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218A - management system for emergency situation - Google Patents

management system for emergency situ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218A
KR20230162218A KR1020220061820A KR20220061820A KR20230162218A KR 20230162218 A KR20230162218 A KR 20230162218A KR 1020220061820 A KR1020220061820 A KR 1020220061820A KR 20220061820 A KR20220061820 A KR 20220061820A KR 20230162218 A KR20230162218 A KR 20230162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terminal
management system
car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8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이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수 filed Critical 이동수
Priority to KR1020220061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2218A/en
Publication of KR20230162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2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rd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홀로 생활하는 노인과 같이 도움이 필요한 케어 대상들의 위급 상황을 신속하게 확인하고 빠르고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는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어 대상이 착용하고 있는 대상 단말기와, 상기 대상 단말기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버는 케어 대상의 위급 상황이 확인되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위급 상황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mergency situation management system that can quickly identify emergencies and respond quickly and appropriately to care recipients in need, such as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ithout infringing on individual privacy. It is about a situation management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nsists of a target terminal worn by a care target, a server connected by communication with the target terminal,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connected by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and the server is a care target. When an emergency situation is confirmed, the emergency situation is notified to the manager terminal.

Description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emergency situation}Emergency situatio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system for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은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홀로 생활하는 노인과 같이 도움이 필요한 케어 대상들의 위급 상황을 신속하게 확인하고 빠르고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는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mergency situation management system that can quickly identify emergencies and respond quickly and appropriately to care recipients in need, such as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ithout infringing on individual privacy. It is about a situation management system.

현대사회는 핵가족화 및 노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고, 이러한 현상으로 퇴원환자 및 고령환자가 도움을 줄 수 있는 간병인 없이 홀로 독거하는 현상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In modern society, the phenomenon of nuclear families and aging is becoming more prominent, and as a result of this phenomenon, the phenomenon of discharged patients and elderly patients living alone without caregivers who can help is increasing day by day.

이와 같이 혼자 사는 독거노인들은 어느 날 갑자기 자신의 신체에 돌변현상이 발생되었을 때, 행동의 제약을 받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긴급구급을 이루어야 하는 데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못하여 그대로 귀중한 생명을 잃게 되는 불행한 일이 발생되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an unexpected change occurs in the body of the elderly who live alone, they are restricted in their actions and must receive help from others to provide emergency rescue. However, as they are unable to receive help from others, their precious lives are lost. The unfortunate thing that happens is that you lose something.

즉, 종래에는 독거노인의 신체에 갑자기 발생되는 돌변현상을 알리기 위한 장비가 없어서 간병인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독거노인의 귀중한 생명을 잃게 되는 인명구조사고의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in the past, there was a problem of life-saving accidents that resulted in the loss of the precious lives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ho could not receive help from caregivers because there was no equipment to notify of sudden changes occurring in the body of the elderly.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91969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독거노인 또는 환자의 상태를 촬영하게 되는 카메라(10)와; 상기 카메라(10)를 제어하게되며 상기 카메라(10)가 촬영한 영상을 전달받아 처리한 후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에게 전송하게되는 영상서버(20)와; 상기 카메라(10)가 촬영한 후 영상서버(20)에서 처리된 영상들을 전송받아 독거노인 또는 환자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화면을 표시하게 되며 독거노인 또는 환자에게 이상발생시 호출이 이루어지는 중앙관리부(30)와; 각 독거노인 또는 환자의 관리자와 긴급출동요원이 소지하게 되며 환자를 담당하는 영상서버(20)에 접속하여 영상을 전송받아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o,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91969 as shown in Figures 1 and 2 was proposed, the technical feature of which is a camera that photographs the condition of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or a patient. (10) and; an image server (20) that controls the camera (10), receives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10), processes them, and transmits them to multiple users over a network; After the camera 10 captures the processed images from the video server 20, a screen is displayed to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person living alone or the patient, and a central management unit is called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elderly person living alone or the patient. 30) and; It is possessed by each elderly person living alone or the patient's manager and emergency dispatch personnel, and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terminal (40) capable of receiving and displaying images by accessing the video server (20) in charge of the patient.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91969호에 기재된 기술은 중앙관리부(30)외에도 담당자와 긴급출동하는 요원이 단말기(40)를 통해 독거노인 및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편리하며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영상을 통하여 관리자가 직접 독거노인 또는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판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91969 allows the person in charge and emergency dispatchers in addition to the central management department (30)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patients living alone through the terminal (40), enabling convenient and rapid response. Although there are possible advantage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ke an accurate judgment because the manager must directly judge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person living alone or the patient through the video.

또한, 항상 영상으로 촬영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개인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여지가 많으며 야간에는 영상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독거노인 또는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video must always be taken, there is a lot of room for infringement on personal privacy, and since video cannot be confirmed at nigh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condition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or patients.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91969호(2007.09.12.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91969 (published on September 12, 200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홀로 생활하는 노인분과 같이 도움이 필요한 케어 대상들이 위급한 상황에 비상버튼을 통한 도움 요청뿐만 아니라 착용하고 있는 케어 단말기를 통하여 측정한 심박수를 통하여 케어 대상의 건강에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것을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프라이버시의 침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험 상황을 즉시 알 수 있어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도록 하는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care recipients in need of help, such as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o request help through the emergency button as well as through the care terminal they are wear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By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the health of the person being cared for through the measured heart rate, we provide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that not only prevents infringement of privacy, but also enables prompt response by immediately recognizing dangerous situations. .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어 대상에 위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인접한 관리자들에게 통지하고, 엘리베이터가 1층에 대기하도록 제어하고, 케어 대상의 도어락을 해정 상태로 조절하여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응급 구조사와 실시간 연락을 통하여 응급 처치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notify adjacent managers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e care subject, control the elevator to wait on the first floor, and adjust the care subject's door lock to the unlocked state so that the manager can respond quickly. It provides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that allows emergency treatment to be performed through real-time contact with emergency responder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se problems;

케어 대상이 착용하고 있는 대상 단말기와, 상기 대상 단말기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버는 케어 대상의 위급 상황이 확인되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위급 상황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onsists of a target terminal worn by the care target, a server connected by communication with the target terminal,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connected by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and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care target is confirmed, the server sends an emergency message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notifying the situation.

여기서, 상기 대상 단말기는 케어 대상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기와, 위급 상황시 도움을 요청하기 위한 긴급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target terminal is characterized by being equipped with a heart rate monitor to measure the heart rate of the care target and an emergency button to request help in an emergency situation.

이때, 상기 서버는 케어 대상의 정보가 저장되는 대상 DB와, 관리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관리자 DB와, 상기 대상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건강상 위급 상황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긴급버튼의 작동이 감지될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위급 상황을 통지하는 대응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erver analyzes the target DB where information on the care target is stored, the administrator DB where the manager's information is stored, and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arget terminal, and determines that it is a health emergency or detects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When possibl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response module that notifies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한편, 상기 대응모듈은 위급 상황인 케어 대상의 위치와, 상기 케어 대상과 설정된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관리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위급 상황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response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notifies an emergency situation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care subjec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anager located within a set range of the care subject.

여기서, 상기 대응모듈은 각 관리자와 케어 대상과의 인접한 순서에 따라 순번을 부여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는 자신의 순번과 출동 또는 출동 불가를 선택하는 버튼이 팝업되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는 이전 순번의 관리자의 출동 여부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esponse module assigns a turn number according to the order of proximity to each manager and the care subject, and a button for selecting his or her turn number and dispatch or non-dispatch pops up on the manager terminal, and the manager terminal has the manager of the previous turn. The dispatch status is displayed in real time.

이때, 상기 대응모듈은 상기 대상 DB에 저장된 케어 대상의 집에 설치된 CCTV 영상 중 설정된 시간 동안의 최근 영상과, 현재 CCTV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response module is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in real time the latest video for a set time and the current CCTV video among the CCTV images installed in the home of the care target stored in the target DB.

그리고, 상기 대응모듈은 케어 대상이 거주하는 아파트의 관리 제어 시스템과 연결되어 케어 대상이 위치하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1기를 위급 상태로 전환하여 1층에 위치하도록 제어하고, 케어 대상의 집에 설치된 도어락을 해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sponse module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control system of the apartment where the care subject lives, switches one elevator in the building where the care subject is located to emergency status and controls it to be located on the first floor, and locks the door lock installed in the care subject's house. It is characterized by dissolution.

여기서, 상기 대응모듈은 케어 대상과 설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응급장비의 위치와 동선을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esponse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the location and movement route of emergency equipment located within a set distance from the care target to the manager terminal.

또한, 상기 서버는 공공 응급 구조 기관과 통신으로 연결되되, 상기 공공 응급 구조 기관에서 배정된 공공 응급 구조사의 구조사 단말기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rver is connected by communication with a public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nects a rescuer terminal of a public emergency rescue worker assigned by the public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이때,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구조사 단말기를 통하여 현재 공공 응급 구조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상기 구조사 단말기를 통하여 응급 처치 동영상을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manager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the current public emergency rescuer's loca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rescuer terminal and receives first aid video through the rescuer terminal.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홀로 생활하는 노인분과 같이 도움이 필요한 케어 대상들이 위급한 상황에 비상버튼을 통한 도움 요청뿐만 아니라 착용하고 있는 케어 단말기를 통하여 측정한 심박수를 통하여 케어 대상의 건강에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것을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프라이버시의 침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험 상황을 즉시 알 수 있어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care subjects in need of help, such as elderly people living alone, not only request help through an emergency button in an emergency situation, but also monitor the health of the care subject through the heart rate measured through the care terminal worn. By detecting when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not only can it prevent an infringement of privacy, but it is also effective in making it possible to respond quickly by immediately notifying a dangerous situa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케어 대상에 위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인접한 관리자들에게 통지하고, 엘리베이터가 1층에 대기하도록 제어하고, 케어 대상의 도어락을 해정 상태로 조절하여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응급 구조사와 실시간 연락을 통하여 응급 처치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adjacent managers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e care subject, controls the elevator to wait on the first floor, adjusts the care subject's door lock to the unlocked state, so that the manager can respond quickly, and emergency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first aid to be performed through real-time contact with rescuers.

도 1은 종래의 독거노인 및 환자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독거노인 및 환자 관리시스템에서 응급상황 발생시의 흐름도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 예에 따른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elderly living alone and patient management system.
Figure 2 is a flow chart and perspective view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a conventional elderly living alone and patient management system.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of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an emergency situ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of an emergency situ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의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7은 도 6의 실시 예에 따른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의 흐름도이다.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the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of the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flow chart of the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of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chart of the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본 발명은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홀로 생활하는 노인분과 같이 도움이 필요한 케어 대상이 착용하고 있는 대상 단말기(200)와 상기 대상 단말기(200)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서버(100)와 상기 서버(100)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기(30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nd as shown in FIGS. 3 to 5,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target terminal 200 worn by a care recipient in need, such as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and the target terminal 200. It consists of a server 100 connected through communication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300 connect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100.

여기서, 상기 서버(100)는 케어 대상의 위급 상황이 확인되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로 위급 상황을 통지함으로써, 케어 대상의 위급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Here,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care subject is confirmed, the server 100 notifies the manager terminal 300 of the emergency situation, thereby enabling the server 100 to quickly respond to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care subject.

그리고, 상기 대상 단말기(200)는 시계 등과 같이 케어 대상의 신체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근래에 많이 사용되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arget terminal 200 is formed so that it can be easily worn on the body of the care target, such as a watch. It can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used, or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 watch, which is widely used in recent years, can be used.

여기서, 상기 대상 단말기(200)에는 케어 대상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기(210)와 위급 상황시에 도움을 요청하기 위한 긴급버튼(220)과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GPS(230)가 구비되어 케어 대상의 위급 상황을 원격지의 서버(100)로 전송하게 된다.Here, the target terminal 200 is equipped with a heart rate monitor 210 to measure the heart rate of the care target, an emergency button 220 to request help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a GPS 230 to check the location to provide care.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target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server 100.

이때,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는 테블릿이나 스마트폰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내부에 구비되는 GPS 정보를 통하여 관리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manager terminal 300 can be used as a tablet or smartphone,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anager can be confirmed in real time through GPS information provided therein.

한편, 상기 서버(100)는 케어 대상의 정보가 저장되는 대상 DB(110)와 관리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관리자 DB(120)와 상기 대상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건강상 위급 상황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긴급버튼(220)의 작동이 감지될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로 위급 상황을 통지하는 대응모듈(140)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server 100 analyze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arget DB 110, where information on the care target is stored, the manager DB 120, where the manager's information is stored, and the target terminal 110 to detect health emergency situations. It consists of a response module 140 that notifies the manager terminal 300 of an emergency situ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220 is detected.

여기서, 상기 대상 DB(110)에는 케어 대상의 연령, 성별, 기저질환, 주소, 키, 몸무게와 같은 신체 정보, 보호자 정보, 평소 심박수, 실시간 위치 등이 저장되며, 관리자는 케어 대상이 거주하는 아파트의 관리자나 별도로 고용된 관리자로서 이름, 성별, 연령, 근무처, 실시간 위치 등의 정보가 상기 관리자 DB(120)에 저장된다.Here, the object DB 110 stores the care object's age, gender, underlying disease, physical information such as address, height, weight, guardian information, usual heart rate, real-time location, etc., and the manager stores the apartment where the care object resides. As a manager or a separately hired manager, information such as name, gender, age, workplace, and real-time location is stored in the manager DB 120.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응모듈(140)에서 상기 대상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심박수 정보가 평소 심박수보다 오차범위를 벗어나도록 높거나 낮을 경우 건강상 위급 상황으로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케어 대상이 긴급버튼(220)을 누르지 못하더라도 위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다.So, as described above, if the heart r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arget terminal 200 in the response module 140 is higher or lower than the usual heart rate and is outside the error range, it is determined to be a health emergency, so that the care target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Even if you cannot press the button 220, you can quickl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그리고, 상기 대응모듈(140)이 관리자들에게 케어 대상의 위급 상황에 대하여 통지할 때, 위급 상황인 케어 대상의 위치와 상기 케어 대상과 설정된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관리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통지하게 된다.And, when the response module 140 notifies managers of an emergency situation of a care subject, the notification includes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care subjec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anager located within a set range of the care subject. .

여기서, 케어 대상의 위치와 각 관리자들의 위치는 맵 상에 서로 다른 색의 점 등으로 표시하 직관적으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위치와 함께 케어 대상 및 관리자의 이름도 같이 표시되도록 한다.Here, the location of the care subject and each manager are displayed as dots of different colors on the map so that the location can be intuitively confirmed, and the names of the care subject and manager are also displayed along with the location.

한편, 상기 대응모듈(140)은 케어 대상의 현재 위치와 관리자의 현재 위치를 통하여 각 관리자와 케어 대상과의 거리를 계산하여 각 관리자와 케어 대상과의 인접한 순서에 따라 순번을 부여하며 맵 상에서 관리자의 이름과 함께 순번도 같이 출력되도록 한다.Meanwhile, the response module 140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each manager and the care subject through the current location of the care subject and the manager's current location, assigns a turn number according to the order of proximity to each manager and the care subject, and displays the manager on the map. Make sure that the order number is printed along with the name.

이때,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에는 자신의 순번과 출동 또는 출동 불가를 선택하는 버튼이 팝업되는데, 관리자는 순번에 따라 출동 또는 출동 불가를 선택하게 되고, 이렇게 선택한 상태는 실시간으로 모든 관리자 단말기(300)에서 출력되어 어느 관리자가 출동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button for selecting one's turn number and dispatch or non-dispatch pops up on the manager terminal 300. The manager selects dispatch or cannot dispatch according to the turn number, and the selected state is displayed in real time on all manager terminals (300). ), allowing you to check which manager is dispatched.

즉, 가장 가까이에 있는 관리자라 할지라도 다양한 상황에 따라 출동이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상황을 알려주어 차순위 관리자가 출동할 수 있도록 하여 위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한다.In other words, even the nearest manager may not be able to dispatch depending on various situations, so inform the next-highest manager of your situation so that he or she can respond quickly in an emergency situation.

그리고, 상기 대응모듈(140)은 상기 대상 DB(110)에 저장된 케어 대상의 집에 설치된 CCTV 영상 중 설정된 시간 동안의 최근 영상과 현재 CCTV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로 전송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sponse module 140 transmits the latest and current CCTV images for a set time among the CCTV images installed in the home of the care target stored in the target DB 110 to the manager terminal 300 in real time.

여기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에는 저장된 영상과 실시간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게 되는데, 저장된 영상은 설정된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최근 3분간의 영상을 2배속으로 출력하여 어떠한 경위로 케어 대상에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와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게 상황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administrator terminal 300 outputs the stored video and the real-time video simultaneously. The stored video varies depending on the set time, but the video of the last 3 minutes is output at double speed to determine under what circumstances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ed in the care subject. You can check the current status and judge the situation more accurately.

이때, 케어 대상이 실수로 긴급버튼(220)을 누른 경우에는 최근 3분간의 영상과 현재 영상 및 심박수 정보를 통하여 케어 대상이 위급 상황이 아님을 판단할 수 있어 불필요한 출동을 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care subject accidentally presses the emergency button 22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are subject is not in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e most recent 3 minutes of video, current video, and heart rate information,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dispatch. .

한편, 상기 서버(100)는 케어 대상이 주거하고 있는 아피트의 관리 제어 시스템(400)과도 통신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서버(100)의 대응모듈(140)은 상기 관리 제어 시스템(400)을 통하여 각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410)와 각 세대에 설치된 도어락(420)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rver 100 is also connected by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control system 400 of Afit where the care subject resides, and the corresponding module 140 of the server 100 is connected through the management control system 400. The elevator 410 installed in each building and the door lock 420 installed in each household can be controlled.

그래서, 케어 대상에게 위급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응모듈(140)은 관리자 단말기(300)로 위급 상황을 알리는 것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신속하게 도착할 수 있도록 해당 엘리베이터(410)가 1층에 위치하도록 제어하고, 케어 대상이 주거하는 집의 도어락(420)을 해정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Therefor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a care recipient, as described above, the response module 140 not only notifies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300, but also operates the corresponding elevator 410 so that the manager can arrive quickly. It is controlled to be located on the first floor, and the door lock 420 of the house where the care subject lives is switched to the unlocked state.

이때, 각 아파트에 설치된 엘리베이터(410)에 따라 속도조절이 가능할 경우,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최고속도로 운행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f the spee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elevator 410 installed in each apartment, it can be adjusted to operate at the maximum speed without causing strain.

또한, 케어 대상이 주거하는 아파트의 각 부분에는 응급상황에서 사용하도록 응급장비가 구비되는데, 상기 서버(100)에는 각 아파트별로 구비되는 응급장비와 해당 응급장비가 구비된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응급장비 DB(130)가 구비된다.In addition, each part of the apartment where the care recipient resides is equipped with emergency equipment to be used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server 100 stores the emergency equipment provided in each apartmen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equipment. DB 130 is provided.

따라서, 상기 대응모듈(140)은 케어 대상에게 위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케어 대상과 설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응급장비의 위치와 응급장비를 가지고 케어 대상에게 도달하기 위한 최단거리의 동선을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로 전송하여 보다 신속하게 위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e care subject, the response module 140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quipment located within a set distance from the care subject and the shortest route to reach the care subject with the emergency equipment at the manager terminal ( 300) so that you can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more quickly.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100)는 대상 단말기(200), 관리자 단말기(300), 아파트 관리 시스템(400)뿐만 아니라 공공 응급 구조 기관(500)과도 통신으로 연결된다.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server 100 supports not only the target terminal 200, the administrator terminal 300, and the apartment management system 400, but also the public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 500) is also connected via communication.

여기서, 상기 공공 응급 구조 기관(500)은 긴급 구조대 등을 포함하는데, 상기 공공 응급 구조 기관(500)은 공공 응급 구조사를 배당하고, 배당된 공공 응급 구조사가 소지하고 있는 구조사 단말기(510)와 관리자 단말기(300)를 연결하게 된다.Here, the public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500 includes an emergency rescue team, etc., and the public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500 allocates public emergency rescue workers, and the rescuer terminal 510 and the manager possessed by the assigned public emergency rescue technicians. The terminal 300 is connected.

이때, 관리자는 상기 구조사 단말기(510)와 통신으로 연결된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현재 위급 상황에 대한 대처 방법과 긴급 구조대의 출동 여부를 판단하게 되어 긴급 구조대의 과중한 업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manager determines how to respond to the current emergency situation and whether to dispatch an emergency rescue team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300, which is connected to the rescue worker terminal 510 by communication, thereby preventing the emergency rescue team from overworking.

또한, 긴급 구조대의 출동이 결정된 경우, 상기 구조사 단말기(510)를 통하여 긴급 구조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현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cided to dispatch an emergency rescue team,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rescue team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manager terminal 300 through the rescue worker terminal 510 so that the manager can determine the current situation.

여기서, 위급한 상황에서 관리자의 대처능력이 부족할 경우, 공공 응급 구조사는 상기 구조사 단말기(510)를 통하여 상기 공공 응급 구조 기관(500)에 구비되는 영상 DB(520)에 저장된 응급 처치 동영상 중에서 상황에 맞는 적절한 동영상을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한다.Here, if the manager's response ability is insufficient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public emergency rescuer responds to the situation from among the first aid videos stored in the video DB 520 provided at the public emergency rescue agency 500 through the rescuer terminal 510. The appropriate video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300.

그래서,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응급 처치 동영상을 보면서 케어 대상의 상황에 맞도록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게 하여 위급한 상황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manager can watch the first aid video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300 and take appropriate ac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care target, thereby enabling the manager to stabl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scop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above.

본 발명은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홀로 생활하는 노인과 같이 도움이 필요한 케어 대상들의 위급 상황을 신속하게 확인하고 빠르고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는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mergency situation management system that can quickly identify emergencies and respond quickly and appropriately to care recipients in need, such as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ithout infringing on individual privacy. It is about a situation management system.

100 : 서버 110 : 대상 DB
120 : 관리자 DB 130 : 응급장비 DB
140 : 대응모듈 200 : 대상 단말기
210 : 심박수 측정기 220 : 긴급버튼
230 : GPS 300 : 관리자 단말기
400 : 관리 제어 시스템 410 : 엘리베이터
420 : 도어락 500 : 공공 응급 구조 기관
510 : 구조사 단말기 520 : 영상 DB
100: Server 110: Target DB
120: Administrator DB 130: Emergency equipment DB
140: Response module 200: Target terminal
210: Heart rate monitor 220: Emergency button
230: GPS 300: Administrator terminal
400: Management control system 410: Elevator
420: Door lock 500: Public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510: Rescue worker terminal 520: Video DB

Claims (10)

케어 대상이 착용하고 있는 대상 단말기와,
상기 대상 단말기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버는 케어 대상의 위급 상황이 확인되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위급 상황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
The target terminal worn by the care subject,
A server connected to the target terminal through communication,
It consists of an administrato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communication,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wherein the server notifies the manager terminal of the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care target is confi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단말기는 케어 대상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기와,
위급 상황시 도움을 요청하기 위한 긴급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arget terminal includes a heart rate monitor that measures the heart rate of the care target,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by an emergency button for requesting help in an emergency situ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케어 대상의 정보가 저장되는 대상 DB와,
관리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관리자 DB와,
상기 대상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건강상 위급 상황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긴급버튼의 작동이 감지될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위급 상황을 통지하는 대응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erver includes a target DB where information on the care target is stored,
An administrator DB where the administrator's information is stored,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response module that analyz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arget terminal and notifies the manager terminal of the emergency when it is determined to be a health emergency or when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is detec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모듈은 위급 상황인 케어 대상의 위치와, 상기 케어 대상과 설정된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관리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위급 상황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response module is an emergency situ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notifies an emergency situation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care subjec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anager located within a set range of the care subjec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모듈은 각 관리자와 케어 대상과의 인접한 순서에 따라 순번을 부여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는 자신의 순번과 출동 또는 출동 불가를 선택하는 버튼이 팝업되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는 이전 순번의 관리자의 출동 여부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response module assigns a sequence number according to the order of proximity between each manager and the care subject,
On the administrator terminal, a button to select your turn number and whether to dispatch or not to dispatch will pop up.
An emergency situation management system, wherein the manager terminal displays in real time whether the manager of the previous turn has been dispatch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모듈은 상기 대상 DB에 저장된 케어 대상의 집에 설치된 CCTV 영상 중 설정된 시간 동안의 최근 영상과, 현재 CCTV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response module is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in real time the latest video for a set time and the current CCTV video among the CCTV images installed in the home of the care target stored in the target DB.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모듈은 케어 대상이 거주하는 아파트의 관리 제어 시스템과 연결되어 케어 대상이 위치하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1기를 위급 상태로 전환하여 1층에 위치하도록 제어하고,
케어 대상의 집에 설치된 도어락을 해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response module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control system of the apartment where the care subject resides, and switches one elevator in the building where the care subject is located to an emergency state and controls it to be located on the first floor,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by unlocking the door lock installed in the home of the care recipi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모듈은 케어 대상과 설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응급장비의 위치와 동선을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response module is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the location and movement route of emergency equipment located within a set distance from the care target to the manager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공공 응급 구조 기관과 통신으로 연결되되,
상기 공공 응급 구조 기관에서 배정된 공공 응급 구조사의 구조사 단말기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The server is connected by communication with public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s,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nects the rescuer terminal of a public emergency rescue worker assigned from the public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and the manager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구조사 단말기를 통하여 현재 공공 응급 구조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상기 구조사 단말기를 통하여 응급 처치 동영상을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manager terminal receiv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ublic emergency rescuer in real time through the rescuer terminal,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first aid videos through the rescue worker terminal.
KR1020220061820A 2022-05-20 2022-05-20 management system for emergency situation KR202301622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820A KR20230162218A (en) 2022-05-20 2022-05-20 management system for emergency situ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820A KR20230162218A (en) 2022-05-20 2022-05-20 management system for emergency situ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218A true KR20230162218A (en) 2023-11-28

Family

ID=8895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820A KR20230162218A (en) 2022-05-20 2022-05-20 management system for emergency situ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221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1969A (en) 2006-03-08 2007-09-12 박봉준 System for managing solitude oldster and pati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1969A (en) 2006-03-08 2007-09-12 박봉준 System for managing solitude oldster and pati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9506B1 (en) Method and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an individual suffers a fall requiring assistance
US20160260310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BR112015025547B1 (e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ASSISTANCE IN HAZARDOUS SITUATIONS
US20210153817A1 (en) Device based responder network activation and virtual assistant integration
US20060008058A1 (en) Remote wellness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FI117991B (en)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a person in a building
JP2015103116A (en) Automatic report system
KR20180034045A (en) Emergency nurse call system for elder special hospital
KR102405883B1 (en) Nursing Home AI Automatic Control System
JP6711474B2 (en) System, system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device including program
KR101894906B1 (e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Silver Generation with Help Trigger
JP6539799B1 (en) Safety confirmation system
KR20150016687A (en) Care System for Older People Living Alone
KR20230162218A (en) management system for emergency situation
AU2021106898A4 (en) Network-based smart alert system for hospitals and aged care facilities
KR20050090947A (en) System for silver-tel
KR101997225B1 (en)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irm people
TWI656502B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ortable safety care
JP6585319B1 (en) System, bot, and method for information sharing
US9349268B2 (en) TNT-medical alert system
JP7268679B2 (en) Control program, report output method, and report output device
JP7327396B2 (en) Control program, report output method, and report output device
JP2022178500A (en) Total body condition management system using wearable terminal and total body condition management method
KR20100058272A (en) Managing sistem for solitude oldster
JP2003067494A (en) Nursing care supporting system for nursing care type multiple dwelling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