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248A -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 Google Patents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248A
KR20230171248A KR1020220071578A KR20220071578A KR20230171248A KR 20230171248 A KR20230171248 A KR 20230171248A KR 1020220071578 A KR1020220071578 A KR 1020220071578A KR 20220071578 A KR20220071578 A KR 20220071578A KR 20230171248 A KR20230171248 A KR 20230171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ized
cosmetics
functional
gener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진구
심규철
전명원
성시경
박천호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1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1248A/ko
Publication of KR20230171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6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0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 B65C3/08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형 일반 화장품 및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설비에 관한 것으로, 화장품 용기를 이송하는 이송 설비; 하나 이상의 일반 카트리지와 하나 이상의 기능성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카트리지 및 기능성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일반 원료 및 기능성 원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장품 용기에 충전하는 충전 설비; 및 상기 충전된 화장품 용기를 캡핑하여 맞춤형 일반 화장품 또는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생산하는 패키징 설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CUSTOMIZED COSMETICS PRODUCTION FACILITY FOR MANUFACTURING CUSTOMIZED FUNCTIONAL COSMETICS}
본 발명은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맞춤형 일반 화장품 및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설비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개인의 피부 건강을 유지 또는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은 피부의 보습을 유지시킬 수 있다. 기능성분을 추가한 화장품의 사용도 증가되고 있다. 그리고, 화장품은 사용자의 피부 유형에 따라 구분되어 생산되고 있다. 사용자의 피부는 지성, 중성, 건성 등과 같이 구분될 수 있고 이에 적합한 화장품이 생산되고 있다. 최근 들어, 오존층 파괴, 대기오염 등과 같은 환경오염 및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의 손상이 점차 증가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피부 유형에 적합한 화장품을 선택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시중에 판매되는 대부분의 화장품들은 화장품 공장에서 대량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대량 생산법은 각각의 제조 공정을 용이하게 모니터링하여 엄격한 품질관리를 할 수 있으며, 화장품의 품질 문제 발생시 문제 제품의 사후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량 생산법은 소비자의 다양한 구매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대량 생산법은 특정 소비자의 기호나 피부 상태에 최적화된 화장품을 제공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고객 맞춤형 화장품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하나 이상의 일반 카트리지와 하나 이상의 기능성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충전 설비를 이용하여 맞춤형 일반 화장품 및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장품 용기를 이송하는 이송 설비; 하나 이상의 일반 카트리지와 하나 이상의 기능성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카트리지 및 기능성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일반 원료 및 기능성 원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장품 용기에 충전하는 충전 설비; 및 상기 충전된 화장품 용기를 캡핑하여 맞춤형 일반 화장품 또는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생산하는 패키징 설비를 포함하는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를 제공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는, 소비자의 주문 요청 접수 시, 해당 소비자의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일반 화장품 또는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충진 정보를 생성하는 전처리 설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설비는 충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라벨을 화장품 용기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 설비는 화장품 용기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코드 인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코드는 QR 코드, 마이크로 QR 코드, 데이터 매트릭스 및 1D 바코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진 정보는 맞춤형 일반 화장품을 구성하는 일반 원료들의 배합비 및 토출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진 정보는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구성하는 일반 원료들 및 기능성 원료들의 배합비 및 토출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 카트리지는 사용감 베이스, 효능 베이스, 향료 베이스, 점증 베이스 및 버퍼 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충전기들과, 상기 복수의 충전기들을 지지하는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성 카트리지는 기능 베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충전기들과,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기들을 지지하는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충전기는 화장품 원료를 보관하는 호퍼와, 화장품 원료를 화장품 용기에 주입하는 노즐과, 상기 호퍼와 노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노즐에서 배출되는 원료의 토출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일반 카트리지와 하나 이상의 기능성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충전 설비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충전 설비로 맞춤형 일반 화장품 및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판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판매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설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충전 설비에 포함된 카트리지의 형상을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4의 카트리지에 포함된 충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일반 카트리지와 하나 이상의 기능성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충전 설비를 이용하여 맞춤형 일반 화장품 및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를 제안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맞춤형 화장품은 기능성 원료의 포함 여부에 따라 '맞춤형 일반 화장품'과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카트리지는 일반 (화장품) 원료가 보관된 충전기들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지칭하고, 기능성 카트리지는 기능성 (화장품) 원료가 보관된 충전기들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판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판매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웹 서버(120), 제조사 서버(130),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140) 및 통신망(15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과 웹 서버(120)와 제조사 서버(130)는 통신망(15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망(150)은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150)은 공지의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150)은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웹 서버(120)에 접속하여 웹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10)은 웹 서버(120)로부터 웹 페이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웹 페이지는 일반 화장품 및/또는 맞춤형 화장품을 판매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 페이지는 설문 응답을 통해 소비자의 문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사용자(즉, 소비자)는 이러한 웹 페이지를 통해 일반 화장품 및/또는 맞춤형 화장품을 구입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사용자는 웹 페이지를 통해 개인 정보, 설문 응답 정보 및 제품 구매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설문 응답 정보에는 맞춤형 화장품의 기능성 추가 여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 즉 단말 사용자의 개인 정보, 설문 응답 정보 및 제품 구매 정보 등을 웹 서버(12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웹 서버(120)는 화장품 판매와 관련된 웹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웹 서버(120)는 일반 화장품 및/또는 맞춤형 화장품을 판매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웹 서버(120)는 단말 사용자의 개인 정보, 설문 응답 정보, 제품 구매 정보, 결제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웹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웹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획득된 제품 구매 정보 및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사용자의 주문 정보 및 송장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웹 서버(120)는 단말 사용자의 설문 응답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사용자의 문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진 정보는 단말 사용자의 취향, 건강상태, 피부상태, 기능성 추가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웹 서버(120)는 단말 사용자의 문진 정보, 주문 정보 및 송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제조사 서버(13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조사 서버(130)는 웹 서버(12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웹 서버(120)에서 단말 사용자의 문진 정보, 주문 정보 및 송장 정보 등을 생성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제조사 서버(130)에서 단말 사용자의 문진 정보, 주문 정보 및 송장 정보 등을 생성할 수도 있다.
제조사 서버(130)는 단말 사용자의 문진 정보, 주문 정보 및 송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14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화장품 판매사에서 운영하는 서버(즉, 웹 서버)와 화장품 제조사에서 운영하는 서버(즉, 제조사 서버)가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화장품 제조사와 화장품 판매사가 동일한 경우, 웹 서버와 제조사 서버가 하나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140)는 제조사 서버(130)로부터 획득된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사용자의 취향 및/또는 피부상태에 맞는 화장품, 즉 맞춤형 화장품을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다.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140)는 제조사 서버(130)로부터 획득된 단말 사용자의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충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충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가령, QR 코드, 마이크로 QR 코드, 데이터 매트릭스 등의 2D 바코드와 일반 1D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진 정보는 맞춤형 일반 화장품을 구성하는 원료들의 배합비 및 토출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 정보는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구성하는 일반 원료들 및 기능성 원료들의 배합비 및 토출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140)는 단말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 또는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라벨을 화장품 용기에 부착하고, 상기 부착된 식별코드에 포함된 충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맞춤형 화장품을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다.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140)는 일반 카트리지 및 기능성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하나의 충전 설비를 이용하여 맞춤형 일반 화장품 및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판매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웹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S210). 여기서, 상기 웹 사이트는 화장품 제조사 또는 화장품 판매사에서 운용하는 화장품 판매 사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웹 사이트로부터 웹 페이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된 웹 페이지를 통해 일반 화장품 및/또는 맞춤형 화장품을 구입할 수 있다.
단말 사용자가 맞춤형 화장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경우, 웹 서버(120)는 해당 사용자를 문진하기 위한 설문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문 정보는 단말 사용자의 취향, 건강상태, 피부상태, 기능성 추가 여부 등과 관련된 복수의 설문 문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설문 응답 정보를 웹 서버(120)로 제공할 수 있다. 웹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설문 응답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사용자의 취향, 건강상태, 피부상태, 기능성 추가 여부 등을 포함하는 문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20).
이후, 맞춤형 화장품에 대한 비용이 결제되면, 웹 서버(120)는 해당 맞춤형 화장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접수할 수 있다(S230). 즉, 웹 서버(120)는 단말 사용자의 제품 구매 정보 및 결제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웹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사용자의 주문 정보 및 송장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웹 서버(120)는 단말 사용자의 문진 정보, 주문 정보 및 송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제조사 서버(13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조사 서버(130)는 웹 서버(12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정보를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140)로 제공할 수 있다.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140)는 제조사 서버(130)로부터 획득된 단말 사용자의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충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충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가령, QR 코드, 마이크로 QR 코드, 데이터 매트릭스 등의 2D 바코드와 일반 1D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140)는 해당 단말 사용자의 식별코드 또는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라벨을 화장품 용기에 부착하고, 상기 식별코드에 포함된 충진 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다(S240).
맞춤형 화장품에 대한 제조가 완료되면, 해당 설비(140)에 구비된 품질 테스트 장비 또는 별도의 품질 테스트 장비를 이용하여 맞춤형 화장품에 대한 품질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S250).
품질 테스트를 통과하면, 해당 맞춤형 화장품을 화장품 박스에 포장할 수 있다(S260). 이후, 단말 사용자에 할당된 송장 번호를 화장품 박스에 부착한 후 배송 업체에 전달할 수 있다(S270). 배송 업체는 맞춤형 화장품을 단말 사용자의 주소지로 배송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200)는 전처리 설비(210), 이송 설비(220), 충전 설비(230) 및 패키징 설비(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 설비(210)는 소비자의 화장품 주문 요청을 제조사 서버(130)로부터 접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처리 설비(210)는 소비자의 문진 정보, 주문 정보 및 송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제조사 서버(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문진 정보에는 화장품의 기능성 추가 여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전처리 설비(210)는 단말 사용자의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의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충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진 정보는 맞춤형 일반 화장품을 구성하는 원료들의 배합비 및 토출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 정보는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구성하는 일반 원료들 및 기능성 원료들의 배합비 및 토출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 설비(210)는 소비자의 충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코드는 충진 정보와 함께 송장 정보 및 기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코드로는 QR 코드, 마이크로 QR 코드, 데이터 매트릭스 등의 2D 바코드 또는 일반 1D 바코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QR 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전처리 설비(210)는 소비자의 식별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라벨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라벨을 화장품 용기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라벨에는 해당 소비자의 식별코드 정보와 함께 고객 식별(ID) 정보, 레시피 정보 및 제품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송 설비(220)는 라벨이 부착된 화장품 용기들을 거치하기 위한 복수의 이송 홀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설비(220)는 각각의 이송 홀더에 장착된 화장품 용기를 충전 설비(23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설비(220)로는 대표적으로 컨베이어 벨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충전 설비(230)는 식별코드 인식장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화장품 용기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충전 설비(230)는 상기 식별코드에 포함된 충진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화장품 원료를 화장품 용기에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다.
충전 설비(230)는 하나 이상의 일반 카트리지와 하나 이상의 기능성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일반 원료 및 기능성 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화장품 용기에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설비(230)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패키징 설비(240)는 소비자의 맞춤형 화장품 원료가 충진된 화장품 용기에 화장품 뚜껑(cap)을 캡핑하고, 상기 캡핑된 화장품 용기를 일정 속도 이상으로 회전시켜 화장품 용기에 존재하는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다. 그리고, 패키징 설비(240)는 화장품 용기를 화장품 박스에 넣어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는 하나 이상의 일반 카트리지와 하나 이상의 기능성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충전 설비를 이용하여 맞춤형 일반 화장품 및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설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충전 설비에 포함된 카트리지의 형상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카트리지에 포함된 충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설비(300)는 맞춤형 화장품 원료들을 화장품 용기에 충전하기 위한 복수의 카트리지(310, 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310, 320)는 하나 이상의 일반 카트리지(310)와 하나 이상의 기능성 카트리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310, 320)는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 카트리지(310)는 일반 (화장품) 원료를 충전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기들(311)과,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기들(311)을 지지하는 바디 프레임(3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카트리지(310)는 5-노즐 타입의 카트리지 또는 3-노즐 타입의 카트리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반 카트리지(310)의 충전기들(311)은 사용감 베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충전기들과, 효능 베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충전기들과, 향료 베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충전기들과, 점증 베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충전기들과, 버퍼 베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충전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카트리지(320)는 기능성 (화장품) 원료를 충전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기들(321)과,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기들(321)을 지지하는 바디 프레임(323)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카트리지(310)는 5-노즐 타입의 카트리지 또는 3-노즐 타입의 카트리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기능성 카트리지(320)의 충전기들(321)은 기능 베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충전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충전기(311, 321, 400)는 화장품 원료를 보관하는 호퍼(410)와, 화장품 원료를 화장품 용기에 주입하는 노즐(420)과, 상기 호퍼(410)와 노즐(4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430)와, 상기 노즐(420)에서 배출되는 원료의 토출량을 측정하는 센서(44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충전기(400)는, 제어장치(미도시)의 제어 명령에 따라, 일정 용량의 원료를 화장품 용기에 충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장품 용기에 주입되는 일반 원료 및 기능성 원료의 양은 소비자의 식별코드에 포함된 충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충전 설비(300)는 일반 카트리지(310) 및 기능성 카트리지(320)를 이용하여 맞춤형 일반 화장품 및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은 맞춤형 일반 화장품의 원료에 기능성 원료를 추가한 화장품이다. 일 예로, 일반 샴푸는 사용감 베이스를 제공하는 원료, 효능 베이스를 제공하는 원료, 향 베이스를 제공하는 원료, 점증 베이스를 제공하는 원료, 버퍼 베이스를 제공하는 원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능성 샴푸는 사용감 베이스를 제공하는 원료, 효능 베이스를 제공하는 원료, 향 베이스를 제공하는 원료, 점증 베이스를 제공하는 원료, 버퍼 베이스를 제공하는 원료, 기능 베이스를 제공하는 원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 베이스의 종류로는 탈모 치료용 베이스 또는 비듬 치료용 베이스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충전 설비(300)는 하나 이상의 일반 카트리지(310) 및 기능성 카트리지(320)를 이용하여 일반 원료 및 기능성 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화장품 용기에 충전할 수 있다. 가령, 제조 대상 맞춤형 화장품이 일반 샴푸인 경우, 충전 설비(300)는 A 종류의 일반 원료를 구비하는 복수의 일반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일반 원료를 화장품 용기에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제조 대상 맞춤형 화장품이 기능성 샴푸인 경우, 충전 설비(300)는 A 종류의 일반 원료를 구비하는 복수의 일반 카트리지와 1 종류의 기능성 원료를 보관하는 기능성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일반 원료 및 기능성 원료를 화장품 용기에 충전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충전 설비(300)는 하나 이상의 일반 카트리지와 하나 이상의 기능성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일반 원료 및 기능성 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화장품 용기에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충전 설비(300)는 각각의 화장품 용기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코드 인식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설비는 하나 이상의 일반 카트리지와 하나 이상의 기능성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맞춤형 일반 화장품뿐만 아니라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맞춤형 화장품 판매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20: 웹 서버 130: 제조사 서버
140/200: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150: 통신망
210: 전처리 설비 220: 이송 설비
230/300: 충전 설비 240: 패키징 설비
310: 일반 카트리지 320: 기능성 카트리지
311/321: 충전기 313/323: 바디 프레임

Claims (10)

  1. 화장품 용기를 이송하는 이송 설비;
    하나 이상의 일반 카트리지와 하나 이상의 기능성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카트리지 및 기능성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일반 원료 및 기능성 원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장품 용기에 충전하는 충전 설비; 및
    상기 충전된 화장품 용기를 캡핑하여 맞춤형 일반 화장품 또는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생산하는 패키징 설비를 포함하는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소비자의 주문 요청 접수 시, 해당 소비자의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맞춤형 일반 화장품 또는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충진 정보를 생성하는 전처리 설비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설비는, 상기 충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라벨을 상기 화장품 용기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QR 코드, 마이크로 QR 코드, 데이터 매트릭스 및 1D 바코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정보는, 상기 맞춤형 일반 화장품을 구성하는 일반 원료들의 배합비 및 토출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정보는, 상기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구성하는 일반 원료들 및 기능성 원료들의 배합비 및 토출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설비는 상기 화장품 용기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코드 인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카트리지는, 사용감 베이스, 효능 베이스, 향료 베이스, 점증 베이스 및 버퍼 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충전기들과, 상기 복수의 충전기들을 지지하는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카트리지는, 기능 베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충전기들과,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기들을 지지하는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화장품 원료를 보관하는 호퍼와, 화장품 원료를 화장품 용기에 주입하는 노즐과, 상기 호퍼와 노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노즐에서 배출되는 원료의 토출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KR1020220071578A 2022-06-13 2022-06-13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KR20230171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578A KR20230171248A (ko) 2022-06-13 2022-06-13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578A KR20230171248A (ko) 2022-06-13 2022-06-13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248A true KR20230171248A (ko) 2023-12-20

Family

ID=89377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578A KR20230171248A (ko) 2022-06-13 2022-06-13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12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3307B2 (en) Custom hair dye dispensing system and intermediate bulk container for storing a bulk hair dye
CN103295152A (zh) 商品销售系统及其销售方法
JP2008165505A (ja) 商品購入システム
CN107844929A (zh) 用于包裹出库的方法及系统
CN103119622A (zh) 辅助购买的方法、装置和系统
US202203833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Real Time Configuring, Ordering and Manufacturing Of Color Related Products
CN107392691A (zh) 电商实时拿货一键代发的运营系统以及方法
CN107633393A (zh) 基于二维码的医疗云平台监控系统及方法
US20200279449A1 (en) System for generating a custom hair dye formulation
CN110276660A (zh) 一种配货方法、装置及其系统
KR20230171248A (ko)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KR20230171245A (ko) 다양한 제형의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맞춤형 화장품 생산 설비
CN102265122A (zh) 用以重复填充消费包装的系统和方法
KR20230171524A (ko) 맞춤형 화장품 자동충전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171241A (ko)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17784A (ko)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구매자의 구매 의사 결정 지원 방법및 장치
CN109816380A (zh) 基于二维码与h5技术实现食品药品数字化交付方法及系统
JP741445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Dewi et al. POST-PANDEMIC MSME BUSINESS STRATEGY: DIGITAL MARKETING INNOVATION AND TRANSFORMATION
KR20000064054A (ko) 전자상거래에서의 패키지 상품 할인 판매 방법
KR20130006876A (ko)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별 맞춤형 떡요리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10814A (ko) 식료품 배달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Oh et al. Implementation of product-oriented omni channel technology using multi-modal information
Maulana et al. User Experience Model using Concise User-Centered Design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 E-Commerce
CN107564576A (zh) 基于短信的药品监控系统及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