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625A -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625A
KR20230116625A KR1020220025487A KR20220025487A KR20230116625A KR 20230116625 A KR20230116625 A KR 20230116625A KR 1020220025487 A KR1020220025487 A KR 1020220025487A KR 20220025487 A KR20220025487 A KR 20220025487A KR 20230116625 A KR20230116625 A KR 20230116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steam
inner case
compress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4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후
김민지
김재형
장진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126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46338A1/en
Publication of KR20230116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625A/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06F39/00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부가 제1히터와 상기 제1히터보다 전력소모가더 큰 제2히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어느 하나와 압축기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steam includes a first heater and a second heater that consumes more power than the first heater, so that either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nd the compressor can be driven at the same time. It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ing apparatus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여 의류의 탈취 및 건조, 구김제거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deodorizing, drying, and removing wrinkles from clothes by spraying steam on clothe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물에 ?Ъ? 습포로 만든 뒤에 세제의 화학작용과 드럼회전 등의 물리작용을 통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기와, 상기 습포상태의 의류를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건조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In general, clothes handling equipment soaks clothes in water. 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a washing machine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through physical actions such as chemical action of detergent and drum rotation after being made into a wet cloth, and a dryer that dries the wet clothes using hot air and steam.

그러나, 근자에는 건포 상태의 의류를 물에 적시지 않은 상태에서 의류를 쾌적하고 청정하게 유지시키는 의류관리기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의류관리기는 의류가 거치된 상태에서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의류의 냄새를 탈취하고,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살균하는 리프레쉬(refresh) 행정을 수행할 수 있었다.Recently, however, a clothes care machine has appeared that keeps clothes in a dry state in a pleasant and clean state without being wet with water. Such a clothes care machine can supply steam or hot air while the clothes are placed to deodorize the clothes, and perform a refresh process of drying or sterilizing the clothes.

이러한 의류관리기는 상기 의류에 선택적으로 향기까지 더할 수 있었고, 근자에는 세탁기 및 건조기와 더불어 의류처리장치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Such a clothes care machine could selectively add a fragrance to the clothes, and recently occupied an important part in a clothes treatment device together with a washing machine and a dryer.

상기 의류의 리프레쉬 행정을 수행하는 의류관리기는 건포 상태의 의류가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가 필수적이다. Since the clothes care machine that performs the refreshing process of the clothes accommodates clothes in a dry state, a steam supply unit for supplying steam to the clothes is essential.

도1은 스팀공급부가 구비된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a steam supply unit.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7545호를 참조하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이너케이스(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57545, a conventional clothes handling device includes a cabinet 1 forming an exterior and an inner case 2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to hold clothes. do.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이너케이스(2)의 하부에 이너케이스(2)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13)와, 상기 순환덕트(13)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5)와, 상기 열교환기(15)에 고온의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4)가 구동되면 상기 이너케이스(2)로 열풍이 공급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상기 의류는 건조되거나 살균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includes a circulation duct 13 for circulating air of the inner case 2 under the inner case 2, and a heat exchanger 15 provided in the circulation duct 13 to exchange heat with the air. and a compressor 14 supplying a high-temperature refrigerant to the heat exchanger 15. When the compressor 14 is driven, hot air is supplied to the inner case 2 to increa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 and the clothes can be dried or sterilized.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순환덕트(13)의 외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스팀탱크(16)와, 상기 스팀탱크(16)에 수용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17)가 구동되면 상기 이너케이스(2) 내부에 스팀이 공급되어 상기 의류를 탈취하거나 상기 의류의 구김을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includes a steam tank 16 provided outside the circulation duct 13 to store water, and a heater 17 accommodated in the steam tank 16 to heat water and generate steam. can include When the heater 17 is operated, steam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 to deodorize the clothes or remove wrinkles from the clothes.

한편, 상기 이너케이스(2) 내부에 수용된 의류는 건포상태로 거치된다. 따라서, 상기 의류가 효과적으로 리프레쉬(Refresh) 되기위해서는 상기 이너케이스(2) 내부에 상기 의류를 리프레쉬 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수분이 공급되어야 한다.Meanwhile,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inner case 2 are placed in a dry state.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refresh the clothes, a sufficient amount of moisture to refresh the clothes must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 .

따라서, 상기 히터(17)는 상기 이너케이스(2)에 거치된 의류가 충분한 양의 수분을 함습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큰 용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히터(17)는 습포상태인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는 세탁기, 건조기에 적용되는 히터 보다 전격용량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heater 17 may have a relatively large capacity so that the clothes placed on the inner case 2 can absorb a sufficient amount of moisture. For example, the heater 17 may have a larger electric capacity than a heater applied to a washing machine or dryer that supplies steam to wet clothes.

그 결과,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허용전격용량을 초과하지 않기 위해, 상기 히터(17)와 상기 압축기(14)를 동시에 구동할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As a result,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s a fundamental limitation in that the heater 17 and the compressor 14 cannot be driven simultaneously in order not to exceed the allowable electric capacity.

따라서, 상기 히터(17)를 구동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 내부에 스팀을 공급할 때는 상기 이너케이스(2) 내부에 열풍이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스팀 공급을 통해 상기 의류의 함습량을 상승시키고 상기 이너케이스(2) 내부의 온도를 일정수준 상승시킬 수 있지만, 상기 이너케이스(2) 내부의 온도를 탈취, 살균, 건조에 필요한 최소온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when steam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 by driving the heater 17, hot air cannot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 That is, although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lothing may be increased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 may be raised to a certain level through the supply of steam,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 may be reduced to the minimum required for deodorization, sterilization, and drying. There was a problem with not being able to keep it above the temperature.

그 결과, 상기 스팀(2)이 이너케이스(2) 내부에 공급될 때는 상기 의류의 탈취 및 살균 성능을 보장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As a result, when the steam 2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 there is a limit in that deodorizing and sterilizing performance of the clothes cannot be guaranteed.

더욱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해 열풍 보다 충분한 양의 수분 공급이 필요하며, 공급된 수분을 전부 건조해야므로 상기 압축기(17)는 상기 히터(17)의 구동이 완료된 이후에 구동되어야 한다. Moreover, since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requires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supply than hot air to refresh clothes, and all supplied water must be dried, the compressor 17 must be operated after the heater 17 is completely driven. do.

그 결과,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압축기(17)가 구동하기 전까지는 상기 이너케이스(2) 내부의 온도가 상기 최소온도로 유지될 수 없으므로, 리프레쉬 행정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As a result, since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 cannot be maintained at the minimum temperature until the compressor 17 is operated, the effect of the refreshing process does not appear.

따라서, 리프레쉬 행정에서 압축기(17)가 구동되는 후속시점에서만 상기 이너케이스(2) 내부의 온도를 최소온도로 상승하고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행정 자체가 상당히 지연될 수 밖에 없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Therefore, sinc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case 2 can be raised and maintained at the minimum temperature only at a subsequent point in time when the compressor 17 is driven in the refreshing process, the process of refreshing the clothes itself is significantly delayed. there was

또한, 상기 압축기(17)가 구동하는 초기 시점에는 상기 이너케이스(2) 내부에 스팀이 공급될 수 없어 상기 열교환기(15)에 접촉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에 해당한다. 그 결과, 상기 이너케이스(2)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5)를 흐르는 냉매와 충분히 열교환할 수 있는 열량을 확보하지 못하므로 히트펌프 시스템의 성능계수(COP)가 확보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at an initial point in time when the compressor 17 is driven, steam cannot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 so air contacting the heat exchanger 15 is relatively low temperature. As a resul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ner case 2 does not secure enough heat to exchange heat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15, so the coefficient of performance (COP) of the heat pump system cannot be secured. there was also

또한, 전술한 것처럼 상기 히터(6)는 상기 이너케이스(2) 내부에 의류의 함습량을 높이기 위해 대용량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히터(6)가 작동하면 상기 이너케이스(2) 내부 습도는 급격하게 상승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eater 6 is provided in a large capacity to increase the moisture content of clothes inside the inner case 2, when the heater 6 operates, the humidity inside the inner case 2 rapidly increases. rise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실크 또는 캐시미어와 같이 수분에 취약한 의류를 관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clothes handling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manage clothes that are vulnerable to moisture such as silk or cashmere.

한편, 상기 세탁기 또는 상기 건조기 중 의류가 수용된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도 등장하였다. Meanwhil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a steam supply unit for supplying steam to a drum accommodating clothes in the washing machine or the dryer has also appeared.

도2는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스팀공급부가 구비된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FIG. 2 shows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a steam supply unit capable of drying.

한국 등록공보특허 제10-1448632호를 참조하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1)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2)와, 상기 의류수용부(2) 내부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관(5)과, 상기 급수관(5)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상기 의류수용부(2)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48632,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cabinet 1, a clothes accommodating part 2 for accommodating clothes, and a water supply pipe supply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clothes accommodating part 2. (5) and a steam supply unit (4) that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5) to receive water and supply steam to the clothes accommodating unit (2).

상기 스팀공급부(4)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행정이나 건조행정과정에서 상기 스팀공급부(4)를 통해 상기 스팀을 의류수용부(2) 내부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의류수용부(2)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켜 세탁효율 또는 건조효율을 상승시키거나, 상기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거나 살균을 수행할 수 있었다.The steam supply unit 4 may be provided with a heater 6 generating steam by heating water therein.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prays the steam into the clothes accommodating part 2 through the steam supply part 4 during the washing or drying process, thereby rai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lothes accommodating part 2 to wash the laundry. Efficiency or drying efficiency may be increased, wrinkles may be removed from the clothes, or sterilization may be performed.

다만,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와 같은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습포상태인 의류를 처리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상기 의류수용부(2) 내부에 의류관리기와 같이 건포 의류의 함습량을 높이기 위해 다량의 스팀을 발생시킬 필요가 없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device such as the washing machine or dryer is premised on treating wet clothes, a large amount of steam is used inside the clothes container 2 to increase the moisture content of dry clothes like a clothes care machine. do not need to generate

따라서, 도2에 도시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관리기와 같이 대용량의 히터(6)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2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a large-capacity heater 6 like the laundry care machine.

물론, 종래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히터(6)는 상기 히터(6)는 제1히터(61)와 상기 제1히터(61)와 독립적으로 구동가능한 제2히터(62)로 구비되어 스팀공급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Of course,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heater 6 is provided with a first heater 61 and a second heater 62 that can be driven independently of the first heater 61 to reduce the amount of steam supplied. It may be provided to adjust.

그러나, 세탁기와 건조기와 같은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습포 상태의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이나 건조행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의류수용부(2)가 회전할 때나 건조행정 수행시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또는 공기 가열히터를 포함하는 히팅시스템(이하, 열공급부)가 구동할 때는 상기 히터(6)가 작동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such as washing machines and dryers perform a dehydration operation or a drying operation to remove moisture from the wet clothes. Therefore, the heater 6 operates when the clothes container 2 rotates or when a heat pump system including a compressor or a heating system including an air he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eat supply unit) is operated during a drying cycle. There was a fundamental limitation that could not be done.

결과적으로,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에 건포상태의 의류가 투입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의류를 리프레쉬 하기 위해 상기 히터(6)와, 상기 열공급부 또는 모터를 동시에 구동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As a result, there is a fundamental limitation in that the heater 6 and the heat supply unit or motor cannot be simultaneously driven to refresh the clothes even when dry clothes are put into the washer and dryer.

더욱이,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에서 건조행정을 수행할 경우 습포상태의 의류의 최종건조가 목적이기 때문에, 건조행정 중에 히터(6)가 가열되어 스팀을 공급하더라도 열공급부는 구동이 시작되면 완료될 때까지 중단하는 경우는 없다. 그럴 경우, 건조성능이 급감할 뿐만 아니라, 건조행정이 매우 지연되기 때문이다. Furthermore, when the drying cycle is perform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uch as the washing machine and the dryer, since the final drying of wet clothes is the purpose, even if the heater 6 is heated and supplies steam during the drying cycle, the heat supply unit starts to operate. There is no stopping until completion. In this case, not only the drying performance is drastically reduced, but also the drying process is greatly delayed.

따라서,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는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와 압축기를 동시에 구동하는 기술 뿐만 아니라, 압축기의 구동을 시작한 후에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 구동을 위해 압축기의 구동을 중단하는 기술에 관한 가능성이나 암시를 전혀 찾아볼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Therefore, the washing machine and dryer do not have any possibility or suggestion about a technology of simultaneously driving a heater and a compressor that generates steam, as well as a technology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a compressor to drive a heater that generates steam after 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There was a limit that could not be found.

결과적으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관리기에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와, 열풍을 생성하는 압축기가 동시에 구동하는 기술이나, 상기 히터가 듀얼히터로 구비되었을 때 이를 건포상태의 의류를 처리하는 의류관리기에서 어떻게 제어하고 적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기술적 내용을 제공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As a result, the conventional clothes handling apparatus is a technology in which a heater generating steam and a compressor generating hot air are simultaneously driven in a clothes care machine, or when the heater is provided as a dual heater, it is used in a clothes care machine that processes clothes in a dry state. There was a limitation in not being able to provide technical details on how to control and apply it.

본 발명은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와 냉매를 가열하는 압축기를 동시에 구동하는 구간을 배치하여 건조성능과 건조행정 시간을 감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drying performance and drying cycle time by arranging a section that simultaneously drives a heater that generates steam and a compressor that heats a refrigerant.

본 발명은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를 동시에 구동하는 구간을 상기 의류가 건조되는 구간 전에 배치하여 초기온도 상승을 확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securing an initial temperature increase by arranging a section in which the heater and the compressor are simultaneously driven before the section in which clothes are dried.

본 발명은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를 복수개로 구분하여 배치함으로써 스팀량이나 사용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the amount of steam or the amount of power used by separately arranging a plurality of heaters that generate steam.

본 발명은 수분에 취약한 실크, 캐시미어 등의 의류도 탈취, 구김제거, 건조 등의 리프레쉬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 refresh process such as deodorization, wrinkle removal, and drying of clothes such as silk and cashmere, which are vulnerable to moistur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부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er units that generate steam and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상기 복수의 히터는 히터부에 할당된 최대 히터 전력량을 분배하여 구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heaters may be provided to drive by distributing a maximum heater electric power allocated to the heater unit.

상기 복수의 히터는 제1히터와 제2히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가 동시에 구동하여 물을 가열하며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팀이 생성된 이후에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어느 하나만을 구동하여 상기 스팀을 상기 이너케이스에 공급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eaters may include a first heater and a second heater, and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may simultaneously drive to heat water and generate steam. However, after the steam is generated, the steam may be supplied to the inner case by driving only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허용전력은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및 상기 압축기가 동시에 구동할 때 필요한 전력 보다는 작고,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축기가 동시에 구동할 때 필요한 전력 보다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The allowable powe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s less than the power required when the first heater, the second heater, and the compressor are simultaneously driven, and when either one of the first heater, the second heater, and the compressor are simultaneously driven. It can be set larger than the required power.

상기 예열단계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축기가 동시에 구동하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heating step may include a section in which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nd the compressor are simultaneously driven.

상기 예열단계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축기를 동시에 구동하는 제1구간과, 상기 압축기만 구동하는 제2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heating step may include a first section in which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nd the compressor are simultaneously driven, and a second section in which only the compressor is driven.

상기 제2히터는 상기 제1히터 보다 더 많은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예열단계는 상기 제2히터를 구동하고 상기 제1히터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heater may be provided to generate more steam than the first heater, and the preheating step may be provided to drive the second heater and stop driving the first heater.

상기 예열단계에서 상기 제2히터는 구동과 중단을 반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In the preheating step, the second heater may be controlled to repeat driving and stopping.

상기 예열단계에서 제2히터가 구동되는 시간은 중단되는 시간 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In the preheating step, the driving time of the second heater may be set longer than the stopping time.

상기 예열단계에서 상기 압축기에서 냉매의 토출압력, 상기 냉매의 온도,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 중 어느 하나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2히터는 구동을 중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In the preheating step, if any one of a discharg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a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and a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the second heater may be controlled to stop driving.

상기 제2히터는 상기 제1히터 보다 더 많은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예열단계는 상기 제1히터를 구동하고 상기 제2히터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heater may be provided to generate more steam than the first heater, and the preheating step may be provided to drive the first heater and stop driving the second heater.

상기 예열단계에서 상기 제1히터가 구동되는 시간은 상기 제1히터가 OFF 되는 시간 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In the preheating step, the driving time of the first heater may be set longer than the turning off time of the first heater.

스팀을 생성하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를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스팀을 상기 이너케이스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team may be supplied to the inner case by simultaneously driving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generating steam.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를 동시에 구동할 때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Driving of the compressor may be stopped when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re simultaneously driven.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를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1히터 및 상기 제2히터의 구동이 설정시간 동안 중단될 수 있다. Driving of the compressor,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may be stopped for a set time by simultaneously driving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고, 설정시간 중단된 이후에는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되 상기 압축기의 구동은 중단할 수 있다. A blowing fan for supplying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may be further included inside the inner case, and after a set time is stopped, the blowing fan may be driven but driving of the compressor may be stopped.

상기 의류에 압축기를 구동하여 열풍을 공급할 경우에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의 구동이 중단될 수 있다. When hot air is supplied to the clothes by driving a compressor, the driving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may be stopped.

한편, 의류가 취약의류일 때는 스팀을 공급할 때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어느 하나만 구동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lothes are fragile clothes, only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may be driven when steam is supplied.

상기 이너케이스에 수용된 의류가 수분 또는 고온에 변형될 수 있는 취약정보를 입력받는 의류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취약정보가 입력되면 히터와 압축기를 동시에 구동하는 구간을 생략할 수 있다. A clothing setting unit for receiving vulnerability information that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inner case may be deformed by moisture or high temperature may be further included, and when the vulnerability information is input, a section in which the heater and the compressor are simultaneously driven may be omitted.

상기 취약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어느 하나만 구동할 수 있다. When the vulnerability information is input, in the spraying step, only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may be driven.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취약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의류의 건조 이후 상기 송풍팬은 구동하고 상기 압축기의 구동은 중단할 수 있다. A blowing fan may be included inside the inner case to supply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and when the vulnerability information is input, the blowing fan may be driven after the clothes are dried, and driving of the compressor may be stopped.

상기 취약정보는 상기 의류가 캐시미어 소재를 적어도 일부포함하는 캐시미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캐시미어 정보가 입력되면 스팀을 공급할 때 상기 제2히터를 구동할 수 있다. The vulnerability information includes cashmere information that the clothing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cashmere material, and when the cashmere information is input, the second heater can be driven when steam is supplied.

상기 제2히터는 상기 제1히터 보다 더 많은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취약정보는 상기 의류가 실크소재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실크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실크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히터를 구동할 수 있다. The second heater is provided to generate more steam than the first heater, the vulnerability information includes silk information in which the clothing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silk material, and when the silk information is input, the first heater can drive

상기 제2히터는 상기 제1히터 보다 더 많은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취약정보는 상기 의류가 실크소재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실크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실크정보가 입력되면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The second heater is provided to generate more steam than the first heater, the vulnerability information includes silk information that the clothing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silk material, and steam can be injected when the silk information is input. there is.

본 발명은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며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terilization may be performed while the first heater and the compressor are driven.

살균을 수행할 경우에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압축기가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sterilization, the first heater and the compressor may be simultaneously driven.

상기 살균을 수행할 때는 상기 제1히터는 구동과 정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할수 있다. When performing the sterilization, the first heater may be controlled to repeat operation and stop.

상기 살균을 수행할 때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목표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제1히터의 구동을 중단하고,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살균온도 이하로 하강하면 상기 제1히터를 구동할 수 있다. When performing the sterilization, the operation of the first heater may be stoppe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rises above the target temperature, and the first heater may be driven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falls below the sterilization temperature. there is.

본 발명은 의류를 처리하는 코스의 수행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urther shortening the execution time of the course of treating clothes.

본 발명은 의류가 열과 수분에 영향을 받는 시간도 감소하여 의류의 내구성도 더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urther guaranteeing the durability of the clothes by reducing the time when the clothes are affected by heat and moisture.

본 발명은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와 냉매를 가열하는 압축기를 동시에 구동하는 구간을 배치하여 건조성능과 건조행정 시간을 감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drying performance and drying cycle time by arranging a section in which a heater for generating steam and a compressor for heating refrigerant are simultaneously driven.

본 발명은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를 동시에 구동하는 구간을 상기 의류가 건조되는 구간 전에 배치하여 초기온도 상승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ecuring an initial temperature increase by arranging a section in which the heater and the compressor are simultaneously driven before the section in which the clothes are dried.

본 발명은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를 복수개로 구분하여 배치함으로써 스팀량이나 사용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steam or the amount of power us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heaters for generating steam.

본 발명은 수분에 취약한 실크, 캐시미어 등의 의류도 탈취, 구김제거, 건조 등의 리프레쉬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a refreshing process such as deodorization, wrinkle removal, and drying even for clothes such as silk and cashmere, which are vulnerable to moisture.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종래 다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ㄷ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덕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덕트의 형상을 설명한다.
도8은 상기 순환덕트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저수부의 구조를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10는 상기 순환덕트를 높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S-S')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상기 저수부와 관련된 경사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상기 저수부와 잔수처리부와의 구조를 도시한 것 이다.
도13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잔수처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워터커버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5은 상기 워터커버가 순환덕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6은 워터커버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에 구비된 제어부 설치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공기배출부(323)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0은 외기덕트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1는 상기 순환덕트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22은 스팀공급부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3는 상기 스팀공급부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4는 상기 스팀케이스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25은 상기 히터부가 설치된 스팀공급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26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표준코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27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28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살균코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29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수분 또는 온도에 취약한 의류를 처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0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수분 또는 온도에 취약한 의류를 처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2 shows another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igure 3 shows the appearanc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structure of the machine room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the machine room base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the circulation duct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explains the shape of the circulation duc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irculation duct.
Fig. 9 is a detailed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water reservoi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a cross-sectional view (S-S') of the circulation duct cut in the height direction.
11 shows an inclined structure associated with the water reservoir.
12 shows the structure of the water storage unit and the residual water treatment unit.
13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residual water treatment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shows an embodiment of a water cover.
15 shows a state in which the water cover is installed in the circulation duct.
16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water cover.
17 shows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provided on the bas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shows the structure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shows the structure of the base cove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20 shows the structure of the outside air duct.
21 shows the flow of air flowing through the circulation duct.
Figure 22 shows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team supply unit
23 show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steam supply unit.
24 shows the inside of the steam case.
25 shows a steam supply unit in which the heater unit is installed.
26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 a standard course.
Fig. 27 shows the effec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28 shows a process of performing a sterilization course betwee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the present inventio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29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reats clothes vulnerable to moisture or temperature.
30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reats clothes vulnerable to moisture or temperat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Singular expressions used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Fig. 3 shows the appearance of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binet 100 forming an exterior and a door 400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100.

상기 도어(400)는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본체바디(410)와, 상기 본체바디(4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바디(4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oor 400 includes a body body 410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0, and an installation body in which a display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body 410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can be installed. (420).

상기 설치바디(420)는 상기 본체바디(410)에서 상기 캐비닛(100)의 후방을 향하여 단차(430)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installation body 420 may be provided to form a step 430 from the main body 410 toward the rear of the cabinet 100 .

한편, 상기 설치바디(4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바디(410)의 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차(430)는 핸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tallation body 420 may be overlapp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410 . Thus, the step 430 may serve as a handle.

상기 설치바디(420)는 상기 본체바디(410)와 다른 재질 또는 다른 색깔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바디(420)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발광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반투명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The installation body 420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in body 410 or a different color.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body 420 may be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can pass.

도3(b)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20)을 구비하는 이너케이스(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전방에 의류가 출입하는 개구부(2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210)는 상기 도어(4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 an inner case 200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220 accommodating clothes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0 . The inner case 200 may have an opening 210 through which clothes enter and exit the front, and the opening 210 may be shielded by the door 400 .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플라스틱 수지 계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온의 공기 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이하, 열풍)과 스팀 또는 수분에도 변형되지 않는 강화플라스틱 수지계열로 구비될 수 있다. The inner case 200 may be provided with a plastic resin series, and may be provided with a reinforced plastic resin series that is not deformed by air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air or heated air (hereinafter, hot air), steam, or moisture. .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높이가 너비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가 접히거나 구겨지지 않는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220)에 수용될 수 있다. The inner case 200 may have a height longer than a width. As a result, the clothing can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20 without being folded or wrinkled.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수용공간(220)에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lding part 500 capable of holding clothes in the accommodating space 220 of the inner case 200 .

상기 거치부(5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ing part 500 may include a hanger part 51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to hold clothes.

상기 행어부(510)에 상기 의류가 거치되면 상기 의류는 수용공간(220) 내부에서 공중에 부유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clothes are placed on the hanger part 510 , the clothes may be placed in a floating state in the air inside the accommodating space 220 .

한편, 상기 거치부(500)는 도어(400)의 내면에 결합되어 의류를 고정할 수 있는 가압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holding part 500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part 520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400 to fix clothes.

상기 행어부(51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바 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어부(510)는 옷걸이 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가 직접 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hanger part 510 may be provided in a bar shape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case 200 to support a hanger on which clothes are placed. Also, as shown, the hanger part 510 may be provided in a hanger shape so that clothes can be directly mounted thereon.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행어부(510)를 진동시켜 의류에 부착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떼어낼 수 있는 가진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unit capabl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ttached to clothes by vibrating the hanger unit 510 .

상기 거치부(500)는 상기 도어(400)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는 가압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520)는 상기 도어(400)의 내면에 고정되어 의류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522)와, 상기 지지부(522)에 지지된 의류를 가압하는 압박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ing part 500 may include a pressing part 520 provided on the door 400 to pressurize and fix the clothes. The pressing part 520 may include a support part 522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400 to support one side of clothes, and a pressing part 521 to press the clothe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522. there is.

상기 압박부(521)는 상기 지지부(522)를 향하여 이동하거나 상기 지지부(522)에서 멀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압박부(521)는 상기 지지부(522) 또는 상기 도어(400)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compression part 521 may move toward the support part 522 or be provided to move away from the support part 522 . For example, the pressing part 521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522 or the door 400 .

이로써, 상기 압박부(521)와 상기 지지부(522)는 상기 의류의 양면을 가압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고 의도한 주름(crease)를 생성할 수도 있다. Thus, the pressing part 521 and the support part 522 press both sides of the clothing to remove wrinkles from the clothing and create intended creases.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용공간(220)에 열풍 또는 스팀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거나, 상기 캐비닛(100)의 외부공기를 정화하거나 제습할 수 있는 각종 장치들이 설치되는 기계실(300)을 구비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chine room 300 in which various devices capable of supplying at least one of hot air or steam to the accommodating space 220 or purifying or dehumidifying external air of the cabinet 100 are installed. can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분리 또는 구획되어 배치되되,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machine room 300 may be arranged to be separated from or partitioned from the inner case 200 and communicated with the inner case 200 .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비중이 작은 열풍과 스팀이 상기 이너케이스(200)로 공급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열풍과 스팀이 의류에 공급될 수 있다. The machine room 300 may be disposed under the inner case 200 . Accordingly, when hot air and steam having a small specific gravity are supplied to the inner case 200, the hot air and steam can be naturally supplied to clothes.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열공급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340)는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공기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가열하는 히터로 구비될 수도 있다. The machine room 300 may include a heat supply unit 340 capable of supplying hot air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 The heat supply unit 340 may be provided as a heat pump system or as a heater that directly heats air with electric energy.

상기 열공급부(340)가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에서 배출된 공기를 다시 제습 및 가열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When the heat supply unit 340 is provided as a heat pump system, it may be provided to dehumidify and he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ner case 200 again and supply it to the inner case 200 . A detail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steam)을 공급할 수 있는 스팀공급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직접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The machine room 300 may include a steam supply unit 800 capable of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 The steam supply unit 800 may be provided to directly supply steam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 A detail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이를 위해,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기계실(300)과 연통하는 복수의 관통홀(230)을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inner case 200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30 passing through one surfa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machine room 300 .

상기 관통홀(230)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220)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300)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기계실(300)에서 생성된 열풍 또는 스팀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수용공간(200)으로 공급될 수 있다.Air in the accommodating space 220 may be supplied to the machine room 300 through the through hole 230, and at least one of hot air or steam generated in the machine room 300 is directed to the accommodating space 200. can be supplied.

상기 관통홀(23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300)로 배출 또는 흡입되는 유입홀(231)고,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기계실(300)에서 생성된 열풍이 토출되는 배출홀(2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rough hole 230 is an inlet hole 231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is discharged or sucked into the machine room 300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and the inner case ( 200) may include a discharge hole 232 through which the hot air generated in the machine room 300 is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surface.

상기 배출홀(23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 중 배면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배출홀(23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 또는 배면 사이에 지면과 경사지게 배치되어 행어부(51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discharge hole 232 may b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 For example, the discharge hole 232 may be disposed at an angle to the ground between the lower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so as to face the hanger unit 510 .

또한, 상기 유입홀(231)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 중 전방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입홀(231)은 상기 배출홀(232)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lso, the inflow hole 231 may be disposed biased toward the fro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00 . Thus, the inlet hole 23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hole 232 .

상기 관통홀(230)은 상기 스팀공급부(800)에서 생성된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홀(2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홀(233)은 상기 배출홀(23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through hole 230 may include a steam hole 233 through which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supply unit 800 is supplied. The steam hole 233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hole 232 .

한편,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에는 상기 스팀공급부(8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통(30)과, 상기 열공급부(340)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수집되는 배수통(40)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in front of the machine room 300, a water supply container 30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supply unit 800 and a drain container 40 for collecting condensed water condensed in the heat supply unit 340 may be provided. can

상기 급수통(30)과 상기 배수통(40)은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에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급수원 또는 배수원과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container 30 and the drain container 40 may be detachably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achine room 300 . Accordingly,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installed regardless of a water supply or drainage source.

한편,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인출입되며 별도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드로워(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50)는 스팀발생장치 또는 다리미가 보관될 수도 있다. Meanwhile, a drawer 50 drawn in and out in front of the machine room 300 and having a separate accommodation space may be further provided. The drawer 50 may store a steam generating device or an iron.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the structure of the machine room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a)는 상기 기계실(300)을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며, 도4(b)는 상기 기계실(300)을 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4(a) is a view of the machine room 300 from the front, and FIG. 4(b) is a view of the machine room 300 from the rear.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는 의류처리공간에 열풍을 공급하거나, 의류처리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하거나, 의류처리공간에 스팀을 공급하거나, 캐비닛 외부의 공기를 청정하기 위한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Components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laundry treatment space, circulating air inside the laundry treatment space, supplying steam to the laundry treatment space, or purifying air outside the cabinet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chine room 300 .

상기 기계실(300)는 각종 장치들을 지지하거나 설치되는 공간을 배치하는 베이스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각종 장치들이 설치되는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The machine room 300 may include a base part 310 for arranging a space in which various devices are supported or installed. The base part 310 may provide an area where various devices are installed.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또는 상기 캐비닛(100)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순환덕트(320)가 설치될 수 있다. A circulation duct 320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200 or the cabinet 100 moves may be installed in the base part 310 .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내부에 상기 열공급부(340) 중 일부의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duct 320 may be provided in a case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some components of the heat supply unit 340 may be installed therein.

상기 열공급부(340)가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후술하는 열교환기(341,342)와 상기 열교환기에 고온 고압의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342)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heat supply unit 340 is provided as a heat pump system, it may include heat exchangers 341 and 342 described below inside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a compressor 342 supplying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to the heat exchanger. .

상기 열교환기(341,342)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순환덕트(320)를 흐르는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할수도 있고, 상기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할 수도 있다.The heat exchangers 341 and 342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circulation duct 320 to cool and dehumidify the air flowing through the circulation duct 320 or to heat the air to generate hot air.

상기 순환덕트(320)가 캐비닛(100) 외부에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전방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외기덕트(370)가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circulation duct 320 is provided to suck air from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0, an outside air duct 370 to suck outside air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circulation duct 320.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외기덕트(370)와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duct 320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ir duct 370 and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suck in external air.

상기 순환덕트(320)의 전면에는 상기 급수통과 배수통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급수통(30)과 배수통(40)은 상기 외기덕트(370)의 상부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the drainage containe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 and the drainage container 40 may be seated and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outdoor air duct 370 .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베이스부(310)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베이스부(31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베이스부(310)와 상기 순환덕트(320)가 사출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be provided by being coupled to the base part 310, but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ase part 310. For example, the base part 310 and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상기 기계실(300)는 상기 순환덕트(320)와 상기 유입홀(231)을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커버(3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chine room 300 may include a base cover 360 provided to communicate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the inflow hole 231 .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홀(231)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base cover 360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irculation duct 320 to guide air sucked through the inflow hole 231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을 차폐하여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의 하부와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유로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base cover 360 may block the air inside the circulation duct 320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shie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 A lower portion of the base cover 360 and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form one surface of the flow path of the circulation duct 320 .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홀(231)과 상기 순환덕트(320)를 연결하는 유입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362)는 덕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순환덕트(320)에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를 전달하는 흡기덕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base cover 360 may include an inlet 362 connecting the inlet hole 231 and the circulation duct 320 . The inlet 362 is provided in a duct shape and may serve as an intake duct that transfers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to the circulation duct 320 .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급수통(3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여 이너케이스(200)에 공급하는 스팀공급부(8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의 상부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machine room 30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30 to receive water, generate steam, and supply steam to the inner case 200 . The steam supply unit 800 may be seated and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cover 360 .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유입부(36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team supply unit 800 may be disposed behind the inlet unit 362 .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순환덕트(320)와 상기 이너케이스(200)을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팬설치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설치부(350)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의 공기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송풍팬(353)과, 상기 송풍팬(353)을 수용하며 상기 순환덕트(320)에 결합되거나 연장되는 팬하우징(351)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chine room 300 may include a fan installation part 350 provided to communicate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the inner case 200 . The fan installation part 350 accommodates a blowing fan 353 that provides power to move the air inside the circulation duct 320 in one direction, and accommodates the blowing fan 353 and is coupled to the circulation duct 320. It may include a fan housing 351 that is or extends.

상기 팬설치부(350)는 상기 순환덕트(320)와 상기 배출홀(232)를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배출덕트(352)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an installation unit 350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duct 352 provided to communicate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the discharge hole 232 .

상기 배출덕트(352)는 상기 팬하우징(351)에서 단면이 상기 배출홀(232)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상기 배출홀(232)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discharge duct 352 may be provided extending toward the discharge hole 232 with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hole 232 in the fan housing 351 .

그 결과,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베이스커버(360)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순환덕트(320)를 통과한 다음 상기 팬설치부(350)를 통해 다시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is introduced through the base cover 360, passes through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then returns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through the fan installation part 350. can be supplied.

한편,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열교환기(341,343)에 냉매를 공급하는 상기 압축기(342)가 설치되는 압축기 설치부(3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설치부(313)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ase part 310 may include a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313 in which the compressor 342 for supplying refrigerant to the heat exchangers 341 and 343 is installed.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313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irculation duct 320 .

또한, 상기 베이스부(310)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또는 컨트롤패널(700)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ontroller or control panel 700 for controlling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base part 310 .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하부에서 상기 제어부(7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어부설치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The base part 310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installation part 312 forming a space into which the control part 700 can be inserted at the bottom of the circulation duct 320 .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압축기(342), 상기 스팀공급부(800), 상기 송풍팬(353) 등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모든 구성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700 may be provided to control all components that are electronically controlled, such as the compressor 342, the steam supply unit 800, and the blowing fan 353.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베이스부(310)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상기 제어부(700)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가 모든 전자구성과 가깝게 배치되므로 노이즈 등의 제어오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Since the control unit 700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base unit 310, vibration or shock applied to the control unit 700 can be buffered.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ler 700 is disposed close to all electronic components, occurrence of control errors such as noise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에 스팀공급부가 배치되며, 순환덕트(320)의 하부에는 제어부(700)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덕트(320)가 상기 스팀공급부(800)과 상기 제어부(700) 사이에서 직선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덕트(3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team supply unit is disposed above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a control unit 700 is disposed below the circulation duct 320. Accordingly,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be provided in a straight duct shape between the steam supply unit 800 and the control unit 700 . Accordingly, flow resistance of air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duct 320 can be minimized.

상기 베이스부(310)에 상기 순환덕트(320), 상기 외기덕트(370), 스팀공급부(800), 제어부(700), 열공급부(340)가 모듈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duct 320, the outside air duct 370, the steam supply unit 800, the control unit 700, and the heat supply unit 34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modules in the base unit 310.

이로써, 상기 베이스부(310)가 상기 기계실(300)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인출입 되면서 용이하게 설치 및 유지보수될 수 있다. Thus, the base part 310 can be easily installed and maintained while being drawn in and out of the machine room 300 forward or backward.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 5 shows the machine room base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a)는 상기 베이스부(310)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5(b)와 도5(c)는 상기 베이스부9310)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part 310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S. 5(b) and 5(c)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base part 9310 viewed from the rear.

상기 베이스부(310)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가 그 자체로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base part 310 may be installed on a base plate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base part 310 itself may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상기 베이스부(310)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바닥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바닥부(311)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바닥부(311)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의 바닥면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base part 310 may include a base bottom part 311 forming a support surface. The base bottom part 311 may form a lowe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In addition, the base bottom part 311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100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상기 베이스부(310)는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순환덕트(320)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part 310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circulation duct 320 forming at least a part of a passage through which air moves.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be formed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part 311 of the base.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에서 연장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바디(321)와 상기 덕트바디(321) 내부에 증발기(341) 또는 응축기(343)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열교환기 설치부(3212)과, 상기 덕트바디(321)의 후방에 구비되어 덕트바디(321)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32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irculation duct 320 extends from the base bottom part 311 to provide a duct body 321 forming a flow path and a space in which an evaporator 341 or a condenser 343 is installed inside the duct body 321. It may include a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and an air discharge part 323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uct body 321 to discharge air of the duct body 321.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상기 덕트바디(32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의 직경은 상기 덕트바디(321)의 너비 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 unit 323 may be provided in a pipe shape extending rearward from the duct body 321 . The diameter of the air outlet 323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duct body 321 .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상기 팬하우징(350)과 연결될 수 있다. 공기배출부(323)에서 배출된 공기는 팬하우징(350)을 통해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The air discharge unit 323 may be connected to the fan housing 350 .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unit 323 may be guided into the inner case 200 through the fan housing 350 .

상기 순환덕트(320)는 덕트바디(321)의 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외기흡입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include an outside air suction part 322 form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duct body 321 .

상기 외기흡입부(322)는 상기 외기덕트(370)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기흡입부(322)의 전방에 상기 외기덕트(370)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 outside air suction unit 322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ir duct 370 . The outside air duct 370 may be seated and supported in front of the outside air suction unit 322 .

상기 순환덕트(320)는 외기흡입부(322)를 개폐하는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의 개폐를 통해 외기가 순환덕트(3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be provided with a damper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side air suction unit 322 .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 it is possible to allow or block the introduction of outside air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압축기(342)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축기 설치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베이스바닥부(31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part 310 may include a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312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compressor 342 is installed.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31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bottom part 311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bottom part 311 .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압축기(342)를 지지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베이스부(310)의 후방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 설치부(312)는 공기배출부(323)과 너비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312 may have a protrus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compressor 342 . The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312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part 310 . The compressor installation unit 312 may be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압축기(342)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는 완충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돌기에 고정될 수 있다. The compressor installation unit 312 may be provided with a buffer member that reduces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pressor 342 . The buffer member may be fixed to the protrusion.

상기 베이스부(310)는 제어부(700)가 설치되는 제어부 설치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순환덕트(3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순환덕트(320)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는 순환덕트(320)의 하부에서 전방과 후방 중 어느 하나 개방된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base part 310 may include a control unit installation part 313 in which the control unit 700 is installed.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be formed between the base bottom unit 311 and the circulation duct 320. The controller installation part 313 may be formed between the base bottom part 31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duct open to either the front or the rear at the bottom of the circulation duct 320 .

상기 제어부설치부(313)의 구조는 후술한다 .The structure of the controller installation unit 313 will be described later.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덕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 6 shows the circulation duct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순환덕트(320)는 베이스바닥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증발기(341)와 응축기(342)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열교환기 설치부(3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는 상기 덕트바디(321)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exten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base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include a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2 are installed.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may be provided inside the duct body 321 .

상기 덕트바디(321)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바디(321)의 개구부를 통해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가 투입되어 설치 수 있다. The duct body 321 may be provided with an open upper surface. The condenser 343 and the evaporator 341 may be introduced and install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duct body 321 .

상기 덕트바디(321)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의해 개구부가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커버(360)오 상기 덕트바디(321)는 순환유로(320)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An opening of the duct body 321 may be shielded by the base cover 360 , and the base cover 360 and the duct body 321 may form a flow path of the circulation passage 320 .

상기 덕트바디(321)의 전방면은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front surface of the duct body 32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end of the base bottom part 311 to the rear.

이로써, 상기 베이스바닥부(311)는 상술한 급수통(30) 또는 배수통(40) 및 외기덕트(370)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지지되는 지지면(3111)을 확보할 수 있다.Thus, the base bottom part 311 can secure a support surface 3111 on which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water supply container 30 or drainage container 40 and the outdoor air duct 370 are installed and supported.

한편, 상기 열공급부(340)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덕트(320)에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되는 증발기(341)와, 상기 증발기(3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형성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되는 응축기(343)와, 상기 응축기(343)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를 공급하며 상기 순환덕트(320) 외부에 배치되는 압축기(342)와, 상기 응축기(343)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켜 냉각시키는 팽창밸브(344)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heat supply unit 340 includes an evaporator 341 provided as a heat exchanger installed inside the circulation duct 320 to cool and dehumidif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the evaporator 341. A condenser 343 provided as a heat exchanger that heats the passing air to form hot air, and a compressor 342 disposed outside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supplying a refrigerant that exchanges heat with the air to the condenser 343 , An expansion valve 344 for cooling by expanding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343 may be included.

한편, 상기 덕트바디(32)가 베이스부(310)에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열교환기 설치부(3212)의 높이도 더 많이 확보될 수 있고,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의 높이도 증가될 수 있다. Meanwhile, as the duct body 32 is integrally molded to the base part 310, a higher height of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can be secured, and the heights of the condenser 343 and the evaporator 341 can also be increased. can be increased

그 결과,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의 전후방향의 폭을 축소할 수도 있어, 응축기 및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매배관의 수를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기 및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widths of the condenser 343 and the evaporator 341 in the front-back direction can be reduced, so that the number of refrigerant pipes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flow loss of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한편, 증발기(341) 길이와 응축기(343) 길이의 합은 열교환기 설치부(3212) 의 길이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의 전후방향 길이는 덕트바디(321)의 길이의 절반과 같거나 절반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evaporator 341 and the length of the condenser 343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in the front-rear direction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half of the length of the duct body 321 .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설치부(3212)가 상기 외기흡입부(322)에서 충분히 이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외기와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can be sufficiently spaced from the outside air intake part 322, a sufficient space is provided in the circulation duct 320 to allow the outside air and the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to flow in. can be secured

한편, 상기 덕트바디(321)의 내부는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와 상기 열교환시 설치부(3212) 외부를 구분하는 설치격벽(3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격벽(3211)은 상기 덕트바디(321)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증발기(341)의 전방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side of the duct body 321 may include an installation partition wall 3211 that divides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from the outside of the installation part 3212 during the heat exchange. The installation partition wall 3211 may protrude from a side surface of the duct body 321 and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front side of the evaporator 341 .

또한, 상기 덕트바디(321)는 상기 설치격벽(3211)을 기준으로 너비가 확장되어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uct body 321 may be expanded in width based on the installation partition wall 3211 and extended rearward.

그 결과, 열교환기 설치부(3212)의 너비는 베이스부(310) 너비의 절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순환덕트(320) 너비는 베이스부(310) 너비의 절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width of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may be greater than half of the width of the base part 310 . Also, the width of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be greater than half of the width of the base part 310 .

응축기(343) 너비 및 증발기(341) 너비 또한 베이스부(310) 전체 너비의 절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condenser 343 and the width of the evaporator 341 may also be greater than half of the total width of the base part 310 .

상술한 바와 같이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의 너비가 확보되면, 열교환 용량을 충분이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idths of the condenser 343 and the evaporator 341 are secured, a sufficient heat exchange capacity can be secured.

또한, 팬하우징(350)은 응축기(343) 또는 증발기(341)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341) 및 응축기(343)를 통과한 공기는 유로의 꺾임 없이 팬하우징(35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순환덕트(320)로 유입된 공기는 팬하우징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로의 꺾임이 없어 유동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an housing 350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condenser 343 or the evaporator 341 in the front-back direction. Accordingly,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may flow into the fan housing 350 without bending the flow path. That i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has an effect of minimizing flow loss because there is no bending of the flow path in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fan housing.

도7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덕트의 형상을 설명한다. Fig. 7 explains the shape of the circulation duc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베이스부(310)는 금형사출을 통해 베이스바닥부(310)와 순환유로(320)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In the base part 310, the base bottom part 310 and the circulation passage 320 may be integrally molded through mold injection.

상기 덕트바디(321)의 내부면을 성형하는 금형은 상기 덕트바디(321)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인출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금형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덕트바디(321)의 벽면은 금형의 제거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The mold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body 321 may be removed by being pulled out from the inside of the duct body 321 in an upward direction. At this time, to facilitate the withdrawal of the mold, the wall surface of the duct body 321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emoval direction of the mold.

상기 덕트바디(321)의 하부면(321a)의 너비는 상기 덕트바디(321)의 상부면(321b)의 너비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lower surface 321a of the duct body 321 may be longer than that of the upper surface 321b of the duct body 321 .

구체적으로, 서로 마주보는 덕트바디(321)의 벽면 사이의 거리는 베이스바닥부(311)에서 멀어질수록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순환유로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의 거리는 금형의 인출방향을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형의 제거가 용이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walls of the duct bodies 321 facing each other may in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base bottom part 311 in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circulation passage facing each other may be increased along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mold. Accordingly, removal of the mold may be facilitated.

한편, 상기 공기배출부(323)는 상기 덕트바디(321)의 후방에서 직경 또는 너비가 작아지도록 연장되는 공기연장관(3231)과 ,상기 공기연장관(3231)에서 직경이 균일한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중공(3233)를 형성하는 공기배출관(3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연장관(3231)은 노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discharge unit 323 has an air extension pipe 3231 extending from the rear of the duct body 321 to have a smaller diameter or width, and a pipe shape having a uniform diameter in the air extension pipe 3231, An air discharge pipe 3232 forming a hollow 3233 therein may be included. The air extension tube 3231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 nozzle and can increase the speed of the discharged air.

또한, 상기 공기배출부(323)을 성형하는 금형은 위의 도면과 같이 제거될 수 있다. 공기배출부(323)의 내측에서 순환유로(320)의 내부를 향해 전방으로 인출된 뒤, 순환유로(320)의 상측 개방면을 향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금형의 인출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ld forming the air discharge part 323 can be removed as shown in the above drawing. After being drawn forward from the inside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toward the inside of the circulation passage 320 , it may be removed toward the upper open surface of the circulation passage 320 . In this process, the mold can be formed into a structure that is easy to withdraw.

도8은 상기 순환덕트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irculation duct.

상기 설치격벽(3211)은 덕트바디(321)의 내벽에서 내부로 돌출되거나, 순환덕트의 외벽이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installation partition wall 3211 may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wall of the duct body 321 or may be formed by recessing the outer wall of the circulation duct toward the inside.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는 열교환기 설치 격벽(3211)과 공기배출부(3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2 may be formed between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ition wall 3211 and the air discharge part 323 .

상기 공기배출부(323)을 성형하는 금형은 공기배출부(323)의 전방으로 인출된 뒤 상부로 인출되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을 성형하는 금형이 공기배출부(323) 내부에서 전방으로 인출될 때 열교환기 설치 격벽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공기배출부(323)의 설계 수치를 조정할 수 있다.The mold for forming the air discharge part 323 may be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air discharge part 323 and then removed upward.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mold forming the air discharge part 323 from interfering with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ition wall when being drawn forward from the inside of the air discharge part 323 . To this end, design values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may be adjusted.

구체적으로, 공기배출부(323)을 성형할 때, 상기 도면의 공기배출부(323) 파팅라인(3233)을 기준으로 전방측을 성형하는 금형과, 후방측을 성형하는 금형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형의 제거 방향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공기배출부(323) 파팅라인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되는 부분을 성형하는 금형은 전방으로 인출되고, 공기배출부(323) 파팅라인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되는 부분을 성형하는 금형은 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molding the air discharge unit 323, a mold for forming the front side and a mold for forming the rear side based on the parting line 3233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in the drawing may be provided separately. there is. Accordingly, the removal directions of the molds may als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old for forming the part located in the front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based on the parting line is drawn forward, and the mold for forming the part located at the rear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based on the parting line is drawn backward. It can be.

즉, 전방으로 인출되는 금형이 인출 과정에서 열교환기 설치 격벽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면에서 거리1(323a)은 거리2(321c)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거리1(323a)은 공기배출부(323) 파팅라인과 공기배출부(323) 전단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거리1(323a)은 공기배출부(323) 파팅라인과 순환덕트의 후방개구부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거리2(321c)는 공기배출부(323) 전단과 열교환기 설치 격벽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거리2(323a)는 순환덕트의 후방개구부와 열교환기 설치 격벽(3211)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prevent the mold being drawn forward from interfering with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ition wall during the drawing process, the distance 1 (323a)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2 (321c) in the drawing. Distance 1 (323a) may mean a distance between the parting line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and the front end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Also, distance 1 (323a) may mean a distance between the parting line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and the rear opening of the circulation duct. The distance 2 (321c) may mean a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and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ition. In addition, the distance 2 (323a) may mean a distance between the rear opening of the circulation duct and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ition wall 3211.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저수부의 구조를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Fig. 9 is a detailed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water reservoi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압축기(342)와 상기 송풍팬(352)이 구동하면, 상기 캐비닛(100)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와 상기 이너케이스(200)에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341)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증기는 응축된다.When the compressor 342 and the blowing fan 352 are driven in the laundry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0 and the air supplied from the inner case 200 blow the evaporator 341. It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and the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air is condensed.

상기 증발기(341)에서 응축된 물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하부면에 고일 수 있다. Water condensed in the evaporator 341 may accumulat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증발기(341)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덕트바디(321)의 바닥면 중 일부가 함몰되어 구비되는 저수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storage part 326 in which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uct body 321 is recessed to collect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in the evaporator 341 .

상기 저수부(326)는 상기 덕트바디(321)의 바닥면 중이 함몰되어 구비된 공간이며, 상기 제어부설치부(313)의 일측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The water storage part 326 is a space provided by a depression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duct body 321, and may form one side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part 313.

상기 저수부(326)은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에서 하부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water storage part 326 may be formed by being depressed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

상기 저수부(326)는 상기 순환덕트(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를 상기 베이스부(310)에 사출성형하면서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 일부를 함몰되게 성형하여 상기 저수부(326)을 생성할 수 있다. The water storage part 326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irculation duct 320 . While injection molding the circulation duct 320 into the base portion 310 ,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be recessed to form the water storage portion 326 .

상기 저수부(326)는 상면 중 적어도 일부가 열교환기 설치부(313)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part 326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13 .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저수부(326)에 수집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326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ase part 310 may include a drain pipe 3263 for discharging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storage part 326 to the outside.

상기 배수관(3263)은 상기 저수부(362)의 하부에서 상기 순환덕트(320)의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32634)은 상기 저수부에 저장된 물을 베이스부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저수부(326)에 수집된 물이 부패하거나 다시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drain pipe 3263 may protrude from the lower part of the water storage part 362 to the outsid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may be provided. The drain pipe 32634 may discharg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to the outside of the base uni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reservoir 326 from rotting or flowing back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again.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덕트바디(321)의 내면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상기 격벽(3211)을 구비한다. 상기 격벽(3211)은 순환덕트(320)의 내벽에서 내부로 돌출되거나, 순환덕트(320)의 외벽이 내부로 함몰형성되어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격벽(3211)은 열교환기(341,343)이 설치되는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으며, 열교환기에 진입하는 공기가 열교환기를 우회하여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duct 320 includes the partition wall 3211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body 321 . The barrier rib 3211 may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wall of the circulation duct 320 or may protrude inward as the outer wall of the circulation duct 320 is recessed inward. The barrier rib 3211 may guide positions where the heat exchangers 341 and 343 are installed, and prevent air entering the heat exchanger from passing bypassing the heat exchanger.

상기 격벽(3211)은 상기 저수부(326)에 구비될 수 있다. The barrier rib 3211 may be provided in the water reservoir 326 .

도10는 상기 순환덕트를 높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S-S')를 도시한 것이다. Fig. 10 shows a cross-sectional view (S-S') of the circulation duct cut in the height direction.

상기 저수부(326)는 물이 적체되는 바닥면(3261)과, 상기 바닥면(3261)에서 더 하부로 함몰되어 구비되는 함몰부(3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3263)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외면에서 상기 함몰부(3262)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배수관(3263)은 상기 저수부(326) 중 가장 수위가 낮은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수부(326)에 수집된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배수관(3263)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water reservoir 326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3261 where water accumulates, and a recessed part 3262 recessed further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3261 . The drain pipe 3263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ss 3262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 As a result, the drain pipe 3263 may be disposed at a part where the water level is the lowest among the water reservoir 326 .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reservoir 326 may move to the drain pipe 3263 by its own weight.

도11은 상기 저수부와 관련된 경사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11 shows an inclined structure associated with the water reservoir.

도11(a)는 베이스부의 너비방향에 나란한 수직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11(b)는 베이스부의 전후방향에 나란한 수직단면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11 (a) shows a vertical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Figure 11 (b) shows a vertical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ase portion.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과 저수부(326)의 바닥면은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part 326 may be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slope.

특히, 상기 순환덕트의 바닥면(325)은 상기 저수부(326)를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3261)은 배수관(3263)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bottom surface 325 of the circulation duct may be inclined toward the water storage part 326, and the bottom surface 3261 of the water storage part may be inclined toward the drain pipe 3263.

상기 순환덕트의 바닥면(325)은 지면 또는 베이스부(3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저수부(326)를 향하여 각도1(a) 만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325 of the circulation duct may be inclined toward the water storage part 326 based on the ground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rt 310 by an angle of 1 (a).

또한, 상기 순환덕트의 바닥면(325)은 배수관(3263)을 향하여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의 바닥면(325)은 상기 베이스부(3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각도2(b)만큼 후방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325 of the circulation duct may be provided with a downward slope from rear to front toward the drain pipe 3263. The bottom surface 325 of the circulation duct may be inclin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by an angle 2 (b) ba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rt 310 .

결과적으로, 상기 순환덕트의 바닥면에 응축된 물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저수부(326)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water conden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may move toward the water storage part 326 while moving forward.

한편, 저수부의 바닥면(3261)도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bottom surface 3261 of the water reservoir may also have a predetermined slope.

상기 배수관(3263)은 상기 저수부(326)의 외면이 아니라 내면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The drain pipe 3263 may be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servoir 326 rather than on an outer surface thereof.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3261)은 상기 베이스부(3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순환덕트(320)의 내부를 향하여 낮아지는 경사를 구비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3261 of the water storage part may have a slope lowering toward the insid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ba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rt 310 .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3261)은 상기 베이스부(3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각도3(c) 만큼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3261)은 상기 순환덕트의 바닥면(325)의 경사와 경사방향이 반대일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3261 of the water storage part may be inclined at an angle of 3 (c)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rt 310, and the bottom surface 3261 of the water storage par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The slope of (325) and the direction of the slope may be opposite.

상기 각도3(c)은 상기 격벽(32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각도일 수 있다. The angle 3(c) may be an angle inclined down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rrier rib 3211 .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3261)은 상기 배수관(3263)을 향하여 낮아지는 경사로 구비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3261 of the water reservoir may be provided with a slope lowering toward the drain pipe 3263 .

상기 저수부(3261)의 바닥면은 상기 베이스부(310)를 기준으로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낮아지는 각도4(d) 만큼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part 3261 may be inclined by an angle 4 (d) that is lower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310 .

상술한 각도1 내지 각도4는 베이스부(310)의 성형 과정에서 금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각도1 내지 각도4는 순환덕트(320) 또는 저수부(326)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각도2(b)와 각도4(d)는 같은 방향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Angles 1 to 4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by a mold during the molding process of the base part 310 . Angle 1 to angle 4 may be form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circulation duct 320 or the water storage part 326 . Angle 2(b) and angle 4(d) can form an inclination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저수부(326)를 성형하는 금형은 상부로 인출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 때, 금형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저수부(326)의 측벽들은 테이퍼지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금형의 인출방향에 따라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저수부(326)의 바닥면의 둘레보다 저수부(326)의 상부면의 둘레가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The mold forming the water reservoir 326 may be removed by pulling it upward. At this time, in order to facilitate removal of the mold, sidewalls of the water reservoir 326 may be provided to be tapered. Specifically, i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according to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mold. In other words,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part 326 may be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part 326 .

상기 저수부(326)의 전방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저수부(326)의 후방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저수부(326)의 좌측면 및 우측면은 각각 상측으로 갈수록 좌측 및 우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A front surface of the water reservoir 326 may be inclined forward as it goes upward. The rear surface of the water reservoir 326 may be inclined backward toward the upper sid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ter reservoir 326 may be inclined to the left and to the right as they go upward, respectively.

도12는 상기 저수부와 잔수처리부와의 구조를 도시한 것 이다.12 shows the structure of the water storage unit and the residual water treatment unit.

도12(a)는 상기 저수부의 전후방향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12(b)는 순환덕트(320)의 전방 하부면을 도시한 것이다. Fig. 12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reservoi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Fig. 12 (b) is a front low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상기 저수부(326)는 상기 바닥면(3261)이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325)도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3261 of the water storage part 326 may be dispose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and the bottom surface 325 of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also be dispose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상기 함몰부(3262)에는 상기 필터(3264)가 구비되어 이물질이 상기 배수관(3263)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lter 3264 is provided in the recess 3262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rain pipe 3263 .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저수부(326)에 수집된 물을 상기 배수통(40)으로 수집하는 잔수처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sidual water treatment unit 330 that collects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storage unit 326 into the drain container 40 .

상기 잔수처리부(330)는 상기 저수부(326)에 수집된 물을 배수통(40)으로 배출하는 상기 배수펌프(3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3263)과 상기 배수펌프(331)는 제1배수호스(3351)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배수펌프(331)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제2배수호스(335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The residual water treatment unit 330 may include the drain pump 331 discharging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storage unit 326 to the drain container 40 . The drain pipe 3263 and the drain pump 331 may be connected through a first drain hose 3351,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pump 331 may move along the second drain hose 3352. .

상기 배수관(3263)은 상기 배수펌프(331)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자중에 의해 상기 저수부(326)에 수집된 물은 상기 배수펌프(331)로 수집될 수 있다. The drain pipe 3263 may be disposed above the drain pump 331 . Thus,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reservoir 326 by its own weight may be collected by the drain pump 331 .

도13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잔수처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13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residual water treatment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저수부(326)에 수집된 응축수는 상기 배수통(40)에 수집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응축수를 배수통(40)에 수집하는 잔수처리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Since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reservoir 326 must be collected in the drain container 40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sidual water treatment unit 330 that collects the condensed water in the drain container 40 .

한편, 상기 배수통(40)이 상기 덕트바디(321)의 전방에 구비되므로, 상기 잔수처리부(330)도 상기 덕트바디(321)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drain container 4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duct body 321, it may be advantageous that the residual water treatment unit 330 is also provided in front of the duct body 321.

한편, 상기 잔수처리부(330)는 상기 배수펌프(331)와 상기 배수통(40)을 연결하는 구성 중 일부를 상기 베이스부(31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수통(40)이 만수위 이거나, 상기 배수통(40)에서 응축수가 역류하는 경우, 상기 응축수를 다시 상기 베이스부(310) 내부로 전달하여 상기 저수부(326)로 순환시킬 수 있다. 이로써, 응축수가 상기 베이스부(310) 외부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sidual water treatment unit 330 may install a part of components connecting the drain pump 331 and the drain tube 40 to the base part 310 . Thus, when the drain trough 40 is full or the condensed water flows backward in the drain trough 40, the condensed water can be transferred back to the inside of the base part 310 and circulated to the water storage part 326.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densed water from leaking out of the base part 310 .

상기 저수부(326)는 상기 응축수를 상기 저수부(326)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32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3263)은 상기 베이스부(310)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storage part 326 may include a drain pipe 3263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part 326 . The drain pipe 3263 may be provided by extending forward from the base part 310 .

상기 잔수처리부(330)는 상기 배수관(3263)에 배출된 물을 상기 배수통(40)으로 전달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33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sidual water treatment unit 330 may include a drain pump 331 that provides power to transfer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pipe 3263 to the drain pipe 40 .

상기 잔수처리부(330)는 순환덕트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수펌프(331)와 연통하는 유입관(3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sidual water treatment unit 330 may include an inlet pipe 332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irculation duct and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pump 331 .

상기 잔수처리부(330)는 상기 유입관(332)과 연통되며 상기 응축수를 상기 배수통(40)으로 전달하는 배출관(33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출관(334)는 상기 베이스부(310)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The residual water treatment unit 330 may include a discharge pipe 334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let pipe 332 and transfers the condensed water to the drain pipe 40, and the discharge pipe 334 is connected to the base part 31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상기 잔수처리부(330)는 배출관의 하측에 구비되는 안내관(3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관(333)은 배수통(40)과 순환덕트(320)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안내관(333)은 배수통(40)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 이상인 경우 배수통 내부의 물을 다시 순환덕트(320)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The residual water treatment unit 33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ipe 333 provided below the discharge pipe. The guide pipe 333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the drain pipe 40 and the circulation duct 320 . The guide tube 333 may guide the water inside the drain tube back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when the water level in the drain tube 40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water level.

상기 순환덕트(320)로 안내된 물은 저수부(326)에 다시 회수되며 다시 잔수처리부(330)를 통해 배수통(40)으로 안내될 수 있다. The water guided to the circulation duct 320 is returned to the water storage unit 326 and may be guided to the drain container 40 through the residual water treatment unit 330 again.

결과적으로, 상기 배수통(40)은 만수위라고 하더라도, 상기 응축수는 안내관(333)을 통해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로 유입되는 바 배수통(40)의 물이 넘치는 것(overflow)를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even if the drain box 40 is full, the condensed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through the guide pipe 333, preventing overflow of the drain box 40. can do.

회수유로 구성 도면 삭제Deletion of recovery oil line construction drawing

도14는 워터커버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14 shows an embodiment of a water cover.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워터커버(3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327)는 상기 증발기(341)와 상기 응축기(3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341)에서 응축된 물이 상기 응축기(343)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저수부(326)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ter cover 327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 The water cover 327 may be provided to support at least one of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and block water condensed in the evaporator 341 from moving to the condenser 343. And may be provided to guide to the water reservoir (326).

워터커버는 순환덕트의 바닥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워터커버는 증발기와 응축기가 지지되는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워터커버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순환덕트의 바닥면에서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워터커버는 저수부의 상면을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워터커버는 저수부의 커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water cover can prev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water cover may form a support surface on which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are supported. The water cover may support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The water cover may be provided to shield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reservoir. That is, the water cover may perform a cover func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상기 워터커버(327)은 상기 저수부(326)의 상부도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순환덕트(320)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저수부(326)와 상기 순환덕트(320)의 단차로 인해 저항을 받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water cover 327 may also be provided to shield an upper part of the water storage part 326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ir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from receiving resistance due to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storage part 326 and the circulation duct 320 .

상기 워터커버(327)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341)와 응축기(3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워터바디(3271)과 상기 워터바디(3271)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워터바디(3271)의 높이 또는 경사를 유지시키는 지지리브(327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cover 327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water body 3271 supporting at least one of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and the water body (3271) A support rib 3276 for maintaining the height or inclination of the 3271 may be included.

상기 지지리브(3276)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함몰부(3262) 또는 필터(3264)에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리브(3276)은 상기 워터바디(3271)를 따라 흐르는 물을 상기 배수관(3263)으로 직접 안내할 수 있다. Any one of the support ribs 3276 may be supported by the recessed portion 3262 or the filter 3264 . Thus, the support rib 3276 can directly guide water flowing along the water body 3271 to the drain pipe 3263.

도15은 상기 워터커버가 순환덕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15 shows a state in which the water cover is installed in the circulation duct.

상기 워터커버(327)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water cover 327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for shiel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

상기 워터커버(327)는 상기 유입부(362)와 마주하는 영역 또는 상기 외기가 유입되는 영역에 상기 저수부(326)를 노출시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water cover 327 may block exposure of the water reservoir 326 to an area facing the inlet 362 or an area into which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상기 워터커버(327)는 상기 증발기(341)와 응축기(343)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327)로 인해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배치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증발기(341)와 상기 응축기(343)는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The water cover 327 may be provided to support lower ends of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 Even if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is inclined due to the water cover 327,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may b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또한, 상기 워터커버(327)는 상기 증발기(341)와 상기 응축기(343)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cover 327 can prevent the positions of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from being changed.

상기 워터커버(327)의 워터바디(3271)은 상기 베이스부(310)와 나란한 경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증발기(341)로 유입된 공기가 불필요한 경사저항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water body 3271 of the water cover 327 may be inclined parallel to the base part 31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341 from receiving unnecessary gradient resistance.

도16은 워터커버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16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water cover.

상기 워터커버는 순환덕트의 바닥면 또는 저수부의 바닥면 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워터바디(32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터바디(3271)는 순환덕트의 바닥면(325) 또는 저수부의 바닥면(3261)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water cover may include a water body 3271 position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unit. The water body 3271 can prevent the bottom surface 325 of the circulation duct or the bottom surface 3261 of the water reservoir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워터커버(327)은 상기 워터바디에(3271)서 상부로 돌출되는 안착리브(32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3274)는 상기 증발기(341)와 상기 응축기(343) 중 하나 이상을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341)와 상기 응축기(343)의 간격도 유지시킬 수 있다. The water cover 327 may include a seating rib 3274 protruding upward from the water body 3271. The seating rib 3274 may be provided to fix one or more of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and may also maintain a distance between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상기 워터커버(327)는 워터바디(3271)를 관통하는 관통홀(32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272)는 상기 증발기(341)와 상기 응축기(34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증발기(341)에서 응축된 물이 워터커버의 하부로 안내될 수 있다. The water cover 327 may include a through hole 3272 penetrating the water body 3271 . The through hole 3272 may be formed between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 Thus, the water condensed in the evaporator 341 can be guided to the lower part of the water cover.

상기 워터커버(327)은 워터바디(3271)을 관통하며 상기 관통홀(3272)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출수구(32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구(3275)는 상기 저수부(326)와 마주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The water cover 327 may further include a water outlet 3275 that penetrates the water body 327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through hole 3272 . The water outlet 3275 may be disposed in an area facing the water reservoir 326 .

상기 출수구(3275)는 상기 워터바디(3271)의 상부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상기 저수부(326)로 배출시킬 수 있다. The water outlet 3275 may discharge water flow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body 3271 to the water reservoir 326 .

또한, 상기 출수구(3275)는 배수통(40)에서 오버플로우된 물을 저수부(326)로 안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outlet 3275 may guide water overflowing from the drain container 40 to the water reservoir 326 .

상기 워터커버(327)는 워터바디(3271)에서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이격리브(32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리브(3273)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 경사와 대응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기가 상기 워터바디(3271)와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 사이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water cover 327 may include a separation rib 3273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in the water body 3271 . The separation rib 3273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is provided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so that the air can pass through the water body 3271 and the circulation duct ( 320) may be blocked from moving between the bottom surfaces.

한편, 상기 이격리브(3273)은 상기 워터바디(3271)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separation rib 3273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body 3271.

한편, 워터커버(3273)은 순환덕트의 격벽(3211)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피부(327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피부(3277)은 상기 워터바디(3271)의 측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피부(3277)은 격벽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water cover 3273 may further include an avoidance part 3277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partition wall 3211 of the circulation duct. The avoidance part 3277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from the side of the water body 3271. The avoidance part 3277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arrier rib.

상기 워터커버(327)는 저수부(326)에 지지되는 배출리브(3276)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리브 배출리브(3276)는 상기 배수관(3263)을 차폐하지 않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water cover 327 may include a discharge rib 3276 supported by the water reservoir 326 . Discharge rib The discharge rib 3276 may be provided in a shape that does not shield the drain pipe 3263.

도1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에 구비된 제어부 설치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17 shows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provided on the bas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7(a)는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제어부설치부(313)에 설치되는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17(a) shows an aspect in which the controller 700 is installed in the controller installation unit 313.

상기 제어부(700)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의류를 리프레쉬 행정을 수행하는 임의의 코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PCB기판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를 위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may be provided to control all devices necessary for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erform an arbitrary course of refreshing the clothes. The controller 700 may be provided as a PCB boar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as various devices for control.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어부설치부(313)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700 may be inserted into and seated in the controller installation unit 313 .

상기 제어부설치부(313)는 순환덕트(3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installation unit 313 may be disposed below the circulation duct 320.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은 제어부 설치부(313)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는 공기배출부(323) 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A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controller installation part 313 .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air discharge unit 323 .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설치부(313)는 상기 베이스부(310)에 순환덕트(32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순환덕트의 하부에 함몰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installation part 31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bottom part 311 .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313 may be formed as a recessed space at the bottom of the circulation duct 320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circulation duct 320 on the base unit 310 .

상기 제어부(700)는 제어부 설치부(313)에서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입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700 may be inserted in a sliding manner from the rear to the front in the controller installation unit 313 .

상기 제어부(700)의 표면에는 제어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브라켓(3131) 더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3131)은 제어부의 상하에 배치되어 제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bracket 3131 provided to surround the control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ontrol unit 700 . The brackets 3131 are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control unit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브라켓(3131)은 제어부(700)에 열 또는 진동이 전달되어 제어부(700) 내부의 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라켓(3131)은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3131 can prevent the circuit board inside the controller 700 from being damaged by heat or vibration being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700 . The bracket 3131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도17(b)는 제어부 설치부에 제어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17(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troller is installed in the controller installation unit.

상기 도면과 같이 제어부(700)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ler 700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ottom part 311 of the base.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저수부(326)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700)의 상부에 물이 유출되는 경우 상기 물이 상기 제어부(700)를 신속하게 이탈할 수 있으며,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을 상기 저수부(326)를 향하여 경사지게 성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700 may be inclined toward the water reservoir 326 . Accordingly, when water flows ou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rol unit 700, the water can quickly leave the control unit 700 and tilt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toward the water storage unit 326. can be molded.

상기 제어부(700)는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서포터(3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700 may include a supporter 3132 protruding to the side.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설치부의 양측면에서 돌출되는 리브(3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서포터(3132)는 상기 리브(3134)의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installation part 313 may include ribs 3134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installation part. The supporter 3132 of the controller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ib 3134.

상기 제어부의 서포터(3132)는 제어부(700) 전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제어부의 서포터(3132)가 상기 리브(3134)의 상측에 지지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The supporter 3132 of the controller may support the entire load of the controller 700 . When the supporter 3132 of the control unit is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ib 3134, the control unit 7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bottom part 3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리브(3134)는 베이스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3134)는 베이스부(310)가 사출 성형될 때 함께 성형되어 베이스바닥부(311), 순환덕트(320) 등의 구성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The rib 313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portion 310 . The ribs 3134 may be molded together when the base part 310 is injection molded and integrally provided with components such as the base bottom part 311 and the circulation duct 320.

상기 제어부(700)의 전방면에는 돌출 형성된 돌기(313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설치부(313)의 내측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는 가이드와 결합될 수 있다. 돌기는 가이드에 삽입될 수 있다. 제어부를 제어부 설치부에 인입할 때, 돌기를 가이드에 결합시키는 방식을 통해 제어부를 정위치에 정렬할 수 있다. A protrusion 3133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troller 700 . In addition, a guide protruding backward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roller installation unit 313 . The protrusion may be coupled with the guide. The protuberance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When the control unit is inserted into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the control unit can be aligned in place by coupling the protrusion to the guide.

또한, 제어부의 양측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포터가 리브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과정을 이용하여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제어부를 제어부 설치부의 정위치에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both side surfaces of the controller may be positioned in such a way that the supporter is seated on the rib. Using such a coupling process, the control unit can be coupled to the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installation unit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mber.

도1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공기배출부(323)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18 shows the structure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베이스부(310)는 처리된 공기를 팬하우징을 향해 배출하는 공기배출부(32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ase part 310 may include an air discharge part 323 for discharging the treated air toward the fan housing.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내부 또는 상기 덕트바디(321)와 팬하우징(350)을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벨마우스(bell mouth)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벨마우스 형상으로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며, 공기 순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ir discharge unit 323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or the duct body 321 and the fan housing 350 . The air discharge unit 323 may be provided in a bell mouth shape. Being provided in the shape of a bell mouth, it is possible to reduce air flow loss and improve air circulation efficiency.

상기 공기배출부(323)의 상기 공기배출관(3232)은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며, 파팅라인(3233)을 기준으로 금형 제거 과정에서 파팅라인(3233)의 전방에 배치되는 금형은 전방으로 인출되고, 파팅라인(3233)의 후방에 배치되는 금형은 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 pipe 3232 of the air discharge unit 323 is provided in a pipe shape, and the mold disposed in front of the parting line 3233 in the mold removal process based on the parting line 3233 is drawn forward, A mold disposed behind the parting line 3233 may be drawn backward.

상기 팬설치부(350)은 상기 공기배출관(3232)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51)은 상기 공기배출관(3232)의 외주면과 결합되는 결합홀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결합홀에 상기 송풍팬(353)을 배치할 수 있다. The fan installation part 350 may be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air discharge pipe 3232 . The fan housing 351 may have a coupling hole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discharge pipe 3232, and the blowing fan 353 may be disposed in the coupling hole.

상기 팬하우징(351)은 상기 송풍팬(353)의 외주면 또는 외측에서 상기 배출홀(232)로 연장되는 배출덕트(3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n housing 351 may include a discharge duct 352 extending to the discharge hole 232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outside of the blowing fan 353 .

상기 팬하우징(351)과 상기 배출덕트(352)는 내부에 상기 송풍팬(353)을 수용하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fan housing 351 and the discharge duct 352 may accommodate the blowing fan 353 therein and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ir may move.

상기 송풍팬(353)을 회전시키는 모터는 상기 팬하우징(351)의 외부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A motor that rotates the blowing fan 353 may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an housing 351 and supported.

도1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 19 shows the structure of the base cove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순환덕트(320)의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cover 360 may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to prevent the insid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from being exposed.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상기 순환덕트(320)를 연통시키는 유입바디(361)와, 상기 유입바디(361)에서 연장되어 상기 순환덕트(320)를 차폐하는 차폐바디(363)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cover 36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extends from the inflow body 361 communicating the inner case 200 and the circulation duct 320 . It may include a shielding body 363 that shields the circulation duct 320.

상기 유입바디(361)는 덕트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의 유입홀(231)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는 상기 차폐바디(363) 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The inlet body 361 may be provided in a duct shape so that the inlet hole 231 of the inner case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 The inflow body 361 may protrude more upward than the shielding body 363 .

상기 유입바디(361)는 상기 증발기(341)와 상기 응축기(343)와 마주하지 않도록 상기 증발기(341)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격벽(3211)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let body 361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evaporator 341 so as not to face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and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partition wall 3211 .

상기 유입바디(361)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공기를 상기 순환덕트(320)로 이동시키는 유입덕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take body 361 may serve as an intake duct for moving air from the inner case 200 to the circulation duct 320 .

상기 유입바디(361)는 내부에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입부(362)가 구비될 수 있다.The inlet body 361 may have an inlet 362 through which air of the inner case 200 passes.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바디(361)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리브(362a)와, 상기 제1리브(362a)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유입바디(361)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리브(362b)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se cover 360 has a first rib 362a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let body 36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ib 362a to the rear of the inlet body 361. A second rib 362b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included.

상기 제1리브(362a)와 상기 제2리브(362b)는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브(362a)와 상기 제2리브(362b)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높이는 상기 유입바디(361)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rib 362a and the second rib 362b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The first rib 362a and the second rib 362b may have a plate shap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may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inflow body 361 .

상기 유입바디(361)의 전방모서리와 상기 제1리브(362a)는 제1유입구(362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리브(362a)와 상기 제2리브(362b)는 상기 제2유입구(3622)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리브(362b)와 상기 유입바디(361)의 후방모서리는 제3유입구(3623)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ront edge of the inlet body 361 and the first rib 362a may form the first inlet 3621, and the first rib 362a and the second rib 362b may form the second inlet. 3622 may be formed, and the second rib 362b and the rear edge of the inlet body 361 may form a third inlet 3623.

상기 제1유입구(3621)과 상기 제3유입구(3622)는 서로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유입구(36222)는 상기 제1유입구(3621)과 상기 제3유입구(3622)의 면적 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inlet 3621 and the third inlet 3622 may have the same area, and the second inlet 36222 may have an area of the first inlet 3621 and the third inlet 3622. It may be provided smaller.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부(362)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댐퍼부(364)와, 상기 댐퍼부(364)에 결합되어 상기 댐퍼부(364)의 개폐를 제어하는 구동부(365)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cover 360 includes a damper part 364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part 362, and a driving part 365 coupled to the damper part 364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 part 364. can include

상기 댐퍼부(364)는 상기 제1유입구(3621)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1댐퍼부(3641)와, 상기 제3유입구(3623)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2댐퍼부(364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amper part 364 may include a first damper part 3641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inlet 3621 and a second damper part 3642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third inlet 3623. can

상기 제1댐퍼부(3641)은 상기 제1유입구(3621)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판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유입구(3621) 내부에서 상기 유입바디(361)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damper part 3641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let 3621, and is rotatab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body 361 inside the first inlet 3621. can be combined

상기 제2댐퍼부(3642)는 상기 제3유입구(3622)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판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유입구(3622) 내부에서 상기 유입바디(361)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damper part 3642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wit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third inlet 3622, and is rotatab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body 361 inside the third inlet 3622. can be combined

상기 제2유입구(3622)는 공기는 통과하지만 미세먼지, 린트 등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차단필터(366)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inlet 3622 may be equipped with a cut-off filter 366 capable of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nd lint, although air passes therethrough.

상기 차단필터(366)는 상기 제2유입구(3622)에 삽입되어 상기 제1유입구(3621)와 상기 제3유입구(3623)를 구획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필터(366)는 상기 제2유입구(3622)에서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blocking filter 366 may b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inlet 3622 to partition the first inlet 3621 and the third inlet 3623 . The cut-off filter 366 may be disposed extending from the second inlet 3622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

상기 차단필터(366)는 상기 수분까지 여과할 수 있는 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차단필터(366)는 헤파 필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blocking filter 366 may be provided as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up to the moisture. For example, the blocking filter 366 may be provided with a HEPA filter or the like.

한편, 상기 제2유입구(3622)는 상기 차단필터(366)가 삽입되면 상기 제2유입구(3622)를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더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blocking filter 366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let 3622, a shielding member for shielding the second inlet 3622 may be further coupled.

상기 구동부(365)는 상기 제1댐퍼부(364)와 상기 제2댐퍼부(365)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제1댐퍼부(364)와 상기 제2댐퍼부(365)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복수의 기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e unit 365 includes a motor that provides power to selectively rotate the first damper unit 364 and the second damper unit 365, and the first damper unit 364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motor. ) and a plurality of gear members capable of selectively rotating the second damper unit 365.

상기 구동부(365)로 인해 상기 제1유입구(3611)와 상기 제3유입구(3623)는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Due to the driving unit 365, the first inlet 3611 and the third inlet 3623 may be selectively opened.

상기 구동부(365)로 인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수용된 공기는 상기 제1유입구(3621)를 따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고, 상기 제3유입구(3623)을 따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Due to the drive unit 365, the air accommodated in the inner case 200 may flow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along the first inlet 3621, or along the third inlet 3623.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물론, 상기 구동부(365)는 상기 제1유입구(3611)와 상기 제3유입구(3623)를 모두 개방하도록 상기 제1댐퍼(3641)과 상기 제2댐퍼(3642)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1유입구(3611)와 상기 제3유입구(3623)을 모두 차폐하도록 상기 제1댐퍼(3641)과 상기 제2댐퍼(3642)를 제어할 수 있다.Of course, the driving unit 365 may control the first damper 3641 and the second damper 3642 to open both the first inlet 3611 and the third inlet 3623, and The first damper 3641 and the second damper 3642 may be controlled to cover both the first inlet 3611 and the third inlet 3623.

상기 구동부(365)는 상기 제1댐퍼(3641)와 상기 제2댐퍼(3642)를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들어,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기어, 상기 제1댐퍼와 상기 제2댐퍼에 결합되어 상기 주동기어에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기어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365 may be provided in any structure as long as it can be provided to rotate the first damper 3641 and the second damper 3642.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with a combination of a motor, a main gear rotated by the motor, and a driven gear coupled to the first damper and the second damper and rotated by rotation of the main gear.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바디(361)에서 연장되어 상기 증발기(341)와 상기 응축기(343)를 차폐할 수 있는 차폐바디(3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바디(363)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base cover 360 may include a shielding body 363 extending from the inlet body 361 to shield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 The shielding body 363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바디(361)의 하부면에서 연장되는 유입후크(3612)를 통해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base cover 36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20 through the inlet hook 3612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inlet body 361 .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유입후크(36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inlet hook 3612 .

도20은 외기덕트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20 shows the structure of the outside air duct.

도20(a)를 참조하면, 상기 외기덕트(370)는 베이스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a), the outside air duct 370 may be coupled to the base part 310.

상기 외기덕트(370)는 상기 외기흡입부(322)와 연통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outside air duct 370 may be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ir suction unit 322 .

상기 외기덕트(370)는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개폐하는 외기댐퍼(373)와 상기 외기댐퍼(373)를 회전시켜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로 제어하는 외기구동부(374)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door air duct 370 includes an outdoor damper 373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door air intake unit 322 and an outdoor drive unit that rotates the outdoor air intake unit 322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utdoor air intake unit 322 ( 374) may be included.

상기 외기댐퍼(373)는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실링할 수 있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외기흡입부(322)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outside air damper 373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capable of sealing the outside air intake unit 322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outside air intake unit 322 .

상기 외기구동부(374)는 상기 외기덕트(370) 또는 순환덕트(320)에 결합되어 상기 외기댐퍼(373)를 회전시키는 엑츄에이터로 구비될 수 있다.The outdoor driving unit 374 may be provided as an actuator that is coupled to the outdoor air duct 370 or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rotates the outdoor air damper 373 .

상기 외기덕트(370)는 상기 외기흡입부(322)의 전방에서 상기 외기흡입부(322)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덕트(372)와, 상기 연장덕트(372)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흡기덕트(371)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side air duct 370 includes an extension duct 372 extending forward from the outside air suction section 322 in front of the outside air suction section 322, and an outside air inflow extending forward from the extension duct 372. It may include an intake duct 371 that may be.

상기 흡기덕트(371)는 상기 연장덕트(372)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부에 급수통(30)과 배수통(4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통(30)과 상기 배수통(40)은 상기 흡기덕트(371)에 결합되거나 안착될 수도 있다. The intake duct 371 may be provided by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duct 372, and a water supply container 30 and a drainage container 40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 and the drain container 40 may be coupled to or seated on the intake duct 371 .

상기 흡기덕트(371)는 일단 또는 자유단에 외기가 흡입되는 외기구(3711)와 상기 외기구(3711)를 구획하도록 구비되는 구획리브(37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ake duct 371 may include an outdoor air intake 3711 at one end or a free end and a partition rib 3712 provided to partition the outside air 3711.

상기 외기구(3711)는 상기 도어(400) 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400)에 차폐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outdoor outlet 3711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door 400 so as not to be shielded by the door 400 .

상기 구획리브(3712)는 상기 외기구(3711) 내부를 구획하도록 구비되어 이물질이나 사용자의 신체가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partitioning ribs 3712 may be provided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external outlet 3711 to block foreign substances or the user's body from being introduced.

도20(b)를 참조하면, 상기 외기구동부(374)가 상기 외기댐퍼(373)를 회전시켜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개방하면, 상기 흡기덕트(371)와 상기 순환덕트(320)는 연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b), when the outdoor driving unit 374 rotates the outdoor air damper 373 to open the outdoor air suction unit 322, the intake duct 371 and the circulation duct 320 can be intertwined

이때 송풍팬(352)이 구동하면 캐비닛 외부 공기는 상기 순환덕트(320)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하면 상기 외부공기는 순환덕트(320)를 통과하면서 제습되어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blowing fan 352 is driven, air outside the cabinet may flow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 When the compressor 342 is driven, the outside air may be dehumid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

상기 도어(4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수용공간과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door 400 may further include an outlet f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to the outside and a discharge damp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The outlet may be provided to face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inner case 200 .

이로써, 상기 제습된 공기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dehumidified ai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또한, 상기 외부 공기는 차단필터(366)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어 다시 캐비닛(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side air may b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ut-off filter 366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0 again.

도21는 상기 순환덕트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21 shows the flow of air flowing through the circulation duct.

도21(a)를 참조하면, 상기 외기댐퍼(373)는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차폐하고, 상기 제1댐퍼(3641)은 상기 제1유입구(3621)을 개방하고, 상기 제2댐퍼(3642)는 상기 제3유입구(3623)를 차폐한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a), the outside air damper 373 shields the outside air suction part 322, the first damper 3641 opens the first inlet 3621, and the second damper 3642 may be controlled while the third inlet 3623 is shielded.

상기 송풍팬(352)이 구동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1유입구(3621)로 유입되어 상기 필터(366)를 통과하며 여과될 수 있다. When the blowing fan 352 is driven, the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may flow into the first inlet 3621 and pass through the filter 366 to be filtered.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하면, 상기 필터(366)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증발기(341)과 상기 응축기(343)를 통과하면서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When the compressor 342 is driven,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366 may be dehumidified and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

상기 열교환기 까지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설치부(350)를 통과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may pass through the fan installation part 350 and be supplied into the inner case 200 .

이 상태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스팀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스팀이 공급되면 상기 수분이 상기 필터(600)를 적시게되어 상기 필터(366)의 성능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This state may be a state in which steam is not supplied to the inner case 200 . This is because when steam is supplied to the inner case 200, the moisture wets the filter 600, and thus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366 cannot be guaranteed.

결과적으로,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스팀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이 공급되기 전이거나,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이 공급된 이후라도 습도가 낮아진 경우에,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1유입구(3641)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366)를 통과하며 이물질 등의 린트 등을 여과할 수 있다.As a result, even when steam is not supplied to the inner case 200, before steam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or even after steam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the humidity is lowered. In this case,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may pass through the first inlet 3641 and pass through the filter 366 to filter lint, such as foreign substances.

도21(b)를 참조하면, 상기 외기댐퍼(373)는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차폐하고, 상기 제1댐퍼(3641)는 상기 제1유입구(3621)을 차폐하고, 상기 제2댐퍼(3642)는 상기 제3유입구(3623)을 개방한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b), the outside air damper 373 shields the outside air intake 322, the first damper 3641 blocks the first inlet 3621, and the second damper 3642 may be controlled with the third inlet 3623 open.

상기 송풍팬(352)이 구동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3유입구(3623)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3유입구(3623)는 차단필터(366) 보다 하류에 구비되므로, 상기 제3유입구(3623)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차단필터(366)를 통과하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blowing fan 352 is driven,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may flow into the third inlet 3623 . Since the third inlet 3623 is provided downstream of the cut-off filter 366, the air introduced into the third inlet 3623 may not pass through the cut-off filter 366.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하면, 상기 필터(366)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증발기(341)과 상기 응축기(343)를 통과하면서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When the compressor 342 is driven,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366 may be dehumidified and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

상기 열교환기 까지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설치부(350)를 통과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may pass through the fan installation part 350 and be supplied into the inner case 200 .

결과적으로,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스팀이 공급되는 상태이거나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습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공기가 상기 제3유입구(3623)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1유입구(362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상기 차단필터(366)가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when steam is supplied to the inner case 200 or when the humidity inside the inner case 200 is very high, the air of the inner case 200 flows into the third inlet 3623. And, it is possible to block exposure of the cut-off filter 366 to moisture by blocking the inflow into the first inlet 3621 .

도21(c)를 참조하면, 상기 외기댐퍼(373)는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개방하고하고, 상기 제1댐퍼(3641)는 상기 제1유입구(3621)을 차폐하고, 상기 제2댐퍼(3642)는 상기 제3유입구(3623)을 차폐한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c), the outside air damper 373 opens the outside air suction part 322, the first damper 3641 shields the first inlet 3621, and the second The damper 3642 may be controlled while the third inlet 3623 is shielded.

상기 송풍팬(352)이 구동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유입부(362)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상기 캐비닛(100)의 외부 공기만 상기 순환덕트(320)로 유입되어 상기 차단필터(366)를 통과할 수 있다. 이로써, 외부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차단필터(366)에서 여과될 수 있다. When the blowing fan 352 is driven, the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is blocked from flowing into the inlet 362, and only the outside air of the cabinet 100 flows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pass through the cut-off filter 366. As a result,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may be filtered through the cut-off filter 366 .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하면, 상기 필터(366)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증발기(341)과 상기 응축기(343)를 통과하면서 제습될 수 있다.When the compressor 342 is driven,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366 may be dehumid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41 and the condenser 343 .

상기 열교환기 까지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설치부(350)를 통과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되어 의류에 신선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passes through the fan installation part 350 and is supplied into the inner case 200 to supply fresh hot air to clothes.

이때, 상기 도어(400)에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캐비닛 외부의 공기는 상기 차단필터(366)와 상기 열 공급부(340)를 통과하며 정화되고 제습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door 400 is provided with a device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to the outside, the air outside the cabinet passes through the cut-off filter 366 and the heat supply unit 340, It can be discharged in a purified and dehumidified state.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외기구동부(374)와 유입구동부(365)를 제어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와 상기 캐비닛 외부의 공기의 유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As a result, in the laundry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outside driving unit 374 and the inlet driving unit 365 to determine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and the air outside the cabinet. can

도22은 스팀공급부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2 shows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team supply unit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베이스커버(36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The steam supply unit 800 may be supported by being seated on the base cover 360 .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안착되고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물을 저장하는 스팀케이스(8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am supply unit 800 may include a steam case 810 seated on the base cover 360 and storing water for generating the steam.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스팀케이스(810)를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고정할 수 있는 설치브라켓(8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eam supply unit 800 may further include an installation bracket 870 capable of fixing the steam case 810 to the base cover 360 .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베이스커버(360)에 결합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르 고정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bracket 870 is coupled to the base cover 360 to fix the steam case 810.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스팀케이스(81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하부패널(871)과 상기 하부패널(871)에서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면패널(8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bracket 870 may include a lower panel 871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team case 810 and side panels 872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steam case 810 in the lower panel 871. can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상기 측면패널(872)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나이상의 고정클립(8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stallation bracket 87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fixing clips 873 extending from the side panel 872 to prevent the steam case 810 from being separated.

상기 고정클립(873)은 스팀케이스(810)의 상부 또는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fixing clip 873 may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top or side of the steam case 810.

상기 스팀공급부(800) 보다 하부에는 상기 압축기(342)가 배치될 수 있다.The compressor 342 may be disposed below the steam supply unit 800 .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 또는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스팀공급부(8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installation bracket 870 may be provided to block heat generated from the compressor or heat generated from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team supply unit 800 .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상기 압축기(342)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화재가 스팀공급부(800)로 전이되는 것도 차단할 수 있다. The installation bracket 870 may block the transfer of fire to the steam supply unit 800 when a fire occurs in the compressor 342 .

한편,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차폐바디(363)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공급부(8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36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631)는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하부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base cover 360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3631 provided on the shielding body 363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steam supply part 800 . The fastening part 3631 may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 protruding part protru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steam case 810.

이로써,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 물이 다량으로 수용되어 있어도 상기 스팀케이스(810)는 안정적으로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안착될 수 있다. Thus, even if a large amount of water is contained in the steam case 810, the steam case 810 can be stably seated on the base cover 360.

또한, 상기 스팀케이스(810)가 상기 순환덕트(320) 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와의 거리가 더 짧아지므로, 상기 스팀케이스(810)에서 생성된 스팀이 이너케이스(200)에 도달하기전에 응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team case 810 is disposed above the circulation duct 320 and the distance to the inner case 200 is shorter,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case 810 flows into the inner case 200. Condensation before reaching can be minimized.

도23는 상기 스팀공급부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23 show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steam supply unit.

도23(a)를 참조하면,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스팀을 생성할 물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는 스팀케이스(810)와,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수용되어 상기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3 (a), the steam supply unit 800 includes a steam case 810 capable of receiving and storing water to generate steam, and heats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steam case 810 to generate steam. It may include a heater unit 840 to generate.

상기 스팀케이스(810)는 상부가 개구된 케이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부(840)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team case 8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ase with an open top, and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heater unit 840.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결합되어 상기 히터부(84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스커버(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am supply unit 800 may further include a case cover 820 coupled to the steam case 810 to prevent the heater unit 84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preventing the water from leaking out. .

상기 케이스커버(820)는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850)와,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 스팀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스팀센서(860)가 설치될 수 있다. The case cover 820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850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steam case 810 and a temperature inside the steam case 810 or whether steam is generated inside the steam case 810. A steam sensor 860 for detecting may be installed.

도23(b)를 참조하면, 상기 스팀케이스(810)는 상기 물을 저장하고 히터부(84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바디(81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3(b), the steam case 810 may include a case body 811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the water and accommodating the heater unit 840.

상기 케이스바디(811)는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바디(811) 내부에 각종 부품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잇다.The case body 811 has an open top so that various parts can be easily installed inside the case body 811 .

상기 케이스바디(811)는 일측이 관통되어 상기 히터(840)가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는 히터삽입홀(8111)을 포함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case body 811 may include a heater insertion hole 8111 through which the heater 840 may be inserted or taken out.

상기 케이스바디(811)는 내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회수관(814)을 포함할 수 잇다.The case body 811 may include a recovery pipe 814 capable of discharging water contained therein to the outside.

상기 회수관(814)는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의 잔수를 제거할 때만 개방되도록 차폐마개(8141)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차폐마개(8141)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폐마개(8141)를 상기 회수관(814)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차폐클립(8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overy pipe 814 can remain closed by the shielding stopper 8141 so as to be opened only when residual water inside the steam case 810 is removed, and to prevent the shielding stopper 8141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A shielding clip 8142 for maintaining the shielding stopper 8141 coupled to the recovery tube 814 may be included.

이로써, 상기 스팀케이스(800)를 수리하거나, 상기 스팀케이스(800)의 동파 등을 예방할 때, 상기 회수관(814)을 통해 상기 스팀케이스(800)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repairing the steam case 800 or preventing freezing or bursting of the steam case 800, water inside the steam case 80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recovery pipe 814.

한편, 상기 케이스바디(811) 내부에는 상기 히터부(840)를 지지하거나 고정할 수 있는 히터고정부(8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고정부(830)는 상기 히터부(840)를 고정시키는 고정클립(831)과, 상기 지지클립(831)을 상기 케이스바디(811)에 고정시키는 클립체결부재(833)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heater fixing part 830 capable of supporting or fixing the heater part 84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body 811 . The heater fixing part 830 may include a fixing clip 831 fixing the heater part 840 and a clip fastening member 833 fixing the support clip 831 to the case body 811. there is.

상기 고정클립(831)은 상기 히터부(8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거나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fixing clip 831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or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er unit 840 .

한편,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물을 공급받는 급수관(8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815)는 상기 급수통(30)에 연통되어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eam supply unit 80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ipe 815 for receiving water. The water supply pipe 815 may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 to receive water.

상기 급수관(815)는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구비되거나,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급수관(815)을 통해 물이 다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ipe 815 may be provided on the case cover 820 or may be disposed above the steam case 81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backwar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815 .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히터부(840)가 구동하여 발생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관(8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13)도 상기 케이스커버(820)의 상부에 구비되어 물이 스팀관(813)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13)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스팀홀(233)에 연통될 수 있다. The steam supply unit 800 may include a steam pipe 813 for discharging steam generated by driving the heater unit 840 to the outside. The steam pipe 813 is also provided above the case cover 820 to block wate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steam pipe 813 . The steam pipe 813 may communicate with the steam hole 233 of the inner case 200 .

상기 케이스커버(820)는 상기 수위센서가 설치될 수 있는 수위센서홀(854)이 구비될 수 있다. The case cover 820 may have a water level sensor hole 854 in which the water level sensor can be installed.

상기 수위센서(850)는 상기 수위센서홀(854)에 삽입되어 물에 침지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하나이상의 접촉돌기(852)와, 상기 접촉돌기(852)를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서 부유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수위센서홀(854)에 결합되거나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지지되는 센서바디(85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level sensor 850 includes at least one contact protrusion 852 inserted into the water level sensor hole 854 and immersed in water to sense the water level, and the contact protrusion 852 is suspended inside the steam case 810. It may include a sensor body 851 coupled to the water level sensor hole 854 or supported by the case cover 820 in order to maintain it in a closed state.

상기 센서바디(851)는 센서체결부재(853)를 통해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nsor body 851 may be coupled to the case cover 820 through a sensor fastening member 853 .

한편, 상기 케이스커버(820)는 상기 스팀센서(860)가 설치될 수 있는 삽입홀(8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센서(860)는 상기 삽입홀(864)에 삽입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서 스팀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861)와, 상기 감지장치(861)를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고정시키는 지지대(863)와, 상기 지지대(863)를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86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se cover 820 may have an insertion hole 864 into which the steam sensor 860 may be installed. The steam sensor 86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864 and detects whether or not steam is generated inside the steam case 810, and the detecting device 861 is connected to the case cover ( It may include a support 863 fixed to the 820 and a coupling member 862 coupling the support 863 to the case cover 820 .

상기 감지장치(861)는 습도센서 또는 온도센서로 구비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서 스팀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detection device 861 is provided as a humidity sensor or a temperature sensor to detect whether or not steam is generated inside the steam case 810.

한편, 상기 케이스커버(820)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커버(860)에 결합될 수 있는 커버후크(821)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case cover 820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hook 821 that extends forward and is coupled to the base cover 860 .

또한, 상기 케이스커버(820)의 후방에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 또는 별도의 스팀배출부(900)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돌기(822)도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protrusion 822 capable of fixing the lower part of the inner case 200 or a separate steam outlet 90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se cover 820 .

상기 히터부(840)는 상기 히터삽입홀(8111)에 삽입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수용되며 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heater unit 840 may be inserted into the heater insertion hole 8111 and accommodated in the steam case 810 to receive power and heat water.

상기 히터부(840)는 시스히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700)에 의해 구동과 정지가 반복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The heater unit 840 may be provided as a sheath heater or the like, and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0 to be driven and stopped repeatedly.

상기 히터부(840)는 제1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는 제1히터(841)와, 제1전력 보다 더 큰 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는 제2히터(84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er unit 840 may include a first heater 841 that heats water by receiving a first electric power and a second heater 842 that heats water by receiving a larger electric power than the first electric power. .

결과적으로, 상기 제2히터(842)는 상기 제1히터(841) 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을 가열하여 더 많은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cond heater 842 may be provided to generate more steam by heating a larger amount of water than the first heater 841 .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의류처리장치에서 히터부(840)에 허용되는 최대 히터전력량을 나누어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히터(841)가 최대 히터전력량의 일부를 소모하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제2히터(842)는 상기 최대 히터전력량의 나머지를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may be provided to divide and consume the maximum amount of heater electric power allowed to the heater unit 840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is, if the first heater 841 is provided to consume part of the maximum amount of heater power, the second heater 842 may be provided to consume the remainder of the maximum amount of heater power.

예를들어, 상기 히터부(840)에 허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최대 히터전력량이 1500w 인 경우, 상기 제1히터(841)는 600w를 소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히터(842)는 880w를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20w는 오차 등을 고려하여 더 적게 배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general maximum heater power allowed for the heater unit 840 is 1500w, the first heater 841 is provided to consume 600w and the second heater 842 consumes 880w. may be provided to do so. 20w can be distributed less considering errors and the like.

물론, 상기 히터부(840)는 3개 이상의 히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히터(841), 상기 제2히터(842), 상기 제3히터(843)를 포함하며, 상기 제1히터(841), 상기 제2히터(842), 상기 제3히터(843)는 최대 히터전력량을 나누어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Of course, the heater unit 840 may include three or more heaters. For example, the first heater 841, the second heater 842, and the third heater 843 are included, and the first heater 841, the second heater 842, and the third heater 842 are included. The heater 843 may be provided to divide and consume the maximum amount of heater power.

이하에서는 상기 히터부(340)가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로 구비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heater unit 340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act that it includes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u자 형태의 금속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may be formed as u-shaped metal tubes.

상기 히터부(840)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를 고정하고 상기 히터관통홀(8111)을 실링할 수 있는 히터실러(84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자부(8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er unit 840 may include a heater sealer 843 capable of fixing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and sealing the heater through hole 8111, and A terminal unit 844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may be included.

상기 단자부(844)는 상기 제1히터(841)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1단자(844a)와 제2히터(842)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2단자(844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 part 844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844a supplying current to the first heater 841 and a second terminal 844b supplying current to the second heater 842 .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같은 수위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may b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ccordingly,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may be provided to generate steam by heating water of the same water level.

이로써,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를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발생하는 스팀량과, 소모되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Thus, the controller 700 can adjust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using both or selectively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

도24는 상기 스팀케이스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24 shows the inside of the steam case.

상기 스팀케이스(810)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며 히터부(840)를 수용하는 가열공간(817)을 구비할 수 있다. The steam case 810 may have a heating space 817 for storing water therein and accommodating the heater unit 840 .

또한, 상기 스팀케이스(810)는 상기 급수관(815)과 연결된 급수호스(8151)를 통해 스팀을 생성할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am case 810 may receive water to generate steam through a water supply hose 8151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815 .

한편, 상기 스팀케이스(810)에서 상기 히터부(840)가 구동하여 발생한 스팀은 상기 스팀배출관(813)을 통해 상기 스팀호스(8131)를 따라 스팀공급부(8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Meanwhile, steam generated by driving the heater unit 840 in the steam case 8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eam supply unit 800 along the steam hose 8131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ipe 813.

상기 스팀호스(8131)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스팀홀(233)과 연통될 수 있다.The steam hose 8131 may communicate with the steam hole 233 of the inner case 200 .

한편, 상기 스팀케이스(810)는 가열공간(817)과 수위센서(850)를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격벽(81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격벽(812)는 상기 히터부(840)와 상기 수위센서(850)를 분리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바디(811)의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team case 810 may include a separation partition wall 812 capable of separating the heating space 817 and the water level sensor 850. That is,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812 may be provided to separate the heater unit 840 and the water level sensor 850 and may be disposed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case body 811 .

상기 수위센서(850)는 상기 분리격벽(812)과 상기 케이스바디(811)의 내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water level sensor 8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81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body 811 .

이로써, 상기 물이 끓을 때 발생하는 물이 진동이 수위센서(85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히터부(840)에서 발생한 열이 직접적으로 상기 수위센서(85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vibration of water generated when the water boil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water level sensor 850, and heat generated from the heater unit 840 is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water level sensor 850. can do.

도25은 상기 히터부가 설치된 스팀공급부를 도시한 것이다.25 shows a steam supply unit in which the heater unit is installed.

도25(a)를 참조하면, 상기 스팀센서(860)는 상기 히터부(840) 보다는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의 온도 등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센서(860)는 상기 물이 100도 또는 고온으로 도달하면 스팀이 발생한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5 (a), the steam sensor 860 may be disposed above the heater unit 840 to sen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eam case 810. Accordingly, the steam sensor 860 may detect that steam is generated when the water reaches a temperature of 100 degrees or a high temperature.

상기 히터부(840)는 상기 지지클립(832)으로 지지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바닥면 등에 상기 히터부(840)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heater part 84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clip 832, and contact of the heater part 840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am case 810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고정클립(831)으로 상부가 둘러쌓여 상기 히터부(840)가 배치된 수위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portion is surrounded by the fixing clip 831, the water level at which the heater unit 840 is disposed may be prevented from being varied.

도26(b)를 참조하면, 상기 히터부(840)의 히터실러(844)는 제1히터(841)가 관통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홀(8441)과 상기 제2히터(842)가 관통하여 지지되는 제2지지홀(8442)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6(b), the heater sealer 844 of the heater unit 840 has a first support hole 8441 through which the first heater 841 passes and is supported, and the second heater 842 passes through. A second support hole 8442 may be provided.

상기 제1지지홀(8441)이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바닥면에서 이격된 제1길이(L1)와 상기 제2지지홀(8442)이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바닥면에서 이격된 제2길이(L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The first length L1 in which the first support hole 8441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am case 810 and the second support hole 8442 ar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am case 810. The two lengths L2 may be equal to each other.

제1지지홀(8441)과 상기 제2지지홀(8442)의 직경은 서로 다를지라도 설치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Although the diameters of the first support hole 8441 and the second support hole 844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installation height may be the same.

이에 따라,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동일한 수위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may generate steam by heating water of the same water level.

도26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표준코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26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 a standard course.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허용전력량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허용전력량은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와 상기 압축기(342)가 동시에 구동할 때 소모되는 전력량 보다 작을 수 있다.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llowable amount of power may be set. For example, the allowable amount of power may be smaller than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when the first heater 841, the second heater 842, and the compressor 342 are simultaneously driven.

또한, 상기 허용전략량은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가 동시에 구동할 때 소모되는 전력량보다는 클 수 있다.Also, the allowable amount may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when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are simultaneously driven.

또한, 상기 허용전력량은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압축기(342)가 동시에 구동할 때 소모되는 전력량보다는 클 수 있다.Also, the allowable amount of power may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when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compressor 342 are simultaneously driven.

또한, 상기 허용전력량은 상기 제2히터(842)와 상기 압축기(342)가 동시에 구동할 때 소모되는 전력량보다는 클 수 있다.Also, the allowable amount of power may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when the second heater 842 and the compressor 342 are simultaneously driven.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동시에 구동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As a result,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may be driven simultaneously to generate steam.

또한, 본 발명 의류처??아치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축기(342)는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을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열풍을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and the compressor 342 may be simultaneously driven. Accordingly, hot air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while simultaneously supplying the steam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초기에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를 동시에 구동하여 스팀을 빠르게 생성하되, 스팀이 생성되면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만을 구동하여 스팀 생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are initially driven simultaneously to quickly generate steam, and when the steam is generated,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 842) may be operated to maintain steam generation.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 만을 구동하여 스팀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실크 또는 캐시미어와 같이 수분과 온도에 취약한 소재도 충분히 리프레쉬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one of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may be operated to adjust the steam supply amount. Accordingly, even a material vulnerable to moisture and temperature, such as silk or cashmere, can sufficiently perform the refresh process.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여 스팀공급에 필요한 전력사용량을 낮출 수 있고, 스팀을 공급할 때 상기 압축기(342)를 함께 구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ly one of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to reduce power consumption required for steam supply, and uses the compressor 342 to supply steam. can run together.

도26(a)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26(a) shows a control method of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리프레쉬 하는 코스가 수행되면, 히터를 구동하여 물을 가열하는 스팀준비단계(A1)와, 물이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되면 상기 스팀을 의류에 공급하는 스팀분사단계(A2)를 수행한다.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steam preparation step (A1) of driving a heater to heat water when a course of refreshing clothes is performed, and a steam spraying step (A2) of supplying the steam to clothes when steam is generated by heating the water. ) is performed.

이때,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건포 상태의 의류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스팀 분사량이 많으며, 히터의 전력소모량도 매우 크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히터와 압축기를 동시에 구동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purpose of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s to supply moisture to dry clothes, the amount of steam sprayed is large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heater is also very large. Therefore,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heater and the compressor cannot be simultaneously driven.

그러므로, 상기 스팀분사단계(A2)에서는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히터만을 구동한다.Therefore, in the steam spraying step (A2),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drives only the heater.

이후, 상기 의류가 공급된 스팀으로 수분을 함습하는 시간을 제공하는 대기단계(A3)를 수행한다. 이후, 압축기의 구동 전에 의류의 열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송풍팬만 가동하는 냉각단계(A4)를 수행한다.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가 감소되고, 의류의 함습량이 충분하면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건조단계(A5)를 수행한다.Thereafter, a standby step (A3) is performed in which the clothes are given time to moisten with the supplied steam. Thereafter, a cooling step (A4) in which only the blowing fan is operated is performed to prevent thermal damage to clothes before driving the compressor.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case 200 decreases an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lothes is sufficient, a drying step (A5) of driving the compressor is performed.

상기 건조단계(A5)를 통해 의류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하면서 의류의 탈취, 구김제거 등의 리프레쉬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A5)는 이전의 모든단계 보다 지속시간이 가장 길게 형성된다. Through the drying step (A5), while drying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lothes, a refresh process such as deodorization and wrinkle removal of the clothes can be performed. The drying step (A5) has the longest duration than all previous steps.

그런데,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분사단계(A2)에서 압축기가 구동하지 못하므로 열풍을 공급할 수 없다. 따라서, 건조단계(A5)에 도달하기 까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와 상기 열공급부(400)의 냉매온도는 상대적으로 저온에 해당한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ince the compressor is not driven in the steam spraying step (A2), hot air cannot be supplied. Accordingly, the inner case 200 and the refrigerant temperature of the heat supply unit 400 are relatively low until the drying step A5 is reached.

그러므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건조단계(A5)가 상대적으로 길게 지속되어야만 의류의 완전건조, 살균, 탈취, 구김제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등의 리프레쉬 성능을 보장할 수 있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refreshing performance including any one of complete drying, sterilization, deodorization, and wrinkle removal of clothes can be guaranteed only when the drying step (A5) is continu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전술한 것처럼, 히터와 압축기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다시말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같이 허용 최대 전력량이 동일하고, 히터 전체의 사용전력량이 동일 또는 유사하다고 하더라도, 히터가 복수개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일부 히터와 압축기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drive the heater and the compressor. In other words, even if the maximum permissible electric power and the same or similar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entire heater are us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ome heaters and compressors may be simultaneously driven because the heater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heaters. there is.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히터와 압축기를 건조단계 이전에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건조단계 이전에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어, 의류의 완전건조, 살균, 탈취, 구김제거에 필요한 절대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건조단계의 지속시간을 감축할 수 있다. 이때, 건조단계의 지속시간이 가장 길게 설정되므로, 상기 건조단계의 지속시간을 감축함으로써 전체 리프레쉬 행정의 지속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의 구동시간을 감축함으로써 에너지효율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00 can be quickly increased before the drying step by driving the heater and the compressor simultaneously before the drying step, thereby completely drying, sterilizing, deodorizing, and removing wrinkles from the clothes. You can secure the absolute time required for As a result, the duration of the drying step can be reduced. At this time, since the duration of the drying step is set to be the longest, the duration of the entire refresh process can be greatly reduced by reducing the duration of the drying step. In addition, energy efficiency can be greatly increased by reducing the driving time of the compressor.

도26(B)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26(B) shows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리프레쉬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임의의 코스가 수행되면 상기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히터부(340)를 구동하는 스팀준비단계(B1)를 수행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steam preparation step (B1) of driving the heater unit 340 to supply steam to the clothes when a course for refreshing or managing the clothes is performed.

상기 스팀준비단계(B1)는 상기 스팀이 빠르게 생성될수록 리프레쉬 행정시간을 감축할 수 있으므로 상기 히터부(340)의 모든 히터를 구동할 수 있다.In the steam preparation step (B1), since the refresh process time can be reduced as the steam is generated faster, all heaters of the heater unit 340 can be driven.

다시말해, 상기 스팀준비단계(B1)에서는 상기 히터부(340)의 최대 전력을 사용하여 물을 가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steam preparation step (B1), water may be heated using the maximum power of the heater unit 340 .

예를들어, 상기 히터부(340)가 상기 제1히터(341)와 상기 제2히터(342)로 구성되어 있다면, 상기 제1히터(341)와 상기 제2히터(342)를 동시에 구동하여 물을 가열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heater unit 340 is composed of the first heater 341 and the second heater 342, the first heater 341 and the second heater 342 are driven simultaneously to Water can be heated.

상기 스팀준비단계(B1)에서 감지장치(860)를 통해 스팀케이스(810) 내부에 스팀이 생성된 것을 감지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히터(341)와 상기 제2히터(342) 중 어느 하나만을 구동하는 예열단계(B2)를 수행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cted that steam is generated inside the steam case 810 through the detection device 860 in the steam preparation step (B1),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first heater 341 and the second heater 342. ), the preheating step (B2) of driving only one of them may be performed.

즉,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스팀이 생성된 이후에는 상기 제1히터(341)와 상기 제2히터(342)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여도 상기 스팀은 지속적으로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공급될 수 있다.That is, after steam is generated in the steam case 810, the steam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inner case 200 even if only one of the first heater 341 and the second heater 342 is used. It can be.

따라서, 상기 예열단계(B2)에서 이후에는 상기 제1히터(341)와 상기 제2히터(342)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스팀을 공급하여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상기 의류의 함습량을 높일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여분의 전력량도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after the preheating step (B2), only one of the first heater 341 and the second heater 342 is used to supply steam to the inner case 200 so that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lothes can be increased while the temperature is raised, and the amount of power that can be used can be secured.

상기 예열단계(B2)에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압축기(342)를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열풍을 공급할수 있다. In the preheating step (B2),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imultaneously drive the compressor 342 to supply hot air to the inner case 200.

다시말해, 상기 예열단계(B2)에서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축기(342)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과 열풍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프레쉬 행정 초기부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증발기(341)의 열교환 성능을 강화할 수 있어 열공급부(340)의 성능계수(cop)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In other words, in the preheating step (B2), either one of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and the compressor 342 may be simultaneously driven. Accordingly, steam and hot air can be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 Therefo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00 can be increased from the beginning of the refresh process, and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of the evaporator 341 can be enhanced, so that the coefficient of performance (cop) of the heat supply unit 340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의류가 상기 예열단계(B2) 부터 리프레쉬에 필요한 최적온도 또는 최소온도에 도달하게 되어 후행될 건조단계의 시간을 크게 감축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lothes reach the optimal or minimum temperature required for refreshing from the preheating step (B2), the time for the subsequent drying step can be greatly reduced.

상기 예열단계(B2)에서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축기(342)를 동시에 구동하는 구간과, 상기 압축기(342)만 구동하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heating step (B2) may include a section in which either one of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and the compressor 342 are simultaneously driven, and a section in which only the compressor 342 is driven. can

즉, 상기 예열단계(B2)에서 상기 히터부(340)와 상기 압축기(342)를 동시에 구동하는 구간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압축기(342)만 구동하는 구간도 존재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heating step B2, there is not only a section in which the heater unit 340 and the compressor 342 are simultaneously driven, but also a section in which only the compressor 342 is driven.

그런데, 상기 압축기(342) 만 구동하는 구간은 상기 히터부(340)와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하는 구간 이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부(340)를 통해 상기 스팀이 이너케이스(200)에 공급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상기 증발기(341)에 상승된 온도 뿐만 아니라 수분까지 접촉되어 상기 증발기(341)를 통과하는 냉매와 많은 양의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공급부(340)의 성능이 향상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를 빨리 상승시킬 수 있다.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tion in which only the compressor 342 is driven is disposed after the section in which the heater unit 340 and the compressor 342 are driven. When the steam is supplied to the inner case 200 through the heater unit 340,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00 rises, and not only the elevated temperature but also moistur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vaporator 341, so that the evaporator It is possible to perform a large amount of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341).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the heat supply unit 340 is improved,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00 can be rapidly increased.

예를들어, 상기 예열단계(B2)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와 압축기(342)를 구동하는 제1구간과,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의 구동을 중단하고 상기 압축기(342)만 구동하는 제2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heating step (B2) includes a first section in which one of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and the compressor 342 are driven, and the first heater 841 and A second section in which driving of the second heater 842 is stopped and only the compressor 342 is driven may be included.

상기 제1구간을 통해 이너케이스(200)에 열풍과 스팀을 공급하여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와 상기 순환덕트(320)에 유입되는 공기의 열량을 상승시킬 수 있다. Hot air and steam are supplied to the inner case 200 through the first section to increa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case 200 and the amount of heat of air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

상기 제2구간을 통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열풍을 본격적으로 공급하여 의류가 탈취, 구김제거, 살균 등의 리프레쉬를 수행할 수 있는 최소온도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Hot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in earnest through the second section to satisfy the minimum temperature condition at which clothes can be refreshed such as deodorization, wrinkle removal, and sterilization.

상기 예열구간(B2)에서는 상기 제1히터(841) 보다 상기 제2히터(842)가 구동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히터(841)를 구동할 때보다 더 많은 양의 스팀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공급되어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와, 상기 순환덕트(320)에 유입되는 공기의 열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In the preheating period B2 , the second heater 842 may be driven more than the first heater 841 . As a result, a greater amount of steam than when the first heater 841 is driven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to increa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00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can further increase the calorific value of

물론, 상기 예열구간(B2)에서는 상기 제1히터(841)가 구동되고 상기 제2히터(842)가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예열구간(B2)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온도상승 폭은 크지 않지만 소량의 스팀을 분사하여 의류가 수분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더 오래 스팀을 분사하는 경우에도 온도상승 폭이 크지 않아 살균 등에 필요한 시간을 더 확보할 수도 있다. Of course, in the preheating period B2, the first heater 841 may be driven and the second heater 842 may not be driven. Accordingly, in the preheating section B2, although the range of temperature rise of the inner case 200 is not large, a small amount of steam is sprayed to prevent clothes from being damaged by moisture. In addition, even when steam is sprayed for a longer time, the temperature rise is not large, so more time required for sterilization can be secured.

상기 예열구간(B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기준온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이너케이스(2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기준온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압축기(342)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완료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또는 순환덕트(320)에 구비되어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상기 압축기(342)에서 토출된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heating section B2,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00 reaches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ner case 200 reaches the reference temperature, or the temperature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342. It can be complet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reaches the set temperature. To this e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provided inside the inner case 200 or in the circulation duct 320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air or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342. can do.

물론, 상기 예열구간(B2)에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거나, 상기 압축기(342)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히터부(340)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Of course, 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00 rises rapidly or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342 exceeds the reference temperature in the preheating section B2, the operation of the heater unit 340 is stopped. can do.

즉, 상기 예열구간(B2)에서 상기 제1히터부(841)과 상기 제2히터부(842) 중 어느 하나는 구동과 중단(ON/OFF)을 반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예열구간(B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를 빠르게 상승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상기 제1히터부(841)와 상기 제2히터부(842)가 구동되는 시간은 상기 제1히터부(841)와 상기 제2히터부(842)가 정지되는 시간 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heating period B2, either of the first heater unit 841 and the second heater unit 842 may be set to repeatedly drive and stop (ON/OFF). Since the purpose of the preheating section B2 is to rapidly increa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case 200, the driving time of the first heater unit 841 and the second heater unit 842 is the first heater unit 841 and the second heater unit 842. 841 and the second heater unit 842 may be set longer than the stopping time.

상기 예열구간(B2)이 완료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본격적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분사단계(B3)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분사단계(B3)에서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가 동시에 구동되어 다량의 스팀을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거치된 의류는 예열단계(B2)에서 일정수준 가열된 상태에서 본격적인 스팀을 공급받아 전역에 함습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When the preheating section (B2) is complete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steam spraying step (B3) of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in earnest. In the steam spraying step (B3),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are driven simultaneously to supply a large amount of steam to the inner case 200. Accordingly, the clothing placed in the inner case 200 can receive full-fledged steam supply in a state of being heated to a certain level in the preheating step (B2), thereby increasing the moisture content in the entire area.

상기 스팀분사단계(B3)는 기존의 스팀분사단계(A2) 보다는 더 짧게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예열단계(B2)에서 이미 일정수준의 스팀을 공급했기 때문이다.The steam spraying step (B3) may be performed shorter than the conventional steam spraying step (A2). This is because a certain level of steam has already been supplied in the preheating step (B2).

상기 스팀분사단계(B3)가 수행되면 바로 상기 의류를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단계(B6)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팀분사단계(B3)에서 분사된 스팀이 의류 전체에 침투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시간 대기하는 먼저 대기단계(B4)가 수행될 수 있다.Immediately after the steam spraying step (B3) is performed, a drying step (B6) of drying the clothes with hot air may be performed. However, in order to secure time for the steam injected in the steam spraying step (B3) to permeate the entire clothing, a waiting step (B4) may be performed first.

상기 대기단계(B4)는 상기 히터부(340)와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이다. 상기 대기단계(B4)를 통해 상기 의류가 스팀에 완전히 노출되기 전에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팀으로 인해 의류 표면온도가 상승한 상태에서 바로 열풍공급으로 의류가 열손상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andby step (B4) is a state in which the heater unit 340 and the compressor 342 are not driven. Through the waiting step (B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othes from being dried before being completely exposed to steam, and to prevent the clothes from being thermally damaged by directly supplying hot air whil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lothes is increased due to the steam.

한편, 상기 건조단계(B6)는 압축기(342)를 구동하여 이너케이스(200)에 본격적인 열풍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안전온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바로 열풍이 공급되면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한계온도 이상으로 상승되어 의류가 손상될 수 있다.Meanwhile, the drying step (B6) is a step of supplying full-fledged hot air to the inner case 200 by driving the compressor 342. Therefore, if hot air is supplied immediately in a state whe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00 has not fallen below the saf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00 rises above the limit temperature, and thus the clothes may be damaged.

그러므로, 상기 건조단계(B6)의 수행 전에 상기 송풍팬(352)을 구동하는 냉각단계(B5)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냉각단계(B5)에서는 송풍팬(352)이 구동하고, 상기 압축기(342)와 상기 히터부(340)는 구동이 중단될 수 있다.Therefore, the cooling step (B5) of driving the blowing fan 352 may be performed before the drying step (B6) is performed. In the cooling step (B5), the blowing fan 352 is driven, and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342 and the heater unit 340 may be stopped.

상기 냉각단계(B5)에서는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200)를 따라 순환하며 냉각될 수 있다. In the cooling step (B5), the air inside the inner case 200 may circulate along the circulation duct 200 and be cooled.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안전온도 이하로 내려가거나, 상기 냉각단계(B5)가 필요시간 동안 수행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단계(B6)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00 drops below the safe temperature or when the cooling step (B5) is performed for a required tim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drying step (B6) of supplying hot air to the clothes. can do.

상기 건조단계(B6)는 상기 의류의 함습율이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질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예를들어, 의류에 수분이 많은 경우 상기 건조단계(B6)를 수행할 때 기화열로 인해 순환덕트(320)에 유입되는 온도는 유지되거나 급격히 상승하지 않을 수 있다.The drying step (B6) may be performed until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lothes falls below a certain level. For example, when clothes have a lot of moisture, the temperature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due to vaporization heat may be maintained or may not rise rapidly when the drying step (B6) is performed.

그러나, 의류가 대부분 건조된 경우 기화열이 적으므로 순환덕트(320)에 유입되는 온도가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의류의 건조도가 확보되고 리프레쉬에 필요한 최소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342)의 구동이 중단되면서 상기 건조단계(B6)가 종료될 수 있다.However, when most of the clothes are dry, since the heat of vaporization is small, the temperature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duct 320 may rise rapidly. In this way, when the dryness level of the clothes is secured and the minimum time necessary for refreshing has elapsed,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342 is stopped and the drying step B6 can be ended.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가 최소온조조건 이상으로 배치된 시간이 최소시간 이상에 도달하면 상기 건조단계(B6)가 종료될 수도 있다.Further,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step (B6) may end when the time the clothes are placed under the minimum temperature control condition reaches a minimum time or longer.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건조단계(B6) 전에 예열단계(B2)를 더 배치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상기 최소조건온도 이상에 도달하는 전체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건조단계(B6)의 지속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heating step (B2) is further disposed before the drying step (B6) to increase the total time for the inner case 200 to reach the minimum condition temperature or higher, thereby increasing the drying step. The duration of (B6) can be greatly reduced.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예열구간(B2)에서 압축기(342)가 구동되었다가 중단된 이후에 상기 건조단계(B6)의 수행전까지 압축기(342)의 구동이 중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mpressor 342 is driven and stopped in the preheating section B2,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342 may remain stopped until the drying step B6 is performed. .

도27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Fig. 27 shows the effec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7(a)는 종래 의류처리장치가 의류를 리프레쉬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표준 코스를 수행하는 경과를 도시한 것이다. 27(a) shows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most basic standard course for refreshing clothes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히터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준비단계(A1)를 2분 가량 수행할 수 있고, 생성된 스팀을 이너케이스(200)에 분사하는 스팀분사단계(A2)를 5분 가량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히터부(340)와 압축기(342)를 구동하지 않는 대기단계(A3)를 5분가량 수행할 수 있고, 송풍팬(352)를 구동하는 냉각단계(A4)를 1분 가량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압축기(342)를 본격적으로 구동하여 의류의 리프레쉬를 수행하는 건조단계(A5)를 26분 가량 수행할 수 있다.In a conventional clothes handling apparatus, a steam preparation step (A1) of generating steam by heating a heater may be performed for about 2 minutes, and a steam spraying step (A2) of spraying the generated steam to the inner case 200 may be performed for about 5 minutes. can be done Thereafter, the standby step (A3) of not driving the heater unit 340 and the compressor 342 may be performed for about 5 minutes, and the cooling step (A4) of driving the blowing fan 352 may be performed for about 1 minute. there is. Thereafter, the drying step A5 in which the compressor 342 is driven in earnest to refresh the clothes may be performed for about 26 minutes.

그 결과,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총 39분 동안 의류의 리프레쉬 행정을 수행할 수 As a result,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n perform a laundry refreshing process for a total of 39 minutes.

도27 (b)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도 히터부(340)를 구동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준비단계(B1)를 2분가량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히터부(340)의 총 전격용량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히터에 할당된 전격용량과 차이가 없기 때문에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물을 끓이는 시간은 동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7 (b),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perform the steam preparation step (B1) of generating steam by driving the heater unit 340 for about 2 minutes. Since the total electric capacity of the heater unit 340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iffer from the electric capacity allocated to heaters of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time for boiling water to generate steam may be the same.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이 생성되면 상기 히터부(340)의 일부 히터만 구동하여 스팀을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공급할 수 있는 예열단계(B2)를 5분 가량 수행할 수 있다.However, when steam is generate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the preheating step (B2) of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for about 5 minutes by driving only some heaters of the heater unit 340 .

상기 예열단계(B2)에서는 상기 히터부(340) 중 일부 히터와 압축기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예를들어, 히터부(340)가 2개의 히터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1히터(841)와 압축기(342)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In the preheating step (B2), some heaters and compressors of the heater unit 340 may be simultaneously driven. For example, when the heater unit 340 includes two heaters,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compressor 342 may be simultaneously driven.

상기 예열단계(B2)가 종료되면, 상기 히터부(340)를 구동하여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분사단계(B3)를 3분간 수행할 수 있다. 즉, 스팀분사단계(B3)는 예열단계(B2)에서 스팀이 공급되었으므로,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스팀분사단계(A2) 보다 시간이 더 적게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사단계(A2)는 상기 히터부(340)의 모든 히터가 구동될 수 있다. 이로써, 신속하게 충분한 양의 스팀이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공급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히터부(340) 중 일부 히터만 구동될 수도 있다. When the preheating step (B2) is completed, the steam spraying step (B3) of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by driving the heater unit 340 may be performed for 3 minutes. That is, since steam is supplied in the preheating step (B2), the steam spraying step (B3) may be allocated less time than the steam spraying step (A2) of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 the steam spraying step (A2), all heaters of the heater unit 340 may be driven. Thus, a sufficient amount of steam can be quick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 Of course, only some of the heaters 340 may be driven as needed.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스팀분사단계(B3)가 적게 수행되었으므로 상기 압축기(342)와 히터부(340)를 구동하지 않는 대기 단계(B4)도 적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대기단계(B4)는 4분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eam spraying step (B3) is performed less often, the standby step (B4) in which the compressor 342 and the heater unit 340 are not driven may be performed less often. For example, the waiting step (B4) may be performed for 4 minutes.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송풍팬(352)을 구동하는 냉각단계(B5)가 1분으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step (B5) of driving the blowing fan 352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1 minute.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예열단계(B2)를 더 수행하므로 압축기(342)를 구동하는 건조단계(B6)가 종래 의류처리장치보다는 2분 늦게 수행될 수 있다.As a result, since the preheating step (B2) is further perform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step (B6) of driving the compressor 342 can be performed 2 minutes later tha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예열단계(B2)를 통해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리프레쉬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최소조건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이 확보되었으므로, 상기 건조단계(B6)의 지속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00 is maintained above the minimum condition temperature capable of promoting the refreshing effect through the preheating step (B2), the drying step (B6) duration can be drastically reduced.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예열단계(B2)로 인해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내부 온도가 종래보다 높게 유지되므로, 히트펌프의 성능계수(COP)가 높아짐으로써, 상기 건조단계(B6)의 지속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case 200 is maintained higher than before due to the preheating step (B2), the coefficient of performance (COP) of the heat pump is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drying step (B6). duration can be reduced.

예를들어, 상기 건조단계(B6)는 20분가량만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ying step (B6) may be performed for only about 20 minutes.

그 결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표준 코스의 수행시간이 전체 35분으로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보다 코스 수행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효율이 높으며, 의류가 열과 수분에 영향을 받는 시간도 감소하여 의류의 내구성도 더 보장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course execution time more tha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by taking a total of 35 minutes for the standard course. Therefore, the energy efficiency is high, and the time during which the clothes are affected by heat and moisture is reduced,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clothes can be further guaranteed.

도28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살균코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28 shows a process of performing a sterilization course betwee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the present inventio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도28(a)은 종래 의류처리장치가 살균코스를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28(a) shows that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erforms a sterilization course.

종래 의류처리장치가 살균코스를 수행하면 표준코스와 동일하게 스팀준비단계(C1), 스팀분사단계(C3), 대기단계(C4), 냉각단계(C4), 건조단계(C5)를 수행할 수 있다.When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erforms a sterilization course, it may perform a steam preparation step (C1), a steam spraying step (C3), a waiting step (C4), a cooling step (C4), and a drying step (C5) in the same way as the standard course. there is.

미생물이나 세균 등은 살균온도(예를들어, 55도 이상)이상으로 살균시간(예를들어, 25분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박멸될 수 있다.Microorganisms or bacteria can be eradicated only when the sterilization temperature (eg, 55 degrees or higher) and the sterilization time (eg, 25 minutes or longer) are maintained.

한편, 상기 건조단계(c5)에서 열풍이 공급되므로 이를 통해 살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상기 건조단계(c5)는 의류의 표면온도를 살균온도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건조시키는 것이 목적이며, 수분의 기화열로 인해 의류의 표면온도를 살균온도 이상으로 확보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since hot air is supplied in the drying step (c5), steriliz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this, but the purpose of the drying step (c5) is not to maintai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lothes above the sterilization temperature, but to dry it, Due to the heat of vaporization of moisture, it is not possible to secure the surface temperature of clothing above the sterilization temperature.

그러므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스팀분사단계(c3) 전에 세균을 살균하는 살균단계(c2)를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perform a sterilization step (c2) of sterilizing germs before the steam spraying step (c3).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살균단계(c2)에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를 살균온도 이상으로 살균시간 이상 수행한다.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 the sterilization step (c2), the compressor is driven to se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case 200 to a sterilization temperature or higher for a sterilization time or longer.

그런데, 코스 초기에는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낮아 상기 증발기에 충분한 양의 열교환 되지 않아 히트펌프의 성능계수가 떨어진다.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가 건조한 상태이기 때문이 열풍 공급에 의해 온도가 급격히 변화할 수 있다.However,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case 200 is low, so that a sufficient amount of heat is not exchanged in the evaporator, and the performance coefficient of the heat pump is lowered. In addition, since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is in a dry state, the temperature may rapidly change due to the supply of hot air.

그러므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살균단계(c2)에서 살균온도에 도달하기 위하여 압축기를 더 오래 구동해야 하며, 압축기 구동시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급상승하므로 의류가 열손상 되지 않도록 압축기의 구동을 중단하고 다시 구동하는 것을 수시로 반복해야 한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compressor must be driven for a longer time to reach the sterilization temperature in the sterilization step (c2), and since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00 rises rapidly when the compressor is operated, the compressor is driven so that the clothes are not thermally damaged. Stopping and starting again must be repeated from time to time.

그 결과,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살균단계는 45분이 걸릴정도로 장시간이 소요된다.As a result, the sterilization step of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akes a long time, about 45 minutes.

도28(b)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살균코스의 수행방식을 도시한 것이다.28(b) shows a method of performing a sterilization cours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살균코스가 수행되면, 표준코스와 동일한 압축기,히터, 송풍팬의 작동방식으로 스팀준비단계(D1), 스팀분사단계(D3), 대기단계(D4), 냉각단계(D5), 건조단계(D6)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sterilization course is performed in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preparation step (D1), the steam spraying step (D3), the standby step (D4), and the cooling step (D5) are operated in the same way as the standard course by operating the compressor, heater, and blowing fan. ), a drying step (D6) may be performed.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도 의류의 표면을 살균온도 이상으로 살균시간 동안 지속하는 것을 유지하기 위해, 살균단계(D2)를 스팀분사단계(D3) 전에 수행할 수 있다.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rilization step (D2)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team spraying step (D3) in order to maintain the surface of the clothes at a sterilization temperature or higher for the sterilization time.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살균단계(D2)는 상기 히터부(340)와 상기 압축기(342)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In the sterilization step (D2)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er unit 340 and the compressor 342 may be simultaneously driven.

구체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살균단계(D2)에서 상기 제1히터부(341)와 상기 제2히터부(342)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축기(342)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first heater unit 341 and the second heater unit 342 and the compressor 342 may be simultaneously driven in the sterilization step (D2).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대적으로 소량의 스팀을 공급하여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는 상승시키면서도 의류의 표면이 수분을 과하게 함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하여 열풍이 공급되면 상기 의류의 표면은 살균온도 이상으로 쉽게 상승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steam to increa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case 200 while preventing the surface of clothing from being excessively moistened. As a result, when the compressor 342 is driven and hot air is supplied, the surface of the clothes can easily rise above the sterilization temperature.

또한, 상기 소량의 스팀으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비열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 증감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342)를 구동할 때 전체 평균온도는 상승하더라도 온도증가율이 낮고 압축기(342)의 구동을 중단하더라도 온도하강율도 낮을 수 있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specific heat inside the inner case 200 with the small amount of steam, the temperature change rate inside the inner case 200 can be reduced. Therefore, when the compressor 342 is driven, the temperature increase rate is low even if the overall average temperature rises, and the temperature drop rate may be low even when the compressor 342 is stopped.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를 살균온도 이상으로 유지하기 매우 용이하므로 압축기(342)의 구동을 중단하는 시간, 압축기의 구동을 중단하고 재구동하는 횟수 자체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it is very easy to mainta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case 200 above the sterilization temperature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342 and the number of times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s stopped and restarted are increased. savings can be made

더욱이, 상기 히터부(340)의 ON/OFF를 통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Moreov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case 200 can be precisely controlled through ON/OFF of the heater unit 340 .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살균단계(B2)에서 살균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살균시간을 더 빨리 달성할 수 있어 살균단계(B2)의 지속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Therefor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sterilization time maintained at the sterilization temperature or higher more quickly in the sterilization step (B2), so that the duration of the sterilization step (B2) can be greatly reduced.

한편, 상기 살균단계(B2)에서는 상기 제2히터부(842) 보다는 전력사용량이 낮은 상기 제1히터부(841)를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히터부(841)를 구동할 때 상기 제2히터부(842)를 구동할 때보다 소량의 스팀이 상기 이너케이스(200)로 공급되므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를 더 완만하게 상승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를 더 유지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Meanwhile, in the sterilization step (B2), it may be more advantageous to use the first heater unit 841 having lower power consumption than the second heater unit 842. This is because when the first heater unit 841 is driven, a smaller amount of steam is supplied to the inner case 200 than when the second heater unit 842 is driven, so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00 is higher. This is because it can be gently raised and it is easy to further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00 .

또한, 상기 제1히터부(841)를 구동할 때 소량의 스팀이 공급되므로 상기 의류의 표면에 함습량을 크게 높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히터부(841)를 구동하는 것이, 상기 제2히터부(842)를 구동하는 것보다 상기 의류의 표면에 열풍이 공급되어도 기화열로 손실되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의류의 표면온도를 살균온도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더 용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 small amount of steam is supplied when the first heater unit 841 is driven, the moisture content on the surface of the clothes may not be greatly increased. Therefore, driving the first heater unit 841 can minimize heat loss due to evaporation heat even when hot air is su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lothing, compared to driving the second heater unit 842 . It may be easie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above the sterilization temperature.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온도를 높이는 것보다 살균온도 수준에서 살균시간동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상기 스팀발생량이 작은 제1히터부(841)를 구동하는 것이 살균조건에 더 유리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more important to maintain the inner case 200 at the sterilization temperature level during the sterilization time than to increa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case 200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riving the first heater unit 841 with a small amount of steam is sterilization. conditions may be more favorable.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히터부(340)가 최대 히터용량을 나누어 히터를 구동할 수 있고, 스팀량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살균단계(B2)의 지속시간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ater unit 340 divides the maximum heater capacity to operate the heater and adjust the amount of steam, the duration of the sterilization step (B2) can be greatly reduced.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살균단계(B2)를 28분 가량으로 완료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체 살균코스의 지속시간이 절감될 수 있고, 에너지를 더 크게 절약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lete the sterilization step (B2) in about 28 minutes. As a result, the duration of the entire sterilization course can be reduced, and energy can be further saved.

도29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수분 또는 온도에 취약한 의류를 처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29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reats clothes vulnerable to moisture or temperature.

의류 중에는 수분과 고온에 쉽게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는 취약의류가 있다.Among the clothes, there are vulnerable clothes that can be easily deformed or damaged by moisture and high temperature.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건포의류를 리프레쉬 하기 위해 일정수준 이상의 수분을 함습하게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히터부(340)가 다량의 스팀을 공급하도록 히터의 전격용량이 확정되어 있다. 그 결과,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이러한 취약의류를 전혀 리프레쉬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0003] Conventional clothes handling apparatuses need to make dry clothes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moisture in order to refresh them.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electric capacity of the heater is fixed so that the heater unit 340 supplies a large amount of steam. As a result, the conventional clothes handling apparatus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refresh such vulnerable clothes at all.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히터부(340)가 최대 히터 전격량을 나누어 구비되는 복수의 히터로 구비되기 때문에 공급되는 스팀량과, 스팀분사시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 상승율을 제어할 수 있다.However,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ater unit 3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ers provided by dividing the maximum electric power amount of the heater, the amount of steam supplied and the rate of increase in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00 when steam is sprayed can be controlled. there is.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이러한 취약의류도 리프레시 할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to refresh even such vulnerable clothes.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 등에 상기 제어부(700)에 명령을 입력하거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수용된 의류가 수분 또는 고온에 취약하다는 취약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mmand or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700 such as a display panel. The input unit may be provided to receive vulnerability information indicating that clothes accommodated inside the inner case 200 are vulnerable to moisture or high temperatures.

예를들어,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의류의 종류 또는 재질을 입력하거나 생산자게 제공한 의류의 종류 또는 재질을 선택하는 것으로 상기 취약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input unit may receive the vulnerability information by inputting the type or material of the clothing or selecting the type or material of the clothing provided to the manufacturer.

다른예로, 상기 입력부는 캐시미어 코스 또는 실크 코스와 같이 취약의류에 맞춤형 코스를 선택하는 것으로서 상기 취약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input unit may receive the vulnerability information by selecting a course customized for vulnerable clothing such as a cashmere course or a silk course.

상기 취약정보가 입력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준비단계 이후에 히터부와 압축기를 동시에 구동하는 예열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If the vulnerability information is input, the laundry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mit the preheating step of simultaneously driving the heater unit and the compressor after the steam preparation step.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예열단계를 생략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어 의류가 손상되거나,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습도가 높아져서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mits the preheating step to prevent the inner case 200 from being damaged due to an increase in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200 or from being damaged due to increased humidity inside the inner case 200. there is.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예열단계 이후에 스팀분사단계에서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하나만을 구동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스팀분사단계에서도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공급되는 스팀량을 최소화하여 의류가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rive only one of the first heater 841 and the second heater 842 in the steam spraying step after the preheating step. Thus, even in the steam spraying step, the amount of steam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can be minimized to prevent clothing from being exposed to moisture.

이후, 상기 대기단계와 냉각단계, 건조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the standby step, the cooling step, and the drying step may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단계 이후에 송풍팬(352) 만을 추가적으로 구동하는 추가냉각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열풍과 스팀에 조금이라도 노출된 의류를 냉각함으로써, 의류가 이너케이스(200) 내부에서 인출되기 전까지 잔열이나 잔여 습도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perform an additional cooling step of additionally driving only the blowing fan 352 after the drying step. Accordingly, by cooling the clothes exposed to the hot air and steam even slight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othes from being damaged by residual heat or residual humidity until they are taken out of the inner case 200 .

예를들어, 상기 취약정보는 상기 의류가 케시미어 소재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캐시미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ulnerability information may include cashmere information in which the clothing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cashmere material.

예를들어, 상기 캐시미어 정보는 상기 캐시미어 코스를 입력받는 것 에 해당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shmere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receiving the cashmere course.

캐시미어 코스가 수행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모든 히터부(340)를 구동하여 물을 가열하는 상기 스팀준비단계(E1)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cashmere course is performe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the steam preparation step E1 of heating water by driving all the heater units 340 .

상기 히터부(340)가 상기 제1히터부(841)과 상기 제2히터부(842)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스팀준비단계(E1)는 상기 제1히터부(841)와 상기 제2히터부(842)가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When the heater unit 340 is composed of the first heater unit 841 and the second heater unit 842, the steam preparation step (E1) includes the first heater unit 841 and the second heater unit 842. Sections 842 can run concurrently.

상기 스팀준비단계(E1)가 완료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예열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스팀분사단계(E2)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스팀분사단계(E2)는 상기 제1히터부(841)와 상기 제2히터부(842) 중 어느 하나만 구동하는 저감분사단계(E2)로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steam preparation step (E1) is complete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kip the preheating step and directly perform the steam spraying step (E2). At this time, the steam spraying step (E2) may be performed as a reduction spraying step (E2) of driving only one of the first heater unit 841 and the second heater unit 842.

상기 캐시미어 소재는 수분에 취약하긴 하지만 리프레쉬에서 일정 수준의 수분을 필요하므로, 상기 저감분사단계(E2)는 상기 제2히터부(842) 만 구동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Although the cashmere material is vulnerable to moisture, since a certain level of moisture is required for refreshing, the reducing and spraying step E2 may correspond to driving only the second heater unit 842 .

따라서, 상기 저감분사단계(E2)는 상기 표준코스나 살균코스에서의 분사단계보다 스팀 공급량이 작을 수 있다.Therefore, in the reducing spraying step (E2), the steam supply amount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spraying step in the standard course or the sterilization course.

이후, 상기 저감분사단계(E2)가 종료되면 상기 압축기(342)와 히터부(340)의 구동을 중단하는 대기단계(E3)와, 상기 송풍팬(352)이 구동하는 냉각단계(E4)와,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되어 의류를 리프레쉬 하는 건조단계(E5)가 수행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reduction and injection step (E2) is completed, a standby step (E3)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342 and the heater unit 340, and a cooling step (E4) of driving the blowing fan 352 , a drying step E5 in which the compressor 342 is driven to refresh clothes may be performed.

이때, 건조단계(E5)가 완료되면, 상기 송풍팬(352)이 구동하는 추가냉각단계(E6)가 더 수행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drying step (E5) is completed, an additional cooling step (E6) driven by the blowing fan 352 may be further performed.

한편, 상기 캐시미어 코스에서 저감분사단계(E2)는 표준코스와 살균 코스 등에서 스팀분사단계 보다 지속시간이 더 짧을 수 있다.Meanwhile, the reduction spraying step E2 in the cashmere course may have a shorter duration than the steam spraying step in the standard course and the sterilization course.

또한, 상기 캐시미어 코스에서 건조단계(E5)는 표준코스와 살균코스 등에서 건조단계 보다 지속시간이 더 짧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drying step (E5) in the cashmere course may have a shorter duration than the drying step in the standard course and sterilization course.

이로서, 의류에 노출되는 수분과 열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캐시미어와 같은 취약의류도 탈취, 구김제거, 이물질분리, 건조 등을 포함하는 리프레시 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moisture and heat exposed to the clothes, so that even fragile clothes such as cashmere can be refreshed including deodorization, wrinkle removal, foreign matter separation, drying, and the like.

도30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수분 또는 온도에 취약한 의류를 처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30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reats clothes vulnerable to moisture or temperature.

취약의류 중에 실크 등의 소재는 수분이 극히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실크 등의 취약의류는 더 신중하게 관리될 필요가 있다.Among vulnerable clothing, materials such as silk may be extremely vulnerable to moisture. Therefore, fragile clothing such as silk needs to be managed more carefully.

상기 취약정보는 상기 의류가 실크 소재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실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vulnerability information may include silk information in which the clothing includes at least a part of a silk material.

예를들어, 상기 실크 정보는 상기 실크 코스를 입력받는 것에 해당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ilk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receiving the silk course.

실크 코스가 수행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모든 히터부(340)를 구동하여 물을 가열하는 상기 스팀준비단계(F1)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silk course is performe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the steam preparation step F1 of heating water by driving all the heater units 340 .

상기 히터부(340)가 상기 제1히터부(841)과 상기 제2히터부(842)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스팀준비단계(F1)는 상기 제1히터부(841)와 상기 제2히터부(842)가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When the heater unit 340 is composed of the first heater unit 841 and the second heater unit 842, the steam preparation step (F1) includes the first heater unit 841 and the second heater unit 842. Sections 842 can run concurrently.

상기 스팀준비단계(F1)가 완료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예열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스팀분사단계(F2)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스팀분사단계(F2)는 상기 제1히터부(841)와 상기 제2히터부(842) 중 어느 하나만 구동하는 최소분사단계(F2)로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steam preparation step (F1) is complete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kip the preheating step and immediately perform the steam spraying step (F2). In this case, the steam spraying step (F2) may be performed as a minimum spraying step (F2) of driving only one of the first heater unit 841 and the second heater unit 842.

상기 실크 소재는 수분에 매우 취약하므로 구김을 제거할 수 있는 최소한의 습도가 유지되면 충분하다. 따라서, 상기 최소분사단계(F2)는 상기 제1히터부(842) 만 구동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Since the silk material is very vulnerable to moisture, it is sufficient if the minimum humidity capable of removing wrinkles is maintained. Therefore, the minimum injection step (F2) may correspond to driving only the first heater unit 842.

따라서, 상기 최소분사단계(E2)는 상기 표준코스나 살균코스, 캐시미어 코스에서의 분사단계보다 스팀 공급량이 가장 작을 수 있다.Therefore, in the minimum spraying step E2, the steam supply amount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spraying steps in the standard course, sterilization course, and cashmere course.

한편, 상기 실크 코스에서는 아예 분사단계(F2) 자체가 생략될 수도 있다. 즉,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 공급 자체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silk course, the spraying step (F2) itself may be omitted. That is, steam may not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200 itself.

이후, 상기 최소분사단계(F2)가 종료되면 상기 압축기(342)와 히터부(340)의 구동을 중단하는 대기단계(F3)와, 상기 송풍팬(352)이 구동하는 냉각단계(F4)와,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되어 의류를 리프레쉬 하는 건조단계F)가 수행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minimum injection step (F2) is completed, a standby step (F3) in which driving of the compressor 342 and the heater unit 340 is stopped, and a cooling step (F4) in which the blowing fan 352 is driven, , a drying step F) in which the compressor 342 is driven to refresh clothes may be performed.

이때, 건조단계(F5)가 완료되면, 상기 송풍팬(352)이 구동하는 추가냉각단계(F6)가 더 수행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drying step (F5) is completed, an additional cooling step (F6) driven by the blowing fan 352 may be further performed.

한편, 상기 실크 코스에서 최소분사단계(E2)는 표준코스와 살균 코스, 캐시미어 코스 등에서 스팀분사단계 보다 지속시간이 더 짧을 수 있다.Meanwhile, the minimum spraying step (E2) in the silk course may have a shorter duration than the steam spraying step in the standard course, sterilization course, and cashmere course.

또한, 상기 실크 코스에서 건조단계(E5)는 표준코스와 살균코스 등에서 건조단계 보다 지속시간이 더 짧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duration of the drying step (E5) in the silk course may be shorter than that of the drying step in the standard course and the sterilization course.

이로서, 의류에 노출되는 수분과 열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실크와 같은 취약의류도 탈취, 구김제거, 이물질분리, 건조 등을 포함하는 리프레시 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moisture and heat exposed to the clothing, so that even fragile clothing such as silk can be refreshed including deodorization, wrinkle removal, foreign matter separation, and drying.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its right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will be able to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Therefore,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의류처리장치 30 급수통 40 배수통
50 드로워
100 캐비닛 200 이너케이스
210 개구부 220 수용공간
230 관통홀 231 유입홀 232 배출홀 233 스팀홀
300 기계실
310 베이스
311 베이스바닥부
312 압축기설치부
313 제어부설치부
3131 브라켓 3132 서포터
3133 수용부
3133a 수용바닥면
320 순환덕트
321 덕트바디
3211 설치격벽 3212 열교환기 설치부
321a 하부면길이 321b 상부면 길이
321c 설치길이
322 외기흡입부
323 공기배출부
3231 공기연장관 3232 공기배출관 3233 파팅라인
323a 돌출길이
324 개방면
325 바닥면
326 저수부 3261 저수바닥면 3262 함몰부 3263 배수관 3264 필터
327 워터커버
3271 워터바디
3272 관통홀
3273 이격리브
3274 안착리브
3275 출수구
3276 배출리브- 배출지지부
3277 회피홈
3278 필터리브
330 잔수처리부
331 배수펌프
332 유입관
333 안내관
334 배출관
3213 회수유로 3214 회수격벽
3215 안내유로 3216 안내격벽
335 배수호스
제1각도(a), 제2각도(b), 제3각도(c), 제4각도(d)
340 열공급부
341 증발기 342 압축기 343 응축기 344 팽창밸브
350 팬설치부
351 팬하우징 352 배출덕트
353 송풍팬
360 베이스커버
361 유입바디 3611 조설설치부 3612 유입후크
362 유입덕트 유입부
362a 제1리브
362b 제2리브
3621 제1유입부
3622 제2유입부
3263 제2유입부
363 차폐바디 3631 체결부 3632 수용리브 3633 강화리브 3633 차폐후크
364 댐퍼부
365 유입구동부
3651 구동모터
3652 주동기어 3653 종동기어 3654 스토퍼
366 필터
370 외기덕트
371 흡기덕트 372 연장덕트 373 외기댐퍼 374 외기구동부
30 급수통
40 배수통 50 드로워


400 도어
410 메인플레이트
420 디스플레이부
430 단차
500 거치부
510 행어부
520 가압부
521 지지부
522 압박부
600 발광부
700 컨트롤패널
800 스팀공급부
810 스팀케이스
811 케이스측면 8111 히터삽입홀
812 분리격벽
813 스팀배출관
814 회수관
815 급수관
820 케이스커버 821 커버후크
830 히터고정부
831 고정클립 832 지지클립 833 클립체결부재
840 히터부
841 제1히터
842 제2히터
843 히터실러
850 수위센서
851 센서바디 852 접촉돌기 853 센서체결부재
860 온도센서
870 설치브라켓
871 하부패널 872 측면패널 873 고정클립
880 스팀펌프
890 급수관
900 스팀배출부
910 공급용기
911 용기측면
912 제1바닥면 9121 제1관 9122 제2관
913 제2바닥면 9131 제3관 9132 차폐관 9133 개방면
920 용기커버
921 고정돌기
922 수분분리판 923 스팀분사홀 924 체결후크
1 Clothes disposal unit 30 Water container 40 Drain container
50 drawer
100 Cabinet 200 Inner Case
210 opening 220 receiving space
230 through hole 231 inlet hole 232 discharge hole 233 steam hole
300 machine room
310 bass
311 base bottom
312 Compressor installation part
313 control unit installation
3131 Bracket 3132 Supporter
3133 Receptacle
3133a receiving floor
320 circulation duct
321 Duct Body
3211 Installation bulkhead 3212 Heat exchanger installation part
321a lower surface length 321b upper surface length
321c installation length
322 outside air intake
323 air outlet
3231 Air Extension Pipe 3232 Air Discharge Pipe 3233 Parting Line
323a protruding length
324 open side
325 bottom plane
326 Reservoir 3261 Reservoir bottom 3262 Recess 3263 Drain pipe 3264 Filter
327 water cover
3271 water body
3272 through hole
3273 isolating rib
3274 Seat Rib
3275 outlet
3276 Ejection Rib - Ejection Support
3277 Avoid Home
3278 filter rib
330 residual water treatment unit
331 drain pump
332 inlet pipe
333 guide
334 discharge pipe
3213 recovery passage 3214 recovery bulkhead
3215 guide passage 3216 guide bulkhead
335 drain hose
1st angle (a), 2nd angle (b), 3rd angle (c), 4th angle (d)
340 heat supply
341 evaporator 342 compressor 343 condenser 344 expansion valve
350 fan installation part
351 fan housing 352 exhaust duct
353 blower fan
360 base cover
361 inlet body 3611 installation part 3612 inlet hook
362 inlet duct inlet
362a first rib
362b second rib
3621 first inlet
3622 second inlet
3263 second inlet
363 shield body 3631 fastening part 3632 accommodating rib 3633 reinforcing rib 3633 shield hook
364 damper part
365 inlet drive
3651 drive motor
3652 main gear 3653 driven gear 3654 stopper
366 filter
370 outside air duct
371 intake duct 372 extension duct 373 outdoor damper 374 outdoor drive unit
30 water bottle
40 Drain Canister 50 Drawer


400 door
410 main plate
420 display unit
430 step
500 mount
510 hanger
520 pressing part
521 support
522 Compressor
600 light emitting part
700 control panel
800 steam supply
810 steam case
811 Case Side 8111 Heater Insertion Hole
812 Separation bulkhead
813 steam outlet
814 Recovery Hall
815 water pipe
820 Case Cover 821 Cover Hook
830 heater fixing part
831 fixing clip 832 support clip 833 clip fastening member
840 heater part
841 first heater
842 Second Heater
843 Heat Sealer
850 water level sensor
851 sensor body 852 contact protrusion 853 sensor fastening member
860 Temperature Sensor
870 mounting bracket
871 lower panel 872 side panel 873 fixing clip
880 Steam Pump
890 water pipe
900 steam outlet
910 supply container
911 container side
912 1st floor 9121 1st pipe 9122 2nd pipe
913 2nd floor 9131 3rd pipe 9132 shield pipe 9133 open surface
920 container cover
921 fixed protrusion
922 Water separation plate 923 Steam injection hole 924 Fastening hook

Claims (27)

의류가 저장되는 이너케이스에 공급되는 스팀을 생성하는 제1히터와, 상기 제1히터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1히터와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한 제2히터를 포함하는 스팀공급부와,
상기 이너케이스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열공급부가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하여 상기 이너케이스에 공급될 상기 스팀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하여 상기 이너케이스에 상기 스팀을 공급하는 분사단계;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여 가열된 상기 공기로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준비단계에서 상기 스팀이 생성된 이후에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어느 하나만을 구동하여 상기 스팀을 상기 이너케이스에 공급하는 예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 steam supply unit including a first heater generating steam supplied to an inner case in which clothes are stored, and a second heate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heater and operable independently of the first heater;
In the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heat supply unit including a heat exchanger for heating air supplied to the inner case and a compressor for supplying refrigerant to the heat exchanger,
a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the steam to be supplied to the inner case by dri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 spraying step of supplying the steam to the inner case by dri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 drying step of drying the clothes with the air heated by driving the compressor;
and a preheating step of supplying the steam to the inner case by driving only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fter the steam is generated in the preparation step.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허용전력은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및 상기 압축기가 동시에 구동할 때 필요한 전력 보다는 작고,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축기가 동시에 구동할 때 필요한 전력 보다는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allowable power of the clothes handling device is
smaller than the power required when the first heater, the second heater, and the compressor are simultaneously driven;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set higher than the power required when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nd the compressor are simultaneously driv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단계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축기가 동시에 구동하는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reheating step includes a section in which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nd the compressor are driven simultaneous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단계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축기를 동시에 구동하는 제1구간과,
상기 압축기만 구동하는 제2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preheating step
A first section in which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nd the compressor are simultaneously driven;
A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second section in which only the compressor is drive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히터는 상기 제1히터 보다 더 많은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예열단계는 상기 제2히터를 구동하고 상기 제1히터의 구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heater is provided to generate more steam than the first heater,
In the preheating step, the second heater is driven and the first heater is stopp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단계에서 상기 제2히터는 구동과 중단을 반복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5,
In the preheating step, the second heater is controlled to repeat driving and stopp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단계에서 제2히터가 구동되는 시간은 중단되는 시간 보다 더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6,
In the preheating step, a driving time of the second heater is set to be longer than a stopping ti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단계에서 상기 압축기에서 냉매의 토출압력, 상기 냉매의 온도,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 중 어느 하나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2히터는 구동을 중단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7,
In the preheating step, if any one of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case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the second heater is controlled to stop driving.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히터는 상기 제1히터 보다 더 많은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예열단계는 상기 제1히터를 구동하고 상기 제2히터의 구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heater is provided to generate more steam than the first heater,
In the preheating step, the first heater is driven and the second heater is stopp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단계에서 상기 제1히터가 구동되는 시간은 상기 제1히터가 OFF 되는 시간 보다 더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9,
In the preheating step, the driving time of the first heater is set to be longer than the turning off time of the first 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를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스팀을 상기 이너케이스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praying step,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re simultaneously driven to supply the steam to the inner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injection step is a control method of a flow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1히터 및 상기 제2히터의 구동이 설정시간 동안 중단되는 대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2,
and a standby step in which driving of the compressor,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is stopped for a set time when the spraying step is finish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기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되 상기 압축기의 구동은 중단하는 냉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blowing fan for supplying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and a cooling step of driving the blowing fan but stopping driving of the compressor when the standby step is finish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의 구동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drying step, driving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is stop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어느 하나만 구동하는 저감분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praying step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reducing injection step of driving only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스에 수용된 의류가 수분 또는 고온에 변형될 수 있는 취약정보를 입력받는 의류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취약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예열단계는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lothing setting unit for receiving vulnerability information that the clothing accommodated in the inner case may be deformed by moisture or high temperature;
When the vulnerability information is input, the preheating step is omitted.
의류가 저장되는 이너케이스에 공급되는 스팀을 생성하는 제1히터와, 상기 제1히터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1히터와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한 제2히터를 포함하는 스팀공급부와,
상기 이너케이스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열공급부와,
상기 이너케이스에 수용된 의류가 수분 또는 고온에 변형될 수 있는 취약정보를 입력받는 의류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하여 상기 이너케이스에 공급될 상기 스팀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하여 상기 이너케이스에 상기 스팀을 공급하는 분사단계;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여 가열된 상기 공기로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준비단계에서 상기 스팀이 생성된 이후에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여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상승하는 예열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취약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예열단계가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 steam supply unit including a first heater generating steam supplied to an inner case in which clothes are stored, and a second heate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heater and operable independently of the first heater;
A heat supply unit including a heat exchanger for heating the air supplied to the inner case and a compressor for supplying a refrigerant to the heat exchanger;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clothes input unit for receiving vulnerability information that clothes accommodated in the inner case may be deformed by moisture or high temperature,
a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the steam to be supplied to the inner case by dri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 spraying step of supplying the steam to the inner case by dri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 drying step of drying the clothes with the air heated by driving the compressor;
After the steam is generated in the preparation step, further comprising a preheating step of increa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by driving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nd the compressor,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heating step is omitted when the vulnerability information is inpu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어느 하나만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8,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praying step, only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is driven when the vulnerability information is inpu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취약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건조단계 이후 상기 송풍팬은 구동하고 상기 압축기의 구동은 중단하는 추가냉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9,
A blowing fan supplying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and an additional cooling step of driving the blowing fan and stopping driving of the compressor after the drying step when the vulnerability information is inpu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정보는 상기 의류가 캐시미어 소재를 적어도 일부포함하는 캐시미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캐시미어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제2히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9,
The vulnerability information includes cashmere information in which the clothing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cashmere material;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aying step drives the second heater when the cashmere information is inpu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히터는 상기 제1히터 보다 더 많은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취약정보는 상기 의류가 실크소재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실크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실크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제1히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8,
The second heater is provided to generate more steam than the first heater,
The vulnerability information includes silk information in which the clothing includes at least a part of a silk material,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praying step, the first heater is driven when the silk information is inpu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히터는 상기 제1히터 보다 더 많은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취약정보는 상기 의류가 실크소재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실크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실크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분사단계도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8,
The second heater is provided to generate more steam than the first heater,
The vulnerability information includes silk information in which the clothing includes at least a part of a silk material,
If the silk information is input, the spraying step is also omitted.
의류가 저장되는 이너케이스에 공급되는 스팀을 생성하는 제1히터와, 상기 제1히터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1히터와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한 제2히터를 포함하고 스팀공급부와,
상기 이너케이스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열공급부와,
상기 이너케이스에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살균하는 살균명령을 입력받는 의류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살균명령이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하여 상기 이너케이스에 공급될 상기 스팀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하여 상기 이너케이스에 상기 스팀을 공급하는 분사단계;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여 가열된 상기 공기로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준비단계에서 상기 스팀이 생성된 이후에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여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살균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살균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히터는 상기 제1히터 보다 더 많은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살균단계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 steam supply unit including a first heater generating steam supplied to an inner case in which clothes are stored, and a second heate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heater and operable independently of the first heater;
A heat supply unit including a heat exchanger for heating the air supplied to the inner case and a compressor for supplying a refrigerant to the heat exchanger;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clothes input unit for receiving a sterilization command for sterilizing clothes accommodated inside the inner case,
a sensing step of sensing that the sterilization command is input;
a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the steam to be supplied to the inner case by dri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 spraying step of supplying the steam to the inner case by dri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 drying step of drying the clothes with the air heated by driving the compressor;
After the steam is generated in the preparation step, further comprising a sterilization step of rai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to a sterilization temperature or higher by driving on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nd the compressor,
The second heater is provided to generate more steam than the first heater,
In the sterilization step, the first heater and the compressor are driven.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단계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압축기가 동시에 구동하는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24,
The sterilization step includes a section in which the first heater and the compressor are simultaneously driven.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단계는 상기 제1히터는 구동과 정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24,
In the sterilizing step, the first heater is controlled to repeat driving and stopping.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단계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목표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제1히터의 구동을 중단하고,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살균온도 이하로 하강하면 상기 제1히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26,
In the sterilization step,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rises above the target temperature, the driving of the first heater is stopped,
and driving the first heater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ase drops below a sterilization temperature.
KR1020220025487A 2022-01-28 2022-02-25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301166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1260 WO2023146338A1 (en) 2022-01-28 2023-01-27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023 2022-01-28
KR20220013023 2022-0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625A true KR20230116625A (en) 2023-08-04

Family

ID=8756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487A KR20230116625A (en) 2022-01-28 2022-02-25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662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797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US8418509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435822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US8230613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U2007277599B2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005681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CN101981246B (en) Odor supply apparatus and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435810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090105120A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060038796A (en) Washing device integrating clothes dryer
EP1967640B1 (en) Fabric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EP2042646A1 (en) Home laundry dryer
KR101430459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230116625A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30116624A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090105124A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230127876A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40003156A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40003157A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081621A (en)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KR20230081629A (en)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KR20230081624A (en)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KR20230081623A (en)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KR20230081627A (en)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KR20230081628A (en)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