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2887A - chair - Google Patents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2887A
KR20230142887A KR1020220041494A KR20220041494A KR20230142887A KR 20230142887 A KR20230142887 A KR 20230142887A KR 1020220041494 A KR1020220041494 A KR 1020220041494A KR 20220041494 A KR20220041494 A KR 20220041494A KR 20230142887 A KR20230142887 A KR 20230142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main body
support bar
bar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욱
김건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퍼스
Priority to KR1020220041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2887A/en
Publication of KR20230142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88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4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 A47C3/045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with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2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shell-shape seat and back-rest unit, e.g. having arm 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다리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본체부를 전방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전후 의자를 겹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다리부가 본체부의 전부와 후부를 모두 지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착석시에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여줄 수 있는 의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판과 등받이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리부와, 상기 좌판의 하면 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리부의 전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more specifically, the main bod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eg portion on which the user sits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front so that the front and rear chairs can overlap and the leg portion supports both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portion. This relates to a chair that can increase durability by ensuring that the load is evenly distributed when the user sits.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ain body consisting of a seat and a backrest, a leg part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a coupling member installed on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ea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entire leg part.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Description

의자{chair}chair{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다리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본체부를 전방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전후 의자를 겹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다리부가 본체부의 전부와 후부를 모두 지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착석시에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여줄 수 있는 의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more specifically, the main bod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eg portion on which the user sits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front so that the front and rear chairs can overlap and the leg portion supports both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portion. This relates to a chair that can increase durability by ensuring that the load is evenly distributed when the user sits.

일반적으로, 의자는 가정이나 사무실, 학교, 학원, 도서관, 각종 공공기관 등을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서 책상이나 테이블을 이용하여 업무 및 공부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착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In general, chairs are provided to enable people to maintain a seated state while performing work or study using a desk or table in various places, including homes, offices, schools, academies, libraries, and various public institutions.

상기 의자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의 후측에 등받이가 형성된 본체부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좌판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설치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받침다리가 구비되어 구성된다.The chair has a main body with a backrest formed on the rear of a seat on which the user sits, and a plurality of support legs ar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seat is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상기 의자는 해당 의자를 이용하는 사용자나 해당 의자가 사용되는 장소 또는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 재질 등으로 제작되어 유통되고 있다.The chairs are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in various sizes, shapes, and materials depending on the user using the chair, the place or purpose for which the chair is used, etc.

그러나, 종래의 의자는 그 특성상 많은 부피를 차지하게 되며, 일부 부품을 조립 가능한 형태로 구현한 경우라도 보관 및 운반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However, due to its nature, conventional chairs take up a lot of volume, and even when some parts are implemented in an assembleable form, there is a problem of low storage and transportation efficiency.

한편, 학교 강당이나 체육관, 각종 행사장, 대규모의 회의실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참석하는 장소에서는 사용자의 인원에 맞춰 다수 개의 의자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다수 개의 의자를 보관하거나 운반하는데 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On the other hand, places where many people attend, such as school auditoriums, gyms, various event halls, and large conference rooms, require multiple chairs to match the number of users, and in such cases, it is difficult to store or transport multiple chairs. do.

즉, 종래의 의자는 그 구조상 다량의 의자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수직으로 적층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의자를 수직으로 적층하는데 있어서는 필연적으로 많은 노동력 및 시간이 소요됨과 아울러, 적층 높이도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In other words, due to the structure of conventional chairs, vertical stacking is mainly used to store a large number of chairs. As described above, vertically stacking multiple chairs inevitably requires a lot of labor and time, and in addition, A problem arose in that the stacking height was also very limited.

또한, 다량의 의자를 이동해야만 하는 경우에는 소량의 의자를 적층한 상태로 들어 옮기거나 각각의 의자를 별도로 이동시켜야만 하므로, 이동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In addition, when a large number of chairs must be moved, a small number of chairs must be lifted and moved in a stacked state or each chair must be moved separately, resulting in a problem in which the efficiency of movement is greatly reduced.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2057897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좌판(12) 및 등받이(14)가 일체로 형성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하측에 수평상태로 배치되는 수평바(40)와; 상기 본체부(10)의 하면에 평행을 이루도록 한 쌍이 고정 결합되며, 상기 수평바(40)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부재(60)와; 일정 길이의 봉부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전방 받침다리(20)와; 일정 길이의 봉부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후방 받침다리(30)와; 상기 수평바(40)의 양단에 각각 고정 결합됨과 아울러, 한 개씩의 전방 받침다리(20) 및 후방 받침다리(30)가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연결구(50)는 "┳" 형상의 관형태로 이루어지되, 일단에 상기 수평바(40)에 삽입 장착되는 전방 삽입돌기(54)가 일체로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후방 받침다리(30) 상단이 장착되는 결합돌기(52)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전방 받침다리(20)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상기 연결구를 관통하여 상기 전방 삽입돌기(54) 내주면에 삽입되는 후방 삽입돌기(2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So,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Patent No. 10-2057897 as shown in Figures 1 to 3 was proposed, the technical feature of which is that the seat plate 12 and the backrest 14 are formed as one piece. a main body (10); a horizontal bar 40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a pair of rotating members 60, one pair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be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rotatable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bar 40; A pair of front support legs (20) made of a rod member of a certain length; A pair of rear support legs (30) made of a rod member of a certain length;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connectors that are fixed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40) and on which one front support leg (20) and one rear support leg (30) are respectively mounted; The connector 50 is made in the form of a "┳" shaped tube, with a front insertion protrusion 54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bar 40 at one end integrally coupled with the rear support leg 30 at the bottom. The coupling protrusion 52 on which the upper part is mounted is formed by being integrally coupled; A rear insertion protrusion 22 that penetrates the connector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insertion protrusion 54 is formed to protrude at a point having a certain height of the front support leg 20.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2057897호에 기재된 기술은 좌판 및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본체부를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다수 개의 의자를 전.후 방향으로 상호 겹쳐 밀착시킨 상태로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수평바가 좌판의 전방 하부만을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좌판의 후부로 하중이 집중되어 좌판이 후방으로 휘어지거나 심한 경우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Patent No. 10-2057897 forms the main body of the chair, including the seat and backrest, into a rotatable structure so that multiple chairs can be efficiently stored in a state where they are overlapped and closely attached to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re is an advantag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orizontal bar is formed to support only the front lower part of the seat plate, so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rear of the seat plate, causing the seat plate to bend backwards or, in severe cases, be damaged.

또한, 좌판의 후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직접 전달되는 수평바 부분 역시 손상될 수 있어 내구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bar portion through which the load applied to the rear of the seat is directly transmitted may also be damaged, resulting in low durability.

한국등록특허 제10-2057897호(2019.12.16.등록)Korean Patent No. 10-2057897 (registered on December 16, 201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앉도록 형성되는 좌판과 등받이가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부는 다리부의 전방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다리부의 상부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부의 전부와 후부를 지지하는 전방 지지바와 후방 지지바 중, 후방 지지바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본체부를 상부로 회전시켜 의자를 전후로 겹쳐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판의 전부와 후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전방에 과도하게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in body unit in which a seat and backrest are formed as one piece for a user to sit on, and a leg unit that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unit. The part is hinged to the front upper part of the leg part, and among the front and rear support bars that form the upper part of the leg part and support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part, the height of the rear support bar is formed low and the main body part is rotated upward to make the chair. The goal is to provide a chair that can be stored by stacking it front and back, and also supports the front and back of the seat stably, preventing excessive load on the front and increasing durability.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부를 지지하는 다리부를 구성하는 전방 다리부의 간격이 후방 다리부의 간격보다 넓게 하여 의자를 용이하게 전후로 겹치도록 하며, 본체부의 전부와 후부를 지지하는 전방 지지바와 후방 지지바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좌판의 후부 하면에 후방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좌판을 수평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된 상태로 착석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spacing of the front leg parts, which constitute the leg parts supporting the main body part, wider than the spacing of the rear leg parts so that the chair can easily overlap front and rear, and the front support bar and rear support bar that support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part. A rear support member is installed on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seat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bar to maintain the seat horizontally, thereby providing a chair that allows the user to sit in a stable stat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se problems;

좌판과 등받이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리부와, 상기 좌판의 하면 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리부의 전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main body consisting of a seat and a backrest, a leg part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a coupling member installed on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ea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entire leg part.

여기서, 상기 다리부는 한 쌍의 전방 다리와, 한 쌍의 후방 다리와, 상기 전방 다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의 하면 전부를 지지하되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전방 지지봉과, 상기 후방 다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의 하면 후부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봉과, 상기 전방 다리의 상부와 후방 다리의 상부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leg portion includes a pair of front legs, a pair of rear legs, a front support bar installed on top of the front legs to support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and to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coupled, and an upper part of the rear leg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rear support bar installed to support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and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upper part of the front leg and the upper part of the rear leg,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연결바는 후부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방 지지봉은 상기 전방 지지봉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bar is form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rear, and the rear support bar is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front support bar.

여기서, 상기 좌판의 후부에는 상기 후방 지지봉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후방 지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후방 지지부재는 상기 좌판의 전부와 후부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rear support member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at plate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upper part of the rear support bar, and the rear support member is formed at a height that maintains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seat plate in a horizontal state.

이때, 상기 전방 다리의 간격은 상기 후방 다리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gap between the front legs is characterized by being wider than the gap between the rear legs.

한편,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좌판의 하면 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 지지봉의 상부가 삽입되는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전방 지지봉의 하부가 삽입되는 하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coupl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and consists of an upper member into which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upport bar is inserted, and a lower member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member into which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upport bar is inserted. .

여기서, 상기 하부부재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연결바가 삽입되는 제1 연결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바 수용홈의 깊이는 상기 본체부가 회전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first connection bar receiving grooves into which the connecting bar is inserte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epth of the first connecting bar receiving groove is formed at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main body portion is rotated. Do it as

그리고, 상기 전방 지지봉의 양측 하부에는 조절바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부재에는 상기 조절바가 삽입되도록 장공 형상의 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공은 상기 본체부가 회전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djustment bars are formed to protrude from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front support bar, and long adjustment 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member to allow the adjustment bars to be inserted, and the adjustment holes are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main body is rotate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상기 전방 지지봉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제1 댐퍼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좌판의 하면에는 제2 댐퍼 브라켓이 형성되며, 상기 좌판의 회전을 조절하는 댐퍼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댐퍼 브라켓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댐퍼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 댐퍼 브라켓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damper bracket is formed on the front support bar to protrude rearward, a second damper bracke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and one end of the damper that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seat plate is connected to the first damper bracket and a hinge. It is coupled, and the other end of the damp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damper bracket.

이때, 상기 하부부재에는 상기 제1 댐퍼 브라켓이 삽입되는 브라켓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수용홈의 깊이는 상기 본체부가 회전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bracket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first damper bracket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lower member, and the depth of the bracket receiving groove is formed at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main body portion is rotated.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앉도록 형성되는 좌판과 등받이가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부는 다리부의 전방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다리부의 상부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부의 전부와 후부를 지지하는 전방 지지바와 후방 지지바 중, 후방 지지바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본체부를 상부로 회전시켜 의자를 전후로 겹쳐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판의 전부와 후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전방에 과도하게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composed of a main body unit in which a seat plate and a backrest on which the user sits are integrally formed, and a leg unit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unit, wherein the main body unit is hinged to the front upper part of the leg unit, Among the front and rear support bars that form the upper part of the legs and support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the height of the rear support bar is formed low, so that the main body can be rotated upward to store the chair in an overlapping position front and back, as well as the entire seat plate. By stably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parts,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durability by preventing excessive load on the front.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부를 지지하는 다리부를 구성하는 전방 다리부의 간격이 후방 다리부의 간격보다 넓게 하여 의자를 용이하게 전후로 겹치도록 하며, 본체부의 전부와 후부를 지지하는 전방 지지바와 후방 지지바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좌판의 후부 하면에 후방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좌판을 수평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된 상태로 착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ing of the front leg portions constituting the leg portions supporting the main body portion is wider than the spacing of the rear leg portions so that the chair can easily overlap front and rear, and the height of the front support bar and rear support bar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main body portion is By installing a rear support member on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seat to correspond to the seat plate and maintaining the seat horizontal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sit in a stable state.

도 1은 종래의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의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의자의 전후방으로 겹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측면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결합부재와 전방 지지봉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본체부를 회전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hair.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hair.
Figure 3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chair in a front-to-rear overlapped stat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onceptual diagram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upling member and the front support bar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id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rotated stat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측면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결합부재와 전방 지지봉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본체부를 회전한 상태의 측면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onceptual view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coupling member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front support bar, and Figure 8 is a sid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rotated state.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110)과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120)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리부(200)와 상기 좌판(110)의 하면 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리부(200)의 전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재(30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as shown in FIGS. 4 to 8,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consisting of a seat 110 on which the user sits and a backrest 120 that supports the user's back, and the main body part. It consists of a leg portion 200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seat plate 100 and a coupling member 300 installed on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110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entire leg portion 200.

그래서, 상기 본체부(100)를 상기 결합부재(300)를 기준으로 회전시킨 상태로 전후의 의자를 서로 겹칠 수 있어 다수의 의자를 겹친 상태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front and rear chairs can overlap each other with the main body 100 rotated based on the coupling member 300, making it possible to store and transport multiple chairs in an overlapping state.

그리고, 상기 다리부(200)는 전방을 지탱하는 한 쌍의 전방 다리(210)와 후방을 지탱하는 한 쌍의 후방 다리(220)와 상기 전방 다리(210)와 후방 다리(220)의 상부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바(230)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leg portion 200 includes a pair of front legs 210 supporting the front, a pair of rear legs 220 supporting the rear, and upper portions of the front legs 210 and the rear legs 220. It consists of a connecting bar 230 that connects each.

여기서, 상기 전방 다리(210)의 상부에는 상기 좌판(110)의 하면 전부를 지지하는 전방 지지봉(240)이 설치되고, 상기 후방 다리(220)의 상부에는 상기 좌판(110)의 하면 후부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봉(250)이 설치된다.Here, a front support bar 24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leg 210 to support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110, an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leg 220, it supports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110. A rear support bar 250 is installed.

이때, 상기 연결바(230)는 후부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후방 지지봉(250)은 상기 전방 지지봉(210)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 다리의 간격(210)은 상기 후방 다리(220)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bar 230 is form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rear, and accordingly, the rear support bar 250 is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front support bar 210, and the gap 210 between the front legs is It is formed wider than the gap between the rear legs 220.

그래서, 상기 본체부(100)를 회전 시킨 상태로 전후 의자를 겹칠때, 전방에 위치하는 의자의 후방 다리(220)가 후방에 위치하는 의자의 전방 다리(110) 사이로 삽입되게 되며, 상기 연결바(230)가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전방 의자의 다리부(200)가 완전히 후방 의자의 다리부(200) 내측으로 밀착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front and rear chairs are overlapped with the main body 100 rotated, the rear legs 220 of the chair located in the front are inserted between the front legs 110 of the chair located in the rear, and the connecting bar Since 230 is form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rear, the leg portion 200 of the front chair can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ner leg portion 200 of the rear chair.

따라서, 의자를 전후로 밀착되도록 겹치게 할 수 있어 전체 부피를 상당량 줄여 주어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한다.Therefore, the chairs can be overlapped so that they are in close contact front and back,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overall volume and mak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easier.

또한, 상기 좌판(110)의 하면 전부에는 상기 결합부재(300)가 설치되어 상기 전방 지지봉(240)에 결합 지지되고, 상기 좌판(110)의 하면 후부에는 상기 후방 지지봉(250)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후방 지지부재(130)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300 is installed on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110 and is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front support bar 240, and is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support bar 250 on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110. A rear support member 130 is installed as much as possible.

이때, 상기 후방 지지부재(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지지봉(240)과 후방 지지봉(250)의 높이차 만큼 상기 결합부재(300)가 전방 지지봉(240)에 지지되는 높이 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좌판(110)의 전부와 후부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the rear support member 130 has a height at which the coupling member 300 is supported on the front support bar 240 by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support bar 240 and the rear support bar 250. By forming it longer,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seat plate 110 ar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본체부(100)를 회전시켜 겹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좌판(110)의 전부와 후부가 각각 전방 지지봉(240)과 후방 지지봉(250)에 지지되어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어 내구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좌판(110)이 수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된 상태로 의자에 앉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aking it possible to overlap by rotating the main body 100, the front and rear of the seat 110 are supported by the front support bar 240 and the rear support bar 250, respectively, so that the load is maintained while the user is seated. Not only is it distributed evenly to increase durability, but the seat plate 110 is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allowing the user to sit on the chair in a stable state.

즉, 종래의 겹침이 가능한 의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40)에 의해 좌판(12)이 지지되기 때문에 수평바(40)에 하중이 집중됨으로써,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seat plate 12 is supported by the horizontal bar 40 in the conventional chair that can be overlapped as shown in FIG. 1,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horizontal bar 40 and can be easily damaged. .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의자를 전후로 겹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좌판(110)의 전부와 후부를 각각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전부와 후부로 분산시켜 줌으로써, 특정 부분에 과도하게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여주게 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not only is it possible to overlap the chairs front and rear, but it is also possible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of the seat plate 110, respectively, so that the load applied when the user is seated is distributed to the front and rear, thereby providing a specific This prevents excessive load from being concentrated on the part and increases durability.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좌판(110)의 하면 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 지지봉(240)의 상부가 삽입되는 상부부재(310)와 상기 상부부재(310)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전방 지지봉(240)의 하부가 삽입되는 하부부재(3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상부부재(310)의 하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전방 지지봉(240)의 상부가 삽입되는 상부 수용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부재(32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전방 지지봉(240)의 하부가 삽입되는 하부 수용홈(322)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300 is installed on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110 and is coupled to the upper member 310 into which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upport bar 240 is inserted and the lower part of the upper member 310. It consists of a lower member 320 into which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upport bar 240 is inserte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310 has an upper receiving groove 31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to which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upport bar 240 is inserted. A lower receiving groove 32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ember 3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to which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upport bar 240 is inserted.

여기서, 상기 하부부재(32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연결바(230)가 삽입되는 제1 연결바 수용홈(324)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32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연결바(230)의 상부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연결바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된다.Here, first connection bar receiving grooves 324 into which the connection bar 230 is inserted are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member 320, and the connection bar ( A second connection bar receiving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to which the upper part of 230) is inserted.

이때, 상기 제1 연결바 수용홈(324)은 상기 연결바(230)의 굵기 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제1 연결바 수용홈(324)의 깊이는 상기 본체부(100)가 회전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ng bar receiving groove 324 is formed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bar 230, and the depth of the first connecting bar receiving groove 324 corresponds to the angle at which the main body 100 is rotated. It is formed at a depth that becomes

그래서, 상기 다리부(200)를 구성하는 전방 지지봉(2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결합부재(300)가 본체부(100)와 같이 회전할 때, 상기 제1 연결바 수용홈(324)의 단부에 상기 연결바(230)가 지지됨으로써, 본체부(100)가 더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의자를 전후로 겹칠 때, 본체부(100)의 회전각도를 동일하게 하여 안정적으로 겹칠 수 있게 한다.Therefore, when the coupling member 300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support bar 240 constituting the leg portion 200 rotates together with the main body portion 100, the first connection bar receiving groove 324 By supporting the connecting bar 230 at the end of the chair, the main body 100 is prevented from rotating any more, so that when the chairs are overlapped front and back, the rotation angle of the main body 100 is the same, allowing stable overlap.

한편, 상기 전방 지지봉(240)의 길이방향 양측 하부에는 조절바(242)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부재(32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조절바(242)가 삽입되는 조절공(328)이 형성된다.Meanwhile, adjustment bars 242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t the lower portions of both longitudinal sides of the front support bar 240, and adjustment holes 328 into which the adjustment bars 242 are inserted are formed on both longitudinal sides of the lower member 320. ) is formed.

여기서, 상기 조절공(328)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00)가 회전할 때, 상기 조절바(242)가 조절공(328)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조절공(328)은 전술한 제1 연결바 수용홈(324)과 같이 상기 본체부(100)가 회전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Here, the adjustment hole 328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so that when the main body 100 rotates, the adjustment bar 242 moves along the adjustment hole 328, and the adjustment hole 328 is as described above. Like the first connection bar receiving groove 324, it is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main body 100 is rotated.

그래서, 상기 본체부(100)가 화전할 때, 상기 조절바(242)가 상기 조절공(328)의 단부와 접하도록 하여 본체부(100)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상기 제1 연결바 수용홈(324) 및 연결바(230)와 같이 본체부(100)가 회전된 상태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가해지는 힘을 제1 연결바 수용홈(324) 및 조절공(328)으로 분산하게 되어 결합부재(3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main body 100 rotates, the adjustment bar 24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adjustment hole 328 to prevent the main body 100 from rotating excessively. By supporting the main body 100 in a rotated state, such as the connecting bar receiving groove 324 and the connecting bar 230, even if an external force acts, the applied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bar receiving groove 324 and the adjustment hole ( 328) to prevent damage to the coupling member 300.

이때, 상기 조절바(242)의 외측에는 아세탈리브(부호 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조절공(328)과의 마찰을 줄여주어 회전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게 한다.At this time, acetalib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adjustment bar 242 to reduce friction with the adjustment hole 328 and prevent noise generated during rotation.

그리고, 상기 전방 지지봉(240)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제1 댐퍼 브라켓(244)이 형성되고, 상기 좌판(110)의 하면에는 제2 댐퍼 브라켓(112)이 형성되는데, 상기 좌판(110)의 회전을 조절하는 댐퍼(26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댐퍼 브라켓(244)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댐퍼(260)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 댐퍼 브라켓(112)과 연결된다.In addition, a first damper bracket 244 is formed on the front support bar 240 to protrude rearward, and a second damper bracket 11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110, and the rotation of the seat plate 110 One end of the damper 260 that adjusts is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damper bracket 244, and the other end of the damper 260 is connected to the second damper bracket 112.

여기서, 상기 하부부재(320)에는 상기 제1 댐퍼 브라켓(244)이 삽입되는 브라켓 수용홈(326)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수용홈(326)의 깊이는 상기 본체부(100)가 회전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된다.Here, a bracket receiving groove 326 into which the first damper bracket 244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lower member 320, and the depth of the bracket receiving groove 326 is determined by the angle at which the main body 100 is rotated. It is formed at a depth corresponding to .

그래서, 상기 댐퍼(260)는 상기 본체부(100)가 회전할 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본체부(100)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도 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한다.Therefore, the damper 260 maintains the rotated state when the main body 100 rotates and maintains it stably even when the main body 10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00)가 회전할 때, 상기 제1 댐퍼 브라켓(244)이 상기 브라켓 수용홈(326)의 내측 단부에 접하여 외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질 때, 부하를 분산시켜 줌으로써, 상기 결합부재(300)의 내구성을 높여주게 된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in body 100 rotates, the first damper bracket 24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end of the bracket receiving groove 326 and distributes the loa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is increases the durability of the coupling member 30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scop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above.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다리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본체부를 전방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전후 의자를 겹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다리부가 본체부의 전부와 후부를 모두 지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착석시에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여줄 수 있는 의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more specifically, the main bod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eg portion on which the user sits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front so that the front and rear chairs can overlap and the leg portion supports both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portion. This relates to a chair that can increase durability by ensuring that the load is evenly distributed when the user sits.

100 : 본체부 110 : 좌판
120 : 등받이 200 : 다리부
210 : 전방 다리 220 : 후방 다리
230 : 연결바 240 : 전방 지지봉
250 : 후방 지지봉 260 : 댐퍼
300 : 결합부재 310 : 상부부재
320 : 하부부재
100: main body 110: seat plate
120: backrest 200: leg portion
210: front leg 220: rear leg
230: connecting bar 240: front support bar
250: rear support bar 260: damper
300: Coupling member 310: Upper member
320: lower member

Claims (10)

좌판과 등받이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리부와,
상기 좌판의 하면 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리부의 전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A main body consisting of a seat and backrest,
A leg portion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ortion,
A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oupling member installed on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ea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entire le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한 쌍의 전방 다리와,
한 쌍의 후방 다리와,
상기 전방 다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의 하면 전부를 지지하되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전방 지지봉과,
상기 후방 다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의 하면 후부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봉과,
상기 전방 다리의 상부와 후방 다리의 상부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eg portion includes a pair of front legs,
a pair of rear legs,
a front support ba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leg to support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and to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coupled;
a rear support ba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leg to support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A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upper part of the front leg and the upper part of the rear le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후부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방 지지봉은 상기 전방 지지봉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nnection bar is form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rear,
A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support bar is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front support ba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후부에는 상기 후방 지지봉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후방 지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후방 지지부재는 상기 좌판의 전부와 후부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According to paragraph 3,
A rear support member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at plate to be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support bar,
A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support member is formed at a height that maintains the front and rear of the seat plate in a horizontal s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다리의 간격은 상기 후방 다리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According to paragraph 2,
A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between the front legs is wider than the gap between the rear leg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좌판의 하면 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 지지봉의 상부가 삽입되는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전방 지지봉의 하부가 삽입되는 하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upling member includes an upper member installed on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into which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upport bar is inserted,
A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lower member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member and into which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upport bar is inser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연결바가 삽입되는 제1 연결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바 수용홈의 깊이는 상기 본체부가 회전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According to clause 6,
A first connecting bar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connecting bar is inserted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th of the first connecting bar receiving groove is formed at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main body portion is rota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봉의 양측 하부에는 조절바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부재에는 상기 조절바가 삽입되도록 장공 형상의 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공은 상기 본체부가 회전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In clause 7,
Adjustment bars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front support bar,
A long adjustment hole is formed in the lower member to allow the adjustment bar to be inserted,
The chai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ustment hole is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main body portion is rota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봉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제1 댐퍼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좌판의 하면에는 제2 댐퍼 브라켓이 형성되며,
상기 좌판의 회전을 조절하는 댐퍼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댐퍼 브라켓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댐퍼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 댐퍼 브라켓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According to clause 6,
A first damper bracket is formed on the front support bar to protrude rearward,
A second damper bracke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A chair,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damper that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seat plate is hinged to the first damper bracket, and the other end of the damp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damper bracke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에는 상기 제1 댐퍼 브라켓이 삽입되는 브라켓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수용홈의 깊이는 상기 본체부가 회전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According to clause 9,
A bracket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first damper bracket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lower member,
A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th of the bracket receiving groove is formed at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main body portion is rotated.
KR1020220041494A 2022-04-04 2022-04-04 chair KR202301428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494A KR20230142887A (en) 2022-04-04 2022-04-04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494A KR20230142887A (en) 2022-04-04 2022-04-04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887A true KR20230142887A (en) 2023-10-11

Family

ID=8829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494A KR20230142887A (en) 2022-04-04 2022-04-04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288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897B1 (en) 2019-07-19 2019-12-20 주식회사 듀오백 Assembly type chai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897B1 (en) 2019-07-19 2019-12-20 주식회사 듀오백 Assembly type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7714B2 (en) Stacking and nesting chair
US7794016B1 (en) Nestable and stackable chair
US3536356A (en) Folding combination table and chair unit
US11647839B2 (en) Rotating work surface system for a chair
KR20230142887A (en) chair
US11486431B2 (en) Assembly-type chair
KR100809099B1 (en) Desk
US6186591B1 (en) Table with self-adjusting midframe support
US3535000A (en) Cantilevered furniture and joints therefor
KR100851533B1 (en) Desk with a chair
CN209769736U (en) Tea table mounted on armrest of chair
JPS6130564B2 (en)
JP2009131357A (en) Chair
KR20180027097A (en) Multifunctional furniture
JP7119316B2 (en) table
CN218683115U (en) Combined leisure chair
KR200386246Y1 (en) Desk
KR102044861B1 (en) A chair
US5395156A (en) Adjustable storage table
JP7343292B2 (en) Fixture system and fixtures with top plate
KR200327839Y1 (en) Chair
JP6854956B1 (en) Platform structure
KR200379700Y1 (en) a chair
JP2001269227A (en) Desk-structured body
JPS5840917Y2 (en) Stacking chair with luggage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