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871A - 진료 차트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진료 차트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871A
KR20230125871A KR1020220022636A KR20220022636A KR20230125871A KR 20230125871 A KR20230125871 A KR 20230125871A KR 1020220022636 A KR1020220022636 A KR 1020220022636A KR 20220022636 A KR20220022636 A KR 20220022636A KR 20230125871 A KR20230125871 A KR 20230125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treatment
filter
button
det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희정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2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5871A/ko
Publication of KR20230125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진료 차트 관리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차트 관리 방법은, 환자의 진료 차트에 포함된 복수의 진료 내역을 획득하는 단계와,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필터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한 하나 이상의 필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진료 내역들 중에서 상기 필터와 관련된 진료 내역을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된 진료 내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료 차트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DICAL CHART}
본 발명은 진료 차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필요 진료 내역을 빠르고 편리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진료 차트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이에 수기로 환자의 진료 내역을 기록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오늘날에는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진료 내역을 전자식 진료 차트에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식 진료 차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료진에게 제공하고, 의료진으로부터 진료 기록을 입력 받아 진료 차트에 기록한다.
그런데 종래의 전자식 진료 차트의 화면은 획일적인 형태로 구현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진다. 특히, 종래의 전자식 진료 차트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빠르게 환자의 진료 내역을 파악하기가 힘들다. 부연하면, 장기간에 거쳐 환자의 진료 내역이 진료 차트에 기록된 경우, 의료진은 마우스 스크롤링 등을 통해서, 진료 차트에 포함된 진료 내역을 일일이 확인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진료 내역을 확인해야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62105호 (2019.03.20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필요한 진료 내역을 빠르고 편리하게 선별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진료 차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맞춤형 처치 버튼을 생성할 수 있는 진료 차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진료 내역을 입력하는데 있어서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진료 차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차트 관리 방법은, 환자의 진료 차트에 포함된 복수의 진료 내역을 획득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필터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필터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한 하나 이상의 필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진료 내역들 중에서 상기 필터와 관련된 진료 내역을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된 진료 내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필터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진료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와, 미리 마련된 복수의 필터 버튼 중에서, 상기 식별된 진료 유형과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 버튼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된 버튼 중에서 선택된 필터 버튼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필터 버튼을 대응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리 마련된 복수의 필터 버튼은, 치아 버튼, 치주 버튼, 임플란트 버튼, 보존 버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버튼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진료 내역에서 진료과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진료과를 기초로, 치아 버튼, 치주 버튼, 임플란트 버튼, 보존 버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를 식별하는 단계는, 치아 필터를 선택받는 것에 응답하여, 치아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치아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치아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와 관련된 진료 내역을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진료 내역들 중에서, 상기 선택된 치아와 관련된 진료 내역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아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가 치료한 하나 이상의 치아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치아 목록 중에서 상기 식별된 하나 이상의 치아를 활성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를 식별하는 단계는, 선택된 진료 의사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와 관련된 진료 내역을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진료 내역들 중에서 상기 식별된 진료 의사가 진단한 진료 내역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를 식별하는 단계는, 보험 진료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와 관련된 진료 내역을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진료 내역들 중에서 상기 보험이 적용되는 진료 내역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료 차트 관리 방법은, 처치 버튼의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처치 버튼의 설정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신규 진료 내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료 차트 관리 방법은, 상기 처치 버튼의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진료 유형을 구분하는 제1 데이터, 진료과를 구분하는 제2 데이터, 보험 적용 유무를 구분하는 제3 데이터, 수가 정보를 구분하는 제4 데이터 중에서 하나 이상을 상기 처치 버튼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치 버튼의 설정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신규 진료 내역에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상기 제3 데이터, 상기 제4 데이터 중에서 하나 이상을 상기 신규 진료 내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환자의 진료 차트에 포함된 복수의 진료 내역을 획득하는 동작과,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필터를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식별한 하나 이상의 필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진료 내역들 중에서 상기 필터와 관련된 진료 내역을 선별하는 동작과, 상기 선별된 진료 내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진료 내역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진료 내역을 선별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진료 내역을 편리하게 선별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마련된 복수의 필터들 중에서 환자의 진료 내역과 관련된 필터만을 활성화함으로써, 진료 내역과 관련성이 없는 필터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처치 버튼이 선택되면 그 처치 버튼과 연관된 데이터를 포함하여 신규 진료 내역을 생성함으로써, 신규 진료 내역을 입력하는데 있어서의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차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처치 버튼 설정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처치 버튼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진료차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에 의해 선별된 진료 내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진료 차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단계 S220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치아 목록이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활성화된 치아가 시각화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 차트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 차트 관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술하는 용어 중에서 "진료 차트"는 환자에 대한 복수의 진료 내역을 포함하는 일종의 데이터 집합일 수 있다. 상기 진료 차트를 통해서 이제까지 환자에게 수행된 전체의 진료 흐름이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진료 내역"은 특정 일시에 진행된 환자의 진료 기록으로서, 처방전, 진료 일시, 진료에 대한 상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연하면, 개별 진료 내역들이 모여 진료 차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차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도 4에 도시된 방법의 간 단계도 컴퓨팅 장치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단계는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방법에 포함되는 제1 단계들은 제1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고, 본 방법의 제2 단계들은 제2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방법의 각 단계가 하나의 컴퓨팅 장치인 진료 차트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되, 각 단계의 수행 주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하의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방법에 포함되는 일부 단계의 동작 주체는 그 기재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차트 관리 프로그램을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병원 등의 의료시설에 위치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 마우스/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처치 버튼 설정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0).
도 2는 처치 버튼 설정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진료 차트 관리 메뉴들 중에서 처치 버튼 설정창 메뉴가 선택되면, 도 2와 같은 처치 버튼 설정창(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처치 버튼 설정창(10)은 진료에 대한 기본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제1 영역(11) 및 수가 정보가 기록되는 제2 영역(12)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 정보가 입력되는 제1 영역(11)은 처지 내역에 대한 대그룹을 입력할 수 있는 제1 입력란(11a), 처지 내역에 대한 중그룹을 입력할 수 있는 제2 입력란(11b)을 포함할 수 있고, 진료 의사를 입력할 수 있는 제3 입력란(11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1)은 처치 버튼명을 입력할 수 있는 제4 입력란(11d), 진료과를 입력할 수 있는 제5 입력란(11e) 및 보험구분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제6 입력란(11f)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영역(11)은 상병명을 입력할 수 있는 제7 입력란(11g) 및 상병을 추가할 수 있는 제8 입력란(11h)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1)은 버튼 속성을 설정할 수 있는 속성 설정 메뉴(11i)를 포함할 수 있다.
수가 정보가 기록되는 제2 영역(12)은 급여기준 유형, 수가 설명 정보, 차팅 심볼, 식별코드 등이 매핑된 수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여 기준 유형으로서 행위, 약제, 재료 중 어느 하나가 제2 영역(1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수가 설명 정보에는 행위, 약제, 재료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세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영역(12)에는 투여량, 횟수, 일수 중에서 하나 이상이 급여기준 유형 등과 매핑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차팅 심볼은 수가에 대한 식별 이미지이다. 처치 버튼 설정창(10)을 통하여 설정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생성된 처치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처치 버튼에 대응되는 수가의 차팅 심볼이 상기 처치 버튼의 선택에 따라 자동 추가 되는 진료 기록에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차팅 심볼을 통해 직관적으로 어떠한 처치가 수행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차팅 심볼은 특정 심볼이 치식도 상에 표시된 것일 수 있으며, 두개 이상의 서로 다른 심볼들이 치식도 상에 겹쳐진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식별코드는 각 수가에 대하여 부여된 고유의 식별자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코드는 보험처리되는 수가 항목을 관리하는 기관에 의하여 부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일 수 있다. 한편, 비보험 수가 항목에 대한 상기 식별코드는 사용자에 의하여 부여될 수 있다.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등록된 수가 항목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수가 목록(13)을 제2 영역(12)에 인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복수의 수가 목록(13)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수가 데이터를 제2 영역(12)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2 영역(12)에 투여량, 횟수, 일수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입력하고, 완성된 수가 데이터를 제2 영역(12)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처치 버튼 설정창(10)에는 수가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 및 수가를 필터링할 수 있는 복수의 검색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검색창, 검색 필터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가 목록(13)에서 필요한 수가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도 2와 같은 처치 버튼 설정창(10)을 통하여, 처치 버튼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20). 상기 처치 버튼 설정 정보는, 처치 버튼 설정창에 포함된 입력란에 포함된 데이터, 즉 대그룹 데이터, 중그룹 데이터, 상병명 데이터, 진료의사 데이터, 진료과 데이터, 버튼명 데이터, 보험구분 여부에 대한 데이터, 수가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처치 버튼 설정 정보를 기초로, 처치 버튼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처치 버튼을 처치 버튼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S130). 일 실시예에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처치 버튼 설정창(10)에 포함된 저장 버튼(14)이 선택되면, 처치 버튼 설정창(10)을 통해서 입력된 처치 버튼 설정 정보를 기초로, 처치 버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생성된 처치 버튼의 이름을, 사용자가 입력한 처치 버튼명으로 설정하고, 그 버튼명을 가지는 새로운 처치 버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생성된 처치 버튼을 처치 버튼 표시 영역(20) 에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복수의 처치 버튼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40).
이어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선택된 처치 버튼과 연관된 처치 버튼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그 처치 버튼 설정 정보를 기초로, 환자에 대한 신규 진료 내역을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진료 내역 평문(plain text)을 포함하는 신규 진료 내역을 환자의 진료 차트에 기록할 수 있다(S150). 일 실시예에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처치 버튼 설정 정보에 포함된 수가 정보, 진료의사명, 상병명 등을 식별하고, 그 식별된 수가 정보, 진료의사명, 상병명 등을 포함하는 신규 진료 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진료 내역 평문은 상기 진료 차트에 표시될 것이나, 상기 선택된 처치 버튼과 연관된 처치 버튼 설정 정보 중 일부는 상기 진료 차트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진료 내역 평문은 소정의 규칙에 기반하여 파싱(parsing) 되고, 상기 파싱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진료 내역 평문의 메타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진료 내역 평문에, 상기 메타 데이터가 태깅(tagging) 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파싱은 기 등록된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프로세스일 수도 있고, 키워드 추출 알고리즘을 통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프로세스일 수도 있으며, 기 지정된 몇몇 항목(field)들에 대한 값을 추출하는 프로세스일 수도 있다.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상기 진료 내역 평문에 태깅 된 메타 데이터와 해당 진료 내역이 입력될 때 선택된 처치 버튼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후술 될 필터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즉,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특정 환자의 진료 차트에 포함된 진료 내역에 최적화된 필터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진료 차트에 대한 효율적 조회를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처치 버튼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진료 차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처치 버튼들이 처치 버튼 표시 영역(2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처치 버튼들은 그룹핑 될 수 있으며, 각각의 그룹은 상단 탭(tab)을 통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처치 설정 정보에 포함된 처지 내역의 대분류와 중그룹에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처치 버튼이 속하는 그룹이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처치 버튼들 중에서 Flap(간단) 버튼(21)이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Flap(간단) 버튼(21)의 처치 버튼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진료 내역(22)이 진료 내역 표시 영역(23)에 추가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부연하면, 사용자는 Flap(간단) 버튼(21)을 선택하는 한 번의 조작을 통해서, 신규 진료 내역(22)을 편리하게 생성하여 진료 차트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처치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신규 진료 내역을 추가함은 물론이고, 상기 신규 진료 내역에 커서를 자동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커서 이동 조작 없이 바로 진료 내역 평문을 타이핑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진료 내역 입력에 소요되는 조작의 횟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진료 차트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필터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환자의 진료 내역을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상기 진료 내역 평문에 태깅 된 메타 데이터와 해당 진료 내역이 입력될 때 선택된 처치 버튼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후술 될 필터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가 사용자가 선택한 필터를 기초로 진료 내역을 선별하여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환자의 식별정보를 입력받고, 미리 저장된 환자별 진료 차트들 중에서 입력된 식별정보와 대응하는 환자의 진료 차트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10). 상기 식별정보는, 예를 들어, 환자의 성명 및 생년월일의 조합이거나, 휴대전화 뒷번호 등 환자의 고유 식별정보로 활용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진료 차트에 포함된 전체 진료 내역을 날짜 순으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는 진료 차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진료 차트 표시 화면에서 전자차트 메뉴(30)가 선택되면,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환자의 진료 차트를 획득하고, 그 진료 차트에 포함된 진료 내역을 날짜가 빠른 순으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한 화면에 두 페이지가 표시되는 e-book 뷰의 형태로 상기 진료 내역을 표시할 수 있다. 한 화면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수는 환경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가 한 화면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수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진료일의 진료 기록이 방대한 관계로 복수 페이지가 동시에 표시되어야 하는 경우,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해당 진료일의 진료 기록이 한 화면에 모두 표시될 수 있도록, 한 화면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수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복수의 필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필터를 식별할 수 있다(S22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의 필터는 현재 표시 중인 진료 차트의 진료 내역들로부터 자동으로 생성된 것이다. 즉,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진료 차트에 포함된 각각의 진료 내역에 대하여 대응되는 처치 버튼의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각각의 진료 내역의 메타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설정 정보 및 상기 획득된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필터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상기 환자의 전체 진료 내역들 중에서, 식별된 필터와 관련된 진료 내역을 선별할 수 있다(S230). 다양한 필터에 대한 예시와 필터 선택에 의해서 진료 내역이 선별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선별된 진료 내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40). 일 실시예에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환자의 전체 진료 내역을 화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선별된 진료 내역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단계 S220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환자의 진료내역을 기초로, 상기 환자의 진료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S221). 여기서, 진료 유형은 치아별 진료, 치주 진료, 임플란트 진료, 보존 진료, 보험진료, 비보험 진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환자의 전체 진료 내역에 포함된 각각의 진료 내역을 기초로, 환자의 진료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식별된 환자의 진료 유형은 하나이거나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예컨대,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환자의 전체 진료 내역에서, 임플란트 진료 내역이 포함된 경우, 환자의 진료 유형을 임플란트 진료로서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환자의 전체 진료 내역에서, 임플란트 진료 내역과 치주 진료가 포함된 경우, 환자의 진료 유형을 임플란트 진료와 치주 진료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처치 버튼을 기초로, 환자의 진료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진료 내역을 생성하는데 이용된 처치 버튼을 식별하고, 그 처치 버튼과 연관된 처치 버튼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상기 처치 버튼 설정 정보에서 진료과 데이터와 보험 구분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식별하고, 그 식별된 진료과 데이터를 보험 구분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환자의 진료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획득된 처지 버튼 설정 정보에 진료과 데이터로서 치주과가 포함된 경우, 환자의 진료 유형을 치주 진료로서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획득된 처지 버튼 설정 정보에 보험 구분 여부에 대한 데이터로서 비보험이 포함된 경우, 환자의 진료 유형을 비보험으로서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환자 유형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 버튼을 활성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22).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필터 버튼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특정 영역(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진료의사를 선택할 수 있는 진료의사 필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진료 의사 필터에는 복수의 의사 식별정보(예컨대, 의사 이름)이 포함되어 있고, 사용자는 진료 의사 필터를 이용하여 의사 식별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미리 마련된 필터 버튼 전체 중에서, 환자 유형과 대응되는 필터 버튼만을 선별하고, 그 선별된 필터 버튼을 활성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활성화된 필터 버튼은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고, 비활성화된 필터 버튼은 디스플레이되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미리 마련된 복수의 필터 버튼 전체를 디스플레이하되, 필터 목록 전체에서 활성화된 필터를 제1 그래프 요소(예컨대, 제1 색상)로 시각화하고, 비활성화된 필터는 제2 그래프 요소(예컨대, 제2 색상)로 시각화하여, 활성화된 필터 버튼과 비활성화된 필터 버튼이 구분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활성화된 필터 버튼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필터 버튼을 식별할 수 있다(S223).
다음으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식별된 필터 버튼과 대응되는 필터를 식별할 수 있다(S224). 식별된 필터는, 치아 필터, 치주 필터, 임플란트 필터, 보존 필터, 보험 진료 필터, 비보험 진료 필터, 진료의사 식별정보 필터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식별된 필터에 따라 환자의 전체 진료 내역들 중에서, 식별된 필터와 관련된 진료 내역이 선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에 진료의사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환자의 전체 진료 내역들 중에서 진료 의사가 진단한 진료 내역을 선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필터에 보험(또는 비보험) 진료 필터가 포함된 경우,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환자의 전체 진료 내역들 중에서 보험이 적용되는(또는 적용되지 않은) 진료 내역을 선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필터에 치주/ 임플란트/보존 필터가 포함된 경우,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환자의 전체 진료 내역들 중에서 치주/임플란트/보존 진료에 해당하는 진료 내역을 선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필터로서 치아 필터가 포함된 경우,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치아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치아 목록이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치아 필터가 선택되면, 치아 목록을 포함하는 치아 목록 창(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각 치아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환자의 전체 진료 내역을 기초로, 진료된 하나 이상의 치아를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진료 관리 장치는 상기 식별된 진료 치아를 활성화하고, 진료되지 않는 치아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활성화된 치아는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고, 비활성화된 치아는 디스플레이되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전체 치아를 디스플레이하되, 활성화된 치아(즉, 진료된 치아)를 제3 그래프 요소(예컨대, 제3 색상)로 시각화하고, 비활성화된 치아(즉, 진료되지 않은 치아)를 제4 그래프 요소(예컨대, 제4 색상)로 시각화하여, 활성화된 필터 치아와 비활성화된 치아가 구분되게 할 수 있다.
도 8은 활성화된 치아가 시각화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하악 1번 치아(52)가 2번 치아(51)가 활성화되어, 별도의 그래프 요소로 시각화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치아 목록에서 활성화된 치아가 추가적인 필터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활성화된 치아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진료 차트 관리장치는 선택된 치아를 식별하고, 그 식별된 치아와 관련된 진료 내역을 환자의 전체 진료 내역에서 선별할 수 있다. 이어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선별된 진료 내역(즉, 선택된 치아와 관련된 진료 내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필터를 이용하여 필요한 진료 내역을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진료 내역과 관련이 없는 필터를 비활성화함으로써, 필터 이용에서의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 차트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 과정에서, 상술된 실시예들이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처치버튼 설정창(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처치 버튼을 설정한다(S10). 즉, 처치 버튼의 설정 과정에서, 신규의 처치 버튼이 처치 버튼 표시 영역(20)에 추가될 수 있으며, 처치 버튼의 설정 과정에서 입력된 대그룹, 진료의사, 진료과, 비보험 여부 등의 처치 버튼 설정 정보가 상기 신규의 처치 버튼에 매치되어 관리될 것이다.
다음으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처치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신규의 진료 내역을 진료 차트에 추가하고, 상기 신규의 진료 내역을 진료 내역 표시 영역(23)에 표시한다. 또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처치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커서를 상기 신규의 진료 내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바로 진료 내역 평문을 입력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진료 차트의 환자를 위한 필터를 자동 생성한다.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처치 버튼 설정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필터를 자동 생성하거나(S30), 복수의 진료 내역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터를 자동 생성하거나(S40), 처치 버튼 설정에 대한 정보와 상기 메타 데이터를 모두 이용하여 필터를 자동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각각의 진료 내역에 태깅 된 것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진료 내역 평문을 파싱한 결과일 수 있다.
다음으로,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생성된 필터가 표시된 진료 차트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50).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된 필터는 진료 차트에 포함된 각각의 진료 항목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 생성된 것인 바, 사용자는 현재 환자의 진료 차트에 최적화된 필터의 버튼들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진료 차트 관리 장치는 필터 버튼 선택에 응답하여, 진료 차트 중 일부를 선별하여 디스플레이 한다(S60).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 차트 관리 장치(1000)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배열 디자인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0), 시스템 버스(1600), 통신 인터페이스(1200), 프로세서(110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400)와,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시뮬레이션 장치(2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40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40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로드(load) 할 수 있다. 버스(1600)는 시뮬레이션 장치(2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200)는 시뮬레이션 장치(200)의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스토리지(130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0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00)이 메모리(1400)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1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00)은 환자의 진료 차트에 포함된 복수의 진료 내역을 획득하는 동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필터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한 하나 이상의 필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진료 내역들 중에서 상기 필터와 관련된 진료 내역을 선별하는 동작, 및 상기 선별된 진료 내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컴퓨팅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진료 차트 관리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진료 차트에 포함된 복수의 진료 내역을 획득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필터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필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한 하나 이상의 필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진료 내역들 중에서 상기 필터와 관련된 진료 내역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진료 내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차트 관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필터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진료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
    미리 마련된 복수의 필터 버튼 중에서, 상기 식별된 진료 유형과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 버튼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버튼 중에서 선택된 필터 버튼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필터 버튼을 대응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차트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마련된 복수의 필터 버튼은, 치아 버튼, 치주 버튼, 임플란트 버튼, 보존 버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버튼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진료 내역에서 진료과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진료과를 기초로, 치아 버튼, 치주 버튼, 임플란트 버튼, 보존 버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차트 관리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를 식별하는 단계는,
    치아 필터를 선택받는 것에 응답하여, 치아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치아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와 관련된 진료 내역을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진료 내역들 중에서, 상기 선택된 치아와 관련된 진료 내역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차트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가 치료한 하나 이상의 치아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목록 중에서 상기 식별된 하나 이상의 치아를 활성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차트 관리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를 식별하는 단계는,
    선택된 진료 의사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와 관련된 진료 내역을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진료 내역들 중에서 상기 식별된 진료 의사가 진단한 진료 내역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차트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를 식별하는 단계는,
    보험 진료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와 관련된 진료 내역을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진료 내역들 중에서 상기 보험이 적용되는 진료 내역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차트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처치 버튼의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처치 버튼의 설정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신규 진료 내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진료 차트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 버튼의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진료 유형을 구분하는 제1 데이터, 진료과를 구분하는 제2 데이터, 보험 적용 유무를 구분하는 제3 데이터, 수가 정보를 구분하는 제4 데이터 중에서 하나 이상을 상기 처치 버튼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치 버튼의 설정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신규 진료 내역에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상기 제3 데이터, 상기 제4 데이터 중에서 하나 이상을 상기 신규 진료 내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차트 관리 방법.
  10. 처치 버튼의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처치 버튼의 입력에 따라 진료 차트에 입력된 복수의 진료 내역의 진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진료 정보의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진료 차트에 적용될 수 있는 필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진료 차트에 포함된 복수의 진료 내역 중 일부를 선별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차트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처치 버튼에 따른 처치의 진료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필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진료 내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진료과 중에서 소정 기준에 따라 선별된 일부의 진료과에 대한 필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차트 관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진료 정보의 평문(plain text)를 파싱(parsing)하여 생성된 진료 정보의 메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차트 관리 방법.
  13.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환자의 진료 차트에 포함된 복수의 진료 내역을 획득하는 동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필터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한 하나 이상의 필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진료 내역들 중에서 상기 필터와 관련된 진료 내역을 선별하는 동작; 및
    상기 선별된 진료 내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진료 차트 관리 장치.
KR1020220022636A 2022-02-22 2022-02-22 진료 차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30125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636A KR20230125871A (ko) 2022-02-22 2022-02-22 진료 차트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636A KR20230125871A (ko) 2022-02-22 2022-02-22 진료 차트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871A true KR20230125871A (ko) 2023-08-29

Family

ID=8780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636A KR20230125871A (ko) 2022-02-22 2022-02-22 진료 차트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587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105B1 (ko) 2017-10-13 2019-03-26 주식회사 유비케어 진료차트를 기록하는 장치 및 진료차트를 기록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105B1 (ko) 2017-10-13 2019-03-26 주식회사 유비케어 진료차트를 기록하는 장치 및 진료차트를 기록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2931B2 (en) Order generation system and user interface suitable for the healthcare field
US20070168223A1 (en) Configurable clinic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060080142A1 (en) System for managing patient clinical data
US20030120514A1 (en) Patient data mining, presentation, exploration, and verification
US20050222873A1 (en) System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management and configuration of medical patient monitoring
US20070165049A1 (en) Configurable system and method for results review
EP2093684A2 (en) Intelligent dashboards
US2009017800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workflow management in clinical information systems
US20070143149A1 (en) Data tagging and report customiz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9211714A (ja) エキスパート・システムを臨床情報システムにインターフェース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70022086A1 (en) User-centric methodology for navigating through and accessing databases of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20150287317A1 (en) Real-Time Event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090125322A9 (en) Integrated virtual consultant
US2009009452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ext sensitive workflow management in clinical information systems
US20080262870A1 (en) Computerized Treatment Order and Associated Alert Processing System
WO2010052624A1 (en) Dynamic clinical worklist
US200700942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inical decision support
US20050108050A1 (en) Medical information user interface and task management system
US97988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grated display of clinical data
US200700833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atient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50100349A1 (en) Untethered Community-Centric Patient Health Portal
JP2020087471A (ja) 医療検査資料を含む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の構成及び表示
US20200159372A1 (en) Pinned bar apparatus and methods
US201302900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patient specific content
KR20230125871A (ko) 진료 차트 관리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