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152A - Surgical device for stiffness augmentation - Google Patents

Surgical device for stiffness augmen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152A
KR20230172152A KR1020220072628A KR20220072628A KR20230172152A KR 20230172152 A KR20230172152 A KR 20230172152A KR 1020220072628 A KR1020220072628 A KR 1020220072628A KR 20220072628 A KR20220072628 A KR 20220072628A KR 20230172152 A KR20230172152 A KR 20230172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don
auxiliary
joint link
auxiliary tend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6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동수
김한솔
유재민
공덕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엔서지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엔서지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엔서지컬
Priority to KR1020220072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152A/en
Priority to US17/900,058 priority patent/US20230085601A1/en
Priority to CN202211068341.3A priority patent/CN115721352A/en
Priority to EP22193356.7A priority patent/EP4144317A1/en
Publication of KR20230172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152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0Manip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1Manipulators operated by drive cabl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30Surgical rob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30Surgical robots
    • A61B2034/302Surgical robots specifically adapted for manipulations within body cavities, e.g. within abdominal or thoracic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0Manip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1Manipulators operated by drive cable mechanisms
    • A61B2034/715Cable tensioning mechanisms for removing sl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obo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강성 증강 수술 장치는, 엔드 이펙터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 구름 관절 중 기준점을 기준으로 일측의 관절 링크와 타측의 관절 링크가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서로 디플렉션 방향이 다를 때, 일측 관절 링크와 타측 관절 링크가 각각 회전하는 것을 저항하도록 하는 서로 다른 모멘트 힘을 생성시켜 관절 링크의 디플렉션을 방지함으로써 강성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증강 수술 장치가 개시된다.In the rigidity augmentation surgical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joint link on one side and the joint link on the other side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int among the rolling joints due to the load applied to the end effector, the deflection directions are different, A rigidity-enhancing surgical device is disclosed, which relatively increases stiffness by preventing deflection of the joint link by generating different moment forces that resist rotation of one joint link and the other joint link, respectively.

Description

강성 증강 수술 장치{Surgical device for stiffness augmentation} Surgical device for stiffness augmentation}

본 발명은 강성 증강 수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gidity augmented surgical device.

내시경점적막하박리술(endoscopic mucosal resection)은 개복 수술 없이 내시경을 사용하여 폴립(polyp)과 같은 전암성 병변을 제거할 수 있는 시술 방법이다. 특히, 크고 평평한 형태의 폴립을 제거하는 것은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작업이다. 수술 도구를 통해 병변 조직에 장력을 가하면, 빠르고 안전하게 폴립을 제거할 수 있다는 사전 임상 연구들의 결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수술 도구를 장착한 다양한 내시경 수술 로봇 장치들이 개발되는 실정이다. 오버튜브는 삽입하는 동안, 충분히 유연해야 하지만 표적 병변에 도달한 후에는 수술 도구가 조직에 충분한 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높은 강성을 가져야 한다.Endoscopic mucosal resection is a surgical procedure that can remove precancerous lesions such as polyps using an endoscope without open surgery. In particular, removing large, flat polyps is a difficult and time-consuming task. Preclinical studies have shown that polyps can be removed quickly and safely by applying tension to the lesion tissue using a surgical tool.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various endoscopic surgical robot devices equipped with surgical tools are being developed. The overtube must be sufficiently flexible during insertion, but must have high rigidity to allow the surgical tool to apply sufficient tension to the tissue after reaching the target lesion.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is possessed or acquired by the inventor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present application.

KR 10-2234974KR 10-2234974

본 발명은 강성 증강 수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gidity-enhanced surgical device.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 증강 수술 장치는 엔드 이펙터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 구름 관절 중 기준점을 기준으로 일측의 관절 링크와 타측의 관절 링크가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서로 디플렉션 방향이 다를 때, 일측 관절 링크와 타측 관절 링크가 각각 회전하는 것을 저항하도록 하는 서로 다른 모멘트 힘을 생성시켜 관절 링크의 디플렉션을 방지함으로써 강성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증강 수술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In the rigidity enhancement surgical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deflection directions are different by rotating the joint link on one side and the joint link on the other side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int among the rolling joints due to the load applied to the end effector, one side This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rigidity enhancement surgic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iffness is relatively increased by preventing deflection of the joint link by generating different moment forces that resist rotation of the joint link and the other joint link, respectively. .

또한, 일측 관절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절 링크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타측 관절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절 링크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항하는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의 제1 모멘트 힘을 생성시키고,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항하는 제2 방향과 반대방향의 제2 모멘트 힘을 생성시킴으로써 관절 링크의 디플렉션을 방지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joint link of one joint link rotates in a first direction, and at least one joint link of the other joint link rotates in a second direction, and a first direction that resists rotation in the first direction Deflection of the joint link is prevented by generating a first moment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and generating a second moment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to resist rotation in the second direction.

한편, 엔드 이펙터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 구름 관절인 복수의 관절 링크가 회전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으로 관절 링크가 디플렉션 되는 복수의 관절 링크, 와이어 견인에 의해 복수의 관절 링크를 구동시키는 메인 텐던, 와이어 견인에 의해 관절 링크가 회전하는 것을 저항하도록 함으로써 각 관절 링크의 디플렉션을 방지하여 강성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피치 보조 텐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증강 수술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joint links, which are rolling joints, rotate due to the load applied to the end effector, thereby deflecting the joint links in different directions, a main tendon that drives the plurality of joint links by wire traction, and wire traction. This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rigidity enhancement surgical device comprising a pitch auxiliary tendon that relatively increases stiffness by preventing deflection of each joint link by resisting rotation of the joint link.

또한, 피치 보조 텐던은 복수의 관절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절 링크의 제1 방향 회전에 저항하는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의 제1 모멘트 힘을 생성시키고, 복수의 관절 링크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관절 링크의 제2 방향 회전에 저항하는 제2 방향과 반대방향의 제2 모멘트 힘을 생성시켜 관절 링크의 디플렉션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pitch auxiliary tendon generates a first moment for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resist rotation in the first direction of at least one joint link among the plurality of joint links, and at least one other joint among the plurality of joint links Deflection of the joint link is prevented by generating a second moment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that resists rotation of the link in the second direction.

또한, 복수의 관절 링크 각각은 메인 텐던이 통과되는 메인 텐던 홀, 관절 링크의 디플렉션을 방지하는 피치 보조 텐던이 통과되는 피치 보조 텐던 홀을 포함하며, 피치 보조 텐던의 피치 보조 텐던 홀 통과 경로는 적어도 일부 구간이 경사진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joint links includes a main tendon hole through which the main tendon passes, a pitch auxiliary tendon hole through which a pitch auxiliary tendon that prevents deflection of the joint link passes, and the pitch auxiliary tendon hole passage path of the pitch auxiliary tendon is At least some sections are sloped.

또한, 통과 경로는 'S'자 형상으로 경사진다.Additionally, the passage path is inclined in an 'S' shape.

또한, 어느 하나의 피치 보조 텐던의 통과 경로는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다른 하나의 피치 보조 텐던의 통과 경로는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다.Additionally, the passage path of one pitch auxiliary tendon slopes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assage path of the other pitch auxiliary tendon slopes up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피치 보조 텐던 홀은 피치 보조 텐던의 통과 경로가 하향 경사지도록 각 관절 링크에 형성되는 하향 피치 보조 텐던 홀, 피치 보조 텐던의 통과 경로가 상향 경사지도록 각 관절 링크에 형성되는 상향 피치 보조 텐던 홀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itch auxiliary tendon hole is a downward pitch auxiliary tendon hole formed in each joint link so that the passage path of the pitch auxiliary tendon slopes downward, and the upward pitch auxiliary tendon hole formed in each joint link so that the passage path of the pitch auxiliary tendon slopes upward. Includes.

또한, 하향 피치 보조 텐던 홀은 피치 보조 텐던의 통과 경로가 하향 경사지도록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각 관절 링크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며,In addition, the downward pitch auxiliary tendon hole is form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of each joint link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passage path of the pitch auxiliary tendon slopes downward,

상향 피치 보조 텐던 홀은 피치 보조 텐던의 통과 경로가 상향 경사지도록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각 관절 링크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upward pitch auxiliary tendon hole is form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of each joint link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passage path of the pitch auxiliary tendon is inclined upward.

또한, 피치 보조 텐던의 견인에 의해 발생된 관절 링크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요 보조 텐던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yaw auxiliary tendon that prevents twisting of the joint link caused by traction of the pitch auxiliary tendon.

또한, 요 보조 텐던이 통과되는 요 보조 텐던 홀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yaw auxiliary tendon hole through which the yaw auxiliary tendon passes.

또한, 요 보조 텐던은 피치 보조 텐던의 견인에 의해 발생된 제1 방향의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의 제2 방향의 토션을 발생시킨다.Additionally, the yaw auxiliary tendon generates torsion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prevent twisting in the first direction caused by traction of the pitch auxiliary tendon.

또한, 요 보조 텐던 홀은,In addition, the auxiliary tendon hole is,

요 보조 텐던의 통과 경로가 제1 방향 사선이 되도록 각 관절 링크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 요 보조 텐던 홀, 요 보조 텐던의 통과 경로가 제2 방향 사선이 되도록 각 관절 링크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측 요 보조 텐던 홀을 포함한다.The upper yaw auxiliary tendon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each joint link so that the passage path of the yaw auxiliary tendon is diagonal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lower yaw auxiliary tendon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each joint link so that the passage path of the yaw auxiliary tendon is diagonal in the second direction. Includes auxiliary tendon holes.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치 보조 텐던을 구비한 수술 장치는, 조직에 충분한 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A surgical device equipped with a pitch assist tend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have high rigidity to apply sufficient tension to tissue.

일 실시 예에 따른 요 보조 텐던을 구비한 수술 장치는, 크로스 방식으로 설치되어 관절 장치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A surgical device equipped with a lumbar auxiliary tend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be installed in a cross manner to prevent twisting of the joint devic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텐던을 구비한 수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술 장치가 변형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개선 Ⅲ-Ⅲ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개선 Ⅳ-Ⅳ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절개선 Ⅴ-Ⅴ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힘이 인가되는 동안, 보조 텐던을 구비한 수술 장치와 보조 텐던을 구비하지 않은 수술 장치 각각에서 형태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보조 텐던의 계단식 'S'자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구름 관절이 하중을 받을 때 각 관절의 회전 방향(Tq1,Tq2)과 각 관절의 회전을 저항하도록 하는 모멘트 힘(Tr1,Tr2)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요 보조 텐던과 요 보조 텐던 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limited way.
1 is a side view of a surgical device equipped with an auxiliary tend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modified state of the surgical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III-III in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IV-IV of Figure 1.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V-V of Figure 1.
Figures 6 to 8 are diagrams showing shape deformation in a surgical device with an auxiliary tendon and a surgical device without an auxiliary tendon, respectively, while force is applied.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stepped 'S' shaped path of the auxiliary tend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3.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the rotation direction (Tq1, Tq2) of each joint and the moment force (Tr1, Tr2) that resists rotation of each joint when the rolling joint receives a load.
Figure 12 is a diagram showing a yaw auxiliary tendon and a yaw auxiliary tendon hole.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2.

실시 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 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 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re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may be chang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the actual implementation form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isclos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the describ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 요소와, 공동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stated to the contrary, the description given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o the extent of overlap.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a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No.

이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텐던을 구비한 수술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술 장치가 변형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1 is a side view of a surgical device equipped with an auxiliary tend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modified state of the surgical device of Figure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조 텐던을 구비한 수술 장치(1, 이하, "수술 장치"라고 함)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수술 장치(1)는, 제 1 링크(11)와, 제 1 링크(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12)와, 제 2 링크(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크(14)와, 연결 링크(1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 링크(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크(14)가 한 개인 것으로 도시되나, 그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또한, 연결 링크(14)도 표현상 연결 링크라고 표현하였을 뿐 제1,2,3 링크(11,12,13)와 동일하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a surgical devic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rgical device”) equipped with an auxiliary tend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nk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urgical device 1 includes a first link 11, a second link 12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11, and at least one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12. It may include a connection link 14 and a third link 13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k 14. In the drawing, it is shown that there is at least one connection link 14,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connection link 14 is the same as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nks 11, 12, and 13, except that it is expressed as a connection link.

수술 장치(1)는 타겟 부위를 작업할 수 있는 팁(T)을 포함할 수 있다. 수술 장치(1)는, 그 길이 방향이 x축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술 장치(1)는, 복수 개의 링크를 회동 시키기 위한 메인 텐던(18)과,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조 텐던(19)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텐던은 피치 보조 텐던과 요 보조 텐던을 구비할 수 있다. 메인 텐던(18) 및 보조 텐던(19)은 와이어로서, 와이어의 견인에 따라 수술 장치의 방향 및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도면에서는, 메인 텐던(18)이 4개인 것으로, 보조 텐던(19)이 2개인 것으로 도시되나, 그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The surgical device 1 may include a tip T capable of working on a target area. The surgical device 1 may be provided with its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x-axis direction. The surgical device 1 may include a main tendon 18 for rotating a plurality of links and an auxiliary tendon 19 for improving rigidity. The auxiliary tendon may include a pitch auxiliary tendon and a yaw auxiliary tendon. The main tendon 18 and the auxiliary tendon 19 are wires, and the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surgical device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traction of the wire. In the drawing, it is shown that there are four main tendons (18) and two auxiliary tendons (19),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z 방향에 위치한 메인 텐던(18)의 장력이 증가할 경우, 팁(T)이+z 방향으로 향하도록 수술 장치(1)는 그 형상이 변할 수 있다. -z 방향에 위치한 메인 텐던(18)의 장력이 증가할 경우, 팁(T)이 -z 방향으로 향하도록 수술 장치(1)는 그 형상이 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ension of the main tendon 18 located in the +z direction increases, the shape of the surgical device 1 may be changed so that the tip T is directed in the +z direction. When the tension of the main tendon 18 located in the -z direction increases, the shape of the surgical device 1 may be changed so that the tip T is directed in the -z direction.

보조 텐던(19)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보조 텐던(19)은 팁(T)에 외력이 인가되는 동안, 수술 장치(1)의 형상이 의도치 않게 변화하지 않도록 보조할 수 있다.The auxiliary tendon 19 may have elasticity. The auxiliary tendon 19 can help prevent the shape of the surgical device 1 from unintentionally changing while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ip T.

도 3은 도 1의 절개선 Ⅲ-Ⅲ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절개선 Ⅳ-Ⅳ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절개선 Ⅴ-Ⅴ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III-III of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IV-IV of Figure 1,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V-V of Figure 1.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링크(11)는, 제 1 링크 바디(111)와, 제 1 링크 바디(111)에 관통 형성되는 제 1 메인 텐던 홀(112a, 112b, 112c, 112d)과, 제 1 링크 바디(111)에 관통 형성되고 제 1 메인 텐던 홀(112a, 112b, 112c, 112d)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1 보조 텐던 홀(113a, 113b)을 포함할 수 있다.3 to 5, the first link 11 includes a first link body 111 and first main tendon holes 112a, 112b, 112c, and 112d formed through the first link body 111. ) and first auxiliary tendon holes (113a, 113b) formed through the first link body 111 and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in tendon holes (112a, 112b, 112c, 112d).

제 1 링크 바디(111)는 내부에 제 1 중공(S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중공(S1)은 각종 수술 도수 및/또는 카메라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링크 바디(111)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링크 바디(111)는 중심축(C)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link body 111 may include a first hollow S1 therein. The first hollow (S1) can guide various surgical procedures and/or cameras. For example, the first link body 111 may have a pillar shape. The first link body 111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about the central axis C.

제 1 메인 텐던 홀(112a, 112b, 112c, 112d)은 제 1 링크 바디(11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제 1 링크 바디(11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 1 메인 텐던 홀(112a, 112b, 112c, 112d)은, 총 4개로 구비되고,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 1 메인 텐던 홀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The first main tendon holes 112a, 112b, 112c, and 112d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link body 1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first link body 111. A total of four first main tendon holes 112a, 112b, 112c, and 112d may be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umber of first main tendon holes is not limited to this.

제 1 보조 텐던 홀(113a, 113b)은 제 1 링크 바디(11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제 1 링크 바디(11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 1 보조 텐던 홀(113a, 113b)은, 총 2개로 구비되고,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 1 메인 텐던 홀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제 1 보조 텐던 홀(113a, 113b)는 제 1 메인 텐던 홀(112a, 112b, 112c, 112d)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tendon holes 113a and 113b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link body 1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first link body 111. A total of two first auxiliary tendon holes 113a and 113b may be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umber of first main tendon holes is not limited to this. The first auxiliary tendon holes 113a and 113b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in tendon holes 112a, 112b, 112c and 112d.

중심축(C)에 수직하게 교차하는 보조 라인(L1)으로부터 제 1 보조 텐던 홀(113a)은 제 1 거리(d1) 만큼 이격될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tendon hole 113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auxiliary line L1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C by a first distance d1.

제 2 링크(12)는, 제 2 링크 바디(121)와, 제 2 링크 바디(121)에 관통 형성되는 제 2 메인 텐던 홀(122a, 122b, 122c, 122d)과, 제 2 링크 바디(121)에 관통 형성되고 제 2 메인 텐던 홀(122a, 122b, 122c, 122d)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보조 텐던 홀(123a, 123b)을 포함할 수 있따.The second link 12 includes a second link body 121, second main tendon holes 122a, 122b, 122c, and 122d formed through the second link body 121, and a second link body 121. ) may include second auxiliary tendon holes (123a, 123b) formed through the second main tendon holes (122a, 122b, 122c, 122d) and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main tendon holes (122a, 122b, 122c, 122d).

제 2 링크 바디(121)는 내부에 제 2 중공(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중공(S2)은 각종 수술 도수 및/또는 카메라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링크 바디(121)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링크 바디(121)는 중심축(C)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link body 121 may include a second hollow S2 therein. The second hollow S2 can guide various surgical procedures and/or cameras. For example, the second link body 121 may have a pillar shape. The second link body 121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about the central axis C.

제 1 링크 바디(111) 및 제 2 링크 바디(121)가 나란한 상태에서, 제 1 메인 텐던 홀(112a, 112b, 112c, 112d) 및 제 2 메인 텐던 홀(122a, 122b, 122c, 122d)은, 제 1 링크 바디(111)의 길이 방향인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오버랩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first link body 111 and the second link body 121 are side by side, the first main tendon holes 112a, 112b, 112c, 112d and the second main tendon holes 122a, 122b, 122c, 122d are , may overlap each other along the x-axis direction, which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ink body 111.

제 1 링크 바디(111) 및 제 2 링크 바디(121)가 나란한 상태에서, 제 1 보조 텐던 홀(113a, 113b) 및 제 2 보조 텐던 홀(123a, 123b)은, 제 1 링크 바디(111)의 길이 방향인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first link body 111 and the second link body 121 are side by side, the first auxiliary tendon holes 113a and 113b and the second auxiliary tendon holes 123a and 123b ar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body 111. They may not overlap each other along the x-axis direction, which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

제 2 메인 텐던 홀(122a, 122b, 122c, 122d)은 제 2 링크 바디(12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제 2 링크 바디(12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 2 메인 텐던 홀(122a, 122b, 122c, 122d)은, 총 4개로 구비되고,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 2 메인 텐던 홀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The second main tendon holes 122a, 122b, 122c, and 122d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second link body 12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second link body 121. A total of four second main tendon holes 122a, 122b, 122c, and 122d may be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umber of second main tendon holes is not limited to this.

제 2 보조 텐던 홀(123a, 123b)은 제 2 링크 바디(12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제 2 링크 바디(12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 2 보조 텐던 홀(123a, 123b)은, 총 2개로 구비되고,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 2 메인 텐던 홀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제 2 보조 텐던 홀(123a, 123b)는 제 2 메인 텐던 홀(122a, 122b, 122c, 122d)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auxiliary tendon holes 123a and 123b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second link body 12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second link body 121. A total of two second auxiliary tendon holes 123a and 123b may be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umber of second main tendon holes is not limited to this. The second auxiliary tendon holes 123a and 123b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main tendon holes 122a, 122b, 122c and 122d.

제 2 메인 텐던 홀(122a, 122b, 122c, 122d)은 제 2 링크 바디(12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제 2 보조 텐던 홀(123a, 123b)은 제 2 링크 바디(1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main tendon holes (122a, 122b, 122c, 122d) are form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ink body 121, and the second auxiliary tendon holes (123a, 123b) ar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ink body 121. I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12), 연결 링크(14), 제3 링크(13)의 각각의 보조 텐던 홀이 수술 장치(1)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마련됨으로써 적어도 보조 텐던(19)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S"자 형상으로 경사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링크에 형성된 보조 텐던 홀은 수평하게 형성 하면서(즉, 보조 텐던 홀 통과시에는 보조 텐던이 수평하게 통과함) 인접한 링크의 보조 텐던 홀이 각각의 링크를 기준으로 중심 축에 가깝게 배치되거나 멀어지도록 배치함으로써 보조 텐던(19)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S"자 형상으로 경사지도록 할 수 있다. 보조 텐던 홀을 수평하게 할 때에는 보조 텐던이 계단 식으로 "S"자 형상으로 경사질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1, each auxiliary tendon hole of the second link 12, the connecting link 14, and the third link 13 is provid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gical device 1, so that at least At least some sections of the auxiliary tendon 19 may be inclined in an “S” shape.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ure 9, the auxiliary tendon hole formed in each link is formed horizontally (i.e., when passing the auxiliary tendon hole, the auxiliary tendon passes horizontally), and the auxiliary tendon hole of the adjacent link is formed horizontally. At least some sections of the auxiliary tendon 19 can be inclined in an “S” shape by arranging each link closer to or further away from the central axis. When leveling the auxiliary tendon hole, the auxiliary tendon can be inclined in a stepwise “S” shape.

중심축(C)에 수직하게 교차하는 보조 라인(L1)으로부터 제 2 보조 텐던 홀(123a)은 제 2 거리(d2) 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 1 링크 바디(111)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보조 라인(L1)으로부터 제 1 보조 텐던 홀(113a)까지 제 1 거리(d1)는, 제 2 링크 바디(121)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보조 라인(L1)으로부터 제 2 보조 텐던 홀(123a)까지 제 2 거리(d2)보다 클 수 있다.The second auxiliary tendon hole 123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auxiliary line L1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C by a second distance d2. The first distance d1 from the auxiliary line L1 intersecting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link body 111 to the first auxiliary tendon hole 113a is the auxiliary line intersecting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link body 121. It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distance d2 from the line L1 to the second auxiliary tendon hole 123a.

제 3 링크(13)는, 제 3 링크 바디(131)와, 제 3 링크 바디(131)에 관통 형성되는 제 3 메인 텐던 홀(132a, 132b, 132c, 132d)과, 제 3 링크 바디(131)에 관통 형성되고 제 3 메인 텐던 홀(132a, 132b, 132c, 132d)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3 보조 텐던 홀(133a, 133b)을 포함할 수 있따.The third link 13 includes a third link body 131, third main tendon holes 132a, 132b, 132c, and 132d formed through the third link body 131, and a third link body 131. ) and may include third auxiliary tendon holes (133a, 133b) formed through the third main tendon holes (132a, 132b, 132c, 132d) and positioned spaced apart.

제 3 링크 바디(131)는 내부에 제 3 중공(S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중공(S3)은 각종 수술 도수 및/또는 카메라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링크 바디(131)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3 링크 바디(131)는 중심축(C)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third link body 131 may include a third hollow S3 therein. The third hollow (S3) can guide various surgical techniques and/or cameras. For example, the third link body 131 may have a pillar shape. The third link body 131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about the central axis C.

제 3 메인 텐던 홀(132a, 132b, 132c, 132d)은 제 3 링크 바디(13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제 3 링크 바디(13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 3 메인 텐던 홀(132a, 132b, 132c, 132d)은, 총 4개로 구비되고,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 3 메인 텐던 홀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The third main tendon holes 132a, 132b, 132c, and 132d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third link body 13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third link body 131. A total of four third main tendon holes 132a, 132b, 132c, and 132d may be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umber of third main tendon holes is not limited to this.

제 3 보조 텐던 홀(133a, 133b)은 제 3 링크 바디(13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제 3 링크 바디(13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 3 보조 텐던 홀(133a, 133b)은, 총 2개로 구비되고,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 3 메인 텐던 홀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제 3 보조 텐던 홀(133a, 133b)는 제 3 메인 텐던 홀(132a, 132b, 132c, 132d)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The third auxiliary tendon holes 133a and 133b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third link body 13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third link body 131. A total of two third auxiliary tendon holes 133a and 133b may be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umber of third main tendon holes is not limited to this. The third auxiliary tendon holes 133a and 133b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third main tendon holes 132a, 132b, 132c and 132d.

중심축(C)에 수직하게 교차하는 보조 라인(L1)으로부터 제 3 보조 텐던 홀(133a)은 제 3 거리(d4) 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 2 링크 바디(121)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보조 라인(L1)으로부터 제 2 보조 텐던 홀(123a)까지 제 2 거리(d2)는, 제 3 링크 바디(131)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보조 라인(L1)으로부터 제 3 보조 텐던 홀(133a)까지 제 3 거리(d4)보다 클 수 있다. 제 2 링크 바디(121)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보조 라인(L1)으로부터 제 2 보조 텐던 홀(123a)이 이격된 방향(+z 방향)은, 제 3 링크 바디(131)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보조 라인(L1)으로부터 제 3 보조 텐던 홀(133a)이 이격된 방향(-z 방향)과 반대 방향이 일 수 있다.The third auxiliary tendon hole 133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auxiliary line L1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C by a third distance d4. The second distance d2 from the auxiliary line L1 crossing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link body 121 to the second auxiliary tendon hole 123a is the auxiliary line crossing the central axis of the third link body 131. The distance from the line L1 to the third auxiliary tendon hole 133a may be greater than the third distance d4.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auxiliary tendon hole 123a is spaced apart from the auxiliary line L1 that intersects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link body 121 (+z direction) intersects the central axis of the third link body 131.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ird auxiliary tendon hole 133a is spaced apart from the auxiliary line L1 may be opposite to the direction (-z direction).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크(14)는, 제 2 링크 바디(121) 및 제 3 링크 바디(13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크(14)의 형상은 제 1 링크(11) 또는 제 2 링크(12)와 동일할 수 있다.At least one connection link 1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link body 121 and the third link body 131. The shape of at least one connection link 14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link 11 or the second link 12.

메인 텐던(18a, 18b, 18c, 18d)은 제 1 메인 텐던 홀(112a, 112b, 112c, 112d), 제 2 메인 텐던 홀(122a, 122b, 122c, 122d) 및 제 3 메인 텐던 홀(132a, 132b, 132c, 132d)을 통과할 수 있다. 메인 텐던(18a, 18b, 18c, 18d) 각각의 일단은 팁(T)이 연결되어 있는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인 텐던(18a, 18b, 18c, 18d)에 적절한 장력을 인가하여, 수술 장치(1)를 회동시킬 수 있다.The main tendons (18a, 18b, 18c, 18d) include the first main tendon holes (112a, 112b, 112c, 112d), the second main tendon holes (122a, 122b, 122c, 122d), and the third main tendon holes (132a, 132b, 132c, 132d) can be passed. One end of each of the main tendons 18a, 18b, 18c, and 18d may be fixed to the end to which the tip T is connected. The user can rotate the surgical device 1 by applying appropriate tension to the main tendons 18a, 18b, 18c, and 18d.

보조 텐던(19a, 19b)은 제 1 보조 텐던 홀(113a, 113b), 제 2 보조 텐던 홀(123a, 123b) 및 제 3 보조 텐던 홀(133a, 133b)을 통과할 수 있다. 제 1 링크 바디(111) 및 제 2 링크 바디(121)가 나란한 상태에서, 제 1 보조 텐던 홀(113a, 113b) 및 제 2 보조 텐던 홀(123a, 123b) 사이에 마련된 보조 텐던(19a, 19b)은, 상기 제 1 링크 바디의 중심축(C)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보조 텐던(19a, 19b)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The auxiliary tendons 19a and 19b may pass through the first auxiliary tendon holes 113a and 113b, the second auxiliary tendon holes 123a and 123b, and the third auxiliary tendon holes 133a and 133b. In a state where the first link body 111 and the second link body 121 are side by side, the auxiliary tendons 19a, 19b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uxiliary tendon holes 113a, 113b and the second auxiliary tendon holes 123a, 123b. )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 of the first link body. The auxiliary tendons 19a and 19b may have elasticity.

제 1 링크(11), 제 2 링크(12), 제 3 링크(13)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크(14)가 나란하게 마련된 상태를 기준으로, 메인 텐던(18a, 18b, 18c, 18d)은 제 1 링크(12)의 길이 방항과 나란하게 마련되고, 보조 텐던(19a, 19b)은 적어도 일부가 제 1 링크(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link 11, the second link 12, the third link 13, and at least one connection link 14 are arranged side by side, the main tendons 18a, 18b, 18c, and 18d are It is provid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ink 12,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uxiliary tendons 19a and 19b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ink 11.

도 6 내지 도 8은 힘이 인가되는 동안, 보조 텐던을 구비한 수술 장치와 보조 텐던을 구비하지 않은 수술 장치 각각에서 형태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s 6 to 8 are diagrams showing shape deformation in a surgical device with an auxiliary tendon and a surgical device without an auxiliary tendon, respectively, while force is applied.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검정색으로 도시한 부분은 보조 텐던을 제거한 상태의 변형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빨강색으로 도시한 부분은 보조 텐던을 구비한 상태에서의 변형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팁(T, 도 1 참조)에는 5N을 인가하였다. 보조 텐던을 구비할 경우, 외력에 의해 변화하는 변위가 대략 80%정도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6 to 8, the part shown in black shows the deformation in a state where the auxiliary tendon is removed, and the part shown in red shows the deformation in a state with the auxiliary tendon. 5N was applied to the tip (T, see Figure 1). It can be seen that when an auxiliary tendon is provided, the displacement that changes due to external force is reduced by approximately 80%.

한편, 도 3과 도 10을 참고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3에는 제1 피치 보조 텐던(19a,19b)과 제1 피치 보조 텐던이 삽입되는 제1 피치 보조 텐던 홀(113a,113b)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제1 피치 보조 텐던(19c,19d)과 제1 피치 보조 텐던이 삽입되는 제1 피치 보조 텐던 홀(113c,113d)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 3 또는 도 10 중 어느 하나의 피치 보조 텐던 및 피치 보조 텐던 홀을 적용하여도 충분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Meanwhile, if explain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10, in FIG. 3, first pitch auxiliary tendons (19a, 19b) and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holes (113a, 113b) into which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s are inserted are shown. 10 shows first pitch auxiliary tendons 19c and 19d and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holes 113c and 113d into which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s are inserted.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pose can be sufficiently achieved by applying the pitch auxiliary tendon and the pitch auxiliary tendon hole of either Figure 3 or Figure 10.

도 3에 도시된 보조 텐던은 제1 피치 보조 텐던(19a,19b)이다. The auxiliary tendons shown in FIG. 3 ar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s 19a and 19b.

제1 피치 보조 텐던(19a)은 제1 관절 링크(11)의 중심 축(C)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제1 피치 보조 텐던 홀(113a)과 제2,3 관절 링크(12,13)에 각각 형성된 제2,3 피치 보조 텐던 홀(123a,133a)에 삽입된다. 제1 피치 보조 텐던(19a)의 홀 통과 경로는 'S'자 형상으로 하향 경사진다. 제1 관절 링크(11)의 제1 피치 보조 텐던 홀(113a)에서 제2,3 관절 링크(12,13)의 제2,3 피치 보조 텐던 홀(123a,133a)로 갈수록 보조 텐던 홀이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제1 피치 보조 텐던 홀(113a)은 관절 링크의 우측 상측에 형성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2,3 피치 보조 텐던 홀(123a,133a)은 상대적으로 점점 우측 하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보조 텐던 홀의 형성 방향도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시계방향(도 3에 도시된 화살표 참조)을 따라 형성된다.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19a) is located in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13a) and the second and third joint links (12, 13) locat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 of the first joint link (11).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and third pitch auxiliary tendon holes 123a and 133a respectively formed. The path through the hole of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19a) slopes downward in an 'S' shape. The auxiliary tendon holes move upward from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13a) of the first joint link (11) to the second and third pitch auxiliary tendon holes (123a, 133a) of the second and third joint links (12, 13). It is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That is,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13a shown in Figure 3 is form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joint link, and the second and third pitch auxiliary tendon holes 123a and 133a shown in Figures 4 and 5 are relatively It gradually forms on the lower right. Accordingly,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auxiliary tendon hole is also form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clockwise (see arrow shown in FIG. 3).

한편, 제1 피치 보조 텐던(19b)은 제1 관절 링크(11)의 중심 축(C)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제1 피치 보조 텐던 홀(113b)과 제2,3 관절 링크(12,13)에 각각 형성된 제2,3 피치 보조 텐던 홀(123b,133b)에 삽입된다. 제1 피치 보조 텐던(19b)의 홀 통과 경로는 'S'자 형상으로 상향 경사진다. 제1 관절 링크(11)의 제1 피치 보조 텐던 홀(113b)에서 제2,3 관절 링크(12,13)의 제2,3 피치 보조 텐던 홀(123b,133b)로 갈수록 보조 텐던 홀이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제1 피치 보조 텐던 홀(113b)은 관절 링크의 좌측 하측에 형성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2,3 피치 보조 텐던 홀(123b,133b)은 상대적으로 점점 좌측 상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보조 텐던 홀의 형성 방향도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시계방향(도 3에 도시된 화살표 참조)을 따라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19b) is a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13b) locat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 of the first joint link (11) and the second and third joint links (12, 13) )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and third pitch auxiliary tendon holes (123b, 133b) formed respectively. The path through the hole of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19b) slopes upward in an 'S' shape. The auxiliary tendon hole moves downward as it moves from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13b) of the first joint link (11) to the second and third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23b, 133b) of the second and third joint link (12, 13). It is formed in the upward direction. That is,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13b shown in Figure 3 is formed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joint link, and the second and third pitch auxiliary tendon holes 123b and 133b shown in Figures 4 and 5 are relatively It gradually forms on the upper left side. Accordingly, the direction in which the auxiliary tendon hole is formed i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is formed clockwise (see arrow shown in FIG. 3).

도 10에 도시된 보조 텐던은 도 3의 보조 텐던의 다른 예로서 제1 피치 보조 텐던(19c,19d)이다. The auxiliary tendons shown in FIG. 10 ar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s 19c and 19d as another example of the auxiliary tendons in FIG. 3.

제1 피치 보조 텐던(19c)은 제1 관절 링크(11)의 중심 축(C)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제1 피치 보조 텐던 홀(113c)과 제2 관절 링크(12)를 거쳐 3 관절 링크(13)에 형성된 3 피치 보조 텐던 홀(133c)에 삽입된다. 제1 피치 보조 텐던(19c)의 홀 통과 경로는 'S'자 형상으로 상향 경사진다. 제1 관절 링크(11)의 제1 피치 보조 텐던 홀(113c)에서 3 관절 링크(13)의 3 피치 보조 텐던 홀(133c)로 갈수록 보조 텐던 홀이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제1 피치 보조 텐던 홀(113c)은 관절 링크의 우측 하측에 형성되고, 제3 피치 보조 텐던 홀(133c)은 상대적으로 점점 우측 상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보조 텐던 홀의 형성 방향도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형성되면서, 반시계방향(도 10에 도시된 화살표 참조)을 따라 형성된다.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19c) is a three-joint link via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13c) locat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 of the first joint link (11) and the second joint link (12). It is inserted into the 3-pitch auxiliary tendon hole (133c) formed at (13). The path through the hole of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19c) slopes upward in an 'S' shape. Auxiliary tendon holes are form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s we move from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13c of the first joint link 11 to the 3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33c of the three joint link 13. That is,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13c shown in FIG. 10 is form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joint link, and the third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33c is formed relatively gradually on the upper right side. Accordingly, the direction in which the auxiliary tendon hole is formed i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is formed along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see arrow shown in FIG. 10).

한편, 제1 피치 보조 텐던(19d)은 제1 관절 링크(11)의 중심 축(C)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제1 피치 보조 텐던 홀(113d)과 제2 관절 링크(12)를 거쳐 3 관절 링크(13)에 형성된 3 피치 보조 텐던 홀(133d)에 삽입된다. 제1 피치 보조 텐던(19d)의 홀 통과 경로는 'S'자 형상으로 하향 경사진다. 제1 관절 링크(11)의 제1 피치 보조 텐던 홀(113d)에서 3 관절 링크(13)의 3 피치 보조 텐던 홀(133d)로 갈수록 보조 텐던 홀이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제1 피치 보조 텐던 홀(113d)은 관절 링크의 좌측 상측에 형성되고, 제3 피치 보조 텐던 홀(133d)은 상대적으로 점점 좌측 하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보조 텐던 홀의 형성 방향도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형성되면서, 반시계방향(도 10에 도시된 화살표 참조)을 따라 형성된다.Meanwhile,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19d) is 3 through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13d) and the second joint link (12) locat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 of the first joint link (11). It is inserted into the 3-pitch auxiliary tendon hole (133d) formed in the joint link (13). The path through the hole of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19d) slopes downward in an 'S' shape. Auxiliary tendon holes are form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moving from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13d of the first joint link 11 to the 3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33d of the three joint link 13. That is, the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13d shown in FIG. 10 is form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joint link, and the third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33d is formed relatively gradually on the lower left side. Accordingly,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auxiliary tendon hole is also form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along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see arrow shown in FIG.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름 관절 장치(1)는 일예로서 엔드 이펙터에 하중(F)이 발생하면, 제2 관절 링크(1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 또는 토크(Tq1)가 발생하고, 제3 관절 링크(13)는 제2 관절 링크(12)와는 반대방향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또는 토크(Tq2)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구름 관절 장치(1)는 엔드 이펙터에 하중이 가해지면 외부 하중에 의해 관절 링크마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디플렉션(굴절)이 발생한다. 이러한 구름 관절 링크의 디플렉션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피치 보조 텐던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또한, 피치 보조 텐던 메커니즘을 사용하면 의도치 않게 구름 관절에 비틀림(토션)이 발생하며, 이러한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요 보조 텐던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비틀림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름 관절이 적용된 수술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ure 11, the rolling joint device 1 is an example, when a load (F) is generated on the end effector, the second joint link 12 rotates clockwise or generates a torque (Tq1), and the third The joint link 13 rotates or generates torque Tq2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joint link 12. Accordingly,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end effector of the rolling joint device 1, deflection (bending) occurs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ach joint link due to an external load. To prevent this deflection of the rolling joint link,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pitch assist tendon mechanism described above. In addition, when the pitch-assisted tendon mechanism is used, twisting (torsion) occurs in the rolling joint unintentionally, and to prevent this twisting, the yaw-assisted tendon mechanism is used to prevent twisting. Hereinafter, a surgical device to which a rolling joint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2에 도시된 제1 요 보조 텐던(21a,21b)과 도 13에 도시된 제2 요 보조 텐던(21c,21d)은 어느 하나의 사용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도 12의 제1 요 보조 텐던(21a,21b)은 도 3의 피치 보조 텐던(19a,19b)의 메커니즘 작용시에 대한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도 13의 제1 요 보조 텐던(21c,21d)은 도 10의 피치 보조 텐던(19c,19d)의 메커니즘 작용시에 대한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achieved by using either the first yaw auxiliary tendons (21a, 21b) shown in FIG. 12 and the second yaw auxiliary tendons (21c, 21d) shown in FIG. 13. The first yaw auxiliary tendons (21a, 21b) of FIG. 12 are for preventing twisting when the mechanism of the pitch auxiliary tendons (19a, 19b) of FIG. 3 is activated, and the first yaw auxiliary tendons (21c, 21d) of FIG. 13 ) is to prevent twisting of the pitch auxiliary tendons 19c and 19d of FIG. 10 when the mechanism operates.

도 12에 도시된 제1 요 보조 텐던(21a,21b)은 일예로서 제1,2,3 링크(11,12,13)에 마련된 각각의 요 보조 텐던 홀에 삽입된다. The first yaw auxiliary tendons 21a and 21b shown in FIG. 12 are, as an example, inserted into each yaw auxiliary tendon hole provid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nks 11, 12 and 13.

제1 요 보조 텐던(21a)은 상측 요 보조 텐던 홀(114a,134a)에 삽입된다. 상측 요 보조 텐던 홀(114a,134a)은 제1 요 보조 텐던(21a)의 통과 경로가 제1 방향 사선(일예로서 '\')이 되도록 각 관절 링크의 상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각 관절 링크에 형성되는 요 보조 텐던 홀이 제1 관절 링크(11)에서는 우측 상단에 위치하다가 점차 반시계방향을 따라 제3 관절 링크(13)에서는 좌측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The first yaw auxiliary tendon (21a) is inserted into the upper yaw auxiliary tendon holes (114a, 134a). The upper yaw auxiliary tendon holes 114a and 134a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each joint link so that the passage path of the first yaw auxiliary tendon 21a is diagonal in the first direction (as an example, '\'). Accordingly, the yaw auxiliary tendon hole formed in each joint link is located in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first joint link 11 and gradually becomes located in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third joint link 13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한편, 제1 요 보조 텐던(21b)은 하측 요 보조 텐던 홀(114b,134b)에 삽입된다. 하측 요 보조 텐던 홀(114b,134b)은 제1 요 보조 텐던(21b)의 통과 경로가 제2 방향 사선(일예로서 '/')이 되도록 각 관절 링크의 하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방향 사선과 제2 방향 사선은 서로 크로스 되어 'X'자 형상을 한다. 따라서, 각 관절 링크에 형성되는 요 보조 텐던 홀이 제1 관절 링크(11)에서는 좌측 하단에 위치하다가 점차 반시계방향을 따라 제3 관절 링크(13)에서는 우측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Meanwhile, the first yaw auxiliary tendon (21b) is inserted into the lower yaw auxiliary tendon holes (114b, 134b). The lower yaw auxiliary tendon holes 114b and 134b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each joint link so that the passage path of the first yaw auxiliary tendon 21b is diagonal in the second direction (for example, '/'). Accordingly, the diagonal lin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diagonal lines in the second direction cross each other to form an 'X' shape. Accordingly, the yaw auxiliary tendon hole formed in each joint link is located at the bottom left of the first joint link 11, and is gradually located at the bottom right of the third joint link 13 along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도 13에 도시된 제2 요 보조 텐던(21c,21d)은 일예로서 제1,2,3 링크(11,12,13)에 마련된 각각의 요 보조 텐던 홀에 삽입된다. The second yaw auxiliary tendons 21c and 21d shown in FIG. 13 are, as an example, inserted into each yaw auxiliary tendon hole provid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nks 11, 12 and 13.

제2 요 보조 텐던(21c)은 상측 요 보조 텐던 홀(114c,134c)에 삽입된다. 상측 요 보조 텐던 홀(114c,134c)은 제2 요 보조 텐던(21c)의 통과 경로가 제1 방향 사선(일예로서 '/')이 되도록 각 관절 링크의 상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각 관절 링크에 형성되는 요 보조 텐던 홀이 제1 관절 링크(11)에서는 좌측 상단에 위치하다가 점차 시계방향을 따라 제3 관절 링크(13)에서는 우측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The second yaw auxiliary tendon (21c) is inserted into the upper yaw auxiliary tendon holes (114c, 134c). The upper yaw auxiliary tendon holes 114c and 134c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each joint link so that the passage path of the second yaw auxiliary tendon 21c is diagonal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 Accordingly, the yaw auxiliary tendon hole formed in each joint link is located in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first joint link 11 and gradually becomes located in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third joint link 13 in a clockwise direction.

한편, 제2 요 보조 텐던(21d)은 상측 요 보조 텐던 홀(114d,134d)에 삽입된다. 상측 요 보조 텐던 홀(114d,134d)은 제2 요 보조 텐던(21d)의 통과 경로가 제2 방향 사선(일예로서 '\')이 되도록 각 관절 링크의 하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방향 사선과 제2 방향 사선은 서로 크로스 되어 'X'자 형상을 한다. 따라서, 각 관절 링크에 형성되는 요 보조 텐던 홀이 제1 관절 링크(11)에서는 우측 하단에 위치하다가 점차 시계방향을 따라 제3 관절 링크(13)에서는 좌측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Meanwhile, the second yaw auxiliary tendon (21d) is inserted into the upper yaw auxiliary tendon holes (114d, 134d). The upper lumbar auxiliary tendon holes 114d and 134d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each joint link so that the passage path of the second lumbar auxiliary tendon 21d is diagonal in the second direction (as an example, '\'). Accordingly, the diagonal lin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diagonal lines in the second direction cross each other to form an 'X' shape. Accordingly, the yaw auxiliary tendon hole formed in each joint link is located at the bottom right of the first joint link 11, and is gradually located at the bottom left of the third joint link 13 in a clockwise direction.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is.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re used. Alternatively, appropriate results may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T : 팁
S1, S2, S3 : 중공
1 : 수술 장치 또는 구름 관절 장치
11 : 제1 링크 또는 제1 관절 링크
12 : 제2 링크 또는 제2 관절 링크
13 : 제3 링크 또는 제3 관절 링크
14 : 연결 링크 또는 연결 관절 링크
18,18a,18b,18c,18d : 메인 텐던
19 : 보조 텐던
19a,19b,19c,19d : 제1 피치 보조 텐던
21a,21b : 제1 요 보조 텐던
21c,21d : 제2 요 보조 텐던
111 : 제1 링크 바디
112a, 112b, 112c, 112d : 제1 메인 텐던 홀
113a, 113b,113c,113d : 제1 보조 텐던 홀 또는 제1 피치 보조 텐던 홀
114a,114b : 제1 요 보조 텐던 홀
114c,114d : 제2 요 보조 텐던 홀
121 : 제2 링크 바디
122a, 122b, 122c, 122d : 제2 메인 텐던 홀
123a, 123b : 제2 보조 텐던 홀 또는 제2 피치 보조 텐던 홀
131 : 제3 링크 바디
132a, 132b, 132c, 132d : 제3 메인 텐던 홀
133a, 133b,133c,133d : 제3 보조 텐던 홀 또는 제3 피치 보조 텐던 홀
134a,134b : 제1 요 보조 텐던 홀
134c,134d : 제2 요 보조 텐던 홀
T: Tip
S1, S2, S3: hollow
1: Surgical device or rolling joint device
11: first link or first joint link
12: second link or second joint link
13: Third link or third joint link
14: connecting link or connecting joint link
18,18a,18b,18c,18d: Main tendon
19: Auxiliary tendon
19a, 19b, 19c, 19d: 1st pitch auxiliary tendon
21a, 21b: 1st auxiliary tendon
21c, 21d: 2nd auxiliary tendon
111: first link body
112a, 112b, 112c, 112d: 1st main tendon hole
113a, 113b, 113c, 113d: first auxiliary tendon hole or first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14a, 114b: 1st auxiliary tendon hole
114c, 114d: 2nd auxiliary tendon hole
121: second link body
122a, 122b, 122c, 122d: 2nd main tendon hole
123a, 123b: second auxiliary tendon hole or second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31: Third link body
132a, 132b, 132c, 132d: 3rd main tendon hole
133a, 133b, 133c, 133d: Third auxiliary tendon hole or third pitch auxiliary tendon hole
134a, 134b: 1st auxiliary tendon hole
134c, 134d: 2nd auxiliary tendon hole

Claims (13)

엔드 이펙터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 구름 관절 중 기준점을 기준으로 일측의 관절 링크와 타측의 관절 링크가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서로 디플렉션 방향이 다를 때,
일측 관절 링크와 타측 관절 링크가 각각 회전하는 것을 저항하도록 하는 서로 다른 모멘트 힘을 생성시켜 관절 링크의 디플렉션을 방지함으로써 강성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증강 수술 장치.
When the joint link on one side and the joint link on the other side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among the rolling joints due to the load applied to the end effector, the deflection directions are different,
A rigidity-enhanced surgic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igidity is relatively increased by preventing deflection of the joint link by generating different moment forces that resist rotation of one joint link and the other joint link,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관절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절 링크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타측 관절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절 링크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항하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의 제1 모멘트 힘을 생성시키고,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항하는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방향의 제2 모멘트 힘을 생성시킴으로써 관절 링크의 디플렉션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증강 수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joint link of the one joint link rotates in a first direction, and at least one joint link of the other joint link rotates in a second direction,
Generating a first moment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resist rotat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generating a second moment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to resist rotation in the second direction. A rigidity-enhancing surgic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revents deflection of the joint link by doing so.
엔드 이펙터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 구름 관절인 복수의 관절 링크가 회전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으로 관절 링크가 디플렉션 되는 복수의 관절 링크,
와이어 견인에 의해 상기 복수의 관절 링크를 구동시키는 메인 텐던,
상기 와이어 견인에 의해 상기 관절 링크가 회전하는 것을 저항하도록 함으로써 각 관절 링크의 디플렉션을 방지하여 강성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피치 보조 텐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증강 수술 장치.
A plurality of joint links in which the joint links are deflected in different directions by rotating the plurality of joint links, which are rolling joints, due to the load applied to the end effector,
A main tendon that drives the plurality of joint links by wire traction,
A rigidity-enhancing surgical device comprising a pitch auxiliary tendon that relatively increases rigidity by preventing deflection of each joint link by resisting rotation of the joint link by the wire trac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 보조 텐던은,
상기 복수의 관절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절 링크의 제1 방향 회전에 저항하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의 제1 모멘트 힘을 생성시키고,
상기 복수의 관절 링크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관절 링크의 제2 방향 회전에 저항하는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방향의 제2 모멘트 힘을 생성시켜 관절 링크의 디플렉션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증강 수술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pitch auxiliary tendon is,
Generating a first moment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at resists rotation in the first direction of at least one joint link among the plurality of joint links,
Rigidity enhancement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preventing deflection of the joint link by generating a second moment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that resists rotation in the second direction of at least one other joint link among the plurality of joint links.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절 링크 각각은,
상기 메인 텐던이 통과되는 메인 텐던 홀,
상기 관절 링크의 디플렉션을 방지하는 피치 보조 텐던이 통과되는 피치 보조 텐던 홀을 포함하며,
상기 피치 보조 텐던의 피치 보조 텐던 홀 통과 경로는 적어도 일부 구간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증강 수술 장치.
According to claim 3,
Each of the plurality of joint links,
A main tendon hole through which the main tendon passes,
It includes a pitch auxiliary tendon hole through which a pitch auxiliary tendon that prevents deflection of the joint link passes,
A rigidity-enhanced surgic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some sections of the path through the pitch auxiliary tendon hole of the pitch auxiliary tendon are inclin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경로는 'S'자 형상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증강 수술 장치.
According to claim 5,
A rigidity-enhanced surgic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ssage path is inclined in an 'S' shape.
제 5 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피치 보조 텐던의 통과 경로는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다른 하나의 피치 보조 텐던의 통과 경로는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증강 수술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passage path of any one pitch auxiliary tendon slopes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igidity-enhanced surgic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ssage path of the other pitch auxiliary tendon slopes up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 보조 텐던 홀은,
상기 피치 보조 텐던의 통과 경로가 하향 경사지도록 각 관절 링크에 형성되는 하향 피치 보조 텐던 홀,
상기 피치 보조 텐던의 통과 경로가 상향 경사지도록 각 관절 링크에 형성되는 상향 피치 보조 텐던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증강 수술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pitch auxiliary tendon hole is,
A downward pitch auxiliary tendon hole formed in each joint link so that the passage path of the pitch auxiliary tendon slopes downward,
A rigidity-enhanced surgical device comprising an upward pitch auxiliary tendon hole formed in each joint link such that the passage path of the pitch auxiliary tendon is inclined upwar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피치 보조 텐던 홀은,
상기 피치 보조 텐던의 통과 경로가 하향 경사지도록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각 관절 링크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향 피치 보조 텐던 홀은,
상기 피치 보조 텐던의 통과 경로가 상향 경사지도록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각 관절 링크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증강 수술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downward pitch auxiliary tendon hole is,
The passage path of the pitch auxiliary tendon is formed from the upper to the lower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of each joint link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as to slope downward,
The upward pitch auxiliary tendon hole is,
A rigidity-enhanced surgic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ssage path of the pitch auxiliary tendon is form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from lower to upp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of each joint link so that the passage path is inclined upwar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 보조 텐던의 견인에 의해 발생된 관절 링크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요 보조 텐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증강 수술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rigidity-enhanced surgica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yaw auxiliary tendon that prevents twisting of the joint link caused by traction of the pitch auxiliary tend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요 보조 텐던이 통과되는 요 보조 텐던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증강 수술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A rigidity-enhanced surgica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umbar auxiliary tendon hole through which the lumbar auxiliary tendon passe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요 보조 텐던은,
상기 피치 보조 텐던의 견인에 의해 발생된 제1 방향의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의 제2 방향의 토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증강 수술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auxiliary tendon is,
A rigidity-enhanced surgic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torsion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prevent twisting in the first direction caused by traction of the pitch auxiliary tend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요 보조 텐던 홀은,
상기 요 보조 텐던의 통과 경로가 제1 방향 사선이 되도록 각 관절 링크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 요 보조 텐던 홀,
상기 요 보조 텐던의 통과 경로가 제2 방향 사선이 되도록 각 관절 링크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측 요 보조 텐던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증강 수술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auxiliary tendon hole is,
An upper lumbar auxiliary tendon hol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each joint link so that the passage path of the lumbar auxiliary tendon is diagonal in the first direction,
A rigidity-enhancing surgical device comprising a lower lumbar auxiliary tendon hol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each joint link so that the passage path of the lumbar auxiliary tendon is diagonal in the second direction.
KR1020220072628A 2021-09-01 2022-06-15 Surgical device for stiffness augmentation KR20230172152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628A KR20230172152A (en) 2022-06-15 2022-06-15 Surgical device for stiffness augmentation
US17/900,058 US20230085601A1 (en) 2021-09-01 2022-08-31 Stiffness-reinforced surgica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2211068341.3A CN115721352A (en) 2021-09-01 2022-09-01 Rigidity-enhanced surgica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2193356.7A EP4144317A1 (en) 2021-09-01 2022-09-01 Stiffness-reinforced surgica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628A KR20230172152A (en) 2022-06-15 2022-06-15 Surgical device for stiffness augmen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152A true KR20230172152A (en) 2023-12-22

Family

ID=8930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628A KR20230172152A (en) 2021-09-01 2022-06-15 Surgical device for stiffness augmen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15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974B1 (en) 2013-03-08 2021-03-31 아우리스 헬스, 인크.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acilitating bending of an instrument in a surgical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974B1 (en) 2013-03-08 2021-03-31 아우리스 헬스, 인크.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acilitating bending of an instrument in a surgical environ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180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ixing sheet-like materials to a target tissue
JP5718912B2 (en) Impla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delivery system
US7413563B2 (en) Flexible medical device
US1127870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rable instrument and such steerable instrument
US7918845B2 (en) Endoluminal tool deployment system
US20070199176A1 (en) Living hinge
US20050043711A1 (en) Flexible center connection for occlusion device
KR20210145189A (en) A steerable instrument comprising a hinge having a slotted structure
DE102009041510A1 (en) Endoscopic instrument
DE102018110620A1 (en) Endoscope deflecting with distal folding mechanism
JP2009511107A (en) Hollow shaft with flexibility
EP2460458B1 (en) Endoscopic instrument system
KR101455510B1 (en) Instrument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Having Link-type Articulation Unit
WO1998042263A1 (en) Cutting tool for cleaning out the femur medullary space and artificial hip to be inserted into this space
KR20230172152A (en) Surgical device for stiffness augmentation
CN112770878A (en) Flexible driving device
WO2020157233A1 (en) Endoscope having distal pivot mechanism and fine adjustment
US8679146B2 (en) Method for use of suture retriever-sheath dilator tool
KR20230172155A (en) stiffness augmentation method of Surgical device
KR20210048171A (en) Articulating structure with enhanced bending force, and Tube insert device haivng the same
CN107205740A (en) It is hinged pin
KR102581537B1 (en) Surgical device with auxiliary tendon
CN112890739A (en) Medical endoscope insertion unit
CN110769990A (en) Manipulator and joint structure thereof
EP2147645B1 (en) Medical instrument with laterally mobile se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