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116A - Server for analyzing the user's learning characteristics using log data of electronic pen - Google Patents

Server for analyzing the user's learning characteristics using log data of electronic p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116A
KR20230172116A KR1020220072531A KR20220072531A KR20230172116A KR 20230172116 A KR20230172116 A KR 20230172116A KR 1020220072531 A KR1020220072531 A KR 1020220072531A KR 20220072531 A KR20220072531 A KR 20220072531A KR 20230172116 A KR20230172116 A KR 20230172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t
user
log data
server
electronic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5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철회
Original Assignee
김용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한 filed Critical 김용한
Priority to KR1020220072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116A/en
Publication of KR20230172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1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Abstract

일 실시예는, 인쇄물에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된 도트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도트이미지의 패턴을 분석하며 상기 패턴에 대응되는 도트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도트코드에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는 전자펜들로부터 상기 도트코드를 시간값과 함께 기록한 로그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로그데이터를 사용자들의 식별자별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로그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학습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photographs a dot image printed in a size that is not visually recognizable on a printed matter, analyzes the pattern of the dot image, identifies a dot cod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and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ot code.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log data recording the dot code together with a time value from the pen;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log data for each user identifier; and an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log data to generate user learning data.

Description

전자펜의 로그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학습특성을 분석하는 서버{SERVER FOR ANALYZING THE USER'S LEARNING CHARACTERISTICS USING LOG DATA OF ELECTRONIC PEN}A server that analyzes the user's learning characteristics using log data from the electronic pen {SERVER FOR ANALYZING THE USER'S LEARNING CHARACTERISTICS USING LOG DATA OF ELECTRONIC PEN}

본 실시예는 학습관리서버에 관한 것이다.This embodiment relates to a learning management server.

학습관리시스템이라는 기술이 있다.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기술이다.There is a technology called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is technology is widely known as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학습관리시스템은 주로 온라인 공간에서 교육과정이 개설될 때, 교육자가 학습컨텐츠를 수월하게 업로드하도록 하기 위해 혹은 학습자의 컨텐츠에 대한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Learning management systems were mainly developed to allow educators to easily upload learning content when a curriculum is opened in an online space or to facilitate learners' accessibility to the content.

학습관리시스템은 최근 좀더 발전되면서 학습자의 학습과정을 추적하고 학습이력을 관리하여 학습자 개인에 대한 맞춤형 학습을 제공하는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As learning management systems have recently developed further, they are developing to provide customized learning for individual learners by tracking the learner's learning process and managing the learning history.

학습관리시스템에서 학습은 주로 온라인 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습자가 입력한 조작신호-주로, 컨텐츠에 대한 클릭신호 혹은 키보드로 입력하는 문자신호(정답입력을 위한 문자신호) 등-가 분석 대상의 데이터가 된다.Since learning in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is mainly carried out in an online space, the operation signals input by the learner - mainly click signals for content or text signals entered on the keyboard (text signals for entering the correct answer) - are the data to be analyzed. It becomes.

학습관리시스템은 학습자가 시작시키고 종료시킨 컨텐츠의 재생시간을 학습진도율로 평가하거나 학습자가 입력한 답변의 정답률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성취도를 평가한다.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evaluates the playback time of the content started and ended by the learner as the learning progress rate or evaluates the learner's achievement using the correct rate of the answers entered by the learner.

학습관리시스템이 시장에 공개되었을 때, 사용자들의 반응은 열광적이었다. 학습자들은 학습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의 학습패턴을 분석하고 학습에서 개선시켜야할 점, 그리고, 강화시켜야할 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고 믿었다. 하지만, 최근 그 반응은 많이 냉정해 졌다. 학습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학습데이터의 정확도도가 낮아지면서 사용자들은 이제 더 이상 학습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분석결과를 신뢰하지 않고 있다.When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was released to the market, the response from users was enthusiastic. Learners believed that by using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ey could analyze their own learning patterns and easily identify what needs to be improved and what needs to be strengthened in learning. However, recently the response has become much colder. As the accuracy of learning data provided by learning management systems decreases, users no longer trust the analysis results provided by learning management systems.

원인은 학습관리시스템이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의 출처에 있다. 학습관리시스템은 온라인 공간으로 사용자들이 직접 입력하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온라인 공간은 오프라인 공간과 달리 직관성과 편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그 분석 대상에 일관성이 결여되고 분석을 왜곡시킬 수 있는 임의적 조작도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원천 소스가 되는 분석 대상이 신뢰할 수 없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그 분석 결과도 신뢰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The cause lies in the source of the data that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uses for analysis.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uses user manipulation signals directly entered by users in the online space as the analysis object. Unlike the offline space, the online space is less intuitive and convenient, so the analysis object lacks consistency and may distort the analysis. Arbitrary manipulation may also be included. Because the original source of analysis is unreliable data, the analysis results also become unreliable.

구체적인 예로서, 오프라인에서는 책의 페이지가 넘어가는 것을 확인하여 학습진도율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나, 온라인에서는 책의 페이지가 넘어가는지를 사용자의 조작신호만으로 추정해야하는데, 이러한 추정은 직관적이지 않기 때문에 정확하지도 않은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은 오프라인에 비해 직관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offline, you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rate of learning progress by checking that the pages of a book are turning, but online, you have to estimate whether the book's pages are turning based solely on the user's operation signals, but this estimation is not intuitive and therefore not accurate. It is not. In this respect,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s can be judged to be less intuitive than offline ones.

다른 예로서,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은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노트북-에 접속한 후에 계층화된 목록에서 해당 컨텐츠를 일일이 찾아들어가야 하는데, 이러한 행위는 책꽂이에 있는 책만 찾아보면 되는 오프라인 방식에 비해 편리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또한, 키보드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답변을 입력하는 것 또한 펜을 이용하여 답변을 입력하는 방식보다 편리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이 오프라인보다 편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분석 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입력이 중도에 중단되는 경우가 많고 분석결과의 왜곡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As another example,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requires users to connect to a personal computer (e.g., a laptop) and then search for the relevant content one by one from a hierarchical lis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ffline method where users only have to search for books on the bookshelf. It is less convenient. Additionally, entering answers using a device such as a keyboard can also be considered less convenient than entering answers using a pen. Becaus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s are less convenient than offline ones, the input of data subject to analysis is often interrupted midway, resulting in distortion of analysis results.

이러한 배경에서, 직관성과 편리성이 높은 오프라인 장치의 데이터를 학습관리시스템의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는 기술의 도입을 고려해 보려고 한다. 이러한 시도는 전에 없던 시도로서, 이전의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의 한계를 뛰어넘는 것이라고 판단한다.Against this background, we would like to consider introducing a technology that uses data from offline devices, which are highly intuitive and convenient, as the subject of analysis in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We believe that this attempt is unprecedented and goes beyond the limitations of previous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s.

본 실시예에서는 직관성과 편리성이 높은 오프라인 장치로서 전자펜의 데이터를 학습관리시스템을 위한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고자 한다.In this embodiment, as an offline device with high intuitiveness and convenience, data from an electronic pen is used as an analysis target for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전자펜은 이미지센서를 이용하여 인쇄물을 인식하는 장치이다. An electronic pen is a device that recognizes printed matter using an image sensor.

전자펜은 주로 책을 읽어주는 장치로서 기능하는 경우가 많다. 전자펜을 책에 접촉시키면 전자펜이 책에 있는 내용을 읽어주는 기능이다.Electronic pens often function as a device for reading books. This function allows the electronic pen to read the contents of the book when you touch it to the book.

책에는 전자적인 장치-예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가 전혀 없지만 비가시성의 도트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다. 전자펜은 이러한 도트이미지를 인식하고 해당 도트이미지에 대응되는 음원파일을 재생시켜 줌으로써 책을 읽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book does not have any electronic devices - for example,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etc.) - but has invisible dot images printed on it. The electronic pen recognizes these dot images and plays the sound file corresponding to the dot image. By giving it to you,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reading a book.

도트이미지는 일반적인 사람들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크기로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마치 전자펜이 책 자체를 인식하면서 책을 읽어준다는 신비감을 가지게 된다.Because the dot image is printed in a size that is invisible to the general eye, users have a mystifying feeling that the electronic pen recognizes the book itself and reads the book.

전자펜 이외의 다른 장치들도 책을 읽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북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개인용 컴퓨터 혹은 스마트폰은 오디오북을 재생시키는 방법으로 책을 읽어줄 수 있다.Devices other than electronic pens can also perform the function of reading books. Audiobooks are a representative example. A personal computer or smartphone can read a book to you by playing an audiobook.

그러나, 전자펜은 이러한 장치들과는 다른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However, because electronic pens have different advantages than these devices, they are attracting attention from many users.

전자펜은 책을 읽으려는 사용자에게 직관성과 편리성을 제공한다.The electronic pen provides intuitiveness and convenience to users who want to read books.

사용자는 읽고자 하는 책의 페이지에 전자펜을 접촉시키기만 하면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읽을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장치들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조작기를 이용하여 해당 음원의 파일 위치를 혹은 해당 페이지를 일일이 찾아서 재생시켜야만 내용을 읽을 수 있다. 사용자가 간접적인 식별자-파일 이름, 페이지 번호 등-를 해당 장치에 입력시키지 않고, 직접 눈으로 보고 있는 컨텐츠를 바로 재생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러한 전자펜의 특성을 직관성이라고 호칭할 수 있다.Users can read the contents of a page by simply touching the electronic pen to the page of the book they want to read. However, other devices can only read the contents by finding and playing the file location or page of the sound source one by one using a controller such as a keyboard or mouse. This characteristic of the electronic pen can be called intuitive in that the user can directly play the content he or she is looking at without entering indirect identifiers - file names, page numbers, etc. - into the device.

전자펜은 일반 펜과 유사한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그 내부의 메모리에 음원파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휴대의 편리성이 높다. 사용자는 마치 연필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전자펜을 사용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보다 스마트폰이 부피와 무게에 있어서 많이 작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전자펜과 같은 휴대의 편리성을 제공하지는 못한다.The electronic pen has a similar appearance to a regular pen and has a sound source file in its internal memory, making it highly convenient to carry. Users can use the electronic pen with the same feeling as if they were holding a pencil. It is true that smartphones are much smaller in size and weight than personal computers, but they do not provide the convenience of portability like an electronic pen.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다수의 사용자들이 전자펜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글을 읽을 줄 모르거나 글을 읽는 것이 완벽하지 않은 유아들에서는 전자펜의 활용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Because of these advantages, many users are using electronic pens. In particular, the use of electronic pens is very high among infants who do not know how to read or whose reading skills are not perfect.

본 실시예는 직관성과 편리성이 높은 오프라인 장치로서의 전자펜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을 관리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분석 결과의 왜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일 수 있다.This embodiment seek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managing learning using data generated by an electronic pen, which is an offline device with high intuitiveness and convenience. This attempt may be a new technology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distortion of analysis results i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s.

본 실시예의 목적은, 일 측면에서, 전자펜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을 관리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예의 목적은, 전자펜이 인식하는 도트이미지를 로그데이터화하고 이러한 로그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의 학습패턴을 분석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embodiment is, in one aspect, to provide technology for managing learning using data generated by an electronic pen. In another aspect, the purpose of this example is to provide technology for converting dot images recognized by an electronic pen into log data and analyzing users' learning patterns using such log data.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는, 인쇄물에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된 도트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도트이미지의 패턴을 분석하며 상기 패턴에 대응되는 도트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도트코드에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는 전자펜들로부터 상기 도트코드를 시간값과 함께 기록한 로그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로그데이터를 사용자들의 식별자별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로그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학습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one embodiment is to photograph a dot image printed in a size that is not visually recognizable on a printed matter, analyze the pattern of the dot image, check the dot cod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and determine the dot code.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log data recording the dot code together with a time value from electronic pens that perform operations corresponding to;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log data for each user identifier; and an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log data to generate user learning data.

상기 인쇄물은 책자이고 상기 책자는 다수의 페이지로 구성되며 각 페이지에는 서로 다른 패턴의 도트이미지들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분석부는 일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도트이미지들에 대응되는 도트코드들 중 상기 로그데이터로 수신되는 도트코드들의 비율로 상기 책자에 대한 독서율을 산출할 수 있다.The printed material is a booklet, and the booklet consists of a plurality of pages. Dot images of different patterns are printed on each page, and the analysis unit determines the log data among the dot codes corresponding to the dot images for one user. The reading rate for the booklet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ratio of dot codes received.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들의 생물학적 혹은 환경적 특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특성값들을 더 저장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일 사용자의 독서율을 상기 생물학적 특성이 유사한 사용자들 혹은 상기 환경적 특성이 유사한 사용자들과 비교한 유사집단 비교분석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further stores user characteristic values representing the biological 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the analysis unit compares the reading rate of one user with users with similar biological characteristics or with users with simila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omparative analysis data can be calculated.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들의 생물학적 혹은 환경적 특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특성값들을 더 저장하고, 상기 생물학적 특성이 유사한 사용자들 혹은 상기 환경적 특성이 유사한 사용자들의 학습데이터를 통계분석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may further store user characteristic values representing biological 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on learning data of users with similar biological characteristics or users with simila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상기 인쇄물은 책자이고 상기 책자는 다수의 페이지로 구성되며 각 페이지에는 서로 다른 패턴의 도트이미지들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분석부는 일 사용자에 대하여, 연속하여 수신되는 상기 로그데이터의 시간 간격으로 각 페이지에서의 체류 시간을 추정하고 상기 체류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일 사용자의 상기 책자에 대한 정독률을 산출할 수 있다.The printed material is a booklet, and the booklet consists of a plurality of pages, and each page has dot images of different patterns printed on it. The analysis unit analyzes each page at time intervals of the log data that is continuously received for one user.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residence time of and use the residence time to calculate the reading rate of the booklet by the us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직관성과 편리성이 높은 오프라인 장치로서의 전자펜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을 관리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펜이 인식하는 도트이미지를 로그데이터화하고 이러한 로그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의 학습패턴을 분석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ology for managing learning using data generated by an electronic pen as an offline device with high intuitiveness and convenience. An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ology for converting the dot image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pen into log data and analyzing users' learning patterns using this log data.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 학습분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서 로그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서 로그데이터의 저장 형태를 나타내는 일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분석부에서 학습데이터를 생성하는 세부 구성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분석부에서 통계데이터를 생성하는 세부 구성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데이터 분석 화면의 제1예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데이터 분석 화면의 제2예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의 도트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트코드 데이터 매핑 테이블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UI장치에서의 분석결과화면의 제1예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UI장치에서의 분석결과화면의 제2예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UI장치에서의 분석결과화면의 제3예시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UI장치에서의 분석결과화면의 제4예시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UI장치에서의 분석결과화면의 제5예시 도면이다.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onic pen learning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log data is generated in one embodiment.
Figure 4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torage form of log data in one embodiment.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learning data in the analysis unit of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statistical data in an analysis unit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xample of a learning data analysis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 second example diagram of a learning data analysis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netw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 dot image of a printed produ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ot code data mapp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A to 12C are diagrams showing a first example of an analysis result screen in a UI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3A to 13C are diagrams of a second example of an analysis result screen in a UI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4A and 14B are diagrams of a third example of an analysis result screen in a UI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5A and 15B are diagrams of a fourth example of an analysis result screen in a UI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6A to 16C are diagrams showing a fifth example of an analysis result screen in a UI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 학습분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onic pen learning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전자펜 학습분석 시스템(100)은 전자펜(110), 서버(120) 및 UI(User Interface)장치(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전자펜 학습분석 시스템(100)은 인쇄물(10) 및 네트워크(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nic pen learning analysis system 100 may include an electronic pen 110, a server 120, and a user interface (UI) device 130. In addition, the electronic pen learning analysis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printed matter 10 and a network 20.

전자펜(110)은 인쇄물(10)에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되는 도트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The electronic pen 110 can capture a dot image printed on the printed matter 10 in a size that is not visually recognizable.

인쇄물(10)에는 시각적으로 인식되는(가시성의) 컨텐츠들이 인쇄될 수 있다. 가시성의 컨텐츠로는 예를 들어, 문자가 있을 수 있고, 삽화가 있을 수 있다. 이외에도 보통의 사람이 눈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컨텐츠를 가시성의 컨텐츠로 정의할 수 있다. 사람이 눈으로 볼 수 있는 최소크기는 보통 0.1mm로 알려져 있다. 가시성의 컨텐츠는 의미를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0.1mm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사람들은 인쇄물(10)에 인쇄되어 있는 가시성의 컨텐츠를 보면서 해당 인쇄물(10)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Visually recognized (visible) content may be printed on the printed material 10. Visible content may include text or illustrations, for example. In addition, content that an average person can recognize with his or her eyes can be defined as visible content. The smallest size that the human eye can see is usually known to be 0.1 mm. Because the visible content is in a meaningful shape, it can actually have a size larger than 0.1 mm. People can understand the intention of the printed matter 10 by looking at the visible content printed on the printed matter 10.

인쇄물(10)에는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비가시성의) 크기로 도트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비가시성의 도트이미지는 가시성의 컨텐츠와 같은 영역에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들은 가시성의 컨텐츠만 인식하고 비가시성의 도트이미지는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A dot image may be printed on the printed material 10 in a size that is not visually recognized (invisible). The invisible dot image may be printed in the same area as the visible content. For this reason, users may only recognize visible content and not recognize invisible dot images.

도트이미지는 다양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패턴은 하나의 도트코드와 매칭될 수 있다. 패턴은 도트이미지에 속에 배치되는 도트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도트이미지에는 도트가 특정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도트의 위치를 패턴으로 볼 수 있다. 도트이미지는 복수의 도트셀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도트셀이 2진수 혹은 4진수의 숫자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트셀에서 도트가 좌상단에 위치하면 0, 우상단에 위치하면 1, 좌하단에 위치하면 2, 우하단에 위치하면 3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도트셀들이 도트이미지를 구성할 때, 도트이미지는 0~65535의 도트코드에 매칭될 수 있고, 그보다 더 큰 수의 도트코드에 매칭될 수 있다.Dot images can form various patterns. And, the pattern can be matched with one dot code. The pattern can be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dots placed in the dot image. In a dot image, dots may be placed in specific positions, and the positions of these dots can be viewed as patterns. A dot image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dot cells, and each dot cell may represent a binary or quaternary number. For example, in a dot cell, a dot can be interpreted as 0 if it is located in the upper left corner, 1 if it is located in the upper right corner, 2 if it is located in the lower left corner, and 3 if it is located in the lower right corner. When these dot cells form a dot image, the dot image can be matched to a dot code from 0 to 65535, and can be matched to a larger number of dot codes.

전자펜(110)은 인쇄물(10)에 인쇄되어 있는 도트이미지를 촬영하고 도트이미지의 패턴을 분석하여 도트이미지에 대응되는 도트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펜(110)은 확인된 도트코드에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electronic pen 110 can capture the dot image printed on the printed matter 10 and analyze the pattern of the dot image to check the dot code corresponding to the dot image. And, the electronic pen 110 can perform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dot code.

전자펜(110)은 특정 코드를 특정 조작에 매칭시켜 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트코드가 A인 경우, 전자펜(110)은 컨텐츠A의 음원파일을 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수 있고, 도트코드가 B인 경우, 전자펜(110)은 컨텐츠B의 음원파일을 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전자펜(110)은 도트코드에 따라 알파벳이나 문자를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고, 음성을 녹음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electronic pen 110 can match a specific code to a specific operation. For example, if the dot code is A, the electronic pen 110 can play the sound source file of content A through the speaker, and if the dot code is B, the electronic pen 110 can play the sound source file of content B through the speaker. You can play it through . In addition, the electronic pen 110 may perform an operation to recognize alphabets or letters according to a dot code, and may also perform an operation to record a voice.

이러한 매칭 규칙은 사전에 정의되어 전자펜(110)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자펜(110)을 인쇄물(10)에 접촉시키기만 하면, 전자펜(110)은 인쇄물(10)에 표시된 가시성의 컨텐츠를 음원파일로 재생시켜주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se matching rules may be defined in advance and stored inside the electronic pen 110. Accordingly, when the user simply touches the electronic pen 110 to the printed matter 10, the electronic pen 110 can perform the operation of playing back the visible content displayed on the printed matter 10 as a sound source file. will be.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전자펜(110)은 사용자가 전자펜(110)에 인식시킨 도트코드들을 시간값과 함께 로그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물(10)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된 책자이고, 사용자가 전자펜(110)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각 페이지를 읽었다면, 전자펜(110)은 각 페이지에 해당되는 도트코드와 함께 각 페이지에 전자펜(110)을 접촉시킨 시간값을 로그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nic pen 110 may store the dot codes recognized by the user on the electronic pen 110 together with the time value as log data. For example, if the printed material 10 is a bookle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ges, and the user reads each page sequentially using the electronic pen 110, the electronic pen 110 reads each page along with a dot code corresponding to each page. The time value for which the electronic pen 110 is in contact with each page can be stored as log data.

로그데이터에는 도트코드와 시간값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시간값은 도트코드가 인식되는 순간의 시간값일 수 있고, 로그데이터가 저장되는 순간의 시간값일 수 있다. 도트코드가 인식되고 로그데이터를 저장할 때까지의 시간은 전자펜(110)이 하나의 도트코드를 인식하고 다음의 도트코드를 인식할 때까지의 시간보다 상당히 짧을 수 있다.Log data may include dot codes and time values. Here, the time value may be the time value at the moment the dot code is recognized, or it may be the time value at the moment the log data is saved. The time from when a dot code is recognized to when log data is stored may be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e time from when the electronic pen 110 recognizes one dot code to the next dot code.

전자펜(110)은 저장된 로그데이터를 정기적으로 혹은 비정기적으로 서버(120)로 송신할 수 있다.The electronic pen 110 can transmit stored log data to the server 120 regularly or irregularly.

전자펜(110)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서버(120)와 통신연결될 수 있다. 휴대의 편리성을 고려할 때, 전자펜(110)은 무선연결을 통해 네트워크(20)에 연결될 수 있으나, 비정기적인 송신을 고려하면 유선연결을 통해 서버(120)와 연결될 수도 있다.The electronic pen 11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120 through the network 20. Considering portability, the electronic pen 110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20 through a wireless connection, but considering irregular transmission, it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120 through a wired connection.

서버(120)는 전자펜(110)으로부터 수신되는 로그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20)는 전자펜(110)에 대한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에 대한 학습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rver 120 may generate learning data using log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110. The server 120 may recognize the user of the electronic pen 110 and generate learning data for the user.

전자펜(110)은 특정 사용자에게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전자펜(110)은 하나의 식별자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식별자는 일반적으로 통신장치에 부여되는 통신주소일 수 있다. 전자펜(110)의 식별자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The electronic pen 110 may be matched to a specific user. The electronic pen 110 may have one identifier, and this identifier may be a communication address generally assigned to a communication device. The identifier of the electronic pen 110 may be matched to the user's ID.

서버(120)는 전자펜(11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로그데이터를 생성하고 있는 사용자를 인식할 수도 있고, 전자펜(110)의 식별자와 매칭되어 있는 사용자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로그데이터를 생성하고 있는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후자의 예시에서, 네트워크(20)에 포함된 일 구성이 전자펜(110)의 식별자를 사용자의 아이디로 변환한 후 서버(120)로 송신할 수 있다.The server 120 may recognize the user who is generating log data using the identifier of the electronic pen 110, and generate log data using the user ID that matches the identifier of the electronic pen 110. Users can be recognized. In the latter example, a component included in the network 20 may convert the identifier of the electronic pen 110 into a user ID and transmit it to the server 120.

서버(120)는 로그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학습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20)는 로그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책자를 어느 정도 읽었는지 나타내는 독서율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20)는 로그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책자를 어느 정도 정확하게 읽었는지 나타내는 정독률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20)는 전집으로 구성된 복수의 책자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읽었는지 나타내는 전집독서율을 산출할 수 있다.The server 120 can generate various learning data using log data. The server 120 can use log data to calculate a reading rate indicating how much one booklet has been read. Additionally, the server 120 can use log data to calculate a reading rate that indicates how accurately one booklet has been read. In addition, the server 120 can calculate a complete reading rate indicating the extent to which a plurality of books consisting of complete books have been read.

서버(120)는 복수의 전자펜(110)으로부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로그데이터를 수집하여 통계적인 학습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20)는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학습데이터에 대한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서버(120)는 생물학적 특성 중 하나인 연령별로 학습데이터에 대한 통계를 산출할 수 있고, 성별로 학습데이터에 대한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서버(120)는 환경적 특성에 따라 학습데이터에 대한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서버(120)는 환경적 특성 중 하나인 지역별로 학습데이터에 대한 통계를 산출할 수 있고, 형제 유무 등의 집안 환경별로 학습데이터에 대한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The server 120 can collect log data for a plurality of users from a plurality of electronic pens 110 and calculate statistical learning data. For example, the server 120 may calculate statistics on learning data according to b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erver 120 can calculate statistics on learning data by age, which is one of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an calculate statistics on learning data by gender. As another example, the server 120 may calculate statistics on learning data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server 120 can calculate statistics on learning data by region, which is one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can calculate statistics on learning data by household environment, such as presence or absence of siblings.

서버(120)는 이러한 통계데이터의 산출을 위해 각 사용자에 대한 생물학적 특성 혹은 환경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서버(120)는 사용자의 아이디 생성 단계에서 사용자에 대한 생물학적 특성 혹은 환경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이후의 어느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면서 이러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server 120 may collect information about biological characteristics 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each user to calculate such statistical data. The server 120 may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user's biological 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t the user's ID creation stage, and may collect such information while providing a reward to the user at a later stage.

서버(120)는 로그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학습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20)는 로그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페이지에 체류하는 시간을 계산하고 그 체류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학습 집중력을 분석할 수 있고, 독서에 대한 학습태도를 분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서버(120)는 로그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성격까지 분석할 수 있으며, 정신학적 문제의 소지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서버(120)는 로그데이터 뿐만 아니라 도트코드를 통해 확인되는 컨텐츠의 내용도 함께 분석할 수 있다.The server 120 can analyze the user's learning characteristics using log data. For example, the server 120 can use log data to calculate the time spent on each page and use the stay time to analyze the user's learning concentration and study attitude toward reading. Furthermore, the server 120 can use log data to analyze the user's personality and the possibility of psychological problems. At this time, the server 120 can analyze not only the log data but also the contents of the content confirmed through the dot code.

서버(120)의 분석결과는 UI장치(13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출될 수 있다.The analysis results of the server 120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through the UI device 130.

UI장치(13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서버(120)와 통신연결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고 있어서, 서버(1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UI장치(130)는 중계기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The UI device 130 can be connected to the server 120 through the network 20 and includes a display device, so tha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120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UI device 130 may also perform the function of a repeater.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20)는 통신부(1210), 저장부(1220) 및 분석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erver 12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210, a storage unit 1220, and an analysis unit 1230.

통신부(1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펜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210)는 전자펜으로부터 도트코드를 시간값과 함께 기록한 로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10 can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pen through a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1210 can receive log data in which a dot code is recorded along with a time value from the electronic pen.

통신부(1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전자펜들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210)는 다수의 전자펜들로부터 수신되는 로그데이터들을 분석하여 학습데이터의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10 can communicate with multiple electronic pens through a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1210 can calculate statistics on learning data by analyzing log data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electronic pens.

통신부(1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UI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210)는 로그데이터들에 대한 분석결과를 UI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10 can communicate with the UI device through a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1210 may transmit analysis results of log data to the UI device.

저장부(1220)는 전자펜들로부터 수신되는 로그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20)는 로그데이터들을 사용자들의 식별자별로 저장할 수 있다. 로그데이터마다 전자펜의 식별자가 붙어서 수신되거나 사용자의 식별자가 붙어서 수신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20 can store log data received from electronic pens. The storage unit 1220 may store log data for each user's identifier. Each log data may be received with the identifier of the electronic pen attached or may be received with the user's identifier attached.

분석부(1230)는 로그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학습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서버(120)는 분석기능으로 설명하는 내용은 다른 언급이 없는 경우 분석부(123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230 may analyze log data to generate user learning data. Hereinafter, the content described as the analysis function of the server 120 can be understood as being performed by the analysis unit 1230 unless otherwise specified.

서버(120)에서의 분석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분석대상이 되는 로그데이터의 생성 과정 및 로그데이터의 형태에 대해 먼저 살펴본다.In order to understand the analysis function in the server 120, we will first look at the creation process of log data subject to analysis and the form of log data.

도 3은 일 실시예에서 로그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log data is generated in one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각 페이지의 내용을 음성으로 재생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the user can play back the contents of each page in voice using an electronic pen.

인쇄물의 각 페이지에는 서로 다른 도트이미지가 인쇄되어 있고, 전자펜은 서로 다른 도트이미지를 서로 다른 도트코드로 변환하여 인식할 수 있다.Different dot images are printed on each page of the printed matter, and the electronic pen can recognize the different dot images by converting them into different dot codes.

사용자가 전자펜을 각 페이지에 접촉시키는 시간은 물리적으로 서로 다를 수 밖에 없는데, 전자펜은 이러한 시간을 도트코드와 함께 로그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The time the user touches the electronic pen to each page is bound to be physically different, and the electronic pen can store this time as log data along with the dot code.

예를 들어, 사용자는 1페이지를 2022년5월1일 10시13분2초에 음성으로 재생시켰고, 2페이지를 2022년5월1일 10시15분17초에 음성으로 재생시켰는데, 전자펜은 재생시킨 페이지의 도트코드와 시간을 로그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played page 1 with voice at 10:13:02 on May 1, 2022, and page 2 with voice at 10:15:17 on May 1, 2022. The pen can save the dot code and time of the reproduced page as log data.

도 4는 일 실시예에서 로그데이터의 저장 형태를 나타내는 일 예시 도면이다.Figure 4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torage form of log data in one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전자펜은 메모리에 도트코드 히스토리 테이블을 형성시키고 이러한 테이블에 도트코드와 함께 시간값을 순차적으로 저장시킬 수 있는데, 이때, 테이블의 각 행이 로그데이터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electronic pen can create a dot code history table in the memory and sequentially store time values along with the dot code in this table. At this time, each row of the table can be log data.

전자펜에 저장된 로그데이터는 정기적으로 혹은 비정기적으로 서버로 송신될 수 있고, 서버는 수신되는 로그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학습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Log data stored in the electronic pen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regularly or irregularly, and the server can analyze the received log data to generate learning data for the user.

로그데이터에는 여러 가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우선, 도트코드에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도트코드 그 자체에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는 않으나, 서버는 도트코드를 통해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로그데이터에는 시간값이 포함되어 있는데, 서버는 시간값을 이용하여 각 페이지에 대한 체류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시간값의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Log data contains various information. First, the dot code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lthough the dot code itself does not contain information, the server can check the contents of the content through the dot code. Log data includes time values, and the server can use the time values to check the stay time for each page and check the patterns of time values.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분석부에서 학습데이터를 생성하는 세부 구성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learning data in the analysis unit of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분석부(1230)는 컨텐츠분석부(1510), 컨텐츠DB(1512), 시간분석부(1520) 및 학습분석부(15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nalysis unit 1230 may include a content analysis unit 1510, a content DB 1512, a time analysis unit 1520, and a learning analysis unit 1530.

컨텐츠분석부(1510)는 도트코드에 대한 컨텐츠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 컨텐츠분석부(1510)는 도트코드가 확인되면 도트코드를 컨텐츠DB(1512)에 대입시켜 컨텐츠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The content analysis unit 1510 can analyze the content of the dot code. Once the dot code is confirmed, the content analysis unit 1510 can confirm the content by substituting the dot code into the content DB 1512.

컨텐츠내용은 컨텐츠제목, 컨텐츠분류값, 컨텐츠언어값, 컨텐츠대상연령값, 컨텐츠출판사값, 컨텐츠가 속한 상위 그룹-예를 들어, 전집-값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컨텐츠난이도, 컨텐츠길이 등의 컨텐츠특성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Content content may include content title, content classification value, content language value, content target age value, content publisher value, upper group to which the content belongs (e.g., collection-value, etc.), content difficulty, content length, etc. Additional content characteristic values may be included.

컨텐츠분석부(1510)는 도트코드를 통해 컨텐츠내용을 확인하고 컨텐츠분석값을 생성하여 학습분석부(1530)로 전달할 수 있다.The content analysis unit 1510 can check the content through the dot code, generate a content analysis value, and transmit it to the learning analysis unit 1530.

시간분석부(1520)는 로그데이터의 시간값을 분석할 수 있다.The time analysis unit 1520 can analyze the time value of log data.

시간분석부(1520)는 시간값 그 자체, 그리고, 전시간과 후시간의 차이에 해당되는 시간차값 등을 포함하는 시간분석값을 생성하여 학습분석부(1530)로 전달할 수 있다.The time analysis unit 1520 may generate a time analysis value including the time value itself and a time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time and the later time, and transmit it to the learning analysis unit 1530.

그리고, 학습분석부(1530)는 컨텐츠분석값과 시간분석값을 조합하여 학습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earning analysis unit 1530 can generate learning data by combining content analysis values and time analysis values.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분석부에서 통계데이터를 생성하는 세부 구성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statistical data in an analysis unit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분석부(1230)는 통계분석부(1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analysis unit 1230 may further include a statistical analysis unit 1610.

서버는 다수의 전자펜으로부터 로그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고, 로그데이터들을 분석하여 통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rver can receive log data from multiple electronic pens and analyze the log data to generate statistical data.

통계분석부(1610)는 학습분석부(1530)로부터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학습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통계분석부(1610)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statistical analysis unit 1610 may receive learning data for multiple users from the learning analysis unit 1530. Additionally, the statistical analysis unit 1610 can generate statistical data using learning data for multiple users.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데이터 분석 화면의 제1예시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xample of a learning data analysis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서버는 하나의 인쇄물에 대한 독서율을 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erver can calculate the reading rate for one printed matter.

서버는 도트코드를 통해 도트코드가 속하는 하나의 인쇄물-예를 들어, 책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해당 인쇄물이 다수의 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총 페이지에 대한 총 도트코드들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총 도트코드들의 수에 대하여 로그데이터로 수신되는 도트코드의 수의 비율로 해당 인쇄물에 대한 독서율을 산출할 수 있다.The server can use the dot code to identify a printed matter - for example, a booklet - to which the dot code belongs. Additionally, the server can confirm that the printed matter consists of multiple pages and check the total number of dot codes for the total pages. Additionally, the server can calculate the reading rate for the printed matter as a ratio of the number of dot codes received as log data to the total number of dot codes.

서버-서버의 저장부-는 사용자들의 생물학적 혹은 환경적 특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특성값들을 더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일 사용자의 학습데이터를 생물학적 특성이 유사한 사용자들 혹은 환경적 특성이 유사한 사용자들과 비교한 유사집단 비교분석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The server - the storage unit of the server - may further store user characteristic values representing biological 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users. Additionally, the server can calculate similar group comparative analysis data by comparing one user's learning data with users with similar biological characteristics or with users with simila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버는 책을 읽은 전체 사용자들 중에서 독서율을 비교할 수도 있고, 연령-생물학적 특성 중 하나의 예시인 연령-이 동일한 사용자들 중에서 독서율을 비교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server may compare reading rates among all users who have read books, or it may compare reading rates among users with the same age, which is an example of a biological characteristic.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데이터 분석 화면의 제2예시 도면이다.Figure 8 is a second example diagram of a learning data analysis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서버는 사용자들의 생물학적 혹은 환경적 특성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특성이 유사한 사용자들 혹은 환경적 특성이 유사한 사용자들의 학습데이터를 통계분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server can use the biological 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users to statistically analyze learning data of users with similar biological characteristics or users with simila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서버는 일 사용자에 대하여, 연속하여 수신되는 로그데이터의 시간 간격으로 각 페이지에서의 체류 시간을 추정하고 체류 시간을 이용하여 일 사용자의 책자에 대한 정독률을 산출할 수 있는데, 도 8에 도시된 도면은 생물학적 특성-예, 연령- 및 환경적 특성-예, 지역-에 따라 정독률 상위 책자를 나열한 것이다.For one user, the server can estimate the residence time on each page based on the time interval of continuously received log data, and use the residence time to calculate the reading rate of the booklet for each user, as shown in Figure 8. The diagram lists the books with the highest reading rates according to biological characteristics (e.g., age)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e.g., region).

사용자는 이러한 통계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책자를 선택할 수 있고, 출판사는 이러한 통계데이터를 이용하여 마케팅 대상을 구체화할 수 있다.Users can use this statistical data to select a booklet that is suitable for them, and publishers can use this statistical data to specify marketing targets.

이상에서 서버를 중심으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는데,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자펜 및 그 주변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In the above, an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focusing on the server, and below,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en and its peripheral devices will be described to help understand the embodiment.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Figure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netw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네트워크(20)는 중계기(22)와 네트워크장치(2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network 20 may include a repeater 22 and a network device 24.

중계기(22)는 전자펜과 무선연결될 수 있다. 무선연결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연결일 수 있고, 와이파이 연결일 수 있다. 중계기(22)는 무선연결을 통해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한 로그데이터를 네트워크장치(24)를 통해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The repeater 22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en. The wireless connection may be, for example, a Bluetooth connection or a Wi-Fi connection. The repeater 22 can transmit log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to the server through the network device 24 through a wireless connection.

중계기(22)는 전자펜으로 시간동기화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펜은 이러한 시간동기화정보를 이용하여 시간을 동기화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는 중계기(22) 시간과의 동기화를 나타내거나 서버 시간과의 동기화를 나타낼 수 있다.The repeater 22 can transmit tim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using an electronic pen. And, the electronic pen can synchronize time using this tim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Here, synchronization may refer to synchronization with the repeater 22 time or synchronization with the server time.

중계기(22)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수신기와 같이 표준화된 시간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기(22)는 이러한 표준화된 시간을 시간동기화정보에 포함시켜 전자펜으로 송신할 수 있다.The repeater 22 may include a device capable of receiving standardized time, such a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receiver. And, the repeater 22 can include this standardized time in tim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electronic pen.

전자펜은 내부에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펜은 중계기(22)와 통신하지 않을 때, 내부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으며, 중계기(22)로부터 시간동기화정보를 수신하면 내부의 타이머를 시간동기화정보에 포함된 시간으로 리셋하거나 해당 시간으로 보상할 수 있다.The electronic pen may include a timer inside. When the electronic pen is not communicating with the repeater 22, it can count time using an internal timer, and when it receives tim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from the repeater 22, it resets the internal timer to the time included in the tim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Or you can compensate for that time.

중계기(22)는 UI장치의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The repeater 22 may further perform the function of a UI device.

중계기(22)는 UI장치로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고 서버와 통신할 때, 사용자 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The repeater 22 is a UI device that manages user information and can transmit user information to the server when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중계기(22)는 로그데이터의 출처를 표시하기 위해 전자펜의 식별자-예를 들어, 통신주소-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고, 전자펜의 식별자에 매칭되어 있는 사용자 아이디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The repeater 22 can transmit the identifier of the electronic pen - for example, a communication address - to the server to indicate the source of the log data, and can transmit the user ID matching the identifier of the electronic pen to the server. .

중계기(22)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중계기(22)는 사용자 아이디, 사용자 비밀번호, 사용자의 생물학적 정보, 사용자의 환경적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중계기(22)는 자체 메모리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서버에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통신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다.The repeater 22 can manage user information. The repeater 22 can manage user ID, user password, user's biological information, user's environmental information, etc. The repeater 22 can manage user information through its own memory, store user information on a server, and receive and manage user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중계기(22)는 정기적으로 혹은 비정기적으로 전자펜과 연결되면서 전자펜으로부터 로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중계기(22)가 비정기적으로 전자펜과 연결되는 경우, 전자펜은 내부 메모리를 관리하기 위해 누적된 로그데이터가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알람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repeater 22 can regularly or irregularly connect to the electronic pen and receive log data from the electronic pen. When the repeater 22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en irregularly, the electronic pen may generate an alarm signal when accumulated log data exceeds a certain standard to manage the internal memory.

전자펜은 누적되는 로그데이터들에 대하여 서버로의 송신여부를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펜은 중계기(22)와 통신연결되면 송신되지 않은 로그데이터들을 중계기(22)로 송신할 수 있다.The electronic pen can record whether accumulated log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lso, when the electronic pen is connected to communication with the repeater 22, it can transmit untransmitted log data to the repeater 22.

전자펜은 누적되는 로그데이터들 중 송신되지 않은 로그데이터들의 양이 일정 기준양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펜은 로그데이터의 미송신 기간이 일정 기준기간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electronic pen can generate an alarm signal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when the amount of log data that has not been transmitted among the accumulated log data exceeds a certain standard amount. Additionally, when the period of non-transmission of log data exceeds a certain standard period, the electronic pen can generate an alarm signal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중계기(22)는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싱칩과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형태적으로 볼 때, 중계기(22)는 노트북 등의 개인용 컴퓨터일 수 있고,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단말기일 수 있다. 이외에 중계기(22)는 인공지능스피커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The repeater 22 may include a processing chip and a display device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In terms of form, the repeater 22 may be a personal computer such as a laptop or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In addition, the repeater 22 may have a form such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의 도트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 dot image of a printed produ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인쇄물(10)은 책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책자는 다수의 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printed matter 10 may have the form of a booklet. Also, the booklet may consist of multiple pages.

각 페이지에는 서로 다른 패턴의 도트이미지(10-1)들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도트이미지(10-1)에는 격자셀의 모양을 가지는 도트셀(10-2)이 복수 개 포함될 수 있다.Dot images 10-1 of different patterns may be printed on each page. Additionally, the dot image 10-1 may include a plurality of dot cells 10-2 having the shape of a grid cell.

각 도트셀(10-2)에는 도트가 배치되는데, 각 도트셀(10-2)에서의 도트의 위치에 따라 각 도트셀(10-2)의 코드값이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Dots are arranged in each dot cell 10-2, and the code value of each dot cell 10-2 may b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ot in each dot cell 10-2.

그리고, 전자펜은 이러한 도트이미지(10-1)에서 각 도트셀(10-2)의 코드값을 이용하여 도트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And, the electronic pen can generate a dot code using the code value of each dot cell 10-2 in the dot image 10-1.

전자펜은 도트이미지(10-1)에 대응되는 도트코드를 확인한 후에 메모리에 저장된 도트코드 데이터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도트코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After checking the dot code corresponding to the dot image 10-1, the electronic pen can check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each dot code using the dot code data mapping table stored in the memory.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트코드 데이터 매핑 테이블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ot code data mapp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도트코드 데이터 매핑 테이블에서 도트코드 1205625는 컨텐츠데이터 #64329_625에 대응되고, 도트코드 1205628은 컨텐츠데이터 #64329_628에 대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n the dot code data mapping table, dot code 1205625 may correspond to content data #64329_625, and dot code 1205628 may correspond to content data #64329_628.

도트코드 데이터 매핑 테이블에는 컨텐츠데이터의 메모리주소값이 저장될 수 있다. 전자펜은 도트코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데이터의 메모리주소값을 확인하고, 해당 메모리주소값에 있는 컨텐츠데이터를 스피커 등을 통해 재생시킬 수 있다.The memory address value of content data may be stored in the dot code data mapping table. The electronic pen can check the memory address value of the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dot code and play the content data at the corresponding memory address value through a speaker, etc.

도트코드가 인식될 때마다 전자펜은 도트코드와 시간값을 로그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Whenever a dot code is recognized, the electronic pen can save the dot code and time value as log data.

이상에서 설명한 전자펜과 서버에서의 동작에 의해 창출되는 학습데이터는 UI장치에 의해 사용자에게 표출될 수 있다.The learning data created by the operations on the electronic pen and server described above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by the UI device.

도 12a 내지 도 1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UI장치에서의 분석결과화면의 제1예시 도면이다.12A to 12C are diagrams showing a first example of an analysis result screen in a UI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UI장치는 달력을 표시하고, 달력에 읽은 책을 표시할 수 있다. 읽은 책은 일별로 집계될 수 있고, 월별로 집계될 수 있고, 년별로 집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2A to 12C, the UI device can display a calendar and display a read book on the calendar. Books read can be tallied by day, by month, or by year.

UI장치가 표시하는 값들은 서버에 의해 분석된 값으로, 서버는 일별/월별/년별로 사용자가 전자펜을 이용하여 읽은 책을 집계할 수 있다. 집계는 UI장치의 쿼리가 송신될 때 이루어질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서버에서 집계를 할 수 있다.The values displayed by the UI device are values analyzed by the server, and the server can tally the books the user has read using the electronic pen by day/month/year. Aggregation can be done when a query from a UI device is sent, or it can be done periodically on the server.

달력에서 특정 날짜가 클릭되면 UI장치는 해당 일의 독서정보를 상세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독서정보에서는 책을 읽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고, 책자별로 독서율이 표시될 수 있다.When a specific date is clicked on the calendar, the UI device can display reading information for that day in detail. In reading information, the time spent reading a book can be displayed, and the reading rate can be displayed for each booklet.

UI장치에서 책자가 클릭되면 전체코드수/순간접근수/듣기완료수가 표시될 수 있고, 전체페이지/찍은페이지/읽은페이지 수가 표시될 수 있다. 전체코드수는 전체페이지에 대응되는 도트코드의 수를 나타내고, 순간접근수는 전자펜이 접촉되어 도트코드가 인식된 수로서 찍은페이지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듣기완료수는 전자펜이 접촉된 후 일정 시간 이상 체류된 경우로서 읽은페이지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전자펜을 접촉하였으나 체류시간이 짧아 실제로 읽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은 페이지를 알려줄 수 있다.When a booklet is clicked on a UI device, the total number of codes/number of instantaneous accesses/number of listening completions may be displayed, and the number of total pages/taken pages/read pages may be displayed. The total number of codes represents the number of dot codes corresponding to the entire page, and the instantaneous access number is the number of dot codes recognized by contact with the electronic pen and may correspond to the page taken. In addition, the number of listening completions may correspond to pages read when the electronic pen stay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contact. This information can indicate which pages were touched by the electronic pen but were likely not actually read due to the short dwell time.

도 13a 내지 도 1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UI장치에서의 분석결과화면의 제2예시 도면이다.13A to 13C are diagrams of a second example of an analysis result screen in a UI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UI장치는 서버에서의 각 페이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독률이 높은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정독률이 낮은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UI장치는 각 페이지를 표시할 때, 썸네일을 통해 특정 페이지가 직관적으로 인식되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3A to 13C, the UI device can display pages with a high reading rate and pages with a low reading rate through analysis of each page on the server. And, when the UI device displays each page, it can enable specific pages to be intuitively recognized through thumbnails.

도 14a 및 도 1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UI장치에서의 분석결과화면의 제3예시 도면이다.14A and 14B are diagrams of a third example of an analysis result screen in a UI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UI장치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책에 대한 기본 정보를 표시하고, 책을 읽은 사용자들 사이에서의 통계 혹은 같은 연령대 사용자들 사이에서의 통계값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4a and 14b, the UI device can display basic information about the book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and display statistics among users who have read the book or statistical values among users of the same age group. there is.

도 15a 및 도 1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UI장치에서의 분석결과화면의 제4예시 도면이다.15A and 15B are diagrams of a fourth example of an analysis result screen in a UI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UI장치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각 책자의 독서율을 확인하고 독서율이 일정값 이상인 것에 대해 어워드로서 수료증을 표시해 줄 수 있다. 그리고, UI장치는 전집 등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누적된 수료증의 개수를 표시하여 학습을 독려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5A and 15B, the UI device can check the reading rate of each booklet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and display a certificate of completion as an award for the reading rate exceeding a certain value. Additionally, the UI device can encourage learning by displaying the accumulated number of certificates for compositions such as complete works.

도 16a 내지 도 1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UI장치에서의 분석결과화면의 제5예시 도면이다.16A to 16C are diagrams showing a fifth example of an analysis result screen in a UI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UI장치는 사용자의 전체 소장 도서에서 읽은 책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고, 소장 유무와 무관하게 출판사별로 책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소장하거나 읽은 책의 개수를 표시하여 마케팅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6A to 16C, the UI device can display the number of books read in the user's entire collection of books, display books by publisher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owns them or not, and display the number of books owned or read by the user. It can be used for marketing purpos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직관성과 편리성이 높은 오프라인 장치로서의 전자펜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을 관리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펜이 인식하는 도트이미지를 로그데이터화하고 이러한 로그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의 학습패턴을 분석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ology for managing learning using data generated by an electronic pen as an offline device with high intuitiveness and convenience. An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ology for converting the dot image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pen into log data and analyzing users' learning patterns using this log data.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as us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인쇄물에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크기로 인쇄된 도트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도트이미지의 패턴을 분석하며 상기 패턴에 대응되는 도트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도트코드에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는 전자펜들로부터 상기 도트코드를 시간값과 함께 기록한 로그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로그데이터를 사용자들의 식별자별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로그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학습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
를 포함하는 서버.
The dot image is captured from electronic pens that photograph a dot image printed in a size that is not visually recognizable on the printed matter, analyze the pattern of the dot image, check the dot cod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and perform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dot code.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log data recording a code with a time value;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log data for each user identifier; and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log data and generates user learning data
Server containing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물은 책자이고 상기 책자는 다수의 페이지로 구성되며 각 페이지에는 서로 다른 패턴의 도트이미지들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분석부는 일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도트이미지들에 대응되는 도트코드들 중 상기 로그데이터로 수신되는 도트코드들의 비율로 상기 책자에 대한 독서율을 산출하는 서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inted material is a booklet, and the booklet consists of a plurality of pages, and each page has dot images of different patterns printed on it,
The analysis unit is a server that calculates, for one user, a reading rate for the booklet based on a ratio of dot codes received as the log data among dot codes corresponding to the dot imag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들의 생물학적 혹은 환경적 특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특성값들을 더 저장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일 사용자의 독서율을 상기 생물학적 특성이 유사한 사용자들 혹은 상기 환경적 특성이 유사한 사용자들과 비교한 유사집단 비교분석데이터를 산출하는 서버.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torage unit further stores user characteristic values representing biological 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users,
The analysis unit is a server that calculates similar group comparative analysis data by comparing the reading rate of the user with users with similar biological characteristics or with users with simila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들의 생물학적 혹은 환경적 특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특성값들을 더 저장하고,
상기 생물학적 특성이 유사한 사용자들 혹은 상기 환경적 특성이 유사한 사용자들의 학습데이터를 통계분석하는 서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orage unit further stores user characteristic values representing biological 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users,
A server that performs statistical analysis on learning data of users with similar biological characteristics or users with simila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물은 책자이고 상기 책자는 다수의 페이지로 구성되며 각 페이지에는 서로 다른 패턴의 도트이미지들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분석부는 일 사용자에 대하여, 연속하여 수신되는 상기 로그데이터의 시간 간격으로 각 페이지에서의 체류 시간을 추정하고 상기 체류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일 사용자의 상기 책자에 대한 정독률을 산출하는 서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inted material is a booklet, and the booklet consists of a plurality of pages, and each page has dot images of different patterns printed on it,
The analysis unit estimates a user's stay time on each page based on the time interval of the log data received continuously, and calculates the user's reading rate for the booklet using the stay time.
KR1020220072531A 2022-06-15 2022-06-15 Server for analyzing the user's learning characteristics using log data of electronic pen KR202301721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531A KR20230172116A (en) 2022-06-15 2022-06-15 Server for analyzing the user's learning characteristics using log data of electronic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531A KR20230172116A (en) 2022-06-15 2022-06-15 Server for analyzing the user's learning characteristics using log data of electronic p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116A true KR20230172116A (en) 2023-12-22

Family

ID=8930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531A KR20230172116A (en) 2022-06-15 2022-06-15 Server for analyzing the user's learning characteristics using log data of electronic p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11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rg et al. Accessibility to electronic communication for people with cognitive disabilities: a systematic search and review of empirical evidence
O’Connor et al. A threat to childhood innocence or the future of learning? Parents’ perspectives on the use of touch-screen technology by 0–3 year-olds in the UK
Ng Can we teach digital natives digital literacy?
Walton et al. Information discernment, mis-information and pro-active scepticism
Ogata et al. A new trend of mobile and ubiquitous learning research: towards enhancing ubiquitous learning experiences
Hou Health literacy online: a guide to writing and designing easy-to-use health web sites
Dougherty et al. Hands-on data visualization
Do et al. Designing and developing cell phone applications for qualitative research
Joos et al. Introduction to Computers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Beard University libraries and digital learning environments
Missen et al. Systematic review and usability evaluation of writing mobile apps for children
KR101902552B1 (en) Method for providing reading instructional strategy service to help reader cultivate reading habit
Thompson et al. Factors of digital inclusion among women: Revisiting India and extending to Chile and Australia for additional analysis
Rodríguez-Regueira et al. Analysis of digital textbooks
KR20230172116A (en) Server for analyzing the user's learning characteristics using log data of electronic pen
CN106933443B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electronic book data and electronic book reader
KR20130030088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ersonal score card for personal success
Zilka et al. The digital literacy of students belonging to different sectors and studying on multicultural campuses
WO200101691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onic collaborative education process model
Bennett-Kapusniak Baby boomers and technology: Factors and challenges in utilizing mobile devices
Tintinalli Real textbooks or e-books: What is happening right now?
TW201135481A (en) Annota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book
KR201501129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ing learning contents
Trinder Mobile learning evaluation: the development of tools and techniques for the evaluation of learning exploiting mobile devices through the analysis of automatically collected usage logs-an iterative approach
KR20230172115A (en) Electronic pen in a system that analyzes the user's learning characteristics using log data of the electronic p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