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184A - A smartphone case that can measure body temperature - Google Patents

A smartphone case that can measure body tempera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184A
KR20230141184A KR1020220040436A KR20220040436A KR20230141184A KR 20230141184 A KR20230141184 A KR 20230141184A KR 1020220040436 A KR1020220040436 A KR 1020220040436A KR 20220040436 A KR20220040436 A KR 20220040436A KR 20230141184 A KR20230141184 A KR 20230141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martphone
user
cas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도운
이지운
Original Assignee
이도운
이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운, 이지운 filed Critical 이도운
Priority to KR1020220040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1184A/en
Publication of KR20230141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184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화 시 얼굴 일면에 접촉할 때,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의 외면에 결합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생체 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생체 신호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센서부, 데이터 저장부 및 전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measuring the user's body temperature when the user touches one side of the face during a call, comprising a case par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martphone, and a case part coupled to the case part. , a sensor unit that measures the user's bio-signal information, a dat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bio-sign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bio-sig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to the smartphone, and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data storage unit, and transmission unit.

Description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A smartphone case that can measure body temperature}A smartphone case that can measure body temperature}

본 발명은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통화 시 얼굴 일면에 접촉할 때,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which can measure a user's body temperature when the user touches one side of the face during a call.

일반적으로, 건강 측정 장치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건강 측정 장치는 들고 다니기 불편하다. 특히, 여러 종류의 건강 측정 장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건강 측정 장치를 한꺼번에 들고 다녀야 하므로 불편하다.In general, health measurement devices are becoming widely available. These health measuring devices are inconvenient to carry. In particular, when several types of health measurement devices are needed, it is inconvenient to have to carry all the health measurement devices at the same tim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등록특허(10-1246726)는, 심전도, 맥박, 체지방, 체온, 산소 포화도등의 생체 신호와 온도/습도, 가스량, 광량 등의 환경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폰 케이스를 제시한다. 모바일 폰은 모바일 폰 보호 케이스를 통해 생체 신호 및 환경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생체 정보 및/또는 환경 정보로 산출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출력하거나, 산출된 정보를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원격 진료 시스템으로 전송한다.To solve this problem, the registered patent (10-1246726) includes a sensing module to detect biosignals such as electrocardiogram, pulse, body fat, body temperature, and oxygen saturation, and environmental signals such as temperature/humidity, amount of gas, and amount of light. We present a mobile phone case that The mobile phone detects biometric and environmental signals through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calculates the detected signals as biometric information and/or environmental information, outputs them visually or audibly to the user, or controls the calculated information by the user. It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medical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상기 등록특허(10-1553908)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건강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스마트폰 케이스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수집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해석 및 분석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U-Health(Ubiquitous Health)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건강상태 측정 및 관리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The registered patent (10-1553908) installs a sensor to measure health status information in a smartphone case, and interprets the user's health status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sensor installed in the smartphone case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on the smartphone. and analysis, and provide the results to the user, presenting a health status measurement and management device that can build a U-Health (Ubiquitous Health) system that allows users to check and manage their health status anytime, anywhere. .

그러나, 등록특허(10-1246726, 10-1553908)는, 사용자 개인의 건강 특성상, 굳이 측정이 필요 없는 생체신호까지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과, 이들을 제어하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부와 전원부가 모두 설치된다.However, registered patents (10-1246726, 10-1553908) include sensors that can measure biological signals that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measured due to the health characteristics of the user, as well as a control unit and power supply unit to control them and supply power. It is installed.

이로 인해, 스마트폰 케이스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스마트폰 케이스의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었다.Because of thi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smartphone case became complicated and the price of the smartphone case became expensiv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 케이스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that can easily measure the user's body temperature by simply configuring the structure of the smartphone case. .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스마트폰의 외면에 결합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생체 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생체 신호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센서부, 데이터 저장부 및 전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uni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a smartphone, a sensor unit coupled to the case unit and measuring bio-signal information of the user, and bio-sign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ata storage unit that stores a data storage unit,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bio-sig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to the smartphon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the data storage unit, and the transmission unit. .

또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가 통화 시, 사용자의 귀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와, 상기 제1 온도 센서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or that is coupl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ear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user's ear when the user is on the phon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hand held by the us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과 연동되며, 상기 스마트폰에 통화 발생 시, 상기 센서부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linked to the smartphone and controls the sensor unit to operate when a call occurs on the smartphone.

또한,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되,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상기 센서부, 데이터 저장부, 전송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in the case unit, and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battery unit that receives and stores power from an external source and supplies power to the sensor unit, data storage unit, transmission unit, and control unit.

또한,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무선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harged wirelessly through a battery built into the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결합되는 케이스부에 센서부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할 때,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하여 기설정된 온도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보건기구에 자동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unit is installed in the case part coupled to the smartphone to measure the user's body temperature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nd transmits it to the smartphone application. If the temperature falls outside the preset temperature range, the sensor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health organization. This provides the effect of checking the user's temperature in real time.

또한, 센서부는 사용자의 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와, 사용자의 손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체온을 보다 정확하게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consists of a first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user's ears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user's hands, providing the effect of measuring the user's body temperature more accurately.

게다가, 제어부는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스마트폰에 전화가 울리거나, 통화중인 경우에 센서부를 작동하여 평소에 센서부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linked to the smartphone and operates the sensor unit when the phone rings or is on the phone, preventing the sensor unit from operating normally, thereby saving battery.

더불어, 케이스부에는 배터리부가 설치되며, 배터리부는 센서부, 데이터 저장부, 전송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부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무선 충전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battery part is installed in the case part, and the battery part supplies power to the sensor part, data storage part, transmission part, and control part. The battery part is wirelessly charged through the battery built into the smartphone, providing the effect of semi-permanent use.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Specific detail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tached below. Regardless of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of cours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elem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ㅋ스를 나타낸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1000)는 케이스부(100), 센서부(200), 데이터 저장부(300), 전송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smartphone case 1000 capable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part 100, a sensor part 200, a data storage part 300, a transmission part 400,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500.

먼저, 본 발명의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1000)는 스마트폰의 측면 및 후면을 보호하도록 감싸며, 사용자가 통화 시에 스마트폰이 귀에 접촉될 때, 사용자의 귀의 온도를 측정하고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스마트폰에 측정된 사용자의 체온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체온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First, the smartphone case 1000 capable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urrounds the side and rear of the smartphone to protect it, and when the smartphone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ear during a call, it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user's ear and connects the smartphone to the smartphone. It is about a technology that allows users to check their own body temperature by link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user's body temperature measured on a smartphone.

또한, 스마트폰에 전송된 사용자의 체온이 기설정된 온도범위(35 내지 37℃)를 벗어나는 경우, 스마트폰에서 보건기관 등에 체온 정보를 제공하여 보건기관에서 사용자의 몸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In addition, if the user's body temperatur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is outside the preset temperature range (35 to 37℃), the smartphone provide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to health institutions, etc. so that health institutions can identify abnormalities in the user's body. It is a technique that does.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100)는 스마트폰의 외면에 결합되며,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 및 마찰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연질 또는 경질의 물질로 형성된다.Here, the case portion 10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martphone and is made of a soft or hard material to protect the smartphone from physical shock and friction.

또한, 상기 케이스부(100)에는 상기 센서부(200), 데이터 저장부(300), 전송부(400) 및 제어부(500)가 설치되도록 각각의 설치 공간이 형성되며, 후술할 배터리부(600)가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된다.In addition, the case unit 100 is provided with installation spaces for the sensor unit 200, data storage unit 300, transmission unit 400, and control unit 500, and a battery unit 600 to be described later. ) is provided.

다음으로,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케이스부(100)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를 측정한다.Next, the sensor unit 200 is coupled to the case unit 100 and measures the user's biosignal information.

이때,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케이스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특히 스마트폰의 통화음이 발생되는 음량 발생원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nsor unit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unit 100, and is particularly preferably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ound volume source from which the smartphone call sound is generated.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의 상부에 통화음이 발생되는 음량 발생원이 배치되고, 하부에 통화음을 송신하는 음량 송신원이 배치되어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케이스부(100)의 상측에 배치된다.Typically, a volume generator for generating call sounds is placed at the top of the smartphone, and a volum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call sounds is placed at the bottom, and the sensor unit 200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unit 100.

한편, 스마트폰의 음량 발생원이 하부에 배치되는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케이스부(100) 제작 시, 센서부(200)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이 케이스부(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센서부(200)는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martphone in which the sound source of the smartphone is placed at the bottom, when manufacturing the case unit 100, the installation space where the sensor unit 200 is installed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unit 100 and the sensor unit ( 200) is preferably placed on the lower side.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200)는 사용자가 통화 시에 사용자가 음량 발생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수신음을 듣기 위해 스마트폰을 귀에 접촉할 때, 사용자의 귀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Accordingly, the sensor unit 200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user's ear when the user touches the smartphone to the ear to hear the received sound generated from the sound source during a call.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서부(200)는 사용자가 통화 시, 사용자의 귀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210)와, 상기 제1 온도 센서(210)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220)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200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or 210 that is coupl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ear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user's ear when the user makes a call, and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210. It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20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hand held by the user.

여기서, 상기 제1 온도 센서(210)는 사용자의 귀에 대응되도록 상기 케이스부(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귀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Here,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21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unit 100 to correspond to the user's ear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user's ear.

이때, 상기 제1 온도 센서(210)는 비접촉식 방식으로 사용자의 귀와 귀주변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210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user's ears and the surrounding area in a non-contact manner.

또한, 상기 제1 온도 센서(210)는 본체부(100)의 상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적외선, 자외선 또는 레이저 포인트를 방사하여 사용자의 피부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21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user's skin surface by emitting infrared, ultraviolet, or laser points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ears.

게다가, 상기 제1 온도 센서(21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 자외선 또는 레이저 포인트는 외면에 형성된 방향 조절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방사되는 방향 및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infrared, ultraviolet or laser point emitted from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210 can be changed through a direction control switch (not show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그리고 상기 제2 온도 센서(220)는 본체부(100)의 후면에 접촉되며, 접촉식 방식으로 사용자의 손의 온도를 측정한다.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2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user's hand in a contact manner.

이때, 상기 제2 온도 센서(220)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파지할 때, 접촉된 사용자의 손의 온도를 측정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20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user's hand that is in contact when the user holds the smartphone.

여기서, 상기 제1 온도 센서(210)와 제2 온도 센서(220)는 온도 계산 프로세서가 내장되어 있으며, 별도의 온도 계산 알고리즘이 없더라도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210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20 have a built-in temperature calculation processor, and can measure the user's body temperature even without a separate temperature calculation algorithm.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300)는 상기 센서부(200)에서 측정한 생체 신호 정보를 저장한다.Next, the data storage unit 300 stores bio-sign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200.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300)는 칩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온도 센서(210)와 제2 온도 센서(220)에서 각각 측정한 사용자의 체온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Here, the data storage unit 3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hip and installed in the case unit 100, and stores the user'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210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20, respectively. It will be saved.

이때, 상기 데이터 저장부(300)에 저장된 제1 온도 센서(210)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귀의 체온 정보와 상기 제2 온도 센서(220)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손의 체온 정보를 취합하여 하나의 체온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user's ear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210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00 and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user's hand measur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20 are collected to determine one body temperature. It can be stored as information.

여기서, 제1 온도 센서(210)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귀의 체온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손의 체온 정보에 가중치를 두어 사용자의 체온 정보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user'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can be set by weighting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user's hand based on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user's ear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210.

다음으로, 상기 전송부(400)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300)에 저장된 상기 생체 신호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Next, the transmission unit 400 transmits the biosig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00 to the smartphone.

여기서, 상기 전송부(400)와 스마트폰 간에 통신 연결되는 방식으로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며, 외부 서버 사이에서 페어링 또는/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다양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칭한다.Her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transmission unit 400 and the smartphone includes both wired and wireless networks, and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supports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or protocols for pairing or/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external servers. Commonly referred to as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는, 규격에 의해 현재 또는 향후 지원될 통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며, 그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모두 지원 가능하다.These wired/wireless networks include all communication networks that are currently or will be supported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standard, and can support one or more communication protocols for them.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에는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컴포넌트(Component), S-비디오(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GB, D-SUB와 같은 유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TE-A(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 Wi-Fi 다이렉트(direct)와 같은 무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se wired/wireless networks include, for example, USB (Universal Serial Bus),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Component, S-Video (analog),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Networks and communication standards or protocols for wired connections such as RGB and D-SUB,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and Zigbee (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LAN (Wireless 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TE -It can be formed by a network for wireless connection, such as 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 (A) or Wi-Fi Direct, and its communication standards or protocols.

이때, 상기 스마트폰은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메일(e-mail),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지원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martphone can support e-mail, web browsing, applications, etc. through these wired/wireless network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부(400)에서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생체 신호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되며, 사용자는 생체 신호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Preferably, the bio-sig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400 to the smartphone is provided as an application, and the user can check the bio-signal inform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센서부(200), 데이터 저장부(300) 및 전송부(400)의 작동을 제어한다.Next,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200, data storage unit 300, and transmission unit 400.

여기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케이스부(100)의 내면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200), 데이터 저장부(300) 및 전송부(400)와 연결되어 센서부(200)의 작동 및 데이터 저장부(300)에 저장된 생체 신호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전송부(400)의 작동을 제어한다.Here, the control unit 50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unit 100 and is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200, the data storage unit 300, and the transmission unit 400 to operate and operate the sensor unit 2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unit 400, which transmits the biosig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00 to the smartphone.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스마트폰과 연동되며, 상기 스마트폰에 통화 발생 시, 상기 센서부(200)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게 되는데, 특히, 상기 제1 온도 센서(21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00 is linked with the smartphone and controls the sensor unit 200 to operate when a call is made on the smartphone. In particular, 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210. It is desirable to do so.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통화를 거는 순간 또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전화가 걸려온 순간에 상기 제1 온도 센서(210)를 동작하도록 작동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귀에 접근할 때에만 작동하여 작동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And the control unit 500 operates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210 at the moment the user makes a call to another user using the smartphone or the moment a call is received from another user, so that the user approaches the smartphone to the ear. It only works when you do it, increasing operating efficiency.

그리고 본 발명의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1000)는 배터리부(600)가 설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martphone case 1000 capable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 battery unit 600.

상기 배터리부(600)는 상기 케이스부(100)에 설치되되,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상기 센서부(200), 데이터 저장부(300), 전송부(400) 및 제어부(5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The battery unit 600 is installed in the case unit 100,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source and stores it, and includes the sensor unit 200, data storage unit 300, transmission unit 400, and control unit 500. Power is supplied to.

여기서, 상기 배터리부(600)는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무선으로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attery unit 600 is preferably charged wirelessly through a battery built into the smartphone.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100)에는 상기 배터리부(600)가 설치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설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부(600)는 상기 센서부(200), 데이터 저장부(300), 전송부(400) 및 제어부(500)와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in the case part 100 to be recessed inward so that the battery part 600 can be installed, and the battery part 600 includes the sensor part 200, the data storage part 300, and the transmission unit. Each is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500.

그리고 상기 배터리부(600)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배터리에서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별도의 충전기 없이 스마트폰에 케이스부(100)가 결합될 경우,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attery unit 600 receives power wirelessly from the battery built into the smartphone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when the case unit 100 is coupled to the smartphone without a separate charg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1000)는 스마트폰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통화 시에 귀에 인접한 위치에 접근할 때,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측정한 체온 정보를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사용자의 현재 체온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martphone case 1000 capable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smartphone and measures the user's body temperature when the user approaches a location adjacent to the ear during a call, and transmits the measure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smart phone. It is transmitted to the phone application,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user's current body temperature in real time.

또한, 제어부(500)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보건기관 등 의료기관에 체온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센서부(200)에서 측정한 생체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정상 체온(35 내지 37℃)의 범위에서 벗어날 경우, 스마트폰에 알람이 발생하도록 알람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smartphone application to transmit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to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health institutions, and the biosign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200 is within the preset range of normal body temperature (35 to 37°C). You can also control the alarm function so that an alarm is generated on your smartphone if you deviate from it.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exis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00 :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100 : 케이스부
200 : 센서부
210 : 제1 온도 센서
220 : 제2 온도 센서
300 : 데이터 저장부
400 : 전송부
500 : 제어부
600 : 배터리부
1000: Smartphone case that can measure body temperature
100: Case part
200: sensor unit
210: first temperature sensor
220: second temperature sensor
300: data storage unit
400: Transmission unit
500: Control unit
600: Battery part

Claims (5)

스마트폰의 외면에 결합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생체 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생체 신호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센서부, 데이터 저장부 및 전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A case portion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martphone;
A sensor unit coupled to the case unit and measuring bio-signal information of the user;
a data storage unit that stores bio-sign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biosig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to the smartphone; and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data storage unit, and transmiss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통화 시, 사용자의 귀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와,
상기 제1 온도 센서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user makes a call, a first temperature sensor is coupl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ear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user's ear;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comprising a second temperature sensor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hand held by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과 연동되며, 상기 스마트폰에 통화 발생 시, 상기 센서부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which is linked to the smartphone and controls the sensor unit to operate when a call occurs on the smartph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되,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상기 센서부, 데이터 저장부, 전송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A smartphone capable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further comprising a battery unit installed in the case unit, receiving and storing power from an external source, and supplying power to the sensor unit, data storage unit, transmission unit, and control unit. cas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무선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4,
The battery unit,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wirelessly charged through a battery built into the smartphone.
KR1020220040436A 2022-03-31 2022-03-31 A smartphone case that can measure body temperature KR202301411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436A KR20230141184A (en) 2022-03-31 2022-03-31 A smartphone case that can measure body tempera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436A KR20230141184A (en) 2022-03-31 2022-03-31 A smartphone case that can measure body tempera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184A true KR20230141184A (en) 2023-10-10

Family

ID=88292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436A KR20230141184A (en) 2022-03-31 2022-03-31 A smartphone case that can measure body tempera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118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29554A1 (en) Modular wireless physiological parameter system
US20200245941A1 (en) Method, devices and systems for sensor with removable nodes
US20170155992A1 (en) Power Management for Wireless Earpieces
KR102548453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US20210321870A1 (en) Recover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hospitalized patient, and storage medium
US202300827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mbient energy powered physiological parameter monitoring
KR101869238B1 (en) Bio Information Sensing Device and Patient Management Method Using It
KR101759254B1 (en) Health car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lth care
KR20180127040A (en) Smart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CN202488528U (en) Real-time electrocardiogram monitoring cellphone
EP3369370B1 (en) Remote control and interaction with implanted devices
KR20230141184A (en) A smartphone case that can measure body temperature
KR102125055B1 (en) Glasses and computer programs to monitor the user's temporal muscle
WO2014087844A1 (en) Pulse oximetry system, and subsystem and communication conversion device for constructing said pulse oximetry system
WO2013165197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biological information supporting non-contact type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from same
KR20160045429A (en) Mobile measuring devices for animals
US2020014654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KR101956260B1 (en) Wearable device for underwa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213804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797439A (en) Preventing child from being scalded intelligent watch
US11026579B2 (en) Controlling derivation of a biometric characteristic of a subject
KR20180007947A (en)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device and system
KR20200115383A (en) Glasses and computer programs to monitor the user's temporal mus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