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295A -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multi-indicator - Google Patents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multi-indic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295A
KR20230119295A KR1020220015250A KR20220015250A KR20230119295A KR 20230119295 A KR20230119295 A KR 20230119295A KR 1020220015250 A KR1020220015250 A KR 1020220015250A KR 20220015250 A KR20220015250 A KR 20220015250A KR 20230119295 A KR20230119295 A KR 20230119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autism
intelligence unit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2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태명
유주헌
정하림
정유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포티앤씨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포티앤씨,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포티앤씨
Priority to KR1020220015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9295A/en
Priority to PCT/KR2022/020416 priority patent/WO2023149653A1/en
Publication of KR20230119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2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3Speech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6Children, e.g. for attention deficit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Fuzzy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자로부터 획득한 음성 데이터, 대상자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한 영상 데이터 및 대상자의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데이터(CARS;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를 획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앙상블(Ensemble) 분석으로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서버를 포함하는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acquiring voice data obtained from a subject, image data obtained by capturing an image of the subject, and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 data of the subject, and communicating the data with the user inte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multi-indicator-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ing a server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configur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through ensemble analysis using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scription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MULTI-INDICATOR}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multi-indicator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MULTI-INDICATOR}

본 발명은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multi-indicator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란 초기 아동기부터 상호 교환적인 사회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지속적인 손상을 보이는 한편 행동 패턴, 관심사 및 활동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고 반복적인 것이 특징인 신경 발달 장애의 한 범주이다.Autism Spectrum Disorder is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persistent impairment in interactive social communication and social interaction from early childhood and limited and repetitive patterns of behavior, interests and activities. It is a category.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있는 아동들은 초기 발달 단계에서부터 대인 관계에 관심이 부족하고 사회 기술, 언어, 의사소통 발달에 있어서 지연되거나 비정상적인 기능을 보이고 있다.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show a lack of interes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rom an early stage of development and delayed or abnormal functions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language, and communication.

종래에는 이러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증의 장애정도를 구별하기 위하여 자폐증 평정척도에 따라 평가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전문의의 경험에 기반하여 평가하게 되어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었다.최근에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행동 특징을 고려하여 게임 형태로 자폐증 진단 검증과정을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784429 호가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distinguish the degree of disability of such autism spectrum disorder, a method of evaluation according to an autism rating scale was used. However, this method was evaluat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a specialist, so objectivity could be low. Recently, a technology was developed to provide an autism diagnosis and verification process in the form of a game in consideration of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this regard,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784429 has been disclosed.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단일 지표를 기반으로 자폐 여부를 진단하게 되어 낮은 정확도를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prior art has a problem of low accuracy because it diagnoses autism based on a single indicato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84429 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784429

본 발명은 종래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다중지표를 기반으로 정확한 자폐증 장애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agnostic system for accurately diagnosing the degre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based on multiple indicators of conventional autism spectrum disorders.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대상자로부터 획득한 음성 데이터, 대상자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한 영상 데이터 및 대상자의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데이터(CARS;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를 획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인공지능부을 이용한 앙상블(Ensemble) 분석으로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서버를 포함하며, 복수의 인공지능부은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언어 기반 제1 자폐증 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제1 인공지능부,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행동 기반 제2 자폐증 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제2 인공지능부 및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3 자폐증 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제3 인공지능부을 포함하는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부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user interface for acquiring voice data obtained from the subject, image data obtained by capturing an image of the subject, and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 data of the subject and communication with the user interface It is configured to send and receive data by using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units, and includes a serve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through ensemble analysis using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units, and the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units receive voice data and perform language-based control 1st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hat determines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2n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hat determines the degree of autism based on behavior by receiving image data, and 3r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hat determines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by receiving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data An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a multi-index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including a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may be provided.

한편, 제1 인공지능부은 음성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음색 데이터 및 의미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사용하며, 음색 데이터는 대상자의 음성의 반응시간, 음량, 피치 변동성(Pitch Variability)을 포함하며, 의미 데이터는 사용하는 단어 및 단어별 빈도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uses tone data and semantic data extracted from voice data as input values. The tone data includes the response time, volume, and pitch variability of the subject's voice, and the semantic data is used. It may include the words and the frequency of each word.

한편, 제2 인공지능부은 영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움직임 데이터, 얼굴표정 데이터 및 반응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may use motion data, facial expression data, and reaction data extracted from image data as input values.

한편, 제3 인공지능부은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 및 사기 자폐증 평정척도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사용하며,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데이터는 보호자가 대상자를 관찰하여 입력한 데이터이며, 메타 데이터는 대상자의 성별, 나이, 학년 및 직업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uses the included metadata and fraudulent autism rating scale data as input values, and the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data is data entered by the guardian observing the subject, and the metadata is It may include data on at least one of grade and occupation.

한편, 서버에 구비되며,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대상자의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를 각각 전처리하는 전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ovided in the server and may include a pre-processing unit for pre-processing audio data, video data,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data and meta data of the subject, respectively.

또한, 전처리부는 데이터 비식별화, 데이터 노이즈 제거, 보간법을 활용한 결측 데이터 보완, 데이터 분포/단위 변환 및 데이터 이미지화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processing unit may perform data de-identification, data noise removal, missing data supplementation using interpolation, data distribution/unit conversion, and data imaging.

한편, 전처리부의 데이터 이미지화는 입력 데이터 수치화, 수치화 데이터 n x n 행렬 변환 및 heatmap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data imaging of the pre-processing unit may be performed by digitizing input data, converting digitized data into an nxn matrix, and converting into image data in the form of a heatmap.

한편, 제1 인공지능부, 제2 인공지능부 및 제3 인공지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전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학습하여 자폐증 장애 정도와 연관되는 분류값을 예측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and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may predict a classification value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by receiving and learning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reprocessing unit.

한편, 제1 인공지능부, 제2 인공지능부 및 제3 인공지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LSTM(Long Short-Term Memory) 모델을 이용하여 학습하며, 완전연결계층(Fully-Connected Layer)을 이용하여 분류값을 산출하며, 분류값을 근거로 앙상블 분석을 통하여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and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receives image data and construct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or long short-term memory (LSTM) model. The classification value is calculated using the fully-connected layer, and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can be determined through ensemble analysi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value.

한편, 서버는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한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rver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to the user interface.

본 발명에 따른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은 데이터 맞춤형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다중지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고차원 데이터 분석으로부터 발생 가능한 데이터 특징 손실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특성을 온전히 반영하여 자폐증 장애 정도 판단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multi-indicator-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multi-indicator data using a data-customized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o minimize data feature loss that can occur from high-dimensional data analysis, and fully reflect data characteristics to autism disorders. The accuracy of the degree judgment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공지능부, 전처리부 및 클라이언트 관리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전처리부에서 수행하는 입력 데이터의 전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인공지능부에서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프로세스의 개념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multi-index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a pre-processing unit, and a client management unit of FIG. 1 .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e-processing process of input data performed by a pre-processing uni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utism diagnosis process using multi-indicator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n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multi-indicator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name of each component may be called a different name in the art. However, if they have functional similarity and identity, even if a modified embodiment is employed, it can be regarded as an equivalent configuration. In addition, signs added to each component ar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the contents of the drawings in which these symbols are written do not limit each component to the scope in the drawings. Likewise, even if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nfiguration in the drawings is partially modified is employed, it can be regarded as an equivalent configuration if there is functional similarity and identity. In addition, in light of the level of a general technician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if it is recognized as a component that should be include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multi-index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00) 및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multi-indicator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100 and a server 200.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거나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서버(200)로부터 판단된 자폐증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일 예로서, 예를 들어 태블릿, PC, 랩톱(Lap top), 스마트 패드, 스마트 폰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 등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는 유/무선으로 서버(20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100 is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from a user or to generate data about the user, and to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determined by the server 200 . The user interface 100 may be provided in a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may be, for example, a device such as a tablet, a PC, a laptop (Lap top), a smart pad, or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he user interface 100 may transmit/receive data by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200 wired/wireless.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는 입력부(110)와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카메라 및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자폐증 장애 아동에 대한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이크는 자폐증 장애 아동이 내는 소리, 대화 내용을 레코딩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user interface 100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and a display unit 120 . The input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input various information or to generate data.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camera and a microphone. The camera is configured to record videos of children with autism. The microphone is configured to record the sounds and conversations of children with autism.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 예를 터치패드, 마우스, 키보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는 자폐증 장애 아동에게 소리를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user interface 100 may include an input means for a user to input information, such as a touch pad, a mouse, and a keyboard. Also, the user interface 100 may include a speaker for delivering sound to children with autism.

서버(200)는 인터페이스(1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erver 200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based on the data collected by the interface 100 .

서버(200)는 데이터 베이스부(210), 클라이언트 관리부(220), 인공지능부(240) 및 전처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200 may include a database unit 210, a client management unit 220, an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240, and a pre-processing unit 230.

데이터 베이스부(2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클라이언트 관리부(22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부(210)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 및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base unit 210 is configured to stor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interface 100, and may transmit data or store newly received data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client management unit 220. The database unit 210 may include image data, audio data,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 and metadata.

영상 데이터는 자폐증 아동(이하 '대상자')을 촬영하여 획득된 데이터이다. 영상 데이터는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할 때 뿐 아니라 혼자 있을 때 촬영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는 대상자가 내는 소리, 대화 내용을 녹음하여 획득된 데이터이다. Image data is data acquired by photographing a child with autism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bject'). The image data may include data captured when communicating with other people as well as when being alone. The voice data is data obtained by recording the sound and conversation contents of the subject.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는 대상자의 보호자, 예컨대 부모가 자폐증 장애 아동의 보호자가 관찰하여 판단하고 입력한 데이터이다. 자폐증 아동의 경우 부모의 영향이 매우 중요하며, 부모가 세심하고 꾸준한 관찰을 통하여 획득한 정확한 정보가 자폐증 장애 판단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는 각 문항에 따라 경중에 따른 점수를 평가할 수 있으며, 각각의 문항에서 평가한 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 is data that is observed, judged, and input by a guardian of a subject, for example, a parent of a child with autism disorder.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autism, parental influence is very important, and accurat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careful and steady observation by parents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autism disorder. The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n evaluate scores according to severity according to each question, and can include scores evaluated for each question.

메타 데이터는 대상자를 파악 수 있는 데이터를 뜻한다. 메타 데이터는 성별, 나이, 학년, 직업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메타 데이터는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하는데 보다 정확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즉, 자폐증이 의심되는 아동의 증상이 단순히 나이가 어리고 발달 속도가 느려서 인지, 자폐증으로 인한 결과인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Metadata refers to data that can identify the target audience. Meta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gender, age, grade, and occupation. Metadata can provide a more accurate criterion for judging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That is,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symptoms of a child suspected of autism are simply due to a young age and slow development or a result of autism.

클라이언트 관리부(220)는 각각의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며, 데이터 베이스, 전처리부 및 인공지능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클라이언트 관리부(2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에서 개인별로 요청하는 경우 인공지능에 의해 판단된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하고, 누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상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client management unit 220 manages information on each subject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receive data with a database, a pre-processing unit,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he client management unit 220 determines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determin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when requested by each individual from the user interface 100, and analyzes the subject's condition using the accumulated data to display the user interface 100 can be sent to

전처리부(230)는 대상자에 대한 데이터를 인공지능부가 판단하기 적합한 형태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전처리부는 음성 데이터, 영상데이터,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 각각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pre-processing unit 230 is provided to process the data on the subject in a form suitable fo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o determine. The pre-processing unit may perform pre-processing on each of audio data, image data,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data, and metadata.

인공지능부(240)는 음성 데이터, 영상데이터,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폐증을 판단하고, 데이터별, 즉 각 지표별로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하고 앙상블 분석을 이용하여 최종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240 determines autism using voice data, video data,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data and metadata, determines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by data, that is, by each index, and uses ensemble analysis to determine the final autism disorder. degree can be judged.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인공지능부(240), 전처리부(230) 및 클라이언드 관리부(2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2 ,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240 , the pre-processing unit 230 and the client management unit 2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도 1의 인공지능부, 전처리부 및 클라이언트 관리부(220)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a pre-processing unit, and a client management unit 220 of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관리부(220)는 제1 지표로서 음성 데이터, 제2 지표로서 영상 데이터, 그리고 제3 지표로서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를 구별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전처리부에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lient manager 220 distinguishes voice data as a first indicator, video data as a second indicator, and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data and meta data as a third indicator and transmits the respective data to the preprocessor. can

전처리부(230)는 제1 전처리부(231), 제2 전처리부(232) 및 제3 전처리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processing unit 230 may include a first pre-processing unit 231 , a second pre-processing unit 232 and a third pre-processing unit 233 .

제1 전처리부(231)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를, 제2 전처리부(232)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를, 그리고 제3 전처리부(233)는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preprocessor 231 preprocesses audio data, the second preprocessor 232 preprocesses image data, and the third preprocessor 233 performs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data and meta data. can be configured.

제1 전처리부(231) 내지 제3 전처리부(233)는 각각 데이터 비식별화, 데이터 노이즈 제거, 보간법을 이용한 결측 데이터 보완, 데이터분포/단위 변환 및 데이터 이미지화를 수행하여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전처리부의 기능에 대하여는 차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first preprocessing unit 231 to the third preprocessing unit 233 may perform preprocessing by performing data de-identification, data noise removal, missing data supplementation using interpolation, data distribution/unit conversion, and data imaging, respectively. . Meanwhile, the function of the pre-process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

인공지능부는 제1 인공지능부(241), 제2 인공지능부(242) 및 제3 인공지능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may include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241 ,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242 , and a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243 .

제1 인공지능부(241)는 전처리로 이미지화 된 음성 데이터가 의미와 음색으로 구분되어 입력되며, 음색 데이터를 Spectrogram Analysis, CNN, LSTM 모델을 통하여 예측값을 출력한다. 음색 데이터에는 음성의 반응 시간, 음량, 피치 변동성(Pitch Variability)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미 데이터는 사용하는 단어 및 단어별 빈도를 기반으로 LSTM 모델을 이용한 뒤, 음색 데이터의 분석 결과와 완전연결계층으로 제1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하게 된다.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241 inputs voice data imaged through preprocessing by dividing it into meaning and tone, and outputs a predicted value of the tone data through spectrogram analysis, CNN, and LSTM models. Voice data may include response time, volume, and pitch variability of voice. In addition, the semantic data uses an LSTM model based on the words used and the frequency of each word, and then the degree of the first autism disorder is determined by the analysis result of the tone data and the fully connected layer.

제2 인공지능부(242)는 전처리로 이미지화 된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며 CNN 및 LSTM 모델을 이용하고, 완전연결계층으로 제2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하게 된다. 영상 데이터에는 대상자의 움직임 데이터, 얼굴 표정 데이터 및 외부 자극(명령, 대화)에 대한 반응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242 receives pre-processed image data, uses CNN and LSTM models, and determines the degree of the second autism disorder through a fully connected layer. The image data may include motion data of the subject, facial expression data, and response data to external stimuli (commands and conversations).

제3 인공지능부(243)는 전처리된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가 입력되며, CNN, LSTM 모델을 이용하고, 완전연결계층을 이용하여 Text Analysis를 수행하여 제3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하게 된다.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243 receives preprocessed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data and meta data, uses CNN and LSTM models, and performs text analysis using fully connected layers to determine the degree of third autism disorder do.

한편, 제1 인공지능부(241), 제2 인공지능부(242) 및 제3 인공지능부(243)는 이미 자폐증 장애를 갖는 아동과 장애 정도를 판단한 결과를 기반으로 학습된 상태에서 이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241,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242, and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243 can be used in a learned state based on the results of determining the child with autism disorder and the degree of disability. can

인공지능부는 앙상블 분석부(24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앙상블 분석부(244)는 제1 자폐증 장애 정도, 제2 자폐증 장애 정도 및 제3 자폐증 장애 정도를 기반으로 최종 분류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앙상블 분석부(244)는 각 인공지능부(241, 242, 243)에서 판단한 자폐증 장애 정도에 따른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더욱 정확한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어느 하나의 인공지능부(241, 242, 243)를 이용하여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한 결과를 이용할 수 있지만, 다중 지표를 기반으로 앙상블 기법을 이용한 자폐증 장애 정도의 판단은 정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nsemble analysis unit 244 . The ensemble analysis unit 244 is configured to perform final classification based on the first degree of autism disorder, the second degree of autism disorder, and the third degree of autism disorder. The ensemble analysis unit 244 is configured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determined by each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s 241 , 242 , and 243 . That is, although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using any one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s 241, 242, and 243 can be used, the determination of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using the ensemble technique based on multiple indicators enables improved accuracy.

도 3은 전처리부에서 수행하는 입력 데이터의 전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e-processing process of input data performed by a pre-processing unit.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처리부는 데이터 비식별화, 데이터 노이즈 제거, 보간법을 이용한 결측 데이터 보완, 데이터분포/단위 변환 및 데이터 이미지화를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s described above, the pre-processing unit may perform data de-identification, data noise removal, missing data supplementation using an interpolation method, data distribution/unit conversion, and data imaging.

데이터 비식별화는 데이터로 인하여 특정 개인을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제거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데이터 노이즈 제거는 비정상적으로 획득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한편, 보간법을 이용한 결측 데이터 보완은 필터링 되거나 결손된 데이터를 보간하여 데이터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단계이다. Data de-identification corresponds to the step of removing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a specific individual due to data. Data noise removal corresponds to a step of filtering abnormally acquired data. On the other hand, supplementing missing data using interpolation is a step of securing data continuity by interpolating filtered or missing data.

데이터분포/단위 변환 및 데이터 이미지화는 인공지능이 판단할 수 있도록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수행된다.Data distribution/unit conversion and data imaging are performed to generate image data for AI to judge.

데이터 이미지화는 데이터분포/단위 변환된 데이터를 수치화하며, 수치화된 데이터를 n x n 행렬로 변환하고, 최종적으로 heatmap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한다. Data imaging digitizes the data distribution/unit conversion data, converts the digitized data into an n x n matrix, and finally converts it into image data in the form of a heatmap.

도 4는 인공지능부에서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도 4를 참조하면, 제1 인공지능, 제2 인공지능 및 제3 인공지능은 각각의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미지 특성을 추출하고 학습한다. 이때 CNN을 이용할 수 있다. 이후 LSTM 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의 시계열적 특성을 학습한다. 이후 완전연결계층을 통하여 제1 자폐증 장애 정도, 제2 자폐증 장애 정도 및 제3 자폐증 장애 정도를 예측한다. 그리고 학습 결과를 앙상블하여 최종적으로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제1 인공지능부에는 의미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계열적인 특성의 학습이 추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음성을 기반으로 전처리된 이미지 데이터와 의미 데이터의 학습 내용을 기반으로 완전연결계층을 통하여 제1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extract and learn image characteristics based on each input image data. In this case, CNN can be used. Then, based on the LSTM model, the time-series characteristics of the data are learned. Thereafter, the first degree of autism disorder, the second degree of autism disorder, and the third degree of autism disorder are predicted through the fully connected layer. Then, the learning results are ensemble to finally determine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Meanwhile, in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learning of time-series characteristics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using semantic data, and based on image data preprocessed based on voice and learning contents of semantic data, the first autism through a fully connected layer. degree of disability can be assess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프로세스의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utism diagnosis process using multi-indicator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인공지능부(241), 제2 인공지능부(242) 및 제3 인공지능부(243)에 의해 각각 서로 다른 지표를 대변하는 데이터를 입력받고 각각의 인공지능이 판단한 자폐증 장애 정도에 대한 결과를 기반으로 앙상블 분석부(244)최종 자폐증 장애 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최종적으로 판단된 결과는 클라이언트 관리부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전송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241,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242, and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243 receive data representing different indicators, respectively, and each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ed degree of autism disorder, the ensemble analysis unit 244 determines the final degree of autism disorder. Meanwhile, the finally determined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interface by the client management un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은 다중지표 데이터를 이용하며, 데이터 특성을 온전히 반영하여 자폐증 장애 정도 판단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multi-indicator-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multi-indicator data and fully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to improve the accuracy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100: 사용자 인터페이스
200: 서버
210: 데이터 베이스부
220: 클라이언트 관리부
231: 제1 전처리부
232: 제2 전처리부
233: 제3 전처리부
241: 제1 인공지능부
242: 제2 인공지능부
243: 제3 인공지능부
100: user interface
200: server
210: database unit
220: client management unit
231: first pre-processing unit
232: second pre-processing unit
233: third pre-processing unit
241: 1st artificial intelligence department
242: 2nd artificial intelligence department
243: 3rd Artificial Intelligence Division

Claims (10)

대상자로부터 획득한 음성 데이터, 상기 대상자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대상자의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데이터(CARS;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를 획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인공지능부을 이용한 앙상블(Ensemble) 분석으로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인공지능부은,
상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언어 기반 제1 자폐증 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제1 인공지능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행동 기반 제2 자폐증 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제2 인공지능부; 및
상기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3 자폐증 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제3 인공지능부을 포함하는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부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
a user interface for acquiring voice data obtained from the subject, image data obtained by capturing an image of the subject, and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 data of the subject; and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communicating with the user interface, and includes a serve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by ensemble analysis using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units,
The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partments,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hat receives the voice data and determines a degree of a first autism disorder based on language;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receiving the image data and determining a degree of a second autism disorder based on behavior; and
An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a multi-index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including a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hat receives the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data and determines a third degree of autism disord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공지능부은 상기 음성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음색 데이터 및 의미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사용하며,
상기 음색 데이터는 상기 대상자의 음성의 반응시간, 음량, 피치 변동성(Pitch Variability)을 포함하며,
상기 의미 데이터는 사용하는 단어 및 단어별 빈도를 포함하는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부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uses tone data and semantic data extracted from the voice data as input values;
The tone data includes a response time, volume, and pitch variability of the subject's voice,
The semantic data is an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a multi-index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including words used and frequencies for each wor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공지능부은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움직임 데이터, 얼굴표정 데이터 및 반응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사용하는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부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utism diagnosis system of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공지능부은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 및 상기 사기 자폐증 평정척도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사용하며,
상기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데이터는 보호자가 상기 대상자를 관찰하여 입력한 데이터이며,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대상자의 성별, 나이, 학년 및 직업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부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uses the included metadata and the fraudulent autism rating scale data as input values,
The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data is data entered by the guardian observing the subject,
The meta data is an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a multi-indicator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including data on at least one of gender, age, grade and occupation of the subjec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구비되며,
상기 음성 데이터,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대상자의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데이터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각각 전처리하는 전처리부를 포함하는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부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t is provided in the server,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a multi-indicator-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including a preprocessor for preprocessing the audio data, the image data, the subject's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data, and the meta data, respectively.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데이터 비식별화, 데이터 노이즈 제거, 보간법을 활용한 결측 데이터 보완, 데이터 분포/단위 변환 및 데이터 이미지화를 수행하는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부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pre-processing unit performs data de-identification, data noise removal, missing data supplementation using interpolation, data distribution / unit conversion, and data imaging using a multi-indicator-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의 데이터 이미지화는 입력 데이터 수치화, 수치화 데이터 n x n 행렬 변환 및 heatmap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수행되는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부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data imaging of the pre-processing unit is performed by digitizing the input data, converting the digitized data into an nxn matrix, and converting the image data in the form of a heatmap.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공지능부, 상기 제2 인공지능부 및 상기 제3 인공지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학습하여 상기 자폐증 장애 정도와 연관되는 분류값을 예측하는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부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At least one of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and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receives and learns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reprocessor to predict a classification value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multi-indicator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공지능부, 상기 제2 인공지능부 및 상기 제3 인공지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LSTM(Long Short-Term Memory) 모델을 이용하여 학습하며, 완전연결계층(Fully-Connected Layer)을 이용하여 분류값을 산출하며,
상기 분류값을 근거로 앙상블 분석을 통하여 상기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하는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부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At least one of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and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receives the image data and uses a dat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or long short-term memory (LSTM) Learning using a model, calculating a classification value using a fully-connected layer,
An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a multi-indicator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hat determines the degree of the autism disorder through ensemble analysi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valu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자폐증 장애 정도를 판단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다중지표 기반 인공지능부을 이용한 자폐증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server,
An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a multi-indicator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 result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autism disorder to the user interface.

KR1020220015250A 2022-02-07 2022-02-07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multi-indicator KR2023011929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250A KR20230119295A (en) 2022-02-07 2022-02-07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multi-indicator
PCT/KR2022/020416 WO2023149653A1 (en) 2022-02-07 2022-12-15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multi-indicator-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250A KR20230119295A (en) 2022-02-07 2022-02-07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multi-indic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295A true KR20230119295A (en) 2023-08-16

Family

ID=8755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250A KR20230119295A (en) 2022-02-07 2022-02-07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multi-indica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9295A (en)
WO (1) WO2023149653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429B1 (en) 2017-06-22 2017-11-06 주식회사 에스메이커 Remote early diagnosis system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5126A4 (en) * 2015-08-11 2019-05-01 Cognoa,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rmine developmental progres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user input
KR102090171B1 (en) * 2018-04-13 2020-03-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based human emotion recognition using semi-supervised learning and multimodal networks
KR20210068713A (en)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피디젠 System for predicting disease progression using multiple medical data based on deep learning
KR102518310B1 (en) * 2019-12-30 2023-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429B1 (en) 2017-06-22 2017-11-06 주식회사 에스메이커 Remote early diagnosis system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9653A1 (en)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o et al. End-to-end audiovisual speech recognition system with multitask learning
Zhang et al. Pdvocal: Towards privacy-preserving parkinson's disease detection using non-speech body sounds
JP7392492B2 (en) Method, server and program for detecting cognitive and speech disorders based on temporal and visual facial features
JP7279928B2 (en) Argument analysis device and argument analysis method
CN110391013B (en) System and device for predicting mental health by building neural network based on semantic vector
CN110570941A (en) System and device for assessing psychological state based on text semantic vector model
US20200251217A1 (en) Diagnosis Method Using Image Based Machine Learning Analysis of Handwriting
CN110706786A (en) Non-contact intelligent analysis and evaluation system for psychological parameters
CN113035232B (en) Psychological state predic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CN112768070A (en) Mental health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dialogue communication
CN116665845A (en) User emotion self-testing system based on multi-mode data
Rajan et al. Conflictnet: End-to-end learning for speech-based conflict intensity estimation
CN114582355A (en) Audio and video fusion-based infant crying detection method and device
Shanthi et al. An integrated approach for mental health assessment using emotion analysis and scales
US20220051670A1 (en) Learning support device, learning suppor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230119295A (en)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multi-indicator
CN111489736A (en) Automatic seat speech technology scoring device and method
CN116110578A (en) Screening device for diagnosis of depression symptoms assisted by computer
Gupta et al. REDE-Detecting human emotions using CNN and RASA
CN112560811A (en) End-to-end automatic detection research method for audio-video depression
Aluru et al. Parkinson’s Disease Detection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Dineshkumar et al. Deperssion Detection in Naturalistic Environmental Condition
CN116189668B (en) Voice classification and cognitive disorder dete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Guhan et al. Developing an effective and automated patient engagement estimator for telehealth: A machine learning approach
JP7152825B1 (en) VIDEO SESSION EVALUATION TERMINAL, VIDEO SESSION EVALUATION SYSTEM AND VIDEO SESSION EVALUATION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