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176A - Metaverse based art exhibi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averse based art exhibi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176A
KR20230116176A KR1020220012785A KR20220012785A KR20230116176A KR 20230116176 A KR20230116176 A KR 20230116176A KR 1020220012785 A KR1020220012785 A KR 1020220012785A KR 20220012785 A KR20220012785 A KR 20220012785A KR 20230116176 A KR20230116176 A KR 20230116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digital
module
exhib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7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은희
Original Assignee
이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희 filed Critical 이은희
Priority to KR1020220012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6176A/en
Publication of KR2023011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176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chnology Law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 및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capable of exhibiting and trading digital artworks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Description

메타버스 기반 작품 전시 시스템{Metaverse based art exhibition system}Metaverse based art exhibition system}

본 발명은 메타버스 기반의 작품 전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verse-based art exhibition system.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물리적으로 현실에 존재하지 않으나,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생성 및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예술품이 창작되고 있다.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예로 디지털사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그려진 디지털 그림, 디지털 동영상, 3D 모델링 데이터, 3D 스캐닝 데이터 등을 들수 있는데, 하기 특허문헌처럼 디지털 예술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digital artworks that do not physically exist in reality, but can be created and confirmed using electronic devices such as digital cameras, smartphones, and computers, are being created. Examples of the digital artwork include digital photos, digital pictures drawn by computer programs, digital videos, 3D modeling data, 3D scanning data, and the like.

본 발명은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 및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exhibiting and trading digital artworks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은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와 정보를 교환하여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 및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DB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전시하는 전시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시설정부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시실의 관람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전시설정부에 의해 설정 된 전시실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전시관람부와,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의 거래가 수행되도록 하는 거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art exhibition and tra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and a management server that exchanges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to display and trade digital art works, and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DB An exhibi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up an exhibition room for displaying digital artworks stored in the server using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and when information requesting viewing of the exhibition room is output from the terminal, the exhibition setting unit se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xhibition viewing unit for displaying the exhibition room on the terminal, and a transaction unit for performing transactions of digital works of art stored in the DB server.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 및 거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법 복제의 위험없이 디지털 예술품을 독점적으로 소유하고 현실 배경을 이용하여 디지털 예술품의 전시가 가능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예술품의 거래가 기록됨으로 증명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켜, 디지털 예술품의 거래를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combining and using the above embodiments and configurations to be described below.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xhibiting and trading digital artworks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xclusively own digital artworks without the risk of illegal copying, display digital artworks using a real background, and improve proof and security by recording transactions of digital artworks using block chain technology. , has the effect of activating the trade of digital art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가입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2의 전시설정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4의 가상현실설정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2의 전시관람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2의 현실배치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2의 거래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4의 가상현실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된 일 예의 가상현실 전시실의 디스플레이 화면.
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art exhibition and tr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of Figure 1;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joining unit of FIG. 2;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setting unit of Fig. 2;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virtual reality setting module of Figure 4;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xhibition viewing unit of Figure 2;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ality placement unit of Fig. 2;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rading unit of FIG. 2;
9 is a display screen of an example of a virtual reality exhibition room set by the virtual reality setting module of FIG. 4;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의 블럭도이며,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가입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4는 도 2의 전시설정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가상현실설정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블럭도이며, 도 6은 도 2의 전시관람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7은 도 2의 현실배치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8은 도 2의 거래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9는 도 4의 가상현실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된 일 예의 가상현실 전시실의 디스플레이 화면이다.Hereinafter, a digital artwork exhibition and trad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also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 unit, ... module"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Figure 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art exhibition and tr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of Figure 1, Figure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ubscription unit of Figure 2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xhibition setting unit in FIG. 2,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virtual reality setting module in FIG. 4, and FIG. 6 is an exhibition view in FIG. 2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ality placement unit in FIG. 2,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rading unit in FIG. 2, and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virtual reality unit in FIG. 4. It is a display screen of an example of a virtual reality exhibition room set by the setting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을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은 단말기(100), 영상취득장치(200), 관리서버(1), DB서버(30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예술품은 물리적으로 현실에 존재하지 않으나,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를 의미하며, 상기 디지털 예술품은 컴퓨터 파일 형태로 존재하며, 디지털 사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그려진 디지털 그림, 디지털 동영상, 3D 모델링 데이터, 3D 스캐닝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9, a digital art exhibition and trad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 management server 1, DB server 300 and the like. The digital work of art does not physically exist in reality, but can be created using electronic devices and refers to digital content that can be visually confirmed using electronic devices, and the digital work of art exists in the form of a computer file, Examples include photos, digital pictures drawn by computer programs, digital motion pictures, 3D modeling data, 3D scanning data, and the like.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디지털 예술품전시 및 거래 시스템의 사용자가 상기 관리서버(1)와 정보를 교환하기위해 사용하는 구성으로, 상기 단말기(100)는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전자기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PC, 스파트폰, 태블릿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를 통한 정보의 교환은, 상기 관리서버(1)에서 전송받아 설치된 정보처리앱에 의해 수행되거나,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1)에 의해 관리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수행되게 된다. 상기 단말기(100)는 디지털 예술품의 창작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와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창작자라 함은 디지털예술품을 창작한 자를 의미하고, 상기 일반 사용자라 함은 상기 시스템을 통해 전시되는 디지털 예술품을 감상하고, 상기 디지털 예술품을 거래하는 일반인을 의미한다. The terminal 100 is a configuration used by the user of the digital art exhibition and transaction system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1, and the terminal 100 can exchange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exchange information.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toring may be used, and for example, a PC, smart phone, tablet, and the like may be used. Exchange of information through the terminal 100 is performed by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 received and install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 or accessing the homepage managed by the management server 1 through the terminal 100. to be performed. The terminal 100 may include a terminal used by a creator of a digital artwork and a terminal used by a general user, and the creator refers to a person who creates a digital artwork, and the general user refers to the system It refers to the general public who appreciates digital artworks displayed through and trades the digital artworks.

상기 관리서버(1)는 상기 단말기(100)와 정보를 교환하여 디지털 예술품의 전시 및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송수신부(11), 가입부(12), 등록부(13), 전시설정부(14), 전시관람부(15), 현실배치부(16), 거래부(17), 분산기록부(18), 저장부(19), 제어부(20) 등을 포함한다. The management server 1 is configured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100 so that digital artworks can be exhibited and traded. 14), an exhibition viewing unit 15, a reality placement unit 16, a transaction unit 17, a distributed recording unit 18, a storage unit 19, a control unit 20, and the like.

상기 송수신부(11)는 단말기(100), 영상취득장치(200) 및 DB서버(300) 등과 정보를 교환한다. 상기 가입부(12)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회원가입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회원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여 회원가입을 완료하고 회원정보를 상기 저장부(19)에 저장하는 구성으로, 창작자가입모듈(121), 사용자가입모듈(122) 등을 포함한다. The transceiver 11 exchanges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100, the image capture device 200, and the DB server 300. When information requesting membership registration is output from the terminal 100, the joining unit 12 checks information necessary for membership registration, completes membership registration, and stores the member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19. , includes a creator subscription module 121, a user subscription module 122, and the like.

상기 창작자가입모듈(121)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창작자 회원의 가입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창작자 회원의 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여 창작자 회원의 가입을 완료하고 창작자 회원의 정보를 저장한다. The creator member registration module 121, when information requesting creator member registration is output from the terminal 100, confirms information necessary for creator member registration, completes creator member registration, and stores creator member information. do.

상기 사용자가입모듈(122)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일반 사용자 회원의 가입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일반 사용자 회원의 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여 일반 사용자 회원의 가입을 완료하고 일반 사용자 회원의 정보를 저장한다.When information requesting general user member registration is output from the terminal 100, the user registration module 122 checks information necessary for general user member registration, completes general user member registration, and completes general user member registration. store the information of

상기 등록부(13)는 상기 창작자가입모듈(121)에 의해 가입이 완료된 창작자 회원의 정보, 디지털 예술품 원본 파일 및 디지털 예술품의 등록을 요청하는 정보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된 경우, 이를 확인하여 상기 디지털 예술품(원본 파일)을 상기 DB서버(300)에 저장하고, 상기 창작자를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로 상기저장부(19)에 저장한다. The registration unit 13 checks the information of the creator member whose subscription has been completed by the creator registration module 121, the digital artwork original file, and the information requesting registration of the digital artwork output from the terminal 100, The digital artwork (original file) is stored in the DB server 300, and the creator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 as the owner of the digital artwork.

상기 전시설정부(14)는 상기 DB서버(300)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전시하는 전시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가상현실설정모듈(141), 증강현실설정모듈(142) 등을 포함한다. The exhibition setting unit 14 is configured to set an exhibition room for displaying digital artworks stored in the DB server 300 using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and includes a virtual reality setting module 141, an augmented reality setting module (142), etc.

상기 가상현실설정모듈(141)은 상기 DB서버(300)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전시하는 전시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확인모듈(141a), 정보모듈(141b), 위치모듈(141c), 저장모듈(141d) 등을 포함한다. The virtual reality setting module 141 is configured to set an exhibition room for displaying digital artworks stored in the DB server 300 using virtual reality, and includes a confirmation module 141a, an information module 141b, and a location module. (141c), a storage module (141d) and the like.

상기 확인모듈(141a)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회원정보와 함께 특정 디지털 예술품의 가상현실 전시를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저장부(19)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회원정보가 출력된 회원이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인지 판단한다. The confirmation module 141a check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 and outputs the member information when information requesting virtual reality exhibition of a specific digital artwork is output from the terminal 100 together with member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gistered member is the owner of the digital artwork.

상기 정보모듈(141b)은 회원정보가 출력된 회원이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라고 상기 확인모듈(141a)이 판단한 경우, 상기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가상현실 전시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에 출력하여, 상기 회원이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가상현실 전시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DB서버(300)에는 다양한 가상현실 전시실이 존재하므로, 상기 회원은 단말기(100)를 통해 특정 가상현실 전시실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confirmation module 141a determines that the member whose member information is output is the owner of the digital artwork, the information module 141b transmits information about a virtual reality exhibition room where the digital artwork can be displayed to the terminal 100. , so that the member can select a virtual reality exhibition room in which digital artworks can be displayed. Since there are various virtual reality exhibition rooms in the DB server 300, the member can select a specific virtual reality exhibition room through the terminal 100. You can choose a virtual reality exhibition room.

상기 위치모듈(141c)은 상기 정보모듈(141b)에 의해 선택된 가상현실 전시실에서 상기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상현실 전시실에는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될 수 있는 다수의 영역이 존재하므로, 상기 회원은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가상현실 전시실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The location module 141c is configured to select an area where the digital artwork is to be placed in the virtual reality exhibition room selected by the information module 141b. Since exists, the member can select a specific area in the virtual reality exhibition room through the terminal 100.

상기 저장모듈(141d)은 상기 위치모듈(141c)에 의해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될 가상현실 전시실의 특정 영역이 선택된 후, 특정 가상현실 전시실의 특정 영역에 특정 회원의 특정 디지털 예술품이 전시된다는 전시 정보를 상기저장부(19)에 저장한다. 도 9는 상기 가상현실설정모듈(141)에 의해 설정된 가상현실 전시실(A)의 일 예를 나타내는데, 상기 디지털 예술품(B)이 위치할 수 있는 다수의 영역(C)이 존재하며, 디지털 예술품(B)의 각 소유권자는 상기 영역(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디지털 예술품(B)을 전시할 수 있어, 즉 하나의 가상현실 전시실에는 소유권자가 다른 여러 개의 디지털 예술품이 전시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예수품(B)이 동영상인 경우, 상기 영역(C)에서 동영상이 플레이되게 된다. The storage module 141d stores exhibition information that a specific digital artwork of a specific member is displayed in a specific area of the virtual reality exhibition room after a specific area of the virtual reality exhibition room where the digital artwork is to be placed is selected by the location module 141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 9 shows an example of the virtual reality exhibition room (A) set by the virtual reality setting module 141, there are a plurality of areas (C) in which the digital artwork (B) can be located, and the digital artwork ( Each owner of B) can select any one of the above areas (C) to display his/her digital art work (B), that is, it is possible to display several digital art works of different owners in one virtual reality exhibition room. do. In addition, when the digital gift B is a moving picture, the moving picture is played in the area C.

상기 증강현실설정모듈(142)는 영상취득장치(200)가 촬영한 영상을 배경으로 이용하여 상기 DB서버(300)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하는 증강현실 전시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전시요청모듈(142a), 선택모듈(142b), 저장모듈(142c) 등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취득장치는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구성으로, 디지털 CCTV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연상취득장치가 광화문에 설치되어 있다면, 상기 광화문의 영상을 촬영하여 전달하게 된다. The augmented reality setting module 142 is configured to set an augmented reality exhibition room for displaying digital artworks stored in the DB server 300 us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200 as a background, and requests an exhibition. It includes a module 142a, a selection module 142b, a storage module 142c, and the like.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places to capture and transmit images, and a digital CCTV can be taken as an example. For example, if the association acquisition device is installed in Gwanghwamun, the image of Gwanghwamun is captured and transmitted. .

상기 전시요청모듈(142a)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회원정보와 함께 특정 디지털 예술품의 증강현실 전시를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저장부(19)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회원정보가 출력된 회원이 상기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인지 판단한다. The exhibition request module 142a check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 when information requesting an augmented reality exhibition of a specific digital artwork is output from the terminal 100 together with member information, and the member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inted member is the owner of the digital artwork.

상기 선택모듈(142b)은 회원정보가 출력된 회원이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라고 상기 요청모듈(142a)이판단한 경우, 상기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증강현실 전시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에 출력하여, 상기 회원이 디지털 예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증강현실 전시실 및 상기 증강현실 전시실에서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영상취득장치(200)는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어 여러 장소의 영상을 취득하고, 상기 관리서버(1)는 상기 영상취득장치(200)가 출력한 영상을 배경으로 하여 증강현실 When the request module 142a determines that the member whose member information is output is the owner of the digital artwork, the selection module 142b transmits information about an augmented reality exhibition room capable of exhibiting the digital artwork to the terminal 100. , so that the member can select an augmented reality exhibition room in which a digital artwork can be displayed and an area where the digital artwork is to be placed in the augmented reality exhibition room.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200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places to acquire images of various places, and the management server 1 uses the image output by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200 as a background for augmented reality.

전시실을 생성하므로, 상기 회원은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가상현실 전시실을 확인하고 특정 가상현실 전시실 및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될 영역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exhibition room is created, the member can check the virtual reality exhibition room through the terminal 100 and select a specific virtual reality exhibition room and an area where a digital artwork is to be placed.

상기 저장모듈(142c)은 상기 선택모듈(142b)에 의해 증강현실 전시실 및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될 영역이 선택된 후, 특정 증강현실 전시실의 특정 영역에 특정 회원의 특정 디지털 예술품이 전시된다는 전시 정보를 상기 저장부(19)에 저장한다. 예컨대, 영상취득장치(200)가 광화문, 강남역에 설치되어 있고, 광화문에서 촬영된 영상을 배경으로 하며 상기 배경의 특정 영역 a, b, c에 디지털 예술품을 설치할 수 있는 증강현실 전시실(A) 및 강남역에서 촬영된 영상을 배경으로 하며 상기 배경의 특정 영역 d, e, f에 디지털 예술품을 설치할 수 있는 증강현실 전시실(B)이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데, 상기 회원이 증강현실설정모듈(142)을 통해 자신이 소유하는 디지털 예술품(C)의 전시를 위해 전시실 A 및 영역 b를 선택한 경우, 회원이 증강현실 전시실 A의 관람을 요청한 경우 상기 영상취득장치(200)가 촬영한 광화문 영상을 배경으로 하며 상기 배경의 영역 b에 디지털 예술품(C)가 위치하는 영상을 상기 회원이 단말기(100)에 출력하게 된다. The storage module 142c recalls exhibition information that a specific digital artwork of a specific member is displayed in a specific area of a specific augmented reality exhibition room after the augmented reality exhibition room and the area where the digital artwork is to be placed are selected by the selection module 142b.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 For example, an augmented reality exhibition room (A) in which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200 is installed in Gwanghwamun and Gangnam Station, and digital artworks can be installed in specific areas a, b, and c of the background with an image taken in Gwanghwamun as a background, and An augmented reality exhibition room (B) is set and stored in which digital artworks can be installed in specific areas d, e, and f of the background with the image taken in Gangnam Station as the background. The member uses the augmented reality setting module 142 If you select exhibition room A and area b for the exhibition of your digital artwork (C) through The member outputs to the terminal 100 an image in which the digital artwork C is located in the area b of the background.

상기 전시관람부(15)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시실의 관람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전시설정부(14)에 의해 설정된 전시실이 상기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가상현실관람모듈(151), 증강현실관람모듈(152), 푸시관람모듈(153) 등을 포함한다. The exhibition viewing unit 15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exhibition room set by the exhibition setting unit 14 on the terminal 100 when information requesting viewing of the exhibition room is output from the terminal 100, It includes a virtual reality viewing module 151, an augmented reality viewing module 152, a push viewing module 153, and the like.

상기 가상현실관람모듈(151)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가상현실 전시실의 관람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가상현실설정모듈(141)에 의해 설정된 전시 정보에 따라 가상현실 전시실이 상기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도 9는 상기 단말기(1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가상현실 전시실의 일 예를 나타낸다.When information requesting viewing of a specific virtual reality exhibition room is output from the terminal 100, the virtual reality viewing module 151 displays the virtual reality exhibition room according to the exhibition information set by the virtual reality setting module 141. to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100. 9 shows an example of a virtual reality exhibition room displayed by the terminal 100 .

상기 증강현실관람모듈(152)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증강현실 전시실의 관람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설정모듈(142)에 의해 설정된 전시 정보에 따라 증강현실 전시실이 상기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증강현실 전시실의 관람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 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 전시실의 배경이 되는 영상을 상기 영상취득장치(200)로부터 수득하는 영상취득모듈(152a)과, 상기 증강현실설정모듈(142)에 의해 설정된 전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DB서버(300)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상기 영상취득모듈(152a)을 통해 수득한 영상에 합성하여 증강현실 전시실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 (100)에 출력하는 합성모듈(152b) 등을 포함한다. When information requesting viewing of a specific augmented reality exhibition room is output from the terminal 100, the augmented reality viewing module 152 sets the augmented reality exhibition room according to the exhibition information set by the augmented reality setting module 142. It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100, and when information requesting viewing of a specific augmented reality exhibition room is output from the terminal 100, an image serving as a background of the augmented reality exhibition room is obtain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200. The digital artwork stored in the DB server 300 is synthesized into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52a by check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set by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52a and the augmented reality setting module 142. and a synthesizing module 152b for generating an augmented reality exhibition room and outputting it to the terminal 100.

상기 푸시관람모듈(153)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회원이 특정 영상취득장치(200)가 위치하는 지역에 존재한다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특정 영상취득장치(200)가 촬영한 영상을 수득하고 상기 증강현실설정모듈(142)에 의해 설정된 전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DB서버(300)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상기 영상에 합성하여 증강현실 전시실을 생성하여 푸시 형태로 상기 단말기(100)에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영상취득장치(200)에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장치(미도시, 예컨대, 고유의 식별정보를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비콘이 사용될 수 있음)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영상취득장치(즉, 전송장치)의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에 설치된 정보처리앱의 제어에 의해 상기 단말기(100)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관리서버(1)에 전송하게 되며, 상기 푸시관람모듈(153)은 상기 고유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기(100)가 특정 영상취득장치(200)가 위치하는 지역에 존재한다고 판단하게 된다. 즉, 특정 지역에 회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푸시관람모듈(153)은 상기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증강현실 전시실을 상기 단말기(100)에 푸시 형태로 출력하므로, 상기 회원을 흥미를 가지고 상기 증강현실 전시실을 관람할 가능성이 커서, 디지털 예술품의 전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The push viewing module 153 obtains an image captured by the specific image acquiring device 200 when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terminal 100 that the member exists in the area where the specific image acquiring device 200 is located. And check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set by the augmented reality setting module 142, synthesizing the digital artwork stored in the DB server 300 with the image to create an augmented reality exhibition room and outputting it to the terminal 100 in a push form. is a composition Since a transmitter (not shown, for example, a beacon that transmit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Bluetooth Low Energy) is attached to the image capture device 200, the terminal 100 transmit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is loc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of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e, transmission device), the terminal 100 receiv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 installed in the terminal 100, and the management server (1), the push viewing module 153 check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100 exists in the area where the specific image acquisition device 200 is located. That is, when a member is located in a specific area, the push viewing module 153 outputs the augmented reality exhibition room with the background of the area to the terminal 100 in a push form, so that the member is interested in the augmented reality The possibility of viewing the exhibition room is high, so the display effect of digital art can be maximized.

상기 현실배치부(16)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배경으로 하며 상기 배경의 특정 영역에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된 배치 영상이 상기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현실배치요청모듈(161), 배경영상모듈(162), 배치영상출력모듈(163) 등을 포함한다. The reality placement unit 16 has an image taken from the terminal 100 as a background and a configuration image in which a digital artwork is arranged in a specific area of the background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100, and the reality placement request It includes a module 161, a background image module 162, a batch image output module 163, and the like.

상기 현실배치요청모듈(161)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장소의 특정 영역에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된 배치 영상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되었는지 확인하는 구성이다. The reality arrangement request module 161 is a component that checks whether information requesting an arrangement image in which a digital artwork is arranged in a specific area of a specific place is output from the terminal 100 .

상기 배경영상모듈(162)은 상기 현실배치요청모듈(162)이 배치 영상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단말기(100)에서 출력된 촬영 영상을 수득하는 구성이다. The background image module 162 is a component that obtains a captured image output from the terminal 100 when the actual arrangement request module 162 determines that the information requesting the arrangement image is output.

상기 배치영상출력모듈(163)은 상기 배경영상모듈(162)이 출력한 촬영 영상을 배경으로 하며, 상기 저장부(19)에 저장된 배치영상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DB서버(300)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을 상기 촬영 영상에 합성하여 배치 영상이 상기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 저장부(19)에는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에게 부여되는 특정 식별자(예컨대, 바코드, 큐알코드 등)를 촬영하여 출력하는 경우,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영상을 배경으로 하며 상기 식별자 위치에 특정 디지털 예술품을 배치한다는 배치영상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식별자를 촬영한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현실배치요청모듈(161)은 배치영상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되었다고 판단하게 되며, 상기 배경영상모듈(162)은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영상을 수득하고, 상기 배치영상출력모듈(163)은 상기 식별자와 상기 저장부(19)에 저장된 배치영상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영상에 특정 디지털 예술품이 합성된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100)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는 자신에게만 부여된 상기 식별자를 자신이 원하는 특정 장소에 부착한 후, 상기 식별자를 촬영하여 전송함으로써, 언제든지 원하는 장소에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래부(17)는 상기 DB서버(300)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의 거래가 수행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거래요청모듈(171), 거래정보모듈(172), 가격합의모듈(173), 소유권이전모듈(174), 삭제모듈(175), 부여모듈(176) 등을 포 The batch image output module 163 uses the photographed image output by the background image module 162 as a background, and the digital artwork stored in the DB server 300 according to the batch image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 is synthesized with the photographed image so that the arrangement image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100 . When a specific identifier (eg, barcode, QR code, etc.) assigned to the owner of the digital artwork is photographed and outputted in the storage unit 19, a video including the identifier is used as a background and a specific digital artwork is placed at the location of the identifier. Since the arrangement image setting information for arrangement is stored, when an image obtained by capturing a specific identifier is output from the terminal 100, the actual arrangement request module 161 determines that information requesting a placement image has been output, The background image module 162 obtains an image including the identifier, and the batch image output module 163 compares the identifier with batch image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 to obtain a specific digital image for the image. An image synthesized with a work of art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terminal 100 . The owner of the digital art work attaches the identifier assigned only to him/herself to a specific place he/she desires, and then photographs and transmits the identifier, so that the digital art work of art can be viewed at any time at a desired place. The transaction unit 17 is configured to perform transactions of digital artworks stored in the DB server 300, and includes a transaction request module 171, a transaction information module 172, a price agreement module 173, an ownership transfer module ( 174), delete module 175, grant module 176, etc.

함한다. 회원은 상기 전시관람부(15) 또는 현실배치부(16)를 통해 타인 소유의 디지털 예술품을 볼 수 있고, 상기 거래부(17)를 통해 자신만 관람을 위한 목적 또는 투자의 목적으로 구매할 수 있어, 디지털 예술품의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contains Members can view digital artworks owned by others through the exhibition viewing unit 15 or reality placement unit 16, and purchase them for the purpose of viewing or investment only by themselves through the transaction unit 17. , it will be possible to promote the market for digital artworks.

상기 거래요청모듈(171)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디지털 예술품의 매수하겠다는 정보가 출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구성이다. The transaction request module 171 is a component that determines whether information to purchase a specific digital artwork is output from the terminal 100 .

상기 거래정보모듈(172)은 상기 거래요청모듈(171)이 특정 디지털 예술품을 매수하겠다는 정보가 출력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디지털 예술품이 거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100)에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거래정보에는 창작자, 이전 소유자, 현재 소유자, 이전 거래 가격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디지털 예술품을 매수하고자 하는 회원은 디지털 예술품의 현재 가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래정보모듈(172)은 저장부(19) 및 무작위로 선택된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거래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상기 단말기(100)에 전송하므로써, 해킹 등으로 인한 보안 사고를 방지하여 거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The transaction information module 172 is a component that extracts transaction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artwork and outputs it to the terminal 100 when the transaction request module 171 determines that the information to purchase a specific digital artwork has been output. The transac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creator, previous owner, current owner, and previous transaction price, so that a member who wants to purchase a digital artwork can accurately grasp the current value of the digital artwork. The transaction information module 172 compares the transac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 and the memory of the randomly selected terminal,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terminal 100, thereby preventing security accidents due to hacking and the like, thereby ensuring transaction safety. can promote

상기 가격합의모듈(173)은 상기 거래정보모듈(172)에 의해 거래 정보가 전송된 후, 매수를 원하는 회원의 단말기(100) 및 소유권자 회원의 단말기(100)와 디지털 예술품의 매매 가격 정보를 교환하여 매수자와 소유권자의 매매 가격 합의가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매수를 원하는 회원의 단말기(100)에서 디지털 예술품 A를 B원에 구매하겠다는 매매 가격 정보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예술품 A 소유권자의 단말기(100)에 상기 매매 가격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소유권자의 단말기(100)에서 매매를 승낙하는 정보가 출력되는 경우매매 가격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하게 된다. After the transa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the transaction information module 172, the price agreement module 173 exchanges sales price information of the digital artwork with the terminal 100 of the member who wants to purchase and the terminal 100 of the owner member It is a configuration to determine whether an agreement on the sale price has been reached between the buyer and the owner.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100 of a member who wants to purchase outputs the sale price information to purchase digital art work A for B won, the sale pric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terminal 100 of the owner of the digital art work A, and the owner's When the terminal 100 outputs information for approving the transaction, it is determined that a transaction price agreement has been reached.

상기 소유권이전모듈(174)은 상기 가격합의모듈(173)이 매수자와 소유권자의 매매 가격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매수자를 매매 대상이 되는 디지털 예술품의 새로운 소유권자로 상기 저장부(19)에 저장하는 구성이다. The ownership transfer module 174 stores the purchaser in the storage unit 19 as the new owner of the digital artwork to be sold when the price agreement module 173 determines that a purchase price agreement has been reached between the purchaser and the owner. It is a composition that

상기 삭제모듈(175)은 상기 소유권이전모듈(174)에 의해 소유권 이전의 사실이 상기 저장부(19)에 저장된 경우,이전 소유자권가 전시설정부(14)를 통해 설정한 전시 정보를 상기 저장부(19)에서 삭제하고, 이전 소유자에게 부여된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19)에서 삭제한다. 즉, 디지털 예술품이 소유권 이전이 일어난 경우, 이전 소유자에 의해 설정된 전시 정보에 따라 디지털 예술품이 전지되지 않으며, 이전 소유자에게 부여된 식별자를 촬영하여 전송하여도 단말기에 디지털 예술품이 출력되지 않게 된다. The deletion module 175 transfers the exhibition information set through the exhibition setting unit 14 to the storage unit when the fact of transfer of ownership by the ownership transfer module 174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 It is deleted in (19), and the information on the identifier given to the previous owner is deleted from the storage unit (19). That is, when ownership of a digital artwork is transferred, the digital artwork is not stored according to the exhibition information set by the previous owner, and the digital artwork is not output to the terminal even if the identifier assigned to the previous owner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상기 부여모듈(176)은 상기 삭제모듈(175)에 의해 이전 소유권자에게 부여된 식별자에 대한 정보가 삭제된 경우, 매매의 대상이 된 디지털 예술품에 매칭된 새로운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19)에 저장하고, 새로운 소유권자의 단말기(100)에 새로운 식별자를 수득할 수 있는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새로운 소유권자는 단말기(100)를 통해 새로운 식별자를 출력하여 원하는 장소에 붙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 assigning module 176, when the information on the identifier assigned to the previous owner by the deletion module 175 is deleted, transfers information on a new identifier matched to the digital artwork that has been sold to the storage unit 19 ), and outputs information for obtaining a new identifier to the terminal 100 of the new owner. For example, the new owner can output a new identifier through the terminal 100 and attach it to a desired place and use it.

상기 분산기록부(18)는 상기 저장부(19)에 기록된 거래 정보를 매매에 관여하지 않은 타 회원의 단말기(100)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분산기록부(18)가 타 회원의 단말기(100)에 거래 정보 및 상기 거래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라는 신호를 전달하면, 상기 단말기(100)에 설치된 정보처리앱은 상기 거래 정보를 단말기(100)에 저장함으로써, 거래 정보를 해킹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The distributed recording unit 18 is configured to store the transac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storage unit 19 in the memory of the terminal 100 of another member not involved in trading. When the distributed recording unit 18 transmits transaction information and a signal to store the transaction information in memory to the terminal 100 of another member,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 installed in the terminal 100 transmits the transac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00. By storing it in , it is possible to protect transaction information from the risk of hacking.

상기 저장부(19)는 상기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설정정보, 상기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생성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관리서버(1)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정보처리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DB서버(300)는 디지털 예술품 원본 파일을 저장한다. 창작자에 의해 창작된 디지털 예술품의 The storage unit 19 stores setting information required to operate the system and information generated while operating the system. 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1 and controls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 to be installed. The DB server 300 stores the original digital artwork file. of digital artwork created by the creator.

원본 파일은 상기 DB서버(300)에 저장되고,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거래 시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원본 파일이 이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거래 기록만 저장되고 새로운 소유자는 전자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거래 시 불법 복제의 위험을 제거하면서도 소유권자는 언제든지 디지털 예술품을 확인할 수 있어, 투자 가치의 효용성을 높여 디지털 예술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original file is stored in the DB server 300, and when the digital artwork is traded, the original file of the digital artwork is not transferred, but only the transaction record of the digital artwork is stored and the new owner can be confirmed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 While removing the risk of illegal copying during transactions, the owner can check the digital artwork at any time, increasing the utility of the investment value and improving the added value of the digital artwork.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the applicant has 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uch embodiments are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m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1:관리서버 11: 송수신부 12: 가입부
13: 등록부 14: 전시설정부 15: 전시관람부
16: 현실배치부 17: 거래부 18: 분산기록부
19: 저장부 20: 제어부 121: 창작자가입모듈
122: 사용자가입모듈 141: 가상현실설정모듈 142: 증강현실설정모듈
151: 가상현실관람모듈 152: 증강현실관람모듈 153: 푸시관람모듈
161: 현실배치요청모듈 162: 배경영상모듈 163: 배치영상출력모듈
171: 거래요청모듈 172: 거래정보모듈 173: 가격합의모듈
174: 소유권이전모듈 175: 삭제모듈 176: 부여모듈
141a: 확인모듈 141b: 정보모듈 141c: 위치모듈
141d: 저장모듈 142a: 전시요청모듈 142b: 선택모듈
142c: 저장모듈 152a: 영상취득모듈 152b: 합성모듈
1: management server 11: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2: subscription unit
13: registration unit 14: exhibition setting unit 15: exhibition viewing unit
16: reality placement unit 17: transaction unit 18: distributed record unit
19: storage unit 20: control unit 121: creator subscription module
122: user registration module 141: virtual reality setting module 142: augmented reality setting module
151: virtual reality viewing module 152: augmented reality viewing module 153: push viewing module
161: reality arrangement request module 162: background image module 163: arrangement image output module
171: transaction request module 172: transaction information module 173: price agreement module
174: ownership transfer module 175: delete module 176: grant module
141a: confirmation module 141b: information module 141c: location module
141d: storage module 142a: exhibition request module 142b: selection module
142c: storage module 152a: image acquisition module 152b: synthesis module

Claims (1)

단말기와, 복수의 장소에 각각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영상취득장치와, 디지털 예술품 원본 파일을 저장하는 DB서버와, 상기 단말기, 영상취득장치 및 DB서버와 정보를 교환하여 디지털 예술품의 전시 및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예술품은 물리적으로 현실에 존재하지 않으나,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고,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컴퓨터 파일 형태로 존재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창작자 회원의 가입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창작자 회원의 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여 창작자 회원의 가입을 완료하고 창작자 회원의 정보를 저장하는 창작자가입모듈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일반 사용자 회원의 가입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일반 사용자 회원의 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여 일반 사용자 회원의 가입을 완료하고 일반 사용자 회원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가입모듈과,상기 창작자가입모듈에 의해 가입이 완료된 창작자 회원의 정보, 디지털 예술품 원본 파일 및 디지털 예술품의 등록을 요청하는 정보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경우, 상기 디지털 예술품 원본 파일을 상기 DB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창작자를 상기 디지털 예술품의 소유권자로 저장부에 저장하는 등록부와,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디
지털 예술품을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전시하는 전시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시설정부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시실의 관람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전시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전시실이 상기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전시관람부와,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예술품의 거래가 수행되도록 하는거래부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배경으로 하며 상기 배경의 특정 영역에 디지털 예술품이 배치된 배치 영상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현실배치부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기반 작품 전시 시스템
A terminal, an image capture devic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places to photograph and transmit images, a DB server for storing the original digital artwork file, and an exhibition of digital art b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image capture device, and DB server. and a management server for making a transaction. The digital artwork does not physically exist in reality, but can be created using electronic devices, can be visually checked using electronic devices, and exists in the form of computer files. And the management server, when information requesting the creator member's subscription is output from the terminal, confirms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reator member's signup, completes the creator's member's sign-up, and stores the creator's member information. , a user sign-up module for confirm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general user member sign-up, completing general user member sign-up, and storing general user member information when information requesting general user member sign-up is output from the terminal; When the information of the creator member whose subscription has been completed by the creator subscription module, the original digital artwork file, and the information requesting registration of the digital artwork are output from the terminal, the original digital artwork file is stored in the DB server, and the creator A registration unit for storing in a storage unit as the owner of the digital artwork, and a digital art stored in the DB server.
An exhibition setting unit that enables setting of an exhibition room for displaying digital artworks using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and when information requesting viewing of the exhibition room is output from the terminal, the exhibition room set by the exhibition setting unit is displayed in the terminal. An exhibition viewing unit for displaying, a trading unit for performing transactions of digital artworks stored in the DB server, and an arrangement image in which digital artworks are placed in a specific area of the background with the image taken from the terminal as a background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A metaverse-based work exhibition system that includes a reality placement unit to be displayed on
KR1020220012785A 2022-01-28 2022-01-28 Metaverse based art exhibition system KR202301161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785A KR20230116176A (en) 2022-01-28 2022-01-28 Metaverse based art exhibi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785A KR20230116176A (en) 2022-01-28 2022-01-28 Metaverse based art exhibi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176A true KR20230116176A (en) 2023-08-04

Family

ID=8756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785A KR20230116176A (en) 2022-01-28 2022-01-28 Metaverse based art exhibi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617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663B1 (en) * 2023-12-04 2024-02-20 엘에스웨어(주)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joint copyrights based on hierarchical nft of metaverse virtual performan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663B1 (en) * 2023-12-04 2024-02-20 엘에스웨어(주)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joint copyrights based on hierarchical nft of metaverse virtual performan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68844A1 (en) Photography system to organize digital photographs 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subjects therein
KR102078967B1 (en) System for arranging and transacting digital art using AR
KR102078969B1 (en) System for displaying and transacting digital art using AR and VR
US202200582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information with a digital image file using a digital ledger
US20100157021A1 (en) Method for creating, storing, and providing access to three-dimensionally scanned images
JP2003108577A (en) Recording of image combined with link information
WO2016063554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KR102078968B1 (en) System for transacting digital art using blockchain technology
US11095803B2 (en) Camera linked with POS apparatus and surveillance method using the same
US20100110073A1 (en) Method for creating, storing, and providing access to three-dimensionally scanned images
US20180013916A1 (en) Server device, image printing device, and moving-image data delivery system
KR20230116176A (en) Metaverse based art exhibition system
JP7415390B2 (en) Purchased product management system, user terminal, server, purchased product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2009288955A (en) Name card information registration device, name card information registration system, and name card information registration method
US20080298690A1 (en) Digital Photo Conten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igital Photo Contents Thereof
WO2023127181A1 (en)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system
US77387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FID mapping to a digital camera and digital picture delivery system
CN109889725B (en) 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photo reproduction
CN114255333B (en) Digital content display method and device based on spatial anchor point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220222719A1 (en) Security Video Sharing via a Searchable Database
JP6520262B2 (en) How to play video data
JP7414918B1 (en) Image collection system, image collection method, and program
KR102669469B1 (en) Selfie management system combined with nft and nft management technology
JP7363148B2 (en) Image data sales system
US2023007946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