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150A - A mobile robot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mobile robot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150A
KR20230133150A KR1020220030337A KR20220030337A KR20230133150A KR 20230133150 A KR20230133150 A KR 20230133150A KR 1020220030337 A KR1020220030337 A KR 1020220030337A KR 20220030337 A KR20220030337 A KR 20220030337A KR 20230133150 A KR20230133150 A KR 20230133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area
water
water supply
robot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3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승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0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3150A/en
Publication of KR20230133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150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a learning proce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05D1/027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using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물을 보유하는 물통을 수용하는 본체; 청소 구역의 바닥과 닿으며 회전하며 상기 본체의 이동 및 습식 청소를 수행하는 회전맙 모듈; 설정된 물 공급량에 따라 상기 회전맙 모듈에 물을 주수하는 펌프; 및 상기 청소 구역을 복수의 소 영역으로 분할하는 맵을 작성하고, 상기 소 영역마다 설정되는 상기 물 공급량에 따라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소하는 영역의 정보를 학습 또는 입력 받아, 각 영역별로 최적화된 물 공급을 통해 더욱 효율적인 청소가 가능하다. 또한, 청소하는 영역의 정보를 학습하여, 청소 전 및 청소 중 물 부족 여부를 예측함으로써, 공급되는 물 양을 제어하고, 사용자 알람을 수행하여 최적화된 습식 청소를 제공할 수 있다.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ccommodating a water tank holding water; a rotating mop module that rotates in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cleaning area and moves the main body and performs wet cleaning; a pump for injecting water into the rotation map module according to a set water supply amount; and a control unit that creates a map dividing the cleaning area into a plurality of small areas and controls the pump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amount set for each small area. Therefore, more efficient cleaning is possible through learning 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area being cleaned and supplying water optimized for each area. In addition, by learning information about the area being cleaned and predicting whether there will be a water shortage before and during clean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can be controlled and a user alarm can be issued to provide optimized wet cleaning.

Description

이동 로봇 및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A MOBILE ROBOT AND A SYSTEM HAVING THE SAME}Mobile robot and system including same {A MOBILE ROBOT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로봇, 구체적으로 로봇 청소기 및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물걸레 로봇 청소기 및 그에 따른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robot, specifically a robot vacuum cleaner and a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wet mop robot cleaner and its control technology.

로봇 응용 분야는 계속적으로 확대되어, 의료용 로봇, 우주 항공 로봇 등이 개발되고,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로봇도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로봇 중에서 자력으로 주행이 가능한 것을 이동 로봇이라고 한다. The field of robot applications continues to expand, with medical robots, aerospace robots, etc. being developed, and household robots that can be used in general homes are also being created. Among these robots, those that can travel on their own are called mobile robots.

가정에서 사용되는 이동 로봇의 대표적인 예는 로봇 청소기이다.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mobile robot used at home is a robot vacuum cleaner.

로봇 청소기에 구비된 여러 센서를 통하여 로봇 청소기 주변의 환경 및 사용자를 감지하는 여러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또한, 로봇 청소기가 스스로 청소 구역을 학습하여 맵핑하고, 맵 상에서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청소 구역을 기설정된 방식으로 주행하며 청소하는 로봇 청소기가 알려져 있다.Various technologies are known for detecting the environment and users around a robot cleaner through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robot cleaner. Additionally, technologies are known in which a robot cleaner learns and maps the cleaning area on its own and determines the current location on the map. A robot vacuum cleaner that cleans a cleaning area by traveling in a preset manner is known.

또한, 종래 기술에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구역의 외곽을 주행하는 벽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패턴 주행을 수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a technology is disclosed in which a user travels in a zone to be cleaned on his own while driving in a zigzag pattern along a wall running on the outskirts of the zone.

한편, 습식 청소를 위한 로봇 청소기는 펌프를 통해 주기적으로 물을 청소포에 공급하면서 주행하며 청소를 수행한다.Meanwhile, a robot cleaner for wet cleaning performs cleaning while traveling while periodically supplying water to the cleaning cloth through a pump.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특정 구역의 습식 청소를 수행하기 위하여는 현재 물 양과 공급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In this way, in order to continuously perform wet cleaning of a specific area,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current water amount and supply amount.

이에 따라, 종래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KR2016-0149998A 호에는 물걸레 로봇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물을 공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물걸레 로봇청소기의 주행 동작과 무관하게 물공급 및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Accordingly, as a prior art, Korean registered patent KR2016-0149998A discloses a wet mop robot cleaner and explains a method of supplying water. However, this prior art describes a method of controlling water supply and the amount of supplied water regardless of the running motion of the wet mop robot vacuum cleaner.

또한, 종래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KR2017-0059132A 호에는 물펌프 기능을가지는 로봇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지면과 물걸레가 접촉하면 에어 펌프에서 물을 공급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In addition, as a prior art, Korean registered patent KR2017-0059132A discloses a robot cleaner with a water pump function, and discloses a technology for supplying water from an air pump when a wet mop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은 물을 어떻게 공급하는지 기계적인 방법에 대하여 연구되어 왔다.In this way, the prior art has studied mechanical methods for supplying water.

그러나, 로봇 청소기가 진화하면서, 청소 구역의 맵핑이 가능해지고, 청소 구역의 면적이 예상 가능해짐에 따라 필요한 물 량과 급수량이 계산 가능해짐에 따라, 구체적인 주행과 관련된 물 공급 방법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However, as robot vacuum cleaners evolve, mapping of the cleaning area becomes possible, the area of the cleaning area becomes predictable, and the amount of water and water supply required can be calculated. As such, there is a need to discuss water supply methods related to specific driving. This is coming to the fore.

여기에, 근래 활용되는 물걸레 로봇 청소기는 어플리케이션과 융합되어 사용자가 물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Here, the recently used wet mop robot cleaner is integrated with an application and is set to allow the user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이와 같이 설정되어 있는 물 공급량은 청소 중 사용자가 다시 변경하지 않으면, 청소가 끝날 때까지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고정된 상태이다. 그러나 청소 공간의 바닥 환경은 하나의 재질로만 구성되는 경우보다 강화마루, 대리석, 타일, 시공매트, 장판 등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영역을 청소할 때, 균일한 물 공급량으로는 최적화된 습식 청소가 불가능하다.The water supply amount set in this way is fixed to be supplied consistently until cleaning is completed, unless the user changes it again during cleaning. However, since the floor environment of the cleaning space is composed of more complex materials such as laminate flooring, marble, tiles, construction mats, and flooring than when it is composed of only one material, wet cleaning is optimized with a uniform water supply when cleaning each area. is impossible.

한국 공개 특허 KR2018-0052883A 호 (공개일자: 2018년 5월 21일)Korean public patent KR2018-0052883A (publication date: May 21, 2018) 한국 공개 특허 KR2018-0025795A 호 (공개일자: 2018년 3월 9일)Korean public patent KR2018-0025795A (publication date: March 9, 2018)

제1 과제는 사용자의 다양한 집안 환경을 학습하여 각 청소 구역에 따라 물공급량을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first task is to provide a robot vacuum cleaner that can learn the user's various home environments and adjus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according to each cleaning area.

제2 과제는 물걸레 청소를 시작하기 전에, 청소 중 물 부족 여부를 예상함으로써, 물 보충을 알람하거나 물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second task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that can alarm for water replenishment or adjust the amount of water supply by predicting whether there will be a water shortage during cleaning before starting mop clean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물을 보유하는 물통을 수용하는 본체; 청소 구역의 바닥과 닿으며 회전하며 상기 본체의 이동 및 습식 청소를 수행하는 회전맙 모듈; 설정된 물 공급량에 따라 상기 회전맙 모듈에 물을 주수하는 펌프; 및 상기 청소 구역을 복수의 소 영역으로 분할하는 맵을 작성하고, 상기 소 영역마다 설정되는 상기 물 공급량에 따라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ccommodating a water tank holding water; a rotating mop module that rotates in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cleaning area and moves the main body and performs wet cleaning; a pump for injecting water into the rotation map module according to a set water supply amount; and a control unit that creates a map dividing the cleaning area into a plurality of small areas and controls the pump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amount set for each small area.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하여 자동 물 공급량 제어 모드가 설정되면, 현재 상기 물통의 잔여 물 양에 대하여 선택된 각각의 상기 소 영역에 대한 상기 물 공급량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control mode is set for the cleaning area, the controller may set the water supply amount for each selected small area with respect to the current remaining water amount in the water tank.

상기 제어부는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소 영역의 면적, 청소 히스토리 및 상기 소 영역의 바닥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소 영역의 물 공급량을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erform machine learning to se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small area by reflecting the area of the small area, the cleaning history, and the floor condition of the small area.

상기 제어부는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선택된 복수의 소 영역에 대한 전체 이동거리와 상기 잔여 물 양을 반영하여 상기 소 영역의 물 공급량을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erform machine learning to se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a plurality of selected small areas by reflecting the total travel distance and the remaining amount of water for the selected small areas.

상기 제어부는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각각의 상기 소 영역에 가중치를 설정하고, 상기 가중치를 상기 물 공급량을 산출할 때 반영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erform machine learning to set a weight for each small area and reflect the weight when calculating the water supply amount.

상기 로봇 청소기는 외부로부터 청소 구역에 대한 복수의 소 영역에 대하여청소 순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청소 순서에 따라 진입하는 각 소 영역에서 상기 자동 물 공급량 조절을 위한 머신 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cleaning order for a plurality of small areas of the cleaning area from the outside, and can perform machine learning to automatically adjust the water supply amount in each small area entered according to the cleaning order. .

상기 로봇 청소기는 각 소 영역에서 주기적으로 상기 자동 물 공급량 조절을 위한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물 공급량을 보정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may correct the water supply amount by periodically performing machine learning to automatically adjust the water supply amount in each small area.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맵을 작성하기 위한 선행 청소를수행하고,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맵 상에서 상기 청소 구역을 기능별로 소정의 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may perform preliminary cleaning to create a map of the cleaning area and perform machine learning to divide the cleaning area into predetermined small areas by function on the map.

상기 로봇 청소기는 외부로부터 상기 소 영역에 대한 각각의 상기 물 공급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상기 청소 구역을 청소하는 일반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general mode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each small area from the outside and cleans the cleaning area accordingly.

상기 제어부는 청소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물통의 잔여 물 양과 선택된 상기 소 영역에 기반하여 설정되어 있는 상기 물 공급량으로 청소 시에 물 부족 상황이 발생할지 예측하고, 결과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When a cleaning command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can predict whether a water shortage situation will occur during cleaning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remaining i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upply amount set based on the selected small area, and transmit the result to the outsid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와 통신하며, 청소 공간에 대한 물 공급량 정보를 포함하는 청소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청소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청소 제어 명령에 따라 청소 공간에 대한 맵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청소 공간의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청소기는 물을 보유하는 물통을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 바닥면에 배치되어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이동 및 습식 청소를 수행하는 회전맙 모듈; 설정된 물 공급량에 따라 상기 회전맙 모듈에 물을 주수하는 펌프; 및 상기 맵 상에서 상기 청소 구역을 복수의 소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소 영역마다 설정되는 상기 물 공급량에 따라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시스템을 제공한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 robot cleaner is installed, and a user executes the application to communicate with the robot cleaner and transmits a cleaning control command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leaning space. terminal; And a robot cleaner that receives the cleaning control comman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application, generates a map of the cleaning space according to the cleaning control comm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s cleaning of the cleaning space. The robot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accommodating a water tank holding water; a rotation mop modul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o move and wet clean the main body through rotational movement; a pump for injecting water into the rotation map module according to a set water supply amount; and a control unit that divides the cleaning area into a plurality of small areas on the map and controls the pump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amount set for each small area.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맵 상에서 각각의 상기 소 영역에 대하여 물 공급량을 각각 선택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에 전송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may select a water supply amount for each small area on the map and transmit the selected water supply amount to the robot cleaner.

상기 제어부는 청소가 시작되면, 상기 물통의 잔여 물 양과 선택된 상기 소 영역에 기반하여 설정되어 있는 상기 물 공급량으로 청소 시에 물 부족 상황이 발생할지 예측하고,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When cleaning begins, the control unit predicts whether a water shortage situation will occur during cleaning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remaining i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upply amount set based on the selected small area,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user terminal.

상기 로봇 청소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하여 자동 물 공급량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현재 상기 물통의 잔여 물 양에 대하여 선택된 각각의 상기 소 영역에 대한 상기 물 공급량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of the robot cleaner receives an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control command for the cleaning area from the user terminal, the water supply amount for each selected small area may be set for the current remaining water amount in the water tank. .

상기 제어부는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소 영역의 면적, 청소 히스토리 및 상기 소 영역의 바닥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소 영역의 물 공급량을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erform machine learning to se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small area by reflecting the area of the small area, the cleaning history, and the floor condition of the small area.

상기 제어부는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선택된 복수의 소 영역에 대한 전체 이동거리와 상기 잔여 물 양을 반영하여 상기 소 영역의 물 공급량을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erform machine learning to se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a plurality of selected small areas by reflecting the total travel distance and the remaining amount of water for the selected small areas.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청소 구역에 대한 복수의 소 영역에 대하여 청소 순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청소 순서에 따라 진입하는 각 소 영역에서 상기 자동 물 공급량 조절을 위한 머신 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cleaning order for a plurality of small areas of the cleaning area from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s machine learning to adjust the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in each small area entered according to the cleaning order. You can.

상기 로봇 청소기는 각 소 영역에서 주기적으로 상기 자동 물 공급량 조절을 위한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물 공급량을 보정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may correct the water supply amount by periodically performing machine learning to automatically adjust the water supply amount in each small area.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맵을 작성하기 위한 선행 청소를수행하고,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맵 상에서 상기 청소 구역을 기능별로 소정의 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may perform preliminary cleaning to create a map of the cleaning area and perform machine learning to divide the cleaning area into predetermined small areas by function on the map.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소 영역에 대한 각각의 상기 물 공급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상기 청소 구역을 청소하는 일반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general mode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each small area from the user terminal and cleans the cleaning area accordingly.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하여, 이종의 로봇 청소기가 배치되는 공간에서 이종의 로봇 청소기에 모두 호환가능한 공유 충전대를 제공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that efficiently utilizes space by providing a shared charging station that is compatible with all different types of robot cleaners in a space where different types of robot cleaners are placed.

또한, 청소하는 영역의 정보를 학습 또는 입력 받아, 각 영역별로 최적화된 물공급을 통해 더욱 깨끗한 청소를 가능하다.In addition, by learning 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area being cleaned, cleaner cleaning is possible through optimized water supply for each area.

또한, 청소하는 영역의 정보를 학습하여, 청소 전 및 청소 중 물 부족 여부를 연산함으로써, 공급되는 물 량을 제어하고, 사용자 알람을 수행하여 최적화된 습식 청소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learning information about the area being cleaned and calculating whether there is a water shortage before and during clean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can be controlled and a user alarm can be issued to provide optimized wet clea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를 충전시키는 충전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의 로봇 청소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 실시예의 로봇 청소기에 청소포 포함한 모습을 도시한 입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일 실시예의 로봇 청소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로봇 청소기 시스템에서의 받침판과 충전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맵 작성 청소 모드에서의 로봇 청소기와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은 도 6의 맵 작성 청소 모드에서 학습을 통해 작성하는 청소 맵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8은 로봇 청소기에서의 영역별 물공급량 조절을 제어하는 순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의 제어 순서 상에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습식 청소 시작 시의 로봇 청소기와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의 제어 순서 상에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로봇 청소기에서의 습식 청소 중의 자동 물 공급량 조절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Figure 1 shows a robot cleaner system including a robot cleaner and a charging base for charging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levation view of the robot cleaner of one embodiment of FIG. 1 viewed from the bottom.
FIG. 3 is an elevation view showing the robot cleaner of the embodiment of FIG. 1 including a cleaning cloth.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main components of the robot cleaner of the embodiment of FIG.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charging base in the robot cleaner system of Figure 1.
Figure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user terminal in the map creation cleaning mode.
FIGS. 7A to 7C show cleaning maps created through learning in the map creation cleaning mode of FIG. 6.
Figure 8 is a flowchart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amount adjustment for each region in the robot vacuum cleaner.
Figures 9a to 9c show screens of application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n the control sequence of Figure 8.
Figure 10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user terminal when wet cleaning starts.
Figures 11a to 11c show screens of application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n the control sequence of Figure 10.
Figure 12 is a flowchart showing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control during wet cleaning in a robot vacuum cleaner.

본 설명 전체에 걸쳐 언어적/수학적으로 표현된 대소비교에 있어서, '작거나 같음(이하)'과 '작음(미만)'은 통상의 기술자 입장에서 서로 용이하게 치환가능한 정도이며, '크거나 같음(이상)'과 '큼(초과)'은 통상의 기술자 입장에서 서로 용이하게 치환가능한 정도이며,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치환하여도 그 효과 발휘에 문제가 되지 않음은 물론이다.In the magnitude comparison expressed verbally/mathematically throughout this description, 'less than or equal to (less than)' and 'less than' are easily interchangeable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ordinary technician, and 'greater than or equal to' From the point of view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ore than)' and 'greater than (greater than)' are degrees that can be easily substituted for each other, and of course, even if they are substituted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problem in achieving the effect.

본 발명의 이동 로봇은 스스로 이동이 가능한 로봇을 의미하고, 로봇 청소기 등이 될 수 있다.The mobile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robot that can move on its own, and may be a robot vacuum cleaner or the like.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로봇 청소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robot clea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를 충전시키는 충전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a robot cleaner system including a robot cleaner and a charging base for charging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로봇 청소기(100), 충전대(200) 및 받침판(2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robot cleaner 100, a charging base 200, and a support plate 250.

즉, 하나의 주행 구역으로 구분되는 영역 내에 복수의 로봇 청소기(100)이 배치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00)는 청소포(60)를 포함하는 습식청소 가능한 로봇 청소기(100)일 수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robot cleaners 100 may be placed in an area divided into one driving area.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a robot cleaner 100 capable of wet cleaning and includes a cleaning cloth 60.

이와 같은 로봇 청소기(100)는 공통적으로 해당 주행 구역을 주행하며 할당되어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이 방전되면 충전대(200)와 도킹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Such a robot vacuum cleaner 100 commonly provides assigned services while driving in a corresponding driving area, and when the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is discharged, it can dock with the charging base 200 to charge the battery.

충전대(200)는 도킹하는 로봇 청소기(100)에 맞추어 도킹 신호 및 충전 전압 레벨을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charging base 200 can be provided by adjusting the docking signal and charging voltage level according to the docking robot cleaner 100.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은 상기 로봇 청소기(100)와 충전대(200) 이외에 상기 공유 충전대(200)와 결합하는 받침판(2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robo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plate 250 coupled to the shared charging base 200 in addition to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charging base 200.

습식 청소용 로봇 청소기(100)는 도 1과 같이 각 청소포(90)에 대응하는 영역을 정의하면서 상기 로봇 청소기(100)를 수용할 수 있는 받침판(250)이 요구된다.The wet cleaning robot cleaner 100 requires a support plate 250 that can accommodate the robot cleaner 100 while defining an area corresponding to each cleaning cloth 90, as shown in FIG. 1.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습식청소용 로봇 청소기(100)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for wet clean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의 로봇 청소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 실시예의 로봇 청소기에 청소포 포함한 모습을 도시한 입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일 실시예의 로봇 청소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2 is an elevation view of the robot cleaner of the embodiment of FIG. 1 as seen from below, FIG. 3 is an elevation view of the robot cleaner of the embodiment of FIG. 1 including a cleaning cloth, and FIG. 4 is a view of the robot cleaner of the embodiment of FIG. 1 . This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omponents of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영역 내에서 이동하며, 주행 중에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within an area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loor while traveling.

또한, 로봇 청소기(100)은 충전대(200)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전원을 배터리(미도시)에 저장하여 영역을 주행한다.Additionally, the robot cleaner 100 stores charging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base 200 in a battery (not shown) and travels the area.

로봇 청소기(100)는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감지부(미도시), 360도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획득부(17)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본체(1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미도시)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맙(80), 본체(10)의 이동 및 청소를 보조하는 롤러(89), 충전대(200)로부터 충전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단자(99)를 포함한다.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includes a main body 10 that performs a designated operation, an obstacle detection unit (not shown) disposed i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to detect obstacles, and an image acquisition unit 17 that captures a 360-degree image. Includes. The main body 10 includes a casing (not shown) that forms the exterior and inside a space where the parts constituting the main body 10 are stored, a rotation map 80 that is rotatable, and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and a roller 89 that assists cleaning, and a power terminal 99 through which charging power is supplied from the charging base 200.

회전맙(80)은 케이싱에 배치되고 바닥면을 향해 형성되어 청소포가 탈부착되도록 구성된다. The rotating mop 80 is disposed in the casing and is formed toward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cleaning cloth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회전맙(80)는 제1 회전판(81)과 제2 회전판(82)을 포함하여, 회전을 통해 본체(10)가 영역의 바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The rotation map 80 includes a first rotation plate 81 and a second rotation plate 82, allowing the main body 10 to move along the bottom of the area through rotation.

본 실시예의 로봇 청소기(100)에 사용되는 회전맙(80)의 회전 시, 로봇 청소기(100)이 실제 회전맙의 회전에 비해 이동하지 못하는 슬립이 발생한다. 회전맙은 바닥에 평행한 회전축으로 구동하는 롤링맙이나, 바닥에 거의 수직한 회전축으로 구동하는 회전맙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rotating mop 80 used in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of this embodiment rotates, slip occurs in which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does not move compared to the actual rotation of the rotating mop. The rotating map may include a rolling map driven with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floor, or a rotation map driven with a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loor.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본체(10) 내측에 배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32)와, 물탱크(32)에 저장된 물을 회전맙(80)으로 공급하는 펌프(34)와, 상기 펌프(34)와 물탱크(32) 또는 펌프(34)와 회전맙(80)을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형성하는 연결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water tank 32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 to store water, and a pump 34 that supplies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2 to the rotating mop 80. ) and a connection hose forming a connection passage connecting the pump 34 and the water tank 32 or the pump 34 and the rotary map 80.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한 쌍의 회전맙(80)을 포함하고, 한 쌍의 회전맙(80)을 회전하여 이동한다.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rotating maps 80, and moves by rotating the pair of rotating maps 80.

본체(10)는 회전맙(80)의 제1 회전판(81) 및 제2 회전판(82)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함에 따라 전, 후, 좌, 우로 주행한다. 또한, 본체(10)는 제1 회전판과 제2 회전판(81, 82)이 회전 동작함에 따라, 부착된 청소포에 의해 바닥면의 이물질이 제거되어 습식 청소를 수행한다. The main body 10 travels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as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plates 81 and 82 of the rotation map 80 rotate around the rotation axis. In addition, as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81 and 82 of the main body 10 rotate,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are removed by the attached cleaning cloth to perform wet cleaning.

본체(10)는 제1 회전판(81) 및 제2 회전판(82)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모터(38)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driving unit (not shown) that drives the first rotating plate 81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82.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driving motor 38.

본체(10)의 상면에는 사용자로부터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를 위한 각종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A control panel including a manipulation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various commands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100 from the user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또한, 본체(10)의 전면 또는 상면에는 영상획득부(17)가 배치된다. Additionally, an image acquisition unit 17 is disposed on the front or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영상획득부(17)는 실내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다. 영상획득부(17)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실내 영역에 대한 감시뿐 아니라, 본체(10)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17 captures images of the indoor area. Based on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unit 17, it is possible to not only monitor the indoor area but also detect obstacles around the main body 10.

영상획득부(17)는 소정 각도로 전상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이동 로봇의 전방과 상방을 촬영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17)는 전방을 촬영하는 별도의 카메라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영상획득부(17)는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천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영상획득부(17)는 바닥면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17 is disposed in the forward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can capture images of the front and top of the mobile robot. The image acquisition unit 17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camera that photographs the front. The image acquisition unit 17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to face the ceiling, and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cameras may be provided. Additionall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7 may be separately equipped with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floor surface.

로봇 청소기(100)는 현재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획득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00)은, GPS, UWB를 포함하여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로봇 청소기(100)은 영상을 이용하여 현재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acquisition means (not shown) to obtai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can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including GPS and UWB. Additionally,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can determine its current location using images.

본체(10)에는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되며, 상용 전원과 연결된 충전대(200)에 본체(10)가 도킹되어, 전원 단자(99)가 충전대(200)의 충전 단자(221)와의 접촉을 통해 상용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10)로 공급되는 충전전원에 의해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ain body 10 is equipp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not shown), and the main body 10 is docked on the charging base 200 connected to a commercial power source, so that the power terminal 99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221 of the charging base 200. The battery can be charged by the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main body 10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mmercial power source through contact with .

로봇 청소기(100)를 구성하는 전장 부품들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배터리가 충전된 상태에서 로봇 청소기(100)는 상용 전원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자력 주행이 가능하다.The electr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00 can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and therefore, while the battery is charged, the robot cleaner 100 can run under its own power while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the commercial power sourc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맙(80)은 제1 회전판(81) 및 제2 회전판(82)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3, the rotation map 80 is It includes a first rotating plate 81 and a second rotating plate 82.

제1 회전판(81) 및 제2 회전판(82)은 각각 청소포(91, 92)(90)가 부착될 수 있다. Cleaning cloths 91, 92, and 90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rotating plate 81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82, respectively.

회전맙(80)은 청소포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회전맙(80)는 청소포의 부착을 위한 장착부재가 제1 회전판(81) 및 제2 회전판(82)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맙(80)는 청소포가 부착 및 고정되도록 벨크로, 끼움부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전맙(80)는 청소포가 제1 회전판(81) 및 제2 회전판(82)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보조수단으로 청소포틀(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otating mop 80 is configured so that the cleaning cloth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he rotating mop 80 may be provided with mounting members for attaching a cleaning cloth to the first rotating plate 81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82,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rotating mop 80 may be equipped with Velcro, a fitting member, etc. to attach and secure the cleaning cloth. In addition, the rotating mop 80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pot (not shown) as a separate auxiliary means for fixing the cleaning cloth to the first rotating plate 81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82.

청소포(90)는 물을 흡수하여 바닥면과 마찰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한다. 청소포(90)는 면직물 또는 면혼방 등의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정 비율 이상으로 수분을 함유하며 소정 밀도를 갖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 하며, 그 재질은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청소포(90)는 원형으로 형성된다.The cleaning cloth 90 absorbs water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through friction with the floor surface. The cleaning cloth 90 is preferably made of cotton fabric or cotton blend, but any material that contains moisture above a certain percentage and has a certain density can be used, and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he cleaning cloth 9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청소포(90)의 형태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1 및 제2 회전판(81, 82)의 회전동작을 고려하여, 제1 및 제2 회전판(81, 82)의 회전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청소포(90)는 별도로 구비되는 청소포틀에 의해 원형으로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cleaning cloth 90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 and may be formed in a square, polygon, etc. However, consider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81 and 82,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81 and 82 ) It is desirable to have a shap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Additionally, the cleaning cloth 90 can be changed to a circular shape by using a separately provided cleaning cloth.

회전맙(80)는 청소포(90)가 장착되면, 청소포(90)가 바닥면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회전맙(80)는 청소포(90)의 두께를 고려하며, 청소포(90)의 두께에 따라 케이싱과 제1 회전판과 제2 회전판(81, 82)의 이격거리가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When the rotating mop 80 is equipped with the cleaning cloth 90, the cleaning cloth 90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floor surface. The rotating map 80 takes into account the thickness of the cleaning cloth 90,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asing and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81 and 82 change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cleaning cloth 90.

회전맙(80)는 청소포(90)와 바닥면이 접하도록 케이싱과 회전판(81, 82)의 이격거리를 조정하며, 바닥면을 향해 제1 및 제2 회전판(81, 82)에 압력을 발생시키는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otating map (80) adjust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asing and the rotating plates (81, 82) so that the cleaning cloth (9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oor, and generates pressure on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81, 82) toward the floor. Additional members may be included.

도 4를 참고하면, 로봇 청소기(100)는 회전맙(80)이 회전할 때, 본체(10)의 기준모션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유닛(11)을 더 포함한다. 모션감지유닛(11)은 로봇(10)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자이로센서 또는 로봇 청소기(100)의 가속도값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션감지유닛(11)은 로봇 청소기(100)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엔코더(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robot cleaner 100 further includes a motion detection unit 11 that detects the mo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reference motion of the main body 10 when the rotation map 80 rotates. do. The motion detection unit 11 may further include a gyro sensor that detect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bot 10 or an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an acceleration value of the robot cleaner 100. Additionally, the motion detection unit 11 may use an encoder (not shown) that detects the moving distance of the robot cleaner 100.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회전맙을 회전하고 제어하는 구동 모터(38)에 동력을 제공하고, 구동 모터(38)의 출력 전류를 읽어들여 제어부(15)로 전송하는 회전맙제어부(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provides power to a drive motor 38 that rotates and controls the rotary mop, and a rotary mop control unit that reads the output current of the drive motor 38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5. (16) may be included.

회전맙제어부(16)는 단순한 로직이 구현되어 있는 별도의 칩으로 형성되어 구동 모터(38) 및 노즐과 펌프(34)를 포함하는 회전맙 모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rotation map control unit 16 may be formed as a separate chip with simple logic implemented and placed within the rotation map module including the drive motor 38, nozzle, and pump 34.

이와 같은 회전맙제어부(16)는 제어부(15)의 시작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38)를 회전하기 위한 전류를 전송하고, 설정되어 있는 주기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38)의 출력 전류를 읽어들여 제어부(15)에 전달한다.This rotation map control unit 16 transmits a current to rotate the drive motor 38 according to the start signal of the control unit 15, and reads the output current of the drive motor 38 according to a set cycle.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

제어부(15)는 물탱크(32)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읽어들여 주행 관련, 회전맙 관련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 may read sensing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ensors formed in the water tank 32 and determine driving-related and rotation map-related states.

한편, 로봇 청소기(100)는 청소 구역 내 바닥에 낭떠러지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클리프센서를 포함하는 바닥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프센서는 로봇 청소기(100)의 전방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프센서는 범퍼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obot cleaner 100 may further include a floor detection unit including a cliff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a cliff on the floor within the cleaning area. The cliff sens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placed in the front part of the robot cleaner 100. Additionally, the cliff sens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bumper.

제어부(15)는, 클리프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발광 소자에서 출력된 광이 바닥에서 반사되어 상기 수광 소자에서 수광되는 반사광의 광량에 기초하여 바닥의 재질을 판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f the control unit 15 includes a cliff sensor,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reflected from the floor and the control unit 15 can determine the material of the floor based on the amount of reflected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but is not limited to this. .

통신부(18)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하며, 송신부는 로봇 청소기(100)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과 중앙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수신부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부가 송신하는 정보 또는 수신부가 수신하는 정보는 로봇 청소기의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8)를 통하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 제어부(15)의 판단 결과에 따른 알람 또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8 includes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nd the transmitter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robot cleaner 100 to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central server. The receiving unit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300.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or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eceiver may includ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cleaner. An alarm 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of the control unit 15 can be provided to the server or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8.

제어부(15)는 각종 정보를 처리하고 판단한다. 제어부(15)는 청소 구역을 학습하는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로봇 청소기(100)을 구성하는 각종 구성들의 제어를 통해, 로봇 청소기(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5 processes and judges various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5 may perform information processing to learn the cleaning area. The control unit 15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through control of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00.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제어부(1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방법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제어부(15)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100)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방법의 각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고, 상기 제어방법을 컴퓨터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포함하는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일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5.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100, or may be a robot cleaner 100 including a control unit 15 that performs the control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each step of the control method, or may be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control method on a computer is recorded. Th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obile robot control system that includes both hardware and software.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부(15)는 맵핑 및/또는 현재 위치를 인식하는 등 각종 정보를 처리하고 판단한다. 제어부(15)는 상기 영상 및 학습을 통해 청소 구역을 맵핑하고 현재 위치를 맵 상에서 인식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어부(15)는 슬램(SLAM :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 of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processes and determin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mapping and/or recognizing the current location. The control unit 15 may be equipped to map the cleaning area through the image and learning and recognize the current location on the map. That is, the control unit 15 can perform the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function.

제어부(15)는 회전맙 제어부(16)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5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map control unit 16.

현실의 청소 구역은 맵 상의 청소 구역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청소 구역은 로봇 청소기(100)가 주행 경험이 있는 모든 평면 상의 구역 및 현재 주행하고 있는 평면 상의 구역을 모두 합한 범위로 정의될 수 있다.The cleaning area in reality may correspond to the cleaning area on the map. The cleaning area may be defined as the sum of all areas on the plane in which the robot cleaner 100 has driving experience and areas on the plane in which the robot cleaner 100 is currently driving.

제어부(15)는 모션감지 유닛의 정보를 바탕으로 로봇 청소기(100)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는 회전맙의 회전속도를 바탕으로 로봇 청소기(100)의 현재 또는 과거의 이동속도, 주행한 거리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각 회전맙의 회전 방향에 따라 현재 또는 과거의 방향 전환 과정 또한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파악된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정보를 바탕으로, 맵 상에서 로봇 청소기(100)의 위치가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맵 상에서 로봇 청소기(100)의 위치가 갱신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5 may determine the movement path of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based on information from the motion detection unit.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 can determine the current or past movement speed and distance traveled of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based on the rotation speed of each rotation map, and can determine the current or past movement speed of the robot cleaner 100 based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each rotation map. The direction change process can also be identified.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determined in this way, the loc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on the map may be updated. Additionally, the loc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on the map may be updated using the imag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제어부(15)는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을 제어하고, 설정되는 주행 모드에 따라 회전맙 제어부(16)의 구동을 제어한다. 회전맙 제어부(16)의 주행 모드로서, 지그재그 모드, 엣지 모드, 나선형 모드 또는 복합형 모드 등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5 controls the driving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rotary mop control unit 16 according to the set driving mode. As a driving mode of the rotation map control unit 16, zigzag mode, edge mode, spiral mode, or combined mode can be selectively set.

지그재그 모드는 벽면이나 장애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지그재그로 주행하면서 청소하는 모드로 정의한다. 엣지 모드는 벽면에 붙어서 지그재그로 주행하면서 청소하는 모드로 정의한다. 나선형 모드는 대기 중의 한 곳을 중심으로 일정 영역 내에서 나선형으로 청소하는 모드로 정의한다. The zigzag mode is defined as a mode that cleans while driving in a zigzag manner while being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a wall or obstacle. Edge mode is defined as a mode that sticks to a wall and cleans while traveling in a zigzag motion. Spiral mode is defined as a mode of cleaning in a spiral manner within a certain area centered on one location in the atmosphere.

한편, 제어부(15)는 청소 구역의 맵을 생성한다. 즉, 제어부(15)는 선행 청소를 통해 인식된 위치 및 각 지점에서 획득한 영상 및 바닥감지 유닛(12)과 모션감지 유닛(11)으로부터의 감지 데이터를 수득하여 청소 구역의 맵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각 지점에서 획득한 영상을 상기 맵 상의 각 노드(node)와 매칭시킨다. 획득 영상들은 노드 들에 일대일 대응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5 creates a map of the cleaning area. That is, the control unit 15 can form a map of the cleaning area by obtaining the location recognized through prior cleaning, images acquired at each point, and sensing data from the floor detection unit 12 and the motion detection unit 11. there is. The control unit 15 matches the image acquired at each point with each node on the map. Acquired images can correspond one-to-one to nodes.

또한, 제어부(15)는 작성한 맵 상에서 로봇 청소기(100)의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5 can recogniz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on the created map.

출력부(도시하지 않음)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출력부는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not shown) can inform the user of various information. The output unit may include a speaker and/or display.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4)를 통해,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방법이나, 회전맙(80)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14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The user can set the driving method of the robot cleaner 100 or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map 80 through the input unit 14.

저장부(13)에는 청소 구역의 맵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맵은 로봇 청소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입력된 것일 수도 있고, 로봇 청소기(100)가 스스로 학습을 하여 생성한 것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사용자 단말(300)로는 맵 설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탑재된 리모컨, PDA, 랩탑(laptop), 스마트 폰, 태블렛 등을 예로 들 수 있다.A map of the cleaning are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The map may be input by an external user terminal 300 that can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robot cleaner 10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or may be generated by the robot cleaner 100 through self-learning. there is. In the former case, examples of the user terminal 300 include a remote control, PDA, laptop, smart phone, tablet, etc.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map settings.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은 공유 충전대(200) 및 받침판(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mobil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hared charging base 200 and a support plate 250.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충전 전원 공급부로서의 충전대(200)가 구비되며, 상기 충전대(200)와 결합하면서 로봇청소기(100)의 도킹을 유도하기 위한 받침판(250)을 포함한다.To charge the battery, a charging stand 200 is provided as a charging power supply, and includes a support plate 250 that is coupled to the charging stand 200 and guides docking of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이때, 받침판(250)은 로봇청소기(100)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공 가능하나, 습식청소용의 로봇청소기(100)의 경우, 받침판(250)은 상기 청소포(90)를 위한 별도의 구동부를 포함하면서 제공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250 can be provided individually depending on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but in the case of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for wet cleaning, the support plate 250 is provided while including a separate driving unit for the cleaning cloth 90. possible.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이동 로봇 시스템의 충전대(200) 및 받침판(250)의 결합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the combined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base 200 and the support plate 250 of the mobile robo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도 1의 로봇 청소기 시스템에서의 받침판(250)과 충전대(200)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plate 250 and the charging base 200 in the robot cleaner system of Figure 1.

도 5를 참고하면, 받침판(250)은 충전대(200)와 물리적으로 결합한다.Referring to Figure 5, the support plate 250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charging base 200.

상기 받침판(250)에는 캐스터가이드를 포함하여, 로봇 청소기(100)의 전방 하단에 구비된 캐스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250)은 캐스터가이드를 통해 로봇 청소기(100)을 본체(210)측으로 인도하고, 충전 단자(221)와 전원단자를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접촉하도록 안내한다.The support plate 250 includes a caster guide and can guide the caster provided at the front bottom of the robot cleaner 100. The support plate 250 guides the robot cleaner 100 toward the main body 210 through a caster guide and guides the charging terminal 221 and the power terminal to vertically overlap and contact each other.

충전대(200)는 하나의 공간의 로봇 청소기(100)에 적용 가능한 충전대(200)로서, 로봇 청소기(100)에 적합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모듈(240)을 구비한 본체(210), 상기 본체(210)의 하단에 결합된 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harging base 200 is a charging base 200 that can be applied to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in one space, and includes a main body 210 having a power module 240 for supplying power suitable for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and the main body 210. It may include a plate 220 coupled to the bottom of 210.

상기 플레이트(220)의 상부에 이동로봇(100) 또는 받침판(250)이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The mobile robot 100 or the support plate 250 may physically contact the upper part of the plate 220.

본체(210)는 내부에 전원모듈(2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원모듈(240)은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원모듈(240)은 충전 단자(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급받은 전기를 이동 로봇(100)의 전원 단자(99)에 공급할 수 있다.The main body 210 may have a power module 240 therein. The power module 2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can receive external electricity. The power module 2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221 and can supply supplied electricity to the power terminal 99 of the mobile robot 100.

상기 전원모듈(240)은 상기 충전대(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power module 240 may function as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base 200.

충전대(200)의 본체(210)는 플레이트(220)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부로 돌출하여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동 로봇(100)이 플레이트(220) 상의 받침판(250)을 벗어나 더욱 전진할 때 이탈을 방지하는 벽의 기능을 할 수 있다.The main body 210 of the charging base 20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plate 220 and protrude upward to form a wall. In this case, when the mobile robot 100 leaves the support plate 250 on the plate 220 and moves further forward, it can function as a wall to prevent the mobile robot 100 from leaving.

플레이트(220)는 사각 또는 곡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late 220 may have a square or curved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플레이트(220)의 길이는 이후 플레이트(220)와 결합되는 받침판(25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The length of the plate 220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upport plate 250 that is later combined with the plate 220.

상기 플레이트(220)에는 상기 이동 로봇(100)의 전원 단자(99)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충전 단자(221)를 구비할 수 있다.The plate 220 may be provided with a charging terminal 221 for receiving power by physically contacting the power terminal 99 of the mobile robot 100.

이와 같은 충전 단자(221)는 받침판(250)과 결합하는 결합부(230) 내에 배치 가능하나, 플레이트(220)와 충전대(200)의 본체(210) 사이의 경계부에 별도의 충전 단자(221)를 구비할 수도 있다.Such a charging terminal 221 can be placed within the coupling portion 230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250, but a separate charging terminal 221 is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plate 220 and the main body 210 of the charging base 200. It may also be provided.

상기 플레이트(220)에 형성되는 결합부(230)는 2개의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결합 홈(231)으로 구현 가능하다.The coupling portion 230 formed on the plate 220 can be implemented as two coupling grooves 23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결합 홈(231)의 바닥면에 충전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 단자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충전 단자가 결합 홈(231)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플레이트(220)와 받침판(250)의 돌기(331)가 물리적 결합한 상태에서 이동 로봇(100)이 도킹되면 상기 이동 로봇(100)의 전원 단자(99)가 상기 받침판(250)의 돌기(331)를 관통하며 상기 충전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현 가능하다.A charging terminal that provides charging power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upling groove 231. When the charging terminal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upling groove 231, the plate 220 and the support plate ( When the mobile robot 100 is docked while the protrusion 331 of the mobile robot 250 is physically coupled, the power terminal 99 of the mobile robot 100 penetrates the protrusion 331 of the support plate 250 and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It can be implemented to make contact.

받침판(250)의 일 예로, 원형의 받침판(250)이 제공될 수 있으며, 습식청소용 로봇 청소기(100)의 받침판(250)으로 적용 가능하다.As an example of the support plate 250, a circular support plate 250 may be provided, and can be applied as the support plate 250 of the robot cleaner 100 for wet cleaning.

받침판(250)의 형상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를 기준으로 할 때 다각형의 형상 등으로 하는 단순한 변경을 포함한다.The shape of the support plate 250 is not limited to this, and includes simple changes such as a polygonal shape, based 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로봇청소기(100)는 받침판(250)의 상단에 도킹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원형의 평탄한 면에 로봇청소기(100)이 도킹된다.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is docked at the top of the support plate 250. Referring to Figure 1, a robot vacuum cleaner 100 is docked on a circular flat surface.

받침판(250)은 후방에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100)은 상기 경사면을 올라가 상단으로 향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받침판(250)의 후방 모서리 둘레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plate 250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at the rear.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can climb the slope and head to the top. The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around the rear edge of the support plate 250.

결합부(330)는 전면으로 이동로봇(100)이 도킹되는 공간이며, 평탄하게 형성된다. 결합부(330)의 후면으로는 결합 돌기(331)가 돌출되어 충전대(200)의 플레이트(220)의 결합 홈(231)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330 is a space at the front where the mobile robot 100 is docked, and is formed to be flat. A coupling protrusion 331 protrudes from the rear of the coupling portion 330 and can be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31 of the plate 220 of the charging base 200.

상기 결합부(330)의 결합 돌기(331)는 결합 홈(231)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받침판(250)의 존재를 상기 충전대(200)에 인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다양한 센서모듈의 구성이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upling protrusions 331 of the coupling portion 33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231 to allow the charging base 200 to recognize the presence of the support plate 250. Various sensor module configurations may be provided for this purpos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결합부(330)의 전방은 돌출부를 포함하여, 로봇청소기(100)가 결합부(23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ront of the coupling portion 330 includes a protrusion to prevent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from leaving the coupling portion 230.

돌출부는 원형 받침판(250)의 둘레부를 따라 받침판(250)의 측면부터 받침판(250)의 전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로봇청소기(100)가 결합부(330)를 벗어나서 진입하는 경우에 로봇청소기(100)를 결합부(330)로 정확히 안내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lar support plate 250 from the side of the support plate 250 to the front of the support plate 250. Therefore, when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leaves the coupling portion 330 and enters,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can be accurately guided to the coupling portion 330.

또한, 청소포(90)의 가열을 위한 별도의 가열 유닛(3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 가열유닛(320)과 청소포(90)를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a separate heating unit 320 may be formed for heating the cleaning cloth 90. In addition, the heating unit 320 and the cleaning cloth 90 can be arranged to overlap vertically.

충전 단자(221)는 로봇청소기(100)와 전기적 연결되어 로봇청소기(100) 내부에 배치된 전지를 충전하는 장치로, 본체(210)의 플레이트(220)의 상부 전방에 돌출되고, 본체(210)의 전원모듈(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충전 단자(221)는 플레이트(2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단자(221)는 수직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 한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charging terminal 221 is a device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and charges the battery placed inside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The charging terminal 221 protrudes from the upper front of the plate 220 of the main body 210, and is connected to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module 240. The charging terminal 221 may be placed in front of the plate 220. The charging terminal 221 may be arranged as a left/right pair around the vertical central ax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에서,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부(15)는 사용자 단말(300)과 송수신하며, 청소 시작 명령, 청소 구역의 영역별 물 공급량 설정 및 자동 물 공급량 조절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the mobil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5 of the robot cleaner 100 transmits and receives a cleaning start command, sets the water supply amount for each area of the cleaning area,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water supply amount. Control can be performed, etc.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로봇 청소기의 맵 작성 및 영역별 물 공급량 조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the creation of a map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control of the water supply amount for each area will be described.

도 6은 맵 작성 청소 모드에서의 로봇 청소기와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은 도 6의 맵 작성 청소 모드에서 학습을 통해 작성하는 청소 맵을 나타내는 것이다.FIG.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s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user terminal in the map creation cleaning mode, and FIGS. 7A to 7C show a cleaning map created through learning in the map creation cleaning mode of FIG. 6.

제어부(15)는 맵 작성을 위한 선행 청소를 수행하고 수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청소 구역을 맵핑하며, 맵핑된 지도를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고, 청소 구역을 복수의 소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소 영역에 대한 최적의 물 공급량을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 performs prior cleaning for map creation, maps the cleaning area using the obtained information, processes the mapped map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erminal 300, and divides the cleaning area into a plurality of small areas. You can set the optimal water supply amount for each subarea by dividing it into .

각 순서도들에서 서로 중복되는 내용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Overlapping content in each flowchart is indicat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omitted.

제어방법은 제어부(1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면들의 각 단계와 순서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용 컴퓨터 등에 탑재될 수 있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순서도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The control method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5. Each step of the flowchart drawings of the control method and combinations of the flowchart drawings can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 instructions may be mounted on a general-purpose computer or a special-purpose computer, and the instructions create a means of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step(s).

또한, 몇 가지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in some embodiments it is possible for functions mentioned in the step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e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corresponding function.

도 6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맵 작성을 요청받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S01).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begins with receiving a request to create a map from the user terminal 300 (S01).

상기 로봇 청소기(100)는 동작이 시작되면, 선행 청소를 통하여 청소 구역에 대한 맵핑 진행하여 맵을 생성한다(S10). When the robot cleaner 100 starts operating, it maps the cleaning area through prior cleaning and generates a map (S10).

선행 청소는 청소 구역의 형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청소를 진행할 공간의 크기 및 형태를 파악하기 위한 주행 모드로서, 엣지 모드 또는 지그재그 모드로 주행이 진행될 수 있다.Preliminary cleaning is intended to determine the shape of the cleaning area, and is a driving mode to determine the size and shape of the space to be cleaned. Driving may be performed in edge mode or zigzag mode.

구체적으로 로봇 청소기(100)는 각 감지 유닛으로부터 주변 환경을 감지함으로써 감지 신호를 수집한다(S11).Specifically,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collects a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rom each detection unit (S11).

이와 같이 선행 청소를 수행하고, 이전 청소에서 획득한 감지 신호를 연속적으로 누적하면서, 이전 청소에서 물 공급 관련 데이터 또한 누적한다.In this way, prior cleaning is performed, and while continuously accumulating detection signals obtained from previous cleaning, water supply-related data from previous cleaning is also accumulated.

일 예로, 이와 같은 학습 데이터는 영역 구분, 영역별 면적, 영역별 누적 이동 거리, 영역별 바닥 재질, 영역별 물 공급 횟수, 영역별 물 공급량 등일 수 있다.As an example, such learning data may include region classification, area for each region, cumulative movement distance for each region, floor material for each region, number of times water is supplied for each region, water supply amount for each region, etc.

제어부(15)는 복수회에 걸친 청소 구역의 주행에 대하여 상기 감지 신호를 수득하고, 저장부(13)에 저장하여 축적한다.The control unit 15 obtains the detection signal for driving through the cleaning area multiple times,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3, and accumulates it.

다음으로, 로봇 청소기(100)는 축적된 감지 신호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충전대(200)로 복귀하고 맵 작성을 위한 선행 청소를 종료한다(S12).Next, when the accumulated detection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returns to the charging base 200 and ends preliminary cleaning for map creation (S12).

다음으로, 로봇 청소기(100)는 축적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머신 러닝을 수행하고, 학습 데이터를 추출하여 도 7a와 같이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S13).Next,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can perform machine learning using the accumulated detection signals, extract learning data, and generate a map as shown in FIG. 7A (S13).

이때, 학습 데이터로, 필요 시에 사용자 단말(300)로부터의 정보도 수신할 수 있으며, 서버에서 접근 가능한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다. At this time, as learning data,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300 can also be received when necessary, and data accessible from the server can be received.

이때, 도 7a의 지도는 격자 지도일 수 있으며, 이전 청소에 따른 해당 청소 구역을 소 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고, 각 소 영역의 역할 또는 특징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7b와 같이 기능별로 복수의 소 영역이 분류 가능하며, 각 소 영역에 각 소 영역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소 영역은 침실, 거실, 주방, 복도, 서재 또는 아이방 등으로 분류 가능하며, 각 소 영역에 각 기능을 대표하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p of FIG. 7A may be a grid map, and the cleaning area according to previous cleaning may be divided into small areas and displayed, and the role or characteristics of each small area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7b, a plurality of small areas can be classified by function, and an icon indicating each small area can be set for each small area. At this time, the small areas can be classified into a bedroom, living room, kitchen, hallway, study, or children's room, and icons representing each function can be displayed in each small area.

이와 같은 각 소 영역에는 머신 러닝을 통하여 각 소 영역의 면적 및 청소를 위한 로봇 청소기(100)의 이동 거리가 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이동 거리는 도 7b와 같이 누적 이동 거리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해당 누적 이동 거리에 대한 소 영역의 물 공급 횟수 및 물 공급량도 함께 머신 러닝에 적용된다.In each such small area, the area of each small area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robot cleaner 100 for cleaning may be calcul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this moving distance can be calculated by the cumulative moving distance as shown in FIG. 7b. there is. The number of times water is supplied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n a small area for the corresponding cumulative travel distance are also applied to machine learning.

또한, 각 소 영역의 바닥 재질이 함께 매칭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loor materials of each small area can be matched together.

맵 작성 및 소 영역이 확정되면, 상기 지도를 저장부(13)에 저장하고, 학습 데이터를 저장부(13)에 저장하고 맵 작성을 종료한다(S14). Once the map is created and the small area is confirmed, the map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the learning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and map creation is finished (S14).

이때, 맵 작성 및 소 영역의 확정은 임시 지도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확인 회신을 수신한 후 진행될 수 있다(S16). At this time, map creation and confirmation of the small area can be performed after transmitting the temporary map to the user terminal 300 and receiving a confirmation response from the user terminal 300 (S16).

이와 같은 맵은 도 7a와 같이 작성되어 사용자 단말(300)에서 실행하는 로봇 청소기용 어플리케이션에 전송되어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하다.Such a map can be created as shown in FIG. 7A and transmitted to the robot cleaner application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300 and provided to the user.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서는 도 7c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100)가 배치되어 있는 청소 공간의 맵을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0 may run an application as shown in FIG. 7C to display a map of the cleaning space where the robot cleaner 100 is placed.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도 7c와 같이 표시된 청소 공간의 맵에 대하여 복수의 소 영역에 대한 청소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0 can set a cleaning order for a plurality of small areas on the map of the cleaning space displayed as shown in FIG. 7C.

청소 순서가 설정되면 해당 청소 순서가 로봇 청소기(100)로 전송되고, 로봇 청소기(100)는 설정된 순서에 따라 복수의 소 영역을 주행하면서 습식 청소를 수행한다.When a cleaning order is set, the cleaning order is transmitted to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robot cleaner 100 performs wet cleaning while traveling through a plurality of small areas according to the set order.

또한, 사용자 단말(3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로봇 청소기(100)로 각 영역별 물공급 모드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일반 모드 또는 자동 물 공급 모드 또한 가능하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mode for each area can be changed to the robot cleaner 100 through an application on the user terminal 300, and a normal mode or automatic water supply mode is also possible.

일반 모드의 경우, 각 소 영역에 설정되는 물 공급량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가 회전맙 모듈(80, 81)에 물을 공급하며 해당 소 영역의 습식 청소를 수행하는 것이다.In the normal mode, the robot cleaner 100 supplies water to the rotary mop modules 80 and 81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amount set for each small area and performs wet cleaning of the corresponding small area.

자동 물 공급 모드의 경우, 현재 물통(도시하지 않음)의 잔여 물 양과 청소 공간의 미청소 영역의 면적을 연산하여 최적의 주수량, 즉 펌프(34)로부터 회전맙모듈(80, 81)의 걸레포로 제공되는 거리당 물 배출량을 산출한다.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water supply mode, the amount of remaining water in the current water tank (not shown) and the area of the uncleaned area in the cleaning space a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optimal amount of water, that is, the mop of the rotary mop module (80, 81) from the pump (34). Calculate water discharge per distance served.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특정 소 영역에 대한 자동 물 공급 모드가 선택되면, 현재 물통의 잔여 물 양과 소 영역의 면적에 따라 최적의 주수량을 산출하여 물 공급량으로서 제공하며, 이때, 복수의 소 영역에 대하여 자동 물 공급 모드가 선택되면 복수의 소 영역의 면적을 통합하여 주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When the automatic water supply mode for a specific small area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the optimal water volum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maining water amount in the current water tank and the area of the small area and provided as the water supply amount.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mall areas are provided. When the automatic water supply mode is selected, the amount of water can be calculated by integrating the areas of multiple small areas.

또한, 사용자 단말(300)에서 각 소 영역에 대하여 물 공급량을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현재 물 보유량과 소 영역의 면적을 기초로 물 부족 여부를 연산하여 그에 따른 결과를 미리 알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물 보충 또는 모드 변경을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300 individually sets the water supply amount for each small area, water shortag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current water reserve and the area of the small area, and the result can be alarmed in advance. Depending on the condition, water replenishment or mode change may be induced.

이하에서는 도 7a에 도시되어 있는 맵을 사용자 단말(300)에서 제공받아 해당 청소 구역의 물 공급량을 선택하는 방법을 도 8 및 도 9c를 참고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receiving the map shown in FIG. 7A from the user terminal 300 and selecting the water supply amount for the corresponding cleaning are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C.

도 8은 로봇 청소기(100)에서의 영역별 물공급량 조절을 제어하는 순서도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의 제어 순서 상에서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FIG. 8 is a flow chart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amount adjustment for each region in the robot cleaner 100, and FIGS. 9A to 9C show a screen of an applica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00 in the control sequence of FIG. 8.

도 8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로봇 청소기(100)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맵 정보를 선택한다(S100).Referring to FIG. 8, the user terminal 300 executes an application for the robot cleaner 100 and selects map information (S100).

이에 따라, 도 9a와 같이 앞서 작성된 청소 공간의 맵이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창이 제공된다.Accordingly, an application window is provided in which the map of the cleaning space created previously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9A.

도 9의 맵 상에는 청소 구역이 복수의 소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소 영역의 특징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On the map of Figure 9, the cleaning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mall areas, and icons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mall area are displayed.

사용자는 각 소 영역의 청소 순서를 설정할 수 있으며, 각 소 영역마다의 물 공급량을 개별적으로 설정가능하다.The user can set the cleaning order for each small area, and the water supply amount for each small area can be set individually.

즉, 도 9a의 어플리케이션 창의 도면 하단으로 물 공급 조절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That is, a water supply control button may b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application window of FIG. 9A.

사용자 단말(300)에서 어플리케이션 상의 물 공급 조절 버튼이 선택되면, 도 9b와 같이 물 공급 조절 창으로 이동한다(S110).When the water supply control button on the application is selected on the user terminal 300, the screen moves to the water supply control window as shown in FIG. 9B (S110).

물 공급 조절 창에서, 전체 소 영역을 표시한 맵과 함께 모든 영역 물 공급 조절 버튼과 영역별 물 공급 조절 버튼이 각각 제공된다(S111).In the water supply control window, a map showing the entire small area is provided, along with a water supply control button for all areas and a water supply control button for each area (S111).

모든 영역 물 공급 조절 버튼을 활성화되는 경우, 하단의 바를 이동시켜 각 영역에 이동된 레벨의 물 공급이 모든 소 영역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When the all-area water supply control button is activated, the bar at the bottom can be moved to set the level of water supplied to each area to be supplied across all sub-areas.

한편, 청소 구역 중 특정 소 영역, 일 예로 A 영역에 대한 물 공급량 조절을 수행하는 경우, 하단의 영역별 물 공급량 조절 버튼이 활성화된다.Meanwhile, when adjusting the water supply amount for a specific small area in the cleaning area, for example, area A, the water supply amount adjustment button for each area at the bottom is activated.

이때, 맵 상에서 A 영역을 선택하면, 도 9b와 같이 해당 영역이 선택된 것으로 표시되며, 하단의 완료 버튼을 선택하면 다음 창으로 이동한다(S112).At this time, when area A is selected on the map, the area is displayed as selected as shown in Figure 9b, and when the complete button at the bottom is selected, the screen moves to the next window (S112).

도 9c와 같이 선택한 개별 소 영역에 대한 물 공급 조절 창이 개시된다.As shown in Figure 9c, a water supply control window for the selected individual small area is opened.

개별 소 영역에 대한 물 공급 조절 창은 선택된 개별 소 영역만이 맵 상에서 표시되며, 선택된 영역에 대한 상세 정보(B)가 함께 제공된다(S113).In the water supply control window for individual cow areas, only selected individual cow areas are displayed on the map, and detailed information (B) about the selected area is provided (S113).

이때 상세 정보는 선택된 소 영역의 면적, 바닥 재질, 평균 물 공급량 및 추천 물 공급량과 현재 설정되어 있는 물 공급량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detailed information may include the area of the selected small area, floor material, average water supply amount, recommended water supply amount, and currently set water supply amount.

또한, 하단으로 선택된 소 영역의 물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바가 함께 표시된다.Additionally, a bar that allows you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selected small area is displayed at the bottom.

사용자 단말(300)이 바의 이동으로 현재 선택된 소 영역에 대한 물 공급량이 설정되고, 최하단의 완료 버튼이 선택되면, 다시 도 9b 창으로 이동하고 다른 소 영역이 선택가능한 상태로 표시된다(S114).When the user terminal 300 sets the water supply amount for the currently selected small area by moving the bar and selects the complete button at the bottom, it moves back to the window of FIG. 9B and other small areas are displayed as selectable (S114) .

이와 같은 영역 선택과 각 소 영역에 대한 물 공급량의 개별 설정으로 각 소영역에 대한 물 공급량 설정이 가능하다.By selecting this area and individually setting the water supply amount for each small area, it is possible to set the water supply amount for each small area.

이때, 도 9b에서 영역별 물 공급량 조절 버튼을 비활성화 상태로 선택하면 영열별 물 공급량 조절이 종료된다(S115).At this time, if the water supply amount control button for each region in FIG. 9B is selected to be in the inactive state, the water supply amount control for each zero heat is terminated (S115).

따라서, 지금까지 설정된 각 소 영역에 대한 물 공급량이 저장되어 로봇 청소기(100)에 전달된다.Accordingly, the water supply amount for each small area set so far is stored and delivered to the robot cleaner 100.

로봇 청소기(100)는 설정된 정보에 따라 각 소 영역을 주행하면서 설정되어 있는 물 공급량에 따라 펌프(34)와 노즐을 조절하여 회전맙 모듈(80, 81)에 물을 주수한다.The robot cleaner 100 supplies water to the rotary map modules 80 and 81 by adjusting the pump 34 and the nozzle according to the set water supply amount while traveling in each small area according to the set information.

물 공급량에 따른 펌프와 노즐의 제어는 물 공급량이 강으로 되어 있는 경우, 거리당 주수량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많은 양의 물이 회전맙 모듈(80, 81)에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주수량의 제어는 노즐 및 펌프(34)의 강도와 주기를 설정하여 조절가능하다.Control of the pump and nozzle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amount can be controlled so that a large amount of water is provided to the rotation map modules 80 and 81 by setting the water injection amount per distance to a large amount when the water supply amount is strong. At this time, the water injection amount can be controlled by setting the intensity and cycle of the nozzle and pump 34.

이하에서는 설정되어 있는 물 공급량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의 청소 방법을 설명한다.Below, a cleaning method of the robot cleaner 100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set water supply amount.

도 10은 습식 청소 시작 시의 로봇 청소기(100)와 사용자 단말(3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의 제어 순서 상에서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s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user terminal 300 at the start of wet cleaning, and FIGS. 11A to 11C show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00 in the control sequence of FIG. 10. It is shown.

도 10을 참고하면, 로봇 청소기(100)는 정해진 스케줄링에 따라,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청소 시작 명령에 의해 현재 배치되어 있는 청소 구역의 청소를 준비한다(S200). Referring to FIG. 10, the robot cleaner 100 prepares to clean the currently deployed cleaning area according to a set schedule or by a cleaning start command through an appli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300 (S200).

먼저, 로봇 청소기(100)는 해당 청소 구역의 분할되어 있는 복수의 소 영역에 대하여, 청소 순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201).First, the robot cleaner 100 checks whether the cleaning order is set for the plurality of small areas divided into the corresponding cleaning area (S201).

즉, 사용자 단말(300)은 도 11a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의 로봇 청소기(100)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청소 구역의 맵을 표시하고, 상기 맵 표시 상태에서 물 공급 조절을 선택하면 도 11b의 창으로 이동한다.That is, the user terminal 300 executes the application for the robot cleaner 100 of the user terminal 300 as shown in FIG. 11A, displays a map of the cleaning area, and selects water supply control in the map display state, as shown in FIG. 11B. Go to the window.

상기 도 11b의 어플리케이션 창에서 상기 사용자는 복수의 소 영역에 대하여 청소할 소 영역으로 선택하고, 선택하는 순서가 청소 순서로 지정된다. In the application window of FIG. 11B, the user selects a plurality of small areas to be cleaned, and the selection order is designated as the cleaning order.

한편, 복수의 소 영역의 선택 없이 물 공급 조절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전체 청소 구역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100)의 현재 위치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에서 소정의 순서를 설정한다(S202).Meanwhile, when the water supply control button is selected without selecting a plurality of small areas, the robot cleaner 100 sets a predetermined order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for the entire cleaning area (S202).

이와 같이 로봇 청소기(100)가 청소 순서를 결정하는 경우, 해당 청소 순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은 이와 같은 청소 순서를 어플리케이션의 맵에 아라비아 숫자로서 도 11b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robot cleaner 100 determines the cleaning order, information about the cleaning order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user terminal 300 displays this cleaning order as Arabic numbers on the map of the application. It can be displayed as shown in Figure 11b.

이와 같이, 청소할 소 영역의 선택과 청소 순서가 결정되면, 로봇 청소기(100)는 현재 로봇 청소기(100)의 물통에 잔류하는 물의 양을 측정한다(S203).In this way, when the selection of the small area to be cleaned and the cleaning order are determined, the robot cleaner 100 measures the amount of water currently remaining in the water tank of the robot cleaner 100 (S203).

이와 같은 잔류 물 양의 측정은, 물통에 구비되어 있는 다양한 센서를 통해 감지 가능하다. 일 예로, 수위 센서로서 이미지 센서,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This amount of residual water can be measured using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water tank. For example, an image sensor, an infrared sensor, a pressure sensor, etc. may be applied as a water level sensor.

다음으로, 로봇 청소기(100)는 각 소 영역에 설정되어 있는 각각의 물 공급량에 대하여 이번 청소에 필요한 전체 물 양을 산출한다(S204).Next, the robot cleaner 100 calculates the total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this cleaning for each water supply amount set in each small area (S204).

이는, 각 소 영역의 면적과 그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설정된 물 공급량에 따른 주수량을 곱셈하여 산출 가능하나,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This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area of each small area, the corresponding travel distance, and the water inje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set water supply amount, but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이와 같이 각 소 영역의 필요 물 양을 적산하여 이번 청소에서 필요한 전체 물 양을 산출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total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this cleaning can be calculated by adding up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each small area.

이와 같이 산출된 전체 물 양과 현재 물통의 잔류 물 양을 서로 비교하여 청소중 물 부족이 발생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205).By comparing the total amount of water calculated in this way with the amount of remaining water in the current water tank, it is determined whether water shortage will occur during cleaning (S205).

즉, 산출된 전체 물 양이 잔류 물 양보다 작은 경우, 청소 중 물 부족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기존 설정된 물 공급량에 따라 선택된 소 영역의 청소를 수행한다(S208).That is, if the calculated total water amount is smaller than the residual water amount,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water shortage during cleaning, and cleaning of the selected small area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viously set water supply amount (S208).

한편, 산출된 전체 물 양이 잔류 물 양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청소 중 물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한다(S206).Meanwhile, if the calculated total water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sidual water amount, it is determined that a water shortage will occur during cleaning, and information about this is transmitt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300 (S206).

사용자 단말(300)은 도 11c와 같은 알람 창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물 부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0 may provide water shortage information to the user by displaying an alarm window as shown in FIG. 11C.

이때, 알람 C와 같이 "청소 중 물이 부족하여, 마른걸레 모드로 변경이 예상됩니다. 자동 물 공급 조절 기능을 사용하여 청소하시겠습니까?" 라는 문구와 함께 그에 대한 확인 버튼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in Alarm C, “During cleaning, there is not enough water, so changing to dry mop mode is expected. Do you want to clean using the automatic water supply control function?” A confirmation button can be provided along with the phrase.

이때, 자동 물 공급량 조절 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300)은 자동 물 공급량 조절 요청을 로봇 청소기(100)로 전송한다(S209).At this time, when the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adjustment function is selected,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request for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adjustment to the robot cleaner 100 (S209).

상기 로봇 청소기(100)는 상기 자동 물 공급량 조절 요청을 수신하면, 자동 물 공급량 조절 모드로 진입한다.When the robot cleaner 100 receives the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adjustment request, it enters the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adjustment mode.

구체적으로,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부(15)는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현재 잔류 물 양을 기초로 물 보충이 없는 상태에서 각 소 영역에 설정되어 있는 물 공급량을 소정 비율로 절감하여 모든 영역이 습식 청소 가능하도록 물 공급량을 조절한다(S210).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5 of the robot cleaner 100 performs machine learning to reduc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each small area by a predetermined ratio in the absence of water replenishment based on the current amount of residual water,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each small area by a predetermined ratio. Adjust the water supply to enable wet cleaning (S210).

이때, 변경되는 각 소 영역의 물 공급량은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 비율로 균일하게 감소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바닥의 재질에 따라 또는 각 소 영역의 오염도 히스토리를 함께 머신 러닝하여 비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each small area that is changed may be uniformly reduced at a predetermined rate as described above, but in contrast, the ratio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floor or by machine learning the pollution history of each small area. .

즉, 오염도 히스토리를 참고하여, 특정 소 영역의 오염도가 매우 작은 소 영역의 경우, 제1 임계값으로 물 공급량을 설정할 수 있으며, 제1 임계값은 습식 청소가 유지되는 최소한의 주수량일 수 있다.That is, with reference to the pollution history, in the case of a small area where the pollution level of a specific small area is very small, the water supply amount can be set as the first threshold, and the first threshold may be the minimum water supply at which wet cleaning is maintained. .

한편, 사용자 단말(300)에서 자동 물 공급량 조절 기능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도 로봇 청소기(100)에 전송된다.Meanwhile, if the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control function is not selected in the user terminal 300, information about this is also transmitted to the robot cleaner 100.

로봇 청소기(100)는 자동 물 공급량 조절 기능이 선택되지 않고, 물 보충도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기존에 설정된 물 공급량에 따라 각 소 영역의 청소를 수행하며, 물이 모두 소진되면, 마른 걸레 모드로 전환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300)에 다시 알람할 수 있다.If the automatic water supply adjustment function is not selected and water is not replenished, the robot cleaner 100 cleans each small area according to the previously set water supply amount, and when all water is used up, it returns to dry mop mode. This can be converted and an alarm can be sent back to the user terminal 300.

도 12는 로봇 청소기(100)에서의 습식 청소 중의 자동 물 공급량 조절 모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Figure 12 is a flowchart showing the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adjustment mode during wet cleaning in the robot cleaner 100.

로봇 청소기(100)는 자동 물 공급량 조절 기능이 선택된 경우, 자동 물 공급량 조절 모드로 진입하여, 습식 청소 중에도 주기적으로 물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control function is selected, the robot cleaner 100 enters the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control mode and can periodically adjust the water supply amount even during wet cleaning.

도 12를 참고하면, 로봇 청소기(100)는 청소 시작 명령을 수신하면(S300), 설정된 청소 순서에 따라 또는 연산된 청소 순서에 따라 첫번째 청소 구역인 제1 소 영역으로 이동한다(S310).Referring to FIG. 12, when the robot cleaner 100 receives a cleaning start command (S300), it moves to the first small area, which is the first cleaning area, according to a set cleaning order or a calculated cleaning order (S310).

이때, 자동 물 공급량 조절 기능이 선택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320).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control function is selected (S320).

자동 물 공급량 조절 기능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로봇 청소기(100)는 러닝 머신을 수행하여, 해당 제1 소 영역에 대한 최적의 물 공급량을 산출한다(S360).When the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adjustment function is selected, the robot cleaner 100 performs a treadmill exercise to calculate the optimal water supply amount for the corresponding first small area (S360).

이때, 제1 소 영역에 대한 최적의 물 공급량은 청소를 수행하는 전체 영역에 대한 현재 잔류 물 양을 기초로 산출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optimal water supply amount for the first small area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current amount of residual water for the entire area where cleaning is performed.

특히, 전체 영역의 주행 거리에 대하여 현재 잔류 물 양을 나눔 한 거리당 물 공급량을 평균값으로 산출하고, 상기 평균값에서 각 소 영역의 가중치를 연산하여 각 소 영역에 대한 최적의 물 공급량을 산출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water supply per distance is calculated as the average value by dividing the current amount of residue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stance of the entire area, and the weight of each sub-area is calculated from the average value to calculate the optimal water supply for each sub-area. there is.

이때, 산출되는 각 물 공급량의 총 합은 현재 잔류 물 양을 초과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total sum of each calculated water supply amount does not exceed the current residual water amount.

이와 같이 제1 소 영역에 대한 최적의 물 공급량이 산출되면, 로봇 청소기(100)는 산출된 물 공급량에 따라 주수하면서 제1 소 영역에 습식 청소를 진행한다(S370).When the optimal water supply amount for the first small area is calculated in this way, the robot cleaner 100 performs wet cleaning on the first small area while pouring water according to the calculated water supply amount (S370).

이때, 로봇 청소기(100)는 제1 소 영역의 청소를 진행하면서도 주기적으로 현재 물 공급량의 정확도를 판단하여 물 공급량을 보정한다(S380).At this time, while cleaning the first small area, the robot cleaner 100 periodically determines the accuracy of the current water supply amount and corrects the water supply amount (S380).

일 예로, 로봇 청소기(100)는 제1 소 영역에 대하여 현재까지 청소 완료된 영역의 거리를 연산하고, 현재까지 제1 소 영역에 주수한 물 양을 연산한다.As an example, the robot cleaner 100 calculates the distance of the area that has been cleaned to d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small area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water poured into the first small area so far.

로봇 청소기(100)는 제1 소 영역의 전체 거리에 대하여 현재까지 청소 완료된 영역의 이동 거리비와, 제1 소 영역에 설정된 전체 물 공급량에 대하여 현재까지 실제 공급된 물 주수량의 비율을 각각 연산하고, 두 비율이 동일한지 판단한다.The robot cleaner 100 calculates the ratio of the moving distance of the area that has been cleaned to date to the total distance of the first small area and the ratio of the amount of water actually supplied to date to the total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first small area, respectively. And determine whether the two ratios are the same.

이때, 로봇 청소기(100)는 거리 비율 이외에 면적 비율로도 산출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robot vacuum cleaner 100 can be calculated not only by the distance ratio but also by the area ratio.

이와 같이 두 비율이 동일한 경우, 현재 설정되어 있는 물 공급량이 최적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물 공급량으로 제1 소 영역의 청소를 유지한다.In this case, when the two ratios are the same,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ly set water supply amount is optimal, and cleaning of the first small area is maintained with the corresponding water supply amount.

반면, 두 비율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로봇 청소기(100)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물 공급량에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보정하기 위한 러닝 머신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two ratios are not the same, the robot cleaner 100 determines that the currently set water supply amount needs to be modified, and performs a treadmill to correct this.

즉, 이동한 거리에 대한 소비된 물 양을 환산하여 제1 소 영역에 대한 가중치를 변경할 수 있다.That is, the weight for the first small area can be changed by converting the amount of water consumed to the distance traveled.

이와 같이 변경된 가중치에 따라 제1 소 영역에 대한 물 공급량이 재산출되며, 로봇 청소기(100)는 재산출된 물 공급량에 따라 제1 소 영역의 습식 청소를 연속하여 진행한다.The water supply amount to the first small area is recalculated according to the changed weight, and the robot cleaner 100 continuously performs wet cleaning of the first small area according to the recalculated water supply amount.

한편, 로봇 청소기(100)는 자동 물 공급량 조절 모드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소 영역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물 공급량에 따라 제1 소 영역의 습식 청소를 진행한다(S330).Meanwhile, when the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control mode is not running, the robot cleaner 100 performs wet cleaning of the first small area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amount set for the first small area (S330).

이때, 제1 소 영역의 청소가 완료되면(S340) 설정된 청소 순서에 따라 다름 청소 영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S350), 존재하는 경우, 다음 청소 영역인 제2 소 영역으로 이동하여 제2 소 영역에 대한 자동 물 공급량 조절 모드가 실행되어 있는지 판단을 다시 수행한다.At this time, when cleaning of the first small area is completed (S340), it is determined whether a different cleaning area exists according to the set cleaning order (S350), and if it exists, it moves to the next cleaning area, the second small area. Re-perform judgment to see if the automatic water supply volume control mode is activated.

이와 같이 로봇 청소기(100)가 자동 물 공급량 조절을 수행하는 경우, 청소 순서에 따라 이동하면서 각 소 영역에 대한 최적의 물 공급량을 머신 러닝을 통해 재 산출하고, 해당 소 영역의 청소를 수행하면서 주기적으로 현재 물 공급량에 대한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가중치는 점점 더 정확해지고, 그에 따라 물 공급량은 점점 더 최적화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robot cleaner 100 automatically adjusts the water supply amount, it moves according to the cleaning order, recalculates the optimal water supply amount for each small area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periodically cleans the corresponding small area. By performing corrections to the current water supply, the weights become increasingly accurate, and the water supply can be increasingly optimized accordingly.

따라서, 현재의 잔여 물 양이 부족한 경우에는 자동 물 공급량 조절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주어진 물 양으로 서로 다른 특성의 복수의 소 영역을 각각 최적화된 물 공급량으로 습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current remaining water amount is insufficient, wet cleaning can be performed with a given amount of water and a plurality of small area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each with an optimized water supply amount, by selecting the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control function.

100 : 로봇 청소기
15 : 제어부 13 : 저장부
34: 펌프 80, 81 : 회전맙
200 : 충전대 250 : 받침판
300: 사용자 단말
100: Robot vacuum cleaner
15: control unit 13: storage unit
34: Pump 80, 81: Rotating Mop
200: charging stand 250: support plate
300: User terminal

Claims (20)

물을 보유하는 물통을 수용하는 본체;
청소 구역의 바닥과 닿으며 회전하며 상기 본체의 이동 및 습식 청소를 수행하는 회전맙 모듈;
설정된 물 공급량에 따라 상기 회전맙 모듈에 물을 주수하는 펌프; 및
상기 청소 구역을 복수의 소 영역으로 분할하는 맵을 작성하고, 상기 소 영역마다 설정되는 상기 물 공급량에 따라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 body housing a water tank containing water;
a rotating mop module that rotates in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cleaning area and moves the main body and performs wet cleaning;
a pump for injecting water into the rotation map module according to a set water supply amount; and
A control unit that creates a map dividing the cleaning area into a plurality of small areas and controls the pump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amount set for each small area.
A robot vacuum cleaner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하여 자동 물 공급량 제어 모드가 설정되면, 현재 상기 물통의 잔여 물 양에 대하여 선택된 각각의 상기 소 영역에 대한 상기 물 공급량을 각각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obot cleaner, wherein when the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control mode is set for the cleaning area, the control unit sets the water supply amount for each selected small area relative to the current remaining water amount in the water tan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소 영역의 면적, 청소 히스토리 및 상기 소 영역의 바닥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소 영역의 물 공급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ntrol unit performs machine learning to se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small area by reflecting the area of the small area, cleaning history, and floor condition of the small are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선택된 복수의 소 영역에 대한 전체 이동거리와 상기 잔여 물 양을 반영하여 상기 소 영역의 물 공급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ontrol unit performs machine learning to set the water supply amount for a plurality of selected small areas by reflecting the total moving distance and the remaining amount of water for the selected small area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각각의 상기 소 영역에 가중치를 설정하고, 상기 가중치를 상기 물 공급량을 산출할 때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control unit performs machine learning to set a weight for each small area, and reflects the weight when calculating the water supply amou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외부로부터 청소 구역에 대한 복수의 소 영역에 대하여청소 순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청소 순서에 따라 진입하는 각 소 영역에서 상기 자동 물 공급량 조절을 위한 머신 러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use 5,
The robot cleaner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cleaning order for a plurality of small areas of the cleaning area from the outside, and performs machine learning to automatically adjust the water supply amount in each small area entered according to the cleaning order. A robot vacuum cleaner that do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는 각 소 영역에서 주기적으로 상기 자동 물 공급량 조절을 위한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물 공급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use 6,
The robot clean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rrects the water supply amount by periodically performing machine learning to automatically adjust the water supply amount in each small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맵을 작성하기 위한 선행 청소를수행하고,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맵 상에서 상기 청소 구역을 기능별로 소정의 소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obot cleaner performs preliminary cleaning to create a map of the cleaning area, and performs machine learning to divide the cleaning area into predetermined small areas by function on the m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외부로부터 상기 소 영역에 대한 각각의 상기 물 공급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상기 청소 구역을 청소하는 일반 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obot cleaner further includes a general mode in which the robot cleaner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each small area from the outside and cleans the cleaning area accordingl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청소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물통의 잔여 물 양과 선택된 상기 소 영역에 기반하여 설정되어 있는 상기 물 공급량으로 청소 시에 물 부족 상황이 발생할지 예측하고,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use 9,
The control unit
When a cleaning command is received, a robot cleaner predicts whether a water shortage will occur during cleaning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remaining i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upply amount set based on the selected small area,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outside. .
로봇 청소기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와 통신하며, 청소 공간에 대한 물 공급량 정보를 포함하는 청소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청소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청소 제어 명령에 따라 청소 공간에 대한 맵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청소 공간의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
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청소기는
물을 보유하는 물통을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 바닥면에 배치되어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이동 및 습식 청소를 수행하는 회전맙 모듈;
설정된 물 공급량에 따라 상기 회전맙 모듈에 물을 주수하는 펌프; 및
상기 맵 상에서 상기 청소 구역을 복수의 소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소 영역마다 설정되는 상기 물 공급량에 따라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시스템.
A user terminal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 robot cleaner, executing the application to communicate with the robot cleaner, and transmitting a cleaning control command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leaning space; and
A robot cleaner that receives the cleaning control comman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application, generates a map of the cleaning space according to the cleaning control comm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s cleaning of the cleaning space.
Includes,
The robot vacuum cleaner
a body housing a water tank containing water;
a rotation mop modul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o move and wet clean the main body through rotational movement;
a pump for injecting water into the rotation map module according to a set water supply amount; and
A control unit that divides the cleaning area into a plurality of small areas on the map and controls the pump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amount set for each small area.
A robot vacuum cleaner system includ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맵 상에서 각각의 상기 소 영역에 대하여 물 공급량을 각각 선택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1,
The user terminal selects a water supply amount for each small area on the map and transmits it to the robot clean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청소가 시작되면, 상기 물통의 잔여 물 양과 선택된 상기 소 영역에 기반하여 설정되어 있는 상기 물 공급량으로 청소 시에 물 부족 상황이 발생할지 예측하고,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2,
When cleaning begins, the control unit predicts whether a water shortage situation will occur during cleaning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remaining i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upply amount set based on the selected small area,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user terminal. A robot vacuum cleaner syste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하여 자동 물 공급량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현재 상기 물통의 잔여 물 양에 대하여 선택된 각각의 상기 소 영역에 대한 상기 물 공급량을 각각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3,
When recei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control command for the cleaning area from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of the robot cleaner sets the water supply amount for each selected small area with respect to the current remaining water amount in the water tank. Characterized by a robot vacuum cleaner system.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소 영역의 면적, 청소 히스토리 및 상기 소 영역의 바닥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소 영역의 물 공급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4,
The robot cleaner system, wherein the control unit performs machine learning to se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small area by reflecting the area of the small area, cleaning history, and floor condition of the small are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선택된 복수의 소 영역에 대한 전체 이동거리와 상기 잔여 물 양을 반영하여 상기 소 영역의 물 공급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4,
The robot cleaner system, wherein the control unit performs machine learning to set the water supply amount for the selected small areas by reflecting the total moving distance and the remaining amount of water for the selected small areas.
제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청소 구역에 대한 복수의 소 영역에 대하여 청소 순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청소 순서에 따라 진입하는 각 소 영역에서 상기 자동 물 공급량 조절을 위한 머신 러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5 or 16,
The robot cleaner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cleaning order for a plurality of small areas of the cleaning area from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s machine learning to adjust the automatic water supply amount in each small area entered according to the cleaning order. A robot vacuum clean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는 각 소 영역에서 주기적으로 상기 자동 물 공급량 조절을 위한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물 공급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7,
The robot cleaner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bot cleaner periodically performs machine learning to automatically adjust the water supply amount in each small area to correct the water supply amou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맵을 작성하기 위한 선행 청소를수행하고,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맵 상에서 상기 청소 구역을 기능별로 소정의 소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1,
The robot cleaner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bot cleaner performs preliminary cleaning to create a map of the cleaning area, and performs machine learning to divide the cleaning area into predetermined small areas by function on the map.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소 영역에 대한 각각의 상기 물 공급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상기 청소 구역을 청소하는 일반 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1,
The robot cleaner system further includes a general mode in which the robot cleaner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water supply amount for each small area from the user terminal and cleans the cleaning area accordingly.
KR1020220030337A 2022-03-10 2022-03-10 A mobile robot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KR202301331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337A KR20230133150A (en) 2022-03-10 2022-03-10 A mobile robot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337A KR20230133150A (en) 2022-03-10 2022-03-10 A mobile robot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150A true KR20230133150A (en) 2023-09-19

Family

ID=8819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337A KR20230133150A (en) 2022-03-10 2022-03-10 A mobile robot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3150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795A (en) 2016-08-31 2018-03-09 주식회사 파인로보틱스 Rag for robot vacuum cleaner
KR20180052883A (en) 2016-11-11 2018-05-21 주식회사 나린알앤디 Water case with water supply controller for robot clea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795A (en) 2016-08-31 2018-03-09 주식회사 파인로보틱스 Rag for robot vacuum cleaner
KR20180052883A (en) 2016-11-11 2018-05-21 주식회사 나린알앤디 Water case with water supply controller for robot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79303B (en) Robot cleaner, its control method and robot cleaner system
KR101984101B1 (en)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865041B1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of cleaning thereof
EP3087894B2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22942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CN102551591B (en) Clean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4005747A1 (en) Mobil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08004A (en)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974870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cleaner and robot cleaning system
JP2009509220A (en) Multi-function robot
JP6757593B2 (en) Self-propelled electronic equipment
KR101938668B1 (en)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3584793A (en) Robot vacuum cleaner and self-diagnosing method thereof
CN211022482U (en) Cleaning robot
US11786098B2 (en) AI robot cleaner and robot system having the same
CN112294203B (en) Robot cleaner and robot system
KR20230133150A (en) A mobile robot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JP2016185182A (en) Vacuum cleaner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therefor
KR20200037200A (en) A plurality of robot cleaner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210023649A (en) Robot Clean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N103584795A (en) Robot vacuum cleaner and self-diagnosing method thereof
KR20230137079A (en) A mobile robot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KR102339981B1 (en) AI Robot Cleaner And Robot system having the same
KR20150137643A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0545967A (en) Mobil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