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7943A -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7943A
KR20230117943A KR1020220014307A KR20220014307A KR20230117943A KR 20230117943 A KR20230117943 A KR 20230117943A KR 1020220014307 A KR1020220014307 A KR 1020220014307A KR 20220014307 A KR20220014307 A KR 20220014307A KR 20230117943 A KR20230117943 A KR 20230117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self
directed
learn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3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훈
Original Assignee
허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훈 filed Critical 허훈
Priority to KR1020220014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7943A/en
Priority to PCT/KR2023/000536 priority patent/WO2023149678A1/en
Publication of KR2023011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94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1Analysis of document content
    • G06V30/413Classification of content, e.g. text, photographs or tab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 G09B19/025Counting; Calculating with electrically operated apparatus or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는 자기주도 암기학습을 위해 학습노트를 등록하고, 등록된 학습노트에서 텍스트 및 암기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암기 기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텍스트 전체를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재생하되,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는 반복 재생하거나 강조 재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암기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device registers learning notes for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recognizes text and memorization symbols set by a user for memorization in the registered learning notes, and recognizes the recognized text. The whole is converted into a voice signal and then reproduced, but the text marked with memorized symbols is repeatedly reproduced or reproduced with emphasis. Accordingly, the rote learning efficiency of the user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 및 그 방법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시스템 또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소재의 청각적 제시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processing system or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udible presentation of learning material.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단어나 문장의 암기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학습 수단이다. 외국어 학습뿐만 아니라, 수학 공식, 역사, 법률 등 다양한 학습 분야에서 반복을 통한 암기는 현재까지는 주요한 학습 방법이다. 이미지와 단어를 동시에 보여주면서 단기 기억을 강화하는 플래시 카드부터, 다양한 기억 이론과 결합한 학습 교재들이 많다.In foreign language learning, memorization of words or sentences is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learning means. In addition to foreign language learning, memorization through repetition is a major learning method so far in various learning fields such as mathematical formulas, history, and law. From flash cards that strengthen short-term memory by showing images and words at the same time, there are many learning materials combined with various memory theories.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암기 앱들도 출시되고 있다. 사용자가 영어 단어들을 앱에서 제공하는 단어장에 기록해두면, 반복하여 단어를 사용자에게 표출하도록 하는 단어장 앱에서부터, 보다 복잡한 문장이나 내용까지 학습이 가능하게 하는 앱까지 나오고 있다.Recently, memorization apps using smartphones have also been released. When users record English words in the vocabulary provided by the app, there are vocabulary apps that allow users to repeatedly express words to apps that enable learning of more complex sentences or contents.

이러한, 스마트폰을 활용한 암기 앱들은 휴대성이 편리하여, 어디에서나 학습이 가능하고, 앱에서 제공하는 스케줄링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기억해야할 내용들을 확인하고 암기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여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These memorization apps using smartphones are convenient to carry, so learning is possible anywhere, and by using the scheduling provided by the app, it provides the convenience of periodically checking and memorizing the contents to be memorized. is being used

하지만, 스마트폰의 편리한 휴대성에도 불구하고, 몇몇 주요 단어나 정해진 문장에서만 녹음된 음성을 지원하고, 대부분의 단어나 문장은 사용자가 텍스트로 보면서 암기해야 한다. 따라서, 여전히 사용자가 이동 중이거나 다른 작업 중일 때와 같이 휴대폰을 사용하기 힘든 상황에서는 시각을 이용한 학습이 용이하지 않아, 암기를 위한 학습 효율이 떨어진다.However, despite the convenient portability of smart phones, recorded voices are supported only in some key words or sentences, and most words or sentences must be memorized by the user while viewing them as text. Therefore,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use a mobile phone, such as when a user is still on the move or in the middle of another task, it is not easy to learn using the sight, and the learning efficiency for memorization is reduced.

일 실시 예에 따라, 암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self-directed rote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increasing memorization efficiency are proposed.

특히, 인공지능 기반 음성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모든 학습내용을 완전하게(Fully) 음성으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고, 텍스트 기반의 학습노트를 사용자 개인이 자기주도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개인 맞춤형으로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In particular,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peech synthesis technology, all learning content can be fully converted into voice and provided, and text-based learning notes can be created by individual users on their own initiative, and personalized learning is possible. We propose a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device and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effect.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는, 사용자가 암기하고자 하는 학습노트를 획득하여 등록하는 학습노트 등록부와, 등록된 학습노트로부터 텍스트 및 암기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강조된 암기 기호를 포함한 시각정보를 인식하는 텍스트 인식부와. 인식된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를 추출하는 텍스트 추출부와, 추출된 텍스트 전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텍스트 음성 변환부와, 변환된 음성을 재생하 되,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는 반복 또는 강조 재생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A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learning note registration unit for obtaining and registering learning notes that a user wants to memorize, and visual information including text and memorization symbols emphasized by the user for memorization from the registered learning notes. and a text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A text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ext marked with recognized memorization symbols; a text-to-speech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entire extracted text into a voice signal; Include an output section.

암기 기호는, 밑줄, 네모, 동그라미, 중요표시, 형광색, 볼드체, 사체, 서체 바꿈, 글자색 중 적어도 하나가 텍스트에 표시된 것일 수 있다.The memorized symbol may be at least one of an underline, a square, a circle, an important mark, a fluorescent color, a boldface, an oblique font, a font change, and a text color displayed in the text.

학습노트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통해 직접 작성하여 입력한 문서이거나, 기존의 문서를 스캔 또는 캡처하여 업로드 한 문서일 수 있다.The learning note may be a document directly prepared and input by the user through a document preparation program of a user terminal, or a document uploaded by scanning or capturing an existing document.

텍스트 추출부는, 학습노트의 텍스트 내에서 인식된 문장 및 단어의 위치정보를 추출한 후 해당 문장 및 단어의 텍스트 내용과 텍스트 내 문장 및 단어의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학습노트에서 인식된 암기 기호의 위치정보를 추출한 후 암기 기호의 위치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며, 문장 및 단어의 위치정보와 암기 기호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 내 문장 및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The text extraction unit extract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sentences and words recognized within the text of the learning note, matches the text content of the sentence and word with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sentence and word in the text,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and recognizes it in the learning note. After extract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memorized symbol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memorized symbols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sentences and words in the text marked with the memorized symbols can be extracted us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sentences and words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memorized symbols. .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는 암기학습을 위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설정정보는 음성 재생정보를 포함하고, 출력부는 음성 재생정보에 따라 음성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user setting information for rote learning,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voice re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output unit may reproduce a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voice reproduction information.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는, 암기학습을 위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설정정보는 공유자와 학습 노트를 공유하기 위한 학습노트 공유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user setting information for rote learning, and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study note sharer information for sharing study notes with a sharer.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는, 사용자가 작성한 학습노트를 사용자가 설정한 공유자와 공유하는 학습노트 공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udy note sharing unit for sharing study notes written by the user with a sharer set by the user.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는, 사용자 또는 공유자가 작성한 학습노트를 편집하기 위한 툴을 제공하고 편집된 학습노트를 학습노트 등록부에 제공하는 학습노트 편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udy note editing unit that provides a tool for editing study notes written by users or sharers and provides the edited study notes to a study note register.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는,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의 문장 또는 단어를 이용하여 단어장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어장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ordbook providing unit that generates and provides a wordbook using sentences or words of text marked with memorized symbols.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는, 단어장 제공부에 의해 생성된 문장 또는 단어들은 빈 칸으로 표시하고 빈 칸을 포함하는 문제에 대해 사용자 입력에 따라 빈 칸을 채우는 테스트를 제공하는 테스트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est providing unit that displays sentences or words generated by the wordbook providing unit as blanks and provides a test for filling in the blanks according to user input for problems including blanks. there is.

테스트 제공부는, 출력부를 통해 단어장 제공부에 의해 생성된 문장 또는 단어들을 재생할 때 해당하는 문장 또는 단어를 대상으로 빈 칸 테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test providing unit reproduces the sentences or words generated by the wordbook providing unit through the output unit, it may provide a blank test targeting the corresponding sentence or word.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주도 암기학습 방법은, 사용자가 암기하고자 하는 학습노트를 획득하여 등록하는 단계와, 등록된 학습노트로부터 텍스트 및 암기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강조된 암기 기호를 포함한 시각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인식된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텍스트 전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음성을 재생하되,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는 반복 또는 강조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cquiring and registering learning notes that a user wants to memorize, and recognizing visual information including text and memorization symbols emphasized by the user for memorization from the registered learning notes. Steps of extracting text marked with the recognized memorization symbol, converting the entire extracted text into a voice signal, and reproducing the converted voice, but repeating or emphasizing the text marked with the memorization symbol. do.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학습노트의 텍스트 전체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학습노트 내용을 청각을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시각으로 학습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암기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by outputting the entire text of the study note as voice, the user can learn the contents of the study note using hearing. Accordingly, even when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learn visually, the efficiency of rote learning can be increased.

나아가, 텍스트 전체를 음성으로 출력하면서, 텍스트 중에서 암기가 필요한 문장 또는 단어를 사용자의 학습 스타일에 맞게 음성으로 출력함에 따라, 암기가 필요한 단어나 문장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보다 더 쉽게 암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터치하여 조작하지 않고도, 화면에 표출된 단어나 문장을 확인하지 않고도 암기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가지고 이동 중에도 음성을 통한 반복 학습이 가능하여, 암기학습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Furthermore, as the entire text is output as voice and sentences or words that need to be memorized among the text are output as voices according to the user's learning style, the user can more easily memorize the words or sentences that need to be memorized in a customized way. In addition, memorization learning is possible without the user touching and manipulating the user terminal and without checking words or sentences displayed on the scree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peatedly learn through voice even while the user is on the move with the user terminal,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rote learning.

사용자가 자기주도로 학습노트를 생성 및 편집할 수 있어서, 사용자 개인에 맞춤형으로 암기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표시한 암기 기호를 인식하고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의 문장 또는 단어를 반복 또는 강조하여 사용자에 음성으로 재생함에 따라, 사용자의 학습 효율이 증대된다.Since the user can create and edit study notes on his or her own initiative, rote learning services tailored to the individual user can be provided. Furthermore, learning efficiency of the user is increased by recognizing the memorized symbols displayed by the user and repeating or emphasizing sentences or words of the text marked with the memorized symbols and reproducing them as voices to the user.

암기기호가 표시된 문장 또는 단어를 중요 문장 또는 중요 단어로 인식하고 인식된 중요 문장 또는 중요 단어 위주로 단어장을 생성하여 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중요 문장 또는 중요 단어는 빈 칸 형태로 제공하는 테스트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학습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Sentences or words marked with memorization symbols may be recognized as important sentences or important words, and a wordbook may be created and provided based on the recognized important sentences or important words. Furthermore, the user's learn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through a test method in which important sentences or important word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blanks.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학습노트를 공유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공유자는 사용자가 지정한 방식으로 학습노트에 대한 암기학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추가 편집을 통해 자신만의 학습노트로 활용할 수 있어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users can share their study notes with sharers, and sharers can receive rote learning services for study notes in a user-specified way, and can be used as their own study notes through additional editing. Ease of use is improv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사용자가 작성한 학습노트로부터 암기학습을 위해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를 추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기주도 암기학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노트 등록 및 사용자 설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and 2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extracting text marked with memorization symbols for rote learning from a learning note created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 self-directed rote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learning note registration and user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반영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described later will be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defined by reflecting the functions of,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custom.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emplified below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and 2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 내에 구비된 구조일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과 관리 서버(3)에 기능들이 네트워크(4)를 통해 분산된 구조일 수도 있다. 관리 서버(3)는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 서버(3)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may have a structure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2, and as shown in FIG. 2, the user terminal 2 and the management server 3 have functions. It may also be a distributed structure through the network (4). The management server 3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eb server, database server, or proxy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3 may include a plurality of database servers.

사용자 단말(2)은 스마트폰(Smart Phone),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 is a smart phone, a navigation terminal,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a wearable device (for example, a watch type terminal ( Smartwatch), flexible terminal (Flexible Terminal), can be applied to various terminals such as digital signage devices.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사용자 단말(2)에 전용 앱(Application)을 설치할 수 있다.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사용자 단말(2)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하고, 전용 앱 실행에 따른 앱 실행 결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may install a dedicated app on the user terminal 2 .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may execute a dedicated app pre-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 and display an app execution result scree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dedicated app.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사용자 단말(2)의 사용자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2)의 사용자와 관련한 개인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해당 개인 정보를 DB에 등록 및 관리할 수 있다.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performs a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 for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2 and registers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2 . At this time,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may register and manage the corresponding personal information in the DB.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사용자 자신이 주도할 수 있는 자기주도 암기학습 서비스를 제공한다. 자기주도 암기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에는 인공지능(AI) 기술, 음성변환(text to speech: TTS) 기술 등의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다. 원격제어(remote control)도 가능하다. 인공지능 기술은 기계학습을 통해 이미지로부터 자동으로 객체, 문자 등의 시각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을 포함한다. 음성변환 기술은 인식된 시각정보, 예를 들어 문자 이미지를 문자(text) 정보로 변환하고 이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하는 기술을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음성합성 모델 중에서 소정의 음성합성 모델을 선택하여 선택된 음성합성 모델의 음성으로 텍스트를 재생할 수 있다. 원격제어는 사용자 단말(2)이 네트워크(4)를 통해 연결된 관리 서버(3)로부터 원격제어를 지원받고 관리 서버(3)가 사용자 단말(2)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을 포함한다.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provides a self-directed rote learning service that can be led by the user himself. In order to provide a self-directed rote learning service,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and text to speech (TTS) technology are applied to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Remote control is also possibl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cludes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recognizes visual information such as objects and texts from images through machine learning. Voice conversion technology includes a technology of converting recognized visual information, for example, text image, into text information, converting it into a voice signal that a user can hear, and outputting a voice. At this time, a predetermined speech synthesis model may b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speech synthesis models, and text may be reproduced with the voice of the selected speech synthesis model. The remote control includes a technique in which the user terminal 2 receives remote control from the management server 3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4 and the management server 3 monitors the user terminal 2 .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사용자의 학습노트를 인공지능 기반 음성변환 기술을 적용하여 완전하게 음성으로 변환하고, 이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자기주도 암기학습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공지능 음성합성 기술을 활용하여 모든 학습노트를 완전하게 음성으로 재생함에 따라,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암기를 할 수 있다.The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device 1 provides a self-directed rote learning service that completely converts a user's learning notes into speech by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peech conversion technology and provides the result to the user.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voice synthesis technology to completely reproduce all study notes as voices, users can memorize effectively.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자기주도 암기학습을 위해 학습노트를 등록한다. 그리고 등록된 학습노트에서 텍스트 전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텍스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한다. 이때,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암기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는 강조 또는 반복하여 재생한다. 예를 들어,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를 반복 재생하거나, 음성의 크기를 높이거나, 다른 음성으로 재생할 수 있다. 강조 또는 반복 형태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registers study notes for self-directed rote learning. In addition, the entire text is recognized in the registered learning note, and the recognized text is converted into a voice signal and reproduced. At this time,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apparatus 1 emphasizes or repeatedly reproduces the text marked with the rote symbol designated by the user for memorization. For example, text marked with memorization symbols can be repeatedly reproduced, the voice volume increased, or reproduced with a different voice. The emphasis or repetition type can be set by the user.

이하,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의 세부 구성에 대해 후술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프로세서(10), 입력부(20), 출력부(30) 및 저장부(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는 학습노트 등록부(11), 텍스트 인식부(12), 텍스트 추출부(13), 텍스트 음성 변환부(14), 학습노트 공유부(15), 학습노트 편집부(16), 단어장 제공부(17) 및 테스트 제공부(18)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includes a processor 10, an input unit 20, an output unit 30, and a storage unit 40. The processor 10 includes a learning note registration unit 11, a text recognition unit 12, a text extraction unit 13, a text-to-speech conversion unit 14, a learning note sharing unit 15, a learning note editing unit 16, and a word book. A provision unit 17 and a test provision unit 18 may be included.

학습노트 등록부(11)는 사용자가 암기하고자 하는 학습노트를 사용자 단말(2)로부터 획득하여 이를 등록하고 저장부(40)에 저장한다. 학습노트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의 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통해 직접 작성하여 입력한 문서일 수 있고, 기존의 문서를 스캔 또는 캡처하여 업로드 한 문서일 수도 있다. 학습노트의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학습에 필요한 참고서나 교과서, 각종 자격테스트나 입시 및 취직 테스트, 국가고시 등에 필요한 교재나 수험서, 문제집이거나 수험생들의 암기 비중이 높은 외국어 교재나 문법서적, 역사책, 영어책 등일 수 있다.The learning note registration unit 11 acquires learning notes that the user wants to memorize from the user terminal 2 , registers them, and stores them in the storage unit 40 . The learning note may be a document directly created and input by the user through a document preparation program of the user terminal 2, or may be a document uploaded by scanning or capturing an existing document. The types of study not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re reference books and textbooks necessary for the user's learning, textbooks and exam books necessary for various qualification tests, entrance exams and employment tests, and national exams, workbooks, foreign language textbooks and grammar books that require a high proportion of memorization by examinees. , history books, English books, and the like.

텍스트 인식부(12)는 등록된 학습노트로부터 시각정보를 인식한다. 시각정보는 텍스트와 이미지 등을 포함한다. 텍스트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한다. 이때, 텍스트 인식부(12)는 암기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암기 기호를 인식한다. 암기 기호는 밑줄, 네모, 동그라미, 중요표시, 형광색, 볼드체, 사체, 서체 바꿈, 글자색 중 적어도 하나가 텍스트에 표시된 것일 수 있다. 중요표시는 별표, 당구장표, 체크표 등이 있다. 이때, 텍스트 인식부(12)는 암기 기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text recognition unit 12 recognizes time information from registered learning notes. Visual information includes text and images. Text includes sentences or words. At this time, the text recognition unit 12 recognizes the memorization symbol set by the user for memorization. The memorized symbol may be at least one of an underline, a square, a circle, an important mark, a fluorescent color, a boldface, an oblique font, a font change, and a text color displayed in the text. Important marks include an asterisk, a billiard table, and a check mark. At this time, the text recognition unit 12 ma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memorized symbols.

사용자가 학습노트에 소정의 문장 또는 단어에 밑줄, 네모, 동그라미, 중요표시, 형광색, 볼드체, 사체, 서체 바꿈, 글자색 등의 암기 기호를 표시할 수 있는데, 텍스트 인식부(12)는 이 암기 기호가 표시된 문장 또는 단어를 사용자가 암기해야 할 중요 문장 또는 중요 단어로 판단할 수 있다.The user can display memorization symbols such as underlines, squares, circles, important marks, fluorescent colors, boldfaces, italics, font changes, and text colors on predetermined sentences or words in the learning note. The text recognition unit 12 memorizes this Sentences or words marked with symbols may be determined as important sentences or important words to be memorized by the user.

텍스트 인식부(12)는 등록된 학습노트가 스캔 또는 캡처된 이미지 파일인 경우, 학습노트 편집 시 사용자의 편리성과 음성출력 시의 음성 변환을 감안하여 광학문자인식(Optical Character Reader: OCR) 기능을 이용해 이미지 파일을 텍스트 파일의 형식으로 변환한 후, 텍스트 파일에서 텍스트를 인식할 수 있다.If the registered learning notes are scanned or captured image files, the text recognition unit 12 provides an optical character reader (OCR) fun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convenience when editing learning notes and voice conversion when outputting audio. After converting an image file to a text file format, text can be recognized in a text file.

텍스트 추출부(13)는 텍스트 인식부(12)를 통해 인식된 텍스트를 추출한다. 텍스트 추출부(13)는 학습노트의 텍스트 내에서 인식된 문장 및 단어의 위치정보를 추출한 후, 해당 문장 및 단어의 텍스트 내용과 텍스트 내 문장 및 단어의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저장부(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추출부(13)는 학습노트에서 텍스트 인식부(12)를 통해 인식된 암기 기호의 종류 및 위치정보를 추출한 후, 암기 기호의 종류 및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저장부(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텍스트 추출부(13)는 문장 및 단어의 위치정보와 암기 기호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 내 문장 및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The text extraction unit 13 extracts text recognized through the text recognition unit 12 . The text extractor 13 extract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sentences and words recognized in the text of the study note, and then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40 by matching the text contents of the sentences and words with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sentences and words in the text. can be saved In addition, the text extractor 13 may extract the typ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emorized symbol recognized through the text recognition unit 12 from the learning note, match the typ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emorized symbol, and store th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40. there is. Subsequently, the text extractor 13 may extract sentences and words from the text in which the memorized symbols are displayed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sentences and words and location information of memorized symbols.

텍스트 추출부(13)는 텍스트 인식부(12)에서 인식된 텍스트에 제시되어 있는 단어들 중에서 중요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텍스트 추출부(13)는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의 문장 또는 단어를 중요 단어로 추출할 수 있고, 사용자가 텍스트 내에서 중요 단어를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사전에서 사용빈도, 중요도, 사용자의 나이, 학습능력 등을 고려하여 텍스트 추출부(13)에서 자동으로 중요 단어를 추출할 수도 있다.The text extractor 13 may extract important words from words presented in the text recognized by the text recognizer 12 . The text extraction unit 13 may extract sentences or words of the text marked with memorization symbols as important words, the user may directly set important words in the text, and the frequency of use, importance, age of the user, learning The text extracting unit 13 may automatically extract important words in consideration of ability or the like.

텍스트 음성 변환부(14)는 텍스트 추출부(13)를 통해 추출된 텍스트 전체를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텍스트 음성 변환부(14)는 음성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텍스트의 형태소를 분석해 음소 단위로 바꾼 후, 최적의 운율을 모델링 한 다음 녹음한 음성 합성 모델 DB를 활용하여 이 중 최적의 음성 합성 모델을 선택하고 특정 음성(예를 들어, 여성과 남성의 음색, 연예인이나 성우 등 사용자가 선호하는 사람의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다.The text-to-speech conversion unit 14 converts the entire text extracted through the text extraction unit 13 into a voice signal. The text-to-speech conversion unit 14 analyzes the morphemes of the text using speech synthesis technology, converts them into phoneme units, models the optimal prosody, and selects the optimal speech synthesis model among them by utilizing the recorded speech synthesis model DB. and convert it into a specific voice (for example, the voice of a person preferred by the user, such as female and male tones, celebrities or voice actors).

출력부(30)는 텍스트 음성 변환부(14)를 통해 변환된 음성신호를 사용자의 암기학습을 위해 재생한다. 이에 따라, 학습노트의 모든 텍스트가 음성으로 재생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성으로 출력되는 학습노트의 내용을 청취하며 암기학습을 수행할 수 있어서, 암기학습을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30 reproduces the voice signal converted through the text-to-speech converter 14 for memorization and learning by the user. Accordingly, all texts of the study notes can be reproduced and output as voices. The user can perform memorization learning while listening to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note output as a voice, so that memorization learning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출력부(30)는 텍스트 전체를 음성으로 재생할 때, 암호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반복 횟수만큼 반복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한 강조 방식으로 강조하여 재생할 수 있다.When the output unit 30 reproduces the entire text as voice, the text marked with the encryption symbol can be repeated as many times as the number of repetitions set by the user or can be reproduced with emphasis in an emphasizing method set by the us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학습노트의 텍스트를 출력부(30)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하고, 이와 동시에 출력부(30)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시각이나 청각만을 따로 사용할 때보다 암기학습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can display the text of the learning note through the screen of the output unit 30 and output it as a voice through the speaker of the output unit 30 at the same time. there is. This method is a method that can greatly improve rote learning efficiency compared to using only sight or hearing separately.

입력부(20)는 암기학습을 위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입력 받는다.The input unit 20 receives user setting information for rote learning.

사용자 설정정보는 텍스트 내 문장 또는 단어에 대한 음성 재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재생정보는 해당 문장 또는 단어에 대한 반복 횟수, 재생 시간, 재생 구간, 강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강조 정보는 해당 문장 또는 단어를 재생할 때 음성의 크기를 높이거나, 다른 음성으로 재생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출력부(30)는 문장 또는 단어를 설정된 반복 횟수, 재생 시간, 재생 구간, 강조 정보에 맞추어 재생할 수 있다.The user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voice reproduction information for sentences or words in text. The voice reprodu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number of repetitions, reproduction time, reproduction section, emphasis information, etc. of a corresponding sentence or word. The emphasis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for increasing the volume of a voice when reproducing a corresponding sentence or word or reproducing a different voice. The output unit 30 may reproduce sentences or words according to the set number of repetitions, reproduction time, reproduction period, and emphasis information.

사용자 설정정보는 학습노트 공유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20)는 사용자가 작성한 학습노트를 공유할 공유자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간에 자신이 작성한 학습노트를 공유할 수 있고, 공유된 학습노트를 자기에 맞게 편집할 수도 있다.The user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learning note sharer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input unit 20 may additionally set a sharer to share the study note created by the us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hare study notes created by users among users, and the shared study notes can be edited to suit one's own needs.

사용자 설정정보는 텍스트 인식부(12)가 암기학습을 위해 인식해야 할 암기 기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20)는 텍스트 인식부(12)가 암기학습을 위해 인식해야 할 암기 기호를 사용자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광색, 밑줄, 글자색은 특정색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요청하는 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user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memorized symbols to be recognized by the text recognition unit 12 for rote learning. In this case, the input unit 20 may set memorized symbols to be recognized by the text recognition unit 12 for rote learning according to the user. For example, fluorescent colors, underlines, and text colors are not limited to specific colors, but may be set to colors requested by the user.

입력부(20)를 통한 사용자 설정은 암기학습 제공 이전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고, 암기학습 중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암기학습 중에 사용자 단말의 화면상의 아이콘을 이용한 설정, 화면 터치, 모션 인식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User setting through the input unit 20 may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providing rote learning, or may be performed during rote learning. For example, user settings may be performed using icons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screen touches, motion recognition, and the like during user rote learning.

학습노트 공유부(15)는 사용자가 작성한 학습노트를 공유자와 공유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학습노트를 공유자와 공유할 수 있고, 공유자는 사용자가 작성한 방식으로 암기학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learning note sharing unit 15 shares the learning note created by the user with a sharer. The user can share his or her study notes with a sharer, and the sharer can receive rote learning services in a manner written by the user.

학습노트 편집부(16)는 사용자 또는 공유자가 작성한 학습노트를 편집하기 위한 툴을 제공하고, 편집된 학습노트를 학습노트 등록부(11)에 제공하여 등록한다. 공유자가 사용자의 학습 노트를 추가 편집하여 자신만의 학습노트로 활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 또는 공유자는 학습노트에서 암기해야 할 문장이나 단어를 추가, 삭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인 맞춤형으로 학습노트를 구성할 수 있다.The learning note editing unit 16 provides a tool for editing learning notes created by users or sharers, and provides and registers the edited learning notes to the learning note registration unit 11 . The sharer can additionally edit the user's study notes and use them as their own study notes. Users or sharers can add, delete, or change sentences or words to be memorized in the study not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study notes in a personalized manner.

단어장 제공부(17)는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의 문장 또는 단어를 이용하여 단어장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The wordbook providing unit 17 creates and provides a wordbook using sentences or words of text marked with memorized symbols.

테스트 제공부(18)는 사용자의 암기학습을 향상시키기 위해 테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테스트 제공부(18)는 단어장 제공부(17)에 의해 생성된 문장 또는 단어들은 빈 칸으로 표시하고 빈 카을 포함하는 문제에 대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빈 칸을 채우는 테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The test providing unit 18 may provide a test to improve rote learning of the user. The test providing unit 18 may display sentences or words generated by the wordbook providing unit 17 as blank cells and provide a test for filling in blank cells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a problem including blank words.

예를 들어, 테스트 제공부(18)는 She felt jaded and in need of emotional uplift. 라는 문장이 있을때, 문제 지문을 "그녀는 싫증나서 감정적인 격려가 필요했다."라고 제시하고, She felt ( ) and in need of emotional ( ). 처럼 빈 칸을 포함하는 문제를 제시하여 빈 칸에 적절한 단어를 채워 넣게 하여서, 사용자가 추가로 문장 전체를 암기하도록 한다. 테스트 제공부(18)는 빈 칸을 채우는 테스트를 위한 문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의 학습노트 제작 시에 사용자가 문제를 함께 생성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test provider 18 She felt jaded and in need of emotional uplift. When there is a sentence, present the problem passage as "She was fed up and needed emotional encouragement." She felt ( ) and in need of emotional ( ). By presenting a problem containing blank spaces, such as, the user fills in the appropriate words in the blank spaces, so that the user additionally memorizes the entire sentence. The test providing unit 18 may automatically generate problems for a test to fill in blanks, and the user may create problems together when the user makes a study note.

테스트 제공부(18)는 출력부(30)를 통해 단어장 제공부(17)에 의해 생성된 문장 또는 단어들을 재생할 때 해당하는 문장 또는 단어를 대상으로 빈 칸 테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When reproducing the sentences or words generated by the wordbook providing unit 17 through the output unit 30, the test providing unit 18 may provide a blank test for the corresponding sentence or wor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사용자가 작성한 학습노트로부터 암기학습을 위해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를 추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xtracting text marked with memorization symbols for rote learning from a learning note created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사용자의 교과서, 책, 참고서 등의 학습노트(40)에서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들의 위치정보(41)를 획득한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41 of words included in text in a user's learning notes 40 such as textbooks, books, and reference books.

또한,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주요 부분을 밑줄(400) 치거나 네모(410) 등으로 표시한 암기 기호를 인식하고, 인식한 암기 기호에 대한 위치정보(42)를 획득한다.In addition,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recognizes a memorized symbol whose main part is underlined 400 or marked with a square 410, and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42 for the recognized memorized symbol.

이어서,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텍스트 안에 포함된 단어들 중에서 사용자가 표시한 암기 기호의 위치가 표시된 문장 및 단어를 암기가 필요한 중요 문장 및 중요 단어(43)로 결정한다.Subsequently,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apparatus 1 determines sentences and word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memorization symbol indicated by the user is displayed among words included in the text as important sentences and important words 43 that need to be memoriz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기주도 암기학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low of a self-directed rote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사용자가 암기하고자 하는 학습노트를 획득하여 등록한다(510). 학습노트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통해 직접 작성하여 입력한 문서이거나, 기존의 문서를 스캔 또는 캡처하여 업로드 한 문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5 ,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acquires and registers study notes that the user wants to memorize (510). The learning note may be a document directly created and input by the user through a document preparation program of the user terminal, or a document uploaded by scanning or capturing an existing document.

이어서,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등록된 학습노트로부터 텍스트 및 암기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암기 기호를 포함한 시각정보를 인식한다(520). 암기 기호는 밑줄, 네모, 동그라미, 중요표시, 형광색, 볼드체, 사체, 서체 바꿈, 글자색 중 적어도 하나가 텍스트에 표시된 것일 수 있다.Next,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recognizes visual information including text and memorization symbols set by the user for memorization from the registered study notes (520). The memorized symbol may be at least one of an underline, a square, a circle, an important mark, a fluorescent color, a boldface, an oblique font, a font change, and a text color displayed in the text.

이어서,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텍스트를 추출한다(530). 이때,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텍스트 내 문장 또는 단어의 위치정보와 암기 기호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 내 문장 또는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Next,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apparatus 1 extracts text (530). In this case,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apparatus 1 may extract sentences or words from texts marked with memorized symbols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sentences or words in the text and location information of memorized symbols.

이어서,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추출된 텍스트 전체를 음성신호로 변환한다(540).Subsequently,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apparatus 1 converts the entire extracted text into a voice signal (540).

이어서,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변환된 음성을 재생하되,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는 반복 또는 강조 재생한다(550).Subsequently,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apparatus 1 reproduces the converted voice, and repeatedly or emphasizes the text displayed with the memorization symbol (550).

나아가,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암기학습을 위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설정정보는 음성 재생정보를 포함하고, 음성 재생 단계(550)에서, 음성 재생정보에 따라 음성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음성 재생정보는 해당 문장 또는 단어에 대한 반복 횟수, 재생 시간, 재생 구간, 강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강조 정보는 해당 문장 또는 단어를 재생할 때 음성의 크기를 높이거나, 다른 음성으로 재생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Furthermore,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may receive user setting information for rote learning. At this time,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voice reproduction information, and in the voice reproduction step 550, a voice signal may be reproduced according to the voice reproduction information. The voice reprodu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number of repetitions, reproduction time, reproduction section, emphasis information, etc. of a corresponding sentence or word. The emphasis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for increasing the volume of a voice when reproducing a corresponding sentence or word or reproducing a different voice.

사용자 설정정보는 공유자와 학습 노트를 공유하기 위한 학습노트 공유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사용자가 작성한 학습노트를 사용자가 설정한 공유자와 공유할 수 있다.The user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learning note sharer information for sharing the learning note with the sharer. In this case,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may share the user-created study note with a sharer set by the user.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사용자 또는 공유자가 작성한 학습노트를 편집하기 위한 툴을 제공하고, 편집된 학습노트를 등록하여 이를 암기학습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provides a tool for editing study notes written by users or sharers, registers the edited study notes, and can use them for rote learning.

나아가,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의 문장 또는 단어를 이용하여 단어장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단어장으로 생성된 문장 또는 단어들은 빈 칸으로 표시하고 빈 칸을 포함하는 문제에 대해 사용자 입력에 따라 빈 칸을 채우는 테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단어장으로 생성된 문장 또는 단어들을 재생할 때 해당하는 문장 또는 단어를 대상으로 빈 칸 테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apparatus 1 may generate and provide a wordbook using sentences or words of text in which memorized symbols are displayed. Furthermore,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apparatus 1 may display sentences or words generated by the wordbook as blank spaces and provide a test for filling in blank spaces according to user input for problems including blank spaces. In this case, when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apparatus 1 reproduces the sentences or words generated by the wordbook, a blank test may be provided for the corresponding sentence or wor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노트 등록 및 사용자 설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learning note registration and user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사용자가 암기하고자 하는 학습노트를 획득하는데, 획득된 학습노트가 종이 학습노트인지 판단(600)하여, 종이 학습노트이면 이를 스캔 또는 캡처하여 업로드 한다(602). 이에 비해, 종이 학습노트가 아니면, 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학습노트로 판단한다(604).Referring to FIGS. 3 and 6 , the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device 1 acquires a learning note that the user wants to memorize, determines whether the obtained learning note is a paper learning note (600), and scans it if it is a paper learning note. Or capture and upload (602). On the other hand, if it is not a paper learning note, it is determined as a learning note directly created by the user through a document writing program (604).

이어서,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스캔 또는 캡처된 학습노트 또는 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통해 작성된 학습노트를 대상으로 문장 및 단어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인식(606)하고, 인식된 텍스트 내 문장 및 단어의 텍스트 내용과 위치정보(607)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또한, 학습노트에서 암기를 위한 암기 기호를 인식(608) 하고, 인식된 암기 기호의 종류 및 위치정보(609)를 추출하여 저장한다.Subsequently,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recognizes text including sentences and words from the scanned or captured learning notes or the learning notes created through the document writing program (606), and recognizes sentences and words in the recognized text. The text contents and location information 607 of are extracted and stored. In addition, a memorization symbol for memorization is recognized in the learning note (608), and type and location information (609) of the recognized memorization symbol are extracted and stored.

이어서,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문장 및 단어의 위치정보와 암기 기호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 내 문장 및 단어를 추출한다(610).Subsequently,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apparatus 1 extracts sentences and words from the text in which the memorized symbols are displayed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sentences and words and location information of memorized symbols (610).

이어서,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1)는 암기학습을 위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입력 받는다(612). 예를 들어, 음성 재생정보를 설정하고, 공유자와 학습 노트를 공유하기 위한 학습노트 공유자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Next,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1 receives user setting information for rote learning (612). For example, voice reproduction information may be set, and study note sharer information for sharing the study note with the sharer may be set.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mainly by its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 descrip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사용자가 암기하고자 하는 학습노트를 획득하여 등록하는 학습노트 등록부;
등록된 학습노트로부터 텍스트 및 암기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암기 기호를 포함한 시각정보를 인식하는 텍스트 인식부;
인식된 텍스트를 추출하는 텍스트 추출부;
추출된 텍스트 전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텍스트 음성 변환부; 및
변환된 음성을 재생하되,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는 반복 또는 강조 재생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
a learning note registration unit that obtains and registers learning notes that the user wants to memorize;
a text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visual information including text and memorization symbols set by a user for memorization from registered learning notes;
a text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recognized text;
a text-to-speech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he entire extracted text into a voice signal; and
an output unit for reproducing the converted voice and repeating or emphasizing the text displayed with memorized symbols;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암기 기호는
밑줄, 네모, 동그라미, 중요표시, 형광색, 볼드체, 사체, 서체 바꿈, 글자색 중 적어도 하나가 텍스트에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morized symbol is
A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underline, square, circle, important mark, fluorescent color, boldface, dead body, font change, and text color is displayed in the text.
제 1 항에 있어서, 학습노트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통해 직접 작성하여 입력한 문서이거나, 기존의 문서를 스캔 또는 캡처하여 업로드 한 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arning notes
A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ocument is a document that a user directly creates and inputs through a document creation program of a user terminal, or a document that is uploaded by scanning or capturing an existing document.
제 1 항에 있어서, 텍스트 추출부는
학습노트의 텍스트 내에서 인식된 문장 및 단어의 위치정보를 추출한 후, 해당 문장 및 단어의 텍스트 내용과 텍스트 내 문장 및 단어의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학습노트에서 인식된 암기 기호의 위치정보를 추출한 후 암기 기호의 위치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며,
문장 및 단어의 위치정보와 암기 기호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 내 문장 및 단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ext extraction unit
After extract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sentences and words recognized within the text of the learning note, the text content of the sentences and words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sentences and words in the text are match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After extra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emorized symbol recognized from the learning not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emorized symbol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extracting sentences and words from a text in which memorized symbols are displayed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sentences and words and location information of memorized symbols.
제 1 항에 있어서,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는
암기학습을 위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설정정보는 재생 반복횟수 및 강조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재생정보를 포함하고,
출력부는
음성 재생정보에 따라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user setting information for rote learning; Including more,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voice reprodu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reproduction repetitions and emphasis information,
the output part
A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reproduces a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voice reproduction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는
암기학습을 위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설정정보는 공유자와 학습 노트를 공유하기 위한 학습노트 공유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user setting information for rote learning; Including more,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learning note sharer information for sharing the study note with the sharer.
제 1 항에 있어서,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는
사용자가 작성한 학습노트를 사용자가 설정한 공유자와 공유하는 학습노트 공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a learning note sharing unit that shares the learning notes created by the user with a sharer set by the user;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는
사용자 또는 공유자가 작성한 학습노트를 편집하기 위한 툴을 제공하고 편집된 학습노트를 학습노트 등록부에 제공하는 학습노트 편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a study note editing unit that provides a tool for editing study notes created by users or sharers and provides the edited study notes to a study note register;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는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의 문장 또는 단어를 이용하여 단어장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어장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a wordbook providing unit that generates and provides a wordbook using sentences or words of text marked with memorized symbols;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9 항에 있어서,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는
단어장 제공부에 의해 생성된 문장 또는 단어들은 빈 칸으로 표시하고 빈 칸을 포함하는 문제에 대해 사용자 입력에 따라 빈 칸을 채우는 테스트를 제공하는 테스트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a test providing unit that displays sentences or words generated by the wordbook providing unit as blank spaces and provides a test for filling in blank spaces according to user input for problems including blank spaces;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0 항에 있어서, 테스트 제공부는
출력부를 통해 단어장 제공부에 의해 생성된 문장 또는 단어들을 재생할 때 해당하는 문장 또는 단어를 대상으로 빈 칸 테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 암기학습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est providing unit
A self-directed rote lear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entences or words generated by the vocabulary providing unit are reproduced through the output unit, a blank test is provided for the corresponding sentence or word.
사용자가 암기하고자 하는 학습노트를 획득하여 등록하는 단계;
등록된 학습노트로부터 텍스트 및 암기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암기 기호를 포함한 시각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텍스트 전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음성을 재생하되, 암기 기호가 표시된 텍스트는 반복 또는 강조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 암기학습 방법.
Acquiring and registering study notes that the user wants to memorize;
Recognizing visual information including text and memorization symbols set by a user for memorization from registered learning notes;
extracting the recognized text;
converting the entire extracted text into a voice signal; and
Reproducing the converted voice, but repeating or emphasizing the text marked with memorized symbols;
Self-directed rote learning method comprising a.
KR1020220014307A 2022-02-03 2022-02-03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2023011794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307A KR20230117943A (en) 2022-02-03 2022-02-03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PCT/KR2023/000536 WO2023149678A1 (en) 2022-02-03 2023-01-12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307A KR20230117943A (en) 2022-02-03 2022-02-03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943A true KR20230117943A (en) 2023-08-10

Family

ID=87552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307A KR20230117943A (en) 2022-02-03 2022-02-03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7943A (en)
WO (1) WO2023149678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9760B2 (en) * 2013-08-28 2017-12-20 シャープ株式会社 Text-to-speech device
JP6593303B2 (en) * 2016-10-31 2019-10-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Problem creating apparatus, problem creat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886131B1 (en) * 2017-02-01 2018-08-0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reating a vocabulary for foreign language word learning
KR20180094637A (en) * 2017-02-16 2018-08-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review through handwriting note and voice note
KR20200062004A (en)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코이노 Apparatus for aiding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9678A1 (en)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seph et al. Mobile devices for language learning: Multimedia approaches
Freitas et al. Speech technologies for blind and low vision persons
US5875427A (en) Voice-generating/document making apparatus voice-generating/document mak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toring therein a program having a computer execute voice-generating/document making sequence
WO2018187234A1 (en) Hands-free annotations of audio text
CN105005431A (en) Dictation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and related devices
Quiniou et al. Hamex-a handwritten and audio dataset of mathematical expressions
US100898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CN112053595B (en) Computer-implemented training system
KR101130276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preting sign language
KR20190055509A (en) Voice recognition device
KR102534275B1 (en) Teminal for learning language,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language using the same
KR100852970B1 (e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using image division mechanism, recording medium and language study book therefor
Abdullah et al. TeBook A mobile holy Quran memorization tool
KR20140062247A (en) Method for producing lecture text data mobile terminal and monbile terminal using the same
Gayathri et al. Sign language recognition for deaf and dumb people using android environment
KR201400879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phonics by using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data and word and sentence and image data
KR20230117943A (en) Self-directed memorization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3930402B2 (en) ONLINE EDU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KR20140106479A (en) Method for producing lecture text data mobile terminal and monbile terminal using the same
BORGES et al. Usability of assistive technology applications by people with low vision
KR201400879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english grammar by using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data and image data.
KR102098377B1 (en) Method for providing foreign language education service learning grammar using puzzle game
Dharamsi et al. Stringing Subtitles in Sign Language
Pillai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Kerala, 2005
KR201401095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by using augmented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