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379A - A Simulation Method of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through Demand Forecasting - Google Patents

A Simulation Method of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through Demand Forecas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379A
KR20240013379A KR1020220090843A KR20220090843A KR20240013379A KR 20240013379 A KR20240013379 A KR 20240013379A KR 1020220090843 A KR1020220090843 A KR 1020220090843A KR 20220090843 A KR20220090843 A KR 20220090843A KR 20240013379 A KR20240013379 A KR 20240013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mulation
volume
information
infra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8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진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진약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진약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진약품
Priority to KR1020220090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3379A/en
Publication of KR20240013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379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거나, 시스템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시스템과 연동하는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정보를 미리 설정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통계 분석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또는 데이터 통계 분석부로부터 출 력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운영 및 운송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에 따른 대응 방안을 수립하여 출력하는 대응 방안 수립부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준 정보, 시뮬레이션 결과 정보 및 대응 방안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을 통해 물류 인프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데이터를 정제하여 수요 예측을 통해 미래 물량을 생성한다. 그리고, 미래 연도 물량에 의한 인프라 부하를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부하 분석을 통한 대응 방안을 선택할 수 있으며, 빠른 시간 내에 다양한 중장기 인프라의 구축 계획 수립 및 변경이 가능하며, 수립한 대응 방안들에 대한 검증도 실행할 수 있다.
A user interface unit that receives data from the outside or provide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ystem, and a data statistical analysis unit that converts the information into a preset format to analyze data output from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linked to the system. Based on the data output from the user interface or the data output from the data statistics analysis department, the simulation department performs simulations on operation and transportation, and the response plan is established and output according to the data output from the user interface department. It includes an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standard information for the unit and simulation, simulation result information, and response plan information.
Through this simulation method for responding to logistics infrastructure through demand forecasting, data operating in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is refined and future volume is generated through demand forecasting. In addition, since the infrastructure load can be analyzed by future year volume, response plans can be selected through load analysis, and various mid- to long-term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lans can be established and changed in a short time, and the established response plans can be verified. You can also run

Description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A Simulation Method of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through Demand Forecasting}A Simulation Method of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through Demand Forecasting}

본 발명은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ulation method for responding to logistics infrastructure through demand forecasting.

일반적으로 물류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향은 그 목적에 따라 운영실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 방법론과 인프라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정의한 후 수작업으로 지원을 위한 최적안을 생성할 수 있는 도구를 이용하여 대안을 수립 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이와 같은 수행 방법과 단기적인 거점내의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모델링하여 시뮬레이 션 후 검증된 방법을 적용하게 된다.In general, the direction of building logistics infrastructure is to collect operational performance data according to the purpose, define the analysis methodology and plan for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then establish alternatives using tools that can manually create the optimal plan for support. It is carried out in a way. In order to improve this performance method and short-term processes within the base, the verified method is applied after modeling and simulation.

이 경우 인프라 신설을 위한 조건 수집, 배달국과 물류 센터간 부하 조정을 위해 관할 권역 조정 등을 목적별로 운영하는 데이터 수집 및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데이터 수집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각각의 대응 방안들을 수립하기 위한 요구 사항별로 여러 가지 방법론들을 참고로 대응방안을 수립하여 중장기 인프라 구축 계획을 수립하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들은 필요 시마다 반복적으로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In this case, a lot of time is spent on collecting conditions for new infrastructure, collecting data for each purpose such as adjusting jurisdictions to adjust the load between delivery stations and logistics centers, and collecting data for process improvement. In addition, since mid- to long-term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lans are established by establishing response plans with reference to various methodologies for each requirement, these methods must repeatedly perform the same work whenever necessary.

또한, 수요 예측 방법에 의해 대응방안 수립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활용해야만 하고, 실제 인프라의 거점 내, 거점간에 어떠한 문제가 존재하는지 파악하기 용이하지 않고 단기적인 대응방안에 대한 사전 검증이 불가능 하여 실제 운영환경에 적용 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타당성 검증이 불가능하다.In addition, data must be generated and utilized to establish response plans using demand forecasting methods, and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at problems exist within and between actual infrastructure bases, and it is impossible to verify short-term response measures in advance, making actual operation difficult. It is impossible to verify the validity of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applied to the environment.

이에 따라, 중장기 물류 인프라 구축 계획 수립 지원과 함께 실제 인프라의 환경과 거의 동일하게 묘사된 인프 라 부하 분석 시뮬레이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가 요구된다. 또한, 중장기 물류 인프라 구 축 계획 수립을 위해 요구되는 미래물량 생성, 운영기준 데이터 생성과 인프라 부하분석에 대한 상세 분석을 시 뮬레이션 입력 데이터를 기존 물류 운영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Accordingly, a simulator that supports the establishment of a mid- to long-term logistics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lan and allows the use of an infrastructure load analysis simulation function that is depicted almost identically to the actual infrastructure environment is required. In addition, it must be possible to obtain and use simulation input data from the existing logistics operation system for detailed analysis of future volume generation, operation standard data generation, and infrastructure load analysis required for establishing mid- to long-term logistics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lans.

또한, 물류 거점 내의 우편종별 프로세스와 물류 거점간 운송 방법, 배달국 작업 프로세스 등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고, 물류 거점 내와 물류 거점간 구분작업 부하와 운송부하, 소통품질, 운영비용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시 뮬레이터가 필요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mulate processes for each type of mail within a logistics base, transportation methods between logistics bases, and work processes at delivery stations, and can identify the work load, transport load, communication quality, operating costs, etc. within and between logistics bases. You need a mulator.

따라서, 본 발명은 인프라 구축 계획 수립을 위해 필요한 대응 방안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대응 방안 등에 대하 여 사전에 검증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that can generate response plans necessary for establishing a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lan and verify the generated response plans in advance.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물류 인프라 대응방안 시뮬레이션 시스 템은,The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plan simulation system,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거나, 시스템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시스템과 연 동하는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정보를 미리 설정한 포맷으로 변환하 는 데이터 통계 분석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 통계 분석부로부터 출 력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운영 및 운송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에 따른 대응 방안을 수립하여 출력하는 대응 방안 수립부;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준 정 보, 시뮬레이션 결과 정보 및 대응 방안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포함한다.A user interface unit that receives data from the outside or provide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ystem; a data statistical analysis unit that converts information into a preset format to analyze data output from a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linked to the system; a simulation unit that performs simulation of operation and transportation based on data output from the user interface or data output from the data statistical analysis unit; a response plan establishment unit that establishes and outputs a response plan according to the data out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and an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reference information for simulation, simulation result information, and response plan information.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물류 인프라 대응방안을 시뮬레이션 하 는 방법은,A method of simulating a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plan, which i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기준 연도 또는 임의의 연도 중 어느 하나의 연도에 대한 수요 예측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수요 예측 데이터 를 토대로 연도별 부하를 분석하여 연도별 부하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연도별 부하 분석 정 보를 토대로 연도별 대응 방안을 수립하는 단계; 및 상기 수립한 연도별 대응 방안을 토대로 대응 방안별 상세 부하를 분석하여 대응 방안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Upon receiving demand forecast data for either a base year or an arbitrary year, analyzing load by year based on the demand forecast data to generate load analysis information by year; Establishing a response plan for each year based on the generated load analysis information for each year; And it includes the step of establishing a response plan by analyzing the detailed load for each response plan based on the established response plan for each yea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류 인프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데이터를 정제하여 수요 예측을 통해 미래 물량을 생성하여, 미래 연도 물량에 의한 인프라 부하를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부하 분석을 통한 대응 방안을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perated in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is refined and future volume is generated through demand forecasting, and the infrastructure load by future year volume can be analyzed, so a response plan through load analysis can be selected. .

또한, 빠른 시간 내에 다양한 중장기 인프라의 구축 계획 수립 및 변경이 가능하며, 수립한 대응 방안들에 대한 검증도 실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nd change various mid- to long-term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lans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verify the established response plans.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 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 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 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인프라 대응방안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plan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조도이다.1 is a system structure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데이터 통계 분석부 (200), 시뮬레이션부(300), 대응 방안 수립부(400) 및 정보 저장부(5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100, a data statistical analysis unit 200, a simulation unit 300, a response plan establishment unit 400, and an information storage unit ( 500).

먼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여러 데이터를 입력 받거나, 시스템에서 발생한 정보를 사용자 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데이터 입력부(110), 시뮬레이션 수행 및 결과 조회부(120) 및 대응 방안 수립 및 결과 조회부(130)를 포함한다.First, the user interface unit 100 performs the function of receiving various data from the user or providing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system to the user, and includes a data input unit 110, a simulation performance and result inquiry unit 120, and a response plan establishment and It includes a result inquiry unit 130.

데이터 입력부(110)는 물류 기획 및 운영 담당자와 같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정보 입력 수단과 연결되어, 사용자 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데이터를 데이터 통계 분석부(200)로 전달 한다.시뮬레이션 수행 및 결과 조회부(120)는 시뮬레이션부(300)와 연동하여 데이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데이 터를 전달받아 시뮬레이션부(300)로 전달하거나, 시뮬레이션부(300)에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 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한다.The data input unit 110 is connected to an information input means used by users such as logistics planning and operation personnel, and collects data input from users. In addition, the data input from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data statistical analysis unit 200. The simulation performance and result inquiry unit 120 transmits the data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unit 110 in conjunction with the simulation unit 300. It receives and transmits it to the simulation unit 300, or receives the results of a simulation using data from the simulation unit 300 and provides the results to the user.

대응 방안 수립 및 결과 조회부(130)는 대응 방안 수립부(400)와 연동하여, 데이터 입력부(110)가 수집한 데이 터 또는 시뮬레이션부(300)에서 수행되어 출력된 데이터를 전달하여 데이터를 토대로 대응 방안을 수립하도록 한다. 또한, 대응 방안 수립부(400)에서 생성된 데이터 관련 대응 방안 결과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음 데이터 통계 분석부(200)는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PostNet)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미리 설정한 포맷으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통계 분석부(200)는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부(210), 입력 데 이터 변환부(220) 및 출력 데이터 변환부(230)를 포함한다.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and result inquiry unit 130 is linked with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unit 400, and transmits the data collected by the data input unit 110 or the data performed and output from the simulation unit 300, based on the data. Establish a response pla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response plan related to the data generated by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unit 400 are received and provided to the user. Next, the data statistical analysis unit 200 performs conversion into a preset format to analyz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PostNet). To this end, the data statistical analysis unit 200 includes a data migration unit 210, an input data conversion unit 220, and an output data conversion unit 230.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부(210)는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 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중장기 대응 방안 수립 및 인프라 부하분석 시뮬레이션을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 형 태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형태의 변환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위해 필요한 기준 연도 입력 데이터를 사전 에 생성할 수 있다.The data migration unit 210 converts data received from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or the user interface unit 100 into a data format required for establishing a mid- to long-term response plan and performing an infrastructure load analysis simulation. Through this type of data conversion, the base year input data needed for simulation can be created in advance.

입력 데이터 변환부(220)는 시뮬레이션 개시를 위해 요구되는 미리 설정한 수요 예측 생성 결과를 참고하여 사 용자에 의해 수요 예측 정보가 입력되는 기준 연도 물량을 기준으로 미래 연도 입력 물량을 생성하여 시뮬레이 션 입력 물량 정보인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데이터로 발생한다. 이를 위해, 입력 데이터 변환부(220)는 크게 기 록 우편물 입력 데이터 변환기(221), 비기록 우편물 입력 데이터 변환기(222), 운영 및 운송기준 데이터 변환기The input data conversion unit 220 refers to the preset demand forecast generation result required to start the simulation and generates the input quantity for the future year based on the base year quantity in which the demand forecast information is input by the user and performs the simulation. It is generated as simulation result data, which is input quantity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the input data conversion unit 220 is largely divided into a recorded mail input data converter 221, a non-recorded mail input data converter 222, and an operation and transportation standard data converter.

(223) 및 미래 우편물량 데이터 생성기(224)로 구성된다. 입력 데이터 변환부(220)의 상세한 구조는 이후 설명 하기로 한다.It consists of (223) and a future mail volume data generator (224).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input data conversion unit 220 will be described later.

출력 데이터 변환부(230)는 입력 데이터 변환부(220)로부터 발생된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 기 위해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데이터를 부하, 소통 품질 등의 출력 데이터로 변환한다. 즉, 물류 인프라에 대 하여 연도별, 물류 거점별, 일별, 시간대별, 우편 종류별, 작업 조건별, 접수국에서 배달국까지의 정보 별로, 시뮬레이션 입력 데이터 물량을 실 운영 실적 기반의 기준 연도 물량과 수요 예측 방법에 의한 미래 연도에 대 한 사전 평가를 위해 시뮬레이션 입력 물량으로 발생시킨다.The output data conversion unit 230 converts the simulation result data into output data such as load and communication quality in order to provide the simulation result generated from the input data conversion unit 220 to the user. In other words, for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the volume of simulation input data is forecasted based on actual operation performance by year, by logistics base, by day, by time zone, by mail type, by work condition, by information from the receiving country to the delivery country, and by predicting the base year volume and demand. It is generated as a simulation input quantity for preliminary evaluation of future years by the method.

다음, 시뮬레이션부(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의 시뮬레이션 수행 및 결과 조회부(120)로부터 전달된 데 이터 또는 데이터 통계 분석부(20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데이터에 따른 운영 및 운송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시뮬레이션부(300)는 운영 프로세스 시뮬레이션부(310)와 운송 프로세스 시뮬레이션부Next, the simulation unit 300 performs simulations of the user interface unit 100 and performs operations and operations according to the data based on data transmitted from the result inquiry unit 120 or data input from the data statistical analysis unit 200. Perform simulations on transportation. The simulation unit 300 includes an operation process simulation unit 310 and a transportation process simulation unit.

(320)를 포함한다.Includes (320).

데이터 통계 분석부(200)에서 출력된 통계 시뮬레이션 데이터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면, 운영 프로세스 시뮬레이션부(310)는 거점(예를 들어, 운송 교환 센터, 집중국, 물류 센터 또는 배달 국 등) 내부의 운영 프로세스 로직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거점별로 현재 운영되 고 있는 거점에 대한 운영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입력 된 물량에 대해 거점 부하를 산출한다.When statistical simulation data output from the data statistical analysis unit 200 or data is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00, the operation process simulation unit 310 is operated at a base (e.g., a transportation exchange center, concentration station, logistics center, or delivery center). Bureau, etc.) performs simulation of the internal operating process logic. Through simulation, the operating process for each base currently in operation is modeled, and the base load is calculated for the input volume.

운송 프로세스 시뮬레이션부(320)는 운영 프로세스 시뮬레이션부(310)가 물류 거점 내에서 수행한 결과에 의해 물류 거점간 운송을 위하여 운송망(예를 들어, 교환 센터와 집중국간의 교환망, 집중국과 물류센터간 집중국망, 집중국과 총괄국간의 우체국망 등)에서의 운송 프로세스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그리고 운송망별로 현 재의 운송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소요 차량 대수 및 운송 비용을 산출한다.The transportation process simulation unit 320 operates a transportation network (e.g., an exchange network between an exchange center and a central station, a central station between a central station and a logistics center) for transportation between logistics bases according to the results performed by the operation process simulation unit 310 within the logistics base. Simulation of the transportation process in the network (network, post office network between centralized station and centralized station, etc.) is performed. Then, the current transportation process is modeled for each transportation network to calculate the number of vehicles required and transportation costs.

다음 대응 방안 수립부(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으면, 전달받은 데이터에 따른 대응 방안을 수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응 방안 수립부(400)는 인프라 신설부Next, when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unit 400 receives data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00, it establishes a response plan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departmen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frastructure new department.

(410), 관할 권역 설계부(420), 네트워크 구조 설계부(430) 및 처리 능력 조정부(440)를 포함한다.(410), jurisdictional design department (420), network structure design department (430), and processing capacity coordination department (440).

인프라 신설부(410)는 미래 물량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인프라를 신설한다. 인프라 신설에 따라 신규 인프라의 처리 능력 및 관할 권역을 설정하여, 인프라별 부하를 재산출할 수 있다.The infrastructure new department 410 establishes new infrastructure according to simulation results for future volume. As new infrastructure is established, the processing capacity and jurisdiction of the new infrastructure can be set and the load for each infrastructure can be recalculated.

관할 권역 설계부(420)는 기존 인프라의 통상 및 소포 관할 권역을 재 설정하여 인프라별 부하를 재 산출한다. 네트워크 구조 설계부(430)는 교환 센터의 신설, 교환 시간 및 교환 권역 설정 등을 통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설 계하여, 시뮬레이션의 기준 정보를 생성한다.The jurisdiction design department 420 resets the commercial and parcel jurisdiction areas of the existing infrastructure and recalculates the load for each infrastructure. The network structure design unit 430 designs the network structure by establishing a new exchange center, setting exchange time and exchange area, and generates standard information for simulation.

처리 능력 조정부(440)는 통상, 소포 전용화 등 기존 인프라의 기능을 조정하여 관할 권역을 재 설계하고, 과부하 인프라의 구분 처리 능력을 조정하여 인프라의 부하를 재 산출함으로써 물류 거점 내 처리 능력을 조정한다. 다음, 정보 저장부(500)는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운영/운송 기준 데이터 저장부(510), 시뮬 레이션부(300)에서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시뮬레이션 결과 데이터 저장부(520) 및 대응 방안 수립부(400)에서 수립한 대응 방안을 저장하는 대응 방안 데이터 저장부(530)를 포함한다.The processing capacity adjustment unit 440 adjusts the processing capacity within the logistics base by redesigning the jurisdictional area by adjusting the functions of the existing infrastructure, such as specialization for commerce and parcels, and recalculating the load on the infrastructure by adjusting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overloaded infrastructure. do. Next,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includes an operation/transportation standard data storage unit 510 that stores reference information for simulation, and a simulation result data storage unit 520 that receives and stores the simulation results from the simulation unit 300. ) and a response plan data storage unit 530 that stores the response plan established by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unit 400.

이상에서 살펴본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데이터 통계 분석부(200)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데이터 통계 분석부(200)는 시뮬레이션을 위해 필요한 기준 연도 입력 데이터를 사전에 생성하는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부(210)와 시뮬레이션 개시를 위해 요구 되는 수요 예측 정보가 입력되면 기준 연도 물량을 기준으로 미래 연도 입력 물량을 생성한다. 이때, 해당 데이 터가 시뮬레이션 입력 물량 데이터로 발생하도록 하는 입력 데이터 변환부(220)에서의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입 력 물량 데이터는 다음 도 2와 같이 분류하고 우편 유형 4를 기준으로 생성한다.The components of the system discuss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rst, looking at the components of the data statistical analysis unit 200, the data statistical analysis unit 200 includes a data migration unit 210 that generates in advance the base year input data required for simulation and a data migration unit 210 that generates the base year input data required for simulation in advance. When the demand forecast information is input, the input quantity for future years is created based on the base year quantity. At this time, when performing an operation in the input data conversion unit 220 to generate the corresponding data as simulation input quantity data, the input quantity data is classified as shown in FIG. 2 and generated based on postal type 4.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 유형별 입력 데이터 생성 기준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input data generation standards for each mail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 유형은 크게 4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설명하나, 반드 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 2, the types of ma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argely divided into four types,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상의 접수 원부에는 기록 우편 또는 비기록 우편으로 분류되어 있다. 따라서 기록 우편물 인 소포와, 특수 통상 우편물량과 비기록 우편물은 소형 및 대형으로 구분하여 시뮬레이션을 위한 거점별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우편 작업 조건의 기준은 우편 유형 4와 같이 소형 통상을 수작업, 기계, 선 구분으로 구분하고, 선 구분 우편 물량은 발송 구분 및 도착 구분 작업 조건과 일치하도록 선 구분 우편물 1 및 선 구분 우편물 2로 구분하여 생성한다.The receipt register in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is classified as recorded or unrecorded mail. Therefore, recorded mail parcels, special regular mail volume, and unrecorded mail volume are divided into small and large size to generate input data for each base for simulation. The standard for postal work conditions is to divide small mail into manual, machine, and line sorting, as in postal type 4, and the volume of line sorting mail is divided into line sorting mail 1 and line sorting mail 2 to match the shipping sorting and arrival sorting work conditions. Create it.

대형 통상의 경우에는 선 구분 우편물은 소형 우편 물량 산출 기준과 동일한 조건을 반영하고, 나머지 우편물은 일반 물량으로 산출한다. 그리고 수요 예측을 위한 물량 데이터는 우편 유형 2를 기준으로 생성하여, 연도별 거 점별 물량을 생성하여 수요 예측 값 생성시 사용한다. 그리고 기계 물량이 존재할 경우, 소형과 같이 정의할 수 도 있다.In the case of large-sized mail, line-sorted mail reflects the same conditions as the small mail volume calculation standards, and the remaining mail is calculated as general volume. In addition, volume data for demand forecasting is created based on postal type 2, and volume by location by year is generated and used when generating demand forecast values. And if there is a machine quantity, it can also be defined as small.

이와 같은 수행 과정 중에,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상의 접수 원부에 기록 우편으로 표기되어 있는 우편 물량 정 보를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추출하여 시뮬레이션을 위한 입력 데이터로 제공하기 위한 물량 산출 과정 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데이터 변환부(220)의 구성인 기록 우편물 입력 데이터 변환 기(221)에 대해 도 3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During this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the postal volume information marked as recorded mail in the reception ledger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and performs a quantity calculation process to provide it as input data for simulation. The recorded mail input data converter 221, which is a component of the input data converter 2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데이터 변환부의 기록 우편물 입력 데이터 변환기 구조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우편물 입력 데이터 변환기(221)는 제1 물량 생성 모 듈(221-1), 제2 물량 생성 모듈(221-2), 비율 값 생성 모듈(221-3), 입력 기준 물량데이터 생성 모듈(221-4) 및 입력 물량 발생 모듈(221-5)을 포함한다.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structure of a recorded mail input data converter of the input data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recorded mail input data converter 2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volume generation module 221-1, a second volume generation module 221-2, and ratio value generation. It includes a module 221-3, an input standard quantity data generation module 221-4, and an input quantity generation module 221-5.

제1 물량 생성 모듈(221-1)은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기록 우편물 일계 접수 원부로부터 접수되어 데이터 마 이그레이션부(210)에서 변환된 데이터 중, 접수 거점별/종별/일별로 각각 물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그 리고,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기록 우편물 접수 원부에서 수취인 주소 일련 번호에 해당하는 수취인 우편 번 호와 일치하는 배달국 등기용 국기호 코드 값을 사용하여, 총괄국별/일별로 접수 물량을 생성하고 저장한다. 또 한, 일계 물량 값과 시간대별 물량 계 값을 생성하고, 시간대별 물량 비율 값을 생성하여 저장한다.The first volume creation module 221-1 generates volume data by reception base/type/day amo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daily mail reception ledger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and converted by the data migration unit 210. Extract and save. In addition, in the recorded mail reception ledger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the received volume is created and stored by general station/day using the national code code value for delivery station registration that matches the recipient postal code corresponding to the recipient address serial number. . In addition, daily volume values and volume meter values for each time zone are generated, and volume ratio values for each time zone are created and stored.

제2 물량 생성 모듈(221-2)은 제1 물량 생성 모듈(221-1)의 수행 결과에 의해 제1 총괄국(혹은 발송 총괄국)과 제2 총괄국(혹은 도착 총괄국) 물량 값을 생성하여 저장한다.The second quantity creation module 221-2 generates and stores quantity values for the first general station (or dispatch general station) and the second general station (or arrival general station) based on the execution results of the first quantity creation module 221-1. .

입력 기준 물량데이터 생성 모듈(22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미래 연도 시뮬레이션 기간 정보, 미래 연도 증가율 값 정보 및 시뮬레이션 수행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연월일별 시뮬레 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기간에 대한 거점별 입력 기준 물량데이터를 생성한다.When the input standard quantity data generation module 221-4 receives a message containing future year simulation period information, future year growth rate value information, and simulation performance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00, it performs simulation by corresponding year, month, and day. Generate input standard quantity data for each base for the period for execution.

입력 물량 발생 모듈(221-5)은 기준 연도 시뮬레이션일 경우 기준 연도 입력 물량을 시뮬레이션 입력 물량으로 발생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미래 연도 물량 증가율 값이 존재하면 제2 물량 생성 모듈(221-2) 또는 입력 기준 물량데이터 생성 모듈(221-4)의 수행이 완료된 후 시뮬레이션 입력 물량을 발생시킨다.In the case of a base year simulation, the input quantity generation module 221-5 performs an operation to generate the base year input quantity as a simulation input quantity, and if a future year quantity growth rate value exists, the second quantity generation module 221-2 or After the input standard quantity data generation module 221-4 is completed, the simulation input quantity is generated.

다음은 상기에서 언급한 수행 과정 중에,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상의 접수 원부에 비기록 우편으로 표기되어 있는 우편 물량 정보를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추출하여 시뮬레이션을 위한 입력 데이터로 제공하기 위한 물량 산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데이터 변환부(220)의 제2 구성인 비기록 우편 물 입력 데이터 변환기(222)에 대해 도 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during the process mentioned above, the volume calculation process is performed to extract the postal volume information marked as unrecorded mail in the reception ledger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from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and provide it as input data for simulation. To this end, the non-recorded postal mail input data converter 222, which is the second component of the input data convert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데이터 변환부의 비기록 우편물 입력 데이터 변환기 구조의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비기록 우편물 입력 데이터 변환기(222)는 물량 데이터 추출 모듈 (222-1), 입력 기준 물량 데이터 생성 모듈(222-2), 수작업 발생 물량 데이터 생성 모듈(222-3), 시뮬레이션 입 력 데이터 생성 모듈(222-4) 및 배달 물량 비율 생성 모듈(222-5)을 포함한다.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structure of an unrecorded mail input data converter of the input data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unrecorded mail input data converter 22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quantity data extraction module 222-1, an input standard quantity data generation module 222-2, and manually generated quantity data. It includes a generation module (222-3), a simulation input data generation module (222-4), and a delivery quantity ratio generation module (222-5).

물량 데이터 추출 모듈(222-1)은 거점별, 일별 우편종별 작업 조건별 물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거점별, 일별 우편종별 작업 조건별 물량 데이터라 함은,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비기록 우편물 접수원부에서 접수 거점별 우편종별 물량을 일별, 요일별, 특별 소통 기간별 또는 작업 조건별로 생성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입력 기준 물량 데이터 생성 모듈(222-2)은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기록 우편물 접수 원부에서 운영물량 데이 터로부터 거점별, 발송/도착/배분 물량 값을 기준으로 비율 값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제1 총괄국 및 제 2 총괄국 물량 값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미래 연도 물량 입력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을 경우, 수작업 발생 물량 생성 데이터 생성 모듈(222-3)을 호출하기도 한다.The quantity data extraction module 222-1 extracts and stores quantity data by base, daily postal type, and work conditions. Here, volume data by postal base, daily postal type, and work conditions refers to data generated from the non-recorded mail reception register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on the volume of postal mail type by reception base by day, day of the week, special communication period, or work conditions. do. The input standard volume data generation module 222-2 generates and stores a ratio value based on the shipment/arrival/distribution volume values for each base from the operational volume data in the mail receipt ledger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Then, quantity values for the first and second general stations are generated and stored. At this time, if future year quantity input data is not delivered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00, the manually generated quantity generation data generation module 222-3 may be called.

배당물량 비율 생성 모듈(222-5)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미래 연도 시뮬레이션 기간 정보, 미래 연 도 증가율 값 정보 및 시뮬레이션 수행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면, 해당 일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기간에 대한 거점별 입력 기준 물량 데이터를 생성한다.When the dividend volume ratio generation module 222-5 obtains a request message including future year simulation period information, future year growth rate value information, and simulation performance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00, it performs simulation on the corresponding day. To do this, input standard volume data for each base for the period is generated.

수작업 발생 물량 데이터 생성 모듈(222-3)은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데이터 중 구분 설비 운영 실적 데이터 획득 기능으로부터 생성되어 저장된 기계 작업 후 수작업 발생 물량 비율 값이 존재하면, 이 값에 거점별 기계 작업 수작업 물량을 곱하여 수작업 추가 발생 물량을 생성한 후 저장한다.The manual labor volume data generation module (222-3) generates and stores a classification equipment operation performance data acquisition function among the data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If there is a ratio value of the manual labor occurrence volume after machine work that is stored, this value includes machine work manual labor by base. Multiply the quantity to create additional manual quantity and save it.

이를 위하여 운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구분 기계 작업 후 수작업 발생 물량 비율 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 하고, 수작업 발생 물량 비율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구분 설비 운영 실적 데이터에 수작업 추가 발생물량을 산 출하도록 요청한다. 그 후, 구분 설비 운영 실적 데이터로부터 기계작업 후 수작업 발생 물량 비율 값이 생성되 면 이 값에 거점별 기계 작업 발생 물량을 곱하여 수작업 추가 발생물량을 생성하게 된다.For this purpos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ratio value of the volume generated by manual labor after the classification machine work created from the operation data, and if the ratio value of the volume generated by manual labor does not exist, the volume generated by additional manual labor is requested to be calculated from the classification facility operation performance data. Afterwards, when a ratio value of the volume generated by manual work after machine work is generated from the classification facility operation performance data, this value is multiplied by the volume of machine work by base to generate the additional volume of manual work.

시뮬레이션 입력 데이터 생성 모듈(222-4)은 입력 기준 물량 데이터 생성 모듈(222-2)로부터 시뮬레이션 개시 정보가 통지되고 기준 연도 시뮬레이션일 경우, 기준 연도 입력 물량의 균등분포 값을 기준으로 하는 시뮬레이 션 입력 물량으로 발생시킨다. 이때, 미래 연도 물량 증가율 값이 존재하면 배달 물량 비율 생성 모듈(222-5)의 수행이 완료된 후, 시뮬레이션 입력물량을 균등분포 값을 기준으로 발생시킨다.The simulation input data generation module 222-4 is notified of simulation start information from the input standard quantity data generation module 222-2, and if it is a base year simulation, the simulation is based on the uniform distribution value of the base year input quantity. Generated by input quantity. At this time, if the future year volume growth rate value exists, after the execution of the delivery volume rate generation module 222-5 is completed, the simulation input volume is generated based on the uniform distribution value.

다음, 상기 도 1에서 언급한 시스템 구조 중에, 시뮬레이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운영 기준 데이터를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입력 데이터 변환부(220)의 운영 및 운송기준 데이터 변환기(223) 구조에 대해 도 5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among the system structures mentioned in FIG. 1, the operation and transportation standard data converter ( 223) Th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데이터 변환부의 운영 및 운송기준 데이터 변환기 구조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 및 운송기준 데이터 변환기(223)는 운영 데이터를 획득하는 작업 기준 정보 생 성 모듈(223-1), 시간대별 처리물량 산출 모듈(233-2), 비율 값 생성 모듈(233-3) 및 수작업 발생 물량 산출 모 듈(233-4)과 운송 데이터를 획득하는 체결수량 데이터 생성 모듈(233-5) 및 운송거리 요금 데이터 생성 모듈 (233-6)을 포함한다.Figure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operation of the input data conversion unit and the structure of the transportation standard data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operation and transportation standard data converter 223 includes a work standard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223-1 for acquiring operation data, a processing volume calculation module 233-2 for each time period, and a ratio value generation module. It includes a module 233-3, a manual generated quantity calculation module 233-4, a contract quantity data generation module 233-5 that acquires transport data, and a transport distance fee data generation module 233-6.

작업 기준 정보 생성 모듈(233-1)은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운영관리 데이터로부터 입력되어 데이터 마이그레 이션부(210)에서 변환된 정보로부터, 거점별로 구분설비의 종류 및 처리 능력과 구분 작업 조건 기준 정보를 추 출한 후, 운영/운송 기준 데이터 저장부(510)로 전달하여 저장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영/운송 기준 데이터 저장부(510)는 운영 기준 데이터 저장부(510-1), 운영기준 물량 데이터 저장부(510-2) 및 운송 기준 데 이터 저장부(510-3)로 나눌 수 있으며, 작업 기준 정보 생성 모듈(233-1)에서 추출한 정보는 운영 기준 데이터 저장부(510-1)에 저장된다.The work standard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233-1) is input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data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and converted by the data migration unit 210, and classifies the type and processing capacity of the facility by base and the work condition standards. After extracting the information, it is transferred to the operation/transportation standard data storage unit 510 and stored. As shown in Figure 5, the operation/transportation standard data storage unit 510 includes an operation standard data storage unit 510-1, an operation standard quantity data storage unit 510-2, and a transportation standard data storage unit 510-3. ), and th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operation standard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233-1 is stored in the operation standard data storage unit 510-1.

시간대별 처리물량 산출 모듈(233-2)은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운영관리 데이터로부터 입력되어 데이터 마이 그레이션부(210)에서 변환된 정보로부터, 거점별로 구분 설비의 처리 능력을 사용자가 입력할 경우를 참조하기 위하여 시간대별로 처리능력 데이터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한 데이터를 토대로 거점별 구분설비의 시간대별 처리물량 값을 생성하여 운영 기준 데이터 저장부(510-1)로 전달하여 저장한다.The processing volume calculation module 233-2 by time slot is input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data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and converted by the data migration unit 210, when the user inputs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facilities classified by base. Processing capacity data is obtained by time period for reference. Then, based on the acquired data, processing volume values for each time period of the classification equipment at each base are generated and delivered to the operation standard data storage unit 510-1 for storage.

비율 값 생성 모듈(233-3)은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운영관리 데이터로부터 입력되어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부 (210)에서 변환된 정보로부터, 거점별 발송/도착/배분 물량 및 비율 값을 생성한다. 생성한 거점별 발송/도착/ 배분 물량 및 비율 값은 운영기준 물량 데이터 저장부(510-2)로 전달하여 저장한다.The ratio value generation module 233-3 generates the shipment/arrival/distribution volume and ratio value for each base from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data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and converted by the data migration unit 210. The generated shipment/arrival/distribution volume and ratio values for each base are transferred to the operation standard volume data storage unit (510-2) and stored.

수작업 발생 물량 산출 모듈(233-4)은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운영관리 데이터로부터 입력되어 데이터 마이그 레이션부(210)에서 변환된 정보로부터, 거점별 구분 설비를 통해 기계 처리를 위해 공급된 물량 중 기계 처리가 불가능하여 수작업 물량으로 발생된 물량의 비율 값을 생성한다. 생성한 물량의 비율 값은 운영기준 물량 데이 터 저장부(510-2)로 전달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거점별 기계처리 후 수작업 발생 물량을 산출하여, 산출한 정보 도 운영기준 물량 데이터 저장부(510-2)로 전달하여 저장한다.The manually generated quantity calculation module (233-4) calculates the quantity supplied for machine processing through the classification equipment for each base from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data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and converted by the data migration unit 210. Generates a ratio value of the volume generated by manual volume as machine processing is not possible. The ratio value of the generated quantity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tandard quantity data storage unit 510-2 and stored. In addition, the volume generated manually after machine processing is calculated for each base, and the calculated information is also transferred to the operation standard volume data storage unit 510-2 and stored.

체결수량 데이터 생성 모듈(233-5)은 시뮬레이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운송 기준 데이터를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기 위하여 운송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뮬레이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우 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운영관리 데이터로부터 입력되어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부(210)에서 변환된 정보로부터, 소포 파렛당 체결 수량 데이터를 획득한다. 획득한 소포 파렛당 체결 수량 데이터는 운송 기준 데이터 저장부 (510-3)로 전달하여 저장한다.The contract quantity data generation module 233-5 is used to perform a simulation process of acquiring transport data to extract and provide transport standard data required to perform the simulation function from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From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data and converted by the data migration unit 210, data on the contract quantity per parcel pallet is obtained. The acquired data on the quantity of contracts per parcel pallet is transferred to the transportation standard data storage unit 510-3 and stored.

운송거리 요금 데이터 생성 모듈(233-6)은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운영관리 데이터로부터 입력되어 데이터 마 이그레이션부(210)에서 변환된 정보로부터, 운송 요금 데이터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한 데이터는 운송 기준 데이터 저장부(510-3)로 전달하여 저장한다.The transportation distance fee data generation module 233-6 obtains transportation fee data from information input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data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and converted by the data migration unit 210. The acquired data is then transferred to the transportation standard data storage unit 510-3 and stored.

다음, 상기 도 1에서 언급한 시스템 구조 중에, 미래 연도 기준으로 인프라 부하 분석을 통해 대응 방안을 수립 하기 위한 수요 예측 물량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수요 예측 및 미래 우편 물량 생성기(224)의 구조에 대하여 도 6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among the system structures mentioned in FIG. 1, the structure of the demand forecast and future mail volume generator 224, which generates and provides demand forecast volumes to establish response plans through infrastructure load analysis on a future year basis, is shown. This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데이터 변환부의 수요 예측 및 미래 우편 물량 생성 모듈 구조의 예시도 이다.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of the demand prediction and future mail volume generation module structure of the input data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요 예측 및 미래 우편 물량 생성기(224)는 물량 데이터 생성 모듈(224-1), 기준 데 이터 생성 모듈(224-2) 및 물량 변화량 생성 모듈(224-3)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demand forecast and future mail volume generator 224 includes a volume data generation module 224-1, a reference data generation module 224-2, and a volume change generation module 224-3. do.

물량 데이터 생성 모듈(224-1)은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접수 원부 일계 물량 데이터를 기준으로, 거점별 일 계 또는 월계 물량을 산출한다. 기준 데이터 생성 모듈(224-2)은 물량 데이터 생성 모듈(224-1)에서 산출한 거 점별 일별 물량 산출 결과를 이용하여, 거점별 연도별 물량을 산출한다. 여기서 거점별이라 함은 총괄국 또는 체신청을 의미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quantity data generation module 224-1 calculates the daily or monthly quantity for each base based on the daily quantity data from the reception ledger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The standard data generation module 224-2 uses the daily quantity calculation results for each base calculated by the quantity data generation module 224-1 to calculate the annual quantity for each base. Here, by base, it means a general office or post office,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물량 변화량 생성 모듈(224-3)은 입력 데이터 변환부(220) 내에서의 수요 예측 및 미래 우편 물량을 산출하기 위해 과거 년도 물량 데이터와 새로 생성된 기준 변동 물량 값을 이용하여 전국 또는 청별 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 연평균 복합 성장률)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수요 예측 정보가 입력되면, 물량 변동률을 생성한다.The volume change generation module 224-3 uses the past year's volume data and the newly created standard change volume value to predict demand and calculate future mail volume within the input data conversion unit 220, using the national or office-specific CAGR (CAGR) Create and store Compound Annual Growth Rate (Compound Annual Growth Rate). Additionally, when demand forecas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00, a quantity change rate is generated.

이때, 물량 변동률을 생성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부(300)의 구동시 정보 저장부(500)에 저장되어 있는 우편종 별, 물류거점별 물량 증감률 데이터를 사용자에 제공한 후, 우편 종별, 전국 수요 예측 증감별, 청별 물량 증감 률 값이 획득되면 거점별 미래 연도 물량 변동률을 생성한다. 그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청별 CAGR 값이 획득되었을 경우, 전국 수요 예측 물량 값과 일치하도록 체신청별 증감률 값에 의한 체신청별 예측물 량 계 값과 전국 총 물량 값이 일치되도록 보정한 후 거점별 미래 연도 물량 변동률을 생성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generate the volume change rate, when the simulation unit 300 is running, volume increase/decrease data by postal type and logistics base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is provided to the user, and then by postal type and nationwide demand. Once the forecast increase/decrease and volume increase/decrease rate values for each office are obtained, the volume change rate for future years for each base is generated. Afterwards, when the CAGR value for each office is obtained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00, the predicted volume value for each post office based on the increase/decrease rate value for each post office is corrected to match the national total volume value to match the national demand forecast volume value. Then, the volume change rate for future years is generated for each base.

미래 연도에 대한 물량 변동률 값이 생성되면, 기록 우편물 입력 데이터 변환기(221)와 비기록 우편물 입력 데 이터 변환기(222)에 각각 위치하는 입력 물량 생성 모듈(221-4, 222-2)로 상기에서 생성된 미래 연도 물량 변동 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Once the volume change rate value for the future year is generated, the input volume generation modules 221-4 and 222-2 located in the recorded mail input data converter 221 and the non-recorded mail input data converter 222, respectively, Provides information on the rate of change in volumes generated for future years.

다음은 상기 도 1에서 언급한 시스템 구조 중에, 인프라 부하분석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상세부하 분석, 차량 소요 분석, 소통 품질 분석 결과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출력 데이터로 변환하고, 인프라 부 하 분석 시뮬레이션이 완료되면 집중국별 부하 산출 결과를 정보 저장부(500)에 저장한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00)를 통해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력 데이터 변환부(230)의 구조에 대하여 도 7을 참조로 설명하 기로 한다.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데이터 변환부의 구조도이다.Next, among the system structures mentioned in FIG. 1, the results of the infrastructure load analysis simulation are used to convert detailed load analysis, vehicle requirements analysis, and communication quality analysis results into output data to provide to users, and perform the infrastructure load analysis simulation. When this is completed, refer to FIG. 7 for the structure of the output data conversion unit 230, which stores the load calculation results for each central station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and then provides the results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0. 7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output data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데이터 변환부(230)는 결과 발생 확인 모듈(231), 데 이터 검색 모듈(232), 상세 부하 분석 모듈(233), 차량 소요 산출 모듈(234) 및 우편종별 만족율 산출 모듈As shown in Figure 7, the output data conversion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sult confirmation module 231, a data search module 232, a detailed load analysis module 233, and vehicle requirements calculation. Module (234) and satisfaction rate calculation module for each mail type

(235)을 포함한다.Includes (235).

결과 발생 확인 모듈(231)은 시뮬레이션부(300)와 대응 방안 수립부(400)에서 각각 출력되는 시뮬레이션 결과와 대응 방안 결과를 정보 저장부(500)의 시뮬레이션 결과 데이터 저장부(520)와 대응 방안 데이터 저장부(530)로 전달하여 저장하도록 한다.The result occurrence confirmation module 231 stores the simulation results and response plan results output from the simulation unit 300 and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unit 400, respectively, into the simulation result data storage unit 520 and the response plan result of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It is transmitted to the data storage unit 530 and stored.

데이터 검색 모듈(232)은 결과 데이터 저장부(520) 또는 대응 방안 데이터 저장부(530)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기 준/운송기준/물량/권역별 데이터를 검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data search module 232 searches the data by operation standard/transportation standard/volume/region stored in the result data storage unit 520 or the response plan data storage unit 530, and displays the user interface unit 100. provided to users through

상세 부하 분석 모듈(233)은 크게 물류 거점들에 대한 과부하 비율을 산출하는 기능과 일 최대 부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세 부하 분석 모듈(233)은 시뮬레이션 결과 중에서 집중국별 발송구분 및 도착구분별 부하 값으로부터 과부하 일수와 비율 값을 산출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 중에서 집중국별 발송 구분 및 도 착 구분별 부하 값으로부터 일 평균 부하 값, 일 최대 부하 값을 각각 산출한다.The detailed load analysis module 233 largely performs the function of calculating the overload ratio for logistics bases and the function of calculating the maximum daily load. That is, the detailed load analysis module 233 calculates the number of overload days and ratio values from the load values for each dispatch and arrival category for each central station among the simulation results. In addition, among the simulation results, the daily average load value and daily maximum load value are calculated from the load values for each shipment category and arrival category for each central station.

차량 소요 산출 모듈(234)은 차량 소요 분석과 관련하여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데이터로부터 운송 구간별 차량 소요 정도를 산출하여 그 결과를 정보 저장부(500)로 전달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산출한 결과를 사용자 화면에 출력하여 제공한다.The vehicle requirement calculation module 234 calculates the degree of vehicle requirement for each transportation section from simulation performance data in relation to vehicle requirement analysis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In addition, the results calcula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0 are output and provided to the user screen.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하여 거점간 차량의 크기별 일 평균 및 일 최대 소요 대수를 산출하기도 한다. 여 기서 일 평균 및 일 최대 운송비용 산출을 위해 시뮬레이션 기간 동안 발생된 일 평균 및 일 최대 운송 비용도 함께 산출한다.In addition, the simulation results are used to calculate the daily average and daily maximum number of vehicles required for each size of vehicle between bases. Here, to calculate the daily average and daily maximum transportation costs, the daily average and daily maximum transportation costs incurred during the simulation period are also calculated.

우편종별 만족율 산출 모듈(235)은 소통 품질 분석과 관련하여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데이터로부터 우편종별 송 달 기준 만족율을 산출하고, 산출한 결과를 정보 저장부(500)로 전달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산출한 결과를 사용자 화면에 출력하여 제공한다.The satisfaction rate calculation module 235 for each mail type calculates the satisfaction rate for delivery criteria for each mail type from simulation performance data in relation to communication quality analysis, and transmits the calculated result to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In addition, the results calcula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0 are output and provided to the user screen.

다음은 상기 도 1의 대응 방안 수립부(400)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omponents of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unit 400 of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응방안 수립부의 인프라 신설부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응방안 수립부의 관할권역 설계부의 구조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응방안 수립부의 처리능력 조정 기능부의 구조도이다.Figure 8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infrastructure new section of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jurisdiction design department of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processing capacity adjustment function of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프라 신설부(4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소통 시각 정보 및 거리/시간 설정 데이터를 입력 받아 대응 방안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준 데이터로 저장한다. 그리 고, 처리 능력 설정 및 관할 권역 설정 데이터를 입력 받아, 실시간으로 인프라별 부하를 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적절한 인프라 신설 안을 생성하여 제공한다.First, as shown in FIG. 8, the infrastructure new unit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communication time information and distance/time setting data from the user interface and stores them as reference data for simulating a response plan. In addition, processing capacity setting and jurisdiction setting data are input, and the load for each infrastructure is calculated in real time and provided to the user, thereby creating and providing an appropriate infrastructure new plan.

이를 위해 인프라 신설부(410)는 정보 수집 모듈(411), 인프라별 구분물량 산정 모듈(412), 신규 인프라 처리 능력 산정 모듈(413) 및 인프라별 부하 산정 모듈(414)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new infrastructure unit 410 includes a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411, an infrastructure-specific volume calculation module 412, a new infrastructure processing capacity calculation module 413, and an infrastructure-specific load calculation module 414.

정보 수집 모듈(41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소통 시각, 거리/시간 설정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정보 저장부(500)의 대응 방안 데이터 저장부(530)로 전달하여 대응 방안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준 데이터로 저장되도 록 한다. 정보 수집 모듈(411)이 수집한 정보를 인프라별 구분물량 산정 모듈(412) 및 신규 인프라 처리 능력 산정 모듈(413)이 전달받아 인프라별 구분 물량 정도와 신규 인프라의 처리 능력을 산출한다.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411 receives communication time and distance/time setting data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00 and transfers them to the response plan data storage unit 530 of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as a standard for simulating a response plan. Be sure to save it as data.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411 is transmitted to the classification volume calculation module 412 for each infrastructure and the new infrastructure processing capacity calculation module 413 to calculate the classification volume for each infrastructure and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new infrastructure.

인프라별 부하 산정 모듈(414)은 인프라별 구분물량 산정 모듈(412) 및 신규 인프라 처리 능력 산정 모듈(413) 이 산출한 정보를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인프라별 부하를 산정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 전달하여 사용자 에게 제공한다.The infrastructure-specific load calculation module 414 receives th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infrastructure-specific volume calculation module 412 and the new infrastructure processing capacity calculation module 413, calculates the load for each infrastructure in real time, and sends it to the user interface unit 100. It is delivered and provided to the user.

다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할 권역 설계부(420)는 집중국 및 물류센터의 통상과 소포에 대한 발송, 도착 관할 총괄국을 조정했을 때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설정 모듈(421), 인프라별 구분 물량 산정 모듈As shown in FIG. 9, the jurisdiction design department 420 is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adjusting the dispatch and arrival jurisdiction general bureaus for commerce and parcels in the concentration station and logistics center, and the setting module 421 and infrastructure Quantity calculation module by category

(422) 및 인프라별 부하산정 모듈(423)을 포함한다.(422) and load calculation module for each infrastructure (423).

설정 모듈(421)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통상 발송 관할, 통상 도착 관할, 소포 발송 관할 및 소포도착 관할 설정 정보를 입력 받는다. 그러면, 운영기준 물량 데이터 저장부(510-2)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물량 정보와 입력 받은 정보를 토대로 인프라별 구분 물량 산정 모듈(422) 및 인프라별 부하산정 모듈(423)은 변경된 관할 데이터에 따라 실시간으로 인프라별 부하를 산정한다. 그리고 새로 산정한 인프라별 부하 관련 정보를 사 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setting module 421 receives normal shipping jurisdiction, normal arrival jurisdiction, parcel sending jurisdiction, and parcel arrival jurisdiction se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0. Then, based on the standard quantity information stored in the operation standard quantity data storage unit 510-2 and the input information, the classification quantity calculation module 422 for each infrastructure and the load calculation module 423 for each infrastructure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changed jurisdiction data. Calculate the load for each infrastructure in real time. And the newly calculated load-related information for each infrastructure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0.

즉, 종래의 집중국의 관할은 일부 총괄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통상과 소포를 같이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응 방안 수립의 유연성을 위해 집중국의 통상 발송 관할, 통상 도착 관할, 소포 발송 관할, 소 포 도착 관할로 분리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jurisdiction of the conventional concentration station mostly uses both commerce and parcels except for some general bureaus, b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flexibility in establishing response measures, the concentration station's commerce dispatch jurisdiction, commerce arrival jurisdiction, and parcel dispatch jurisdiction are used together. , so that it can be set separately by parcel arrival jurisdiction.

다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능력 조정 기능부(440)는 기존 집중국 및 물류 센터의 기능 변경과 구분 설비 및 수작업 처리 능력 조정, 그리고 그에 따른 관할 권역 재설정의 효과를 분석하며, 교환 센터 신설 모듈 (441), 교환 시간 설정 모듈(442), 처리 능력 설정 모듈(443) 및 교환 권역 설정 모듈(444)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0, the processing capacity adjustment function unit 440 analyzes the effect of changing the functions of the existing centralization station and logistics center, adjusting the classification equipment and manual processing capacity, and resetting the jurisdiction area accordingly, and establishing a new exchange center. It includes a module 441, an exchange time setting module 442, a processing capacity setting module 443, and an exchange area setting module 444.

처리능력 조정 기능부(440)의 각각의 모듈(441∼444)들이 교환 센터 신설을 위한 네트워크 구조, 교환 시간 설 정 정보, 신설될 교환 센터의 처리 능력 및 신설될 교환 센터가 포함할 교환 권역을 설정하면, 설정된 정보들은 대응 방안 데이터 저장부(530)로 전달되어 저장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인프라 기능 조정 데 이터, 구분 설비 처리 능력 데이터, 수작업 처리 능력 데이터 및 관할 권역 설정 데이터를 입력 받아 실시간으 로 물류 거점별 부하 변화량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적절한 인프라 처리 능력 조정 대응 방안 수 립 결과를 사용자 화면을 통해 제공한다.Each module 441 to 444 of the processing capacity adjustment function unit 440 determines the network structure for establishing a new exchange center, exchange time setting information,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newly established exchange center, and the exchange area to be included in the newly established exchange center. When set, the set information is transferred to the response plan data storage unit 530 and stored. In other words, by receiving infrastructure function adjustment data, classification equipment processing capacity data, manual processing capacity data, and jurisdictional area setting data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00, the load change amount for each logistics base is generated in real time and provided to the user, thereby providing appropriate The results of establishing a response plan to adjust infrastructure processing capacity are provided through the user screen.

다음은 상기 도 1의 운영 프로세스 시뮬레이션부(310) 및 운송 프로세스 시뮬레이션부(320)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operation process simulation unit 310 and the transportation process simulation unit 320 of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영 프로세스 시뮬레이션부 및 운송 프로세스 시뮬레이션부의 시뮬레이션 예 시도이다.Figure 11 is a simulation example of an operation process simulation unit and a transportation process simul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 프로세스 시뮬레이션부(310) 및 운송 프로세스 시뮬레이션부(320)는 물류를 취 급하는 거점 내에서의 물류 구분작업 프로세스와 물류거점간 도착 및 발송/배분작업 준비를 위한 프로세스에 대 하여 시뮬레이션 한다.As shown in FIG. 11, the operation process simulation unit 310 and the transportation process simulation unit 320 are used to prepare the logistics classification work process within the logistics handling base and the arrival and shipment/distribution work between logistics bases. Simulate the process.

운영 프로세스 시뮬레이션부(310)는 데이터 통계 분석 기능으로부터 물량발생이 개시되면, 접수부터 배달과정까 지 존재하는 물류 거점들 내에서 발생되는 우편종별, 작업 조건별 프로세스에 의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When volume generation starts from the data statistical analysis function, the operation process simulation unit 310 performs simulation by processes for each postal type and work condition that occur within the logistics bases that exist from reception to delivery process.

그리고 통상우편물은 도착 물류센터 및 배달국에 대한 발송 및 배분물량 값에 의해 발송될 물류 거점별 물량을 생성하는데 이용된다. 이를 위해 시뮬레이션 결과 물량에 대하여, 물류 거점별 물량을 생성하는 과정이 포함되 어야 한다.In addition, regular mail is used to generate the volume for each logistics base to be sent based on the shipment and distribution volume values for the destination logistics center and delivery country. To this end,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volume for each logistics base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 volume must be included.

운송 프로세스 시뮬레이션부(320)는 운영 프로세스 결과에 의하여 시뮬레이션을 개시하며, 우편종별 우편용기 환산비율 값과 운송차량에 적재 가능한 용기수량을 기준으로 행선지별로 운송차량을 선택하여 발송하는 방법을 시뮬레이션 한다. 이를 위해 운송망에서의 운송 프로세스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도 11에 도시된 교환 센터-집중국간에 형성된 망은 교환망, 집중국-물류센터간 형성된 망은 집중국망, 집중국-총괄국간에 형성된 망 은 우체국망이라 한다.The transportation process simulation unit 320 starts the simul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operating process and simulates a method of selecting and sending a transportation vehicle for each destination based on the mail container conversion ratio value for each mail type and the quantity of containers that can be loaded on the transportation vehicle. For this purpose, a simulation of the transportation process in the transportation network is performed. The network formed between the exchange center and the central office shown in Figure 11 is called the exchange network, the network formed between the central office and the logistics center is called the centralized national network, and the network formed between the centralized office and the general office is called the post office network.

운송 프로세스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완료되면, 운송망별로 운송 프로세스에 대한 소요 차량대수 및 운송비용을 산출한 후, 대응방안 수립 절차에 따라 재 시뮬레이션 하여 대응방안을 비교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생성 한다.Once the simulation of the transporta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number of vehicles and transportation costs required for the transportation process for each transportation network are calculated, and then re-simulated according to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procedure to generate simulation results that can compare response plans.

다음은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를 갖는 시스템을 통해 인프라 부하 분석을 시뮬레이션 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12 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method of simulating infrastructure load analysis through a system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프라 부하 분석을 시뮬레이션 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Figure 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imulating infrastructure load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준 연도 및 미래 물량에 의한 중장기적인 물류 인프라 구축 계획 수립 및 검증을 위한 인프라 부하 분석 시뮬레이터의 동작은, 크게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일일 기 준 물량을 산정하는 단계 및 연도별 부하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infrastructure load analysis simulator for establishing and verifying a mid- to long-term logistics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lan based on the base year and future volume is largely divided into the steps of receiving information and the daily schedule. It consists of a step of calculating the amount supplied and a step of performing a load analysis by year.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의 데이터 입력부(110)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기준년도 혹 은 미래 연도 수요 예측 데이터를 입력 받아 시뮬레이션 수행을 시작하게 된다(S100). 이때, 입력된 기준 연도 혹은 미래 연도 수요 예측 데이터는 데이터 통계 분석부(200)의 입력 데이터 변환부(220)를 통해 생성된거점별, 우편종별, 기준물량 입력 데이터를 변환하여 생성한 결과에 미래 물량 수요 예측 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데이터이다.To explain in detail, first, the data input unit 110 of the user interface unit 100 receives demand forecast data for the base year or future year input by the user and starts performing the simulation (S100). At this time, the input demand forecast data for the base year or future year is the result generated by converting the input data for each base, postal type, and standard volume generated through the input data conversion unit 220 of the data statistical analysis unit 200. This is data generated based on volume demand forecast information.

입력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입력 데이터를 생성한 후, 대응 방안 데이터 저장부(530)에 저장될 일일 기준 물량을 산정한다(S110). S110 단계는 시스템 초기에 한번 수행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 는 것은 아니다. 일일 기준 물량이 산정되면, 대응 방안 수립 및 결과 조회부(130)는 데이터를 토대로 연도별 부하 분석을 수행한다(S120). 이때, 청별 또는 집중국별로 연도별 부하 분석이 이루어지며, S120 단계까지를 통 해 시뮬레이션 수행을 위한 준비 작업이 완료된다.After converting the input data to generate input data, the daily standard quantity to be stored in the response plan data storage unit 530 is calculated (S110). Step S110 is explained as an example of being performed once at the beginning of the system,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Once the daily standard volume is calculated,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and result inquiry unit 130 performs an annual load analysis based on the data (S120). At this time, annual load analysis is performed for each agency or centralized station, and preparation work for simulation is completed through step S120.

여기서 S100 단계에서 수요 예측 데이터를 입력 받을 때, 입력 데이터 변환부(220)가 입력된 데이터를 변환하는 절차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 when receiving demand forecast data in step S100, the procedure for converting the input data by the input data conversion unit 2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기의 입력 데이터 변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Figure 13 is a flowchart showing the input data conversion procedure of the data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데이터 변환 절차는 물량 데이터 생성 단계(S200), 운영/운송 기준 데이터 생 성 단계(S210), 수요 예측 기준 물량 생성 단계(S220) 및 미래 물량 생성 단계(S230)를 통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13, the input data conversion procedure includes a quantity data generation step (S200), an operation/transportation standard data generation step (S210), a demand forecast standard volume generation step (S220), and a future volume generation step (S230). It is done through.

각각의 절차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물량 데이터 생성 단계(S200)는 도 14a 내지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기록 우편 물량 데이터 생성 과정, 비기록 우편 물량 데이터 생성 과정 그리고 발송국-수신국 물량 정보 생성 과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우편물량 데이터 생성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송국-수신국 물량 정보 생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기록 우편물량 데이터 생성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Looking at each procedure in detail, first, the quantity data generation step (S200) is broadly divided into a recorded postal quantity data generation process, a non-recorded postal quantity data generation process, and sending country-receiving country quantity information generation, as shown in FIGS. 14a to 14c. It can be divided into processes. FIG. 14A is a flowchart of a process for generating recorded postal volum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B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generating sending station-receiving station volum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4c is a flowchart of the process of generating unrecorded postal volum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기록 우편물은 시간대별 접수 물량 값에 의해 시뮬레이션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비기록 우편물 과 같이 접수시간대별 물량 정보가 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균등 분포로 발생되도록 한다.In general, recorded mail generates simulation input data based on the received volume values for each time period. In cases where volume information by reception time cannot be calculated, such as for unrecorded mail, it is generated in an even distribution.

즉,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우편물량 데이터 생성 과정은,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접수원부에서 생 성한 접수 거점별/종별/일별로 물량 정보를 토대로, 기록 우편물 입력 데이터 변환기(221)의 제1 물량 생성 모 듈(221-1)은 물류 거점별/종별/일별/시간대별 물량 정보를 생성한다(S201). 이때, 시간대별 물량 비율 값을 함 께 생성한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14a, the process of generating recorded mail volume data is based on the volume information by reception base/type/day generated in the reception register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by the recorded mail input data converter 221. 1 The quantity creation module (221-1) generates quantity information by logistics base/type/day/time zone (S201). At this time, the volume ratio value for each time period is also generated.

제1 물량 생성 모듈(221-1)이 물류 거점별/종별/일별/시간대별 물량 정보를 생성하면, 비율 값 생성 모듈(221- 3)이 수취인 우편번호에 의한 도착국별 물량을 산출하고, 이 산출결과를 토대로 입력 기준 물량 데이터 생성 모 듈(221-4)에 의해 from(접수 총괄국 접수물량)-to(배달 총괄국 도착 예정 물량) 물량 정보(물량, 비율 값)를 생 성하여 저장한다.When the first quantity creation module (221-1) generates quantity information by logistics base/type/day/time zone, the ratio value generation module (221-3) calculates the quantity by destination country by recipient postal code, and this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s, the input standard quantity data generation module (221-4) generates and stores quantity information (quantity, ratio value) from (quantity received at the reception general station) - to (quantity expected to arrive at the delivery general station).

여기서 입력 기준 물량 데이터 생성 모듈(221-4)이 발송국-수신국 물량 정보 생성하는 상세한 방법은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우편 물량에 대한 발송국-수신국 물량 정보 생성 방 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Here, the detailed method by which the input standard quantity data generation module 221-4 generates the sending station-receiving station quantity information is as shown in FIG. 14b. Figure 14b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generating sending country-receiving country volume information for recorded mail volu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기준 물량 데이터 생성 모듈(221-4)은 접수국 기호 기준으로 총괄국/집중국별 접수 물량 정보를 생성한다(S203-1). 이때 생성된 총괄국/집중국별 접수 물량 정보는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접수 원부에서 접수 거점별/종별/일별로 생성한 물량 정보와 동일하다. 그리고 나서 접수 원부 수취인 주소 일 련 번호에서 수취인 우편 번호를 탐색한 결과로 기준 배달국 기준 배달 물량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S203-2).As shown in FIG. 14b, the input standard quantity data generation module 221-4 generates reception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general station/concentration center based on the reception country symbol (S203-1). The reception quantity information generated at this time by general station/concentration center is the same as the quantity information generated by reception base/type/day in the reception ledger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Then, as a result of searching the recipient's zip code from the recipient's address serial number in the receipt ledger, delivery quantity information based on the standard delivery country is generated (S203-2).

다음, 물량 데이터 생성 단계(S200) 중 도 14a에서 언급한 기록 우편 물량 데이터 생성 과정과는 별도로, 또 다 른 절차인 비기록 우편 물량 데이터 생성 과정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 른 비기록 우편 물량 데이터 생성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Next, in the quantity data generation step (S200), apart from the recorded postal quantity data generation process mentioned in FIG. 14a, another procedure, the non-recorded postal quantity data generation process, is as shown in FIG. 14c. Figure 14c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for generating unrecorded postal volum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량 데이터 추출 모듈(222-1)은 물류거점간 관계가 정의된 공통 데이터(즉, 관할 권역 정보)를 참조하여, 수집한 우편 종별 코드가 소속 총괄국인지 또는 소속 집중국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S300). 이때 우편 종별 코드는 식별을 위해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비기록 우편물 접수원부에서 생성한 접수 국 식별자(예를 들어, 등기용 국기호 등)를 토대로 코드이다.As shown in FIG. 14C, the quantity data extraction module 222-1 refers to common data (i.e., jurisdictional area information)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logistics bases is defin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llected postal type code is the affiliated general station or affiliated central station. Identify whether it is recognized (S300). At this time, the postal type code is a code based on the receiving country identifier (for example, national flag for registration, etc.) generated in the non-recorded mail reception register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for identification.

물량 데이터 추출 모듈(222-1)은 수집한 우편 종별 코드가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비기록 우편물 접수원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S301), 해당 비기록 우편물이 소속 총괄국에서 접수된 우편물인지 혹은 소속 집중국에서 접수된 우편물인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소속 총괄국 또는 소속 집중국 중 어느 곳에도 속한 우편물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즉, 우편 종별 코드가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비기록 우편물 접수원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비기록 우편물에 대한 거점별 물량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302).The volume data extraction module 222-1 determines whether the collected mail type code is stored in the unrecorded mail reception register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S301), and determines whether the non-recorded mail is mail received from the affiliated general office. Or, you can find out whether the mail was received at the affiliated central office. The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l does not belong to either the affiliated general office or the affiliated central office, that is, if the mail type code is not stored in the unrecorded mail reception register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then the volume data by base for the non-recorded mail Create and store (S302).

그리고 입력 기준 물량 데이터 생성 모듈(222-2)로부터 거점별 물량 데이터가 생성이 완료되면, 되었다면 시뮬 레이션을 위한 운영기준 데이터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우편 종별 코드와 감액 및 추가 감액 기준 코드 값을 기 준으로, 배당 물량 비율 생성 모듈(222-5)은 우편 종별 작업 조건별 물량 정보와 작업 조건별 물량 비율 값을 생성하여 저장한다(S303).And when the volume data for each base is completed from the input standard volume data generation module (222-2), it is based on the postal type code and the reduction and additional reduction standard code values that are preset as the operation standard data for simulation. As a result, the dividend volume ratio generation module 222-5 generates and stores volume information for each postal type and work conditions and volume ratio values for each work condition (S303).

배달 물량 비율 생성 모듈(222-5)으로부터 거점별 일별 우편 종별 작업 조건별 물량 정보와 작업 조건별 물량 비율 값 데이터가 생성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4). 만약 완료되었다면, 시뮬레이션 입력 데이터 생 성 모듈(222-4)은 발송 및 자국 도착 구분 물량을 생성한 후(S305), 총괄국별 배달 물량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S306).From the delivery volume ratio generation module 222-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olume information for each base, daily mail type, work condition, and volume ratio value data for each work condition have been generated (S304). If completed, the simulation input data generation module (222-4) generates the shipment and arrival volume for each country (S305) and then creates and stores the delivery volume for each general station (S306).

그러나, S304 단계에서 생성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운영 기준 물량 데이터에서 거점별, 발송/도착/배 분 물량 값 정보를 기준으로 비율 값과 우편종별 총괄국 집중국 도착, 집중국 접수 물량계 값을 생성하여 저장 한다(S307).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reation has not been completed in step S304, the ratio value and the concentration station arrival and concentration station reception volume meter values by postal type are gen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hipment/arrival/distribution volume by base and dispatch/arrival/distribution volume data in the operation standard volume data. Save (S307).

그리고 수작업 발생 물량 데이터 생성 모듈(222-3)은 운영 관리 데이터를 참조하여(S308), 거점별 작업 조건별 발송 물량 및 비율 값을 생성하여 저장한다(S309). 그리고 나서 동일 시점에 발송된 물량 값의 차이 값을 생성 하여, 자국 발송 도착 구분 물량 데이터로 생성한다(S310).And the manual work quantity data generation module 222-3 refers to the operation management data (S308), generates and stores the shipment quantity and ratio values for each work condition for each base (S309). Then, the difference value of the quantity sent at the same time is generated and generated as the domestic shipment arrival classification quantity data (S310).

총괄국별 배달물량 데이터 생성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 후(S311) 완료되었다면, 생성한 자국 발송 도착 구분 물량 데이터에 타국 도착 물량 값을 더한 후 총괄국(혹은 배달국)별 배달 물량 데이터를 생성하여 정보 저장부 에 저장한다(S312). 그러나 S311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완료되지 않았다면, 완료 될 때까지 S309 단계 및 S310 단계를 반복한다.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creation of delivery quantity data for each general station has been completed (S311), if it is complete, add the quantity value for arrival in other countries to the generated shipment arrival classification quantity data for the home country, create delivery quantity data for each general station (or delivery country), and store it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Save (S312). However, if it is not completed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in step S311, steps S309 and S310 are repeated until completion.

다음 상기 도 13의 운영/운송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210)에 대해서는 도 15a 내지 도 15d를 참조로 설 명하기로 한다.Next, the step (S210) of generating the operation/transportation standard data of FIG. 1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A to 15D.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영/운송 기준 데이터 생성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운영 및 운송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운영 및 운송 기준 데이터 변환기(123)는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 의 데이터 중에서 운송 기준 데이터인 운송 계획 정보, 실적 데이터, 구분 설비 기준 정보, 운영 관리 정보, 기 계 처리 물량 대비 수작업 물량 발생 관련 데이터를 참조하여 시뮬레이션 운영 및 운송 기준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준 데이터를 추출한다(S211-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추출을 위해서 사용되는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데이터는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igures 15A to 15D are flowcharts showing an operation/transportation standard data gener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operation and transportation standard data, the operation and transportation standard data converter 123 converts transportation plan information, performance data, classification facility standard information, operation management information, and machine data among the data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By referring to data related to manual work volume compared to processed volume, standard data is extracted so that it can be used as simulation operation and transportation standard data (S211-1). The data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used for data extra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mentioned abov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먼저,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기준 정보 생성 모듈(233-1)은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운송 계획 데이터 및 실적 데이터로부터 기준 데이터가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1-2). 만약 기준 데이터가 추출되었다면 체결수량 데이터 생성 모듈(233-5)은 기준 데이터로부터 운송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이를 위해 체결 원부 데이터에서 획득한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송 집중국별 총 파렛 수 및 총 소포 수를 산출한다(S211-5).First, as shown in FIG. 15A, the work standard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233-1 determines whether standard data has been extracted from transportation plan data and performance data amo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S211-2 ). If the standard data has been extracted, the contract quantity data generation module 233-5 acquires transportation data from the standard data. To this end, the total number of pallets and the total number of parcels by shipping concentration country are calculated using the standard data obtained from the contract ledger data. Calculate (S211-5).

그리고 체결수량 데이터 생성 모듈(233-5)은 산출한 총 파렛 수 및 총 소포 수를 이용하여 파렛당 소포 환산 기 준을 산출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거리 요금표 데이터로부터 운송 요금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 후, 운송거리 요금 데이터 생성 모듈(233-6)은 정보 저장부(500)에 등록된 거리 요금표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한 거리 요금 표 데이터를 정보 저장부(500)에 저장한다(S211-6).Then, the contract quantity data generation module 233-5 calculates a parcel conversion standard per pallet using the calculated total number of pallets and the total number of parcels, and obtains transport fee data from pre-stored distance fee table data. Afterwards, the transportation distance fee data generation module 233-6 acquires the distance fee table data registe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and stores the obtained distance fee table data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S211-6) ).

반면, S211-2 단계에서 기준 데이터가 추출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수작업 발생 물량 산출 모듈(233-4)은 거 점간 운송 거리, 요금 데이터를 추출한 후 등록한다(S211-3). 그리고 발송 집중국별 총 파렛 수 및 총 소포 수 가 산출된 것인지 판단한 후(S211-4) 아직 발송 집중국별 총 파렛 수 및 총 소포 수가 산출된 것이 아닌 것으 로 판단하면, S211-1 단계부터 다시 수행하여 발송 집중국별 총 파렛 수 및 총 소포 수를 추출할 때까지 반복 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ndard data has not been extracted in step S211-2, the manual generation volume calculation module (233-4) extracts the transportation distance and fee data between bases and then registers them (S211-3).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total number of pallets and total number of parcels by shipping concentration country have been calculated (S211-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otal number of pallets and total number of parcels by shipping concentration country have not yet been calculated, perform again from step S211-1. Repeat until the total number of pallets and total number of parcels by shipping concentration country are extracted.

다음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구분설비 기준 정보를 이 용한다(S212-1). 작업 기준 정보 생성 모듈(233-1)과 시간대별 처리 물량 산출 모듈(233-2)은 거점별 구분설비 의 종류, 처리 능력과 구분 작업 조건 기준 정보를 추출하여 정보 저장부(500)에 등록한다(S212-2).As shown in FIG. 15b, the classification facility standard information amo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is used (S212-1). The work standard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233-1) and the time slot calculation module (233-2) extract the type of classification equipment, processing capacity, and classification work condition standard information for each base and register them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S212-2).

그리고 나서, 운영 기준 데이터에서 구분설비의 처리 능력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경우 이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간대별 처리 능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간대별 처리 물량 산출 모듈(233-2)은 거 점별 구분 설비에 대한 기준 데이터로부터 거점별 구분 설비명, 대수, 처리 능력 기준 데이터를 추출하여 정보 저장부(500)에 저장한다(S212-3). 운영 기준 데이터 정보 저장부(510)에 등록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Then, in order to be able to refer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classification facility when it is entered by the user in the operation standard data, the processing volume calculation module 233-2 for each time zone that acquires the processing capacity data for each time zone is The name, number, and processing capacity standard data for each base are extracted from the standard data for each base classification facility and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S212-3). Whether registration has been completed in the operation standard data information storage unit 510

판단하여(S212-4), 거점별 구분 설비별 시간대별 물량 정보를 추출하여 정보 저장부(500)에 저장이 완료될 때 까지, S212-1 절차 이후를 반복한다.After making the judgment (S212-4), the volume information for each base, facility, and time period is extracted and the steps after S212-1 are repeated until storage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is completed.

다음,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운영 관리 데이터를 이용 하여(S213-1) 비기록 우편물의 발송국-수신국 물량 정보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기준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비 율 값 생성 모듈(233-3)은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운영 관리 테이블에서 거점별로 작업 조건별 발송, 도착, 배분 물량에 대한 일계 물량 값을 이용하여 비율 테이블을 생성한다(S213-2).Next, as shown in FIG. 15c, use operational management data amo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S213-1) to generate standard information used to generate sending country-receiving country volume information of unrecorded mail. To this end, the ratio value generation module (233-3) creates a ratio table using the daily volume values for the shipment, arrival, and distribution volume by work condition for each base in the operation management table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S213-2 ).

그리고 나서, 거점별 파일로 생성하거나 정보 저장부에 저장한다(S213-3). 이와 같은 절차가 완료되었는지 여 부를 확인하고(S213-4) 완료될 때까지 S213-1 단계 이후의 절차를 반복한다.Then, it is created as a file for each base or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S213-3). Check whether this procedure has been completed (S213-4) and repeat the procedure after step S213-1 until completed.

도 1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작업 발생물량 산출 모듈(233-4)에서는, 소형 수작업 물량 데이터 생성을 위해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의 운영 관리 데이터에서 추출한 구분 설비들의 거점별 운영 실적 데이터를As shown in FIG. 15D, in the manual labor volume calculation module 233-4, operation performance data for each base of classification facilities extracted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data of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is used to generate small manual labor volume data.

이용한다(S214-1). 소형 수작업 물량 데이터를 생성한 후(S214-2) 구분 설비들의 거점별 운영 실적 데이터로부 터, 공급물량-구분처리 완료 물량의 값을 해당 거점의 수작업 발생 비율 값으로 생성하여 정보 저장부(500)에 저장한다(S214-3). 그리고 나서 거점별 기계처리 공급 물량 중 수작업 발생 비율 값 생성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를 확인하고(S214-4), 완료될 때까지 S214-1 단계 이후의 절차를 반복한다.Use (S214-1). After generating small manual quantity data (S214-2), from the operation performance data for each base of the classification facilities, the value of the supply quantity-classification processing completed quantity is generated as the manual labor occurrence rate value of the base, and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500) ) (S214-3). Then, check whether the creation of the manual work occurrence rate value among the machine processing supply volume for each base has been completed (S214-4), and repeat the procedure after step S214-1 until completed.

다음 상기 도 13의 수요 예측 기준 물량 생성 단계(S220) 및 미래 물량 생성 단계(S230)에 대해서는 도 16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에 도시된 수요 예측 기준 물량 생성 단계(S220) 및 미래 물량 생성 단계(S23 0)는 전국적인 물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Next, the demand prediction standard quantity generation step (S220) and the future quantity generation step (S230) of FIG. 1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 The demand forecast standard quantity creation step (S220) and the future quantity creation step (S23 0) shown in FIG. 16 represent steps for calculating nationwide quantity.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예측 기준 물량 데이터 및 미래 물량 데이터를 생성을 나타낸 흐름도이 다.Figure 16 is a flowchart showing the generation of demand forecast standard quantity data and future quantit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량 데이터 생성 모듈(224-1)과 기준 데이터 생성 모듈(224-2)은 일반-기록( 소포)/비기록, 특수통상 우편 월계 데이터를 사용하여 거점별 물량 일계 물량 데이터를 생성한다(S400). 그리 고 나서 총괄국별 월별 물량 데이터, 청별 월별 물량 데이터 및 청별 연도별 물량 데이터를 생성한다(S410). 물량 변화량 생성 모듈(224-3)에서 소포는 회귀분석 결과에 의한 연도별 증감률 값을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물량 및 증감 비율 값을 참고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종별 증감률, 청별 CAGR 값 등을 사용하여 미래 물량 값을 생성한다(S420). 이때 생성된 미래 물량 값은 종별, 총괄국별 일별 물량 값의 형태로 생성된다. 그리고 나서 전국 물량 기준으로 청별 점유 비 값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30).As shown in FIG. 16, the volume data generation module 224-1 and the standard data generation module 224-2 use general-recorded (parcel)/non-recorded and special mail monthly data to calculate daily volume for each base. Generate quantity data (S400). Then, monthly volume data for each general office, monthly volume data for each agency, and yearly volume data for each agency are generated (S410). In the volume change generation module 224-3, the parcel generates yearly increase/decrease rate values based on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nd uses the generated volume and increase/decrease rate values as a reference to calculate the increase/decrease rate by type and CAGR value by agency input from the user. Use it to generate future quantity values (S420). The future volume values generated at this time are generated in the form of daily volume values by type and general station. Then, the occupancy ratio value for each office is generated based on the nationwide volume and provided to the user (S430).

이와 같이 수요 예측 기준 물량 생성 단계(S220) 및 미래 물량 생성 단계(S230)를 통해, 입력 데이터 변환 단 계에 미래 연도에 대한 물량 증감률 값을 전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입력 데이터 변환 단계에서 총괄국별 일 별 물량 값에 전국 물량 증감률 입력 값을 곱하여 시뮬레이션 미래 일별 물량을 생성한다. 또한, 청별 CAGP값 이 입력되면, 전국 증가율 값에 의한 물량의 합과 동일하게 보정하며, 미래 연도별 증감률 값을 생성하여 입력 된 시뮬레이션 기간 값과 해당하는 실제 미래 연도별 증감률 값을 기준으로 입력 데이터 물량 기준 정보를 보 정한다(S440).In this way, through the demand forecast standard quantity creation step (S220) and the future quantity creation step (S230),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volume increase/decrease rate value for the future year to the input data conversion step is performed. In the input data conversion stage, the daily volume value for each general office is multiplied by the national volume increase/decrease input value to generate the simulated future daily volume. In addition, when the CAGP value for each agency is input, it is corrected to be equal to the sum of the volume by the national growth rate value, and the increase/decrease rate value for each future year is generated based on the input simulation period value and the corresponding actual future year's increase/decrease rate value. Correct the input data quantity standard information (S440).

이때 S440 단계에서 보정되는 물량 기준 정보는 전국 단위의 물량에 대한 보정이다. 즉, 청별 CAGR 값이 입력 될 경우, 전국 증가율 값에 의한 물량의 합과 동일하게 청별 값도 보정해야 하고, 미래 연도별 증감률 값을 생 성하여 입력된 시뮬레이션 기간 값과 해당하는 실제 미래 연도별 증감률 값을 기준으로 입력 데이터 물량 기준 정보를 보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청별 물량 기준 정보가 함께 보정되어야 한다.At this time, the quantity standard information corrected in step S440 is a correction for the quantity at the national level. In other words, when the CAGR value for each agency is input, the value for each agency must be corrected in the same way as the sum of the volume by the national growth rate value, and the increase/decrease rate value for each future year must be generated to calculate the input simulation period value and the corresponding actual future year value. The input data volume standard information must be corrected based on the increase/decrease rate value. For this purpose, the volume standard information for each agency must be corrected together.

청별 물량 기준 정보를 보정하는 방법으로는 청별 점유율에 따른 보정 또는 청별 증감율에 따른 보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청별 증감율을 선택할 경우 물량 기준 정보를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청별 입력 데이터 물량 기준 정보를 보정하는 실시예에 대해 도 17을 참고로 설명하기 로 한다.As a method of correcting the volume standard information by agency, correction according to the market share by agency or correc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decrease rate by agency can be perform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crease/decrease rate by agency is selected, the method of correcting the volume standard information is explained as an example. I decided to do it. An embodiment of correcting the input data quantity standard information for each off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7.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데이터 물량 기준 정보 보정에 대한 예시도이다.Figure 17 is an exemplary diagram of input data volume standard information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저장부(50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입력 데이터 변환부(220)는 기준년 도 총괄국별 우편 종별 상세 일일 접수 물량(S441)으로부터 기준년도 청별 우편종별 연간 접수 물량을 집계한다(S442). 입력 데이터 변환부(220)는 S442 단계에서 집계된 물량에 미리 설정한 식을 곱하여 청별 우편종별 연간 접수 물량을 보정한다(S443). 이때, 보정은 대상 년도만큼 반복한다. 또한 미리 설정한 식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1 + 관할청 CAGR × 보정치(t)"를 예로 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 17, from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the input data conversion unit 220 converts the detailed daily reception volume (S441) by postal type by general office in the base year into annual receipts by postal type by office in the base year. Count the quantity (S442). The input data conversion unit 220 multiplies the volume calculated in step S442 by a preset equation to correct the annual reception volume for each office and postal type (S443). At this time, the correction is repeated as many times as the target year. In addition,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t equation is "1 + competent authority CAGR × correction value (t)" as an examp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이때, 기준년도 청별 우편종별 연간 접수 물량은 좀 더 세부적으로 대상연도 총괄국별 우편종별 상세 일일 접 수 물량의 보정을 요구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준년도 기준년도 청별 우편종별 연간 접수 물량을 집계하는데 사용한 미리 설정한 식을 대상연도 총괄국별 우편종별 상세 일일 접수 물량을 집계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annual receipt volume by office and mail type in the base year may require correction of the detailed daily receipt volume by mail type by general office in the target year in more detail. Therefore, the preset formula used to aggregate the annual receipt volume by office and mail type in the base year can also be used to aggregate the detailed daily receipt volume by mail type by general office in the target year.

상기의 도 13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들이 생성되면, S210 단계에서 생성한 기준 데이터가 제 대로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에 대하여 도 18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When data is generated as described in FIGS. 13 to 17 above, a procedure is performed to verify whether the reference data generated in step S210 has been properly generated. This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18.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데이터 검증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Figure 18 is a flowchart showing a reference data verific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을 위한 운영 기준 데이터에 대한 변경사항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 한다(S500). 만약 운영 기준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에 해당 기준 데이터를 검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제공한다(S510).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변경된 기준 데이터를 확인한 후(S52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갱신 후 운영/운송 기준데이터(510)에 등록한다(S530). 이와 같은 과정은 변경된 데이터의 등록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된다.As shown in FIG. 18, it is determined whether any changes have occurred to the operating standard data for simulation (S500). If the operating standard data is changed, the corresponding standard data is searched and provid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0 (S510). Then, after checking the changed standard data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00 (S520), it is upda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registered in the operation/transportation standard data 510 (S530). This process is repeated until registration of the changed data is completed.

반면, S500 단계에서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준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기준 연도에 따라 시뮬레 이션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S540). 만약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시뮬레이션을 개시 한다(S580). 반면, 시뮬레이션 수행을 위해 대기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시뮬레 이션 개시 메시지가 발생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 수요예측 기준 데이터를 표시한다(S550).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0 that the reference data for simulation has not changed, a decision is made as to whether to perform the simulation according to the base year (S540). If it is determined that simulation is being performed, simulation is started (S580).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ice is waiting to perform simulation, that is, when a simulation start message is generated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demand forecast standard data is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unit 100 (S550).

그리고, 수요 예측 값을 검색한 후, 그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 전달한 후(S560), 사용자에 의해 수 요 예측 값이 갱신되면 변경된 정보를 저장한다(S570). 그리고 수요예측 결과와 시뮬레이션 기간(예를 들어, 년, 월)에 대하여, 총괄국별 접수물량에 대한 시간대별, 물류센터 작업조건별, 배달 총괄국으로 소통될 물량 비 율 값을 시뮬레이션 입력 물량으로 발생되도록 하는 과정에 의해 시뮬레이션이 수행된다(S580).Then, after searching for the demand forecast value, th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user interface unit 100 (S560), and when the demand forecast value is updated by the user, the changed information is stored (S570). In addition, for the demand forecast results and the simulation period (e.g., year, month), the volume ratio value to be communicated to the delivery bureau by time zone for the received quantity by general station, by logistics center work conditions, is generated as the simulation input quantity. Simul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process (S580).

다음 상기 도 12를 계속하여 설명하면 S130 단계에 의해 시뮬레이션부(300)가 구동되어 시뮬레이션 수행이 완료 되면, 출력 데이터 변환부(230)는 시뮬레이션 엔진으로부터 시뮬레이션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받아 시뮬레이 션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다음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부터 대응 방안 수립 시작 메시지를 입력받으면, 대응 방안 수립부(400)에 전달하여, 대응 방안을 수립하도록 지시한다(S1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대응 방안 수립 엔진으로부터 대응 방안이 수립되었다는 메시지를 받으면, 해당 대 응 방안 수립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시뮬레이션부(300)는 수립된 대 응 방안들을 이용할 경우의 부하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기 위해, 대응 방안별 상세 부하 분석 시뮬레이션을 수행 한다(S150).Next, continuing the description of FIG. 12, when the simulation unit 300 is driven in step S130 and the simulation performance is completed, the output data conversion unit 230 receives a message from the simulation engine that the simulation is complete and converts the simulation result data. to be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When a response plan establishment star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next user interface screen, it is transmitted to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unit 400 and instructs it to establish a response plan (S140). When the user interface unit 100 receives a message from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engine that a response plan has been established, it displays the corresponding response plan establishment result data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Then, the simulation unit 300 performs a detailed load analysis simulation for each response plan to find out how much the load is when using the established response plans (S150).

정보 저장부(500)의 시뮬레이터 결과 데이터 저장 모듈(520)은 대응 방안에 대한 비교 평가 결과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평가 결과를 사용자 화면으로 출력한다 (S1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사용자로부터 대응 방안을 선택할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알리는 정보가 입 력되면 해당 정보로 대응 방안의 수립을 완료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70).The simulator result data storage module 520 of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stores comparative evaluation results for response methods, and the user interface unit 100 outputs the evaluation results to the user screen in order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user. (S160). When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to select a response plan is input from the user, the user interface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o complete the establishment of a response plan based on the information (S170).

그리고 시뮬레이션 결과 중 과부하인 거점들을 대상으로 연도별 수립된 대응 방안들에 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 스부(100)는 연도별 수립한 대응 방안 전후를 비교할 수 있도록 비교 정보를 제공한다(S180). 이후, 사용자에 의해 해당 정보로 계획할 것을 알리는 승인/적용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90), 해당 대응 방안 으로 계획을 승인한 것으로 판단되면 인프라를 변경하여 해당 내역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S195). 그러나 해당 대응 방안으로 계획을 승인하지 않기로 판단하면, S120 단계 이후의 절차를 수행한다.And among the simulation results, the user interface unit 100 provides comparison information for response plans established by year targeting overloaded bases so that the user can compare before and after the response plans established by year (S180). Afterwards, it is determined whether approval/application information notifying the user to plan with the information has been received (S19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lan has been approved with the corresponding response plan, the infrastructure is changed so that it can be reflected in the corresponding details. (S195). However, if it is determined not to approve the plan as a response plan, the procedures after step S120 are performed.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부(300)의 운영 프로세스 시뮬레이션부(310)와 운송 프로세스 시뮬 레이션부(320)의 동작 흐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미래 물량을 예측하기 위해, 현재 집중국에서 처리되는 처리 능력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도 19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operation flows of the operation process simulation unit 310 and the transportation process simulation unit 320 of the simulation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is is to determine the processing capacity currently processed in the central office in order to predict future volume, and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19.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에 따른 대기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1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queue configuration according to mail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중국에 우편 물량이 도착되어 하차되면(S600), 소속계별로 발송 구분 절차가 수행 된다(S610). 구분이 완료된 물량은 도착 집중국별 대기열에 대기되어 운송된다. 이때 통상/특수/소포는 분리되어 파렛을 구성하게 된다(S620).As shown in Figure 19, when the mail volume arrives at the central office and is unloaded (S600), a shipment classification procedure is performed by affiliation (S610). Quantities that have been sorted are placed in a queue for each destination country and transported. At this time, regular/special/parcels are separated to form a pallet (S620).

이때, 도 19의 S610 단계에서 수행되는 발송 구분 절차에 따른 작업 우선 순위는 다음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 다.At this time, the task priority according to the shipment classification procedure performed in step S610 of FIG. 19 is as shown in FIG. 20 below.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과정에서의 작업 우선순위에 대항 예시도이다.Figure 20 is an exemplary diagram of task priorities in a simul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송 구분은 크게 소형계, 대형계, 특수계 및 소포계로 구 분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형계는 기계 처리, 수작업 처리, 선 구분으로 구분되며, 대 형계는 일반 처리와 선 구분으로 구분된다. 기계 처리 능력은 기계 구분 효율을 이용하며, 구분 설비 대수의 번 호별 호기 구분 없이 호기별 처리 능력을 모두 합하여 기계 처리 능력(통/시간)으로 한다.As shown in Figure 20, the shipmen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small type, large type, special type, and parcel ty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Small systems are divided into machine processing, manual processing, and line separation, and large systems are divided into general processing and line separation. The machine processing capacity uses the efficiency of the machine classification, and the processing capacity of each unit is added up to obtain the machine processing capacity (pass/hour) without any division by number of the number of equipment.

소형계 기계의 경우 발송 구분 시 OVIS 처리 능력을 이용하며, 도착 구분 시에는 LSM 처리 능력을 이용한다. 또 한, 소형계 기계의 경우 발송 구분 시 재 투입 비율을 반영하여 구분 효율을 입력한다. 그리고 도착 구분 시에 는 재 투입 비율을 고려하지 않는다. 기계 처리 물량 유형은 집중국별로 반영하며, 패킷 구분기를 소포 구분에 이용하는 경우도 반영할 수 있다.In the case of small machines, OVIS processing capabilities are used when sorting shipments, and LSM processing capabilities are used when sorting arrivals. Additionally, in the case of small-sized machines, the sorting efficiency is entered by reflecting the re-input ratio when sorting shipments. And when classifying arrivals, the re-injection rate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type of machine processing volume is reflected by each concentration station, and can also be reflected when a packet separator is used to sort parcels.

소형계 수작업은 시간 처리능력(통/시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입력 받아 사용한다. 한편, 소형계 선 구분은 시스템 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선 구분 작업에 일정 시간(예를 들어, “분/파렛”)을 부 여한다. 이때, 모든 집중국은 동일한 시간을 적용하며, 소형 선구분과 대형 선구 분에 같은 시간을 적용한다.The small-scale manual work uses time processing capability (pass/time)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00. On the other hand, because small-scale line separation does not affect the system load, a certain amount of time (e.g., “minutes/pallet”) is given to the line separation task. At this time, all central stations apply the same time, and the same time is applied to small and large lines.

발송 구분 시 작업 우선 순위의 경우, 기계 구분 시에는 우선 순위 없이 입력되는 순서대로 처리(FIFO: First In First Out)한다. 수작업 구분 시에는 자국 물량은 발송 구분 물량 작업시 대구분을 수행하고 이후 상세 구분 을 수행하기 때문에, 타국 물량에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그러나 도착 구분 시에는 작업에 우선 순위를 고려하 지 않는다.In the case of job priority when classifying shipments, when classifying machines, processing is done in the order of input without priority (FIFO: First In First Out). When manually sorting, the domestic volume is sorted in bulk during the shipment sorting process, and then detailed sorting is performed, so priority is given to the volume in other countries. However, priority of tasks is not considered when classifying arrivals.

처리 대상 물량의 경우, 발송 구분은 접수/수집된 모든 물량을 대상으로 하며, 발송 구분 물량에 포함된 도착 구분 물량도 발송 구분 시간대에 같이 처리한다. 소형계 수작업은 수작업 물량을 모두 처리한 후 기계 작업 후 발생되는 수작업 물량을 같이 처리한다.In the case of volumes subject to processing, shipment classification applies to all volumes received/collected, and arrival category volumes included in the shipment category volume are also processed within the shipment classification time zone. For small-sized manual work, all manual work is processed and then the manual work generated after machine work is also processed.

다음은 상기 도 19의 우편 물량이 물류 거점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시작 단계에서 구분 완료된 물량이 발 생하여 이를 대기열에 구성시켜 발송하기까지의 절차에 대하여 도 21 및 도 22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총괄국 물량 발생은 총괄국 물량 이외에 우체국 접수 물량을 총괄국 단위로 합쳐 총괄국에서 물량이 발생 한 것으로 한다. 물량 산출 시에는 기준 연도의 권역을 이용하며, 시뮬레이션 수행 시에는 해당 연도의 권역을 이용한다.Nex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mail volume shown in FIG. 19 has arrived at the logistics base, the procedures until the sorted volume is generated at the start stage, configured in the queue, and sent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S. 21 and 22. do. At this time, the volume generated at the general office is considered to have occurred at the general office by combining the post office receipt volume in addition to the volume at the general office. When calculating quantity, the region of the base year is used, and when performing simulation, the region of the corresponding year is used.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중국에서 교환센터로의 운송을 위한 대기열 구분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센터에서 집중국으로의 운송을 위한 대기열 구분 절차를 나 타낸 예시도이다.Figure 2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queue classification procedure for transport from a central station to a switching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2 is a queue sorting procedure for transport from a switching center to a centralized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

먼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거점에 도착한 물량이 하차되어 구분 완료된 물량이 발생하면(S700), 도 착국별로 대기열을 구성한다(S710). 그 후, 우편 유형 및 도착 시간에 따라 배달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를 결정 한다(S720). 통상의 경우 도착 집중국에서 총괄국으로 배분 2차 마감시각 이전에 발송하여 총괄국에 도착한 물 량은 다음날 배달되고, 이후 도착 물량은 이틀 후 배달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배분 1차 마감 시각 이전 에 도착한 물량은 당일 배달, 이후 도착은 다음날 배달 되는 것으로 산출한다. 익일 특급은 토요일 혹은 일요일 배달되는 것으로 한다.First, as shown in Figure 21, when the goods that have arrived at the logistics base are unloaded and the sorted goods are generated (S700), a queue is formed for each destination country (S710). Afterwards, the status indicating deliver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il type and arrival time (S720). In normal cases, quantities sent before the second cut-off time for distribution from the arrival concentration station to the general station are considered to be delivered the next day, and quantities arriving later are considered to be delivered two days later. Therefore, quantities arriving before the first distribution cut-off time are calculated to be delivered on the same day, and those arriving after are calculated to be delivered the next day. Next-day express delivery is made on Saturday or Sunday.

교환망 운송은 집중국(또는 물류 센터)과 교환 센터간 운송을 의미한다. 운송은 차량 발생-물량 상차-차량 출발 의 단계로 구성되는데, 발송 구분한 집중국으로 재 배분되어야 할 물량은 타 집중국 및 교환 센터로 운송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물량 상차시에는 상차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소포/특수를 우선 처리되도록 한다.Exchange network transportation refers to transportation between a concentration country (or logistics center) and an exchange center. Transportation consists of the following stages: vehicle generation - quantity loading - vehicle departure. Quantities that need to be redistributed to the designated concentration country are prevented from being transported to other concentration countries or exchange centers. Also, when loading a quantity, loading priority is given so that parcels/special parcels are processed first.

물량 수준에 따라 교환 센터로 갈 것인지 도착 집중국으로 갈 것인지 결정하기 위해, 차량 크기와 최대 차량 대 수를 기준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크기를 11톤, 8톤 및 5톤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 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Depending on the volume level, the decision whether to go to a redemption center or a destination country is based on vehicle size and maximum number of vehicle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vehicle is described by taking 11 tons, 8 tons, and 5 tons as examples,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집중국→교환센터/집중국 운송 로직에서는 한 집중국으로 가는 물량이 한 차(11톤)가 되면 도착 집중국으로 직 접 운송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1차 교환 발송 마감 시에는 한 집중국으로 가는 물량이 10 파렛 이상이면 대기 하고, 한 집중국으로 가는 물량이 10파렛 미만이면 교환센터로 운송(큰 차량 우선, 11톤→8톤→5톤)한다.1차 교환센터행 최종 차량의 경우 소포/특수물량이 있는 경우 무조건 보내며, 통상물량만 있는 경우에는 대기열 에 임시로 저장한다. 타 집중국 발송 마감 시에는 한 집중국으로 가는 물량이 한 차(5톤, 8톤)가 되면 도착집중 국으로 직접 운송되도록 결정하며, 한 집중국으로 가는 물량이 10파렛 미만이면 대기열에 임시로 저장한다.In the concentration country → exchange center / concentration country transportation logic, when the volume going to one concentration country reaches one car (11 tons), it is set to be transported directly to the destination concentration country. And at the end of the first exchange shipment, if the volume going to one concentration country is more than 10 pallets, it will be put on standby, and if the volume going to one concentration country is less than 10 pallets, it will be transported to the exchange center (larger vehicles first, 11 tons → 8 tons → 5 tons). .In the case of the final vehicle bound for the first exchange center, if there is a parcel/special volume, it is sent unconditionally. If there is only regular volume, it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queue. At the end of shipment to other concentration countries, it is decided that if the volume to one concentration country reaches one car (5 tons, 8 tons), it will be transported directly to the arrival concentration station, and if the volume to one concentration country is less than 10 pallets, it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queue.

2차 교환 발송 마감 시 내에 발생된 결과는, 한 집중국으로 가는 물량이 한 차(5톤, 8톤)가 되면 도착 집중국으 로 직접 운송되도록 하며, 한 집중국으로 가는 물량이 10파렛 미만이면 교환센터로 운송(큰 차량 우선, 11톤→8 톤→5톤)되도록 수행한다. 2차 교환센터행 최종 차량의 경우 적재율 상관없이 무조건 운송되는 것으로 처리한다.As for the results generated within the second exchange shipment deadline, if the volume going to one concentration country reaches one car (5 tons, 8 tons), it will be transported directly to the destination concentration country, and if the volume going to one concentration country is less than 10 pallets, it will be sent to the exchange center. Transport is carried out by (large vehicles first, 11 tons → 8 tons → 5 tons). In the case of the final vehicle destined for the secondary exchange center, it is treated as transported unconditionally regardless of load factor.

한편,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 센터→집중국 운송의 경우, 교환 완료된 물량이 발생하면(S800), 해당 물량은 도착 집중국별로 대기한 후(S810), 물량이 한 차 분량(예를 들어, 11톤 기준)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820). 만약 한 차 분량이 되면 운송된 것으로 처리한다(S830). 이 때, 파렛 구성은 통상/특수/소포로 구분한 다. 마지막 차량은 물량 대비 톤급(5톤, 8톤)을 결정하며(S840), 최종 차량은 적재율에 상관없이 무조건 보내는 것으로 처리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2, in the case of exchange center → concentrated transportation, when the exchanged volume is generated (S800), the volume is waiting for each arrival concentration country (S810), and then the volume is one car (e.g. , based on 11 tons) (S820). If it reaches the volume of one car, it is treated as transported (S830). At this time, the pallet composition is divided into regular/special/parcel. For the final vehicle, the tonnage level (5 tons, 8 tons) is determined relative to the volume (S840), and the final vehicle is sent unconditionally regardless of the load factor.

다음은 상기 도 12의 S140 단계에서 대응 방안을 수립한 이후의 절차에 대하여 도 23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procedure after establishing a response plan in step S140 of FIG. 1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3.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응 방안 수립 이후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다.Figure 23 is a flowchart of the procedure after establishing a response pl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방안 수립부(140)에서 세운 대응 방안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S900)되면, 여러 대응 방안들 중 수립이 필요한 상세 대응 방안들에 대한 기능들을 일부 혹은 전부를 수립하게 된다. 기능 수립 절차는 크게 인프라 신설 단계(S910), 관할 권역 설계 단계(S920), 네트워크 구조 설계 단계(S930) 및 처리 능 력 조절 단계(S940)로 수행된다.As shown in FIG. 23, when the response plan established by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unit 140 is selected by the user (S900),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for detailed response plans that need to be established among several response plans are established. I do it. The function establishment process is largely carried out in the infrastructure new phase (S910), jurisdiction design phase (S920), network structure design phase (S930), and processing capacity adjustment phase (S940).

먼저, 인프라 신설 단계(S910)는, 우편종별(예를 들어, 소형, 대형, 소포 등)로 발송, 도착 구분을 위한 신규 인프라의 구분 설비 및 수작업의 시간당 처리능력을 입력 받아 구분처리 능력을 산정한다(S911). 신규 인프라 처리능력 산정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받은 시간당 처리능력과 신규 인프라의 우편종별 발송, 도 착 구분별 가용시간을 곱하여 산출된 값에 의해 신규 인프라 처리능력을 산출한다(S912).First, in the infrastructure new stage (S910), the sorting processing capacity is calculated by inputting the hourly processing capacity of the new infrastructure and manual work for sorting shipments and arrivals by mail type (e.g., small, large, parcel, etc.). Do (S911). To calculate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new infrastructure,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new infrastructure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processing capacity per hour entered from the user interface and the available time for each mail type and arrival category of the new infrastructure (S912).

그리고 신규 인프라의 통상, 소포 발송 및 도착 관할을 입력 받아 인프라별 우편종별(소형, 대형, 소포) 발송, 도착 구분 물량을 산정한다. 이는, 신규 인프라에 총괄국을 추가하거나 제거함에 따라 인프라별 우편종별 발송, 도착별 관할 총괄국의 물량을 재 집계하여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인프라별 구분물량 값을 산정하기 위함이 다.In addition, the new infrastructure's normal and parcel shipping and arrival jurisdictions are input and the shipping and arrival volumes are calculated by mail type (small, large, and parcel) for each infrastructure. This is to calculate the separate volume values for each infrastructure by performing a process of re-aggregating and calculating the volume of the jurisdictional general bureau by mail type by infrastructure and mail type as a general station is added or removed from the new infrastructure.

신규 인프라 처리능력 산정(S911) 및 인프라별 구분물량 산정(S912)이 종료되면, 신규 인프라별 부하를 재 산정 하게 된다(913S). 이를 위해 인프라별 우편종별(소형, 대형, 소포) 발송, 도착별로 집계된 구분물량을 각각의 처리능력으로 나누어서 신규 인프라별 부하를 산정하게 된다.Once the new infrastructure processing capacity calculation (S911) and the classification volume calculation for each infrastructure (S912) are completed, the load for each new infrastructure is recalculated (913S). To this end, the load for each new infrastructure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aggregated volume by mail type (small, large, parcel) and arrival by infrastructure by each processing capacity.

다음, 관할 권역 설계 단계(S920)는 총괄국별로 관할 인프라에 대한 변경안을 입력 받아 인프라별 우편종별(소 형, 대형, 소포) 발송, 도착 구분물량을 재 산정하게 된다(S921). 이를 위해 총괄국별로 통상, 소포 발송 및 도 착에 대한 현재 관할 인프라를 변경함에 따라 인프라별 우편종별 발송, 도착별 관할 총괄국의 물량을 재 집계하 여 산출한다. 그리고 나서, 인프라별 부하를 재 산정하게 된다(S922).Next, in the jurisdictional area design stage (S920), changes to the jurisdictional infrastructure are input for each general office, and the shipment and arrival volume by postal type (small, large, parcel) by infrastructure is recalculated (S921). To this end, as the current jurisdictional infrastructure for commerce and parcel shipment and arrival is changed by each bureau, the volume of each jurisdiction by mail type and destination is recalculated and calculated. Then, the load for each infrastructure is recalculated (S922).

다음 네트워크 구조 설계 단계(S930)를 수행하는데, 이는 대응방안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준데이터로 사용하기 위하여 교환센터 신설, 교환시간, 처리능력 및 교환권역 설정 데이터를 입력 받아 단순히 시뮬레이션 DB에 저장 하게 된다.The next network structure design step (S930) is performed, in which data on new exchange center establishment, exchange time, processing capacity, and exchange area settings are input and simply stored in the simulation DB to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simulation of response measures.

마지막으로 처리능력 조정 단계(S940)는, 우편종별(소형, 대형, 소포)로 발송, 도착 구분을 위한 인프라의 구분 설비 및 수작업의 시간당 처리능력에 대한 수정안을 입력 받아 구분 처리능력을 재 산정하게 된다. 수정된 인프 라별 우편종별 발송, 도착별 시간당 처리능력과 각각의 가용시간을 곱하여 인프라(거점)별 산정한다(S941).Lastly, in the processing capacity adjustment step (S940), the classification processing capacity is recalculated by receiving corrections for the hourly processing capacity of the infrastructure and manual work for classification of mail types (small, large, parcel). do. It is calculated for each infrastructure (base) by multiplying the hourly processing capacity for each mail type for each mail type and the available time for each modified infrastructure (S941).

그러면 인프라의 통상 및 소포전용화로 인해 기능이 제거되거나, 다시 기능이 조정되어 신설되었을 때 인프라의 관할 총괄국에 대한 변경안을 입력 받아 인프라별 우편종별(소형, 대형, 소포) 발송, 도착 구분물량을 재 산정 하는 기능으로써 기능 추가시에는 인프라에 총괄국을 추가하거나 제거함에 따라 인프라별 우편종별 발송, 도착 별 관할 총괄국의 물량을 재 집계하여 산정한다(S942).Then, when a function is removed due to the commerce and parcel specialization of the infrastructure, or when the function is adjusted again and a new one is established, a change plan for the general office in charge of the infrastructure is input and the sending and arrival volume by mail type (small, large, parcel) by infrastructure is reconsidered. As a calculation function, when a function is added, the volume of the jurisdictional general office by mail type by infrastructure and postal type is re-counted and calculated as a general station is added or removed from the infrastructure (S942).

만약 기능을 제거하게 될 경우에는 총괄국별로 통상, 소포 발송 및 도착에 대한 현재 관할 인프라를 변경함에따라 인프라별 우편종별 발송, 도착별 관할 총괄국의 물량을 재 집계하여 산정하는 인프라별 구분물량을 산정한 다(S943). 그리고 인프라별 처리능력 산정 및 인프라별 구분물량 산정이 종료되는 것과 동시에 수행되어 인프라 별 부하를 재 산정하는 기능으로써 인프라별 우편종별(소형, 대형, 소포) 발송, 도착별로 집계된 구분물량을 각 각의 처리능력으로 나누어서 산정하는 과정을 통해 인프라 처리능력을 조정한다.If the function is removed, as the current jurisdictional infrastructure for commerce and parcel shipment and arrival is changed by each general office, the volume of the jurisdictional general office by mail type by infrastructure and mail type is recalculated to calculate the divided volume by infrastructure. C (S943). In addition, it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calculation of processing capacity by infrastructure and the calculation of classified volume by infrastructure is completed, and is a function to recalculate the load by infrastructure, calculating the categorized volume aggregated by mail type (small, large, parcel) by infrastructure and by arrival. Infrastructure processing capacity is adjusted through a process of calculating by dividing by the processing capacity of .

상기와 같은 절차에 따라 대응방안들에 대하여 수립이 완료되면, 수립과정에서 생성된 결과에 대한 기준정보를 사용하여 운영 및 운송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상세 부하 분석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Once response measures ar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above procedures, it is possible to perform a detailed load analysis function by performing operation and transportation simulations using the standard information on the results generated during the establishment proces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only implemented through devices and methods, but may also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that realizes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The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n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ossible.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rights.

Claims (15)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시스템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미리 설정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통계 분석
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 통계 분석부로부터 출력되는 변환된 데이터를 토대로, 운영 및 운송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에 따른 대응 방안을 수립하여 출력하는 대응 방안 수립부;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준 정보, 시뮬레이션 결과 정보 및 대응 방안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를 포함하는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
In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simulation method through demand forecasting,
a user interface unit that receives data input from the user or provide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ystem;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by the user interface unit, data statistical analysis is converted into a preset format.
wealth;
a simulation unit that performs simulation of operation and transportation based on data output from the user interface or converted data output from the data statistical analysis unit;
a response plan establishment unit that establishes and outputs a response plan according to the data out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and an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reference information for simulation, simulation result information, and response plan information.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simulation method through demand forecasting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통계 분석부로 전달하는 데 이터 입력부;
상기 시뮬레이션부와 연동하여, 상기 데이터 입력부가 수집한 데이터 또는 상기 시뮬레이션부에서 출력된 시뮬 레이션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수행 및 결과 조회부; 및
상기 대응 방안 수립부와 연동하여, 상기 데이터 입력부가 수집한 데이터 또는 상기 시뮬레이션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토대로 대응 방안을 수립하고, 상기 대응방안 수립부에서 생성된 대응 방안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에게 제공하는 대응 방안 수립 및 결과 조회부
를 포함하는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ser interface unit,
a data input unit that collects data input from the user and transmits the collected data to the data statistical analysis unit;
a simulation performance and result inquiry unit that, in conjunction with the simulation unit, provides data collected by the data input unit or simulation results output from the simulation unit to the user; and
In conjunction with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unit, a response plan is establish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by the data input unit or data output from the simulation unit, and the response plan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unit is provided to the user. Establish response plan and result inquiry department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simulation method through demand forecasting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계 분석부는,
상기 시뮬레이션 시스템과 연동되어 있는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또는 상기 사용자 인 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미리 설정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는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부;
시뮬레이션 개시를 위해 요구되는 미리 설정한 수요 예측 생성 결과를 토대로, 미래 연도 입력 물량을 생성하여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데이터로 출력하는 입력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입력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발생된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출력 데 이터로 변환하는 출력 데이터 변환부
를 포함하는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ata statistical analysis unit,
a data migration unit that converts data output from a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linked to the simulation system or data out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into a preset data format;
An input data conversion unit that generates input quantities for future years based on the preset demand forecast generation results required to start the simulation and outputs them as simulation performance result data; and
An output data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he simulation performance result data generated from the input data conversion unit into output data to provide it to the user.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simulation method through demand forecasting includ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 변환부는,
기록 우편물 입력 데이터 변환기, 비기록 우편물 입력 데이터 변환기, 운영 및 운송 기준 데이터 변환기 및 미 래 우편 물량 데이터 변환기를 포함하며,상기 기록 우편물 입력 데이터 변환기는,
상기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 중, 접수 거점별, 종별, 일별 물량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저 장하고, 복수의 총괄국별 접수 물량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1 물량 생성 모듈;
상기 제1 물량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총괄국별 접수 물량 정보를 토대로, 발송 총괄국과 도착 총괄국 물량 데이 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2 물량 생성 모듈;
비율 값 생성 모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임의의 연도 시뮬레이션 기간 정보, 임의의 연도 증가율 값 정보 및 시뮬레이 션 수행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임의의 연도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위한 거점별 입력 기 준 물량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 기준 물량 데이터 생성 모듈; 및
기준 연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기준 연도의 입력 물량 데이터를 시뮬레이션 입력 물량으로 발생하 는 입력 물량 발생 모듈
을 포함하는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input data conversion unit,
A recorded mail input data converter, an unrecorded mail input data converter, an operational and transit criteria data converter, and a future mail volume data converter, the recorded mail input data converter comprising:
a first volume creation module that extracts and stores volume data information by reception base, type, and day from the data converted by the data migration unit, and generates and stores reception volume information by a plurality of general bureaus;
a second quantity creation module that generates and stores quantity data for the sending and arriving stations based on the reception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station generated in the first quantity creation module;
Ratio value generation module;
When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simulation period information for a random year, growth rate value information for a random year, and simulation performance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input standard quantity data for each base for simulation for the random year is received. an input-based quantity data generation module; and
When performing a base year simulation, an input quantity generation module that generates the input quantity data of the base year as the simulation input quantity.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simulation method through demand forecasting includ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기록 우편물 입력 데이터 변환기는,
상기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로부터, 거점별, 일별 우편종별 작업 조건별 물량 데이터 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물량 데이터 추출 모듈;
상기 우편 물류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로부터 거점별, 발송/도착/배분 물량 값을 기준으로 비율 값을 생성하고, 제1 총괄국 및 제2 총괄국 입력 기준 물량 데이터 생성 모듈;
기계 작업 후 수작업 발생 물량 비율 값이 발생하면, 수작업 추가 발생 물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작업 발생 물 량 데이터 생성 모듈;
상기 입력 기준 물량 데이터 생성 모듈로부터 시뮬레이션 개시 정보를 수신하면, 기준 연도 입력 물량의 균등 분포 값을 기준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입력 물량 데이터를 발생하는 시뮬레이션 입력 데이터 생성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미래 연도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거점별 입력 기준 물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배당 물량 비율 생성 모듈
을 포함하는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unrecorded mail input data converter,
a volume data extraction module that extracts and stores volume data by base, daily, postal type, and work conditions from data output from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a module that generates a ratio value based on the shipment/arrival/distribution volume values for each base from data output from the postal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and generates volume data based on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management bureaus;
A manual labor volume data generation module that generates additional manual labor volume data when a manual labor volume ratio value occurs after machine work;
a simulation input data generation module that generates simulation input quantity data based on the uniform distribution value of the input quantity in the base year when receiving simulation start information from the input standard quantity data generation module; and
Upon receiving a request message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a dividend volume ratio generation module that generates input standard volume data for each base to perform simulation for the future year.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simulation method through demand forecasting including.
제4항에 있어서,
운영 및 운송 기준 데이터 변환기는,
상기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로부터 거점별로 구분설비의 종류 및 처리 능력과 구분 작업 조 건 기준 정보를 추출하는 작업 기준 정보 생성 모듈;
상기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로부터 시간대별로 처리능력 데이터를 획득하여, 거점별 시간대 별 처리물량 값을 생성하는 시간대별 처리 물량 산출 모듈;
상기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로부터 거점별 발송/도착/배분 물량 및 비율 값을 생성하는 비율 값 생성 모듈;
상기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로부터 거점별로 발생한 기계 처리 대비 수작업 물량의 비율 값 을 생성하는 수작업 발생 물량 산출 모듈;
상기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로부터 소포 파렛당 체결 수량 데이터를 획득하는 체결 수량 데 이터 생성 모듈; 및
상기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로부터 운송 요금 데이터를 획득하는 운송 거리 요금 데이터 생성 모듈
을 포함하는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Operational and transportation reference data converters include:
A work standard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that extracts the type and processing capacity of classification equipment and classification work condition standard information for each base from the data output from the data migration unit;
a processing volume calculation module for each time slot that obtains processing capacity data for each time slot from the data output from the data migration unit and generates processing volume values for each time slot for each base;
a ratio value generation module that generates shipment/arrival/distribution volume and ratio values for each base from the data output from the data migration unit;
a manual labor quantity calculation module that generates a ratio value of the manual labor volume to machine processing generated at each base from the data output from the data migration unit;
a contract quantity data generation module that acquires contract quantity data per parcel pallet from the data output from the data migration unit; and
A transportation distance rate data generation module that obtains transportation rate data from the data output from the data migration unit.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simulation method through demand forecasting includ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래 우편 물량 데이터 변환기는,
상기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로부터 거점별 일계 또는 월계 물량을 산출하는 물량 데이터 생 성 모듈;
상기 물량 데이터 생성 모듈에서 산출한 월계 물량을 이용하여 거점별 연도별 물량 데이터를 산출하는 기준 데 이터 생성 모듈; 및
현재 시점보다 앞선 시점의 물량 데이터와 새로 생성된 기준 변동 물량 값을 이용하여, 전국 연평균 성장률을 계산하는 물량 변화량 생성 모듈
을 포함하는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future postal volume data converter,
a volume data generation module that calculates daily or monthly volume for each base from the data output from the data migration unit;
a standard data generation module that calculates annual volume data for each base using the monthly volume calculated in the volume data generation module; and
A volume change generation module that calculates the national average annual growth rate using volume data from earlier than the current point and the newly created standard change volume value.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simulation method through demand forecasting includ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시뮬레이션부와 대응 방안 수립부에서 출력되는 시뮬레이션 결과와 대응 방안 결과를 상기 정보 저장부로 전달하는 결과 발생 확인 모듈;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기준/운송기준/물량/권역별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 검색 모둘;
물류 거점들에 대한 과부하 비율 및 일 최대 부하를 산출하는 상세 부하 분석 모듈;
운송 구간별 차량 소요 정도를 산출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로 전달하는 차량 소요 산출 모듈; 및 우편종별 송달 기준 만족율을 산출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로 전달하는 우편종별 만족율 산출 모듈 을 포함하는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output data conversion unit,
a result generation confirmation module that transmits the simulation results and response plan results output from the simulation unit and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unit to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a data search module that searches data by operating standards/transportation standards/volume/reg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provides the data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A detailed load analysis module that calculates the overload ratio and maximum daily load for logistics hubs;
a vehicle consumption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the vehicle consumption for each transportation section and transmits it to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A simulation method for responding to logistics infrastructure through demand forecasting, including a satisfaction rate calculation module for each type of mail that calculates the satisfaction rate of delivery standards for each type of mail and transmits it to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부는,
상기 데이터 통계 분석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물류 거점의 운영 프로세스 로직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운영 프로세스 시뮬레이션부; 및
상기 운영 시뮬레이션부에서 수행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토대로, 물류 거점간 운송을 위한 운송 프로세스에 대 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운송 프로세스 시뮬레이션부
를 포함하는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mulation unit,
an operation process simulation unit that performs a simulation of the operation process logic of a logistics base based on data output from the data statistical analysis unit or data out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and
A transportation process simulation department that performs simulation of the transportation process for transportation between logistics ba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performed in the operation simulation department.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simulation method through demand forecasting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방안 수립부는,
외부로부터 현재 시점 이후에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어 입력된 물량 정보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인프라 를 신설하는 인프라 신설부;
이미 설정되어 있는 인프라의 통상 및 소포 관할 권역을 재설정하여 인프라별 부하를 재 산출하는 관할 권역 설 계부;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를 설계하여, 시뮬레이션의 기준 정보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구조 설계부; 및 과부하 인프라의 구분 처리 능력을 조정하여 인프라의 부하를 재 산출하는 처리 능력 조정부
를 포함하는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department said,
An infrastructure new department that establishes new infrastructure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quantity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outside, which is predicted to occur after the current point in time;
A jurisdictional design department that recalculates the load for each infrastructure by resetting the commercial and parcel jurisdiction areas of the already established infrastructure; a network structure design department that designs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simulation system and generates 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simulation; and a processing capacity adjustment unit that recalculates the load on the infrastructure by adjusting the processing capacity of overloaded infrastructure.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simulation method through demand forecasting includ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프라 신설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소통 시각, 거리/시간 설정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정보 저장부로 전달하여 대응 방안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준 데이터로 저장하는 정보 수집 모듈;
상기 정보 수집 모듈이 수집한 정보로부터 인프라별 구분 물량 정도를 산출하는 인프라별 부하 산정 모듈; 상기 정보 수집 모듈이 수집한 정보로부터 신규 인프라 처리 능력을 산출하는 신규 인프라 처리 능력 산정
모듈; 및
상기 인프라별 구분물량 산정 모듈 및 신규 인프라 처리 능력 산정 모듈이 산출한 정보를 전달받아 인프라별 부 하를 산정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인프라별 구분 물량 산정 모듈
을 포함하는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nfrastructure new department,
A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that receives communication time and distance/time setting data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transfers it to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stores it as reference data for simulating a response plan;
A load calculation module for each infrastructure that calculates the level of volume for each infrastructure from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Calculation of new infrastructure processing capacity by calculating new infrastructure processing capacity from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abov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module; and
An infrastructure-specific volume calculation module that receives th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infrastructure-specific volume calculation module and the new infrastructure processing capacity calculation module, calculates the load by infrastructure,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interface unit.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simulation method through demand forecasting includ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할 권역 설계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통상 발송 관할, 통상 도착 관할, 소포 발송 관할 및 소포 도착 관할 설정 정 보를 전달받는 설정 모듈;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물량 정보와 상기 설정 모듈이 전달받은 정보를 토대로 관할 데이터를 변경하여 인프라 부하를 산정하는 인프라별 부하 산정 모듈; 및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물량 정보와 상기 설정 모듈이 전달받은 정보를 토대로 관할 데이터를 변경하여 인프라별로 구분 가능한 물량을 산정하는 인프라별 구분 물량 산정 모듈
을 포함하는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jurisdictional design department,
A setting module that receives normal shipping jurisdiction, normal arrival jurisdiction, parcel shipping jurisdiction, and parcel arrival jurisdiction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an infrastructure-specific load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the infrastructure load by changing jurisdiction data based on the standard quantity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tting module; and
An infrastructure-specific quantity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the quantity that can be classified by infrastructure by changing jurisdictional data based on the standard quantity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tting module.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simulation method through demand forecasting including.
물류 인프라 대응방안을 시뮬레이션 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준 연도 또는 임의의 연도 중 어느 하나의 연도에 대한 수요 예측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수요 예측 데이터 를 토대로 연도별 부하를 분석하여 연도별 부하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연도별 부하 분석 정보를 토대로 연도별 대응 방안을 수립하는 단계; 및
상기 수립한 연도별 대응 방안을 토대로 대응 방안별 상세 부하를 분석하여 대응 방안을 수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
In the method of simulating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measures,
Upon receiving demand forecast data for either a base year or an arbitrary year, analyzing load by year based on the demand forecast data to generate load analysis information by year;
Establishing a response plan for each year based on the generated load analysis information for each year; and
A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simulation method through demand forecasting, which includes the step of establishing a response plan by analyzing the detailed load for each response plan based on the annual response plan established abov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도별 부하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수요 예측 데이터를 미리 설정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포맷이 변환된 상기 수요 예측 데이터를 토대로 일일 기준 물량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산정한 일일 기준 물량을 토대로 연도별 부하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
According to clause 13,
The step of generating the load analysis information by year is,
Converting the received demand forecast data into a preset format;
calculating a daily standard quantity based on the demand forecast data whose format has been converted; And a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simulation method through demand forecasting, including the step of analyzing the annual load based on the calculated daily standard volum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수요 예측 데이터를 토대로 기록 우편물 또는 비기록 우편물에 대한 우편 물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기준 배달국 기준의 배달 물량 정보를 생성하여 물량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요 예측 데이터로부터 시뮬레이션 운영 및 운송 기준 데이터를 추출하여 운영/운송 기준 데이터로 생성 하는 단계;
거점별 물량 일계 물량 데이터 및 청별 월별 물량 데이터를 생성하여, 수요 예측 기준 물량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요 예측 기준 물량을 토대로 상기 임의의 연도에 대한 미래 물량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nverting step includes:
Generating postal volume data for recorded or unrecorded mail based on the demand forecast data, generating delivery volume information based on a standard delivery country, and extracting volume data;
Extracting simulation operation and transportation standard data from the demand forecast data and generating operation/transportation standard data;
Generating daily quantity data for each base and monthly quantity data for each office to generate a demand forecast standard quantity; and
A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simulation method through demand forecasting, including the step of generating future volume for the arbitrary year based on the demand forecast standard volume.
KR1020220090843A 2022-07-22 2022-07-22 A Simulation Method of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through Demand Forecasting KR202400133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843A KR20240013379A (en) 2022-07-22 2022-07-22 A Simulation Method of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through Demand Foreca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843A KR20240013379A (en) 2022-07-22 2022-07-22 A Simulation Method of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through Demand Forecas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379A true KR20240013379A (en) 2024-01-30

Family

ID=8971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843A KR20240013379A (en) 2022-07-22 2022-07-22 A Simulation Method of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through Demand Forecas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337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5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and managing real-time postal delivery operation
CN110245791B (en) Order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KR1008796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postal logistics flow control
US6125306A (en) System for controlling physical distribution pallets
US6674038B1 (en) Information based network process for mail sorting/distribution
US7194415B2 (en) Support system for maintenance contract of elevator
US9126235B2 (en) Enhanced postal data modeling framework
US20040054549A1 (en) Method, computer system and computer system network
JP4045074B2 (en) Elevator maintenance contract support system
JPH1131177A (en) Delivery system
US7698147B2 (en) Information based network process for mail sorting/distribution
US85602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ternative simulation of logistics infrastructure
US20040010578A1 (en) Method, computer system and computer system network
Qi et al. Generating labor requirements and rosters for mail handlers using simulation and optimization
KR20240013379A (en) A Simulation Method of Logistics Infrastructure Response through Demand Forecasting
WO2020080263A1 (en) Delivery planning system and delivery planning method
KR1012123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lternative simulation of logistics infrastructure
CN116342007A (en) Intelligent scheduling method and intelligent scheduling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ion service
CN115169739A (en) Transportation path planning method considering timeliness and discount based on logistics supply chain
KR100667152B1 (en)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postal transportation networks
EP1086754A2 (en) Mail item distribution method and device
KR1016945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frastructure operation plan
US20020188569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termediating transportation, and computer product
KR1008673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postal transportation network and recording media storing program embodying the method
Pajunas et al. Optimizing highway transportation at the United States postal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