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625A -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3D prosthesis fabrication service for dental restorations - Google Patents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3D prosthesis fabrication service for dental restora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625A
KR20230161625A KR1020220061206A KR20220061206A KR20230161625A KR 20230161625 A KR20230161625 A KR 20230161625A KR 1020220061206 A KR1020220061206 A KR 1020220061206A KR 20220061206 A KR20220061206 A KR 20220061206A KR 20230161625 A KR20230161625 A KR 20230161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sthesis
dental
model
function
computer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2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혁준
유지웅
임성결
Original Assignee
(주)빛날덴탈스튜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빛날덴탈스튜디오 filed Critical (주)빛날덴탈스튜디오
Priority to KR1020220061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1625A/en
Publication of KR20230161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625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35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 A61B2018/20351Scanning mechanisms
    • A61B2018/20353Scanning in three dimensions [3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4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Surg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아 수복을 위한 3D 보철물 제작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수복을 위한 3D 보철물 제작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환자의 구강을 스캔한 3D 모델링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 상기 3D 모델링 이미지를 기초로, 페이크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기; 및 상기 페이크 이미지와 실제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페이크 이미지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판별기를 포함하는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2D 치아 보철물 디자인을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2D 치아 보철물 디자인을 기초로, 제2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치아 보철물 모형을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a 3D prosthesis fabrication service for dental restoration is provided.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3D prosthesis manufacturing service for tooth resto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nction of acquiring a 3D modeling image scanned of a patient's oral cavity; A generator that generates a fake image based on the 3D modeling image; and a function for generating a 2D dental prosthesis design using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cluding a discriminator that compares the fake image and the real image to determine whether the fake image is authentic. and a function of generating the dental prosthesis model using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2D dental prosthesis design.

Description

치아 수복을 위한 3D 보철물 제작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3D prosthesis fabrication service for dental restorations}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3D prosthesis fabrication service for dental restorations}

본 발명은 치아 보철물 제작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더욱 빠르고 손쉽게 치아 보철물을 설계, 제작할 수 있는 치아 수복을 위한 3D 보철물 제작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dental prosthesis manufacturing service. More specifically, it is about a computer program for running a 3D prosthesis manufacturing service for dental restoration that can design and manufacture dental prosthesis more quickly and easil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DSO(Dental service organization)은 치과병원의 프랜차이즈화를 통한 기업형 운영으로 고가의 치과시술( 심미치료, 임플란트, 교정)의 대중화를 이끌며 글로벌 덴탈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DSO (Dental service organization) is leading the growth of the global dental market by leading the popularization of expensive dental procedures (aesthetic treatment, implants, orthodontics) through corporate operation through franchising of dental hospitals.

특히 최근에는 투자자본의 유입으로 DSO의 성장이 본격화되었으며, 그와 동시에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숙련된 치과의사, 치위생사, 기공사의 부족 및 고임금 등의 이유로, 치과 치료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관련 시장도 급성장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growth of DSO has recently begun in earnest due to the inflow of investment capital. At the same time, in most developed countries, the digitalization of dental treatment is accelerating and the related market is growing rapidly due to the shortage and high wages of skilled dentists, dental hygienists, and technicians. I'm doing it.

그러나, 아직까지는 치과 및 치과병원의 성장 속도에 비해, 실제 보철물을 제작하는 제작 현장의 성장이 더딘 편이다. 예를 들어, 보철물을 설계, 제작하는 덴탈 기공소에서는 숙련된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보철물 제작이 여전히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고 있다. However, compared to the growth rate of dentists and dental hospitals, the growth of actual prosthesis manufacturing sites is still slow. For example, in dental labs that design and manufacture prosthetics, manufacturing prosthetics still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due to a lack of skilled manpowe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큰 실효성 있는 대안은 도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methods have been attempted, but no effective alternative has yet been developed.

가령, 3Shape 사는 Autoworkflow라는 소프트웨어 툴을 통해 디폴트 모델 설정 방식으로 신속히 보철물을 설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나, 이는 정형적이고 이상적인 치아 구조에만 적용 가능하여 실제 임상에 활용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For example, 3Shape proposed a method to quickly design a prosthesis by setting a default model through a software tool called Autoworkflow, but this method is applicable only to orthotopic and ideal tooth structures, making it difficult to use in actual clinical practice.

다른 예로서,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보철물의 CAD 설계를 수행하는 방법도 제안되었으나, 아직 2D 오브젝트를 구현하는 수준에 머물러 실제 치과 현장에서 바로 적용하기에는 기술적 성숙도가 낮은 상황이다.As another example, a method of performing CAD design of a prosthesis through a deep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has been proposed, but it is still at the level of implementing 2D objects and is not technologically mature enough to be directly applied in actual dental sett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치아 보철물의 CAD 설계를 자동화함으로써 보철문의 제작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치아 수복을 위한 3D 보철물 제작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thr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3D prosthesis manufacturing service for dental restoration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time and cost of prosthetic doors by automating the CAD design of dental prosthesis. .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차아 보철물의 CAD 설계를 수행하되, 3D 임상치아까지 구현 가능하고 특수 치아 디자인에도 적용 가능한 치아 수복을 위한 3D 보철물 제작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thr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CAD design of dental prosthesi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rovide a 3D prosthesis manufacturing service for tooth restor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up to 3D clinical teeth and can also be applied to special tooth designs. It provides a computer program to run.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수복을 위한 3D 보철물 제작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환자의 구강을 스캔한 3D 모델링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 상기 3D 모델링 이미지를 기초로, 페이크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기; 및 상기 페이크 이미지와 실제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페이크 이미지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판별기를 포함하는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2D 치아 보철물 디자인을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2D 치아 보철물 디자인을 기초로, 제2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치아 보철물 모형을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3D prosthesis manufacturing service for tooth resto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ncludes a function of acquiring a 3D modeling image scanned of the patient's oral cavity; A generator that generates a fake image based on the 3D modeling image; and a function for generating a 2D dental prosthesis design using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cluding a discriminator that compares the fake image and the real image to determine whether the fake image is authentic. and a function of generating the dental prosthesis model using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2D dental prosthesis design.

일 실시예로서, 상기 생성기는 u-net 이미지 자동 인코더(u-net image auto encoder)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generator may include a u-net image auto encoder.

일 실시예로서, 상기 판별기는 컨벌루션 인공 신경망(Convolution Newral Network, CNN) 기반의 모델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iscriminator may be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based model.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인공지능 모델은 자동 인코더(auto encoder), 브랜쳐(brancher), 및 뉴럴 임플리시트 펑션(neural implicit function) 기반의 모델일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a model based on an auto encoder, brancher, and neural implicit function.

일 실시예로서, 상기 후보정하는 기능은 상기 치아 보철물 모형에 대한 마진 라인을 설정하는 기능, 및 상기 마진 라인에 기초하여 상기 치아 보철물 모형을 후보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post-correction function may include a function of setting a margin line for the dental prosthesis model, and a function of post-correction of the dental prosthesis model based on the margin line.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치아 보철물의 CAD 설계를 자동화함으로써 보철문의 제작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time and cost of the prosthetic door can be reduced by automating the CAD design of the dental prosthesis.

또한, 인공지능 기반으로 차아 보철물의 CAD 설계를 수행하되, 3D 임상치아까지 구현 가능하고 특수 치아 디자인에도 적용 가능한 치아 보철물 설계 및 제작 솔루션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CAD design of dental prosthesis is performe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 dental prosthesis design and manufacturing solution that can be implemented up to 3D clinical teeth and can also be applied to special tooth design can be provided.

또한, 치의학적 디자인 조건을 충족하는 고퀄리티 치아 보철물 구현이 가능해질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possible to implement high-quality dental prosthesis that meets dental design requir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보철물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S200 단계를 더욱 구체화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실시예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S300 단계를 더욱 구체화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furthe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FIG. 1.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step S200 of FIG. 1 in more detail.
Figures 4 to 6 are diagrams to further explain the embodiment of Figure 3.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step S300 of FIG. 1 in more detail.
FIG. 8 is a diagram for furthe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FIG. 7.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hardware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in whic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ntended to comple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보철물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의 치아 보철물 제작 방법은 도 15에서 후술될 컴퓨팅 장치(5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단계들에서 수행 주체가 명시되지 않은 경우, 그 수행 주체는 상기 컴퓨팅 장치(500)인 것으로 전제한다.1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of FIG. 1 may be performed by the computing device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5 . Therefore, if the performing entity is not specified in the following steps, it is assumed that the performing entity is the computing device 500.

S100 단계에서, 환자의 구강을 스캔한 3D 모델링 이미지가 획득된다.In step S100, a 3D modeling imag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is obtained.

S200 단계에서, 상기 3D 모델링 이미지를 기초로 기계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3D 모델링 이미지에 대응되는 치아 보철물 모형이 디자인된다.In step S200, a dental prosthesis model corresponding to the 3D modeling image is designed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chine-learned based on the 3D modeling image.

S300 단계에서, 상기 치아 보철물 모형을 웹 캐드를 이용하여 후보정된다.In step S300, the dental prosthesis model is post-edited using web CAD.

S400 단계에서, 상기 후보정된 치아 보철물 모형에 대응되는 치아 보철물이 출력된다.In step S400, a dental prosthesis corresponding to the post-corrected dental prosthesis model is output.

본 실시예에 대한 부연설명을 위해 도 2를 참조한다.Refer to FIG. 2 for further explanation of this embodiment.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치아 보철물 제작 방법은 4 단계의 공정(10, 20, 30, 40)을 거쳐 수행된다.FIG. 2 is a diagram for furthe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FIG. 1. Referring to Figure 2,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is performed through four steps (10, 20, 30, and 40).

제1 공정(10)에서 환자의 구강을 스캔한 3D 모델링 이미지가 획득된다. 상기 3D 모델링 이미지는 병원 단말 또는 의사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In the first process 10, a 3D modeling image obtained by scanning the patient's oral cavity is obtained. The 3D modeling image may be acquired through a hospital terminal or a doctor's user terminal.

제2 공정(20)에서 앞서 획득된 환자의 구강을 스캔한 3D 모델링 이미지를 기반으로 치아 보철물 모형이 자동으로 디자인된다. In the second process (20), a dental prosthesis model is automatically designed based on the 3D modeling image obtained by scanning the patient's oral cavity.

제3 공정(30)에서 자동 디자인된 치아 보철물 모형에 대해 웹 캐드를 이용하여 후보정 작업이 수행된다.In the third process 30, post-editing work is performed on the automatically designed dental prosthesis model using web CAD.

제4 공정(40)에서 후보정된 치아 보형물 모형을 기초로, 3D 프린터 또는 밀링기를 이용하여 실제 치아 보철물 제품이 출력된다.In the fourth process 40, an actual dental prosthesis product is printed based on the post-corrected dental prosthesis model using a 3D printer or milling machine.

도 3은 도 1의 S200 단계를 더욱 구체화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step S200 of FIG. 1 in more detail.

S210 단계에서, 3D 모델링 이미지를 기초로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2D 치아 보철물 디자인이 생성된다.In step S210, a 2D dental prosthesis design is created us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3D modeling image.

S220 단계에서, 생성된 2D 치아 보철물 디자인을 기초로 제2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치아 보철물 모형이 생성된다.In step S220, a dental prosthesis model is created using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generated 2D dental prosthesis design.

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다.Refer to FIGS. 4 to 6 for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실시예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s 4 to 6 are diagrams to further explain the embodiment of Figure 3.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a)에서 3D 모델링 이미지를 기초로 2D 모형이 렌더링된다. 그리고, 도 4의 (b)에서 2D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 학습된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2D 모형으로부터 중간 결과물이 생성된다. 그리고, 도 4의 (c)에서 2D 및 3D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 학습된 제2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중간 결과물로부터 치아 보철물 모형이 생성된다. 마지막으로 도 4의 (d)에서 생성된 치아 보철물 모형이 웹캐드 모듈로 제공된다.First, referring to FIG. 4, a 2D model is rendered based on the 3D modeling image in (a) of FIG. 4. And, in Figure 4(b), an intermediate result is generated from the 2D model us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chine-learned using 2D learning data. And, in Figure 4(c), a dental prosthesis model is created from the intermediate result using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chine-learned using 2D and 3D learning data. Lastly, the dental prosthesis model created in (d) of Figure 4 is provided as a webcad module.

한편, 상기 제1 인공지능 모델은 GAN(Genarative Adversarial Network)를 기반으로 생성된 모델일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5를 참조한다.Meanwhile,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a model created based on GAN (Genarative Adversarial Network). For a detailed explanation, refer to FIG. 5.

도 5는 제1 인공지능 모델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모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인공지능 모델은 생성기 및 판별기를 포함한다. Figure 5 is a model conceptually represent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Referring to Figure 5,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cludes a generator and a discriminator.

생성기는 가상의 2D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듈로서,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다수의 페이크 이미지를 생성한다(50). The generator is a module that generates virtual 2D data and generates multiple fake images based on input data (50).

판별기는 앞서 생성된 페이크 이미지를 실제 이미지(60)와 비교하여, 페이크 이미지의 진위 여부를 판별한다(70). The discriminator compares the previously generated fake image with the real image (60) and determines whether the fake image is genuine (70).

일 실시예로서, 생성기는 u-net 이미지 자동 인코더(u-net image auto encoder)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enerator may include a u-net image auto encoder.

일 실시예로서, 판별기는 컨벌루션 인공 신경망(Convolution Newral Network, CNN) 기반의 모델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iscriminator may be a model based on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제1 인공지능 모델은 이러한 생성기와 판별기 간 적대적 학습을 통해 구현되는 GAN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GAN 모델의 개념 및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based on the GAN model implemented through adversarial learning between the generator and discriminator. Since the specific details of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the GAN model are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heir description is omitted here.

한편, 상기 제2 인공지능 모델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인코더(auto encoder), 브랜쳐(brancher), 및 뉴럴 임플리시트 펑션(neural implicit function) 기반의 모델일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s shown in FIG. 6, may be a model based on an auto encoder, brancher, and neural implicit function.

도 7은 도 1의 S300 단계를 더욱 구체화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step S300 of FIG. 1 in more detail.

S310 단계에서, 치아 보철물 모형에 대한 마진 라인이 설정된다.In step S310, a margin line for the dental prosthesis model is set.

S320 단계에서, 상기 마진 라인에 기초하여 상기 치아 보철물 모형이 후보정된다.In step S320, the dental prosthesis model is post-corrected based on the margin line.

이에 대한 부연 설명을 위해 도 8을 참조한다.For further explanation, please refer to FIG. 8.

도 8의 좌측 이미지(80)는 사용자, 예를 들어 기공사의 판단에 의해 치아 보철물 모형에 대한 마진 라인이 설정된 형태를 도시한다.The left image 80 of FIG. 8 shows a margin line for a dental prosthesis model set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a user, for example, a dental technician.

도 8의 우측 이미지(90)는 설명된 마진 라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치아 보철물 모형이 웹캐드 상에서 최종 수정(후보정)된 형태를 도시한다.The right image 90 of FIG. 8 shows the final modification (post-correction) of the dental prosthesis model on WebCAD according to the user's judgment based on the explained margin line.

본 발명의 경우, 단일 크라운에 대한 보철물 제작 외에 브릿지 케이스에 대한 보철물 제작까지 응용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prosthesis for a bridge case in addition to the production of prosthesis for a single crown.

구체적으로, 브릿지 디자인을 위한 치아 선택 프로그램으로서, 디자인 대상 치아가 선택되면, 이를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할 수 있는 형태로 정보가 가공된다.Specifically, it is a tooth selection program for bridge design. Once the design target tooth is selected, the information is processed into a form that can be input into a deep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이후, 앞서 설명한 제1 인공지능 모델 및 제2 인공지능 모델을 변형하여 보철물 제작 알고리즘에 적용한다.Afterwards,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described above are modified and applied to the prosthesis manufacturing algorithm.

구체적으로, 제1 인공지능 모델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를 적합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수정, 학습시킨다.Specifically, for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dditional information can be input and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modified and learned in a form so that it can be processed appropriately.

다음으로, 제2 인공지능 모델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받고 이 정보가 연산을 거치며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형태로 제2 인공지능 모델을 수정, 학습시킨다.Next, for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dditional information is input, and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modified and trained in a way to prevent this information from being damaged during calculation.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기존 단일 크라운을 대상으로 고안된 보철물 제작 방법을 브릿지 케이스로 용이하게 확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method, the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designed for existing single crowns can be easily expanded to bridge cases.

이상에서 설명한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치아 보철물의 CAD 설계를 자동화함으로써 보철문의 제작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으로 차아 보철물의 CAD 설계를 수행하되, 3D 임상치아까지 구현 가능하고 특수 치아 디자인에도 적용 가능한 치아 보철물 설계 및 제작 솔루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치의학적 디자인 조건을 충족하는 고퀄리티 치아 보철물 구현이 가능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manufacturing time and cost of the prosthetic door can be reduced by automating the CAD design of the dental prosthesis. In addition, a CAD design of dental prosthesis is performe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 dental prosthesis design and manufacturing solution that can be implemented up to 3D clinical teeth and can also be applied to special tooth design can be provided. In addition, it may be possible to implement high-quality dental prosthesis that meets dental design requirements.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보철물 제작 방법이 구현되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5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n exemplary computing device 500 in which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도 9는 컴퓨팅 장치(500)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9 is an exemplary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mputing device 500.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0), 버스(550), 통신 인터페이스(570), 프로세서(5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530)와, 컴퓨터 프로그램(591)를 저장하는 스토리지(5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computing device 500 loads one or more processors 510, a bus 550, a communication interface 570, and a computer program 591 performed by the processor 510. It may include a memory 530 that stores a computer program 591 and a storage 590 that stores a computer program 591. However, only components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Figure 9. Accordingl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see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other than those shown in FIG. 9 may be further included.

프로세서(510)는 컴퓨팅 장치(5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5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1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The processor 5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500. The processor 510 is at least one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icro Processor Unit (MPU), Micro Controller Unit (MCU), Graphic Processing Unit (GPU), or any type of processor well known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dditionally, the processor 510 may perform operations on at least one application or program to execute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uting device 500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메모리(5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53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59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591)을 로드(load) 할 수 있다. 메모리(530)의 예시는 RAM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emory 530 stores various data, commands and/or information. The memory 530 may load one or more programs 591 from the storage 590 to execute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the memory 530 may be RA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버스(550)는 컴퓨팅 장치(5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55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Bus 550 provides communication functionality between components of computing device 500. The bus 550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buses, such as an address bus, a data bus, and a control bus.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컴퓨팅 장치(5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570 supports wired and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500. The communication interface 570 may support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other than Internet communication.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57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스토리지(59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59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torage 590 may non-transitory store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591. The storage 590 i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or a devic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y known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 프로그램(59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591)이 메모리(530)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5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puter program 591 may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implementing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uter program 591 is loaded into the memory 530, the processor 510 can perform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produced as a program to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and magnetic tape. ,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etc.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환자의 구강을 스캔한 3D 모델링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
상기 3D 모델링 이미지를 기초로, 페이크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기; 및 상기 페이크 이미지와 실제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페이크 이미지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판별기를 포함하는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2D 치아 보철물 디자인을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2D 치아 보철물 디자인을 기초로, 제2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치아 보철물 모형을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치아 수복을 위한 3D 보철물 제작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bility to acquire 3D modeling images scanned of the patient's oral cavity;
A generator that generates a fake image based on the 3D modeling image; and a function for generating a 2D dental prosthesis design using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cluding a discriminator that compares the fake image and the real image to determine whether the fake image is authentic. and
A function of generating the dental prosthesis model using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2D dental prosthesis design; including;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3D prosthesis fabrication services for dental restor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보철물 모형을 생성하는 기능 후,
상기 치아 보철물 모형을 웹 캐드를 이용하여 후보정하는 기능; 및
상기 후보정된 치아 보철물 모형에 대응되는 치아 보철물을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치아 수복을 위한 3D 보철물 제작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function of creating the dental prosthesis model,
A function to post-edit the dental prosthesis model using web CAD; and
Further comprising a function of outputting a dental prosthesis corresponding to the post-corrected dental prosthesis model.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3D prosthesis fabrication services for dental restor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u-net 이미지 자동 인코더(u-net image auto encoder)를 포함하는,
치아 수복을 위한 3D 보철물 제작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ccording to claim 1,
The generator is,
Including a u-net image auto encoder,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3D prosthesis fabrication services for dental restor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기는,
컨벌루션 인공 신경망(Convolution Newral Network, CNN) 기반의 모델인,
치아 수복을 위한 3D 보철물 제작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riminator is,
A model based on a convolutional artificial neural network (CNN),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3D prosthesis fabrication services for dental restor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공지능 모델은,
자동 인코더(auto encoder), 브랜쳐(brancher), 및 뉴럴 임플리시트 펑션(neural implicit function) 기반의 모델인,
치아 수복을 위한 3D 보철물 제작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A model based on auto encoder, brancher, and neural implicit function,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3D prosthesis fabrication services for dental restora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정하는 기능은,
상기 치아 보철물 모형에 대한 마진 라인을 설정하는 기능; 및
상기 마진 라인에 기초하여 상기 치아 보철물 모형을 후보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치아 수복을 위한 3D 보철물 제작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ccording to clause 2,
The post-editing function above is,
A function to set a margin line for the dental prosthesis model; and
Including a function of post-correction of the dental prosthesis model based on the margin line,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3D prosthesis fabrication services for dental restoration.
KR1020220061206A 2022-05-19 2022-05-19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3D prosthesis fabrication service for dental restorations KR202301616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206A KR20230161625A (en) 2022-05-19 2022-05-19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3D prosthesis fabrication service for dental restor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206A KR20230161625A (en) 2022-05-19 2022-05-19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3D prosthesis fabrication service for dental restor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625A true KR20230161625A (en) 2023-11-28

Family

ID=8895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206A KR20230161625A (en) 2022-05-19 2022-05-19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3D prosthesis fabrication service for dental restora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62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1732B2 (en) Systems and methods of managing customized run display elements with treatment templates based on treatment domain-specific protocols
JP5848342B2 (en) Custom-made treatment caps for dental implants, and their design and manufacturing methods
WO2020231984A1 (en) Visual presentation of gingival line generated based on 3d tooth model
US8200462B2 (en) Dental appliances
JP2023526134A (en) Generation and Placement of Neural Network-Based Dental Appliances for Tooth Restoration
JP2017006658A (en) Generating design for dental restorative product from dental images
JP2022547857A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on-the-fly automated design of customized dental objects
EP2958517A1 (en) Patient-specific dental prosthesis and gingival contouring developed by predictive modeling
KR102292872B1 (en) Method for designing prosthetic material and apparatus thereof
JP2024031920A (e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stores a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prosthesis from three-dimensional scan data and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is method.
KR20230161625A (en)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3D prosthesis fabrication service for dental restorations
KR20230162819A (e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sthesis production program fo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ental restoration
KR20230161626A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generating a dental prosthesis model
KR20230161624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ental prosthesis
KR20230162818A (en)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dental prosthesis fabrication service
KR20230161627A (en) Method for fabricating a dental prosthesis based on 3D oral data
KR20230161623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dental prosthesis
KR20230162820A (en) A dental prosthesis manufacturing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implementing the system
KR102313749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forming Color of Computerized Tomography Images on Oral Cavit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4537389B2 (en) CAD system for dental prosthesis
KR102512005B1 (en) Automated method for aligning three dimensional single dental model to three dimensional oral scan data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474298B1 (en) Method for designing prosthetic model and apparatus thereof
US20240033053A1 (en) Integrated tissue management solutions in orthodontic aligners
WO2023094866A1 (en) Anatomy driven computer-aided design and manufacture of dental restorations for treatment of dental pathologies
Hanson Something to smile about: 3D graphics are revolutionizing oral health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