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565A - Earable device with built-in fringing field-based healthcare function - Google Patents

Earable device with built-in fringing field-based healthcare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565A
KR20230130565A KR1020230027561A KR20230027561A KR20230130565A KR 20230130565 A KR20230130565 A KR 20230130565A KR 1020230027561 A KR1020230027561 A KR 1020230027561A KR 20230027561 A KR20230027561 A KR 20230027561A KR 20230130565 A KR20230130565 A KR 20230130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earable
information
fringing field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75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승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비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비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비솔루션
Publication of KR20230130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5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r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프린징 필드 기반의 헬스케어 기능을 내장한 이어러블 기기를 개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러블 기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표면에 형성된 센서 패턴 및 상기 케이스 내에 포함되어, 상기 센서 패턴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인가된 전압에 따라 상기 센서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프린징 필드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감지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troducing an earable device with built-in fringing field-based healthcare functions. An 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se, a sensor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se, and a fringing field formed by the sensor pattern according to the applied voltage. It may include a sensing circuit that detects the wearer's biometric information using , and may be worn on the wearer's ears.

Description

프린징 필드 기반의 헬스케어 기능을 내장한 이어러블 기기{EARABLE DEVICE WITH BUILT-IN FRINGING FIELD-BASED HEALTHCARE FUNCTION}Earable device with built-in fringing field-based healthcare function {EARABLE DEVICE WITH BUILT-IN FRINGING FIELD-BASED HEALTHCARE FUNCTION}

실시예들은 프린징 필드 기반의 헬스케어 기능을 내장한 이어러블 기기와 관련된다.Embodiments relate to an earable device incorporating a fringing field-based healthcare function.

이어러블 기기(earable device)는 귀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기존의 이어러블 기기는 단순히 소리를 전달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점차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의 확대로 인하여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에 건강기능을 탑재한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An earable device may refer to a wearable device worn on the ear. Existing earable devices were mostly used simply to transmit sound. However, due to the gradual expansion of the smart healthcare market, products equipped with health functions in various wearable devices are being developed and distributed.

[선행기술문헌번호] [Prior art document number]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41458호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41458

이어러블 기기 착용시, 이어러블 기기의 케이스 표면에 형성된 센서의 프린징 필드(fringing field)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A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he wearer's biometric information when wearing an earable device using the fringing field of a senso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se of the earable device is provided.

감지된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다양한 헬스케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to check the user's health status by analyzing the detected biometric information and providing various healthcare information.

케이스; 상기 케이스 표면에 형성된 센서 패턴; 및 상기 케이스 내에 포함되어, 상기 센서 패턴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인가된 전압에 따라 상기 센서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프린징 필드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감지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러블 기기를 제공한다.case; A sensor pattern formed on the case surface; And a sensing circuit included in the case, applies a voltage to the sensor pattern, and detects the wearer's biometric information using a fringing field formed by the sensor pattern according to the applied voltage, and the wearer Provides an 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worn on the ear.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감지회로는,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린징 필드 내에 존재하는 대상 피분석물의 변화에 따른 상기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detection circuit includes an oscillator that generates a resonance frequency, and detects the wearer's biometric information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target analyte present in the fringing field. It can be characterized.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오실레이터는 LC(Inductor-Capacitor) 오실레이터 또는 RC(Resistor-Capacitor) 오실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oscillator may include an inductor-capacitor (LC) oscillator or a resistor-capacitor (RC) oscillator.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어러블 기기는 상기 감지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감지회로에서 감지된 생체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감지회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로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earable device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circuit;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biometric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circuit to an external devic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that provides power to the sensing circuit, the control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기기에서 상기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생성한 청각적 정보로서의 헬스케어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이어러블 기기는 상기 청각적 정보로서의 헬스케어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healthcare information as auditory information generated by analyz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arable device receives healthcare information as auditory inform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that outputs.

착용자의 귀에 착용된 이어러블 기기가 수행하는 생체정보 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어러블 기기의 케이스 표면에 형성된 센서 패턴에 전압을 인가하여 프린징 필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린징 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감지 방법을 제공한다.A method of detecting biometric information performed by an earable device worn on a wearer's ear, comprising: forming a fringing field by applying a voltage to a sensor pattern formed on a case surface of the earable device; and detecting the wearer's biometric information using the fringing field.

일측에 따르면, 상기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이어러블 기기가 포함하는 오실레이터를 통해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린징 필드 내에 존재하는 대상 피분석물의 변화에 따른 상기 공진 주파수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step of detect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includes generating a resonance frequency through an oscillator included in the earable device; and measur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a change in the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target analyte present in the fringing field.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생체정보 감지 방법은 상기 감지된 생체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detected biometric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생체정보 감지 방법은 상기 외부 기기에서 상기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생성한 청각적 정보로서의 헬스케어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청각적 정보로서의 헬스케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includes receiving healthcare information as auditory information generated by analyz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it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healthcare information as the auditory information.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a computer device to execute the method on the computer device.

상기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Provided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 method on a computer device is recorded.

이어러블 기기 착용시, 이어러블 기기의 케이스 표면에 형성된 센서의 프린징 필드(fringing field)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When wearing an earable device, the wearer's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detected using the fringing field of the senso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se of the earable device.

감지된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다양한 헬스케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By analyzing the detected biometric information and providing various healthcare information, the user's health status can be check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헬스케어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괄적인 모습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러블 기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프린징 필드의 생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C 오실레이터의 회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C 오실레이터의 회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센서에서 출력하는 주파수와 시간대별로 연속적으로 측정된 혈당 레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mpu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view of a healthcar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reating a fringing f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ircuit of an RC osc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ircuit of an LC osc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graph showing blood sugar levels measured continuously for each frequency and time slot output from th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청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so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encompass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for descrip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stated to the contrary, the description given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o the extent of overlap.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environment in FIG. 1 shows an example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and 140, a plurality of servers 150 and 160, and a network 170. Figure 1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invention, and the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or servers is not limited as in Figure 1.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and 140 may be fixed terminals or mobile terminals implemented with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and 140 include smart phones, mobile phones, navigation devices, computers, laptop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 tablet PCs, game consoles, wearable devices, IoT (internet of things) devices, VR (virtual reality) devices, AR (augmented reality) devices, etc. For example, in FIG. 1, the shape of a smartphone is shown as an example of the electronic device 110. However,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device 110 actually communicates with other devices through the network 170 using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ethod. It may refer to one of various physical computer system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lectronic devices 120, 130, 140 and/or servers 150, 160.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method is not limited, and may include not only a communication method utilizing communication networks that the network 170 may include (e.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red Internet, wireless Internet, broadcasting network, satellite network, etc.), but also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You can. For example, the network 170 may include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local area network (LAN), a campus area network (C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broadband network (BBN). , may include one or more arbitrary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Additionally, the network 170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network topologies including a bus network, star network, ring network, mesh network, star-bus network, tree or hierarchical network, etc. Not limited.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1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서버(160) 역시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2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150)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를 제1 서비스로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60)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배포하는 서비스를 제2 서비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Each of the servers 150 and 160 is a computer device or a plurality of computers that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140 and a network 170 to provide commands, codes, files, content, services, etc. It can be implemented with devices. For example, the server 150 may be a system that provides a first service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and 140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170, and the server 160 also provides a network ( It may be a system that provides a second service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and 140 connected through 170). 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server 150 uses an application as a computer program installed and running o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and 140 to provide the service targeted by the application as a first service to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t can be provided as (110, 120, 130, 140). As another example, the server 160 may provide a service for distributing files for installing and running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and 140 as a second ser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mpu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and 140 described above or each of the servers 150 and 160 may be implemented by the computer device 200 shown in FIG. 2.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is computer device 200 may include a memory 210, a processor 220, a communication interface 230, and an input/output interface 240. The memory 210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include a non-permanent mass storage device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and a disk drive. Here, non-perishable large-capacity recording devices such as ROM and disk drives may be included in the computer device 200 as a separate permanent storage device that is distinct from the memory 210. Additionally, an operating system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10. Thes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210 fro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eparate from the memory 210. Such separat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may includ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such as floppy drives, disks, tapes, DVD/CD-ROM drives, and memory cards. In another embodiment,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21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30 rather tha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memory 210 of computer device 200 based on computer programs installed by files received over network 170.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220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instruction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basic arithmetic, logic, and input/output operations. Commands may be provided to the processor 220 by the memory 210 or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30. For example, processor 220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received instructions according to program code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memory 210.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230 may provide a function for the computer device 200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eg, the storage device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network 170. For example, a request, command, data, file, etc. generated by the processor 220 of the computer device 200 according to a program code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memory 210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 170) and can be transmitted to other devices. Conversely, signals, commands, data, files, etc. from other devices may be received by the computer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30 of the computer device 200 via the network 170. Signals, commands, data, etc.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30 may be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220 or memory 210, and files, etc. may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as described above) that the computer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It can be stored as a permanent storage device).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input/output interface 240 may be a means for interfacing with the input/output device 250. For example, input devices may include devices such as a microphone, keyboard, or mouse, and output devices may include devices such as displays and speakers. As another example, the input/output interface 240 may be a means for interfacing with a device that integrates input and output functions, such as a touch screen. The input/output device 25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device with the computer device 200.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in other embodiments, computer device 200 may include fewer or more components than those of FIG. 2 . However, there is no need to clearly show most prior art components. For example, the computer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input/output devices 250 described above, or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such as a transceiver, a database, etc.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헬스케어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괄적인 모습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정보 제공 시스템(300)은 이어러블 기기(310), 사용자 단말(320) 및 서버(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20) 및 서버(330)는 각각 앞서 설명한 컴퓨터 장치(200)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view of a healthcar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lthca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3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n earable device 310, a user terminal 320, and a server 330. Here, the user terminal 320 and the server 330 may each be implemented based on the computer device 200 described above.

이어러블 기기(310)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로서 일례로, 이어셋이나 이어폰, 헤드셋과 같은 기기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러블 기기(310)는 프린징 필드(fringing field)의 형성을 위한 센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린징 필드는 센서 패턴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어러블 기기(310)는 프린징 필드 영역 내에 존재하는 대상 피분석물의 변화에 따라 이어러블 기기(310)가 포함하는 오실레이터를 통해 생성되는 공진 주파수가 변화하는 것을 감지 및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생체정보를 얻을 수 있다. 프린징 필드에 기반하여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The earable device 310 is a wearable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ears, and may be a device such as an earset, earphone, or headset. At this time, the earable device 31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or pattern for forming a fringing field. The fringing field can be formed by a voltage applied to the sensor pattern, and the earable device 310 uses an oscillator included in the earable device 310 according to changes in the target analyte present in the fringing field area. By detecting and measuring changes in the generated resonance frequency, biometric information about the user can be obtained. The method of acquiring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the fringing fiel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이어러블 기기(310)는 연동된 사용자 단말(320)로 수집한 생체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320)은 사용자 단말(320)에 설치 및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전달된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위한 헬스케어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20)은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33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서버(330)가 제공하는 기능 및/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헬스케어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도 있다.The earable device 310 can transmit the collected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linked user terminal 320.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320 may generate and provide healthcare information for the user by analyz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transmitted under the control of an application installed and run on the user terminal 32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320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330 under the control of the application, and may also generate and provide healthcare information using functions and/or services provided by the server 330. .

또 다른 실시예로, 이어러블 기기(310) 역시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한 컴퓨터 장치(200)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어러블 기기(310)는 이어러블 기기(310)가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서(220)를 통해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위한 헬스케어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어러블 기기(310)는 생성된 헬스케어 정보를 오디오 정보로 변환하여 이어러블 기기(310)가 포함하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어러블 기기(310)는 생성된 헬스케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320)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생성된 헬스케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320)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earable device 310 may also be implemented based on the computer device 200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In this case, the earable device 310 may generate healthcare information for the user by analyzing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the processor 220 that the earable device 310 may include. In this case, the earable device 310 can convert the generated healthcare information into audio information and output it through a speaker included in the earable device 310. As another example, the earable device 310 may transmit the generated healthcar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20 so that the user terminal 320 displays the generated healthcare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서버(330)는 사용자 단말(320)로부터 생체정보를 전달받아 분석하여 헬스케어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320)에서 구동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헬스케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능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320)로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330 receives and analyzes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320 to generate and provide healthcare information, or analyzes biometric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320 to generate healthcare information. The functions for this purpos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20 through an applic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러블 기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의 귀(410)에 착용될 수 있도록 소형화된 이어러블 기기(420)의 특성상 이어러블 기기(420)에는 공간적인 제약이 존재하기 때문에, 센서 패턴(421)은 이어러블 기기(420)의 케이스 표면(422, 케이스의 바깥쪽 표면 및/또는 안쪽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센서 패턴(421)은 LDS(Laser Direct Structure) 공업의 인쇄방식을 적용하여 이어러블 기기(420)의 케이스 표면(422)에 구현함으로써, 공간적인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어러블 기기(420)의 케이스 표면(422)에 형성된 센서 패턴(421)은 이어러블 기기(420)의 착용 시, 귀(410) 안쪽에 밀착하여 프린징 필드의 세기가 증가되는 효과가 기대될 수 있어,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생체정보를 얻을 수 있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earable device 420, which is miniaturized so that it can be worn on the user's ear 410, there are spatial restrictions on the earable device 420, so the sensor pattern 421 is attached to the case of the earable device 420. It may be formed on a surface 422 (the outer surface and/or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For example, the sensor pattern 421 can be implemented on the case surface 422 of the earable device 420 by applying the printing method of the LDS (Laser Direct Structure) industry, thereby minimizing spatial constraints. In addition, the sensor pattern 421 formed on the case surface 422 of the earable device 420 adheres closely to the inside of the ear 410 when the earable device 420 is worn, thereby increasing the intensity of the fringing field. can be expected, through which more accurate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obtained.

대상 피분석물은 생체(living body)와 연관된 물질(material)로서, 생체 물질 또는 분석물(analyte)이라고도 나타낼 수 있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대상 피분석물로서 주로 혈당을 설명하고 있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생체정보는 대상자의 생체 성분과 관련된 정보로서, 예를 들어, 피분석물의 농도, 수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분석물이 혈당인 경우, 생체정보는 혈당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arget analyte is a material associated with a living body and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biological material or analyte. For reference, the following mainly describes blood sugar as the target analyte, but is not limited to this. Meanwhile, biometric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ject's biological component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the concentration and value of the analyte. If the analyte is blood sugar,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include blood sugar levels.

유전율 센서는 상술한 대상 피분석물과 연관된 생체 파라미터(이하,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파라미터로부터 생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파라미터는 유전율 센서를 해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망 파라미터(circuit network parameter)를 나타낼 수 있고,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로 산란 파라미터(scattering parameter)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파라미터로서 예를 들어, 어드미턴스 파라미터, 임피던스 파라미터, 하이브리드 파라미터, 및 전송 파라미터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산란 파라미터의 경우 투과계수 및 반사계수가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상술한 산란 파라미터로부터 산출되는 공진 주파수는 대상 피분석물의 농도와 관련될 수 있고, 생체 센서는 투과계수 및/또는 반사계수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혈당을 예측할 수 있다.The dielectric constant sensor can measure biometric paramet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target analyte described above and determine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measured parameters. In this specification, the parameter may represent a circuit network parameter used to analyze a dielectric constant sensor, 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cattering parameter is mainly described below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dmittance parameters, impedance parameters, hybrid parameters, and transmission parameters may be used as parameters. For scattering parameters, transmission coefficient and reflection coefficient can be used. For reference, the resonance frequency calculated from the above-described scattering parameters may be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analyte, and the biosensor can predict blood sugar by detecting changes in the transmission coefficient and/or reflection coefficient.

유전율 센서는 공진기 조립체(resonator assembly)(예를 들어,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공진기 조립체는 안테나인 예시를 주로 설명한다.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커패시턴스 성분 및 인덕턴스 성분으로 표현될 수 있다.A dielectric constant sensor may include a resonator assembly (eg, an antenna).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resonator assembly is an antenna will mainly be described.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antenna can be expressed as a capacitance component and an inductance component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상술한 수학식 1에서 f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유전율 센서에 포함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 L은 안테나의 인덕턴스, C는 안테나의 커패시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안테나의 커패시턴스 C는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상대 유전율(relative dielectric constant) εr에 비례할 수 있다.In Equation 1 above, f may represent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antenna included in the dielectric constant sensor using electromagnetic waves, L may represent the inductance of the antenna, and C may represent the capacitance of the antenna. The capacitance C of the antenna may be proportional to the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ε r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수학식 2][Equation 2]

안테나의 상대 유전율 εr은 주변의 대상 피분석물의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파가 임의의 유전율을 가지는 물질을 통과하는 경우, 전파 반사 및 산란으로 인해 투과된 전자기파에서 진폭과 위상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유전율 센서 주변에 존재하는 대상 피분석물의 농도에 따라 전자기파의 반사 정도 및/또는 산란 정도가 달라지므로, 상대 유전율 εr도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유전율 센서에 의해 방사된 전자기파에 의한 주변 장(fringing field)로 인해, 유전율 센서와 대상 피분석물 간에 생체 커패시턴스가 형성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대상 피분석물의 농도 변화에 따라 안테나의 상대 유전율 εr이 변하므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도 함께 변화한다. 다시 말해, 대상 피분석물의 농도는 공진 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다.The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ε r of the antenna may be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analyte in the surrounding area. For example, when an electromagnetic wave passes through a material with a random dielectric constant, changes in amplitude and phase may occur in the transmitted electromagnetic wave due to radio wave reflection and scattering. Since the degree of reflection and/or scattering of electromagnetic waves varie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analyte present around the dielectric constant sensor, the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ε r may also vary.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biocapacitance being formed between the dielectric constant sensor and the target analyte due to a fringing field caused by electromagnetic waves radiated by the dielectric constant sensor including the antenna. Since the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ε r of the antenna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analyte,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antenna also changes. In other words, th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analyte may correspond to the resonance frequency.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율 센서는 주파수를 스윕하면서 전자기파를 방사하고, 방사된 전자기파에 따른 산란 파라미터를 측정할 수 있다. 유전율 센서는 측정된 산란 파라미터로부터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며, 결정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혈당 수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처럼, 유전율 센서는 공진 주파수(resonance frequency)의 주파수 천이 정도를 판별함으로써, 생체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dielectric constant sensor radiates electromagnetic waves while sweeping frequencies and measures scattering parameters according to the radiated electromagnetic waves. The dielectric constant sensor determines the resonance frequency from the measured scattering parameters and can estimate the blood sugar leve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esonance frequency. In this way, the dielectric constant sensor can estimate biometric information by determining the degree of frequency shift of the resonance frequency.

이와 유사하게 이어러블 기기(420)에 포함되는 센서는 센서 패턴(421)에 전압을 인가하여 형성되는 프린징 필드 내부의 분석물의 변화에 따른 프린징 필드의 변화를 센서 패턴(421)과 연결되는 오실레이터를 통해 생성되는 공진 주파수가 변화하는 것을 감지 및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생체정보를 얻을 수 있다.Similarly, the sensor included in the earable device 420 detects changes in the fringing field due to changes in the analyte inside the fringing field, which is formed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sensor pattern 421, through a sensor connected to the sensor pattern 421. By detecting and measuring changes in the resonance frequency generated through the oscillator, biometric information about the user can be obtain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이어러블 기기(일례로, 도 3의 이어러블 기기(310) 또는 도 4의 이어러블 기기(420))에 포함될 수 있는 센서(5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패턴(520)과 오실레이터(5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510)의 경우, 실질적으로는 오실레이터(530)가 포함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센서 패턴(520)이 이러한 커패시터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프린징 필드를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오실레이터(530)는 LC(Inductor-Capacitor) 오실레이터 또는 RC(Resistor-Capacitor) 오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sensor 510 that may be included in an earable device (for example, the earable device 310 of FIG. 3 or the earable device 420 of FIG. 4), as shown in FIG. 5, and a sensor pattern 520. ) and an oscillator 530. In the case of the sensor 510, 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ncludes a capacitor included in the oscillator 530. In FIG. 5, the sensor pattern 520 may correspond to such a capacitor and may serve to form a fringing field depending on the applied voltage. The oscillator 530 may include an inductor-capacitor (LC) oscillator or a resistor-capacitor (RC) oscillator.

MUT(Material Under Test, 540)는 유전 상수를 갖는 물질로, 센서 패턴(520)에 의해 형성되는 프린징 필드 내에서 MUT(540)의 유전율의 변화에 따른 프린징 필드의 변화에 따라 오실레이터(530)가 생성하는 공진 주파수가 변화할 수 있다. 센서(510)는 이러한 공진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유전율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유전율의 변화에 따른 생체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MUT (Material Under Test, 540) is a material with a dielectric constant. In the fringing field formed by the sensor pattern 520, the oscillator (530)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fringing field due to the change in dielectric constant of the MUT (540). ) can change the resonant frequency generated. The sensor 510 can measure the change in dielectric constan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resonance frequency,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btain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dielectric constant.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프린징 필드의 생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기판(610)상에, 앞서 도 5를 통해 설명한 센서 패턴(520)으로서의 메탈릭 센서 트레이스(metallic sensor traces, 620)에 발진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프린징 필드가 형성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 6에서는 프린징 필드로서 강한 필드 영역(strong field region), 보통의 필드 영역(moderate field region) 및 약한 필드 영역(weak field region)을 나타내고 있다. 즉, 메탈릭 센서 트레이스(620)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프린징 필드의 강도가 약해짐을 나타내고 있다.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reating a fringing f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a fringing field is formed as an oscillation signal is applied to metallic sensor traces 620 as the sensor pattern 520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on the substrate 610. At this time, FIG. 6 shows a strong field region, a moderate field region, and a weak field region as fringing fields. That is, as the distance from the metallic sensor trace 620 increases, the intensity of the fringing field becomes weaker.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C 오실레이터의 회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C 오실레이터의 회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ircuit of an RC osc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ircuit of an LC osc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오실레이터는 피드백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선택 필터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RC 오실레이터는 필터가 저항(R)과 커패시터(C)의 네트워크로 구성된 일종의 피드백 오실레이터이다. 이때, 오실레이터에 사용되는 커패시터는 프린징 필드를 생성하는 프린징 필드 커패시터일 수 있다. 일례로, 인터 디지트 전극 유형 커패시터(inter digited electrode type capacitor)가 사용될 수 있다.Oscillator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selection filter used in the feedback network, and the RC oscillator is a type of feedback oscillator whose filter consists of a network of a resistor (R) and a capacitor (C). At this time, the capacitor used in the oscillator may be a fringing field capacitor that generates a fringing field. For example, an inter digited electrode type capacitor may be used.

오실레이터는 주로 sub-MHz 주파수 범위에서 낮은 주파수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응답 신호에 필요한 위상 편이를 발생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는 RC 네트워크로 구성된 RC 오실레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RC 네트워크는 발진하는 정현파 전압을 생성하는 포지티브 피드백을 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종류의 오실레이터는 우수한 주파수 강도, 저잡음 및 지터를 가지고 있다. 회로에 전원이 공급되면 노이즈 전압이 발진을 시작하고, RC 네트워크는 출력 신호를 180° 위상 편이하고 입력으로 다시 공급하면서 회로에 지속적인 발진이 발생하게 된다.Oscillators can be used to generate low frequencies, mainly in the sub-MHz frequency range, and RC oscillators consisting of an RC network can be used to generate the required phase shift in the response signal. RC networks can be used to achieve positive feedback, generating oscillating sinusoidal voltages, and this kind of oscillator has excellent frequency strength, low noise and jitter.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ircuit, the noise voltage begins to oscillate, and the RC network phase-shifts the output signal by 180° and feeds it back to the input, causing continuous oscillation in the circuit.

LC 오실레이터는 인덕터(L)와 커패시터(C)로 구성되어 탱크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오실레이터는 고주파 발진에 적합하나, 저주파에서는 필요한 인덕턴스를 소형 폼 팩터에서 달성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센서에 사용되는 오실레이터에서는 RC 오실레이터를 지칭할 수 있으나, LC 오실레이터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The LC oscillator is composed of an inductor (L) and a capacitor (C) to form a tank circuit. This type of oscillator is suitable for high-frequency oscillations, but at low frequencies the required inductance is difficult to achieve in a small form factor. Therefore, the oscillator used in th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an RC oscillator, but the use of an LC oscillator is not excluded.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센서에서 출력하는 주파수와 시간대별로 연속적으로 측정된 혈당 레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는 센서 출력 주파수와 그에 따른 혈당(blood glucose) 레벨을 나타내고 있다. 센서는 즉각적인 혈당 수준에 대한 지속적인 주파수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필요 시, 추적, 예측, 평균화 필터를 사용하여 고주파 노이즈 및 변동을 제거할 수 있다. 이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모두에서 구현될 수 있다.Figure 9 is a graph showing blood sugar levels measured continuously for each frequency and time slot output from th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ph shows the sensor output frequency and the corresponding blood glucose level. The sensor can provide a continuous frequency output for immediate blood sugar levels. If necessary, tracking, prediction, and averaging filters can be used to remove high-frequency noise and fluctuations. This can be implemented in both hardware and software algorithms.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최근 들어 보급률이 증가되고 있는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스케어 이어러블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어러블 기기의 착용 시, 이어러블 기기는 이어러블 기기의 케이스 표면에 형성된 센서 패턴을 통해 형성되는 프린징 필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어러블 기기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감지된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다양한 헬스케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mart healthcare earable device with healthcare functions that have recently been increasing in popularity. When a user wears an earable device, the earable device can detect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using a fringing field formed through a sensor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se of the earable device. In addition, the user's health status can be checked by analyzing biometric information detected by the earable device or user terminal and providing various healthcare information.

프린징 필드 기반의 센서는 RC 오실레이터 및/또는 LC 오실레이터를 통해 공진 주파수의 시간별 변화량을 생체정보로서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생체정보를 분석한 분석 결과로서 평상시 사용자의 다양한 헬스케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습관 및 운동의 개선 방향을 제시할 수도 있다.A fringing field-based sensor can detect the time-dependent change in resonance frequency as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an RC oscillator and/or LC oscillator,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such biometric information, various healthcare information of the user is normally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By providing it through a display device, the user's health status can be checked, and through this, directions for improving eating habits and exercise can also be suggested.

또한 이어러블 기기 사용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헬스케어 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다양한 헬스케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알림 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를 제공하거나 및/또는 주치의나 가까운 병원으로 헬스케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질병에 따른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hecking the user's health status when using the earable device, if the healthcare information is outside the various pre-set healthcare ranges, it provides a warning to the user through a notification function and/or provides healthcare information to the attending physician or a nearby hospital. It can prevent the risk of user disease.

또한, 다양한 헬스케어 정보를 병원과 연계하여 담당의사가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원격진료를 통한 사용자의 기본건강정보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by linking various healthcare information with hospitals, it will be possible for the doctor in charge to monitor the user's health status in real time and use it as the user's basic health information through telemedicine.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러블 기기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러블 기기(1000)는 착용자의 귀에 착용될 수 있으며, 센서 패턴(1010), 감지회로(1020), 제어부(1030), 통신부(1040), 전원부(1050) 및 출력부(1060)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able device 10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worn on the wearer's ear, and includes a sensor pattern 1010, a detection circuit 1020, a control unit 1030, a communication unit 1040, a power unit 1050, and an output unit ( 1060).

센서 패턴(1010)은 이어러블 기기(1000)의 케이스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감지회로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프린징 필드를 형성할 수 있다.The sensor pattern 1010 may be formed on the case surface of the earable device 1000 and may form a fringing field depending on the voltage applied through the sensing circuit.

감지회로(1020)는 케이스 내에 포함되어 센서 패턴(1010)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인가된 전압에 따라 센서 패턴(1010)에 의해 형성되는 프린징 필드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회로(1020)는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오실레이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LC 오실레이터 또는 RC 오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회로(1020)는 프린징 필드 내에 존재하는 대상 피분석물의 변화에 따른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circuit 1020 is included in the case and can apply a voltage to the sensor pattern 1010, and can detect the wearer's biometric information using the fringing field formed by the sensor pattern 1010 according to the applied voltage. You can. At this time, the sensing circuit 1020 may include an oscillator that generates a resonant frequency. The oscillator may include an LC oscillator or an RC oscillator as previously described. In this case, the sensing circuit 1020 can detect the wearer's biometric information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target analyte present in the fringing field.

제어부(1030)는 감지회로(10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제어부(1030)는 감지회로(1020)뿐만 아니라, 통신부(1040)와 전원부(1050), 출력부(1060)의 동작까지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3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tection circuit 1020. In fact, the control unit 1030 can control the operations of not only the sensing circuit 1020, but also the communication unit 1040, the power unit 1050, and the output unit 1060.

통신부(1040)는 감지회로(1020)에서 감지된 생체정보를 외부 기기(106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기기(1070)는 앞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320)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기기(1070)는 전송된 생체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착용자에 대한 헬스케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외부 기기(1070)는 앞서 도 3을 통해 설명한 서버(330)를 통해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헬스케어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기기(1070)는 헬스케어 정보를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외부 기기(1070)는 시각적 정보로 생성된 헬스케어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외부 기기(1070)는 청각적 정보로 생성된 헬스케어 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청각적 정보로 생성된 헬스케어 정보는 이어러블 기기(1000)로 전달되어 이어러블 기기(1000)가 포함하는 출력부(1060)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어러블 기기(1000)의 통신부(1040)는 외부 기기(1070)에서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청각적 정보로서의 헬스케어 정보를 외부 기기(107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부(1060)는 청각적 정보로서의 헬스케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06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기기(1070)는 헬스케어 정보를 통해 착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거나 또는 착용자의 보호자나 의료진에게 헬스케어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착용자에게 제공하는 알림은 착용자가 이어러블 기기(100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이어러블 기기(1000)의 출력부(1060)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헬스케어 정보의 보호자나 의료진으로의 전송은 서버(330)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040 may transmit biometric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circuit 1020 to the external device 1060. The external device 1070 may correspond to the user terminal 320 described above. This external device 1070 can generate healthcare information about the wearer by receiving and analyzing transmitted biometric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external device 1070 may generate healthcare information by analyzing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33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Additionally, the external device 1070 can provide healthcare information to the wearer. Fo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1070 may display healthcare information generated as visual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As anothe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1070 may output healthcare information generated from auditory information through a speaker. At this time, healthcare information generated as auditory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earable device 1000 and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060 included in the earable device 100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040 of the earable device 1000 may receive healthcare information as auditory information generated by analyzing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1070.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1060 can output healthcare information as auditory information. Here, the output unit 1060 may include a speaker. As already described, the external device 1070 may provide notifications to the wearer through healthcare information or transmit healthcare information to the wearer's guardian or medical staff. The notification provided to the wearer may be made through the output unit 1060 of the earable device 1000 when the wearer is wearing the earable device 1000. Meanwhile, transmission of healthcare information to guardians or medical staff may be accomplished through the server 330.

전원부(1050)는 감지회로(1020), 제어부(1030), 통신부(1040) 및 출력부(1060)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감지회로(1020)가 센서 패턴(1010)에 인가하는 전압의 전력 소스가 전원부(1050)일 수 있다.The power unit 1050 may provide power to the detection circuit 1020, the control unit 1030, the communication unit 1040, and the output unit 1060. Previously, the power source of the voltage applied by the detection circuit 1020 to the sensor pattern 1010 may be the power supply unit 1050.

출력부(1060)는 기본적으로 이어러블 기기(1000)의 기존 기능(음악 감상, 통화 등을 위한 기능)을 위해 존재하는 스피커일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진동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출력부(1060)는 진동을 통해 착용자에게 헬스케어 정보와 관련된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output unit 1060 may basically be a speaker that exists for existing functions of the earable device 1000 (functions for listening to music, making calls, etc.), but may also include a motor for vibra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1060 may provide notifications related to healthcare information to the wearer through vibra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감지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감지 방법은 착용자의 귀에 착용된 이어러블 기기(1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이어러블 기기(1000)의 제어부(10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어러블 기기(1000)의 동작은 제어부(1030)의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라 제어부(1030)의 프로세서에 의해 이어러블 기기(1000)가 포함하는 감지회로(1020), 통신부(1040) 및 전원부(1050)가 제어됨에 따라 구현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Figure 11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performed by the earable device 1000 worn on the wearer's ears.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030 of the earable device 10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nd memory.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earable device 1000 is performed by the processor of the control unit 1030 according to the code of the computer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of the control unit 1030, including the detection circuit 1020 and the communication unit ( 1040) and the power unit 1050 can be interpreted as being implemented by being controlled.

단계(1110)에서 이어러블 기기(1000)는 이어러블 기기의 케이스 표면에 형성된 센서 패턴(1010)에 전압을 인가하여 프린징 필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귀에 착용될 수 있도록 소형화된 이어러블 기기(1000)의 특성상 이어러블 기기(1000)에는 공간적인 제약이 존재하기 때문에, 센서 패턴(1010)은 이어러블 기기(1000)의 케이스 표면(케이스의 바깥쪽 표면 및/또는 안쪽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센서 패턴(1010)은 LDS 공업의 인쇄방식을 적용하여 이어러블 기기(1000)의 케이스 표면에 구현됨으로써, 공간적인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어러블 기기(1000)의 케이스 표면에 형성된 센서 패턴(1010)은 착용자가 이어러블 기기(1000)를 착용한 경우, 착용자의 귀 안쪽에 밀착함에 따라 프린징 필드의 세기가 증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생체정보를 얻을 수 있다.In step 1110, the earable device 1000 may form a fringing field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sensor pattern 1010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se of the earable device. As already explained, due to the nature of the earable device 1000, which is miniaturized so that it can be worn on the wearer's ear, there are spatial restrictions on the earable device 1000, so the sensor pattern 1010 is used in the case of the earable device 1000. It may be formed on a surface (outer surface and/or inner surface of the case). For example, the sensor pattern 1010 is implemented on the surface of the case of the earable device 1000 by applying the printing method of LDS Industries, thereby minimizing spatial constraints. In addition, the sensor pattern 1010 formed on the case surface of the earable device 1000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intensity of the fringing field as i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wearer's ear when the wearer wears the earable device 1000. can be expected, and through this, more accurate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obtained.

단계(1120)에서 이어러블 기기(1000)는 프린징 필드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단계(11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1121 및 1122)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1120, the earable device 1000 may detect the wearer's biometric information using the fringing field. In one embodiment, step 1120 may include steps 1121 and 1122 as shown in FIG. 11 .

단계(1121)에서 이어러블 기기(1000)는 이어러블 기기(1000)가 포함하는 오실레이터를 통해 공진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오실레이터는 감지회로(1020)에 포함될 수 있으며, LC 오실레이터 또는 RC 오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러블 기기(1000)는 이러한 오실레이터를 통해 공진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 In step 1121, the earable device 1000 may generate a resonance frequency through an oscillator included in the earable device 1000. This oscillator may be included in the sensing circuit 1020 and may include an LC oscillator or an RC oscillator. The earable device 1000 can generate a resonant frequency through this oscillator.

단계(1122)에서 이어러블 기기(1000)는 프린징 필드 내에 존재하는 대상 피분석물의 변화에 따른 공진 주파수의 변화에 기초하여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앞서 공진 주파수(resonance frequency)의 주파수 천이 정도를 판별함으로써, 생체정보를 추정할 수 있음을 자세히 설명한 바 있다.In step 1122, the earable device 1000 may measure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a change in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target analyte present in the fringing field. Previously, it was explained in detail that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estimated by determining the degree of frequency shift of the resonance frequency.

단계(1130)에서 이어러블 기기(1000)는 감지된 생체정보를 외부 기기(107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기기(1070)는 이어러블 기기(1000)가 전송하는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함으로써, 헬스케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헬스케어 정보의 생성은 도 3을 통해 설명한 서버(330)에 의해 수행되거나 서버(330)가 제공하는 기능을 통해 외부 기기(1070)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In step 1130, the earable device 1000 may transmit the detected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1070. The external device 1070 may generate healthcare information by receiving and analyzing biometric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earable device 1000. As described above, the generation of healthcare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server 3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or may be generated by an external device 1070 through a function provided by the server 330.

이후의 단계(1140) 및 단계(1150)는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Subsequent steps 1140 and 1150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단계(1140)에서 이어러블 기기(1000)는 외부 기기(1070)에서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생성한 청각적 정보로서의 헬스케어 정보를 외부 기기(107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헬스케어 정보는 시각적 정보로 생성되어 외부 기기(107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또는 청각적 정보로서의 헬스케어 정보가 외부 기기(1070)가 포함하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In step 1140, the earable device 1000 may receive healthcare information as auditory information generated by analyzing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1070. As described above, healthcar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s visual information and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of the external device 1070. Alternatively, healthcare information as auditory information may be output through a speaker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1070.

단계(1150)에서 이어러블 기기(1000)는 청각적 정보로서의 헬스케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어러블 기기(1000)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출력부(1060)를 통해 청각적 정보로서의 헬스케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In step 1150, the earable device 1000 may output healthcare information as auditory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earable device 1000 can output healthcare information as auditory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1060 that includes a speak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어러블 기기 착용시, 이어러블 기기의 케이스 표면에 형성된 센서의 프린징 필드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다양한 헬스케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wearing an earable device, the wearer's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detected using the fringing field of the senso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se of the earable device. In addition, the user's health status can be checked by analyzing the detected biometric information and providing various healthcare information.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components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includ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d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purpose or special-purpose computers, such as a logic unit,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dditionally, a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a single processing device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a processing device includes multiple processing elements and/or multiple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Additionally,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such as parallel processors, are possible.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which may configure a processing unit to operate as desired, or may be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embodied in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for the purpose of being interpreted by or providing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there is.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At this time, the medium may continuously store a computer-executable program, or temporarily store it for execution or download.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a variety of recording or storage means in the form of a single or several pieces of hardware combined. It is not limited to a medium directly connected to a computer system and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 Examples of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nd there may be something configured to store program instructions, including ROM, RAM, flash memory, etc. Additionally, examples of other media include recording or storage media managed by app stores that distribute applications, sites or servers that supply or distribute various other software, etc.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re used. Alternatively, appropriate results may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Claims (10)

케이스;
상기 케이스 표면에 형성된 센서 패턴; 및
상기 케이스 내에 포함되어, 상기 센서 패턴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인가된 전압에 따라 상기 센서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프린징 필드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감지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러블 기기.
case;
A sensor pattern formed on the case surface; and
A sensing circuit included in the case, applies a voltage to the sensor pattern, and detects the wearer's biometric information using a fringing field formed by the sensor pattern according to the applied voltage.
Including,
An 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worn on the wearer's ea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회로는,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린징 필드 내에 존재하는 대상 피분석물의 변화에 따른 상기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러블 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etection circuit includes an oscillator that generates a resonance frequency, and detects the wearer's biometric information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target analyte present in the fringing field. Rubble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실레이터는 LC(Inductor-Capacitor) 오실레이터 또는 RC(Resistor-Capacitor) 오실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러블 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oscillator is an 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LC (Inductor-Capacitor) oscillator or an RC (Resistor-Capacitor) oscill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감지회로에서 감지된 생체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감지회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로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
를 더 포함하는 이어러블 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1,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circuit;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biometric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circuit to an external device; and
A power supply unit that provides power to the sensing circuit, the control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An earable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기기에서 상기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생성한 청각적 정보로서의 헬스케어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청각적 정보로서의 헬스케어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이어러블 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healthcare information as auditory information generated by analyz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An output unit that outputs healthcare information as the auditory information
An earable device further comprising:
착용자의 귀에 착용된 이어러블 기기가 수행하는 생체정보 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어러블 기기의 케이스 표면에 형성된 센서 패턴에 전압을 인가하여 프린징 필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린징 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감지 방법.
In the method of detecting biometric information performed by an earable device worn on the wearer's ear,
forming a fringing field by applying voltage to a sensor pattern formed on the case surface of the earable device; and
Detecting the wearer's biometric information using the fringing field
A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compri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이어러블 기기가 포함하는 오실레이터를 통해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린징 필드 내에 존재하는 대상 피분석물의 변화에 따른 상기 공진 주파수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감지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step of detect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is,
Generating a resonant frequency through an oscillator included in the earable device; and
Measur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a change in the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target analyte present in the fringing field.
A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compri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생체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생체정보 감지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ransmitting the detected biometric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A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에서 상기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생성한 청각적 정보로서의 헬스케어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청각적 정보로서의 헬스케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생체정보 감지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Receiving healthcare information as auditory information generated by analyz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in the external device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Step of outputting healthcare information as the auditory information
A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 to 9 on a computer device.
KR1020230027561A 2022-03-03 2023-03-02 Earable device with built-in fringing field-based healthcare function KR2023013056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348 2022-03-03
KR20220027348 2022-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565A true KR20230130565A (en) 2023-09-12

Family

ID=8802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7561A KR20230130565A (en) 2022-03-03 2023-03-02 Earable device with built-in fringing field-based healthcare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056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hn et al. An open-source monitor-independent movement summary for accelerometer data processing
US20210303081A1 (en) Systems and apparatus for object detection
JP66847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nectivity between wearable devices
CN105320452A (en) Wearable device for using human body as input mechanism
JP6918946B2 (en) How to process the breath sounds produced by the stethoscope and the subject
US10437344B2 (en) Proximity activated gesture
US10488937B2 (en) Doppler ultrasound probe for noninvasive tracking of tendon motion
US9363640B2 (en) Electronic system with transformable mod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01393520A (en) Context platform framework for aggregation, analysis and use of contextual information
CN111565639B (en) Device and method for non-invasively monitoring blood glucose
KR20180105927A (e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plurality of piezolectric sensor
US202203699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concentration of analyte based on change in relative permittivity of biological tissue within living body
US11347320B1 (en) Gesture calibration for devices
US20190274555A1 (en) Blood pressure measuring apparatus and blood pressure measuring method
KR20180091597A (en) Device for acquiring fingerprint using ultra sonic
WO20161189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n-contact interaction with mobile devices
KR20230130565A (en) Earable device with built-in fringing field-based healthcare function
US9519044B2 (en) Step triangulation
Pichorim et al. A novel method to read remotely resonant passive sensors in biotelemetric systems
Sethi et al. Thumb positioning analysis of new elliptical‐shaped microwave sensors for non‐invasive glucose monitoring
KR102563533B1 (en) wearable diagnostic device
US10624570B2 (en) User fatigue level analysis component
CN116266763A (en) State detection parameter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and wearable equipment
US114221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concentration of analyte based on oscillator having selective frequency characteristic
KR20180095358A (en) Electronic device and body composition analys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