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840A -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 Google Patents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840A
KR20230124840A KR1020220139381A KR20220139381A KR20230124840A KR 20230124840 A KR20230124840 A KR 20230124840A KR 1020220139381 A KR1020220139381 A KR 1020220139381A KR 20220139381 A KR20220139381 A KR 20220139381A KR 20230124840 A KR20230124840 A KR 20230124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ehabilitation training
emg
finge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3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은
Original Assignee
김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은 filed Critical 김정은
Publication of KR20230124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840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1Interfaces to the user control is restricted to certain individu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1Forc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9Angl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0Muscle strain, i.e. measured on the user, e.g. Electromyography [EMG]
    • A61H2230/605Muscle strain, i.e. measured on the user, e.g. Electromyography [EMG]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재활 훈련 장치는 사용자의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 힘을 측정하는 힘 측정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사용자에게 지시할 맞춤 재활 훈련 동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힘 측정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득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지시할 상기 맞춤 재활 훈련 동작을 결정한다.Th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includes a forc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user's hand or finger strength, a camera for capturing the user's movement, a display for displaying a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to be instructed to the user, and a display for collec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A control unit is included, the user's state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force measurement unit and the camera, and the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motion to be instructed to the user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state information.

Description

재활 훈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 훈련 방법{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using the sam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본 발명은 재활 훈련 장치, 상기 재활 훈련 장치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 시스템 및 상기 재활 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재활 훈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맞춤 재활 훈련 방법을 제안하여, 장애 아동 재활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재활 훈련 장치, 상기 재활 훈련 장치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 시스템 및 상기 재활 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재활 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includ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nd a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us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by identifying a patient's condition at home and proposing a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providing convenience for rehabilitation of disabled children, a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includ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nd a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us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최근 들어, 발달 장애인 가족이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례가 해마다 나타나고 있다. 이는 장애인 가족들을 위한 보호가 부족함에서 초래되는 결과이다. 특히 소아 재활에 있어서는, 보호자 역할이 필수적인데 재활 환경에 대해서 지원체계를 넓히는 것은 불가피하다. 치료기관 방문에 따른 시간적 부담이 소아 재활의 어려움에 있어서 큰 비율을 차지하기 때문에, 장애 아동의 재활을 편하게 받을 수 있는 기술은 발달 장애인 부모의 부담감을 덜어줄 수 있다.Recently, cases in which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ke extreme choices are appearing every year. This is a result of the lack of protection for families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in pediatric rehabilitation, the role of a guardian is essential, and it is inevitable to expand the support system for the rehabilitation environment. Since the time burden of visiting a treatment institution accounts for a large percentage of the difficulties in rehabilitation of children, technology that allows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receive rehabilitation comfortably can relieve the burden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 VR 등 이미지 처리 기술 기반의 시스템인 신체 장애아의 재활을 받을 수 있는 기술이 종래 기술로 있으나, 사용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어렵고, 전문가의 피드백에 한계가 존재한다.Although there is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rehabilitation of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which is a system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ology such as AR and VR,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user's condition, and there are limitations to expert feedback.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3625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3625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64593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64593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치료기관 방문에 시간적 부담이 있는 장애 아동의 보호자의 부담감을 덜어주고, 장애 아동이 재밌고 편하게 재활을 할 수 있게 만들어 환자의 재활에 대한 거부감을 덜어주는 재활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this respect,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lieve the burden of guardia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have a time-consuming burden of visiting treatment institutions, and to make rehabilitation fun and comfortabl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by helping patien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that reduces resistance to rehabilit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재활 훈련 장치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includ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재활 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재활 훈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us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는 사용자의 손, 손가락 힘, 또는 악력을 측정하는 힘 측정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사용자에게 지시할 맞춤 재활 훈련 동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힘 측정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득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지시할 상기 맞춤 재활 훈련 동작을 결정한다.A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rce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a user's hand, finger strength, or grip strength; a camera for capturing the motion of the user; a display displaying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motions to be instructed to the user; and a control unit collec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wherein the user's state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force measuring unit and the camera, and the customized rehabilitation to be instructed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s state information. Determine your training mov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활 훈련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근전도 값을 측정하는 근전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근전도 측정부, 상기 힘 측정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득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EMG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user's EMG value, and the user's state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EMG measurement unit, the force measurement unit, and the camera.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맞춤 재활 훈련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근전도, 손 또는 손가락 힘, 악력, 움직임에 대한 상기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AR 게임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determines the user's body condition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n the user's EMG, hand or finger strength, grip strength, and movement, and displays the display. Through this, an AR game exercise program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득한 상기 사용자의 손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손목의 가동 범위에 대한 손목 각도, 손가락 가동 범위에 대한 손가락 관절 각도, 및 상기 근전도 값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능력의 적합 혹은 부적합을 부여하거나, 점수로 환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user's hand obtained through the camera, the angle of the wrist for the range of motion of the user's wrist, the angle of the finger joint for the range of motion of the fingers, and the Considering the EMG value, suitability or unsuitability of the user's physical ability may be assigned or converted into a sc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목 각도, 상기 손가락 관절 각도, 및 상기 근전도 값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 판단은, 상기 손목 각도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재활 훈련 동작 시, 손목 각도가 미리 설정해둔 정상범위 내에 포함되면 적합으로 판단하고, 상기 손가락 관절 각도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재활 훈련 동작 시, 미리 설정해둔 정상범위 내에 포함되면 적합으로 판단하고, idle상태의 측정된 근전도 값과 상기 맞춤 재활 훈련 동작 시 측정되는 값의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불필요한 근육이 필요 이상으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하여, 부적합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of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wrist angle, the finger joint angle, and the EMG value is determined by a preset wrist angle when the user performs the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If it is within the set normal range, it is determined to be suitable, and if the finger joint angle is within the preset normal range during the rehabilitation operation of the user, it is determined to be suitable, and the measured EMG value in the idle state and the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A ratio of values measured during an operation is calculated, and when the ratio exceeds a pre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unnecessary muscles are used more than necessary, and thus, it may be determined to be unsuit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맞춤 재활 훈련 동작은 주먹 쥐기/펴기, 브이, 포인팅, 최고(엄지의 4방향 모두 익히기), 손목 들기, 손가락 들기, 손가락 따로 굽히기, 손가락 따로 펴기 및 주세요(손 엎침 뒤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motion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 fist clenching/extending, V, pointing, best (learning all four directions of the thumb), wrist lifting, finger lifting, finger bending separately, and finger It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separate spread and give (hand fli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얻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상기 근전도 측정부, 상기 힘 측정부, 상기 카메라,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어부는 유무선 통신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 저장, 연산, 처리 및 송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motion of the user obtained through the camera, and the EMG measuring unit, the force measuring unit, the camera, the display, and the control unit use data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an be collected, stored, calculated, processed and transmitte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시스템은 신체 장애인 근육의 전기적 활성 상태를 검사할 근전도 측정부; 상기 신체 장애인의 손 또는 손가락 힘, 악력을 측정할 힘 측정부; 상기 신체 장애인의 손 움직임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신체 장애인에게 지시할 손동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신체 장애인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재활 훈련 장치를 통해 취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단 및 디지털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활 훈련 장치를 통해 취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에 진단 및 디지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A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myography measurement unit for examining an electrical activity state of muscles of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a force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hand or finger strength and grip strength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a camera for capturing hand movements of the handicapped person; a display displaying a hand gesture to be instructed to the handicapped person; And a control unit for collec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including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ncluding a server that provides a diagnosis and digital treatment method using data acquired through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 diagnosis and digital treatment method is provided to the guardian terminal of the user's guardian using the data acquired through the train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근전도 측정부, 상기 힘 측정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득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지시할 맞춤 재활 훈련 동작을 결정하여, 상기 재활 훈련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재활 훈련 동작을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state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EMG measurement unit, the force measurement unit, and the camera, and the server is configured to instruct the user based on the user's state information. A rehabilitation training motion may be determined, and the rehabilitation training mo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득한 상기 사용자의 손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손목의 가동 범위에 대한 손목 각도, 손가락 가동 범위에 대한 손가락 관절 각도, 및 상기 근전도 값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능력의 적합 혹은 부적합을 부여하거나, 점수로 환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user's hand obtained through the camera, the angle of the wrist for the range of motion of the user's wrist, the angle of the finger joint for the range of motion of the fingers, and the Considering the EMG value, suitability or unsuitability of the user's physical ability may be assigned or converted into a sc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목 각도, 상기 손가락 관절 각도, 및 상기 근전도 값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 판단은, 상기 손목 각도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재활 훈련 동작 시, 손목 각도가 미리 설정해둔 정상범위 내에 포함되면 적합으로 판단하고, 상기 손가락 관절 각도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재활 훈련 동작 시, 미리 설정해둔 정상범위 내에 포함되면 적합으로 판단하고, idle상태의 측정된 근전도 값과 상기 맞춤 재활 훈련 동작 시 측정되는 값의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불필요한 근육이 필요 이상으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하여, 부적합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of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wrist angle, the finger joint angle, and the EMG value is determined by a preset wrist angle when the user performs the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If it is within the set normal range, it is determined to be suitable, and if the finger joint angle is within the preset normal range during the rehabilitation operation of the user, it is determined to be suitable, and the measured EMG value in the idle state and the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A ratio of values measured during an operation is calculated, and when the ratio exceeds a pre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unnecessary muscles are used more than necessary, and thus, it may be determined to be unsuit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용자에게 주먹 쥐기/펴기, 브이, 포인팅, 최고(엄지의 4방향 모두 익히기), 손목 들기, 손가락 들기, 손가락 따로 굽히기, 손가락 따로 펴기 및 주세요(손 엎침 뒤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시하도록 영상을 송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rompts the user to make/extend a fist, V, pointing, top (learning all four directions of the thumb), lifting a wrist, lifting a finger, bending a finger separately, spreading a finger separately, and giving ( The video may be transmitted to indicate any one or more of the upturned hands.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방법은 부동 자세에서 근전도를 측정하여 idle 상태의 근전도를 측정하는 단계; 디스플레이에서 검사 동작을 송출하는 단계; 사용자의 근전도 및 손 또는 손가락 힘, 악력을 측정하고, 움직임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손 또는 손가락 힘, 악력, 근전도 및/또는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지시할 맞춤 재활 훈련 동작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A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easuring EMG in an idle state by measuring EMG in a floating posture; sending a test action on the display; measuring the user's EMG, hand or finger strength, and grip strength, and photographing the user's movement; calcula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measured hand or finger strength, grip strength, electromyogram, and/or captured imag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displaying a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to be instructed to the user on a display; includ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맞춤 재활 훈련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근전도, 손 또는 손가락 힘, 악력, 움직임에 대한 상기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AR 게임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determines the user's body condition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n the user's EMG, hand or finger strength, grip strength, and movement, and displays the display. Through this, an AR game exercise program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득한 상기 사용자의 손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손목의 가동 범위에 대한 손목 각도, 손가락 가동 범위에 대한 손가락 관절 각도, 및 상기 근전도 값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능력의 적합 혹은 부적합을 부여하거나, 점수로 환산하고, 상기 손목 각도, 상기 손가락 관절 각도, 및 상기 근전도 값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 판단은, 상기 손목 각도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재활 훈련 동작 시, 손목 각도가 미리 설정해둔 정상범위 내에 포함되면 적합으로 판단하고, 상기 손가락 관절 각도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재활 훈련 동작 시, 미리 설정해둔 정상범위 내에 포함되면 적합으로 판단하고, idle상태의 측정된 근전도 값과 상기 맞춤 재활 훈련 동작 시 측정되는 값의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불필요한 근육이 필요 이상으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하여, 부적합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user's hand obtained through the camera, the angle of the wrist for the range of motion of the user's wrist, the angle of the finger joint for the range of motion of the fingers, and the Considering the EMG value, the user's physical ability is appropriate or unsuitable, or converted into a score, and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wrist angle, the finger joint angle, and the EMG value, the wrist angle When the user's wrist angle is within a preset normal range during the user's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it is determined as suitable, and when the finger joint angle is within the preset normal range during the user's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it is determined as suitable. and calculates the ratio between the EMG value measured in the idle state and the value measured during the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and if the ratio exceeds a pre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unnecessary muscles are used more than necessary, and is unsuitable can be judged by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장애 아동이 가정 내에서 재활 훈련을 받도록 재활 훈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어, 보호자는 병원까지 가는데 걸리는 시간적 부담을 덜 수 있고, 재활 훈련 시스템을 게임에 접목하여 재활 훈련에 대해 장애 아동이 느끼는 거부감을 줄이고 흥미도를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AI 머신러닝 및 딥러닝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맞춤 재활 훈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so that a disabled child can receive rehabilitation training at home, so that the guardian can reduce the time burden of going to the hospital, and graft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into a game for rehabilitation It can reduce the reluctance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feel about training and increase their interest. In addition,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s can be provided to patients using AI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즉, 재활 훈련 장치에서 정확하게 측정한 환자 정보로, AI 머신러닝 및 딥러닝을 이용한 재활 훈련 시스템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유효한 피드백을 할 수 있다.That is, with patient information accurately measured by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effective feedback can be given to the patient us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using AI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may be expand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체 장애인, 재활 치료사, 2차 재활 기관 간의 서비스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보호자 단말이 재활 훈련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including a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flow between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a rehabilitation therapist, and a secondary rehabilitation institution using a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on which a guardian terminal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rehabilitation training.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including a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체 장애인, 재활 치료사, 2차 재활 기관 간의 서비스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flow between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a rehabilitation therapist, and a secondary rehabilitation institution using a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재활 훈련 시스템은 재활 훈련 장치(100), 서버(200), 보호자 단말(10), 재활 치료사 단말(20) 및 연계기관(3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may include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a server 200, a guardian terminal 10, a rehabilitation therapist terminal 20, and an associated institution 30.

상기 재활 훈련 장치(100)는 재활 치료가 필요한 신체 장애인의 움직임, 근전도 등을 측정하고, 필요로 하는 재활 치료 신체 활동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재활 훈련 장치(100)는 근전도 측정부(110), 힘 측정부(120), 카메라(130), 디스플레이(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100 may measure movement, electromyogram, etc. of a physically disabled person requiring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may instruct a required physical activity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may include an electromyogram measurement unit 110, a force measurement unit 120, a camera 130, a display 140, and a control unit 150.

상기 근전도 측정부(110)는 근육의 전기적 활성 상태인 근전도 값을 검사하기 위한 EMG(electromyography) 패치 및 바늘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근전도 측정부(110)는 말초신경질환, 근육질환, 안면마비 및 신경근접합부질환 등의 진단 및 예후 판단을 위해, 근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근육조직은 대표적인 전기적 전도체이므로, 근섬유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근전도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근육 상태 정보는 후술할 상기 제어부(150)에 송신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로 저장된다.The EMG measurement unit 110 may include components such as an EMG (electromyography) patch and a needle for examining an EMG value, which is an electrical activity state of a muscle. In detail, the EMG measurement unit 110 may measure EMG for diagnosis and prognosis of peripheral nerve diseases, muscle diseases, facial paralysis, and neuromuscular junction diseases. Since muscle tissue is a representative electrical conductor, electrical activity of muscle fibers can be recorded. The user's muscle stat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electromyogram measurement unit 1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and stored as user state information.

상기 EMG(electromyography) 패치는 사용자의 팔 근육부에 전극을 붙여 사용자의 근전도 검사를 하는 방법인 표면 근전도 검사에 사용된다. 상기 표면 근전도 검사는 크게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을 검사한다. 상기 표면 근전도 검사는 결과의 정확성은 떨어지나, 검사할 때 불편함이 적고, 사용자가 활동적인 상태에서 검사할 수 있으므로 활동성이 높은 아동에게 적용하기 적합한 검사 방법이다.The electromyography (EMG) patch is used for surface electromyography, which is a method of performing electromyography of a user by attaching electrodes to a user's arm muscle. The surface electromyography mainly examines sensory nerves and motor nerves. Although the accuracy of the surface electromyography test is low, it is a test method suitable for application to highly active children because it causes little discomfort during the test and allows the user to perform the test in an active state.

상기 바늘은 사용자의 팔 근육부를 찔러 근전도 검사를 하는 방법인 침 근전도 검사이다. 상기 침 근전도 검사는 상기 표면 근전도 검사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간혹 검사를 받은 부위에 통증이 있을 수 있지만, 정확한 결과를 원한다면 상기 침 근전도 검사가 유용하다.Needle electromyography is a method of performing electromyography by piercing the user's arm muscle with the needle. The needle electromyography may produce more accurate results than the surface electromyography. Occasionally, there may be pain in the area examined, but the needle electromyography is useful if you want accurate results.

상기 힘 측정부(120)는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 힘, 악력을 측정한다. 손 또는 손가락 힘, 악력은 기성의 악력 측정기를 사용하거나, 압력 센서 또는 Force Sensitive Resistor(FSR) 센서가 장착된 풍선이나 공과 같은 탄성체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방법들로 상기 힘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악력 측정값은 후술할 상기 제어부(150)에 송신하여 상기사용자의 상태 정보로 저장된다.The force measurement unit 120 measures the user's hand or finger strength and grip strength. Hand or finger strength and grip strength may be measured using a ready-made grip strength measuring instrument or an elastic body such as a balloon or ball equipped with a pressure sensor or a Force Sensitive Resistor (FSR) sensor. The grip strength measurement values measured by the force measurement unit 120 by the above methods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and stored as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기성의 악력 측정기는 사용자가 손을 쥐어서 힘을 가하면, 디지털로 악력의 수치가 나오게 되는 원리이다. 상기 원리로 나온 악력의 수치 값은 상기 후술할 보호자 단말(10) 화면에 송출되어 보호자가 확인하거나 후술할 상기 재활 치료사 단말(20) 화면에 송출되어 재활 치료사가 확인할 수 있다.The ready-made grip strength measuring device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when a user applies force by squeezing a hand, a numerical value of the grip strength is output digitally. The numerical value of the grip strength derived from the above principle can be sent to the screen of the guardian terminal 10 to be described later and checked by the guardian, or sent to the screen of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terminal 2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can check it.

상기 압력 센서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의 일종으로, 주로 측정 결과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압력계를 가리킨다. 사용자가 압력 센서에 힘을 가하면 센서는 변위를 전압 또는 전류와 같은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압력 센서로 스트레인게이직 압력센서(strain gauge pressure sensor), 정전용량식 압력센서(capacitive pressure sensor), 전위차계식 압력센서(potentiometric pressure sensor), LVDT 압력센서(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압전기식 압력센서(piezoelectric pressure sensor), 실리콘 압력센서(silicon pressure sensor) 및 광학식 압력센서(optical pressure transduc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is a type of pressure gauge that measures pressure, and refers to a pressure gauge that converts a measurement resul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result. When a user applies force to the pressure sensor, the sensor converts the displacement into an electrical signal such as voltage or current. As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 pressure sensor, capacitive pressure sensor, potentiometric pressure sensor, LVDT pressure sensor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piezoelectric pressure sensor A piezoelectric pressure sensor, a silicon pressure sensor, an optical pressure transducer, and the like may be used.

상기 Force Sensitive Resistor(FSR) 센서는 사용자가 물리적인 힘을 가했을 때 저항 값이 바뀌는 성질을 이용한 센서이다. 상기 센서에 압력이 가해지면 저항 값이 줄어들며 정밀한 단위의 측정보다 터치 센싱 및 무게에 반응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인 상기 재활 훈련 장치에 적합하다.The Force Sensitive Resistor (FSR) sensor is a sensor using a property in which a resistance value changes when a user applies a physical force.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sensor, the resistance value decreases, and it is suitable for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whose purpose is to detect the user's condition in response to touch sensing and weight rather than precise unit measurement.

상기 카메라(130)는 사용자의 움직임 및 손 움직임을 3차원으로 촬영하여 상기 재활 훈련 시스템에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재활 훈련 시스템을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하면, 게임 상에 정해진 일정 동작들을 상기 카메라(130)가 인식해서 게임 상의 캐릭터를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30)를 통해 신체 장애인의 손 움직임 가동 범위를 파악한 후, 후술할 상기 제어부(150)에 손 움직임 가동 범위를 송신하여, 신체 장애인의 현재 상태 혹은 신체 장애인의 훈련을 진행함에 따른 성취도를 파악할 수 있다. The camera 130 captures the user's movement and hand movement in 3D and uses them i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For example, when a game is executed us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the camera 130 recognizes certain motions determined in the game, and the character in the game can be moved as desired. In addition, after grasping the hand movement movable range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through the camera 130, the hand movement movable rang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current state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or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 training achievement can be identified.

상기 디스플레이(140)는 후술할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재활 훈련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AR 게임 운동 프로그램을 화면에 송출할 수 있다. 게임 운동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지시할 맞춤 재활 훈련 동작을 상기 디스플레이(140) 화면을 통해 보여준다. 예를 들어 주먹 쥐기/펴기, 브이, 포인팅, 최고(엄지의 4방향 모두 익히기), 손목 들기, 손가락 들기, 손가락 따로 굽히기, 손가락 따로 펴기, 주세요(손 엎침 뒤침) 같은 손동작을 하도록 영상을 송출할 수 있다.The display 140 may transmit an AR game exercise program provided to the user by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from the server 200 to the screen. The game exercise program shows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motions to be instructed to the user through the screen of the display 140 . For example, video can be transmitted to perform hand gestures such as making/unfolding a fist, V, pointing, top (learning all four directions of the thumb), raising a wrist, lifting a finger, bending a finger separately, extending a finger separately, and giving it up (turning the hand upside down). can

상기 재활 훈련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AR 게임 운동 프로그램은 재활 훈련의 과정에 사용되어 사용자가 거부감 없이 재활 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R 게임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사용자에게 진단을 내리는데 바탕이 될 재활 데이터로 쌓을 수 있다.The AR game exercise program provided to the user by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is used in the process of rehabilitation training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rehabilitation training without feeling repulsive. In addition, the user's stat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AR game exercise program can be accumulated as rehabilitation data that will be the basis for making a diagnosis to the user.

상기 제어부(15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상기 근전도 측정부(110), 상기 힘 측정부(120) 및 상기 카메라(13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득할 수 있으며, 별도의 유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되어, 데이터의 수집, 저장, 연산, 처리 및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지시할 맞춤 재활 훈련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obtain the user's state information from the EMG measurement unit 110, the force measurement unit 120, and the camera 130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may include a separat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In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to collect, store, calculate, process, and transmit data. Based on the user's condition information, a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to be instructed to the user may be determined.

상기 제어부(150)는 Mediapipe 등의 ML 기술을 활용해서 사용자가 보여주는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Mediapipe는 구글에서 만들어 관리하고 있는 오픈소스 ML 솔루션으로 몇 가지 단계만으로 AI 기능을 활용한 응용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하므로, 상기 재활 훈련 장치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이다.The control unit 150 may use ML technology, such as Mediapipe, to detect motions shown by the user. Mediapipe is an open-source ML solution created and managed by Google. It is possible to develop applications using AI functions in just a few steps, so it is effective in identifying the user's movements i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오픈 소스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정보는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상기 재활 훈련 시스템을 통해 환자에게 진단을 내리는데 바탕이 될 재활 데이터에 저장된다. 재활 데이터는 상기 서버(200), 상기 보호자 단말(10), 상기 재활 치료사 단말(200) 및 상기 연계기관(30)에 유무선 통신 방법을 통해 교류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되어, 데이터의 수집, 저장, 연산, 처리 및 송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collects information on the user's condition through the open source,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a network,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rehabilitation data that will be the basis for making a diagnosis to the patient through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Rehabilitation data may be exchanged between the server 200, the guardian terminal 10,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terminal 200, and the associated institution 3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to collect, store, calculate, process, and transmit data.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어부(150)에서 취득한 상기 재활 데이터를 이용하여 AI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을 통해 사용자가 수행할 움직임, 사용자에게 적용할 진단 및 디지털 치료 방법 등을 산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40)에 송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연계 기관(30)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통해 진단한 내용 등 관련 데이터를 상기 보호자 단말(10)에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재활 훈련 시스템에서 각 단말끼리 재활 데이터를 교류함으로써, 보호자는 상기 연계 기관(30)에 방문하지 않아도 환자에 대한 훈련 방법을 파악하고, 환자는 병원에서 받는 재활 훈련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The server 200 calculates the motion to be performed by the user and the diagnosis and digital treatment method to be applied to the user through AI machine learning or deep learning using the rehabilitation data acquired by the control unit 150, and displays the display 140 ) is sent to In addition, the server 200 transmits related data, such as contents diagnose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user by the association agency 30, to the guardian terminal 10. Therefore, by exchanging rehabilitation data between each terminal i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the guardian can identify the training method for the patient without visiting the associated institution 30, and the patient can reduce the reluctance to receive rehabilitation training at the hospital. there is.

예를 들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어부(150)에서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맞춤 재활 동작을 결정하고 사용자에게 지시할 수 있다. 상기 맞춤 재활 동작은 기 검증된 재활 치료에 관한 논문 등을 통해 여러 동작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에서 지시할 맞춤 재활 동작을 상기 디스플레이(140) 화면에 송출한다. 환자가 상기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영상을 따라하면, 상기 카메라(130)에서 해당 동작을 촬영해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서버(200)는 손목의 가동 범위에 대한 손목 각도, 손가락 가동 범위에 대한 손가락 관절 각도, 및 상기 근전도 값을 고려하여 적합 혹은 부적합을 부여하거나, 점수로 환산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200 may extract data on the user's condition from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 a customized rehabilitation oper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struct the user. As the customized rehabilitation motion, various motions may be utilized through previously verified papers on rehabilitation treatment. The controller 150 transmits a customized rehabilitation operation to the screen of the display 140 . When the patient follows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40, the server 200 calculates the angle of the wrist and the range of motion of the fingers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motion with the camera 130. Acceptability or unsuitability may be assigned or converted into a score by considering the angle of the finger joint and the EMG value.

환자의 상태는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 값을 이용하여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도출되며, 손목 각도, 손가락 관절 각도, 및 근전도 값은 아래의 기준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The condition of the patient is derived by analyzing the image using machine learning or deep learning values, and the angle of the wrist, the angle of the finger joint, and the EMG valu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1) 손목 각도 - 재활 훈련 진행 시 손목 각도가 미리 설정해둔 정상범위 안에 들어와 있으면 적합으로 판단한다.(1) Wrist angle -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if the wrist angle is within the preset normal range, it is judged suitable.

(2) 손가락 관절 각도 - 재활 훈련 진행 시 손가락 각 관절의 각도가 미리 설정해둔 정상범위 안에 들어와 있으면 적합으로 판단한다.(2) Finger joint angle -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if the angle of each joint of each finger is within the preset normal range, it is judged suitable.

(3) emg패치 점수 - idle상태의 근전도 수치와 재활 훈련 진행 시의 수치를 비교하여 %로 판단하고, 불필요한 근육이 필요 이상으로 높게 측정이 되면 부적합으로 판단한다.(3) emg patch score - The EMG value in the idle state and the value during rehabilitation are compared and judged as %. If unnecessary muscles are measured higher than necessary, it is judged to be unsuitable.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을 분석하여 환자의 상태를 도출하는 과정이 상기 서버(200)에서 구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재활 훈련 장치 (100)에 상기 카메라(130)를 통해 영상을 분석하여 환자의 상태를 도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a process of deriving a patient's condition by analyzing an image is implemented in the server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to derive a patient's condition by analyzing an image through the camera 130 .

상기 보호자 단말(100)은 보호자로부터 상기 신체 장애인의 보호자로서 입력이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는 환자가 진행한 재활 훈련에 대한 스케줄을 작성할 수 있고, 재활 훈련을 어떻게 진행했는지에 대한 진행 내역 및 치료를 진행한 환자의 현재 상태를 상기 보호자 단말(10)에 작성할 수 있다.The guardian terminal 100 can receive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input as a guardian of the disabled person from the guardian. For example, the guardian can create a schedule for the patient's rehabilitation training, and write the progress history of how the rehabilitation training was conducted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patient who has undergone treatment in the guardian terminal 10. .

또한, 상기 재활 훈련 시스템의 운영자는 전문가 상담 커뮤니티 등을 운영하여 보호자는 보호자 단말(10)을 통해 각 환자에게 맞는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or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operates an expert counseling community so that the guardian can receive diagnosis and treatment methods suitable for each patient through the guardian terminal 10 .

상기 재활 치료사 단말(20)을 통해 재활 치료사는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보호자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문가 상담 커뮤니티 내 보호자가 남긴 Q&A에 피드백을 남기거나, 후술할 상기 연계기관(30)에서 제시한 맞춤 재활 훈련 방법에 의문이 생기면 보호자 혹은 환자에게 관련 리포트를 제공하거나 의료 상담을 해준다. 또한, 재활 훈련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후술할 상기 연계기관(30)에서 파악하여, 올바른 재활 훈련 방법을 다시 제시할 수 있다.Through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terminal 20,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can grasp the patient's condition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guardian. For example, if you leave feedback on the Q&A left by your guardian in the expert counseling community, or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the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suggested by the linking institution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you provide a related report or medical consultation to your guardian or patient. . In addition, if a problem occurs dur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process, the linking institution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figure out and present the correct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gain.

상기 제어부(150), 상기 서버(200), 상기 보호자 단말(10) 및 상기 재활 치료사 단말(20)이 네트워크를 통해 교류할 때, 별도의 유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방법으로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또는 이들의 상호 조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법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의 수집, 저장, 연산, 처리 및 송출은 상기 근전도 측정부(110), 상기 힘 측정부(120), 상기 카메라(130), 상기 디스플레이(140), 상기 제어부(150), 및/또는 상기 서버(200)에서 직접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150, the server 200, the guardian terminal 10, and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terminal 20 exchange through a network, a separat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be included. For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 Value Added Network (VA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or mutual They can be linked through combination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include, for example, wireless LAN (Wi-Fi),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Bluetooth low energy), Zigbee, WFD (Wi-Fi Direct), UWB (ultra-wideband),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etc. may be presen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collection, storage, calculation, processing, and transmission of data may be performed by the EMG measurement unit 110, the force measurement unit 120, the camera 130, the display 140, the controller 150, and/or the It can be performed directly on the server 200.

상기 연계기관(30)은 상기 보호자 단말(10)에 남긴 환자의 상태 정보나 상기 재활 훈련 장치를 통해 수집한 환자 데이터를 확인하여, 환자에게 맞춤 재활 훈련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연계기관(30)은 재활 훈련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재활 치료사를 통해 보호자 혹은 환자에게 개선책을 제시할 수 있다.The linking institution 30 checks the patient's condition information left on the guardian terminal 10 or patient data collected through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nd presents a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to the patient. In addition,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process, the linking institution 30 may suggest an improvement plan to the guardian or patient through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재활 훈련 방법은 부동 자세에서 근전도를 측정하여 idle 상태의 근전도를 측정하는 단계(S300), 디스플레이에서 검사 동작을 송출하는 단계(S310), 사용자의 근전도 및 손 또는 손가락 힘, 악력을 측정하고, 움직임을 촬영하는 단계(S320), 측정된 손 또는 손가락 힘, 악력, 근전도 및/또는 촬영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330), 상태 정보를 서버로 송출하는 단계(S340) 및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지시할 재활 훈련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S3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includes a step of measuring an EMG in an idle state by measuring an EMG in a floating posture (S300), transmitting a test motion on a display (S310), and a user's EMG and hand or finger strength. , measuring grip strength and photographing motion (S320), calculating user status information from measured hand or finger strength, grip strength, EMG and/or captured images (S330),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to a server It includes a step (S340) and a step (S350) of displaying rehabilitation training to be instructed to the user on a displa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상기 부동 자세에서 근전도를 측정하여 idle 상태의 근전도를 측정하는 단계(S300)에서는, 사용자의 idle 상태의 근전도를 측정함으로써 동작 시의 근전도 값과 비교하기 위한 기본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근전도는 EMG(electromyography) 패치 및 바늘 등을 이용해 측정할 수 있고, 각각의 특징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검사 방법을 택할 수 있다.In the step of measuring the EMG in the idle state by measuring the EMG in the floating posture (S300), a basic value for comparison with the EMG value during operation can be calculated by measuring the EMG in the user's idle state. EMG can be measured using an electromyography (EMG) patch, a needle, etc., and a test method suitable for the user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each characteristic.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검사 동작을 송출하는 단계(S310)에서는, 신체 장애인이 주먹 쥐기/펴기, 브이, 포인팅, 최고(엄지의 4방향 모두 익히기), 손목 들기, 손가락 들기, 손가락 따로 굽히기, 손가락 따로 펴기 및 주세요(손 엎침 뒤침) 동작을 따라할 수 있도록 해당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140) 화면에 송출할 수 있다.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test motion from the display (S310), the handicapped person clenches/unfolds a fist, V, points, best (learns all four directions of the thumb), raises a wrist, lifts a finger, bends a finger separately, spreads a finger separately, and A corresponding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screen of the display 140 so that the user can follow the motion of giving me (hand flipping).

상기 사용자의 근전도 및 손 또는 손가락 힘, 악력을 측정하고, 움직임을 촬영하는 단계(S320)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140)에 송출된 영상의 동작을 따라할 때, 근전도 값 및 손 또는 손가락 힘, 악력의 세기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동작을 3차원으로 영상 촬영을 할 수 있다. 상기 근전도 값은 상기 근전도 측정부(110)에서 측정되고, 상기 손 또는 손가락 힘, 악력의 세기는 상기 힘 측정부(120)에서 측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은 상기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될 수 있다.In step S320 of measuring the user's EMG, hand or finger strength, and grip strength, and photographing the motion, when the user follows the motion of the image transmitted to the display 140, the EMG value and hand or finger strength , the strength of grip strength can be measured, and the motion of the user can be captured in 3D. The EMG value is measured by the EMG measuring unit 110, the strength of the hand or finger strength, and grip strength are measured by the force measuring unit 120, and the user's motion is captured by the camera 130. can

상기 측정된 손 또는 손가락 힘, 악력, 근전도 및/또는 촬영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330)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근전도 및 손 또는 손가락 힘, 악력을 측정하고, 움직임을 촬영하는 단계(S320)에서 측정된 값 및 영상을 상기 제어부(150)에서 사용자의 상태 정보로 수집하여, 상기 연계기관(30)에서 진단을 내리는데 바탕이 될 재활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In step S330 of calculating the user's state information from the measured hand or finger strength, grip strength, electromyogram, and/or captured image, the user's electromyogram, hand or finger strength, and grip strength are measured, and motion is captured. The value and image measured in step S320 are collected by the control unit 150 as user's condition information, and can be used as rehabilitation data to be the basis for making a diagnosis in the linking institution 30 .

상기 상태 정보를 서버로 송출하는 단계(S340)에서는, 측정된 손 또는 손가락 힘, 악력, 근전도 및/또는 촬영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330)에서 산출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200)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에서는 상기 제어부(150)에서 취득한 상기 재활 데이터를 이용하여 AI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을 통해 신체 장애인에게 요구할 움직임, 진단 및 디지털 치료 방법 등을 산출할 수 있다.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tate information to the server (S340), the data calculated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S330) from the measured hand or finger strength, grip strength, electromyogram, and/or captured image is transferred to the server ( 200) can be sent. The server 200 may calculate motions to be requested from the physically handicapped, diagnosis and digital treatment methods, etc. through AI machine learning or deep learning using the rehabilitation data acquired by the control unit 150.

측정된 근전도 및 손 또는 손가락 힘, 악력, 및 영상으로부터 도출된 손목 각도, 손가락 관절 각도, 및 근전도 값을 동작별로 가중치를 두어 계산함으로써 적합 혹은 부적합을 부여하거나, 점수로 환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행해야하는 동작에 따라 근육별로 근전도 값의 유동이 달라지며, 이를 고려하여 점수화할 수 있다. The measured EMG, hand or finger strength, grip strength, wrist angle, finger joint angle, and EMG values derived from the image are calculated with weights for each motion to give a pass or fail or convert into a score. The flow of EMG values for each muscl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motion that the user has to perform, and it can be scored in consideration of this.

상기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지시할 재활 훈련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S350)에서는, 상기 상태 정보를 서버로 송출하는 단계(S340)에서 송출한 상태 정보에 따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 재활 훈련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맞춤 재활 훈련은 AR 게임 운동 프로그램에 접목되면서, 사용자는 재활 훈련에 대한 경계심을 줄이면서 재활 훈련이 진행될 수 있다.In the step of displaying rehabilitation training to be instructed to the user on the display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350),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transmitted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tate information to the server (S340),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user We can offer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that is suitable for you. As the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is grafted onto an AR game exercise program, rehabilitation training can be performed while reducing the user's alertness to rehabilitation training.

도 4a 내지 도 4b는 상기 보호자 단말(10)이 재활 훈련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A to 4B are diagrams showing screens on which the guardian terminal 10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rehabilitation training.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자 단말(10)은 메인 화면(410) 및 운동 배정하기 화면(430)을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 the guardian terminal 10 may display a main screen 410 and an exercise assignment screen 430 .

상기 메인 화면(410)은 QR 코드 버튼(411), 알림 설정 버튼(412), 재활 치료사 배정이 필요한 환자 모으는 설정 버튼(413), 환자 목록(414) 및 환자 이름 검색 칸(4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screen 410 includes a QR code button 411, a notification setting button 412, a patient collection setting button 413 requiring rehabilitation therapist assignment, a patient list 414, and a patient name search box 415. can do.

상기 메인 화면(414)은 환자의 프로필 사진(416), 환자의 이름(417), 각 환자가 하루에 상기 재활 훈련을 진행한 시간(418), 상기 재활 훈련 시스템을 바탕으로 진행한 게임 결과 점수(419) 및 현재 접속 여부(4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접속 여부(420)는 빨간 점으로 표시하여 환자가 게임에 접속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The main screen 414 includes the patient's profile picture 416, the patient's name 417, the amount of time each patient performed the rehabilitation training per day 418, and the game result score based 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419) and current connection status (420). The current connection status 420 may be displayed as a red dot to indicate that the patient has access to the game.

상기 운동 배정하기 화면(430)은 배정된 재활 치료사 프로필(431), 응원 칸(432), 게임에 접속할 QR 코드(433) 및 주간 스케줄(4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ercise assignment screen 430 may include an assigned rehabilitation therapist profile 431, a cheer column 432, a QR code 433 to access a game, a weekly schedule 434, and the like.

상기 주간 스케줄(434)은 날짜마다 수행해야할 훈련을 나타내며, 더보기 버튼(435)을 누르면, 환자는 본인이 수행해야할 구체적인 훈련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The weekly schedule 434 indicates training to be performed for each day, and when the more button 435 is pressed, the patient can check a list of specific training to be performed.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자 단말(10)은 Report Card 화면(440)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 the guardian terminal 10 may display a report card screen 440 .

상기 Report Card 화면(440)은 알림 설정 버튼(441), 환자 프로필 사진(442), 환자 이름(443), 요약 칸(444), 주간 리포트 칸(445), 내보내기 버튼(446), 주간 재활 목록 칸(448) 및 메뉴 목록(449)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port Card screen 440 includes a notification setting button 441, a patient profile picture 442, a patient name 443, a summary column 444, a weekly report column 445, an export button 446, and a weekly rehabilitation list. column 448 and menu list 449;

상기 요약 칸(444)은 전체 훈련 날짜, 1달, 1주 혹은 1일 동안의 치료 기간, 총 치료 시간 및 일일 평균 치료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주간 리포트 칸(445)은 상기 날짜 별 수행 능력 비율 정보(447)를 포함하여 환자의 인내력, 정확도, 속도, 압각능 및 협응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날짜 별 수행 능력 비율 정보(447)는 상기 내보내기 버튼(446)을 누르면 연계 기관 및 재활 치료사 등과 같은 환자의 정보를 원하는 수신인에게 공유될 수 있다. 상기 주간 재활 목록(448)은 손바닥 회외, 척측 굴곡 및 손가락 외전 등과 같은 환자가 수행한 재활 훈련 및 재활 훈련 횟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메뉴 목록(449)은 상기 Report Card 화면(440)의 하단에 나타낼 수 있으며, 홈 버튼, Report Card 버튼, QR 코드 버튼, 채팅 버튼 및 프로필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mmary column 444 may display the total training date, treatment period for 1 month, 1 week or 1 day, total treatment time, daily average treatment time, and the like. The weekly report column 445 may indicate the patient's endurance, accuracy, speed, pressure sensory ability, coordination, and the like, including the performance ratio information 447 for each date. When the export button 446 is pressed, the performance capacity ratio information 447 for each date can be shared with recipients who desire patient information, such as affiliated organizations and rehabilitation therapists. The weekly rehabilitation list 448 may check rehabilitation training performed by the patient, such as palm supination, ulnar flexion, and finger abduction, and the number of rehabilitation training sessions. The menu list 449 may appear at the bottom of the report card screen 440, and may include a home button, a report card button, a QR code button, a chat button, and a profile button.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자 단말(10)은 채팅 화면(430)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C , the guardian terminal 10 may display a chatting screen 430 .

상기 채팅 화면(430)은 QR 코드 버튼(451), 알림 설정 버튼(452), 이름 검색 칸(453) 및 채팅 칸(454)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hat screen 430 may include a QR code button 451, a notification setting button 452, a name search box 453, a chat box 454, and the like.

상기 채팅 칸(454)을 누르면 재활 치료사 이름(455), 음성 통화 버튼(456), 영상 통화 버튼(457), 보호자의 채팅 이력(458), 재활 치료사의 채팅 이력(459) 및 대화 내용 입력 칸(460) 등이 나타난다. 채팅을 통해 보호자는 궁금한 내용이나 진행되는 훈련의 문제점을 말하면서, 재활치료사에게 해당 문제점에 대해 개선책을 제시 받으며 맞춤 재활 훈련을 컨설팅 받을 수 있다. 컨설팅을 통해, 재활 훈련 진행 상황에 대한 보호자의 불안감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환자의 재활 훈련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When the chat box 454 is pressed, the rehabilitation therapist's name 455, the voice call button 456, the video call button 457, the guardian's chat history 458, the rehabilitation therapist's chat history 459, and the conversation content input field (460) and the like appear. Through chatting, guardians can talk about their questions or problems in ongoing training, and receive consulting on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while receiving improvement measures from a rehabilitation therapist. Through consulting, it is possible to relieve the guardian's anxiety about th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ess and improve the patient's rehabilitation training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be able to.

10: 보호자 단말 20: 재활 치료사 단말
30: 연계기관 100: 재활 훈련 장치
110: 근전도 측정부 120: 힘 측정부
130: 카메라 140: 디스플레이
150: 제어부 200: 서버
10: guardian terminal 20: rehabilitation therapist terminal
30: associated institution 100: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10: electromyography measurement unit 120: force measurement unit
130: camera 140: display
150: control unit 200: server

Claims (14)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이 가하는 힘을 측정하는 힘 측정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사용자에게 지시할 맞춤 재활 훈련 동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힘 측정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득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지시할 상기 맞춤 재활 훈련 동작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훈련 장치.
a force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a force applied by a user's hand or finger;
a camera for capturing the motion of the user;
a display displaying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motions to be instructed to the user; and
a controller that collects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ing,
The user's state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force measurement unit and the camera, and the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motion to be instructed to the user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stat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근전도 값을 측정하는 근전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근전도 측정부, 상기 힘 측정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MG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EMG value of the user;
The user's state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btained through the EMG measurement unit, the force measurement unit and the camer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 재활 훈련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근전도, 손 또는 손가락 힘, 움직임에 대한 상기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AR 게임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identifies the user's body condition based on the user's EMG, hand or finger strength, and state information on movement, and provides an AR game exercise program through the display.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to b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득한 상기 사용자의 손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손목의 가동 범위에 대한 손목 각도, 손가락 가동 범위에 대한 손가락 관절 각도, 및 상기 근전도 값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능력의 적합 혹은 부적합을 부여하거나, 점수로 환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im 2,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hand movement obtained through the camera,
In consideration of the wrist angle for the range of motion of the user's wrist, the angle of the finger joint for the range of motion of the fingers, and the EMG value, the user's physical ability is appropriate or unsuitable, or converted into a score. Characterized in tha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 각도, 상기 손가락 관절 각도, 및 상기 근전도 값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 판단은,
상기 손목 각도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재활 훈련 동작 시, 손목 각도가 미리 설정해둔 정상범위 내에 포함되면 적합으로 판단하고,
상기 손가락 관절 각도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재활 훈련 동작 시, 미리 설정해둔 정상범위 내에 포함되면 적합으로 판단하고,
idle상태의 측정된 근전도 값과 상기 맞춤 재활 훈련 동작 시 측정되는 값의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불필요한 근육이 필요 이상으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하여, 부적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im 4,
Determining the user's body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wrist angle, the finger joint angle, and the EMG value,
When the wrist angle is within a preset normal range during the user's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wrist angle is suitable;
When the angle of the finger joint is within a preset normal range during the rehabilitation operation of the user, it is determined that it is suitable;
Calculate the ratio of the measured EMG value in the idle state and the value measured during the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and if the ratio exceeds the pre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unnecessary muscles are used more than necessary, and judged as unsuitabl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맞춤 재활 훈련 동작은 주먹 쥐기/펴기, 브이, 포인팅, 최고(엄지의 4방향 모두 익히기), 손목 들기, 손가락 들기, 손가락 따로 굽히기, 손가락 따로 펴기 및 주세요(손 엎침 뒤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motion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 fist clenching/extending, V, pointing, top (learning all four directions of the thumb), wrist lifting, finger lifting, finger bending separately, finger spreading separately, and giving (hand flipping)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comprising any one or more of.
신체 장애인의 손 또는 손가락 힘을 측정하는 힘 측정부;
상기 신체 장애인의 손 움직임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신체 장애인에게 지시할 손동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신체 장애인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재활 훈련 장치를 통해 취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단 및 디지털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활 훈련 장치를 통해 취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에 진단 및 디지털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재활 훈련 시스템.
a force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hand or finger strength of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a camera for capturing hand movements of the handicapped person;
a display displaying a hand gesture to be instructed to the handicapped person; and
Including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to collect state information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
a server that provides diagnosis and digital treatment methods using data acquired through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further includes a diagnosis and digital treatment method for providing a diagnosis and digital treatment method to a guardian terminal of the guardian of the user using data acquired through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장애인의 근육의 전기적 활성 상태를 검사하는 상기 근전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근전도 측정부, 상기 힘 측정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득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지시할 맞춤 재활 훈련 동작을 결정하여, 상기 재활 훈련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재활 훈련 동작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훈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the electromyogram measurement unit for examining the electrical activity state of the muscles of the disabled person;
The user's state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EMG measurement unit, the force measurement unit, and the camera;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er determines a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to be instructed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s state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on the displa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득한 상기 사용자의 손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손목의 가동 범위에 대한 손목 각도, 손가락 가동 범위에 대한 손가락 관절 각도, 및 상기 근전도 값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능력의 적합 혹은 부적합을 부여하거나, 점수로 환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훈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hand movement obtained through the camera,
In consideration of the wrist angle for the range of motion of the user's wrist, the angle of the finger joint for the range of motion of the fingers, and the EMG value, the user's physical ability is appropriate or unsuitable, or converted into a score. Characterized in that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 각도, 상기 손가락 관절 각도, 및 상기 근전도 값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 판단은,
상기 손목 각도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재활 훈련 동작 시, 손목 각도가 미리 설정해둔 정상범위 내에 포함되면 적합으로 판단하고,
상기 손가락 관절 각도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재활 훈련 동작 시, 미리 설정해둔 정상범위 내에 포함되면 적합으로 판단하고,
idle상태의 측정된 근전도 값과 상기 맞춤 재활 훈련 동작 시 측정되는 값의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불필요한 근육이 필요 이상으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하여, 부적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훈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Determining the user's body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wrist angle, the finger joint angle, and the EMG value,
When the wrist angle is within a preset normal range during the user's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wrist angle is suitable;
When the angle of the finger joint is within a preset normal range during the rehabilitation operation of the user, it is determined that it is suitable;
Calculate the ratio of the measured EMG value in the idle state and the value measured during the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and if the ratio exceeds the pre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unnecessary muscles are used more than necessary, and judged as unsuitabl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용자에게 주먹 쥐기/펴기, 브이, 포인팅, 최고(엄지의 4방향 모두 익히기), 손목 들기, 손가락 들기, 손가락 따로 굽히기, 손가락 따로 펴기 및 주세요(손 엎침 뒤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시하도록 영상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훈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display provides the user with one or more of fist clenching/extending, V, pointing, top (learning all four directions of the thumb), wrist lifting, finger lifting, finger bending separately, finger spreading separately, and giving (hand flipping). A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 image to instruct.
부동 자세에서 사용자의 근전도를 측정하여 idle 상태의 근전도를 측정하는 단계;
디스플레이에서 검사 동작을 송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근전도, 손 또는 손가락 힘을 측정하고, 움직임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손 또는 손가락 힘 및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지시할 맞춤 재활 훈련 동작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 방법.
measuring EMG in an idle state by measuring EMG of the user in a floating posture;
sending a test action on the display;
measuring the user's EMG, hand or finger strength, and photographing the user's movement;
calcula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measured strength of the hand or finger and the captured image; an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displaying a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to be instructed to the user on a display;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 재활 훈련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근전도, 손 또는 손가락 힘, 움직임에 대한 상기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AR 게임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훈련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identifies the user's body condition based on the user's EMG, hand or finger strength, and state information on movement, and provides an AR game exercise program through the display.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득한 상기 사용자의 손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손목의 가동 범위에 대한 손목 각도, 손가락 가동 범위에 대한 손가락 관절 각도, 및 상기 근전도 값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능력의 적합 혹은 부적합을 부여하거나, 점수로 환산하고,
상기 손목 각도, 상기 손가락 관절 각도, 및 상기 근전도 값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 판단은,
상기 손목 각도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재활 훈련 동작 시, 손목 각도가 미리 설정해둔 정상범위 내에 포함되면 적합으로 판단하고,
상기 손가락 관절 각도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재활 훈련 동작 시, 미리 설정해둔 정상범위 내에 포함되면 적합으로 판단하고,
상기 idle상태의 측정된 근전도 값과 상기 맞춤 재활 훈련 동작 시 측정되는 값의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불필요한 근육이 필요 이상으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하여, 부적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훈련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hand movement obtained through the camera,
Considering the wrist angle for the range of motion of the wrist of the user, the angle of the finger joint for the range of motion of the fingers, and the EMG value, the user's physical ability is appropriate or unsuitable, or converted into a score,
Determining the user's body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wrist angle, the finger joint angle, and the EMG value,
When the wrist angle is within a preset normal range during the user's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wrist angle is suitable;
When the angle of the finger joint is within a preset normal range during the rehabilitation operation of the user, it is determined that it is suitable;
Calculate the ratio of the EMG value measured in the idle state and the value measured during the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operation, and if the ratio exceeds a pre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unnecessary muscles are used more than necessary and judged as unsuitable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by doing.
KR1020220139381A 2022-02-18 2022-10-26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KR2023012484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21563 2022-02-18
KR1020220021563 2022-0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840A true KR20230124840A (en) 2023-08-28

Family

ID=87806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381A KR20230124840A (en) 2022-02-18 2022-10-26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4840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255A (en) 2019-05-27 2020-12-0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Augmented Reality Based Mirror Exercise System for Exercis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Nervous and Musculoskeletal system
KR20220064593A (en) 2020-11-12 2022-05-19 이준서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using virtual transplant based on vr/ar for overcoming phantom pai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255A (en) 2019-05-27 2020-12-0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Augmented Reality Based Mirror Exercise System for Exercis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Nervous and Musculoskeletal system
KR20220064593A (en) 2020-11-12 2022-05-19 이준서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using virtual transplant based on vr/ar for overcoming phantom pa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mone et al. A low cost instrumented glove for extended monitoring and functional hand assessment
US10417931B2 (en) Rehabilitation assistance device and program for controlling rehabilitation assistance device
JP4231876B2 (en) Training system, oper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raining support program
CN111656304B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WO2015041618A2 (en) Upper limb therapeutic exercise robot
Capsi-Morales et al. Comparison between rigid and soft poly-articulated prosthetic hands in non-expert myo-electric users shows advantages of soft robotics
KR101519808B1 (en) Rehabilitation system using a three dimentions space sensor
Thomas et al. Sensorimotor-inspired tactile feedback and control improve consistency of prosthesis manipulation in the absence of direct vision
KR20230124840A (en)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Stirling et al. Roadmap for the development of at-home telemonitoring systems to augment occupational therapy
Rau et al. Low-cost tele-assessment system for home-based evaluation of reaching ability following stroke
Moustakas et al. Development and user assessment of a body-machine interface for a hybrid-controlled 6-degree of freedom robotic arm (MERCURY)
Gurari et al. Environment discrimination with vibration feedback to the foot, arm, and fingertip
Kuchinke et al. Technical view on requirements for future development of hand-held rehabilitation devices
Hafidh et al. F-Glove: a glove with force-audio sensory substitution system for diabetic patients
Riederer et al. Development of tests to evaluate the sensory abiliti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using touch and force sensors
Nanda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upper extremity motion capture system for a rehabilitation robot
Price et al.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erformance-based functional assessment: A methodology for the measurement of physical capabilities
Giannoni Rehabilitation technologies for sensory-motor-cognitive impairments
Voicu et al. Advanced monitoring & sensing of mobility impaired individuals
Xiao Detecting upper extremity activity with force myography
Fougner Robust, Coordinated and Proportional Myoelectric Control of Upper-Limb Prostheses
CN219021189U (en) Automatic upper limb movement function evaluation system based on clinical scale
Boyd Sensing and adaption for long-term hand rehabilitation
US202202258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motor assess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