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076A - System for providing pet walking network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pet walking network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076A
KR20230171076A KR1020220070985A KR20220070985A KR20230171076A KR 20230171076 A KR20230171076 A KR 20230171076A KR 1020220070985 A KR1020220070985 A KR 1020220070985A KR 20220070985 A KR20220070985 A KR 20220070985A KR 20230171076 A KR20230171076 A KR 20230171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user terminal
pet
network service
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9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웅근
지현근
Original Assignee
지웅근
지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웅근, 지현근 filed Critical 지웅근
Priority to KR1020220070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1076A/en
Publication of KR20230171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0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60Healthcare; Welfa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Abstract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반려동물을 등록하고, 산책 이벤트 및 종료 이벤트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을 등록받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에서 산책 이벤트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GPS를 턴 온(Turn On) 시켜 산책량을 모니터링하는 산책량측정부, 종료 이벤트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력된 경우 산책량의 모니터링을 종료하고 산책량을 확정하는 확정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provision system is provided, and a user terminal that registers a pet and inputs walking events and end events, and a register that receives pet registration from the user terminal. When a walking event is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walking amount measurement unit that monitors the amount of walking by turning on the GPS, and a confirmation unit that ends monitoring of the amount of walking and confirms the amount of walking when an end event is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Includes.

Description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PET WALKING NETWORK SERVICE}Pet walking network service provision system {SYSTEM FOR PROVIDING PET WALKING NETWORK SERVICE}

본 발명은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GPS 및 감정을 모니터링하고 산책량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하여 반려동물 용품 및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연계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provides a platform that monitors GPS and emotions using a wearable device and provides points based on the amount of walking to enable use of pet products and services.

반려동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향상되면서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으며 반려동물과 관련된 다양한 융복합 제품 및 서비스 기술이 개발, 활용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IoT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관련 시스템 개발 및 반려동물 관련 제품으로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IoT 기술은 다양한 산업군과의 연계 및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범위가 증가하고 있다. IoT는 대규모의 사물을 IoT 디바이스로 서로 연결하고 이들이 생성하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원활하게 수집하기 위해서 기술이 점차 진화되고 있으며, 데이터의 생성과 수집을 주로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IoT 관련 반려동물 적용 시스템으로는 블루투스나 LoRa 통신 등을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받고,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해 반려동물을 쉽고 편리하게 관리하거나 안심지역 설정 기능, 반려동물 정보 저장 기능, 산책코스 관리 기능, 실시간 위치 추적 기능 등을 IoT 기술로 적용하여 활용하고 있다. As social awareness of companion animals improves, interest in companion animals is also increasing, and various convergence product and service technologies related to companion animals are being developed and utilized. In particular, as IoT-related technology develop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s application to related system development and pet-related products is increasing. IoT technology can be linked and utilized with various industries, so the scope of use is increasing. there is. IoT technology is gradually evolving to connect large-scale objects with IoT devices and smoothly collect the large amounts of data they generate, and is mainly responsible for the creation and collection of data. IoT-related pet application systems include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by applying Bluetooth or LoRa communication, and managing pets easily and conveniently through various functions such as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about pets, or setting a safe area. , pet information storage function, walking course management function, real-time location tracking function, etc. are being utilized by applying IoT technology.

이때, 반려동물 위치추적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산책에 따른 포인트를 제공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341953호(2021년12월22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21-0073963호(2021년06월21일 공개)에는, 사용자 단말의 현위치에서 산책 정보를 제공하고, 반려동물 리워드를 제공하는 구성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반려동물과의 만남을 유도하고 걸음수에 따른 포인트 적립제로 반려동물의 정확한 위치 기반으로 교류기능 및 건강기능을 탑재한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pet location tracking or providing points based on walks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In relation to this, the prior art,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2341953 (announced on December 22, 2021) and Korea Patent No. Publication Patent No. 2021-0073963 (published on June 21, 2021) provides walking information 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provides pet rewards, and encourages encounters with pets located nearby. A point accumulation system based on the number of steps and a configuration equipped with an exchange function and a health function based on the exact location of the pet are disclosed.

다만, 전자의 구성은 산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보험상품을 소개하는 것이 주 목적이고, 후자의 구성도 만남을 유도하고 포인트를 적립한다고 하지만, 반려동물 산책을 하는 것인지 또는 사용자가 혼자 걷거나 자동차를 타고 이동하는지에 대한 구분을 하지 않는다. 최근 많은 반려동물 산책 애플리케이션이 개발 및 공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실제로 산책이 아닌데 산책으로 표시함으로써 포인트를 얻는 어뷰저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GPS에 기반하여 위치만 트래킹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인데, 도보로 걷거나 차를 타고 이동하는 것을 구분하고, 도보로 걷더라도 사람이 혼자 걷는 것인지 또는 산책을 하면서 반려동물이 냄새를 맡고 배변을 보는 등의 패턴이 보이는 것인지를 구분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다. 이에, 반려동물의 산책을 트래킹하여 포인트를 지급하고, 포인트로 반려동물 상품 및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연계하며, IoT 기반으로 산책 중 반려동물의 감정을 감지하여 표시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the main purpose of the former configuration is to introduce insurance products rather than providing walking information, and the latter configuration is also said to encourage encounters and accumulate points, but whether it is for walking a pet or when the user walks alone or by car. There is no distinction as to whether you are traveling by car. Recently, many pet walking applications have been developed, released and used, but the number of abusers who earn points by marking a walk as a walk when it is not actually a walk is increasing. This occurs by tracking only the location based on GPS, distinguishing between walking and moving by car, and even if walking, patterns such as whether a person is walking alone or whether a pet smells or defecates while walking. This problem arises from not distinguishing between what is visible and what is not. According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platform that tracks the pet's walks to provide points, connects the points to use pet products and services, and detects and displays the pet's emotions while walking is based on IoT. It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려동물의 산책을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트래킹하여 포인트를 지급하고, 포인트로 반려동물 상품 및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연계하며, IoT 기반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산책 중 반려동물의 산책량 및 감정을 감지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반려동물 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반려동물의 산책위치를 공유하며, 사람의 움직임이 아닌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트래킹함으로써 사람의 산책을 추적하는 것이 아니라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points by tracking a pet's walk with a wearable device, links the points to use pet products and services, and uses an IoT-based wearable device to track the pet's walk while the pet is walking. It detects and displays physical activity and emotions, shares the pet's walking location to form a network between pets, and tracks the pet's movement rather than the person's movement, rather than tracking the person's walk.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provision system that allows tracking the movement of a companion animal can be provided. However, the technical challenge that this embodiment aims to achieve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려동물을 등록하고, 산책 이벤트 및 종료 이벤트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을 등록받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에서 산책 이벤트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GPS를 턴 온(Turn On) 시켜 산책량을 모니터링하는 산책량측정부, 종료 이벤트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력된 경우 산책량의 모니터링을 종료하고 산책량을 확정하는 확정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that registers a companion animal and enters a walk event and an end event, and a register that receives the companion animal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When a walking event is output, a walking amount measuring unit turns on the GPS of the user terminal to monitor the walking amount, and when an end event is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a walking amount measurement unit ends monitoring of the walking amount and confirms the walking amount. It includes a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confirmation unit.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반려동물의 산책을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트래킹하여 포인트를 지급하고, 포인트로 반려동물 상품 및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연계하며, IoT 기반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산책 중 반려동물의 산책량 및 감정을 감지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반려동물 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반려동물의 산책위치를 공유하며, 사람의 움직임이 아닌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트래킹함으로써 사람의 산책을 추적하는 것이 아니라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one of the above-described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points are paid by tracking a pet's walk with a wearable device, the points are linked to use pet products and services, and an IoT-based wearable device is used to provide points. It detects and displays the pet's walking amount and emotions during a walk, shares the pet's walking location to form a network between pets, and tracks the pet's movement, not the human's movement, Rather than tracking walks, it allows you to track your pet's mov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igure 5 is an operation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to mean at or close to that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us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ecis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assist in preventing unscrupulous infringers from taking unfair advantage of stated disclosures. The term “step of” or “step of”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Additionally,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pieces of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using one piece of hardware. Meanwhile, '~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 par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 par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may be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Additionally, components and 'parts' may be implemented to regenerate one or more CPUs with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may instead be performed o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identifying data of the terminal. It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pet walking network service providing system 1 may includ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However, since the pet walking network service providing system 1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FIG. 1 .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Additionally,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that allow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telephone network,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 network, etc.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nd Wi-Fi. ,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network, NFC (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and even if the term at least one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singular or plural. This should be self-explanatory. In addition, whether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singular or plural form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산책 데이터를 기록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미도시)와 연동되어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부여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포인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반려동물 용품, 상품, 간식, 서비스 등을 구매하거나 이용할 때 결제를 하는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user terminal that records pet walking data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the pet walking network service.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is linked with at least one wearable device (not shown), provides data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to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receives points corresponding thereto. Additionally,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uses points to make payments when purchasing or using pet supplies, products, snacks, services, etc. at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etc. At this tim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It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and tablet PCs.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반려동물 상품 및 서비스를 업로드받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사용자 단말(100)을 경유하여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산책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지급하는 서버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결제 시 이용가능하도록 설정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웨어러블 기기로 감지한 GPS 및 감정을 네트워크 플랫폼 상에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산책 히스토리를 조회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And,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receives companion animal products and services from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In addition,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points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walking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or a wearable device via the user terminal 100, and may provide at least one It may be a server that is set to be available at the time of payment at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dditionally,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outputs GPS and emotions detected by a wearable device on a network platform and allows the user terminal 100 to view the walking history.

여기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etc.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의 단말일 수 있다. 가맹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포인트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경우, 총 결제금액에서 포인트를 제외한 나머지를 결제받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포인트에 대응하는 금액을 정산받거나, 우선 결제는 한 후 이후에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포인트에 대응하는 금액에 대해 정산을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an online or offline terminal that uses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the pet walking network service. When making a payment using points at the user terminal 100,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receives the remaining amount excluding the points from the total payment amount and receives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points from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or makes priority payment. may be a terminal that later requests settlement for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points to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etc. At this tim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It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and tablet PCs.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ure 1, and Figures 3 and 4 illustrate an embodiment of the pet walking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for this purpose.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산책량측정부(320), 확정부(3300, 감정출력부(340), 감정표시부(350), 어뷰징감지부(360), 산책구분부(370), 포인트연계부(380), 트래킹표시부(390), 개물림사고방지부(391) 및 산책교육부(39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registration unit 310, a walking amount measurement unit 320, a confirmation unit 3300, an emotion output unit 340, an emotion display unit 350, and an abuse detection unit ( 360), a walking classification unit 370, a point linking unit 380, a tracking display unit 390, a dog bite accident prevention unit 391, and a walking education unit 39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When transmitting an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transmit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You can install or open it. Additionally, a service program may be run o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a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allows the use of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s and refers to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written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etc. Additionally, an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on a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반려동물을 등록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반려동물을 등록하고, 산책 이벤트 및 종료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2 가지의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산책 히스토리를 기록하는 것이고, 제 2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즉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집된 GPS 및 감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책량 및 감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산책 히스토리를 기록하는 것이다. 제 2 실시예가 본 발명의 메인 실시예이지만, 웨어러블 기기를 구비하기 어려운 사용자나 깜박 잊고 나온 경우 등에는 제 1 실시예로 산책 히스토리를 기록하기 위해 백업 수단으로 이용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registration unit 310 can receive registration of a companion animal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100 can register a companion animal and input a walk event and end even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sist of two embodiments. The first embodiment records a walking history using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second embodiment records a walking history using a wearable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at is, using GPS and emotional data collected from the wearable device. It records walking history including quantitative and emotional data. Although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mai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mbodiment is used as a backup means to record the walking history in cases where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have a wearable device or when they forget to wear it.

산책량측정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산책 이벤트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GPS를 턴 온(Turn On) 시켜 산책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기기에서 GPS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웨어러블 기기의 GPS를 이용하여 산책량을 측정할 수 있다. 강아지의 경우 사람의 걸음 패턴과 다르게 이동이 각 기둥에서 기둥, 예를 들어, A 나무에서 B 나무로, B 나무에서 C 전봇대로, C 전봇대에서 D 기둥으로 옮겨다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람이 일직선으로 걷는다고 가정하면 강아지는 지그재그로 또는 점에서 점으로(Point-to-Point) 이동할 가능성이 있는데, 사람의 GPS를 추적하다보면 정확히 강아지가 얼마나 운동을 했는지 강아지가 어떠한 패턴으로 걸었는지에 대한 추적이 불가하다. 이에 따라, 상술한 제 2 실시예, 즉 웨어러블 기기에 GPS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GPS가 아니라 웨어러블 기기의 GPS를 이용하여 강아지의 산책을 기록하기로 한다. 이때, 사람의 산책과 강아지의 산책을 함께 기록하는 것도 재미있는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만약 사용자 단말(100)을 웨어러블 기기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AP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의 GPS는 사람의 이동경로로, 웨어러블 기기의 GPS는 강아지의 이동경로로 설정하여 이 두 개의 경로를 비교하며 보여주는 것도 가능하다.When a walking event is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walking amount measuring unit 320 may monitor the walking amount by turning on the GPS of the user terminal 100. At this time, if the wearable device further includes GPS, the amount of walking can be measured using the GPS of the wearable device. In the case of a dog, unlike a human's walking pattern, the dog moves from pillar to post, for example, from tree A to tree B, from tree B to pole C, or from pole C to pole D. Accordingly, assuming a person walks in a straight line, the dog is likely to move zigzagly or point-to-point. When tracking a person's GPS, you can see exactly how much exercise the dog has done and what patterns the dog has. It is impossible to track whether you walked by. Accordingly,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that is, when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GPS, the dog's walk is recorded using the GPS of the wearable device rather than the GPS of the user terminal 100. At this time, recording a person's walk and a dog's walk together can be an interesting element, so if the user terminal 100 is used as an AP that transmits data from a wearable device, the GPS of the user terminal 100 records the person's movement. As a route,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wearable device's GPS to the dog's moving route and compare and display the two routes.

강아지와 견주는 한 집에서 가족이 되어 살아가지만, 각자가 경험하는 세상은 너무나도 다르다. 견주에게는 시각으로 경험하는 세상이 대부분이며, 강아지는 후각으로 많은 세상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이는 곧 견주가 강아지를 위하여 산책을 자주 나갈 필요를 못 느껴, 산책을 미루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시각과 후각의 공감각화를 이용할 수 있다. 반려견이 맡고있는 후각 정보를 웨어러블 기기의 CO2 센서에서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어떤 기분인지를 웨어러블 기기에 장착된 LED의 빛 색상의 변화로 나타내줄 수도 있고, 구체적 성분에 관한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견주는 반려견이 어떤 후각적 경험을 하고 있는지 시각적으로 알 수 있게 되어 자신의 반려견에 대하여 더 공감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곧 반려견의 산책 경험에 관한 공감으로 이어져 더 규칙적인 산책을 유도해낼 수 있게 된다.Dogs and their owners live as family in the same house, but the world each person experiences is very different. This is because dog owners experience most of the world through their sense of sight, while dogs experience much of the world through their sense of smell. This results in the dog owner not feeling the need to go for a walk often for the dog, and thus delaying the walk. 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ynesthesia of sight and smell can be used. The dog's olfactory information can be sensed in real time by the CO2 sensor of the wearable device, and the mood can be indicated through changes in the color of the LED mounted on the wearable device, and information about specific ingredients can be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As a result, dog owners can visually see what kind of olfactory experience their dog is having, allowing them to empathize more with their dog. This will soon lead to empathy for the dog's walking experience, which can lead to more regular walks.

<후각 정보><Smell information>

산책 중 맥박 센서로 측정된 그 냄새에 관한 감정의 긍정 값과 부정 값의 데이터를 견주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 맥박 센서와 CO2 센서의 이산화탄소 감지율의 곡선이 둘 다 높아지는 지점에서 후각으로 인한 반려견의 맥박 반응이 다른 곳과 다르게 감지되고, 후각적 POI(Point of Interest) 지점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POI 데이터가 쌓이게 되면 반려견에게 좋은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후각적 자극의 양과 그 성분, 그리고 그 루트에 관한 정보가 만들어지게 되고, 이는 견주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시각화되어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려견의 심장박동수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심박 간격이 일정해진다. 이에 근거하여 맥박 센서로 후각에 관한 감정값의 근거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간 위치 기반 서비스로 감지된 반려견의 이동량과 맥박 센서로 감지된 맥박수에 근거하여 반려견의 운동 상황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후각 정보에 대한 반려견의 반응으로 파형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Data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related to the smell measured with the pulse sensor during the walk are transmitted to the dog owner's application. At the point where the carbon dioxide detection rate curves of the pulse sensor and the CO2 sensor both increase, the dog's pulse response due to the sense of smell is detected differently from other places, and the olfactory POI (Point of Interest) point can be identified. When such POI data is accumulated,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olfactory stimulation that evokes good feelings in the dog, its ingredients, and its route is created, and this is visualized and delivered through the dog owner's application. When a dog's heart rate is stressed, the heartbeat interval becomes constant. Based on this, the pulse sensor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emotional values regarding the sense of smell. You can determine the dog's exercise status based on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dog detected by real-time location-based service and the pulse rate detected by the pulse sensor. Changes in the waveform appear as a result of the dog's reaction to this olfactory information.

견주는 산책을 하기 전, 반려견의 기본 정보를 입력하고, 견종과 몸무게 등에 기반하여 운동량과 산책 경로를 추천 받을 수 있다. 산책 경로의 세부 정보에는 다른 강아지들이 많이 모여있는 곳과 어떤 냄새를 맡을 수 있는지에 관하여 서술되어있다. 그리고 첫 번째 메인탭에는 반려견이 좋아하는 냄새와 싫어하는 냄새가 쓰여있고 견주는 이를 통하여 반려견의 후각적 경험을 간접 경험할 수 있게 된다. 반려견과의 산책 시간대와 경로는 대부분 견주의 여유시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자주 마주치게 되는 동네의 다른 견주들이 있다. 이 견주들과 함께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기능을 지역별 커뮤니티으로 제공할 수 있다. 견주는 산책 중 실시간 산책중인 다른 견주들의 위치를 알 수 있으며 문자를 보내 상대 견주와 만나 친목을 쌓을 수 있다. 오프라인으로 확장된 플랫폼 서비스를 통하여 견주는 산책 중 발생하는 반려견 배변 쓰레기를 본 발명의 플랫폼(가칭, 멍트워크)의 쓰레기통에 버리거나 노즈 워크를 완료하면 포인트가 쌓이게 되고 이는 마을 내 제휴된 반려동물 상점이나 병원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산책을 완료하면 오늘 산책의 점수를 볼 수 있고, 반려견의 어떤 냄새를 밭고 어떤 기분을 느꼈는지 데이터로 알 수 있게 되어 다음 산책 경로에 냄새와 운동 상태 데이터가 반영되게 된다. 견주는 오늘 산책의 점수를 보고 객관적으로 반려견에게 어떤 산책이었는지 알 수 있게 된다.Before going for a walk, dog owners can input their dog's basic information and receive recommendations for exercise amount and walking route based on the dog's breed and weight. Details of the walking route include where other dogs gather and what scents you can smell. And on the first main tab, the smells that the dog likes and dislikes are written, and through this, the dog owner can indirectly experience the dog's olfactory experience. Since the time and route of a dog walk are mostly determined by the dog owner's free time, there are other dog owners in the neighborhood who often encounter each other. The ability to enjoy walks with these dog owners can be provided to local communities. Dog owners can know the real-time location of other dog owners while walking and can meet and build friendships with other dog owners by sending text messages. Through the offline expanded platform service, the dog owner accumulates points by discarding dog waste generated during a walk into the trash can of the platform (tentative name, Munt Walk) of the present invention or completing a nose walk, which is accumulated at an affiliated pet store or in the village. It can be used in hospitals. When you complete a walk, you can see the score of today's walk, and you can see data about what scent your dog smelled and how it felt, and the smell and exercise status data will be reflected in the next walk route. Dog owners can look at the score of today's walk and objectively know what kind of walk it was for their dog.

<냄새 센서><Odor sensor>

반려견이 어떤 냄새를 맡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CO2 센서, 반려견의 심장박동을 측정하기 위한 맥박 센서, 실시간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센서, 각 정보를 견주의 스마트폰으로 전달할 블루투스, 반려견의 운동이 지나쳤을 때, 또는 비상상황을 즉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진동 센서가 필요하고 이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아두이노에 연결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개의 심장박동을 측정할 수 있는 부위로는 측두, 경동맥, 심첨, 상완, 요골, 대퇴, 족배 맥박이 있다. 맥박 측정 부위를 고려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디자인이 나올 수 있다. CO2 sensor to measure what the dog smells, pulse sensor to measure the dog's heartbeat, GPS sensor to determine real-time location, Bluetooth to transmit each information to the dog owner's smartphone, if the dog is not exercising too much. A vibration sensor is needed to immediately notify of a time or emergency situation, and a method of connecting to Arduino can be used to drive it. Areas where a dog's heartbeat can be measured include the temporal, carotid, apex, brachial, radial, femoral, and dorsal pulses. Various types of designs can be created considering the pulse measurement area.

확정부(330)는, 종료 이벤트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출력된 경우 산책량의 모니터링을 종료하고 산책량을 확정할 수 있다. 이때,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웨어러블 기기의 GPS 경로를 이용하여 산책량을 확정하고,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는 웨어러블 기기가 아닌 사용자 단말(100)의 GPS 경로를 이용하여 산책량을 확정할 수 있다. 이때, 거리에 따라 산책량을 확정할 수 있는데 개의 크기에 따라 감당가능한(Affordable) 산책량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개의 크기나 특성, 또 나이 등을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 많이 걷는 경우에 포인트를 많이준다면 이 또한 형평성에 어긋날 수 있다. When an end event is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confirmation unit 330 may end monitoring the amount of walking and determine the amount of walking.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amount of walking can be determined using the GPS path of the wearable device, and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amount of walking can be determined using the GPS path of the user terminal 100, not the wearable device. . At this time, the amount of walking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distance. Since the amount of walking that can be afforded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og, it is also fair to give more points for walking a lot without considering the size, characteristics, or age of the dog. may be contrary to

예를 들어, 말티즈는 소형견으로 한 2 KM의 산책도 충분할 수 있지만, 진돗개는 중형견으로 약 10 KM의 산책도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다. 또, 노견의 경우 약 5 분만 산책해도 충분히 운동을 했다고 할 수 있지만, 어린 3-4 개월 내지 3 살까지의 어린 강아지들은 5 시간을 산책해도 에너지 발산이 다 되지 않을 수 있다. 또, 종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스포팅(Sporting) 그룹의 개는 적어도 1 시간의 산책, 토이(Toy) 그룹의 경우 실내활동만으로도 충분하고, 워킹(Working) 그룹의 개는 중간 이상의 강도로 2 시간 이상의 운동, 허딩(Herding) 그룹의 경우 강한 강도로 1.5 시간 이상, 테리어 그룹의 경우 30 분 이상의 산책, 하운드 그룹의 경우 시각 및 후각 의존도에 따라 다른 운동량, 논스포팅(Non-Sporting) 그룹은 견종별로 매우 상이하여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다른 강도 및 시간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견종별, 나이별, 몸무게별, 성별별 강도(속도), 시간, 거리에 따른 산책량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퍼센테이지를 매기고, 퍼센테이지에 따라 포인트를 주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때 표 1은 각 그룹별 견종을 정리한 표이다.For example, a 2 km walk may be enough for a Maltese as a small dog, but a 10 km walk for a Jindo dog as a medium-sized dog may not be satisfactory. Also, in the case of older dogs, it can be said that they get enough exercise with just a 5-minute walk, but for young dogs (3-4 months to 3 years old), even if they walk for 5 hours, their energy may not be fully discharged. In addition,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For dogs in the Sporting group, at least 1 hour of walking is sufficient, for dogs in the Toy group, indoor activities are sufficient, and for dogs in the Working group, 2 hours of moderate or higher intensity walking is sufficient. Exercise for more than an hour, for the Herding group, at a high intensity for more than 1.5 hours, for the Terrier group, a walk of more than 30 minutes, for the Hound group, the amount of exercise varies depending on the dependency on sight and smell, and for the Non-Sporting group, the dog breed. Each is very different,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 intensities and durations. Accordingly,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amount of walking according to intensity (speed), time, and distance for each dog breed, age, weight, and gender, assign a percentage for this, and give points according to the percentage. At this time, Table 1 is a table summarizing the dog breeds for each group.

스포팅 그룹sporting group 리트리버, 스파니엘, 포인터, 세터 견종. 래브라도 리트리버, 골든 리트리버, 코카 스파니엘Retriever, spaniel, pointer, setter dog breeds. Labrador Retriever, Golden Retriever, Cocker Spaniel 토이 그룹toy group 말티즈, 시츄, 요크셔 테리어 토이 푸들, 치와와, 포메라니안, 페키니즈, 파피용, 퍼그 등Maltese, Shih Tzu, Yorkshire Terrier, Toy Poodle, Chihuahua, Pomeranian, Pekingese, Papillon, Pug, etc. 워킹 그룹working group 도베르만, 로트와일러, 사모예드, 세인트 버나드, 시베리안 허스키, 말라뮤트, 복서, 마스티프, 아키타, 케인 코르소, 핀셔Doberman, Rottweiler, Samoyed, Saint Bernard, Siberian Husky, Malamute, Boxer, Mastiff, Akita, Cane Corso, Pinscher 허딩 그룹herding group 셔틀랜드 쉽독, 보더콜리, 웰시코기, 저먼 셰퍼드Shetland Sheepdog, Border Collie, Welsh Corgi, German Shepherd 테리어 그룹terrier group 러셀 테리어, 불 테리어, 미니어쳐 슈나우저, 화이트 테리어 등이 포함되어 있는 테리어 그룹The terrier group includes Russell terriers, bull terriers, miniature schnauzers, and white terriers. 하운드 그룹hound group 그레이하운드, 아프간 하운드, 보르조이, 살루키, 휘핏Greyhound, Afghan Hound, Borzoi, Saluki, Whippet 논스포팅 그룹non-sporting group 보스턴 테리어, 푸들(미니어쳐/스탠다드), 프렌치 불독, 비숑프리제, 달마시안, 차우차우, 샤페이, 꼬똥 드 튤레아, 라사 압소, 시바이누Boston Terrier, Poodle (miniature/standard), French Bulldog, Bichon Frize, Dalmatian, Chow Chow, Shar Pei, Coton de Tulear, Lhasa Apso, Shiba Inu

감정출력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웨어러블 기기를 IoT 기반으로 등록 및 연결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을 경유하여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해석하여 산책량 및 반려동물의 감정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기기는 예를 들어, 펫펄스(Petpuls™)를 이용할 수 있지만 해당 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펫펄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플랫폼(멍트워크)은 실제 강아지의 활동량과 감정상태를 수집하고, 활동량과 감정 데이터에 기반하여 플랫폼 내에서 쇼핑, 소셜 네트워크 형성, 교육, 기부 등의 확장성을 이어나갈 수 있다.When the wearable device is registered and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based on IoT, the emotion output unit 340 interpret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wearable device via the user terminal 100 to determine the amount of walking and the pet's emotions. Status can be output. At this time, the wearable device may use, for example, Petpuls™, but is not limited to that device. At this time, using Pet Pulse, the platform (Mon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actual dog's activity level and emotional state, and based on the activity level and emotional data, scalability of shopping, social network formation, education, donation, etc. within the platform is provided. can continue.

감정을 인식하는 웨어러블 기기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감정을 인식하게 되는데, 크게 음성 기반, 생체정보 기반 및 영상 기반으로 나눌 수 있다. 개의 경우 짖는 소리 외에도 "헥헥"대는 주기, 리듬, 피치, 강약 등의 정보를 해석하는 경우 기뻐서 흥분한 상태로 "헥헥"대는 숨소리를 내는 것인지 또는 불안하고 두려워서 헥헥대는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 영상 기반의 경우 개의 모션, 예를 들어 몸짓 언어를 구분할 수 있는데, 개가 짖었지만 앞발은 내리고 엉덩이는 들면서 꼬리를 흔들며 짖는 경우에는 "놀자"는 신호이므로 무섭거나 두려운 상태가 아니라고 해석할 수 있다. 생체정보의 경우에는 심박수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데, 심박수가 올라가고 있는지 또는 내려가고 있는지에 따라 흥분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때, [반려동물 소리-감정]. [반려동물 영상-감정], [생체 데이터-감정]과 같이 데이터셋이 구축되고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하여 데이터셋을 학습 및 검증하는 경우, 반려동물의 소리, 영상 및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감정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반대로 사람의 감정을 반려동물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역순(Reverse)의 과정을 학습 및 검증하면 된다. 예를 들어, 사람이 슬픈 감정을 느끼는 것을 개에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언어-감정-반려동물 소리]를 이용할 수 있다. 개들이 사람의 손을 깨물면 아프다는 것을 사람은 인간의 의사소통 방식으로 "아파!"라고 소리치거나, "하지마"라고 소리치는데 반려동물이 알아들을리 만무하다. 이에, [인간의 언어-아픔(감정)-반려동물 소리]로 바꾸는 경우, 그 효과는 즉각적으로 나타난다. 강아지의 경우 "깨갱"하는 소리로 자신이 아프다는 것을 표현하는데, [아파(인간의 언어)-아픔(감정)-깨갱(반려동물 소리)]과 같이 저장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아파"라고 말하는 경우, 이는 바로 아픔이라는 감정으로 분류되고, 바로 "깨갱"이라는 강아지 소리로 효과음이 출력될 수 있다. 이렇게 반려동물의 감정을 사람이 아는 단방향 소통에서 더 나아가, 인간과 동물 간 양방향 소통이 가능할 수 있다.Wearable devices that recognize emotions use various sensors to recognize emotions, and can be broadly divided into voice-based, biometric information-based, and image-based. In the case of dogs, if you interpret information such as the period, rhythm, pitch, and strength of the "panting" sound in addition to the barking sound, you can distinguish whether the dog is making a "panting" sound in a happy and excited state or in a state of anxiety and fear. In addition, in the case of video-based methods,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a dog's motion, for example, body language. If a dog barks, but puts its front paws down, raises its buttocks, and wags its tail, it can be interpreted that it is a signal to "play" and is not in a scared or fearful state. . In the case of biometric information, heart rate is most often used to determine the level of excitement depending on whether the heart rate is rising or falling. At this time, [pet sound-emotion]. When datasets such as [pet video-emotion] and [biological data-emotion] are built and the dataset is learned and verifi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emotions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sound, video, and biometric data of the pet. You can. At this time, in order to convey human emotions to a companion animal, the reverse process can be learned and verified. For example, in order to express a person feeling sad to a dog, [human language - emotions - pet sounds] can be used. When a dog bites a person's hand, it hurts. The person uses the human communication method of yelling "It hurts!" or "Don't do that," but it is unlikely that the pet will understand. Therefore, when changing to [human language - pain (emotion) - pet sound], the effect appears immediately. In the case of dogs, they express that they are in pain with the sound of "kegaeng". When the user says "it hurts" in a situation saved as [pain (human language) - pain (emotion) - keegaeng (pet sound)]. , this is classified as an emotion called pain, and a sound effect can be output as a dog sound called “kkagaeng”. In this way,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humans and animals can be possible, going further than one-way communication where humans know the emotions of their pets.

감정표시부(350)는, 반려동물의 감정상태를 출력할 때 산책 이벤트가 출력된 후 GPS로 추적된 위치를 지도 상 산책코스로 오버레이하면서 감정상태가 변하는 시점의 위치에 변경된 감정상태를 산책코스 상에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반려동물 중 개의 경우, 경계(Alert), 의심(Suspicious), 협박(Threatened), 불안(Anxious), 화남(Angry), 평온(Peace), 스트레스(Stressed), 존중(Respect) 외에도, 흥분과 각성, 고통과 만족, 좋고 싫음, 무서움과 불안, 수줍음과 의심, 분노와 애정 등의 감정이 있다고 밝혀졌다. 인간으로 비교하면 2 살 내지 3 살 정도의 지능과 감정을 가지고 있는데, 성인처럼 복잡한 감정은 없지만 꽤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며 가지고 있다. 이에, 산책코스 상에서 느꼈던 감정을, 불안, 경계, 만족, 좋음 등으로 표시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반려동물이 어디에서 기쁨을 얻었고 좋아했는지를 산책 히스토리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When outputting the emotional state of a pet, the emotion display unit 350 overlays the position tracked by GPS after the walking event is output onto the walking course on the map, and displays the changed emotional state at the location at the time when the emotional state changes on the walking course. It can be displayed as an icon. Among companion animals, dogs are alert, suspicious, threatened, anxious, angry, peaceful, stressed, and respectful, as well as excited and aroused. , it was revealed that there are emotions such as pain and satisfaction, likes and dislikes, fear and anxiety, shyness and suspicion, anger and affection. Compared to humans, they have the intelligence and emotions of a 2- to 3-year-old. Although they do not have complex emotions like adults, they express quite a variety of emotions. Accordingly, when the emotions felt on the walking course are displayed as anxiety, caution, satisfaction, good, etc., the user can determine where his or her pet got pleasure from and liked it through the walking history.

어뷰징감지부(36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보, 자전거, 킥보드, 오토바이, 지하철, 버스 및 자동차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을 구분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산책 이벤트를 출력한 후, 이동수단에 대응하는 센서 데이터가 수집된 경우 산책량 모니터링을 중단할 수 있다. 산책구분부(3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도보로 판단된 경우, 반려동물 산책에 따른 도보인지 또는 반려동물 산책이 아닌 도보인지의 여부를 구분할 수 있다.The abuse detection unit 360 uses at least one sensor data col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o distinguish means of transportation including walking, bicycles, kickboards, motorcycles, subways, buses, and cars, and uses the user terminal 100 ), after outputting the walking event, if sensor data corresponding to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s collected, monitoring of the amount of walking can be stopped. The walk classification unit 370, when it is determined to be a walk as a result of analyzing at least one sensor data col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can distinguish whether it is a walk according to a pet walk or a walk other than a pet walk. You can.

최근 피리부는 강아지라는 산책 애플리케이션이 공개되었는데, 이 애플리케이션은 지하철, 버스, 자동차, 킥보드, 자전거 등 산책을 할 때 불가능한 속도와 패턴 등에도 산책로그를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산책을 하지 않았음에도 산책을 한 것과 같이 포인트만 얻어가는 경우를 어뷰징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어뷰징을 막기 위하여, 속도, 가속도, 패턴, 걸음걸이, 걸음패턴 등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걷고 있는 것인지, 걷는데 사람 혼자 걷는 것인지 반려동물과 함께 걷는 것인지 등을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사람 혼자 걷는 경우에는 중간 중간 멈춰서는 일이 별로 없지만, 강아지를 산책시키다 보면 각 나무 등에 마킹을 하고 냄새를 맡느라 계속하여 랜덤하게 멈춰서게 된다. 이러한 패턴을 학습시킨 후 사용자가 혼자 걷는 것인지 반려동물과 함께 걷는 것인지를 파악하여 실제로 산책을 한 경우에만 산책량 모니터링을 실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Recently, a walking application called Pied Piper was released. This application records walking logs even at speeds and patterns that are impossible when walking on the subway, bus, car, kickboard, or bicycle. In this way, the case where only points are earned as if the user had taken a walk even though he or she did not go for a walk is called abusing. To prevent such abusing, speed, acceleration, pattern, gait, walking pattern, etc. are identifi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walking and whether the user is walking. It can be used to distinguish whether a person is walking alone or with a pet. When a person walks alone, he or she rarely stops in between, but when walking a dog, he or she keeps stopping randomly to smell and mark each tree. After learning these patterns, it can be set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walking alone or with a pet and monitor the amount of walking only when the user actually walks.

포인트연계부(380)는, 산책량이 측정된 경우 산책량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사용자 단말(100)의 계정으로 지급하고, 기 등록된 반려동물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 또는 이용할 때 포인트로 결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트래킹표시부(39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반려동물을 등록받을 때 반려동물의 얼굴 이미지를 함께 등록받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산책 이벤트를 출력한 후 종료 이벤트를 출력할 때까지의 GPS에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반려동물의 얼굴 이미지를 썸네일로 표기할 수 있다.The point linking unit 380 pays points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walking to the account of the user terminal 100 when the amount of walking is measured, and processes payment with points when purchasing or using a pre-registered pet product or service. You can. When registering a companion animal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tracking display unit 390 registers the face image of the companion animal, outputs a walk event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displays GPS information until the end event is output. Depending on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pet's face image can be displayed as a thumbnail.

개물림사고방지부(391)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산책 이벤트가 시작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를 작동시켜 전방을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받고, 기 설정된 개물림사고발생형 동물의 이미지 또는 모션과 동일한 동물의 이미지 또는 모션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반려동물을 안고 멈추거나 걷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개물림사고방지부(391)는,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 내 사람이 다가오거나 만지려고 하는 것이 감지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경고 멘트 또는 경고음을 울리도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When a walking event starts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dog bite accident prevention unit 391 operates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100 to receive streaming video captured in front in real time and detects a preset dog bite accident. If an image or motion of an animal that is identical to the image or motion of a similar animal is detected, a guid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to stop or walk while holding the pet. The dog bite accident prevention unit 391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00 to sound a warning message or sound when it detects that a person is approaching or is about to touch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개물림사고를 당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인데, 하나는 A 견주가 B 강아지를 산책시키다가 C 강아지를 보지 못하거나 C 강아지와 친해지게 하려고 인사를 시키는 경우에 C 강아지가 B 강아지를 물거나, 그 반대의 경우가 되는 경우이다. 다른 하나는 A 견주가 B 강아지를 산책시키는데 D 사람이 다가와서 D가 물리는 경우이다. 견주에게 물어보고 강아지끼리 인사를 시키라고 하지만, 견주조차도 자신의 강아지가 현재 인사를 하고 싶은 상태인지, 다른 강아지를 물고 싶은, 즉 사냥하고 싶은 상태인지 모른다. 또 D 사람은 B 강아지보다 훨씬 큰 존재로 B 강아지에게는 위협적인 존재가 된다. There are two main types of dog bite accidents. One is when the owner of dog A is walking dog B and does not see dog C or greets dog C to get closer to dog C, and dog C bites dog B, or vice versa. This is the case. The other case is when dog owner A is walking dog B when person D approaches and dog D is bitten. They ask the dog owner to have the dogs greet each other, but even the dog owner doesn't know whether his dog wants to say hello or wants to bite another dog, that is, to hunt. Also, person D is much larger than dog B and poses a threat to dog B.

이에, 촬영된 다른 강아지가 낮은 포복자세를 하고 노려보고 있다거나(사냥감을 잡기 전 개들의 특징적인 행동(모션)), 다른 강아지가 다가오는 중이거나, 다른 사람이 다가와서 만지려고 손을 뻗는 행동 등이 YOLO(You Only Look Once)에 포착된 경우, 바로 사용자 단말(100)의 스피커로, "다가오지마세요" 또는 알람음을 최대로 함으로써 타인 또는 다른 동물의 접근을 막을 수 있다. "다가오지마세요"라는 음성을 잘 듣지 않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LED 등과 함께 연동하여 사이렌을 울리는 것과 같이 경고 불빛을 조사하거나 경고음을 출력하여 상대방을 주춤하게 만든 후, 사용자에게는 강아지를 안고 걷거나 막아서라는(Blocking) 가이드를 줄 수 있다. Accordingly, the other dog filmed is in a low crawling posture and glaring (a characteristic behavior (motion) of dogs before catching prey), another dog is approaching, or another person is approaching and reaching out to touch it. When captured by YOLO (You Only Look Once), you can prevent the approach of other people or other animals by immediately using the speaker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saying “Do not come” or maximizing the alarm sound. Since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people do not listen to the voice saying "Do not approach," a warning light, such as a siren sounding in conjunction with an LED, is displayed or a warning sound is output to make the other person hesitate, and then the user is instructed to hold the dog and walk or block it. (Blocking) Guide can be given.

산책교육부(393)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장력센서가 포함된 리드(Lead)줄을 등록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을 경유하여 리드줄로부터 수신된 장력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멈추거나 리드줄을 짧게 잡으라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개들은 동체시력이 일반시력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움직이는 물체에 더욱 민감하다. 리드줄을 세게 잡아당기고 원하는 대로 가려는 개들의 경우, 오토바이, 킥보드, 뛰는 사람, 자전거, 심지어는 자동차에 달려들고 짖는 경우가 많다. 오토바이나 킥보드 또는 자전거나 뛰는 사람은 개가 위협적으로 달려들면서 짖으면 균형을 잡지 못하고 순간적으로 넘어지는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달려들고 짖지 못하게 해야 하지만, 산책훈련을 받지 않았거나 모르는 사람의 경우 개들이 원하는 대로 끌려다니면서 다른 개에게 짖거나, 오토바이나 킥보드에 달려드는 것을 보고만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리드줄을 잡아당기는 것을 감지하는 장력센서를 리드줄에 연동시키고, 사용자 단말(100)과 IoT로 연계함으로써 기 설정된 힘이 감지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손목에 스냅을 주어 줄을 잡아당기도록 가이드를 줄 수 있다. The walking education department 393 registers a lead line containing a tension sensor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when the tension data received from the lead line via the user terminal 100 exceeds a preset value, A guid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to stop or hold the lead line short. Dogs have better moving vision than normal vision, so they are more sensitive to moving objects. Dogs that pull hard on the lead and try to get where they want to go often end up barking and lunging at motorcycles, kickboards, people running, bicycles, and even cars. People who run on motorcycles, kickboards, or bicycles should be prevented from running and barking because dogs can often lose their balance and fall momentarily if they lunge and bark in a threatening manner. There are many cases where you just watch them being dragged around as they please, barking at other dogs, or running into motorcycles or kickboards. Accordingly, a tension sensor that detects pulling on the leash is linked to the leash, and when a preset force is detected by linking the user terminal 100 with IoT, the user terminal 100 snaps the wrist to pull the leash. We can provide guidance.

또는, 개를 훈련시킬 때 리드줄을 스냅을 주어 낚아채어 개가 다시 주인에게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오토바이, 킥보드, 자동차 등에 짖지 못하게 하는 훈련을 하는데,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장력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자동으로 리드줄을 개가 당기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임펄스(Impulse)를 주어 잡아당기도록 구성함으로써 사람이 스냅을 줘서 일일이 반응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산책교육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리드줄은 사람과 개에게 각각 연결된 상태이고, 줄을 감고 있는 도르래에 장력이 감지된 경우 도르래 자체를 힘이 가해지는 반대방향으로 일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스프링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기계적인 장치는 상술한 방법 이외에 다양한 장치가 존재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raining a dog, the lead leash is snapped and snatched so that the dog can focus on the owner again, and the dog is trained to stop barking at other motorcycles, kickboards, cars, etc., and a mechanical device is used to prevent the dog from barking when the tension is above a preset valu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dog to automatically pull the leash with an impuls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the dog is pulling, so that walking training can be done automatically without a person having to respond individually by snapping. At this time, the lead rope is connected to the person and the dog respectively, and when tension is detected in the pulley wrapping the rope, a spring or the like can be used to temporarily move the pulley itself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which the force is applied. Of course, various mechanical devices may exist in addition to the methods described above.

추가적으로, 리드줄에는 장력센서 외에도 태양광 패널, 발광장치 및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조도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태양광 패널로 발전 및 충전시킨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리드줄 자체를 발광장치로 밝게 빚나도록 함으로써, 개가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어두운 밤 길에도 타인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 최근 개물림사고가 빈번하게 뉴스에 이슈가 되어 보도되고, 개 똥이나 오줌을 잘 치우지 않는 사람들로 인하여 산책을 나가면 시비를 걸거나 싸움을 걸어오는 사람들로 대법원까지 가는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사용자 단말(100)은 산책 이벤트를 출력한 이후 음성인식을 시작하고, 음성인식된 음성 중 사용자의 음성발화가 아니면서, 기 설정된 키워드가 인식되거나 음성인식으로 인식된 음성에 감정에 "화남" 등인 경우, 이를 녹음을 하거나 녹화를 시작함으로써 이후 사용자가 피해자로 진술을 해야할 때 증거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addition to the tension sensor, the leash further includes a solar panel,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n illuminance sensor, and when the illuminance is below a preset value, the leash itself is illuminated with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and charged by the solar panel. By letting it out, you can let others know that your dog is approaching, even in the dark of the night. In addition, dog bite accidents have been frequently reported in the news recently, and people who do not clean up dog feces or urine properly are causing arguments or fights when going out for a walk, leading to constant disputes that reach the Supreme Court.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100 starts voice recognition after outputting the walking event, and among the recognized voices, if it is not the user's voice utterance, a preset keyword is recognized or the emotion "angry" is expressed in the voice recognized through voice recognition. ", etc., by recording or starting recording, it can be used as evidence when the user later needs to make a statement as a victim.

<스마트 리드줄><Smart leash>

생체 데이터와 GPS를 한 번에 측정할 수 있는 리드줄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심박 측정을 위한 AD8283 센서, 온도 및 습도 측정을 위한 DHT11 센서, 위치 좌표 측정을 위한 SparkFun M8Q GPS 센서를 연계한 통합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HC06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수집할 수 있다. AD8232 센서는 ECG 및 기타 생체 전위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통합 신호 컨디셔닝 블록기반의 센서이다. 심박 측정을 위해 적용한 것으로 모션이나 원격 전극 배치에 의해 생성되는 것과 같이 잡음이 많은 조건하에서 작은 생체 전위 신호를 추출, 증폭 및 필터링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AD8232 센서는 모션 아티팩트 및 전극 절반-셀 전위를 제거하기 위한 2극 고역 통과 필터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증폭기의 계측 구조와 밀접하게 결합되어 단일 스테이지에서 큰 이득 및 고역 필터링을 모두 허용하여 공간과 비용적인 면에서 효율성을 갖고 있다.You can also use a leash that can measure biometric data and GPS at once. An integrated module can be implemented that links the AD8283 sensor for heart rate measurement, the DHT11 sensor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ment, and the SparkFun M8Q GPS sensor for location coordinate measurement. In addition, by applying the HC06 Bluetooth-bas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data can be measured and collected in real time. The AD8232 sensor is an integrated signal conditioning block-based sensor for ECG and other biopotential measurement applications. Adapted for heart rate measurement, it is designed to extract, amplify, and filter small biopotential signals under noisy conditions, such as those generated by motion or remote electrode placement. Because the AD8232 sensor can implement a two-pole high-pass filter to remove motion artifacts and electrode half-cell potentials, it is tightly coupled to the instrumentation structure of the amplifier, allowing both large gain and high-pass filtering in a single stage, saving space and cost. It is efficient in that respect.

통합 모듈에 연동한 AD8382는 빠른 복원 회로의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충돌에서 신속한 대응이가능하다. 즉, ECG 애플리케이션의 고역 통과 필터에 사용되는 컷오프 주파수가 낮기 때문에 신호를 처리하는데 몇 초가 걸릴 수 있다. 따라서, 빠른 복원 기능을 통해 계측 증폭기의 출력은 윈도우 비교기에 연결되고, 윈도우 비교기는 전압이 공급 레일에서 50mV에 접근 할 때 계측 증폭기의 출력에서 포화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DHT11 센서는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환경 상태를 수집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적어도 키가 150 CM 이상은 되지만, 반려견은 대형견이라도 1M 가 넘는 경우가 없다. 키가 작을수록, 즉 대지에 가까울수록 고온을 더 잘 느끼게 되는데, 이를 더욱 정교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DHT11 센서는 교정된 디지털 신호 출력과 함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수집 기술과 온도 및 습도 감지 기술을 사용하여 높은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한다. 특히, DHT11 센서에는 저항식 습도 측정 구성 요소와 NTC 온도 측정 구성 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우수한 품질, 빠른 응답, 간섭 방지 기능 및 비용 효율성을 제공하는 고성능 8비트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케이블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풀업 저항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짧은 거리에서의 측정은 5K 풀업 저항을 사용한다.AD8382 linked to the integrated module features a fast recovery circuit, enabling rapid response to data collisions. This means that because the cutoff frequency used in the high-pass filter in ECG applications is low, it can take several seconds to process the signal. Therefore, the fast recovery feature connects the output of the instrumentation amplifier to a window comparator, which detects saturation at the output of the instrumentation amplifier when the voltage approaches 50 mV on the supply rail. The DHT11 sensor can collect the user's environmental status by measu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user must be at least 150 cm tall, but the dog, even a large dog, is never taller than 1 m. The shorter you are, that is, the closer you are to the ground, the more you feel high temperatures. To measure this more precisely, the DHT11 sensor can measure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 a calibrated digital signal output. It uses digital signal acquisition technology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detection technology to ensure high reliability and stability. In particular, the DHT11 sensor contains a resistive humidity measurement component and an NTC temperature measurement component and can be connected to a high-performance 8-bit microcontroller, providing excellent quality, fast response, anti-interference capabilities and cost-effectiveness.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cable, an appropriate pull-up resistor can be selected and used. Basically, for measurements at short distances, a 5K pull-up resistor is used.

SparkFun M8Q GPS 센서는 데이터 측정의 안정적인 구성 요소를 갖고 있는 고품질의 GPS 보드이다. 통합 모듈에 적용한 GPS 센서는 72 채널 GNSS 수신기로, GPS, GLONASS, Galileo 및 BeiDou에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 데이터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잠금 시간이 단축되며 충전식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어 백업 전원을 사용하여 GPS를 몇 초 만에 잠금 해제 할 수 있다. 또한, u-blox 수신기는 I2C를 지원하므로 Qwiic 호환성에 완벽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UART 포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SparkFun M8Q GPS 센서는 RTC에 전원을 공급하는 온보드 충전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어, 콜드 스타트(~ 30 초)에서부터 핫 스타트(~ 1 초)에 이르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충분한 시간 동안 전원에 연결하지 않고 RTC 및 GNSS 궤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어 장시간 통합 모듈 사용에서 GPS를 측정할 수 있다.SparkFun M8Q GPS sensor is a high-quality GPS board with stable components for data measurement. The GPS sensor applied to the integrated module is a 72-channel GNSS receiver that can receive signals from GPS, GLONASS, Galileo, and BeiDou. Therefore, the precision of measurement data is improved, lock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allows GPS to be unlocked in seconds with backup power. Additionally, the u-blox receiver supports I2C, so it is fully compatible with Qwiic compatibility, eliminating the need to use a UART port. The SparkFun M8Q GPS sensor is equipped with an onboard rechargeable battery that powers the RTC, shortening the time from cold start (~30 seconds) to hot start (~1 second). Additionally, the battery can maintain RTC and GNSS orbit data without being connected to a power source fo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allowing GPS measurements over extended periods of integrated module use.

이하, 상술한 도 2의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FIGS. 3 and 4 as an exampl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a)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반려동물 및 사용자를 등록받고, (b)와 같이 산책 이벤트가 출력된 후 종료 이벤트가 접수될 때까지 사용자 단말(100) 또는 웨어러블 기기를 통하여 GPS 및 감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록한다.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c)와 같이 어뷰징을 탐지하여 산책을 하지 않았음에도 포인트만 얻거나 자동차를 타고가는 때에도 산책을 했다면서 포인트만 얻는 어뷰저를 골라낼 수도 있고, (d)와 같이 펫펄스 또는 다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감정 정보를 수집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 도 4의 (a)와 같이 개물림사고에 방지하기 위하여 다가오는 개나 사람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며, (b) 지나가는 오토바이나 자전거에 달려들지 않도록 리드줄의 장력을 분석한 후 자동으로 줄을 견주(사용자)쪽으로 당겨주는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c)와 같이 포인트 연계로 각종 온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gisters a companion animal and a user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after a walk event is output as shown in (b), the user continues until the end event is received. GPS and emotional data are collected and recorded through the terminal 100 or a wearable device.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detect abusing as in (c) and select an abuser who only gets points even though he or she did not go for a walk or earns only points for taking a walk even while riding a car, or as in (d). Emotional information can also be collected and displayed using PetPulse or other wearable devices.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a), in order to prevent dog bite accidents, it analyzes approaching dogs or people in real time and guides the user. (b) Analyzes the tension of the leash to prevent it from running into a passing motorcycle or bicycle and automatically retightens the leash. You can also use a mechanical device that pulls the dog toward its owner (user).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an be used at various online and offline affiliated stores by linking points as shown in (c).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that are not explained about the method of providing the pet walking network service in FIGS. 2 to 4 are the same as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content explained about the method of providing the pet walking network service through FIG. 1.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pet walking network service providing system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the process shown in FIG. 5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can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을 등록하고(S5100), 사용자 단말에서 산책 이벤트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GPS를 턴 온(Turn On) 시켜 산책량을 모니터링한다(S5200).Referring to FIG. 5,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registers a companion animal from the user terminal (S5100), and when a walking event is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turns on the GPS of the user terminal to monitor the amount of walking. Do it (S5200).

또,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종료 이벤트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력된 경우 산책량의 모니터링을 종료하고 산책량을 확정한다(S5300).Additionally,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ends monitoring the amount of walking and determines the amount of walking when an end event is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sequence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30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300) may change,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executed simultaneously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5의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that are not explained about the method of providing the pet walking network service of FIG. 5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ut the method of providing the pet walking network service through FIGS. 1 to 4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content explained.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of providing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nstalled by default on the terminal (this may include programs included in the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etc., installed by default on the terminal). It may also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program) installed by the user directly on the master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service. In this sense, the method of providing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installed by default in the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the user and can be read by a computer such as the terminal. It can be recorded on any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10)

반려동물을 등록하고, 산책 이벤트 및 종료 이벤트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을 등록받는 등록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산책 이벤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를 턴 온(Turn On) 시켜 산책량을 모니터링하는 산책량측정부, 상기 종료 이벤트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력된 경우 상기 산책량의 모니터링을 종료하고 산책량을 확정하는 확정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user terminal for registering pets and entering walk events and end events; and
A register for registering a companion animal from the user terminal, a walking amount measurement unit for monitoring the amount of walking by turning on the GPS of the user terminal when a walking event is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end event is A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confirmation unit that terminates monitoring of the amount of walking and determines the amount of walking when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provision system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웨어러블 기기를 IoT 기반으로 등록 및 연결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경유하여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해석하여 상기 산책량 및 반려동물의 감정상태를 출력하는 감정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the user terminal registers and connects a wearable device based on IoT, an emotion output unit that interprets data collected from the wearable device via the user terminal and outputs the amount of walking and the emotional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provis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반려동물의 감정상태를 출력할 때 상기 산책 이벤트가 출력된 후 GPS로 추적된 위치를 지도 상 산책코스로 오버레이하면서 상기 감정상태가 변하는 시점의 위치에 변경된 감정상태를 상기 산책코스 상에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감정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outputting the emotional state of the pet, after the walking event is output, the location tracked by GPS is overlaid with a walking course on the map, and the changed emotional state is displayed as an icon on the walking course at the location at the time when the emotional state changes. An emotion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provis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보, 자전거, 킥보드, 오토바이, 지하철, 버스 및 자동차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을 구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산책 이벤트를 출력한 후, 상기 이동수단에 대응하는 센서 데이터가 수집된 경우 산책량 모니터링을 중단하는 어뷰징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at least one sensor data col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means of transportation including walking, bicycle, kickboard, motorcycle, subway, bus, and automobile are distinguished, and the walking event is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n the movement is performed. an abuse detection unit that stops monitoring the amount of walking when sensor data corresponding to the means is collected;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provis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도보로 판단된 경우, 반려동물 산책에 따른 도보인지 또는 반려동물 산책이 아닌 도보인지의 여부를 구분하는 산책구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it is determined to be a walk as a result of analyzing at least one sensor data col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a walk classification unit that distinguishes whether the walk is a walk according to a pet walk or a walk other than a pet walk;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provis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산책량이 측정된 경우 상기 산책량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계정으로 지급하고, 기 등록된 반려동물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 또는 이용할 때 상기 포인트로 결제되도록 처리하는 포인트연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the amount of walking is measured, points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walking are paid to the account of the user terminal, and a point linkage unit processes payment with the points when purchasing or using a pre-registered pet product or service;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provis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을 등록받을 때 상기 반려동물의 얼굴 이미지를 함께 등록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산책 이벤트를 출력한 후 상기 종료 이벤트를 출력할 때까지의 GPS에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상기 반려동물의 얼굴 이미지를 썸네일로 표기하는 트래킹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registering the pet from the user terminal, the face image of the pet is registered together, and according to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GPS until the end event is output after outputting the walk event from the user terminal, A tracking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pet's face image as a thumbnail;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provis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산책 이벤트가 시작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작동시켜 전방을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받고, 기 설정된 개물림사고발생형 동물의 이미지 또는 모션과 동일한 동물의 이미지 또는 모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반려동물을 안고 멈추거나 걷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개물림사고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the walking event starts from the user terminal,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is operated to receive a real-time streaming of the image captured in front, and the image or motion of the same animal as the preset image or motion of the dog bite accident-prone animal is received. When this is detected, a dog bite accident prevention unit that provides guidance to the user terminal to stop or walk while holding the pet;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provis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물림사고방지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 내 사람이 다가오거나 만지려고 하는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멘트 또는 경고음을 울리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og bite accident prevention department,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transmits a signal to sound a warning message or sound to the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cted that a person is approaching or is about to touch the video input through the camer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장력센서가 포함된 리드(Lead)줄을 등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경유하여 상기 리드줄로부터 수신된 장력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멈추거나 리드줄을 짧게 잡으라는 가이드를 제공하는 산책교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산책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a lead line containing a tension sensor is registered in the user terminal, if the tension data received from the lead line via the user terminal exceeds a preset value, stop with the user terminal or hold the lead line short. The Walking Education Department provides guides;
A pet walking network service provis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KR1020220070985A 2022-06-10 2022-06-10 System for providing pet walking network service KR202301710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985A KR20230171076A (en) 2022-06-10 2022-06-10 System for providing pet walking network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985A KR20230171076A (en) 2022-06-10 2022-06-10 System for providing pet walking network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076A true KR20230171076A (en) 2023-12-20

Family

ID=89376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985A KR20230171076A (en) 2022-06-10 2022-06-10 System for providing pet walking network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107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ukan et al. Smart computing and sensing technologies for animal welfare: A systematic review
Parenti et al. A revised taxonomy of assistance animals
US201002313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human dog communication
US110367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imal identification
US20170372583A1 (en) Pet owner evaluation system
Paldanius et al.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human-dog interaction: exploration of dog owners' experiences and expectations
Rochlitz et al. Welfare of cats in a quarantine cattery
US11771061B2 (en) Corrective collar utilizing geolocation technology
JP6696967B2 (en) Monitoring device and operation detection method
CN107743297B (en) Long distance monitoring method, apparatus,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ased on wearable device
CN106343955A (en) Terminal,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wether pet is healthy
Weiss et al. Animal behavior for shelter veterinarians and staff
Carballo et al. Do dogs rescue their owners from a stressful situation? A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assessment
US20220279760A1 (en) Corrective collar utilizing geolocation technology
CN106773628A (en) A kind of protection based reminding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 and portable equipment
Appleby et al. Australian parents’ experiences of owning an autism assistance dog
Starling et al. A pilot study of methods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arousal and emotional valence on performance of racing greyhounds
KR20230171076A (en) System for providing pet walking network service
KR102415333B1 (en) Abandoned pets care devices and systems
CN113844361A (en) Prompting method, prompt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CN110972991A (en) Wearable equipment of pet and management system thereof
O'Dwyer et al. Attachment, bushfire preparedness, planning, and response among animal guardians: a South Australian Case Study
US118802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imal identification
Pirinen et al. Validation of a tail-mounted triaxial accelerometer for measuring foals' lying and motor behavior
Yang et al. Applic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Pet Accessories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