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633A - Rail mobile object for rail - Google Patents

Rail mobile object for 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633A
KR20240007633A KR1020230177126A KR20230177126A KR20240007633A KR 20240007633 A KR20240007633 A KR 20240007633A KR 1020230177126 A KR1020230177126 A KR 1020230177126A KR 20230177126 A KR20230177126 A KR 20230177126A KR 20240007633 A KR20240007633 A KR 20240007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heel
monorail
guide whee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7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챌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챌린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챌린지
Priority to KR1020230177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633A/en
Publication of KR20240007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633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9/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derailing, e.g. by use of guid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레일의 일측에 안착되고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수단에 의한 구동휠이 장착되는 구동 본체, 상기 구동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모노레일의 일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휠 및 상기 페레일은 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로부터 상대적으로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의한 수평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의 연결부위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동방지 휠을 포함하는, 레일형 이동 구조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body seated on one side of a monorail and equipped with a driving wheel by a driving means to enable two-way movement, at least one guide wheel mount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body 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monorail, and the rail A rail comprising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ground upward and a horizontal portion formed with a relatively wide diameter from the vertical portion, and including at least one anti-rocking wheel supporting a connection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Provides a type move structure.

Description

레일형 이동 구조체{RAIL MOBILE OBJECT FOR RAIL} Rail-type moving structure {RAIL MOBILE OBJECT FOR RAIL}

본 발명은 레일형 이동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type mobile structure.

하강레포츠는 양편의 나무나 지주대 등의 구조물을 강철케이블 등의 와이어로 연결하고, 탑승자와 연결된 트롤 리(trolley)를 와이어에 걸어 빠른 속도로 반대편으로 이동하는 스피드 및 스릴과 함께 자연경관을 느낄 수 있는 야외 레포츠로서, 지역에 따라 짚라인(Zipline), 플라잉폭스(Flying Fox), 짚와이어(Zip-wire), 에어리얼런 웨이(Aerial Runway), 티롤리언크로싱(Tyrolean Crossing), 스카이플라이(SkyFly)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Descending leisure sports connect structures such as trees or supports on both sides with wires such as steel cables, and hang a trolley connected to the rider on the wire to experience the speed and thrill of moving to the other side at high speed while feeling the natural scenery. Among the outdoor leisure sports available, depending on the region, there are Zipline, Flying Fox, Zip-wire, Aerial Runway, Tyrolean Crossing, and SkyFly. ) and is called by various names.

이중 짚 라인(zip line)으로 알려진 활강 레포츠는 산악지역 등에서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를 연결와이어로 연결하고, 체험자가 트롤리에 의해 연결와이어를 따라 빠른 속도로 하강하면서 주변의 자연경관을 즐김과 동시에 짜릿한 스릴을 느낄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활강 레포츠는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의 고도차에 의한 중력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산악지역의 높은 고도에 설 치되는 출발지에서 연결와이어에 트롤리(trolley)를 체결한 상태로 1000m 이상의 연결와이어를 따라 활주한 다 음 저지대의 도착지로 향하게 된다.Among them, downhill leisure sports, known as zip lines, connect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in mountainous areas with a connecting wire, and the experiencer descends at high speed along the connecting wire by trolley, enjoying the surrounding natural scenery and providing an exhilarating thrill at the same time. It is designed to allow you to feel. Downhill leisure sports are a method of using the gravity caused by the altitude difference between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At the starting point installed at a high altitude in a mountainous area, you glide along a connecting wire of more than 1000m with a trolley attached to the connecting wire. Head to your destination in the lowlands.

최근에는 모노레일이나 폐기된 H빔 또는 사용하지 않는 폐선로 또는 구조용 교각로를 이용하여 이동이 가능한 레일 이동체가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스릴감을 제공하고 있다.Recently, rail mobile devices that can move using monorails, discarded H-beams, unused tracks, or structural bridges have been installed, providing users with a variety of thrills.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710700 B1(2017.02.21)Korean Patent Publication 10-1710700 B1 (2017.02.21) 한국 실용신안등록공보 20-0484374 Y1(2017.08.23)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Bulletin 20-0484374 Y1 (2017.08.2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6650호 (2015.07.1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446650 (2015.07.15)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노레일 또는 H빔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운행이 가능할 수 있는 레일형 이동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rail-type mobile structure that can be operated in stable close contact with a monorail or H-beam.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이동 구조체는, The rail-type mob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모노레일 또는 H빔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안착되고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수단에 의한 구동휠이 장착되는 구동 본체;A driving body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monorail or H beam and is equipped with a driving wheel by a driving means to enable two-way movement;

상기 구동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모노레일의 일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휠; 및At least one guide wheel mount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body 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monorail; and

상기 레일은 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로부터 상대적으로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의한 수평부가 형성되되, The rail is formed with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ground upward and a horizontal portion formed with a relatively wide diameter from the vertical portion,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의 연결부위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동방지 휠;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t least one anti-rocking wheel supporting a connection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요동방지 휠 및 가이드 휠은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무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rocking wheel and the guide wheel may include a rubber material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요동방지 휠은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의 연결 부위를 지지하도록, 가상의 수평면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rocking wheel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a virtual horizontal plane to suppor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휠은 상기 모노레일 또는 H빔의 수평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wheel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supports on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monorail or H-bea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휠은 상기 모노레일 또는 H빔의 수평부 측면과 하부면을 지지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wheel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horizontal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monorail or H-bea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요동방지 휠 및 가이드 휠은 상기 구동 본체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rocking wheel and the guide wheel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e from the driving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요동방지 휠 및 가이드 휠은 상기 모노레일 또는 H빔의 밀착이 가능하도록 연장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rocking wheel and the guide wheel may include a structure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in the extension direction to enable close contact with the monorail or H-bea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이동 구조체는, 모노레일 또는 H빔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운행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rail-type mob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travel in stable close contact with a monorail or H-beam.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이동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이동 구조체의 측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이동 구조체의 단면도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이동 구조체의 요동방지 휠 나타내는 사시도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이동 구조체의 요동방지 휠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이동 구조체의 가이드 휠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ail-type mob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rail-type mov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rail-type mobile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i-rocking wheel of a rail-type mov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n anti-rocking wheel of a rail-type mov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guide wheels of a rail-type moving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Additionally,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N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이동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이동 구조체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이동 구조체의 요동방지 휠 나타내는 사시도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이동 구조체의 요동방지 휠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이동 구조체의 가이드 휠 나타내는 사시도들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이동 구조체의 사용 상태도이다.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ail-type mob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rail-type mob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nti-rocking wheel of the rail-type mobile structure, and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nti-rocking wheel of the rail-type mob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5 to 8 are the rail-type mobile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guide wheels of the mobile structure, and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rail-type mob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이동 구조체(100)는 모노레일(10)의 일측에 안착되고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수단에 의한 구동휠이 장착되는 구동 본체(110), 상기 구동 본체(110)의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모노레일(10)의 일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휠(300) 및 상기 페레일(10)은 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로부터 상대적으로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의한 수평부(12)가 형성되되, 상기 수직부(11)와 수평부(12)의 연결부위(15)를 지지하는 복수의 요동방지 휠(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rail-type moving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on one side of the monorail 10 and includes a driving body 110 on which a driving wheel by a driving means is mounted to enable two-way movement, the driving body A plurality of guide wheels 300 mounted on one side of the monorail 10 and the rail 10 supporting one side of the monorail 10 include a vertical portion 11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ground upward and the vertical portion A horizontal portion 12 having a relatively wide diameter is formed from (11), and a plurality of anti-rocking wheels 200 are provided to support the connection portion 15 of the vertical portion 11 and the horizontal portion 12.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모노레일(10)은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면(미도시), 상기 지지면의 중심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수직부(11) 및 상기 수직부(11)의 단부에 형성되는 수평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평부(12)는 수직부(11)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11)와 수평부(12)에는 모서리인 연결부위(15)가 형성될 수 있다.The monorail 10 includes a support surface (not shown) supporting the ground, a vertical part 11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surface, and a horizontal part 12 formed at an end of the vertical part 11. It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At this time, the horizontal portion 12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wider diameter than the vertical portion 11, so that a connection portion 15, which is an edge, can be formed between the vertical portion 11 and the horizontal portion 12.

상기 모노레일(10)의 연결부위(15)는 상기 요동방지 휠(200)이 밀착될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노레일(10)의 상기 수평부(12)와 수직부(11)의 연결부위(15)는 소정의 각도로 만곡되거나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15 of the monorail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shape that allows the anti-rocking wheel 200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it. For example, the connecting portion 15 of the horizontal portion 12 and the vertical portion 11 of the monorail 10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curved or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구체적으로, 구동 본체(110)는 모노레일(10)의 수평부(12)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다. 구동 본체(110)에 구동 휠(120)과 보조 휠(1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본체(11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 부위에는 사람이나 물건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물이 안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riving body 110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12 of the monorail 10. A driving wheel 120 and an auxiliary wheel 130 may be disposed on the driving body 110. The driving body 1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 structure forming a space where people or objects can be loaded is seated on the upper part.

구동 본체(110)의 구동 휠(120)과 보조 휠(130)은 인접한 부위에 배치되어 구동 본체(110)가 외력에 의하여 상기 모노레일(10)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 가능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동 휠(120)과 보조 휠(130)은 외부 전력 또는 사용자의 인력에 의한 동력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The driving wheel 120 and the auxiliary wheel 130 of the driving body 110 are arranged in adjacent areas to provide power to enable the driving body 110 to move while seated on the monorail 10 by external force. . At this time, the driving wheel 120 and the auxiliary wheel 130 may be moved by external power or power generated by the user's manpower.

요동방지 휠(200)은 구동 본체(110)의 하측 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요동방지 휠(200)은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이 가능한 체결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The anti-rocking wheel 2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body 110. The anti-rocking wheel 200 may be formed with a fastening portion 210 capable of being fixed to the structure mounted on the top.

요동방지 휠(200)에는 상기 모노레일(10)의 연결부위(15)에 밀착되는 바퀴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요동방지 휠(200)의 바퀴부(250)는 탄력적으로 밀착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무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A wheel portion 25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ortion 15 of the monorail 10 may be formed on the anti-rocking wheel 200. Preferably, the wheel portion 250 of the anti-rocking wheel 200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enable elastic close contact.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silicone or polyurethane material.

이 때, 상기 요동방지 휠(200)은 모노레일(10)의 수평부(12)와 수직부(11)의 연결부위(150)를 지지하도록, 가상의 수평면(P)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요동방지 휠(200)의 바퀴부(250)가 모노레일(10)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레일 이동체(100)가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nti-rocking wheel 200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virtual horizontal plane P to support the connecting portion 150 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 12 and the vertical portion 11 of the monorail 10. It can be placed inclinedly. Therefore, by allowing the wheel portion 250 of the anti-rocking wheel 200 to elastically adhere to the monorail 10, the rail moving body 100 can be stably seated without moving.

한편, 가이드 휠(300)은 마찬가지로 구동 본체(110)의 하측 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휠(300)은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이 가능한 체결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guide wheel 300 may also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body 110. The guide wheel 300 may be formed with a fastening portion 310 capable of being fixed to the structure mounted on the top.

가이드 휠(300)에는 상기 모노레일(10)의 수평부(12) 부위에 밀착되는 바퀴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가이드 휠(200)의 바퀴부(350)는 탄력적으로 밀착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무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A wheel portion 35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ortion 12 of the monorail 10 may be formed on the guide wheel 300. Preferably, the wheel portion 350 of the guide wheel 200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enable elastic close contact.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silicone or polyurethane material.

이 때, 경우에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휠(300)의 바퀴부(350)에는 모노레일(10)의 수평부(12)의 측면과 동시에 하부면 부위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리브(30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휠(300)의 바퀴부(350)가 모노레일(10)의 수평부(12)의 측면과 하부면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레일 이동체(100)가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some cases,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wheel portion 350 of the guide wheel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and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12 of the monorail 10. To enable this, support ribs 302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may be formed. Therefore, the wheel portion 350 of the guide wheel 300 supports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horizontal portion 12 of the monorail 10, so that the rail moving body 100 can be stably seated without moving. .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일형 이동 구조체(100)는 상기 모노레일(10)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레일 이동체(100)의 가이드 휠(300)이 폐일(10)의 수평부(12)의 측면 또는 측면과 하부 부위를 지지하는 한편, 요동방지 휠(200)이 모노레일(10)의 수평부(12)의 측면과 하부의 연결부위, 즉 만곡된 부위에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밀착되는 구조를 통하여 레일 이동체(100)가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type mobile structure 100 can be moved while seated on the monorail 10. At this time, the guide wheel 300 of the rail moving body 100 supports the side or the side and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art 12 of the closure 10, while the anti-rocking wheel 200 supports the monorail 10. The rail moving body 100 can be moved in a stably seated state through a structure that adheres closely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ide and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portion 12, that is, the curved por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Above,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t is natural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implement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10: 모노레일
11: 수직부
12: 수평부
15: 연결부위
100: 레일 이동체
110: 구동 본체
200: 요동방지 휠
300: 가이드 휠
10: Monorail
11: vertical part
12: horizontal part
15: Connection part
100: Rail moving body
110: driving body
200: Anti-rocking wheel
300: Guide wheel

Claims (7)

모노레일 또는 H빔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안착되고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수단에 의한 구동휠이 장착되는 구동 본체;
상기 구동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모노레일의 일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휠; 및
상기 레일은 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로부터 상대적으로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의한 수평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의 연결부위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동방지 휠;을 포함하는, 레일형 이동 구조체.
A driving body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monorail or H beam and is equipped with a driving wheel by a driving means to enable two-way movement;
At least one guide wheel mount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body 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monorail; and
The rail is formed with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ground upward and a horizontal portion formed with a relatively wide diameter from the vertical portion,
A rail-type moving structure comprising: at least one anti-rocking wheel supporting a connection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방지 휠 및 가이드 휠은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무소재를 포함하는, 레일형 이동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A rail-type moving structure wherein the anti-rocking wheel and the guide wheel include a rubber material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방지 휠은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의 연결 부위를 지지하도록, 가상의 수평면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레일형 이동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anti-rocking wheel is a rail-type moving structure including a structure dispos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a virtual horizontal plane to suppor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휠은 상기 모노레일 또는 H빔의 수직부 또는 수평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레일형 이동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wheel is a rail-type moving structure including a structure that supports one side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portion of the monorail or H bea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휠은 상기 모노레일 또는 H빔의 수평부 측면과 하부면을 지지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레일형 이동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4,
The guide wheel is a rail-type moving structure including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horizontal side and lower surfaces of the monorail or H bea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방지 휠 및 가이드 휠은 상기 구동 본체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레일형 이동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A rail-type moving structure wherein the anti-rocking wheel and the guide wheel include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e from the driving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방지 휠 및 가이드 휠은 상기 모노레일 또는 H빔의 밀착이 가능하도록 연장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레일형 이동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anti-rocking wheel and the guide wheel include a structure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in an extension direction to enable close contact with the monorail or H beam.
KR1020230177126A 2023-12-07 2023-12-07 Rail mobile object for rail KR202400076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7126A KR20240007633A (en) 2023-12-07 2023-12-07 Rail mobile object for 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7126A KR20240007633A (en) 2023-12-07 2023-12-07 Rail mobile object for ra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633A true KR20240007633A (en) 2024-01-16

Family

ID=8971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7126A KR20240007633A (en) 2023-12-07 2023-12-07 Rail mobile object for r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7633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650B1 (en) 2014-03-10 2014-10-06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The luncher and brake unit for a zip line
KR101710700B1 (en) 2016-08-31 2017-02-27 주식회사 짚핑코리아 Braking apparatus for zipline and trolley for the apparatus
KR200484374Y1 (en) 2016-07-29 2017-08-29 김정수 A Pully block for leisure sports with brak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650B1 (en) 2014-03-10 2014-10-06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The luncher and brake unit for a zip line
KR200484374Y1 (en) 2016-07-29 2017-08-29 김정수 A Pully block for leisure sports with braking device
KR101710700B1 (en) 2016-08-31 2017-02-27 주식회사 짚핑코리아 Braking apparatus for zipline and trolley for th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3377B2 (en) Suspended runway
RU2719696C2 (en) Cantilever slides
RU2060757C1 (en) Riding hill
US20170173378A1 (en) Challenge course with return track
US11225274B2 (en) Device for moving a guide track section of a guide track system for vehicles on a fun fair ride
US20060137563A1 (en) Multi-capacity amusement ride
CA2502222A1 (en) Multi-capacity amusement ride
KR101731796B1 (en) Safe Play Structure for Playground Enabling Complex Exercise of Arms and Legs
KR20240007633A (en) Rail mobile object for rail
KR101376703B1 (en) Structure of tower type for extreme leisure sports
EP1800723B1 (en) An amusement ride
KR102575280B1 (en) Facility caplable of moving unit with pedaling in the air for reports
CN201643640U (en) Drift skate
CN210698760U (en) Drawknot sling exploration string bag bridge
KR20120052731A (en) Double lope type zipline
KR102183818B1 (en) Exiting track rider
CN211097495U (en) High-altitude challenge unpowered amusement equipment
KR102485931B1 (en) Trolley structure for descending leisure sports
CN211215402U (en) Magnetic suspension equipment for playground
WO2005099847A1 (en) Amusement ride
CN109723250A (en) The control method of arenas and arenas
WO2002085478A1 (en) Amusement ride
KR102484613B1 (en) Extreme rides
KR102252844B1 (en) Downhill speed reduction device of trolly for zip coaster
CN207708500U (en) A kind of hard tracks travel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