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994A -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994A
KR20230111994A KR1020220008121A KR20220008121A KR20230111994A KR 20230111994 A KR20230111994 A KR 20230111994A KR 1020220008121 A KR1020220008121 A KR 1020220008121A KR 20220008121 A KR20220008121 A KR 20220008121A KR 20230111994 A KR20230111994 A KR 20230111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pisode
recommended
user account
produc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7566B1 (ko
Inventor
김혜경
윤승섭
정재선
김해울
김혜령
장준호
오승욱
김형규
정승욱
한승범
임승택
김지원
최가인
Original Assignee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8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566B1/ko
Publication of KR20230111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Abstract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콘텐츠 열람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제공할 추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추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서비스 페이지의 일 영역에 상기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는, 전화나 문자 메시지와 같은 통신 기능은 물론, 인터넷을 활용한 웹 서핑, 음악 감상, 영상 시청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전자기기의 대중화에 힘입어, 종래 정통적 콘텐츠 소비 매체와 다르게 PC나 모바일 등의 전자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일 예로서, 웹툰(WEBTOON)이 존재한다.
이러한 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꾸준하게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사업자(또는 콘텐츠 관련 사업자)들은, 보다 많은 사용자가 자사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69281호(웹툰의 다국어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웹툰 사용자의 사용 언어를 판단하고 해당 사용 언어에 따라 웹툰의 제책 방식과 언어를 변경하는 지원하여, 사용자가 언어의 제약 없이 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소비 및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의향을 향상시켜, 보다 많은 소비자들을 유치하는 것과 동시에,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소비를 유지시키고자 하는 니즈는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용하였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리마인드 하여, 사용자가 이용하였던 콘텐츠를 계속해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콘텐츠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로그인 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콘텐츠 열람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제공할 추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추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서비스 페이지의 일 영역에 상기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대한 출력 이벤트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로그인 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콘텐츠 열람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제공할 추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추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서비스 페이지의 일 영역에 상기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다른 프로그램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콘텐츠 열람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제공할 추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추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서비스 페이지의 일 영역에 상기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콘텐츠 열람 이력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대한 추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의 취향, 콘텐츠 열람 패턴에 기반한 맞춤형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써, 업데이트 된 최신 콘텐츠를 놓치지 않고 즐길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근거하여, 특정 서비스 페이지의 일 영역에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검색 등과 같은 별도의 행동 없이, 감상 중이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일괄적으로 제공 받을 수 있고, 흥미 있는 콘텐츠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소비자에 의한 콘텐츠 소비를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소비자의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소비를 보장함으로써, 소비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이용권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서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가 제공되는 사용자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콘텐츠 열람 이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8, 도 9, 도10 도, 11a 및 도11b는 본 발명에서 추천 콘텐츠를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추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14는 본 발명에서 콘텐츠 열람 이력을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새로운 이벤트(예를 들어, 새로운 에피소드 업데이트 발생 또는 이용권 발급 이벤트)가 발생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천하는 추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신 콘텐츠를 놓치지 않고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콘텐츠 중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를 선별적으로 제공하여, 콘텐츠에 대한 이용을 유도하고, 콘텐츠에 대한 소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거나, 연결되는 시스템으로서,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을 통하여 발급되는 이용권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의 열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용어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의 열람을 위한 이용권을 발급하는 방법을 설명하나, 이러한 이용권 발급 기능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일 기능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콘텐츠의 종류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툰(WEBTOON), 웹소설(WEBNOVEL), 음악, 전자책(E-BOOK), 동영상, 이미지 등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에서 발급되는 이용권을 통하여 열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웹툰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웹툰이란, 웹(web)과 카툰(cartoon)의 합성어로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카툰 또는 만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콘텐츠는, 복수의 서브 콘텐츠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콘텐츠들은, 콘텐츠의 시리즈(series)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리즈는, 연속적인 기획물 또는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와 서브 콘텐츠 간의 용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서브 콘텐츠”를 “에피소드(episode)”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콘텐츠를 이용(소비 또는 열람)한다”는 것은, 에피소드를 이용(소비 또는 열람)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에피소드는, “무료 상품 타입” 및 “유료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상품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란, 사용자가 에피소드를 열람(또는 이용)하기 위하여, 디지털 화폐, 쿠폰 또는 열람권(또는 이용권) 등의 지불없이 곧바로 이용할 수 있는 에피소드를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란, 사용자가 에피소드를 열람(또는 이용)하기 위하여, 디지털 화폐(전자화폐), 쿠폰 또는 이용권(또는 열람권) 등을 지불하는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는 에피소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이용권(또는 열람권)은, 디지털 화폐 지불 없이,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를 열람(대여 또는 소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용권은, (무료)소장권, (무료)대여권, 쿠폰 등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계정과 연계하여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을 발급(발행 또는 지급 또는 할당)할 수 있다.
나아가, "디지털 화폐(digital currency)"는 디지털 방식으로 사용(컴퓨터에 보관하여 사용하거나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되는 형태의 화폐로서, “사이버 머니”로도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화폐는, 금전적 가치가 전자적 형태로 저장된 화폐를 의미할 수 있다.
디지털 화폐는 제어부(130) 또는 이와 연동되는 서버 상에 전자적 형태로 저장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화폐는, 사용자 계정과 연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구매한 수량만큼의 디지털 화폐가 사용자 계정과 연동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화폐는 경제적 소비 활동에 활용되며, 소셜(social) 화폐, 인터넷 쿠폰(coupon), 모바일 쿠폰, 게임 머니 등도 디지털 화폐의 일 예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화폐가 발행된 사업자를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소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A사(社)에서 발행되는 디지털 화폐는 A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플랫폼(예를 들어, A 쇼핑몰)에서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A사가 운영하는 서비스 플랫폼이 복수인 경우, A사에서 발행된 디지털 화폐는 A사의 정책에 의하여, 복수의 서비스 플랫폼에서 공통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디지털 화폐는 서로 상이한 사업자들의 서비스 플랫폼들 간에도, 사업자들 간의 제휴에 의하여 공통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디지털 화폐는 다양한 용어로 명명될 수 있으며, 사업자에 의하여 그 용어가 명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화폐는, 콩, 빈, 도토리, 콘 등의 임의의 명칭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화폐를 “쿠키(또는 코인)”라고 명명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화폐의 용어와 함께, “쿠키”의 용어를 혼용하며, “쿠키”의 용어는 디지털 화폐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디지털 화폐는 전자 결제(electronics settlement(payment), 電子決濟)에 의하여 구매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전자 결제(electronics settlement(payment), 電子決濟)”는 금전적 가치를 갖는 화폐에 대한 거래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기능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사용자(또는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대가를 지불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자 결제는, 온라인 상에서, 카드 결제, 포인트 결제, 계좌 이체 등의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전자 결제를 통하여 디지털 화폐가 구매”되어지는 것을 “디지털 화폐가 충전” 된다고 표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결제에 의하여, 디지털 화폐를 “구매” 또는 “충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 또는 충전되는 디지털 화폐는, 사용자 계정에 연동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이용권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서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가 제공되는 사용자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콘텐츠 열람 이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고, 도8, 도 9, 도10 도, 11a 및 도11b는 본 발명에서 추천 콘텐츠를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추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며, 도14는 본 발명에서 콘텐츠 열람 이력을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되는 서비스 페이지(또는 “화면”이라고 명명 가능, 600)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페이지(600)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콘텐츠 제공과 관련된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단말(20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위에서 살펴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감상 중인 작품을 계속해서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새로운 이벤트(예를 들어, 새로운 에피소드 업데이트 이벤트 또는 이용권 발급 이벤트)가 발생한 콘텐츠를 놓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추천하는 “콘텐츠 추천 서비스” 또는 “콘텐츠 리마인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추천 서비스(콘텐츠 리마인드 서비스)는, 서비스 페이지(600)의 적어도 일 영역에 추천하고자 하는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610)를 표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추천 정보(610)를 통해 콘텐츠에 대한 최신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 받고, 콘텐츠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이용권에 대한 이용 요청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 (200)는,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휴대용 컴퓨터(laptop comput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전자기기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자기기에도 단말기와 동일한 부호 ‘200’이 부여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저장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계정(예를 들어, ID(identificatio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로그인(login) 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저장부(120)는, 콘텐츠 이용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20)는 복수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서버(100a, 또는 콘텐츠 DB(data base))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콘텐츠 서버와 콘텐츠 DB를 구분하지 않고, 콘텐츠 서버라고 통일하여 명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콘텐츠 서버는, 콘텐츠 DB로도 이해되어 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복수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서버(100a)는 저장부(120)와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결제 시스템(100)은 콘텐츠 서버(100a)를 제어하여, 콘텐츠 서버(100a)에 저장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과 연계된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히스토리 정보”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 계정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스토리 정보는, 사용자 계정(또는,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사용자 단말(200))에서 이용(또는 열람)한 콘텐츠(또는 에피소드)와 이력 정보(예를 들어, 열람한 콘텐츠의 작품명, 열람한 에피소드의 회차 번호, 열람 일시 정보 등), ii) 특정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계정의 피드백 정보(예를 들어, 후기 정보, 댓글 정보, 평점 정보, 콘텐츠 추천에 대한 반응 정보(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팝업 윈도우의 종료 기능 아이콘 선택한 이력), iii) 이용권 관련 정보(보유한 이용권 개수, 보유한 이용권의 종류, 사용한 이용권의 종류, 이용권 사용 일시, 이용권이 지급된 이벤트 내역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를 제공할 것인지, 제공한다면 어느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 사용자 계정 및 제2 사용자 계정 각각에게, 각각의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한 맞춤형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히스토리 서버(100a, 또는 히스토리 DB(data base))를 포함할 수 있으며, 히스토리 서버(100a)에는, 사용자 계정에 할당된 이용권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또는 이용권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히스토리 서버(100a)는 저장부(120)와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히스토리 서버(100a)를 참조하여,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이용권을 발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맞춤형 콘텐츠 추천 서비스와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새로운 이벤트(예를 들어, 새로운 에피소드 업데이트 이벤트 또는 이용권 발급 이벤트)가 발생한 콘텐츠들 중, 사용자 계정이 열람한 이력이 있는 에피소드와 관련되고, 사용자 계정이 이용 가능한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로서 선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선정된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610)를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계정이 이용 가능한 콘텐츠”는,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할 수 있는 에피소드를 포함하는 콘텐츠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이 이용 가능한 콘텐츠”는 무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를 포함하거나, 사용자 계정이 보유한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 계정이 이용 가능한 콘텐츠는, 사용자 계정에 해당 콘텐츠를 구성하는 에피소드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콘텐츠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콘텐츠 중 사용자 계정에서 이용 가능한 콘텐츠를 선별하여 사용자 계정에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이용 할 수 있는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맞춤형으로 사용자 계정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와 관련된 최신 정보를 놓치지 않고 편리하게 제공 받을 수 있으며, 해당 콘텐츠에 대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추천 콘텐츠를 선정하고,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510, 도 5 참조)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페이지는, 각각의 서비스 페이지에 포함되는 정보의 종류, 수행되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 페이지가 존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서비스 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서비스 페이지가 호출되는 것에 근거하여, 제어부(130)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는, i) 콘텐츠 제공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페이지( “시작 페이지”, “기본 페이지”, “홈 화면” 등으로 명명 가능, 도1 참조), ii)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에 대응하는 항목에 대한 에피소드 리스트를 포함하는 페이지(“콘텐츠 진입 페이지”로 명명 가능, 도 9 참조), iii) 특정 콘텐츠의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페이지( “콘텐츠 제공 페이지”로 명명 가능, 도 6b 참조), vi)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사용자 페이지”로 명명 가능, 도 14 참조), v) 이용권을 발행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는 페이지(무료 박스 페이지로 명명 가능, 도3 참조)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본으로 제공되는 페이지(기본 페이지, 60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켰을 때 기본으로 제공되는 페이지일 수 있다. 이러한 기본으로 제공되는 페이지 상에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썸네일, 작품명, 작가명, 조회수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에피소드 리스트를 제공하는 페이지(“콘텐츠 제공 페이지)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특정 콘텐츠가 선택(예를 들어, 기본 페이지 상에서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될 수 있다. 에피소드 리스트를 제공하는 페이지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특정된 콘텐츠(예를 들어, “Freaking Lobe”)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예를 들어, Episode 1, Episode 2, Episode 3, Episode 4, Episode 5, Episode 6)에 대응되는 항목을 포함하는 에피소드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피소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에피소드 항목(예를 들어, Episode 5, 91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인가하여, 에피소드를 열람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페이지 상에는, 추천 정보 출력을 위한 일 영역이 할당(또는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서비스 페이지 상에 추천 정보 출력을 위한 일 영역을 할당하는 것”은 시스템(100) 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본 페이지(600)에, 추천 정보 출력을 위한 일 영역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의 (a)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기본 페이지”,600)에 대한 사용자 출력 이벤트가 발생되고,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추천 정보를 위한 일 영역을 할당하는 정보가 매칭되어 있으면,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의 일 영역에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추천 정보(610a)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천 정보(610a)에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그래픽 객체로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정보(610a)에는 추천 콘텐츠의 썸네일(611), 추천 콘텐츠의 명칭(612), 특정 문구(613, 614)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그래픽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문구(613, 614)는 추천 콘텐츠에 따라 서로 다른 문구가 표기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의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만으로, 사용자가 이어서 이용할 수 있는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610a)를 제공 받음으로써, 감상 중이던 콘텐츠 또는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콘텐츠에 대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나아가, 도 6a의 (b)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의 엔드 뷰어 영역(end-viewer, 630) 에 추천 정보(610b)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엔드 뷰어 영역(end-viewer, 630)은,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의 스크롤(620)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가 더 이상 스크롤 되지 않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의 끝(end)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의 적어도 일 영역을 통해 추천 정보(610a, 610b)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추천 정보(610a)에 포함된 복수의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에피소드를 사용자 단말(20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의 (a)에서 특정 콘텐츠(“My Giant Nerd”)의 썸네일(611)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제어부(130)는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텐츠 제공 페이지(500)를 통해 특정 콘텐츠(“My Giant Nerd”)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2화)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추천 정보(6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제공되는 에피소드”는, i) 사용자 계정에 의해 가장 마지막으로 열람되었던 에피소드, ii) 사용자 계정에 의하여 열람되었던 에피소드들 중 가장 최신 회차의 에피소드 iii) 사용자 계정에 의하여 열람되었던 에피소드들 중 가장 최신 회차의 다음 회차 에피소드, iv) 복수의 에피소드 중 최신 회차 에피소드(즉, 마지막에 업로드 된 에피소드) 중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이다.
예를 들어, 도 8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계정에 의해 마지막으로 열람된 에피소드가 3회차 에피소드(811)이면, 3회차 에피소드를 사용자 단말(20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추천 정보(6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제공되는 에피소드”는 사용자가 감상하던 작품을 이어서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최적의 에피소드를 제공하기 위한 설정은 시스템 관리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추천 정보(610a)에 포함된 복수의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추천 콘텐츠의 에피소드 항목을 포함하는 페이지(콘텐츠 진입 페이지, 도 9 참조)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텐츠 진입 페이지에서, 사용자 계정에 의하여 열람 이력이 있는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Episode 4, 911)의 일 영역에는 사용자 계정에 의하여 열람되었음에 대응되는 정보(예를 들어, “Used)”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계정의 의하여 열람 이력이 없는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Episode 5, 912)의 일 영역에는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예를 들어, 무료 상품 타입인 경우에는 “#”)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콘텐츠 진입 페이지에서, 과거에 열람했던 에피소드를 재 열람하거나, 열람하지 않았던 새로운 에피소드를 열람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의 일 영역을 통해 추천 정보를 노출하여, 사용자가 이용하였던 콘텐츠를 상기 시키고,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이용하였던 콘텐츠를 리마인드 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콘텐츠 열람 이력(700)에 근거하여,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에 제공할 추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520, 도 5 참조)
제어부(130)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의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는, 사용자 계정 마다 연계되어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으며,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콘텐츠 열람, 이용권 지급 등) 이용과 관련되어 사용자 계정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스토리 정보는, 사용자 계정(또는,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사용자 단말(200))에서 이용(또는 열람)한 콘텐츠(또는 에피소드)와 이력 정보(예를 들어, 열람한 콘텐츠의 작품명, 열람한 에피소드의 회차 번호, 열람 일시 정보 등), ii) 특정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계정의 피드백 정보(예를 들어, 후기 정보, 댓글 정보, 평점 정보, 콘텐츠 추천에 대한 반응 정보(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팝업 윈도우의 종료 기능 아이콘 선택한 이력), iii) 이용권 관련 정보(보유한 이용권 개수, 보유한 이용권의 종류, 사용한 이용권의 종류, 이용권 사용 일시, 이용권이 지급된 이벤트 내역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의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어떠한 콘텐츠를 추천할 것인지와 관련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에피소드들(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의 열람 이력을 콘텐츠 열람 이력(700)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콘텐츠 열람 이력(700)을 근거로,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된 에피소드를 구성하는 콘텐츠들(예를 들어, “Freaking Love”, “황제의 재단사”, “재혼황후”, 711, 712, 713)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에 의해 콘텐츠 “Freaking Love(711)”의 1회차 에피소드(Episode 1, 701)가 열람되었다고 가정하자.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 “Freaking Love(711)”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이를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조건은, i)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새로운 회차에 해당하는 에피소드의 업데이트 이벤트 및 ii)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 중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 발행 이벤트와 관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에피소드 업데이트 이벤트”는, 새로운 에피소드가 서버 상에 업로드 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나아가, “이용권 발행 이벤트”는, 사용자 계정에 대해 특정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이 지급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및 사용자 계정이 최근 로그인된 시점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특정 콘텐츠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내에, “Freaking Love(711)”를 구성하는 새로운 에피소드가 서버에 업로드 된 경우, “Freaking Love(711)”가 기 설정된 조건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콘텐츠 열람 이력(700)에 기반하여,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된 에피소드를 구성하는 콘텐츠 중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된 에피소드를 구성하는 콘텐츠 중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를 이용하였더라도, 제1 콘텐츠는 추천 콘텐츠로 선정하고, 제2 콘텐츠는 추천 콘텐츠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이 아닌,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각각에 대해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대한 추천 콘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에 대해 새로운 에피소드가 업로드 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특정 콘텐츠를 열람한 이력이 있는 사용자 계정에 특정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로 하는 참조 데이터를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특정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이용권 지급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특정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로 하는 참조 데이터와 사용자 계정을 연계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추천 콘텐츠에 대한 참조 데이터를 확인하고, 참조 데이터에 근거하여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대한 추천 콘텐츠를 확인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추천 콘텐츠를 확인하는 프로세스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추천 콘텐츠를 선정하는 프로세스 및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참조 데이터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 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근거하여 추천 콘텐츠를 선정하는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으며,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추천 콘텐츠 선정 프로세스는, 사용자 계정에 참조 데이터를 매칭하는 과정에 적용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추천 콘텐츠를 확인하고, 확인된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610)를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 상에 제공할 수 있다(도 6 참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 중이던 콘텐츠에 대한 최신 정보를 놓치지 않고 한 번에 제공 받을 수 있으며, 해당 콘텐츠에 대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계정이 실질적으로 이용 가능한 콘텐츠 만을 맞춤형으로 추천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는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된 콘텐츠 중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콘텐츠를 확인하고, 2차적으로는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콘텐츠 중 사용자 계정에서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정보 제공으로 인한 사용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콘텐츠 중 사용자 계정이 실질적으로 이용 가능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으며, 용어의 혼동을 위하여,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콘텐츠, 즉,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되었던 에피소드를 구성하는 콘텐츠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콘텐츠를 “후보 추천 콘텐츠”로 명명하고, 후보 추천 콘텐츠 중 사용자 계정에서 이용 가능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명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최종 추천 콘텐츠를 선정하는 프로세스는, 앞서 설명한 후보 추천 콘텐츠를 선정하는 프로세스보다 먼저 이루어지거나, 단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과 관계 없이 이하에서 설명하는 프로세스를 통해 추천 콘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최종 추천 콘텐츠”는, 사용자 계정에서 이용 할 수 있는 “참조 에피소드”를 포함하는 콘텐츠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참조 에피소드”는, 사용자 계정에 의해 열람된 에피소드 중 가장 최신 회차의 에피소드의 다음 회차 에피소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참조 에피소드는 사용자 계정에 의해 열람되지 않은 미열람 에피소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에 추천 후보 콘텐츠(“Freaking Love”)를 구성하는 1회차 에피소드 내지 8회차 에피소드가 업로드 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도 8의 (a)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한 에피소드 중 가장 최신 회차의 에피소드가 3회차 에피소드(Episode 3, 811)면, 참조 에피소드는 4회차 에피소드(Episode 4, 812)일 수 있다.
또한, 도 8의 (b)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한 에피소드 중 가장 최신 회차의 에피소드가 8회차 에피소드(Episode 8, 821)이면, 참조 에피소드는 다음에 업로드 되는 9회차 에피소드 일 수 있다.
또한, 도 8의 (c)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계정에서 7회차 에피소드(Episode 7, 831)를 열람하지 않고 8회차 에피소드(Episode 8, 821)를 열람한 경우, 참조 에피소드는 7회차 에피소드(Episode 7, 831)가 아닌, 다음에 업로드 되는 9회차 에피소드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후보 추천 콘텐츠에 포함된 참조 에피소드가 사용자 계정에 의해 열람 가능하면,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의 연재 방식에 따라 복수의 콘텐츠 타입이 존재하며, 콘텐츠의 타입 별로, 참조 에피소드가 사용자 계정에서 이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콘텐츠 타입에 대해 설명한 후, 콘텐츠 타입 별로 참조 에피소드가 사용자 계정에서 이용할 수 있는 지를 판단하여 최종 추천 콘텐츠를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는,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즉, 연재 기준)에 따라, 제1 콘텐츠 타입 및 제2 콘텐츠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료된 경우, 연재가 완료된 콘텐츠는 제1 콘텐츠 타입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콘텐츠 타입(또는 제1 타입의 콘텐츠)”는, “완결 콘텐츠”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진행 중인 경우, 연재가 진행중인 콘텐츠는 제2 콘텐츠 타입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콘텐츠 타입(또는 제2타입의 콘텐츠)”는, “연재 콘텐츠”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료되었다”고 함은, 콘텐츠를 구성하는 에피소드에 대한 업로드가 완료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서, 32부작의 에피소드로 구성되는 콘텐츠에서, 32번째 에피소드까지 업로드가 완료된 경우, “해당 콘텐츠는 연재가 완료되었다”고 표현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진행 중이다”라고 함은, 콘텐츠를 구성하는 에피소드에 대한 업로드가 진행중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서, 32부작의 에피소드로 구성되는 콘텐츠에서, 30번재 에피소드까지 업로드가 완료된 경우, “해당 콘텐츠는 연재가 중이다”라고 표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연재”라고 함은, 콘텐츠를 구성하는 에피소드가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상태로 콘텐츠 서버(100a) 등에 업로드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에피소드는 기 설정된 요일 (예를 들어, 매주 수요일)마다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상태로 콘텐츠 서버(100a) 등에 업로드 되는 방식으로 연재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요일 연재 콘텐츠”로 명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와 다르게, 에피소드는, 임의의 시점에,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상태로 콘텐츠 서버(100a) 등에 업로드 되는 방식으로 연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비정기 연재 콘텐츠”로 명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i) 후보 추천 콘텐츠가 연재 콘텐츠인 경우에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하는 방법, ii) 후보 추천 콘텐츠가 완결 콘텐츠인 경우에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iii) 콘텐츠의 타입을 고려하지 않고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를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 차례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후보 추천 콘텐츠가 무료 상품 타입으로 에피소드가 업데이트 되는 연재 콘텐츠이고 참조 에피소드를 가지는 경우,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연재 콘텐츠는, 특정 요일(예를 들어, 매주 수요일)을 기준으로 무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가 업데이트 되는 요일 연재 콘텐츠 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근거하여, 연재 콘텐츠에 해당하는 후보 추천 콘텐츠가, 미열람 에피소드를 포함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재 콘텐츠에 해당하는 후보 추천 콘텐츠가 미열람 에피소드(912)를 포함하면, 제어부(130)는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미열람 에피소드(912)는, 사용자 계정에 의해 열람된 에피소드 중 가장 최신 회차의 에피소드(911)의 다음 회차 에피소드(즉, 참조 에피소드 912)일 수 있다.
이와 달리, 판단 결과 연재 콘텐츠에 해당하는 후보 추천 콘텐츠가 미열람 에피소드를 포함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의하여 연재 콘텐츠에 포함된 모든 에피소드가 열람된 경우에는, 연재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주 수요일마다 무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가 업데이트 되는 요일 연재 콘텐츠가 후보 추천 콘텐츠인 경우, 사용자 계정에서 수요일에 업데이트 된 에피소드를 열람하지 않았으면, 제어부(130)는 연재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 계정에서 수요일에 업데이트 된 에피소드를 열람한 이후에는, 다음주 수요일에 새로운 에피소드가 업데이트 되기 전까지는 연재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가 무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를 정기적으로 연재하는 연재 콘텐츠인 경우, 사용자 계정에는 무료 상품 타입의 미열람 에피소드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기 때문에, 미열람 에피소드가 존재하는 연재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후보 추천 콘텐츠가 완결 콘텐츠인 경우에는, 참조 에피소드가 무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 인지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 인지에 따라서,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참조 에피소드가 무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이면, 사용자 계정에서 참조 에피소드를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130)는, 참조 에피소드가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이면, 사용자 계정에서 참조 에피소드를 열람할 수 있는 이용권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참조 에피소드를 열람할 수 있는 이용권이 사용자 계정에 지급(또는 발행)된 경우에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는, 이용권 및 디지털 화폐 중 어느 하나를 지불한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는 에피소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이용권은, 디지털 화폐 지불 없이,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를 열람(대여 또는 소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이용권은, 이용권에 매칭된 이용권 속성 정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든 콘텐츠의 열람에 사용되거나, 일부 콘텐츠의 열람에만 사용되거나, 특정 콘텐츠 열람에만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용권의 속성 정보에는 특정 콘텐츠(예를 들어, “Freaking Love”, 310)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용권(320)은 특정 콘텐츠(예를 들어, “Freaking Love”, 310)의 열람에만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이용권 속성 정보에는 콘텐츠에 대한 복수의 장르 중 특정 장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경우 이용권은 특정 장르에 해당되는 콘텐츠의 열람에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콘텐츠 장르는, 콘텐츠의 주제, 내용(또는 줄거리), 분위기, 형식 등이 유사한 콘텐츠들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하기 위한 기준일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장르는, 상위 개념인 메인 장르와, 메인 장르의 하위 개념인 서브 장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메인 장르를 제1 장르 및 제2 장르로 명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콘텐츠의 장르는 제1 장르 및 제2 장르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콘텐츠의 장르는 이외에도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텐츠는 1차적으로 제1 장르(410) 및 제2 장르(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제1 장르(NOVEL 또는 소설, 410) 및 제2 장르(COMIX 또는 코믹, 420) 중 어느 하나의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제1 장르(NOVEL, 410)로 분류된 콘텐츠는, ‘로맨틱 판타지 장르’, ‘무협 장르’, ‘시대극 장르’, ‘로맨스 장르’ 등과 같은 복수의 서브 장르(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브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제2 장르(COMIX, 420)로 분류된 콘텐츠는, ‘순정 장르’, ‘소년 장르’, ‘드라마 장르’, ‘무협 장르’ 등과 같은 복수의 서브 장르(4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브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콘텐츠 각각에는 복수의 장르 중 어느 하나의 메인 장르 및 서브 장르와 관련된 정보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콘텐츠에 매칭된 장르와 관련된 정보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또는 이용권 제공 시스템, 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콘텐츠에는, 제1 장르 및 제2 장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르와 관련된 정보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장르와 관련된 정보가 매칭되어 있는 콘텐츠를 ‘제1 장르의 콘텐츠’로 명명하고, 제2 장르와 관련된 정보가 매칭되어 있는 콘텐츠를 ‘제2 장르의 콘텐츠’로 명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후보 추천 콘텐츠가 완결 콘텐츠이고, 참조 에피소드가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이며, 사용자 계정에 후보 추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을 보유하고 있으면,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도 10의 (a) 및 (b)에 도시된 것 과 같이, 참조 에피소드(1010)가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이고, 사용자 계정에 후보 추천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이용권(예를 들어,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되는 이용권, 1020)이 존재하면, 제어부(130)는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 계정에 후보 추천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이용권(예를 들어,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되는 이용권, 1020)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후보 추천 콘텐츠가 완결 콘텐츠인 경우, 참조 에피소드가 무료 상품 타입이거나,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이 존재하면 사용자 계정에 의해 참조 에피소드가 열람될 수 있기 때문에,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후보 추천 콘텐츠가 연재 콘텐츠인지 완결 콘텐츠인지를 고려하지 않고,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한 에피소드 중에서 가장 최신의 회차의 에피소드(이하,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로 명명) 및 가장 최신의 회차의 다음 회차에 해당하는 에피소드(즉, 참조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에 기반하여, 사용자 계정이 참조 에피소드를 열람할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후보 추천 콘텐츠의 콘텐츠 타입을 확인하지 않고,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 및 참조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에 근거하여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한 에피소드 중에서 가장 최신의 회차의 에피소드(즉,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가 유료 상품 타입 및 무료 상품 타입 중 어느 상품에 해당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가 무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면, 다음에 읽을 무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130)는,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가 유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면, 다음에 읽을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1111)가 무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면, 참조 에피소드(1112)가 무료 상품 타입 및 유료 상품 타입 중 어느 상품 타입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CASE 1과 같이, 제어부(130)는, 후보 추천 콘텐츠의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1111)가 무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고, 참조 에피소드(1112)가 무료 상품에 해당하는 경우,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1114)로 선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후보 추천 콘텐츠의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 및 참조 에피소드가 모두 무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면, 사용자 계정이 참조 에피소드를 계속해서 열람하여 콘텐츠 열람을 이어갈 수 있도록,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1a에 도시된 CASE 2와 같이, 제어부(130)는, 후보 추천 콘텐츠의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1111)가 무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고, 참조 에피소드(1112)가 유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면서, 사용자 계정이 유료 상품 타입의 참조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권을 보유(1113)하는 경우,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1114)로 선정할 수 있다(도 11a의 CASE 2 참조).
이와 달리, 제어부(130)는, 후보 추천 콘텐츠의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1111)가 무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고, 참조 에피소드(1112)가 유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면서, 사용자 계정이 유료 상품 타입의 참조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권을 보유(1113)하지 않은 경우,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1114)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참조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권은 참조 에피소드를 열람할 수 있는 이용권으로, 특정 콘텐츠 열람에 이용될 수 있는 이용권, 특정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될 수 있는 이용권 및 모든 콘텐츠의 열람에 이용되는 이용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참조 에피소드를 열람할 수 있는 이용권이 존재하면, 사용자가 이용권을 이용하여 참조 에피소드를 계속해서 이용하도록,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1111)가 유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면,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1111)가 이용권 및 디지털 화폐 중 어느 수단에 의해 열람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CASE 3과 같이, 제어부(130)는, 후보 추천 콘텐츠의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1111)가 이용권이 사용된 유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고, 참조 에피소드(1112)가 이용권에 의해 열람 가능한 유료 상품 타입이면서, 사용자 계정이 유료 상품 타입의 참조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권을 보유(1113)하는 경우,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1114)로 선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130)는, 후보 추천 콘텐츠의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1111)가 이용권이 사용된 유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고, 참조 에피소드(1112)가 이용권에 의해 열람 가능한 유료 상품 타입이면서, 사용자 계정이 유료 상품 타입의 참조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권을 보유(1113)하고 있지 않은 경우,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1114)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계정이 후보 추천 콘텐츠의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를 이용권으로 열람하고, 참조 에피소드를 열람할 수 있는 이용권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참조 에피소드를 이용권을 통해 열람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30)는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1a에 도시된 CASE 4와 같이, 제어부(130)는, 후보 추천 콘텐츠의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1111)가 이용권이 사용되지 않은 유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고, 참조 에피소드(1112)가 이용권을 사용할 수 없는 유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면,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추천 콘텐츠(1114)로 선정할 수 있다(도 11a의 CASE 4 참조).
여기에서, “이용권이 사용되지 않은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는, 디지털 화폐에 의해 열람된 에피소드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보 추천 콘텐츠의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Episode 2”1121) 및 참조 에피소드(“Episode 3” 1131)가 디지털 화폐에 의해 열람 가능한 유료 상품 타입이라고 가정하자.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Episode 2”1121)가 디지털 화폐(예를 들어, 3 coin, 1121a)를 지불(1121b)하여 열람된 경우, 참조 에피소드(“Episode 3” 1131) 역시 디지털 화폐를 통해 열람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30)는 후보 추천 콘텐츠를 최종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참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참조 데이터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각각에 대한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하면,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콘텐츠를 열람한 사용자 계정에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콘텐츠에 대한 참조 데이터를 매칭할 수 있다.
저장부(120)에는 콘텐츠 별로 해당 콘텐츠를 열람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근거하여,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콘텐츠를 열람한 사용자 계정을 특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대해, 앞서 설명한 추천 콘텐츠를 선정하는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콘텐츠에 대한 참조 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참조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대한 추천 콘텐츠를 확인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추천 콘텐츠를 확인하는 프로세스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추천 콘텐츠를 선정하는 프로세스 및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참조 데이터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 일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참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사용자 계정과의 관계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사용자 계정에서 참조 데이터를 삭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참조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계정에 참조 데이터가 매칭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점이 경과한 것에 근거하여,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참조 데이터를 삭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에로,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참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에 미열람 에피소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참조 데이터를 삭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추천 콘텐츠에 포함된 에피소드를 모두 열람한 경우에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참조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더이상 해당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발명에서는 i)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히스토리 정보, ii) 콘텐츠의 타입, ii)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게 추천하기 위한 추천 콘텐츠를 선정함으로써,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콘텐츠 중 사용자 계정이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이용할 가능성이 큰 콘텐츠를 추천하는 맞춤형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추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의 일 영역에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610)를 제공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510, 도 5 참조).
추천 정보(610)는, 복수의 추천 콘텐츠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추천 정보 항목들(1312, 1311, 1313)을 포함한 추천 콘텐츠 리스트(1310a, 131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추천 정보(610)에는, 제1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제1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추천 정보 항목, 제2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제2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추천 정보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추천 정보는 추천 콘텐츠 각각에 대한 추천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천 정보(6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그래픽 객체로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추천 정보(610)에는 추천 콘텐츠의 썸네일(611), 추천 콘텐츠의 명칭(612), 특정 문구(613, 614)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그래픽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천 정보(610)에 포함된 문구는, 추천 콘텐츠를 구성하는 새로운 에피소드의 개수와 관련된 제1 정보(예를 들어 “새 이야기+”, 613) 및 추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과 관련된 제2 정보(예를 들어 “무료 충전 완료”, 614)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천 정보(610)에 포함된 문구는, 추천 콘텐츠의 연재 기준 및 추천 콘텐츠로 선정되는 기준 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제1 정보(613) 및 제2 정보(614)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표기 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추천 콘텐츠의 연재 기준”은, 추천 콘텐츠에 대한 연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로, 추천 콘텐츠는, 연재가 완료된 경우에는 완결 콘텐츠에 해당하고, 연재가 진행 중인 경우에는 연재 콘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천 콘텐츠가 연재 콘텐츠에 해당하면 추천 정보(610)에는, 새로운 에피소드의 개수와 관련된 제1 정보(613)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추천 콘텐츠를 구성하는 새로운 에피소드의 개수”는,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한 추천 콘텐츠의 에피소드 중에서 가장 최신의 회차 다음의 에피소드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스템(100)에 추천 콘텐츠(“Freaking Love”)를 구성하는 1회차 에피소드 내지 8회차 에피소드가 업로드 되어 있고,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한 추천 콘텐츠의 에피소드 중에서 가장 최신의 회차의 에피소드가 3회차 에피소드(Episode 3, 811)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새로운 에피소드는 4회차 에피소드(Episode 4)부터 8회차 에피소드(Episode 8)이고, 새로운 에피소드의 개수는 5개 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추천 콘텐츠를 구성하는 새로운 에피소드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이면, 추천 정보(610)에 기 설정된 개수에 대응되는 문구를 포함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개수가 “10”이고, 새로운 에피소드의 개수가 “5개”이면, 추천 정보(610)에는, “새 이야기 5”와 같은 문구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150)는, 추천 콘텐츠를 구성하는 새로운 에피소드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면, 새로운 에피소드의 개수와 관계없이 추천 정보(610)에 동일한 문구를 포함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에피소드의 개수가 “11개”인 경우와 “52개”인 경우 모두, 추천 정보(610)에는, “새 이야기+”와 같은 문구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추천 콘텐츠가 완결 콘텐츠에 해당하면 추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과 관련된 제2 정보(예를 들어 “무료 충전 완료”, 614)가 추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추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 계정이 보유한 추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의 개수(예를 들어, “이용권 5개 보유 중”), 추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 발급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무료 충전 완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추천 콘텐츠로 선정되는 기준에 근거하여, 추천 정보(610)에는 서로 다른 문구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후보 추천 콘텐츠의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1111)가 무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고, 참조 에피소드(1112)가 무료 상품에 해당하는 것에 근거하여 추천 콘텐츠가 선정된 경우(도 11a의 CASE 1 참조)에는, 추천 정보(610)에, 제1 정보(613)가 추천 정보(610)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후보 추천 콘텐츠의 마지막 열람 에피소드(1111)가 무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고, 참조 에피소드(1112)가 유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면서, 사용자 계정이 유료 상품 타입의 참조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권을 보유(1113)하는 것에 근거하여, 추천 콘텐츠가 선정된 경우(도 11a의 CASE 2 참조)에는, 제2 정보(614)가 추천 정보(6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추천 콘텐츠의 연재 기준 및 추천 콘텐츠로 선정되는 기준 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문구를 포함한 추천 정보(610)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추천 정보(610)를 통해, 열람하지 않은 에피소드의 개수와 에피소드 열람에 이용되는 이용권의 보유 현황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추천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 중 최신 에피소드와 관련된 서비스 페이지(또는 콘텐츠 제공 페이지)의 기 설정된 영역에,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최신 에피소드와 관련된 서비스 페이지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 출력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0일) 이내에 업로드 된 에피소드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추천 콘텐츠의 최신의 유료 상품 타입과 무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을 모니터링 하고, 콘텐츠 제공 페이지 의 기 설정된 영역에 추천 정보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10일 이내에 업로드 된 5회차 에피소드(91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제어부(130)는, 5회차 에피소드(912)를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의 기 설정된 영역에 추천 정보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추천 정보가 제공되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는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서비스 페이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130)는, 추천 정보(610)와 관련된 추천 콘텐츠가 복수개인 경우, 추천 정보(610)를, 복수의 추천 콘텐츠에 대한 추천 콘텐츠 리스트(1310a, 1310b)로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추천 콘텐츠 리스트(1310a, 1310b)는, 복수의 콘텐츠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추천 정보 항목들(1312, 1311, 1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근거하여, 복수의 추천 콘텐츠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추천 정보 항목들(1312, 1311, 1313)을 포함한 추천 콘텐츠 리스트(1310a, 1310b)가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의 일 영역에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추천 콘텐츠 리스트(1310a, 1310b)를, 복수의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시간의 역순서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시간”은, 추천 콘텐츠를 구성하는 최신 회차의 에피소드가 업데이트된 제1시간 및 추천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이용권이 사용자 계정에 지급된 제2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30) 복수의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시간을 비교하여 최신순으로 추천 정보 항목을 정렬할 수 있다.
즉, 추천 콘텐츠 리스트(1310a, 1310b)에는, 가장 최근에 발생된 추천 콘텐츠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 항목을 기준으로, 시간 역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추천 콘텐츠 중 어느 하나(“Freaking Love”, 1312)를 구성하는 에피소드가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 된 경우, 추천 콘텐츠 리스트(1310b)이 가장 첫번째 항목에는, 해당 추천 콘텐츠에 대응되는 추천 정보 항목(1311)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특정 추천 콘텐츠와 관련하여, 특정 추천 콘텐츠를 구성하는 최신 회차의 에피소드 업데이트 이벤트(제1 이벤트) 및 특정 추천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이용권이 사용자 계정에 발급되는 이벤트(제2 이벤트)가 모두 발생한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 중 더 최근에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시간을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특정 추천 콘텐츠에 대한 제1 이벤트가 제1 시점에 발생되고,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제2 이벤트가 제1 시점 이후인 제2 시점에 발생된 경우, 제어부(130)는 제2 시점을 특정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이벤트 발생 순으로 추천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와 관련된 이벤트 발생 순서를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이미 제공 받은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 또는 사용자가 관심 없는 추천 정보와 관련된 추천 정보 정보가, 반복적으로 사용자 계정에 노출되면, 사용자는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추천 정보의 반복 제공으로 피로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이용 의사 판단 및 추천 정보의 노출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추천 정보가 반복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특정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에 특정 이력과 관련된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에서 제외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이력은 사용자 계정에 의해 콘텐츠 열람 이력(700)에 포함된 콘텐츠가 삭제된 이벤트 일 수 있다.
사용자는, 콘텐츠 열람 이력(700)을 제공하는 페이지(예를 들어, 사용자 페이지, 1400 도 14 참조)에서, 콘텐츠 열람 이력(700)에 포함되는 특정 콘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페이지(1400)상에, 콘텐츠 열람 이력에 포함된 콘텐츠를 삭제할 수 있는 삭제 그래픽 객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페이지(1400)상에 삭제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삭제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열람 이력(700)에서 삭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콘텐츠 열람 이력(700)에서 삭제된 특정 콘텐츠가 기 설정된 조건(새로운 에피소드 업데이트 이벤트 발생 또는 이용권 발급 이벤트 발생)을 만족하고, 사용자 계정이 참조 에피소드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더라도, 삭제된 특정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에서 제외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이용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특정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에서 제외할 수 있다.
“특정 콘텐츠에 대한 이용 의사”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열람 패턴에 근거하여 판단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의 개수 중 미열람 에피소드의 개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기 설정된 비율 이상(또는 초과)인 경우, 특정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에서 제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회차의 에피소드를 포함하는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 계정에서 8회차 에피소드까지 열람 하였다고 가정하자. 제어부(130)는 미열람 에피소드가 90% 이상이므로, 특정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로 추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이용을 시도하였으나 이용을 계속해서 이어가지 않은 콘텐츠는, 이용 의사가 없다고 판단하고, 추천 콘텐츠에서 제외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두개의 열람 에피소드 사이의 미열람 에피소드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또는 초과)인 경우, 특정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에서 제외할 수 있다. 즉, 제1 열람 에피소드와 제2 열람 에피소드 사이에서 연속된 미열람 에피소드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또는 초과)인 경우, 특정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에서 제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열람 에피소드는 70회차이고, 제2 열람 에피소드는 101회차 인 경우를 가정하자. 제어부(130)는, 제1 열람 에피소드와 제2 열람 에피소드 사이의 미열람 에피소드 개수가 30개 이상이므로, 특정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로 추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많은 에피소드를 건너뛰고 열람한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이용 의사가 낮다고 판단하고 해당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에서 제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열람 에피소드는 70회차이고, 제2 열람 에피소드는 75회차 인 경우를 가정하자. 제어부(130)는, 제1 열람 에피소드와 제2 열람 에피소드 사이의 미열람 에피소드 개수가 4개 이상이므로, 특정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로서 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미열람 에피소드 그룹이 기 설정된 개수 이상(또는 초과)인 경우, 특정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에서 제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열람 에피소드의 그룹”은, 특정 개수 이상의 에피소드가 연속적으로 열람되지 않은 미열람 에피소드들로 이해도리 수 있다. 예를 들어, 100회차의 에피소드를 포함하는 특정 콘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 계정에 의하여, 1회차, 20회차, 30회차가 각각 열람된 경우를 가정하자. 열람되지 않은 2회차 내지 19회차 에피소드가 제1 미열람 에피소드 그룹을 이루고, 열람되지 않은 21회차 내지 29회차 에피소드가 제2 미열람 에피소드 그룹을 이룰 수 있다.
제어부(1300는 미열람 에피소드 그룹이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2개)이상이면, 특정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에서 제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띄엄띄엄 이용한 콘텐츠는, 사용자의 이용 의사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추천 콘텐츠에서 제외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노출되는 추천 정보를 모니터링 하고, 추천 정보의 노출 이력 정보를 사용자 계정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추천 정보의 노출 이력 정보는, 추천 정보가 사용자 계정에 노출된 상태와 관련된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추천 정보의 노출 이력 정보는, 해당 추천 정보의 노출 빈도, 노출 횟수, 노출 시간, 노출 면적(메인 페이지에서 추천 정보가 노출되는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추천 정보의 노출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가 사용자 계정에 대해 기 설정된 횟수 또는 기 설정된 시간 이상(또는 초과) 노출된 경우, 특정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에서 제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반복해서 특정 콘텐츠를 추천하였으나 사용자 계정에서 추천 콘텐츠를 이용하지 않으면, 추천 콘텐츠에 대한 이용 의사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추천 콘텐츠에서 제외할 수 있다.
한편, 추천 콘텐츠 제외와 관련된 조건은 이러한 노출 중단 조건은, 관리자 시스템에 의해 설정되거나,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추천 정보에 대해 관심 가질 가능성에 비례하여 추천 정보가 노출되도록, 추천 콘텐츠 제외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관심 가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추천 콘텐츠에 대해서는, 추천 정보의 노출 횟수(또는 노출 시간)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관심 가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추천 콘텐츠에 대해서는, 추천 정보의 노출 횟수(또는 노출 시간)을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불필요한 추천 정보를 제공 받아 피로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노출 제외 조건을 설정하고, 이를 만족하는 콘텐츠는 추천 콘텐츠에서 제외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의 특정 영역(14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와는 다른 서비스 페이지(“사용자 페이지”, 1400)를 사용자 단말(20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페이지(1400)는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콘텐츠 열람 이력(700)을 포함하는 페이지일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 상에서 제공되는 추천 정보(610)를 통해, 콘텐츠를 계속해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특정 서비스 페이지(600)의 특정 영역(1410)을 선택함으로써, 콘텐츠 열림 이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사용자 페이지(1400) 상에는,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한 콘텐츠 시간의 역순서에 따라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즉, 사용자 페이지(1400)에는, 사용자 계정에 의해 가장 최근에 열람된 에피소드를 포함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복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시간 역순서에 따라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페이지(1400) 상에 시간 역순서에 따라 정렬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계속해서 이용하고자 하는 특정 콘텐츠에 대응하는 영역에 사용자 입력을 인가함으로써, 특정 콘텐츠를 계속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콘텐츠 열람 이력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대한 추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의 취향, 콘텐츠 열람 패턴에 기반한 맞춤형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써, 업데이트 되는 최신 콘텐츠를 놓치지 않고 즐길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근거하여, 특정 서비스 페이지의 일 영역에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검색 등과 같은 별도의 행동 없이, 감상 중이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일괄적으로 제공 받을 수 있고, 흥미 있는 콘텐츠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소비자에 의한 콘텐츠 소비를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소비자의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소비를 보장함으로써, 소비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명령어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나아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소를 포함하며 전자기기가 통신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컴퓨터는 프로세서, 즉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가 탑재된 전자기기로서, 그 종류에 대하여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8)

  1.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콘텐츠 열람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제공할 추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추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서비스 페이지의 일 영역에 상기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에피소드들의 열람 이력을 상기 콘텐츠 열람 이력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열람 이력을 근거로,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콘텐츠를 상기 추천 콘텐츠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소드들은 디지털 화폐의 지불을 통해 열람이 가능한 유료 상품 타입 및 상기 디지털 화폐의 지불됨 없이 열람이 가능한 무료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상품 타입을 갖고,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콘텐츠에서 새로운 회차에 해당하는 에피소드의 업데이트 여부와 상기 콘텐츠의 유료 상품 타입에 대한 이용권의 발행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피소드가 업데이트되거나 상기 이용권이 발행된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상기 추천 콘텐츠로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는, 특정 요일을 기준으로 상기 무료 상품 타입으로 에피소드가 업데이트되는 요일 연재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요일 연재 콘텐츠는 참조 에피소드를 가지는 경우에 상기 추천 콘텐츠로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는, 에피소드들의 연재가 완결된 완결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완결 콘텐츠는 상기 이용권이 발행된 경우에 상기 추천 콘텐츠로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한 에피소드 중에서 가장 최신의 회차가 상기 유료 상품 타입 및 무료 상품 타입 중 어느 상품에 해당하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무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면, 다음에 읽을 무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유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면 다음에 읽을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한 에피소드 중에서 가장 최신의 회차의 에피소드가 상기 무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고, 상기 가장 최신의 회차의 다음 회차에 해당하는 에피소드가 무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는 콘텐츠가 상기 추천 콘텐츠로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한 에피소드 중에서 가장 최신의 회차의 에피소드가 상기 무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고, 상기 가장 최신의 회차의 다음 회차에 해당하는 에피소드가 상기 유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면,
    상기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권을 보유하는 콘텐츠가 상기 추천 콘텐츠로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한 에피소드 중에서 가장 최신의 회차의 에피소드가 상기 유료 상품 타입에 대한 이용권을 사용한 에피소드이고, 상기 가장 최신의 회차의 다음 회차에 해당하는 에피소드가 상기 유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면,
    상기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권을 보유하는 콘텐츠가 상기 추천 콘텐츠로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한 에피소드 중에서 가장 최신의 회차의 에피소드가 상기 유료 상품 타입에 대한 이용권을 사용하지 않은 에피소드이고, 상기 가장 최신의 회차의 다음 회차에 해당하는 에피소드가 이용권을 사용할 수 없는 유료 상품 타입인 콘텐츠가 상기 추천 콘텐츠로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정보는 상기 추천 콘텐츠에 해당하는 복수의 콘텐츠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은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새로운 회차의 에피소드가 업데이트되는 제1시간과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에 대한 무료 이용권이 발행된 제2시간을 근거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은 상기 제1시간과 제2시간 중 최근의 시간을 기준으로, 각 콘텐츠들의 시간을 비교하여 최신순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특정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 이력과 관련된 콘텐츠를 상기 추천 콘텐츠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정보는 복수의 문구들을 포함하며,
    추천 콘텐츠의 연재 기준 및 상기 추천 콘텐츠로 선정되는 기준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문구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문구들은,
    새로운 에피소드의 개수와 관련된 정보 및 추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콘텐츠의 에피소드들은 디지털 화폐의 지불을 통해 열람이 가능한 유료 상품 타입 및 상기 디지털 화폐의 지불됨 없이 열람이 가능한 무료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상품 타입을 갖고,
    상기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콘텐츠의 최신의 유료 상품 타입과 무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최신의 유료 상품 타입과 무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가 제공되는 서비스 페이지의 기 설정된 영역에 상기 추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7.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대한 출력 이벤트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콘텐츠 열람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제공할 추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추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서비스 페이지의 일 영역에 상기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8.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대한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콘텐츠 열람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 페이지에 제공할 추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추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서비스 페이지의 일 영역에 상기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20008121A 2022-01-19 2022-01-19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47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121A KR102647566B1 (ko) 2022-01-19 2022-01-19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121A KR102647566B1 (ko) 2022-01-19 2022-01-19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994A true KR20230111994A (ko) 2023-07-26
KR102647566B1 KR102647566B1 (ko) 2024-03-14

Family

ID=8742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121A KR102647566B1 (ko) 2022-01-19 2022-01-19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5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8314A (ko) * 2013-01-30 2014-08-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추천 컨텐츠 및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50090987A (ko) * 2014-01-29 2015-08-07 주식회사 레진엔터테인먼트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70114673A (ko) * 2016-04-06 2017-10-16 (주)위세아이텍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5781A (ko) * 2020-04-09 2021-10-19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이미지 기반 컨텐츠의 개인화 추천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8314A (ko) * 2013-01-30 2014-08-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추천 컨텐츠 및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50090987A (ko) * 2014-01-29 2015-08-07 주식회사 레진엔터테인먼트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70114673A (ko) * 2016-04-06 2017-10-16 (주)위세아이텍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5781A (ko) * 2020-04-09 2021-10-19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이미지 기반 컨텐츠의 개인화 추천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ouTube, "국내를 넘어 전 세계 팬들을 사로잡은 웹툰 앱 | 네이버웹툰, 카카오웹툰, 만화경, 투믹스, 코미코"(2021.10.08.), 인터넷 : <https://www.youtube.com/watch?v=Wv9nc8vyF-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566B1 (ko)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78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d presenting web advertisements in a full-screen cinematic view
JP5872753B2 (ja) サーバ装置、電子機器、電子書籍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の電子書籍提供方法、電子機器の電子書籍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82386B1 (en) Sampling a part of a content item
CN103999017A (zh) 具有媒体内容预测的用户界面
US114901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20230057935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6524321B1 (ja) コンテンツ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47566B1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7487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102492353B1 (ko) 디지털 화폐의 구매 유도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63430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60826B1 (ko) 디지털 화폐의 구매 유도 방법 및 시스템
KR102495307B1 (ko) 콘텐츠 열람에 이용되는 디지털 화폐 지급 방법 및 지급 시스템
KR20230031739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59603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09052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31738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31737A (ko)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584989B1 (ko) 디지털 화폐의 구매를 위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102493925B1 (ko) 디지털 화폐의 구매 유도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12468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30364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6424287B1 (ja) 電子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電子コンテンツ提供方法
JP2017059133A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配信装置
JP2020042769A (ja) コンテンツ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