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388A -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388A
KR20230111388A KR1020220007177A KR20220007177A KR20230111388A KR 20230111388 A KR20230111388 A KR 20230111388A KR 1020220007177 A KR1020220007177 A KR 1020220007177A KR 20220007177 A KR20220007177 A KR 20220007177A KR 20230111388 A KR20230111388 A KR 20230111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holder
inlet
fluid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3793B1 (en
Inventor
정휘동
정동수
Original Assignee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793B1/en
Publication of KR20230111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3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7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47J31/0673Means to perforate the cartridge for creating the beverage out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84Sealing means for seal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rewing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67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by means of linear guides, e.g. drawer-type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용 원재료가 수용된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음료 추출 장치는, 홀더 장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일면이 천공되어 형성되는 유입홀을 통해 유체가 도입되어 음료가 추출되는 타입의 제1 캡슐을 수납하는 제1 캡슐 홀더; 일면에 미리 형성된 유입홀을 통해 유체가 도입되어 음료가 추출되는 타입의 제2 캡슐을 수납하는 제2 캡슐 홀더; 및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 장착되는 제1 또는 제2 캡슐 홀더에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 또는 제2 캡슐 홀더에 수납된 제1 또는 제2 캡슐에 음료 추출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공급 유닛을 포함하고, 유체공급 유닛은, 제1 또는 제2 캡슐의 일면을 향해 돌출된 천공수단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 캡슐 홀더는 선택적으로 홀더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 캡슐 홀더는, 유체공급 유닛이 제1 캡슐 홀더에 접근하였을 때, 제1 캡슐의 일면이 천공수단에 의해 천공되도록 구성되고, 제2 캡슐 홀더는, 유체공급 유닛이 제2 캡슐 홀더에 접근하였을 때, 제2 캡슐의 일면과 천공수단이 이격되어 제2 캡슐의 일면이 천공수단에 의해 천공되지 않도록 구성된다.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s for beverage is disclosed. Beverage extraction device, the frame including a holder mounting portion; A first capsule holder accommodating a first capsule of a type in which a beverage is extracted by introducing a fluid through an inlet hole formed by punching one side; a second capsule holder accommodating a second capsule in which a beverage is extracted by introducing a fluid through an inlet hole formed in advance on one surface; and a fluid supply unit mounted to the first or second capsule holder mounted on the holder mounting part of the frame so as to be accessible to or away from it, and supplying fluid for beverage extraction to the first or second capsule accommodated in the first or second capsule holder, wherein the fluid supply unit has a piercing means protruding toward one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capsule, the first and second capsule holders are selectively detachably mounted on the holder mounting part, and the first capsule holder, when the fluid supply unit approaches the first capsule holder; One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is configured to be punctured by the piercing means, and the second capsule holder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fluid supply unit approaches the second capsule holder, one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and the piercing mea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one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is not pierced by the puncturing means.

Figure P1020220007177
Figure P1020220007177

Description

복수 종류의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s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

본 발명은 음료용 원재료가 수용되어 있는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s for bever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capable of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capsules.

근래, 커피나 차 등의 음료용 원재료를 내부에 수용한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여 마시는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캡슐은 대략 원통형 또는 원반형의 용기 내부에 분말 또는 플레이크 형태의 음료용 원재료를 담은 형태로 제공되며, 추출 장치는 용기의 일면(유입측 표면)에서 용기 내부로 유체(전형적으로 고온 고압의 온수)를 도입하여 원재료로부터 음료를 추출하여 용기의 타면(유출측 표면)으로 배출함으로써 음료를 제공한다.Recently, a device for extracting and drink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containing a raw material for a beverage such as coffee or tea has been widely used. These capsule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containing raw materials for beverages in the form of powder or flakes insid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disc-shaped container, and the extraction device extracts a beverage from the raw material by introducing a fluid (typically hot water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to the container from one side (inflow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discharging it to the other side (outflow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to provide a beverage.

이러한 캡슐은 용기의 형태와 구조, 특히 음료 추출 장치가 캡슐의 유입측 표면을 천공하여 캡슐 내부로 추출용 유체를 공급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이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These capsules can be largely divided as follows depending 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container, in particular, whether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perforates the inlet surface of the capsule to supply the extraction fluid into the capsule.

첫째는, 이른바 네스프레소(등록상표) 캡슐이나 돌체구스토(등록상표) 캡슐과 같이, 캡슐의 유입측 표면을 칼날이나 니들(바늘) 등의 유입측 천공수단으로 천공하여 형성된 유입홀로 유체를 공급하는 타입의 캡슐이다. 이러한 타입의 캡슐은 적어도 유입측 표면이 천공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천공되도록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이나 얇은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다.First, as in the so-called Nespresso (registered trademark) capsule or Dolce Gusto (registered trademark) capsule, the inlet surface of the capsule is pierced with an inlet-side piercing means such as a blade or a needle (needle) to supply fluid to an inlet hole. It is a type of capsule. This type of capsule consists of a metal foil such as aluminum or a thin synthetic resin film so that at least the inlet side surface is easily perforated by a perforation means.

둘째는, 이른바 라바짜(등록상표) 캡슐과 같이, 캡슐의 유입측 표면에 (다수의 미세한) 유입홀이 미리 형성되어 있어, 이 유입홀로 유체를 공급하는 타입의 캡슐이다. 이러한 타입의 캡슐은 상대적으로 두껍고 딱딱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Second, like the so-called Lavazza (registered trademark) capsule, a (multiple fine) inlet holes are formed in advance on the inlet side surface of the capsule, and a type of capsule is supplied to the inlet hole. These types of capsules are usually made of relatively thick and hard plastic.

한편, 위와 유사하게, 캡슐은 캡슐 내부에서 추출되는 음료의 배출을 위해 유출측 표면을 천공하는지 여부에 따라 나누어 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milar to the above, the capsule can be divid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urface of the outlet side is perforated for the discharge of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he inside of the capsule.

첫째는, 위의 네스프레소(등록상표) 캡슐과 같이 유출측 표면을 유출측 천공수단에 의해 천공하여 형성된 유출홀을 통해 음료를 배출하는 타입의 캡슐로서, 이러한 타입의 캡슐은 적어도 유출측 표면이 천공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천공되도록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이나 얇은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다.First, as in the above Nespresso (registered trademark) capsule, a type of capsule in which a beverage is discharged through an outflow hole formed by perforating the outflow surface by an outflow-side piercing means. This type of capsule is made of metal foil such as aluminum or a thin synthetic resin film so that at least the outflow-side surface is easily perforated by the puncture means.

둘째는, 위의 라바짜(등록상표) 캡슐이나 돌체구스토(등록상표) 캡슐과 같이, 캡슐의 유출측 표면에 유출홀이 미리 형성되어 있어, 이 유출홀로 음료를 배출하는 타입의 캡슐이다. 이러한 타입의 캡슐은 적어도 유출홀이 형성된 유출측 표면이 상대적으로 두껍고 딱딱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Second, like the above Lavazza (registered trademark) capsule or Dolce Gusto (registered trademark) capsule, an outlet hole is formed in advance on the surface of the outlet side of the capsule, and the beverage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hole. This type of capsule is generally made of relatively thick and hard plastic at least on the outlet side surface where the outlet hole is formed.

이와 같이 캡슐의 형태와 구조에 따라 음료 추출 메커니즘이 다르게 되므로,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도 캡슐의 종류에 따라 전용의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는 제약이 있다.As such, since the beverage extraction mechanism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capsule, a device for extracting the beverage from the capsule also has a limitation in that a dedicated device must be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capsule.

이에 이러한 제약을 넘어 복수 종류의 캡슐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의 추출장치가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등록특허 제10-1350069호 공보)에는, 음료 추출용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 유닛이 마련되는 장치 본체와, 캡슐을 수용하며 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한 캡슐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 준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의 캡슐 홀더(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종류의 캡슐(6)에 적합한 구조와 유체 주입 시스템(7, 7c)을 가진다.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캡슐을 위한 서로 다른 구조의 캡슐 홀더를 복수개 마련하여, 공용의 장치 본체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복수 종류의 캡슐에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ly, a general-purpos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coping with a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s beyond these limitations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Registration Patent No. 10-1350069) discloses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including a device body provided with a fluid supply unit for supplying a fluid for beverage extraction, and a capsule holder that accommodates capsules and is detachable from the device body. Here, the capsule holder 4 of Patent Document 1 has a structure suitable for a specific type of capsule 6 and fluid injection systems 7 and 7c, as shown in FIGS. 1 and 2 . Accordingly, by providing a plurality of capsule holders having different structures for different types of capsules and attaching them to a common apparatus main body, the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s can be accommodated.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device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1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각 캡슐 홀더에 마련된 유체 주입 시스템(7, 7c)의 주입기(70, 70c)는, 캡슐 홀더가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유체공급 유닛의 유체 출구와 연통됨으로써 유체공급 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가 캡슐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그런데, 캡슐 홀더가 장치 본체에 불완전하게 장착되거나 주입 시스템(7, 7c)이 마모나 손상된 경우, 고온 고압의 유체가 누출되어 사용자에 화상을 입히거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First, the injectors 70 and 70c of the fluid injection systems 7 and 7c provided in each capsule holder communicate with the fluid outlet of the fluid supply unit when the capsule holder is mounted on the device body, so that the fluid supplied by the fluid supply unit is supplied into the capsule. However, when the capsule holder is incompletely mounted on the device body or the injection systems 7 and 7c are worn or damaged,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fluid leaks and may cause burns to a user or cause a malfunction.

또한, 캡슐 홀더(4)에 힌지축(72)을 개재하여 마련된 유체 주입 시스템(7)의 주입기(70)는 전술한 유입측 천공수단을 구성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날카로운 칼날이나 니들이 장치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면,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다.In addition, the injector 70 of the fluid injection system 7 provided in the capsule holder 4 via the hinge shaft 72 constitutes the aforementioned inlet-side piercing means. However, if such sharp blades or needl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they may injure the user.

그밖에, 유체 공급시 주입기(70, 70c)와 캡슐(6) 간의 밀봉(실링) 등 특허문헌 1의 장치에는 개선해야 할 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there are points to be improved in the device of Patent Document 1, such as sealing (sealing) between the injectors 70 and 70c and the capsule 6 during fluid supply.

등록특허 제10-1350069호 공보Publication of Registered Patent No. 10-135006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더욱 효율적이고 안전한 구조를 갖는, 복수 종류의 캡슐에 대응할 수 있는 음료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a more efficient and safe structure, an object of providing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responding to a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음료용 원재료가 수용된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로서, 홀더 장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유입측 표면이 천공되어 형성되는 유입홀을 통해 유체가 도입되어 음료가 추출되는 타입의 제1 캡슐을 수납하는 제1 캡슐 홀더; 유입측 표면에 미리 형성된 유입홀을 통해 유체가 도입되어 음료가 추출되는 타입의 제2 캡슐을 수납하는 제2 캡슐 홀더;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을 수납하여 상기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 홀더에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 홀더에 수납된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에 음료 추출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공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공급 유닛은, 일단부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 홀더에 수납된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의 상기 유입측 표면을 향해 돌출된 유입측 천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캡슐 홀더는 선택적으로 상기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 캡슐 홀더는, 상기 제1 캡슐이 상기 제1 캡슐 홀더에 수납되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유체공급 유닛이 상기 제1 캡슐 홀더에 접근하였을 때, 상기 제1 캡슐의 유입측 표면이 상기 유입측 천공수단에 의해 천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캡슐 홀더는, 상기 제2 캡슐이 상기 제2 캡슐 홀더에 수납되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유체공급 유닛이 상기 제2 캡슐 홀더에 접근하였을 때, 상기 제2 캡슐의 유입측 표면과 상기 유입측 천공수단이 이격되어 상기 제2 캡슐의 유입측 표면이 상기 유입측 천공수단에 의해 천공되지 않도록 구성된다.Beverage extrac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device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containing a raw material for a beverage, a frame including a holder mounting portion; a first capsule holder accommodating a first capsule in which a beverage is extracted by introducing a fluid through an inlet hole formed by punching an inlet surface; a second capsule holder accommodating a second capsule in which a beverage is extracted by introducing a fluid through an inlet hole formed in advance on an inlet surface; and a fluid supply unit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first or second capsule and to be mounted on the frame so as to be accessible to or away from the first or second capsule holder mounted o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of the frame, and to supply fluid for beverage extraction to the first or second capsule accommodated in the first or second capsule holder, wherein the fluid supply unit has an inlet piercing means protruding from one end toward the inlet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capsule accommodated in the first or second capsule holder; and a second capsule holder is selectively detachably mounted to the holder mounting portion of the frame, wherein the first capsule holder is configured so that when the first capsule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capsule holder and mounted on the frame and the fluid supply unit approaches the first capsule holder, the inlet-side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is pierced by the inlet-side piercing unit, and the second capsule hold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capsule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capsule holder and mounted in the frame, and the fluid supply unit approaches the second capsule holder. , the inlet-side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is spaced apart from the inlet-side piercing means so that the inlet-side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is not perforated by the inlet-side piercing means.

여기서, 상기 유입측 천공수단은 내부에 상기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선단부가 날카로운 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inlet-side piercing means may be made of a tubular shape through which the fluid may flow and a needle having a sharp tip.

이 경우, 상기 니들은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의 상기 유입측 표면에서 바라봤을 때 복수 개가 원주상에 등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needles may be arranged at equal angles on the circumference when viewed from the inlet side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capsule.

또한, 유입측 천공수단이 니들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유체공급 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 홀더에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고, 일측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관이 결합되는 유체 도입구가 형성된 이동 블록; 상기 이동 블록의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 홀더에 대향하는 단부와의 사이에 상기 유체 도입구로 도입된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이동 블록에 일면이 결합되는 유로 플레이트; 및 상기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니들은, 상기 유로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선단부가 상기 유로 플레이트의 타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유로 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let-side piercing means is formed of a needle, the fluid supply unit is mounted inside the frame to be accessible to or away from the first or second capsule holder mounted o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of the frame, and a moving block having a fluid inlet coupled to a fluid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fluid to one side thereof; a flow path plate having one surface coupled to the movable block such that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luid inlet flows is formed between an end of the movable block facing the first or second capsule holder; and the needle, wherein the needle penetrates the flow path plate and is coupled to the flow path plate such that a front end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low path plate.

이 경우, 상기 유체공급 유닛은,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일면이 상기 유로 플레이트의 타면에 결합되고, 타면이 상기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 장착되어 대향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 홀더, 및/또는,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 홀더에 수납된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에 밀착하도록 이루어진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니들은, 상기 유로 플레이트 및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하여 선단부가 상기 탄성부재의 타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유로 플레이트 및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luid supply unit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ne surface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low path plate, and the other surface mounted o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of the fram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pposing first or second capsule holder and/or the first or second capsule accommodated in the first or second capsule holder, wherein the needle penetrates the flow path plate and the elastic member so that a distal end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can be bonded to ash.

또한, 상기 유로 플레이트의 타면에는, 상기 유로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상기 니들의 둘레를 따라 환상으로 돌출되는 환상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유로 플레이트의 타면에 형성된 상기 환상 돌기에 대응하는 환상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an annular protrusion protruding annular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needle penetrating the flow path plate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low path plate, and an annular groove corresponding to the annular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low path plate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또한, 상기 유체 공급관은 상기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개재하여 상기 이동 블록의 유체 도입구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uid supply pipe may be coupled to the fluid inlet of the moving block via a check valve that prevents the fluid from flowing backward.

한편, 상기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는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 홀더가 완전히 삽입되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first or second capsule holder is completely inserted and mounted may be provided i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of the frame.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캡슐 홀더에서 상기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 삽입되는 쪽의 선단부에는 제1 자석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캡슐 홀더의 선단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 자석과 인력이 작용하는 제2 자석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magnet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apsule holders inserted into the holder mounting portion of the frame, and a second magnet acting with the first magnet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apsule holders i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of the frame.

한편, 상기 제1 캡슐은, 상기 유입측 표면, 상기 유입측 표면과 대향하는 유출측 표면, 및 상기 유입측 표면과 유출측 표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캡슐 홀더는, 상기 제1 캡슐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캡슐의 유출측 표면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1 캡슐의 유출측 표면으로부터 유출되는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홀더 하우징; 및 상기 제1 캡슐의 유출측 표면과 상기 홀더 하우징의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캡슐의 유출측 표면을 천공하는 유출측 천공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capsule has a cylindrical shape including the inlet-side surface, an outlet-side surface facing the inlet-side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nnecting the inlet-side surface and the outlet-side surface. and an outlet-side pierc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outlet-side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and the outlet of the holder housing to puncture the outlet-side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이 경우, 상기 제1 캡슐 홀더는, 상기 제1 캡슐이 상기 홀더 하우징에 수납되어 상기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1 캡슐의 유입측 표면의 적어도 상기 유입측 천공수단에 대향하는 부분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캡슐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홀더 하우징에서 상기 제1 캡슐의 유입측 표면 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캡슐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apsule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capsule cover wrapped arou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inlet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in the holder housing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inlet side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that faces the inlet side piercing unit is exposed when the first capsule is accommodated in the holder housing and mounted o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of the frame.

또한, 이 경우, 상기 제1 캡슐은, 상기 유출측 표면이 상기 측면을 넘어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 커버에는 상기 제1 캡슐의 측면을 감싸는 부분에서 두께방향으로, 상기 유체공급 유닛에 의해 공급되어 상기 제1 캡슐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제1 캡슐의 측면과 상기 캡슐 커버의 내면 사이의 틈새로 흐르는 유체가 유입가능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의 개방된 단부는 상기 제1 캡슐의 플랜지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로의 개방된 단부에는 오링이 삽입되어 밀폐되고, 상기 유로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오링을 상기 제1 캡슐의 플랜지부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apsule includes a flange portion whose outflow-side surface extends beyond the side surface,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supplied by the fluid supply unit and flowing into the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apsule cover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can flow into the capsule cover is formed in a thickness direction at a portion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and an O-ring is inserted into the open end of the flow path. and sealed, and may be configured to bring the O-r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of the first capsule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passage.

한편, 상기 제2 캡슐은, 상기 유입측 표면, 상기 유입측 표면과 대향하는 유출측 표면, 및 상기 유입측 표면과 유출측 표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캡슐 홀더는, 상기 제2 캡슐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캡슐의 유출측 표면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2 캡슐의 유출측 표면으로부터 유출되는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홀더 하우징; 및 상기 제2 캡슐이 상기 홀더 하우징에 수납되어 상기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2 캡슐의 유입측 표면이 상기 유입측 천공수단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제2 캡슐의 유입측 표면을 상기 유입측 천공수단과 이격시켜 덮고, 상기 홀더 하우징에서 상기 제2 캡슐의 유입측 표면 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캡슐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 커버에는 상기 유체공급 유닛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2 캡슐의 유입측 표면을 향해 돌출된 상기 유입측 천공수단을 수용하도록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capsule has a cylindrical shape including the inlet-side surface, an outlet-side surface opposite to the inlet-side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nnecting the inlet-side surface and the outlet-side surface, and the second capsule holder includes a holder housing having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capsule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beverage flowing out from the outlet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is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outlet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and a capsule cover that covers the inlet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inlet piercing means so that the inlet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let piercing means when the second capsule is accommodated in the holder housing and mounted o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of the frame,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let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in the holder housing, wherein the capsule cover accommodates the inlet piercing means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fluid supply unit toward the inlet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through hole passed through may be formed.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afely and efficiently extract beverages from different types of capsules using one device.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날카로운 칼날이나 니들로 이루어지는 유입측 천공수단이 사용자의 손이 접근하기 어려운 장치 본체 내에, 유체공급 유닛과 유체 연통되면서 실링된 상태로 마련되므로, 유체의 누출 가능성이 현저하게 감소하고 사용자의 안전도 도모된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flow-side piercing means made of a sharp blade or a needle is provided in a sealed state while being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supply unit in the main body of the device, which is difficult for the user's hand to access, the possibility of fluid leakage is remarkably reduced and user safety is also promot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음료 추출 장치에서 특정 종류의 캡슐을 수용하는 캡슐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음료 추출 장치에서 도 1과는 다른 종류의 캡슐을 수용하는 캡슐 홀더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전체 하우징을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음료 추출 장치의 본체와 캡슐 홀더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도 4에 도시된 서로 다른 종류의 캡슐 및 캡슐 홀더를 장치 본체에 장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들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음료 추출 장치의 본체만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유로 플레이트의 상방사시도(a) 및 하방사시도(b)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탄성부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이동 블록, 유로 플레이트, 탄성부재 및 유체 공급관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하방사시도(a)와, 일부 확대 단면도(b)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음료 추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일부 투시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캡슐 홀더 중 하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캡슐 홀더의 캡슐 커버만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캡슐 홀더에 캡슐을 수납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only.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psule holder for accommodating a specific type of capsule in a convention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psule holder for accommodating a capsule of a different type from Figure 1 in a conventional beverage extracting devic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mitting the entire housing of the beverage extra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main body and capsule holder of the beverage extracting device shown in Figure 3;
5 to 7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beverages are extracted by mounting different types of capsules and capsule holders shown in FIG. 4 to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n by disassembling only the main body of the beverage extracting device shown in Figure 4;
9 is a top perspective view (a)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b) of the flow path plate shown in FIG.
10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member shown in FIG. 8;
FIG. 1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a) and a parti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b)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lock, the flow path plate, the elastic member, and the fluid supply pipe shown in FIG. 8 are coupled.
Figure 1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shown in Figure 3;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of the capsule holders shown in FIG. 4;
FIG. 1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capsule cover of the capsule holder shown in FIG. 13;
1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apsules are accommodated in the capsule holder shown in FIG. 1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이하, '음료 추출 장치' 또는 간단히 '장치'라고도 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vice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raw material accommodation capsule for bevera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or simply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component or a specific part constituting the component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Therefore,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장착', '고정'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 장착, 고정 또는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중간 부재를 개재하여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 장착, 고정 또는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The terms 'coupled', 'mounted', 'fixed' or 'connected' as used herein include cases in which one member and another member are directly coupled, mounted, fixed, or connected, as well as cases in which one member is indirectly coupled, mounted, fixed, or connected to another member through an intermediate member.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상태의 음료 추출 장치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up, down, left, and right are used based on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 the state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terms are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location of the target object It is obvious that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observer or the lik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는, 전형적으로 볶은 커피 분말이 수용되어 있는 캡슐에 가압된 유체를 분사하여 커피 추출액을 얻지만, 캡슐의 내부에는 커피 분말 외에도 찻잎이나, 건조 식물, 곡물, 우유, 농축 원액 등, 가압된 유체로 우려내거나 희석하여 추출하기에 적합한 다른 재료가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커피 이외의 재료가 충전된 캡슐로부터 추출액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urized fluid is typically sprayed into a capsule in which roasted coffee powder is accommodated to obtain a coffee extract, but the inside of the capsule may be filled with tea leaves, dried plants, grains, milk, other materials suitable for extraction by dilution and extraction with pressurized fluid, such as dried plants, grains, milk, concentrated undiluted solution, etc.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n extract from a capsule filled with materials other than coffe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전체 하우징을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장치의 본체와 캡슐 홀더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mitting the entire housing,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body and capsule holder disassembl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음료 추출 장치는 장치 본체(100)와 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캡슐 홀더(200)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는 캡슐(300)을 캡슐 홀더(200)에 수납한 후 캡슐 홀더(200)를 장치 본체(100)의 홀더 장착부(102)에 장착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게 구성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는,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캡슐(300)로부터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각각의 캡슐(300)을 수납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는 캡슐 홀더(200)를 선택적으로 장치 본체(100)의 홀더 장착부(102)에 장착함으로써 구현된다. 3 and 4,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cludes a capsule holder 200 detachably mounted to the device body 100 and the device body. That is,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extract a beverage by placing the capsule 300 in the capsule holder 200 and then mounting the capsule holder 200 to the holder mounting portion 102 of the device body 100. In particular,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extract beverages from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capsules 300 using one device, and is implemented by selectively mounting the capsule holder 200 having a structure suitable for accommodating each capsule 300 to the holder mounting portion 102 of the device main body 100.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가지 종류의 캡슐(300A, 300B, 300C) 및 그에 각각 대응되는 3가지 종류의 캡슐 홀더(200A, 200B, 200C)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도시된 3가지 종류의 캡슐 및 캡슐 홀더를 사용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캡슐 및 캡슐 홀더는 각각 2가지 이상이면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it is described as including three types of capsules 300A, 300B, and 300C and three types of capsule holders 200A, 200B, and 200C corresponding thereto,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of using the three types of capsules and capsule holders shown, and the number of capsules and capsule holders may be two or more, respectively.

도 4에 도시된 3가지 종류의 캡슐(300A, 300B, 300C)은, 구체적인 형상은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각 캡슐(300A, 300B, 300C)은 음료 추출용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측 표면(도면에서 상면), 유입측 표면과 대향하는 유출측 표면(도면에서 하면) 및 유입측 표면과 유출측 표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The three types of capsules 300A, 300B, and 300C shown in FIG. 4 have slightly different specific shapes, but in common are substantially cylindrical. That is, each of the capsules 300A, 300B, and 300C has an inlet surface (upper surface in the drawing) into which beverage extraction fluid flows, an outlet surface (lower surface in the drawing) facing the inlet surface, and a cylindrical shape including a side surface connecting the inlet surface and the outlet surface.

한편, 캡슐(300A, 300B, 300C)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되었을 때 유체가 도입되는 유입측 표면이 천공되는지 여부에 따라 크게 2가지 타입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capsules (300A, 300B, 300C)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whether the surface of the inlet side through which the fluid is introduced when mounted on the device body 100 is perforated.

먼저, 첫번째 타입의 제1 캡슐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되었을 때 후술하는 유입측 천공수단(145; 도 5 참조)에 의해 유입측 표면이 천공되어 유입홀이 형성되고, 이 유입홀을 통해 유체가 캡슐 내부로 도입되는 타입의 캡슐로서, 도 4에 도시된 이른바 돌체구스토 캡슐(300A)과 네스프레소 캡슐(300B)이 이에 해당한다. 제1 캡슐(300A, 300B)은 다시 캡슐 내부에서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는 유출측 표면이 별도의 유출측 천공수단에 의해 천공되는지 여부에 따라, 캡슐의 유출측 표면에 유출홀(320A; 도 5 참조)이 미리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천공이 필요없는 캡슐(300A)과 유출측 표면이 유출측 천공수단(240B; 도 6 참조)에 의해 천공되는 캡슐(300B)로 나누어볼 수 있다.First, when the first capsule of the first type is mounted on the device main body 100, the inlet surface is pierced by an inlet-side piercing unit 145 (see FIG. 5)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an inlet hole, and the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capsule through the inlet hole. The so-called Dolce Gusto capsule 300A and the Nespresso capsule 300B shown in FIG. 4 correspond to this type. The first capsules 300A and 300B can be divided into a capsule 300A, which does not require additional perforation because an outlet hole 320A (see FIG. 5) is pre-formed on the outlet surface of the capsule, and a capsule 300B, in which the outlet surface is pierced by an outlet-side piercing unit 240B (see FIG. 6), depending on whether the outlet surface through which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he inside of the capsule is discharged is perforated by a separate outlet-side piercing unit. .

두번째 타입의 제2 캡슐은, 도 4에 도시된 이른바 라바짜 캡슐(300C)로서, 이 캡슐(300C)의 유입측 표면에는 유입홀인 다수의 미세홀(310C)이 형성되어 있어 장치 본체(100)에 장착되었을 때 유입측 천공수단(145)에 의해 유입측 표면이 천공되지 않고, 미세홀(310C)을 통해 유체가 캡슐 내부로 도입되는 타입의 캡슐이다. 한편, 제2 캡슐에 대해서도 제1 캡슐과 마찬가지로 유출측 표면의 천공여부에 따라 나누어볼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2 캡슐인 라바짜 캡슐(300C)은 유출측 표면에도 유입측 표면과 유사하게 유출홀인 다수의 미세홀이 미리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천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The second capsule of the second type is the so-called Lavazza capsule 300C shown in FIG. 4, and a plurality of fine holes 310C, which are inlet holes, are formed on the inlet surface of the capsule 300C. When mounted on the device body 100, the inlet surface is not pierced by the inlet puncture means 145, and the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capsule through the microholes 310C.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apsule can be divid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outlet surface is perforated, as in the first capsule.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apsule, the Lavazza capsule (300C), has a plurality of fine holes, which are outlet holes, similar to the inlet surface, on the outlet surface, so that no separate drilling is required.

이렇게 추출 메커니즘과 구조가 다른 제1 캡슐(300A, 300B)과 제2 캡슐(300C)에 맞추어, 캡슐 홀더(200)도 각각의 캡슐(300A, 300B, 300C)을 수납할 수 있는 제1 캡슐 홀더(200A, 200B)와 제2 캡슐 홀더(200C)가 제공된다.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capsules 300A and 300B and the second capsules 300C having different extraction mechanisms and structures, the capsule holder 200 is provided with the first capsule holders 200A, 200B and the second capsule holder 200C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respective capsules 300A, 300B, and 300C.

각각의 캡슐 홀더(200A, 200B, 200C)는 공통적으로, 각각의 캡슐(300A, 300B, 300C)을 수납하는 수납공간(201A, 201B, 201C)이 형성되고, 캡슐(300A, 300B, 300C)의 유출측 표면으로부터 유출되는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202A, 202B, 202C; 각각 도 5 내지 도 7 참조)가 형성된 홀더 하우징(210A, 210B, 210C)을 포함한다. 또한, 각 홀더 하우징(210A, 210B, 210C)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캡슐 홀더(200A, 200B, 200C)를 장치 본체(100)의 홀더 장착부(102)에 삽입/인출할 수 있도록 손잡이(220A, 220B, 220C)가 결합될 수 있다.Each of the capsule holders 200A, 200B, and 200C has a storage space 201A, 201B, and 201C for accommodating each of the capsules 300A, 300B, and 300C in common, and outlets 202A, 202B, and 202 through which beverages flowing out from the outlet surface of the capsules 300A, 300B, and 300C are discharged. It includes holder housings 210A, 210B and 210C on which C; see Figs. 5 to 7 respectively) are formed. In addition, handles 220A, 220B, and 220C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each of the holder housings 210A, 210B, and 210C so that the user can insert/withdraw the capsule holders 200A, 200B, and 200C from the holder mounting portion 102 of the device body 100 by holding them.

또한, 캡슐 홀더(200B)는 홀더 하우징(210B)에서 캡슐(300B)의 유입측 표면 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캡슐 커버(23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커버(230B)에는, 수납공간(201B)에 캡슐(300B)을 수납하고 캡슐 커버(230B)를 회동시켜 캡슐(300B)을 덮은 후 캡슐 홀더(200B)를 장치 본체(100)에 장착하였을 때(도 6 참조), 캡슐(300B)의 유입측 표면에서 유입측 천공수단(145)에 대향하는 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231B)가 형성된다. 캡슐 커버(230B)는 이 개구(231B)를 제외하고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하광상협의 자세로 수납공간(201B)에 수납되는 캡슐(300B)의 측면을 감싸 캡슐(300B)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캡슐 홀더(200B)의 나머지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addition, the capsule holder 200B may further include a capsule cover 230B rotatably coupled to the inlet side surface of the capsule 300B in the holder housing 210B. In the capsule cover 230b, when the capsule 300b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201b, the capsule cover 230b is rotated to cover the capsule 300b, and the capsule holder 200b is mounted on the device body 100 (see FIG. The opening 231b is formed to expose the opposing part. The capsule cover 230B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except for this opening 231B and wraps around the side of the capsule 300B stored in the storage space 201B in a lower beam arrangement posture to fix the capsule 300B so that it does not move. The remaining detailed structure of the capsule holder 200B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제2 캡슐 홀더(200C)도 캡슐 홀더(200B)와 유사하게, 홀더 하우징(210C)에서 제2 캡슐(300C)의 유입측 표면 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캡슐 커버(23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커버(230C)는, 수납공간(201C)에 제2 캡슐(300C)을 수납하고 캡슐 커버(230C)를 회동시켜 캡슐(300C)을 덮은 후 캡슐 홀더(200C)를 장치 본체(100)에 장착하였을 때(도 7 참조), 캡슐(300C)의 유입측 표면이 유입측 천공수단(145)에 접촉하지 않도록 제2 캡슐(300C)의 유입측 표면을 유입측 천공수단(145)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로서 기능한다. 또한, 캡슐 커버(230C)에는 제2 캡슐(300B)의 유입측 표면을 향해 돌출된 유입측 천공수단(145)을 수용하도록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통공(23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공(231C)은 유체공급 유닛(160)을 구성하는 유입측 천공수단(145)을 통해 제2 캡슐(300C)로 추출용 유체를 공급하는 통로로서 기능한다.Also, similar to the capsule holder 200B, the second capsule holder 200C may further include a capsule cover 230C rotatably coupled to the inlet side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300C in the holder housing 210C. The capsule cover 230C stores the second capsule 300C in the storage space 201C, rotates the capsule cover 230C to cover the capsule 300C, and then mounts the capsule holder 200C on the main body 100 (see FIG. 7). It functions as a spacer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inlet-side perforation means 145. In addition, a through hole 231C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in the capsule cover 230C to accommodate the inlet-side piercing means 145 protruding toward the inlet-side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300B. This through hole 231C functions as a passage through which fluid for extraction is supplied to the second capsule 300C through the inlet side piercing means 145 constituting the fluid supply unit 160.

한편, 캡슐 홀더(200B)는, 캡슐(300B) 내부에서 추출된 음료를 배출하기 위해 캡슐(300B)의 유출측 표면을 천공하는 유출측 천공수단(240B; 도 6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출측 천공수단(240B)은 캡슐(300B)의 유출측 표면과 홀더 하우징(210B)의 배출구(202B) 사이에 배치되고, 캡슐(300B)의 유출측 표면과 대향하여 돌출된 돌기(241)들과, 돌기(241)들 사이에 유출측 천공수단(240B)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24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출측 천공수단(240B)의 돌기(241)는 유체 압력에 의해 유출측 표면을 파열시키면 되므로, 날카로운 칼날이나 니들로 형성되는 유입측 천공수단(145)과 달리 비교적 뭉툭하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psule holder 200B may further include an outlet piercing means 240B (see FIG. 6) for piercing the outlet side surface of the capsule 300B to discharge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he inside of the capsule 300B. The outflow-side piercing unit 240B may include protrusions 241 disposed between the outflow-side surface of the capsule 300B and the outlet 202B of the holder housing 210B, and protruding opposite to the outflow-side surface of the capsule 300B, and through-holes 242 passing between the protrusions 241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utflow-side piercing unit 240B. Here, since the protrusion 241 of the outflow-side piercing means 240B only needs to rupture the outlet-side surface by fluid pressure, unlike the inlet-side piercing means 145 formed of a sharp blade or needle, it is formed relatively blunt to promote user safety.

이어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캡슐(300A, 300B, 300C) 및 캡슐 홀더(200A, 200B, 200C)를 각각 장치 본체(100)에 장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the operation of extracting a beverage by mounting the capsules 300A, 300B, and 300C and the capsule holders 200A, 200B, and 200C shown in FIG. 4 to the device body 100 will be described.

음료를 추출하고자 하는 캡슐이 제1 캡슐로서 이른바 돌체구스토 캡슐(300A)인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300A)을 캡슐 홀더(200A)에 수납하고 캡슐 홀더(200A)를 장치 본체(100)에 장착한 후, 유체공급 유닛(160)을 캡슐(300A)에 접근시키면, 유입측 천공수단(145)이 캡슐(300A)의 유입측 표면을 뚫게 된다. 이 상태에서 유체공급 유닛(160)을 통해 음료 추출용 유체를 공급하면, 캡슐(300A) 내부의 음료용 원재료로부터 음료가 추출되고, 추출된 음료는 캡슐(300A)의 유출측 표면에 미리 형성된 유출홀(320A)과 캡슐 홀더(200A)의 홀더 하우징(210A)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202A)를 통해 배출된다. When the capsule for extracting the drink is the first capsule, the so -called dolechegguing stomcapsule 300a, as shown in FIG. 5, the capsule 300a is stored in the capsule holder 200a and the capsule holder 200a is mounted to the device body 100, and then the fluid supply unit 160 is accessed to the capsule 300a. The perforation conference 145 penetrates the inflow surface of the capsule 300a. In this state, when a beverage extraction fluid is supplied through the fluid supply unit 160, the beverage is extracted from the raw material for beverage inside the capsule 300A, and the extracted beverage is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hole 320A formed in advance on the outflow side surface of the capsule 300A and an outlet 202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housing 210A of the capsule holder 200A.

이때, 캡슐(300A)의 내부에는 수용된 음료용 원재료가 유출홀(320A)을 통해 새어나오지 않도록 막는 얇은 막(도시 생략)이 배치되어 있고, 이 막과 유출홀(320A)의 사이에 천공수단(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캡슐(300A) 내부로 공급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팽창하는 상기 막이 천공수단에 의해 천공됨으로써 추출된 음료가 유출홀(320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캡슐(300A)은 유출측 천공수단을 내장하는 캡슐일 수 있다.At this time, a thin film (not shown) is disposed inside the capsule 300A to prevent the received beverage raw material from leaking through the outlet hole 320A, and a puncture means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lm and the outlet hole 320A. Therefore, the membrane expand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supplied into the capsule 300A is perforated by the perforation means, so that the extracted beverage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hole 320A. That is, the capsule 300A may be a capsule incorporating an outflow-side piercing means.

음료를 추출하고자 하는 캡슐이 제1 캡슐로서 이른바 네스프레소 캡슐(300B)인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300B)을 캡슐 홀더(200B)에 수납하고 캡슐 홀더(200B)를 장치 본체(100)에 장착한 후, 유체공급 유닛(160)을 캡슐(300B)에 접근시키면, 유입측 천공수단(145)이 캡슐(300B)의 유입측 표면을 뚫게 된다. 이 상태에서 유체공급 유닛(160)을 통해 음료 추출용 유체를 공급하면, 캡슐(300B) 내부의 음료용 원재료로부터 음료가 추출된다. When the capsule to be extracted is a so-called Nespresso capsule 300B as the first capsule, as shown in FIG. 6, the capsule 300B is accommodated in the capsule holder 200B, the capsule holder 200B is mounted on the device body 100, and the fluid supply unit 160 approaches the capsule 300B. . In this state, when the fluid for extracting a beverage is supplied through the fluid supply unit 160, the beverage is extracted from the raw material for beverage inside the capsule 300B.

이때, 캡슐(300B)의 유출측 표면은 캡슐(300B) 내부로 공급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팽창하게 되고, 유출측 표면에 대향하여 캡슐 홀더(200B) 바닥에 배치된 유출측 천공수단(240B)의 돌기(241)에 의해 천공된다. 이렇게 천공되어 형성된 유출홀을 통해 음료가 배출되어 유출측 천공수단(240B)의 통공(242)과 캡슐 홀더(200B)의 홀더 하우징(210B)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202B)를 통해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outflow-side surface of the capsule 300B is expand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supplied into the capsule 300B, and is pierced by the protrusion 241 of the outflow-side piercing means 240B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capsule holder 200B facing the outflow-side surface. The beverage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flow hole formed through the perforation and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242 of the outflow side piercing unit 240B and the outlet 202B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housing 210B of the capsule holder 200B.

음료를 추출하고자 하는 캡슐이 제2 캡슐인 이른바 라바짜 캡슐(300C)인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300C)을 캡슐 홀더(200C)에 수납하고 캡슐 홀더(200C)를 장치 본체(100)에 장착한 후, 유체공급 유닛(160)을 캡슐(300C)에 접근시키면, 유입측 천공수단(145)은 캡슐 홀더(200C)의 캡슐 커버(230C)에 형성된 통공(231C)에 수용되어, 유입측 천공수단(145)은 캡슐(300C)의 유입측 표면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When the capsule from which beverage is to be extracted is the so-called Lavazza capsule 300C, which is the second capsule, as shown in FIG. ) is accommodated in the through hole 231C formed in the inlet side piercing means 145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let side surface of the capsule 300C.

이 상태에서 유체공급 유닛(160)을 통해 음료 추출용 유체를 공급하면, 캡슐(300C)의 유입측 표면에 미리 형성된 유입홀(310C; 도 4 참조)을 통해 캡슐(300C) 내부로 유체가 공급되고, 내부의 음료용 원재료로부터 음료가 추출된다. 추출된 음료는 캡슐(300C)의 유출측 표면에 미리 형성된 유출홀과, 캡슐 홀더(200C)의 홀더 하우징(210C)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202C)를 통해 배출된다.In this state, when the fluid for extracting a beverage is supplied through the fluid supply unit 160, the fluid is supplied into the capsule 300C through an inlet hole 310C (see FIG. 4) previously formed on the inlet surface of the capsule 300C, and the beverage is extracted from the raw material for beverage inside. The extracted beverage is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hole previously formed on the outflow side surface of the capsule 300C and an outlet 202C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housing 210C of the capsule holder 200C.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로 다른 종류의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입측 천공수단이 캡슐 홀더에 마련되는 종래기술과 달리, 유입측 천공수단(145)이 장치 본체(100)에 마련되므로, 유체의 누출 가능성이 현저하게 감소하고 사용자의 안전도 도모된다.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everages can be extracted from different types of capsules.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the inlet-side piercing means is provided in the capsule holder, since the inlet-side piercing means 145 is provided in the device main body 100, the possibility of fluid leakage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user safety is also promoted.

이어서, 캡슐(300) 및 캡슐 홀더(200)의 종류와 무관하게 공통적인 구성을 가지는 장치 본체(100)에 대해, 장치 본체(100)의 분해 사시도인 도 8과, 일부 구성요소를 독립적으로 또는 몇몇 구성요소들만을 결합한 상태로 도시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device body 100 having a common configuration regardless of the types of the capsule 300 and the capsule holder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which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body 100, and FIGS. 9 to 12, which show some components independently or in a combined state.

장치 본체(100)는, 프레임(110)과 유체공급 유닛(160)을 포함하며, 구동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body 100 includes a frame 110 and a fluid supply unit 160, and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180.

프레임(110)은 유체공급 유닛(160) 등 장치 본체(100)를 구성하는 요소들과 캡슐 홀더(200)가 장착되는 구성요소로서, 프레임(110)에는 유체공급 유닛(160)이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공간(101)과, 캡슐 홀더(20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 장착부(102)가 형성되어 있다.The frame 110 is a component to which elements constituting the device body 100, such as the fluid supply unit 160, and the capsule holder 200 are mounted. In the frame 110, the fluid supply unit 160 is vertically mounted. An inner space 101 and a holder mounting portion 102 to which the capsule holder 200 is detachably mounted are formed.

유체공급 유닛(160)은 이동 블록(120)과, 이 이동 블록(120)에 결합되는 유체 공급관(130), 유로 플레이트(140), 유입측 천공수단(145) 및 탄성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uid supply unit 160 may include a movable block 120, a fluid supply pipe 130 coupled to the movable block 120, a flow path plate 140, an inlet piercing means 145, and an elastic member 150.

이동 블록(120)은 후술하는 구동부(180)에 의해 상하 승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동 블록(120)의 일면(도면에서 상면)에는 구동부(180)가 결합되고, 이동 블록(120)과 이 이동 블록(120)에 결합되는 유체 공급관(130), 유로 플레이트(140), 유입측 천공수단(145) 및 탄성 부재(150)는 일체적으로 구동부(180)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홀더 장착부(102)에 장착되는 캡슐 홀더(200)에 수납된 캡슐(300)을 향해 접근/이격 가능하다. 이동 블록(120)의 일측에는 유체 공급관(130)이 결합되는 유체 도입구(121)가 형성되어 있다.The moving block 120 is a component that moves up and down by a driving unit 180 to be described later. A drive unit 180 is coupled to one surface (upper surface in the drawing) of the movable block 120, and the movable block 120, the fluid supply pipe 130 coupled to the movable block 120, the flow path plate 140, the inlet piercing means 145, and the elastic member 150 are integrally moved by the drive unit 180, thereby causing the capsule 3 accommodated in the capsule holder 200 mounted on the holder mounting unit 102. 00) is possible to approach/separate. A fluid inlet 121 to which the fluid supply pipe 130 is coupl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ing block 120 .

유체 공급관(130)은 히터(도시 생략) 및/또는 펌프(도시 생략)에 의해 공급되는 음료 추출용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으로서, 피팅(131)을 개재하여 이동 블록(120)의 유체 도입구(12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피팅(131)은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132)를 개재하여 유체 도입구(121)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luid supply pipe 130 is a pipe for supplying fluid for beverage extraction supplied by a heater (not shown) and/or a pump (not shown), and is a fluid inlet of the moving block 120 via a fitting 131. It may be coupled to the inlet 121. Here, the fitting 131 may be coupled to the fluid inlet 121 via a check valve 132 that prevents back flow of fluid.

체크 밸브(1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도입구(121)의 내면과 접하는 외주면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절결부(132a)가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133)에 의해 피팅(131)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 따라서, 유체 공급관(130)에 의해 유체가 공급될 때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체크 밸브(132)가 스프링(133)의 탄성력을 이겨 피팅(131)과 이격되어 유체가 유체 공급관(130)에서 유체 도입구(121)로 흐를 수 있고, 유체 공급관(130)에 의해 유체가 공급되지 않을 때에는 체크 밸브(132)가 스프링(133)의 탄성력에 의해 피팅(131)에 접하여 유체 도입구(121)에서 유체 공급관(130)으로 유체가 역류하지 않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check valve 132 has a cutout 132a through which fluid can pass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luid inlet 121, and is elastically biased towards the fitting 131 by the spring 133. Therefore, when fluid is supplied by the fluid supply pipe 130, the check valve 132 overcome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33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and is separated from the fitting 131 so that the fluid can flow from the fluid supply pipe 130 to the fluid inlet 121. The fluid does not flow backward from the inlet 121 to the fluid supply pipe 130.

유로 플레이트(140)는 일면(도면에서 상면)이 이동 블록(120)의 타면(도면에서 하면)에 결합되어 이동 블록(120)의 타면과의 사이에 유체 도입구(121)로 도입된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유로 플레이트(140)에는, 유입측 천공수단(145)인 니들이 유로 플레이트(140)를 관통하여 선단부가 타면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One surface (upper surface in the drawing) of the flow path plate 140 is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lower surface in the drawing) of the movable block 120 so that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luid inlet 121 between the other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ovable block 120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can flow. In addition, the flow path plate 140 is coupled so that a needle, which is an inflow-side piercing means 145, penetrates the flow path plate 140 so that its front end protrudes to the other surface.

구체적으로, 유로 플레이트(140)의 상방사시도(a) 및 하방사시도(b)를 도시한 도 9를 참조하면, 유로 플레이트(140)는 대략 원반형으로 이루어지고, 이동 블록(120)의 타면(하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며 결합하여(도 5 참조), 이 틈새가 이동 블록(120)의 유체 도입구(121)와 연통되어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9 showing an upper perspective view (a) and a lower perspective view (b) of the flow path plate 140, the flow path plate 14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and is coupled with the other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block 120 while forming a gap (see FIG. 5), so that the gap communicates with the fluid inlet 121 of the movable block 120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flows.

도 9의 (a)를 참조하면, 유로 플레이트(140)의 일면(상면)에는 볼록부(141a)와 오목부(141b)가 교대로 형성된 환상의 요철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141)에서 볼록부(141a)의 상면은 이동 블록(120)의 타면(하면)과 접하고, 오목부(141b)는 이동 블록(120)의 타면(하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함으로써 이 틈새로 유체 도입구(121)로 도입되는 유체가 유로 플레이트(140)의 중심방향으로 흘러들게 된다. 따라서, 환상의 요철부(141)는 유체에 포함된 입자상의 불순물을 걸러내는 필터의 역할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9 , an annular concave-convex portion 141 in which convex portions 141a and concave portions 141b are alternately formed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flow path plate 140 . In the uneven part 141,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art 141a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block 120, and the concave part 141b forms a gap between the other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block 120. Through this gap,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luid inlet 121 flows toward the center of the flow path plate 140. Accordingly, the annular concave-convex portion 141 may serve as a filter filtering out particulate impurities included in the fluid.

환상의 요철부(141) 안쪽에는 유로 플레이트(140)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되고 이 통공에는 유입측 천공수단(145)이 결합된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유입측 천공수단(145)은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선단부가 날카로운 니들로 이루어져, 캡슐(300A, 300B)의 유입측 표면을 천공함과 함께 캡슐(300) 내부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유입측 천공수단(145)인 니들은 캡슐(300)의 유입측 표면에서 바라봤을 때 복수 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가 원주상에 등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캡슐(300) 내부로 고르게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ow path plate 140 is formed inside the annular concave-convex portion 141, and the inlet-side piercing means 145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Referring to (b) of FIG. 9, the inlet-side piercing unit 145 has a tubular shape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and has a sharp needle at its tip, thereby piercing the inlet-side surface of the capsules 300A and 300B. It is also possible to supply fluid into the capsule 300. When viewed from the surface of the inlet side of the capsule 300, a plurality of needles (three in this embodiment), which are the inlet-side piercing means 145, may be arranged at equal angles on the circumference. Thus, the fluid can be evenly supplied into the capsule 300 .

각각의 니들(145)은 기단부(도면에서 상단부)가 상광하협의 테이퍼진 형상을 하여(도 11의 (b) 참조) 유로 플레이트(140)의 일면(상면)에서 타면(하면)을 향해 관통하여 타면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니들(145)이 유로 플레이트(140)의 타면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Each needle 145 has a base end (upper end in the drawing) in a tapered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see FIG. 11 (b)) from one surface (upper surface) to the other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flow path plate 140. It is coupled so that it penetrates and protrudes to the other surfa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eedle 145 from falling out of the other surface of the flow path plate 140 due to the pressure of the supplied fluid.

또한, 니들(145) 선단부의 절단면은 유로 플레이트(140)의 하면에서 봤을 때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300B)의 유입측 표면과의 접촉각을 크게 하여, 확실하게 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만약 니들(145) 선단부의 절단면이 유로 플레이트(140)의 하면에서 봤을 때 반경방향 안쪽을 향하도록 하면, 캡슐(300B)의 유입측 표면을 천공할 때 니들(145)이 캡슐(300B)의 유입측 표면에 미끄러지면서 캡슐(300B)이 찌그러질 뿐 뚫리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ut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needle 145 may be formed to fac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ow path plate 140 . As shown in FIG. 6, this is to increase the contact angle with the surface of the inlet side of the capsule 300B so that it can be drilled reliably. That is, if the cut surface of the tip of the needle 145 faces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ow path plate 140, when the inlet surface of the capsule 300B is pierced, the needle 145 slides on the inlet surface of the capsule 300B, and the capsule 300B may be crushed but not pierced.

유체공급 유닛(160)은 탄성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50)는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일면(상면)이 유로 플레이트(140)의 타면(하면)에 결합되고, 타면(하면)이 프레임(110)의 홀더 장착부(102)에 장착되어 대향하는 캡슐 홀더(200B, 200C)의 캡슐 커버(230B, 230C)에, 및/또는, 캡슐 홀더(200A, 200B)에 수납된 캡슐(300A, 300B)에 밀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도 5 내지 도 7 참조). 이러한 탄성부재(150)에 의하면, 유체공급 유닛(160)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가 캡슐 커버(230B, 230C) 및/또는 캡슐(300A, 300B)의 상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luid supply unit 16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150. The elastic member 15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ne surface (upper surface) is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flow path plate 140, and the other surface (lower surface) is mounted o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102 of the frame 110, and capsules accommodated in the capsule covers 230B and 230C of the capsule holders 200B and 200C facing each other and/or in the capsule holders 200A and 200B ( 300A, 300B) may be made to closely adhere to (see FIGS. 5 to 7). According to the elastic member 15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uid supplied by the fluid supply unit 160 from leaking to the capsule covers 230B and 230C and/or the upper surfaces of the capsules 300A and 300B.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50)의 일부 절개 사시도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50)는 대략 원반형으로 이루어지고, 일면(상면)에서 타면(하면)으로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이 통공에 오링(151)을 개재하여 유입측 천공수단(145)인 니들이 관통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0, which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member 150, the elastic member 150 has a substantially disk shape, and a through hole penetrating from one surface (upper surface) to the other surface (lower surface) is formed, and a needle, which is an inlet-side piercing means 145, penetrates through the O-ring 151 in the through hole.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유체공급 유닛(160)을 구성하는 이동 블록(120), 유체 공급관(130), 유로 플레이트(140), 유입측 천공수단(145) 및 탄성부재(150)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이동(승강)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movable block 120, the fluid supply pipe 130, the flow path plate 140, the inlet-side drilling means 145, and the elastic member 150 constituting the fluid supply unit 160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 integrally coupled and movable (elevating) together, as shown in (a) of FIG. 11.

한편,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 플레이트(140)의 타면(하면)에는 니들(145)의 둘레를 따라 환상으로 돌출되는 환상 돌기(142)가 형성되어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50)의 일면(상면)에는 유로 플레이트(140)의 타면에 형성된 환상 돌기(142)에 대응하는 환상 홈(15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환상 돌기(142)와 환상 홈(152)의 형상은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145)을 중심으로 아래로 갈수록 니들과 멀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b) of FIG. 9, an annular projection 142 protruding annular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needle 145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flow path plate 140, and as shown in FIG. Here, the shape of the annular protrusion 142 and the annular groove 152 is preferably made of a tapered shape that becomes farther away from the needle as it goes downward with the needle 145 as the center, as shown in FIG. 11(b). This is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즉, 특히 유입측 표면이 캡슐(300B)의 중심부에서 높고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캡슐(300B)의 경우, 니들(145)에 의해 천공되어 형성된 유입홀을 통해 고온 고압의 유체는 캡슐(300B) 내부로 공급되지만, 이 유체는 그 압력에 의해 유입홀과 니들(145) 사이의 틈새로 새어나와 캡슐 커버(230B)와 캡슐(300B) 사이의 공간 및 틈새로 퍼지면서 탄성부재(150)를 경사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된다(도 11의 (b)의 화살표 A 참조). 이러한 압력이 반복되면, 실리콘 수지나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150)는 니들(145) 주위에서 경사 상방으로 변형되어 밀봉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환상 돌기(142)와 환상 홈(152)의 형상을 위와 같은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이러한 변형 압력을 대략 수직하게 지탱할 수 있게 하여 탄성부재(15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capsule 300B having a shape of a lower light beam, in which the inlet surface is high at the center of the capsule 300B and lowers toward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fluid is supplied into the capsule 300B through an inlet hole drilled by the needle 145. While spreading through the gap, the elastic member 150 is pushed upwards in an inclined direction (see arrow A in FIG. 11(b)). When this pressure is repeated, the elastic member 15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resin or rubber is deformed in an oblique upward direction around the needle 145, and the sealing ability decreases. By making the shape of the annular protrusion 142 and the annular groove 152 into a tapered shap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upport such a deformation pressure substantially vertically and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elastic member 150 .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는 구동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80)는 캡슐 홀더(200)에 수납된 캡슐(300)을 향해 유체공급 유닛(160)을 접근/이격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181),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며 모터의 회전력을 받아 정역회전 가능한 스크류(184), 및 모터(181)의 회전축과 스크류(184)의 회전축(183) 사이에서 회전 토크를 조절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 기어(18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8 ,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180 . The driving unit 180 is a component that approaches/separates the fluid supply unit 160 toward/from the capsule 300 stored in the capsule holder 200. A motor 181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 screw 184 having a male screw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a reduction gear 18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by adjusting rotational torque between the rotational axis of the motor 181 and the rotational axis 183 of the screw 184. 2) may be included.

구동부(180)는 프레임(110)의 내부공간(101)을 덮는 프레임 커버(105)를 개재하여 프레임(110)에 장착되며, 스크류(184)가 이동 블록(120)의 일면(상면) 중앙에 암나사의 형태로 형성된 스크류 삽입홈(122)에 스크류 결합한다. 따라서, 스크류(184)의 회전에 따라 이동 블록(120) 및 이에 결합된 유체공급 유닛(160)의 전체가 일체로 이동(승강)하게 된다.The driving unit 180 is mounted on the frame 110 via the frame cover 105 covering the inner space 101 of the frame 110, and the screw 184 is screwed into the screw insertion groove 122 formed in the form of a female screw at the center of one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lock 120. Accordingly, as the screw 184 rotates, the movable block 120 and the entire fluid supply unit 160 coupled thereto move (elevate) integrally.

한편,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이동 블록(120)이 정해진 최고 상승위치까지 상승했음을 감지하는 승강위치 센서로서 예컨대 마이크로 스위치(11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 블록(120)이 정해진 최저 하강위치까지 하강했음을 감지하는 승강위치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8 and 12, on one side of the frame 110, for example, a micro switch 111 may be provided as an elevation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at the moving block 120 has risen to a predetermined maximum elevation position.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n elevation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at the movable block 120 has descended to a predetermined minimum descent position may be provided.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홀더 장착부(102) 안쪽에는 캡슐 홀더(200)가 완전히 삽입되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예컨대 마이크로 스위치(112)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a micro switch 112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lder mounting portion 102 of the frame 110 as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capsule holder 200 is fully inserted and mounted.

나아가, 캡슐 홀더(200)에서 프레임(110)의 홀더 장착부(102)에 삽입되는 쪽의 선단부에는 제1 자석(213)이 마련되고,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102)에서 캡슐 홀더(200)의 제1 자석(213)에 대응하는 곳에는 제1 자석(213)과 인력이 작용하는 제2 자석(113)이 마련될 수 있다.Furthermore, a first magnet 213 may be provided at a distal end of the capsule holder 200 inserted into the holder mounting portion 102 of the frame 110, and a second magnet 113 having an attractive force with the first magnet 213 may be provid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 213 of the capsule holder 200 i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102 of the frame.

이러한 마이크로 스위치(112)와 제1 및 제2 자석(213, 113)에 의하면, 캡슐 홀더(200)가 홀더 장착부(102)에 확실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고, 불완전하게 장착된 상태로 장치가 동작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캡슐 홀더(200)나 유입측 천공수단(145)의 파손이나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icro switch 112 and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13 and 113, the capsule holder 200 can be securely mounted o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102, and damage to the capsule holder 200 or the inlet-side piercing unit 145 or leakage of fluid that can occur when the device operates in an incompletely mounted state can be prevent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캡슐(300B)이 하광상협의 자세로 수납공간(201B)에 수납되는 경우, 홀더 하우징(210B)만으로는 수납된 캡슐(300B)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없다. 또한, 도 11의 (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캡슐(300B)의 유입측 표면에 천공 형성된 유입홀과 니들(145) 사이의 틈새로 유체가 새어나와 누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psule 300B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201B in the lower beam position, the holder housing 210B alone cannot fix the stored capsule 300B so as not to move.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b) of FIG. 11 , fluid may leak through the gap between the needle 145 and the inlet hole perforated on the surface of the inlet side of the capsule 300B.

따라서, 캡슐(300B)을 수납하는 캡슐 홀더(200B)는 캡슐(300B)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는 캡슐 커버(230B)를 더 포함하여, 캡슐(300B)의 측면을 감싸 캡슐(300B)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유입홀과 니들(145) 사이의 틈새로 새어나온 유체가 캡슐 홀더(200B)나 장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psule holder 200B accommodating the capsule 300B further includes a capsule cover 230B having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ide shape of the capsule 300B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capsule 300B to fix the capsule 300B so as not to move, and to seal so that the fluid leak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inlet hole and the needle 145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of the capsule holder 200B or the device.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캡슐 홀더(200B)의 상세 구조에 대해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5 ,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apsule holder 200B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structure for preventing leakage of fluid.

도 13은 캡슐 홀더(200B)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그 캡슐 커버(230B)만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며, 도 15는 이 캡슐 홀더(200B)에 캡슐(300B)을 수납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psule holder 200B, FIG. 1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capsule cover 230B, and FIG. 1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sule 300B is accommodated in the capsule holder 200B.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캡슐 커버(230B)는 홀더 하우징(210B)의 일측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커버(230B)의 상단에는 외팔보 형태로 연장된 단부에 힌지축(232)이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힌지축(232)은 홀더 하우징(210B)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힌지축 삽입홈(212)에 삽입됨으로써, 캡슐 커버(230B)는 홀더 하우징(210B)의 일측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3 to 15 , the capsule cover 230B is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holder housing 210B.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3 , a pair of hinge shafts 232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capsule cover 230B extending in a cantilever shape. The hinge shaft 232 is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212 formed at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holder housing 210B, so that the capsule cover 230B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holder housing 210B.

여기서, 힌지축 삽입홈(212)은 상하방향 길이가 힌지축(232)보다 크게 형성되어, 힌지축(232)은 힌지축 삽입홈(212) 내에서 회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캡슐 커버(230B)는 힌지축(232)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뿐만 아니라 상하 직선운동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캡슐 커버(230B)가 회전운동뿐만 아니라 상하 직선운동도 가능하게 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Here, the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212 is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hinge shaft 232, so that the hinge shaft 232 can not only rotate within the hinge shaft insertion groove 212, but als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ome extent. Accordingly, the capsule cover 230B can perform up and down linear motion as well as rotational motion about the hinge shaft 232 . In this way, if the capsule cover 230B enables not only rotational motion but also up-and-down linear motion, there are advantages as follows.

즉, 캡슐 커버(230B)를 위로 젖혀 열고 캡슐(300B)을 수납공간(201B)에 수납한 후, 캡슐 커버(230B)를 다시 아래로 회동시켜 닫고, 캡슐 홀더(200B)를 홀더 장착부(102)에 삽입하여 장착하면, 유체공급 유닛(160)이 하강하여 탄성부재(150)가 개구(231B)를 통해 노출된 캡슐(300B)과 캡슐 커버(230B)의 상면을 압착하면서 니들(145)이 개구(231B)를 통해 노출된 캡슐(300B) 상면을 천공하게 된다(도 6 참조). 이때, 캡슐 커버(230B)가 회전운동만 가능하다면, 캡슐(300B)과 캡슐 커버(230B)의 개소마다 힌지축(232)과의 거리에 따라 가해지는 가압력이 다르게 된다. 또한, 제조공차 등에 의해 캡슐(300B)의 상하 높이가 다르거나, 캡슐(300B)의 상면 또는 하면이 볼록한 정도에 편차가 있는 경우, 캡슐(300B)은 그 중심축이 정확히 수직을 이루지 못하고 기울어진 상태(즉, 캡슐 커버(230B)가 정확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기울어진 상태)로 압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밀봉력의 편차에 따른 밀봉 불량(유체 누출), 천공된 유입홀이 과도하게 커지거나 천공이 되지 않는 등의 천공 불량, 나아가 힌지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apsule cover 230B is opened by tilting upward and the capsule 300B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201B, the capsule cover 230B is rotated downward and closed again, and the capsule holder 200B is inserted into the holder mounting portion 102 and mounted, the fluid supply unit 160 descends and the elastic member 150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231B. 30B) while pressing the upper surface, the needle 145 punctures the upper surface of the capsule 300B exposed through the opening 231B (see FIG. 6). At this time, if the capsule cover 230B can only rotate,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each location of the capsule 300B and the capsule cover 230B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hinge shaft 232. In addition, when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capsule 300B are different due to manufacturing tolerances, or there is a deviation in the degree of convexity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apsule 300B, the central axis of the capsule 300B is not exactly vertical and is tilted (ie, the capsule cover 230B is not accurately leveled and tilted). In this case, problems such as sealing failure (fluid leakage) due to variation in sealing force, poor drilling such as excessively large or not drilled inlet holes, and breakage of the hinge may occur.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캡슐 홀더(200B)와 같이 캡슐 커버(230B)가 상하방향의 직선운동도 가능하면, 유체공급 유닛(160)의 하강은 오롯이 캡슐(300B)과 캡슐 커버(230B)에 대한 상하방향의 압착으로 이어져, 상술한 문제가 모두 해소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apsule cover 230B is capable of linear mo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in the capsule holder 200B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ing of the fluid supply unit 160 only leads to compression of the capsule 300B and the capsule cover 230B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solving all the above-described problems.

한편, 상술한 회전운동과 상하 직선운동이 모두 가능한 캡슐 커버(230B)의 힌지 구조는 제2 캡슐 홀더(200C)의 캡슐 커버(230C)에도 그대로 적용가능하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hinge structure of the capsule cover 230B capable of both rotational motion and vertical linear motion can be applied to the capsule cover 230C of the second capsule holder 200C as it is.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캡슐 홀더(200B)의 캡슐 커버(230B)는, 전술한 유입홀과 니들(145) 사이의 틈새로 새어나와 캡슐(300B)의 측면(302B)과 캡슐 커버(230B) 사이의 틈새를 통해 누출되는 유체를 밀봉하여 막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The capsule cover 230B of the capsule holder 2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eans for sealing and preventing fluid leak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aforementioned inlet hole and the needle 145 and leak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ide surface 302B of the capsule 300B and the capsule cover 230B.

구체적으로, 먼저, 캡슐(300B)은 유출측 표면(303B)이 측면(302B)과 만나는 부분을 넘어 연장된 플랜지부(305B)를 가진다. 이 플랜지부(305B)는 통상적으로 단면이 원형이고 상대적으로 딱딱한 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first, the capsule 300B has a flange portion 305B extending beyond a portion where the outlet side surface 303B meets the side surface 302B. This flange portion 305B is typically circular in cross section and in the form of a relatively rigid ring.

또한, 캡슐 커버(230B)에는 캡슐(300B)의 측면(302B)을 감싸는 부분에서 두께방향으로 유체가 유입가능한 유로(357)가 형성된다. 이 유로(357)에는 캡슐(300B)의 측면(302B)과 캡슐 커버(230B) 내면 사이의 틈새로 흐르는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유로(237)는 그 개방된 단부가 캡슐(300B)의 플랜지부(305B)와 대향하도록,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ㄱ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유로(237)의 개방된 단부는 삽입되는 오링(235)에 의해 밀폐되고, 오링(235)은 유로(237)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밀려 캡슐(300B)의 플랜지부(305B)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캡슐(300B)의 플랜지부(305B)와 유로(237) 및 오링(235)의 밀봉 구조에 의해, 캡슐(300B)의 측면(302B)과 캡슐 커버(230B) 내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누출을 막고, 캡슐(300B) 내부의 적정한 유체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추출된 음료의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ssage 357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in the capsule cover 230B at a portion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302B of the capsule 300B. A fluid flowing through a gap between the side surface 302B of the capsule 300B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psule cover 230B may flow into the flow path 357 . In addition, the passage 237 is formed by bending in a substantially L-shape, as shown in FIG. 15, such that its open end faces the flange portion 305B of the capsule 300B. The open end of the flow path 237 is sealed by an inserted O-ring 235, and the O-ring 235 is pushed downwar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flow path 237. It may be configured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305B of the capsule 300B. Due to the sealing structure of the flange portion 305B of the capsule 300B, the flow path 237, and the O-ring 235, leakage of fluid flowing through a gap between the side surface 302B of the capsule 300B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psule cover 230B is prevented and an appropriate fluid pressure inside the capsule 300B is maintained, thereby maintaining the taste and aroma of the extracted beverage.

나아가, ㄱ자형 유로(237)와 오링(235)에 의한 밀봉 구조는 캡슐 커버(230B)의 하단부 외주면에 오링(234)을 개재하여 체결되는 커버 링(23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잡한 가공 없이 ㄱ자형 유로(237)와 오링(235)에 의한 밀봉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필요시 커버 링(233)을 분해하여 ㄱ자형 유로(237)와 오링(235)의 청소나 교체 등을 쉽게 행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ealing structure by the L-shaped passage 237 and the O-ring 235 may be implemented by the cover ring 233 faste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apsule cover 230B via the O-ring 234. In this case, the sealing structure by the L-shaped flow path 237 and the O-ring 235 can be implemented without complicated processing, and the L-shaped flow path 237 and the O-ring 235 can be easily cleaned or replaced by disassembling the cover ring 233 if necessary.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means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100: 장치 본체
102: 홀더 장착부
110: 프레임
120: 이동 블록
130: 유체 공급관
140: 유로 플레이트
145: 유입측 천공수단(니들)
150: 탄성부재
160: 유체공급 유닛
180: 구동부
200(200A, 200B, 200C): 캡슐 홀더
201A, 201B, 201C: 수납공간
210A, 210B, 210C: 홀더 하우징
220A, 220B, 220C: 손잡이
230B, 230C: 캡슐 커버
240B: 유출측 천공수단
300(300A, 300B, 300C): 캡슐
100: device body
102: holder mounting part
110: frame
120: moving block
130: fluid supply pipe
140: euro plate
145: inflow side piercing means (needle)
150: elastic member
160: fluid supply unit
180: driving unit
200 (200A, 200B, 200C): capsule holder
201A, 201B, 201C: storage space
210A, 210B, 210C: holder housing
220A, 220B, 220C: handle
230B, 230C: capsule cover
240B: outflow side perforation means
300 (300A, 300B, 300C): capsule

Claims (13)

음료용 원재료가 수용된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로서,
홀더 장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유입측 표면이 천공되어 형성되는 유입홀을 통해 유체가 도입되어 음료가 추출되는 타입의 제1 캡슐을 수납하는 제1 캡슐 홀더;
유입측 표면에 미리 형성된 유입홀을 통해 유체가 도입되어 음료가 추출되는 타입의 제2 캡슐을 수납하는 제2 캡슐 홀더;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을 수납하여 상기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 홀더에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 홀더에 수납된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에 음료 추출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공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공급 유닛은, 일단부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 홀더에 수납된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의 상기 유입측 표면을 향해 돌출된 유입측 천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캡슐 홀더는 선택적으로 상기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 캡슐 홀더는, 상기 제1 캡슐이 상기 제1 캡슐 홀더에 수납되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유체공급 유닛이 상기 제1 캡슐 홀더에 접근하였을 때, 상기 제1 캡슐의 유입측 표면이 상기 유입측 천공수단에 의해 천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캡슐 홀더는, 상기 제2 캡슐이 상기 제2 캡슐 홀더에 수납되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유체공급 유닛이 상기 제2 캡슐 홀더에 접근하였을 때, 상기 제2 캡슐의 유입측 표면과 상기 유입측 천공수단이 이격되어 상기 제2 캡슐의 유입측 표면이 상기 유입측 천공수단에 의해 천공되지 않도록 구성된, 음료 추출 장치.
A device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s for beverage,
A frame including a holder mounting portion;
a first capsule holder accommodating a first capsule in which a beverage is extracted by introducing a fluid through an inlet hole formed by punching an inlet surface;
a second capsule holder accommodating a second capsule in which a beverage is extracted by introducing a fluid through an inlet hole formed in advance on an inlet surface; and
A fluid supply unit for receiving the first or second capsule and supplying fluid for beverage extraction to the first or second capsule stored in the first or second capsule holder, mounted on the frame so as to be accessible to or away from the first or second capsule holder mounted o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of the frame;
The fluid supply unit has an inlet-side piercing means protruding toward the inlet-side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capsule accommodated in the first or second capsule holder at one end,
The first and second capsule holders are selectively detachably mounted to the holder mounting portion of the frame,
The first capsule holder is configured so that when the first capsule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capsule holder and mounted on the frame, and the fluid supply unit approaches the first capsule holder, the inlet-side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is perforated by the inlet-side piercing means,
In the second capsule holder, when the second capsule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capsule holder and mounted on the frame, and the fluid supply unit approaches the second capsule holder, the inlet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and the inlet piercing mea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inlet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is not pierced by the inlet pierc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측 천공수단은 내부에 상기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선단부가 날카로운 니들인, 음료 추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let-side piercing means is made in the form of a tube through which the fluid can flow, and the tip is a sharp need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은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의 상기 유입측 표면에서 바라봤을 때 복수 개가 원주상에 등각도로 배치된, 음료 추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lurality of needles are disposed on a circumference at an equal angle when viewed from the inlet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capsu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 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 홀더에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고, 일측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관이 결합되는 유체 도입구가 형성된 이동 블록;
상기 이동 블록의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 홀더에 대향하는 단부와의 사이에 상기 유체 도입구로 도입된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이동 블록에 일면이 결합되는 유로 플레이트; 및
상기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니들은, 상기 유로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선단부가 상기 유로 플레이트의 타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유로 플레이트에 결합된, 음료 추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luid supply unit,
a moving block installed inside the frame to be accessible to or away from the first or second capsule holder mounted o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of the frame, and having a fluid inlet coupled to one side of a fluid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fluid;
a flow path plate having one surface coupled to the movable block such that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luid inlet flows is formed between an end of the movable block facing the first or second capsule holder; and
Including the needle,
The needle is coupled to the flow path plate so that the front end protrudes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low path plate through the flow path plate, beverage extrac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 유닛은,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일면이 상기 유로 플레이트의 타면에 결합되고, 타면이 상기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 장착되어 대향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 홀더, 및/또는,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 홀더에 수납된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에 밀착하도록 이루어진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니들은, 상기 유로 플레이트 및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하여 선단부가 상기 탄성부재의 타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유로 플레이트 및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된, 음료 추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fluid supply unit,
An elastic member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ne surface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low path plate, and the other surface mounted o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of the frame to face the first or second capsule holder and/or the first or second capsule holder, the first or second capsule accommodated in the holder;
The needle is coupled to the flow path plate and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front end protrudes to the oth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through the flow path plate and the elastic member, beverage extraction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의 타면에는, 상기 유로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상기 니들의 둘레를 따라 환상으로 돌출되는 환상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유로 플레이트의 타면에 형성된 상기 환상 돌기에 대응하는 환상 홈이 형성되어 있는, 음료 추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5,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low path plate, an annular projection protruding annular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needle penetrating the flow path plate is formed,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is formed with an annular groove corresponding to the annular projec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low path plate, beverage extrac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관은 상기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개재하여 상기 이동 블록의 유체 도입구에 결합되는, 음료 추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fluid supply pipe is coupled to the fluid inlet of the movable block via a check valve to prevent backflow of the fluid, beverage extraction devic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는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 홀더가 완전히 삽입되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마련되어 있는, 음료 추출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holder mounting portion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first or second capsule holder is fully inserted and mounted.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캡슐 홀더에서 상기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 삽입되는 쪽의 선단부에는 제1 자석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캡슐 홀더의 선단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 자석과 인력이 작용하는 제2 자석이 마련되어 있는, 음료 추출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first magnet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apsule holders inserted into the holder mounting portion of the frame,
A beverage extracting device in which a second magnet having an attractive force with the first magnet is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apsule holders i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of the fram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슐은, 상기 유입측 표면, 상기 유입측 표면과 대향하는 유출측 표면, 및 상기 유입측 표면과 유출측 표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캡슐 홀더는,
상기 제1 캡슐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캡슐의 유출측 표면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1 캡슐의 유출측 표면으로부터 유출되는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홀더 하우징; 및
상기 제1 캡슐의 유출측 표면과 상기 홀더 하우징의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캡슐의 유출측 표면을 천공하는 유출측 천공수단을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first capsule has a cylindrical shape including the inlet-side surface, an outlet-side surface facing the inlet-side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nnecting the inlet-side surface and the outlet-side surface,
The first capsule holder,
a holder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capsule,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beverage flowing from the outlet side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is discharged on a surface facing the outlet side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and
Disposed between the outlet side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and the outlet of the holder housing, and an outlet side piercing means for perforating the outlet side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슐 홀더는, 상기 제1 캡슐이 상기 홀더 하우징에 수납되어 상기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1 캡슐의 유입측 표면의 적어도 상기 유입측 천공수단에 대향하는 부분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캡슐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홀더 하우징에서 상기 제1 캡슐의 유입측 표면 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캡슐 커버를 더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first capsule holder further includes a capsule cover that surrounds a side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let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in the holder housing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inlet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facing the inlet piercing means is exposed when the first capsule is accommodated in the holder housing and mounted o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of the fram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슐은, 상기 유출측 표면이 상기 측면을 넘어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 커버에는 상기 제1 캡슐의 측면을 감싸는 부분에서 두께방향으로, 상기 유체공급 유닛에 의해 공급되어 상기 제1 캡슐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제1 캡슐의 측면과 상기 캡슐 커버의 내면 사이의 틈새로 흐르는 유체가 유입가능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의 개방된 단부는 상기 제1 캡슐의 플랜지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로의 개방된 단부에는 오링이 삽입되어 밀폐되고,
상기 유로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오링을 상기 제1 캡슐의 플랜지부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된, 음료 추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first capsule, the outflow-side surface includes a flange portion extending beyond the side surface,
In the capsule cover, in a thickness direction at a portion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a fluid supplied by the fluid supply unit and flowing into a gap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psule cover without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capsule is formed.
The open end of the passage is formed to face the flange portion of the first capsule,
An O-ring is inserted and sealed at the open end of the passage,
Beverage extraction device configured to bring the O-r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of the first capsule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passag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캡슐은, 상기 유입측 표면, 상기 유입측 표면과 대향하는 유출측 표면, 및 상기 유입측 표면과 유출측 표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캡슐 홀더는,
상기 제2 캡슐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캡슐의 유출측 표면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2 캡슐의 유출측 표면으로부터 유출되는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홀더 하우징; 및
상기 제2 캡슐이 상기 홀더 하우징에 수납되어 상기 프레임의 홀더 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2 캡슐의 유입측 표면이 상기 유입측 천공수단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제2 캡슐의 유입측 표면을 상기 유입측 천공수단과 이격시켜 덮고, 상기 홀더 하우징에서 상기 제2 캡슐의 유입측 표면 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캡슐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 커버에는 상기 유체공급 유닛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2 캡슐의 유입측 표면을 향해 돌출된 상기 유입측 천공수단을 수용하도록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음료 추출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second capsule has a cylindrical shape including the inlet-side surface, an outlet-side surface facing the inlet-side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nnecting the inlet-side surface and the outlet-side surface,
The second capsule holder,
a holder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capsule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beverage flowing from the outlet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is discharged on a surface facing the outlet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and
a capsule cover rotatably coupled to the inlet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in the holder housing, covering the inlet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with a distance from the inlet piercing means so that the inlet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let piercing means when the second capsule is accommodated in the holder housing and mounted o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of the frame;
The capsule cover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 accommodate the inlet piercing means protruding toward the inlet surface of the second capsule from one end of the fluid supply unit.
KR1020220007177A 2022-01-18 2022-01-18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 KR1026337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177A KR102633793B1 (en) 2022-01-18 2022-01-18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177A KR102633793B1 (en) 2022-01-18 2022-01-18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388A true KR20230111388A (en) 2023-07-25
KR102633793B1 KR102633793B1 (en) 2024-02-05

Family

ID=87428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177A KR102633793B1 (en) 2022-01-18 2022-01-18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793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4102A (en) * 2007-07-20 2010-11-04 サエコ アイピーアール リミテッド Single capsule capsule punching device
KR20130093178A (en) * 2007-12-18 2013-08-21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ingredients supported by an encoded insert
KR101323361B1 (en) * 2011-12-29 2013-10-30 컨벡스코리아(주)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equipped with universal cap
KR101350069B1 (en) 2005-02-07 2014-01-14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Device for preparing a drink from a capsule by injection of a pressurized fluid and capsule-holder adapted therefore
KR101493822B1 (en) * 2012-09-21 2015-02-17 정휘동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 for beverage
KR20170040026A (en) * 2015-10-02 2017-04-12 코웨이 주식회사 Capsul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KR20180010865A (en) * 2016-07-22 2018-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Coffee extraction device
KR20210059509A (en) * 2019-11-15 2021-05-2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Capsule holder and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KR102259987B1 (en) * 2019-11-15 2021-06-02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 for beverag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069B1 (en) 2005-02-07 2014-01-14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Device for preparing a drink from a capsule by injection of a pressurized fluid and capsule-holder adapted therefore
JP2010534102A (en) * 2007-07-20 2010-11-04 サエコ アイピーアール リミテッド Single capsule capsule punching device
KR20130093178A (en) * 2007-12-18 2013-08-21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ingredients supported by an encoded insert
KR101323361B1 (en) * 2011-12-29 2013-10-30 컨벡스코리아(주)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equipped with universal cap
KR101493822B1 (en) * 2012-09-21 2015-02-17 정휘동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 for beverage
KR20170040026A (en) * 2015-10-02 2017-04-12 코웨이 주식회사 Capsul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KR20180010865A (en) * 2016-07-22 2018-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Coffee extraction device
KR20210059509A (en) * 2019-11-15 2021-05-2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Capsule holder and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KR102259987B1 (en) * 2019-11-15 2021-06-02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 for beve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793B1 (en) 202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9628B2 (en) Device for preparing a drink from a capsule by injection of a pressurized fluid and capsule-holder adapted therefore
US6792980B1 (en) Method and device for piercing a sealed capsule on a coffee machine
CN103108577B (en) For being prepared the equipment of beverage by centrifugal action
JP5409766B2 (en) Beverage production device for producing beverages from disposable capsules
ES2645439T3 (en) Scalding module
ES2359282T3 (en) CAPSULES PERFORATION MODULE.
RU2589576C2 (en) Brewing device for food product preparation
MX2014013404A (en) An ingredient capsule for beverage preparation.
CN102281802A (en) Injection assembly and machine for preparing a drink provided with this injection assembly
EP1731063A1 (en) Capsule-holder for a device for preparing a drink from a capsule by injection of a pressurized fluid.
US20120012007A1 (en) Transportable compact machine for preparing a drink
KR20230111388A (en)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
CN106136908B (en) Beverage brewing system
KR102633794B1 (en) Capsule holder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CN106136901B (en) Beverage capsule
JP2021020740A (en) Exchangeable supply pack, distribution unit, pump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beverage preparation device
EP1487313B1 (en) Device for infusions of coffee
BR112020015674A2 (en) DRINK EXTRACTION UNIT WITH MOBILE DRAINAGE OBSTRUCTOR
KR20200059543A (en) Capsule for preparation of beverage
KR102462839B1 (en) Capsule for preparation of beverage
ES2947744T3 (en) Beverage machine with controlled outlet opening
EP3199072A1 (en) System for preparing a liquid beverage from a capsule, a capsule configured to be used in a system
KR20200077190A (en) Capsule for preparation of beve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