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486A - Power unit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 Google Patents

Power unit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486A
KR20230161486A KR1020237036607A KR20237036607A KR20230161486A KR 20230161486 A KR20230161486 A KR 20230161486A KR 1020237036607 A KR1020237036607 A KR 1020237036607A KR 20237036607 A KR20237036607 A KR 20237036607A KR 20230161486 A KR20230161486 A KR 20230161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put
switch
voltag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66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츠나리 아오야마
히로시 카와나고
토루 나가하마
타카시 후지키
료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61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486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컨트롤러의 재기동을 안정하여 실시한다. 흡인기(100)는, 전원(BAT)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소비하여 로드(500)를 가열하는 히터(HTR)가 접속되는 히터 커넥터(Cn)와, 전원(BAT)으로부터 히터(HTR)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동작하기 위한 전력이 입력되는 전원 단자(VDD)를 포함하는 MCU(1)와, 전원(BAT)과 MCU(1)의 전원 단자(VDD)를 접속하는 LSW(4)와, LSW(4)의 개폐를 제어 가능한 스위치 드라이버(7)를 구비하고, 스위치 드라이버(7)는, 재기동 조건이 충족되면 LSW(4)를 여는 제1 조작을 실행하고, 이 제1 조작의 실행 후에 LSW(4)를 닫는 제2 조작을 실행한다.Restart the controller safely. The suction device 100 has a heater connector Cn to which a heater HTR that heats the rod 500 by consuming power supplied from a power source BAT is connected, and a heater connector Cn of power from the power source BAT to the heater HTR. An MCU (1) configured to control supply and including a power terminal (VDD) through which power for operation is input, and an LSW (4) connecting the power supply (BAT) and the power terminal (VDD) of the MCU (1). ) and a switch driver 7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SW 4, wherein the switch driver 7 performs a first operation of opening the LSW 4 when a restart condition is met, and this first operation After execution of , a second operation is performed to close LSW(4).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Power unit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unit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특허문헌 1에는, 리셋 조작에 의해, 이용자에 의해 변경된 변수 및 파라미터를 공장 출하시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전자식 흡입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describes an electronic suction device that can return variables and parameters changed by the user to the factory default state through a reset operation.

특허문헌 2에는, e 시가렛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에러 상태가 사용자에게 신호된 경우에, 리셋 버튼을 압압(押壓)할 필요성이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describes the necessity of pressing the reset button in an e-cigarette when an error state is signaled to the user through a user interface.

특허문헌 3에는, 버튼이 길게 눌림으로써 리셋(초기화 설정) 작동을 실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3 describe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performs a reset (initialization setting) operation by pressing and holding a button.

특허문헌 4에는, 에어로졸 송달 장치에 있어서, 제어 구성 요소, 또는 그 위에서 움직이고 있는 소프트웨어가 불안정하게 된 상태가 계속되는 경우에, 장치를 자동적으로 리셋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4 describes an aerosol delivery device that automatically resets the device when the control component or the software running on it continues to become unstable.

특허문헌 5에는, 전자 담배와 통신 가능한 스마트폰에 의해, 전자 담배의 리셋을 실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5 describes resetting an electronic cigarette using a smartphon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cigarette.

특허문헌 6에는, 리셋 순서가 실행될 때까지, 흡입 장치를 항구적으로 사용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6 describes permanently disabling the suction device until a reset sequence is performed.

특허문헌 7에는, 흡연 장치의 보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이 기구는, 흡연 장치의 소프트웨어 리셋을 실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Patent Document 7 describes a mechanism for providing maintenance services for smoking devices. This mechanism is configured to enable software reset of the smoking device.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9-187428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9-187428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표2020-518250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20-518250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표2020-527053호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20-527053 특허문헌 4: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표2020-527945호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20-527945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 제6770579호Patent Document 5: Japanese Patent No. 6770579 특허문헌 6: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표2017-538408호Patent Document 6: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7-538408 특허문헌 7: 일본국 특허 제6752220호Patent Document 7: Japanese Patent No. 6752220

본 발명의 목적은, 컨트롤러의 재기동을 안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unit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can safely restart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은,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소비하여 에어로졸원(源)을 가열하는 히터가 접속되는 히터 커넥터와,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히터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동작하기 위한 전력이 입력되는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전원과 상기 컨트롤러의 전원 단자를 접속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 가능한 재기동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재기동 회로는, 재기동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스위치를 여는 제1 조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조작의 실행 후에 상기 스위치를 닫는 제2 조작을 실행하는, 것이다.The power supply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ource, a heater connector to which a heater that consumes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to heat the aerosol source is connecte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supply of power to the heater and including a power terminal through which power for operation is input, a switch connecting the power supply and the power terminal of the controller, and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switch. and a capable restart circuit, wherein the restart circuit executes a first operation of opening the switch when a restart condition is met, and executes a second operation of closing the switch after execution of the first oper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러의 재기동을 안정하여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ler restart can be performed stably.

[도 1] 비연소식 흡인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로드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비연소식 흡인기의 사시도이다.
[도 3] 비연소식 흡인기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4] 비연소식 흡인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비연소식 흡인기의 내부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 도 5의 내부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전원 및 새시를 제거한 내부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 전원 및 새시를 제거한 내부 유닛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9] 흡인기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 내부 유닛의 전기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부 유닛의 전기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부 유닛의 전기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슬립 모드에 있어서의 전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액티브 모드에 있어서의 전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가열 초기 설정 모드에 있어서의 전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가열 모드에 있어서의 히터의 가열시의 전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가열 모드에 있어서의 히터의 온도 검출시의 전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충전 모드에 있어서의 전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MCU의 리셋(재기동) 시의 전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충전 IC의 내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도 10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 중, 리셋 동작과 관계있는 주요한 전자 부품을 골라 나타낸 요부(要部) 회로도이다.
[도 22] 도 1에 나타내는 흡인기의 케이스 서미스터를 통과하는 절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Figure 1] A perspective view of a non-combustion type aspirator.
[Figure 2] A perspective view of a non-combustion type aspirator showing the rod-mounted state.
[Figure 3]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 non-combustion type aspirator.
[Figure 4]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n-combustion type aspirator.
[Figure 5]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unit of a non-combustion type aspirator.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unit of Figure 5.
[Figure 7]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unit with the power source and chassis removed.
[Figure 8]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unit with the power source and chassis removed.
[Figure 9] A schematic diagram to explain the operation mode of the aspirator.
[FIG. 10]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circuit of the internal unit.
[FIG. 11]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circuit of the internal unit.
[FIG. 12]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circuit of the internal unit.
[FIG. 13]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ic circuit in sleep mode.
[FIG. 14]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ic circuit in active mode.
[FIG. 15]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ircuit in the heating initial setting mode.
[FIG. 16]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ircuit when heating the heater in the heating mode.
[FIG. 17]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ircuit when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in the heating mode.
[FIG. 18]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ic circuit in charging mode.
[FIG. 19] This is a diagram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ircuit when resetting (restarting) the MCU.
[FIG. 20]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IC.
[FIG. 21] A schematic circuit diagram showing major electronic components related to the reset operation among the electric circuits shown in FIG. 10.
[FIG. 22]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cutting surface passing through the case thermistor of the suction device shown in FIG. 1.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인 흡인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흡인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전원 유닛의 일 실시 형태인 비연소식 흡인기(100)(이하, 단지, 「흡인기(100)」라고도 한다)와, 흡인기(100)에 의해 가열되는 로드(500)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흡인기(100)가, 가열부를 착탈 불능하게 수용한 구성을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흡인기(100)에 대하여 가열부가 착탈 자재(自在)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로드(500)와 가열부가 일체화된 것을, 흡인기(100)에 착탈 자재로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즉,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은, 구성 요소로서 가열부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착탈 불능이란, 상정되는 용도의 한에서, 분리를 실시할 수 없는 태양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또는, 흡인기(100)에 설치되는 유도 가열용 코일과, 로드(500)에 내장되는 서셉터가 협동하여 가열부를 구성해도 된다.Hereinafter, a suction system,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is suction system includes a non-combustion type suction device 100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suction device 10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ow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od 500 heated by the suction device 100. Equipped wi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ction device 100 non-detachably accommodates the heat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heating portion of the suction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be removable. For example, the rod 500 and the heating unit may be integrated into the suction device 100 in a removable manner. That is, the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be configured not to include a heating unit as a component. In addition, non-detachable refers to an aspect in which separation cannot be performed within the scope of the intended use. Alternatively, the induction heating coil installed in the suction device 100 and the susceptor built into the rod 500 may cooperate to form a heating unit.

도 1은, 흡인기(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로드(500)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흡인기(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흡인기(100)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4는, 흡인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서로 직교하는 3방향을, 편의상,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상하 방향으로 한, 3차원 공간의 직교 좌표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전방을 Fr, 후방을 Rr, 우측을 R, 좌측을 L, 상방(上方)을 U, 하방(下方)을 D, 로 하여 나타낸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uction device 100.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device 100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d 500 is mounted. Figure 3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device 100.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device 100.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the three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are explained using a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in a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the directions are forward-backward, left-right, and up-down. In the drawing, the front is indicated by Fr, the rear is indicated by Rr, the right is indicated by R, the left is indicated by L, upward is indicated by U, and downward is indicated by D.

흡인기(100)는, 에어로졸원 및 향미원(香味源)을 포함하는 충전물 등을 가지는 향미 성분 생성 기재(基材)의 일례로서의 가늘고 긴 대략 원주상(圓柱狀)의 로드(500)(도 2 참조)를 가열함으로써, 향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The aspirator 100 is an elongated, substantially cylindrical rod 500 (FIG. 2) as an example of a flavor component generating base having an aerosol source and a filling containing a flavor source.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aerosol containing flavor by heating (see reference).

<향미 성분 생성 기재(로드)><Flavor ingredient generation base (load)>

로드(500)는, 소정 온도로 가열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원을 함유하는 충전물을 포함한다.Rod 500 includes a charge containing an aerosol source that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generate an aerosol.

에어로졸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의 천연물로부터의 추출 물질 및/또는 그들의 구성 성분을 선택할 수 있다. 에어로졸원은, 고체여도 되고, 예를 들면, 글라이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과 같은 다가 알코올이나, 물 등의 액체여도 된다. 에어로졸원은, 가열함으로써 향미 성분을 방출하는 담배 원료나 담배 원료 유래의 추출물 등의 향미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향미 성분이 부가되는 기체는 에어로졸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보이지 않는 증기가 생성되어도 된다.The type of aerosol sour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tracts from various natural products and/or their constituent components can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he aerosol source may be a solid, for example, a polyhydric alcohol such as glycerin or propylene glycol, or a liquid such as water. The aerosol source may contain a flavor source such as tobacco raw materials or extracts derived from tobacco raw materials that release flavor components when heated. The gas to which the flavor component is added is not limited to aerosol, and for example, invisible vapor may be generated.

로드(500)의 충전물은, 향미원으로서 담배살을 함유할 수 있다. 담배살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라미나나 중골 등의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충전물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향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해당 향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양호한 끽미(喫味) 부여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멘톨이다. 향미원은,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면, 민트, 한방(漢方), 또는 허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용도에 따라서는, 로드(500)는 향미원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The filling of the rod 500 may contain tobacco flesh as a flavor source. The material of the tobacco fles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known materials such as lamina and core can be used. The filling may contain one or two or more types of fragrance. The type of the fragran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the viewpoint of providing a good taste, menthol is preferred. The flavor source may contain plants other than tobacco (for example, mint, oriental medicine, or herbs).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the rod 500 may not include a flavor source.

<비연소식 흡인기의 전체 구성><Overall composition of non-combustion type aspirator>

이어서, 흡인기(100)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도 1~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Nex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uction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흡인기(100)는, 전면, 후면, 좌면, 우면, 상면, 및 하면을 구비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110)를 구비한다. 케이스(110)는,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및 우면이 일체로 형성된 바닥이 있는 통상(筒狀)의 케이스 본체(112)와, 케이스 본체(112)의 개구부(114)(도 4 참조)를 봉지(封止)하여 좌면을 구성하는 아우터 패널(115) 및 이너 패널(118)과, 슬라이더(119)를 구비한다.The suction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case 110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front, rear, left, right,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case 110 includes a regular case body 112 with a bottom in which the front, rear, top, bottom, and right sides are integrally formed, and an opening 114 of the case body 112 (see FIG. 4). ) is sealed and is provided with an outer panel 115 and an inner panel 118 that constitute the seating surface, and a slider 119.

이너 패널(118)은, 케이스 본체(112)에 볼트(120)로 고정된다. 아우터 패널(115)은, 케이스 본체(112)에 수용된 후술하는 새시(150)(도 5 참조)에 보지(保持, 보유 지지)된 마그넷(124)에 의해, 이너 패널(118)의 외면을 덮도록 케이스 본체(112)에 고정된다. 아우터 패널(115)이, 마그넷(124)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유저는 기호에 맞추어 아우터 패널(115)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inner panel 118 is fixed to the case body 112 with bolts 120. The outer panel 115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anel 118 by a magnet 124 held in a later-described chassis 150 (see FIG. 5) accommodated in the case body 112. It is fixed to the case body 112. By fixing the outer panel 115 with the magnet 124, the user can replace the outer panel 115 according to his/her preference.

이너 패널(118)에는, 마그넷(124)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2개의 관통 구멍(126)이 설치된다. 이너 패널(118)에는, 상하에 배치된 2개의 관통 구멍(126)의 사이에, 또한 세로로 긴 긴 구멍(127) 및 원형의 둥근 구멍(128)이 설치된다. 이 긴 구멍(127)은, 케이스 본체(112)에 내장된 8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L1~L8)로부터 출사(出射)되는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둥근 구멍(128)에는, 케이스 본체(112)에 내장된 버튼식의 조작 스위치(OPS)가 관통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아우터 패널(115)의 LED 창(窓)(116)을 통하여 8개의 LED(L1~L8)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아우터 패널(115)의 압압부(押壓部)(117)를 통하여 조작 스위치(OPS)를 압하(壓下)할 수 있다.The inner panel 118 is provided with two through holes 126 formed to allow the magnet 124 to pass through. In the inner panel 118, a vertically elongated hole 127 and a circular round hole 128 are provided between the two through holes 126 arranged above and below. This long hole 127 is for transmitting light emitted from eight LEDs (Light Emitting Diodes) (L1 to L8) built into the case body 112. A button-type operation switch (OPS) built into the case body 112 passes through the round hole 128. As a result, the user can det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eight LEDs (L1 to L8) through the LED window 116 of the outer panel 115. Additionally, the user can press down on the operation switch (OPS) through the pressing portion 117 of the outer panel 115.

도 2에 나타내듯이, 케이스 본체(112)의 상면에는, 로드(500)를 삽입 가능한 개구(開口)(132)가 설치된다. 슬라이더(119)는, 개구(132)를 닫는 위치(도 1 참조)와 개구(132)를 개방하는 위치(도 2 참조)의 사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케이스 본체(112)에 결합된다.As shown in FIG. 2, an opening 132 through which a rod 500 can be inserte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body 112. The slider 119 is coupled to the case body 112 so as to be able to move in the front-back direction between a position that closes the opening 132 (see FIG. 1) and a position that opens the opening 132 (see FIG. 2). .

조작 스위치(OPS)는, 흡인기(100)의 각종 조작을 실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유저는, 도 2에 나타내듯이 로드(500)를 개구(132)에 삽입하여 장착한 상태로, 압압부(117)를 통하여 조작 스위치(OPS)를 조작한다. 이에 의해, 가열부(170)(도 5 참조)에 의해, 로드(500)를 연소시키지 않고 가열한다. 로드(500)가 가열되면, 로드(500)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으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되고, 로드(500)에 포함되는 향미원의 향미가 해당 에어로졸에 부가된다. 유저는, 개구(132)로부터 돌출된 로드(500)의 흡구(吸口)(502)를 물고 흡인함으로써, 향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흡인할 수 있다.The operation switch (OPS) is used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of the suction device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OPS) through the pressing portion 117 while inserting and mounting the rod 500 into the opening 132. As a result, the rod 500 is heated by the heating unit 170 (see FIG. 5) without burning it. When the rod 500 is heated, an aerosol is generated from the aerosol source included in the rod 500, and the flavor of the flavor source included in the rod 500 is added to the aerosol. The user can inhale the aerosol containing the flavor by holding the mouth 502 of the rod 500 protruding from the opening 132 and sucking it in.

케이스 본체(112)의 하면에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콘센트나 모바일 배터리 등의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력 공급을 받기 위한 충전 단자(134)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충전 단자(134)는, USB(Universal Serial Bus) Type-C 형상의 리셉터클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충전 단자(134)를, 이하에서는, 리셉터클(RCP)이라고도 기재한다.As shown in FIG. 3 , a charging terminal 134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body 112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an external power source such as an outlet or a mobile battery to receive power supply. In this embodiment, the charging terminal 134 is a USB (Universal Serial Bus) Type-C receptacle, but is not limited to this. The charging terminal 134 i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receptacle (RCP).

또한, 충전 단자(134)는, 예를 들면, 수전(受電) 코일을 구비하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송전되는 전력을 비접촉으로 수전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의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의 방식은, 전자 유도형이어도 되고, 자기 공명형이어도 되고, 전자 유도형과 자기 공명형을 조합 것이어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충전 단자(134)는, 각종 USB 단자 등이 접속 가능하고, 또한 상술한 수전 코일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charging terminal 134 may, for example, be provided with a power receiving coil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receive power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in a non-contact manner. The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in this case may b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a magnetic resonance type, or a combination of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and the magnetic resonance type. As another example, the charging terminal 134 can be connected to various USB terminals and the like, and may also have the power receiving coil described above.

도 1~도 4에 나타나는 흡인기(100)의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흡인기(100)는, 로드(500)를 보지하여 예를 들면 가열 등의 작용을 가함으로써, 로드(500)로부터 향미 성분이 부여된 기체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기체를 유저가 흡인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aspirator 100 shown in FIGS. 1 to 4 is only an example. The aspirator 100 holds the rod 500 and applies an action, such as heating, to generate gas to which a flavor component is added from the rod 500, and allows the user to inhale the generated gas. I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비연소식 흡인기의 내부 구성><Internal configuration of non-combustion type aspirator>

흡인기(100)의 내부 유닛(140)에 대하여 도 5~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The internal unit 140 of the aspirator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도 5는, 흡인기(100)의 내부 유닛(14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내부 유닛(14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전원(BAT) 및 새시(150)를 제거한 내부 유닛(14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전원(BAT) 및 새시(150)를 제거한 내부 유닛(140)의 다른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unit 140 of the aspirator 100.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unit 140 of FIG. 5.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unit 140 with the power source (BAT) and chassis 150 removed. Figure 8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unit 140 with the power source (BAT) and chassis 150 removed.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내부 유닛(140)은, 새시(150)와, 전원(BAT)과, 회로부(160)와, 가열부(170)와, 통지부(180)와, 각종 센서를 구비한다.The internal unit 140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110 includes a chassis 150, a power source (BAT), a circuit unit 160, a heating unit 170, a notification unit 180, and various Equipped with a sensor.

새시(15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설(延設)된 판상(板狀)의 새시 본체(151)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 또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전후 분할벽(152)과,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전후 분할벽(152)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상하 분할벽(153)과, 전후 분할벽(152) 및 새시 본체(151)의 상연부(上緣部)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새시 상벽(上壁)(154)과, 전후 분할벽(152) 및 새시 본체(151) 하연부(下緣部)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새시 하벽(下壁)(155)을 구비한다. 새시 본체(151)의 좌면은, 전술한 케이스(110)의 이너 패널(118) 및 아우터 패널(115)에 덮인다.The sash 150 includes a plate-shaped sash body 151 dispos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1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case 110, there is a plate-shaped front and rear dividing wall 152 dispos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internal space and exten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extending forward from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dividing walls 152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plate-shaped upper and lower dividing walls 153, front and rear dividing walls 152, and a plate-shaped sash upper wall 154 extending rearward from the upper edge of the sash main body 151, and front and rear division walls 154, It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152 and a plate-shaped lower sash wall 155 extending rearward from the lower edge of the sash body 151. The seating surface of the chassis body 151 is covered by the inner panel 118 and the outer panel 115 of the case 110 described above.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은, 새시(150)에 의해 전방 상부에 가열부 수용 영역(142)이 구획 형성되고, 전방 하부에 기판 수용 영역(144)이 구획 형성되고, 후방에 상하 방향에 걸쳐 전원 수용 공간(146)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110 is divided into a heater receiving area 142 at the front upper part by the chassis 150, a substrate receiving area 144 at the front lower part, and a vertical space at the rear. The power receiving space 146 is partitioned.

가열부 수용 영역(142)에 수용되는 가열부(170)는, 복수의 통상의 부재로 구성되고, 이들이 동심원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통상체를 이루고 있다. 가열부(170)는, 그 내부에 로드(500)의 일부를 수납 가능한 로드 수용부(172)와, 로드(500)를 외주 또는 중심으로부터 가열하는 히터(HTR)(도 10~도 19 참조)를 가진다. 로드 수용부(172)가 단열재로 구성, 또는, 로드 수용부(172)의 내부에 단열재가 설치됨으로써, 로드 수용부(172)의 표면과 히터(HTR)는 단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HTR)는, 로드(500)를 가열 가능한 소자이면 된다. 히터(HTR)는, 예를 들면, 발열 소자이다. 발열 소자로서는, 발열 저항체, 세라믹 히터, 및 유도 가열식의 히터 등을 들 수 있다. 히터(HTR)로서는, 예를 들면, 온도의 증가에 따라 저항값도 증가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를 대신하여, 온도의 증가에 따라 저항값이 저하하는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을 가지는 히터(HTR)를 사용해도 된다. 가열부(170)는, 로드(500)에 공급하는 공기의 유로를 획정(劃定)하는 기능, 및 로드(500)를 가열하는 기능을 가진다. 케이스(110)에는,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통기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가열부(170)에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heating unit 170 accommodated in the heating unit accommodation area 14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gular members, and these are arranged concentrically to form a cylindrical body as a whole. The heating unit 170 includes a rod receiving unit 172 capable of storing a part of the rod 500 therein, and a heater (HTR) that heats the rod 500 from the outer periphery or the center (see FIGS. 10 to 19). has It is preferable that the rod accommodating part 172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or that an insulating material is installed inside the rod accommodating part 172 to insulate the surface of the rod accommodating part 172 and the heater HTR. The heater HTR may be any element capable of heating the rod 500. The heater HTR is, for example, a heat generating element. Examples of heating elements include heating resistors, ceramic heaters, and induction heating type heaters. As a heater (HTR), for example, one having a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characteristic in which the resistance value increases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is preferably used. Instead of this, a heater (HTR) having NTC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characteristics where the resistance value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may be used. The heating unit 170 has a function of defining a flow path of air supplied to the rod 500 and a function of heating the rod 500. A vent (not shown) for introducing air is formed in the case 110, and is configured to allow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heating unit 170.

전원 수용 공간(146)에 수용되는 전원(BAT)은, 충전 가능한 이차 전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리튬이온 이차 전지이다. 전원(BAT)의 전해질은, 겔상의 전해질, 전해액, 고체 전해질, 이온 액체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power source (BAT) accommodated in the power source accommodation space 146 is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tc., and is preferably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The electrolyte of the power source (BAT) may be composed of one or a combination of a gel electrolyte, an electrolyte solution, a solid electrolyte, and an ionic liquid.

통지부(180)는, 전원(BAT)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SOC(State Of Charge), 흡인시의 예열 시간, 흡인 가능 기간 등의 각종 정보를 통지한다. 본 실시 형태의 통지부(180)는, 8개의 LED(L1~L8)와, 진동 모터(M)를 포함한다. 통지부(180)는, LED(L1~L8)와 같은 발광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진동 모터(M)와 같은 진동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음(音) 출력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통지부(180)는, 발광 소자, 진동 소자, 및 음 출력 소자 중, 2 이상의 소자의 조합이어도 된다.The notification unit 180 notifi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SOC (State Of Charge) indicat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power source (BAT), preheating time during suction, and suction possible period. The notification unit 18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eight LEDs (L1 to L8) and a vibration motor (M). The notification unit 180 may be comprised of a light-emitting element such as LEDs (L1 to L8), may be comprised of a vibration element such as the vibration motor M, or may be comprised of a sound output element. You can stay. The notification unit 180 may be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elements among a light emitting element, a vibration element, and a sound output element.

각종 센서는, 유저의 퍼프 동작(흡인 동작)을 검출하는 흡기(吸氣) 센서, 전원(BAT)의 온도를 검출하는 전원 온도 센서, 히터(HTR)의 온도를 검출하는 히터 온도 센서, 케이스(110)의 온도를 검출하는 케이스 온도 센서, 슬라이더(119)의 위치를 검출하는 커버 위치 센서, 및 아우터 패널(115)의 착탈을 검출하는 패널 검출 센서 등을 포함한다.Various sensors include an intake sensor that detects the user's puff movement (suction movement), a power supply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power supply (BAT), a heater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and a case ( 110), a cover position sensor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slider 119, and a panel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outer panel 115.

흡기 센서는, 예를 들면, 개구(132)의 근방에 배치된 서미스터(T2)를 주체(主體)로 구성된다. 전원 온도 센서는, 예를 들면, 전원(BAT)의 근방에 배치된 서미스터(T1)를 주체로 구성된다. 히터 온도 센서는, 예를 들면, 히터(HTR)의 근방에 배치된 서미스터(T3)를 주체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드 수용부(172)는 히터(HTR)로부터 단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서미스터(T3)는, 로드 수용부(172)의 내부에 있어서, 히터(HTR)와 접하는 또는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HTR)가 PTC 특성이나 NTC 특성을 가지는 경우, 히터(HTR) 그 자체를 히터 온도 센서로 사용해도 된다. 케이스 온도 센서는, 예를 들면, 케이스(110)의 좌면의 근방에 배치된 서미스터(T4)를 주체로 구성된다. 서미스터(T4)는, 케이스(110)와 접하는 또는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위치 센서는, 슬라이더(119)의 근방에 배치된 홀 소자를 포함하는 홀 IC(14)를 주체로 구성된다. 패널 검출 센서는, 이너 패널(118)의 내측의 면의 근방에 배치된 홀 소자를 포함하는 홀 IC(13)를 주체로 구성된다.The intake sensor is mainly composed of a thermistor T2 disposed near the opening 132,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temperature sensor is mainly composed of, for example, a thermistor T1 disposed near the power supply BAT. The heater temperature sensor is mainly composed of, for example, a thermistor T3 disposed near the heater HTR. As described above, the rod receiving portion 172 is preferably insulated from the heater HTR. In this case, the thermistor T3 is preferably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heater HTR inside the load receiving portion 172. If the heater (HTR) has PTC characteristics or NTC characteristics, the heater (HTR) itself may be used as a heater temperature sensor. The case temperature sensor is mainly composed of a thermistor T4 disposed near the seating surface of the case 110, for example. The thermistor T4 is preferably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case 110. The cover position sensor is mainly composed of a Hall IC 14 including a Hall element disposed near the slider 119. The panel detection sensor is mainly composed of a Hall IC 13 including a Hall element disposed near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anel 118.

회로부(160)는, 4개의 회로 기판과, 복수의 IC(Integrate Circuit)와, 복수의 소자를 구비한다. 4개의 회로 기판은, 주로 후술의 MCU(Micro Controller Unit)(1) 및 충전 IC(2)가 배치된 MCU 탑재 기판(161)과, 주로 충전 단자(134)가 배치된 리셉터클 탑재 기판(162)과, 조작 스위치(OPS), LED(L1~L8), 및 후술의 통신 IC(15)가 배치된 LED 탑재 기판(163)과, 커버 위치 센서를 구성하는 홀 소자를 포함하는 후술의 홀 IC(14)가 배치된 홀 IC 탑재 기판(164)을 구비한다.The circuit unit 160 includes four circuit boards, a plurality of ICs (Integrate Circuits), and a plurality of elements. The four circuit boards are an MCU mounting board 161 on which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1 and a charging IC 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mainly placed, and a receptacle mounting board 162 on which a charging terminal 134 is mainly placed. and an LED mounting board 163 on which an operation switch (OPS), LEDs (L1 to L8), and a communication IC 15 described later are arranged, and a Hall IC (described later) including a Hall element constituting a cover position sensor. 14) is provided with a hole IC mounting board 164 arranged thereon.

MCU 탑재 기판(161) 및 리셉터클 탑재 기판(162)은, 기판 수용 영역(144)에 있어서 서로 평행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MCU 탑재 기판(161) 및 리셉터클 탑재 기판(162)은, 각각의 소자 배치면이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MCU 탑재 기판(161)이 리셉터클 탑재 기판(162)보다도 전방에 배치된다. MCU 탑재 기판(161) 및 리셉터클 탑재 기판(162)에는, 각각 개구부가 설치된다. MCU 탑재 기판(161) 및 리셉터클 탑재 기판(162)은, 이들 개구부의 주연부(周緣部)끼리의 사이에 원통형의 스페이서(173)를 개재시킨 상태로 전후 분할벽(152)의 기판 고정부(156)에 볼트(136)로 체결된다. 즉, 스페이서(173)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있어서의 MCU 탑재 기판(161) 및 리셉터클 탑재 기판(162)의 위치를 고정하고, 또한, MCU 탑재 기판(161)과 리셉터클 탑재 기판(162)을 기계적으로 접속한다. 이에 의해, MCU 탑재 기판(161)과 리셉터클 탑재 기판(162)이 접촉하고, 이들의 사이에 단락(短絡)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MCU mounting board 161 and the receptacle mounting board 162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board receiving area 144. Specifically, the MCU mounting board 161 and the receptacle mounting board 162 have their respective element placement surfaces arranged along the left-right and up-down directions, and the MCU mounting board 161 is longer than the receptacle mounting board 162. deployed at the front. Openings are provided in the MCU mounting board 161 and the receptacle mounting board 162, respectively. The MCU mounting board 161 and the receptacle mounting board 162 are connected to the substrate fixing portion 156 of the front and rear partition walls 152 with a cylindrical spacer 173 interposed between the peripheral portions of these openings. ) is fastened to the bolt 136. That is, the spacer 173 fixes the positions of the MCU mounting board 161 and the receptacle mounting board 162 inside the case 110, and also holds the MCU mounting board 161 and the receptacle mounting board 162. ) is mechanically connect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CU mounting board 161 and the receptacle mounting board 162 from contacting each other and generating a short circuit current between them.

편의상, MCU 탑재 기판(161) 및 리셉터클 탑재 기판(162)의 전방을 향하는 면(面)을, 각각의 주면(主面)(161a, 162a)으로 하고, 주면(161a, 162a)의 반대면을 각각의 부면(副面)(161b, 162b)으로 하면, MCU 탑재 기판(161)의 부면(161b)과, 리셉터클 탑재 기판(162)의 주면(162a)이, 소정의 간극을 통하여 대향(對向)한다. MCU 탑재 기판(161)의 주면(161a)은 케이스(110)의 전면(前面)과 대향하고, 리셉터클 탑재 기판(162)의 부면(162b)은, 새시(150)의 전후 분할벽(152)과 대향한다. MCU 탑재 기판(161) 및 리셉터클 탑재 기판(162)에 탑재되는 소자 및 IC에 대해서는 후술한다.For convenience, the forward-facing surfaces of the MCU mounting board 161 and the receptacle mounting board 162 are designated as main surfaces 161a and 162a, respectively, and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main surfaces 161a and 162a are designated as main surfaces 161a and 162a, respectively. Assuming each of the minor surfaces 161b and 162b, the minor surface 161b of the MCU mounting board 161 and the main surface 162a of the receptacle mounting board 162 face each other through a predetermined gap. )do. The main surface 161a of the MCU mounting board 161 faces the front of the case 110, and the minor surface 162b of the receptacle mounting board 162 faces the front and rear dividing walls 152 of the chassis 150. face it The elements and ICs mounted on the MCU mounting board 161 and the receptacle mounting board 162 will be described later.

LED 탑재 기판(163)은, 새시 본체(151)의 좌측면, 또한 상하에 배치된 2개의 마그넷(124)의 사이에 배치된다. LED 탑재 기판(163)의 소자 배치면은,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MCU 탑재 기판(161) 및 리셉터클 탑재 기판(162) 각각의 소자 배치면과, LED 탑재 기판(163)의 소자 배치면은, 직교하고 있다. 이와 같이, MCU 탑재 기판(161) 및 리셉터클 탑재 기판(162) 각각의 소자 배치면과, LED 탑재 기판(163)의 소자 배치면은, 직교에 한하지 않고, 교차하고 있는(비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ED(L1~L8)와 함께 통지부(180)를 구성하는 진동 모터(M)는, 새시 하벽(155)의 하면에 고정되고, MCU 탑재 기판(16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LED mounting board 163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chassis body 151 and between two magnets 124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element placement surface of the LED mounting board 163 is arranged along the vertical and front-back directions. In other words, the element placement surfaces of each of the MCU mounting board 161 and the receptacle mounting board 162 and the element placement surfaces of the LED mounting board 163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In this way,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ment arrangement surfaces of each of the MCU mounting board 161 and the receptacle mounting board 162 and the element arrangement surfaces of the LED mounting board 163 are not limited to being perpendicular but intersect (non-parallel). do. Additionally, the vibration motor M, which constitutes the notification unit 180 together with the LEDs L1 to L8,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hassis lower wall 155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CU mounting board 161.

홀 IC 탑재 기판(164)은, 새시 상벽(154)의 상면에 배치된다.The hole IC mounting board 164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ssis upper wall 154.

<흡인기의 동작 모드><Aspirator operation mode>

도 9는, 흡인기(100)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에 나타내듯이, 흡인기(100)의 동작 모드에는, 충전 모드, 슬립 모드, 액티브 모드, 가열 초기 설정 모드, 가열 모드, 및 가열 종료 모드가 포함된다.FIG. 9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suction device 100. As shown in Fig. 9, the operation modes of the suction device 100 include charging mode, sleep mode, active mode, heating initial setting mode, heating mode, and heating end mode.

슬립 모드는, 주로 히터(HTR)의 가열 제어에 필요한 전자 부품으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여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 모드이다.The sleep mode is a mode that mainly seeks to save power by stopping the supply of power to electronic components necessary for heating control of the heater (HTR).

액티브 모드는, 히터(HTR)의 가열 제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이 유효하게 되는 모드이다. 흡인기(100)는, 슬립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더(119)가 열리면,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한다. 흡인기(100)는,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더(119)가 닫히거나 조작 스위치(OPS)의 무조작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하거나 하면,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The active mode is a mode in which most functions except heating control of the heater (HTR) are effective. The suction device 100, while operating in sleep mode, switches its operation mode to the active mode when the slider 119 is opened. The suction device 100, while operating in the active mode,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sleep mode when the slider 119 is closed or the non-operation time of the operation switch (OPS) reaches a predetermined time.

가열 초기 설정 모드는, 히터(HTR)의 가열 제어를 개시하기 위한 제어 파라미터 등의 초기 설정을 실시하는 모드이다. 흡인기(100)는,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 스위치(OPS)의 조작을 검출하면, 동작 모드를 가열 초기 설정 모드로 전환하고, 초기 설정이 종료되면, 동작 모드를 가열 모드로 전환한다.The heating initial setting mode is a mode for performing initial setting of control parameters for starting heating control of the heater (HTR). When the suction device 100 detects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OPS) while operating in the active mode, it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heating initial setting mode, and when the initial setting is completed, the operation mode switches to the heating mode. do.

가열 모드는, 히터(HTR)의 가열 제어(에어로졸 생성을 위한 가열 제어와, 온도 검출을 위한 가열 제어)를 실행하는 모드이다. 흡인기(100)는, 동작 모드가 가열 모드로 전환되면, 히터(HTR)의 가열 제어를 개시한다.The heating mode is a mode in which heating control of the heater HTR (heating control for aerosol generation and heating control for temperature detection) is performed. When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heating mode, the suction device 100 starts heating control of the heater HTR.

가열 종료 모드는, 히터(HTR)의 가열 제어의 종료 처리(가열 이력의 기억 처리 등)를 실행하는 모드이다. 흡인기(100)는, 가열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히터(HTR)로의 통전 시간 또는 유저의 흡인 회수가 상한에 도달하거나, 슬라이더(119)가 닫히거나 하면, 동작 모드를 가열 종료 모드로 전환하고, 종료 처리가 종료되면,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한다. 흡인기(100)는, 가열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USB 접속이 이루어지면, 동작 모드를 가열 종료 모드로 전환하고, 종료 처리가 종료되면, 동작 모드를 충전 모드로 전환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경우에 있어서, 동작 모드를 충전 모드로 전환하기 전에,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해도 된다. 환언하면, 흡인기(100)는, 가열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USB 접속이 이루어지면, 동작 모드를 가열 종료 모드, 액티브 모드, 충전 모드의 순으로 전환해도 된다.The heating termin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termination processing (heating history storage processing, etc.) of heating control of the heater HTR is performed. The suction device 100, while operating in the heating mode,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heating termination mode when the energization time to the heater (HTR) or the number of suctions by the user reaches the upper limit or the slider 119 is closed. And when the termina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active mode. The suction device 100, while operating in the heating mode,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heating end mode when a USB connection is made, and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charging mode when the end process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9, in this case, the operation mode may be switched to the active mode before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charging mode. In other words, when the suction device 100 is operating in the heating mode and a USB connection is made, the operation mode may be switched in the following order: heating end mode, active mode, and charging mode.

충전 모드는, 리셉터클(RCP)에 접속된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전원(BAT)의 충전을 실시하는 모드이다. 흡인기(100)는, 슬립 모드 또는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리셉터클(RCP)에 외부 전원이 접속(USB 접속)되면, 동작 모드를 충전 모드로 전환한다. 흡인기(100)는, 충전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원(BAT)의 충전이 완료되거나, 리셉터클(RCP)과 외부 전원의 접속이 해제되거나 하면,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The charging mode is a mode in which the power source (BAT) is charged using power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receptacle (RCP). The suction device 100, while operating in sleep mode or active mode, switches its operation mode to charging mode when an external power source is connected (USB connection) to the receptacle (RCP). The suction device 100, while operating in the charging mode,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sleep mode when charging of the power source (BAT) is completed 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ceptacle (RCP) and the external power supply is disconnected.

<내부 유닛의 회로의 개략><Outline of the circuit of the internal unit>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내부 유닛(140)의 전기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 중, MCU 탑재 기판(161)에 탑재되는 범위(161A)(굵은 파선으로 둘러싸인 범위)와, LED 탑재 기판(163)에 탑재되는 범위(163A)(굵은 실선으로 둘러싸인 범위)를 추가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0과 동일하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 중, 리셉터클 탑재 기판(162)에 탑재되는 범위(162A)와, 홀 IC 탑재 기판(164)에 탑재되는 범위(164A)를 추가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0과 동일하다.10, 11, and 12 are diagrams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circuit of the internal unit 140. FIG. 11 shows, among the electric circuits shown in FIG. 10, a range 161A mounted on the MCU mounting board 161 (range surrounded by a thick broken line) and a range 163A mounted on the LED mounting board 163 (bold solid line). It is the same as Figure 10, except that a range surrounded by ) was added. In FIG. 12, among the electric circuits shown in FIG. 10, a range 162A mounted on the receptacle mounting board 162 and a range 164A mounted on the Hall IC mounting board 164 are added. Same as Figure 10.

도 10에 있어서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배선은, 내부 유닛(140)의 기준이 되는 전위(그라운드 전위)와 동일 전위가 되는 배선(내부 유닛(140)에 설치된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배선)이며, 이 배선을 이하에서는 그라운드 라인이라고 기재한다. 도 10에서는, 복수의 회로 소자를 칩화한 전자 부품을 직사각형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이 직사각형의 내측에 각종 단자의 부호를 기재하고 있다. 칩에 탑재되는 전원 단자(VCC) 및 전원 단자(VDD)는, 각각, 고(高)전위측의 전원 단자를 나타낸다. 칩에 탑재되는 전원 단자(VSS) 및 그라운드 단자(GND)는, 각각, 저(低)전위측(기준 전위측)의 전원 단자를 나타낸다. 칩화된 전자 부품은, 고전위측의 전원 단자의 전위와 저전위측의 전원 단자의 전위의 차분(差分)이, 전원 전압이 된다. 칩화된 전자 부품은, 이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각종 기능을 실행한다.The wiring shown with a thick solid line in FIG. 10 is a wiring (wire connected to the ground installed in the internal unit 140) that has the same potential as the reference potential (ground potential) of the internal unit 140, and this wiring is Hereinafter, it is referred to as a ground line. In Figure 10, an electronic component in which a plurality of circuit elements are chipped is shown as a rectangle, and symbols for various terminals are written inside the rectangle.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and power supply terminal (VDD) mounted on the chip respectively represent power terminals on the high potential side. The power supply terminal (VSS) and the ground terminal (GND) mounted on the chip respectively represent power supply terminals on the low potential side (reference potential side). In electronic components made into chip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tential of the power terminal on the high potential side and the potential of the power terminal on the low potential side becomes the power supply voltage. Chip-type electronic components use this power supply voltage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도 11에 나타내듯이, MCU 탑재 기판(161)(범위(161A))에는, 주요한 전자 부품으로서, 흡인기(100)의 전체를 통괄 제어하는 MCU(1)와, 전원(BAT)의 충전 제어를 실시하는 충전 IC(2)와, 콘덴서, 저항기, 및 트랜지스터 등을 조합하여 구성된 로드 스위치(이하, LSW)(3, 4, 5)와, ROM(Read Only Memory)(6)과, 스위치 드라이버(7)와, 승강압 DC/DC 컨버터(8)(도면에서는, 승강압 DC/DC(8)라고 기재)와, 오피 앰프(op-amp, Operational Amplifier)(OP2)와, 오피 앰프(OP3)와, 플립플롭(이하, FF)(16, 17)과, 흡기 센서를 구성하는 서미스터(T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Cn(t2))(도면에서는, 이 커넥터에 접속된 서미스터(T2)를 기재)와, 히터 온도 센서를 구성하는 서미스터(T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Cn(t3))(도면에서는, 이 커넥터에 접속된 서미스터(T3)를 기재)와, 케이스 온도 센서를 구성하는 서미스터(T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Cn(t4))(도면에서는, 이 커넥터에 접속된 서미스터(T4)를 기재)와, USB 접속 검출용의 분압 회로(Pc)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MCU mounting board 161 (range 161A) includes the MCU 1, which controls the entire suction device 100 as the main electronic component, and charging control of the power supply (BAT). A load switch (LSW) (3, 4, 5)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charging IC (2), a condenser, a resistor, a transistor, etc., a ROM (Read Only Memory) (6), and a switch driver (7) ), a step-up and step-down DC/DC converter (8) (in the drawing, indicated as step-up and step-down DC/DC (8)), an operational amplifier (OP2), and an operational amplifier (OP3) , a connector (Cn(t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ip-flop (hereinafter, FF) (16, 17) and the thermistor (T2) constituting the intake sensor (in the drawing, the thermistor (T2) connected to this connector is described), a connector (Cn(t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ermistor (T3) constituting the heater temperature sensor (in the drawing, the thermistor (T3) connected to this connector is shown), and a connector (Cn(t3)) that constitutes the case temperature sensor. A connector Cn(t4)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ermistor T4 (the figure shows the thermistor T4 connected to this connector) and a voltage dividing circuit Pc for USB connection detection are provided.

충전 IC(2), LSW(3), LSW(4), LSW(5), 스위치 드라이버(7), 승강압 DC/DC 컨버터(8), FF(16), 및 FF(17)의 각각의 그라운드 단자(GND)는,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ROM(6)의 전원 단자(VSS)는,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오피 앰프(OP2) 및 오피 앰프(OP3)의 각각의 음전원 단자는,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Each of the charging IC (2), LSW (3), LSW (4), LSW (5), switch driver (7), step-up and step-down DC/DC converter (8), FF (16), and FF (17). The ground terminal (G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The power supply terminal (VSS) of the ROM 6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Each negative power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and OP3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도 11에 나타내듯이, LED 탑재 기판(163)(범위 (163A))에는, 주요한 전자 부품으로서, 패널 검출 센서를 구성하는 홀 소자를 포함하는 홀 IC(13)와, LED(L1~L8)와, 조작 스위치(OPS)와, 통신 IC(15)가 설치되어 있다. 통신 IC(15)는,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와의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다. 홀 IC(13)의 전원 단자(VSS) 및 통신 IC(15)의 그라운드 단자(GND)의 각각은,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 IC(15)와 MCU(1)는, 통신선(LN)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OPS)의 일단(一端)은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고, 조작 스위치(OPS) 타단(他端)은 MCU(1)의 단자(P4)에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LED mounting board 163 (range 163A) includes, as main electronic components, a Hall IC 13 including a Hall element constituting a panel detection sensor, LEDs (L1 to L8), and , an operation switch (OPS) and a communication IC 15 are installed. The communication IC 15 is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he power terminal (VSS) of the Hall IC 13 and the ground terminal (GND) of the communication IC 15 are each connected to a ground line. The communication IC 15 and the MCU 1 are configured to enable communic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LN. One end of the operation switch OPS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and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switch OPS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4 of the MCU 1.

도 12에 나타내듯이, 리셉터클 탑재 기판(162)(범위(162A))에는, 주요한 전자 부품으로서, 전원(BAT)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 커넥터(도면에서는, 이 전원 커넥터에 접속된 전원(BAT)을 기재)와, 전원 온도 센서를 구성하는 서미스터(T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도면에서는, 이 커넥터에 접속된 서미스터(T1)를 기재)와, 승압 DC/DC 컨버터(9)(도면에서는, 승압 DC/DC(9)라고 기재)와, 보호 IC(10)와, 과전압 보호 IC(11)와, 잔량계 IC(12)와, 리셉터클(RCP)과, MOSFET로 구성된 스위치(S3)~스위치(S6)와, 오피 앰프(OP1)와, 히터(HTR)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양극측과 음극측)의 히터 커넥터(Cn)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receptacle mounting board 162 (range 162A) includes a main electronic component, a power supply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ource (BAT) (in the drawing, a power supply (BAT) connected to this power supply connector). is shown), a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ermistor T1 constituting the power supply temperature sensor (in the drawing, the thermistor T1 connected to this connector is shown), and a step-up DC/DC converter 9 (in the drawing) , a switch (S3) consisting of a step-up DC/DC (described as 9), a protection IC (10), an overvoltage protection IC (11), a residual meter IC (12), a receptacle (RCP), and a MOSFET. A pair of heater connectors (Cn) (anode side and cathode side)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S6, the operational amplifier (OP1), and the heater (HTR) are provided.

리셉터클(RCP)의 2개의 그라운드 단자(GND)와, 승압 DC/DC 컨버터(9)의 그라운드 단자(GND)와, 보호 IC(10)의 전원 단자(VSS)와, 잔량계 IC(12)의 전원 단자(VSS)와, 과전압 보호 IC(11)의 그라운드 단자(GND)와, 오피 앰프(OP1)의 음전원 단자는, 각각,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The two ground terminals (GND) of the receptacle (RCP), the ground terminal (GND)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the power supply terminal (VSS) of the protection IC (10), and the residual meter IC (12) The power supply terminal (VSS), the ground terminal (GND)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IC 11, and the negativ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1 are each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도 12에 나타내듯이, 홀 IC 탑재 기판(164)(범위(164A))에는, 커버 위치 센서를 구성하는 홀 소자를 포함하는 홀 IC(14)가 설치되어 있다. 홀 IC(14)의 전원 단자(VSS)는,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홀 IC(14)의 출력 단자(OUT)는, MCU(1)의 단자(P8)에 접속되어 있다. MCU(1)는, 단자(P8)에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슬라이더(119)의 개폐를 검출한다.As shown in Fig. 12, a Hall IC 14 including a Hall element constituting a cover position sensor is installed on the Hall IC mounting board 164 (range 164A). The power supply terminal (VSS) of Hall IC 14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Hall IC 14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8 of the MCU 1. The MCU 1 detect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lider 119 based on a signal input to the terminal P8.

도 11에 나타내듯이, 진동 모터(M)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는, MCU 탑재 기판(161)에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 a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ibration motor M is installed on the MCU mounting board 161.

<내부 유닛의 회로의 상세><Details of the internal unit circuit>

이하, 도 10을 참조하면서 각 전자 부품의 접속 관계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each electronic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리셉터클(RCP)의 2개의 전원 입력 단자(VBUS)는, 각각, 퓨즈(Fs)를 통하여, 과전압 보호 IC(11)의 입력 단자(IN)에 접속되어 있다. 리셉터클(RCP)에 USB 플러그가 접속되고, 이 USB 플러그를 포함하는 USB 케이블이 외부 전원에 접속되면, 리셉터클(RCP)의 2개의 전원 입력 단자(VBUS)에 USB 전압(VUSB)이 공급된다..The two power input terminals (V BUS ) of the receptacle (RCP) are each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IC 11 via a fuse (Fs). When a USB plug is connected to the receptacle (RCP) and a USB cable including this USB plug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USB voltage (V USB ) is supplied to the two power input terminals (V BUS ) of the receptacle (RCP). ..

과전압 보호 IC(11)의 입력 단자(IN)에는, 2개의 저항기의 직렬 회로로 이루어지는 분압 회로(Pa)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분압 회로(Pa)의 타단은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분압 회로(Pa)를 구성하는 2개의 저항기의 접속점은, 과전압 보호 IC(11)의 전압 검출 단자(OVLo)에 접속되어 있다. 과전압 보호 IC(11)는, 전압 검출 단자(OVLo)에 입력되는 전압이 문턱값 미만인 상태에서는, 입력 단자(IN)에 입력된 전압을 출력 단자(OUT)로부터 출력한다. 과전압 보호 IC(11)는, 전압 검출 단자(OVLo)에 입력되는 전압이 문턱값 이상(과전압)이 된 경우에는, 출력 단자(OUT)로부터의 전압 출력을 정지(LSW(3)와 리셉터클(RCP)의 전기적인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과전압 보호 IC(11)보다도 하류의 전자 부품의 보호를 도모한다. 과전압 보호 IC(11)의 출력 단자(OUT)는, LSW(3)의 입력 단자(VIN)와, MCU(1)에 접속된 분압 회로(Pc)(2개의 저항기의 직렬 회로)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분압 회로(Pc)의 타단은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분압 회로(Pc)를 구성하는 2개의 저항기의 접속점은, MCU(1)의 단자(P17)에 접속되어 있다.One end of a voltage dividing circuit (Pa) consisting of a series circuit of two resistors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IC 11. The other end of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a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The connection point of the two resistors constituting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a is connected to the voltage detection terminal OVLo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IC 11. The overvoltage protection IC 11 outputs the voltage input to the input terminal IN from the output terminal OUT when the voltage input to the voltage detection terminal OVLo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overvoltage protection IC 11 stops the voltage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UT (LSW3) and the receptacle (RCP) when the voltage input to the voltage detection terminal OVLo becomes above the threshold (overvoltage). ), thereby protecting electronic components downstream from the overvoltage protection IC 11.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IC (11)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VIN) of the LSW (3) and one end of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c) (a series circuit of two resistors) connected to the MCU (1). It is done. The other end of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c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The connection point of the two resistors constituting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c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17 of the MCU 1.

LSW(3)의 입력 단자(VIN)에는, 2개의 저항기의 직렬 회로로 이루어지는 분압 회로(Pf)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분압 회로(Pf)의 타단은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분압 회로(Pf)를 구성하는 2개의 저항기의 접속점은, LSW(3)의 제어 단자(ON)에 접속되어 있다. LSW(3)의 제어 단자(ON)에는,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2)의 컬렉터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2)의 이미터 단자는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2)의 베이스 단자는, MCU(1)의 단자(P19)에 접속되어 있다. LSW(3)는, 제어 단자(ON)에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레벨이 되면, 입력 단자(VIN)에 입력된 전압을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한다. LSW(3)의 출력 단자(VOUT)는, 충전 IC(2)의 입력 단자(VBUS)에 접속되어 있다. MCU(1)는, USB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동안은,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2)를 온(on)으로 한다. 이에 의해, LSW(3)의 제어 단자(ON)는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2)를 통하여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기 때문에, LSW(3)의 제어 단자(ON)에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된다.One end of a voltage dividing circuit Pf consisting of a series circuit of two resistors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VIN of the LSW 3. The other end of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f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The connection point of the two resistors constituting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f is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3).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bipolar transistor S2 is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3). The emitter terminal of the bipolar transistor (S2)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The base terminal of the bipolar transistor S2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19 of the MCU 1. When the signal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ON) becomes high level, the LSW (3) outputs the voltage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IN)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LSW (3)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VBUS) of the charger IC (2). The MCU 1 turns on the bipolar transistor S2 while the USB connection is not made. Accordingly, since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3)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through the bipolar transistor (S2), a low level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3).

LSW(3)에 접속된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2)는, USB 접속이 이루어지면, MCU(1)에 의해 오프(off)된다.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2)가 오프됨으로써, 분압 회로(Pf)에 의해 분압된 USB 전압(VUSB)이 LSW(3)의 제어 단자(ON)에 입력된다. 이 때문에, USB 접속이 이루어지고 또한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2)가 오프되면, LSW(3)의 제어 단자(ON)에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된다. 이에 의해, LSW(3)는, USB 케이블로부터 공급되는 USB 전압(VUSB)을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2)가 오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USB 접속이 이루어져도, LSW(3)의 제어 단자(ON)는,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2)를 통하여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MCU(1)가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2)를 오프하지 않는 한, LSW(3)의 제어 단자(ON)에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계속 입력되는 점을 유의바란다.The bipolar transistor (S2) connected to the LSW (3) is turned off by the MCU (1) when the USB connection is established. When the bipolar transistor S2 is turned off, the USB voltage V USB divided by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f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3. For this reason, when the USB connection is established and the bipolar transistor S2 is turned off, a high level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3). Thereby, LSW 3 outputs the USB voltage (V USB ) supplied from the USB cable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Additionally, even if the USB connection is made while the bipolar transistor S2 is not turned off,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3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through the bipolar transistor S2. For this reason, please note that a low-level signal continues to be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3) unless the MCU (1) turns off the bipolar transistor (S2).

전원(BAT)의 양극 단자는, 보호 IC(10)의 전원 단자(VDD)와, 승압 DC/DC 컨버터(9)의 입력 단자(VIN)와, 충전 IC(2)의 충전 단자(bat)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BAT)의 전원 전압(VBAT)은, 보호 IC(10)와, 충전 IC(2)와, 승압 DC/DC 컨버터(9)에 공급된다. 전원(BAT)의 음극 단자에는, 저항기(Ra)와, MOSFET로 구성된 스위치(Sa)와, MOSFET로 구성된 스위치(Sb)와, 저항기(Rb)가 이 순으로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저항기(Ra)와 스위치(Sa)의 접속점에는, 보호 IC(10)의 전류 검출 단자(CS)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a)와 스위치(Sb)의 각각의 제어 단자는, 보호 IC(10)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기(Rb)의 양단은, 잔량계 IC(12)에 접속되어 있다.The positive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BAT)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the protection IC 10, the input terminal (VIN)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and the charging terminal (bat) of the charge IC 2. You are connected. Accordingly,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of the power source BAT is supplied to the protection IC 10, the charge IC 2, and the boost DC/DC converter 9.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BAT, a resistor Ra, a switch Sa made of a MOSFET, a switch Sb made of a MOSFET, and a resistor Rb are connected in series in this order. The current detection terminal CS of the protection IC 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resistor Ra and the switch Sa. Each control terminal of the switch Sa and switch Sb is connected to the protection IC 10. Both ends of the resistor Rb are connected to the remaining fuel meter IC 12.

보호 IC(10)는, 전류 검출 단자(CS)에 입력되는 전압으로부터, 전원(BAT)의 충방전시에 있어서 저항기(Ra)에 흐르는 전류값을 취득하고, 이 전류값이 과대하게 된 경우(과전류)에, 스위치(Sa)와 스위치(Sb)의 개폐 제어를 실시하여, 전원(BAT)의 충전 또는 방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전원(BAT)의 보호를 도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호 IC(10)는, 전원(BAT)의 충전시에 과대한 전류값을 취득한 경우에는, 스위치(Sb)를 오프함으로써, 전원(BAT)의 충전을 정지시킨다. 보호 IC(10)는, 전원(BAT)의 방전시에 과대한 전류값을 취득한 경우에는, 스위치(Sa)를 오프함으로써, 전원(BAT)의 방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보호 IC(10)는, 전원 단자(VDD)에 입력되는 전압으로부터, 전원(BAT)의 전압값이 이상(異常)이 된 경우(과충전 또는 과전압인 경우)에, 스위치(Sa)와 스위치(Sb)의 개폐 제어를 실시하여, 전원(BAT)의 충전 또는 방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전원(BAT)의 보호를 도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호 IC(10)는, 전원(BAT)의 과충전을 검지한 경우에는, 스위치(Sb)를 오프함으로써, 전원(BAT)의 충전을 정지시킨다. 보호 IC(10)는, 전원(BAT)의 과방전을 검지한 경우에는, 스위치(Sa)를 오프함으로써, 전원(BAT)의 방전을 정지시킨다.The protection IC 10 acquires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resistor Ra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power source BAT from the voltage input to the current detection terminal CS, and when this current value becomes excessive ( In case of overcurrent),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switch Sa and the switch Sb is performed to stop the charging or discharging of the power source BAT, thereby protecting the power source BAT. More specifically, when an excessive current value is obtained when charging the power source BAT, the protection IC 10 turns off the switch Sb to stop charging the power source BAT. When an excessive current value is acquired during discharge of the power source BAT, the protection IC 10 turns off the switch Sa to stop the discharge of the power source BAT. In addition, the protection IC 10 protects the switch Sa and the switch when the voltage value of the power source BAT becomes abnormal (in the case of overcharge or overvoltage) from the voltage input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Sb) to stop charging or discharging of the power source (BAT), protection of the power source (BAT) is achieved. More specifically, when the protection IC 10 detects overcharging of the power source BAT, it turns off the switch Sb to stop charging of the power source BAT. When the protection IC 10 detects overdischarge of the power source BAT, it turns off the switch Sa to stop the discharge of the power source BAT.

전원(BAT)의 근방에 배치된 서미스터(T1)와 접속되는 커넥터에는 저항기(Rt1)가 접속되어 있다. 저항기(Rt1)와 서미스터(T1)의 직렬 회로는, 그라운드 라인과, 잔량계 IC(12)의 레귤레이터 단자(TREG)에 접속되어 있다. 서미스터(T1)와 저항기(Rt1)의 접속점은, 잔량계 IC(12)의 서미스터 단자(THM)에 접속되어 있다. 서미스터(T1)는, 온도의 증가에 따라 저항값이 증대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서미스터여도 되고, 온도의 증가에 따라 저항값이 감소하는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서미스터여도 된다.A resistor Rt1 is connected to a connector connected to a thermistor T1 disposed near the power source BAT. The series circuit of the resistor Rt1 and the thermistor T1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and the regulator terminal TREG of the remaining fuel meter IC 12. The connection point of the thermistor T1 and the resistor Rt1 is connected to the thermistor terminal THM of the remaining mass meter IC 12. The thermistor T1 may be a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whose resistance value increases as temperature increases, or may be a NTC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whose resistance value decreases as temperature increases.

잔량계 IC(12)는, 저항기(Rb)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값에 근거하여, 전원(BAT)의 잔용량,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SOC(State Of Charge), 및 건전 상태를 나타내는 SOH(State Of Health) 등의 배터리 정보를 도출한다. 잔량계 IC(12)는, 레귤레이터 단자(TREG)에 접속되는 내장 레귤레이터로부터, 서미스터(T1)와 저항기(Rt1)의 분압 회로에 전압을 공급한다. 잔량계 IC(12)는, 이 분압 회로에 의해 분압된 전압을 서미스터 단자(THM)로부터 취득하고, 이 전압에 근거하여, 전원(BAT)의 온도에 관한 온도 정보를 취득한다. 잔량계 IC(12)는, 시리얼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통신선(LN)에 의해 MCU(1)와 접속되어 있으며, MCU(1)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잔량계 IC(12)는, 도출된 배터리 정보와, 취득된 전원(BAT)의 온도 정보를, MCU(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MCU(1)에 송신한다. 또한, 시리얼 통신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송신용의 데이터 라인이나 동기용의 클록 라인 등의 복수의 신호선이 필요하게 된다. 도 10-도 19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1개의 신호선만이 도시되어 있는 점에 유의바란다.The remaining charge meter IC 12 detect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resistor Rb, and based on the detected current value, determines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power supply (BAT), the state of charge (SOC) indicating the charging state, and the healthy state. Battery information such as SOH (State of Health) is derived. The residual quantity meter IC 12 supplies voltage to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of the thermistor T1 and the resistor Rt1 from a built-in regulator connected to the regulator terminal TREG. The remaining energy meter IC 12 acquires the voltage divided by this voltage dividing circuit from the thermistor terminal THM, and based on this voltage, acquires temperature information regarding the temperature of the power source BAT. The residual quantity meter IC 12 is connected to the MCU 1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LN for serial communication, and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CU 1. The remaining power meter IC 12 transmits the derived battery information and the acquired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source (BAT) to the MCU 1 in accordance with a request from the MCU 1. Additionally, in order to perform serial communication, a plurality of signal lines, such as a data line for data transmission and a clock line for synchronization, are required. Note that in FIGS. 10-19, only one signal line is shown for simplicity.

잔량계 IC(12)는, 통지 단자(12a)를 구비하고 있다. 통지 단자(12a)는, MCU(1)의 단자(P6)와, 후술하는 다이오드(D2)의 캐소드에 접속되어 있다. 잔량계 IC(12)는, 전원(BAT)의 온도가 과대하게 되었다 등의 이상을 검출하면, 통지 단자(12a)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그 이상 발생을 MCU(1)에 통지한다. 이 로우레벨의 신호는, 다이오드(D2)를 경유하여, FF(17)의 CLR( ̄) 단자에도 입력된다.The remaining fuel meter IC 12 is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terminal 12a. The notification terminal 12a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6 of the MCU 1 and the cathode of the diode D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remaining energy meter IC 12 detects an abnormality such as the temperature of the power supply (BAT) becoming excessive, it notifies the MCU 1 of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ity by outputting a low level signal from the notification terminal 12a. . This low level signal is also input to the CLR( ̄) terminal of the FF(17) via the diode D2.

승압 DC/DC 컨버터(9)의 스위칭 단자(SW)에는, 리액터(Lc)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 리액터(Lc)의 타단은 승압 DC/DC 컨버터(9)의 입력 단자(VIN)에 접속되어 있다. 승압 DC/DC 컨버터(9)는, 스위칭 단자(SW)에 접속된 내장 트랜지스터의 온 오프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입력된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승압 DC/DC 컨버터(9)의 입력 단자(VIN)는, 승압 DC/DC 컨버터(9)의 고전위측의 전원 단자를 구성하고 있다. 승압 DC/DC 컨버터(9)는, 이네이블 단자(EN)에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레벨이 되어 있는 경우에, 승압 동작을 실시한다. USB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승압 DC/DC 컨버터(9)의 이네이블 단자(EN)에 입력되는 신호는, MCU(1)에 의해 로우레벨로 제어되어도 된다. 혹은, USB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승압 DC/DC 컨버터(9)의 이네이블 단자(EN)에 입력되는 신호를 MCU(1)가 제어하지 않음으로써, 이네이블 단자(EN)의 전위를 부정(不定)으로 해도 된다.One end of the reactor Lc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terminal SW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The other end of this reactor (Lc)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VIN)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The step-up DC/DC converter 9 performs on-off control of a built-in transistor connected to the switching terminal SW, thereby boosting the input voltage and outputting the voltage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Additionally, the input terminal (VIN)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constitutes a power supply terminal on the high potential side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The step-up DC/DC converter 9 performs a step-up operation when the signal input to the enable terminal EN is at a high level. In the USB-connected state, the signal input to the enable terminal (EN)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may be controlled to a low level by the MCU 1. Alternatively, in the USB-connected state, the MCU 1 does not control the signal input to the enable terminal (EN)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thereby negating the potential of the enable terminal (EN). You can set it to (non-definite).

승압 DC/DC 컨버터(9)의 출력 단자(VOUT)에는, P 채널형 MOSFET에 의해 구성된 스위치(S4)의 소스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4)의 게이트 단자는, MCU(1)의 단자(P15)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4)의 드레인 단자에는, 저항기(Rs)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저항기(Rs)의 타단은, 히터(HTR)의 일단과 접속되는 양극측의 히터 커넥터(Cn)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4)와 저항기(Rs)의 접속점에는, 2개의 저항기로 이루어지는 분압 회로(Pb)가 접속되어 있다. 분압 회로(Pb)를 구성하는 2개의 저항기의 접속점은, MCU(1)의 단자(P18)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4)와 저항기(Rs)의 접속점은, 또한, 오피 앰프(OP1)의 양전원 단자와 접속되어 있다.The source terminal of the switch S4 comprised of a P-channel type MOSFE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The gate terminal of the switch S4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15 of the MCU 1. One end of the resistor Rs is connected to the drain terminal of the switch S4.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Rs is connected to the heater connector Cn on the anode side,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eater HTR. A voltage dividing circuit Pb consisting of two resistors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switch S4 and the resistor Rs. The connection point of the two resistors constituting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b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18 of the MCU 1.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witch S4 and the resistor Rs is also connected to the positiv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1.

승압 DC/DC 컨버터(9)의 출력 단자(VOUT)와 스위치(S4)의 소스 단자의 접속 라인에는, P 채널형 MOSFET에 의해 구성된 스위치(S3)의 소스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3)의 게이트 단자는, MCU(1)의 단자(P16)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3)의 드레인 단자는, 저항기(Rs)와 양극측의 히터 커넥터(Cn)의 접속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승압 DC/DC 컨버터(9)의 출력 단자(VOUT)와 히터 커넥터(Cn)의 양극측의 사이에는, 스위치(S3)를 포함하는 회로와, 스위치(S4) 및 저항기(Rs)를 포함하는 회로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3)를 포함하는 회로는, 저항기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스위치(S4) 및 저항기(Rs)를 포함하는 회로보다도 저(低)저항인 회로이다.The source terminal of the switch S3 made of a P-channel type MOSFE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and the source terminal of the switch S4. The gate terminal of the switch S3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16 of the MCU 1. The drain terminal of the switch S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resistor Rs and the heater connector Cn on the anode side. In this way, between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and the anode side of the heater connector Cn, a circuit including a switch S3, a switch S4, and a resistor Rs are provided. The circuits included are connected in parallel. Since the circuit including the switch S3 does not have a resistor, it is a circuit with lower resistance than the circuit including the switch S4 and the resistor Rs.

오피 앰프(OP1)의 비(非)반전 입력 단자는, 저항기(Rs)와 양극측의 히터 커넥터(Cn)의 접속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오피 앰프(OP1)의 반전 입력 단자는, 히터(HTR)의 타단과 접속되는 음극측의 히터 커넥터(Cn)와, N 채널형 MOSFET에 의해 구성된 스위치(S6)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6)의 소스 단자는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6)의 게이트 단자는, MCU(1)의 단자(P14)와, 다이오드(D4)의 애노드와, 승압 DC/DC 컨버터(9)의 이네이블 단자(EN)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4)의 캐소드는, FF(17)의 Q 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오피 앰프(OP1)의 출력 단자에는 저항기(R4)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저항기(R4)의 타단은, MCU(1)의 단자(P9)와, N 채널형 MOSFET에 의해 구성된 스위치(S5)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5)의 소스 단자는,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5)의 게이트 단자는, 저항기(Rs)와 양극측의 히터 커넥터(Cn)의 접속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resistor Rs and the heater connector Cn on the anode side.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1 is connected to the heater connector Cn on the cathode side,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eater HTR, and the drain terminal of the switch S6 comprised of an N-channel type MOSFET. The source terminal of switch S6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The gate terminal of the switch S6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14 of the MCU 1, the anode of the diode D4, and the enable terminal EN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The cathode of diode D4 is connected to the Q terminal of FF (17). One end of the resistor R4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1.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R4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9 of the MCU 1 and the drain terminal of the switch S5 comprised of an N-channel type MOSFET. The source terminal of switch S5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The gate terminal of the switch S5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resistor Rs and the heater connector Cn on the anode side.

충전 IC(2)의 입력 단자(VBUS)는, LED(L1~L8)의 각각의 애노드에 접속되어 있다. LED(L1~L8)의 각각의 캐소드는, 전류 제한을 위한 저항기를 통하여, MCU(1)의 제어 단자(PD1~PD8)에 접속되어 있다. 즉, 입력 단자(VBUS)에는, LED(L1~L8)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LED(L1~L8)는, 리셉터클(RCP)에 접속된 USB 케이블로부터 공급되는 USB 전압(VUSB)과, 전원(BAT)으로부터 충전 IC(2)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전압의 각각 의해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MCU(1)에는, 제어 단자(PD1)~제어 단자(PD8)의 각각과 그라운드 단자(GND)에 접속된 트랜지스터(스위칭 소자)가 내장되어 있다. MCU(1)는, 제어 단자(PD1)와 접속된 트랜지스터를 온함으로써 LED(L1)에 통전하여 이를 점등시키고, 제어 단자(PD1)와 접속된 트랜지스터를 오프함으로써 LED(L1)를 소등시킨다. 제어 단자(PD1)와 접속된 트랜지스터의 온과 오프를 고속으로 전환함으로써, LED(L1)의 휘도나 발광 패턴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LED(L2~L8)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MCU(1)에 의해 점등 제어된다.The input terminal (VBUS) of the charging IC 2 is connected to each anode of the LEDs (L1 to L8). Each cathode of the LEDs (L1 to L8) is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s (PD1 to PD8) of the MCU (1) through a resistor for current limitation. That is, LEDs (L1 to L8)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input terminal (VBUS). The LEDs (L1 to L8) can be operated by the USB voltage (V USB ) supplied from the USB cable connected to the receptacle (RCP) and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BAT) via the charge IC 2. Consists of. The MCU 1 has a built-in transistor (switching element) connected to each of the control terminals PD1 to PD8 and the ground terminal (GND). The MCU 1 turns on the transistor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PD1 to energize the LED L1 and turns it on, and turns off the transistor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PD1 to turn off the LED L1. By switching the transistor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PD1 on and off at high speed, the brightness and emission pattern of the LED L1 can be dynamically controlled. The lighting of LEDs (L2 to L8) is similarly controlled by the MCU (1).

충전 IC(2)는, 입력 단자(VBUS)에 입력되는 USB 전압(VUSB)에 근거하여 전원(BAT)을 충전하는 충전 기능을 구비한다. 충전 IC(2)는, 도시하지 않은 단자나 배선으로부터, 전원(BAT)의 충전 전류나 충전 전압을 취득하고, 이들에 근거하여, 전원(BAT)의 충전 제어(충전 단자(bat)로부터 전원(BAT)으로의 전력 공급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충전 IC(2)는, 잔량계 IC(12)로부터 MCU(1)에 송신된 전원(BAT)의 온도 정보를, 통신선(LN)을 이용한 시리얼 통신에 의해 MCU(1)로부터 취득하고, 충전 제어에 이용해도 된다.The charging IC 2 has a charging function that charges the power source (BAT) based on the USB voltage (V USB )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BUS). The charging IC 2 acquires the charging current and charging voltage of the power source BAT from terminals and wiring not shown, and controls the charging of the power source BAT based on these (from the charging terminal bat). Control the power supply to BAT). In addition, the charging IC 2 acquire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supply (BAT) transmitted from the remaining charge meter IC 12 to the MCU 1 from the MCU 1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using the communication line LN, It can also be used for charging control.

충전 IC(2)는, 또한, VBAT 파워 패스 기능과, OTG 기능을 구비한다. VBAT 파워 패스 기능은, 충전 단자(bat)에 입력되는 전원 전압(VBAT)과 대략 일치하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0)을, 출력 단자(SYS)로부터 출력하는 기능이다. OTG 기능은, 충전 단자(bat)에 입력되는 전원 전압(VBAT)을 승압하여 얻어지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4)을, 입력 단자(VBUS)로부터 출력하는 기능이다. 충전 IC(2)의 OTG 기능의 온 오프는, 통신선(LN)을 이용한 시리얼 통신에 의해, MCU(1)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OTG 기능에 있어서는, 충전 단자(bat)로 입력되는 전원 전압(VBAT)을, 입력 단자(VBUS)로부터 그대로 출력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전원 전압(VBAT)과 시스템 전원 전압(Vcc4)은 대략 일치한다.The charging IC 2 also has a V BAT power path function and an OTG function. The V BAT power pass function is a function that outputs a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0) that approximately matches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 input to the charging terminal (bat) from the output terminal (SYS). The OTG function is a function that output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4) obtained by boosting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 input to the charging terminal (bat) from the input terminal (VBUS). Turning on and off the OTG function of the charging IC 2 is controlled by the MCU 1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using a communication line (LN). Additionally, in the OTG function,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 input to the charging terminal (bat) may be output as is from the input terminal (VBUS).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 and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4) are approximately equal.

충전 IC(2)의 출력 단자(SYS)는, 승강압 DC/DC 컨버터(8)의 입력 단자(VIN)에 접속되어 있다. 충전 IC(2)의 스위칭 단자(SW)에는 리액터(La)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리액터(La)의 타단은, 충전 IC(2)의 출력 단자(SYS)에 접속되어 있다. 충전 IC(2)의 충전 이네이블 단자(CE)( ̄)는, 저항기를 통하여, MCU(1)의 단자(P2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충전 IC(2)의 충전 이네이블 단자(CE)( ̄)에는,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1)의 컬렉터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1)의 이미터 단자는, 후술의 LSW(4)의 출력 단자(VOUT)에 접속되어 있다.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1)의 베이스 단자는, FF(17)의 Q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충전 IC(2)의 충전 이네이블 단자(CE)( ̄)에는, 저항기(Rc)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저항기(Rc)의 타단은, LSW(4)의 출력 단자(VOUT)에 접속되어 있다.The output terminal (SYS) of the charging IC (2)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VIN) of the step-up/down-voltage DC/DC converter (8). One end of the reactor La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terminal SW of the charging IC 2. The other terminal of the reactor La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SYS) of the charger IC 2. The charging enable terminal (CE) ( ̄) of the charging IC 2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22 of the MCU 1 through a resistor. Additionally,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bipolar transistor S1 is connected to the charge enable terminal (CE) ( ̄) of the charger IC 2. The emitter terminal of the bipolar transistor S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LSW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ase terminal of the bipolar transistor (S1) is connected to the Q terminal of the FF (17). Additionally, one end of the resistor Rc is connected to the charge enable terminal (CE) ( ̄) of the charger IC 2.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Rc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LSW (4).

승강압 DC/DC 컨버터(8)의 입력 단자(VIN)와 이네이블 단자(EN)에는 저항기가 접속되어 있다. 충전 IC(2)의 출력 단자(SYS)로부터, 승강압 DC/DC 컨버터(8)의 입력 단자(VIN)에 시스템 전원 전압(Vcc0)이 입력됨으로써, 승강압 DC/DC 컨버터(8)의 이네이블 단자(EN)에 입력되는 신호는 하이레벨이 되고, 승강압 DC/DC 컨버터(8)는 승압 동작 또는 강압 동작을 개시한다. 승강압 DC/DC 컨버터(8)는, 리액터(Lb)에 접속된 내장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제어에 의해, 입력 단자(VIN)에 입력된 시스템 전원 전압(Vcc0)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을 생성하고,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한다. 승강압 DC/DC 컨버터(8)의 출력 단자(VOUT)는, 승강압 DC/DC 컨버터(8)의 피드백 단자(FB)와, LSW(4)의 입력 단자(VIN)와, 스위치 드라이버(7)의 입력 단자(VIN)와, FF(16)의 전원 단자(VCC) 및 D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압 DC/DC 컨버터(8)의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되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이 공급되는 배선을 전원 라인(PL1)이라고 기재한다.A resistor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VIN) and the enable terminal (EN) of the step-up/download DC/DC converter (8).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0) is input from the output terminal (SYS) of the charging IC (2) to the input terminal (VIN) of the step-up/download DC/DC converter (8), thereby The signal input to the evil terminal (EN) becomes high level, and the step-up or step-down DC/DC converter (8) starts a step-up operation or step-down operation. The step-up/download DC/DC converter 8 boosts or steps down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0)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IN)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built-in transistor connected to the reactor (Lb) to provide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 is generated and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step-up/download DC/DC converter (8) is connected to the feedback terminal (FB) of the step-up/download DC/DC converter (8), the input terminal (VIN) of the LSW (4), and the switch driver (7). )'s input terminal (VIN), and the power terminal (VCC) and D terminal of FF (16). The wiring through which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step-up/down DC/DC converter 8 is supplied is referred to as the power line (PL1).

LSW(4)는, 제어 단자(ON)에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레벨이 되면, 입력 단자(VIN)에 입력되어 있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을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한다. LSW(4)의 제어 단자(ON)와 전원 라인(PL1)은, 저항기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원 라인(PL1)에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이 공급됨으로써, LSW(4)의 제어 단자(ON)에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된다. LSW(4)가 출력하는 전압은, 배선 저항 등을 무시하면 시스템 전원 전압(Vcc1)과 동일하지만, 시스템 전원 전압(Vcc1)과 구별하기 위해서, LSW(4)의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이하에서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2)이라고 기재한다.When the signal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ON) becomes high level, the LSW (4) output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IN)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4) and the power supply line (PL1) are connected through a resistor. For this reason, when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is supplied to the power line PL1, a high level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4. The voltage output by LSW (4) is the same a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ignoring wiring resistance, etc., but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the voltage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of LSW (4) is the same a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The voltage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LSW(4)의 출력 단자(VOUT)는, MCU(1)의 전원 단자(VDD)와, LSW(5)의 입력 단자(VIN)와, 잔량계 IC(12)의 전원 단자(VDD)와, ROM(6)의 전원 단자(VCC)와,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1)의 이미터 단자와, 저항기(Rc)와, FF(17)의 전원 단자(VCC)에 접속되어 있다. LSW(4)의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되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2)이 공급되는 배선을 전원 라인(PL2)이라고 기재한다.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LSW (4)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VDD) of the MCU (1), the input terminal (VIN) of the LSW (5), and the power terminal (VDD) of the remaining fuel meter IC 12, It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of the ROM (6), the emitter terminal of the bipolar transistor (S1), the resistor (Rc),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of the FF (17). The wiring through which the system power voltage (Vcc2)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LSW (4) is supplied is referred to as the power line (PL2).

LSW(5)는, 제어 단자(ON)에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레벨이 되면, 입력 단자(VIN)에 입력되어 있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2)을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한다. LSW(5)의 제어 단자(ON)는, MCU(1)의 단자(P23)와 접속되어 있다. LSW(5)가 출력하는 전압은, 배선 저항 등을 무시하면 시스템 전원 전압(Vcc2)과 동일하지만, 시스템 전원 전압(Vcc2)과 구별하기 위해서, LSW(5)의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이하에서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3)이라고 기재한다. LSW(5)의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되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3)이 공급되는 배선을 전원 라인(PL3)이라고 기재한다.When the signal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ON becomes high level, the LSW 5 output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IN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5)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23) of the MCU (1). The voltage output by LSW (5) is the same a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if wiring resistance, etc. are ignored, but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the voltage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of LSW (5) is the same a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The voltage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3). The wiring through which the system power voltage (Vcc3)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LSW (5) is supplied is referred to as the power line (PL3).

전원 라인(PL3)에는, 서미스터(T2)와 저항기(Rt2)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고, 저항기(Rt2)는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서미스터(T2)와 저항기(Rt2)는 분압 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의 접속점은, MCU(1)의 단자(P21)와 접속되어 있다. MCU(1)는, 단자(P21)에 입력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서미스터(T2)의 온도 변동(저항값 변동)을 검출하고, 그 온도 변동량에 의해, 퍼프 동작의 유무를 판정한다.A series circuit of a thermistor T2 and a resistor Rt2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PL3, and the resistor Rt2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The thermistor T2 and the resistor Rt2 constitute a voltage dividing circuit, and their connection points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P21 of the MCU 1. The MCU 1 detects temperature fluctuations (resistance value fluctuations) of the thermistor T2 based on the voltage input to the terminal P21, and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uff operation based on the amount of temperature fluctuations.

전원 라인(PL3)에는, 서미스터(T3)와 저항기(Rt3)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고, 저항기(Rt3)는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서미스터(T3)와 저항기(Rt3)는 분압 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의 접속점은, MCU(1)의 단자(P13)와, 오피 앰프(OP2)의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MCU(1)는, 단자(P13)에 입력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서미스터(T3)의 온도(히터(HTR)의 온도에 상당)를 검출한다.A series circuit of a thermistor T3 and a resistor Rt3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PL3, and the resistor Rt3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The thermistor T3 and the resistor Rt3 constitute a voltage dividing circuit, and their connection points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P13 of the MCU 1 and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The MCU 1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thermistor T3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based on the voltage input to the terminal P13.

전원 라인(PL3)에는, 서미스터(T4)와 저항기(Rt4)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고, 저항기(Rt4)는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서미스터(T4)와 저항기(Rt4)는 분압 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의 접속점은, MCU(1)의 단자(P12)와, 오피 앰프(OP3)의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MCU(1)는, 단자(P12)에 입력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서미스터(T4)의 온도(케이스(110)의 온도에 상당)를 검출한다.A series circuit of a thermistor T4 and a resistor Rt4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PL3, and the resistor Rt4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The thermistor T4 and the resistor Rt4 constitute a voltage dividing circuit, and their connection points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P12 of the MCU 1 and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3. The MCU 1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thermistor T4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case 110) based on the voltage input to the terminal P12.

전원 라인(PL2)에는, MOSFET에 의해 구성된 스위치(S7)의 소스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7)의 게이트 단자는, MCU(1)의 단자(P20)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7)의 드레인 단자는, 진동 모터(M)가 접속되는 한 쌍의 커넥터의 한쪽에 접속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커넥터의 다른 쪽은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MCU(1)는, 단자(P20)의 전위를 조작함으로써 스위치(S7)의 개폐를 제어하고, 진동 모터(M)를 특정의 패턴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스위치(S7)를 대신하여, 전용의 드라이버 IC를 사용해도 된다.The source terminal of the switch S7 comprised of a MOSFET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PL2. The gate terminal of the switch S7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20 of the MCU 1. The drain terminal of the switch S7 is connected to one side of a pair of connectors to which the vibration motor M is connected. The other side of this pair of connectors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The MCU 1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witch S7 and vibrate the vibration motor M in a specific pattern by manipulating the potential of the terminal P20. Instead of the switch S7, a dedicated driver IC may be used.

전원 라인(PL2)에는, 오피 앰프(OP2)의 양전원 단자와, 오피 앰프(OP2)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분압 회로(Pd)(2개의 저항기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분압 회로(Pd)를 구성하는 2개의 저항기의 접속점은, 오피 앰프(OP2)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오피 앰프(OP2)는, 히터(HTR)의 온도에 따른 신호(서미스터(T3)의 저항값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미스터(T3)로서 NTC 특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히터(HTR)의 온도(서미스터(T3)의 온도)가 높을수록, 오피 앰프(OP2)의 출력 전압은 낮아진다. 이것은, 오피 앰프(OP2)의 음전원 단자는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으며, 오피 앰프(OP2)의 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값(서미스터(T3)와 저항기(Rt3)에 의한 분압값)이, 오피 앰프(OP2)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값(분압 회로(Pd)에 의한 분압값)보다 높아지면, 오피 앰프(OP2)의 출력 전압의 값은, 그라운드 전위의 값과 대략 동일하게 되기 때문이다. 즉, 히터(HTR)의 온도(서미스터(T3)의 온도)가 고온이 되면, 오피 앰프(OP2)의 출력 전압은 로우레벨이 된다.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PL2 is a positiv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and a voltage dividing circuit Pd (a series circuit of two resistors) connected to a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The connection point of the two resistors constituting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d is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outputs a signal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a signal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of the thermistor T3). In this embodiment, since a thermistor T3 having NTC characteristics is used, the higher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temperature of the thermistor T3), the lower the output voltage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This means that the negative power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and the voltage value (divided voltage value by the thermistor (T3) and resistor (Rt3)) input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is, When it becomes higher than the voltage value input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divided voltage value by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d)), the valu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become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value of the ground potential. Because it becomes. That i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the temperature of the thermistor (T3)) becomes high, the output voltage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becomes low level.

또한, 서미스터(T3)로서 PTC 특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피 앰프(OP2)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서미스터(T3) 및 저항기(Rt3)의 분압 회로의 출력을 접속하여, 오피 앰프(OP2)의 반전 입력 단자에, 분압 회로(Pd)의 출력을 접속하면 된다.Additionally, when using a thermistor (T3) having PTC characteristics, connect the output of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of the thermistor (T3) and resistor (Rt3)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Just connect the output of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d)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OP2).

전원 라인(PL2)에는, 오피 앰프(OP3)의 양전원 단자와, 오피 앰프(OP3)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분압 회로(Pe)(2개의 저항기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분압 회로(Pe)를 구성하는 2개의 저항기의 접속점은, 오피 앰프(OP3)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오피 앰프(OP3)는, 케이스(110)의 온도에 따른 신호(서미스터(T4)의 저항값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미스터(T4)로서 NTC 특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110)의 온도가 높을수록, 오피 앰프(OP3)의 출력 전압은 낮아진다. 이것은, 오피 앰프(OP3)의 음전원 단자는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으며, 오피 앰프(OP3)의 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값(서미스터(T4)와 저항기(Rt4)에 의한 분압값)이, 오피 앰프(OP3)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값(분압 회로(Pe)에 의한 분압값)보다 높아지면, 오피 앰프(OP3)의 출력 전압의 값은, 그라운드 전위의 값과 대략 동일하게 되기 때문이다. 즉, 서미스터(T4)의 온도가 고온이 되면, 오피 앰프(OP3)의 출력 전압이, 로우레벨이 된다.The power supply line PL2 is connected to a positiv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3 and a voltage dividing circuit Pe (a series circuit of two resistors)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3. The connection point of the two resistors constituting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e is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3. The operational amplifier OP3 outputs a signal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case 110 (a signal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of the thermistor T4). In this embodiment, since a thermistor T4 having NTC characteristics is used, the higher the temperature of the case 110, the lower the output voltage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3. This means that the negative power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3)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and the voltage value (divided voltage value by the thermistor (T4) and resistor (Rt4)) input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3) is, When it becomes higher than the voltage value input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3) (divided voltage value by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e)), the valu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3) become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value of the ground potential. Because it becomes. That i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thermistor T4 becomes high, the output voltage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3 becomes low level.

또한, 서미스터(T4)로서 PTC 특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피 앰프(OP3)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서미스터(T4) 및 저항기(Rt4)의 분압 회로의 출력을 접속하고, 오피 앰프(OP3)의 반전 입력 단자에, 분압 회로(Pe)의 출력을 접속하면 된다.Additionally, when using a thermistor (T4) having PTC characteristics, connect the output of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of the thermistor (T4) and resistor (Rt4)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3), Just connect the output of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e)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OP3).

오피 앰프(OP2)의 출력 단자에는 저항기(R1)가 접속되어 있다. 저항기(R1)에는, 다이오드(D1)의 캐소드가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1)의 애노드는, 오피 앰프(OP3)의 출력 단자와, FF(17)의 D 단자와, FF(17)의 CLR( ̄)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기(R1)와 다이오드(D1)의 접속 라인에는, 전원 라인(PL1)에 접속된 저항기(R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접속 라인에는, FF(16)의 CLR( ̄)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A resistor (R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The cathode of the diode D1 is connected to the resistor R1. The anode of the diode D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3, the D terminal of the FF17, and the CLR( ̄) terminal of the FF17. A resistor R2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PL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resistor R1 and the diode D1. Additionally, the CLR( ̄) terminal of FF(16) is connected to this connection line.

다이오드(D1)의 애노드 및 오피 앰프(OP3)의 출력 단자의 접속점과, FF(17)의 D 단자의 접속 라인에는, 저항기(R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저항기(R3)의 타단은 전원 라인(PL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접속 라인에는, 잔량계 IC(12)의 통지 단자(12a)와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D2)의 애노드와, 다이오드(D3)의 애노드와, FF(17)의 CLR( ̄)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3)의 캐소드는, MCU(1)의 단자(P5)에 접속되어 있다.One end of the resistor R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anode of the diode D1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3, and the connection line of the D terminal of the FF 17. The other end of resistor R3 is connected to power line PL2. Additionally, on this connection line, the anode of diode D2, which is connected to the notification terminal 12a of residual quantity meter IC 12, the anode of diode D3, and the CLR( ̄) terminal of FF 17 are connected to this connection line. You are connected. The cathode of diode D3 is connected to terminal P5 of MCU 1.

FF(16)는, 히터(HTR)의 온도가 과대가 되고, 오피 앰프(OP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작아져, CLR( ̄)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레벨이 되면, Q( ̄) 단자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를 MCU(1)의 단자(P11)에 입력한다. FF(16)의 D 단자에는 전원 라인(PL1)으로부터 하이레벨의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이 공급되어 있다. 이 때문에, FF(16)에서는, 음논리로 동작하는 CLR( ̄)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레벨이 되지 않는 한, Q( ̄) 단자로부터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계속 출력된다.FF(16) is connected to the Q( ̄) terminal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becomes excessive, the signal output from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decreases, and the signal input to the CLR ( ̄) terminal becomes low level. A high level signal is input to the terminal (P11) of the MCU (1). A high-level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is supplied to the D terminal of the FF (16) from the power line (PL1). For this reason, in the FF(16), unless the signal input to the CLR( ̄) terminal, which operates in negative logic, becomes low level, a low level signal is continuously output from the Q( ̄) terminal.

FF(17)의 CLR( ̄)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는, 히터(HTR)의 온도가 과대가 된 경우와, 케이스(110)의 온도가 과대가 된 경우와, 잔량계 IC(12)의 통지 단자(12a)로부터 이상 검출을 나타내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된 경우의 어느 하나의 경우에, 로우레벨이 된다. FF(17)는, CLR( ̄)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레벨이 되면, Q 단자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 로우레벨의 신호는, MCU(1)의 단자(P10)와, 스위치(S6)의 게이트 단자와, 승압 DC/DC 컨버터(9)의 이네이블 단자(EN)와, 충전 IC(2)에 접속된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1)의 베이스 단자에 각각 입력된다. 스위치(S6)의 게이트 단자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치(S6)를 구성하는 N 채널형 MOSFE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이 문턱값 전압 미만이 되기 때문에, 스위치(S6)가 오프가 된다. 승압 DC/DC 컨버터(9)의 이네이블 단자(EN)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면, 승압 DC/DC 컨버터(9)의 이네이블 단자(EN)는 정논리이기 때문에, 승압 동작이 정지된다.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1)의 베이스 단자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면,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1)가 온이 된다(컬렉터 단자로부터 증폭된 전류가 출력된다).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1)가 온이 되면, 충전 IC(2)의 CE( ̄) 단자에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1)를 통하여 하이레벨의 시스템 전원 전압(Vcc2)이 입력된다. 충전 IC(2)의 CE( ̄) 단자는 부논리이기 때문에, 전원(BAT)의 충전이 정지된다. 이들에 의해, 히터(HTR)의 가열과 전원(BAT)의 충전이 정지된다. 또한, MCU(1)가 단자(P22)로부터 충전 IC(2)의 충전 이네이블 단자(CE)( ̄)에 대하여 로우레벨의 이네이블 신호를 출력하려고 해도,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1)가 온이 되면, 증폭된 전류가, 컬렉터 단자로부터 MCU(1)의 단자(P22) 및 충전 IC(2)의 충전 이네이블 단자(CE)( ̄)에 입력된다. 이에 의해, 충전 IC(2)의 충전 이네이블 단자(CE)( ̄)에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는 점에 유의바란다.The signal input to the CLR( ̄) terminal of the FF(17) i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becomes excessiv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ase 110 becomes excessive, and when the remaining fuel meter IC 12 notifies the signal. In any case where a low level signal indicating abnormality detection is output from the terminal 12a, it becomes low level. FF(17) outputs a low level signal from the Q terminal when the signal input to the CLR( ̄) terminal becomes low level. This low-level signal is sent to the terminal (P10) of the MCU (1), the gate terminal of the switch (S6), the enable terminal (EN)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and the charger IC (2). Each is input to the base terminal of the connected bipolar transistor (S1). When a low-level signal is input to the gate terminal of switch S6, the gate-source voltage of the N-channel type MOSFET constituting switch S6 becomes less than the threshold voltage, so switch S6 is turned off. . When a low-level signal is input to the enable terminal (EN)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the boost operation is stopped because the enable terminal (EN)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is positive logic. . When a low-level signal is input to the base terminal of the bipolar transistor (S1), the bipolar transistor (S1) turns on (the amplified current is output from the collector terminal). When the bipolar transistor (S1) is turned on, a high-level system power voltage (Vcc2) is input to the CE ( ̄) terminal of the charger IC (2) through the bipolar transistor (S1). Since the CE( ̄) terminal of the charging IC 2 is negative logic, charging of the power supply BAT is stopped. Due to these, heating of the heater HTR and charging of the power source BAT are stopped. Additionally, even if the MCU (1) attempts to output a low-level enable signal from the terminal (P22) to the charge enable terminal (CE) ( ̄) of the charger IC (2), the bipolar transistor (S1) is turned on. Then, the amplified current is input from the collector terminal to the terminal (P22) of the MCU (1) and the charge enable terminal (CE) ( ̄) of the charger IC (2). Please note that, as a result, a high level signal is input to the charging enable terminal (CE) ( ̄) of the charging IC 2.

FF(17)의 D 단자에는 전원 라인(PL2)으로부터 하이레벨의 시스템 전원 전압(Vcc2)이 공급되고 있다. 이 때문에, FF(17)에서는, 부논리로 동작하는 CLR( ̄)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레벨이 되지 않는 한, Q 단자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가 계속 출력된다. 오피 앰프(OP3)의 출력 단자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면, 오피 앰프(OP2)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에 따르지 않고, FF(17)의 CLR( ̄) 단자에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된다. 오피 앰프(OP2)의 출력 단자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오피 앰프(OP3)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로우레벨의 신호는, 다이오드(D1)에 의해 이 하이레벨의 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점에 유의바란다. 또한, 오피 앰프(OP2)의 출력 단자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오피 앰프(OP3)의 출력 단자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었다고 해도,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이 하이레벨의 신호는 로우레벨의 신호로 치환된다.A high-level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is supplied to the D terminal of the FF (17) from the power supply line (PL2). For this reason, in FF17, a high level signal is continuously output from the Q terminal unless the signal input to the CLR( ̄) terminal, which operates in negative logic, becomes low level. When a low-level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3), a low-level signal is output to the CLR ( ̄) terminal of the FF (17), regardless of the level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is entered. When a high-level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the low-level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3) is affected by the high-level signal by the diode D1. Please note that this is not accepted. Additionally, when a low-level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even if a high-level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3), this high-level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diode D1. is replaced with a low-level signal.

전원 라인(PL2)은, MCU 탑재 기판(161)으로부터 LED 탑재 기판(163) 및 홀 IC 탑재 기판(164) 측을 향하여 더 분기(分岐)되어 있다. 이 분기된 전원 라인(PL2)에는, 홀 IC(13)의 전원 단자(VDD)와, 통신 IC(15)의 전원 단자(VCC)와, 홀 IC(14)의 전원 단자(VDD)가 접속되어 있다.The power supply line PL2 is further branched from the MCU mounting board 161 toward the LED mounting board 163 and the hole IC mounting board 164. To this branched power supply line PL2,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the Hall IC 13,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of the communication IC 15,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the Hall IC 14 are connected. there is.

홀 IC(13)의 출력 단자(OUT)는, MCU(1)의 단자(P3)와, 스위치 드라이버(7)의 단자(SW2)에 접속되어 있다. 아우터 패널(115)이 분리되면, 홀 IC(13)의 출력 단자(OUT)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MCU(1)는, 단자(P3)에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아우터 패널(115)의 장착 유무를 판정한다.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Hall IC 13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3 of the MCU 1 and the terminal SW2 of the switch driver 7. When the outer panel 115 is separated, a low level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Hall IC 13. The MCU 1 determines whether the outer panel 115 is mounted or not based on a signal input to the terminal P3.

LED 탑재 기판(163)에는, 조작 스위치(OPS)와 접속된 직렬 회로(저항기와 콘덴서의 직렬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직렬 회로는, 전원 라인(PL2)에 접속되어 있다. 이 직렬 회로의 저항기와 콘덴서의 접속점은, MCU(1)의 단자(P4)와, 조작 스위치(OPS)와, 스위치 드라이버(7)의 단자(SW1)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OPS)가 압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작 스위치(OPS)는 도통하지 않고, MCU(1)의 단자(P4)와 스위치 드라이버(7)의 단자(SW1)에 각각 입력되는 신호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2)에 의해 하이레벨이 된다. 조작 스위치(OPS)가 압하되어 조작 스위치(OPS)가 도통 상태가 되면, MCU(1)의 단자(P4)와 스위치 드라이버(7)의 단자(SW1)에 각각 입력되는 신호는,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기 때문에 로우레벨이 된다. MCU(1)는, 단자(P4)에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조작 스위치(OPS)의 조작을 검출한다.The LED mounting board 163 is provided with a series circuit (series circuit of a resistor and a condenser) connected to an operation switch (OPS). This series circuit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PL2. The connection point of the resistor and capacitor of this series circui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4 of the MCU 1, the operation switch OPS, and the terminal SW1 of the switch driver 7. When the operation switch (OPS) is not depressed, the operation switch (OPS) does not conduct, and the signals input to the terminal (P4) of the MCU (1) and the terminal (SW1) of the switch driver (7) are: It becomes high level by the system power voltage (Vcc2). When the operation switch (OPS) is depressed and the operation switch (OPS) becomes conductive, the signals input to the terminal (P4) of the MCU (1) and the terminal (SW1) of the switch driver (7) are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Because of this, it becomes a low level. The MCU 1 detect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OPS based on a signal input to the terminal P4.

스위치 드라이버(7)에는, 리셋 입력 단자(RSTB)가 설치되어 있다. 리셋 입력 단자(RSTB)는, LSW(4)의 제어 단자(ON)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드라이버(7)는, 단자(SW1)와 단자(SW2)에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모두 로우레벨이 된 경우(아우터 패널(115)이 분리되어 있고, 또한, 조작 스위치(OPS)가 압하된 상태)에는, 리셋 입력 단자(RSTB)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LSW(4)의 출력 동작을 정지시킨다. 즉, 본래는 아우터 패널(115)의 압압부(117)를 통하여 눌려지는 조작 스위치(OPS)가, 아우터 패널(115)이 분리된 상태로 유저에 의해 직접 눌려지면, 스위치 드라이버(7)의 단자(SW1)와 단자(SW2)에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모두 로우레벨이 된다.The switch driver 7 is provided with a reset input terminal (RSTB). The reset input terminal (RSTB) is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4). The switch driver 7 operates when the levels of signals input to the terminal SW1 and the terminal SW2 both become low levels (the outer panel 115 is separated and the operation switch OPS is depressed). state), a low-level signal is output from the reset input terminal (RSTB) to stop the output operation of the LSW 4. That is, when the operation switch (OPS), which is originally pressed through the pressing portion 117 of the outer panel 115, is pressed directly by the user with the outer panel 115 separated, the terminal of the switch driver 7 The levels of signals input to (SW1) and terminal (SW2) both become low levels.

<흡인기의 동작 모드마다의 동작><Operation for each operation mode of the suction device>

이하, 도 13~도 19를 참조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3은, 슬립 모드에 있어서의 전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액티브 모드에 있어서의 전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가열 초기 설정 모드에 있어서의 전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가열 모드에 있어서의 히터(HTR)의 가열시의 전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가열 모드에 있어서의 히터(HTR)의 온도 검출시의 전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충전 모드에 있어서의 전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MCU(1)의 리셋(재기동)시의 전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도 19의 각각에 있어서, 칩화된 전자 부품의 단자 중, 파선의 타원으로 둘러싸인 단자는, 전원 전압(VBAT), USB 전압(VUSB), 및 시스템 전원 전압 등의 입력 또는 출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단자를 나타내고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9,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ircuit shown in FIG. 10 will be described. Fig.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ircuit in sleep mode. FIG.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ircuit in the active mode. Figure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ircuit in the heating initial setting mode. FIG.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ircuit when heating the heater HTR in the heating mode. FIG. 1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ircuit when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in the heating mode. Fig. 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ircuit in charging mode. FIG. 1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ircuit when the MCU 1 is reset (restarted). In each of FIGS. 13 to 19, among the terminals of the chipized electronic components, the terminals surrounded by the broken oval have inputs or outputs such as power supply voltage (V BAT ), USB voltage (V USB ), and system power supply voltage. Indicates the terminal in which progress is being made.

어느 동작 모드에 있어서도, 전원 전압(VBAT)은, 보호 IC(10)의 전원 단자(VDD)와, 승압 DC/DC 컨버터(9)의 입력 단자(VIN)와, 충전 IC(2)의 충전 단자(bat)에 입력되어 있다.In any operation mode, the power supply voltage V It is input into the terminal (bat).

<슬립 모드: 도 13><Sleep mode: Figure 13>

MCU(1)는, 충전 IC(2)의 VBAT 파워 패스 기능을 유효로 하고, OTG 기능과 충전 기능을 무효로 한다. 충전 IC(2)의 입력 단자(VBUS)에 USB 전압(VUSB)이 입력되지 않음으로써, 충전 IC(2)의 VBAT 파워 패스 기능은 유효하게 된다. 통신선(LN)으로부터 OTG 기능을 유효하게 하기 위한 신호가 MCU(1)로부터 충전 IC(2)로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OTG 기능은 무효가 된다. 이 때문에, 충전 IC(2)는, 충전 단자(bat)에 입력된 전원 전압(VBAT)으로부터 시스템 전원 전압(Vcc0)을 생성하여, 출력 단자(SYS)로부터 출력한다. 출력 단자(SYS)로부터 출력된 시스템 전원 전압(Vcc0)은, 승강압 DC/DC 컨버터(8)의 입력 단자(VIN) 및 이네이블 단자(EN)에 입력된다. 승강압 DC/DC 컨버터(8)는, 정논리인 이네이블 단자(EN)에 하이레벨의 시스템 전원 전압(Vcc0)이 입력됨으로써 이네이블이 되고, 시스템 전원 전압(Vcc0)으로부터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을 생성하여,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한다. 승강압 DC/DC 컨버터(8)의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된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은, LSW(4)의 입력 단자(VIN)와, LSW(4)의 제어 단자(ON)와, 스위치 드라이버(7)의 입력 단자(VIN)와, FF(16)의 전원 단자(VCC) 및 D 단자에 각각 공급된다.The MCU (1) validates the V BAT power path function of the charger IC (2) and invalidates the OTG function and the charge function. Since the USB voltage (V USB ) is not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BUS) of the charging IC 2, the V BAT power pass function of the charging IC 2 becomes effective. Since the signal for validating the OTG function from the communication line LN is not output from the MCU 1 to the charging IC 2, the OTG function becomes invalid. For this reason, the charging IC 2 generate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0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input to the charging terminal bat and outputs it from the output terminal SY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0)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SYS)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IN) and the enable terminal (EN) of the step-up/download DC/DC converter 8. The step-up/download DC/DC converter 8 is enabled by inputting a high-level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0) to the enable terminal (EN), which is positive logic, and is converted from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0) to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 is generated and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step-up/download DC/DC converter (8)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VIN) of the LSW (4),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4), It is supplied to the input terminal (VIN) of the switch driver (7), the power terminal (VCC), and the D terminal of the FF (16), respectively.

LSW(4)는, 제어 단자(ON)에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이 입력됨으로써, 입력 단자(VIN)에 입력된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을, 출력 단자(VOUT)로부터 시스템 전원 전압(Vcc2)으로서 출력한다. LSW(4)로부터 출력된 시스템 전원 전압(Vcc2)은, MCU(1)의 전원 단자(VDD)와, LSW(5)의 입력 단자(VIN)와, 홀 IC(13)의 전원 단자(VDD)와, 통신 IC(15)의 전원 단자(VCC)와, 홀 IC(14)의 전원 단자(VDD)에 입력된다. 또한, 시스템 전원 전압(Vcc2)은, 잔량계 IC(12)의 전원 단자(VDD)와, ROM(6)의 전원 단자(VCC)와, 충전 IC(2)의 충전 이네이블 단자(CE)( ̄)에 접속된 저항기(Rc) 및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1)와, FF(17)의 전원 단자(VCC)와, 오피 앰프(OP3)의 양전원 단자와, 분압 회로(Pe)와, 오피 앰프(OP2)의 양전원 단자와, 분압 회로(Pd)에 각각 공급된다. 충전 IC(2)에 접속되어 있는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1)는, FF(17)의 Q 단자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한은 오프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LSW(4)에서 생성된 시스템 전원 전압(Vcc2)은, 충전 IC(2)의 충전 이네이블 단자(CE)( ̄)에도 입력된다. 충전 IC(2)의 충전 이네이블 단자(CE)( ̄)는 부논리이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충전 IC(2)에 의한 충전 기능은 오프가 된다.LSW(4) receive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ON), thereby converting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IN) to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It is output a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output from LSW (4)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MCU (1), the input terminal (VIN) of LSW (5),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Hall IC (13). and is input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of the communication IC 15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the Hall IC 14. Additionally,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the remaining charge meter IC 12,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of the ROM 6, and the charge enable terminal (CE) of the charger IC 2 ( The resistor (Rc) and bipolar transistor (S1) connected to It is supplied to the positive power terminal of OP2) and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d), respectively. The bipolar transistor S1 connected to the charger IC 2 is turned off unless a low level signal is output from the Q terminal of the FF 17. Therefore,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generated by the LSW (4) is also input to the charge enable terminal (CE) ( ̄) of the charger IC (2). Since the charging enable terminal (CE) ( ̄) of the charging IC 2 is negative logic, in this state, the charging function by the charging IC 2 is turned off.

이와 같이, 슬립 모드에 있어서는, LSW(5)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3)의 출력을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 라인(PL3)에 접속되는 전자 부품으로의 전력 공급은 정지된다. 또한, 슬립 모드에 있어서는, 충전 IC(2)의 OTG 기능은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LED(L1~L8)로의 전력 공급은 정지된다.In this way, in the sleep mode, the LSW 5 stops outputting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3, and therefore the supply of power to the electronic component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PL3 is stopped. Additionally, in the sleep mode, the OTG function of the charger IC 2 is stopped, so power supply to the LEDs L1 to L8 is stopped.

<액티브 모드: 도 14><Active mode: Figure 14>

MCU(1)는, 도 13의 슬립 모드 상태로부터, 단자(P8)에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레벨이 되고, 슬라이더(119)가 열린 것을 검출하면, 단자(P23)로부터 LSW(5)의 제어 단자(ON)에 하이레벨의 신호를 입력한다. 이에 의해, LSW(5)는 입력 단자(VIN)에 입력되어 있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2)을, 시스템 전원 전압(Vcc3)으로 하여,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한다. LSW(5)의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된 시스템 전원 전압(Vcc3)은, 서미스터(T2)와, 서미스터(T3)와, 서미스터(T4)에 공급된다.When the MCU 1 detects that the signal input to the terminal P8 is at a high level from the sleep mode state in FIG. 13 and the slider 119 is opened, the control terminal of the LSW 5 is transferred from the terminal P23. Input a high level signal to (ON). Accordingly, the LSW 5 output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IN a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3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3)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LSW (5) is supplied to the thermistor (T2), thermistor (T3), and thermistor (T4).

또한, MCU(1)는, 슬라이더(119)가 열린 것을 검출하면, 통신선(LN)을 통하여, 충전 IC(2)의 OTG 기능을 유효화한다. 이에 의해, 충전 IC(2)는, 충전 단자(bat)로부터 입력된 전원 전압(VBAT)을 승압하여 얻어지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4)을, 입력 단자(VBUS)로부터 출력한다. 입력 단자(VBUS)로부터 출력된 시스템 전원 전압(Vcc4)은,Additionally, when the MCU 1 detects that the slider 119 is open, it activates the OTG function of the charger IC 2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LN. Thereby, the charging IC 2 output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4 obtained by boosting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input from the charging terminal bat from the input terminal V BUS . The system power voltage (Vcc4) output from the input terminal (V BUS ) is,

LED(L1~L8)에 공급된다.It is supplied to LEDs (L1 to L8).

<가열 초기 설정 모드: 도 15><Heating initial setting mode: Figure 15>

도 14의 상태로부터, 단자(P4)에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레벨이 되면(조작 스위치(OPS)의 압하가 이루어지면), MCU(1)는, 가열에 필요한 각종의 설정을 실시한 후, 단자(P14)로부터, 승압 DC/DC 컨버터(9)의 이네이블 단자(EN)에 하이레벨의 이네이블 신호를 입력한다. 이에 의해, 승압 DC/DC 컨버터(9)는, 전원 전압(VBAT)을 승압하여 얻어지는 구동 전압(Vbst)을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한다. 구동 전압(Vbst)은, 스위치(S3)와 스위치(S4)에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위치(S3)와 스위치(S4)는 오프로 되어 있다. 또한, 단자(P14)로부터 출력된 하이레벨의 이네이블 신호에 의해 스위치(S6)는 온이 된다. 이에 의해, 히터(HTR)의 음극측 단자가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스위치(S3)를 ON으로 하면 히터(HTR)를 가열 가능한 상태가 된다. MCU(1)의 단자(P14)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의 이네이블 신호가 출력된 후, 가열 모드로 이행한다.From the state in FIG. 14, when the signal input to the terminal P4 becomes low level (when the operation switch (OPS) is pressed), the MCU 1 performs various settings necessary for heating and then connects the terminal ( From P14), a high-level enable signal is input to the enable terminal (EN)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Thereby, the step-up DC/DC converter 9 outputs the driving voltage (V bst ) obtained by boosting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The driving voltage V bst is supplied to the switch S3 and switch S4. In this state, switches S3 and S4 are turned off. Additionally, the switch S6 is turned on by the high-level enable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P14. As a result, the cathode terminal of the heater HTR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and the heater HTR can be heated when the switch S3 is turned ON. After the enable signal of the high level signal is output from the terminal (P14) of the MCU (1), it transitions to the heating mode.

<가열 모드시의 히터 가열: 도 16><Heater heating in heating mode: Figure 16>

도 15의 상태에 있어서, MCU(1)는, 단자(P16)에 접속된 스위치(S3)의 스위칭 제어와, 단자(P15)에 접속된 스위치(S4)의 스위칭 제어를 개시한다. 이들 스위칭 제어는, 상술한 가열 초기 설정 모드가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개시되어도 되고, 새로운 조작 스위치(OPS)의 압하에 의해 개시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MCU(1)는, 도 16과 같이, 스위치(S3)를 온하고, 스위치(S4)를 오프하여, 구동 전압(Vbst)을 히터(HTR)에 공급하고, 에어로졸 생성을 위한 히터(HTR)의 가열을 실시하는 가열 제어와, 도 17과 같이, 스위치(S3)를 오프하고, 스위치(S4)를 온하여, 히터(HTR)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제어를 실시한다.In the state of FIG. 15, the MCU 1 starts switching control of the switch S3 connected to the terminal P16 and the switching control of the switch S4 connected to the terminal P15. These switching controls may be started automatically when the heating initial setting mode described above is completed, or may be started by pressing a new operation switch (OPS).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6, the MCU (1) turns on the switch (S3) and turns off the switch (S4) to supply the driving voltage (V bst ) to the heater (HTR) and to generate aerosol. Heating control is performed to heat the heater HTR, and temperature detection control is performed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by turning off the switch S3 and turning on the switch S4, as shown in FIG. 17.

도 16에 나타내듯이, 가열 제어시에 있어서는, 구동 전압(Vbst)은, 스위치(S5)의 게이트에도 공급되어, 스위치(S5)가 온이 된다. 또한, 가열 제어시에는, 스위치(S3)를 통과한 구동 전압(Vbst)이, 저항기(Rs)를 통하여, 오피 앰프(OP1)의 양전원 단자에도 입력된다. 저항기(Rs)의 저항값은, 오피 앰프(OP1)의 내부 저항값과 비교하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그 때문에, 가열 제어시에 있어서, 오피 앰프(OP1)의 양전원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은, 구동 전압(Vbst)과 거의 동등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6 , during heating control, the driving voltage V bst is also supplied to the gate of the switch S5, and the switch S5 is turned on. Additionally, during heating control, the driving voltage V bst passing through the switch S3 is also input to the positiv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1 through the resistor R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Rs is so small that it can be ignored compared to the internal resistance value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1. Therefore, during heating control, the voltage input to the positiv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1 becomes substantially equal to the driving voltage V bst .

또한, 저항기(R4)의 저항값은, 스위치(S5)의 온 저항값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가열 제어시에도 오피 앰프(OP1)는 동작하지만, 가열 제어시에는 스위치(S5)가 온이 된다. 스위치(S5)가 온의 상태에서는, 오피 앰프(OP1)의 출력 전압이, 저항기(R4)와 스위치(S5)의 분압 회로에 의해 분압되어, MCU(1)의 단자(P9)에 입력된다. 저항기(R4)의 저항값이 스위치(S5)의 온 저항값보다도 크게 되어 있음으로써, MCU(1)의 단자(P9)에 입력되는 전압은 충분히 작아진다. 이에 의해, 오피 앰프(OP1)로부터 MCU(1)에 대하여 큰 전압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R4 is greater than the on-resistance value of the switch S5. The operational amplifier OP1 operates even during heating control, but the switch S5 is turned on during heating control. When the switch S5 is on, the output voltage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1 is divided by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of the resistor R4 and the switch S5, and is input to the terminal P9 of the MCU 1. Sinc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R4 is greater than the on-resistance value of the switch S5, the voltage input to the terminal P9 of the MCU 1 becomes sufficiently small.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arge voltage from being input to the MCU 1 from the operational amplifier OP1.

<가열 모드시의 히터 온도 검출: 도 17><Heater temperature detection in heating mode: Figure 17>

도 17에 나타내듯이, 온도 검출 제어시에는, 구동 전압(Vbst)이 오피 앰프(OP1)의 양전원 단자에 입력됨과 함께, 분압 회로(Pb)에 입력된다. 분압 회로(Pb)에 의해 분압된 전압은, MCU(1)의 단자(P18)에 입력된다. MCU(1)는, 단자(P18)에 입력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온도 검출 제어시에 있어서의 저항기(Rs)와 히터(HTR)의 직렬 회로에 인가되는 기준 전압(Vtemp)을 취득한다.As shown in Fig. 17, during temperature detection control, the driving voltage V bst is input to the positiv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1 and is input to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b. The voltage divided by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b is input to the terminal P18 of the MCU 1. Based on the voltage input to the terminal P18, the MCU 1 acquires the reference voltage V temp applied to the series circuit of the resistor Rs and the heater HTR during temperature detection control.

또한, 온도 검출 제어시에는, 구동 전압(Vbst)(기준 전압(Vtemp))이, 저항기(Rs)와 히터(HTR)의 직렬 회로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구동 전압(Vbst)(기준 전압(Vtemp))을 저항기(Rs)와 히터(HTR)에 의해 분압된 전압(Vheat)이, 오피 앰프(OP1)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된다. 저항기(Rs)의 저항값은 히터(HTR)의 저항값보다도 충분히 크기 때문에, 전압(Vheat)은, 구동 전압(Vbst)보다도 충분히 낮은 값이다. 온도 검출 제어시에는, 이 낮은 전압(Vheat)이 스위치(S5)의 게이트 단자에도 공급됨으로써, 스위치(S5)는 오프가 된다. 오피 앰프(OP1)는, 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과 비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Vheat)의 차를 증폭하여 출력한다.Additionally, during temperature detection control, the driving voltage V bst (reference voltage V temp ) is supplied to the series circuit of the resistor Rs and the heater HTR. Then, the voltage (V heat ) divided by the driving voltage (V bst ) (reference voltage (V temp )) by the resistor (Rs) and the heater ( HTR ) is input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1). do. Sinc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Rs is sufficiently greater tha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heater HTR, the voltage V heat is sufficiently lower than the driving voltage V bst . During temperature detection control, this low voltage (V heat ) is also su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switch S5, thereby turning switch S5 of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1 amplifies and outpu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input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and the voltage (V heat ) input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오피 앰프(OP1)의 출력 신호는, MCU(1)의 단자(P9)에 입력된다. MCU(1)는, 단자(P9)에 입력된 신호와, 단자(P18)의 입력 전압에 근거하여 취득한 기준 전압(Vtemp)과, 기지(旣知)의 저항기(Rs)의 전기 저항값에 근거하여, 히터(HTR)의 온도를 취득한다. MCU(1)는, 취득한 히터(HTR)의 온도에 근거하여, 히터(HTR)의 가열 제어(예를 들면 히터(HTR)의 온도가 목표 온도가 되는 것 같은 제어)를 실시한다.The output sig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1) is input to the terminal (P9) of the MCU (1). The MCU 1 determines the signal input to the terminal P9, the reference voltage V temp obtained based on the input voltage of the terminal P18, and the electrical resistance value of the known resistor Rs. Based on thi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is acquired. The MCU 1 performs heating control of the heater HTR (for example, control such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becomes the target temperature) based on the acquired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또한, MCU(1)는, 스위치(S3)와 스위치(S4)를 각각 오프로 하고 있는 기간(히터(HTR)로의 통전을 실시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 있어서도, 히터(HTR)의 온도를 취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MCU(1)는, 단자(P13)에 입력되는 전압(서미스터(T3)와 저항기(Rt3)로 구성되는 분압 회로의 출력 전압)에 근거하여, 히터(HTR)의 온도를 취득한다.In addition, the MCU 1 can acqui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even during the period when the switch S3 and the switch S4 are each turned off (a period when electricity is not supplied to the heater (HTR)). You can. Specifically, the MCU 1 acquir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based on the voltage input to the terminal P13 (the output voltage of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consisting of the thermistor T3 and the resistor Rt3). .

또한, MCU(1)는, 임의의 타이밍에서, 케이스(110)의 온도의 취득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MCU(1)는, 단자(P12)에 입력되는 전압(서미스터(T4)와 저항기(Rt4)로 구성되는 분압 회로의 출력 전압)에 근거하여, 케이스(110)의 온도를 취득한다.Additionally, the MCU 1 is also capable of acquiring the temperature of the case 110 at any timing. Specifically, the MCU 1 acquires the temperature of the case 110 based on the voltage input to the terminal P12 (the output voltage of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consisting of the thermistor T4 and the resistor Rt4). .

<충전 모드: 도 18><Charging mode: Figure 18>

도 18은, 슬립 모드 상태에서 USB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USB 접속이 이루어지면, USB 전압(VUSB)이 과전압 보호 IC(11)를 통하여 LSW(3)의 입력 단자(VIN)에 입력된다. USB 전압(VUSB)은, LSW(3)의 입력 단자(VIN)에 접속된 분압 회로(Pf)에도 공급된다. USB 접속이 이루어진 직후의 시점에서는,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2)가 온이 되어 있기 때문에, LSW(3)의 제어 단자(ON)에 입력되는 신호는 로우레벨로 남아있다. USB 전압(VUSB)은, MCU(1)의 단자(P17)에 접속된 분압 회로(Pc)에도 공급되고, 이 분압 회로(Pc)에서 분압된 전압이 단자(P17)에 입력된다. MCU(1)는, 단자(P17)에 입력된 전압에 근거하여, USB 접속이 이루어진 것을 검출한다.Figure 18 illustrates a case where USB connection is established in sleep mode. When the USB connection is established, the USB voltage (V USB )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IN) of the LSW (3) through the overvoltage protection IC (11). The USB voltage (V USB ) is also supplied to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f)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VIN) of the LSW (3). Immediately after the USB connection is established, the bipolar transistor S2 is turned on, so the signal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3) remains at a low level. The USB voltage V USB is also supplied to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c connected to the terminal P17 of the MCU 1, and the voltage divided by this voltage dividing circuit Pc is input to the terminal P17. The MCU 1 detects that a USB connection has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voltage input to the terminal P17.

MCU(1)는, USB 접속이 이루어진 것을 검출하면, 단자(P19)에 접속된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2)를 오프한다.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2)의 게이트 단자에 로우레벨의 신호를 입력하면, 분압 회로(Pf)에 의해 분압된 USB 전압(VUSB)이 LSW(3)의 제어 단자(ON)에 입력된다. 이에 의해, LSW(3)의 제어 단자(ON)에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 LSW(3)는, USB 전압(VUSB)을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한다. LSW(3)로부터 출력된 USB 전압(VUSB)은, 충전 IC(2)의 입력 단자(VBUS)에 입력된다. 또한, LSW(3)로부터 출력된 USB 전압(VUSB)은, 그대로 시스템 전원 전압(Vcc4)으로서, LED(L1~L8)에 공급된다.When the MCU 1 detects that a USB connection has been established, it turns off the bipolar transistor S2 connected to the terminal P19. When a low-level signal is input to the gate terminal of the bipolar transistor (S2), the USB voltage (V USB ) divided by the voltage dividing circuit (Pf)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3). As a result, a high-level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3), and the LSW (3) outputs the USB voltage (V USB )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The USB voltage (V USB ) output from LSW (3)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BUS) of the charger IC (2). Additionally, the USB voltage (V USB ) output from LSW3 is supplied to the LEDs (L1 to L8) a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4).

MCU(1)는, USB 접속이 이루어진 것을 검출하면, 또한, 단자(P22)로부터, 충전 IC(2)의 충전 이네이블 단자(CE)( ̄)에 대하여 로우레벨의 이네이블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충전 IC(2)는, 전원(BAT)의 충전 기능을 유효화하고, 입력 단자(VBUS)에 입력되는 USB 전압(VUSB)에 의한 전원(BAT)의 충전을 개시한다.When the MCU 1 detects that the USB connection has been established, it further outputs a low-level enable signal from the terminal P22 to the charge enable terminal (CE) ( ̄) of the charger IC 2. Thereby, the charging IC 2 activates the charging function of the power source BAT and starts charging the power source BAT using the USB voltage V USB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BUS.

또한, 액티브 모드 상태에서 USB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MCU(1)는, USB 접속이 이루어진 것을 검출하면, 단자(P19)에 접속된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2)를 오프하고, 또한, 단자(P22)로부터, 충전 IC(2)의 충전 이네이블 단자(CE)( ̄)에 대하여 로우레벨의 이네이블 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통신선(LN)을 이용한 시리얼 통신에 의해, 충전 IC(2)의 OTG 기능을 오프한다. 이에 의해, LED(L1~L8)에 공급되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4)은, 충전 IC(2)의 OTG 기능으로 생성되어 있던 전압(전원 전압(VBAT)에 근거하는 전압)으로부터, LSW(3)로부터 출력된 USB 전압(VUSB)으로 전환된다. LED(L1~L8)는, MCU(1)에 의해 내장 트랜지스터의 온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은 작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OTG 기능의 온에서 오프로의 과도기에 있어서의 불안정한 전압이 LED(L1~L8)에 공급되는 것은 방지된다.Additionally, when the USB connection is made in the active mode state, when the MCU 1 detects that the USB connection has been made, it turns off the bipolar transistor S2 connected to the terminal P19, and also turns off the bipolar transistor S2 connected to the terminal P22. From there, a low-level enable signal is output to the charge enable terminal (CE) ( ̄) of the charger IC 2, and further, the OTG of the charger IC 2 is transmitted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using the communication line (LN). Turn off the function. As a result,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4) supplied to the LEDs (L1 to L8) is derived from the voltage (voltage based on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 generated by the OTG function of the charger IC (2). ) is converted to the output USB voltage (V USB ). LEDs (L1 to L8) do not operate unless on-control of the built-in transistor is performed by the MCU (1). For this reason, unstable voltage is prevented from being supplied to the LEDs (L1 to L8)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from on to off of the OTG function.

도 18에서는, 충전 모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전원 전압의 공급 상태는, 슬립 모드와 동일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충전 모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전원 전압의 공급 상태는, 도 14에 나타낸 액티브 모드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충전 모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온도 관리를 위해서, 서미스터(T2~T4)에 시스템 전원 전압(Vcc3)이 공급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Figure 18, the supply state of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in the charging mode is the same as that in the sleep mode. However, it is desirable that the supply state of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in the charging mode is the same as that in the active mode shown in FIG. 14. That is, in the charging mode, it is preferable that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3) is supplied to the thermistors (T2 to T4) for temperature managem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CU의 리셋: 도 19><Reset of MCU: Figure 19>

아우터 패널(115)이 분리되어 홀 IC(13)의 출력이 로우레벨이 되고, 조작 스위치(OPS)의 온 조작이 이루어져 MCU(1)의 단자(P4)에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레벨이 되면, 스위치 드라이버(7)의 단자(SW1)와 단자(SW2)가 모두 로우레벨이 된다. 이에 의해, 스위치 드라이버(7)는, 리셋 입력 단자(RSTB)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리셋 입력 단자(RSTB)로부터 출력된 로우레벨의 신호는 LSW(4)의 제어 단자(ON)에 입력된다. 이에 의해, LSW(4)는, 출력 단자(VOUT)로부터의 시스템 전원 전압(Vcc2)의 출력을 정지한다. 시스템 전원 전압(Vcc2)의 출력이 정지됨으로써, MCU(1)의 전원 단자(VDD)에 시스템 전원 전압(Vcc2)이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MCU(1)는 정지한다.When the outer panel 115 is separated and the output of the Hall IC 13 becomes low level and the operation switch (OPS) is turned on and the signal input to the terminal P4 of the MCU 1 becomes low level, Both the terminal (SW1) and the terminal (SW2) of the switch driver (7) are at low level. As a result, the switch driver 7 outputs a low-level signal from the reset input terminal (RSTB). The low level signal output from the reset input terminal (RSTB)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4). As a result, LSW 4 stops outputting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When the output of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is stopped,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is not input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the MCU (1), so the MCU (1) stops.

스위치 드라이버(7)는, 리셋 입력 단자(RSTB)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시간이 기정(旣定) 시간에 도달하거나, 단자(SW1)와 단자(SW2)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레벨이 되면, 리셋 입력 단자(RST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하이레벨로 되돌린다. 이에 의해, LSW(4)의 제어 단자(ON)가 하이레벨이 되고, 시스템 전원 전압(Vcc2)이 각부에 공급되는 상태로 복귀한다.The switch driver 7 outputs a low-level signal from the reset input terminal (RSTB) when the preset time is reached, or when the signal input to either the terminal (SW1) or the terminal (SW2) is reached. When becomes high level, the signal output from the reset input terminal (RSTB) returns to high level. As a result,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4) becomes high level, and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returns to the state where it is supplied to each part.

이하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전술한 서미스터(T1)를 전원 서미스터(T1)라고도 기재하고, 전술한 서미스터(T2)를 퍼프 서미스터(T2)라고도 기재하고, 전술한 서미스터(T3)를 히터 서미스터(T3)라고도 기재하고, 전술한 서미스터(T4)를 케이스 서미스터(T4)라고도 기재한다.Hereinafter,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above-described thermistor T1 is also referred to as a power thermistor T1, the above-described thermistor T2 is also referred to as a puff thermistor T2, and the above-described thermistor T3 is referred to as a heater thermistor. It is also written as (T3), and the thermistor (T4) described above is also written as a case thermistor (T4).

<충전 IC의 기능의 상세)<Details of the functions of the charging IC)

도 20은, 충전 IC(2)의 내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충전 IC(2)는, 프로세서(21)와, 게이트 드라이버(22)와, N 채널형 MOSFET로 구성된 스위치(Q1~Q4)를 구비한다.FIG. 20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IC 2. The charging IC 2 includes a processor 21, a gate driver 22, and switches Q1 to Q4 comprised of N-channel type MOSFETs.

스위치(Q1)의 소스 단자는 입력 단자(VBUS)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Q1)의 드레인 단자는, 스위치(Q2)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Q2)의 소스 단자는, 스위칭 단자(SW)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Q3)의 드레인 단자는, 스위치(Q2)와 스위칭 단자(SW)의 접속 노드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Q3)의 소스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GND)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Q4)의 드레인 단자는, 출력 단자(SYS)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Q4)의 소스 단자는, 충전 단자(bat)에 접속되어 있다.The source terminal of switch Q1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VBUS. The drain terminal of switch Q1 is connected to the drain terminal of switch Q2. The source terminal of the switch Q2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terminal SW. The drain terminal of the switch Q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switch Q2 and the switching terminal SW. The source terminal of the switch Q3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GND). The drain terminal of the switch Q4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SYS. The source terminal of the switch Q4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bat.

게이트 드라이버(22)는, 스위치(Q2)의 게이트 단자와 스위치(Q3)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프로세서(21)의 지령에 근거하여, 스위치(Q2, Q3)의 온 오프 제어를 실시한다.The gate driver 22 is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switch Q2 and the gate terminal of the switch Q3, and performs on-off control of the switches Q2 and Q3 based on instructions from the processor 21. .

프로세서(21)는, 게이트 드라이버(22)와, 스위치(Q1)의 게이트 단자와, 스위치(Q4)의 게이트 단자와, 충전 이네이블 단자(CE)( ̄)에 접속되어 있다. 프로세서(21)는, 게이트 드라이버(22)를 통한 스위치(Q2, Q3)의 온 오프 제어와, 스위치(Q1, Q4)의 온 오프 제어를 실시한다.The processor 21 is connected to the gate driver 22, the gate terminal of the switch Q1, the gate terminal of the switch Q4, and the charging enable terminal (CE) ( ̄). The processor 21 performs on-off control of the switches Q2 and Q3 and on-off control of the switches Q1 and Q4 through the gate driver 22.

충전 IC(2)는, 전술한 충전 기능, VBAT 파워 패스 기능, 및 OTG 기능에 더하여, VUSB 파워 패스 기능과 VUSB & VBAT 파워 패스 기능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이들 각 기능의 유효시에 있어서의 충전 IC(2)의 내부의 제어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각종 전압의 구체적인 수치는,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나타내는 값이다.The charging IC 2 has a V USB power path function and a V USB & V BAT power path func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harging function, V BAT power path function, and OTG function. Below, the internal control contents of the charging IC 2 when each of these functions are effective will be explained. In addition, the specific values of the various voltages described above are preferably the values shown below.

전원 전압(VBAT)(만충전 전압)=4.2VPower supply voltage (V BAT ) (full charge voltage) = 4.2V

전원 전압(VBAT)(공칭 전압)=3.7VPower supply voltage (V BAT ) (nominal voltage) = 3.7V

시스템 전원 전압(Vcc1)=3.3VSystem power voltage (Vcc1)=3.3V

시스템 전원 전압(Vcc2)=3.3VSystem power voltage (Vcc2)=3.3V

시스템 전원 전압(Vcc3)=3.3VSystem power voltage (Vcc3)=3.3V

시스템 전원 전압(Vcc4)=5.0VSystem power voltage (Vcc4)=5.0V

USB 전압(VUSB)=5.0VUSB voltage (V USB )=5.0V

구동 전압(Vbst)=4.9VDriving voltage (V bst )=4.9V

(충전 기능)(Charging function)

프로세서(21)는, 스위치(Q1)를 온, 스위치(Q3)를 오프로 제어한 상태에서, 스위치(Q2) 및 스위치(Q4)의 온 오프 제어를 실시한다. 스위치(Q4)의 온 오프 제어는, 전원(BAT)의 충전 전류를 조정하기 위해서 실시된다. 프로세서(21)는, 출력 단자(SYS)의 전압이 전원(BAT)의 충전에 적합한 전압과 동일하게 되도록 스위치(Q2)의 온 오프 제어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입력 단자(VBUS)에 입력된 USB 전압(VUSB)은 강압되어 출력 단자(SYS)로부터 출력된다. 출력 단자(SYS)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시스템 전원 전압(Vcc0)으로서 승강압 DC/DC 컨버터(8)의 입력 단자(VIN)에 입력됨과 함께, 충전 IC(2)의 충전 단자(bat)로부터 출력된다. 이에 의해, USB 전압(VUSB)을 강압하여 얻은 전압에 의한 전원(BAT)의 충전이 실시된다. 또한, 충전 기능의 유효시에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0)은, 최종적으로, 전원(BAT)의 만충전 전압과 동일한 값이 된다. 이 때문에, 승강압 DC/DC 컨버터(8)는, 입력 단자(VIN)에 입력되는 4.2V의 시스템 전원 전압(Vcc0)을 강압하고, 3.3V의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을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 충전 기능의 유효시에는, 충전 IC(2)에 있어서, 입력 단자(VBUS)의 전위가 출력 단자(SYS)의 전위보다도 고전위가 되기 때문에, 전원(BAT)으로부터의 전력이 입력 단자(VBUS)로부터 출력되는 일은 없다.The processor 21 performs on-off control of the switch Q2 and Q4 while controlling the switch Q1 to be on and the switch Q3 to be off. The on-off control of the switch Q4 is performed to adjust the charging current of the power supply BAT. The processor 21 performs on-off control of the switch Q2 so that the voltage at the output terminal SYS becomes the same as the voltage suitable for charging the power source BAT. Thereby, the USB voltage (V USB )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BUS) is stepped down and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SYS). The voltage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SYS) is input a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0) to the input terminal (VIN) of the step-up/download DC/DC converter 8, and is also input from the charging terminal (bat) of the charger IC 2. It is output. In this way, charging of the power supply (BAT) using the voltage obtained by reducing the USB voltage (V USB ) is performed. Additionally, when the charging function is effective,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0 ultimately becomes the same value as the full charge voltage of the power supply BAT. For this reason, the step-up/download DC/DC converter 8 steps down the 4.2V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0)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IN), generates and outputs a 3.3V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 When the charging function is valid, the potential of the input terminal (VBUS) of the charger IC 2 becomes higher than the potential of the output terminal (SYS), so th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BAT) flows to the input terminal (VBUS). There is no output from .

(VUSB 파워 패스 기능)(V USB Power Pass function)

VUSB 파워 패스 기능은, 예를 들면, 전원(BAT)이 과방전 등의 이유로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 유효가 된다. 프로세서(21)는, 스위치(Q1)를 온, 스위치(Q2)를 온, 스위치(Q3)를 오프, 스위치(Q4)를 오프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입력 단자(VBUS)에 입력된 USB 전압(VUSB)은, 강압되는 일 없이, 그대로 스위칭 단자(SW)로부터 출력된다. 스위칭 단자(SW)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시스템 전원 전압(Vcc0)으로서 승강압 DC/DC 컨버터(8)의 입력 단자(VIN)에 입력된다. 이 경우도, 승강압 DC/DC 컨버터(8)는, 입력 단자(VIN)에 입력되는 5V의 시스템 전원 전압(Vcc0)을 강압하고, 3.3V의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을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 또한, VUSB 파워 패스 기능을 유효로 하는 경우여도, 프로세서(21)는, 스위치(Q1)를 온, 스위치(Q3)를 오프, 스위치(Q4)를 온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스위치(Q2)의 온 오프 제어를 실시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5.0V의 USB 전압(VUSB)으로부터 3.3V의 시스템 전원 전압(Vcc1)까지의 강압을, 충전 IC(2)와 승강압 DC/DC 컨버터(8)가 서로 나누어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승강압 DC/DC 컨버터(8)에 부하나 발열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V USB Power Pass function is effective when, for example, the power source (BAT) is unavailable due to overdischarge or the like. The processor 21 controls switch Q1 to be on, switch Q2 to be on, switch Q3 to be off, and switch Q4 to be off. As a result, the USB voltage (V USB )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BUS) is output as is from the switching terminal (SW) without being reduced. The voltage output from the switching terminal (SW)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IN) of the step-up/down-boost DC/DC converter 8 a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0). In this case as well, the step-up/download DC/DC converter 8 steps down the 5V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0)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IN), generates and outputs a 3.3V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 Moreover, even when the V USB power path function is enabled, the processor 21 controls the switch Q2 to be turned on, the switch Q3 to be turned on, and the switch Q4 to be turned on. On/off control may be performed. In this way, the step-down from the USB voltage (V USB ) of 5.0 V to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of 3.3 V can be performed separately between the charger IC 2 and the step-up/down-boost DC/DC converter 8.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load and heat generation from being concentrated in the step-up/download DC/DC converter 8.

(VUSB & VBAT 파워 패스 기능)(V USB & V BAT power pass function)

VUSB & VBAT 파워 패스 기능은, 예를 들면, 전원(BAT)의 충전이 완료되어 있고 또한 USB 접속이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 유효가 된다. 프로세서(21)는, 스위치(Q1)를 온, 스위치(Q3)를 오프, 스위치(Q4)를 온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스위치(Q2)의 온 오프 제어를 실시한다. 프로세서(21)는, 출력 단자(SYS)의 전압이, 전원(BAT)의 전압(전원 전압(VBAT))과 동일하게 되도록 스위치(Q2)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입력 단자(VBUS)에 입력된 USB 전압(VUSB)은 강압되어 출력 단자(SYS)로부터 출력된다. 입력 단자(VBUS)에 입력된 USB 전압(VUSB)이 강압되어 출력 단자(SYS)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과, 전원(BAT)으로부터 충전 단자(bat)를 경유하여 출력 단자(SYS)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동일한 값이 된다. 이 때문에, USB 전압(VUSB)을 강압하여 얻은 전압을 포함하는 전력과, 출력 단자(SYS)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VBAT)을 포함하는 전력이 합성되어, 승강압 DC/DC 컨버터(8)의 입력 단자(VIN)에 공급된다. VUSB & VBAT 파워 패스 기능의 유효시에는, 충전 IC(2)에 있어서, 입력 단자(VBUS)의 전위가 출력 단자(SYS)의 전위보다도 고전위가 되기 때문에, 전원(BAT)으로부터의 전력이 입력 단자(VBUS)로부터 출력되는 일은 없다.The V USB & V BAT power pass function becomes effective, for example, when charging of the power source (BAT) is completed and the USB connection continues. The processor 21 performs on-off control of the switch Q2 while controlling the switch Q1 to be on, the switch Q3 to be off, and the switch Q4 to be on. The processor 21 controls the switch Q2 so that the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SYS is equal to the voltage of the power supply BAT (power supply voltage V BAT ). Thereby, the USB voltage (V USB )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BUS) is stepped down and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SYS). The USB voltage (V USB )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BUS) is stepped down and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SYS), and the voltage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SYS) from the power source (BAT) via the charging terminal (bat) becomes the same value. For this reason, power including the voltage obtained by stepping down the USB voltage (V USB ) and power including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SYS) are synthesized, and a step-up/down-voltage DC/DC converter (8 ) is supplied to the input terminal (VIN). When the V USB & V BAT power path function is effective, the potential of the input terminal (VBUS) of the charger IC 2 becomes higher than the potential of the output terminal (SYS), so th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BAT) There is no output from this input terminal (VBUS).

VUSB & VBAT 파워 패스 기능의 유효시에는, 승강압 DC/DC 컨버터(8)는, 전원 전압(VBAT)의 크기에 의해 승압과 강압의 어느 쪽을 실시할지를 결정한다. 승강압 DC/DC 컨버터(8)는, 전원 전압(VBAT)이 3.3V 이상인 경우에는, 입력 단자(VIN)에 입력되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0)을 강압하고, 3.3V의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승강압 DC/DC 컨버터(8)는, 전원 전압(VBAT)이 3.3V 미만인 경우에는, 입력 단자(VIN)에 입력되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0)을 승압하고, 3.3V의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을 생성하여 출력한다.When the V USB & V BAT power path function is effective, the step-up or step-down DC/DC converter 8 determines whether to perform step-up or step-dow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 When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 is 3.3 V or more, the step-up/down-boost DC/DC converter 8 steps down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0)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IN) and increase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of 3.3 V. ) is generated and output. When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 is less than 3.3V, the step-up/download DC/DC converter 8 boost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0)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IN) and increase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of 3.3V. ) is generated and output.

(VBAT 파워 패스 기능)(V BAT Power Pass function)

VBAT 파워 패스 기능은, 충전 모드 이외의 모드(예를 들면, 슬립 모드)에서 유효가 된다. 프로세서(21)는, 스위치(Q1)와 스위치(Q3)를 오프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충전 단자(bat)에 입력된 전원 전압(VBAT)은, 그대로, 출력 단자(SYS)로부터 출력되고, 시스템 전원 전압(Vcc0)으로서, 승강압 DC/DC 컨버터(8)의 입력 단자(VIN)에 입력된다. 이 제어에 의해, 충전 IC(2)의 입력 단자(VBUS)와 스위칭 단자(SW) 사이의 전력 전달 경로는, 스위치(Q1)의 기생 다이오드에 의해 블록된다. 이 때문에, 출력 단자(SYS)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VBAT)이, 입력 단자(VBUS)로부터 출력되는 일은 없다.The V BAT power pass function is effective in modes other than charging mode (for example, sleep mode). The processor 21 controls the switch Q1 and switch Q3 to be turned off. As a result,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input to the charging terminal bat is output as is from the output terminal SYS, and is output a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0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tep-up/down-voltage DC/DC converter 8. (VIN) is entered. By this control, the power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input terminal (VBUS) of the charging IC 2 and the switching terminal (SW) is blocked by the parasitic diode of the switch Q1. For this reason,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SYS is not output from the input terminal VBUS.

VBAT 파워 패스 기능의 유효시에는, 승강압 DC/DC 컨버터(8)는, 전원 전압(VBAT)의 크기에 의해 승압과 강압의 어느 쪽을 실시할지를 결정한다. 승강압 DC/DC 컨버터(8)는, 입력 단자(VIN)에 입력되는 전원 전압(VBAT)이 3.3V 이상인 경우에는, 전원 전압(VBAT)을 강압하고, 3.3V의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승강압 DC/DC 컨버터(8)는, 입력 단자(VIN)에 입력되는 전원 전압(VBAT)이 3.3V 미만인 경우에는, 전원 전압(VBAT)을 승압하고, 3.3V의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을 생성하여 출력한다.When the V BAT power path function is effective, the step-up or step-down DC/DC converter 8 determines whether to perform step-up or step-dow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 The step-up/download DC/DC converter 8 steps down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when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IN) is 3.3 V or more, and increase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 Vcc1 ) of 3.3 V. ) is generated and output. When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IN) is less than 3.3 V, the step-up/down DC/DC converter 8 boosts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 and increase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of 3.3 V. ) is generated and output.

(OTG 기능)(OTG function)

OTG 기능은, VBAT 파워 패스 기능과 동시에 유효하게 되고, 예를 들면, 액티브 모드에서 유효가 된다. OTG 기능과 VBAT 파워 패스 기능의 양쪽 모두의 유효시에는, 프로세서(21)는, 스위치(Q1)를 온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스위치(Q3)를 온 오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충전 단자(bat)에 입력된 전원 전압(VBAT)은, 그대로, 출력 단자(SYS)로부터 출력되고, 시스템 전원 전압(Vcc0)으로서, 승강압 DC/DC 컨버터(8)의 입력 단자(VIN)에 입력된다. 또한, 출력 단자(SYS)로부터 출력된 전원 전압(VBAT)은, 충전 IC(2)의 스위칭 단자(SW)에 입력된다. 프로세서(21)는, 스위칭 단자(SW)에 입력되는 전원 전압(VBAT)이 시스템 전원 전압(Vcc4)과 동일하게 되도록, 스위치(Q3)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스위칭 단자(SW)에 입력된 전원 전압(VBAT)은 승압되어 입력 단자(VBUS)로부터 출력된다. 입력 단자(VBUS)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시스템 전원 전압(Vcc4)으로서 LED(L1~L8)에 입력된다.The OTG function becomes effective simultaneously with the V BAT power path function, for example, in active mode. When both the OTG function and the V BAT power path function are valid, the processor 21 controls the switch Q3 on and off while the switch Q1 is controlled to be on. As a result,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input to the charging terminal bat is output as is from the output terminal SYS, and is output a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0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tep-up/down-voltage DC/DC converter 8. (VIN) is entered. Additionally,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SYS) is input to the switching terminal (SW) of the charger IC (2). The processor 21 controls the switch Q3 so that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 input to the switching terminal (SW) is equal to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4). As a result,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 input to the switching terminal (SW) is boosted and output from the input terminal (VBUS). The voltage output from the input terminal (VBUS) is input to the LEDs (L1 to L8) a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4).

이와 같이, 충전 IC(2)는, USB 전압(VUSB)을 강압하는 강압 컨버터로서의 기능과, 전원 전압(VBAT)을 승압하는 승압 컨버터로서의 기능을 겸비한다. 충전 IC(2)로부터 승강압 DC/DC 컨버터(8)에 입력되는 전압은, 충전 IC(2)의 유효로 하고 있는 기능에 따라 여러 가지로 변동된다. 그러나, 이러한 변동이 있어도, 승강압 DC/DC 컨버터(8)가 승압과 강압을 선택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전원 전압(Vcc1)(시스템 전원 전압(Vcc1)을 포함하는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압 DC/DC 컨버터(8)의 입력 단자(VIN)에 입력되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0)의 전압이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의 전압인 3.3V와 동일한 경우, 승강압 DC/DC 컨버터(8)는, 승압 및 강압을 실행하지 않고, 시스템 전원 전압(Vcc0)을 시스템 전원 전압(Vcc1)으로서,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한다.In this way, the charger IC 2 has both a function as a step-down converter that steps down the USB voltage (V USB ) and a function as a step-up converter that steps up the power supply voltage (V BAT ). The voltage input from the charger IC 2 to the step-up/download DC/DC converter 8 varies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function that the charger IC 2 is validating. However, even if there is such variation,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power including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can be kept constant by the step-up and step-down DC/DC converter 8 selectively performing step-up and step-down. . In addition, if the voltage of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0) input to the input terminal (VIN)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8 is equal to 3.3V, which is the voltage of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the step-down DC/DC converter (8) output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0) a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without performing any step-up or step-down.

(보호 제어)(protective control)

흡인기(100)에서는, 전원 서미스터(T1)의 저항값(출력값)에 의해 전원(BAT)의 온도(이하, 전원 온도(TBAT)라고 기재)를 취득 가능하고, 히터 서미스터(T3)의 저항값(출력값)에 의해 히터(HTR)의 온도(이하, 히터 온도(THTR)라고 기재)를 취득 가능하고, 케이스 서미스터(T4)의 저항값(출력값)에 의해 케이스(110)의 온도(이하, 케이스 온도(TCASE)라고 기재)를 취득 가능하다. 그리고, 흡인기(100)는, 전원 온도(TBAT), 히터 온도(THTR), 및 케이스 온도(TCASE)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흡인기(100)가 사용되는 추천 환경하에서의 값과 동떨어진 상태가 된 경우에, 전원(BAT)의 충전 및 전원(BAT)으로부터 히터(HTR)로의 방전(이하, 충방전이라고도 기재)을 금지하는 보호 제어를 실행하여, 안전성을 높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보호 제어는, MCU(1)와 FF(17)에 의해 실시된다.In the suction device 100, the temperature of the power supply BA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wer supply temperature T BAT ) can be obtained from the resistance value (output value) of the power thermistor T1,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heater thermistor T3.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hereinafter referred to as heater temperature (T HTR )) can be obtained by (output value), and the temperature of case 110 (hereinafter described as heater temperature (T HTR)) can be obtained by the resistance value (output value) of the case thermistor (T4). Case temperature (described as T CASE ) can be obtained. And, in the suction machine 100,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temperature (T BAT ), heater temperature (T HTR ), and case temperature (T CASE ) is far from the value under the recommended environment in which the suction machine 100 is used. In this case, protection control is implemented to prohibit charging of the power source (BAT) and discharging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charging and discharging) from the power source (BAT) to the heater (HTR), thereby improving safety. This protection control is implemented by MCU (1) and FF (17).

충방전을 금지하는 보호 제어란, 충방전이 불가(不可)가 되도록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전원(BAT)으로부터 히터(HTR)로의 방전을 불가로 하기 위해서는, 승압 DC/DC 컨버터(9)의 이네이블 단자(EN)에 로우레벨의 신호를 입력하여(혹은 이네이블 단자(EN)의 전위를 부정으로 하여) 승압 동작을 정지시키고, 또한, 스위치(S6)의 게이트 단자에 로우레벨의 신호를 입력하여(혹은 게이트 단자의 전위를 부정으로 하여) 음극측의 히터 커넥터(Cn)(-)와 그라운드의 접속을 차단하면 된다. 또한, 승압 DC/DC 컨버터(9)의 승압 동작의 정지와, 히터 커넥터(Cn)(-)와 그라운드의 접속 차단 중 한쪽만을 실시하는 것으로도, 전원(BAT)으로부터 히터(HTR)로의 방전을 불가로 하는 것은 가능하다. 전원(BAT)의 충전을 불가로 하기 위해서는, 충전 IC(2)의 충전 이네이블 단자(CE)( ̄)에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여, 충전 IC(2)의 충전 동작을 정지시키면 된다.Protective control that prohibits charging and discharging refers to controlling electronic components so that charging and discharging is impossible. In order to disable discharge from the power supply (BAT) to the heater (HTR), input a low-level signal to the enable terminal (EN)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or change the potential of the enable terminal (EN)). is set to negative) to stop the boosting operation, and a low level signal is input to the gate terminal of switch S6 (or the potential of the gate terminal is set to negative) to connect the heater connector (Cn) (-) on the cathode side. Just block the connection to the ground. In addition, discharge from the power source (BAT) to the heater (HTR) can be prevented by only stopping the boost operation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or disconnecting the heater connector (Cn) (-) and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make it impossible. In order to disable charging of the power source (BAT), a high-level signal is input to the charging enable terminal (CE) ( ̄) of the charging IC (2) to stop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charging IC (2). .

이하에서는, 보호 제어로서 충방전을 금지하는 예를 설명하지만, 보호 제어는, 안전성의 향상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충전만을 금지하는 제어로 해도 되고, 방전만을 금지하는 제어로 해도 된다.Below, an example of prohibit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s protection control will be described.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safety, the protection control may be a control that prohibits only charging or a control that prohibits only discharging.

보호 제어가 실시된 경우에, 동작 모드의 제한이 더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보호 제어가 실시되면, 동작 모드가 제한되는 것으로 한다. 다만, 동작 모드의 관리는 MCU(1)가 실시하기 때문에, MCU(1)가 어떠한 이유로 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동작 모드의 제한은 실시되지 않아도 된다.When protective control is implemented, it is desirable for further restrictions on operating modes to be implemented. In the following, when protection control is implemented, the operation mode is limited. However, since the operation mode is managed by the MCU 1, the operation mode does not need to be restricted when the MCU 1 is not operating for some reason.

흡인기(100)에서 실시되는 보호 제어에는, 유저 조작에 의해 MCU(1)의 리셋이 이루어짐으로써 종료 가능한 수동 복귀 보호 제어와, MCU(1)의 리셋을 필요로 하지 않고, 온도 환경의 개선에 의해 자동적으로 종료 가능한 자동 복귀 보호 제어와, 종료 불능인 비복귀 보호 제어가 포함된다. 흡인기(100)의 동작 모드에는, 도 9에서 설명한 것에 더하여, 에러 모드와, 영구 에러 모드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인기의 모든 동작 모드"라고 기재할 때는, 이들 에러 모드와 영구 에러 모드를 제외한 모든 동작 모드(도 9에 나타낸 모든 동작 모드)를 의미한다.The protection control implemented in the suction device 100 includes manual return protection control that can be terminated by resetting the MCU 1 through user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the temperature environment without requiring a reset of the MCU 1. It includes automatic reset protection control that can be terminated automatically and non-return protection control that cannot be terminated. The operation mode of the suction device 100 includes an error mode and a permanent error mode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in FIG. 9. In this specification, when referring to “all operating modes of the aspirator,” it means all operating modes (all operating modes shown in FIG. 9) except these error modes and permanent error modes.

수동 복귀 보호 제어 또는 자동 복귀 보호 제어가 실시된 경우에는, 흡인기(100)는 에러 모드로 이행하고, 다른 동작 모드로의 이행은 불가가 된다. 또한, 에러 모드에서는, 직전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전원 전압의 상태(시스템 전원 전압의 공급 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한다. 즉, 에러 모드에 있어서는, 충방전을 제외한, 직전의 동작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예를 들면 온도 정보의 취득 등)이 실행 가능하게 된다. 에러 모드에 있어서, MCU(1)의 리셋이 이루어지면, 수동 복귀 보호 제어는 종료된다. 에러 모드에 있어서, 온도 환경의 개선이 이루어지면, 자동 복귀 보호 제어는 종료된다. 수동 복귀 보호 제어 또는 자동 복귀 보호 제어가 종료되면, 동작 모드의 제한은 해제되고, 동작 모드는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그 이후는, 유저 조작 등에 의한 동작 모드의 변경이 가능해진다.When manual return protection control or automatic return protection control is implemented, the suction device 100 transitions to the error mode, and transition to other operation modes becomes impossible. Additionally, in the error mode, the stat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supply state of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in the immediately preceding operation mode is maintained. That is, in the error mode, functions executable in the immediately previous operation mode (for example, acquisition of temperature information, etc.) except charging and discharging become executable. In the error mode, when the MCU 1 is reset, the manual return protection control is terminated. In the error mode, when the temperature environment is improved, the automatic recovery protection control is terminated. When the manual return protection control or automatic return protection control ends, the restrictions on the operation mode are released, and the operation mode transitions to the sleep mode. After that, the operation mode can be changed by user operation, etc.

비복귀 보호 제어가 실시된 경우에는, 흡인기(100)는 영구 에러 모드로 이행한다. 영구 에러 모드에서는, 흡인기(100)의 모든 기능이 사용 불가가 되고, 흡인기(100)는, 수리 또는 폐기가 필요하게 된다.When non-return protection control is implemented, the suction device 100 transitions to permanent error mode. In the permanent error mode, all functions of the suction device 100 become unusable, and the suction device 100 requires repair or disposal.

MCU(1)는, 단자(P14)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승압 DC/DC 컨버터(9)의 승압 동작의 정지 및 음극측의 히터 커넥터(Cn)(-)와 그라운드의 접속 차단을 실시함과 함께, 단자(P22)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충전 IC(2)의 충전 동작을 정지함으로써, 보호 제어를 실시한다. 충전만 금지하는 경우에는 단자(P14)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할 필요는 없고, 방전만 금지하는 경우에는 단자(P22)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할 필요는 없다.The MCU (1) outputs a low-level signal from the terminal (P14) to stop the boosting operation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and to blo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heater connector (Cn) (-) on the cathode side and the ground. At the same time, a high-level signal is output from the terminal P22 to stop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charger IC 2, thereby performing protection control. When only charging is prohibited, there is no need to output a low-level signal from the terminal P14, and when only discharging is prohibited, there is no need to output a high-level signal from the terminal P22.

FF(17)는, Q 단자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승압 DC/DC 컨버터(9)의 승압 동작의 정지, 음극측의 히터 커넥터(Cn)(-)와 그라운드의 접속 차단, 및 바이폴러 트랜지스터(S1)의 온에 의한 충전 IC(2)의 충전 동작의 정지를 실시함으로써, MCU(1)를 통하지 않고, 보호 제어를 실시한다.FF (17) outputs a low level signal from the Q terminal, stops the boosting operation of the step-up DC/DC converter (9), cuts 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heater connector (Cn) (-) on the cathode side and the ground, and By stopping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charger IC 2 by turning on the polar transistor S1, protection control is performed without going through the MCU 1.

FF(17)는, CLR( ̄)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레벨로부터 로우레벨로 전환되면, Q 단자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 로우레벨 신호는, MCU(1)의 P10 단자에도 입력된다. 단자(P10)에 로우레벨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은, MCU(1)는 FF(17)의 도시하지 않은 CLK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를 로우레벨로부터 하이레벨로 전환하지 않는다. 환언하면, 단자(P10)에 로우레벨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은, FF(17)의 CLK 신호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MCU(1)가 예를 들면 다운(freeze)된 상태에서는, FF(17)의 도시하지 않은 CLK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는 로우레벨인 채가 된다. 따라서, MCU(1)가 정상 동작하고 있는 상태와 다운된 상태 중 어느 상태여도, FF(17)의 Q 단자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된 후, FF(17)의 CLR( ̄)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레벨로부터 하이레벨로 전환되어도, FF(17)의 Q 단자로부터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계속 출력된다.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CU(1)의 리셋을 실시하면, FF(17)가 재기동한다(시스템 전원 전압(Vcc2)의 재투입이 실시된다). 리셋된 MCU(1)는 슬립 모드로 동작하기 때문에, 히터 서미스터(T3) 및 케이스 서미스터(T4)에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3)이 투입되지 않고, 오피 앰프(OP2)의 출력과 오피 앰프(OP3)의 출력이 모두 하이레벨이 된다. 이에 의해, FF(17)의 D 단자와 CLR( ̄) 단자에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된다. 이 타이밍에 있어서는, FF(17)의 재기동에 의해, 단자(P10)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MCU(1)는, FF(17)의 CLK 신호를 일으킨다. 이에 의해, FF(17)의 Q 단자의 출력을 하이레벨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FF(17)의 Q 단자의 출력이 하이레벨로 되돌아감으로써, FF(17)에 의한 보호 제어는 종료된다.FF(17) outputs a low-level signal from the Q terminal when the signal input to the CLR( ̄) terminal switches from high level to low level. This low level signal is also input to the P10 terminal of MCU (1). While a low level signal is input to the terminal P10, the MCU 1 does not switch the signal input to the CLK terminal (not shown) of the FF 17 from low level to high level. In other words, while a low level signal is input to the terminal P10, the CLK signal of the FF (17) does not occur. Additionally, when the MCU 1 is, for example, in a frozen state, the signal input to the CLK terminal (not shown) of the FF 17 remains at a low level. Therefore, regardless of whether the MCU (1) is operating normally or is down, a low-level signal is output from the Q terminal of FF (17) and then input to the CLR ( ̄) terminal of FF (17). Even if the signal changes from low level to high level, the low level signal continues to be output from the Q terminal of FF (17). As explained in FIG. 19, when the MCU 1 is reset, the FF 17 is restarted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is reapplied). Since the reset MCU (1) operates in sleep mode, the system power voltage (Vcc3) is not input to the heater thermistor (T3) and case thermistor (T4), and the output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and the operational amplifier (OP3) are not input. All outputs become high level. As a result, a high level signal is input to the D terminal and the CLR ( ̄) terminal of the FF (17). At this timing, since no low-level signal is input to the terminal P10 due to the restart of the FF (17), the MCU (1) generates the CLK signal of the FF (17). This makes it possible to return the output of the Q terminal of the FF (17) to the high level. When the output of the Q terminal of the FF (17) returns to the high level, the protection control by the FF (17) ends.

상술한 바와 같이, FF(17)의 Q 단자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MCU(1)의 단자(P10)에도 입력된다. 이 때문에, MCU(1)는, 단자(P10)에 입력된 로우레벨의 신호에 의해, FF(17)가 보호 제어를 실시한 것을 검지 가능하다. MCU(1)는, FF(17)가 보호 제어를 실시한 것을 검지하면, MCU(1)의 리셋 요구 통지를 통지부(180)에 실시하게 하여, 에러 모드로 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output from the Q terminal of the FF 17 is also input to the terminal P10 of the MCU 1. For this reason, the MCU 1 can detect that the FF 17 has performed protection control based on the low level signal input to the terminal P10. When the MCU 1 detects that the FF 17 has performed protection control, it is desirable to have the notification unit 180 issue a reset request notification of the MCU 1 and transition to the error mode.

(MCU(1)의 리셋의 상세)(Details of reset of MCU(1))

수동 복귀 보호 제어의 실행에 의해 동작 모드가 에러 모드로 이행한 경우, 또는, MCU(1)가 어떠한 원인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게 된 경우(다운된 경우)에는, MCU(1)의 리셋(재기동)이 필요하다.If the operation mode shifts to error mode due to execution of manual return protection control, or if the MCU(1) does not operate normally (down) for some reason, reset (restart) the MCU(1). ) is required.

도 21은, 도 10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 중, MCU(1)의 리셋 동작과 관계가 있는 주요한 전자 부품을 골라 나타낸 요부 회로도이다. 도 21에서는, 도 10에서는 부호를 붙이지 않았던 모터 커넥터(Cn(m))와 저항기(R7)가 추가로 나타나 있다. 모터 커넥터(Cn(m))에는, 진동 모터(M)가 접속되어 있다. 모터 커넥터(Cn(m))는, 스위치(S7)를 통하여 MCU(1)의 전원 단자(VDD)에 병렬 접속된다. 따라서, MCU(1)의 전원 단자(VDD)로의 시스템 전원 전압(Vcc2)의 공급이 정지되면, 진동 모터(M)로의 동작 전압의 공급도 정지된다. 저항기(R7)는, LSW(4)의 제어 단자(ON)와 스위치 드라이버(7)의 리셋 입력 단자(RSTB)를 접속하는 노드에 일단이 접속되고, 스위치 드라이버(7)의 입력 단자(VIN)에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FIG. 21 is a main circuit diagram showing major electronic components related to the reset operation of the MCU 1 among the electric circuits shown in FIG. 10. In FIG. 21, a motor connector (Cn(m)) and a resistor (R7), which were not labeled in FIG. 10, are additionally shown. A vibration motor M is connected to the motor connector Cn(m). The motor connector Cn(m)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the MCU 1 through the switch S7. Accordingly, when the supply of the system power voltage (Vcc2) to the power terminal (VDD) of the MCU (1) is stopped, the supply of the operating voltage to the vibration motor (M) is also stopped. The resistor R7 has one end connected to a node connecting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4 and the reset input terminal (RSTB) of the switch driver 7, and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VIN) of the switch driver 7.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

MCU(1)의 리셋은, MCU(1)의 동작 전압이 되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2)의 MCU(1)의 전원 단자(VDD)로의 공급을 정지하고, 그 후, 그 공급을 재개함으로써 실시된다. 도 20에 나타내듯이, 시스템 전원 전압(Vcc2)은, LSW(4)가 닫혀 있는 상태(입력 단자(VIN)와 출력 단자(VOUT)의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닫혀 있는 상태)에 있어서 LSW(4)의 출력 단자(VOUT)로부터 출력된다. 환언하면, 시스템 전원 전압(Vcc2)은, LSW(4)가 열린 상태(입력 단자(VIN)와 출력 단자(VOUT)의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LSW(4)의 출력 단자(VOUT)로부터는 출력되지 않는다. 그리고, LSW(4)의 개폐 제어는 스위치 드라이버(7)에 의해 실시된다. 이와 같이, 흡인기(100)에서는, 스위치 드라이버(7)가 LSW(4)의 개폐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MCU(1)의 리셋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Resetting the MCU (1) is performed by stopping the supply of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which is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MCU (1),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of the MCU (1), and then resuming the supply. . As shown in FIG. 20,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is LSW(4) when LSW(4) is closed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input terminal (VIN) and output terminal (VOUT) is closed). ) i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In other word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is that of the LSW (4) when the LSW (4) is ope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terminal (VIN) and the output terminal (VOUT) is cut off). There is no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LSW 4 is performed by the switch driver 7. In this way, in the suction device 100, the switch driver 7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SW 4, thereby enabling the MCU 1 to be reset.

LSW(4)와 스위치 드라이버(7)의 각각의 입력 단자(VIN)에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이 입력된다. 이 때문에, 승강압 DC/DC 컨버터(8)에 있어서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이 생성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LSW(4)와 스위치 드라이버(7)는 동시에 작동한다. 스위치 드라이버(7)는, 예를 들면, 리셋 입력 단자(RSTB)와 그라운드 단자(GND)의 사이에 설치된 스위치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 스위치가 닫힌 상태에서는, 리셋 입력 단자(RSTB)의 전위는 그라운드 레벨(로우레벨)이 된다. 스위치 드라이버(7)의 입력 단자(VIN)와 리셋 입력 단자(RSTB)는, 저항기(R7)를 통하여 병렬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승강압 DC/DC 컨버터(8)에 있어서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이 생성되고 있는 한, 스위치 드라이버(7)에 내장된 스위치가 열린 상태에서는, 리셋 입력 단자(RSTB)의 전위는 하이레벨이 된다. LSW(4)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단자(ON)는, 저항기(R7)를 통하여 승강압 DC/DC 컨버터(8)의 출력 단자(VOUT)에 접속되고, 또한, 스위치 드라이버(7)의 리셋 입력 단자(RSTB)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 드라이버(7)에 내장된 스위치가 열린 상태에서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1)에 근거하는 하이레벨의 전압이 LSW(4)의 제어 단자(ON)에 입력되게 된다. 한편, 스위치 드라이버(7)에 내장된 스위치가 닫힌 상태에서는, 저항기(R7)의 일단이 그라운드에 접속되기 때문에, 시스템 전원 전압(Vcc1)에 근거하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LSW(4)의 제어 단자(ON)에 입력되는 일은 없고, LSW(4)의 제어 단자(ON)에 입력되는 신호는 로우레벨이 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 드라이버(7)는, 리셋 입력 단자(RSTB)의 전위를 제어함으로써, LSW(4)의 개폐 제어를 실시한다.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is input to each input terminal (VIN) of the LSW (4) and the switch driver (7). For this reason, in a state where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is generated in the step-up/download DC/DC converter 8, the LSW 4 and the switch driver 7 operate simultaneously. The switch driver 7 includes, for example, a switch installed between the reset input terminal (RSTB) and the ground terminal (GND), and when this switch is closed, the potential of the reset input terminal (RSTB) is ground. It becomes a level (low level). The input terminal (VIN) and the reset input terminal (RSTB) of the switch driver 7 are connected in parallel through a resistor R7. For this reason, as long as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is generated in the step-up/download DC/DC converter 8 and the switch built into the switch driver 7 is open, the potential of the reset input terminal (RSTB) is high. It becomes a level. The control terminal (ON)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SW (4)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step-up/down-voltage DC/DC converter (8) through a resistor (R7), and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switch driver (7). It is connected to the reset input terminal (RSTB). Accordingly, when the switch built into the switch driver 7 is open, a high-level voltage based on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ON) of the LSW (4). 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tch built into the switch driver 7 is closed, one end of the resistor R7 is connected to the ground, so a high-level signal based on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LSW 4. (ON) is not input, and the signal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ON) of LSW (4) is at low level. In this way, the switch driver 7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SW 4 by controlling the potential of the reset input terminal (RSTB).

스위치 드라이버(7)는, 리셋 입력 단자(RSTB)의 전위를, 단자(SW1)에 입력되는 전압과, 단자(SW2)에 입력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제어한다. 단자(SW1)에 입력되는 전압은, 조작 스위치(OPS)가 압압된 상태에 있어서 로우레벨(그라운드 레벨)이 되고, 조작 스위치(OPS)가 압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하이레벨이 된다. 단자(SW2)에 입력되는 전압은, 아우터 패널(115)가 이너 패널(118)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 로우레벨이 되고, 아우터 패널(115)가 이너 패널(118)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하이레벨이 된다.The switch driver 7 controls the potential of the reset input terminal RSTB based on the voltage input to the terminal SW1 and the voltage input to the terminal SW2. The voltage input to the terminal SW1 becomes a low level (ground level) when the operation switch OPS is pressed, and becomes a high level when the operation switch OPS is not pressed. The voltage input to the terminal SW2 is at a low level when the outer panel 115 is separated from the inner panel 118, and is at a high level when the outer panel 115 is mounted on the inner panel 118. It becomes a level.

스위치 드라이버(7)는, 아우터 패널(115)이 이너 패널(118)로부터 분리된다는 패널 조건이 충족되고, 또한, 조작 스위치(OPS)의 압압이 기정의 시간(이하, 리셋 조작 시간이라고 기재) 지속된다는 스위치 조작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MCU(1)를 리셋하기 위한 리셋 처리를 개시한다. 패널 조건과 스위치 조작 조건이 모두 충족된 상태를, 재기동 조건이 충족된 상태라고 정의한다. 패널 조건과 스위치 조작 조건이 모두 충족된 후, 조작 스위치(OPS)의 압압이 계속되는 상태를, 재기동 조건이 계속 충족되는 상태라고 정의한다.The switch driver 7 satisfies the panel condition that the outer panel 115 is separated from the inner panel 118, and the pressure of the operation switch (OPS)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eset operation time). When the switch operation condition is met, a reset process to reset the MCU 1 is started. A state in which both panel conditions and switch operation conditions are met is defined as a state in which the restart condition is met.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switch (OPS) continues to be pressed after both the panel condition and the switch operation condition are satisfied is defined as a state in which the restart condition continues to be satisfied.

리셋 처리란, 0초 이상의 소정의 지연 시간(td)을 기다리고 나서, 스위치 드라이버(7)의 내장된 스위치를 닫아 LSW(4)를 열린 상태로 제어하고, 그 후, 그 스위치를 닫고 있는 시간이 기정 시간에 도달하면, 그 스위치를 열어 LSW(4)를 닫힌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말한다. 스위치 드라이버(7)는, 패널 조건이 충족된 상태에 있어서의 조작 스위치(OPS)의 압압의 개시 후, 리셋 조작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는 동안에, 패널 조건이 충족되지 않게 된 경우 또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OPS)의 압압을 멈춘 경우에는, 리셋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스위치 드라이버(7)는, 리셋 처리를 개시한 후에는, 재기동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여부에 의하지 않고, 내장된 스위치를 닫고 있는 시간이 기정 시간에 도달한 시점에서, 내장된 스위치를 열어, 리셋 처리를 종료시킨다. 환언하면, 스위치 드라이버(7)에 내장된 스위치가 닫혀 있는 시간이 기정 시간에 도달한 상태에 이를 때까지, 패널 조건이 충족되고 또한 조작 스위치(OPS)의 압압이 계속됨으로써 재기동 조건이 계속 충족되어도, 스위치 드라이버(7)는 내장된 스위치를 열어 LSW(4)를 닫힌 상태로 되돌린다.The reset process means that after waiting for a predetermined delay time (td) of 0 seconds or more, the switch built into the switch driver 7 is closed to control the LSW 4 in an open state, and the time for which the switch is closed thereafter is When the preset time is reached, the switch is opened to return LSW (4) to the closed state. The switch driver 7 operates after the start of pressing the operation switch (OPS) in a state in which the panel conditions are satisfied, when the panel conditions are not satisfied while waiting for the reset operation time to elapse, or when the user switches the operation switch (OPS). When the pressing of OPS is stopped, it returns to the standby state without executing reset processing. After starting the reset process, the switch driver 7 opens the built-in switch and resets it when the closing time of the built-in switch reaches the preset time, regardless of whether the restart condition is met. terminates. In other words, even if the panel conditions are met and the restart conditions are met by continuing to press the operation switch (OPS) until the time for which the switch built into the switch driver 7 is closed reaches the preset time, , the switch driver (7) opens the built-in switch and returns the LSW (4) to the closed state.

상기의 리셋 조작 시간은, 액티브 모드로부터 가열 설정 모드로 천이(遷移)시키기 위해(히터(HTR)에 의한 로드(500)의 가열의 개시를 지시하기 위해) 필요한 조작 스위치(OPS)의 압압 지속 시간(이하, 가열 개시 조작 시간이라고 기재)과는 상이한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MCU(1)를 리셋하기 위해서는, 빈번하게 실시될 것인 에어로졸 생성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과는 상이한 조작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유저의 명확한 의사하에, MCU(1)를 리셋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셋 조작 시간은, 가열 개시 조작 시간보다도 긴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저의 것보다 명확한 의사하에, MCU(1)를 리셋할 수 있게 된다.The above reset operation time is the duration of pressing the operation switch (OPS) required to transition from the active mode to the heating setting mode (to instruct the start of heating of the rod 500 by the heater (HTR)). It is preferable to set it to a different value from (hereinafter referred to as heating start operation time). By doing this, in order to reset the MCU 1, a different operation is required from the operation for performing aerosol generation, which will be performed frequently.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reset the MCU 1 under the clear intention of the user. Additionally,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reset operation time to a value longer than the heating start operation time. By doing this, it becomes possible to reset the MCU 1 under the clearer intention of the user.

일례로서, 가열 개시 조작 시간은 1초이며, 리셋 조작 시간은 5초이다. 이들 수치는 일례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an example, the heating start operation time is 1 second, and the reset operation time is 5 seconds. These figures are examples and are not limited thereto.

MCU(1)는, 자신이 다운되지 않은 상태이면, 스위치 드라이버(7)에 의해 리셋 처리가 개시된 경우(환언하면, 재기동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통지부(180)(진동 모터(M) 및 LED(L1~L8))를 제어하여, 통지부(180)에 유저에 대한 통지를 실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지의 방법으로서는, LED(L1~L8)를 소정 패턴으로 점등시키거나, 진동 모터(M)를 진동시키거나, 이들을 조합하거나 하면 된다. 유저는, 이 통지에 의해, 현재의 조작을 계속함으로써 MCU(1)가 리셋되는 것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또한, MCU(1)는, 이 통지 또는 이 통지와는 상이한 통지를, 리셋 조작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는 동안에 실행시켜도 된다.If the MCU 1 is not down, when the reset process is started by the switch driver 7 (in other words, when the restart condition is met), the MCU 1 sends the notification unit 180 (vibration motor M) and LEDs (L1 to L8) are preferably controlled to cause the notification unit 180 to notify the user. As a method of notification, the LEDs L1 to L8 may be lit in a predetermined pattern, the vibration motor M may be vibrated,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With this notification,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MCU 1 will be reset by continuing the current operation. Additionally, the MCU 1 may execute this notification or a notification different from this notification while waiting for the reset operation time to elapse.

또한, 지연 시간(td)을 0보다도 큰 값으로 한 경우, MCU(1)는, 리셋 처리의 개시에 따른 통지부(180)에 의한 상기의 통지를, 상기의 지연 시간(td)이 경과하기도 전에 완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저는, 통지의 완료에 의해, MCU(1)의 리셋이 곧 개시되는 것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물론, 통지부(180)에 의한 상기의 통지를 상기의 지연 시간(td)이 경과할 때까지 지속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도, 진동 모터(M)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2)에 의해 동작하는 점에서, MCU(1)로의 시스템 전원 전압(Vcc2)의 공급 정지와 동시에 통지가 완료되기 때문에, MCU(1)의 리셋이 개시된 것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delay time (td) is set to a value greater than 0, the MCU 1 does not receive the notification by the notification unit 180 according to the start of the reset process even if the delay time (td) has elapsed. It is advisable to complete it beforehand. By doing this,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reset of the MCU 1 will soon begin upon completion of the notification. Of course, the above notification by the notification unit 180 may be continued until the delay time td elapses. In this case as well, since the vibration motor M operates by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the notification is completed at the same time as the supply of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2 to the MCU 1 is stopped. It becomes possible to recognize that a reset has been initiated.

MCU(1)가 다운되어 있는 결과, 예를 들면 히터(HTR)가 과도하게 가열되는 상황을 생각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MCU 1 being down, for example, a situation may be considered in which the heater (HTR) is excessively heated.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HTR)의 온도(히터 서미스터(T3)의 온도)가 과대하게 되면, 오피 앰프(OP2)의 출력 전압은 로우레벨이 된다. 이 로우레벨의 전압은, FF(16)의 CLR( ̄) 단자에 입력된다. FF(16)는, CLR( ̄)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레벨이 되면, Q 단자의 출력을 로우레벨로 한다. FF(16)의 Q( ̄) 단자는, FF(16)의 Q 단자의 출력을 반전시킨 전압을 출력하는 단자이다. 따라서, FF(16)는, CLR( ̄)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레벨이 되면, Q( ̄) 단자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히터(HTR)의 온도(히터 서미스터(T3)의 온도)가 과대하게 되지 않은 통상 상태에 있어서는, FF(16)의 CLR( ̄)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는 하이레벨이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상 상태에 있어서, FF(16)는, D 단자에 입력되어 있는 하이레벨의 전압(시스템 전원 전압(Vcc1))을 반전시킨 로우레벨의 전압을 Q( ̄) 단자로부터 출력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temperature of the heater thermistor T3) becomes excessive, the output voltage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2 becomes low level. This low level voltage is input to the CLR( ̄) terminal of FF(16). FF(16) sets the output of the Q terminal to low level when the signal input to the CLR( ̄) terminal becomes low level. The Q( ̄) terminal of the FF(16) is a terminal that outputs a voltage that is the inverted output of the Q terminal of the FF(16). Therefore, when the signal input to the CLR( ̄) terminal becomes low level, the FF(16) outputs a high level signal from the Q( ̄) terminal. Additionally, in a normal state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thermistor (T3)) is not excessive, the signal input to the CLR ( ̄) terminal of the FF (16) is at a high level. For this reason, in a normal state, the FF16 outputs a low-level voltage obtained by inverting the high-level voltag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input to the D terminal from the Q( ̄) terminal.

노이즈에 의해, MCU(1)가 다운된 경우를 상정한다. MCU(1)가 다운된 경우에는, 유저가, 아우터 패널(115)을 이너 패널(118)로부터 분리하고, 또한, 조작 스위치(OPS)의 압압을 계속함으로써, MCU(1)의 리셋을 실시한다. MCU(1)의 리셋이 실시되고 있는 동안에도, FF(16)의 전원 단자(VCC)에는, 시스템 전원 전압(Vcc1)이 계속 공급된다. 이 때문에, MCU(1)의 리셋 전후에 있어서, FF(16)는, 히터(HTR)의 온도가 과대하게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Q( ̄) 단자의 하이레벨 출력)를 계속 보지한다.Assume that the MCU 1 is down due to noise. When the MCU 1 is down, the user separates the outer panel 115 from the inner panel 118 and continues to press the operation switch (OPS) to reset the MCU 1. . Even while the MCU (1) is being reset, the system power supply voltage (Vcc1) continues to be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of the FF (16). For this reason, before and after resetting the MCU 1, the FF 16 continues to hold information (high level output of the Q( ̄) terminal) indicating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has become excessive.

재기동한 MCU(1)는, 단자(P11)에 입력되어 있는 전압이 하이레벨이 된 경우에, 히터(HTR)의 온도가 과대하게 된 것을 검지하고, 보호 제어를 실행하여, 동작 모드를 영구 에러 모드로 천이시킨다. 즉, 여기서 실행되는 보호 제어는 비복귀 보호 제어이다. 이와 같이, MCU(1)가 다운된 결과, 히터(HTR)의 과가열이 발생한 경우에도, 리셋에 의해 MCU(1)를 정상 동작으로 복귀시켜, 동작 모드를 영구 에러 모드로 천이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흡인기(100)을 사용 불가로 할 수 있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When the voltage input to the terminal (P11) becomes high, the restarted MCU (1) detect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HTR) has become excessive, executes protective control, and changes the operation mode to permanent error. Transition to mode. That is, the protection control executed here is non-return protection control. In this way, even when overheating of the heater (HTR) occurs as a result of the MCU (1) being shut down, the MCU (1) can be restored to normal operation by reset and the operation mode can be transitioned to the permanent error mode. As a result, the suction device 100 can be rendered unusable and safety can be improved.

이상과 같이, 흡인기(100)에서는, 스위치 드라이버(7)가, 조작 스위치(OPS)의 조작에 관한 조건인 스위치 조작 조건과, 조작 스위치(OPS)의 조작과는 상이한 조건인 패널 조건의 양쪽이 충족된 경우에, LSW(4)의 개폐를 실시하여 MCU(1)의 리셋을 실시한다. 단일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컨트롤러의 리셋을 실시하는 기술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흡인기(100)에서는, 복수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MCU(1)의 리셋이 실시된다. 이 때문에, 오조작이나 어떠한 충격에 의해 MCU(1)가 리셋되는 것이 억제되고, 필요한 경우에만 MCU(1)를 리셋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uction machine 100, the switch driver 7 determines both the switch operation condition, which is a condi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OPS, and the panel condition, which is a different condition from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OPS. If satisfied, the LSW (4) is opened and closed to reset the MCU (1). Techniques for resetting a controller when a single condition is met are well known. However, in the suction device 100, the MCU 1 is reset when a plurality of conditions are met. For this reason, reset of the MCU 1 due to erroneous operation or any shock is suppressed, and the MCU 1 can be reset only when necessary.

또한, 흡인기(100)에서는, 아우터 패널(115)이 이너 패널(118)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조작 스위치(OPS)를 계속 압압해도, MCU(1)의 리셋은 실시되지 않는다. 아우터 패널(115)이 이너 패널(118)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조작 스위치(OPS)를 계속 압압함으로써, MCU(1)의 리셋이 실시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조작 부재로 실현될 수 있는 기능을, 아우터 패널(115)의 장착 유무에 따라 전환함으로써, 조작 부재의 수를 줄여, 조작성의 향상과 코스트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suction device 100, when the outer panel 115 is mounted on the inner panel 118, the MCU 1 is not reset even if the operation switch (OPS) is continuously pressed. The MCU 1 is reset by continuously pressing the operation switch (OPS)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panel 115 is separated from the inner panel 118. In this way, by switching the functions that can be realized with the same operating member depending on whether the outer panel 115 is mounted or not, the number of operating members can be reduced, improving operability and reducing costs.

또한, MCU(1)는, 아우터 패널(115)이 이너 패널(118)로부터 분리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 통지부(180)에 통지를 실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MCU(1)를 리셋하기 위해서는, 패널 조건이 충족됨으로써 통지가 되고 있는 중, 조작 스위치(OPS)를 더 조작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유저의 명확한 의사하에, MCU(1)를 리셋할 수 있다.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MCU 1 notifies the notification unit 180 when it detects that the outer panel 115 has been separated from the inner panel 118. In this way, in order to reset the MCU 1, it is necessary to further operate the operation switch (OPS) while the panel conditions are being notified that they are met. For this reason, the MCU 1 can be reset under the clear intention of the user.

또한, MCU(1)는, 아우터 패널(115)이 이너 패널(118)로부터 분리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전원(BAT)으로부터 히터(HTR)로의 방전을 불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우터 패널(115)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열부(170)에서 발생하는 열이 유저에게 전해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MCU 1 detects that the outer panel 115 has been separated from the inner panel 118, it is desirable to disable discharge from the power source BAT to the heater HTR. When the outer panel 115 is not mounted,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unit 170 is easily transmitted to the user, so by doing this, safety can be improved.

(가열부(170)의 바람직한 형태)(Preferred form of heating unit 170)

도 22는, 도 1에 나타내는 흡인기(100)의 케이스 서미스터(T4)를 통과하는 절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2에 나타내듯이, 가열부(170)는, 단열 기능을 가지는 원통형의 로드 수용부(172)와, 로드 수용부(172)의 내측에 배치된 원통형의 히터 지지 부재(174)와, 히터 지지 부재(174)의 내주면에 지지된 통상의 히터(HTR)를 구비한다.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cutting surface passing through the case thermistor T4 of the suction device 100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22, the heating unit 170 includes a cylindrical rod receiving portion 172 having an insulating function, a cylindrical heater support member 174 disposed inside the rod receiving portion 172, and a heater support member. It is provided with a normal heater (HTR) suppor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ember 174.

히터(HTR)는, 상하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 형상이 대략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히터(HTR)는, 전후 방향으로 이간하여 대향 배치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H1, H2)와, 평탄부(H1)의 우측 끝과 평탄부(H2)의 우측 끝을 연결하는 만곡부(H3)와, 평탄부(H1)의 좌측 끝과 평탄부(H2)의 좌측 끝을 연결하는 만곡부(H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평탄부(H1, H2)를 대신하여 만곡부(H3) 및 만곡부(H4)와 곡율(曲率)이 상이한 만곡부를 사용함으로써, 대략 타원 형상을 구성해도 된다.The heater HTR has a substantially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Specifically, the heater HTR includes flat portions H1 and H2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paced a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facing each other, and the right end of the flat portion H1 and the right end of the flat portion H2. It is composed of a curved portion (H3) connecting the curved portion (H3) and a curved portion (H4) connecting the left end of the flat portion (H1) and the left end of the flat portion (H2). Additionally, a substantially elliptical shape may be formed by using a curved part with a different curvature from the curved part H3 and H4 instead of the flat parts H1 and H2.

이 타원 형상의 히터(HTR)로 둘러싸인 공간(170A)에, 로드(500)의 일부가 수용된다. 로드(500)의 외형은 원형이며, 로드(500)의 직경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평탄부(H1)와 평탄부(H2)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크다. 이 때문에, 공간(170A)에 삽입된 로드(500)는, 평탄부(H1)와 평탄부(H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짓눌린 상태가 된다. 가열부(170)를 도 21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로드(500)와 히터(HTR)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로드(500)를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MCU(1)의 리셋은, 이 공간(170A)에 로드(500)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실행 가능하다.A part of the rod 500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170A surrounded by this elliptical heater HTR. The external shape of the rod 500 is circular, and the diameter of the rod 500 i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lat portion H1 and the flat portion H2 in the front-back direction. For this reason, the rod 500 inserted into the space 170A is press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by the flat portions H1 and H2. By having the heating unit 170 configured as shown in FIG. 21,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od 500 and the heater HTR can be increased, and the rod 500 can be heated efficiently. Reset of the MCU 1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whether the load 500 is inserted into this space 170A.

예를 들면, 개구(132)(도 2 참조)로부터 삽입된 로드(500)의 가열이 실시되기 전에 MCU(1)가 다운되어, 에어로졸의 생성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를 상정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로드(500)을 개구(132)로부터 꺼내어 슬라이더(119)를 닫는 등의 조작을 실시하는 일 없이, 로드(500)를 삽입한 채로, 아우터 패널(115)을 분리하여 조작 스위치(OPS)를 압압하는 것만으로, MCU(1)를 리셋할 수 있다. MCU(1)가 리셋에 의해 액티브 모드로 복귀한 후, 유저는, 아우터 패널(115)을 장착하고 나서 조작 스위치(OPS)를 가열 개시 조작 시간만큼 압압한다. 이에 의해, 실행되지 않았던 에어로졸의 생성이 실행되게 된다. 이와 같이, 로드(500)의 빼고 꽂기, 환언하면, 슬라이더(119)의 개폐를 실시하는 일 없이, MCU(1)의 리셋이 가능해짐으로써, 유저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sume that the MCU 1 is down before the rod 500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132 (see FIG. 2) is heated, and aerosol generation is not performed. In this case, without performing operations such as taking out the rod 500 from the opening 132 and closing the slider 119, the outer panel 115 is removed with the rod 500 inserted, and the operation switch ( The MCU (1) can be reset just by pressing the OPS. After the MCU 1 returns to the active mode by reset, the user mounts the outer panel 115 and then presses the operation switch OPS for the heating start operation time. As a result, the generation of aerosol that was not performed is performed. In this way, the MCU 1 can be reset without having to insert or remove the load 500, or in other words, open or close the slider 119,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user and improving usability. You can do it.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각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이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생각이 미칠 수 있음은 분명하고, 그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se naturally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는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괄호 내에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성 요소 등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least the following matters ar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parentheses, corresponding components, etc.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shown,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1)(One)

전원(전원(BAT))과,Power (BAT) and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소비하여 에어로졸원(로드(500))을 가열하는 히터(히터(HTR))가 접속되는 히터 커넥터(히터 커넥터(Cn))와,A heater connector (heater connector (Cn)) to which a heater (HTR) that heats the aerosol source (rod 500) by consum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is connected,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히터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동작하기 위한 전력이 입력되는 전원 단자(전원 단자(VDD))를 포함하는 컨트롤러(MCU(1))와,A controller (MCU(1)) configured to control the supply of power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heater and including a power terminal (power terminal (VDD)) through which power for operation is input;

상기 전원과 상기 컨트롤러의 전원 단자를 접속하는 스위치(LSW(4))와,a switch (LSW(4)) connecting the power supply and a power terminal of the controller;

상기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 가능한 재기동 회로(스위치 드라이버(7))를 구비하고,Provided with a restart circuit (switch driver 7) capable of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switch,

상기 재기동 회로는, 재기동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스위치를 여는 제1 조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조작의 실행 후에 상기 스위치를 닫는 제2 조작을 실행하는,The restart circuit performs a first operation of opening the switch when a restart condition is met, and performs a second operation of closing the switch after execution of the first opera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에 의하면, 재기동 회로에 의한 스위치의 개폐 제어에 의해 컨트롤러를 재기동할 수 있으므로, 컨트롤러에 다운이 발생해도 이것을 안정적으로 해제하여, 정상적인 동작으로 되돌릴 수 있다.According to (1), the controller can be restarted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witch by the restart circuit, so even if a failure occurs in the controller, it can be reliably reset and return to normal operation.

(2)(2)

(1)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으로서,As a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described in (1),

상기 재기동 회로는, 상기 제1 조작의 실행 후에 상기 재기동 조건이 계속 충족되어도 상기 제2 조작을 실행하는,The restart circuit executes the second operation even if the restart condition continues to be met after execution of the first opera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에 의하면, 컨트롤러로의 전원 공급이 끊어진 후의 상황의 변화에 관계없이, 컨트롤러로 다시 전원 공급이 실시되므로, 유저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컨트롤러를 확실히 재기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2),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situation after power supply to the controller is cut off, power is supplied to the controller again, so the controller can be reliably restarted without requiring user intervention.

(3)(3)

(1)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으로서,As a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described in (1),

상기 재기동 조건이 충족되기 위해서는,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조작 스위치(OPS)의 압압)이 소정 기간 지속될 필요가 있는,In order for the above restart conditions to be satisfied, a predetermined operation by the user (pressing the operation switch (OPS)) needs to be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3)에 의하면, 재기동 조건이 오조작이나 어떠한 충격에 의해 충족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가 실수로 재기동되는 상황을 방지하고, 유저에 의한 명확한 조작에 의해서만 컨트롤러를 재기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3), the restart condition becomes difficult to meet due to erroneous operation or any shock. For this reason, a situation in which the controller is restarted by mistake is prevented, and the controller can be restarted only by clear operation by the user.

(4)(4)

(3)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으로서,As a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described in (3),

유저에 대한 통지를 실행 가능한 통지부(통지부(180))를 구비하고,Provided with a notification unit (notification unit 180) capable of executing notifications to users,

상기 컨트롤러는,The controller is,

상기 소정의 조작을 검지 가능하고, Capable of detecting the predetermined operation,

상기 소정의 조작이 상기 소정의 기간 지속되어 상기 재기동 조건이 충족된 후, 상기 제1 조작이 실행되기 전에(재기동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지연 시간(td)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통지부에 통지를 실행시키도록 구성되는, After the predetermined operation continues for the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restart condition is satisfied, and before the first operation is executed (before the delay time td elapses after the restart condition is satisfied), the notification unit is notified. configured to execute,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4)에 의하면, 컨트롤러의 재기동 전의 통지에 의해, 조작이 계속되면 컨트롤러가 재기동하는 것을 유저가 알아차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저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4), the notification before restarting the controller can make the user aware that the controller will restart if the operation continues. Because of this, the user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statu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5)(5)

(4)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으로서,As a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described in (4),

상기 통지부(진동 모터(M))가 접속되는 커넥터(모터 커넥터(Cn(m)))를 구비하고,Provided with a connector (motor connector (Cn(m))) to which the notification unit (vibration motor (M)) is connected,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컨트롤러의 전원 단자에 병렬 접속되는,The connector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controller,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5)에 의하면, 통지부의 전원과 컨트롤러의 전원이 공통이 된다. 이에 의해, 컨트롤러의 재기동시에, 통지부가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컨트롤러의 재기동이 실시되고 있음을, 유저가 파악하기 쉬워진다.According to (5), the power source of the notification unit and the power source of the controller are common. As a result, the notification unit does not operate when the controller is restarted, making it easier for the user to recognize that the controller is being restarted.

(6)(6)

(4) 또는 (5)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으로서,As a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4) or (5),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재기동 조건이 충족된 후, 상기 제1 조작이 실행되기 전에(재기동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지연 시간(td)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통지부에 통지를 완료시키도록 구성되는,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mplete the notification to the notification unit after the restart condition is satisfied and before the first operation is performed (before a delay time td elapses after the restart condition is satisfied).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6)에 의하면, 컨트롤러의 재기동시에는 통지가 완료되어 있으므로, 재기동이 실시되고 있는 것을, 유저가 파악하기 쉬워진다.According to (6), since notification is completed when the controller is restarted, it becomes easy for the user to understand that the restart is being performed.

(7)(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으로서,A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상기 스위치는,The switch is

상기 전원에 접속되는 입력 단자(입력 단자(VIN))와, 상기 컨트롤러의 전원 단자에 접속되는 출력 단자(출력 단자(VOUT))와, 제어 단자(제어 단자(ON))를 포함하고, It includes an input terminal (input terminal (VIN))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 output terminal (output terminal (VOUT))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controller, and a control terminal (control terminal (ON)),

상기 제어 단자로 하이레벨의 전압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닫도록 구성되고, When a high-level voltage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it is configured to clos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상기 입력 단자는, 상기 제어 단자에 병렬 접속되는,The input terminal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ontrol terminal,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7)에 의하면, 재기동 회로가 기능하고 있지 않을 때에, 전원에 의해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하이레벨의 전압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재기동 회로가 기능하고 있지 않을 때에, 컨트롤러로의 전력 공급이 끊어지기 어려워진다.According to (7), when the restart circuit is not functioning, a high level voltage can be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switch by the power supply. For this reason, when the restart circuit is not functioning,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power supply to the controller to be cut off.

(8)(8)

(7)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으로서,As a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described in (7),

상기 재기동 회로는,The restart circuit is,

상기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접속되는 재기동 단자(리셋 입력 단자(RSTB))를 포함하고, It includes a restart terminal (reset input terminal (RSTB))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switch,

상기 재기동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재기동 단자의 전위를 로우레벨로 하는, When the restart conditions are met, setting the potential of the restart terminal to a low level,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8)에 의하면, 재기동 회로가 기능할 때에만,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는 로우레벨 신호가 입력된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로의 전력 공급이 끊어지는 상황을, 한정된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8), a low-level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switch only when the restart circuit functions. For this reason, the situations in which the power supply to the controller is cut off can be limited.

(9)(9)

(8)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로서,As a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described in (8),

상기 재기동 회로는, 제1 입력 단자(단자(SW1)) 및 제2 입력 단자(단자(SW2))를 포함하고,The restart circuit includes a first input terminal (terminal SW1) and a second input terminal (terminal SW2),

상기 재기동 조건이 충족되기 위히서는, 상기 제1 입력 단자로 제1 레벨의 전압이 입력되고, 상기 제2 입력 단자로 제2 레벨의 전압이 입력될 필요가 있으며,In order to satisfy the restart condition, a first level voltage needs to be input to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a second level voltage needs to be input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상기 제1 레벨의 전압을 입력하기 위해서 필요한 유저의 조작(조작 스위치(OPS)의 압압)은, 상기 제2 입력 단자에 상기 제2 레벨의 전압을 입력하기 위해서 필요한 유저의 조작(아우터 패널(115)의 분리)과는 상이한,The user's operation (pressing the operation switch (OPS)) required to input the voltage of the first level to the first input terminal is the user's operation required to input the voltage of the second level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Different from the operation (removal of the outer panel 115),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9)에 의하면, 컨트롤러를 재기동하려고 하면, 복잡한 조작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가 실수로 재기동되는 상황을 방지하고, 유저에 의한 명확한 조작에 의해서만 컨트롤러를 재기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9), when attempting to restart the controller, complex operations are required. For this reason, a situation in which the controller is restarted by mistake is prevented, and the controller can be restarted only by clear operation by the user.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각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이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생각이 미칠 수 있음은 분명하고, 그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또한,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를 임의로 조합해도 된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se naturally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each component in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arbitrarily combin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또한, 본 출원은, 2021년 5월 10일 출원한 일본특허출원(특원2021-079905)에 근거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본 출원 중에 참조로서 원용된다.In addition, this application is based on th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79905) filed on May 10, 2021,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is application.

100 흡인기
112 케이스 본체
115 아우터 패널
118 이너 패널
119 슬라이더
170 가열부
1 MCU
8 승강압 DC/DC 컨버터
16 플립플롭
HTR 히터
BAT 전원
Cn 히터 커넥터
Cn(m) 모터 커넥터
OPS 조작 스위치
M 진동 모터
100 aspirator
112 case body
115 outer panel
118 inner panel
119 slider
170 heating unit
1 MCU
8 Step-down DC/DC converter
16 flip flops
HTR heater
BAT power
Cn heater connector
Cn(m) motor connector
OPS operation switch
M vibration motor

Claims (9)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소비하여 에어로졸원(源)을 가열하는 히터가 접속되는 히터 커넥터와,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히터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동작하기 위한 전력이 입력되는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전원과 상기 컨트롤러의 전원 단자를 접속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 가능한 재기동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재기동 회로는, 재기동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스위치를 여는 제1 조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조작의 실행 후에 상기 스위치를 닫는 제2 조작을 실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Power and
a heater connector to which a heater that heats the aerosol source by consum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is connecte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supply of power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heater and including a power terminal through which power for operation is input;
a switch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a power terminal of the controller;
Provided with a restart circuit capable of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switch,
The restart circuit performs a first operation of opening the switch when a restart condition is met, and performs a second operation of closing the switch after execution of the first operation.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기동 회로는, 상기 제1 조작의 실행 후에 상기 재기동 조건이 계속 충족되어도 상기 제2 조작을 실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In claim 1,
The restart circuit executes the second operation even if the restart condition continues to be met after execution of the first operation.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기동 조건이 충족되기 위해서는,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이 소정 기간 지속될 필요가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In claim 1,
In order for the above restart conditions to be met, certain operations by the user need to continu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유저에 대한 통지를 실행 가능한 통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소정의 조작을 검지 가능하고,
상기 소정의 조작이 상기 소정의 기간 지속되어 상기 재기동 조건이 충족된 후, 상기 제1 조작이 실행되기 전에, 상기 통지부에 통지를 실행시키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In claim 3,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unit capable of executing notification to the user,
The controller is,
Capable of detecting the predetermined operation,
configured to cause the notification unit to execute a notification after the predetermined operation continues for the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restart condition is satisfied, but before the first operation is executed,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가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컨트롤러의 전원 단자에 병렬 접속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In claim 4,
Provided with a connector to which the notification unit is connected,
The connector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controller,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재기동 조건이 충족된 후, 상기 제1 조작이 실행되기 전에, 상기 통지부에 통지를 완료시키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In claim 4 or claim 5,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mplete notification to the notification unit after the restart condition is satisfied and before the first operation is executed.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전원에 접속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컨트롤러의 전원 단자에 접속되는 출력 단자와, 제어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자로 하이레벨의 전압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닫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력 단자는, 상기 제어 단자에 병렬 접속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switch is
It includes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controller, and a control terminal,
When a high-level voltage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it is configured to clos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The input terminal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ontrol terminal,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재기동 회로는,
상기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접속되는 재기동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재기동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재기동 단자의 전위를 로우레벨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In claim 7,
The restart circuit is,
It includes a restart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switch,
When the restart conditions are met, setting the potential of the restart terminal to a low level,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재기동 회로는, 제1 입력 단자 및 제2 입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재기동 조건이 충족되기 위히서는, 상기 제1 입력 단자로 제1 레벨의 전압이 입력되고, 상기 제2 입력 단자로 제2 레벨의 전압이 입력될 필요가 있으며,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상기 제1 레벨의 전압을 입력하기 위해서 필요한 유저의 조작은, 상기 제2 입력 단자에 상기 제2 레벨의 전압을 입력하기 위해서 필요한 유저의 조작과는 상이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In claim 8,
The restart circuit includes a first input terminal and a second input terminal,
In order to satisfy the restart condition, a first level voltage needs to be input to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a second level voltage needs to be input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The user's operation required to input the first level voltage to the first input terminal is different from the user's operation required to input the second level voltage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0237036607A 2021-05-10 2022-03-04 Power unit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3016148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79905 2021-05-10
JPJP-P-2021-079905 2021-05-10
PCT/JP2022/009493 WO2022239414A1 (en) 2021-05-10 2022-03-04 Power source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486A true KR20230161486A (en) 2023-11-27

Family

ID=8402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6607A KR20230161486A (en) 2021-05-10 2022-03-04 Power unit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57684A1 (en)
EP (1) EP4338627A1 (en)
JP (1) JPWO2022239414A1 (en)
KR (1) KR20230161486A (en)
CN (1) CN117279532A (en)
WO (1) WO2022239414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87428A (en) 2012-10-19 2019-10-31 ニコベンチャーズ ホールディングス リミテッド Electronic inhalation device
JP6752220B2 (en) 2015-04-30 2020-09-09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Defective diagnostic equipment for 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JP6770579B2 (en) 2016-01-12 2020-10-14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Visualization system and visualization method for electronic vapor suppl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6976B2 (en) * 2013-08-05 2017-01-11 富士通株式会社 Electronic equipment
US10398175B2 (en) 2014-12-11 2019-09-03 Philip Morris Products S.A. Inhaling device with user recognition based on inhalation behaviour
GB201707194D0 (en) 2017-05-05 2017-06-21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US10349674B2 (en) 2017-07-17 2019-07-16 Rai Strategic Holdings, Inc. No-heat, no-burn smoking article
US11744287B2 (en) 2017-10-30 2023-09-05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7248810B2 (en) * 2019-09-25 2023-03-2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Battery uni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7280809B2 (en) 2019-11-22 2023-05-24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flying obje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87428A (en) 2012-10-19 2019-10-31 ニコベンチャーズ ホールディングス リミテッド Electronic inhalation device
JP6752220B2 (en) 2015-04-30 2020-09-09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Defective diagnostic equipment for 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JP6770579B2 (en) 2016-01-12 2020-10-14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Visualization system and visualization method for electronic vapor suppl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57684A1 (en) 2024-02-22
JPWO2022239414A1 (en) 2022-11-17
CN117279532A (en) 2023-12-22
WO2022239414A1 (en) 2022-11-17
EP4338627A1 (en) 202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088592B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US20240079893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JP7066927B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or
KR20230161486A (en) Power unit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30163496A (en) Power unit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WO2022239413A1 (en) Power supply unit of aerosol generation device
WO2022239374A1 (en) Power supply unit of aerosol generation device
KR102634485B1 (en) Power unit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WO2022239407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KR20230161487A (en) Power unit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WO2022239405A1 (en) Power supply unit of aerosol generator
WO2022239370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WO2022239408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WO2022239371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WO2022239385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WO2022239409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apparatus
WO2022239384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KR20230163514A (en) Power unit of aerosol generat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