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8772A - Apparatus fot safety of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t safety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8772A
KR20230128772A KR1020220026069A KR20220026069A KR20230128772A KR 20230128772 A KR20230128772 A KR 20230128772A KR 1020220026069 A KR1020220026069 A KR 1020220026069A KR 20220026069 A KR20220026069 A KR 20220026069A KR 20230128772 A KR20230128772 A KR 20230128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user
vibration element
vehic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0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두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6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8772A/en
Publication of KR2023012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772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3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 B60Y2400/902Driver alarms giving haptic or tactil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는, 차량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벨트; 및 상기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진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A belt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belt disposed close to at least a portion of a vehicle seat; and a vibrating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elt.

Description

차량의 안전 장치{APPARATUS FOT SAFETY OF VEHICLE}Vehicle safety device {APPARATUS FOT SAFETY OF VEHICLE}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 차량의 안전 장치, 차량의 안전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안전 벨트에 진동 소자를 적용하여 활용하는 로직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lt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 vehicle safety device, and a method for vehicle safety, and specifically, to a logic for applying and utilizing a vibration element to a seat belt.

차량의 증가로 인하여 운전자의 부주의한 주행은 차량 관련 사고에 있어서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vehicles, the driver's careless driving has a great influence on vehicle-related accidents.

기존의 운전자의 주행을 위한 기술은 운전자에게 약간의 주의를 환기시킬 뿐이라서 차량 관련 사고를 예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Existing technology for driver's driving only alerts the driver a little, so there is a limit to preventing vehicle-related accidents.

따라서, 이를 위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차량에 적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많은 상황이다.Therefore, development for this is in progress, but there are many problems in applying to vehicles.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는, 차량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벨트; 및 상기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진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A belt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belt disposed close to at least a portion of a vehicle seat; and a vibrating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elt.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진동 소자는, 상기 벨트의 사용자의 졸음이 감지될 경우, 적어도 일부가 진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vibration element may vibrate when a user of the belt is drowsy.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진동 소자는, 오디오가 출력되는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The vibration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onnected to an audio output devic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진동 소자는, 상기 벨트가 운전석에 근접하여 배치될 경우, 상기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기설정된 로직으로 구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belt is disposed close to the driver's seat, the vibration element may be driven according to a preset logic according to a user's condition of the belt.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진동 소자는, 상기 벨트가 상기 운전석을 제외한 시트에 근접하여 배치될 경우,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기설정된 로직으로 구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belt is disposed close to a seat other than the driver's seat, the vibration element may be driven according to a preset logic according to a driver's condition.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 장치는, 차량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벨트; 상기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진동 소자; 상기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를 센싱하는 사용자 상태 센싱부; 및 상기 센싱된 사용자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진동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safet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belt disposed adjacent to at least a portion of a vehicle seat; a vibrating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elt; a user state sensing unit for sensing a user's state of the bel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vibration element based on the sensed state of the user.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상태 센싱부가 상기 벨트의 사용자의 졸음을 감지할 경우, 상기 진동 소자의 적어도 일부가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t least a portion of the vibration element to vibrate when the user state sensing unit detects the user's drowsiness of the belt.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 장치는, 상기 사용자 상태 센싱부가 센싱한 상기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를 기초로 위험 여부를 전달하는 위험 상황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afety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angerous situation output unit transmitting whether or not there is danger based on the user's condition of the belt sensed by the user's condition sensing unit.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벨트는 운전석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1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소자는 상기 제1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제1 진동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상태 센싱부가 센싱한 상기 제1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진동 소자가 기설정된 로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belt disposed close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er's seat, and the vibration element includes a first vibration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elt, wherein the control unit , According to the user's state of the first belt sensed by the user state sensing unit, the first vibration element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with a preset logic.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벨트는 상기 운전석을 제외한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2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소자는 상기 제2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제2 진동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진동 소자가 기설정된 로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econd belt disposed close to at least a portion of a seat excluding the driver's seat, and the vibration element includes a second vibration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belt;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econd vibration element to be driven with a predetermined logic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of the first belt.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을 위한 방법은, 차량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사용자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진동 소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vehicle safe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sensing a user's state of a belt disposed close to at least a portion of a vehicle seat; and controlling a vibration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elt based on the sensed state of the user.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상태 센싱부가 상기 벨트의 사용자의 졸음을 감지하되,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벨트의 사용자의 졸음이 감지될 경우, 상기 진동 소자의 적어도 일부가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sensing step, the user state sensing unit detects the user's drowsiness of the belt, and in the controlling step, when the user's drowsiness of the belt is detected, at least a part of the vibration element is It can be controlled to vibrate.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을 위한 방법은, 상기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를 기초로 위험 여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vehicle safe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whether the belt is dangerous based on a user's condition.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벨트는 운전석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1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소자는 상기 제1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제1 진동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진동 소자가 기설정된 로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belt disposed close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er's seat, the vibration element includes a first vibration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elt, and the control In the step, the first vibration element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with a predetermined logic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of the first belt.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벨트는 상기 운전석을 제외한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2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소자는 상기 제2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제2 진동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진동 소자가 기설정된 로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econd belt disposed close to at least a portion of a seat excluding the driver's seat, and the vibration element includes a second vibration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belt; , The controlling step may control the second vibration element to be driven with a predetermined logic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of the first belt.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afety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a belt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ecur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if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among the embodiments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can be used by combining and substitut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can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contextual meanings of related technologi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Also,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and) B and C”, A, B, and C are combined.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 is not limited to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to, combined with,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with the component. It may also include the case of being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above (above) or below (below)” of each component, “upper (above)” or “lower (below)” is not only a case wher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one A case in which another component above is formed or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s also included.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 (up) or down (down)”, it may include the meaning of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afety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안전 장치는, 후술되는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안전 장치의 구성 요소는 전자 회로, 전기 회로, 논리 회로, 반도체, 센서, 메모리, 프로세서, 데이터 송신기, 데이터 수신기, 스피커, 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afety device of a vehicle may include at least a part of a belt device mounted on a vehic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omponents of the vehicle safety device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electronic circuits, electric circuits, logic circuits, semiconductors, sensors, memories, processors, data transmitters, data receivers, speakers, displays, and navigation systems.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안전 장치는, 벨트(110), 진동 소자(120), 사용자 상태 센싱부(130),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vehicle safety device may include a belt 110, a vibration element 120, a user state sensor 130, and a controller 140.

벨트(110)는 차량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Belt 110 may be disposed proximate to at least a portion of a vehicle seat.

벨트(110)는 차량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장착되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차량 시트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belt 110 may be arranged to be moun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vehicle seat or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vehicle seat.

진동 소자(120)는 벨트(110)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Vibration element 12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belt 110 .

진동 소자(120)는 벨트(110)의 적어도 일부에 탈부착되거나 또는 이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진동 소자(120)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on element 120 may be disposed to be attached to or move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belt 110 . The vibration element 120 may have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사용자 상태 센싱부(130)는 벨트(110)의 사용자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The user state sensing unit 130 may sense the user's state of the belt 110 .

사용자 상태 센싱부(130)는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되는 신호는 심장, 혈액, 혈관 중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신체 신호일 수 있다. 사용자 상태 센싱부(130)는 전기, 광, 자기, 전파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The user state sensing unit 130 may sense signals of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body. The signal to be sensed may be a body signal related to at least a part of heart, blood, and blood vessels. The user state sensing unit 130 may sense the user's body signal using at least some of electricity, light, magnetism, and radio waves.

사용자의 상태는 사용자의 졸음 여부, 신체 건강 위험 여부, 안전 위험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ate of the user may include whether the user is drowsy, whether the user is at risk of physical health, whether or not the user is at risk of safety, and the like.

제어부(140)는 센싱된 사용자의 상태를 기초로 진동 소자(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센싱된 사용자의 상태를 기초로 진동 소자(120)의 진동 세기 또는 진동 횟수 또는 진동 패턴 등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vibration element 120 based on the sensed state of the user.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vibration strength, number of vibrations, or vibration pattern of the vibration device 120 based on the sensed user's condition.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상태 센싱부(130)가 벨트(110)의 사용자의 졸음을 감지할 경우, 진동 소자(120)의 적어도 일부가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at least a portion of the vibration element 120 to vibrate when the user state sensing unit 130 detects the user's drowsiness of the belt 110 .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안전 장치는, 사용자 상태 센싱부(130)가 센싱한 벨트(110)의 사용자의 상태를 기초로 위험 여부를 전달하는 위험 상황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험 상황 출력부(미도시)는 통신 기기 또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afety device of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dangerous situation output unit (not shown) transmitting whether or not there is danger based on the user's condition of the belt 110 sensed by the user condition sensing unit 130. can The dangerous situation output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or an output device such as a speaker or a display.

일실시예에 따르면, 벨트(110)는 운전석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1 벨트를 포함하고, 진동 소자(120)는 제1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제1 진동 소자(120)를 포함하되, 제어부(140)는, 사용자 상태 센싱부(130)가 센싱한 제1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제1 진동 소자(120)가 기설정된 로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elt 110 includes a first belt disposed proximate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er's seat, and the vibrating element 120 includes a first vibrating element 120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elt. Including,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first vibration element 120 to be driven with a predetermined logic according to the user's state of the first belt sensed by the user state sensing unit 130.

일실시예에 따르면, 벨트(110)는 운전석을 제외한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2 벨트를 포함하고, 진동 소자(120)는 제2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제2 진동 소자(120)를 포함하되, 제어부(140)는, 제1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제2 진동 소자(120)가 기설정된 로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elt 110 includes a second belt disposed in close proximity to at least a portion of a seat excluding the driver's seat, and the vibration element 120 includes a second vibration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belt. 120, but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second vibration element 120 to be driven with preset logic according to the user's state of the first belt.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안전 장치 또는 후술되는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는, 햅틱 진동을 통해 운전자 졸음 방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afety device of a vehicle or a belt device mounted on a vehic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more effectively prevent driver drowsiness through haptic vibration.

차량의 안전 장치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는, 차량에서의 음악 감상 시 보다 현장감을 느낄 수 있다.A safety device of a vehicle or a belt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can provide a sense of realism when listening to music in a vehicle.

또한, 차량의 안전 장치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는, 운전자의 졸음을 감지하여 졸음을 깨우고 운전을 집중 할 수 있어 차량 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safety device of a vehicle or a belt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detect the drowsiness of the driver, wake him up, and concentrate on driving, thereby reducing vehicle accidents.

차량의 안전 장치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는, 운전자 및 동승자의 음악감상 시 그 현장감을 느끼게 해 줄 수 있다.A safety device of a vehicle or a belt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give a driver and a passenger a sense of realism when listening to music.

또한, 차량의 안전 장치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는, 자율주행이 가능해 짐에 따라서 차량 내 엔터테인먼트의 기능을 극대화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 safety device of a vehicle or a belt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has an advantage of increasing marketability by maximizing an in-vehicle entertainment function as autonomous driving becomes possible.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belt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는, 차량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벨트(210), 및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진동 소자(221, 222)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의 구성 요소는 상술한 차량의 안전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belt device mounted on a vehicle may include a belt 210 disposed close to at least a portion of a vehicle seat, and vibration elements 221 and 222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elt. . Components of the belt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may include at least a part of the above-described safety device of the vehicle or perform the function.

일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소자(221, 222)는, 벨트(210)의 사용자의 졸음이 감지될 경우, 적어도 일부가 진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user's drowsiness of the belt 210 is detected, at least some of the vibration elements 221 and 222 may vibrate.

일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소자(221, 222)는, 오디오가 출력되는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ibration elements 221 and 222 may be connected to an audio output device.

일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소자(221, 222)는, 벨트(210)가 운전석에 근접하여 배치될 경우, 벨트(210)의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기설정된 로직으로 구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ibration elements 221 and 222, when the belt 210 is disposed close to the driver's seat, may be driven by a predetermined logic according to the user's state of the belt 210.

일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소자(221, 222)는, 벨트(210)가 운전석을 제외한 시트에 근접하여 배치될 경우, 차량의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기설정된 로직으로 구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ibration elements 221 and 222, when the belt 210 is disposed close to a seat other than the driver's seat, can be driven by a predetermined logic according to the driver's state of the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 또는 차량의 안전 장치는, 운전자의 주의를 인식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운전자의 안면을 인식하고, 차량의 핸들에 진동을 제공하고, 벨트(210) 상에 적용되는 진동 소자(221, 222)를 적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belt device or a vehicle safety device mounted on a vehicle is a component capable of recognizing the driver's attention, recognizes the driver's face, provides vibration to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and the belt 210 Vibration elements 221 and 222 applied on the top may be applied.

일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소자(221, 222)는 블루투스, USB-C, 또는 Aux 등 다양한 형태로 AVN(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또는 오디오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진동 소자는 운전석의 벨트에만 배치 또는 적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운전석과 조수석의 벨트에만 배치 또는 적용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ibration elements 221 and 222 may be connected to an AVN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or an audio device in various forms such as Bluetooth, USB-C, or Aux. The vibration element may be disposed or applied only to the driver's seat belt and, in some cases, may be disposed or applied only to the driver's seat and front passenger's seat belts.

일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소자(221, 222)는 앞 좌석의 벨트와 뒷 좌석의 벨트 등 차량 내 전 좌석의 벨트에 배치 또는 적용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ibration elements 221 and 222 may be disposed or applied to belts of all seats in a vehicle, such as front seat belts and rear seat belts.

진동 소자(221, 222)는 이동식으로 배치된 벨트에서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 진동 소자(221)는 차량 시트의 상측에 배치된 벨트의 영역(A)에서 차량 시트의 하측 반대 편에 배치된 벨트의 영역(B)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진동 소자(222)는 차량 시트의 하측에 배치된 벨트의 영역(C)에서 차량 시트의 하측 반대 편에 배치된 벨트의 영역(B)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vibration elements 221 and 222 may be moved in a movable belt. The vibration element 221 may be arranged to move between an area of the belt disposed above the vehicle seat (A) and an area of the belt disposed opposite the underside of the vehicle seat (B). Another vibrating element 222 may be arranged to move between an area of the belt disposed under the vehicle seat (C) and an area B of the belt disposed opposite the underside of the vehicle seat.

진동 소자(221, 222)는 이동 또는 배치하기 위한 홈, 개구, 고정부, 지지부, 또는 탈부착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on elements 221 and 222 may include a groove for moving or disposing, an opening, a fixing part, a support part, or a detachable part.

벨트(210)의 적어도 일부는 차량 시트의 하측의 벨트를 고정하는 부분(D)과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belt 210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a portion D fixing the belt on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seat.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안전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ecuring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안전을 위한 방법의 각 단계는, 차량의 안전 장치의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each step of the method for vehicle safety may be performed by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vehicle safety device.

단계(301)에서, 차량의 안전 장치는, 차량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In step 301, the safety device of the vehicle may sense a user's state of a belt disposed close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vehicle seat.

단계(302)에서, 차량의 안전 장치는, 센싱된 사용자의 상태를 기초로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진동 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In step 302, the safety device of the vehicle may control a vibration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elt based on the sensed state of the user.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안전 장치는, 사용자 상태 센싱부가 벨트의 사용자의 졸음을 감지하되, 벨트의 사용자의 졸음이 감지될 경우, 진동 소자의 적어도 일부가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ehicle safety device may detect the user's drowsiness by the user state sensing unit, and when the belt user's drowsiness is detected, at least a portion of the vibration element may be controlled to vibrate.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안전을 위한 방법은,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를 기초로 위험 여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thod for safety of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whether the belt is dangerous based on the user's condition.

일실시예에 따르면, 벨트는 운전석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1 벨트를 포함하고, 진동 소자는 제1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제1 진동 소자를 포함하되, 차량의 안전 장치는, 제1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제1 진동 소자가 기설정된 로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elt comprises a first belt disposed proximate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er's seat, and the vibrating element comprises a first vibrating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elt, wherein the safety device of the vehicle comprises: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irst vibration element to be driven with a predetermined logic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of the first belt.

일실시예에 따르면, 벨트는 운전석을 제외한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2 벨트를 포함하고, 진동 소자는 제2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제2 진동 소자를 포함하되, 차량의 안전 장치는, 제1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제2 진동 소자가 기설정된 로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elt includes a second belt disposed proximate to at least a portion of a seat excluding the driver's seat, and the vibration element includes a second vibration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belt, The safety device may control the second vibration element to be driven with a predetermined logic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of the first belt.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안전 장치는, 운전자의 졸음 방지 및 주의 환기를 위해 시나리오 로직을 적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afety device of the vehicle may apply scenario logic to prevent the driver from drowsiness and to alert the driver.

차량의 안전 장치는, 해당 로직을 켜거나(ON)/끄는(OFF) 것은 AVN 또는 클러스터쪽에서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vehicle's safety device can control to turn on (ON)/off (OFF) the corresponding logic to be set on the AVN or cluster side.

차량의 안전 장치는, 운전자의 안면 인식(예를 들어, 운전자의 얼굴 또는 눈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이미지 센싱 등)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졸음을 인식할 수 있다.The safety device of the vehicle may recognize the driver's drowsiness by using the driver's face recognition (eg, image sensing of at least a part of the driver's face or eyes).

차량의 안전 장치는, 해당 로직을 차량의 시동이 켜질(ON) 경우에 기본적으로 켜지게(ON) 되며 시동이 꺼질(OFF) 경우에 기능도 꺼지게(OFF) 될 수 있다.A safety device of a vehicle may basically turn on (ON) a corresponding logic when the ignition of the vehicle is turned on (ON), and turn off (OFF) a function when the ignition is turned off (OFF).

차량의 안전 장치는, 운전자의 졸음이 인식되어 이를 알리거나 이와 관련된 신호가 활성화될 경우, 차량의 AVN 또는 연결 가능한 제어기 또는 부품에서 저주파 음원을 저강도에서 점차적으로 올리고, 운전자가 졸음을 깨었다고 판단할 경우, 졸음 인식이 해제될 때까지 저주파 음원을 저강도에서 계속 올리도록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driver's drowsiness is recognized and the driver's drowsiness is recognized, or when a related signal is activated, the vehicle's AVN or connectable controller or component gradually raises the low-frequency sound source at a low intensity, and determines that the driver has awakened from drowsiness. In this case, the low-frequency sound source may continue to be raised at a low intensity until the drowsiness recognition is released.

차량의 안전 장치는, 진동 소자를 기본적으로 안전 벨트에 1개만 적용하는 것으로 로직이 구성될 수 있으며, 2개 적용 시에는 교차 적용의 패턴을 이용하여 깨우는 로직, 2개를 동시에 구동하는 패턴을 통해 깨우는 로직 등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safety device of a vehicle can be composed of a logic that basically applies only one vibration element to the seat belt, and when two are applied, a logic to wake up using a pattern of cross application and a pattern to simultaneously drive two vibration elements can be configured. A wake-up logic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차량의 안전 장치의 진동 소자는, 운전석 이외에 조수석 또는 뒷 좌석의 승객의 안전 벨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vibration element of the safety device of a vehicle may be applied to a seat belt of a front passenger seat or a rear seat passenger in addition to a driver's seat.

차량의 안전 장치는, 운전석에 주의 환기를 시키는 로직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었는데도 운전자가 반응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동승자의 여부를 판정하여, 조수석에 동일하게 활성화하여 운전자를 확인하게 하도록 로직을 반영할 수 있다.The vehicle's safety system,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does not respond even though the logic to call attention to the driver's seat las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assenger, activates the same in the passenger seat, and reflects the logic to confirm the driver. can

차량의 안전 장치는, 동승자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동승자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승자의 시트에 가해지는 무게의 변화 등을 기초로 동승자 유무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A safety device of a vehicle may determine whether a passenger is present or not based on an image of a passenger or a change in weight applied to a seat of the passenger.

차량의 안전 장치는, 운전자의 안전을 확인할 수 있는 보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safety device may include an auxiliary function capable of confirming the driver's safety.

차량의 안전 장치는, 운전자가 혼자 탑승하여 운전자의 이상이 감지될 경우 차량 내 연계된 E-CALL 기능 등을 통해 위험 상황을 차량 외부의 위험 상황과 관련된 기관 또는 연락처 등으로 전달 가능하도록 로직이 구성될 수 있다.The safety device of the vehicle is configured with logic so that, when the driver is riding alone and the driver's abnormality is detected, the dangerous situ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agency or contact person related to the dangerous situation outside the vehicle through the E-CALL function linked in the vehicle. It can be.

차량 외부의 위험 상황과 관련된 기관 또는 연락처는 위험 상황이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될 경우 병원, 구급차, 설정된 보호자 또는 이들의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험 상황이 교통 사고와 관련될 경우, 상기 기관 또는 연락처는 소방서, 도로 관리 기관 또는 이들의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Agencies or contacts related to dangerous situations outside the vehicle may include hospitals, ambulances, established guardians, or their contacts when the dangerous situation is related to the user's health. When the dangerous situation is related to a traffic accident, the agency or contact information may include a fire department, a road management agency, or their contact information.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안전 장치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음악 감상 시 현장감을 느끼게 해 줄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afety device of a vehicle or a belt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may allow a driver or a passenger to feel a realism when listening to music.

차량의 안전 장치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는, 해당 로직의 ON/OFF는 AVN 또는 클러스터 쪽에서 설정이 가능하며 시트의 개별 자리에서의 음원 연결 선택도 할 수 있다.For vehicle safety devices or vehicle-mounted belt devices, ON/OFF of the corresponding logic can be set on the AVN or cluster side, and sound source connections can be selected at individual seats on the seat.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는, 차량의 AVN 이외의 휴대폰 등 별도 음원에 연결될 수도 있다.The belt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sound source such as a mobile phone other than the AVN of the vehicle.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는, 운전석 및 조수석의 경우 전면의 센터페시아부(center fascia)의 통합된 영역에서의 AUX나 USB-C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The belt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be connected using AUX or USB-C in the integrated area of the front center fascia in the case of the driver's seat and passenger seat.

차량의 안전 장치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는, 뒷 자석의 경우, 별도 구성을 통해 시트 중간부에 연결 단자를 위치하거나 하여 유선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A safety device of a vehicle or a belt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may support wired connection by placing a connection terminal in the middle of the seat through a separate configuration in the case of a rear seat.

차량의 안전 장치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는, 유선 연결을 지원하지 않는 차량의 경우는 블루투스 연결만을 지원하여 음원 기기와 직접 연결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vehicle that does not support a wired connection, the safety device of the vehicle or the belt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supports only Bluetooth connection and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ound source device.

차량의 안전 장치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차량에서 음악을 들을 때 개별 위치에서의 기능을 켜거나(ON)/끌(OFF) 수 있도록 동작하거나 또는 제어할 수 있다.A safety device of a vehicle or a belt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may operate or control functions to be turned on/off at individual locations when a driver or passenger listens to music in the vehicle.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 '~unit' used in this embodiment means software or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SIC, and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bu'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combined into smaller numbers of components and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Claims (15)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에 있어서,
차량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벨트; 및
상기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진동 소자
를 포함하는 차량에 장착되는 벨트 장치.
In the belt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a belt disposed proximate to at least a portion of a vehicle seat; and
Vibration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elt
A belt device mounted on a vehic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소자는,
상기 벨트의 사용자의 졸음이 감지될 경우, 적어도 일부가 진동하는 벨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vibration element,
A belt devi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belt vibrates when a user's drowsiness is det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소자는,
오디오가 출력되는 장치와 연결되는 벨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vibration element,
A belt device connected to an audio out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소자는,
상기 벨트가 운전석에 근접하여 배치될 경우, 상기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기설정된 로직으로 구동되는 벨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vibration element,
When the belt is disposed close to the driver's seat, the belt device is driven by a predetermined logic according to a user's condition of the bel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소자는,
상기 벨트가 상기 운전석을 제외한 시트에 근접하여 배치될 경우,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기설정된 로직으로 구동되는 벨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vibration element,
When the belt is disposed close to a seat other than the driver's seat, the belt device is driven by a preset logic according to a driver's condition of the vehicle.
차량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차량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벨트;
상기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진동 소자;
상기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를 센싱하는 사용자 상태 센싱부; 및
상기 센싱된 사용자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진동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안전 장치.
In vehicle safety devices,
a belt disposed proximate to at least a portion of a vehicle seat;
a vibrating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elt;
a user state sensing unit for sensing a user's state of the bel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ibration element based on the sensed state of the user
Vehicle safety device includ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상태 센싱부가 상기 벨트의 사용자의 졸음을 감지할 경우,
상기 진동 소자의 적어도 일부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안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When the user state sensing unit detects the user's drowsiness of the belt,
A vehicle safety device contro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vibration element to vibr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상태 센싱부가 센싱한 상기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를 기초로 위험 여부를 전달하는 위험 상황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안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6,
Dangerous situation output unit for conveying whether or not there is danger based on the user's condition of the belt sensed by the user state sensing unit
Vehicle safet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운전석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1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소자는 상기 제1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제1 진동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상태 센싱부가 센싱한 상기 제1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진동 소자가 기설정된 로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안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belt includes a first belt disposed proximate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er's seat;
The vibration element includes a first vibration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elt,
The control unit,
A vehicle safety device that controls the first vibration element to be driven with a predetermined logic according to the user's state of the first belt sensed by the user state sensing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운전석을 제외한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2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소자는 상기 제2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제2 진동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진동 소자가 기설정된 로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안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belt includes a second belt disposed close to at least a part of the seat excluding the driver's seat,
The vibration element includes a second vibration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belt,
The control unit,
A vehicle safety device that controls the second vibration element to be driven with a predetermined logic according to a user's state of the first belt.
차량의 안전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차량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사용자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진동 소자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for vehicle safety,
sensing a user's condition of a belt disposed proximate to at least a portion of a vehicle seat; and
Controlling a vibration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elt based on the sensed state of the user.
How to includ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상태 센싱부가 상기 벨트의 사용자의 졸음을 감지하되,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벨트의 사용자의 졸음이 감지될 경우, 상기 진동 소자의 적어도 일부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sensing step,
The user state sensing unit detects the drowsiness of the user of the belt,
The control step is
Controlling at least a part of the vibration element to vibrate when the user of the belt is drowsy is detec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를 기초로 위험 여부를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Communicating whether or not the belt is dangerous based on the user's condition
How to include mor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운전석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1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소자는 상기 제1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제1 진동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진동 소자가 기설정된 로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The belt includes a first belt disposed proximate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er's seat;
The vibration element includes a first vibration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elt,
The control step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first vibration element to be driven with a predetermined logic according to a user's condition of the first bel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운전석을 제외한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2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소자는 상기 제2 벨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제2 진동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벨트의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진동 소자가 기설정된 로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4,
The belt includes a second belt disposed close to at least a part of the seat excluding the driver's seat,
The vibration element includes a second vibration element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belt,
The control step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econd vibration element to be driven with a preset logic according to a user's condition of the first belt.
KR1020220026069A 2022-02-28 2022-02-28 Apparatus fot safety of vehicle KR202301287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069A KR20230128772A (en) 2022-02-28 2022-02-28 Apparatus fot safety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069A KR20230128772A (en) 2022-02-28 2022-02-28 Apparatus fot safety of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772A true KR20230128772A (en) 2023-09-05

Family

ID=8797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069A KR20230128772A (en) 2022-02-28 2022-02-28 Apparatus fot safety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877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5032B2 (en) ADAS systems using haptic stimuli produced by wearable devices
RU2706888C2 (en) Vehicle occupant warning system (embodiments)
US103511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und direction detection in a vehicle
WO2018021063A1 (en) Vehicle lighting system, vehicle system, and vehicle
US78170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media and vehicle seat belt monitoring
CN103569009A (en) Alert systems and methods for a vehicle
CN103569010A (en) Warning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s
CN10388976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presentation of media to users of a vehicle
WO2005116956A2 (en) Collision avoidance system
JP2007501158A (en) Intelligent floor mat
CN103600743A (en) Alert systems and methods for a vehicle
US10960811B2 (en) Vehicle interior cabin forward facing brake light
US20190291639A1 (en) Support for hearing-impaired drivers
KR101546709B1 (en) Sound recognition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CN111762023B (en) Touch device and method thereof and auxiliary switch of automobile steering wheel
KR20230128772A (en) Apparatus fot safety of vehicle
JP2002240660A (en) Informing device for vehicle
JP2763685B2 (en) Emergency vehicle position display device
US11993204B2 (en) Vehicle and pedestrian alert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an alert system
JPH1044894A (en) Accident coping device for vehicle
JP2017043254A (en) Getting-off warning device in electronic key system for vehicle
JPH1148886A (en) Emergency vehicle notification system to be mounted on vehicle
JP2019129441A (en) Music provision system and music provision method
CN107985306A (en) Driver assistance system
KR102645218B1 (en) Driving support apparatus for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drowsy driving and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