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901A - Method of manufacturing vinyl ethyele carbonate compounds, and a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manufacturing vinyl ethyele carbonate compounds, and a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901A
KR20230139901A KR1020220037390A KR20220037390A KR20230139901A KR 20230139901 A KR20230139901 A KR 20230139901A KR 1020220037390 A KR1020220037390 A KR 1020220037390A KR 20220037390 A KR20220037390 A KR 20220037390A KR 20230139901 A KR20230139901 A KR 20230139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
vinylethylene carbonate
reaction
vinylethylene
reaction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3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현아
최윤정
임광수
박종억
백용구
Original Assignee
한인정밀화학(주)
주식회사 테크늄
백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인정밀화학(주), 주식회사 테크늄, 백용구 filed Critical 한인정밀화학(주)
Priority to KR1020220037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901A/en
Publication of KR20230139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901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17/34Oxygen atoms
    • C07D317/40Vinylene carbonate; Substituted vinylene 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3,4-부텐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를 반응시킨 반응 혼합물에서 알코올을 제거한 후, 디알킬카보네이트를 추가로 첨가하고 재반응시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수득할 수 있다. 상술한 제조 방법은 반응 효율 및 수율이 우수할 수 있으며, 공정성 및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고순도의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포함하며, 우수한 성능 및 안정성을 갖는 리튬 이차전지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moving alcohol from the reaction mixture of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dialkyl carbonate is further added and reacted again to obtain vinylethylene carbonate.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can have excellent reaction efficiency and yield, and can improve process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Additionally, an electrolyt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high purity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provided by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electrolyt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having excellent performance and stability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METHOD OF MANUFACTURING VINYL ETHYELE CARBONATE COMPOUNDS, AND A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Method for producing vinyl ethylene carbonate,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same

본 발명은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전해질 첨가제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의 화합물을 사용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전해질 첨가제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vinylethylene carbonate, an electrolyt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an electrolyte additive prepared therefrom,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vinylethylene carbonate using a heterogeneous compound, an electrolyt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an electrolyte additive prepared therefrom,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same.

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액은 리튬염, 용매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용매로서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비수계 유기 전해액이 사용될 수 있다. 최근, 리튬 이차전지의 소형화 및 집적화가 요구됨에 따라, 높은 성능을 가지면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한 리튬 이차 전지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The electrolyte solution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include a lithium salt, a solvent, and additives, and a non-aqueous organic electrolyte solution using an organic solvent as a solvent may be used. Recently, as miniaturization and integration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required, research o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that have high performance and can provide stable power supply is being actively conducted.

리튬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해액은 이차전지의 충방전 거동에 의해 음극 및 양극과 반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해액이 소모되어 고갈되거나 음극 및 양극이 산화 및 변형되어 이차전지의 용량 및 수명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액은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가지며, 높은 안정성을 가질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각종 첨가제들이 전해액에 사용될 수 있다.The electrolyte used i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y react with the negative electrode and positive electrode due to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behavior of the secondary battery. In this case, the electrolyte is consumed and depleted or the negative electrode and positive electrode are oxidized and deformed, reducing the capacity and lifespan of the secondary battery. It can be. Therefore, the electrolyt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required to have high ionic conductivity and high stability, and for this purpose, various additives can be used in the electrolyte.

예를 들면,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은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의 막 형성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의 일 예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VEC)를 들 수 있다.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는 리튬 이차 전지에 적용되는 경우, 높은 반응 활성을 갖는 막 형성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는 C=C 이중 결합을 함유함에 따라, 고 비점 및 높은 유전율을 가질 수 있으며, 리튬 이차 전지의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For example, carbonate-based compounds can be used as film-forming additives in electrolyte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 example of a carbonate-based compound is vinylethylene carbonate (VEC). When applied to lithium secondary batteries,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used as a film-forming additive with high reaction activity. For example, as vinylethylene carbonate contains a C=C double bond, it can have a high boiling point and a high dielectric constant, and the electrochemical stability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그러나,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는 제조에 있어서 고비용 및 많은 공정 시간이 요구되며, 사용되는 원료 대비 낮은 수율을 제공할 수 있어, 경제성 및 공정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vinylethylene carbonate requires high costs and a long process time to manufacture, and can provide low yield compared to the raw materials used, resulting in low economic feasibility and processability.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6638호는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을 개시하고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86638 discloses an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ontaining a carbonate-based compound.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663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86638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고순도의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high purity vinylethylene carbonate.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상술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lyt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vinylethylene carbonate prepared by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상술한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electrolyt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은 3,4-부텐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예비 혼합물을 반응시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반응 혼합물에 대하여 재반응 단계를 수행하여 생성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 혼합물로부터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producing vinylethylene carbonat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reacting a premixture containing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to prepare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vinylethylene carbonate and alcohol, the reaction mixture It may include performing a re-reaction step to form a product mixture, and separating vinylethylene carbonate from the product mixture.

상기 재반응 단계는 상기 반응 혼합물로부터 알코올을 제거하는 제1 반응 단계, 상기 알코올이 제거된 반응 혼합물에 디알킬카보네이트를 투입하여 예비 생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 반응 단계, 및 상기 예비 생성 혼합물을 반응시켜 생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 반응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reaction step includes a first reaction step of removing alcohol from the reaction mixture, a second reaction step of preparing a preliminary product mixture by adding a dialkyl carbonate to the reaction mixture from which the alcohol has been removed, and reacting the preliminary product mixture. It may include a third reaction step of preparing a product mixtur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예비 혼합물 중 디알킬카보네이트의 함량은 상기 예비 혼합물에 포함된 3,4-부텐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내지 200중량부일 수 있다.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content of dialkyl carbonate in the premix may be 50 to 2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3,4-butenediol included in the premix.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는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및 에틸메틸카보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dialkyl carbona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im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and ethylmethyl carbonat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예비 혼합물은 염기성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premix may further include a basic catalyst.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촉매는 알칼리 금속 염기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basic catalyst may include an alkali metal base or an alkaline earth metal base.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예비 혼합물 중 염기성 촉매의 함량은 상기 예비 혼합물에 포함된 3,4-부텐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ent of the basic catalyst in the preliminary mixture may be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3,4-butenediol included in the preliminary mixtur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재반응 단계는 연속적으로 2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반응 단계, 상기 제2 반응 단계 및 상기 제3 반응 단계를 하나의 사이클(cycle)로 하여 2회 이상의 사이클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re-reaction step may be performed continuously two or more times. For example, the first reaction step, the second reaction step, and the third reaction step may be performed as one cycle and two or more cycles may be performed continuously.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응 단계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끓는점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reaction step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below the boiling point of vinylethylene carbonate.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응 단계에서 투입된 디알킬카보네이트의 함량은 상기 예비 혼합물에 포함된 3,4-부텐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내지 200중량부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amount of dialkyl carbonate added in the second reaction step may be 50 to 2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3,4-butenediol included in the preliminary mixtur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예비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예비 생성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는 각각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reacting the preliminary mixture and reacting the preliminary mixture may each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50°C to 100°C.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생성 혼합물로부터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분리하는 단계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끓는점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제1 분리단계, 및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끓는점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제2 분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step of separating vinylethylene carbonate from the product mixture includes a first separation step performed at a temperature below the boiling point of vinylethylene carbonate, and a second separation step performed at a temperature above the boiling point of vinylethylene carbonate. May include steps.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단계에 의해 상기 생성 혼합물로부터 알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가 제거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lcohol and dialkyl carbonate may be removed from the product mixture through the first separation step.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단계에 의해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가 수득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vinylethylene carbonate may be obtained through the second separation step.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Electrolyte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may include vinylethylene carbonate prepared by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상기 양극과 대향하여 배치된 음극, 및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을 함침시키는 상술한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Lithium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disposed opposite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above-described electrolyt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at impregnates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3,4-부텐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를 반응시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염기성 촉매의 존재 하에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단일 공정을 통해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vinylethylene carbonate compound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may be performed by reacting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In some embodiments, the production method may be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 basic catalyst. Therefore,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manufactured through a single process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es.

또한, 제조 공정 중 알코올을 제거하고 디메틸카보네이트를 재첨가하여 반응시키는 재반응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알코올에 의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분해를 억제하면서 3,4-부텐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의 반응이 촉진될 수 있다. 따라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로의 전환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고순도의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가 수득될 수 있다.Additionally,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 re-reaction step may be performed in which alcohol is removed and dimethyl carbonate is added again for reaction. In this case, the reaction of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can be promoted while suppressing the decomposition of vinylethylene carbonate by alcohol. Therefore, the conversion rate to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improved, and high purity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obtained.

또한, 상기 재반응 단계는 2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3,4-부텐디올의 반응률이 보다 개선될 수 있으며,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분해가 억제되어 공정의 수율 및 순도가 향상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reaction step may be performed two or more times. Therefore, the reaction rate of 3,4-butenediol can be further improved, and decomposition of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suppressed, thereby improving the yield and purity of the process.

또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생성 혼합물을 감압증류를 통해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하고 단일한 공정을 통하여 고순도의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수득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의 경제성 및 공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sulting mixture containing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separated and purified through reduced pressure distillation. Therefore, high purity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obtained through a simple and single process, and the economic efficiency and processabilit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excellent.

도 1 및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1 and 2 are schematic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ducing vinylethylene carbonat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Vinyl ethylene carbonate, VEC)의 제조 방법은 3,4-부텐디올(3,4-butenediol) 및 디알킬카보네이트(Dialkyl carbonate)를 반응시킨 반응 혼합물에서 알코올을 제거한 후, 디알킬카보네이트를 추가로 첨가하고 반응시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생산성, 수율 및 순도가 향상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vinyl ethylene carbonate (VEC)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pare alcohol in a reaction mixture of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After removing, it can be performed by additionally adding dialkyl carbonate and reacting. Accordingly, the productivity, yield, and purity of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improved.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the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the specifics.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vinyl ethylene carbonate>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1 is a schematic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vinylethylene carbonat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1을 참고하면, 3,4-부텐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를 혼합하여 예비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예를 들면, S10 단계). Referring to Figure 1, a preliminary mixture can be prepared by mixing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for example, step S10).

3,4-부텐디올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3,4-Butenediol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Formula 1]

이 후, 상기 예비 혼합물을 반응시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예를 들면, S20 단계). 예를 들면, 상기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및 알코올은 3,4-부텐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의 반응 생성물일 수 있다. Afterwards, the preliminary mixture can be reacted to prepare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vinylethylene carbonate and alcohol (for example, step S20). For example, the vinylethylene carbonate and alcohol may be reaction products of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dialkyl carbonate may have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For example, the dialkyl carbonate may include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화학식 2][Formula 2]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일 수 있다.In Formula 2, R 1 and R 2 may each independently be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예를 들면, 상기 S20 단계에서 하기 반응식 1로 도시된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For example, in step S20, the reaction shown in Scheme 1 below may proceed.

[반응식 1][Scheme 1]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는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디에틸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및 에틸메틸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3,4-부텐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의 반응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생산성 및 수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이로부터 형성된 알코올이 낮은 끓는점을 가짐에 따라, 증류 및 가열에 의해 알코올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dialkyl carbona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im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and ethyl methyl carbonate. In this case, the reactivity of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can be improved, and the productivity and yield of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increased. Additionally, since the alcohol formed therefrom has a low boiling point, the alcohol can be easily removed by distillation and heat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는 디메틸카보네이트일 수 있다.Preferably, the dialkyl carbonate may be dimethyl carbonat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예비 혼합물 중 디알킬카보네이트의 함량은 예비 혼합물에 포함된 3,4-부텐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내지 200중량부일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content of dialkyl carbonate in the premix may be 50 to 2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3,4-butenediol included in the premix.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의 함량이 3,4-부텐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미만인 경우, 3,4-부텐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의 반응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생산량이 감소할 수 있다.If the content of the dialkyl carbonate is less than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3,4-butenediol, the reactivity of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may decrease, and the production of vinylethylene carbonate may decrease. You can.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의 함량이 3,4-부텐디올 200중량부에 대하여 200중량부 초과인 경우, 반응에 참여하지 않고 잔존하는 디알킬카보네이트의 함량이 증가하여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순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의 경제성이 열화일 수 있다.If the content of the dialkyl carbonate is more than 200 parts by weight based on 200 parts by weight of 3,4-butenediol, the content of dialkyl carbonate remaining without participating in the reaction may increase, thereby lowering the purity of vinylethylene carbonate, The economic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may be deteriorated.

바람직하게는, 예비 혼합물 중 디알킬카보네이트의 함량은 예비 혼합물에 포함된 3,4-부텐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80중량부 내지 150중량부일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ent of dialkyl carbonate in the premix may be 80 to 1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3,4-butenediol contained in the premix.

상기 알코올은 3,4-부텐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부산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알킬카보네이트가 디메틸카보네이트인 경우,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methanol)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알킬카보네이트가 디에틸카보네이트인 경우,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ethanol)일 수 있다.The alcohol may be a by-product produced by the reaction of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For example, when the dialkyl carbonate is dimethyl carbonate, the alcohol may be methanol. For example, when the dialkyl carbonate is diethyl carbonate, the alcohol may be ethano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의 끓는점은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끓는점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조 공정에 있어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끓는점보다 낮은 끓는점을 갖는 알코올을 형성할 수 있는 디알킬카보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손실없이 저비점 물질인 알코올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iling point of the alcohol may be lower than the boiling point of vinylethylene carbonate. For example, a dialkyl carbonate that can form an alcohol with a boiling point lower than that of vinylethylene carbonate may be us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e, alcohol, a low boiling point substance, can be selectively removed without loss of vinylethylene carbonat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예비 혼합물은 염기성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응기 내에 3,4-부텐디올, 디알킬카보네이트 및 염기성 촉매를 투입하고 혼합시켜 예비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mix may further include a basic catalyst. For example, a preliminary mixture can be prepared by adding 3,4-butenediol, dialkyl carbonate, and a basic catalyst into a reactor and mixing the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촉매는 알칼리 금속 염기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기성 촉매는 알킬리 금속 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염기는 높은 활성도를 가지고 있어, 반응 속도 및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로의 전환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sic catalyst may include an alkali metal base or an alkaline earth metal base. Preferably, the basic catalyst may include an alkali metal base. Alkali metal bases have high activity, so the reaction rate and conversion rate to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improved.

예를 들면, 상기 염기성 촉매 NaOH, KOH, Na2CO3 및 K2CO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basic catalysts NaOH, KOH, Na 2 CO 3 and K 2 CO 3 .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예비 혼합물 중 염기성 촉매의 함량은 상기 예비 혼합물에 포함된 3,4-부텐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ent of the basic catalyst in the preliminary mixture may be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3,4-butenediol included in the preliminary mixture.

상기 염기성 촉매의 함량이 10중량부 초과인 경우, 부반응이 발생하여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수율이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과량의 염기성 촉매는 수분과 반응하여 수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염기로부터 생성된 수산화물은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와 반응하여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분해시킬 수 있다.If the content of the basic catalyst exceeds 10 parts by weight, a side reaction may occur and the yield of vinylethylene carbonate may decrease. For example, an excess of basic catalyst can react with moisture to form hydroxide, and the hydroxide produced from base can react with vinylethylene carbonate to decompose vinylethylene carbonate.

상기 염기성 촉매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3,4-부텐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의 반응 활성이 저하되어, 반응 속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수득율이 감소할 수 있다.If the content of the basic catalyst is less than 0.1 parts by weight, the reaction activity of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may be reduced, the reaction rate may be lowered, and the yield of vinylethylene carbonate may be reduc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비 혼합물 중 염기성 촉매의 함량은 상기 예비 혼합물에 포함된 3,4-부텐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8중량부일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ent of the basic catalyst in the preliminary mixture may be 1 to 8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3,4-butenediol contained in the preliminary mixtur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예비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는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3,4-부텐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의 반응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반응 속도가 우수할 수 있다. 따라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수율 및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reacting the premix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50°C to 100°C. Within the above range, the reactivity of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can be improved, and the reaction rate can be excellent. Therefore, the yield and productivity of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increa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비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는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tep of reacting the premix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70°C to 90°C.

상기 예비 혼합물의 반응 시간은 0.5시간 내지 2시간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반응 부산물인 알코올에 의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분해를 방지하면서, 3,4-부텐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의 정반응이 촉진될 수 있다.The reaction time of the premix may be 0.5 to 2 hours. Within the above range, the forward reaction of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can be promoted while preventing decomposition of vinylethylene carbonate by alcohol, a reaction by-product.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은 회분식 또는 연속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3,4-부텐디올, 디알킬카보네이트 및 염기성 촉매를 반응기에 투입한 뒤, 투입된 반응물들을 혼합하면서 가열하여 반응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기는 회분식 반응기(batch reactor), 연속식 반응기(continuous reactor) 또는 반회분식 반응기(semi-batch reactor)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기로서 회분식 반응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반응성 및 반응 속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로의 반응 전환율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for producing vinylethylene carbonate may be performed batchwise or continuously. For example, the 3,4-butenediol, dialkyl carbonate, and basic catalyst can be added to the reactor, and then the added reactants can be mixed and heated to react. The reactor may be a batch reactor, continuous reactor, or semi-batch reactor. Preferably, a batch reactor can be used as the reactor. In this case, reactivity and reaction speed can be improved, and the reaction conversion rate to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high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반응 혼합물에 대하여 재반응 단계를 수행하여 생성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예를 들면, S30 단계).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a product mixture may be prepared by performing a re-reaction step on the reaction mixture (eg, step S30).

상기 재반응 단계에 의해 반응 혼합물 내에서 알코올이 제거될 수 있으며, 3,4-부텐디올의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로의 반응 전환율이 증가할 수 있다.Through the re-reaction step, alcohol can be removed from the reaction mixture, and the reaction conversion rate of 3,4-butenediol to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increased.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중 재반응 단계(예를 들면, S30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flow chart showing a re-reaction step (eg, step S30) in the method for producing vinylethylene carbonat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2를 참조하면, 재반응 단계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알코올을 제거하는 제1 반응 단계(예를 들면, S31 단계), 상기 알코올이 제거된 반응 혼합물에 디알킬카보네이트를 투입하여 예비 생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 반응 단계(예를 들면, S32 단계), 및 상기 예비 생성 혼합물을 반응시켜 생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 반응 단계(예를 들면, S3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re-reaction step includes a first reaction step (e.g., step S31) of removing alcohol from the reaction mixture, and adding dialkyl carbonate to the reaction mixture from which the alcohol has been removed to prepare a preliminary product mixture. It may include a second reaction step (eg, step S32), and a third reaction step (eg, step S33) of reacting the preliminary product mixture to prepare a product mixture.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로부터 알코올을 제거하는 제1 반응 단계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끓는점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코올은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보다 낮은 끓는점을 가짐에 따라, 상기 제1 반응 단계에 의해 알코올이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reaction step of removing the alcohol from the reaction mixture can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below the boiling point of vinylethylene carbonate. For example, since alcohol has a lower boiling point than vinylethylene carbonate, alcohol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through the first reaction step.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끓는점"이란 어떠한 화합물에 있어서 해당 화합물의 증기압이 주변의 기압 혹은 압력과 평형이 되는 온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특정 단계에서 특정 화합물의 끓는점은 해당 화합물의 증기압이 해당 단계에서의 반응기의 기압 혹은 압력과 평형이 되는 온도일 수 있다.The term “boiling point” used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vapor pressure of the compound is in equilibrium with the surrounding atmospheric pressure or pressure. For example, the boiling point of a specific compound at a specific stage may be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vapor pressure of the compound is in equilibrium with the atmospheric pressure or pressure of the reactor at that stage.

따라서, 반응 혼합물 내에 알코올이 존재하지 않거나, 미량의 알코올만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알코올 및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간 역반응, 예를 들면, 알코올에 의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분해 반응이 억제될 수 있어,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순도 및 생산량이 증가할 수 있다.Therefore, no alcohol or only a trace amount of alcohol may be present in the reaction mixture. In this case, the reverse reaction between alcohol and vinylethylene carbonate, for example, the decomposition reaction of vinylethylene carbonate by alcohol can be suppressed, and the purity and production amount of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increased.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응 단계는 감압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압가열 증류 공정에 의해 반응 혼합물로부터 알코올이 제거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reaction step may be performed under reduced pressure conditions. For example, alcohol can be removed from the reaction mixture by a reduced pressure distillation proces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응 단계는 2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조건 내에서 반응 혼합물로부터 저비점 물질인 알코올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가 반응 혼합물로부터 함께 제거되거나 열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reaction step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20°C to 100°C. Within the above conditions, alcohol, a low-boiling substance, can be selectively removed from the reaction mixture, and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moved from the reaction mixture or thermally decompos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응 단계에 의해 반응 혼합물 내에 잔존하는 디알킬카보네이트가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는 저비점의 공비 혼합물(azeotropic mixture)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제1 반응 단계에 의해 알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가 함께 제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dialkyl carbonate remaining in the reaction mixture may be removed through the first reaction step. For example, since the alcohol and dialkyl carbonate form an azeotropic mixture with a low boiling point, the alcohol and dialkyl carbonate can be removed together through the first reaction step.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응 단계에서 투입된 디알킬카보네이트의 함량은 예비 혼합물에 포함된 3,4-부텐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내지 200중량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내지 150중량부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ent of dialkyl carbonate added in the second reaction step may be 50 to 200 parts by weight, preferably 8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3,4-butenediol contained in the preliminary mixture. It may be from 150 parts by weight to 150 parts by weight.

상기 범위 내에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로의 반응 전환율이 우수할 수 있으며, 얻어진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순도가 높아질 수 있다.Within the above range, the reaction conversion rate to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excellent, and the purity of the obtained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increased.

상기 제3 반응 단계에 의해 3,4-부텐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로부터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반응 단계의 반응 부산물로 알코올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Through the third reaction step,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formed from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In one embodiment, alcohol may be formed as a reaction by-product of the third reaction step.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예비 생성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제3 반응 단계는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hird reaction step of reacting the pre-produced mixture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50°C to 100°C, and preferably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70°C to 90°C.

상기 범위 내에서 3,4-부텐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의 반응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반응 속도가 우수할 수 있다. 따라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수율 및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다.Within the above range, the reactivity of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can be improved, and the reaction rate can be excellent. Therefore, the yield and productivity of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increased.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예비 생성 혼합물의 반응 시간은 0.5 시간 내지 2시간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reaction time of the pre-produced mixture may be 0.5 to 2 hour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재반응 단계는 2회 이상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re-reaction step may be performed repeatedly two or more times.

예를 들면, 상기 제1 반응 단계, 상기 제2 반응 단계 및 상기 제3 반응 단계를 하나의 사이클(cycle)로 하여 2회 이상의 사이클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이클의 제3 반응 단계에서 제조된 생성 혼합물은 이후 진행되는 제2 사이클의 제1 반응 단계에서 반응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reaction step, the second reaction step, and the third reaction step may be performed as one cycle, and two or more cycles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product mixture prepared in the third reaction step of the first cycle can be used as a reaction mixture in the first reaction step of the second cycle that proceeds thereafter.

3,4-부텐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의 반응 단계가 2회 이상 반복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3,4-부텐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의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로의 반응 전환률이 높아질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의 효율 및 수율이 높아질 수 있다.As the reaction step of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is repeatedly performed two or more times, the reaction conversion rate of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to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increased, and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increased. and yield can be increased.

또한,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재반응 단계에 의해 혼합물 내 알코올의 함량이 낮아질 수 있으며, 디알킬카보네이트의 함량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3,4-부텐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 간 정반응이 촉진될 수 있으며,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및 알코올 간 역반응이 억제되어 최종적으로 수득되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순도가 높아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of alcohol in the mixture may be lowered and the content of dialkyl carbonate may be increased by the repeatedly performed re-reaction step. Therefore, the forward reaction between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can be promoted, and the reverse reaction between vinylethylene carbonate and alcohol can be suppressed, thereby increasing the purity of vinylethylene carbonate finally obtained.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재반응 단계는 1회 내지 6회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반응 단계, 상기 제2 반응 단계 및 상기 제3 반응 단계를 하나의 사이클로 하여 1회 내지 6회의 사이클이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회의 사이클이 수행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re-reaction step may be performed 1 to 6 times, and preferably 2 times. For example, the first reaction step, the second reaction step, and the third reaction step may be performed as one cycle, and 1 to 6 cycles may be performed, and preferably, 2 cycles may be performed.

상기 범위 내에서 3,4-부텐디올의 반응 전환율 및 수득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순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공정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Within the above range, the reaction conversion rate of 3,4-butenediol and the purity of the obtained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improved, and process costs can be reduced.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생성 혼합물로부터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수득할 수 있다(예를 들면, S40 단계). Referring to FIG. 1,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obtained by selectively separating vinylethylene carbonate from the product mixture (for example, step S40).

예를 들면, 상기 생성 혼합물을 가열 및 증류하여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생성 혼합물의 가열 및 증류 단계는 단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separated by heating and distilling the resulting mixture. The heating and distillation steps of the product mixture may be performed stepwise.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생성 혼합물의 가열 및 증류는 생성 혼합물로부터 알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를 제거하는 제1 분리단계, 및 알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가 제거된 생성 혼합물로부터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수득하는 제2 분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heating and distillation of the product mixture includes a first separation step of removing alcohol and dialkyl carbonate from the product mixture, and a second step of obtaining vinylethylene carbonate from the product mixture from which the alcohol and dialkyl carbonate have been removed. 2 May include a separation step.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단계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끓는점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 혼합물 내에 잔존하는 알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가 제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eparation step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below the boiling point of vinylethylene carbonate. Accordingly, alcohol and dialkyl carbonate remaining in the resulting mixture can be removed.

예를 들면, 알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는 저비점 공비 혼합물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제1 분리단계에 의해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손실없이 알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만이 선택적으로 증류 및 제거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alcohol and dialkyl carbonate form a low-boiling azeotropic mixture, only the alcohol and dialkyl carbonate can be selectively distilled and removed without loss of vinylethylene carbonate through the first separation step.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단계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끓는점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분리단계가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끓는점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됨에 따라,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가 증발 및 추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eparation step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boiling point of vinylethylene carbonate. For example, as the second separation step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above the boiling point of vinylethylene carbonate, vinylethylene carbonate may be evaporated and extracted.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단계 및 상기 제2 분리단계는 감압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분리단계 및 상기 제2 분리단계는 감압가열 증류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separation step and the second separation step may be performed under reduced pressure conditions. For example, the first separation step and the second separation step may be performed by a reduced pressure heating distillation process.

이 경우, 생성 혼합물 내에 포함된 반응물 및 생성물들의 끓는점이 낮아질 수 있다. 알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의 제거 공정, 및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추출 공정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공정 시간 및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oiling points of reactants and products contained in the product mixture may be lowered. The removal process of alcohol and dialkyl carbonate, and the extraction process of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performed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d process time and efficiency can be improved.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단계 및 상기 제2 분리단계는 2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조건 내에서 생성 혼합물로부터 저비점 물질, 예를 들면, 물, 알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가 열분해 또는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separation step and the second separation step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20°C to 100°C. Within the above conditions, low-boiling substances such as water, alcohol, and dialkyl carbonate can be selectively removed from the resulting mixture, and vinylethylene carbonat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hermally decomposed or removed.

<리튬 이차전지><Lithium secondary battery>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이하, 전해질로 약칭될 수 있다)은 유기 용매, 리튬 염, 및 전해질 첨가제로서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수명, 출력 특성 및 고온 성능 향상을 위하여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ereinafter abbreviated as electrolyt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may include an organic solvent, a lithium salt, and vinylethylene carbonate prepared by the above-described production method as an electrolyte additive. The electrolyte for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further include other additives to improve lifespan, output characteristics, and high-temperature performance.

상기 유기 용매는 리튬 염, 3,4-부텐디올 및/또는 첨가제들에 대하여 충분한 용해도를 제공하며, 리튬 이차전지 내에서 반응성을 갖지 않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기 용매는 리튬 염에 대하여 약 0.5M 이상, 바람직하게는 2M 이상의 염 해리도를 가질 수 있다.The organic solvent provides sufficient solubility for lithium salt, 3,4-butenediol and/or additives, and may include an organic compound that is not reactive in a lithium secondary battery. For example, the organic solvent may have a salt dissociation degree of about 0.5M or more, preferably 2M or more, with respect to the lithium salt.

유기 용매의 리튬 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경우, 전해질의 점도가 상승하여 전지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리튬 염이 균일하게 용해되지 않고 염 형태로 잔류하여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잔류하는 리튬 염에 의하여 부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극의 탈리, 분극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If the solubility of the lithium salt in the organic solvent is low, the viscosity of the electrolyte may increase and battery performance may deteriorate. Additionally, the lithium salt may not dissolve uniformly and remain in salt form, thereby increasing resistance. In this case, side reactions may occur due to the remaining lithium salt, and detachment and polarization of the electrode may occu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유기 용매는 카보네이트계 용매, 에스테르계 용매, 에테르계 용매, 케톤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또는 비양성자성 용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organic solvent may include a carbonate-based solvent, an ester-based solvent, an ether-based solvent, a ketone-based solvent, an alcohol-based solvent, or an aprotic solvent.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카보네이트계 용매의 예로서, 디메틸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메틸프로필카보네이트, 에틸프로필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프로필카보네이트 등의 선형(liner) 카보네이트계 용매,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부틸렌 카보네이트, 펜틸렌 카보네이트, 비닐렌 카보네이트, 비닐에틸렌 카보네이트 등의 고리형(cyclic) 카보네이트계 용매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arbonate-based solvent include linear carbonate-based solvents such as dimethyl carbonate, ethylmethyl carbonate, methylpropyl carbonate, ethylprop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and dipropyl carbonate, propylene carbonate, ethylene carbonate, and fluoroethylene carbonate. , cyclic carbonate-based solvents such as butylene carbonate, pentylene carbonate, vinylene carbonate, and vinylethylene carbonate.

상기 에스테르계 용매의 예로서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1,1-디메틸에틸 아세테이트,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프로피오네이트, 감마-부티로락톤, 데카놀라이드, 발레로락톤, 메발로노락톤, 카프로락톤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ester solvent includ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n-propyl acetate, 1,1-dimethylethyl acetate, methyl propionate, ethyl propionate, gamma-butyrolactone, decanolide, valerolactone, Mevalonolactone, caprolactone, etc. can be mentioned.

상기 에테르계 유기 용매의 예로서 디부틸 에테르 (dibutyl ether),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tetra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TEGDME),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d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DEGDME), 디메톡시에탄(dimethoxy ethane), 2-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 (2-methyltetrahydrofuran),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ether-based organic solvent include dibutyl ether, tetra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TEGDME), d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DEGDME), and dimethoxy ethane. ), 2-methyltetrahydrofuran, tetrahydrofuran, etc.

상기 케톤계 용매의 예로서 시클로헥사논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코올계 용매의 예로서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An example of the ketone solvent may be cyclohexanone. Examples of the alcohol-based solvent include ethyl alcohol and isopropyl alcohol.

상기 비 양성자성 용매는 니트릴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등과 같은 등의 아미드계 용매, 1,3-디옥솔란 등의 디옥솔란계 용매, 설포란계 용매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protic solvent may include a nitrile-based solvent, an amide-based solvent such as dimethylformamide, a dioxolane-based solvent such as 1,3-dioxolane, and a sulfolane-based solv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용매로서 카보네이트계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기 용매는 선형 카보네이트게 용매 및 고리형 카보네이트계 용매의 혼합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a carbonate-based solvent may be used as the organic solvent. For example, the organic solvent may include a mixed solvent of a linear carbonate-based solvent and a cyclic carbonate-based solven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리튬 염은 Li+X- 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lithium salt may include a compound represented by Li +

상기 리튬 염의 음이온(X-)의 예로서 F-, Cl-, Br-, I-, NO3 -, N(CN)2 -, BF4 -, ClO4 -, PF6 -, SbF6 -, AsF6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 CF3CF2SO3 -, (CF3SO2)2N-, (FSO2)2N- ,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2 -, CH3CO2 -, SCN-, (CF3CF2SO2)2N- 또는 PO2F2 -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음이온은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이 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튬 염은 리튬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LiPF6)를 포함할 수 있다.Examples of anions (X - ) of the lithium salt include F - , Cl - , Br - , I - , NO 3 - , N(CN) 2 - , BF 4 - , ClO 4 - , PF 6 - , SbF 6 - , AsF 6 - , (CF 3 ) 2 PF 4 - , (CF 3 ) 3 PF 3 - , (CF 3 ) 4 PF 2 - , (CF 3 ) 5 PF - , (CF 3 ) 6 P - , CF 3 SO 3 - , CF 3 CF 2 SO 3 - , (CF 3 SO 2 ) 2 N - , (FSO 2 ) 2 N - , CF 3 CF 2 (CF 3 ) 2 CO - , (CF 3 SO 2 ) 2 CH - , (SF 5 ) 3 C - , (CF 3 SO 2 ) 3 C - , CF 3 (CF 2 ) 7 SO 3 - , CF 3 CO 2 - , CH 3 CO 2 - , SCN - , (CF 3 CF 2 SO 2 ) 2 N - or PO 2 F 2 - may be mentioned. The anion may be present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Preferably, the lithium salt may include lithium hexafluorophosphate (LiPF 6 ).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리튬 염은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해 약 0.5M 내지 2.0M, 바람직하게는 약 0.8M 내지 1.5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리튬 염의 농도가 0.5M 미만인 경우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가 감소하여 전기화학적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리튬 염의 농도가 2.0M을 초과하는 경우 전해질의 점도가 증가하여 리튬 이온의 이동성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리튬 이차전지의 충방전시 리튬 이온 및/또는 전자의 전달이 촉진되어 충반전 속도 및 용량이 향상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lithium salt may be included at a concentration of about 0.5M to 2.0M, preferably about 0.8M to 1.5M, relative to the organic solvent. If the concentration of lithium salt is less than 0.5M,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electrolyte may decrease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may deteriorate. If the concentration of lithium salt exceeds 2.0M, the viscosity of the electrolyte may increase and the mobility of lithium ions may decrease. Within the above range, the transfer of lithium ions and/or electrons can be promoted when charging and discharg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reby improving charging and discharging speed and capacity.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이 첨가제로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Vinylethylene carbonate)을 포함함에 따라 리튬 이차전지의 출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비가역적인 분해가 방지될 수 있어 리튬 이차전지의 수명 특성, 사이클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the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includes vinylethylene carbonate as an additive,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an be improved. Additionally, the electrochemical stability of the electrolyte can be improved and irreversible decomposition can be prevented, thereby improving the lifespan and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예를 들면,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는 상대적으로 낮은 환원 전위를 가지고 있어 전해질보다 우선하여 음극 표면 상에서 전기 화학 환원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흑연 음극의 표면 상에서 안정적이고 치밀한 구조를 갖는 고체 전해질 계면(SEI, Solid electrolyte interface)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vinylethylene carbonate has a relatively low reduction potential and can cause an electrochemical reduction reaction on the cathode surface ahead of the electrolyte. Therefore, a 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 having a stable and dense structure can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raphite cathode.

상기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함량은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총 중량 중 0.01 내지 1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전해액과 음극의 부반응에 의한 전해액 고갈, 가스 발생 및 충방전 용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리튬 이차 전지의 내구성 및 장기 수명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content of vinylethylene carbonate may be 0.01 to 10% by weight, preferably 0.01 to 5%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0.1 to 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electrolyt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in the above range, electrolyte depletion, gas generation, and charge/discharge capacity reduction due to side reactions between the electrolyte and the cathode can be prevented. Therefore, the durability and long-term life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고리형 카보네이트계 화합물, 설톤계 화합물, 고리형 설페이트계 화합물, 선형 설페이트계 화합물, 방향족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및/또는 리튬염계 화합물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electrolyte may further include additives such as cyclic carbonate-based compounds, sultone-based compounds, cyclic sulfate-based compounds, linear sulfate-based compounds, aromatic phosphate-based compounds, and/or lithium salt-based compounds. .

상기 첨가제는 전극의 표면에 안정적인 SEI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차전지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전해질의 누출 및 고갈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차전지의 저항이 감소할 수 있으며, 비가역 용량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The additive can form a stable SEI film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kept constant and electrolyte leakage and depletion can be prevented. In this case, the resist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reduced and an increase in irreversible capacity can be prevented.

상기 고리형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의 예로서 비닐렌 카보네이트(Vinylene carbonate),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Fluoroethylene carbonate)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로[3,2-b]퓨란-2,5-디온(Tetrahydrofuro[3,2-b]furan-2,5-dione)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cyclic carbonate-based compound include vinylene carbonate, fluoroethylene carbonate, or tetrahydrofuro[3,2-b]furan-2,5-dione. -b]furan-2,5-dione), etc.

상기 설톤계 화합물의 예로서 1,3-프로판 설톤(1,3-propane sultone), 1,3-프로펜-1,3-설톤(1,3-propene-1,3-sultone), 1,4-부탄 설톤(1,4-butane sultone)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sultone-based compounds include 1,3-propane sultone, 1,3-propene-1,3-sultone, 1, Examples include 4-butane sultone (1,4-butane sultone).

상기 고리형 설페이트계 화합물의 예로서, 에틸렌 설페이트(Ethylene sulfate), 1,3-프로판디올 사이클릭 설페이트(1,3-Propanediol cyclic sulfate), 4,4'-바이-1,3,2-디옥사티올란,2,2,2',2'-테트라옥사이드(4,4'-Bi-1,3,2-dioxathiolane, 2,2,2',2'-tetraoxide), 2,4,8,10-테트라옥사-3,9-디티아스피로[5,5]운데칸(2,4,8,10-Tetraoxa-3,9-dithiaspiro[5.5]undecane)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yclic sulfate-based compounds include ethylene sulfate, 1,3-propanediol cyclic sulfate, and 4,4'-bi-1,3,2-di. Oxathiolane, 2,2,2',2'-tetroxide (4,4'-Bi-1,3,2-dioxathiolane, 2,2,2',2'-tetroxide), 2,4,8, 10-Tetraoxa-3,9-dithiaspiro[5,5]undecane (2,4,8,10-Tetraoxa-3,9-dithiaspiro[5.5]undecane), etc.

상기 선형 설페이트계 화합물의 예로서 비스(트리에틸실릴)설페이트(bis(triethylsilyl) sulfate), 비스(트리메틸실릴)설페이트(bis(trimethylsilyl) sulfate), 트리메틸실릴 에텐설포네이트(trimethylsilyl ethenesulfonate), 트리에틸실릴 에텐설포네이트(triethylsilyl ethenesulfonate)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linear sulfate-based compounds include bis(triethylsilyl) sulfate, bis(trimethylsilyl) sulfate, trimethylsilyl ethenesulfonate, and triethylsilyl. Ethenesulfonate (triethylsilyl ethenesulfonate), etc. may be mentioned.

상기 방향족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의 예로서 비스페놀 A 비스(디페틸포스페이트)(Bisphenol A bis (diphenyl phosphate))를 들 수 있다. An example of the aromatic phosphate-based compound may be bisphenol A bis (diphenyl phosphate).

상기 리튬염계 화합물은 상기 전해질에 포함되는 리튬 염과 상이한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리튬 디플루오로포스페이트(lithium difluorophosphate),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Lithium-bis(oxalato)borate), 리튬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Lithium bis(fluorosulfonyl)imide), 리튬 디플루오로(옥살레이토)보레이트(Lithium Difluoro(oxalato)borate), 리튬 테트라플루오로 옥살레이트 포스페이트(Lithium tetrafluoro oxalate phosphate), 리튬 디플루오로 비스(옥살레이토) 포스페이트(Lithium difluoro bis(oxalato) phosphate) 등을 들 수 있다. The lithium salt-based compound is a compound different from the lithium salt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for example, lithium difluorophosphate, lithium-bis(oxalato)borate, lithium bis. (Lithium bis(fluorosulfonyl)imide), Lithium Difluoro(oxalato)borate, Lithium tetrafluoro oxalate phosphate, Lithium Lithium difluoro bis(oxalato) phosphate, etc. may be mentioned.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전해질 총 중량 중 0.1 내지 1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전극 표면에 형성되는 피막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고온 전지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10중량% 초과인 경우, 과량의 첨가제들이 전해질 내에 충분히 용해되지 못하고 석출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해질의 저항이 증가하여 이차 전지의 출력 특성 및 수명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additive may be 0.1 to 10% by weight, preferably 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lectrolyte. If the content of the additive is less than 0.1% by weight, the stability of the film formed on the electrode surface may decrease and high-temperature battery characteristics may deteriorate. If the content of the additive exceeds 10% by weight, the excess additives may not be sufficiently dissolved in the electrolyte and may exist in a precipitated state. In this case,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lyte may increase and the output characteristics and lif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y may deteriorate. there i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을 함침시키는 상술한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the above-described electrolyt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at impregnates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양극은 양극 활물질을 양극 집전체에 도포하여 형성한 양극 활물질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삽입 및 탈리할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formed by applying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o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include a compound capable of reversibly inserting and deintercalating lithium ion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전이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리튬-전이금속 산화물은 니켈(Ni)을 포함하며, 코발트(Co) 또는 망간(Mn)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include lithium-transition metal oxide. For example, the lithium-transition metal oxide includes nickel (Ni) and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cobalt (Co) or manganese (Mn).

상기 양극 활물질을 용매 내에서 양극용 바인더, 도전재 및/또는 분산재 등과 혼합 및 교반하여 슬러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에 코팅한 후, 압축 및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할 수 있다.A slurry can be prepared by mixing and stirring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ith a positive electrode binder, a conductive material, and/or a dispersant in a solvent. After coating the slurry on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he positive electrode can be manufactured by compressing and drying.

양극 집전체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 니켈, 알루미늄, 티탄,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include, for example, stainless steel, nickel, aluminum, titanium, copper, or an alloy thereof, and preferably includes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상기 양극용 바인더는, 예를 들면,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VDF-co-HF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등의 유기계 바인더,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러버(SBR) 등의 수계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와 같은 증점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The binder for the positive electrode is, for example, 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PVDF-co-HFP), polyvinylidenefluoride (PVDF), polyacrylonitrile, polymethyl It may include an organic binder such as methacrylate (polymethylmethacrylate) or an aqueous binder such as styrene-butadiene rubber (SBR), and may be used with a thickener such as carboxymethyl cellulose (CMC).

상기 도전재는 활물질 입자들 사이의 전자 이동을 촉진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전재는 흑연, 카본 블랙, 그래핀, 탄소 나노 튜브 등과 같은 탄소계열 도전재 및/또는 주석, 산화주석, 산화티타늄, LaSrCoO3, LaSrMnO3와 같은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물질 등을 포함하는 금속 계열 도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included to promote electron transfer between active material particles. For example,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a carbon-based conductive material such as graphite, carbon black, graphene, or carbon nanotubes, and/or a perovskite material such as tin, tin oxide, titanium oxide, LaSrCoO 3 , or LaSrMnO 3 It may include a metal-based conductive material including the like.

음극은 음극 집전체, 및 음극 활물질을 음극 집전체에 코팅하여 형성된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may include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formed by coat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음극 활물질로서 하드카본, 소프트 카본 등의 비정질 탄소, 천연 흑연, 인조 흑연 등의 결정질 탄소, 실리콘(Si) 계열 화합물,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로서 실리콘 카바이드(SiC), 또는 탄소 코어 및 실리콘 코팅층을 포함하는 실리콘-탄소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include amorphous carbon such as hard carbon and soft carbon, crystalline carbon such as natural graphite and artificial graphite, a silicon (Si)-based compound, lithium metal, or a lithium alloy. . In some embodiments, silicon carbide (SiC) or silicon-carbon particles including a carbon core and a silicon coating layer may be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음극 집전체는 예를 들면, 금, 스테인레스강, 니켈, 알루미늄, 티탄,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include, for example, gold, stainless steel, nickel, aluminum, titanium, copper, or an alloy thereof, and preferably includes copper or a copper alloy.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을 용매 내에서 바인더, 도전재 및/또는 분산재 등과 혼합 및 교반하여 슬러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에 코팅한 후, 압축 및 건조하여 음극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로서 상술한 물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a slurry may be prepared by mixing and stirr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ith a binder, a conductive material, and/or a dispersant in a solvent. After coating the slurry on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he negative electrode can be manufactured by compressing and drying. Materials that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material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as the conductive material.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극용 바인더로서 상술한 물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극용 바인더로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러버(SB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바인더와 함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와 같은 증점제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materials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material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as the binder for the negative electrode. For exampl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or styrene-butadiene rubber (SBR) can be used as a binder for the negative electrode. In some embodiments, a thickener such as carboxymethyl cellulose (CMC) may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binder.

양극 및 음극 사이에는 분리막이 개재될 수 있다. 분리막은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고융점의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으로 형성된 부직포를 포함할 수도 있다.A separato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The separator may include a porous polymer film made of polyolefin-based polymers such as ethylene homopolymer, propylene homopolymer, ethylene/butene copolymer, ethylene/hexene copolymer, and ethylene/methacrylate copolymer. The separator may include a non-woven fabric made of high melting point glass fib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etc.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양극, 음극 및 분리막에 의해 전극 셀이 정의되며, 복수의 전극 셀들이 적층되어 예를 들면, 젤리 롤(jelly roll) 형태의 전극 조립체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분리막의 권취(winding), 적층(lamination), 접음(folding) 등을 통해 상기 전극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an electrode cell is defined by an anode, a cathode, and a separator,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cells may be stacked to form an electrode assembly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jelly roll. For example,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formed through winding, lamination, folding, etc. of the separator.

상기 전극 조립체가 케이스 내에 상술한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과 함께 수용되어 리튬 이차 전지가 정의될 수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electrolyt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 a case to defin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각 전극 셀에 속한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로부터 각각 전극 탭이 형성되어 케이스의 일 측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극 탭들은 케이스의 상기 일측부와 함께 융착되어 케이스의 외부로 연장 또는 노출된 전극 리드를 형성할 수 있다. Electrode tabs may be forme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belonging to each electrode cell and extend to one side of the case. The electrode tabs may be fused together with the one side of the case to form an electrode lead that extends o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리튬 이차 전지는 예를 들면, 캔을 사용한 원통형, 각형, 파우치(pouch)형 또는 코인(coin)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Lithium secondary batteries can be manufactured, for example, in a cylindrical shape using a can, a square shape, a pouch shape, or a coin shape.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포함하는 실험예를 제시하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Hereinafter, experimental examples including specific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present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do not limit the scope and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and it is natural tha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patent claims.

실시예 및 비교예: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Preparation of vinylethylene carbonate

(1) 실시예 1(1) Example 1

1) 예비반응 단계: 3,4-부텐디올 100g, 디메틸카보네이트 100g 및 K2CO3 5g을 500mL 반응기에 투입한 후 혼합하여 예비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 후, 8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가열 환류 조건으로 예비 혼합물을 반응시켜 반응 용액을 얻었다. 1) Preliminary reaction step: 100 g of 3,4-butenediol, 100 g of dimethyl carbonate, and 5 g of K 2 CO 3 were added to a 500 mL reactor and mixed to prepare a preliminary mixture. Afterwards, the preliminary mixture was reacted under heating and reflux conditions at a temperature of 80°C for 1 hour to obtain a reaction solution.

2) 재반응 단계: 상기 반응 용액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진공증류하여 디메틸카보네이트와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이 후, 다시 디메틸카보네이트 100g을 투입하고, 8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여 반응시켜 생성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2) Reaction step: The reaction solution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vacuum distilled to remove dimethyl carbonate and methanol. Afterwards, 100 g of dimethyl carbonate was added again, and the mixture was reacted by heating and refluxing at a temperature of 80° C. for 1 hour to prepare a product mixture.

3) 수득 단계: 상기 생성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상온에서 감압증류하여 디메틸카보네이트 및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이 후 잔존 혼합물을 가열 감압증류하여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115g, 수득율 88.5%)를 수득하였다. 3) Obtaining steps: The resulting mixture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distilled under reduced pressure at room temperature to remove dimethyl carbonate and methanol. Afterwards, the remaining mixture was heated and distill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vinylethylene carbonate (115 g, yield 88.5%).

(2) 실시예 2(2) Example 2

상기 실시예 1에서 재반응 단계를 2회 반복하여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112g, 수득률 86.1%)를 수득하였다.Vinylethylene carbonate (112 g, yield 86.1%)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re-reaction step in Example 1 was repeated twice.

(3) 실시예 3(3) Example 3

상기 실시예 1에서 재반응 단계를 3회 반복하여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110g, 수득률 84.6%)를 수득하였다.Vinylethylene carbonate (110 g, yield 84.6%)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re-reaction step in Example 1 was repeated three times.

(4) 비교예 1(4) Comparative Example 1

3,4-부텐디올 100g, 디메틸카보네이트 100g 및 K2CO3 5g을 500mL 반응기에 투입한 후 혼합하여 예비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 후, 8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가열 환류 조건으로 예비 혼합물을 반응시켜 생성 혼합물을 얻었다. 100 g of 3,4-butenediol, 100 g of dimethyl carbonate, and 5 g of K 2 CO 3 were added to a 500 mL reactor and mixed to prepare a preliminary mixture. Afterwards, the premix was reacted under heating and reflux conditions at a temperature of 80°C for 1 hour to obtain a product mixture.

상기 생성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상온에서 감압증류하여 디메틸카보네이트 및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이 후 잔존 혼합물을 가열 감압 증류하여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118g, 수득율 90.7%)를 수득하였다.The resulting mixture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distilled under reduced pressure at room temperature to remove dimethyl carbonate and methanol. Afterwards, the remaining mixture was heated and distill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vinylethylene carbonate (118 g, yield 90.7%).

(5) 비교예 2(5) Comparative Example 2

3,4-부텐디올 100g, 디메틸카보네이트 1,000g 및 K2CO3 5g을 2L 반응기에 투입한 후 혼합하여 예비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 후, 8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가열 환류 조건으로 예비 혼합물을 반응시켜 생성 혼합물을 얻었다. 100 g of 3,4-butenediol, 1,000 g of dimethyl carbonate, and 5 g of K 2 CO 3 were added to a 2L reactor and mixed to prepare a preliminary mixture. Afterwards, the premix was reacted under heating and reflux conditions at a temperature of 80°C for 1 hour to obtain a product mixture.

상기 생성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상온에서 감압증류하여 디메틸카보네이트 및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이 후 잔존 혼합물을 가열 감압증류하여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120g, 수득율 92.3%)를 수득하였다.The resulting mixture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distilled under reduced pressure at room temperature to remove dimethyl carbonate and methanol. Afterwards, the remaining mixture was heated and distill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vinylethylene carbonate (120 g, yield 92.3%).

실험예: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순도 평가Experimental example: Purity evaluation of vinylethylene carbonate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GC)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VEC)의 순도를 측정하였다. The purity of vinylethylene carbonate (VEC) obtained in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using gas chromatography (GC).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순도는 수득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3,4-부텐디올 및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비를 측정한 후, 측정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비의 백분율로 계산하였다.The purity of vinylethylene carbonate wa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to measure the ratio of 3,4-butenediol and vinylethylene carbonate, and then calculated as a percentage of the measured vinylethylene carbonate ratio.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구분division GC 분석 결과GC analysis results VEC의
순도 (%)
VEC's
Purity (%)
3,4-부텐디올
비율
3,4-butenediol
ratio
VEC의
비율
VEC's
ratio
실시예 1Example 1 0.50.5 99.599.5 99.599.5 실시예 2Example 2 0.10.1 99.999.9 99.999.9 실시예 3Example 3 00 100100 100100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88 9292 9292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81.8 98.298.2 98.298.2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의 경우, 전체적으로 높은 순도의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가 수득되었다.Referring to Table 1, in the case of the method for producing vinylethylene carbonat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vinylethylene carbonate of overall high purity was obtained.

또한, 재반응 단계가 2회 이상 반복적으로 수행된 실시예 2 및 3의 경우, 수득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순도가 보다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Examples 2 and 3 in which the re-reaction step was repeatedly performed two or more time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urity of the obtained vinylethylene carbonate was further improved.

그러나, 재반응 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비교예들의 경우, 메탄올에 의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분해 반응이 일어남에 따라, 수득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순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in which the re-reaction step was not perform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urity of the obtained vinylethylene carbonate was low as the decomposition reaction of vinylethylene carbonate by methanol occurred.

실시예 1에 비해 디메틸카보네이트의 투입량을 10배로 증가시킨 비교예 2의 경우, 재반응 단계가 수행되지 않음에 따라 순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in which the amount of dimethyl carbonate was increased 10 times compared to Example 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urity is relatively low as the re-reaction step is not performed.

재반응 단계가 수행되는 경우, 적은 양의 디메틸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도 높은 순도 및 수율의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제조 공정의 경제성 및 공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It can be confirmed that when the re-reaction step is performed, vinylethylene carbonate of high purity and yield can be obtained even when a small amount of dimethyl carbonate is used. Therefore, the economic efficiency and processability of the vinylethylene carbonat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improved.

Claims (15)

3,4-부텐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예비 혼합물을 반응시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반응 혼합물로부터 알코올을 제거하는 제1 반응 단계;
상기 알코올이 제거된 반응 혼합물에 디알킬카보네이트를 투입하여 예비 생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 반응 단계;
상기 예비 생성 혼합물을 반응시켜 상기 생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 반응 단계; 및
상기 생성 혼합물로부터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반응 단계, 상기 제2 반응 단계 및 상기 제3 반응 단계를 하나의 사이클(cycle)로 하여 1회 이상의 사이클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Preparing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vinylethylene carbonate and alcohol by reacting a premixture containing 3,4-butenediol and dialkyl carbonate;
A first reaction step of removing alcohol from the reaction mixture;
A second reaction step of preparing a preliminary mixture by adding dialkyl carbonate to the reaction mixture from which the alcohol has been removed;
A third reaction step of reacting the preliminary product mixture to prepare the product mixture; and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ing vinylethylene carbonate from the product mixture,
A method for producing vinylethylene carbonate, wherein the first reaction step, the second reaction step, and the third reaction step are performed as one cycle and one or more cycles are performed continuous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비 혼합물 중 디알킬카보네이트의 함량은 상기 예비 혼합물에 포함된 3,4-부텐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내지 200중량부인,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ent of dialkyl carbonate in the premix is 50 to 2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3,4-butenediol contained in the premix.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는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및 에틸메틸카보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producing vinylethylene carbon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alkyl carbonate includes at least one of dim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and ethylmethyl carbon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비 혼합물은 염기성 촉매를 더 포함하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producing vinylethylene carbon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mix further includes a basic catalys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촉매는 알칼리 금속 염기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기를 포함하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asic catalyst includes an alkali metal base or an alkaline earth metal bas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예비 혼합물 중 염기성 촉매의 함량은 상기 예비 혼합물에 포함된 3,4-부텐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인,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ent of the basic catalyst in the premix is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3,4-butenediol contained in the premix.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응 단계, 상기 제2 반응 단계 및 상기 제3 반응 단계를 하나의 사이클(cycle)로 하여 2회 이상의 사이클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producing vinylethylene carbon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eaction step, the second reaction step, and the third reaction step are performed as one cycle and two or more cycles are performed continuous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응 단계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끓는점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producing vinylethylene carbon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eaction step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below the boiling point of vinylethylene carbon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응 단계에서 투입된 디알킬카보네이트의 함량은 상기 예비 혼합물에 포함된 3,4-부텐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내지 200중량부인,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ent of the dialkyl carbonate added in the second reaction step is 50 parts by weight to 2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3,4-butenediol contained in the preliminary mix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비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예비 생성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는 각각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acting the premix and the reacting the preproduced mixture are each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50°C to 100°C.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성 혼합물로부터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 혼합물로부터 알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를 제거하는 제1 분리단계; 및
상기 알코올 및 디알킬카보네이트가 제거된 생성 혼합물로부터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수득하는 제2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separating vinylethylene carbonate from the product mixture comprises:
A first separation step of removing alcohol and dialkyl carbonate from the product mixture; and
A method for producing vinylethylene carbonate, comprising a second separation step of obtaining vinylethylene carbonate from the product mixture from which the alcohol and dialkyl carbonate have been removed.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단계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끓는점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separation step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below the boiling point of vinylethylene carbonat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단계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끓는점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separation step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boiling point of vinylethylene carbonate.
청구항 1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An electrolyt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vinylethylene carbonate produc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claim 1.
양극;
상기 양극과 대향하여 배치된 음극; 및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을 함침시키는 청구항 14의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node;
a cathode disposed opposite to the anode;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electrolyt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of claim 14, which impregnates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KR1020220037390A 2022-03-25 2022-03-25 Method of manufacturing vinyl ethyele carbonate compounds, and a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2301399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390A KR20230139901A (en) 2022-03-25 2022-03-25 Method of manufacturing vinyl ethyele carbonate compounds, and a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390A KR20230139901A (en) 2022-03-25 2022-03-25 Method of manufacturing vinyl ethyele carbonate compounds, and a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901A true KR20230139901A (en) 2023-10-06

Family

ID=8829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390A KR20230139901A (en) 2022-03-25 2022-03-25 Method of manufacturing vinyl ethyele carbonate compounds, and a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90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6638A (en) 2007-03-23 2008-09-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Electrolyte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a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6638A (en) 2007-03-23 2008-09-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Electrolyte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a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7507B2 (en)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5679719B2 (en) High purity fluorine-containing phosphate for non-aqueous electrolyte
JP2019102459A (en) Electrolyte solution for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using the same
EP3335265B1 (en) Cyclic dinitrile compounds as additives for electrolyte
EP2827430A1 (en) Use of lithium alkoxyborates and lithium alkoxyaluminates as conducting salts in electrolytes of lithium ion batteries
JP2019106362A (en) Electrolyte solution for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using the same
KR102565194B1 (en) Process for producing fluorinated cyclic carbonates and their use for lithium ion batteries
JPWO2011016212A1 (en) Asymmetric and / or low symmetric fluorine-containing phosphates for non-aqueous electrolytes
KR20190028500A (en) Non-aqueous electrolyte composition
WO2019111983A1 (en) Electrolyte solution for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ies,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using same
KR20190047004A (en) Electrolyte containing 6-membered ring cyclic sulfate
EP3738167B1 (en) Non-aqueous electrolyte compositions comprising lithium bis(fluorosulfonyl)imide
KR20180025581A (en) Electrolyte comprising lithium polysulfide for lithium air battery, and lithium air battery
JP2002008721A (en) Nonaqueous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23013990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vinyl ethyele carbonate compounds, and a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210008728A (en) Electrolyte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KR102638391B1 (en) Method for producing dialkanesulfonyl isosorbide compound, electrolyte additiv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N111276741A (en)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2630824B1 (en) Preparing method of lithium difluoro(oxalato)borate, lithium difluoro(oxalato)borate prepared therefrom, electrolyte for lithium ion battery and lithium ion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20240006661A1 (en) Electrolyte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1923508B2 (en) Electrolyte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EP4340096A1 (en) Electrolyte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230047713A (en) Method of preparing electrolyte additive, electrolyte for litium secondary battery and lit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240038580A (en) Electrolyte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230116849A (en)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