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275A - Method for managing non-fungible token digital contents for the use of copyright and content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ing non-fungible token digital contents for the use of copyright and content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275A
KR20240014275A KR1020220091824A KR20220091824A KR20240014275A KR 20240014275 A KR20240014275 A KR 20240014275A KR 1020220091824 A KR1020220091824 A KR 1020220091824A KR 20220091824 A KR20220091824 A KR 20220091824A KR 20240014275 A KR20240014275 A KR 20240014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digital content
nft
original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8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은
이완섭
현소선
국승훈
조도형
박병주
강희정
하정구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220091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275A/en
Publication of KR20240014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275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NFT(Non-Fungible Token)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콘텐츠 소유자 단말로부터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요청이 획득되면,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여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 및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각각을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원본 링크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상기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 이용을 신청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NFT 자산 정보 및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발행 트랜잭션을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발행 트랜잭션이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NFT를 발행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 method of managing digital content of a Non-Fungible Token (NFT), (a) when an NFT issuance request containing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s obtained from the content owner terminal,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Inserting a watermark in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to create display original digital content, storing eac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the display original digital content in a data storage system, and access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Obtaining original link information, which is path information, and Display Bone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Display Bone digital content; (b)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applies the DisplayBorn digital content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DisplayBorn link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an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rights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Generating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including a menu; and (c)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generates an NFT issuance transaction including NFT asset information and link information for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and broadcasts the NFT issuance transaction to the NFT blockchain network to establish the NFT blockchain network. It relates to a method including the step of issuing an NF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by registering the NFT issuance transaction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NFT blockchain network by distributed agreement of the constituting nodes.

Description

NFT(Non-Fungible Token)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METHOD FOR MANAGING NON-FUNGIBLE TOKEN DIGITAL CONTENTS FOR THE USE OF COPYRIGHT AND CONTENT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Method for managing digital content of NFT (Non-Fungible Token) and conte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METHOD FOR MANAGING NON-FUNGIBLE TOKEN DIGITAL CONTENTS FOR THE USE OF COPYRIGHT AND CONTENT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위한 NFT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를 편집한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NFT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NFT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aging digital content of NFT for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and a conte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ssuing and managing NFT using displaybone digital content edited from original digital content. It relates to a method of managing NFT digital content and a conte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NFT란 Non-Fungible Token의 약어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암호화폐 토큰은 같은 양이라면 얼마든지 교환이 가능한 반면에, NFT는 고유한 식별 정보로 각각의 토큰이 고유한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와 토큰 ID를 가지고 있어 다른 토큰으로 대체 불가능한 특성이 있다.NFT is an abbreviation for Non-Fungible Token. While cryptocurrency tokens such as Bitcoin and Ethereum can be exchanged in the same amount, NFT is a unique smart contract address and token with each token us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ecause it has an ID,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non-replaceable with other tokens.

또한, NFT는 토큰이 담고 있는 꼬리표에 따라 특정 자산 또는 디지털 파일을 특정할 수 있고, 블록체인 원장 기술을 통해 소유권 및 거래이력이 명시됨으로써, 자산의 소유 및 이력을 증명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NFT can identify a specific asset or digital file according to the tag contained in the token, and can serve as proof of ownership and history of the asset by specifying ownership and transaction history through blockchain ledger technology.

즉, NFT는 예술품, 부동산 등의 기존 자산을 디지털 토큰화하는 수단이며, 블록체인 기술로 만든 토큰에 자산의 꼬리표를 붙여서 소유를 명확히 하고 자산을 유동화하는데 활용되고 있다.In other words, NFT is a means of digitally tokenizing existing assets such as artwork and real estate, and is used to clarify ownership and liquidate assets by attaching an asset tag to tokens created using blockchain technology.

그러나, 그림, 동영상, 사진 등을 자산으로 NFT를 생성하려면, 해당 콘텐츠의 저작권자로부터 이용 허락을 받아야 하며, 저작물의 종류와 활용 범위에 따라서는 복제권, 공연권, 전시권, 배포권 및 2차적 저작물 작성권 등 저작권 상세 항목 각각에 대해 허락을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However, in order to create an NFT using a picture, video, photo, etc. as an asset, permission for use must be obtained from the copyright holder of the content, and depending on the type and scope of use, reproduction rights, performance rights, exhibition rights, distribution rights, and the right to create secondary works, etc.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obtain permission for each detailed copyright item.

또한, 종래에는 저작권자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무단으로 NFT를 발행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는 모두 저작권 침해 사례에 해당되며, 이러한 저작권 침해 사고가 끊임 없이 발생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issuing NFTs without permission without seeking the consent of the copyright holder. These are all cases of copyright infringeme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such copyright infringement incidents are constantly occurring.

또한, 모든 내용이 공개되는 블록체인의 특성상, 누구나 NFT에 포함된 디지털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URL에 접속하여 원본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가능하기 때문에, 언제나 저작권 침해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Additionally, due to the nature of the blockchain where all content is public, anyone can check the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formation where the digital content included in the NFT is stored, and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can be downloaded by accessing the URL at any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cases of copyright infringement may occur.

그리고, NFT를 구매하여 NFT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더라도 저작권에 대한 양도는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전시, 대여, 복제 등에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하는 경우, 이는 복제권, 전송권, 대여권, 전시권 침해 사례에 해당된다.In addition, even if you purchase an NFT and have ownership of the NFT, the transfer of copyright is generally not made. In this situation, if digital content is used for exhibition, rental, reproduction, etc., this is an infringement of reproduction rights, transmission rights, rental rights, and exhibition rights. This applies to cases.

또한, NFT의 디지털 콘텐츠를 디지털 장치로 전시하는 경우, 디지털 콘텐츠 원본과 구별이 힘들고, 디지털 콘텐츠의 유일함과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자를 보장할 수 있는 NFT 기술이 접목되어 있다 하더라도 NFT 영역의 외부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작권을 보호받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NFT digital content is displayed on a digital devic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it from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even if NFT technology is incorporated to guarantee the uniqueness of the digital content and the owner of the digital content, it is done outside the NFT area.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tect copyright because it is lost.

따라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improvement measure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re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all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NFT에 포함된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Additionally,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unauthorized use of digital content included in NFT.

또한, 본 발명은 NFT에 포함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재산권 침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copyright infringement of digital content included in NFT.

또한, 본 발명은 NFT에 포함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재산권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age the copyright rights of digital content included in NF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realize the characterist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NFT(Non-Fungible Token)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콘텐츠 소유자 단말로부터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요청이 획득되면,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여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 및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각각을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원본 링크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상기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 이용을 신청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NFT 자산 정보 및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발행 트랜잭션을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발행 트랜잭션이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NFT를 발행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managing digital content of a Non-Fungible Token (NFT), (a) a request for issuance of an NFT containing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from a content owner terminal Once obtained,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inserts a watermark in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to create display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stores eac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the displayed digital content in a data storage system. Obtaining original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stored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Display Bone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Display Bone digital content; (b)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applies the DisplayBorn digital content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DisplayBorn link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an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rights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Generating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including a menu; and (c)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generates an NFT issuance transaction including NFT asset information and link information for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and broadcasts the NFT issuance transaction to the NFT blockchain network to establish the NFT blockchain network. A method including the step of issuing an NF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by registering the NFT issuance transaction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NFT blockchain network by distributed agreement of the constituting nodes is disclosed.

일례로서,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파일시스템, CDN(Content Delivery Network),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 또는 이에 연동되는 타 시스템의 드라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data storage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of a database, a file system, a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an IPFS (InterPlanetary File System), and a drive device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or another system linked thereto. A method is disclosed.

일례로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각각을 서로 다른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in step (a),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stores eac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the displayed digital content in different data storage systems.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NFT(Non-Fungible Token)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콘텐츠 소유자 단말로부터의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를 삽입한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각각을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원본 링크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 이용을 신청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생성하며, NFT 자산 정보 및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트랜잭션을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NFT가 발행된 상태에서,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통한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상기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가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가 제3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를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주는 단계; 및 (b)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에서의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상기 원본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복제본 링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 상기 복제본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토큰을 발행하여 주는 프로세스 및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 상기 원본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토큰을 발행하여 주는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managing digital content of a Non-Fungible Token (NFT), (a) a request for issuance of an NFT containing original digital content from a content owner terminal and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n response, eac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the display digital content with a watermark inserted in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re stored in a data storage system, and the original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Obtain link information and DisplayBorn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DisplayBorn digital content, and display the DisplayBorn digital content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DisplayBorn link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Creates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to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including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for applying for copyright property use for content, and NFT asset information and the abov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In a state in which an NF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s issued by registering an NFT issuance transaction including the NFT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NFT blockchain network,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user terminal through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Once obtained,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refers to the Display Bone link information to display the Display Bone digital content in a first area,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n a second area, and apply for use of the copyright property rights. Providing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where a menu is displayed in a third area,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and (b) when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on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is selected by the content user terminal,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retrieves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from the data storage system using the original link information. Obtain and generate replica digital conten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tore the replica digital content in the data storage system, and generate replica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replica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And, performing any one process of issuing a first token containing the replica link information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and a process of issuing a second token containing the original link information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A method including the step of: is disclosed.

일례로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콘텐츠 이용자에 대한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콘텐츠 활용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활용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에 따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하거나, 상기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활용 정보를 상기 콘텐츠 소유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콘텐츠 소유자 단말에 대응되는 콘텐츠 소유자로 하여금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in step (b),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acquires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for the content user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selection of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Refer to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the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and approve the application to use the copyright property according to the selection from the application menu for copyright property use, or transmit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the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to the content owner terminal and send it to the content owner terminal. A method is disclos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sponding content owner approves the application for use of the copyright property rights.

일례로서,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활용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 정보,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한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 및 상기 제1 토큰 또는 상기 제2 토큰에 대한 토큰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거나,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 정보,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 및 상기 토큰 이력 정보를 콘텐츠 관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may includ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sel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copyright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that approves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and the first token or the Characterized by storing and managing the token history information for the second token in a database, or registering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selection information,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and the token history information in a content management blockchain network. A method is disclosed.

일례로서,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이용자가 유효한 이용자인지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a method is disclosed wherein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verifies whether the content user is a valid user using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일례로서,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한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a method is disclosed wherein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adds copyright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that approves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to the duplicate digital content.

일례로서,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상기 제1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하거나, 상기 제2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권한 정보를 설정하며,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토큰을 이용한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요청 정보 또는 상기 제2 토큰을 이용한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접근 권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콘텐츠 이용자가 정당한 이용자인지를 검증하며, 상기 콘텐츠 이용자가 정당한 이용자인 것으로 검증되면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 또는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sets access authority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duplicate digital content using the first token or access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using the second token, and the content user terminal When access request information for the duplicate digital content using the first token or access request information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using the second token is obtained from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with reference to the access authority information A method is disclosed, which includes verifying whether a content user is a legitimate user, and allowing access to the duplicate digital content 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f the content user is verified to be a legitimate user.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NFT(Non-Fungible Token)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 콘텐츠 소유자 단말로부터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요청이 획득되면,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여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 및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각각을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원본 링크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II) 상기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 이용을 신청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스; 및 (III) NFT 자산 정보 및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발행 트랜잭션을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발행 트랜잭션이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NFT를 발행하여 주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digital content of a Non-Fungible Token (NFT), comprising: at least one memory storing instructions; And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execute the instructions; including, wherein the processor is, (I) when an NFT issuance request containing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s obtained from the content owner terminal, Creating display digital content by inserting a watermark in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toring eac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the display original digital content in a data storage system, and providing an access path 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A process of acquiring original link information as information and Display Bone link information a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Display Bone digital content; (II) Copyright rights including the DisplayBorn digital content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DisplayBorn link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a copyright right use application menu for applying for copyright use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 process of generating link information for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ed property rights,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for use page; and (III) creating an NFT issuance transaction containing NFT asset information and link information for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rights, and broadcasting the NFT issuance transaction to the NFT blockchain network to reach a distributed consensus of nodes constituting the NFT blockchain network. A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performs a process of issuing an NF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by registering the NFT issuance transaction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NFT blockchain network is disclosed.

일례로서,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파일시스템, CDN(Content Delivery Network),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 또는 이에 연동되는 타 시스템의 드라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data storage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of a database, a file system, a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an IPFS (InterPlanetary File System), and a drive device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or another system linked thereto. A content management system is disclosed.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각각을 서로 다른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a content management system is disclosed, wherein the processor, in process (I), stores eac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the displayed digital content in different data storage systems.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NFT(Non-Fungible Token)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 콘텐츠 소유자 단말로부터의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를 삽입한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각각을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원본 링크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 이용을 신청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생성하며, NFT 자산 정보 및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트랜잭션을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NFT가 발행된 상태에서,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통한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가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가 제3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를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주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에서의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원본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복제본 링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 상기 복제본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토큰을 발행하여 주는 프로세스 및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 상기 원본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토큰을 발행하여 주는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aging digital content of a Non-Fungible Token (NFT), comprising: at least one memory storing instructions; And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execute the instructions, wherein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I) respond to an NFT issuance request containing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from a content owner terminal, Eac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the display digital content with a watermark inserted in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re stored in a data storage system, and original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Obtain DisplayBorn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DisplayBorn digital content, and display the DisplayBorn digital content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DisplayBorn link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authoring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Creates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to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which includes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for applying for copyright use, and issues NFTs containing NFT asset information and the abov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In a state in which an NF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s issued by registering a transaction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NFT blockchain network, when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content user terminal through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DisplayBorn link information, the DisplayBorn digital content is displayed in a first area, information on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s displayed in a second area, and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is displayed in a third area. A process of providing a property rights use application page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and (II) when the content user terminal selects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on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obtains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from the data storage system using the original link information, and obtains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from the data storage system. Generating replica digital content for content, storing the replica digital content in the data storage system, generating replica link information that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replica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and the content user terminal A process of performing any one of a process of issuing a first token containing the replica link information and a process of issuing a second token containing the original link information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A content management system is disclosed.

일레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콘텐츠 이용자에 대한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콘텐츠 활용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활용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에 따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하거나, 상기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활용 정보를 상기 콘텐츠 소유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콘텐츠 소유자 단말에 대응되는 콘텐츠 소유자로 하여금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in the process (II), the processor acquires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for the content user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and the content user Approving the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rights by selecting the application menu for use of copyright rights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and the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or transmitting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the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to the content owner terminal to obtain the corresponding content owner terminal. A content management system is disclosed, characterized in that it allows a content owner to approve an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ed property rights.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활용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 정보,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한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 및 상기 제1 토큰 또는 상기 제2 토큰에 대한 토큰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거나,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 정보,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 및 상기 토큰 이력 정보를 콘텐츠 관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processor may include copyrighted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sel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the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copyrighted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that approved the copyrighted property use application, and the first token or the second Content management, characterized by storing and managing token history information about tokens in a database, or registering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selection information,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and the token history information in a content management blockchain network. The system starts.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콘텐츠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이용자가 유효한 이용자인지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a content management system is disclosed wherein the processor verifies whether the content user is a valid user using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한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a content management system is disclosed wherein the processor adds copyright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approving the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to the copied digital content.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하거나, 상기 제2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권한 정보를 설정하며,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토큰을 이용한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요청 정보 또는 상기 제2 토큰을 이용한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접근 권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콘텐츠 이용자가 정당한 이용자인지를 검증하며, 상기 콘텐츠 이용자가 정당한 이용자인 것으로 검증되면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 또는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processor sets access authority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duplicate digital content using the first token or access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using the second token, and sets access authority information to access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from the content user terminal. When access request information for the duplicate digital content using the first token or access request information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using the second token is obtained, the content user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refers to the access authority informatio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is disclosed, which verifies whether the content user is a legitimate user, and allows access to the duplicate digital content 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f the content user is verified to be a legitimate user.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를 삽입한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NFT를 발행함으로써 NFT에 포함된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unauthorized use of the digital content included in the NFT by issuing an NFT using displaybone digital content with a watermark inserted into the digital content.

또한, 본 발명은 NFT에 포함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재산권에 대한 이용 허락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의 원본에 대한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NFT에 포함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재산권 침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copyright infringement of digital content included in an NFT by allowing access to the original of the digital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permission to use the copyright property rights of the digital content included in the NFT.

또한, 본 발명은 NFT에 포함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재산권에 대한 이용 허락을 관리함으로써 NFT에 포함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재산권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the copyright rights of digital content included in an NFT by managing permission to use the copyright rights of the digital content included in the NFT.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되기 위하여 첨부된 아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발명적 작업이 이루어짐 없이 이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복수의 서버로 구성한 세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NFT 발행 요청에 따라 NFT를 발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NFT가 발행된 상태에서,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정보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 가능한 토큰을 발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for use in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som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ereinafter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invention Other drawings can be obtained based on these drawings without further work being done.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a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digital content of N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of a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digital content of N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rvers,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 process in which a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digital content of N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sues NFT in response to an NFT issuance request,
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 process in which a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digital content of N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sues a token that can access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information in a state in which an NFT has been issued. It was done,
Figure 5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copyright use application page provided to a content user terminal by a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NFT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o make clear the objectives, technical solution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것의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Additionally, throughout the description and claims, the word “comprise” and variations thereof are not intended to exclude other technical features, attachments, components or steps.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invention will app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partly from this description and partly from practice of the invention. The examples and drawings below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together with all equivalents to what those claims assert, if properly described. Similar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refer to identical or similar functions across various aspects.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order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1 schematically shows a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digital content of N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NFT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1010)와 메모리(101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에 대응하여 NFT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프로세서(10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서버, PC(Personal Computer), 태블릿, 모바일 컴퓨터, PDA/EDA, 휴대 전화, 스마트폰, IOT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includes a memory 1010 that stores instructions for managing the digital content of the NFT and a processor that manages the digital content of the NFT in response to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010 ( 1020). At this time,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may include various computing devices such as a server, personal computer (PC), tablet, mobile computer, PDA/EDA, mobile phone, smartphone, IOT device, etc.

구체적으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전형적으로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typically includes a computing device (e.g., a device that may include a computer processor, memory, storage, input and output devices, and other components of a traditional computing device; such as a router, switch, etc.). uses a combination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s (electronic information storage systems, such as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and storage area networks (SANs)) and computer software (i.e., instructions that enable a computing device to function in a particular way) It may be to achieve system performance.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of the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hardware components such as a Micro Processing Unit (MPU) or Central Processing Unit (CPU), cache memory, and data bus. Additionally, the compu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ng system and a software component of an application that performs a specific purpose.

그러나, 컴퓨팅 장치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미디엄, 프로세서 및 메모리가 통합된 형태인 integrated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is does not exclude the case where the computing device includes an integrated processor in which a medium, processor, and memory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grated.

한편,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서버들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rvers that perform various func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복수의 서버로 구성한 세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chematically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of a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digital content of N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rvers.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콘텐츠 소유자 단말 또는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한 처리 결과를 콘텐츠 소유자 단말 또는 콘텐츠 이용자 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웹/앱 서비스 서버(1100),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콘텐츠 활용 정보를 참조하여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에 따른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을 처리하기 위한 결재 서버(1200),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 정보,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를 참조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 형태, 활용 공간, 활용 기간, 활용자 등의 활용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 외부의 공개형 블록체인인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2100)를 통해 NFT를 발행하고 발행된 NFT를 관리하기 위한 NFT 발행 서버(1400),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부터 발행된 토큰을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할 때 콘텐츠 이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콘텐츠 이용자가 정당한 이용자인지 검증하고, 검증된 콘텐츠 이용자에게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접근 권한 관리 서버(1500), 원본 디지털 콘텐츠,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및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를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에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is a web/app service server (web/app service server) for receiving a signal from a content owner terminal or a content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processing result for the received signal to the content owner terminal or content user terminal. 1100), a payment server 1200 for processing approval for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application menu for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by referring to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 user terminal, information on selection of application menu for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copyright Us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and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to manage usage information such as usage form, usage space, usage period, user, etc. of digital content by referring to property rights usage approval information, a public blockchain external to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An NFT issuing server (1400) for issuing NFTs and managing the issued NFTs through the NFT blockchain network (2100), a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when accessing digital content using a token issued from the content user terminal. An access rights management server (1500) that verifies whether a user is a legitimate user and allows access to digital content to verified content users, and stores original digital content, display copy digital content, and duplicate digital content in a data storage system (2300). It may be configured with a data storage management server 1600 for storing and managing.

이때,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결재 서버(1200),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 접근 권한 관리 서버(1500) 등은 원본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 재산권의 이용, 허락, 및 사용 등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신뢰할 수 있는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여 관리하거나, 콘텐츠 관리 블록체인 네트워크(2200)에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payment server 1200, th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and the access rights management server 15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collect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 permission, and use of the copyright property rights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t may be managed by storing it in a reliable storage system such as a database, or it may be managed by registering it in the content management blockchain network 2200.

도 2에서는 웹/앱 서비스 서버(1100), 결재 서버(1200),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 NFT 발행 서버(1400), 접근 권한 관리 서버(1500), 및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 각각이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각의 서버들을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과 분리하여 개별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Figure 2, a web/app service server 1100, a payment server 1200, a usag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an NFT issuing server 1400, an access rights management server 1500, and a data storage management server 1600, respectively. Although shown as included in this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Each server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and configured as an individual system.

또한, 웹/앱 서비스 서버(1100), 결재 서버(1200),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 NFT 발행 서버(1400), 접근 권한 관리 서버(1500),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 각각은 적어도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web/app service server 1100, payment server 1200, us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NFT issuing server 1400, access rights management server 1500, and data storage management server 1600 is at least It may be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memory and a processor.

구체적으로, 웹/앱 서비스 서버(1100), 결재 서버(1200),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 NFT 발행 서버(1400), 접근 권한 관리 서버(1500),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 및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은 전형적으로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a web/app service server (1100), payment server (1200), usag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NFT issuing server (1400), access rights management server (1500), data storage management server (1600), and Data storage system 2300 typically refers to a computing device (e.g., a device that may include a computer processor, memory, storage, input and output devices, and other components of a traditional computing device;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router, switch, etc. achieve desired system performance using a combination of electronic information storage systems (such as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and storage area networks (SAN)) and computer software (i.e., instructions that cause a computing device to function in a specific way) It can be achieved.

그리고,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of the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hardware components such as a Micro Processing Unit (MPU) or Central Processing Unit (CPU), cache memory, and data bus. Additionally, the compu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ng system and a software component of an application that performs a specific purpose.

그러나, 컴퓨팅 장치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미디엄, 프로세서 및 메모리가 통합된 형태인 integrated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is does not exclude the case where the computing device includes an integrated processor in which a medium, processor, and memory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grated.

이와 같이 구성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이 콘텐츠 소유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NFT 발행 요청에 따라 NFT를 발행하고,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 정보를 참조하여 원본 디지털 콘텐츠 또는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토큰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configured in this way issues an NFT in accordance with the NFT issuance request received from the content owner terminal, and refers to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sel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 user terminal to provide original digital content or duplicate digital content. A method of providing a token for ac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참고로, 디지털 자산은, 귀금속 등과 달리, 무한히 복제가 가능하며, 원본과 복사본의 구분이 불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자산에 대한 NFT가 생성되는 과정을 살펴봐도, 엄격한 기준에 따라 심사를 거쳐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자산을 업로드하면 해당 디지털 자산에 대한 NFT를 발행하여 주므로, 특정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디지털 자산 원본에 대한 NFT가 발행되더라도, 특정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복제된 디지털 자산에 대해서 디지털 자산 원본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지 않은 타인에 의해 NFT가 발행됨으로써 어떤 NFT가 디지털 자산 원본에 대응되는 NFT인지 구분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디지털 자산 원본의 저작권을 보호받기 힘든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For reference, digital assets, unlike precious metals, can be copied infinitely and have the characteristic of making it im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originals and copies. In addition, looking at the process by which NFTs for digital assets are created, they are not created after screening according to strict standards, but when a digital asset is uploaded, an NFT for the digital asset is issued, so it is a digital asset in a specific blockchain network. Even if an NFT for the original is issued, the NFT is issued by a third party who does not have ownership of the original digital asset for a digital asset replicated on a blockchain network other than a specific blockchain network, making it impossible for any NFT to correspond to the original digital asse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whether it is an NFT, and as a result, a situation may arise where it is difficult to protect the copyright of the original digital asset.

따라서, NFT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하는 프로세스를 통해 콘텐츠 이용자에게 공개되지 않는 디지털 자산 원본의 URL을 갖고 있으면서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과 승인이 가능하고, 승인을 통해 콘텐츠 이용자에게 디지털 자산의 복제본 또는 원본에 접근 가능한 토큰을 제공함으로써 위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디지털 자산 원본에 대한 가치를 보존할 수 있다.Therefore,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below for NFT, it is possible to apply for and approve the use of copyright rights for a digital asset while having the URL of the original digital asset that is not disclosed to the content user, and through approval, a copy of the digital asset can be provided to the content user. Alternatively, you can prevent the above situation from occurring and preserve the value of the original digital asset by providing a token that can access the original.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NFT 발행 요청에 따라 NFT를 발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 process in which a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digital content of N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sues NFT in response to an NFT issuance request.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NFT를 발행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Figure 3, the process of issuing NFT for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요청을 콘텐츠 소유자 단말(1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S210).First,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may obtain an NFT issuance request including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from the content owner terminal 100 (S210).

일 예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웹/앱 서비스 서버(1100)가 콘텐츠 소유자의 콘텐츠 소유자 단말(100)에 설치된 웹 또는 앱을 통해 NFT 발행 서비스를 제공하여, 콘텐츠 소유자가 콘텐츠 소유자 단말(100)을 통해 NFT 발행에 필요한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이에 대한 정보의 입력 이후 NFT 발행을 요청하면, 콘텐츠 소유자 단말(100)에 설치된 웹 또는 앱과의 연동을 통해 웹/앱 서비스 서버(1100)가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web/app service server 11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provides an NFT issuance service through a web or app installed on the content owner's content owner terminal 100, so that the content owner can use the content owner terminal 100. ), you can inp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necessary for issuing the NFT, and when requesting the issuance of an NFT after inputt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it, the web or installed on the content owner terminal 100 Through linking with the app, the web/app service server 1100 can obtain an NFT issuance request containing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it.

이때, 콘텐츠 소유자 단말(100)은 PC, 태블릿, 모바일 컴퓨터, PDA/EDA, 휴대 전화, 스마트폰, IOT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content owner terminal 100 may use various computing devices such as PCs, tablets, mobile computers, PDAs/EDAs, mobile phones, smartphones, IOT device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 자체에 대한 설명,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 설명, 저작권자, 공표일,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부연 설명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description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tself, a description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copyright holder, publication date, and additional explanation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일 예로, 원본 디지털 콘텐츠가 음악 파일일 경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로 아티스트 이름, 앰범 이름, 출시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재 NF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크립토키티(CryptoKitty)의 경우에는, 고양이에 대한 설명과 이름, 사진, 추가 속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공연 티켓의 경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로 티켓 이름과 설명 외에 공연 일자와 좌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의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NFT와 관련한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s a music file,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may include the artist name, album name, release date, etc. Additionally, in the case of CryptoKitty, which currently provides NFT services, a description of the cat, name, photo, and additional attributes may be included. Additionally, in the case of performance tickets,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may include performance date and seat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ticket name and description. However, information about original digital conten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digital content related to NFT.

다음으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획득한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여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하고(S220), 원본 디지털 콘텐츠 및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각각을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에 저장할 수 있다(S230).Next,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inserts a watermark into the acquired original digital content to create display digital content (S220), and stores eac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display digital content in the data storage system 2300. (S230).

그리고,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에 저장된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원본 링크 정보와,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40).In addition,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may obtain original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2300, and display source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display source digital content. (S240).

일 예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웹/앱 서비스 서버(1100)를 통해 콘텐츠 소유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된 원본 디지털 콘텐츠가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로 전송되며,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를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여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한 다음,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를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에 저장된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인 원본 링크 정보와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할 수 있다.As an example, original digital content obtained from the content owner terminal 100 is transmitted to the data storage management server 1600 through the web/app service server 11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and the data storage management server 1600 ) can store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n the data storage system 2300. In addition, the data storage management server 1600 may insert a watermark in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to create the displayed digital content and then store the displayed digital content in the data storage system 2300. In addition, the data storage management server 1600 provides original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information 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2300, and display bone,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to the display bone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2300. Link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nd managed.

이때,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는 발행되는 NFT에 대한 원본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저작권 정보와 같은 비밀 정보를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하거나, 그림이나 문자를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하여 원본 출처 및 정보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디지털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Displaybone digital content is intended to prevent illegal copying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for the issued NFT, by inserting confidential information such as copyright information in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or inserting pictures or text in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various digital watermarks that allow information to be tracked.

또한,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은 데이터베이스, 파일시스템, 최종 사용자와 가까운 POP(Point-Of-Presence) 위치의 에지 서버에 캐시된 콘텐츠를 저장하여 대시 시간을 최소화하는 CDN(Content Delivery Network), 분산 파일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고 저장하기 위한 peer-to-peer 네트워크인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 또는 이에 연동되는 타 시스템 내지 타 서버의 드라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data storage system 2300 is a database, a file system, a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that stores cached content on an edge server at a Point-Of-Presence (POP) location close to the end user, thereby minimizing dash time, and a distribute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PFS (Interplanetary File System), a peer-to-peer network for sharing and storing data in the file system,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or another system linked to it or a drive device of another ser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각각을 서로 다른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에 저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원본 디지털 콘텐츠 및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각각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supports storing eac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the displayed digital content in different data storage systems 2300, so tha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the displayed digital content can be managed separately.

다음으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 이용을 신청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생성 할 수 있다(S250).Next,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includes DisplayBorn digital content displayed in response to DisplayBorn link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a copyright rights use application menu for applying for copyright use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You can creat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S250).

일 예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가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NFT 발행 서버(1400)로 전송하여 주며, NFT 발행 서버(1400)는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로부터 획득한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 이용을 신청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줄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가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 이용을 신청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줄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ata storage management server 16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transmits display bone link information to the NFT issuing server 1400, and the NFT issuing server 1400 obtains it from the data storage management server 1600. Using the DisplayBone link information, DisplayBorn digital content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DisplayBorn link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a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for applying for copyright use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You can creat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In contrast, the data storage management server 16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applies for the use of copyright rights for the DisplayBorn digital content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DisplayBorn link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t is possible to generat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including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여기서,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통해 확인 가능한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의 예시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설명하겠다.Here, an example of a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that can be confirmed through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FIG. 5.

다음으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NFT 자산 정보 및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S260).Next,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may generate an NFT issuance transaction including NFT asset information and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S260).

일 예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NFT 발행 서버(1400)는 NFT 자산 정보, 및 NFT 메타데이터로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NFT issuance server 14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may generate an NFT issuance transaction that includes NFT asset information and link information for applying for copyright property use as NFT metadata.

이때, NFT 자산 정보는 토큰 ID, 스마트 컨트랙트 어드레스, NFT 발행자 정보,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 정보, 콘텐츠 메타데이터 정보 등과 같이 NFT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FT 자산 정보는 NFT의 유효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타임스탬프, 서명값 등 다양한 검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NFT asset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NFT, such as token ID, smart contract address, NFT issuer information, NFT blockchain network information, content metadata information, etc. Additionally, NFT asset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ver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timestamps and signature value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NFT.

이후,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NFT 발행 트랜잭션을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2100)로 브로드캐스팅하여(S270)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2100)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NFT 발행 트랜잭션이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2100)의 분산원장에 등록되도록 함으로써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NFT를 발행할 수 있다(S280).Afterwards,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broadcasts the NFT issuance transaction to the NFT blockchain network 2100 (S270) and the NFT issuance transaction is transmitted to the NFT blockchain by distributed agreement of the nodes constituting the NFT blockchain network 2100. NFTs for original digital content can be issued by registering them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network 2100 (S280).

일 예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NFT 발행 서버(1400)가 NFT 발행 트랜잭션을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2100)로 브로드캐스팅하여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2100)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NFT 발행 트랜잭션이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2100)의 분산원장에 등록되도록 함으로써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NFT를 발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NFT가 발행되면, NFT 발행 서버(1400)는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2100)로부터 NFT 발행 결과 정보를 획득하여 웹/앱 서비스 서버(1100)로 전송함으로써 콘텐츠 소유자가 콘텐츠 소유자 단말(100)에 설치된 웹 또는 앱을 통해 NFT 발행 결과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NFT issuance server 14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broadcasts an NFT issuance transaction to the NFT blockchain network 2100 to issue an NFT by distributed agreement of the nodes constituting the NFT blockchain network 2100.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issuance of NFTs for original digital content by ensuring that transactions are registe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NFT blockchain network (2100). In addition, when an NFT is issued, the NFT issuing server 1400 obtains the NFT issuance result information from the NFT blockchain network 2100 and transmits it to the web/app service server 1100, so that the content owner can send it to the content owner terminal 100. You can check NFT issuance result information through the installed web or app.

이때, 발행되는 NFT에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가 아니라 저작권 정보와 같은 비밀 정보를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하거나, 그림이나 문자를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하여 원본 출처 및 정보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디지털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생성한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가 포함되어 공개되고, 이를 통해 발행된 NFT에 포함된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며, 저작재산권 침해 사례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issued NFT is no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but various digital watermarks that insert secret information such as copyright information in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or insert pictures or text in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llowing the original source and information to be traced. Displaybone digital content created using the display is included and disclosed, which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unauthorized use of digital content included in NFTs issued through this and preventing cases of copyright infringemen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NFT가 발행된 상태에서,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정보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 가능한 토큰을 발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 process in which a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digital content of an N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sues a token accessible to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information in a state in which an NFT has been issued. It was don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프로세스에 따라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2100)의 분산원장에 NFT 자산 정보 및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트랜잭션을 등록함으로써 NFT가 발행될 수 있으며(S310), NFT를 발행하는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내용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4, an NFT can be issued by registering an NFT issuance transaction containing NFT asset information and copyright usag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NFT blockchain network 2100 according to the process described in FIG. 3, (S310), the process for issuing NFTs will be omitted as it is redundant.

다음으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로부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통한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20).Next,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may obtain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information through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S320).

그리고,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정보가 획득되면,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가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가 제3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를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줄 수 있다(S330).Then, when the copyright rights use appli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refers to the Display Bone link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Display Bone digital content in the first area, and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 a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where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is displayed in the third area can be provided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S330).

일 예로, 콘텐츠 이용자가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2100)으로 NFT를 확인하고, NFT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를 확인하기 위하여 NFT의 메타데이터로 삽입된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선택하면,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웹/앱 서비스 서버(1100)는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로부터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획득하고, NFT 발행 서버(1400)로부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다음,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에 따른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가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가 제3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를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 이용자는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웹 또는 앱을 통해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및 원본 디지털 콘텐츠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NFT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As an example, when a content user confirms an NFT with the NFT blockchain network (2100) and selects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inserted as metadata of the NFT to confirm digital content for the NFT,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s web/app service server 1100 obtains display bone link information from the data storage management server 1600, obtains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from the NFT issuing server 1400, and then adds the display bone link information to the display bone link information. The display original digital content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nd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is displayed in the third area.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 can be provided. Through this, the content user can check the contents of the digital content for the NFT by checking the displayed digital content and original digital content information through the web or app installed on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여기서,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은 PC, 태블릿, 모바일 컴퓨터, PDA/EDA, 휴대 전화, 스마트폰, IOT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Here,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may use various computing devices such as PCs, tablets, mobile computers, PDAs/EDAs, mobile phones, smartphones, IOT device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에 의해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에서의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가 선택되면,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에 따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40).Next, when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on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is selected by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provides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sel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selection. Can be obtained (S340).

일 예로, 콘텐츠 이용자가 콘텐츠 이용자의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웹 또는 앱을 통해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에서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를 선택하면,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웹/앱 서비스 서버(1100)가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a content user selects the application menu for copyright property use on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through the web or app installed on the content user's content user terminal 200, the web/app service server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 1100) can obtain information on menu selection for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이때,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콘텐츠 이용자의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에 대응하여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콘텐츠 활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may obtain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content user's selection of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일 예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웹/앱 서비스 서버(1100)가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에 대응되는 콘텐츠 이용자로 하여금,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에 대응하여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콘텐츠 활용 정보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콘텐츠 활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web/app service server 11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allows the content user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to provide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By entering information,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그리고, 콘텐츠 이용자 정보에는 콘텐츠 이용자의 성명, 생년월일, 주소, 연락수단, 콘텐츠 이용자 인증 정보, 콘텐츠 이용자의 IP(Internet Protocol) 정보, 콘텐츠 이용자 단말 정보, 및 추가 검증수단 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콘텐츠 활용 정보에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복제권, 공연권, 전시권, 배포권, 및 2차적저작물작성권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작재산권 정보, 원본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 목적, 활용 공간, 활용 기간, 활용 예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content user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he content user's name, date of birth, address, means of contact, content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ntent user's IP (Internet Protocol) information, content user terminal information, and additional verification method information,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copy rights, performance rights, exhibition rights, distribution rights, and derivative work creation rights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the purpose of utilization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pace for use, period of use, and examples of use. It can be included.

또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에 따라 획득된 콘텐츠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한 콘텐츠 이용자가 유효한 이용자인지 검증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may use content user information obtained in response to an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to verify whether the content user who applied for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is a valid user.

일 예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웹/앱 서비스 서버(1100)를 통해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으로부터 획득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정보가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로 전송되며,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정보에 포함되는 콘텐츠 이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문자 인증, 전화통화 인증, 인증서 인증, PKI 인증 등 다양한 사용자 인증 방식을 통해 콘텐츠 이용자를 검증함으로써 유효한 이용자인지 검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copyright rights use application menu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o the us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through the web/app service server 11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and the us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The server 1300 verifies whether the content user is a valid user by referring to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information and verifying the content user through various user authentication methods such as text authentication, phone call authentication, certificate authentication, and PKI authentication. You can also perform a process.

또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콘텐츠 활용 정보를 참조하여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에 따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하거나,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콘텐츠 활용 정보를 콘텐츠 소유자 단말로 전송하여 콘텐츠 소유자 단말에 대응되는 콘텐츠 소유자로 하여금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refers to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and approves the application for copyright property use according to the selection from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or transmits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to the content owner terminal to create the content. The content owner corresponding to the owner terminal may approve the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일 예로,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정보가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웹/앱 서비스 서버(1100)를 통해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로 전송되며,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는 획득된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 정보를 결재 서버(1200)로 전송하여 결재 서버(1200)로 하여금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콘텐츠 활용 정보를 참조하여 콘텐츠 이용자에게 해당 콘텐츠 활용 정보를 가지는 저작재산권에 대한 이용을 허락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거나, 결재 서버(1200)가 웹/앱 서비스 서버(1100)를 통해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콘텐츠 활용 정보를 콘텐츠 소유자 단말로 전송하여 콘텐츠 소유자가 해당 저작재산권에 대한 이용을 허락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pyrighted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o the us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through the web/app service server 11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and the use application is managed. The server 1300 transmits the acquired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payment server 1200 and allows the payment server 1200 to refer to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and provide the content user with the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cide whether to allow the use of property rights, or the payment server 1200 transmits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usage information to the content owner terminal through the web/app service server 1100 so that the content owner can claim the copyright rights. You can decide whether to allow its use.

이때,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결재 서버(1200)는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사전에 결재선을 등록할 수 있으며, 등록된 결재선에 따라 제1 결재자 내지 제n 결재자까지 다수의 결재자를 생성할 수 있고, 제1 결재자 내지 제n 결재자 각각에 검토 또는 전결 등의 역할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하는 프로세스를 순차적 프로세스 또는 공동 프로세스의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yment server 12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may register an approval line in advance to generate copyright use approval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approval lines from the first to the nth approver may be registered according to the registered approval line. Approvers can be created, roles such as review or pre-approval can be set for each of the first to nth approvers, and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process of approving the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can be performed in a sequential process or joint process. there is.

또한,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가 생성되면,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결재 서버(1200)가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를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에 전송하거나, 콘텐츠 소유자가 콘텐츠 소유자 단말에 설치된 웹 또는 앱을 통해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를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에 전송함으로써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가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pyrighted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payment server 12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transmits the copyrighted property use approved information to the us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or the content owner sends the copyrighted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to the webpage installed on the content owner's terminal. Alternatively, the usag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may obtain the copyright usage approval information by transmitting the copyright usage approval information to the usag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through the app.

한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하는 과정에서 반려가 되는 경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결재 서버(1200)가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하는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이 반려되었음을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를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로 전송하며,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가 획득되는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를 웹/앱 서비스 서버(1100)를 통해 콘텐츠 이용자의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ed property rights is rejected in the process of approval, the payment server 12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terminates the process of approving the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ed property rights, and provides information including that the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ed property rights has been rejected.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and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obtained by the us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user's content user terminal ( 200).

그리고,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콘텐츠 이용자 정보와 콘텐츠 활용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 정보 및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한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거나, 콘텐츠 관리 블록체인 네트워크(2200)에 등록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stores and manages in a database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selection information including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and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that has approved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or a content management block. It can also be managed by registering in the chain network 2200.

일 예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정보 및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또는 이와 유사한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여 관리하거나,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정보 저장 트랜잭션 및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이용 승인 사항 저장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정보 저장 트랜잭션 및 콘텐츠 이용 승인 사항 저장 트랜잭션을 콘텐츠 관리 블록체인 네트워크(2200)로 브로드캐스팅하여 콘텐츠 관리 블록체인 네트워크(2200)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정보 저장 트랜잭션 및 콘텐츠 이용 승인 사항 저장 트랜잭션을 콘텐츠 관리 블록체인 네트워크(2200)의 분산원장에 등록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stores and manages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information and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in a database or similar storage system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information and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Create a transaction to stor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information, including application menu information for copyright property use, and save content use approval information, including transaction and content use approval information, and save transaction for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information and store content use approval information. Content management by broadcasting to the content management blockchain network (2200)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ed property rights through distributed agreement of nodes constituting the content management blockchain network (2200) Saving menu information Saving transactions and content use approvals Saving transactions to the content management blockchain network It can also be managed by registering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2200).

다음으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원본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원본 디지털 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에 접근하며(S350),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으로부터 원본 디지털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S360).Next,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uses the original link information to access the data storage system 2300 where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s stored (S350), and can obtain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from the data storage system 2300 (S350). S360).

또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하고(S370), 생성된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를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에 저장할 수 있다(S380).Additionally,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may generate duplicate digital conten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370) and store the created duplicate digital content in the data storage system 2300 (S380).

그리고,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에 저장된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인 복제본 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90).Additionally,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may obtain replica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information for the duplicate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2300 (S390).

일 예로,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웹 또는 앱을 통해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 정보를 획득하면,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가 원본 디지털 콘텐츠 요청 정보를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에 전송하고,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 요청 정보에 따라 원본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원본 디지털 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 상에 접근하며,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으로부터 원본 디지털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selection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menu for copyright property use is obtained through the web or app installed on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th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stores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request information as data.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600, the data storage management server 1600 accesses the data storage system 2300 in which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s stored using the original lin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request information, and the data storage system ( Original digital content can be obtained from 2300).

또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가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으로부터 획득한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를 포함하는 표식 등을 추가하여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한 다음,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를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storage management server 16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adds a mark including copyright use approval information 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obtained from the data storage system 2300 to create duplicate digital content. , replica digital content can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2300.

이때,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를 포함하는 표식 등이 없는 경우에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이 승인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if the copied digital content does not have a mark containing copyright use approval information, it may be used to confirm that the application for copyright use has not been approved.

또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가 데이터 저장 시스템(2300)에 저장된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인 복제본 링크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ata storage management server 16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may obtain and manage replica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information for duplicate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2300.

다음으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복제본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토큰을 발행하여(S400)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로 제1 토큰을 제공하거나(S410), 원본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토큰을 발행하여(S401)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로 제2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S411).Next,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issues a first token containing replica link information (S400) and provides the first token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S410) or a second token containing original link information. A token may be issued (S401) and a second token may be provided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S411).

일 예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가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에 토큰 발행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로부터 복제본 링크 정보를 획득하며, 복제본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토큰을 발행하여 웹/앱 서비스 서버(1100)를 통해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주거나, 데이터 저장 관리 서버(1600)으로부터 원본 링크 정보를 획득하고, 원본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토큰을 발행하여 웹/앱 서비스 서버(1100)를 통해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 이용자는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웹 또는 앱을 통해 제1 토큰 또는 제2 토큰이 발행되었음을 확인하고, 제1 토큰 또는 제2 토큰에 접근함으로써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이 승인된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 또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transmits token issuance request information to the data storage management server 1600 to obtain replica link information from the data storage management server 1600, and obtains replica link information. Issue a first token containing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web/app service server 1100, or obtain original link information from the data storage management server 1600 and provide the original link information. A second token containing the content may be issued and provided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web/app service server 1100. Through this, the content user confirms that the first token or second token has been issued through the web or app installed on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and accesses the first token or second token to create a copy for which the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has been approved. You can use digital content or original digital content.

또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제1 토큰을 이용하여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하거나, 제2 토큰을 이용하여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권한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may set access authority information for accessing duplicate digital content using a first token or accessing original digital content using a second token.

일 예로, 콘텐츠 이용자가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웹 또는 앱을 통해 제1 토큰 또는 제2 토큰에 접근할 때,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티켓, 인증키를 이용한 서명값, 및 쿠키 등을 이용하여 복제본 링크 정보 또는 원본 링크 정보를 통해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 또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 가능한 접근 권한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a content user accesses the first token or the second token through the web or app installed on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th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uses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tickets, signature values using authentication keys, and cookies can be used to set access authority information that allows access to duplicate digital content or original digital content through duplicate link information or original link information.

또한, 콘텐츠 시스템(1000)의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는 설정된 접근 정보를 접근 권한 관리 서버(1500)로 전송할 수 있고, 접근 권한 관리 서버(1500)가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 또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 각각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권한 정보를 구분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of the content system 1000 may transmit the set access information to the access rights management server 1500, and the access rights management server 1500 may access each of the duplicate digital content 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You can also manage the access permission information separately.

이후,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로부터 제1 토큰을 이용한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요청 정보 또는 제2 토큰을 이용한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접근 권한 정보를 참조하여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에 대응되는 콘텐츠 이용자가 정당한 이용자인지를 검증하며, 콘텐츠 이용자가 정당한 이용자인 것으로 검증되면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 또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access request information for the duplicate digital content using the first token or access request information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using the second token is obtained from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refers to the access authority information. ) is verified to be a legitimate user, and if the content user is verified to be a legitimate user, access to the duplicate digital content or original digital content can be permitted.

일 예로,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웹 또는 앱을 통해 제1 토큰 또는 제2 토큰을 이용하여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 또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가 접근 권한 서버(1500)으로부터 제1 토큰 또는 제2 토큰에 대한 접근 권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1 토큰 또는 제2 토큰에 대한 접근 권한 정보와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 또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요청 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함으로써 콘텐츠 이용자 단말(200)에 대응되는 콘텐츠 이용자가 정당한 이용자인지를 검증할 수 있으며, 콘텐츠 이용자가 정당한 이용자인 것으로 검증되면,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 또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access request information for copy digital content or original digital content is obtained using a first token or a second token through a web or app installed on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use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Th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obtains access authority information for the first token or second token from the access authority server 1500, and provides access authority information for the first token or second token and replica digital content or original digital content. It is possible to verify whether the content user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200 is a legitimate user by comparing whether it matches the access request information. If the content user is verified to be a legitimate user, the duplicate digital content 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can be verified. Access may be permitted.

또한, 콘텐츠 이용자가 정당한 이용자인지 검증하는 과정에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이용 신청 관리 서버(1300)는 문자 인증, 전화통화 인증, 인증서 인증, PKI 인증 등 다양한 사용자 인증 방식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검증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verifying whether the content user is a legitimate user, th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1300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performs additional verification using various user authentication methods such as text authentication, phone call authentication, certificate authentication, and PKI authentication. You can also do more.

그리고,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제1 토큰 또는 제2 토큰에 대한 토큰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거나, 콘텐츠 관리 블록체인 네트워크(2200)에 등록하여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 정보, 및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와 연관성를 가지도록 관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stores and manages the token history information for the first token or the second token in a database, or registers it in the content management blockchain network 2200 to apply for copyright use, menu selection information, and copyright. It can also be managed to have a correlation with property rights use approval information.

이때, 토큰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콘텐츠 관리 블록체인 네트워크(2200)에 등록하는 방법은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 정보, 및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겠다.At this time, the method of storing the token history information in the database or registering it in the content management blockchain network (2200)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managing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selection information and copyright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so duplicate information is omitted. would.

결과적으로, 도 3 및 도 4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면, NFT에 원본 디지털 콘텐츠를 공개하지 않으면서, NFT에 포함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재산권에 대한 이용 허락 신청을 관리 할 수 있으므로, NFT에 포함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재산권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As a result, by performing the processes of FIGS. 3 and 4, it is possible to manage applications for permission to use the copyright rights of digital content included in the NFT without disclos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n the NFT, so that the digital content included in the NFT The copyright rights of content can be effectively manag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copyright use application page provided to a content user terminal by a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NFT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 이용을 신청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의 예시를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DisplayBorn digital content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DisplayBorn link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including a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for applying for the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You can check an example of the application page.

일 예로, 제1 영역에는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제2 영역에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 설명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며, 제3 영역에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an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display original digital content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copyright explanatory information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nd a menu to apply for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is displayed in the third area.

이때,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의 위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을 운영 및 관리하는 사업자의 판단에 따라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 상의 임의의 위치에 지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ations of the first to third areas can be designated at any location on the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 business operator who operates and manages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또한,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콘텐츠 이용자가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통해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를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Born digit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Born link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and the DisplayBorn link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so that the content user can check the DisplayBorn digital content through the DisplayBorn link information. You may.

그리고, 제2 영역에 복제권, 공연권, 전시권, 배포권, 및 2차적저작물작성권 중 이용 신청 가능한 저작재산권 종류, 저작재산권의 중요도 소개, 저작재산권의 법적 효력 및 침해 배상 등의 안내와 같은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 설명 정보와 저작권자, 공표일 정보 등의 저작권 등록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정보, 및 원본 디지털 콘텐츠의 제목 및 이에 대한 간략한 설명, 생성자에 대한 정보 등의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부연 설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area, original digital content such as reproduction rights, public performance rights, exhibition rights, distribution rights, and derivative work creation rights, including the types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that can be applied for, an introduction to the importanc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and information on the legal effect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and compensation for infringement, etc. Information that can be confirmed through copyright registration, such as copyright description information, copyright holder, and publication date information, and additional explanatory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uch as the title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a brief description thereof, and information about the creator. You can check it.

또한, 제3 영역에 이용허락 신청하기 메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콘텐츠 이용자의 콘텐츠 이용자 단말에 설치된 웹 또는 앱을 통해 이용허락 신청하기 메뉴가 선택되면,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의 이용 신청 관리 서버가 콘텐츠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이용자 정보, 복제권, 공연권, 전시권, 배포권, 및 2차적저작물작성권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작재산권 유형 정보,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활용 목적, 활용 기간, 활용 예시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활용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you can check the menu to apply for permission to use in the third area, and when the menu to apply for permission to use is selected through the web or app installed on the content user's terminal, the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Content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tent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typ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of at least one of reproduction rights, performance rights, exhibition rights, distribution rights, and derivative work creation rights, purpose of use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period of use, examples of use, etc. You can also enter various information, such as content usage information that includes information.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Additionally,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perform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cre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will say they do it.

Claims (18)

NFT(Non-Fungible Token)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콘텐츠 소유자 단말로부터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요청이 획득되면,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여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 및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각각을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원본 링크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상기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 이용을 신청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NFT 자산 정보 및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발행 트랜잭션을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발행 트랜잭션이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NFT를 발행하여 주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In a method of managing digital content of NFT (Non-Fungible Token),
(a) When an NFT issuance request containing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s obtained from the content owner terminal,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inserts a watermark in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to generate display digital content, , eac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the displayed digital content are stored in a data storage system, and original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and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displayed digital content Obtaining in-display link information;
(b)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applies the DisplayBorn digital content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DisplayBorn link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an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rights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Generating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including a menu; and
(c)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creates an NFT issuance transaction including NFT asset information and link information for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property, and broadcasts the NFT issuance transaction to the NFT blockchain network to form the NFT blockchain network. A step of issuing an NF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by registering the NFT issuance transaction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NFT blockchain network by distributed agreement of nodes;
How to includ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파일시스템, CDN(Content Delivery Network),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 또는 이에 연동되는 타 시스템의 드라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storage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of a database, a file system, a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an IPFS (InterPlanetary File System), and a drive device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or another system linked there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각각을 서로 다른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In step (a) above,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stores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the displayed digital content in different data storage systems.
NFT(Non-Fungible Token)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콘텐츠 소유자 단말로부터의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를 삽입한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각각을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원본 링크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 이용을 신청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생성하며, NFT 자산 정보 및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트랜잭션을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NFT가 발행된 상태에서,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통한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상기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가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가 제3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를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주는 단계; 및
(b)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에서의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상기 원본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복제본 링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 상기 복제본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토큰을 발행하여 주는 프로세스 및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 상기 원본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토큰을 발행하여 주는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In a method of managing digital content of NFT (Non-Fungible Token),
(a)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issuance of an NFT containing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from the content owner terminal, eac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the displayed digital content with a watermark inserted in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tores in a data storage system, and acquires original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and display bone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display bone digital content, and the display bone. Access to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including the display copy digital content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link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a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for applying for copyright use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NF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by generating link information for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ed property rights, which is path information, and registering an NFT issuance transaction including NFT asset information and link information for applying for use of copyrighted property rights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NFT blockchain network. In the issued state, when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content user terminal through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refers to the Display Bone link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at the Display Bone digital content is the first providing the content user terminal with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displayed in an area, wherein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s displayed in a second area, and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is displayed in a third area; and
(b) When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on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is selected by the content user terminal,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retrieves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from the data storage system using the original link information. Obtaining and creating replica digital conten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toring the replica digital content in the data storage system, and generating replica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replica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 performing any one process of issuing a first token containing the replica link information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and a process of issuing a second token containing the original link information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step;
How to include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콘텐츠 이용자에 대한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콘텐츠 활용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활용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에 따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하거나, 상기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활용 정보를 상기 콘텐츠 소유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콘텐츠 소유자 단말에 대응되는 콘텐츠 소유자로 하여금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In step (b) above,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acquires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for the content user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selection of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and refers to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Approving the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rights according to the selection from the application menu for use of copyright rights, or transmitting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to the content owner terminal to enable the content owner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wner terminal to use the copyright rights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lication is approv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활용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 정보,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한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 및 상기 제1 토큰 또는 상기 제2 토큰에 대한 토큰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거나,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 정보,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 및 상기 토큰 이력 정보를 콘텐츠 관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includes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the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the copyrighted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selection information, the copyrighted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that approved the copyrighted property use application, and the first token or the second token.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token history information for is stored and managed in a database, or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selection information,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and the token history information are registered in a content management blockchain network.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이용자가 유효한 이용자인지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verifies whether the content user is a valid user using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한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dds copyright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that approves the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to the copied digital cont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상기 제1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하거나, 상기 제2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권한 정보를 설정하며,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토큰을 이용한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요청 정보 또는 상기 제2 토큰을 이용한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접근 권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콘텐츠 이용자가 정당한 이용자인지를 검증하며, 상기 콘텐츠 이용자가 정당한 이용자인 것으로 검증되면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 또는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sets access authority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duplicate digital content using the first token or access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using the second token,
When access request information for the duplicate digital content using the first token or access request information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using the second token is obtained from the content user terminal, the content user terminal refers to the access authority information. Verifying whether the content user corresponding to is a legitimate user, and allowing access to the duplicate digital content 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f the content user is verified to be a legitimate user.
NFT(Non-Fungible Token)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 콘텐츠 소유자 단말로부터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요청이 획득되면,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여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 및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각각을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원본 링크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II) 상기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 이용을 신청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스; 및 (III) NFT 자산 정보 및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발행 트랜잭션을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발행 트랜잭션이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NFT를 발행하여 주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I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digital content of NFT (Non-Fungible Token),
at least one memory storing instructions; and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execute the instructions;
The processor, (I) when an NFT issuance request containing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s obtained from the content owner terminal, inserts a watermark in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to generate display digital content, Eac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the displayed digital content is stored in a data storage system, and original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and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displayed digital content, are stored in a data storage system. A process for obtaining display link information; (II) Copyright rights including the DisplayBorn digital content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DisplayBorn link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a copyright right use application menu for applying for copyright use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 process of generating link information for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ed property rights,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for use page; and (III) creating an NFT issuance transaction containing NFT asset information and link information for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rights, and broadcasting the NFT issuance transaction to the NFT blockchain network to reach a distributed consensus of nodes constituting the NFT blockchain network. A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performs a process of issuing an NF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by allowing the NFT issuance transaction to be registe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NFT blockchain network.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파일시스템, CDN(Content Delivery Network),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 또는 이에 연동되는 타 시스템의 드라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0,
The data storage system is a conten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database, a file system, a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an IPFS (InterPlanetary File System), and a drive device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or another system linked thereto.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각각을 서로 다른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0,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wherein in the process (I), the processor stores eac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the displayed digital content in different data storage systems.
NFT(Non-Fungible Token)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 콘텐츠 소유자 단말로부터의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를 삽입한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각각을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원본 링크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 이용을 신청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생성하며, NFT 자산 정보 및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NFT 발행 트랜잭션을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NFT가 발행된 상태에서,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링크 정보를 통한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본 링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본 디지털 콘텐츠가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가 제3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를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주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페이지에서의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원본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인 복제본 링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 상기 복제본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토큰을 발행하여 주는 프로세스 및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 상기 원본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토큰을 발행하여 주는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In a method of managing digital content of NFT (Non-Fungible Token),
at least one memory storing instructions; and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execute the instructions;
The processor, (I) displays a watermark inserted in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issuance of an NFT containing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from the content owner terminal. Store each digital content in a data storage system, obtain original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and display link information,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display digital content, , the DisplayBorn digital content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DisplayBorn link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an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including a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for applying for the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By generating link information for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ed property rights, which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page, and registering the NFT issuance transaction including NFT asset information and link information for applying for use of copyrighted property rights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NFT blockchain network, the original digital In a state in which an NFT for content has been issued, when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content user terminal through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link information, the Display Bone digital content is stored in the first area with reference to the Display Bone link information. A process of providing the content user terminal with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wherein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s displayed in a second area and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is displayed in a third area; and (II) when the content user terminal selects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on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page, obtains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from the data storage system using the original link information, and obtains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from the data storage system. Generating replica digital content for content, storing the replica digital content in the data storage system, generating replica link information that is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replica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data storage system, and the content user terminal A process of performing any one of a process of issuing a first token containing the replica link information and a process of issuing a second token containing the original link information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Content management syste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콘텐츠 이용자에 대한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콘텐츠 활용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활용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에 따른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하거나, 상기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활용 정보를 상기 콘텐츠 소유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콘텐츠 소유자 단말에 대응되는 콘텐츠 소유자로 하여금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3,
In the process (II), the processor acquires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for the content user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selection of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and obtains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the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Refer to the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and approve the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rights according to the selection from the application menu for copyright property use, or transmit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to the content owner terminal to the content owner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wner terminal. A content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allows approval of an application for use of copyright property right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콘텐츠 이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활용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 정보,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한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 및 상기 제1 토큰 또는 상기 제2 토큰에 대한 토큰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거나,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 메뉴 선택 정보,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 및 상기 토큰 이력 정보를 콘텐츠 관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4,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copyrighted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sel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copyrighted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that approved the copyrighted property use application, 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first token or the second toke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stores and manages token history information in a database, or registers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lication menu selection information, the copyright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and the token history information in a content management blockchain network.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콘텐츠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이용자가 유효한 이용자인지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4,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wherein the processor verifies whether the content user is a valid user using the content user informa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상기 저작재산권 이용 신청을 승인한 저작재산권 이용 승인 정보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4,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wherein the processor adds copyright property use approval information approving the application for use of the copyright property to the copied digital conten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하거나, 상기 제2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권한 정보를 설정하며,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토큰을 이용한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요청 정보 또는 상기 제2 토큰을 이용한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접근 권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콘텐츠 이용자가 정당한 이용자인지를 검증하며, 상기 콘텐츠 이용자가 정당한 이용자인 것으로 검증되면 상기 복제본 디지털 콘텐츠 또는 상기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3,
The processor sets access authority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duplicate digital content using the first token or access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using the second token,
When access request information for the duplicate digital content using the first token or access request information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using the second token is obtained from the content user terminal, the content user terminal refers to the access authority informatio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verifies whether the content user corresponding to is a legitimate user, and allows access to the duplicate digital content 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f the content user is verified to be a legitimate user.
KR1020220091824A 2022-07-25 2022-07-25 Method for managing non-fungible token digital contents for the use of copyright and content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202400142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824A KR20240014275A (en) 2022-07-25 2022-07-25 Method for managing non-fungible token digital contents for the use of copyright and content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824A KR20240014275A (en) 2022-07-25 2022-07-25 Method for managing non-fungible token digital contents for the use of copyright and content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275A true KR20240014275A (en) 2024-02-01

Family

ID=8985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824A KR20240014275A (en) 2022-07-25 2022-07-25 Method for managing non-fungible token digital contents for the use of copyright and content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27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4497B2 (en) Content anti-pirac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7145768B (en) Copyrigh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Zhao et al. Bmcprotector: A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 based application for music copyright protection
US8726010B2 (en) Secure content distribution
US9286447B2 (en) Portable digital vault and lending of same
US7310821B2 (en) Host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KR101143228B1 (en) Enrolling/sub-enroll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erver into a dram architecture
JP4847701B2 (en) Obtaining digital content signed rights labels (SRLs) using flexible rights templates in a rights management system
US7672903B2 (en) Rev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content
US83594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using digital signatures
US201102313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iling a unique sample code for a digital sample
US8949156B2 (en) Digital rights content services architecture
US8489882B2 (en) Third-party watermarking
JP2004054937A (en) Method for obtaining signed right label (srl) for digital content in digital right management system by using right template
US10095848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ly distributing content
US20220337439A1 (en) Rights-enabled tokens for blockchain applications
KR102125042B1 (en) Node device constituting a block-chain network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node device
JP5399400B2 (en) Digital content counting system and method
KR202100372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JP2023110089A (en) Method for distributing certificate of use right of digital content as much as the number of issuance, method for searching for and providing certificate of use right of user account, and content management server
US9455961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ly distributing content
US119912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non-fungible digital asset to facilitate accessing an access-restricted resource
KR20240014275A (en) Method for managing non-fungible token digital contents for the use of copyright and content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JP2002117167A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copyright
KR20230169769A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non-fungible token rights relationships based on blockchain network and rights relationship authenticaion server us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