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949A -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949A
KR20230119949A KR1020220016328A KR20220016328A KR20230119949A KR 20230119949 A KR20230119949 A KR 20230119949A KR 1020220016328 A KR1020220016328 A KR 1020220016328A KR 20220016328 A KR20220016328 A KR 20220016328A KR 20230119949 A KR20230119949 A KR 20230119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space
cigarette
moisture content
heat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20016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9949A/ko
Priority to PCT/KR2023/001460 priority patent/WO2023153706A1/en
Publication of KR20230119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01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6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static variables, e.g. electrographic flaw testing
    • G01N27/605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static variables, e.g. electrographic flaw testing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디바이스는,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삽입공간의 주위에 배치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이 삽입공간에 삽입된 궐련을 수분함량이 감소되도록 소정의 주파수로 유전가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DEVICE AND CONTROL METHOD WITH THE SAME}
본 개시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써,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또는 담배케이스 등, 매질을 구비하는 스틱을 수용하는 장치이다.
디바이스의 한 예시로써,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비롯한, 스틱을 수용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스틱의 수분함량이 감소되도록 스틱을 건조시키는 디바이스나 디바이스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스틱의 매질에 포함되는 글리세린 등의 물질을 제외하고, 수분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스틱의 맛의 변질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삽입공간의 주위에 배치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이 삽입공간에 삽입된 궐련을 수분함량이 감소되도록 소정의 주파수로 유전가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틱의 수분함량이 감소되도록 스틱을 건조시키는 디바이스나 디바이스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틱의 매질에 포함되는 글리세린 등의 물질을 제외하고, 수분만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틱의 맛의 변질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디바이스'는 후술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또는 담배케이스(300)일 수 있다. 이는 한 예시로써, 디바이스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담배를 수용하는 장치라면 어떤 것이든 해당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11), 제어부(12), 히터(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센서(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카트리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11), 제어부(12) 및 히터(13)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11), 제어부(12), 히터(13) 및 카트리지(14)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카트리지(14) 및 히터(13)가 서로 마주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내부 구조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삽입공간(S)을 제공할 수 있다. 삽입공간(S)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삽입공간(S)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간(S)에는 스틱(200)이 삽입될 수 있다. 삽입공간(S)은 스틱(200)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간(S)에는 단일의 스틱(200)이 삽입될 수 있다. 스틱(200)은 삽입공간(S)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스틱(200)은 내부에 매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틱(200)은 궐련(200)이라 명명될 수 있다. 매질은 글리세린(glycerin)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13)는 삽입공간(S)의 주변 또는 삽입공간(S)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13)는 삽입공간(S) 및 삽입공간(S)에 삽입된 스틱(200)을 가열할 수 있다. 히터(13)는 스틱(200)을 가열하여 스틱(200) 내부의 매질을 연소시키고,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히터(13)는 전기 저항성 발열 히터일 수 있다. 히터(13)는 전도성을 가진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13)는 배터리(11)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직접 발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도코일(미도시)은 히터(13) 주변을 권선할 수 있으며, 히터(13)는 유도코일(미도시)을 통해 흐르는 AC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하여 발열될 수 있다. 자기장은 히터(13)를 관통하여 히터(13) 내에 와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전류는 히터(13)에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히터(13)는 삽입공간(S)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히터(13)는 길게 연장된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터(13)는 상단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틱(200)이 삽입공간(S)에 삽입되면, 히터(13)는 스틱(200)의 내부에 삽입되고, 히터(13)는 스틱(200) 내부의 매질을 가열할 수 있다. 스틱(200)이 가열되면, 매질이 연소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히터(13)는 삽입공간(S)을 둘러쌀 수 있다. 삽입공간(S)에 스틱(200)이 삽입된 경우, 히터(13)는 스틱(200)의 하부를 둘러쌀 수 있다. 히터(30)는 삽입공간(S)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히터(30)는 링 형상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틱(200)이 삽입공간(S)에 삽입되면, 히터(13)는 스틱(200)의 하부 외주면을 둘러싸고, 히터(13)는 스틱(200) 하부 외주면을 가열할 수 있다. 스틱(200)이 가열되면, 스틱(200) 내부의 매질은 연소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히터(200)는 스틱(200) 내부의 매질부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히터(13)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히터(13)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카트리지(15)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 카트리지(15)는 저장된 액체를 통해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카트리지(15)는 저장된 액체를 공급받는 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15)는 심지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15)의 히터는 심지를 권선할 수 있다. 카트리지(15)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삽입된 스틱(2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스틱(200)의 하단은 삽입공간(54)에 삽입되고, 상단은 삽입공간(54)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출된 스틱(200)의 상단을 입에 물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내부를 통과하여 에어로졸을 동반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11)는, 제어부(12), 히터(13), 센서(14) 및 카트리지(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작하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배터리(11), 히터(13), 센서(14) 및 카트리지(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10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14)는 주변의 전자기장의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4)는 삽입공간(S) 내에 전자기장의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센서(14)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센서(14) 주변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센서(14)가 센싱한 전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각종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극(20)은 삽입공간(S)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20)은 삽입공간(S)을 유전가열할 수 있다. 전극(20)은 삽입공간에 고주파 전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배터리(11)는 직류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발진기는 배터리로부터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전극에 교류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고주파 전기장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20)은 삽입공간(S)을 가열하여, 스틱(200) 내부의 수분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스틱(200) 내에 함유된 수분은 유전가열에 의해 진동하여 증발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스틱(200)은 건조될 수 있다. 유전가열 시, 글리세린과 같은 매질에 포함된 물질은 증발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유전가열 시, 글리세린과 같은 매질에 포함된 물질의 증발량은, 수분의 증발량보다 적을 수 있다.
유전가열은 유전손실을 이용하는 고주파 가열방식으로써, 고주파 전기장 내에 유전체와 같은 절연성의 피열물을 넣으면 유전손실로 인해 가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전체를 구성하는 쌍극자가 교류 전계의 교번에 따라 방향을 변경하면서 인가 주파수와 동일한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진동으로 인하여, 유전체 내부에 쌍극자의 마찰열이 발생되고, 유전체가 가열될 수 있다. 인가 주파수 및 인가 전압에 따라서 쌍극자의 진동수가 변화할 수 있다. 물질에 따라 사용 주파수는 달라질 수 있다.
유전체에서 손실되는 에너지는 유전체에 공급되는 에너지일 수 있다. 유전가열은 유전손실에 의한 발열이기 때문에, 유전손실이 큰 것에 선택적으로 흡수되어 필요한 부분만을 가열할 수 있다. 각각의 유전체들은 유전체 손실(dielectric loss)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물의 유전손실계수는 글리세린의 유전손실계수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물의 상대극성(relative polarity)은 1이고, 글리세린의 상대극성은 0.812으로써, 물분자의 상대극성은 글리세린의 상대극성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정의 주파수 영역에서, 스틱(200)에 포함된 글리세린을 제외하고, 스틱(200)에 함유된 수분만을 선택적으로 가열하고 증발시킴으로써, 스틱(200)의 수분함량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습한 환경에서 스틱(200)이 수분을 머금게 되더라도, 스틱(200)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스틱(200)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의 맛의 변질을 방지하고, 맛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극(20)은 삽입공간(S)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적어도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20)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20)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20)은 고주파 전압을 인가받아 삽입공간(S)에 삽입된 스틱(200)을 유전가열할 수 있다. 전극(20)은 삽입공간을 향할 수 있다. 전극(20)은 삽입공간(S)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전극(20)은 대략 삽입공간(S)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극(20)은 히터(13)를 사이에 두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 내지 도 4에서, 전극(20)은 히터(13)의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센서(14)는 삽입공간(S)의 주변에 배치되어 삽입공간(S)의 양측을 향할 수 있다. 센서(14)는 삽입공간(S)을 향할 수 있다. 센서(14)는 주변의 전자기장의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4)는 삽입공간(S) 내에 전자기장의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14)는 커패시턴스(capacitance) 센서(14)일 수 있다. 센서(14)는 주변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감지하여 주변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커패시턴스 센서(14)는 자기 정전용량(self-capacitance)과 상호 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의 두 가지 센서 기술 중 하나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물체가 커패시턴스 센서(14)로 접근하거나, 커패시턴스 센서(14)의 주변의 물체가 움직이거나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 커패시턴스 센서(14)는 자기 정전 용량의 변화가 생기거나, 분리된 전극 사이의 전극 가압력(electrode force) 선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센서(14)는 삽입공간(S)에 삽입된 스틱(200)의 수분함량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공간(S)에 삽입된 스틱(200)의 경우, 사용된 정도에 따라 스틱(200)에 함유된 수분량이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센서(14)가 센싱하는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14)는 스틱(200)이 사용된 정도 혹은, 스틱(200)이 재사용된 것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센서(14)가 센싱하는 커패시턴스 값과, 이에 대응되는 스틱(200)의 수분함량 변화를 나타낸 룩업테이블(lookup-table)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센서(14)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센서(14) 주변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센서(14)가 센싱하는 스틱(200)의 수분함량에 따라, 전극(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센서(14)가 센싱하는 스틱(200)의 수분함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전극(20)이 삽입공간(S)을 유전가열하여 스틱(200)이 건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센서(14)는 삽입공간(S)에 삽입된 스틱(200)의 수분함량을 센싱하여(S1), 스틱(200)의 수분함량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 삽입공간(S)에 삽입된 스틱(200)의 수분함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S2에서, yes), 제어부(12)는 전극(20)이 삽입공간(S)에 삽입된 스틱(200)을 유전가열 하여 스틱(200)의 수분함량이 경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 이후, 스틱(200)의 수분함량을 재차 센싱하여(S1) 수분함량이 기준치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 스틱(200)의 수분함량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S2에서, no), 제어부(12)는 히터(13)가 스틱(200)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디바이스는 담배케이스(300)일 수 있다. 담배케이스(300)의 바디(30)는 상부가 개구된 삽입공간(S)을 제공할 수 있다. 삽입공간(S)의 개구는 담배케이스(300)의 헤드(31)에 의해 덮일 수 있다. 헤드(31)는 바디(30)에 연결될 수 있다. 헤드(31)는 바디(30)로부터 틸팅되어 삽입공간(S)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삽입공간(S)은 복수의 스틱(200)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공간(S)은 총 20개의 스틱(200)을 수용할 수 있다. 담배케이스(300)는 전극(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은 삽입공간(S)을 사이에 두고 담배케이스(300)의 바디(3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20)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전극(20)은 교류 전원과 연결되어 고주파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전극(20)은 삽입공간(S)을 유전가열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바, 생략한다. 전극(20)의 배치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유전가열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배치가 가능할 수 있다. 센서(14)는 삽입공간(S) 내에 위치한 스틱(200)의 수분함량을 센싱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바,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담배케이스(300)는 히터(13)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S4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디바이스는,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삽입공간의 주위에 배치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이 삽입공간에 삽입된 궐련을 수분함량이 감소되도록 소정의 주파수로 유전가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극은, 상기 삽입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 측면에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삽입공간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궐련의 수분함량을 센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센싱하는 궐련의 수분함량이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전극이상기 궐련을 유전가열하도록 상기 전극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삽입공간 내에 삽입된 궐련이 가열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되도록 발열되는 저항성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공간은, 단일의 궐련이 삽입 가능하도록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극은, 상기 삽입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상기 삽입공간을 마주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삽입공간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궐련의 수분함량을 센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센싱하는 궐련의 수분함량이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히터가 상기 궐련을 가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가 센싱하는 궐련의 수분함량이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전극이 상기 삽입공간을 유전가열한 이후에 상기 히터가 상기 궐련을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는, 상기 삽입공간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는, 상기 삽입공간을 둘러싸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삽입공간으로 에어로졸을 제공하는 카트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궐련의 수분함량을 센싱하는 제1 단계;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궐련의 수분함량이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궐련의 수분함량이 감소되도록 상기 전극에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궐련을 유전가열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 제어방법은, 상기 저항성 히터를 통해 상기 궐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1)

  1.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삽입공간의 주위에 배치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이 삽입공간에 삽입된 궐련을 수분함량이 감소되도록 소정의 주파수로 유전가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삽입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 측면에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마주하는 디바이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궐련의 수분함량을 센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센싱하는 궐련의 수분함량이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전극이상기 궐련을 유전가열하도록 상기 전극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 내에 삽입된 궐련이 가열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되도록 발열되는 저항성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공간은,
    단일의 궐련이 삽입 가능하도록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삽입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상기 삽입공간을 마주하는 디바이스.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궐련의 수분함량을 센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센싱하는 궐련의 수분함량이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히터가 상기 궐련을 가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가 센싱하는 궐련의 수분함량이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전극이 상기 삽입공간을 유전가열한 이후에 상기 히터가 상기 궐련을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디바이스.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삽입공간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는 디바이스.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삽입공간을 둘러싸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디바이스.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삽입공간으로 에어로졸을 제공하는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10.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삽입공간의 주위에 배치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궐련의 수분함량을 센싱하는 제1 단계;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궐련의 수분함량이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궐련의 수분함량이 감소되도록 상기 전극에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궐련을 유전가열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궐련을 가열하는 저항성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항성 히터를 통해 상기 궐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방법.
KR1020220016328A 2022-02-08 2022-02-08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 KR20230119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328A KR20230119949A (ko) 2022-02-08 2022-02-08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
PCT/KR2023/001460 WO2023153706A1 (en) 2022-02-08 2023-02-01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328A KR20230119949A (ko) 2022-02-08 2022-02-08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949A true KR20230119949A (ko) 2023-08-16

Family

ID=8756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328A KR20230119949A (ko) 2022-02-08 2022-02-08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9949A (ko)
WO (1) WO202315370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93981C (zh) * 2004-11-19 2010-03-17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香烟制造装置
US8186359B2 (en) * 2008-02-01 2012-05-29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ystem for analyzing a filter element associated with a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method
ES2926776T3 (es) * 2016-05-25 2022-10-28 Juul Labs Inc Control de un vaporizador electrónico
KR102208736B1 (ko) * 2018-07-06 2021-02-02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미세 입자 발생 장치
WO2020256341A1 (en) * 2019-06-17 2020-12-24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3706A1 (en)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852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гревания курит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RU2736106C1 (ru) Сред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индукци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оставки аэрозоля
JP6927501B2 (ja) 喫煙材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6875044B2 (ja) 喫煙材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
CN110167368B (zh) 气溶胶生成装置和气溶胶生成系统
BR112017028538B1 (pt) Montagem de aquecimento por indução para gerar um aerossol, sistema de provisão de aerossol, cartucho para uso em um sistema de provisão de aerossol, meios de montagem de aquecimento por indução para gerar um aerossol e método de geração de um aerossol
KR20190130021A (ko) 온도 결정
KR102516953B1 (ko) 전극 및 센서가 구비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TWI805945B (zh) 香味吸嚐器用加熱單元及香味吸嚐器
KR102503549B1 (ko)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에어로졸 형성기재 감지 구조 및 방법
KR20220050923A (ko)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품
KR20230119949A (ko)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
EP4162818A2 (en) Aerosol-generation article, electronic vaporizer, vaporization system, identifying method,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US20230114383A1 (en) Aerosol-generation article, electronic vaporizer, and vaporization system
US20220142258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RU2814963C2 (ru) Аэрозольгене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аэрозольгенерирующая система
RU2813256C2 (ru) Аэрозоль-гене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KR20230062340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4225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5592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EA046092B1 (ru) Система нагрева для узла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и связанный узел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JP2024515069A (ja) エアロゾル発生物品の誘電応答を特定する方法
KR20230142254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3161446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KR20230114549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