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6020A - Ship - Google Patents

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6020A
KR20230136020A KR1020230003924A KR20230003924A KR20230136020A KR 20230136020 A KR20230136020 A KR 20230136020A KR 1020230003924 A KR1020230003924 A KR 1020230003924A KR 20230003924 A KR20230003924 A KR 20230003924A KR 20230136020 A KR20230136020 A KR 20230136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hull
ship
bow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9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아키라 데라자와
아키히로 오키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36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0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6Shape of f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8Shape of aft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38K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6Shape of fore part
    • B63B2001/066Substantially vertical 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2015/0008Bowspr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선수 부분의 갑판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쉬운 선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선박 (10) 은, 선체 본체 (11) 와, 돌출부 (6) 를 구비한다. 선체 본체 (11) 는, 선수 부분에 스템 (51) 을 갖는다. 돌출부 (6) 는, 선체 본체 (11) 의 선수 부분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돌출부 (6) 의 외주 가장자리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스템 (51)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을 갖는다.
(Task) Provide a ship in which it is easy to secure sufficient deck area at the bow.
(Solution) The ship 10 includes a hull main body 11 and a protrusion 6. The hull main body 11 has a stem 51 at the bow portion. The protrusion 6 protrudes fo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bow portion of the hull body 11.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protrusion 6 has a curved shape that becomes convex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tem 51 when viewed in plan.

Figure P1020230003924
Figure P1020230003924

Description

선박{SHIP}SHIP{SHIP}

본 개시는 선수 (船首) 부분에 스템을 갖는 선체 본체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ship having a hull body having a stem in the bow portion.

관련 기술로서, 선체, 프로펠러, 갑판 및 조타실 등으로 구성되는 선박 (소형 선박) 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관련 기술에 관련된 선박은, FRP 에 의해 형성된 선체 본체의 상부에 갑판이 형성된 선체를 구비하고 있다. 선체에는, 선외판 (좌우의 선측 외판, 후선측 (後船側) 외판 및 선저 외판) 과 갑판에 의해 둘러싸인 수밀 공간이 구성되어 있다.As related technology, ships (small ships) consisting of a hull, a propeller, a deck, a wheelhouse, etc. are known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A ship related to the related technology has a hull in which a deck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hull body formed by FRP. The hull consists of a watertight space surrounded by shell plating (left and right side shell plating, aft side shell plating, and bottom shell plating) and a deck.

관련 기술에 관련된 선박에 있어서는, 선수 부분에, 예를 들어, 앵커 롤러 등을 장착하기 위한 바우 스프릿이 선체에 형성된다. 바우 스프릿은, 갑판에 있어서의 선수 부분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만이,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 ship related to the related art, a bow sprit for mounting, for example, an anchor roller or the like is formed in the bow portion of the hull. The bowsprit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only the center por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w portion of the deck protrudes forward.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59714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6-159714

상기 관련 기술과 같이, 갑판에 있어서의 선수 부분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만이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의 바우 스프릿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바우 스프릿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의 양측방에는 갑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선수 부분의 갑판 면적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As in the above-mentioned related technology, when only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w part of the deck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formed with a bow sprit in a shape that protrudes forward, there is no deck on both s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viewed from the bow sprit. Therefore, there are cases where the deck area of the bow portion becomes insufficient.

본 개시의 목적은, 선수 부분의 갑판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쉬운 선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ship in which it is easy to secure a sufficient deck area of the bow portion.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련된 선박은, 선체 본체와,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선체 본체는, 선부 부분에 스템을 갖는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선체 본체의 상기 선수 부분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부의 외주 가장자리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스템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을 갖는다.A ship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hull main body and a protrusion. The hull main body has a stem at the front portion. The protrusion protrudes fo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bow portion of the hull body.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protrusion has a curved shape that becomes convex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tem when viewed in plan.

본 발명에 의하면, 선수 부분의 갑판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쉬운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ip in which it is easy to secure a sufficient deck area of the bow portion.

도 1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의 갑판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의 선저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의 개략 우측면도이다.
도 4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5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의 개략 하면도이다.
도 6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7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의 선수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우측면도이다.
도 8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의 선수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9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의 선수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하면도이다.
도 10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의 선수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의 선수 부분이 수면에 꽂힌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우측면도이다.
도 12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의 선미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의 선미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우측면도이다.
도 14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의 섹션 비율을 나타내는 개략 하면도이다.
도 15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의 선수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deck side of the ship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hip according to Embodiment 1 as seen from the bottom.
Fig. 3 is a schematic right side view of the ship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hip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5 is a schematic bottom view of the ship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6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ship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7 is a schematic right side view showing the bow portion of the ship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8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he bow portion of the ship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9 is a schematic bottom view showing the bow portion of the ship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w portion of the ship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11 is a schematic righ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w portion of the ship according to Embodiment 1 is stuck in the water.
Fig.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ern portion of the ship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13 is a schematic right side view showing the stern portion of the ship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14 is a schematic bottom view showing the section ratio of the ship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1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w portion of the ship according to Embodiment 1.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개시를 구체화한 일례로서,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 is an example that embodies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실시형태 1)(Embodiment 1)

[1] 전체 구성[1] Overall configuration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 (10) 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1 ∼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hip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선박 (10) 은, 바다, 호수 또는 하천 등의 수상을 항행 (항주) 하는 이동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선박 (10) 은, 주로 바다에 있어서 스포츠 또는 레크리에이션 등에 사용되는 소형 선박인 「플레저 보트」 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박 (10) 은, 사람 (조종자) 의 조작 (원격 조작을 포함한다) 에 따라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특히, 조종자인 사람이 탑승 가능한 유인 타입인 것으로 한다.The ship 10 is a moving body that navigates (sails) on water such as the sea, lake, or river.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ship 10 is a “pleasure boat” which is a small ship mainly used for sports or recreation at sea.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ip 10 is configured to operat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including remote operation) of a person (pilot), and in particular, it is assumed to be a manned type in which a person who is the operator can board.

선박 (10) 은, 선체 (1) 와, 추진 장치 (2) (도 3 참조) 와, 키 장치 (3) (도 3 참조) 와, 캐빈 (4) 을 구비하고 있다. 선박 (10) 은, 사람 (조종자) 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장치, 표시 장치, 각종 센서류 (탐지기를 포함한다), 각종 계기류, 통신 장치, 제어 장치, 및 조명 설비 등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선내 설비 등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도 3 에서는, 추진 장치 (2) 및 키 장치 (3) 를 상상선 (想像線) (이점 쇄선) 으로 나타내고 있고, 도 3 이외의 도면에서는, 추진 장치 (2) 및 키 장치 (3)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The ship 10 is provided with a hull 1, a propulsion device 2 (see FIG. 3), a rudder device 3 (see FIG. 3), and a cabin 4. The ship 10 is equipped with a variety of on-board equipment, including operating devices that accept human (operator) operation, display devices, various sensors (including detectors), various instruments, communication devices, control devices, and lighting equipment. Additional equipment is provided. Here, in FIG. 3, the propulsion device 2 and the rudder device 3 are shown as imaginary lines (dashed and dotted lines), and in drawings other than FIG. 3, the propulsion device 2 and the rudder device 3 are shown. The city is omitted.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선박 (10) 의 추진 형식은, 추진 장치 (2) 의 동력원 (21) (도 3 참조) 이 선체 (1) 의 중앙 부근에 탑재된 「선내기」 로서, 선박 (10) 의 선미 방식 (선미 형태) 은, 「브래킷식」 (외프로펠러/외타 (外舵) 방식) 이다. 선체 (1) 의 사이즈로는, 일례로서 전체 길이가 5 m 이상 20 m 이하, 또한 정원이 10 명 이상 15 명 이하 정도의 사이즈를 상정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속장비가 2.0 이상 5.0 이하가 되는 반활주형의 선박 (10) 을 상정한다. 그 때문에, 선박 (10) 은, 정체 (艇體) (선체 본체 (11)) 가 수면을 활주할 때까지는 이르지 않지만, 선체 (1) 의 선수 부분 (바우) 측이 들어올려진 자세로 항주한다.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propulsion type of the ship 10 is a "shipboard" in which the power source 21 (see FIG. 3) of the propulsion device 2 is mounted near the center of the hull 1, and the ship ( 10) The stern type (stern type) is the “bracket type” (external propeller/external ship type). As for the size of the hull 1, as an example, a total length of 5 m to 20 m and a capacity of 10 to 15 people are assumed.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 semi-gliding type ship 10 with an internal gear ratio of 2.0 or more and 5.0 or less is assumed. Therefore, the ship 10 does not reach the point where the main body (hull body 11) slides on the water surface, but sails in an attitude in which the bow portion (bow) side of the ship body 1 is raised.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선박 (10) 이 수상에 정선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연직 방향을 상하 방향 (D1) 으로 정의한다. 또한, 선박 (10) 의 조종석 (캐빈 (4) 내) 에 앉아 있는 사람 (조정자) 으로부터 본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 방향 (D2) 및 좌우 방향 (D3) 을 정의한다. 즉, 선체 (1) 의 전진시에 선체 (1) 가 이동하는 방향, 요컨대 선체 (1) 의 중심에서 보았을 때 선수측 (포) 이 전후 방향 (D2) 의 전방이 되고, 선체 (1) 의 후진시에 선체 (1) 가 이동하는 방향, 요컨대 선체 (1) 의 중심에서 보았을 때 선미측 (애프트) 이 전후 방향 (D2) 의 후방이 된다. 선체 (1) 의 중심에서 보았을 때 좌현측이 좌우 방향 (D3) 의 좌방이 되고, 선체 (1) 의 중심에서 보았을 때 우현측이 좌우 방향 (D3) 의 우방이 된다. 단, 이들 방향은, 선박 (10) 의 사용 방향 (사용시의 방향) 을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In this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ship 10 is stopped on the water is defined as the vertical direction D1. Additionally,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D2) and the left-right direction (D3) are defined based on the direction seen from the person (pilot) sitting in the cockpit (in the cabin 4) of the ship 10.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hull 1 moves when the hull 1 moves forward,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center of the hull 1, the bow side (gun) is forward in the forward-forward direction (D2), and the The direction in which the hull 1 moves when moving backwards,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center of the hull 1, the stern side (aft) becomes the rear of the forward-forward direction D2. When viewed from the center of the hull (1), the port side becomes the left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3), and when viewed from the center of the hull (1), the starboard side becomes the right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3). However, these direction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direction of use (direction at the time of use) of the ship 10.

또, 본 개시에서 말하는 「평행」 이란, 일평면 상의 2 직선이면 어디까지 연장해도 교차하지 않는 경우, 요컨대 양자간의 각도가 엄밀하게 0 도 (또는 180 도) 인 경우에 더하여, 양자간의 각도가 0 도에 대해 수 도 (예를 들어 10 도 미만) 정도의 오차 범위에 들어가는 관계에 있는 것을 말한다. 동일하게, 본 개시에서 말하는 「직교」 란, 양자간의 각도가 엄밀하게 90 도로 교차하는 경우에 더하여, 양자간의 각도가 90 도에 대해 수 도 (예를 들어 10 도 미만) 정도의 오차 범위에 들어가는 관계에 있는 것을 말한다.In addition, "parallel" a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refers to the case where two straight lines on one plane do not intersect no matter how far they extend, in other words, in addition to the case where the angle between the two is strictly 0 degrees (or 180 degrees), the angle between the two is 0 degrees. It refers to a relationship that falls within an error range of several degrees (for example, less than 10 degrees). Likewise, “orthogonal” a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refers not only to the case where the angle between the two intersects at exactly 90 degrees, but also to the case where the angle between the two falls within an error range of several degrees (for example, less than 10 degrees) with respect to 90 degrees. It refers to being in a relationship.

선체 (1) 및 캐빈 (4) 은, 일례로서 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를 주재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선체 (1) 및 캐빈 (4) 에 대해, 고강도이고 또한 경량으로 하면서도 형상의 자유도가 높아져, 여러 가지 형상의 선체 (1) 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As an example, the hull 1 and the cabin 4 are composed of 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as the main material. Therefore, for the hull 1 and the cabin 4, the degree of freedom of shape is increased while being high-strength and lightweight, and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hull 1 of various shapes.

선체 (1) 는, 선체 본체 (11) 와, 갑판 (12) 을 가지고 있다. 선체 본체 (11) 는, 정체 (헐) 를 구성한다. 선체 본체 (11) 는, 좌우 방향 (D3) 의 치수가 상하 방향 (D1) 의 치수 (캐빈 (4) 을 제외한다) 보다 크고, 또한 전후 방향 (D2) 의 치수가 좌우 방향 (D3) 의 치수보다 크게 설정됨으로써, 전후 방향 (D2) 으로 길이를 가지고 있다. 선체 본체 (11) 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추진 장치 (2) 의 동력원 (21) 등이 배치되어 있다.The hull 1 has a hull main body 11 and a deck 12. The hull main body 11 constitutes the hull. The hull body 11 has a dimens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up-down direction (D1) (excluding the cabin 4), and the dimension in the fore-aft direction (D2)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By being set larger, it has length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D2). The hull main body 11 is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the power source 21 of the propulsion device 2 and the like are disposed therein.

선체 본체 (11) 는, 1 쌍의 선측 외판 (111), 후선측 외판 (112) 및 선저 외판 (113) 을 가지고 있다. 1 쌍의 선측 외판 (111) 은, 좌우 방향 (D3) 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선체 본체 (11) 의 좌우 방향 (D3) 의 양측면 (현측) 을 구성한다. 후선측 외판 (112) 은, 선체 본체 (11) 의 후면 (트랜섬) 을 구성한다. 선저 외판 (113) 은, 선체 본체 (11)의 하면 (선저) 을 구성한다. 이들 1 쌍의 선측 외판 (111), 후선측 외판 (112) 및 선저 외판 (113) 은, 일체적 (심리스) 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체 본체 (11) 의 외곽을 구성한다.The ship body 11 has a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a rear side shell plating 112, and a bottom shell plating 113. A pair of ship side shell plates 111 are arranged to oppose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and constitute both sides (sides) of the ship body 11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The rear side shell plate 112 constitutes the rear side (transom) of the hull main body 11. The bottom shell plate 113 constitutes the lower surface (bottom) of the hull main body 11. This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rear side shell plating 112, and bottom shell plating 113 are formed integrally (seamlessly) and constitute the outer shell of the hull main body 11.

갑판 (12) 은, 선체 본체 (11) 의 개구면 (상면) 을 덮도록 선체 본체 (11) 에 결합되어 있다. 요컨대, 갑판 (12) 은, 선체 본체 (11) 의 상면을 구성하고, 그 위에 사람이 타는 것을 상정한 덱이다. 여기서, 선체 본체 (11) 를 전후 방향 (D2) 으로 3 분할하고, 전방 (선수)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바우, 미드십, 스턴이라고 정의했을 경우에, 갑판 (12) 중, 바우 (선수측) 에 위치하는 부분이 「바우 덱」, 스턴 (선미측) 에 위치하는 부분이 「스턴 덱」 이 된다.The deck 12 is coupled to the hull main body 11 so as to cover the opening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hull main body 11. In short, the deck 12 constitutes the upper surface of the hull main body 11 and is a deck on which people are assumed to ride. Here, when the hull main body 11 is divided into three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D2) and defined as bow, midship, and stern in that order from the forward (bow) side, among deck 12, bow (bow side) The part located on the stern (stern side) becomes the “bow deck”, and the part located on the stern (stern side) becomes the “stern deck.”

갑판 (12) 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D2) 의 중앙부 (미드십) 에는, 캐빈 (4) 이 배치되어 있다. 갑판 (12) 상에 있어서의 캐빈 (4) 의 좌우 방향 (D3) 의 양측에는, 사이드 통로가 확보되어 있고, 사람은 사이드 통로를 통하여, 바우 덱과 스턴 덱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A cabin 4 is arranged in the center portion (midship) of the deck 1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D2. Side passages are secured on both sides of the cabin 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3 on the deck 12, and people can move between the bow deck and the stern deck through the side passages.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갑판 (12) 은, 그 전역이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선미측으로부터 선수측을 향하여 서서히 높아져 있고, 사이드 통로 및 바우 덱에 단차 (스텝) 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갑판 (12) 중, 선수 부분 (바우) 에 위치하는 바우 덱으로부터 사이드 통로의 단차에 걸쳐서는,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갑판 (12) 을 둘러싸도록 전락 방지책으로서의 바우 레일 (121) 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deck 12 is not at the same height throughout, but is gradually raised from the stern side toward the bow side, and has steps (steps) in the side passages and bow deck. In addition, from the bow deck located in the bow portion (bow) of the deck 12, a bow rail 121 is formed as a fall prevention measure to surround the deck 12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edge across the step of the side passage. .

선체 (1) 에는, 선체 본체 (11) 의 외곽을 이루는 1 쌍의 선측 외판 (111), 후선측 외판 (112) 및 선저 외판 (113) 과, 갑판 (12) (및 캐빈 (4)) 에 의해 둘러싸인 수밀 공간이 형성되고, 수밀 공간의 전후 방향 (D2) 의 중앙부에는, 기관실 등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밀 공간에 있어서의 기관실의 전방측에는 선실 등이 형성되어 있다.The hull 1 includes a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aft side shell plating 112, and bottom shell plating 113 that form the exterior of the hull main body 11, and the deck 12 (and cabin 4). A watertight space surrounded by a watertight space is formed, and an engine room or the like is form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watertight space in the front-back direction D2. Additionally, a cabin or the lik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engine room in the watertight space.

추진 장치 (2)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력원 (21) 과, 동력 전달부 (22) 와, 추진력 발생부 (23) 를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propulsion device 2 has a power source 21, a power transmission unit 22, and a thrust generating unit 23.

동력원 (21) 은, 예를 들어, 연료의 연소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내연 기관) 을 포함한다. 엔진은 일례로서, 경유를 연료로서 구동시키는 디젤 엔진 등이다. 동력 전달부 (22) 는, 엔진으로 발생하는 동력을 추진력 발생부 (23) 에 전달한다. 동력 전달부 (22) 는, 클러치, 감속 장치 (마린 기어) 및 프로펠러 샤프트 등을 포함한다. 동력 전달부 (22) 는, 동력원 (21) 으로부터 추진력 발생부 (23) 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차단 상태를 전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추진력 발생부 (23)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로펠러를 포함하고, 동력원 (21) 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받아, 회전축 (프로펠러 샤프트) 을 중심으로 프로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선체 (1) 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킨다.The power source 21 includes, for example, an engin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at generates power by combustion of fuel. An example of an engine is a diesel engine that runs on diesel fuel.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 transmits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to the propulsion generation unit 23.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 includes a clutch, a reduction device (marine gear), a propeller shaft, etc.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 has a function of switching between a transmission state in which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power source 21 to the thrust generating unit 23 and a blocking state in which power is not transmit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pulsion generating unit 23 includes a propeller, receives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source 21, and rotates the propeller around a rotation axis (propeller shaft) to move the hull 1 forward or backward. generate momentum for

추진 장치 (2) 는, 조작 장치의 조작에 따라 제어된다. 예를 들어, 조작 장치가, 중립 위치에서, 전진 위치 및 후진 위치의 각각으로 회전 (이동) 가능한 조작 레버를 포함하는 경우, 조작 레버가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추진 장치 (2) 는 추진력을 발생시키지 않아, 선체 (1) 의 추진력은 0 (제로) 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선체 (1) 를 전진시키기 위해서는, 조종자는 조작 레버를 중립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측으로 회전 (이동) 시키도록 조작하고, 선체 (1) 를 후진시키기 위해서는, 조종자는 조작 레버를 중립 위치로부터 후진 위치측으로 회전 (이동) 시키도록 조작한다. 그리고, 추진 장치 (2) 는, 중립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측으로의 조작 레버의 조작량 (회전 각도) 이 클수록, 선체 (1) 를 전진시키기 위한 추진력 (프로펠러의 회전수) 을 크게 한다.The propulsion device 2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For example, if the operating device includes an operating lever that can be rotated (moved)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each of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s, with the operating lever in the neutral position, the propulsion device (2) provides propulsion. Since it does not occur, the thrust of the hull (1) is 0 (zero). In this case, to move the hull 1 forward, the operator operates the operation lever to rotate (move)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forward position, and to move the hull 1 backward, the operator operates the operation lever to the neutral position. Operate to rotate (move) from to the reverse position. And, the propulsion device 2 increases the driving force (rotation speed of the propeller) for moving the hull 1 forward as the operation amount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lever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forward position increases.

키 장치 (3)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 (1) 의 선미 부분에 장착되고, 선체 (1) 의 진행 방향을 조절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키 장치 (3) 는, 추진 장치 (2) 의 추진력 발생부 (23) 의 직후에 배치되어 있다. 키 장치 (3) 는, 조작 장치의 조작에 따라 제어된다. 예를 들어, 조작 장치가, 타륜 (舵輪) 을 포함하는 경우, 조종자가, 타륜을 회전시킴으로써, 키 장치 (3) 가 우현 또는 좌현 방향으로 방향을 바꾼다.As shown in FIG. 3, the rudder device 3 is mounted on the stern portion of the hull 1 and adjust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ull 1. In this embodiment, the rudder device 3 is arranged immediately after the thrust generating portion 23 of the propulsion device 2. The key device 3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For example, when the operating device includes a rudder wheel, the driver rotates the rudder wheel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rudder device 3 to starboard or port.

캐빈 (4) 은, 조종석을 구비하고 있고, 조작 장치, 표시 장치, 각종 계기류 및 통신 장치 등이 배치된다. 캐빈 (4) 은, 기관실 등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캐빈 (4) 은, 갑판 (12) 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캐빈 (4) 의 내부 공간은, 갑판 (12) 아래의 공간 (바우 버스) 에 연속되어 있다. 캐빈 (4) 에는, 조종석 등 외에, 예를 들어, 승객용의 시트, 테이블, 싱크, 화장실, 샤워 룸, 냉장고, 유틸리티 박스 및 로커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캐빈 (4) 에는, 기관실에 액세스하기 위한 엔진 룸 해치 등도 배치되어 있다.The cabin 4 is equipped with a cockpit, and operating devices, display devices, various instruments, communication devices, etc. are arranged. The cabin 4 is located above the engine room, etc. The cabin 4 is configured to be accessible from the deck 12. The interior space of the cabin 4 is continuous with the space (baubus) below the deck 12. In the cabin 4, in addition to the cockpit, for example, passenger seats, tables, sinks, toilets, shower rooms, refrigerators, utility boxes, lockers, etc. are arranged. Additionally, the cabin 4 is also provided with an engine room hatch for accessing the engine room.

이하, 선체 본체 (11) 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hull main body 11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선체 본체 중, 1 쌍의 선측 외판 (111) 의 전단 (선수측의 단부) 끼리는, 서로 결합되어 선수를 구성한다. 또, 1 쌍의 선측 외판 (111) 의 후단 (선미측의 단부) 끼리는, 후선측 외판 (112) 을 통하여 서로 결합되고, 후선측 외판 (112) 과 함께 선미를 구성한다. 즉, 후선측 외판 (112) 의 좌단에는, 좌현측의 선측 외판 (111) 의 후단이 결합되고, 후선측 외판 (112) 의 우단에는, 우현측의 선측 외판 (111) 의 후단이 결합되어 있다.In the hull main body, the front ends (ends on the bow side) of a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are joined to each other to form the bow. Additionally, the rear ends (ends on the stern side) of a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are joined to each other through the rear side shell plating 112, and together with the rear side shell plating 112, they constitute the stern. That is, the rear end of the port side shell plating 111 is coupled to the left end of the rear side shell plating 112, and the rear end of the starboard side shell plating 111 is coupled to the right end of the rear side shell plating 112. .

또한, 1 쌍의 선측 외판 (111) 의 하단, 및 후선측 외판 (112) 의 하단은, 선저 외판 (113) 에 결합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선저 외판 (113) 의 좌우 방향 (D3) 의 좌단에는, 좌현측의 선측 외판 (111) 의 하단이 결합되고, 선저 외판 (113) 의 우단에는, 우현측의 선측 외판 (111) 의 하단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선저 외판 (113) 의 후단에는, 후선측 외판 (112) 하단이 결합되어 있다.Additionally,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and the lower ends of the rear side shell plating 112 are coupled to the bottom shell plating 113. In other words, the lower end of the port side shell plating 111 is joined to the left end of the bottom shell plating 113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3), and the right end of the bottom shell plating 113 is joined to the left end of the starboard side shell plating 111. The bottom is joined. And, the lower end of the rear side shell plating 112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bottom shell plating 113.

1 쌍의 선측 외판 (111) 은, 선수에서 선미를 향함에 따라 좌우 방향 (D3) 으로 서로 이간되는 형상을 갖는다. 요컨대, 선체 본체 (11) 는, 선수에서 선미를 향함에 따라, 좌우 방향 (D3) 의 치수 (선폭) 가 서서히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1 쌍의 선측 외판 (111) 은, 선체 본체 (11) 의 전후 방향 (D2) 의 도중 부위에서 그 간격이 최대가 되고, 당해 부위에 있어서의 선체 본체 (11) 의 좌우 방향 (D3) 의 치수가 선폭과 일치한다. 1 쌍의 선측 외판 (111) 은, 그 간격이 최대가 되는 부위보다 후방측에 있어서는, 선미 (후선측 외판 (112)) 에 이를 때까지 서로 평행이다. 또, 선체 본체 (11) 는, 선체 본체 (11) 의 전후 방향 (D2) 의 도중 부위에서 선미에 걸쳐, 선미를 향함에 따라 좌우 방향 (D3) 의 치수 (선폭) 가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A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has a shape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3 as it moves from the bow to the stern. In short, the hull main body 11 has a shape in which the dimension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gradually widens as it moves from the bow to the stern. In addition, the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has the maximum spacing in the midway portion of the hull body 1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D2), and the gap in this portion 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3) of the hull body 11. The dimensions match the line width. A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is parallel to each other until it reaches the stern (rear side shell plating 112) at the rear side of the area where the gap is maximum. In addition, the hull body 11 has a shape in which the dimension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gradually narrows as it moves from the middle part of the forward-forward direction (D2) of the hull body 11 to the stern. You can stay.

또한, 1 쌍의 선측 외판 (111) 은, 제 1 너클 (114) 및 제 2 너클 (115) 을 가지고 있다. 제 1 너클 (114) 및 제 2 너클 (115) 은, 모두 선수에서 선미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선미를 향함에 따라 하방에 위치하도록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다. 제 2 너클 (115) 은, 제 1 너클 (114) 보다 상방에 위치한다.Additionally, a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has a first knuckle 114 and a second knuckle 115. The first knuckle 114 and the second knuckle 115 both extend from the bow toward the stern and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o be located downward toward the stern. The second knuckle 115 is located above the first knuckle 114.

제 1 너클 (114) 및 제 2 너클 (115) 의 각각은, 전후 방향 (D2) 을 따라 연장된 단차로서, 모두 당해 단차보다 상방측일수록 좌우 방향 (D3) 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후 방향 (D2) 의 동일 위치에서 보았을 경우, 좌우 방향 (D3) 에 있어서의 1 쌍의 선측 외판 (111) 의 간격은, 제 1 너클 (114) 의 하측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제 1 너클 (114) 의 상측 부위에서 1 단계 커지고, 제 2 너클 (115) 의 상측 부위에서 또 1 단계 커진다. 이들 제 1 너클 (114) 및 제 2 너클 (115) 은, 각각 물 (물결) 보라를 떨어뜨리기 위한 너클 라인(스프레이 스트립) 으로서 기능한다.Each of the first knuckles 114 and the second knuckles 115 is a step extending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D2, and each is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the further upward the step is. 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D2, the gap between the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is 1st with the lower part of the first knuckle 114 as a standar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knuckle 114 increases by one step,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knuckle 115 increases by another step. These first knuckles 114 and second knuckles 115 each function as knuckle lines (spray strips) for dropping water (waves).

1 쌍의 선측 외판 (111) 및 후선측 외판 (112) 은, 모두 갑판 (12) 보다 상방으로 밀려나와 있다. 즉, 1 쌍의 선측 외판 (111) 및 후선측 외판 (112) 의 상단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갑판 (12)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갑판 (12) 으로의 물 (물결) 의 침입을 방지하는 불워크 (방파벽) 로서 기능한다. 갑판 (12) 에 침입한 물 (해수) 등은, 불워크에 형성되어 있는 방수구에서 선외로 배출된다. 불워크의 외주면에는, 완충재로서의 현연재 (舷緣材) 가 장착되어 있다.The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and the rear side shell plating 112 are both protruded upward from the deck 12. That is,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and rear side shell plating 112 project upward from the deck 12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prevent water (waves) from entering the deck 12. It functions as a bulwark (breakwall). Water (sea water) etc. that infiltrates the deck 12 is discharged overboard through discharge ports formed in the bulwark.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lwark, a string member is installed as a cushioning material.

또, 선체 본체 (11) 는, 1 쌍의 선측 외판 (111) 의 각각과 선저 외판 (113) 의 결합부에 형성된 차인 (116) 을 가지고 있다. 차인 (116) 은, 제 1 너클 (114) 및 제 2 너클 (115) 과 동일하게, 선수에서 선미를 하여 연장되어 있고, 선미를 향함에 따라 하방에 위치하도록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다. 그리고, 차인 (116) 은, 전후 방향 (D2) 을 따라 연장된 단차로서, 당해 단차보다 상방측일수록 좌우 방향 (D3) 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후 방향 (D2) 의 동일 위치에서 보았을 경우, 좌우 방향 (D3) 에 있어서의 1 쌍의 선측 외판 (111) 의 간격은, 선저 외판 (113) 의 상단간의 간격보다 1 단계 커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너클 (114) 의 후부 (수중에 잠기는 부분) 는, 차인 (116) 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차인 (116) 과 함께 더블 차인을 구성한다 (도 3 참조). 그 때문에, 차인 (116) 을 이너 차인으로 하면, 제 1 너클 (114) 의 후부가 아우터 차인이 된다.Additionally, the hull main body 11 has chines 116 formed at the joint portions of each of a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and the bottom shell plating 113. The chine 116, like the first knuckle 114 and the second knuckle 115, extends from the bow to the stern an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so as to be located downward toward the stern. And, the chine 116 is a step extending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D2, and is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the further upward it is from the step. 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D2, the gap between a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3 is one step larger than the gap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bottom shell plating 113. In this embodiment, the rear portion (part immersed in water) of the first knuckle 114 is formed along the chine 116, and forms a double chine together with the chine 116 (see Fig. 3). Therefore, if the chine 116 is made the inner chine, the rear part of the first knuckle 114 becomes the outer chine.

선체 본체 (11) 는, 선저 외판 (113) 의 좌우 방향 (D3) 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고, 선수에서 선미를 향하여 연장되는 핀상의 스케그 (117) (핀 킬) 를 가지고 있다. 스케그 (117) 는, 선저 외판 (113) 의 전단 (선수측의 단부) 으로부터 전후 방향 (D2) 의 도중 부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The hull main body 11 has a fin-shaped skeg 117 (fin keel) that protrudes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hell 113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3 and extends from the bow toward the stern. The skeg 117 is formed from the front end (end on the bow side) of the bottom shell plating 113 to the middle part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D2.

선체 본체 (11) 는, 선저 외판 (113) 의 좌우 방향 (D3) 의 중앙부 중, 스케그 (117) 의 후방, 요컨대 선미측에 형성된 플랫 킬 (118) 을 가지고 있다. 플랫 킬 (118) 은, 전후 방향 (D2) 에 있어서 스케그 (117) 와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스케그 (117) 의 후단부의 전후 방향 (D2) 의 위치는 플랫 킬 (118) 의 전 단부와 일치 (중복) 한다. 플랫 킬 (118) 은, 하면이 수평면에 평행한 평면상 (평탄부) 으로 형성된 리브상부이다. 플랫 킬 (118) 의 후단에서는, 동력 전달부 (22) 의 프로펠러 샤프트가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다.The hull main body 11 has a flat keel 118 formed at the rear of the skeg 117, that is, on the stern sid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hell plate 113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3. The flat keel 118 is formed to be continuous with the skeg 117 in the front-back direction D2,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end of the skeg 117 in the front-back direction D2 is the front end of the flat keel 118. Matches (duplicates) with . The flat keel 118 is a ribbed portion whose lower surface is formed in a flat shape (flat portion) parallel to the horizontal plane. At the rear end of the flat keel 118, the propeller shaft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 protrudes toward the rear.

또한, 선체 본체 (11) 는, 복수개의 스프레이 스트립 (119) 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저 외판 (113) 의 좌현측 및 우현측의 각각에, 2 개씩 (합계 4 개) 의 스프레이 스트립 (119)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스프레이 스트립 (119) 은, 제 1 너클 (114) 및 제 2 너클 (115) 과 동일하게, 선수에서 선미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선미를 향함에 따라 하방에 위치하도록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다.Additionally, the hull main body 11 has a plurality of spray strips 119. In this embodiment, two spray strips (4 in total) are formed on each of the port and starboard sides of the bottom shell plating 113. Each spray strip 119, like the first knuckle 114 and the second knuckle 115, extends from the bow toward the stern an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o be located downward toward the stern.

선체 본체 (11) 는, 복수의 헐창 (120) 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 쌍의 선측 외판 (111) 의 각각에, 3 개씩 (합계 6 개) 의 헐창 (120) 이 형성되어 있다. 3 개의 헐창 (120) 은, 전후 방향 (D2) 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The hull main body 11 has a plurality of hulls 1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hull soles 120 (total of six) are formed on each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The three lower windows 120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front-back direction D2.

또, 선체 본체 (11) 는, 선수 부분에 스템 (51) 을 가지고 있다. 1 쌍의 선측 외판 (111) 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선수 부분의 스템 (51) 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요컨대, 선수 부분에 전단끼리가 결합된 1 쌍의 선측 외판 (111) 의 경계인 능선이, 스템 (51) 의 적어도 일부가 된다. 스템 (51) 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선미측일수록 선저에 가까워지도록, 연직선에 대해 경사져 있다. 바꿔 말하면, 선체 본체 (11) 의 전단이 되는 스템 (51) 은, 경사 하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Additionally, the hull main body 11 has a stem 51 at the bow portion. A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constitu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m 51 of the bow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short, the ridge that is the boundary of a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where the shear ends are joined to each other at the bow becomes at least a part of the stem 51. The stem 51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so that the closer it is to the stern, the closer it is to the bottom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other words, the stem 51, which is the front end of the hull main body 11, is inclined downward.

여기서, 스템 (51) 은, 상측 스템 (511) 과, 하측 스템 (512) 을 포함하고 있다. 상측 스템 (511) 은, 스템 (51) 중 차인 (116) 보다 갑판 (12) 측, 요컨대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로서, 1 쌍의 선측 외판 (111)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하측 스템 (512) 은, 스템 (51) 중 차인 (116) 보다 선저측, 요컨대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로서, 선저 외판 (113) 에 형성되어 있는 스케그 (117)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템 (51) 은, 차인 (116) 을 경계로 상하 방향 (D1) 에 있어서, 상측 스템 (511) 과 하측 스템 (512) 으로 나누어져 있다. 요컨대, 스케그 (117) 는, 스템 (51) 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Here, the stem 51 includes an upper stem 511 and a lower stem 512. The upper stem 511 is a portion of the stem 51 located on the deck 12 side, that is, above the chine 116, and is composed of a pair of side shell plates 111. The lower stem 512 is a portion of the stem 51 located on the bottom side, that is, lower than the chine 116, and is comprised by the skeg 117 formed on the bottom shell plate 113. The stem 51 is divided into an upper stem 511 and a lower stem 512 in the vertical direction D1 with the chine 116 as the boundary. In short, the skeg 117 constitutes at least a part of the stem 5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선박 (10) 은, 항주시에 선저를 흐르는 수류의 압력 변화에 의해 양력이 발생한다. 선박 (10) 은, 양력에 따른 항주 트림각으로 선수측이 들어올려진다. 이 때 발생하는 양력은, 항주 속도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면 선체 중량과 대략 동일해진다. 따라서, 선박 (10) 은, 소정의 항주 속도 이상이 되면 선수 (바우) 측이 수상으로 들어올려지고, 선미 (스턴) 측의 선저 (하면) 에 의해 수면을 활주하는 자세로 항주한다.The ship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generates lift due to a change in the pressure of the water current flowing along the bottom of the ship when sailing. The bow side of the ship 10 is lifted at a sailing trim angle according to the lift force. The lift force generated at this time becomes approximately equal to the hull weight when the sailing speed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Accordingly, when the ship 10 exceeds a predetermined sailing speed, the bow (bow) side is lifted into the water, and the ship 10 sails in an attitude gliding on the water surface by the bottom (lower surface) of the stern (stern) side.

또, 선체 (1) 는, 상기 서술한 구성에 더하여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갑판 (12) 의 선수 부분에 해당되는 바우 덱에는, 앵커 릴을 수용하는 앵커 스토어, 및 앵커 스토어 해치 등이 적절히 배치된다. 또한, 갑판 (12) 의 선미 부분에 해당되는 스턴 덱에는, 활어조, 로커, (키 장치 (3) 및 프로펠러 등의) 점검구 등이 적절히 배치된다.In addition, the hull 1 can adopt various configuration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For example, on the bow deck corresponding to the bow portion of the deck 12, an anchor store for accommodating an anchor reel, an anchor store hatch, etc. are appropriately arranged. Additionally, on the stern deck corresponding to the stern portion of the deck 12, a live fish tank, a locker, inspection ports (such as the rudder device 3 and a propeller), etc. are appropriately arranged.

[2] 선수 부분의 상세[2] Details of the player part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 (10) 의 선수 부분 (바우) 의 구성에 대해, 도 7 ∼ 도 11 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bow portion (bow) of the ship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1.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 본체 (11) 의 선수 부분 (전단) 에 형성된 스템 (51) 은, 연직선 (상하 방향 (D1)) 에 대한 경사 각도θ1 이 45 도보다 작은 버티컬 스템이다. 특히, 스템 (51) 중 차인 (116) 보다 갑판 (12) 이 되는 상측 스템 (511) 에 있어서는, 연직에 가까운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연직선 (상하 방향 (D1)) 에 대한 경사 각도 θ1 은 10 도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체 본체 (11) 의 전단 (선수 부분) 에 있어서의 스템 (51) 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수평면 (또는 갑판 (12)) 에 대해 수직에 가까운 자세로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the stem 51 formed in the bow portion (front end) of the ship body 11 has a vertical axis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θ1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up and down direction D1) is less than 45 degrees. It's a stem. In particular, among the stems 51, the upper stem 511, which serves as the deck 12 rather than the chine 116, is formed at an angle close to the vertical, and the inclination angle θ1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up and down direction D1) is It is set to 10 degrees or less. In this way, in this embodiment, the stem 51 at the front end (bow portion) of the hull body 11 is formed in an attitude close to vertical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r deck 12)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re is.

여기서, 선박 (10) 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선체 본체 (11) 의 스템 (51) (상측 스템 (511)) 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돌출부 (6) 를 구비하고 있다. 요컨대, 돌출부 (6) 는, 선체 본체 (11) 의 선수 부분에 있어서의 1 쌍의 선측 외판 (111) 의 상단부에서 외방을 향하여 돌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 (6) 는, 1 쌍의 선측 외판 (111) 과 일체적 (심리스) 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1 쌍의 선측 외판 (111) 의 상단부에서 외방을 향하여 장출되는 형태로 형성된 돌출부 (6) 에 의해, 불워크에 플레어가 형성되게 된다.Here, the ship 10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6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tem 51 (upper stem 511) of the hull body 11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short, the protrusion 6 protrudes outward from the upper ends of a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at the bow portion of the hull main body 11. In this embodiment, the protrusion 6 is formed integrally (seamlessly) with a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In this way, a flare is formed in the bulwark by the protruding portions 6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돌출부 (6) 는, 수평면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고, 선체 본체 (11) 의 상면을 구성하는 갑판 (12) 은, 돌출부 (6) 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로써, 갑판 (12) 은, 선체 본체 (11) 의 상면을 구성함과 함께, 돌출부 (6) 의 상면을 구성한다. 돌출부 (6) 는, 그 두께 (상하 방향 (D1) 의 치수) 는, 예를 들어 수십 ㎝ 정도이지만,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고, 돌출부 (6) 상의 갑판 (12) 에도 사람이 탈 수 있다. 돌출부 (6) 와 수면 사이에는 구조물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돌출부 (6) 의 하면은 수면과 대향한다.The protrusion 6 protrudes parallel to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deck 12 constitu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ull main body 11 extends to the protrusion 6. Thereby, the deck 12 constitutes the upper surface of the hull main body 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6. The thickness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D1) of the protrusion 6 is, for example, about several tens of cm, but it has sufficient strength, and a person can ride on the deck 12 on the protrusion 6. No structure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 6 and the wat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6 faces the water surface.

바꿔 말하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측 스템 (511) 을 갑판 (12) 측으로 연장한 가상선 (L1) 을 상정했을 경우, 당해 가상선 (L1) 과 갑판 (12) 의 교점 (P1) 보다, 돌출부 (6) 및 갑판 (12) 이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로써, 갑판 (12) 중 선수 부분에 해당되는 바우 덱이, 돌출부 (6) 의 분만큼 확대되게 된다. 가상선 (L1) 은, 가상의 선으로서 실체를 수반하지 않는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7, when an imaginary line L1 extending from the upper stem 511 toward the deck 12 is assumed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imaginary line L1 and the deck 12 are Beyond the intersection P1, the protrusion 6 and the deck 12 protrude forward. As a result, the bow deck corresponding to the bow portion of the deck 12 is enlarged by the amount of the protrusion 6. The imaginary line (L1) is an imaginary line and does not carry substance.

그런데,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 (6) 의 외주 가장자리 (61)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스템 (51)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을 갖는다. 도 8 및 도 9 에 있어서는, 돌출부 (6) 가 되는 부분에 망점을 부여하고 있다. 요컨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선체 본체 (11) 의 전단이 되는 스템 (51) (상측 스템 (511)) 을 기준점으로 하는 경우, 돌출부 (6) 의 외주 가장자리 (61) 는 당해 기준점과는 반대측으로 볼록해지는 대략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outer peripheral edge 61 of the protrusion 6 has a curved shape that is convex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tem 51 when viewed from the top. In FIGS. 8 and 9, halftone dots are provided to the portion that becomes the protrusion 6. In short, when looking at the plan view, when the stem 51 (upper stem 511) at the front end of the hull body 11 is used as a reference point, the outer peripheral edge 61 of the protrusion 6 is oriented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reference point. It is formed in a roughly circular arc shape that is convex.

바꿔 말하면,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선체 본체 (11) 의 선수 부분의 주변에 가상 원호 (V1) 를 설정했을 경우에, 돌출부 (6) 의 외주 가장자리 (61) 는 가상 원호 (V1) 를 따른 형상이 된다. 가상 원호 (V1) 는, 가상의 원호로서 실체를 수반하지 않는다. 여기서, 가상 원호 (V1) 는, 진원의 원호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 등의 비진원의 원호도 포함한다 (도 8 및 도 9 의 예에서는 타원의 원호이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S. 8 and 9, when a virtual arc V1 is set around the bow portion of the hull body 11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outer peripheral edge 61 of the protrusion 6 becomes a shape along the virtual arc (V1). The virtual arc (V1) is a virtual arc and carries no substance. Here, the virtual arc V1 is not limited to a true circular arc, but also includes a non-perfect circular arc such as an ellipse (in the example of FIGS. 8 and 9, it is an elliptical arc).

이와 같이, 돌출부 (6) 는, 선체 본체 (11) 의 좌우 방향 (D3) 의 중앙부 뿐만 아니라, 선체 본체 (11) 의 선수 부분의 전체를 외방 (외측) 으로 연장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요컨대, 돌출부 (6) 는, 선체 본체 (11) 의 전단 뿐만 아니라, 선수 부분의 좌우 방향 (D3) 의 전체에 걸쳐,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돌출부 (6) 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선체 (1) 의 선수 부분이 한층 커지는 것으로서, 갑판 (12) (바우 덱) 을 대폭 확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otrusion 6 has a shape such that not only the central portion of the hull body 11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but also the entire bow portion of the hull body 11 extends outward (outside). In short, the protrusion 6 protrudes forward not only at the front end of the hull main body 11 but also over the entire left and right direction D3 of the bow portion. Therefore, compared to the case without the protrusion 6, the bow portion of the hull 1 becomes larger when viewed from the top, and the deck 12 (bow deck) can be significantly enlarged.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 (10) 은, 선체 본체 (11) 와, 돌출부 (6) 를 구비한다. 선체 본체 (11) 는, 선수 부분에 스템 (51) 을 갖는다. 돌출부 (6) 는, 선체 본체 (11) 의 선수 부분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돌출부 (6) 의 외주 가장자리 (61)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스템 (51)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을 갖는다.In short, the ship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ull main body 11 and a protrusion 6. The hull main body 11 has a stem 51 at the bow portion. The protrusion 6 protrudes fo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bow portion of the hull body 11. The outer peripheral edge 61 of the protrusion 6 has a curved shape that becomes convex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tem 51 when viewed in plan.

이로써, 선수 부분의 갑판 (12)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쉬운 선박 (10) 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승객이 갑판 (12) 의 선수 부분에서 낚시를 하는 경우 등, 보다 많은 승객이 동시에 갑판 (12) 에 설 수 있어, 선박 (10) 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나아가서는, 선박 (10) 의 항주시에, 돌출부 (6) 가 플레어로서 기능함으로써, 물 (물결) 보라가 갑판 (12) 상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 가능해진다. 또, 선박 (10) 의 항행시에, 돌출부 (6) 가 하방으로부터의 풍압을 받음으로써, 선체 본체 (11) 의 선수 부분의 부력을 보조할 수 있어, 선박 (10) 의 활주가 용이해진다. 또한, 선체 본체 (11) 에 대해서는 선수 부분의 좌우 방향 (D3) 의 폭을 넓히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선박 (10) 의 항주시의 선체 본체 (11) 가 받는 물의 저항이 증가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Thereb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ip 10 in which it is easy to secure a sufficient area of the deck 12 in the bow portion. Accordingly, more passengers can stand on the deck 12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when passengers are fishing on the bow portion of the deck 12, and the convenience of the vessel 10 is improved. Furthermore, when the ship 10 is sailing, the protrusion 6 functions as a flare, thereby preventing water (waves) from entering the deck 12. Additionally, when the ship 10 is sailing, the protruding portion 6 receives wind pressure from below, thereby assisting the buoyancy of the bow portion of the hull main body 11, making it easier for the ship 10 to glide. In addition, since the width of the hull main body 1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3 of the bow portion is not widened, an increase in the water resistance received by the hull main body 11 when the ship 10 is sailing can also be suppressed. .

또,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 (6)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D3) 의 중앙부에는, 바우 스프릿 (62) 이 형성되어 있다. 바우 스프릿 (62) 은, 앵커 롤러 등을 장착하기 (의장 (艤裝) 하기) 위한 부위이다. 바우 스프릿 (62) 은, 전방 및 하방을 향하여 개방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상의 오목부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돌출부 (6) 의 두께 (상하 방향 (D1) 의 치수) 는, 바우 스프릿 (62) 에 있어서, 바우 스프릿 (62) 이외의 부위보다 작아진다. 앵커 롤러 등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돌출부 (6) 가 상하 방향 (D1) 으로 관통하도록 돌출부 (6) 의 일부 (바우 스프릿 (62)) 가 절취되고, 이에 의해 생긴 절결부에 앵커 롤러 등이 장착된다.Moreover, as shown in FIG. 10, a bowsprit 62 is form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protrusion 6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The bowsprit 62 is a portion for mounting (decorating) an anchor roller or the like. The bow sprit 62 consists of a rectangular concave portion in plan view that is open toward the front and downward.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6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D1) becomes smaller than the portions other than the bow split 62 in the bow split 62. When attaching an anchor roller, etc., a part of the protrusion 6 (bow split 62) is cut off so that the protrusion 6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D1, and an anchor roller, etc. is attached to the cutout thus made. do.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 (6) 는, 바우 스프릿 (62) 을 포함한다. 그 때문에, 선체 본체 (11) 에 바우 스프릿을 별도로 장착하지 않고, 앵커 롤러 등을 선체 본체 (11) 에 장착 가능해진다. 그리고, 바우 스프릿 (62) 에 대해 좌우 방향 (D3) 의 양측에도 돌출부 (6) 가 존재하기 때문에, 바우 스프릿 (62) 의 양측까지 갑판 (12) (바우 덱) 을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 바우 스프릿 (62) 에 장착되는 설비는, 앵커 롤러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way, in this embodiment, the protrusion 6 includes the bow split 62.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mount an anchor roller or the like on the hull main body 11 without separately mounting the bowsprit on the hull main body 11. And, since the protrusions 6 are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bow split 6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3,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deck 12 (bow deck) to both sides of the bow split 62. Equipment mounted on the bowsprit 62 is not limited to anchor rollers.

또, 도 7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템 (51) (상측 스템 (511)) 의 상단은, 오목부 (63) 를 통하여 돌출부 (6) 에 연결되어 있다. 오목부 (63)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만곡 형상이 되는 곡면상의 패임으로 이루어진다. 요컨대, 스템 (51) 과 돌출부 (6) 의 경계 부위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만곡 형상이 되는 오목부 (63) 가 형성되어 있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S. 7 and 10 , the upper end of the stem 51 (upper stem 511)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6 through the concave portion 63. The concave portion 63 is made of a curved depression that has a curved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short, a concave portion 63 that has a curved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m 51 and the protruding portion 6.

이와 같은 오목부 (63)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선박 (10) 의 항주시에, 돌출부 (6) 가 플레어로서 기능하기 쉬워져 물 (물결) 보라가 갑판 (12) 상에 침입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억제 가능해진다. 또한, 만곡 형상의 오목부 (63) 에 의해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예를 들어, 선박 (10) 의 항행시에, 돌출부 (6) 가 하방으로부터의 풍압 및/또는 수압을 받아도, 돌출부 (6) 의 파손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By forming such a concave portion 63, the protruding portion 6 can easily function as a flare during navigation of the ship 10, effectively preventing water (waves) from entering the deck 12. Suppression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the curved concave portion 63 makes it difficult for stress concentration to occur, so that, for example, when the ship 10 is sailing, even if the protruding portion 6 receives wind pressure and/or water pressure from below, the protruding portion 6 (6) Damage becomes less likely to occur.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 (6) 의 좌우 방향 (D3) 의 치수 (W1) 는, 돌출부 (6) 의 선체 본체 (11) 로부터의 돌출량 (W2) 보다 크다. 여기서, 돌출부 (6) 의 선체 본체 (11) 로부터의 돌출량 (W2) 은, 스템 (51) 으로부터의 돌출부 (6) 의 전방으로의 돌출량, 요컨대 스템 (51) 으로부터 돌출부 (6) 의 전단까지의 거리에 의해 나타낸다. 요컨대, 돌출부 (6) 는, 선체 본체 (11) 의 좌우 방향 (D3) 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 (6) 의 좌우 방향 (D3) 의 치수 (W1) 는, 좌우 방향 (D3) 에 있어서의 선체 본체 (11) 의 전체 폭과 대략 동일하다. 그 때문에, 돌출부 (6) 의 좌우 방향 (D3) 의 치수 (W1) 는, 돌출부 (6) 의 선체 본체 (11) 로부터의 돌출량 (W2) 에 비해 충분히 크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the dimension W1 of the protrusion 6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is larger than the amount W2 of the protrusion 6 protruding from the hull main body 11. . Here, the protruding amount W2 of the protruding portion 6 from the hull body 11 is the forward protruding amount of the protruding portion 6 from the stem 51,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6 from the stem 51. It is expressed by the distance to. In short, since the protrusion 6 is formed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hull body 11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the dimension W1 of the protrusion 6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is )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overall width of the hull main body 11 in . Therefore, the dimension W1 of the protrusion 6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is sufficiently large compared to the amount W2 of the protrusion 6 protruding from the hull main body 11.

이로써, 선체 본체 (11) 의 선수 부분의 대부분에 돌출부 (6) 가 형성되게 되어, 선박 (10) 의 항주시에, 돌출부 (6) 가 플레어로서 기능하기 쉬워져 물 (물결) 보라가 갑판 (12) 상에 침입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억제 가능해진다. 또, 선박 (10) 의 항행시에, 선체 본체 (11) 의 좌우 방향 (D3) 의 전체 폭에 걸쳐 돌출되는 돌출부 (6) 가 하방으로부터의 풍압을 효율적으로 받음으로써, 선체 본체 (11) 의 선수 부분의 부력을 효율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otrusion 6 is formed on most of the bow portion of the hull main body 11, and when the ship 10 is sailing, the protrusion 6 can easily function as a flare, so that the water (wave) is visible on the deck ( 12) Invasion into the bed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In addition, when the ship 10 is sailing, the protrusion 6 that protrudes across the entire width of the hull body 1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3 efficiently receives wind pressure from below, thereby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hull body 11. It can effectively assist with the buoyancy of the bow.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돌출부 (6)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거센 파도 중에서의 항주시에, 선수 부분이 수면 (Lv1) 에 꽂혔을 때의 부력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돌출부 (6) 가 선체 본체 (11) 의 좌우 방향 (D3) 의 광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므로, 선수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 (6) 가 수면 (Lv1) 에 꽂힌 경우, 좌우 방향 (D3) 의 중앙부에만 돌출부가 있는 경우에 비해, 수중에 잠입되는 돌출부 (6) 의 체적이 커진다. 따라서, 돌출부 (6) 에 작용하는 부력은 커져, 선수 부분이 부상하기 쉬워진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protrusion 6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1, for example, when sailing in strong waves, the buoyancy force when the bow part touches the water surface Lv1 An increase can be expected. That is, since the protrusion 6 is formed over a wide area of the hull body 1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3, when the protrusion 6 formed at the bow part is inserted into the water surface Lv1, the central por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3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re is only a protrusion, the volume of the protrusion 6 that submerges in the water becomes larger. Accordingly, the buoyancy force acting on the protrusion 6 increases, making it easier for the bow portion to float.

[3] 선미 부분의 상세[3] Details of the stern section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 (10) 의 선미 부분 (스턴) 의 구성에 대해, 도 12 및 도 13 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stern portion (stern) of the ship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저 외판 (113) 의 선미 부분에 1 쌍의 경사부 (71) 가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경사부 (71) 는, 선저 외판 (113) 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D3) 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1 쌍의 경사부 (71) 의 각각은,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일수록 하방에 위치하도록, 선저의 일부를 수평면에 대해 경사 전방을 향하여 경사시킨 부위이다. 여기서, 1 쌍의 경사부 (71) 는, 추진력 발생부 (23) (도 3 참조) 의 프로펠러 및 키 장치 (3) (도 3 참조) 에 대해, 좌우 방향 (D3) 의 양측에 위치한다.In this embodiment, a pair of inclined portions 71 are formed at the stern portion of the bottom shell plating 113. A pair of inclined portions 71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rear end of the bottom shell plating 113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As shown in FIG. 13, each of the pair of inclined portions 71 is a portion where a part of the bottom of the ship is tilt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so that it is positioned downward toward the rear. Here, the pair of inclined portions 71 are located on both sid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with respect to the propeller of the thrust generating portion 23 (see Fig. 3) and the rudder device 3 (see Fig. 3).

요컨대, 선체 본체 (11) 는, 선미 부분의 선저에 배치되고, 경사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부 (71) 를 추가로 갖는다. 이로써, 선박 (10) 의 항주시의 선수 부분의 떠오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사부 (71) 가 1 쌍 형성되는 것은 필수는 아니며, 예를 들어, 경사부 (71) 는 1 개만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경사부 (71) 는 3 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In short, the hull main body 11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tern portion and further has an inclined portion 71 inclined toward the forward direction. Thereb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rising of the bow portion of the ship 10 when sailing. It is not essential that one pair of inclined portions 71 be formed. For example, only one inclined portion 71 may be formed, or three or more inclined portions 71 may be formed.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체 본체 (11) 의 1 쌍의 선측 외판 (111) 의 선미 부분에는, 너클 라인 (72) 이 형성되어 있다. 너클 라인 (72) 은, 선측 외판 (111) 의 전후 방향 (D2) 의 도중 부위에서 선미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선미를 향함에 따라 상방에 위치하도록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다. 그리고, 너클 라인 (72) 은, 전후 방향 (D2) 을 따라 연장된 단차로서, 당해 단차보다 상방측일수록 좌우 방향 (D3) 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후 방향 (D2) 의 동일 위치에서 보았을 경우, 좌우 방향 (D3) 에 있어서의 1 쌍의 선측 외판 (111) 의 간격은, 너클 라인 (72) 의 하측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너클 라인 (72) 의 상측 부위에서 1 단계 커진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 knuckle line 72 is formed at the stern portion of a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of the ship body 11. The knuckle line 72 extends toward the stern from the middle part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D2 of the side shell plating 111, an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so as to be located upward toward the stern. And, the knuckle line 72 is a step extending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D2 and is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the further upward it is from the step. 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same posi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D2, the gap between the pair of side shell plating 11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3 is based on the lower part of the knuckle line 72, and is equal to the knuckle line. It becomes one step larger in the upper part of (72).

요컨대, 선체 본체 (11) 는, 선미 부분의 현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 (D2) 을 따라 연장되는 너클 라인 (72) 을 추가로 갖는다. 이로써, 선체 본체 (11) 의 선미 부분에 있어서도, 너클 라인 (72) 에서 물 (물결) 보라를 떨어뜨릴 수 있어, 선박 (10) 의 항주시에 있어서의 물의 올라옴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In short, the hull main body 11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tern portion and further has a knuckle line 72 extending along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D2. As a result, even in the stern portion of the ship body 11, water (waves) can be dropped from the knuckle line 72,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rise of water when the ship 10 is sailing.

[4] 그 밖의 세부 구성[4] Other detailed configuration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 (10) 에 있어서의 그 밖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 14 및 도 1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 중의 말풍선 내에는, 선저측에서 본 플랫 킬 (118) 의 전단부 주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Next, other detailed structures of the ship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The balloon in FIG. 14 shows a perspective view around the front end of the flat keel 118 as seen from the bottom.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선체 본체 (11) 는, 플랫 킬 (118) 을 가지고 있다. 플랫 킬 (118) 은, 하측 스템 (512) 을 구성하는 스케그 (117) 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요컨대, 선저의 좌우 방향 (D3) 의 중앙부에는, 핀 킬로서의 스케그 (117) 와 플랫 킬 (118) 이 전후 방향 (D2) 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플랫 킬 (118) 의 전단부 (및 스케그 (117) 의 후단부) 는, 전후 방향 (D2) 에 있어서 비교적 선수 근처의 위치에 있다.In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ship body 11 has a flat keel 118. The flat keel 118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keg 117 constituting the lower stem 512. In short, the skeg 117 and the flat keel 118 as fin keels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front-back direction D2 in the central part of the bottom of the ship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Here, the front end of the flat keel 118 (and the rear end of the skeg 117) is in a position relatively near the bow in the front-back direction D2.

여기서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 본체 (11) 의 트랜섬부로부터, 상측 스템 (511) 을 갑판 (12) 측으로 연장한 가상선 (L1) 과 갑판 (12) 의 교점 (P1) (도 7 참조) 까지의 전후 방향 (D2) (선수미 방향) 의 거리를 10 등분하여, 섹션 SS0 ∼ SS10 을 설정한다. 이들 섹션 SS0 ∼ SS10 은, 섹션 SS0 을 선미측의 단부 (트랜섬부), 섹션 SS10 을 선수측의 단부 (교점 (P1)) 로 하여, 선미측으로부터 순서대로 SS1, SS2, … 로 카운트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플랫 킬 (118) 의 전단부 (및 스케그 (117) 의 후단부) 는, 섹션 SS6 과 섹션 SS7 의 중간 위치(섹션 6.5) 또는 당해 중간 위치보다 선수측에 위치한다.Here, as shown in FIG. 14, the intersection P1 of the deck 12 and the imaginary line L1 extending the upper stem 511 from the transom portion of the hull body 11 toward the deck 12 (FIG. 7 (Reference) Divide the distance in the fore-aft direction (D2) (fore-aft direction) into 10 equal parts, and set sections SS0 to SS10. These sections SS0 to SS10 are sequentially constructed from the stern side, SS1, SS2,... is counted as In this case, the front end of the flat keel 118 (and the rear end of the skeg 117) is locat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section SS6 and section SS7 (section 6.5) or on the bow side rather than the intermediate position.

요컨대, 선체 본체 (11) 는, 스템 (51) 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플랫 킬 (118) 을 갖는다. 플랫 킬 (118) 의 전단부는, 선체 본체 (11) 의 섹션 6.5 이상 (섹션 6.5 나 그것보다 선수측) 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랫 킬 (118) 의 전단부의 위치를, 일반적인 섹션 6 (SS6) 부근에서 선수측으로 시프트시킴으로써, 플랫 킬 (118) 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플랫 킬 (118) 의 전후 방향 (D2) 의 치수 뿐만 아니라, 플랫 킬 (118) 의 좌우 방향 (D3) 의 치수에 대해서도 비교적 크게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랫 킬 (118) 에 설치되는 소나 센서의 진동자를 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플랫 킬 (118) 의 전단부는, 섹션 6.5 이상, 섹션 7 (SS7) 이하의 범위로 설정된다.In short, the hull body 11 has a flat keel 118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tem 51. The front end of the flat keel 118 is arranged at a position above section 6.5 (section 6.5 or the bow side thereof) of the hull body 11. In this way, by shifting the position of the front end of the flat keel 118 from the vicinity of general section 6 (SS6) to the bow side, it becomes possible to secure the flat keel 118 to a large extent. It is possible to secure a relatively large size not only in the front-back direction D2 of the flat keel 118 but also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of the flat keel 118. As a result, it becomes easy to secure installation space for the oscillator of the sonar sensor installed on the flat keel 118. More preferably, the front end of the flat keel 118 is set in the range of section 6.5 or more and section 7 (SS7) or less.

또, 플랫 킬 (118) 은, 전후 방향 (D2) 에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그 후단부가 선미측으로 연장 형성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특히, 섹션 2 (SS2) 와 섹션 3 (SS3) 사이의 위치로부터 선미측에 걸쳐서는, 플랫 킬 (118) 은, 선미측을 향하여 서서히 선저 외판 (113) 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작게 하면서 선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플랫 킬 (118) 의 후단부는, 경사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테이퍼면을 가지고 있다 (도 3 참조). 플랫 킬 (118) 의 후단부가 선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선체 본체 (11) 의 항주시의 옆으로 미끄러짐이 억제되기 쉬워져, 직진 안정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선체 본체 (11) 에 있어서, 추진 장치 (2) 의 동력원 (21) 및 동력 전달부 (22) 등을 수용하는 공간을, 플랫 킬 (118) 의 분만큼 벌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Additionally, the flat keel 118 has a shape in which the rear end extends toward the stern so as to have sufficient length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D2. In particular, from the position between section 2 (SS2) and section 3 (SS3) to the stern side, the flat keel 118 extends toward the stern side while gradually reducing the amount of protrusion from the bottom shell plating 113 toward the stern side. It is formed. In other words, the rear end of the flat keel 118 has a tapered surface that slopes diagonally downward (see Fig. 3). Since the rear end of the flat keel 118 extends toward the stern, sideways slipping of the hull main body 11 during sailing is easily suppressed,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straight-line stability. In addition,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space in the hull main body 11 for accommodating the power source 21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 of the propulsion device 2 can be expanded to the size of the flat keel 118.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체 (1) 의 좌우 방향 (D3) 의 치수 (전체 폭) 와 전후 방향 (D2) 의 치수 (전체 길이) 의 관계에 대해, 전체 길이에 대한 전체 폭의 비율을 크게 설정한다. 이로써, 선체 (1) 의 항주시의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mension (overall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and the dimension (overall length)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D2) of the hull 1, the ratio of the overall width to the overall length is increased. Set it. Thereby, the stability of the hull 1 during sailing can be expect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갑판 (12) 은, 선수 부분의 외주부에 상승부 (122) 를 가지고 있다. 상승부 (122) 는, 선수 부분의 갑판 (12), 요컨대 돌출부 (6) 의 상면을 구성하는 갑판 (12) 에 형성되어 있고, 상승부 (122) 이외의 부위에 비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승부 (122) 는, 갑판 (12) 의 외주 가장자리 (돌출부 (6) 의 외주 가장자리 (61)) 에 가까워질수록 상방에 위치하도록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다.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5, the deck 12 has a raised portion 122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w portion. The raised portion 122 is formed on the deck 12 in the bow portion, that is, the deck 12 constitu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6, and has a shape that protrudes upward compared to parts other than the raised portion 122. Consists of. Here, the raised portion 122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so that it is positioned upward as it approaches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deck 12 (outer peripheral edge 61 of the protruding portion 6).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 (10) 은, 선체 본체 (11) 및 돌출부 (6)의 상면을 구성하는 갑판 (12) 을 구비한다. 갑판 (12) 은, 돌출부 (6) 의 외주 가장자리 (61) 를 따라 상승부 (122) 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돌출부 (6) 상의 갑판 (12) 에 서는 사람이 캐스팅시 등에 상승부 (122) 에 발을 딛음으로써, 발밑에 힘이 들어가기 쉬워진다. 상승부 (122) 는, 선수 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선미 부분에도 형성되어도 된다.In short, the ship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deck 12 that constitutes the upper surface of the hull main body 11 and the protrusion 6. The deck 12 has a raised portion 122 along the outer peripheral edge 61 of the protrusion 6.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when a person standing on the deck 12 on the protrusion 6 steps on the raised portion 122 when casting, force is likely to be applied under the feet. The raised portion 122 is not limited to the bow portion, and may be formed, for example, also in the stern portion.

[5] 변형예[5] Variation example

이하, 실시형태 1 의 변형예를 열거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 가능하다.Hereinafter, modifications of Embodiment 1 are listed. The modifications described below can be applied in appropriate combination.

선박 (10) 은, 플레저 보트에 한정되지 않고, 화물선 및 화객선 등을 포함하는 상선, 터그보트 및 샐비지선 등을 포함하는 작업선, 기상 관측선 및 연습선 등을 포함하는 특수선, 어선, 그리고 함정 등이어도 된다. 또한, 선박 (10) 은, 조종자가 탑승하는 유인 타입에 한정되지 않고, 사람 (조종자) 이 원격 조작 가능하거나, 또는 자율 운항 가능한 무인 타입의 선박이어도 된다.Vessel (10) is not limited to pleasure boats, but also includes merchant ships including cargo ships and passenger ships, work ships including tugboats and salvage ships, special ships including weather observation ships and practice ships, fishing ships, and ships. etc. may also be used. In addition, the ship 10 is not limited to a manned type in which a pilot rides, and may be an unmanned type that can be operated remotely by a person (pilot), or can operate autonomously.

또, 동력원 (21) 은, 디젤 엔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가솔린 엔진 또는 모터 (전동기)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선박 (10) 은, 예를 들어, 엔진 및 모터 등과 같이 복수 종류의 동력원 (21) 을 갖는 하이브리드식의 추진 장치 (2)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동력 전달부 (22) 는, 복수 종류의 동력원 (21) 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합성하여, 추진력 발생부 (23) 에 전달한다.In addition, the power source 21 is not limited to a diesel engin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gasoline engine or a motor (electric motor). Additionally, the ship 10 may be equipped with a hybrid propulsion device 2 having multiple types of power sources 21, such as engines and motors,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 synthesizes power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types of power sources 21 and transmits it to the thrust generation unit 23.

또, 돌출부 (6) 가, 바우 스프릿 (62) 을 포함하는 것은 필수의 구성은 아니고, 바우 스프릿 (62) 은 생략되어도 된다. 스템 (51) 과 돌출부 (6) 의 경계 부위에, 측면에서 보았을 때 만곡 형상이 되는 오목부 (63) 가 형성되어 있는 것도 필수의 구성은 아니다. 또한, 돌출부 (6) 의 좌우 방향 (D3) 의 치수가, 돌출부 (6) 의 선체 본체 (11) 로부터의 돌출량보다 큰 것도, 선박 (10) 에 있어서 필수의 구성은 아니다.In addition, it is not essential that the protrusion 6 includes the bow split 62, and the bow split 62 may be omitted. It is not essential that a concave portion 63 that is curved when viewed from the side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m 51 and the protruding portion 6. In addition, it is not an essential configuration for the ship 10 that the dimension of the protrusion 6 in the left-right direction D3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6 from the hull main body 11.

또, 플랫 킬 (118) 의 전단부가, 선체 본체 (11) 의 섹션 6.5 이상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은 필수는 아니고, 플랫 킬 (118) 의 전단부가, 선체 본체 (11) 의 섹션 6.5 미만의 위치 (선미측) 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선체 본체 (11)가, 선미 부분의 선저에 경사부 (71) 를 갖는 것은 필수는 아니고, 경사부 (71) 는 적절히 생략 가능하다. 또, 선체 본체 (11) 가, 선미 부분의 현측에 너클 라인 (72) 을 갖는 것은 필수는 아니고, 너클 라인 (72) 은 적절히 생략 가능하다. 갑판 (12) 의 상승부 (122) 에 대해서도 필수의 구성은 아니고, 적절히 생략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not essential that the front end of the flat keel 118 is located at a position above section 6.5 of the hull body 11, and the front end of the flat keel 118 is located at a position below section 6.5 of the hull main body 11. It may be placed at the stern side. In addition, it is not essential that the ship body 11 has an inclined portion 71 at the bottom of the stern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71 may be omitted as appropriate. In addition, it is not essential that the hull main body 11 has a knuckle line 72 on the side of the stern portion, and the knuckle line 72 can be omitted as appropriate. The rising portion 122 of the deck 12 is also not an essential component and can be omitted as appropriate.

6 : 돌출부
10 : 선박
11 : 선체 본체
12 : 갑판
51 : 스템
61 : (돌출부의) 외주 가장자리
62 : 바우 스프릿
63 : 오목부
71 : 경사부
72 : 너클 라인
118 : 플랫 킬
122 : 상승부
D3 : 좌우 방향
W1 : 돌출부의 좌우 방향의 치수
W2 : 돌출부의 선체 본체로부터의 돌출량
6: protrusion
10: ship
11: Hull body
12: deck
51: stem
61: outer edge (of protrusion)
62 : Bow Sprit
63: concave portion
71: inclined portion
72: Knuckle line
118: Flat Kill
122: rising part
D3: Left and right direction
W1: Dimens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rotrusion
W2: Amount of protrusion from the hull body

Claims (8)

선수 부분에 스템을 갖는 선체 본체와,
상기 선체 본체의 상기 선수 부분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의 외주 가장자리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스템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을 갖는, 선박.
A hull body having a stem at the bow portion,
Provid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fo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bow portion of the hull body,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protrusion has a curved shape that becomes convex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tem when viewed in pla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바우 스프릿을 포함하는, 선박.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includes a bowspri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과 상기 돌출부의 경계 부위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만곡 형상이 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선박.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vessel in which a concave portion having a curved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is formed at a boundary portion of the stem and the protrus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본체는, 상기 스템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플랫 킬을 추가로 갖고,
상기 플랫 킬의 전단부는, 상기 선체 본체의 섹션 6.5 이상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hull body further has a flat keel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tem,
A ship, wherein the front end of the flat keel is disposed at a position above section 6.5 of the hull body.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본체는, 선미 부분의 선저에 배치되고, 경사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부를 추가로 갖는,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hip body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tern portion and further has a slanted portion inclined toward the stern forward.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본체는, 선미 부분의 현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너클 라인을 추가로 갖는,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hip body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tern portion and further has a knuckle line extending along the fore-aft direction.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본체 및 상기 돌출부의 상면을 구성하는 갑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갑판은, 상기 돌출부의 상기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상승부를 갖는,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deck constitu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ull body and the protrusion,
and the deck has a raised portion along the peripheral edge of the protrusion.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좌우 방향의 치수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선체 본체로부터의 돌출량보다 큰,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ship wherein the left-right dimension of the protrusion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from the hull main body.
KR1020230003924A 2022-03-17 2023-01-11 Ship KR2023013602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43094A JP2023137083A (en) 2022-03-17 2022-03-17 ship
JPJP-P-2022-043094 2022-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020A true KR20230136020A (en) 2023-09-26

Family

ID=8800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3924A KR20230136020A (en) 2022-03-17 2023-01-11 Ship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137083A (en)
KR (1) KR20230136020A (en)
CN (1) CN11676741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9714A (en) 2015-02-27 2016-09-05 ヤンマー株式会社 Small shi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9714A (en) 2015-02-27 2016-09-05 ヤンマー株式会社 Small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37083A (en) 2023-09-29
CN116767416A (en)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3450B2 (en) Boat hull design
US8276534B2 (en) Boat
US5544607A (en) Moveable sponsons for hydrofoil watercraft, including both large entended-performance hydrofoil watercraft and leaping personal hydrofoil watercraft
US8459198B2 (en) Bouyant hull extension providing lateral and longitudinal control for lightweight hulls
US9108710B1 (en) Pontoon boat
US20150259033A1 (en) Trimaran having outriggers with propulsors
KR100415770B1 (en) Planing vessel
US7434523B2 (en) Speedboat hull design
US4458622A (en) Boat having a variable hull configuration
US20140158037A1 (en) Trimaran having outriggers with propulsors
US20140373769A1 (en) Watercraft hull
US5076190A (en) Small watercraft
US20220009601A1 (en) Watersports System and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e and Dismantling
US10144487B1 (en) Collapsible high-performance multi-hulled watercraft for use in a variety of settings
US4304190A (en) Ferry boat
KR20230136020A (en) Ship
WO2011053980A2 (en) Combination catamaran and v-hull
Sahoo Principles of Marine Vessel Design: Concepts and Design Fundamentals of Sea Going Vessels
US5549066A (en) Triangular boat hull apparatus
JPS62125984A (en) Small jet propulsion vessel
JP7265676B1 (en) Caterpillar-propelled high-speed boat
US20060254486A1 (en) Winged hull for a watercraft
US3063068A (en) Boat construction
JP3216139U (en) Structure of small high-speed pleasure boat
JP3213421U (en) Trimar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