition,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records NFT transactions on the blockchain and mediates NFT transactions between the transaction terminal 400 and the user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determines whether to issue an NFT after comparing the pre-empted still cut with the same or similar still cut for which the user wishes to issue an NFT through deep learning.

여기서,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etc.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은,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NFT를 구매하는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transaction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purchases NFTs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n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transaction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etc. At this time, at least one transaction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transaction terminal 4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It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and tablet PCs.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ure 1, and Figures 3 and 4 are implementations of an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drawing i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생성부(310), 식별부(320), 발행부(330), 전달부(340), 선착순제공부(350), 선별부(360), 블록체인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generating unit 310, an identification unit 320, an issuing unit 330, a delivery unit 340, a first-come-first-served basis provision unit 350, and a selection unit 360. ), may include a blockchain unit 37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로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은,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video still cuts with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transaction terminal 400. When transmitting an NFT automatic generation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transaction terminal 400 are an NFT automatic generation service application, program using a video still cut. , you can install or open app pages, web pages, etc. Additionally, a service program may be run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transaction terminal 400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a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allows the use of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s and refers to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written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etc. Additionally, an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on a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도 2를 설명하기 이전에 NFT에 대한 기본개념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된 것들은 도 2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Before explaining Figure 2, the basic concept of NFT will be explained below. Things described below are not duplicated in FIG. 2 .

미술작품이나 디지털 아트에 NFT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디지털로 표현한 예술 작품 보유자의 이력 등을 블록체인에서 기록할 수 있다. NFT 아트는 NFT 기술을 활용해 작품을 디지털 자산화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작품 원본은 블록체인 밖의 오프체인(Offchain)이나 분산 파일 시스템(Inter Planetary File System)에 보관하고, NFT에는 작품명, 세부사항, 계약조건, 원본에 접근할 수 있는 링크정보 등의 메타데이터만을 포함한다. NFT 플랫폼은 NFT 아트와 NFT에 표상된 캐릭터와 아이템 등을 판매하는 2차 유통 시장을 말한다. NFT 아트의 경우 거래대상은 디지털 작품 자체가 아라 그 작품의 링크를 구매하는 것이다. When issuing an NFT for a work of art or digital art, the history of the owner of the digitally expressed work of art can be recorded on the blockchain. NFT art refers to using NFT technology to turn works into digital assets. In general, the original digital work is stored in an off-chain or distributed file system (Inter Planetary File System) outside the blockchain, and NFT contains meta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of the work, details, contract terms, and link information to access the original. Contains only data. The NFT platform refers to a secondary distribution market that sells NFT art and characters and items represented in NFT. In the case of NFT art, the object of transaction is not the digital work itself, but rather the link to the work is purchased.

캔버스 등 물리적 매체로 표현된 예술 작품인 리얼 아트는 예술적 표현의 가치뿐만 아니라, 원작품은 세상에 단 하나 밖에 없다는 희소성이 가치를 높다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리얼 아트는 유체물이기 때문에, 시간 경과에 따른 물리적 열화(Deterioration, 변질)나 유통 속도 및 유통 범위 제한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디지털 매체로 표현된 예술 작품(이하, 디지털 아트)은 물리적 열화는 없고 유통 가능성은 매우 높지만 복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리얼 아트에 비해 희소성이 낮다. 그런데 NFT 아트는 리얼 아트의 희소성과 디지털 아트의 유통을 겸비한 이른바 하이브리드와 같은 예술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NFT나 NFT 아트의 법적 성질, 즉 무엇에 대해 어떤 권리가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확립된 견해나 판례는 아직 없다.Real art, which is a work of art expressed through physical media such as canvas, is valued not only for its value in artistic expression, but also for its scarcity in that the original work is only one in the world. However, because real art is a physical object, there are problems such as physical deterioration over time and limitations in distribution speed and scope. Meanwhile, works of art expressed in digital media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gital art) have no physical deterioration and have a very high distribution potential, but are less rare than real art in that they can be copied. However, NFT art can be said to be a so-called hybrid work of art that combines the scarcity of real art and the distribution of digital art. However, there are still no established opinions or precedents among experts regarding the legal nature of NFT or NFT art, that is, what rights arise for what.

디지털 데이터나 콘텐츠는 무료이고 쉽게 복제가 가능하고 대체가능성을 갖는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대체가능한 디지털 정보에 인위적으로 희소성을 부여함으로써 시장에서 거래 가능한 적합한 형태가 된다. 대체가 가능한 서적이나 음반과는 달리, 대체가 불가능한 미술품은 원본 중심의 시장에서는 그 거래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대체가 가능한 서적이나 음반에 NFT를 통하여 인위적으로 희소하게 만들거나 무한 복제가 가능한 디지털 미술품에 유일성 내지 희소성을 부여하게 되면 그 가치가 상승할 수밖에 없다.Digital data or content is free, easily replicable, and fungible. NFT uses blockchain technology to artificially create scarcity in replaceable digital information, making it a suitable form for tradability in the market. Unlike books or records that can be replaced, the trade of non-replaceable works of art is bound to be limited in the original-centered market. However, if replaceable books or records are artificially made scarce through NFTs, or if uniqueness or scarcity is given to digital artworks that can be copied infinitely, their value will inevitably rise.

이와 같이, NFT는 독특한 디지털 데이터 특성을 갖기 때문에, NFT는 데이터의 소유를 가능하게 한다, 또는 NFT 소유자는 디지털 아트 및 디지털 캐릭터의 소유권이나 저작권을 취득한다고 볼 수도 있다. 오프라인에 있는 디지털 파일을 NFT화하는 것을 민팅(Minting)이라고 한다. 누구든지 NFT로 민팅할 수 있는데, 타인의 저작물을 민팅하는 경우에는 저작재산권 중 복제권과 전송권 침해가 문제될 수 있다. 회화, 조각, 판화 등 유형화된 저작물 또는 리얼 아트를 민팅하여 NFT화한다는 것은 그 실물 저작물을 디지털 이미지로 복제하여 플랫폼의 웹사이트(인터넷)에 전송하는 행위로 볼 수 있다.In this way, because NFTs have unique digital data characteristics, NFTs enable ownership of data, or NFT owners can be seen as acquiring ownership or copyright of digital art and digital characters. Transforming offline digital files into NFTs is called minting. Anyone can mint with NFT, but if you mint someone else's copyrighted work, there may be issues with infringement of reproduction rights and transmission rights among copyright property rights. Minting tangible works or real art, such as paintings, sculptures, and prints, and turning them into NFTs can be seen as the act of copying the physical work as a digital image and transmitting it to the platform's website (Internet).

<2차적 저작물><Derivative works>

디지털 파일이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인 이상 이를 그 차원을 달리해(2차원에서 3차원으로) 시공 내지 구현하는 것은 그 과정에 창작성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복제 행위 또는 2차적 저작물 작성 행위로 볼 수 있다. 또 타인의 저작물을 이용해 제작한 NFT가 2차적 저작물에 해당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 여부와 관계없이 저작권을 취득한다. 저작물과 관련 있는 메타데이터를 공중에 이용 제공하는 것을 전송행위로 보기는 어렵지만, 이용허락을 받지 아니하고 타인의 저작물을 NFT 생선 및 판매를 위해 저작물에 대한 링크 연결이 필수적인데, 링크 연결행위에 대해서 대법원은 저작권 침해(전송권 침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물론 오리지널 작품이 오프체인 NFT 내에서 복제되지 아니한다는 반론도 존재하지만 오리지널 작품의 복제 없이는 민팅을 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이므로 민팅 행위에 대한 복제권 침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 제3자의 회화, 조각, 판화 등 유형화된 저작물, 즉 리얼 아트를 디지털 트윈으로 NFT로 민팅하는 행위, 리얼 아트 저작물 소유자가 NFT로 민팅하는 행위, 리얼 아트 저작물의 이용권자(Licensee)가 민팅하는 행위, 공유 저작물(Public Domin Work)을 민팅하는 행위 등 NFT의 활용 방식은 다양한데, 그 활용 방식에 따라 권리 귀속 및 권리 침해 태양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Since a digital file is a work protected by copyright law, constructing or implementing it in different dimensions (from 2D to 3D) can be viewed as an act of copying or creating a secondary work depending on whether the process is creative. there is. Additionally, if an NFT produced using another person's work constitutes a secondary work, the copyright is acquir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it infringes copyright. Although it is difficult to consider providing metadata related to a work to the public as an act of transmission, linking to the work is essential for creating and selling NFTs of other people's works without permission, and the Supreme Court ruled against the act of linking. does not recognize copyright infringement (infringement of transmission rights). Of course, there is a counterargument that the original work cannot be copied within the off-chain NFT, but since minting appears to be impossible without copying the original work, infringement of reproduction rights for minting activities may occur. In addition, the act of minting tangible works such as paintings, sculptures, and prints of third parties, that is, real art, as NFTs as digital twins, the act of minting real art works as NFTs, and the act of minting by licensees of real art works. There are various ways to use NFTs, such as minting public domain work, and depending on the method of use, rights attribution and rights infringement can appear in various ways.

저작권은 표현, 즉 무체물에 대한 권리인 반면 소유권은 유체물에 대한 권리이다. 우선 저작재산권 및 저작인격권은 어디까지나 저작물이라는 창작적 표현, 즉 형태가 없는 무체물에 대한 권리이며, 회화나 조각 등의 리얼 아트는 형태 있는 물건인 유체물로 소유권 대상이 되고, 소유주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소유권은 민법에서 법령의 제한 내에서 자유롭게 그 소유물을 사용, 수익 및 처분 할 권리(민법 206조)으로 규정돼 있으며, 계약 관계가 없는 제3자에게 행사할 수 있는 절대적인 권리로 보호된다. 저작권법은 이러한 소유권의 성격을 감안해 미술저작물의 저작권과 소유권이 충돌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권리를 조정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Copyright is a right to expression, or an intangible object, while ownership is a right to a tangible object. First of all, copyright property rights and moral rights are rights to creative expressions called works, that is, to intangible objects without a form, while real art such as paintings and sculptures are tangible objects and are subject to ownership, and their owners exist independently. . Ownership is defined in the Civil Code as the right to freely use, profit, and dispose of the property within the limits of the law (Article 206 of the Civil Code), and is protected as an absolute right that can be exercised against a third party without a contractual relationship. Considering the nature of such ownership, the Copyright Act has provisions for adjusting these rights in situations where the copyright and ownership of artistic works may conflict.

<재판매권><Resale rights>

한국 저작권법에서는 아직 인정하지 않는 재판매권의 존재도 중요하다. 미술품 재판매권(일명 추급권, Artist Resale Right)이란 미술품이 재판매될 때 작가가 판매수익의 일정 비율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로, 유럽연합(EU) 등 80여 개 국가에서 도입하고 있다. 재판매권은 미술 창작 분야에서 정당한 보상체계 마련이라는 관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는 권리이다. 한국에서는 미술품 거래를 추적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곤란하다는 등을 이유로 아직 법적 권리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NFT의 기초인 블록체인 기술에 의해 거래 추적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판매권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를 만드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함에 따라, 아티스트에게는 NFT 아트를 창작하는 큰 매력의 하나가 될 수 있다.The existence of resale rights, which are not yet recognized under Korean copyright law, is also important. Artist Resale Right (also known as Artist Resale Right) is the right for artists to claim a certain percentage of the sales revenue when an artwork is resold, and is being introduced in over 80 countries, including the European Union (EU). The right to resell is an important right from the perspective of establishing a fair compensation system in the field of art creation. In Korea, it is not yet recognized as a legal right due to technical difficulties in tracking art transactions. However, since transaction tracking is possible through blockchain technology, the basis of NFT, it is technically possible to create resale rights or similar structures, which can be one of the great attractions of creating NFT art for artists.

<권리소진이론><Rights Exhaustion Theory>

서적이나 음반의 유형 매체의 거래에 적용되는 배포권 소진이 NFT가 적용된 디지털 자산에 대해서 적용될 필요성이 존재한다. 권리소진이론은 저작권자가 한번 판매하고 나면 일단 판매한 저작복제품에 대하여는 그것의 향후 전전 유통 내지 배포에 대해 자기의 배포권을 주장하지 못한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 의하면, 저작권자가 저작물의 복제물을 최초로 판매하고 이에 대하여 보상을 받은 경우, 저작권자가 그 복제물을 처분하는 것에 대해 통제할 수 있는 권리를 종료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권리소진이론의 적용을 통해 그 복제물이 최초로 판매돼 구매자가 소유권을 취득한 자는 그 복제물에 대한 저작권자의 권리는 완전히 행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역으로 저작권자의 경우 그 복제물이 추가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통제할 저작자의 권리는 중지되는 것이다. 그 이유는 추가적인 판매에 대해 저작자가 통제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이러한 저작권의 유통이 현저히 제한되기 때문이다. There is a need to apply the exhaustion of distribution rights applied to transactions of tangible media such as books or albums to digital assets to which NFTs are applied. The theory of exhaustion of rights is a theory that once a copyright holder sells a copyrighted work, he or she cannot claim his/her distribution rights for future distribution or distribution of the copied work. According to this theory, when a copyright holder first sells a copy of a work and receives compensation for it, the copyright holder's right to control the disposition of the copy is terminat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is theory of exhaustion of rights, the person who first sold the copy and acquired ownership of the copy can fully exercise the copyright holder's rights to the copy. Therefore, conversely, in the case of a copyright holder, the author's right to control further sales of the copy is suspended. This is because allowing the author to control further sales would significantly limit the distribution of these copyrights.

아울러 이러한 양도 등이 이루어질 경우 이미 판매가 이뤄지고 소유권이 이전되었음에도 지속적으로 저작권자가 양도 및 거래를 위한 권리 등 사유재산권을 부당하게 침해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권리소진이론에 의한 저작권의 제한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저작물의 복제물을 소유한 자는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는, 복제물을 전시하거나 판매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권리소진이론을 통하여 저작권자로부터 저작물의 복제물을 직접 구입할 수단이나 기회를 가지지 못한 일반인들도 복제물을 구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도 한다. 전통적 매체를 통한 저작물의 복제물을 전송을 통해서 항구적인 통제권을 인도하는 경우에는 권리소진원칙이 적용되지만, 항구적 베이스로 이용자에게 디지털 복제본을 전송하거나 이용제공하지 않는 서비스의 온라인 제공에는 권리소진 원칙이 적용되지 아니한다. 다만, 디지털자산인 NFT의 2차적 거래와 유통은 유일성이 유지되므로 디지털권리소진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is is to prevent the copyright holder from continuing to unfairly infringe on private property rights, such as the right to transfer and trade, even if such transfer has already occurred and ownership has already been transferred. If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copyright under the exhaustion of rights theory, those who own copies of the work will not be able to display or sell the copies without the consent of the copyright holder. Through this theory of exhaustion of rights, it also serve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ordinary people who do not have the means or opportunity to purchase copies of works directly from the copyright holder to purchase copies. The principle of exhaustion of rights applies when permanent control i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mission of copies of works through traditional media, but the principle of exhaustion of rights applies to online provision of services that do not transmit or provide digital copies to users on a permanent basis. It doesn't work. However, since the uniqueness of secondary transactions and distribution of NFTs, which are digital assets, is maintained,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e exhaustion of digital rights.

<NFT 플랫폼 사업자의 책임 및 면책><Responsibility and liability of NFT platform operators>

인터넷에서 저작권을 침해하는 게시물에 대해 1차적인 책임을 지는 자는 그 게시물을 직접 게시한 자이다. 인터넷 포털사이트를 운영하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이하, OSP)가 제공한 인터넷 게시공간에 위와 같은 게시물이 게시됐고 검색기능을 통해 인터넷 이용자들이 그 게시물을 쉽게 찾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사정만으로 곧바로 OSP에게 저작권 침해에 대한 불법행위책임을 지울 수는 없다. NFT 아트 플랫폼에 저작권 침해 아트가 게시되는 경우 해당 플랫폼에 대해 위 OSP 책임과 면책 법리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인지 검토가 필요하다. NFT 거래는 저작물 자체의 거래라기보다는 저작물을 증명하는 메타데이터 기록의 거래라 할 수 있고, 탈중앙화 서비스로 이뤄지므로 자료를 서버에 저장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저장 서비스로 보기는 어렵지만, 메타데이터 NFT 아트 콘텐츠 자체는 해당 플랫폼사의 서버에 저장돼 회원에게 게시되므로 해당 범위에서는 중앙집중적 방식으로 저장서비스를 제공하는 OSP로 판단될 여지가 있다.The person primarily responsible for posts that infringe copyright on the Internet is the person who posted the post. Even if the above posting was posted on an Internet posting space provided by an online service provi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OSP) that operates an Internet portal site, and Internet users can easily find the posting through the search function, the copyright is immediately transferred to OSP for that reason alone. Tort liability for infringement cannot be assumed. If copyright infringement art is posted on an NFT art platform, it is necessary to review whether the above OSP liability and immunity legal principles can be applied to the platform. NFT trading can be said to be a transaction of metadata records that prove the work rather than a transaction of the work itself, and since it is conducted as a decentralized service, it is difficult to view it as a storage service that allows data to be stored on a server and used, but metadata NFT art content Since it is stored on the platform company's server and posted to members, it may be judged as an OSP that provides storage services in a centralized manner within this scop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동영상의 스틸컷을 각 사용자가 만들도록 하고, 이에 대하여 NFT를 발행함으로써 밈(Meme)과 같이 유행처럼 자연스럽게 마케팅 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 각 팬은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이나 유명인 또는 좋아하는 동영상의 스틸컷을 가질 수도 있으면서도 자산화도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동영상의 원저작권자와의 협의 및 계약을 통한 라이센싱을 전제로 한다.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user creates a still cut of the video and issues an NFT for it, so that a marketing effect can occur naturally like a trend like a meme, and each fan can create a still cut of the video. It allows you to have still cuts of your favorite celebrities, famous people, or videos you like, while also making them available as assets. This is subject to licensing through consultation and agreement with the original copyright holder of the video.

도 2를 참조하면, 생성부(310)는, 동영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고유식별코드를 부착한 후 다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이 모여 만드는 스틸컷에 다른 체계의 고유식별코드를 다시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1 개의 프레임이 1 개의 스틸컷인 경우에는 동일한 고유식별코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1 번부터 N 프레임이 모여 1 개의 스틸컷을 만드는 경우에는 새로운 고유식별코드 체계가 필요할 수 있다. 이에, 식별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에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식별할 수 있다. 이때, 타인이 선택한 프레임은 비활성화되어 표시되지 않도록 X 표시가 될 수 있다. 즉 선택가능유무가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generator 310 may generate at least one frame of a video as at least one still cut. At this time, after attach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at least one frame,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another system to a still cut made by gathering at least one frame. For example, if 1 frame is 1 still cut, it is possible to use the same unique identification code, but if 1 to N frames are gathered together to create 1 still cut, a new unique identification code system may be needed.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unit 320 can identify at least one still cut by assigning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t this time, frames selected by others may be marked with an X so that they are deactivated and not displayed. In other words, whether selection is possible can be displayed.

발행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에 대하여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코드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을 선택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에 기하여 발행된 NFT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업로드할 때, 영상의 멀티모달 정보 분석으로 영상이 구간별로 가지고 있는 임팩트를 점수로 환산하여 점수가 높은 구간을 추출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더욱 손 쉽게 스틸컷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2 시간짜리 영화라고 가정하면 자신이 원하는 스틸컷을 위해 2 시간을 모두 보지 않아도 임팩트 있는 부분만을 시스템 상에서 자동으로 미리 추려주기 때문에 더욱 고르기가 편해진다. 물론, 임팩트 있는 부분이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이 아닐 수도 있지만, 임팩트 있는 부분을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유용한 툴로 사용될 수 있다.The issuing unit 330 may issue an NFT for at least one still cut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100 may select at least one still cut to which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and obtain an NFT issued based on the at least one still cut. At this time, when uploading at least one frame, a method of converting the impact of each section into a score by analyzing the multimodal information of the video and extracting the section with the highest score can be used. This allows users to create still cuts more easily. For example, assuming it's a 2-hour movie, you don't have to watch all 2 hours to get the still cuts you want, but the system automatically selects only the most impactful parts in advance, making it easier to choose. Of course, the impactful part may not be what the user wants, but it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for users who want the impactful part.

멀티모달 정보에서 추출되는 점수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오디오 분석을 통해 높은 피치의 음성, 효과음과 같은 특이음들을 찾아내 구간별 사운드 점수를 측정한다. 두 번째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영상 구간별로 피사체의 클로즈업 정도를 기반으로 클로즈업 점수를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음성인식(Speech To Text)을 통해 사운드 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텍스트 감정분석을 통해 긍정도를 측정하여 포지티브 점수를 측정한다. 도출된 세 개의 점수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영상의 주요 구간을 선택하여 요약할 수 있다.The scores extracted from multimodal information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audio analysis, unusual sounds such as high-pitched voices and sound effects are found and the sound score for each section is measured. Second, through image analysis, a close-up score is calculated based on the degree of close-up of the subject for each video section. Lastly, the voice in the sound is converted into text through speech recognition (Speech To Text), and the positive score is measured by measuring positivity through text emotion analysis. Based on the three derived scores, major sections of the video can be finally selected and summarized.

<특이 음향 추출을 위한 음원 분리 모델 생성><Generation of sound source separation model for specific sound extraction>

영상은 배경음악, 이벤트 효과음 등 다양한 소리를 담고 있다. 이처럼 다양하게 인식되는 특이 음향의 데시벨 크기를 측정하여 사운드 점수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Wave-U-Net을 이용하여 입력된 오디오에서 특이음만 분리한다. Wave-U-Net은 오디오 신호 분리(Audio Signal Separation) 대회에서 좋은 성능을 보인 종단 간 오디오 소스 분리(End-to-End Audio Source Separation) 모델이다.The video contains various sounds such as background music and event sound effects. In this way, the decibel level of variously recognized unique sounds is measured and used as a sound sc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unique sounds are separated from input audio using Wave-U-Net. Wave-U-Net is an end-to-end audio source separation model that showed good performance in the audio signal separation competition.

Wave-U-Net은 U-Net 구조를 시간 도메인에 적용한 모델로, 업샘플링(Upsampling)에서 발생하는 오디오 아티팩트(Artifacts)를 방지하기 위해 선형 보간법(Linear Interpolation) 사용을 제안한 모델이다. 이때 오디오 아티팩트란 노이즈, 버즈, 전기적 소음 등 원하지 않는 오디오를 말한다. Wave-U-Net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에서 원하는 오디오만 따로 분할할 수 있다. 원본 오디오를 입력하면 Wave-U-Net에 의해 일반 사운드에서 특이음만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특이음을 대상으로 점수를 계산한다. 사운드 점수 산출을 위해 특이음을 일정한 간격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구간별로 오디오의 데시벨을 측정한 후 크기에 따라 사운드 점수를 계산한다.Wave-U-Net is a model that applies the U-Net structure to the time domain and proposes the use of linear interpolation to prevent audio artifacts that occur during upsampling. In this case, audio artifacts refer to unwanted audio such as noise, buzz, and electrical noise. You can separate only the desired audio from the audio input through Wave-U-Net. When original audio is input, only unusual sounds can be separated from normal sounds by Wave-U-Net, and scores are calculated for the separated unique sounds. To calculate the sound score, singular sounds are separated into regular intervals. Then, after measuring the decibel of the audio for each section, the sound scor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ize.

<주요 구간 선정><Selection of major sections>

상술한 과정으로 추출된 멀티모달 스코어를 모두 0~1 사이의 값으로 정규화(Normalization)하고, 합산하여 대상 구간 선정을 위한 최종 점수를 계산한다. 주요 구간 선정 시 편집자의 의도, 요약본의 목적에 따라 구간이 다르게 선택되도록 각 점수의 가중치를 다르게 하여 합산할 수 있다. 편집자의 요약 의도에 따라 점수별 가중치를 조절하여 특정 멀티모달 정보에 중점을 둔 요약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기계적인 프레임 추출이 아닌 영상의 임팩트 있는 부분을 이루는 프레임을 제공해줌으로써 일반인인 사용자가 일일이 영상을 보지 않아도 어떠한 부분이 임팩트 있는 부분이었는지를 파악하도록 해줄 수 있다.All multimodal scores extrac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are normalized to a value between 0 and 1 and added to calculate the final score for selecting the target section. When selecting key sections, each score can be weighted differently and added up so that sections are sele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ditor's intention and the purpose of the summary. By adjusting the weight of each score according to the editor's summary inten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 summary video focusing on specific multimodal information, and by providing frames that make up the impactful part of the video rather than mechanical frame extraction, ordinary users can It can help you figure out which parts were impactful even without watching the video.

전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NFT에 대응하는 금액을 결제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지갑주소로 전달할 수 있다. 선착순제공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을 업로드할 때, 기 선점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을 고유식별코드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unit 340 may transmit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NFT to the electronic wallet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100 when the user terminal 100 pays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NFT. When uploading at least one still cut, the first-come-first-served basis provision unit 350 may provide at least one still cut that has not been preempted along with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선별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을 고유식별코드와 매핑하여 업로드할 때, 기 구축된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기 선점된 스틸컷과 선점되지 않은 스틸컷을 구분하도록 하여 업로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한 걸음 걷는 동작을 촬영한 영상을 프레임으로 나타내면, 애니메이션 제작과정처럼 수 백 장 내지 수 만 장의 프레임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 중 N 번 프레임부터 N+M 프레임까지 어떻게 고를지는 사용자의 몫이다. 이때, N 번 프레임부터 N+M 프레임까지 골라서 A 라는 스틸컷을 사용자가 선택했다고 가정하자. 이때, N+M+1 프레임부터 N+M+Z 프레임까지 사용자 B가 스틸컷을 선택했다고 가정하면, N+M+1부터 사용자 B가 골랐으므로, N+M을 고른 사용자 A의 스틸컷과 유사할 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지만, 순간에도 다양한 표정변화가 있거나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는 스틸컷이 다르게 나올 수도 있다. When uploading at least one still cut by mapping it to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he selection unit 360 can distinguish between still cuts that have been preempted and still cuts that have not been preempted using a pre-built deep learning algorithm and allow upload. . For example, if a video of a person walking one step is expressed as a frame, it can be expressed as hundreds to tens of thousands of frames, like in the animation production process. Among these, it is up to the user to choose from frames N to N+M. At this time, let us assume that the user selects a still cut called A by selecting frames N to N+M. At this time, assuming that user B has selected still cuts from frame N+M+1 to frame N+M+Z, since user B has selected frames N+M+1, the still cuts of user A who selected frame N+M and They may be similar or identical, but if there are various facial expressions or movements even at the moment, the still cuts may come out differently.

이에 따라, 모든 프레임에 대하여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지만 고유식별코드로 프레임 및 스틸컷을 비교하지 않고 딥러닝을 통하여 유사도를 판단하게 된다. 딥러닝을 픽셀 단위로 판단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객체의 스켈레톤을 추적하는 방법을 통하여 유사 및 동일한지 또는 전혀 다른 스틸컷인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연예인이 춤을 추는 장면을 캡쳐한다고 가정하면, A 초에 캡쳐한 것과 A+1 초에 캡쳐한 것이 유사할 수도 있지만, 매우 다를 수도 있고 어떻게 캡쳐하는지에 따라 밈(Meme)으로 재생산되는 인기짤이 될 수 있는지, 또는 엽기 사진으로 평생 인터넷을 떠도는 사진이 될 수 있는지 등은 순간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정리하면, N+M을 포함한 스틸컷과 N+M+1을 포함한 스틸컷은 동일할 수도 있지만, 전혀 다를 수도 있기 때문에, 상술한 고유식별코드가 아닌 이미지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석하는 딥러닝이 요구된다.Accordingly,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to all frames, but the similarity is determined through deep learning rather than comparing frames and still cuts us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Deep learning can be used to determine pixel units, and it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similar and identical or completely different still cuts by tracking the skeleton of an object. Assuming you are capturing a scene of a celebrity dancing, what you capture at second A and what you capture at second A+1 may be similar, but they may also be very different, and depending on how you capture them, you can end up with a popular meme that is reproduced as a meme. Whether it can be, or whether it can become a bizarre photo that will be floating around the Internet for the rest of its life can arise from the difference of a moment. In summary, a still cut including N+M and a still cut including N+M+1 may be the same, but may be completely different, so deep learning, which analyzes images based on the image rather tha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described above, is used. It is required.

이때, 기 구축된 딥러닝 알고리즘은, 동영상 내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을 자동으로 편집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모달 방식으로 임팩트 있는 부분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스틸컷 예상후보 프레임으로도 업로드하거나, 새로운 사용자 단말(100)의 스틸컷이 입력되었을 때, 기 선점된, 즉 NFT로 발행된 스틸컷과 유사한지를 확인하는 2 개의 하이브리드 딥러닝 모델일 수 있다. 이때, 후자의 경우에는 각 객체를 비교하는 YOLO(You Only Look Once)를 이용하여 픽셀(Pixel) 단위가 아닌 그리드(Grid) 단위로 객체를 비교하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초고해상도 슈퍼픽셀을 구분하는 SLIC 기반으로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reviously constructed deep learning algorithm may be an algorithm that automatically edits at least one still cut in the video. For example, by automatically extracting the impactful part in a multi-modal manner and uploading it as a still cut candidate frame, or when a still cut of a new user terminal 100 is input, the still cut that has been pre-empted, that is, issued as an NFT It could be two hybrid deep learning models that check for similarity to the cut. At this time, in the latter case, it is possible to use YOLO (You Only Look Once) to compare objects by grid rather than pixel by using YOLO (You Only Look Once), which compares each object. Deep learning algorithms can also be used based on SLIC.

<SLIC 슈퍼 픽셀 알고리즘><SLIC Super Pixel Algorithm>

슈퍼픽셀은 영상분할 및 오브젝트 트랙킹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므로 입력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방법으로 영상을 분할하는 알고리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한 슈퍼픽셀 알고리즘은 SLIC(Simple Linear Iterative Clustering)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SLIC 알고리즘은 모든 클러스터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일정 영역 내 정보만을 이용하여 클러스터링을 하기 때문에, SLIC는 슈퍼픽셀 알고리즘 중에서 속도가 빠른 것으로 알려져있다. SLIC 알고리즘은 CIE(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 국제조명위원회)에서 규정한 색상값으로 LAB 색상 공간에서 진행되는데 픽셀과 클러스터 간의 색상과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내의 모든 픽셀들을 설정한 k 개의 슈퍼픽셀로 클러스터링을 진행을 한다.Superpixel is one of the methods frequently used in the field of image segmentation and object tracking, so it is an algorithm that divides the image using each method from the input image. The superpixel algorithm u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the Simple Linear Iterative Clustering (SLIC) algorithm. Because the SLIC algorithm performs clustering using only information within a certain area rather than using all cluster information, SLIC is known to be fast among superpixel algorithms. The SLIC algorithm is carried out in the LAB color space with color values specified by the CI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 It uses color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pixels and clusters to cluster all pixels in the image into k superpixels. Proceed with .

특히, SLIC 알고리즘은 입력된 이미지의 동질성을 유지하며 픽셀 단위 연산을 그룹 단위로 처리하기 때문에, A 스틸컷과 B 스틸컷이 서로 다른지의 여부를 SLIC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슈퍼픽셀 분할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딥러닝 모델은 이미지 분석에 특화된 CNN 모델들 중 ImageNet에서 좋은 성적을 걷은 모델 중 하나인 Inception 모듈 기반의 딥러닝 모델을 사용하여 분류를 진행할 수 있다. Inception 모듈은 이미지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컨볼루션과 Max Pooling으로 이뤄진 하나의 모듈을 만들어 9 개의 모듈로 서로 연결을 하여 하나의 CNN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딥러닝의 특유의 문제인 깊이 쌓은 망에 의해 생기는 과적합문제와 많아지는 연산량을 효율적으로 축소시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며 학습을 진행 할 수 있도록 설계를 한 모델이다. In particular, because the SLIC algorithm maintains the homogeneity of the input image and processes pixel-level operations in groups, superpixel segmenta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SLIC algorithm to determine whether still cuts A and B still cuts are different. The deep learning model u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classification using a deep learning model based on the Inception module, which is one of the models that achieved good results in ImageNet among CNN models specialized in image analysis. In order to effectively extract image features, the Inception module creates one module consisting of convolution and Max Pooling, and can be connected to 9 modules to form one CNN model. As a result, this model is designed to enable learning while solving the above problems by efficiently reducing the overfitting problem caused by deeply stacked networks, which is a unique problem of deep learning, and the increasing amount of computation.

블록체인부(370)는, NFT가 발행되는 경우 블록체인 상에 블록을 생성하여 NFT의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하고, NFT로 표상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은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에 저장할 수 있다. 블록체인부(370)는, NFT가 발행되는 경우 NFT의 트랜잭션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에 기록되도록 하고, NFT의 기반인 콘텐츠 리소스는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에 저장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블록체인에는 대용량 파일은 올릴 수 없고 올리더라도 비용(Gas Fee)이 매우 비싸기 때문이다. 따라서 블록체인에 올릴 수 없는 대용량 파일은 IPFS에 분산 저장하여 파일이 저장된 주솟값인 CID 값 만을 블록체인에 올리면,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운영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데이터 위변조가 불가능하여 신뢰할 수 있는 분산앱(dApp)을 구현할 수 있다.When an NFT is issued, the blockchain unit 370 creates a block on the blockchain, inputs and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NFT, and stores at least one still cut represented by the NFT in the InterPlanetary File System (IPFS). . When an NFT is issued, the blockchain unit 370 ensures that the smart contract for the NFT transaction is recorded in the blockchain, and the content resource that is the basis of the NFT can be stored in the InterPlanetary File System (IPFS). The reason is that large files cannot be uploaded to the blockchain, and even if uploaded, the gas fee is very expensive. Therefore, large files that cannot be uploaded to the blockchain are distributedly stored in IPFS and only the CID value, which is the main value where the file is stored, is uploaded to the blockchain, thereby reducing server and database operating costs and making data forgery and falsification impossible, creating a reliable decentralized app (dApp). can be implemented.

이때, 블록체인부(370)는, IPFS를 이용하여 콘텐츠 리소스를 비대칭 암호를 적용한 후 분산저장할 수 있다. NFT의 발행을 위하여 하이퍼레저 패브릭과 연결된 dApp(Decentralized Application)을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하고, IPFS(Inter Planet File System)를 통해 콘텐츠를 업로드한 후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해시(Hash)값을 반환받아 하이퍼레저 패브릭에 전달함으로써 콘텐츠를 블록체인에 기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블록체인은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인 프라이빗 블록체인 또는 허가형 블록체인(Permissioned BlockChain)일 수 있다. 허가형 블록체인은 트랜잭션 처리 및 거래 수행을 위해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라고 불리는 계약서를 사용한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개발 가능한 프로그램이며, 계약을 처리하는 기능들이 함수로 작성된다. At this time, the blockchain unit 370 can use IPFS to distribute and store content resources after applying asymmetric encryption. To issue NFTs, transactions are created and transmit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through a 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connected to Hyperledger Fabric, and after uploading content through IPFS (Inter Planet File System), a hash (hash) is used to download the content. Hash) value can be returned and passed to Hyperledger Fabric to record the content on the blockchain. At this time, the blockchain may be a private blockchain such as Hyperledger Fabric or a permissioned blockchain. Permissioned blockchains use contracts called smart contracts to process and conduct transactions. A smart contract is a program that can be developed in a programming language, and the functions that process the contract are written as functions.

블록체인의 수행에 있어서 스마트 계약은 원장과 더불어 핵심 개념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허가형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스마트 컨트랙트의 관리 및 최적화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함수의 실행시간과 중요도에 기반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함수 정렬을 수행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관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허가형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관리 뿐만 아니라 트랜잭션 검증 및 보증단계의 성능 개선을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In the implementation of blockchain, smart contract is one of the key concepts along with ledger. Therefore, a method is needed to support the management and optimization of smart contracts in permissioned blockchain platform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contract management method that sets priorities and sorts functions based on the execution time and importance of functions can be used as a way to effectively manage smart contract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ransaction verification and assurance stages as well as smart contract management in a permissioned blockchain platform.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입 자동 정산 시스템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자동수익정산부(미도시)는, 동영상의 제작에 참여한 적어도 하나의 주체로 수익을 정산할 수 있다. 즉, 저작권자인 영상 콘텐츠 제공사, 아티스트, 초상권자인 유명인 및 플랫폼 운영사 등 영상 업로드 시 전자 계약서를 통해 제공사, 아티스트와 계약을 하고 이를 토대로 영상을 게시하고, 발생하는 수익금을 정산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utilize an automatic income settlement system. The automatic profit settlement department (not shown) can settle profits with at least one subject who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he video. In other words, when uploading a video, a video content provider, an artist, a copyright holder, a celebrity, or a platform operator, etc. can sign a contract with the provider or artist through an electronic contract, post the video based on this, and settle the profits generated.

이하, 상술한 도 2의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gener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FIGS. 3 and 4 as an exampl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a)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동영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에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에 기하여 NFT를 발행할 수 잇다.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미리 선점된 스틸컷은 제외시키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나머지 스틸컷을 이용하여 NFT를 발행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NFT를 발행하기 이전,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스틸컷이 기 선점된 스틸컷과 동일 또는 유사한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저작물이 중복되지 않도록 검토하는 서버일 수 있다. (b)와 같이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NFT가 거래 단말(400)로 이전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고, (c)와 같이 NFT가 발행되면 블록체인에 등록하여 NFT의 메타데이터를 기록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도 4와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3, (a)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ssign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at least one still cu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frame constituting the video, and at least one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100 NFTs can be issued based on still cuts.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excludes pre-selected still cuts and issues NFTs using the remaining still cuts in the user terminal 100. In addition, before issuing an NFT on the user terminal 100 using a deep learning-based algorithm, it is checked whether the still cut selected on the user terminal 100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pre-selected still cut to prevent duplicate works. It may be a server being reviewed. As in (b),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allows the NFT of the user terminal 100 to be transferred to the transaction terminal 400, and as in (c), when the NFT is issued, it is registered in the blockchain. Therefore, it may be a server that records NFT metadata. In summary, it may be the same as Figure 4,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that are not explained regarding the method of providing an NFT automatic gener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of Figures 2 to 4 are the same as those previously described regarding the method of providing an NFT automatic gener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through Figure 1.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explained contents,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video still cut of Figu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the process shown in FIG. 5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can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는, 동영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으로 생성하고(S5100),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에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식별한다(S5200).Referring to FIG. 5,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generates at least one frame constituting the video as at least one still cut (S5100) and identifies the at least one still cut by assigning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S5100). S5200).

또,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에 대하여 NFT를 발행하고(S5300), 사용자 단말에서 NFT에 대응하는 금액을 결제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전자지갑주소로 전달한다(S5400).In addition,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ssues an NFT for at least one still cut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S5300), and delivers it to the electronic wallet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pays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NFT (S5400) ).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sequence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40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400) may change,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executed simultaneously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5의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that are not explained regarding the method of providing an NFT automatic gener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of Figure 5 are the same as those previously described regarding the method of providing an NFT automatic gener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through Figures 1 to 4.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explained contents,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of providing an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in Figure 5 is also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It can be implemented.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an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using a video still c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n application installed by default in the terminal (this may include programs included in the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etc., installed by default in the terminal). It may be executed by, and may also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program) installed by the user directly on the master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service. In this sense, the method of providing an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program) installed by default in the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the user, and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program) installed by default in the terminal, etc. It may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6)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코드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을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에 기하여 발행된 NFT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 및
동영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으로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에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에 대하여 NFT를 발행하는 발행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NFT에 대응하는 금액을 결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자지갑주소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user terminal that selects at least one still cut to which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and acquires an NFT issued based on the at least one still cut; and
A generator for generating at least one frame of a video into at least one still cut, an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the at least one still cut by assigning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at least one still cut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A gener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n issuing unit that issues an NFT, and a delivery unit that delivers the amount to the electronic wallet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pays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NFT;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video still cuts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을 업로드할 때, 기 선점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을 고유식별코드와 함께 제공하는 선착순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uploading the at least one still cut, a first-come-first-served basis provision unit that provides at least one still cut that has not been preempted with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A system for providing an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을 상기 고유식별코드와 매핑하여 업로드할 때, 기 구축된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기 선점된 스틸컷과 선점되지 않은 스틸컷을 구분하도록 하여 업로드하도록 하는 선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uploading the at least one still cut by mapping it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 selection unit that distinguishes between still cuts that have been pre-empted and still cuts that have not been pre-empted using a pre-established deep learning algorithm and uploads them;
A system for providing an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further compri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 구축된 딥러닝 알고리즘은,
상기 동영상 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을 자동으로 편집하는 알고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previously constructed deep learning algorithm is,
A system for providing an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characterized in that the algorithm automatically edits the at least one still cut in the video.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NFT가 발행되는 경우 블록체인 상에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NFT의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하고, 상기 NFT로 표상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틸컷은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에 저장하는 블록체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the NFT is issued, a blockchain unit that creates a block on the blockchain, inputs and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NFT, and stores the at least one still cut represented by the NFT in the InterPlanetary File System (IPFS);
A system for providing an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동영상의 제작에 참여한 적어도 하나의 주체로 수익을 정산하는 자동수익정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스틸컷을 이용한 NFT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re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an automatic profit settlement unit that settles profits with at least one subject who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he video;
A system for providing an NFT automatic creation service using video still cuts, further comprising:
KR1020220096360A 2022-08-02 2022-08-02 System for providing non-fungible token issuing service using video stillcut KR202400182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360A KR20240018296A (en) 2022-08-02 2022-08-02 System for providing non-fungible token issuing service using video stillc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360A KR20240018296A (en) 2022-08-02 2022-08-02 System for providing non-fungible token issuing service using video stillc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296A true KR20240018296A (en) 2024-02-13

Family

ID=8989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360A KR20240018296A (en) 2022-08-02 2022-08-02 System for providing non-fungible token issuing service using video stillc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829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580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content treatment
Bockstedt et al. The move to artist-led on-line music distribution: a theory-based assessment and prospects for structural changes in the digital music market
US8615474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generated video reviews
US8635169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generated video reviews
Kessler et al. Navigating YouTube: Constituting a hybri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11244380B2 (en) Method of providing creative work trading service for increasing capitalization and accessibility of creative works
CN105677824A (en) Content flow generating and publishing system and content flow capture method
US11158013B2 (en) Aggregated media rights platform with media item identification across media sharing platforms
JP2017519312A (en) A global exchange platform for film industry professionals
Li Rethinking the Chinese internet: Social history, cultural forms, and industrial formation
CN110062256A (en) A kind of video resource shared system
Bazen et al. Musicians and the Creative Commons: A survey of artists on Jamendo
US202300751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tent from creation to consumption
Rennie et al. Blockchain and the Creative Industries: provocation paper
KR20240018296A (en) System for providing non-fungible token issuing service using video stillcut
Garon Digital Hollywood 2.0: reimagining film, music, television, and publishing distribution as a global artist collaborative
KR1024348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ltural contents value chain service using character doll and figure
KR102298121B1 (en) System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video sharing service using contents intellectual property
WO2022066970A1 (en) Multi-language media versioning network and process flow
Kulesz Supporting culture in the digital age
KR20180017533A (en) System for mediating online contents
JP7401892B2 (en) EC integrated metamedia production method, distribution system, and distribution method
Ranganathan Internationalization of entertainment industry services-Bollywood
Rennie et al. New economic infrastructures for creative work
KR20230161294A (en) System for providing non-fungible token based productized service for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