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121A - 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121A
KR20230124121A KR1020220020561A KR20220020561A KR20230124121A KR 20230124121 A KR20230124121 A KR 20230124121A KR 1020220020561 A KR1020220020561 A KR 1020220020561A KR 20220020561 A KR20220020561 A KR 20220020561A KR 20230124121 A KR20230124121 A KR 20230124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aerosol
aerosol generating
heating devi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5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채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Priority to KR1020220020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4121A/en
Publication of KR20230124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121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도도가 높은 그래핀 및/또는 그라파이트 조성의 가열층을 이용하여 저항 가열 또는 유도 가열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물품에 대한 신속한 가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어 가열되는 중공 형태인 가열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며 본체의 외측면에 적층된 가열층을 포함하는 서셉터를 구비하며, 가열층은 1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device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rapidly heating an aerosol-forming article by resistive heating or induction heating using a heating layer composed of graphene and/or graphite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 heating devi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orming a hollow heating space into which an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and heated, and a susceptor including a heating layer including graphene or graphite and stack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It is provided, and the heating layer is preferably within 10 μm.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Heating device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히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전도도가 높은 그래핀 및/또는 그라파이트 조성의 가열층을 이용하여 저항 가열 또는 유도 가열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물품에 대한 신속한 가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device, particularly heating of an aerosol-generating device enabling rapid heating of an aerosol-forming article by resistance heating or induction heating using a heating layer composed of graphene and/or graphite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It's about the device.

에어로졸은 대기 중에 부유상태로 존재하는 액체 또는 고체의 작은 입자로 보통 0.001 ~ 1.0 ㎛의 크기를 갖는다. 특히 여러 종류의 궐련형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부터 유래하는 에어로졸을 사람이 흡입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궐련형 통상의 담배를 선호하는 수요자들의 요구에 따라, 통상의 담배의 필터부와, 궐련부의 모양을 갖는 전자 담배도 제안되고 있는데, 이 전자 담배는 궐련부에 포함된 흡입물질을 전자히터로 기화시키면 통상의 담배와 동등한 구성을 갖는 필터부를 통해 사용자가 흡입하는 구성을 갖는다. Aerosols are small liquid or solid particles suspended in the air and usually have a size of 0.001 to 1.0 μm. In particular, there are cases where a person inhales aerosols derived from various types of cigarette-type aerosol-generating article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demand of consumers who prefer cigarette-type conventional cigarettes, an electronic cigarette having a filter part and a cigarette part shape of a conventional cigarette has also been proposed. When vaporized by a heater, the user inhales through a filter unit having a configuration equivalent to that of a conventional cigarett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는 궐련형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이 삽입되는 공동(20)이 구비되며,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삽입된 궐련형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공동(20) 외주에는 파이프 형태의 히터(30)가 구비된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는 히터(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와, 이 배터리(40)로부터 히터(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40)로부터 히터(30)에 전력을 공급하여 히터(3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궐련형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이 가열되어 궐련형 에어로졸 발생 물품(10)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질로부터 에어로졸이 발생한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 1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has a cavity 20 into which a cigarette-typ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 is inserted, and the cigarette-typ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In order to generate an aerosol by heating, for example, a heater 30 in the form of a pipe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avity 20. 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ncludes a battery 40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30, and a controller 50 configured to control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40 to the heater 30. . 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40 to the heater 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 and the cigarette-typ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 is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er 30, thereby producing a cigarette-type aerosol. An aerosol is generated from an aerosol-generating substrate within the generating article 10 .

히터(3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경험과 직결되는 핵심 요소로서, 특히 그 내부로 삽입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으로의 열 전달 능력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The heater 30 is a key element directly related to the user experience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heat transfer capability to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10 inserted therein.

본 발명은 열전도도가 높은 그래핀 및/또는 그라파이트 조성의 가열층을 이용하여 저항 가열 또는 유도 가열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물품에 대한 신속한 가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ing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rapidly heating an aerosol-forming article by resistance heating or induction heating using a heating layer composed of graphene and/or graphite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do.

본 발명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어 가열되는 중공 형태인 가열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며 본체의 외측면에 적층된 가열층을 포함하는 서셉터를 구비하며, 가열층의 두께는 1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ating devi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orming a hollow heating space in which an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and heated, and a susceptor including a heating layer including graphene or graphite and lamina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heating layer is within 10 μm.

또한, 가열층의 열전도도는 4800 ~ 5300 W/mK인 것이 바람직하다.Also,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heating layer is preferably 4800 to 5300 W/mK.

또한, 본체는 원통 형상으로 말아진 이후에 양 단부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원 기둥 형상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has a cylindrical shape by being coupled to each other at both ends after being rolled into a cylindrical shape.

또한, 가열층에는 전극부와 온도 감지부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layer is equipped with an electrode unit and a temperature sensing unit.

또한, 히팅 디바이스는 서셉터의 외측면에 가열 공간의 원주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복수회 둘러 감싸는 유도 가열 코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ting device preferably includes an induction heating coil spirally wrapp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sceptor a plurality of tim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eating space.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열전도도가 높은 그래핀 및/또는 그라파이트 조성의 가열층을 이용하여 저항 가열 또는 유도 가열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물품에 대한 신속한 가열이 가능하도록 하며, 열전도도가 좋은 가열층은 서셉터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분포시키며, 궐련의 맛과 타격감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rapid heating of an aerosol-forming article by resistance heating or induction heating using a heating layer composed of graphene and/or graphite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heating layer with good thermal conductivity is It has the effect of distributing the temperature of the septa as a whole and increasing the taste and impact of the cigarett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팅 디바이스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이다.
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other embodiment of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includes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like elem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has", "may have", "includes", or "may include" refer to the presence of a corresponding feature (eg, numerical value,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such as a part). , which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and/and B", or "one or more of A or/and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includes (1) at least one A, (2) at least one B, Or (3) may refer to all cases including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as used herein may modify various elements, in any order and/or importance, and may refer to one element as another. It is used to distinguish from components, but does not limit the components. For example, a first user device and a second user device may represent different user device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 first element may be call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element may also be renamed to the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When referred to as "connected 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ertain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eg, a first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eg, a second element), the element and the above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eg, third components) do not exist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As used in this document, the expression "configured to" means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depending on the situation. ",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can be used interchangeably. The term "configured (or set) to" may not necessarily mean only "specifically designed to" hardware. Instead, in some contexts, the phrase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in conjunction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he terms defined in general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 to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document,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not interpreted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본 발명에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일련의 적층 구조인 필터부와, 냉각부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층(예를 들면, 각초, 향료, 니코틴, VG(식물성 글리세린), PG(프로필렌 글리콜)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물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종래의 전자담배용 궐련, 필터 등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erosol-forming article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lter unit having a series of laminated structures, a cooling unit, and an aerosol-forming base layer (eg, cut wax, fragrance, nicotine, VG (vegetable glycerin), PG (propylene glycol), etc.) It is a mixed substance including the above). Aerosol-forming articles include conventional e-cigarettes, filters,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측이 개방되며 통형(원통형, 사각 통형)의 삽입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삽입 공간 내에 장착되며 중공으로 이루어진 가열 공간에 대한 가열을 수행하는 히팅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는 삽입 공간 및 가열 공간의 저면 또는 측면과 외부 공간을 연통하도록 하는 기류 패스를 구비한다. 가열 공간 및 삽입 공간으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거나 분리 이탈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히팅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 및 공급 차단을 수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with an open upper side and a tubular (cylindrical, rectangular tubular) inser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a he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insertion space of the case and heating the hollow heating space, It consists of The case is provided with an airflow path to communicate the bottom or side surfaces of the insertion space and the heating space with the external space. Th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heating space and the insertion space.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has a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and disconnecting power to the heating device.

본 발명에서의 히팅 디바이스는 저면에 기류 패스와 연통되며 중공이 형성된 서셉터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러한 서셉터와 가열 공간 내에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장착되는 가열봉침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The heating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ly a hollow susceptor communicating with an air flow path on a bottom surface,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a heating rod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in the heating space and such a susceptor.

본 발명에 따른 히팅 디바이스의 적층형 구조는 그래핀 및 그라파이트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열층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SPP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체로 구성되며, 내부에 상하 방향의 중공이 형성된다. 즉, 히팅 디바이스는 본체와,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가열층을 포함하는 서셉터로 구성된다.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on which a heating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graphene and graphite is formed. The main body is composed of a metal body such as SPP or stainless steel, and a hol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side. That is, the heating device is composed of a main body and a susceptor including a heating layer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에서의 가열층의 열전도도는 4800 ~ 5300 W/mK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heating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4800 to 5300 W/mK.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히팅 디바이스는 적어도 상측이 중공된 가열 공간이 형성된 본체(210)와, 본체(210)의 외측면에 적층되거나 형성된 가열층(220)으로 구성된 서셉터(200)를 포함한다. 서셉터(200)는 원 기둥 형태이며, 본체(210) 내의 중공의 형태도 원 기둥 형태이고, 하측에는 적어도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서셉터(200)는 다각 기둥 형태이고, 본체(210) 내의 중공의 형태는 원 기둥 형태이거나 다각 기둥 형태일 수 있다.Th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sceptor 200 composed of a main body 210 having a heating space having a hollow upper side and a heating layer 220 laminated o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 The susceptor 200 has a circular column shape, and the hollow shape in the main body 210 also has a circular column shape, and at least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The susceptor 200 has a polygonal column shape, and the hollow shape in the main body 210 may be a circular column shape or a polygonal column shape.

가열층(220)의 전체 두께는 10 ㎛ 이내이며, 가열층(220)은 복수개의 적층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적층물은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층(220)의 전체 두께에 따라 온도의 상승 시간이 달라져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에어로졸의 맛이 조절된다.The total thickness of the heating layer 220 is within 10 μm, and the heating layer 22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minates, and each laminate is preferably 1 μm or more. The temperature rising time varies depending on the total thickness of the heating layer 220, so that the taste of the aerosol of the aerosol-forming article is adjusted.

가열층(220)은 저항 발열에 의한 직접 발열이 가능하나 낮은 저항을 지님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열효율을 극대화되고, 소비 전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The heating layer 220 can generate heat directly by resistance heating, but has low resistance, thereby maximizing thermal efficiency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inimizing current consump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팅 디바이스의 전개도이다.3 is an exploded view of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히팅 디바이스는 평판 형태의 본체(210)와, 본체(210)의 상측면에 적층된 가열층(220)과, 가열층(22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전극 단자(230a, 230b)로 구성된 전극부와, 제 1 및 제 2 전극 단자(230a, 230b) 각각과 제어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장선들(240a, 240b)와, 제 1 및 제 2 전극 단자(230a, 230b) 사이에 장착되어 서셉터(20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온도 감지부(250)와 제어 장치 간의 전기적 도선은 생략되어 있다.In FIG. 3, the heating device includes a flat body 210, a heating layer 220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210, and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for applying power to the heating layer 220. 230a and 230b, extension lines 240a and 240b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230a and 230b and the control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 230a, 230b)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250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susceptor 200. Electrical leads between the temperature sensor 250 and the control device are omitted.

전극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구조에 따라서 가열층(220)의 적절한 위치에 전기적으로 장착된다.The electrode unit is electrically mount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heating layer 220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온도 감지부(250)는 온도 측정이 필요한 위치에 따라 어느 위치에든 가열층(220)에 접촉되거나 비접촉으로 연결된다.The temperature sensor 250 is connected to the heating layer 220 in a contact or non-contact manner at any location depending on a location where temperature measurement is required.

가열층(220)에 포함되는 그래핀은 10% 이상 면적이 늘어나거나 수축되더라도 전기 전도성이 유지되므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수용 공간 내의 휘는 부분이나 위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즉,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서셉터(200)가 휘어지더라도 전기적 특성이 유지된다. 도 3의 본체(210)를 원통 형상으로 말아서 도 2와 같은 형상으로 만들 이후에, 본체(210)의 양 단부들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원 기둥 형상의 서셉터(200)가 제조될 수 있다.Since graphene included in the heating layer 220 maintains electrical conductivity even when its area is stretched or contracted by 10% or more, it can be applied to a bent portion or position with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is, in order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aerosol-forming articl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re maintained even when the susceptor 200 is bent. After the main body 210 of FIG. 3 is rolled into a cylindrical shape to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2 , both ends of the main body 21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ircular columnar susceptor 200 can be manufactur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4의 히팅 디바이스는 도 2의 서셉터(200)와, 서셉터(200)의 외측면에 가열 공간의 원주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복수회 둘러 감싸는 유도 가열 코일(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서셉터(200)에는 전극부가 장착되지 않는다.4 is another embodiment of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device of FIG. 4 includes the susceptor 200 of FIG. 2 and an induction heating coil 300 spirally wrapp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sceptor 200 a plurality of tim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eating space.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de unit is not mounted on the susceptor 200 .

유도 가열 코일(300)은 서셉터(200)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제어 장치가 유도 가열 코일(300)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면 서셉터(200)의 가열층(220)에서 유도 가열이 이루어진다. The induction heating coil 300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susceptor 200, and when the control device applies AC power to the induction heating coil 300, induction heating is performed in the heating layer 220 of the susceptor 200.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nyon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do various thi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ations are possible,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200: 서셉터 210: 본체
220: 가열층
200: susceptor 210: main body
220: heating layer

Claims (5)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어 가열되는 중공 형태인 가열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며 본체의 외측면에 적층된 가열층을 포함하는 서셉터를 구비하며,
가열층의 두께는 1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A main body forming a hollow heating space into which an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and heated, and a susceptor including graphene or graphite and a heating layer lamina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heating devi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heating layer is within 10㎛.
제 1 항에 있어서,
가열층의 열전도도는 4800 ~ 5300 W/m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devi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heating layer is 4800 ~ 5300 W / mK.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는 원통 형상으로 말아진 이후에 양 단부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원 기둥 형상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device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has a cylindrical shape by being coupled to each other after being rolled into a cylindrical shap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층에는 전극부와 온도 감지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heating devi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layer is equipped with an electrode unit and a temperature sensor uni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팅 디바이스는 서셉터의 외측면에 가열 공간의 원주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복수회 둘러 감싸는 유도 가열 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heating devi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n induction heating coil wrapp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sceptor in a helical manner a plurality of tim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eating space.
KR1020220020561A 2022-02-17 2022-02-17 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3012412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561A KR20230124121A (en) 2022-02-17 2022-02-17 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561A KR20230124121A (en) 2022-02-17 2022-02-17 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121A true KR20230124121A (en) 2023-08-25

Family

ID=8784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561A KR20230124121A (en) 2022-02-17 2022-02-17 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412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6600B1 (en) On-demand portable convection vaporizer
US11839237B2 (en)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JP6930761B2 (en) Device for heating smoking material
JP2020529842A (en) Aerosol generator with elastic susceptor
KR20200024313A (en) Aerosol Generator with Modular Induction Heater
KR20200124756A (en) Induction heating susceptor and aerosol delivery device
KR20210132070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JP2020096584A (en) Vaporizer device comprising one or more heater elements
EP3829358B1 (en) Heater with at least two adjacent metal meshes
CA3112768A1 (en) Vaporizer including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ivity (ptcr) heating element
KR102074932B1 (en) Heater assembly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230124121A (en) 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30127395A (en) 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30127442A (en) 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30127440A (en) 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30127396A (en) 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30123621A (en) 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40001827A (en) 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30126850A (en) 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30152243A (en) Aerosol generator with built-in self-generator
KR20240003571A (en) Induction 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10136782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 and heater assembly of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 comprising multilayer thermally conductive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