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139A -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139A
KR20230160139A KR1020220059846A KR20220059846A KR20230160139A KR 20230160139 A KR20230160139 A KR 20230160139A KR 1020220059846 A KR1020220059846 A KR 1020220059846A KR 20220059846 A KR20220059846 A KR 20220059846A KR 20230160139 A KR20230160139 A KR 20230160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efing
message
execution
fun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혜
차한울
이석규
김슬기
최인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to KR1020220059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0139A/ko
Priority to JP2023081062A priority patent/JP2023169137A/ja
Priority to US18/318,629 priority patent/US20230370404A1/en
Publication of KR2023016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10/1095Meeting or appoin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은 메시징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된 단말의 앱의 실행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비서 기능에 관한 브리핑 실행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단말의 비서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코드에서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브리핑 대상의 개수를 알리기 위한 브리핑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ING SERVICE}
아래 실시 예들은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 및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스마트 기기의 발달로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 정보 공유 및 인맥 확대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생성하고 강화해주는 온라인 플랫폼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2 이상의 사용자 간의 실시간 컨텐츠 통신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instant messaging service; IMS) 등이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를 통한 소통이 증가하면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는 다른 사용자들과 텍스트 형태의 1:1 커뮤니케이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공유하고, 커뮤니케이션을 보조하기 위한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아래 실시 예들을 통해 메시지 송수신 기능 뿐 아니라 사용자의 일정 관리 등 사용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비서 기능을 수행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아래 실시 예들을 통해 앱이 실행됨에 따라, 비서 기능의 실행으로 생성된 레코드를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형태로 알리는 비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메시징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된 단말의 상기 앱의 실행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비서 기능에 관한 브리핑 실행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비서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코드에서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브리핑 대상의 개수를 알리기 위한 브리핑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브리핑 실행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앱의 실행이 미리 정해진 기간 내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최초 실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핑 실행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브리핑 메시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 계정의 수신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 시간을 제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레코드에 포함된 시간 정보와 상기 브리핑 메시지가 전송되는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된 비서 기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레코드의 유형 별로 상기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서 기능은 일정 관리 기능, 할 일 관리 기능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레코드는 상기 일정 관리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일정에 관한 제1 유형의 레코드; 상기 할 일 관리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할 일에 관한 제2 유형의 레코드;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예약 메시지에 관한 제3 유형의 레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핑 메시지는 다른 사용자 계정이 포함되지 않는 제1 유형의 채팅방 및 상기 비서 기능에 관한 공식 계정을 포함하는 제2 유형의 채팅방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브리핑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브리핑 대상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메시지로 전송되기 위한 포맷의 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시징 서버에 상기 브리핑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이 설치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앱의 실행에 기초하여, 상기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브리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브리핑 메시지를 통해 상기 비서 기능을 호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여 등록된 레코드를 포함하는 비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브리핑 메시지는 비서 기능에 대응하여 등록된 레코드 중 특정 기간에 대응하는 레코드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다른 사용자 계정이 포함되지 않는 제1 유형의 채팅방 및 상기 비서 기능에 관한 공식 계정을 포함하는 제2 유형의 채팅방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브리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서 기능은 일정 관리 기능, 할 일 관리 기능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레코드는 상기 일정 관리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일정에 관한 제1 유형의 레코드; 상기 할 일 관리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할 일에 관한 제2 유형의 레코드;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예약 메시지에 관한 제3 유형의 레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브리핑 메시지에 대한 수신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조건은 상기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의 허용 여부; 및 상기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이 허용되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비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된 레코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신규 레코드의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는 상기 메시징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된 단말의 상기 앱의 실행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비서 기능에 관한 브리핑 실행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비서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코드에서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브리핑 대상의 개수를 알리기 위한 브리핑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브리핑 실행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상기 앱의 실행이 미리 정해진 기간 내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최초 실행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이 설치된 단말은 상기 앱의 실행에 기초하여, 상기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브리핑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브리핑 메시지를 통해 상기 비서 기능을 호출하는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여 등록된 레코드를 포함하는 비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이 설치된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에에 따른 단말에 전송된 브리핑 메시지가 표시되는 채팅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을 통해 제공되는 비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리핑 메시지에 대한 수신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은 메시징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된 단말의 앱의 실행을 모니터링하는 단계(110), 비서 기능에 관한 브리핑 실행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20), 단말의 비서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코드에서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130) 및 식별된 브리핑 대상의 개수를 알리기 위한 브리핑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는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징 서비스는 앱에 가입된 사용자들 사이의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가입된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로, 예를 들어 인스턴트(instant) 메시지에 기반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은 가입된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메신저 앱(application; app)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는 사용자의 메시징 서비스 가입 요청에 반응하여, 메시징 서비스에 관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은 서버에서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단위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 된 단말은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단말은 서비스의 가입으로 생성된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 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시징 서비스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채팅 인터페이스는 메시징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메시지의 송수신 기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계정이 참여하는 채팅방을 통하여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채팅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계정이 참여하며, 참여자 간의 채팅이 이루어지는 가상의 공간인 채팅방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예로, 채팅 인터페이스는 채팅방을 통한 메시지의 전송 및 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싱 객체는 사용자와 인터랙션(interaction)을 통해 미리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객체로, 예를 들어 버튼(button), 입력 필드(input field), 스위치(swit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채팅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로는 도 3에 도시된 화면(310)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채팅 인터페이스는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채팅창(311), 메시지로 전송될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메시지 입력창(312) 및/또는 서버에 미리 정해진 기능 혹은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버튼들(313, 314, 315)과 같은 메시징 서비스에 관한 기능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서 기능은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에서 메시지의 송수신에 관한 기능 외에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기능으로, 예를 들어 채팅방을 통한 검색 기능, 일정 관리 기능, 할 일 관리 기능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서 기능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서 기능은 메시징 서버에서 제공될 수도 있고, 메시징 서버와 연동된 별도의 서버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서로 다른 비서 기능은 서로 다른 서버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는 메시징 서버를 의미할 수도 있고, 메시징 서버와 연동하여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을 통해 비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된 별도의 서버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는 간략하게 '서버'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는 메시징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된 단말의 앱의 실행을 모니터링(110)할 수 있다. 앱의 실행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앱의 실행을 감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된 단말에서 앱이 실행되는 경우, 서버는 단말로부터 사용자 계정이 앱에 접속하였음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는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앱의 실행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는 앱에 접속하였음을 지시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계정의 접속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비서 기능에 관한 브리핑 실행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120)할 수 있다. 비서 기능에 관한 브리핑 실행 조건은 비서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코드에 대한 브리핑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으로, 예를 들어 앱의 실행이 미리 정해진 기간 내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최초 실행인지에 관한 조건 및/또는 브리핑 메시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 계정의 수신 설정에 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브리핑 실행 조건은 이하에서 상술한 브리핑 메시지 전송을 위한 단계(130) 및 단계(140)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에 해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는 브리핑 실행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브리핑 메시지 전송을 위한 단계(130) 및 단계(140)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120)는 앱의 실행이 미리 정해진 기간 내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최초 실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미리 정해진 기간은 1일, 일주일, 오전 12시부터 오후 11시까지의 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초 실행인지 여부는 앱을 실행한 단말에 로그인 된 사용자 계정의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된 단말의 앱의 실행이 감지되면, 서버는 미리 정해진 기간 내 제1 사용자 계정이 앱에 접속한 기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기간 내 제1 사용자 계정이 앱에 접속한 기록이 없는 경우, 감지된 앱의 실행이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최초 실행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앱의 실행이 미리 정해진 기간 내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최초 실행인 경우, 서버는 브리핑 실행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기간이 1일인 것을 가정하면, 사용자 계정이 하루 중 최초로 앱에 접속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버는 브리핑 실행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120)는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브리핑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계정의 수신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의 수신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는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 시간을 제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계정의 수신 설정을 확인한 결과,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을 허용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서버는 브리핑 실행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일 예로, 수신 설정을 확인한 결과,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 시간에 관한 제한 조건이 설정된 경우, 서버는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이 허용되는 것으로 설정된 시간에 브리핑 실행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을 허용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서버는 브리핑 실행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브리핑 실행 조건은 복수의 조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복수의 조건들이 모두 만족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브리핑 실행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핑 실행 조건이 앱의 실행이 미리 정해진 기간 내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최초 실행인지에 관한 조건 및 브리핑 메시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 계정의 수신 설정에 관한 조건을 포함하는 경우, 앱의 실행이 미리 정해진 기간 내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최초 실행이며,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 허용 설정이 확인된 경우, 브리핑 실행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브리핑 실행 조건의 만족 여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의 비서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코드에서 브리핑 대상을 식별(130)할 수 있다. 일 예로, 단계(120)에서 브리핑 실행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버는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130)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리핑 대상은 단말의 비서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코드 중 브리핑 조건을 만족하는 레코드에 해당할 수 있다.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것은 비서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코드에서 브리핑 조건을 만족하는 레코드를 검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레코드는 비서 기능의 실행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의 단위로, 예를 들어 일정 관리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일정에 관한 제1 유형의 레코드, 할 일 관리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할 일에 관한 제2 유형의 레코드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예약 메시지에 관한 제3 유형의 레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의 비서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코드는 단말에 로그인 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앱을 통해 제공되는 일정 관리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서버에 일정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새로운 일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일정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일정에 관한 제1 유형의 레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형의 레코드는 일정의 이름 및 일정의 시간과 같은 일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레코드는 단말에 로그인 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브리핑 조건은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저장된 레코드(들) 중 브리핑 메시지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레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조건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예로, 브리핑 조건은 레코드에 포함된 시간 정보에 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130)는 레코드에 포함된 시간 정보와 앱의 실행 시점에 기초하여,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형의 레코드는 일정의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 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형의 레코드는 할 일의 기한에 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형의 레코드는 예약 메시지의 발송 시점에 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앱의 실행 시점에 대응하는 기간에 레코드의 시간 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핑 대상은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저장된 레코드들 중 브리핑 메시지가 전송되는 시점이 속한 날짜에 대응하는 레코드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예로, 앱을 실행한 시점이 속하는 날짜가 제1 유형의 레코드의 시작 시점이 속하는 날짜와 같거나 이후이고, 제1 유형의 레코드의 종료 시점이 속하는 날짜와 같거나 이전이면, 제1 유형의 레코드는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일 예로, 앱을 실행한 시점이 속하는 날짜가 제1 유형의 레코드의 종료 시점이 속하는 날짜와 같거나 이전이면, 제1 유형의 레코드는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일 예로, 앱을 실행한 시점이 속하는 날짜가 제2 유형의 레코드에 포함된 할 일의 기한 이전에 해당하는 날짜이면, 제2 유형의 레코드는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일 예로, 앱을 실행한 시점이 속하는 날짜가 제3 유형의 레코드에 포함된 예약 메시지의 발송 시점에 해당하는 날짜이면, 제3 유형의 레코드는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일 예로, 브리핑 조건은 레코드에 포함된 완료 여부의 상태에 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레코드 중 미완료 상태에 해당하는 레코드가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형의 레코드는 일정을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파라미터가 미완료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 경우,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제2 유형의 레코드는 할 일을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파라미터가 미완료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 경우,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제3 유형의 레코드는 예약 메시지의 발송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파라미터가 미완료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 경우,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130)는 실행된 비서 기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레코드의 유형 별로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된 브리핑 대상은 레코드의 유형 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핑 대상은 제1 유형의 레코드, 제2 유형의 레코드 및 제3 유형의 레코드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식별된 브리핑 대상의 개수를 알리기 위한 브리핑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140)할 수 있다. 브리핑 메시지는 브리핑 대상의 유형 별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브리핑 메시지는 레코드의 유형 별로 식별된 브리핑 대상의 개수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핑 메시지는, 제1 유형의 레코드에 해당하는 브리핑 대상의 개수는 x개, 제2 유형의 레코드에 해당하는 브리핑 대상의 개수는 y개 및 제3 유형의 레코드에 해당하는 브리핑 대상의 개수는 z개임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임의의 유형의 레코드에 해당하는 브리핑 대상이 없는 경우, 해당 유형의 브리핑 대상의 개수는 0개로 표시될 수도 있고, 메시지에 해당 유형의 레코드에 관한 정보의 표시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브리핑 메시지는 개수에 관한 정보 외 브리핑 대상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핑 메시지는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된 레코드의 항목 별로 제1 유형의 레코드에 포함된 일정에 관한 정보(예: 일정의 이름, 일정의 시간 정보, 일정의 장소 및/또는 일정의 초대 대상), 제2 유형의 레코드에 포함된 할 일에 관한 정보(예: 할 일의 이름, 할 일의 기한 정보 및/또는 할 일의 완료 여부에 관한 정보) 및 제3 유형의 레코드에 포함된 예약 메시지에 관한 정보(예: 예약 메시지의 내용, 예약 메시지의 발송 예정 시점, 예약 메시지의 발송 대상 및 예약 메시지에 관한 알림 설정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브리핑 메시지는 브리핑 대상 중 사용자에 의해 중요 레코드로 설정된 레코드를 포함하는 별도의 목록을 포함할 수도 있고, 브리핑 대상에 대응하여 획득 가능한 추가 정보(예: 브리핑 대상이 제1 유형의 레코드인 경우, 날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리핑 메시지의 구체적인 예시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브리핑 메시지는 미리 정해진 유형의 채팅방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채팅방의 유형은 채팅방에 포함된 사용자 계정의 수 및 채팅방에 참여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채팅방의 유형은 다른 사용자 계정이 포함되지 않는 나와의 채팅방, 하나의 다른 사용자 계정을 포함하는 1:1 채팅방, 2 이상의 다른 사용자 계정을 포함하는 그룹 채팅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일 예로, 채팅방의 유형은 일반 채팅방과 익명 채팅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 채팅방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계정 정보가 등록된 다른 사용자 계정(들)을 채팅방의 참여자로 지정하여 생성된 채팅방에 해당할 수 있다.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는 전화 번호, ID와 같은 사용자 계정에 관한 식별 정보를 친구 관계인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일반 채팅방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계정 정보가 등록된, 혹은 친구 관계로 등록된 다른 사용자 계정(들)을 참여자로 포함하는 채팅방을 의미한다. 익명 채팅방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친구 관계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링크 정보를 통해 참여할 수 있는 채팅방을 의미한다. 일 예로, 익명 채팅방 서비스는 출원인인 카카오가 제공하는 오픈채팅(주식회사 카카오의 등록 상표) 서비스, 구체적으로 출원인의 카카오톡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비지인 기반의 오픈채팅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익명 채팅방은 출원인인 카카오가 제공하는 오픈채팅 서비스의 채팅방(혹은 대화방)을 의미할 수 있다. 카카오가 제공하는 오픈채팅 서비스는 익명 채팅방 서비스의 일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익명 채팅방 서비스는 실명에 기반한 계정이 아닌 임시 프로필을 통해 참여하는 채팅방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브리핑 메시지는 다른 사용자 계정이 포함되지 않는 제1 유형의 채팅방(예: 나와의 채팅방)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핑 메시지는 나와의 채팅방을 통하여 비서 기능에 관한 공식 계정을 발신자로 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비서 기능에 관한 공식 계정은 챗봇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 일 예로, 브리핑 메시지는 비서 기능에 관한 공식 계정을 포함하는 제2 유형의 채팅방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비서 기능에 관한 공식 계정을 포함하는 채팅방은 브리핑 메시지를 포함하는 비서 기능에 관한 알림 메시지가 전송되는 채팅방에 해당할 수 있다. 비서 기능에 관한 알림 메시지는 비서 기능에 관한 공식 계정을 발신자로 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가 메시징 서버와 구분되는 별도의 서버에 해당하는 경우, 브리핑 메시지는 서버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도 있고, 메시징 서버를 통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단계(140)는 식별된 브리핑 대상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메시지로 전송되기 위한 포맷의 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시징 서버에 브리핑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브리핑 대상의 개수에 관한 데이터를 메시지의 형태로 생성하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계(120) 내지 단계(140)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이 설치된 단말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의 실행에 반응하여, 비서 기능에 관한 브리핑 실행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20),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비서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코드에서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130) 및 식별된 브리핑 대상의 개수를 알리기 위한 브리핑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14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이 설치된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이 설치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브리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210), 수신된 브리핑 메시지를 통해 비서 기능을 호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220) 및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여 등록된 레코드를 포함하는 비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컴퓨터, 포터블(portable) 컴퓨터,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웹 태블릿(web tablet),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전자 장치 중 하나로 앱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앱의 제어 하에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 및/또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앱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의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user interaction)을 프로세서를 통해 처리할 수 있으며, 처리 결과를 단말의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거나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에 설치된 앱은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 혹은 메신저 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메신저 앱의 제어에 따라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서버에서 제공하는 비서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앱의 실행에 기초하여,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브리핑 메시지를 수신(210)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브리핑 메시지는 각 비서 기능에 대응하여 등록된 레코드 중 미리 정해진 기간(예: 1일)에 대응하는 레코드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미리 정해진 기간 내 제1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된 단말이 앱을 실행하지 않은 경우, 해당 기간에 대응하는 브리핑 메시지는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기간이 1일인 경우, 특정 날짜에 제1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된 단말이 앱에 접속하지 않은 경우, 해당 날짜에 대응하는 브리핑 메시지는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리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210)는 미리 정해진 유형의 채팅방을 통하여 브리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에서 앱을 통해 미리 정해진 유형의 채팅방에 접속하면, 해당 채팅방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에 단말로 전송된 브리핑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유형의 채팅방은 나와의 채팅방에 해당할 수 있으며, 공식 계정을 발신자로 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수신된 브리핑 메시지를 통해 비서 기능을 호출하는 입력을 수신(220)할 수 있다. 일 예로, 브리핑 메시지는 비서 기능을 호출하는 입력에 반응하여, 서버에 비서 기능의 호출을 요청하도록 동작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브리핑 메시지(320)에 포함된 제1 유형의 레코드의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인터페이싱 객체 (321)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1 유형에 대응하는 비서 기능인 일정 관리 기능이 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핑 메시지(320)에 포함된 제2 유형의 레코드의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인터페이싱 객체(322)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2 유형에 대응하는 비서 기능인 할 일 관리 기능이 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핑 메시지(320)에 포함된 제3 유형의 레코드의 개수를 지시하는 제3 인터페이싱 객체(323)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3 유형에 대응하는 비서 기능인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이 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여 등록된 레코드를 포함하는 비서 인터페이스를 표시(230)할 수 있다. 비서 인터페이스는 호출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서 인터페이스는 일정 관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하,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 할 일 관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하,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하,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서 인터페이스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서 기능 및 비서 인터페이스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비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등록된 레코드를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는 미리 정해진 기간 별로 등록된 제1 유형의 레코드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는 미리 정해진 기간 별로 등록된 제2 유형의 레코드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는 미리 정해진 기간 별로 등록된 제3 유형의 레코드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등록된 레코드의 조회를 위한 비서 인터페이스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비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된 레코드 입력에 기초하여, 서버에 상기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신규 레코드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서 인터페이스는 등록된 레코드의 조회 뿐 아니라, 신규 레코드의 등록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신규 레코드의 등록을 위한 비서 인터페이스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브리핑 메시지에 대한 수신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수신 조건은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의 제한 여부를 결정하는 조건으로, 예를 들어 브리핑 메시지 수신의 허용 여부 및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이 허용되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조건은 단말에 로그인 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앱을 통해 수신된 설정 입력에 기초하여, 로그인 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의 허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을 허용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미리 정해진 기간 내 사용자 최초 앱을 실행한 경우 브리핑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을 허용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브리핑 메시지는 단말로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이 허용되는 시간이 설정된 경우, 단말에서 앱이 실행 중인 시점이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이 허용되는 시간에 속하면, 브리핑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브리핑 메시지는 단말에서 생성되어 채팅 인터페이스를 제공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의 동작 방법은 서버로부터 브리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210) 대신 앱의 실행에 기초하여, 단말에서 생성된 브리핑 메시지를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에에 따른 단말에 전송된 브리핑 메시지가 표시되는 채팅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로부터 수신된 브리핑 메시지(320)는 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채팅 인터페이스의 채팅창(311)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핑 메시지(320)는 나와의 채팅방을 통하여 비서 기능을 담당하는 공식 계정을 발신자로 하여 전송될 수 있다. 채팅 인터페이스는 나와의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나와의 채팅방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핑 메시지(3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싱 객체가 나열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브리핑 메시지(320)에 포함된 각각의 인터페이싱 객체는 대응되는 비서 기능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지(예: 아이콘), 비서 기능을 나타내는 명칭 및 식별된 브리핑 대상의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브리핑 메시지(320)는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된 제1 유형의 레코드의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인터페이싱 객체(321),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된 제2 유형의 레코드의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인터페이싱 객체(322) 및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된 제3 유형의 레코드의 개수를 지시하는 제3 인터페이싱 객체(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객체들(321, 322 및 323)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비서 기능을 호출하는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인터페이싱 객체(321)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일정 관리 기능이 호출될 수 있다. 단말은 호출된 일정 관리 기능에 대응하여 등록된 제1 유형의 레코드를 포함하는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에 관하여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일 예로, 제2 인터페이싱 객체(322)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할 일 관리 기능이 호출될 수 있다. 단말은 호출된 할 일 관리 기능에 대응하여 등록된 제2 유형의 레코드를 포함하는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에 관하여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일 예로, 제3 인터페이싱 객체(323)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이 호출될 수 있다. 단말은 호출된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에 대응하여 등록된 제3 유형의 레코드를 포함하는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에 관하여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일 예로, 도 4a에 도시된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의 화면(401)은 도 3에 도시된 브리핑 메시지에 포함된 제1 인터페이싱 객체(321)를 선택하는 입력에 의해 호출된 일정 관리 기능에 반응하여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는 단말에 로그인 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등록된 제1 유형의 레코드의 목록(4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유형의 레코드의 목록(410)은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된 제1 유형의 레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형의 레코드는 일정에 관한 정보(예: 일정의 이름, 일정의 시간 정보, 일정의 장소 및/또는 일정의 초대 대상)를 포함하는 데이터 단위로, '일정'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예로,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는 날짜 별로 등록된 일정의 목록(410)을 표시할 수 있다. 일정의 목록(410)은 일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일정의 항목들(411, 412, 413, 414 및 41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의 목록에 포함된 제1 항목(411)은 일정의 이름('2022 수능'), 일정의 시간 정보('하루 종일'), 일정의 장소('탄천') 및 일정의 초대 대상의 프로필 사진(4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일정의 시간 정보는 제1 항목(411)과 같이 특정 날짜 전체('하루 종일')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제2 항목(412)과 같이 시작 시점('오후 1:00') 및 종료 시점('오후 2:00')이 설정될 수도 있다. 시간 정보가 특정 날짜의 '하루 종일'로 설정된 일정은 일정의 시작 시점은 해당 날짜의 오전 12시, 종료 시점은 해당 날짜의 오후 12시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의 일부 정보는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항목(413)을 참조하면, 일정의 장소 및 일정의 초대 대상은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날짜에 대응하는 일정은 설정된 일정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특정 날짜에 대응하는 일정은 해당 날짜의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일 예로, 일정의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이 같은 날짜인 경우, 해당 일정은 시작 지점 및 종료 시점이 속하는 날짜에 대응하는 일정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일정의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이 다른 날짜인 경우, 해당 일정은 시작 시점이 속하는 날짜 내지 종료 시점이 속하는 날짜 각각에 대응하는 일정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항목(411), 제2 항목(412), 제3 항목(413) 및 제4 항목(414)은 2022년 8월 18일에 대응하는 일정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항목(411), 제2 항목(412), 제3 항목(413) 및 제4 항목(414)은 2022년 8월 18일의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될 수 있다. 2022년 8월 18일에 전송되는 브리핑 메시지는 2022년 8월 18일에 대응하는 일정의 개수는 3개임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항목(414) 및 제5 항목(415)은 2022년 8월 19일에 대응하는 일정에 포함될 수 있다. 제4 항목(414) 및 제5 항목(415)은 2022년 8월 19일의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될 수 있다. 2022년 8월 19일에 전송되는 브리핑 메시지는 2022년 8월 19일에 대응하는 일정의 개수는 2개임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항목(414)을 참조하면, 2022년 8월 18일 오후 3시가 시작 시점이고, 2022년 8월 19일 오전 11시가 종료 시점으로, 일정의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이 다른 날짜에 해당한다. 제4 항목(414)은2022년 8월 18일 및 2022년 8월 19일 모두에 대응하는 일정에 해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4 항목(414)은 2022년 8월 18일의 브리핑 대상에도 해당하고, 2022년 8월 19일의 브리핑 대상에도 해당할 수 있다. 2022년 8월 18일에 전송되는 브리핑 메시지에 제4 항목(414)을 포함하는 일정의 개수가 표시될 수 있고, 2022년 8월 19일에 전송되는 브리핑 메시지에도 제4 항목(414)을 포함하는 일정의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일정의 목록(410)에는 일정 관리 기능이 호출된 날짜에 대응하는 일정이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일정 관리 기능이 호출된 날짜가 2022년 8월 18일인 경우, 2022년 8월 18일에 대응하는 일정이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일정의 목록(410)에는 브리핑 메시지가 전송된 날짜에 대응하는 일정이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브리핑 메시지가 전송된 날짜가 2022년 8월 18일이며, 브리핑 메시지를 통한 일정 관리 기능의 호출에 의해 인터페이스의 화면(401)이 표시되는 경우, 2022년 8월 18일에 대응하는 일정이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의 목록(410)에 포함된 일정은 시작 시점 혹은 종료 시점의 시간 순서로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화면(401)과 같이, 일정의 목록에 포함된 일정의 항목들(411, 412, 413, 414 및 415)은 시작 시점이 빠른 일정부터 늦은 일정의 순서로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는 신규 일정의 등록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정 등록하기'의 버튼(420) 선택 시, 신규 일정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401)을 참조하면, 제1 유형의 레코드의 목록(410)에 포함된 제1 유형의 레코드는 각 항목 별로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바(bar), 서로 다른 아이콘, 글씨체, 글자 색 등을 이용하여 제1 유형의 레코드의 목록(410)에 포함된 각 항목이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동일한 항목은 동일한 표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브리핑 메시지에 포함된 제1 인터페이싱 객체(321)를 선택하는 입력에 의해 호출된 일정 관리 기능에 반응하여 단말에 제공되는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다른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401)을 참조하면, '할 일' 탭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로 전환될 수 있으며, '예약 메시지' 탭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비서 기능들 각각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는 서로 연결된 페이지로 구현될 수 있으며, 화면(401)을 통해 수신되는 스와이프 입력 등과 같은 페이지 전환 입력에 의해 다른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의 화면(예: 도 5a의 화면(501) 혹은 도 6a의 화면(601))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브리핑 메시지에 포함된 제2 인터페이싱 객체(322)를 선택하는 입력에 의해 제공되는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예: 도 5a의 화면(501)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및 제3 인터페이싱 객체(323)를 선택하는 입력에 의해 제공되는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예: 도 6a의 화면(601)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도 동일한 방식으로 페이지 전환 입력에 의해 다른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의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b에 도시된 신규 일정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화면(402)은 도 4a에 도시된 '일정 등록하기'의 버튼(420)을 선택하는 입력에 의해 호출된 신규 일정 등록 기능에 반응하여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신규 일정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새로운 일정에 관한 정보(예: 일정의 이름 및 일정의 시작/종료 시간)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신규 일정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등록하기' 버튼(430)을 선택하는 입력을 통해 서버에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일정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요청된 일정을 생성하여, 사용자 계정에 종속하는 일정 데이터베이스 혹은 캘린더에 이를 등록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일 예로, 도 5a에 도시된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의 화면(501)은 도 3에 도시된 브리핑 메시지에 포함된 제2 인터페이싱 객체(322)를 선택하는 입력에 의해 호출된 할 일 관리 기능에 반응하여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는 단말에 로그인 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등록된 제2 유형의 레코드의 목록(5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유형의 레코드의 목록(510)은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된 제 2 유형의 레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형의 레코드는 할 일에 관한 정보(예: 할 일의 이름, 할 일의 기한 정보 및/또는 할 일의 완료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단위로, '할 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예로,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는 할 일 관리 기능이 호출된 날짜에 대응하는 할 일의 목록(510)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일 예로, 브리핑 메시지를 통한 할 일 관리 기능의 호출에 의해 인터페이스의 화면(501)이 표시되는 경우,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는 브리핑 메시지가 전송된 날짜에 대응하는 할 일의 목록(510)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할 일의 목록(510)은 할 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할 일의 항목들(511, 512 및 5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할 일의 목록(510)에 포함된 제1 항목(511)은 할 일의 이름('모의고사 기출 문제 풀기'), 할 일의 기한('11월 18일 목요일'), 할 일의 반복 주기('매일') 및 할 일의 완료 여부의 표시를 위한 체크 박스(5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할 일의 일부 정보는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항목(512)을 참조하면 할 일의 반복 주기는 입력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3 항목(513)을 참조하면 할 일의 기한 및 할 일의 반복 주기는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는 할 일 관리 기능이 호출된 날짜에 대응하는 완료한 일의 목록(52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할 일의 목록(510)에 포함된 임의의 항목(예: 511)에 대하여 할 일의 완료 여부의 표시를 위한 체크 박스(예: 511-1)에 할 일을 완료한 것으로 체크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항목(예: 511)은 할 일의 목록(510)에서 제거되고, 완료한 일의 목록(52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화면(501)을 참조하면,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에서 완료한 일의 목록(520)과 할 일의 목록(510)은 서로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료한 일의 목록(520)의 경우 할 일의 목록(510)에 하단에 표시되는 등 표시되는 위치에 의해 구분될 수도 있고, 인터페이스 내 네모 박스 등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에 각각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완료한 일의 목록(520)과 할 일의 목록(510)은 서로 다른 글자색을 이용하여 표시되거나, 각 목록을 지시하기 위한 아이콘이 부가되는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료한 일의 목록(520)에 포함된 항목은 할 일의 목록(510)에 포함된 항목과 달리 텍스트에 취소선이 부가될 수도 있고, 할 일의 목록(510)에 포함된 항목과 다른 글자색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할 일의 목록(510)에 포함된 임의의 항목(예: 511)에 포함된 할 일의 완료 여부의 표시를 위한 체크 박스(예: 511-1)는 미완료 상태를 지시하도록 표시(예: 투명한 원으로 표시)될 수 있고. 완료한 일의 목록(520)에 포함된 임의의 항목에 포함된 할 일의 완료 여부의 표시를 위한 체크 박스는 완료 상태를 지시하도록 표시(예: 체크 표시 부가, 원의 색상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날짜에 대응하는 할 일은 설정된 할 일의 기한 정보, 반복 주기 및/또는 할 일의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특정 날짜에 대응하는 할 일은 해당 날짜의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일 예로, 기한이 설정된 할 일은 설정된 기한 또는 그 이전에 해당하는 날짜(들) 각각에 대응하는 할 일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항목(511)은 11월 18일 또는 11월 18일 이전 날짜(들)에 대응하는 할 일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항목(512)은 9월 10일 또는 9월 10일 이전 날짜(들)에 대응하는 할 일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할 일에 대한 기한이 지나기 전에 할 일이 완료된 것으로 설정된 경우, 완료된 할 일은 완료된 시점 이후 날짜에 대응하는 할 일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한('9월 10일')이 지나기 전인 9월 3일에 제2 항목(512)이 완료된 경우, 제2 항목(512)은 9월 3일 이후 날짜(예: 9월 4일 내지 9월 10일)에 대응하는 할 일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기한이 지나기 전에 할 일이 완료되었더라도 설정된 반복 주기가 도래하면, 반복이 설정된 할 일은 반복 주기가 도래한 날짜에 대응하는 할 일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항목(511)의 경우, 반복 주기가 '매일'이므로, 특정 날짜(예: 11월 10일)에 할 일을 완료한 것으로 체크하더라도, 다음 날짜(예: 11월 11일)에 대응하는 할 일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는 신규 할 일의 등록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할 일 등록하기'의 버튼(530) 선택 시, 신규 할 일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할 일의 목록(510)에 포함된 할 일의 항목들(511, 512 및 513) 혹은 완료된 할 일의 목록(520)에 포함된 완료된 할 일의 항목들은 북마크 기능을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북마크 기능을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해당 항목에 북마크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북마크가 설정된 항목은 북마크가 설정되지 않은 항목보다 목록(510 혹은 520)의 상단에 표시될 수도 있고, 북마크가 설정된 항목의 목록과 북마크가 설정되지 않은 항목의 목록이 구분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5b에 도시된 신규 할 일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화면(502)은 도 5a에 도시된 '할 일 등록하기'의 버튼(530)을 선택하는 입력에 의해 호출된 신규 할 일 등록 기능에 반응하여 단말에 표시된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신규 할 일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새로운 할 일에 관한 정보(예: 할 일의 이름, 할 일의 기한 및 반복 횟수)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신규 할 일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등록하기' 버튼(540)을 선택하는 입력을 통해 서버에 할 일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요청된 할 일을 생성하여, 사용자 계정에 종속하는 할 일 데이터베이스에 이를 등록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일 예로, 도 6a에 도시된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의 화면(601)은 도 3에 도시된 브리핑 메시지에 포함된 제3 인터페이싱 객체(323)를 선택하는 입력에 의해 호출된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에 반응하여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는 단말에 로그인 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등록된 제3 유형의 레코드의 목록(6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 유형의 레코드의 목록(610)은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된 제 3 유형의 레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형의 레코드는 예약 메시지에 관한 정보(예: 예약 메시지의 내용, 예약 메시지의 발송 예정 시점, 예약 메시지의 발송 대상 및 예약 메시지에 관한 알림 설정 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단위로, '예약 메시지'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예로,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는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이 호출된 날짜에 대응하는 예약 메시지의 목록(610)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일 예로, 브리핑 메시지를 통한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의 호출에 의해 인터페이스의 화면(601)이 표시되는 경우,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는 브리핑 메시지가 전송된 날짜에 대응하는 예약 메시지의 목록(610)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예약 메시지의 목록(610)은 예약 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메시지의 항목들(611 및 6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약 메시지의 목록에 포함된 제1 항목(611)은 예약 메시지의 내용(611-1), 예약 메시지의 발송 예정 시점('21년 11월 18일 목요일 오후 2:00') 및 예약 메시지의 발송 대상('민영희')을 포함할 수 있다. 발송 대상은 제1 항목(611)과 같이 사용자 계정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제2 항목(612)과 같이 채팅방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발송 대상이 채팅방으로 설정되는 경우, 해당 채팅방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 계정으로 예약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예약 메시지의 목록은 각 항목 별로 상태(예: 대기중, 발송 완료 및/또는 발송 실패)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예약 메시지는 발송 예정 시점 이전인 경우, '대기중'의 상태일 수 있으며, 발송 예정 시점이 도래하여 발송 대상에게 발송이 완료된 경우, '발송 완료'의 상태일 수 있으며, 발송 예정 시점이 도래하였나 발송 대상에게 발송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발송 실패'의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날짜에 대응하는 예약 메시지는 예약 메시지의 설정된 발송 예정 시점에 기초하여 브리핑 대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특정 날짜에 대응하는 예약 메시지는 해당 날짜의 브리핑 대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일 예로, 발송 예정인 예약 메시지는 설정된 발송 예정 시점이 속하는 날짜에 대응하는 예약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항목(611)은 발송 예정 시점이 속하는 날짜인 21년 11월 18일에 대응하는 예약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항목(612)은 발송 예정 시점이 속하는 날짜인 21년 12월 3일에 대응하는 예약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21년 11월 18일에 전송되는 브리핑 메시지에는 발송 예정 시점이 21년 11월 18일에 속하는 예약 메시지의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발송 예정 시점이 21년 11월 18일에 속하는 예약 메시지는 제1 항목(611) 1개이므로, 21년 11월 18일에 전송되는 브리핑 메시지에 예약 메시지의 개수는 1개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예약 메시지의 목록(610)에는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이 호출된 날짜에 대응하는 예약 메시지가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이 호출된 날짜가 2021년 11월 18일인 경우, 2021년 11월 18일에 대응하는 예약 메시지가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예약 메시지의 목록(610)에는 브리핑 메시지가 전송된 날짜에 대응하는 예약 메시지가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브리핑 메시지가 전송된 날짜가 2021년 11월 18일이며, 브리핑 메시지를 통한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의 호출에 의해 인터페이스의 화면(601)이 표시되는 경우, 2021년 11월 18일에 대응하는 예약 메시지가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예약 메시지의 목록(610)에 포함된 예약 메시지는 발송 예정 시점의 시간 순서로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화면(601)과 같이, 예약 메시지의 목록에 포함된 예약 메시지의 항목들(611 및 612)은 발송 예정 시점이 빠른 예약 메시지부터 늦은 예약 메시지의 순서로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는 신규 예약 메시지의 등록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지 예약하기'의 버튼(620) 선택 시, 신규 예약 메시지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6b에 도시된 신규 예약 메시지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화면(602)은 도 6a에 도시된 '메시지 예약하기'의 버튼(620)을 선택하는 입력에 의해 호출된 신규 예약 메시지 등록 기능에 반응하여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신규 예약 메시지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새로운 예약 메시지에 관한 정보(예: 예약 메시지의 내용, 예약 메시지의 발송 예정 시점, 예약 메시지의 발송 대상 및 예약 메시지에 관한 알림 설정 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신규 예약 메시지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등록하기' 버튼(630)을 선택하는 입력을 통해 서버에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예약 메시지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요청된 예약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계정에 종속하는 예약 메시지 데이터베이스에 이를 등록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을 통해 제공되는 비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브리핑 메시지를 통하여 각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비서 인터페이스 뿐 아니라,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종합적인 비서 인터페이스가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비서 인터페이스의 화면(701)은 도 3에 도시된 브리핑 메시지에 포함된 인터페이싱 객체(324)를 선택하는 입력에 반응하여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페이싱 객체(324)를 선택하는 입력에 반응하여 화면(310)은 화면(701)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은 브리핑 메시지 외에도 다양한 진입점을 통해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비서 인터페이스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에서 다양한 진입점을 통해 비서 기능의 실행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비서 인터페이스 화면(701)이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와의 채팅방에 제공되는 사이드 메뉴를 통해 비서 인터페이스 화면(701)이 호출될 수도 있고, 비서 기능에 관한 공식 계정의 챗봇 기능을 통해 비서 인터페이스 화면(701)이 호출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7을 참조하면, 종합적인 비서 인터페이스는 비서 기능(예: 일정 관리 기능, 할 일 관리 기능 및 예약 메시지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들(710, 720 및 7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 인터페이싱 객체(710)를 선택하는 입력은 일정 관리 기능을 호출하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일정' 인터페이싱 객체(710)를 선택하는 입력에 의한 일정 관리 기능의 호출에 반응하여, 도 4a에 도시된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401)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일정' 인터페이싱 객체(710)를 선택하는 입력은 도 3에 도시된 브리핑 메시지에 포함된 제1 인터페이싱 객체(321)를 선택하는 입력과 동일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예로, '일정' 인터페이싱 객체(710)를 선택하는 입력에 의해 연결되는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는 일정 관리 기능이 호출된 날짜에 대응하는 일정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할 일' 인터페이싱 객체(720)를 선택하는 입력은 할 일 관리 기능을 호출하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할 일' 인터페이싱 객체(720)를 선택하는 입력에 의한 할 일 관리 기능의 호출에 반응하여, 도 5a에 도시된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501)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할 일' 인터페이싱 객체(720)를 선택하는 입력은 도 3에 도시된 브리핑 메시지에 포함된 제2 인터페이싱 객체(322)를 선택하는 입력과 동일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예로, '할 일' 인터페이싱 객체(720)를 선택하는 입력에 의해 연결되는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는 할 일 관리 기능이 호출된 날짜에 대응하는 할 일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예약 메시지' 인터페이싱 객체(730)를 선택하는 입력은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을 호출하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예약 메시지' 인터페이싱 객체(730)를 선택하는 입력에 의한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의 호출에 반응하여, 도 6a에 도시된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 화면(601)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예약 메시지' 인터페이싱 객체(730)를 선택하는 입력은 도 3에 도시된 브리핑 메시지에 포함된 제3 인터페이싱 객체(323)를 선택하는 입력과 동일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예로, '예약 메시지' 인터페이싱 객체(730)를 선택하는 입력에 의해 연결되는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는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이 호출된 날짜에 대응하는 예약 메시지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리핑 메시지에 대한 수신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화면(801)을 참조하면,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을 통해 단말에 브리핑 메시지에 대한 수신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이하, 설정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브리핑 메시지에 대한 수신 조건을 입력할 수 있으며, 단말은 입력된 수신 조건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인터페이스는 도 7의 화면(701)에 포함된 설정 요청을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740)를 선택하는 입력에 의해 호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설정 인터페이스는 브리핑 메시지 수신의 허용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8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위치(810)의 온/오프를 설정함으로써, 브리핑 메시지에 대한 수신의 허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설정 인터페이스는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이 허용되는 시간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이 허용되는 시간의 범위를 입력함으로써, 브리핑 메시지에 대한 수신이 허용되거나 허용되지 않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설정 인터페이스는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 조건 외 비서 인터페이스에 관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인터페이스는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에서 완료된 할 일의 목록을 표시할지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8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위치(820)의 온/오프를 설정함으로써,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에서 완료된 할 일의 목록을 표시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료된 할 일의 목록을 표시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도 5a의 화면(5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완료된 할 일 목록(520)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완료된 할 일의 목록을 표시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완료된 할 일 목록(520)의 표시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비서 인터페이스에 관한 조건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한된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는 도1을 통해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서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의 프로세서는 메시징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된 단말의 앱의 실행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단말의 비서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코드에서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동작 및 식별된 브리핑 대상의 개수를 알리기 위한 브리핑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메모리는 도 1을 통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도 1을 통해 상술한 방법의 수행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의 메모리는 도 1을 통해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서버를 제어할 수 있다. 서버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서버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단말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이 설치된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프로세서는 도 2를 통해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프로세서는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브리핑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수신된 브리핑 메시지를 통해 비서 기능을 호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여 등록된 레코드를 포함하는 비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메모리는 도 2를 통해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도 2를 통해 상술한 동작의 수행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의 메모리는 도 2를 통해 상술한 단말의 동작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단말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단말은 입출력 장치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입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 텍스트 입력 및/또는 음성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앱을 통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시징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된 단말의 상기 앱의 실행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비서 기능에 관한 브리핑 실행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비서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코드에서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브리핑 대상의 개수를 알리기 위한 브리핑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핑 실행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앱의 실행이 미리 정해진 기간 내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최초 실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핑 실행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브리핑 메시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 계정의 수신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 시간을 제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레코드에 포함된 시간 정보와 상기 브리핑 메시지가 전송되는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된 비서 기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레코드의 유형 별로 상기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서 기능은
    일정 관리 기능, 할 일 관리 기능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레코드는
    상기 일정 관리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일정에 관한 제1 유형의 레코드;
    상기 할 일 관리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할 일에 관한 제2 유형의 레코드;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예약 메시지에 관한 제3 유형의 레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핑 메시지는 다른 사용자 계정이 포함되지 않는 제1 유형의 채팅방 및 상기 비서 기능에 관한 공식 계정을 포함하는 제2 유형의 채팅방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서버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핑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브리핑 대상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메시지로 전송되기 위한 포맷의 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시징 서버에 상기 브리핑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10.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이 설치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앱의 실행에 기초하여, 상기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브리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브리핑 메시지를 통해 상기 비서 기능을 호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여 등록된 레코드를 포함하는 비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핑 메시지는
    비서 기능에 대응하여 등록된 레코드 중 특정 기간에 대응하는 레코드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다른 사용자 계정이 포함되지 않는 제1 유형의 채팅방 및 상기 비서 기능에 관한 공식 계정을 포함하는 제2 유형의 채팅방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브리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서 기능은
    일정 관리 기능, 할 일 관리 기능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레코드는
    상기 일정 관리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일정에 관한 제1 유형의 레코드;
    상기 할 일 관리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할 일에 관한 제2 유형의 레코드;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예약 메시지에 관한 제3 유형의 레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핑 메시지에 대한 수신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조건은
    상기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의 허용 여부; 및
    상기 브리핑 메시지의 수신이 허용되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된 레코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신규 레코드의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8.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메시징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된 단말의 상기 앱의 실행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비서 기능에 관한 브리핑 실행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비서 기능의 실행에 기초하여 생성된 레코드에서 브리핑 대상을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브리핑 대상의 개수를 알리기 위한 브리핑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서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브리핑 실행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상기 앱의 실행이 미리 정해진 기간 내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최초 실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
  20.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앱이 설치된 단말에 있어서,
    상기 앱의 실행에 기초하여, 상기 앱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브리핑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브리핑 메시지를 통해 상기 비서 기능을 호출하는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여 등록된 레코드를 포함하는 비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단말.

KR1020220059846A 2022-05-16 2022-05-16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230160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846A KR20230160139A (ko) 2022-05-16 2022-05-16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23081062A JP2023169137A (ja) 2022-05-16 2023-05-16 メッセージングサービス方法及び装置
US18/318,629 US20230370404A1 (en) 2022-05-16 2023-05-16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846A KR20230160139A (ko) 2022-05-16 2022-05-16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139A true KR20230160139A (ko) 2023-11-23

Family

ID=8869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846A KR20230160139A (ko) 2022-05-16 2022-05-16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70404A1 (ko)
JP (1) JP2023169137A (ko)
KR (1) KR20230160139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69137A (ja) 2023-11-29
US20230370404A1 (en)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8967B1 (ko)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대화방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76162B1 (ko) 업무객체 처리 장치 및 방법
US11521140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work object and method performing the same
CN108370323A (zh) 经由网络进行的会议
US117849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chat with non-native chat platforms
US20150142895A1 (en) Real Life Presence and Dynamic Meeting Scheduling
US20200186372A1 (en) Attendance Configu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US2023035133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20351148A1 (en) Productivity entity containers and unified view interface for different productivity entity types
US20210021556A1 (en) Apparatus of processing dialog based message object and method thereof
JP6403778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情報消費ギャップの解決
US20140278677A1 (en) Enhanced scheduling based on the availabilty of sub-environments in an event environment
US20220147941A1 (en) Apparatus of processing dialog based message object and method thereof
KR20230160139A (ko)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180260791A1 (en) Social application for organizing gatherings
KR20180113480A (ko) 업무객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30160137A (ko)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230160138A (ko)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660571B1 (ko) 업무 대화방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624933B1 (ko) 업무일정 리마인더 장치
US11088969B1 (en) Calendar based auto-reply messages
US11916862B1 (en) Mentions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mention identifiers
US20240154927A1 (en) Smart events framework
KR20230160142A (ko) 할 일 목록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10131960A (ko) 업무 관리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