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766A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emory-based conversation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emory-based conversa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766A
KR20240002766A KR1020220080758A KR20220080758A KR20240002766A KR 20240002766 A KR20240002766 A KR 20240002766A KR 1020220080758 A KR1020220080758 A KR 1020220080758A KR 20220080758 A KR20220080758 A KR 20220080758A KR 20240002766 A KR20240002766 A KR 20240002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sation
information
memory
user
sente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재원
정종현
임대원
최호진
임채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나이티드어소시에이츠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나이티드어소시에이츠,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나이티드어소시에이츠
Priority to KR1020220080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766A/en
Publication of KR20240002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766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06F16/211Schema design and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8Special types of queries, e.g. statistical queries, fuzzy queries or distributed queries
    • G06F16/2462Approximate or statistic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4Query execution
    • G06F16/3343Query execution using phone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06F40/35Discourse or dialogue repres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축적된 기억요소에 내재된 의미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적합한 대화를 생성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발화 정보, 대화형 시스템 서버로부터 수신한 발화 정보에 대응한 응답 정보 및 사용자의 발화 정보를 분석한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기억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하는 저장 관리부;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발화 전 사용자의 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대화 관리부; 및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화 정보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는 통계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and method are disclosed to support users in creating conversations more suitable for users by utilizing the meaning inherent in accumulated memory elements.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nages memory information including speech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peech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interactive system server, and analysis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the user's speech information. a storage management unit that stores; a conversation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conversation inducing information to induce conversation in the user before the user speaks, based on the stored memory information; and a statistical analysis unit that performs statistical analysis on the user speech information based on the stored memory information.

Description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emory-based conversations}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emory-based conversations}

축적된 기억요소에 내재된 의미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적합한 대화를 생성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and method to support users in creating more suitable conversations by utilizing the meaning inherent in accumulated memory elements.

챗봇(Chatbot)과 같이 자연어 대화를 기반으로 하는 응용 시스템은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기술의 대표적인 연구분야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단순히 NLP를 적용하여 대화 텍스트를 분석하는 것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대화의 맥락을 파악하여 더욱 자연스럽게 사용자와 소통이 가능하도록 자연어 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NLU) 기술에 대한 연구도 성장하고 있다.Application systems based on natural language conversations, such as chatbots, can be considered one of the representative research areas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technology.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research on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NLU) technology has been growing to not only apply NLP to analyze conversational text, but als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conversation to enable more natural communication with users. .

축적된 기억요소에 내재된 의미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적합한 대화를 생성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and method to help users create more suitable conversations by utilizing the meaning inherent in accumulated memory elements.

일 양상에 따르면,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발화 정보, 대화형 시스템 서버로부터 수신한 발화 정보에 대응한 응답 정보 및 사용자의 발화 정보를 분석한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기억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하는 저장 관리부;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발화 전 사용자의 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대화 관리부; 및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화 정보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는 통계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manages and stores memory information including speech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peech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interactive system server, and analysis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the user's speech information. a storage management unit that stores; a conversation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conversation inducing information to induce conversation in the user before the user speaks, based on the stored memory information; and a statistical analysis unit that performs statistical analysis on the user speech information based on the stored memory information.

기억 정보는 사용자의 발화 문장과 대화형 시스템 서버의 응답 문장 및 메타정보에 대한 대화 히스토리 스키마(schema), 대화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대화 주제 도메인의 비율 분포에 대한 히스토리-도메인 스키마, 대화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감정의 비율 분포와 감정 레이블에 대한 히스토리-감정 스키마, 대화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유해성의 비율 분포와 유해성 레이블에 대한 히스토리-유해성 스키마 및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에 대한 히스토리-키워드 스키마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키마로 분류되어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The memory information includes a conversation history schema for the user's utterance sentences and response sentences and meta information of the interactive system server, a history-domain schema for the ratio distribution of conversation topic domains extracted from conversation sentences, and At least one schema among the history-emotion schema for the ratio distribution of emotions and emotion labels, the history-harmfulness schema for the ratio distribution of harmfulness and harmfulness labels extracted from conversation sentences, and the history-keyword schema for keywords extracted from sentences. It can be classified, stored and managed.

대화 관리부는 지정된 시간, 마지막 대화 후 소정 시간 경과 및 소정 기간 내 대화한 발화 정보 및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출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versation management unit may determine whether to generate conversation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a designated time, a predetermined time elapsed since the last conversation, and a time extracted from at least one of utterance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convers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대화 관리부는 소정 기간 내 대화한 발화 정보 및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출된 관심 정보, 감정 정보 및 키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versation management unit may generate conversation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interest information, emotion information, and keyword information extracted from at least one of utterance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that occurr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통계 분석부는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일/주/월간 평균 발화 횟수, 사용 단어 수, 대화 시간, 관심 도메인 및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The statistical analysis unit may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on at least one of the average number of utterances per day/week/month, number of words used, conversation time, domain of interest, and keywords based on the stored memory information.

일 양상에 따르면, 기억 기반 대화 지원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발화 정보, 대화형 시스템 서버로부터 수신한 발화 정보에 대응한 응답 정보 및 사용자의 발화 정보를 분석한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기억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하는 저장 관리 단계;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발화 전 사용자의 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대화 관리 단계; 및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화 정보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는 통계 분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method manages memory information including speech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peech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interactive system server, and analysis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the user's speech information. A storage management step for storing; A conversation management step of generating conversation inducing information to encourage the user to have a conversation before the user speaks, based on the stored memory information; and a statistical analysis step of performing statistical analysis on the user speech information based on the stored memory information.

대화 관리 단계는 지정된 시간, 마지막 대화 후 소정 시간 경과 및 소정 기간 내 대화한 발화 정보 및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출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versation management step may determine whether to generate conversation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a designated time, a predetermined time elapsed since the last conversation, and a time extracted from at least one of utterance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convers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대화 관리 단계는 소정 기간 내 대화한 발화 정보 및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출된 관심 정보, 감정 정보 및 키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versation management step may generate conversation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interest information, emotion information, and keyword information extracted from at least one of utterance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that occurr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통계 분석 단계는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일/주/월간 평균 발화 횟수, 사용 단어 수, 대화 시간, 관심 도메인 및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tatistical analysis step may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on at least one of the average number of utterances per day/week/month, number of words used, conversation time, domain of interest, and keywords based on the stored memory information.

지속적으로 축적된 기억요소에 내재된 의미를 활용하여 시스템 또는 언어모델이 사용자에게 더욱 적합한 대화 생성 결과를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By utilizing the meaning inherent in continuously accumulated memory elements, the system or language model can support the user to provide more suitable dialogue creation result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가 동작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일 예에 따른 기억 정보에 대한 스키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기억 기반 대화 지원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n example diagram to explain an environment in which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ope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a schema for memory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Figure 4 is a flowchart showing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and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가 동작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ure 1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ope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대화 정보를 입력 받고 응답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10) 및 사용자의 대화에 따른 응답을 생성할 수 있는 대화형 시스템 서버(20)와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100 includes a user terminal 10 capable of receiving convers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and outputting response information, and an interactive system server capable of generating a response according to the user's conversation. It can be connected to (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100)는 대화형 시스템에서 사용자와 소통했던 대화 문장, 어휘, 감정 등의 각종 정보의 히스토리를 기억요소로써 설계하고, 지속적으로 축적된 기억요소에 내재된 의미를 활용하여 시스템 또는 언어모델이 사용자에게 더욱 적합한 대화생성 결과를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100)는 기억요소와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를 일정 주기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시스템 활용 패턴이나 주요 대화의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적절한 시점에 시스템 또는 언어모델이 먼저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발화를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100 is designed as a memory element with the history of various information such as conversation sentences, vocabulary, and emotions communicated with the user in an interactive system, and is embedded in the continuously accumulated memory elements. By utilizing the meaning provided, the system or language model can support the user to provide more suitable dialogue generation results. In addition, the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100 can identify the user's system usage pattern or major conversation tendencies by statistically analyzing memory elements and user history information at a certain period, and the system or language model is generated at an appropriate time. First, you can actively encourage the user to speak.

일 예에 따르면, 사용자와 대화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10)의 인터페이스는 Unity 엔진으로 개발될 수 있으며, 대화형 시스템 서버(20)는 Rasa 또는 GPT-3 등의 언어모델 기반의 챗봇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interface of the user terminal 10 for conducting a conversation with the user may be developed with the Unity engine, and the interactive system server 20 is a chatbot server based on a language model such as Rasa or GPT-3. It can be configured.

일 예에 따르면,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100)는 Unity 인터페이스와 챗봇 서버 사이의 중간 단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발화 문장을 기억정보로 저장한 후 챗봇 서버로 전달하고, 챗봇이 생성한 응답 문장 및 각종 정보(예: 감정, 도메인 등)도 함께 기억정보의 히스토리로 저장하여 축적할 수 있다. 이후,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100)는 기억정보의 요소들을 통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시스템 활용 패턴과 같은 로깅 결과를 갱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100 may be located at an intermediate stage between the Unity interface and the chatbot server, stores user utterance sentences input from the interface as memory information, and then transfers them to the chatbot server. The generated response sentences and various information (e.g., emotions, domains, etc.) can also be stored and accumulated as a history of memory information. Thereafter, the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100 may update logging results, such as system utilization patterns, by statistically analyzing elements of the memory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100)는 네트워크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10) 및 대화형 시스템 서버(20)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구동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10)은 데스크탑 PC, 노트북, 태블릿, 모바일과 같은 여러 환경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마이크 또는 텍스트 입력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장을 입력 받아 대화형 시스템 서버(20)에 전달할 수 있다. 대화형 시스템 서버(20)는 형태소 분석, 구문 분석, 감정 분석, 의도인식 등의 각종 NLP/NLU 기술들을 도입하여 입력된 사용자 발화에 대응되는 적절한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100)는 대화 과정에서 취득한 정보들을 기억요소의 일환으로 기억정보 DB(미도시)에서 체계적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100 may be a system that operate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a user terminal 10 and an interactive system server 20 connected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As an example, the user terminal 10 may be an application that operates based o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a desktop PC, laptop, tablet, or mobile, and receives the user's desired sentence through a microphone or text input device and receives the interactive system server ( 20). The interactive system server 20 can generate an appropriate response corresponding to the input user utterance by introducing various NLP/NLU technologies such as morphological analysis, syntactic analysis, emotional analysis, and intention recognition. At this time, the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100 can systematically store and manage the information acquired during the conversation in a memory information DB (not shown) as a memory element.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의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100)는 저장 관리부(110), 대화 관리부(120) 및 통계 분석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100 may include a storage management unit 110, a conversation management unit 120, and a statistical analysis unit 1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관리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발화 정보, 대화형 시스템 서버로부터 수신한 발화 정보에 대응한 응답 정보 및 사용자의 발화 정보를 분석한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기억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 관리부(110)는 사용자 발화, 대화모델의 응답 문장, 도메인/감정 등의 분석결과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orage management unit 110 manages memory information including speec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peec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system server, and analysis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the user's speech information. and can be saved. As an example, the storage management unit 110 may store and manage analysis results such as user utterances, response sentences of conversation models, and domains/emotions.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억 정보는 사용자의 발화 문장과 대화형 시스템 서버의 응답 문장 및 메타정보에 대한 대화 히스토리 스키마(schema), 대화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대화 주제 도메인의 비율 분포에 대한 히스토리-도메인 스키마, 대화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감정의 비율 분포와 감정 레이블에 대한 히스토리-감정 스키마, 대화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유해성의 비율 분포와 유해성 레이블에 대한 히스토리-유해성 스키마 및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에 대한 히스토리-키워드 스키마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키마로 분류되어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 information includes a conversation history schema for the user's utterance sentences and response sentences and meta information of the interactive system server, and a history-domain schema for the ratio distribution of conversation topic domains extracted from conversation sentences. , the history-emotion schema for the percentage distribution of emotions and emotion labels extracted from conversation sentences, the history-harmfulness schema for the percentage distribution of harmfulness and harmfulness labels extracted from conversation sentences, and the history-keyword schema for keywords extracted from sentences. It can be classified into at least one schema and stored and managed.

도 3을 참조하면, 기억요소를 구체화하는 스키마는 5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 schemas specifying memory elements can be divided into five types.

일 예로, 대화 히스토리(Chat History) 스키마는 사용자의 발화 문장과 대화모델의 응답 문장을 비롯하여 연관된 메타정보를 함께 축적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Chat History schema can accumulate related meta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utterance sentences and the response sentences of the conversation model.

일 예로, 히스토리-도메인(History-Domain) 스키마는 대화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대화 주제 도메인의 비율 분포를 축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스토리-도메인 스키마는 science & technology, politics, movies, sports, music, books, fashion, general entertainment의 8가지 도메인을 활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History-Domain schema can accumulate the ratio distribution of conversation topic domains extracted from conversation sentences. For example, the history-domain schema can utilize eight domains: science & technology, politics, movies, sports, music, books, fashion, and general entertainment.

일 예로, 히스토리-감정(History-Emotion) 스키마는 대화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감정의 비율 분포와 최종적으로 분류된 감정 레이블을 축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스토리-감정 스키마는 joy, anger, surprise, sadness, disgust, fear의 6가지 감정과 함께 중립에 해당하는 neutral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History-Emotion schema can accumulate the ratio distribution of emotions extracted from conversation sentences and the finally classified emotion labels. For example, the history-emotion schema may include the six emotions joy, anger, surprise, sadness, disgust, and fear, as well as neutral.

일 예로, 히스토리-유해성(History-Toxicity) 스키마는 대화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유해성의 비율 분포와 최종 레이블을 축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스토리-유해성 스키마는 identity_attack, insult, obscene, severe_toxicity, sexual_explicit, threat의 6가지 유해성을 활용할 수 있으며, safe 또는 unsafe의 2가지 최종 레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History-Toxicity schema can accumulate the ratio distribution of toxicity and the final label extracted from conversation sentences. For example, a history-harm schema can utilize six hazards: identity_attack, insult, obscene, severe_toxicity, sexual_explicit, and threat, and two final labels: safe or unsafe.

일 예로, 히스토리-키워드(History-Keyword) 스키마는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들을 축적하여 사용자의 관심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스토리-키워드 스키마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단어 개체(entity)와 유형(type)을 활용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History-Keyword schema can stor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interests by accumulating keywords extracted from sentences. For example, a history-keyword schema can utilize word entities and types corresponding to keywords.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화 관리부(120)는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발화 전 사용자의 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versation management unit 120 may generate conversation guidance information to induce a user's conversation before the user speaks, based on stored memory information.

일 예로, 대화 관리부(120)은 이전 단계에서 확보했던 기억정보를 기초로 대화모델의 응답 문장을 보충하여 특정 사용자가 선호할 수 있는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화 관리부(120)는 사용자 패턴이나 대화 경향성을 파악하여 능동적으로 발화를 유도할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versation management unit 120 may supplement the response sentences of the conversation model based on the memory information obtained in the previous step to provide an answer that a specific user may prefer. Additionally, the conversation management unit 120 can determine whether to actively induce speech by identifying user patterns or conversation tendenci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화 관리부(120)는 지정된 시간, 마지막 대화 후 소정 시간 경과 및 소정 기간 내 대화한 발화 정보 및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출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versation management unit 120 generates conversation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a designated time, a predetermined time elapsed since the last conversation, and a time extracted from at least one of utterance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convers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You can decide whether to do it or not.

예를 들어, 대화 관리부(120)는 실행하는 시간대를 고려하여 오전/오후/저녁 시간대에 따라 적절한 환영인사를 제시하거나, 사용자의 등/하교 또는 출/퇴근 시간 등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선제적으로 대화를 시작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대화 관리부(120)는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대화를 수행한 이후로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능동 발화를 시작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versation management unit 120 presents an appropriate welcome greeting according to the morning/afternoon/evening time zone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zone in which the conversation is performed, or preemptively greets the user based on the user's arrival/departure from school or commuting/leaving time. You can decide to start a conversation. Additionally, the conversation manager 120 may determine to start active speech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user last performed a conversation.

일 예를 들어, 대화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대화에서 소정 시간의 스케줄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대화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 중 소정 시간에 특정, 특정 장소 방문, 특정 인물과의 약속 등이 있는 경우, 대화 관리부(120)는 해당 시점 또는 해단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관련된 대화를 시작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versation management unit 120 may extract schedule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user's conversation and determine a conversation start point using the extracted time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re is a visit to a specific place or an appointment with a specific person at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conversation, the conversation management unit 120 may decide to start the related conversat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at point or the point of termin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화 관리부(120)는 소정 기간 내 대화한 발화 정보 및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출된 관심 정보, 감정 정보 및 키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versation management unit 120 may generate conversation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interest information, emotion information, and keyword information extracted from at least one of utterance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convers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

예를 들어, 대화 관리부(120)는 기억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최근 관심주제 도메인(domain)에 대한 질문을 제시하거나, 빈번하게 언급했던 키워드(keyword)를 참조하여 대화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대화 관리부(120)는 단순히 사용자의 현재 상황이나 의견을 물어보는 질문을 생성하여 대화를 시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versation management unit 120 may search memory information and present questions about the user's recent domain of interest, or create a conversation by referring to frequently mentioned keywords. Additionally, the conversation manager 120 may attempt a conversation by simply creating a question asking about the user's current situation or opinion.

일 예로, 대화 관리부(120)는 직전 대화에서 생성된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대화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직전 대화에서 소정 종류의 감정이 추출된 경우, 대화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감정이 해소되었는지 여부 등에 대한 대화를 생성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conversation manager 120 may create a conversation using emotional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evious conversation. 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type of emotion is extracted from the user's previous conversation, the conversation management unit 120 may create a conversation about whether the user's emotion has been resolv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계 분석부(130)는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화 정보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atistical analysis unit 130 may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on user speech information based on stored memory information.

일 예에 따르면, 통계 분석부(130)는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일/주/월간 평균 발화 횟수, 사용 단어 수, 대화 시간, 관심 도메인 및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statistical analysis unit 130 may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on at least one of the average number of utterances per day/week/month, number of words used, conversation time, domain of interest, and keywords based on stored memory information. .

일 예로, 통계 분석부(130)는 시스템 상에서 축적된 기억정보를 활용하여 일/주/월간 평균 발화횟수, 활용 단어 수, 대화 시간, 관심 도메인 등에 대한 사용자의 학습 경향성과 통계적인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통계 분석부(130)는 분석된 결과를 시각화 관리도구를 활용하여 사용자 또는 시스템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statistical analysis unit 130 uses the memory information accumulated in the system to analyze the user's learning tendency and statistical information regarding the average number of utterances per day/week/month, number of words used, conversation time, domain of interest, etc. You can. The statistical analysis unit 130 can provide the analyzed results to users or system administrators using a visualization management tool.

일 예로, 통계 분석부(130)는 통계적인 요소와 함께 시각화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시스템 활용 패턴 등의 직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계 분석부(130)는 대화 히스토리의 전체 목록, 각 대화에 대한 주제/도메인 분포 및 유해성 분포, 평균 활용 단어 수 등의 통계 정보, 전반적인 발화 횟수, 서비스 활용 추이, 빈번하게 활용된 단어 집합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tatistical analysis unit 130 may provide users or administrators with intuitive information such as system utilization patterns by transmitting visualized information along with statistical elements. For example, the statistical analysis unit 130 provides a complete list of conversation history, topic/domain distribution and harmfulness distribution for each conversation, statistical information such as the average number of words used, overall number of utterances, service utilization trends, and frequently used words. Information such as word sets can be provided.

도 4는 일 실시예에 기억 기반 대화 지원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ure 4 is a flowchart showing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억 기반 대화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발화 정보, 대화형 시스템 서버로부터 수신한 발화 정보에 대응한 응답 정보 및 사용자의 발화 정보를 분석한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기억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할 수 있다(410).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based conversation device manages and stores memory information including speec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peec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system server, and analysis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the user's speech information. It can be saved (4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억 기반 대화 장치는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발화 전 사용자의 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420). 일 예로, 기억 기반 대화 장치는 지정된 시간, 마지막 대화 후 소정 시간 경과 및 소정 기간 내 대화한 발화 정보 및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출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억 기반 대화 장치는 소정 기간 내 대화한 발화 정보 및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출된 관심 정보, 감정 정보 및 키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based conversation device may generate conversation guidance information to induce the user's conversation before the user speaks based on the stored memory information (420). As an example, the memory-based conversation device determines whether to generate conversation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a specified time, a predetermined time elapsed since the last conversation, and a time extracted from at least one of utterance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conversation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You can. Additionally, the memory-based conversation device may generate conversation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interest information, emotion information, and keyword information extracted from at least one of utterance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that occurr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억 기반 대화 장치는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화 정보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430). 일 예로,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는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일/주/월간 평균 발화 횟수, 사용 단어 수, 대화 시간, 관심 도메인 및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based conversation device may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on user speech information based on stored memory information (430). As an example,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may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on at least one of the average number of utterances per day/week/month, number of words used, conversation time, domain of interest, and keywords based on stored memory information.

도 4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중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4,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작성되고 실행될 수 있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des and code segments implementing the above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may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may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isk, etc. Additionally,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and may be written and executed as computer-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amined focusing on its preferred embodiment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patent claims.

10: 사용자 단말
20: 대화형 시스템 서버
100: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
110: 저장 관리부
120: 대화 관리부
130: 통계 분석부
10: User terminal
20: Interactive System Server
100: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110: storage management unit
120: Dialog management unit
130: Statistical analysis department

Claims (10)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발화 정보, 대화형 시스템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발화 정보에 대응한 응답 정보 및 사용자의 발화 정보를 분석한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기억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하는 저장 관리부;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발화 전 사용자의 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대화 관리부; 및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화 정보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는 통계 분석부를 포함하는,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
a storage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and stores memory information including speec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ec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system server, and analysis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the user's speech information;
a conversation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conversation inducing information to induce conversation in the user before the user speaks, based on the stored memory information; and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comprising a statistical analysis unit that performs statistical analysis on user speech information based on stored memory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정보는
사용자의 발화 문장과 대화형 시스템 서버의 응답 문장 및 메타정보에 대한 대화 히스토리 스키마(schema), 대화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대화 주제 도메인의 비율 분포에 대한 히스토리-도메인 스키마, 대화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감정의 비율 분포와 감정 레이블에 대한 히스토리-감정 스키마, 대화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유해성의 비율 분포와 유해성 레이블에 대한 히스토리-유해성 스키마 및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에 대한 히스토리-키워드 스키마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키마로 분류되어 저장 및 관리되는,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emory information is
Conversation history schema for the user's utterance sentences and response sentences and meta information of the interactive system server, history-domain schema for the ratio distribution of conversation topic domains extracted from conversation sentences, and proportion of emotions extracted from conversation sentences Classified and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schemas: the history-emotion schema for distribution and emotion labels, the history-harmfulness schema for the ratio distribution of harmfulness and harmfulness labels extracted from conversation sentences, and the history-keyword schema for keywords extracted from sentences. and managed, memory-based conversation assistan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관리부는
지정된 시간, 마지막 대화 후 소정 시간 경과 및 소정 기간 내 대화한 발화 정보 및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출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rsation management department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that determines whether to generate conversation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a specified time, a predetermined time elapsed since the last conversation, and a time extracted from at least one of utterance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convers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관리부는
소정 기간 내 대화한 발화 정보 및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출된 관심 정보, 감정 정보 및 키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rsation management department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that generates conversation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interest information, emotion information, and keyword information extracted from at least one of utterance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conversational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분석부는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일/주/월간 평균 발화 횟수, 사용 단어 수, 대화 시간, 관심 도메인 및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는, 기억 기반 대화 지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atistical analysis department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device that performs statistical analysis on at least one of the average number of utterances per day/week/month, number of words used, conversation time, domain of interest, and keywords based on stored memory information.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발화 정보, 대화형 시스템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발화 정보에 대응한 응답 정보 및 사용자의 발화 정보를 분석한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기억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하는 저장 관리 단계;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발화 전 사용자의 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대화 관리 단계; 및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발화 정보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는 통계 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 기반 대화 지원 방법.
A storage management step of managing and storing memory information including speec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ec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system server, and analysis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the user's speech information;
A conversation management step of generating conversation inducing information to encourage the user to have a conversation before the user speaks, based on the stored memory information; and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method comprising a statistical analysis step of performing statistical analysis on user speech information based on stored memory informa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정보는
사용자의 발화 문장과 대화형 시스템 서버의 응답 문장 및 메타정보에 대한 대화 히스토리 스키마(schema), 대화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대화 주제 도메인의 비율 분포에 대한 히스토리-도메인 스키마, 대화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감정의 비율 분포와 감정 레이블에 대한 히스토리-감정 스키마, 대화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유해성의 비율 분포와 유해성 레이블에 대한 히스토리-유해성 스키마 및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에 대한 히스토리-키워드 스키마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키마로 분류되어 저장 및 관리되는, 기억 기반 대화 지원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memory information is
Conversation history schema for the user's utterance sentences and response sentences and meta information of the interactive system server, history-domain schema for the ratio distribution of conversation topic domains extracted from conversation sentences, and proportion of emotions extracted from conversation sentences Classified and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schemas: the history-emotion schema for distribution and emotion labels, the history-harmfulness schema for the ratio distribution of harmfulness and harmfulness labels extracted from conversation sentences, and the history-keyword schema for keywords extracted from sentences. and a managed,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metho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관리 단계는
지정된 시간, 마지막 대화 후 소정 시간 경과 및 소정 기간 내 대화한 발화 정보 및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출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억 기반 대화 지원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conversation management step is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method that determines whether to generate conversation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a specified time, a predetermined time elapsed since the last conversation, and a time extracted from at least one of utterance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convers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관리 단계는
소정 기간 내 대화한 발화 정보 및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출된 관심 정보, 감정 정보 및 키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화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기억 기반 대화 지원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conversation management step is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method that generates conversation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interest information, emotion information, and keyword information extracted from at least one of utterance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convers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분석 단계는
저장된 기억 정보에 기초하여 일/주/월간 평균 발화 횟수, 사용 단어 수, 대화 시간, 관심 도메인 및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는, 기억 기반 대화 지원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statistical analysis step is
A memory-based conversation support method that performs statistical analysis on at least one of the average number of utterances per day/week/month, number of words used, conversation time, domain of interest, and keywords based on stored memory information.
KR1020220080758A 2022-06-30 2022-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emory-based conversations KR202400027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758A KR20240002766A (en) 2022-06-30 2022-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emory-based convers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758A KR20240002766A (en) 2022-06-30 2022-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emory-based convers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766A true KR20240002766A (en) 2024-01-08

Family

ID=8953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758A KR20240002766A (en) 2022-06-30 2022-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emory-based conversa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76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3355B2 (en) Identification of tasks in messages
US8346563B1 (en) System and methods for delivering advanced natural language interaction applications
US11010700B2 (en) Identifying task and personality traits
KR102342172B1 (en) Tailoring creator-provided content-based interactive conversational applications
Lyu et al. Mandarin–english code-switching speech corpus in south-east asia: Seame
McTear et al. Conversational interfaces: Past and present
Sedmak et al. Methodological choices in enterprise systems research
US201803150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advertising based on natural language analytics
CN116235177A (en)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robotic authoring by mining intent from dialogue data using known intent of an associated sample utterance
Linnemann et al. ‘can i trust the spoken dialogue system because it uses the same words as i do?’—influence of lexically aligned spoken dialogue systems on trustworthiness and user satisfaction
CN116235245A (en) Improving speech recognition transcription
US20190295199A1 (en) Intelligent legal simulator
Hettiachchi et al. " Hi! I am the Crowd Tasker" Crowdsourcing through Digital Voice Assistants
WO2022237376A1 (en) Contextualized speech to text conversion
Inoue et al. A job interview dialogue system with autonomous android ERICA
US20220188525A1 (en) Dynamic, real-time collaboration enhancement
US20170154264A1 (en) Autonomous collaboration agent for meetings
Wolters et al. Making it easier for older people to talk to smart homes: The effect of early help prompts
Dall’Acqua et al. Toward a linguistically grounded dialog model for chatbot design
Trivedi Fundamentals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N109979458A (en) News interview original text automatic generation method and relevant de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4000276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emory-based conversations
Bisser et al. Introduction to the microsoft conversational ai platform
Chia et al. It’s not you, it’s me: Some speakers elicit structural priming more reliably than others
Feng et al. DOC2DIAL: A framework for dialogue composition grounded in business docu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